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78238Y1 - 차량의 연료 예열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의 연료 예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78238Y1
KR200178238Y1 KR2019990023823U KR19990023823U KR200178238Y1 KR 200178238 Y1 KR200178238 Y1 KR 200178238Y1 KR 2019990023823 U KR2019990023823 U KR 2019990023823U KR 19990023823 U KR19990023823 U KR 19990023823U KR 200178238 Y1 KR200178238 Y1 KR 20017823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vaporization
container
preheating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2382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정훈
Original Assignee
박정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정훈 filed Critical 박정훈
Priority to KR201999002382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7823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7823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78238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1/00Apparatus for thermally treating combustion-air, fuel, or fuel-air mixture
    • F02M31/02Apparatus for thermally treating combustion-air, fuel, or fuel-air mixture for heating
    • F02M31/16Other apparatus for heating fu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1/00Apparatus for thermally treating combustion-air, fuel, or fuel-air mixture
    • F02M31/02Apparatus for thermally treating combustion-air, fuel, or fuel-air mixture for heating
    • F02M31/04Apparatus for thermally treating combustion-air, fuel, or fuel-air mixture for heating combustion-air or fuel-air mixture
    • F02M31/10Apparatus for thermally treating combustion-air, fuel, or fuel-air mixture for heating combustion-air or fuel-air mixture by hot liquids, e.g. lubricants or cooling water

Abstract

본 고안은 차량의 연료를 예열시키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연료의 기화를 촉진시켜 완전연소를 이룰 수 있도록 한 고안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연료탱크에 저장된 연료들이 저온 상태에서 펌핑되어 분사되면서 기화되는 것이므로 기화가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았고, 연료의 완전 연소를 기대하기 어려웠다.
따라서, 본 고안은 엔진블록(30)에서 가열된 냉각수를 이용하여 용기(10)의 내부로 통과시킴에 따라 연료가 공급되는 예열관(20)이 데워지면서 연료의 기화가 촉진되어 완전연소를 이룰 수 있는 것이므로 상당한 연료를 절감시킬 수 있는 동시에 대기가 오염되는 등의 폐단을 효과적으로 방지하여 지구의 환경 개선에 크게 이바지 할 수 있는 등의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차량의 연료 예열장치{a fuel preheating system for car}
본 고안은 차량의 연료를 예열시키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연료의 기화를 촉진시켜 완전연소를 이룰 수 있도록 한 고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솔린, 디젤 및 LPG를 연료로 사용하는 차량이나 내연기관 등에서는 연료탱크에 저장된 연료를 연료펌프로 펌핑시켜 일정압력을 유지한 상태에서 인젝터를 이용하여 흡기다기관 내부로 분사시키도록 되어 있다.
또한, 흡기다기관 내부로 분사된 연료는 흡입공기와 혼합되면서 기화되어 실린더 내부에서 흡입, 압축, 폭발, 배기로 이루어진 일련의 사이클을 거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연료탱크에 저장된 연료들은 저온 상태에서 펌핑되어 분사되면서 기화되는 것이므로 기화가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았고, 연료의 완전 연소를 기대하기 어려웠다.
이와 같은 연료의 불완전 연소는 연료의 소비량을 증대시킬 뿐 아니라 연소시 상당한 매연을 발생시킴에 따라 대기의 환경을 오염시키는 주요 원인이 되었다.
특히, 추운 겨울철에는 연료탱크에 저장된 연료가 매우 낮은 온도를 유지하므로 연료의 기화 상태가 매우 저조하여 심한 매연을 발생시킬 뿐 아니라 불완전 연소에 의하여 엔진의 힘이 현저하게 저하되는 등의 폐단이 발생되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안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연료의 기화를 촉진시켜 완전연소를 이룰 수 있는 차량의 연료 예열장치를 제공함에 있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은, 그 양측에 냉각수 유입구(11)와 배출구(12)가 각각 형성된 용기(10) 내부에는 굴곡 형성된 연료 예열관(20)이 삽입되어 그 양단이 용기(10)의 외측으로 돌출되고, 냉각수 유입구(11)와 배출구(12)는 차량의 냉각수 순환 파이프(13)에 접속되며, 예열관(20)의 양단은 차량의 연료 공급 파이프(21)에 접속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연료 예열장치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예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예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이 차량에 설치된 상태를 예시한 개략적인 장치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용기
11 : 유입구
12 : 배출구
13 : 냉각수 순환 파이프
20 : 예열관
21 : 연료 공급 파이프
30 : 엔진블록
31 : 워터재킷
40 : 라디에이터
이하,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는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원통형으로 형성된 용기(10)의 양측에는 냉각수 유입구(11)와 배출구(12)가 각각 형성되어 용기(10)의 내부로 냉각수가 유입되어 배출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용기(10)의 내부에는 굴곡 형성된 예열관(20)이 삽입되어 있고, 그 양단은 용기(10)의 외부로 돌출되어 있으며, 이 예열관(20)을 통해 연료들이 통과된다.
상기 냉각수 유입구(11)와 배출구(12)는 차량의 냉각수 순환 파이프(13)에 접속된다. 즉, 엔진블록(30)의 내부에 형성된 워터재킷(31)과 라디에이터(40) 사이를 연통시키는 냉각수 순환 파이프(13)에 접속된다.
상기 용기(10)는 주로 엔진블록(30)에서 라디에이터(40)로 배출되는 냉각수 순환 파이프(13)에 접속되어 상당한 고온(약 93℃ 정도)을 유지하는 냉각수가 용기(10) 내부로 유입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 용기(10)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예열관(20)의 양단은 차량의 연료 공급 파이프(21)에 접속되어 연료들이 예열관(20)의 내부를 통과하여 인젝터로 공급되어 분사되는 시스템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용기(10)의 내부에 고온을 유지하는 냉각수가 유입되어 순환되고, 지그재그식으로 굴곡된 예열관(20) 내부를 통과하는 연료들은 냉각수에 의하여 가열되어 23℃∼60℃를 유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예열관(20)을 통과하는 연료들이 냉각수의 열을 빼앗아 상당한 고온을 유지할 수 있는 것이므로 인젝터에 의하여 분사시 연료의 기화가 촉진되어 완전연소를 이룰 수 있는 것으로서 상당한 연료를 절감시킬 수 있는 동시에 대기가 오염되는 등의 폐단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즉, 연료가 데워지면 그 부피가 커지고 분자 활동이 왕성해 짐에 따라 인젝터에 의하여 흡기다기관 내부로 분사되어 흡입공기와 혼합되었을 때 기화가 최대한 촉진되는 것이다.
물론, 용기 내부에 삽입된 예열관(20)을 많이 절곡시켜 전체적인 길이를 길게하면 연료의 온도를 높여줄 수 있는 것이므로 예열되는 온도는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엔진블록(30)에서 가열된 냉각수를 이용하여 용기(10)의 내부로 통과시킴에 따라 연료들이 공급되는 예열관(20)이 데워지면서 연료의 기화가 촉진되어 완전연소를 이룰 수 있는 것이므로 상당한 연료를 절감시킬 수 있는 동시에 대기가 오염되는 등의 폐단을 효과적으로 방지하여 지구의 환경 개선에 크게 이바지 할 수 있는 등의 이점이 있다.

