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20043A - 엘리베이터의 케이지 도어 제어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의 케이지 도어 제어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20043A
KR19980020043A KR1019960038382A KR19960038382A KR19980020043A KR 19980020043 A KR19980020043 A KR 19980020043A KR 1019960038382 A KR1019960038382 A KR 1019960038382A KR 19960038382 A KR19960038382 A KR 19960038382A KR 19980020043 A KR19980020043 A KR 199800200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ge
load
cage door
elevator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383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득기
Original Assignee
이종수
엘지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수, 엘지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종수
Priority to KR10199600383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20043A/ko
Publication of KR199800200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0043A/ko

Links

Landscapes

  • Elevator Door Apparatuses (AREA)

Abstract

엘리베이터의 케이지 도어 제어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도어제어부에서 도어닫힘 지령이 발생하면 그동안 메모리부에 저장해 두었던 수광부 신호와 부하량을 관찰하여 부하의 변동량이 일정치 이상인데 수광부의 신호가 변동하지 않았다면 케이지 도어 안전장치가 고장난 것으로 판단하여 케이지 도어 안전장치 고장신호를 발생하여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의 케이지 도어 제어장치 및 방법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엘리베이터의 케이지 도어 제어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엘리베이터의 케이지 도어 안전장치로 가장 널리 사용되는 것으로 기계적인 슈(Shoe)가 있다
여기서, 기계적인 슈는 출입문을 닫을때 출입문 사이에 승객이나 물건이 존재하는 경우, 이들 물체와 슈가 부딪히면서 일어나는 슈의 변위를 이용하여 스위치를 동작시키므로써 출입문이 다시 열리도록 하는 안정장치이다.
이와 같은 안정장치는 동작원리가 단순하여 안정장치로써의 신뢰성이 매우 높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으나 승객이 케이지 도어와 서로 부딪히는 것을 검출하는 방식으로 탑승시의 불안감이나 불쾌감을 야기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할 수 있는 방법으로 기계적인 슈 장치와 병행하여 케이지 도어 사이에 포토 슈(Photo Shoe)에 의한 안정장치가 일반적으로 널리 적용되고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엘리베치터의 케이지 도어 제어장치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를 참조하면, 일반적인 엘리베이터의 케이지 도어(10)는 케이지 도어(10)가 열려진 상태에서 닫히고 있는 과정에 있어서, 케이지 도어(10) 사이에 승객이나 물건이 존재하는 경우 닫는 동작을 중지하고 일단 열리도록 작동시키게 되면 이러한 동작이 반복되어 문이 완전히 닫혀진 경우에만 케이지가 운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즉, 기계적인 슈(11)는 케이지 도어(10)가 화살표 방향으로 닫히고 있는 도중에 승객과 부딪히게 되면 도어 진행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슈(11)가 움직여 마이크로 스위치(11)를 동작시키므로써 케이지 도어(10)를 다시여는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포토 슈는 광을 발생시키는 투광부(13)와, 투광부(13)에서 발생되는 광을 받아들이는 수광부(14)로 구성되어 있으며, 별도의 지지물에 의해 도어에 고정되어 진다.
여기서, 투광부(14)에서 발사된 광은 슈 홀(Shoe Holl)을 통과하여 상대측 수광부(14)에 도달하게 된다.
또한, 승객에 의해 광이 도중에 차단되면 수광부(14)의 출력은 오프(Off) 상태에서 온(On) 상태로 바뀌게 되며 이 신호를 이용하여 케이지 도어(10)를 다시여는 신호를 발생시키게 된다.
만약, 케이지 도어(10)의 안정장치인 포토 슈의 수광부(14)가 고장이 생겼을때 현상은 두가지로 나타나는데, 수광부(14)가 항상 오프(OFF) 되어 있거나, 항상 온(ON)되어있을 수 있다.
여기서, 수광부(14)가 항상 오프 되어있는 고장시 엘리베이터 제어부(도면 미표시)에서는 케이지 도어(10)를 닫아라는 지령을 보내지 않기 때문에 케이지(도면 미표시)운전이 되지 않게 되고 고장을 바로 알 수 있다.
또한, 수광부(14)가 항상 온 되어있는 고장시 케이시 도어(10)를 열고 일정시간이 지나면 엘리베이터 제어부에서는 수광부(14)가 온 되어 있으므로 케이지 도어(10)를 닫으면서 출발 준비를 하게되고, 케이시 도어(10)를 닫을때 다행히 사람이나 물건이 케이지 도어(10) 개폐통로 사이에 없으면 관계없이 정상적으로 출발한다.
종래기술에 따른 엘리베이터는 포토 슈의 수광부(14)가 항상 온 되어있는 고장시 엘리베이터 제어부에서는 케이지 도어(10)를 닫는 진행로에 사람이나 물건이 있는 것을 인식을 못하여 케이지 도어(10)가 완전히 닫힐 때까지 계속 케이지 도어(10) 닫음지령을 케이지 도어(10) 제어부로 보냄으로써 케이지 도어(10)를 닫는 진행로에 승객이 있을 경우 케이지 도어(10)에 승객이 끼어있는 상태가 되고 승객이 위험해 질 수가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케이지 도어의 안전장치인 포토 슈의 수광부가 계속 온 되어있는 고장이 발생했을때 케이지 내부의 부하 변동량을 이용하여 수광부의 고장을 검출하고 케이지 도어를 개방시킨 후 고장신호를 발생하는 엘리베이터의 케이지 도어 제어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엘리베이터의 케이지 도어 제어장치를 나타낸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제어장치를 나타낸 구성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케이지 도어 제어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 : 부름제어부21 : 속도제어부
22 : 부하보상부23 : 도어제어부
