KR19980060226U - 자동차의 소음기용 드레인 파이프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소음기용 드레인 파이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60226U
KR19980060226U KR2019970004251U KR19970004251U KR19980060226U KR 19980060226 U KR19980060226 U KR 19980060226U KR 2019970004251 U KR2019970004251 U KR 2019970004251U KR 19970004251 U KR19970004251 U KR 19970004251U KR 19980060226 U KR19980060226 U KR 1998006022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mber
pipe
silencer
chambers
exhaust ga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0425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종서
Original Assignee
김영귀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귀,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영귀
Priority to KR2019970004251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60226U/ko
Publication of KR1998006022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0226U/ko

Links

Landscapes

  • Exhaust Silenc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의 소음기용 드레인 파이프를 개시한다. 개시된 본 고안은, 배기 파이프에 설치된 소음기 본체(1); 상기 소음기 본체(1)에 배기가스의 흐름에 직교되는 방향으로 배치되어, 3개의 제1,제2, 및 제3쳄버(4,5,6)를 형성시키며, 상기 제2 및 제3쳄버(5,6) 사이에는 통공(31)이 형성된 제1 및 제2격막(2,3); 상기 제1격막(2)을 관통하여 인입측 배기 파이프에서 제2쳄버(5)로 이어지는 제1파이프(7); 상기 제3쳄버(6)에서 각 격막(2,3)을 관통하여 제1쳄버(4)로 이어지는 제2파이프(8); 및 상기 제1쳄버(4)에서 각 격막(2,3)을 관통하여 인출측 배기 파이프로 이어지는 제3파이프(9)를 포함하는 자동차의 소음기에서, 상기 각 쳄버(4,5,6)내에 배기가스의 응축으로 인해 발생되는 응축수를 외부로 드레인시키기 위한 파이프(10)로서, 상기 각 쳄버(4,5,6)들중 중간 압력이 형성되는 제3쳄버(6)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동차의 소음기용 드레인 파이프
본 고안은 자동차의 소음기용 드레인 파이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소음기내에 형성되는 응축수를 제거하기 위한 드레인 파이프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 엔진에서 연소되어 배기 매니폴드(exhaust manifold)를 통해 배출되는 여소가스는 600 내지 800°의 고온, 3 내지 5kgf/cm2의 고압의 가스이므로, 이 가스가 그대로 외부에 방출되면 폭발음이 발생되고, 또한 화재를 일으킬 소지가 많기 때문에 이것을 방지하기 위해 연소가스를 완만한 팽창을 하게 하면서 출력의 손실을 최대 5% 이내로 제한하는 역할을 하는 소음기가 배기 매니폴드에 설치된다.
이러한 방법으로는 흡음재(吸音材)를 사용하거나, 연소가스를 작은 구멍에서 분출시켜 압력과 온도를 저하시켜서 에너지를 흡수시키거나 또는 연소가스의 유로를 도중에 길이가 다른 2개의 유로가 나누어서 음파를 서로 간섭, 즉 공명되도록 하여 소음을 줄이는 등의 여러가지 방법이 있다.
이러한 방법을 실현하기 위한 소음기의 구조는 여러 가지 형식이 있으나, 통상적으로 1mm 정도의 두께를 가지는 철판을 원통형으로 용접한 다음, 그 내부에 수개의 격막이 설치된 구조로 이루어져서 연소가스가 이 격막을 통과할 때마다 음파의 간섭 및 압력 변동의 감소, 그리고 배기온도의 저하로 점차 소음이 감소되게 된다.
또한, 연소가스에 함유된 유해성분, 즉 일산화탄소(CO), 탄화수소(HC) 및 질소 산화물(NOx)을 촉매로 산화 또는 환원시켜서 유해하지 않는 성분으로 전환시키는 촉매 컨버터(converter)가 배기 매니폴드에 설치된다.
도 1에 종래의 소음기 내부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소음기 본체(1)는 배기 파이프 사이에 설치되어 있고, 그 내부에는 배기가스의 흐름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수 개, 통상적으로 2개의 제1 및 제2격막(2,3)이 설치되어서, 3개의 제1, 제2, 및 제3쳄버(4,5,6)가 자연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특히, 제2격막(3)에는 배기가스가 흐름는 통로(31)이 형성되어 있다.
각각의 격막(2,3)에는 배기가스가 통과하는 3개의 제1,제2, 및 제3파이프(7,8,9)가 삽입되어 있다. 제1파이프(7)는 일측 배기 파이프에 연결되어 제2쳄버(5)까지 연장되어 있고, 제2파이프(8)는 제3쳄버(6)로부터 제1쳄버(4)로 이어져 있으며, 제3파이프(9)는 제1쳄버(4)로부터 타측 배기 파이프로 연결되어 있다.
