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3508B1 - 엘리베이터 안전 장치의 주 접점 테스트 방법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안전 장치의 주 접점 테스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3508B1
KR101693508B1 KR1020150100253A KR20150100253A KR101693508B1 KR 101693508 B1 KR101693508 B1 KR 101693508B1 KR 1020150100253 A KR1020150100253 A KR 1020150100253A KR 20150100253 A KR20150100253 A KR 20150100253A KR 101693508 B1 KR101693508 B1 KR 1016935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contact
contact
time
monitoring
ope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02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병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나우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나우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나우테크
Priority to KR10201501002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350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35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35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006Monitoring devices or performance analys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006Monitoring devices or performance analysers
    • B66B5/0018Devices monitoring the operating condition of the elevator syst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006Monitoring devices or performance analysers
    • B66B5/0018Devices monitoring the operating condition of the elevator system
    • B66B5/0031Devices monitoring the operating condition of the elevator system for safety reas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021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the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being independent of the system

Landscapes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A) 엘리베이터 안전 장치의 주 접점이 열리기 시작한 때부터 반대측 부재에 충돌할 때까지 걸릴 것으로 시험을 통해 미리 확인된 주 접점 충돌 시간이 상기 엘리베이터 안전 장치의 제어부에 저장되는 단계; (B) 엘리베이터의 카가 정지하였는지를 상기 제어부가 확인하는 단계; (C) 상기 카가 정지하였음을 확인한 경우, 상기 제어부가 주 접점 릴레이 코일에 대한 여자를 해제한 후, 상기 주 접점과 동시에 열리고 닫히도록 마련된 주 접점용 모니터링 접점이 미리 설정된 기준 시간 내에 열렸는지를 확인하는 단계; (D) 상기 제어부가 상기 주 접점용 모니터링 접점의 개방을 확인한 경우에는 이 개방이 이루어진 시점으로부터 상기 주 접점 충돌 시간보다 짧은 시간이 지난 시점에 상기 주 접점 릴레이 코일을 여자시키고, 상기 주 접점용 모니터링 접점의 개방을 확인하지 못한 경우에는 이상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및 (E) 상기 주 접점 릴레이 코일을 여자시킨 경우, 상기 제어부가 상기 카의 이동을 감지한 후 상기 (B) 단계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안전 장치의 주 접점 테스트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 안전 장치의 주 접점 테스트 방법{METHOD FOR TESTING MAIN CONTACT OF ELEVATOR}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안전 장치의 주 접점 테스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주 접점의 테스트 과정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현격히 감소시킬 수 있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건설기술의 발달은 건축물들의 초고층화 시대를 도래시켰고, 이로 인해 사람이나 화물을 건축물의 위아래로 실어나르기 위한 엘리베이터의 설치 사례가 계속하여 증가하고 있다. 엘리베이터가 설치된 건축물에서는 사람이나 화물의 층간 이동이 쉽고 빠르게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엘리베이터는 매우 유용한 장치이다.
일반적으로 엘리베이터는 카(car)와, 균형추(counter weight)와, 권상기와, 와이어 로프(wire rope)를 포함한다. 카는 사람이나 화물의 탑승 공간을 제공하고, 균형추는 와이어 로프를 통해 카와 연결되어 있다. 카와 균형추 사이에 위치하는 와이어 로프의 부위는 권상기의 쉬브(sheave)에 걸려 있다. 권상기가 작동하면 쉬브가 정역으로 회전하는데, 이때 카의 상승 및 균형추의 하강이 일어나거나 카의 하강 및 균형추의 상승이 일어난다.