24 : 안전계통부25 : 메모리부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케이지 도어 제어장치 및 방법의 특징은, 부하보상을 위해 사용중인 부하검출값을 이용하여 케이지 도어가 열린 후에 일정량 이상의 부하가 변동하였는데 포토 슈의 수광부가 오프 되지 않으면 포토 슈의 수광부가 고장난 것으로 판단하는데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케이지 도어 제어장치 및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제어장치를 나타낸 구성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제어장치는 홀/케이지의 부름을 받아서 등록하고 서비스층을 작성하는 부름제어부(20)와, 부름이 있으면 전동기(도면 미표시)를 구동하여 서비층에 케이지(도면 미표시)를 보내는 속도제어부(21)와, 케이지 하부에 설치되어 있는 부하검출부(도면 미표시)에서 검출한 부하량을 받아서 출발시에 기동쇼크를 없애주는 부하보상부(22)와, 포토 슈의 수광부(14)에서 입력신호를 받아서 케이지 도어(10)의 개폐를 제어하는 도어제어부(23)와, 엘리베이터의 각종 안전장치를 체크하고 고장 발생시 고장조치를 실시하는 안전계통부(24)와, 케이지 도어(10)가 열리면 부하량과 수광부(14)의 동작을 메모리하는 메모리부(25)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엘리베이터 제어장치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제어패널를 조작하면 부름제어부(20)를 통해 인가된 케이지 층부름 신호는 메모리부(25)에 저장된다.
또한, 부하보상부(22)는 케이지 하부에 설치되어 있는 부하검출부에서 검출한 부하량을 받아서 출발시에 기동쇼크를 없애줌과 동시에 부하 변동량으로 도어제어부(23)를 제어한다.
또한, 부하보상부(22)는 부하검출부에서 검출한 부하량을 메모리부(25)에 저장하고, 보상량으로 속도제어부(21)를 제어한다.
또한, 안전계통부(24)는 각종 안전장치를 체크하고 고장 발생시 고장조치를 실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케이지 도어 제어를 나타낸 흐름도로서, 케이지 호출신호를 발생시켜 케이지 도어가 열렸는지를 판단한다(S101).
케이지 도어가 열려 있으면 케이지 도어 사이에 사람이나 물건이 있는지 없는지를 수광부 신호로 감시하고(S102), 케이지 내의 부하량을 측정한 후(S103) 소정시간이 지나면 케이지 도어 닫힘 지령이 발생하였는지를 판단한다(S104).
케이지 도어 닫힘 지령이 발생하면 포토 슈의 수광부가 온 되어있는가를 판단한다(S105).
상기 단계(S105)에서 포토 슈의 수광부가 온 되어있으면 케이지 내의 부하량이 일정치 이상으로 변동하였는지를 판단한다(S106).
상기 단계(106)에서 케이지 내의 부하량이 일정치 이상으로 변동하지 않으면 포토슈의 수광부가 고장난 것으로 판단한다.
그리고 상기 단계(S106)에서 케이지 내의 부하량이 일정치 이상으로 변동하면 승객이 케이지에 타거나 내린 것으로 판단하여 정상동작을 실시한다.
만약, 상기 단계(S105)에서 포토 슈의 수광부가 온 되어있지 않으면 승객이 케이지 도어를 통과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하면 잠시후 다시 포토 슈의 수광부가 온 되어있는가를 판단한다(S107).
상기 단계(S107)에서 포토 슈의 수광부가 온 되어있으면 승객이 케이지에 타거나 내린 것으로 판단하여 정상동작을 실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케이지 도어 제어장치 및 방법은 도어 닫힘시 케이지 내의 부하 변동량을 이용하여 포토 슈의 고장을 검출하여 사고의 위험을 미연에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케이지 도어의 안전장치인 포토 슈의 수광부 및 발광부 그리고 케이지의 하부에 설치된 부하검출부를 구비한 엘리베이터에 있어서,
    상기 부하검출부에서 검출한 부하량을 받아서 출발시 기동쇼크를 없애주는 부하보상부와;
    상기 케이지의 부름을 받아서 등록하고 서비스층을 작성하는 부름제어부와;
    상기 부름제어부를 통해 서비스층을 저장하는 메모리부와;
    상기 서비층에 케이지를 보내는 속도제어부와;
    상기 부하보상부의 출력에 따라 케이지 도어의 개폐를 제어하는 도어제어부와;
    상기 케이지 도어가 열리면 부하량과 포토 슈의 수광부 동작을 메모리하는 메모리부와;
    상기 엘리베이터의 각종 안전장치를 체크하고 고장 발생시 고장조치를 실시하는 안전계통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케이지 도어 제어장치.
  2. 케이지 도어가 열려 있는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케이지 도어가 열려 있으면 수광부 신호와 케이지 내의 부하량을 검출하여 케이지 도어 닫힘 신호를 발생하는 단계와;
    상기 케이지 도어 닫힘 신호 발생시 수광부가 온 되어있는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수광부 온시 케이지 내의 부하량이 일정치 이상 변동하였는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케이지 도어 제어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지 도어 닫힘 신호 발생시 수광부가 온 되어있는가를 판단하는 단계에서 수광부가 오프되면 상기 케이지 내에 승객이 타거나 내리는 것으로 판단하여 잠시후 다시 수광부가 온 되어있는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케이지 도어 제어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광부 온시 케이지 내의 부하량이 일정치 이상 변동하였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에서 케이지 내의 부하량이 변동하지 않았다면 케이지 도어가 고장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케이지 도어 제어방법.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광부 온시 케이지 내의 부하량이 일정치 이상 변동하였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에서 케이지 내의 부하량이 변동하면 케이지 도어가 정상적으로 움직이는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케이지 도어 제어방법.
KR1019960038382A 1996-09-05 1996-09-05 엘리베이터의 케이지 도어 제어장치 및 방법 KR1998002004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38382A KR19980020043A (ko) 1996-09-05 1996-09-05 엘리베이터의 케이지 도어 제어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38382A KR19980020043A (ko) 1996-09-05 1996-09-05 엘리베이터의 케이지 도어 제어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0043A true KR19980020043A (ko) 1998-06-25

