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21962U - 저온시동성이 향상된 차량용 엔진 - Google Patents

저온시동성이 향상된 차량용 엔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21962U
KR19980021962U KR2019960035290U KR19960035290U KR19980021962U KR 19980021962 U KR19980021962 U KR 19980021962U KR 2019960035290 U KR2019960035290 U KR 2019960035290U KR 19960035290 U KR19960035290 U KR 19960035290U KR 19980021962 U KR19980021962 U KR 1998002196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engine
cylinder
heater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3529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성록
이권수
김병욱
Original Assignee
이대원
삼성항공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대원, 삼성항공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대원
Priority to KR2019960035290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21962U/ko
Publication of KR1998002196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1962U/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1/00Apparatus for thermally treating combustion-air, fuel, or fuel-air mixture
    • F02M31/02Apparatus for thermally treating combustion-air, fuel, or fuel-air mixture for heating
    • F02M31/12Apparatus for thermally treating combustion-air, fuel, or fuel-air mixture for heating electrically
    • F02M31/13Combustion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02Circuit arrangements for generating control signals
    • F02D41/04Introducing corrections for particular operating conditions
    • F02D41/06Introducing corrections for particular operating conditions for engine starting or warming up
    • F02D41/062Introducing corrections for particular operating conditions for engine starting or warming up for starting
    • F02D41/064Introducing corrections for particular operating conditions for engine starting or warming up for starting at cold star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40Heating elements having the shape of rods or tub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보조 엔진으로 사용되는 차량용 엔진을 개시한다. 개시된 차량용 엔진은 혹한기에도 저온 시동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실린더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는 공기 흡입관을 구비하여 된 차량용 엔진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가 데워지도록 상기 공기 흡입관에 히터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구조의 차량용 엔진을 채용하는 것에 의해 혹한기에도 그 시동시간을 매우 단축할 수 있으므로, 여러 장비의 운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Description

저온시동성이 향상된 차량용 엔진
본 고안은 개선된 흡배기 장치를 가지는 차량용 엔진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대형 중장비나 전투용 차량등에는 차량의 주행 동력을 발생시키는 주 엔진 이외에, 보조 동력을 발생시키는 보조 엔진이 구비된다. 보조 동력은 차량의 용도에 따라 탑재된 여러 장비들에 대한 동력을 제공하도록 사용되는데, 예를 들어 전투용 차량에 채용되는 보조 엔진은 유압을 발생하여 포탑 또는 포신을 움직이거나 전력을 발생하는데 사용된다. 수냉식 주행용 엔진으로는 피스톤 엔진이 주로 사용되는데 반해, 보조 엔진으로는 흔히 차량의 내부에 설치되는 공랭식 디젤 엔진이 사용된다.
상기와 같은 차량용 엔진, 예컨데 차량용 공랭식 디젤엔진은, 그 실린더로 공기를 흡입, 고온 고압으로 압축한 후 이곳에 연료를 고압으로 분사시켜 미립화, 기화, 혼합을 거쳐 자기 착화에 의해 연소를 일으키도록 한다. 이때, 자기 착화에 의해 연소되기 위해서는 압축된 공기가 소정 온도 이상이 되어야 한다.
그런데, 혹한기와 같은 날씨에 오랜 시간 방치된 차량의 경우, 차량 내부의 온도가 매우 낮으므로, 실린더내부의 공기가 압축되더라도 자기 착화에 필요한 온도가 되지 못한다. 따라서, 엔진에 시동을 걸기 위해서 차량 내부, 즉 주위 공기의 온도를 높여야 한다. 예컨데, 차량용 공랭식 디젤엔진은 -32°의 동절기에 보조 엔진의 시동을 걸기 위해서 1시간 동안의 주위 공기 예열 시간이 필요하였다. 이는 급박한 전투상황이나 긴급하게 보조 엔진을 사용하여야 할 때, 치명적인 요소가 되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혹한기에도 시동시간을 줄일 수 있도록 공기 흡입관에 그 주위의 공기를 데울 수 있는 히터를 장착하여 저온시동성을 향상시킨 차량용 엔진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저온시동성이 향상된 차량용 엔진의 흡배기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보인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차량용 엔진에 채용되는 히터의 정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0 ... 흡기 장치210 ... 흡기 다기관
210a ... 공기 흡입관220 ... 공기 청정기
250 ... 히터251 ... 하우징
252 ... 히터 코일253 ... 단자
300 ... 배기 장치310 ... 배기 다기관
320 ... 소음기400 ... 실린더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실린더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는 공기 흡입관을 구비하여 된 차량용 엔진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가 데워지도록 상기 공기 흡입관에 히터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저온시동성이 향상된 차량용 엔진을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저온시동성이 향상된 차량용 엔진의 흡배기장치를 나타내보인 도면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차량용 엔진에 채용되는 히터의 정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엔진은, 엔진을 작동시키기 위하여 실린더 내부로 공기를 흡입하는 흡기 장치(200)와, 연소후에 연소가스를 배출하는 배기 장치(300)를 구비한다. 상기 흡기 장치(200)는 복수의 실린더(400)(도면에서는 1개만 도시)와 연통되어 흡입 공기를 각 실린더에 분배하는 흡기 다기관(210)과 상기 흡기 다기관(210)과 연통되며 흡입 공기 속의 먼지 등을 제거하는 공기 청정기(220)로 구성된다. 상기 배기 장치(300)는 엔진의 각 실린더(400)내에서 연소한 배기 가스를 대기중으로 방출하는 일련의 장치로서 각 실린더(400)와 연통된 배기 다기관(310)과 배기 다기관(310)에서 배출되는 고압의 공기에 의해 발생되는 소음을 감소시키기 위한 소음기(320)로 구성된다.
이때,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상기 흡기 장치(200)에서, 공기 청정기(220)와 흡기 다기관(210) 사이에 위치된 공기 흡입관(210a)에는 실린더(400)로 유입되는 공기를 데우기 위한 히터(250)가 설치된다. 상기 히터(25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사부(251a)가 형성되어 있는 하우징(251)과, 상기 하우징에 설치된 히터코일(252)을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251)에는 그를 관통하여 설치되어 그 하우징(151)과 절연 상태를 유지하는 단자(253)가 마련된다. 상기 단자(253)와 하우징(251)은 상기 히터코일(252)에 전류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단자(253)에는 히터코일(252)의 일측이, 하우징(251)에는 히터코일(252)의 타측이 연결되어 단자(253)와 하우징(251)에 전류가 흐르는 것에 의해 히터코일(252)이 가열된다.
이와 같은 구조의 차량용 엔진의 동작을 설명하면, 겨울과 같은 동절기에, 즉 차량 내부의 온도는 매우 낮을 때 시동을 걸기 위해서, 흡기 장치(200)에 설치된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른 히터(250)를 가열시킨다. 가열된 히터(250)를 경유하는 공기는 데워진 상태에서 흡기 다기관(210)을 거쳐 실린더(400)로 유입된다. 이때, 실린더로 유입된 공기는 데워진 상태이므로, 실린더(400)로 유입된 공기는 압축 과정을 통하여 자기 착화에 필요한 온도를 얻을 수 있다. 예컨데, 차량용 공랭식 디젤엔진일 경우에 주위 온도가-32°일 때,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른 히터(250)를 채용한 겨우, 시동시간이 히터를 이용하지 않았을 때, 1시간이었던 것에 비해 3분으로 줄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른 히터를 채용한 차량용 엔진은 혹한기에 그 시동시간을 매우 단축할 수 있다. 따라서, 급박한 전투상황이나 필요시에도 빠른 시간내에 구동시킬수 있으므로, 여러장비의 운용을 용이하게 할수 있다.