이러한 엘리베이터는 안전 장치를 필수적으로 갖추고 있다. 상기 안전 장치는 비정상적인 속도로 움직이는 카의 비상 정지를 위해 마련된 것으로서, 주 접점을 갖는다. 주 접점은 A접점으로 구성되어 있는바, 평상시에는 닫혀있고 비상시에는 열리게 된다. 주 접점이 닫혀있으면 전원의 전력이 권상기로 공급될 수 있는 반면, 주 접점이 열리면 전원의 전력이 권상기로 공급될 수 없어 카의 비상 정지가 이루어지게 된다. 이러한 엘리베이터 안전 장치의 일 예가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06-0059871호(엘리베이터 안전 장치 및 그 동작 시험 방법)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주 접점이 융착과 같은 불측의 사유로 인해 비상시에 열리지 않는다면 엘리베이터 안전 장치는 무용지물이 된다. 따라서 주 접점이 제대로 작동하는지 여부, 즉 주 접점에 대한 테스트가 지속적으로 진행될 필요가 있다. 위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06-0059871호에는 카가 각 층에 정지할 때마다 주 접점을 테스트하는 기술도 개시되어 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06-0059871호(엘리베이터 안전 장치 및 그 동작 시험 방법)
한편, 상기 주 접점은 스프링에 의해 항상 열리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받도록 마련다. 그리고 이러한 주 접점은 릴레이 코일의 여자가 이루어지면 스프링의 탄성력을 극복하며 닫히게 된다. 반면, 릴레이 코일의 여자가 해제되면 주 접점은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열리게 되는데, 이때 주 접점은 반대측 부재에 강하게 부딪히면서 소음을 유발한다. 이 소음은 카가 각 층에 정지할 때마다 기계실(엘리베이터 안전 장치 및 권상기가 설치된 장소)에서 발생하면서, 기계실 주변 거주자들의 주거 환경을 악화시키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주 접점에 대한 테스트를 진행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현격히 감소시킬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A) 엘리베이터 안전 장치의 주 접점이 열리기 시작한 때부터 반대측 부재에 충돌할 때까지 걸릴 것으로 시험을 통해 미리 확인된 주 접점 충돌 시간이 상기 엘리베이터 안전 장치의 제어부에 저장되는 단계; (B) 엘리베이터의 카가 정지하였는지를 상기 제어부가 확인하는 단계; (C) 상기 카가 정지하였음을 확인한 경우, 상기 제어부가 주 접점 릴레이 코일에 대한 여자를 해제한 후, 상기 주 접점과 동시에 열리고 닫히도록 마련된 주 접점용 모니터링 접점이 미리 설정된 기준 시간 내에 열렸는지를 확인하는 단계; (D) 상기 제어부가 상기 주 접점용 모니터링 접점의 개방을 확인한 경우에는 이 개방이 이루어진 시점으로부터 상기 주 접점 충돌 시간보다 짧은 시간이 지난 시점에 상기 주 접점 릴레이 코일을 여자시키고, 상기 주 접점용 모니터링 접점의 개방을 확인하지 못한 경우에는 이상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및 (E) 상기 주 접점 릴레이 코일을 여자시킨 경우, 상기 제어부가 상기 카의 이동을 감지한 후 상기 (B) 단계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안전 장치의 주 접점 테스트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주 접점 충돌 시간의 확인은, 상기 주 접점용 모니터링 접점이 열리기 시작한 열림 시점을 상기 제어부가 측정하는 단계; 상기 주 접점용 모니터링 접점과 반대로 개폐되도록 상기 주 접점용 모니터링 접점과 연동하는 보조 모니터링 접점이 닫히는 닫힘 시점을 상기 제어부가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상기 닫힘 시점과 열림 시점 간 시간차를 계산하는 단계;를 통해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A) 엘리베이터의 카가 정지하였는지를 엘리베이터 안전 장치의 제어부가 확인하는 단계; (B) 상기 카가 정지하였음을 확인한 경우, 상기 제어부가 주 접점 릴레이 코일에 대한 여자를 해제한 후, 주 접점과 동시에 열리고 닫히도록 마련된 주 접점용 모니터링 접점이 미리 설정된 기준 시간 내에 열렸는지를 확인하는 단계; (C) 상기 주 접점용 모니터링 접점의 개방을 확인한 경우에는 상기 주 접점용 모니터링 접점과 반대로 개폐되도록 상기 주 접점용 모니터링 접점과 연동하는 보조 모니터링 접점이 닫히기 전에 상기 제어부가 상기 주 접점 릴레이 코일을 여자시키고, 상기 주 접점용 모니터링 접점의 개방을 확인하지 못한 경우에는 상기 제어부가 이상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및 (D) 상기 주 접점 릴레이 코일을 여자시킨 경우, 상기 제어부가 상기 카의 이동을 감지한 후 상기 (A) 단계를 수행하는 단계;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안전 장치의 주 접점 테스트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엘리베이터가 정상적으로 가동되고 있는 상태에서도 카가 정지할 때마다 주 접점에 대한 테스트가 이루어질 수 있고, 그러면서도 주 접점이 반대측 부재에 부딪힐 때 나는 소음이 전혀 발생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안전 장치의 주 접점 테스트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안전 장치의 주 접점 테스트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3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주 접점 테스트 방법을 수행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안전 장치의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안전 장치의 주 접점 테스트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서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주 접점 테스트 방법의 설명에 앞서 이 방법의 적용대상인 엘리베이터 안전 장치(100)를 설명한다. 상기 엘리베이터 안전 장치(1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 접점(110)과, 주 접점용 모니터링 접점(112a)과, 보조 모니터링 접점(112b)과, 릴레이 코일(114)과, 제어부(120)를 포함한다.
상기 주 접점(110)은 전원(102a)으로부터 권상기(104)로 공급되는 전력을 비상시 차단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주 접점(110)에는 스프링(미도시)의 탄성력이 항상 작용하고 있다. 상기 탄성력은 주 접점(110)을 여는 방향으로 작용한다.