Family

ID=663229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38382A KR19980020043A (ko) 1996-09-05 1996-09-05 엘리베이터의 케이지 도어 제어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20043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75102B2 (en) Safety device of elevator and its operation testing method
JP4641802B2 (ja) エレベータードアの乗降客検出装置
CN111699148B (zh) 电梯设备的检查控制系统以及转换电梯设备的运行的方法
KR20100008376A (ko) 엘리베이터 장치
EP3322660A1 (en) Elevator control system
US9617117B2 (en) Elevator brake control including a solid state switch in series with a relay switch
WO2018070006A1 (ja) エレベータ制御回路
JPH04292383A (ja) フェールセーフ構造の2チャンネルのフォーク形の光ゲート
KR100379686B1 (ko) 엘리베이터의위치검출기고장판단방법
KR100595733B1 (ko) 근접센서를 이용한 비 접촉방식의 출입문 감지 제어시스템
KR19980020043A (ko) 엘리베이터의 케이지 도어 제어장치 및 방법
KR100218404B1 (ko) 모터 구동용 컨트롤러를 이용한 구출 운전방법
WO2007084190A1 (en) Door assembly including a brake member
JPH0780665B2 (ja) エレベーターの扉制御装置
KR100200159B1 (ko) 엘리베이터의 도어개방제어장치
KR101856866B1 (ko) 엘리베이터 도어의 광학 안전 센서 진단 시스템
KR101693508B1 (ko) 엘리베이터 안전 장치의 주 접점 테스트 방법
KR970004767B1 (ko) 엘리베이터의 보조운전 제어회로 및 방법
KR920016329A (ko) 엘리베이터의 문 제어장치
KR20000013728A (ko) 엘리베이터의 브레이크 고장 검출장치
KR0167157B1 (ko) 엘리베이터의 습도감지 관제운전 방법
KR100273715B1 (ko) 엘리베이터 도어 개폐 장치
JP2010285258A (ja) エレベータのドア開閉制御装置
KR100214683B1 (ko) 엘리베이터의 도어 제어방법
KR100219843B1 (ko) 엘리베이터의 문열림위치 검출기 고장 검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SUBM Submission of document of abandonment before or after decis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