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21157U - 자동차의 전조등 교번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전조등 교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21157U
KR19980021157U KR2019960034432U KR19960034432U KR19980021157U KR 19980021157 U KR19980021157 U KR 19980021157U KR 2019960034432 U KR2019960034432 U KR 2019960034432U KR 19960034432 U KR19960034432 U KR 19960034432U KR 19980021157 U KR19980021157 U KR 1998002115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light
headlights
alternately
current
headla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3443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52765Y1 (ko
Inventor
박경혁
Original Assignee
박병재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병재,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박병재
Priority to KR201996003443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52765Y1/ko
Publication of KR1998002115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115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5276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52765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60Q1/0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 B60Q1/1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having dimming means
    • B60Q1/1415Dimming circuits
    • B60Q1/1423Automatic dimming circuits, i.e. switching between high beam and low beam due to change of ambient light or light level in road traff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076Switche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좌우 전조등에 전원을 교번하여 공급하므로써 과급한 전류 변동에 의한 서지 및 노이즈를 저감하고 전조등 수명을 연장하기 위하여 전조등과 전조등의 점소등 상태를 가변시키는 전조등 스위치를 구비하며 전조등에 인가되는 전류를 교번 공급하도록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신호에 따라 온오프 상태가 번갈아 가변되므로써 전조등에 전류를 번갈아 공급하는 제1 스위칭 수단 및 제 2스위칭 수단으로 이루어지는 자동차의 전조등 교번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의 전조등 교번 장치
본 고안은 자동차의 전조등에 관한 것으로서, 좌우 전조등에 전원을 교번하여 공급하므로써 과급한 전류 변동에 의한 서지 및 노이즈를 저감하고 전조등 수명을 연장하는 자동차의 전조등 교번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에는 야간 주행시 안전한 주행을 위해 주행 도로의 시야를 확보하고, 자신의 주행 상태를 외부 자동차 운전자나 보행자에게 인식시켜 주기 위해 많은 등화장치가 장착되어 있다.
그 중에서도 특히 전조등은 야간 주행 중 보행자나 운전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을 정도로 밝기를 갖는 풍부한 조명 장치를 사용한다.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것처럼 종래의 전조등 제어 장치는 배터리 전원(B+)과, 상기 배터리 전원(B+)에 일측단자가 연결되는 전조등 스위치(H.SW)와, 상기 전조등 스위치(H.SW)의 타측단자에 병렬로 연결되는 좌우 전조등(R.H, L.H)으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운전자의 선택에 따라 전조등 스위치(H.SW)가 온되면 각 전조등(R.H, L.H)은 점등된다.
그런데 전조등은 다른 등화장치보다 많은 광량을 필요로 하므로 전조등(R.H, L.H)을 구동시키기 위해서는 많은 전력이 소모된다.
그러므로 전조등으로 많은 전력이 소모되므로써 엔진의 출력이 감소하며 다른 기기의 동작에 영향을 미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좌우 전조등으로 인가되는 전류를 번걸아 인가하는 교번 제어 방식을 취하여 순간적인 전류의 과급을 방지하고 다른 기기의 동작에 영향을 미치질 않을 만큼 전류를 소모하는 동시에 전조등의 광량이 풍부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전조등과 전조등의 점소등 상태를 가변시키는 전조등 스위치를 구비하며 전조등에 인가되는 전류를 교번 공급하도록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신호에 따라 온오프 상태가 번갈아 가변되므로써 전조등에 전류를 번갈아 공급하는 제1 스위칭 수단 및 제 2스위칭 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전조등 교번 장치에 관한 블록회로도이고,
도 2는 종래의 전조등 장치에 관한 회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라 전조등에 공급되는 전압에 관한 펄스 파형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전조등에 인가되는 전류와 종래의 전조등에 인가되는 전류를 비교한 파형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을 참고로 하여 본 고안의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배터리 전원(B+)에 연결되는 전조등 스위치(H.SW)와, 상기 전조등 스위치(H.SW)에 연결되어 좌우 전조등(R.H, L.H)에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10)와, 상기 제어부(10)의 제어신호에 따라 온오프 상태가 가변되는 트랜지스터(TR1, TR2)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구성된 본 고안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운전자가 전조등 스위치(H.SW)를 온하면 제어부(10)는 전조등 스위치(H.SW)신호에 따라 도 3과 같이 위상이 상반되는 펄스신호를 트랜지스터(TR1,TR2)의 베이스단에 각각 인가한다.
따라서 트랜지스터(TR1,TR2)는 인가되는 신호에 따라 번갈아 스위칭 온되어 전조등(R.H, L.H)이 점등된다.
이때 전조등(R.H, L.H)으로 인가되는 배터리(B+)의 전류는 도 4와 같이 적은 작은 전류량이 공급되며 작은 전류가 좌우 전조등(R.H, L.H)로 번갈아 계속하여 공급되므로 전류의 소모가 작아지고 좌우 전조등(R.H, L.H)의 점등 상태는 종래와 같은 광량을 유지할 수 있다.
그러므로 적은 전류를 번갈아 전조등에 공급하므로써 전조등의 광량이 종래와 동일하며 또한 과급한 전류의 공급으로 인한 다른 기기의 장애 및 엔진 출력의 저하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으며 전조등의 수명이 연장될 수 있다.