Claims (2)

  1. 실린더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는 공기 흡입관을 구비하여 된 차량용 엔진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가 데워지도록 상기 공기 흡입관에 히터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엔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는,
    그 외주면에 나사홈이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을 관통하는 단자와, 상기 단자의 일측부와 상기 하우징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히터코일을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엔진.
KR2019960035290U 1996-10-24 1996-10-24 저온시동성이 향상된 차량용 엔진 KR19980021962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35290U KR19980021962U (ko) 1996-10-24 1996-10-24 저온시동성이 향상된 차량용 엔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35290U KR19980021962U (ko) 1996-10-24 1996-10-24 저온시동성이 향상된 차량용 엔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1962U true KR19980021962U (ko) 1998-07-15

Family

ID=539800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35290U KR19980021962U (ko) 1996-10-24 1996-10-24 저온시동성이 향상된 차량용 엔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21962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44994B1 (ko) 디젤 엔진용 히팅 조립체
KR20010034212A (ko) 추가의 압축 공기 분사기를 구비한 오염물이 없는 엔진이장비된 모터 차량을 추가로 가열하는 방법 및 장치
RU2719675C2 (ru) Способы для сокращения выбросов отработавших газов двигателя и твердых частиц и система гибридного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KR20020002418A (ko) 가열 시스템
US8150576B2 (en) Engine glow plug diagnosis using crankshaft sensor data
US4441476A (en) Charge air cooling system
US5908021A (en) Engine preheater
CN101680351A (zh) 防爆动力总成
KR19980021962U (ko) 저온시동성이 향상된 차량용 엔진
US5778860A (en) Fuel vaporization system
KR100369148B1 (ko) 디젤 엔진용 배기가스 재순환 장치
US4754726A (en) Emission control apparatus
KR100391410B1 (ko) 배기가스 재순환 시스템
KR19990002924U (ko) 자동차용 연료주입관의 가열장치
KR200178238Y1 (ko) 차량의 연료 예열장치
KR200234187Y1 (ko) 차량용흡기계순간가열장치
KR100188757B1 (ko) 디이젤엔진의 연료 워밍업장치
KR200231924Y1 (ko) 차량의 연료 예열장치
KR100195485B1 (ko) 고압력 가솔린 다이렉트 인젝션장치
JP2838755B2 (ja) エアクリーナ目詰り時エンジン停止装置
KR19990038261U (ko) 버튼에의한 시동제어장치
JP2020139449A (ja) 内燃機関
KR19980052368U (ko) 자동차 엔진의 흡기 다기관용 혼입가스 가열 장치
KR19980037567A (ko) 흡입 공기 가열장치
JPH06101588A (ja) 高圧噴射式エンジンの燃料循環系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