상기 주 접점(110)은 주 접점 릴레이 코일(114)의 여자 시 상기 탄성력을 극복하면서 닫히게 되고, 주 접점 릴레이 코일(114)의 비여자 시 상기 탄성력에 의해 열리게 된다. 주 접점 릴레이 코일(114)의 여자/비여자 전환은 제어부(120)의 처리부(126)(예컨대, CPU)로부터 제어부(120)의 릴레이 구동 회로(124)로 제어 신호가 전달됨으로써 이루어진다.
상기 주 접점용 모니터링 접점(112a)은 주 접점(110)과 동시에 열리고 닫히도록 상기 주 접점(110)과 기계적으로 결합하고 있다. 따라서 주 접점(110)이 닫히면 주 접점용 모니터링 접점(112a)도 닫히고, 주 접점(110)이 열리면 주 접점용 모니터링 접점(112a)도 열리게 된다.
주 접점용 모니터링 접점(112a)이 닫히면 전원(102b)으로부터 제어부(120)의 리시버 회로(122a)로 전류가 흐르게 되고, 그러면 처리부(126)가 주 접점용 모니터링 접점(112a)이 닫힌 것으로 인식한다. 반면, 주 접점용 모니터링 접점(112a)이 열리면 전원(102b)으로부터 리시버 회로(122a)로 전류가 흐르지 않게 되는데, 그러면 처리부(126)가 주 접점용 모니터링 접점(112a)이 열린 것으로 인식한다.
상기 보조 모니터링 접점(112b)은 주 접점용 모니터링 접점(112a)과 반대로 개폐되도록 기계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주 접점용 모니터링 접점(112a)이 열리면 보조 모니터링 접점(112b)은 닫히고, 주 접점용 모니터링 접점(112a)이 닫히면 보조 모니터링 접점(112b)은 열린다.
보조 모니터링 접점(112b)이 닫히면 전원(102b)으로부터 제어부(120)의 또 다른 리시버 회로(122b)로 전류가 흐르게 되고, 그러면 처리부(126)가 보조 모니터링 접점(112b)이 닫힌 것으로 인식한다. 반면, 보조 모니터링 접점(112b)이 열리면 전원(102b)으로부터 상기 리시버 회로(122b)로 전류가 흐르지 않게 되는데, 그러면 처리부(126)가 보조 모니터링 접점(112b)이 열린 것으로 인식한다.
한편, 상기 제어부(120)는 상술한 리시버 회로(122a, 122b), 릴레이 구동 회로(124) 및 처리부(126) 외에 저장부(127) 및 입출력부(128)도 포함한다. 저장부(127)는 ROM, RAM, 하드디스크 등과 같은 저장 매체로서, 상기 엘리베이터 안전 장치(100)의 작동을 위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다. 상기 입출력부(128)는 각종 센서(106)(엘리베이터 카의 속도 및 위치를 감지하는 센서 등)의 출력을 입력받아 처리부(126)로 출력하고, 처리부(126)의 제어 신호를 엘리베이터 제어장치(108)로 출력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엘리베이터 안전 장치(100)의 주 접점(100)을 엘리베이터의 카(car)가 정지할 때마다 테스트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두 가지 실시예로 나누어 설명한다.
<제1실시예>
본 발명의 제1실시예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단계(S110) 내지 제5단계(S150)를 포함한다.
제1단계(S110)에서는 주 접점 충돌 시간이 제어부(120)의 저장부(127)에 저장된다. 여기서, 주 접점 충돌 시간은 주 접점(110)이 열리기 시작한 때부터 주 접점(110)이 완전히 열려 반대측 부재에 충돌할 때까지 걸릴 것으로 사전 시험(엘리베이터 안전 장치(100)를 건물에 설치하기 이전의 시험 또는 건물에 설치된 엘리베이터 안전 장치(100)를 정상적으로 가동하기 이전의 시험)을 통해 미리 확인된 시간이다.
상기 사전 시험에서는 다음과 같은 과정을 통해 주 접점 충돌 시간이 확인될 수 있다.
첫째, 상기 주 접점용 모니터링 접점(112a)이 열리기 시작한 열림 시점을 제어부(120)의 처리부(126)가 측정한다. 처리부(126)가 릴레이 구동 회로(124)를 정지시키면 주 접점 릴레이 코일(114)의 여자가 해제되어 주 접점(110)이 열리기 시작하는데, 이때 주 접점용 모니터링 접점(112a)도 함께 열리기 시작한다. 주 접점용 모니터링 접점(112a)이 열리기 시작한 순간에는 리시버 회로(122a)로의 전류 공급이 중단되는데, 처리부(126)는 이 시점을 상기 열림 시점으로 인식한다.