한편, 제2쳄버(5)에는 드레인 파이프(10)가 연결되어 있는데, 이 드레인 파이프(10)는 배기가스내에 포함된 물성분이 응축되어 형성되는 응축수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함이다. 여기서, 드레인 파이프(10)를 제2쳄버(5)에 위치시키는 이유는, 압력이 가장 높은 상태인 배기가스가 최초로 진입되는 쳄버가 제2쳄버(5)이므로, 응축수를 보다 효과적으로 드레인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어서, 소음기 본체(1)로 유입된 배기가스는 제1파이프(4)를 통해 제2쳄버(9)로 진입되고, 이후 통공(31)을 통해 제3쳄버(6)로 유입된다. 배기가스는 제2파이프(8)를 통해 제1쳄버(4)로 유입되고, 최종적으로 제3파이프(9)를 거쳐서 배기 파이프로 배출된다.
이와 같이, 배기가스가 복잡한 경로를 거치면서 여러 쳄버(4,5,6)를 거치는 동안에, 각 격벽(2,3)에 부딪히게 되어 속도가 감소되어 소음이 저감된 상태로 배출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배기가스의 소음 및 압력이 저감되면서 응축수가 형성되어지고, 이 응축수는 드레인 파이프(1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그러나, 종래에는 외부와의 압력차가 가장 큰 제2쳄버(5)에 드레인 파이프(10)를 위치시켰는데, 압력차에 의한 드레인 효과보다는 응축수를 제2쳄버(5)내로 분산시키는 효과가 더 커서, 응축수의 드레인 효과가 저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은 응축수가 제2쳄버(2)내에 고이게 된다는 것을 의미하므로, 제2쳄버(2) 내부를 부식시키게 되고, 또한 응축수에 의해 제2쳄버(2)의 용적이 작아지게 되어 소음 저감효과도 떨어지게 된다는 파급 현상을 일으키게 되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응축수가 분산되지 않고 드레인되도록 하여, 응축수의 잔류로 인한 내부 부식과 소음 증대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자동차의 소음기용 드레인 파이프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소음기 내부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드레인 파이프가 구비된 소음기 내부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소음기 본체 2:제1격막
3:제2격막 4:제1쳄버
5:제2쳄버 6:제3쳄버
7:제1파이프 8:제2파이프
9:제3파이프 10:드레인 파이프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배기 파이프에 설치된 소음기 본체; 상기 소음기 본체에 배기가스의 흐름에 직교되는 방향으로 배치되어, 3개의 제1,제2, 및 제3쳄버를 형성시키며, 상기 제2 및 제3쳄버 사이에는 통공이 형성된 제1 및 제2격막; 상기 제1격막을 관통하여 인입측 배기 파이프에서 제2쳄버로 이어지는 제1파이프; 상기 제3쳄버에서 각 격막을 관통하여 제1쳄버로 이어지는 제2파이프; 및 상기 제1쳄버에서 각 격막을 관통하여 인출측 배기 파이프로 이어지는 제3파이프를 포함하는 자동차의 소음기에서, 상기 각 쳄버내에 배기가스의 응축으로 인해 발생되는 응축수를 외부로 드레인시키기 위한 파이프로서;
상기 각 쳄버들중 중간 압력이 형성되는 제3쳄버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된 본 고안의 구성에 의하면, 드레인 파이프가 중간 압력이 형성되는 제3쳄버에 형성되었으므로, 비록 외부와의 압력차는 제2쳄버보다는 작지만 분산 효과를 억제시킬 수 있게 되고, 따라서 응축수가 쳄버내로 잔류하는 정도를낮출 수가 있게 된다.
[실시예]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드레인 파이프가 구비된 소음기 내부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참고로, 본 실시예의 구성을 설명함에 있어, 명세서의 서두에서 설명된 종래의 기술과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의 중복을 피하기 위하여 반복설명은 생략하고 개선된 부분을 주로하여 설명하며, 또한 동일부번을 사용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드레인 파이프(10)가 종래의 위치였던 제2쳄버(5)에서 제3쳄버(6)로 이동, 설치된다. 즉, 배기가스의 흐름이 제1,제2,및 제3파이프(7,8,9)를 순차적으로 거치게 되므로, 각 쳄버를 높은 압력순으로 나열해보면 제2쳄버(5)가 가장 높고, 그 다음이 제3쳄버(6)가 되며, 인출측 배기파이프로 최종 배출되는 제1쳄버(4)의 압력이 가장 낮게 된다.
따라서, 외부와의 압력차가 가장 큰 제2쳄버(5)에 드레인 파이프(10)를 설치하는 것이 당연해 보이겠지만, 종래의 문제점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압력차가 너무 크면 응축수를 분산시키는 효과도 같이 증가되어, 실제 드레인 효과가 떨어지게 되므로, 본 고안에서는 두번째로 압력이 높은 제3쳄버(6)이 드레인 파이프(10)를 위치시킨다.
이와 같이 드레인 파이프(10)를 제3쳄버(6)에 형성시키면, 일시적으로 드레인량이 종래보다는 줄어들겠지만, 장기적으로 보면 응축수를 밀어주는 분산효과도 같이줄어들게 되어, 결과적으로는 드레인 효과가 종래보다 향상됨은 당연하다.
한편, 미설명부호 1은 소음기 본체이고, 2 및 3은 소음기 본체(1)에 설치되는 제1 및 제2격막이다.
상기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여, 분산효과가 제2쳄버(5)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제3쳄버(6)에 드레인 파이프(10)를 형성시키므로써, 응축수의 드레인 효과가 향상되고, 따라서 응축수의 잔류로 인한 내부 부식이나 소음기의 본래 기능인 소음 저감효과가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게 된다.
한편,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Claims (1)