Claims (1)

  1. 전조등(R.H, L.H)과 전조등(R.H, L.H)의 점소등 상태를 가변시키는 전조등 스위치(H.SW)를 구비하며 전조등에 인가되는 전류를 교번 공급하도록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10)와;
    상기 제어부(10)의 신호에 따라 온오프 상태가 번갈아 가변되므로써 전조등(R.H, L.H)에 전류를 번갈아 공급하는 제1 스위칭 수단(TR1)및 제 2스위칭 수단(TR2)으로 이루어지는 자동차의 전조등 교번 장치.
KR2019960034432U 1996-10-18 1996-10-18 자동차의 전조등 교번장치 KR20015276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34432U KR200152765Y1 (ko) 1996-10-18 1996-10-18 자동차의 전조등 교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34432U KR200152765Y1 (ko) 1996-10-18 1996-10-18 자동차의 전조등 교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1157U true KR19980021157U (ko) 1998-07-15
KR200152765Y1 KR200152765Y1 (ko) 1999-07-15

Family

ID=194700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34432U KR200152765Y1 (ko) 1996-10-18 1996-10-18 자동차의 전조등 교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52765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52765Y1 (ko) 1999-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175616B2 (ja) ランプ駆動装置
JPH0585258A (ja) 電動車両用灯火装置
KR200152765Y1 (ko) 자동차의 전조등 교번장치
US5170097A (en) Intermittent windshield wiper and headlight control
KR0128694B1 (ko) 주간 주행등 점/소등장치
CN216600137U (zh) 可变色的双针车灯
KR950009014Y1 (ko) Drl장치의 조명장치 제어회로
KR100401772B1 (ko) 주간 운행등이 적용된 자동차용 고광도 헤드 램프 제어 회로
KR0125298Y1 (ko) 자동차의 주간등 장치
KR200145177Y1 (ko) 자동차의 계기판조명등과 안개등 온/오프 장치
JP2001239879A (ja) 車両用ランプ駆動装置
KR0137875Y1 (ko) 자동차의 안개등 점등제어장치
KR0174184B1 (ko) 자동차의 방향 지시등 제어회로
KR20100032773A (ko) 차량의 헤드램프 구동회로
KR100391725B1 (ko) 차량용 헤드 램프 장치
KR890006460Y1 (ko) 자동차의 전조등 조광(照光)조절장치
KR0116398Y1 (ko) 자동차의 안개등
KR890006965Y1 (ko) 자동차 코너램프의 제어 유니트
KR200151556Y1 (ko) 밝기 조절이 가능한 차량의 헤드램프 장치
KR200204141Y1 (ko) 자동차의 미등손상 보안장치
KR970004947Y1 (ko) 자동차용 전조등 조절장치
KR200223581Y1 (ko) 보조램프를갖는자동차의헤드램프구동장치
JP3251656B2 (ja) 踏切信号灯
KR0166285B1 (ko) 전조등 제어회로
KR200300407Y1 (ko) 차량용 방향지시램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331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