Claims (1)

  1. 그 양측에 냉각수 유입구(11)와 배출구(12)가 각각 형성된 용기(10) 내부에는 굴곡 형성된 연료 예열관(20)이 삽입되어 그 양단이 용기(10)의 외측으로 돌출되고, 냉각수 유입구(11)와 배출구(12)는 차량의 냉각수 순환 파이프(13)에 접속되며, 예열관(20)의 양단은 차량의 연료 공급 파이프(21)에 접속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연료 예열장치.
KR2019990023823U 1999-11-02 1999-11-02 차량의 연료 예열장치 KR20017823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3823U KR200178238Y1 (ko) 1999-11-02 1999-11-02 차량의 연료 예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3823U KR200178238Y1 (ko) 1999-11-02 1999-11-02 차량의 연료 예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78238Y1 true KR200178238Y1 (ko) 2000-04-15

Family

ID=195947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23823U KR200178238Y1 (ko) 1999-11-02 1999-11-02 차량의 연료 예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7823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2763U (ko) * 2021-05-14 2022-11-22 지송근 온도유지구조를 포함하는 연료공급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2763U (ko) * 2021-05-14 2022-11-22 지송근 온도유지구조를 포함하는 연료공급장치
KR200497453Y1 (ko) 2021-05-14 2023-11-10 지송근 온도유지구조를 포함하는 연료공급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086893A (en) Carburetor
US20040025498A1 (en) Method and system for freeze protecting liquid NOx reductants for vehicle application
US4406127A (en) Internal combustion engine with steam power assist
US6209500B1 (en) Cold start fuel preheat system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KR200178238Y1 (ko) 차량의 연료 예열장치
CN113217231A (zh) 一种燃料供给系统及车辆
KR200231924Y1 (ko) 차량의 연료 예열장치
US5778860A (en) Fuel vaporization system
US10823117B2 (en) Water injection device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and water injection method
KR100486833B1 (ko) LPLi 차량용 연료분사기의 내구실험 시스템
US5941220A (en) Motor vehicle with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with an external exhaust gas recirculation system and heater
US4387692A (en) Petroleum preheating device for engines
KR930003540B1 (ko) 고온분증기를 이용한 내연기관의 연소장치
KR100795779B1 (ko) 액화천연가스의 증발잠열을 이용한 배기가스 재순환장치의냉각 시스템
KR100730779B1 (ko) 차량용 연료 예열장치
CN214366473U (zh) 双燃料供应系统及具有其的发动机
JPH11148441A (ja) 内燃機関の燃料供給装置
KR200173918Y1 (ko) 배기 가스열을 이용한 연료무화 촉진장치
KR200246064Y1 (ko) 내연기관용공급연료의무화촉진장치
CN212690207U (zh) 一种具有燃油预热功能的内燃机
KR940003533B1 (ko) 연료 분무향상을 위한 배기가스 보조 분사장치
KR100189435B1 (ko) 가솔린 엔진의 냉시동시 흡입공기 가열장치
WO2023131865A1 (en) Fuel conditioning system and engine including the system
JP2024056280A (ja) 内燃機関の燃料供給装置および燃料供給方法
EP2042722A2 (en) Method for increasing the efficiency of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supply system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implementing said method and perfected internal combustion eng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