  1. 배기 파이프에 설치된 소음기 본체; 상기 소음기 본체에 배기가스의 흐름에 직교되는 방향으로 배치되어, 3개의 제1,제2, 및 제3쳄버를 형성시키며, 상기 제2 및 제3쳄버 사이에는 통공이 형성된 제1 및 제2격막; 상기 제1격막을 관통하여 인입측 배기 파이프에서 제2쳄버로 이어지는 제1파이프; 상기 제3쳄버에서 각 격막을 관통하여 제1쳄버로 이어지는 제2파이프; 및 상기 제1쳄버에서 각 격막을 관통하여 인출측 배기 파이프로 이어지는 제3파이프를 포함하는 자동차의 소음기에서, 상기 각 쳄버내에 배기가스의 응축으로 인해 발생되는 응축수를 외부로 드레인시키기 위한 파이프로서;
    상기 각 쳄버들중 중간 압력이 형성되는 제3쳄버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소음기용 드레인 파이프.
KR2019970004251U 1997-03-08 1997-03-08 자동차의 소음기용 드레인 파이프 KR19980060226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4251U KR19980060226U (ko) 1997-03-08 1997-03-08 자동차의 소음기용 드레인 파이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4251U KR19980060226U (ko) 1997-03-08 1997-03-08 자동차의 소음기용 드레인 파이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0226U true KR19980060226U (ko) 1998-11-05

Family

ID=696825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04251U KR19980060226U (ko) 1997-03-08 1997-03-08 자동차의 소음기용 드레인 파이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60226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7988A (ko) * 2018-02-13 2019-08-2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 소음기용 드레인 튜브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7988A (ko) * 2018-02-13 2019-08-2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 소음기용 드레인 튜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71911B2 (en) Muffler for an engine
RU2002106740A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нижения содержания оксидов азота в отработавших газах двигателя внутреннего сгорания
JP4866440B2 (ja) 消音器
KR100846319B1 (ko) 촉매가 장착된 머플러
KR19980060226U (ko) 자동차의 소음기용 드레인 파이프
JP2005073463A (ja) 燃料電池自動車用の排気装置
KR101158029B1 (ko) 자동차 머플러
KR100321361B1 (ko) 자동차의 배기음 저감장치
JP5009333B2 (ja) 排気消音装置
RU213650U1 (ru) Глушитель шума выхлопа двигателя внутреннего сгорания
KR100276246B1 (ko) 자동차용 소음기
KR100525771B1 (ko) 배기가스 정화장치 삽입형 소음기
JP5091183B2 (ja) 消音器
KR100882654B1 (ko) 자동차의 저용량 소음기
KR100288234B1 (ko) 내연기관의 소음기
KR100525770B1 (ko) 배기가스 정화장치 삽입형 소음기
KR19980022042A (ko) 주 배기 소음기
KR100368639B1 (ko) 유연 연료를 사용하는 브이6 엔진용 배기 소음기
KR20030041254A (ko) 자동차용 소음기
KR100525769B1 (ko) 배기가스 정화장치 삽입형 소음기
KR19980035892U (ko) 배기 다기관의 와류 유도구조
KR100199426B1 (ko) 1차 소음기 기능을 갖는 촉매 컨버터
KR0128972Y1 (ko) 자동차의 공명기
JPS5943457Y2 (ja) 消音器
KR100508164B1 (ko) 가변 머플러의 연결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