둘째, 상기 보조 모니터링 접점(112b)이 닫히는 닫힘 시점을 처리부(126)가 측정한다. 상기 열림 시점부터 소정의 시간(수십 미리세컨드(ms) 정도)이 지나면 주 접점(110)이 반대측 부재에 부딪히며 정지하는데, 이때 보조 모니터링 접점(112b)이 닫히게 된다. 보조 모니터링 접점(112b)이 닫히면 리시버 회로(122b)로 전류가 공급되고, 처리부(126)는 이 시점을 상기 닫힘 시점으로 인식한다.
셋째, 처리부(126)가 상기 닫힘 시점과 열림 시점 간 시간차를 계산한다. 처리부(126)는 이 시간차를 상기 주 접점 충돌 시간으로 간주하고 저장부(127)에 저장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처리부(126)는 상기 시간차를 작업자에게 제공하고, 작업자가 이 시간차를 확인한 후 키보드와 같은 입력장치를 통해 저장부(127)에 직접 저장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세 과정은 여러 차례 이루어질 수도 있는데, 이 경우 복수의 시간차들 중 가장 적은 것이 주 접점 충돌 시간으로 사용되는 것이 좋다.
이와 같은 제1단계(S110)가 완료되면 엘리베이터 안전 장치(100)가 정상적으로 가동되고, 이 과정에서 제2단계(S120) 내지 제4단계(S140)가 수행된다.
제2단계(S120)에서는 엘리베이터의 카가 정지하였는지를 처리부(126)가 확인한다. 처리부(126)는 카의 속도를 감지하는 센서(106)로부터 출력된 신호가 0이면 카가 정지한 것으로 판단하고, 제3단계(S130)를 수행한다. 만일, 카의 속도를 감지하는 센서(4)로부터 출력된 신호가 0이 아니라면 처리부(120)는 카가 정지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고, 제2단계(S120)를 계속하여 수행한다.
제3단계(S130)는 카가 정지하였을 경우에 수행되는 단계이다. 제3단계(S130)에서 처리부(126)는 우선 주 접점 릴레이 코일(114)에 대한 여자를 해제한다(S130-1). 이 해제가 이루어지면 주 접점(110)이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열리게 되고, 이때 주 접점용 모니터링 접점(112a)도 함께 열리게 된다. 다음으로 처리부(126)는 주 접점용 모니터링 접점(112a)이 미리 설정된 기준 시간 내에 열렸는지를 확인한다(S130-2). 이 단계(S130-2)에서 처리부(126)는 리시버 회로(122a)로의 전류 공급이 중단되면 주 접점용 모니터링 접점(112a)이 열린 것으로 확인한다.
상기 기준 시간은 오차 시간과 여유 시간을 더한 시간이다. 주 접점 릴레이 코일(114)에 대한 여자를 해제한 시점과 주 접점(110)이 열리는 시간 사이에는 약간의 차이가 존재하는데, 이 차이가 상기 오차 시간이다. 이 오차 시간은 엘리베이터 안전 장치를 제조한 업체측에서 제공하는 일반적이나, 이 업체로부터 엘리베이터 안전 장치를 구입하여 사용하는 업체측에서 직접 측정할 수도 있다. 이론적으로는 이 오차 시간이 상기 기준 시간으로 되면 족하나, 오차 시간이 부정확할 수 있으므로 오차 시간에다가 사용자가 설정한 여유 시간(예컨대, 오차 시간의 0.5배 또는 1배 등)을 더한 값을 상기 기준 시간으로 한다. 이러한 기준 시간은 저장부(127)에 저장된 상기 프로그램에 직접 코딩될 수 있다.
제4단계(S140)는 제3단계(S130)의 두 번째 과정(S130-2)에서의 확인 결과에 따라 두 과정으로 나뉘어 수행된다. 만일, 제3단계(S130)의 두 번째 과정(S130-2)에서 주 접점용 모니터링 접점(112a)이 기준 시간 내에 열리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었다면, 이는 융착과 같은 이상이 주 접점(110)에 발생하였음을 의미하므로, 처리부(126)는 이상 신호를 엘리베이터 제어장치(108)로 출력한다(S140-2).
반면, 제3단계(S130)의 두 번째 과정(S130-2)에서 주 접점용 모니터링 접점(112a)이 기준 시간 내에 열린 것으로 확인되었다면, 이는 주 접점(110)에 이상이 없음을 의미하므로, 처리부(126)는 주 접점 릴레이 코일(114)을 여자시킨다(S140-1). 이때, 처리부(126)가 주 접점 릴레이 코일(114)을 여자시키는 시점은 주 접점용 모니터링 접점(112a)의 개방 시점(리시버 회로(122a)로의 전류 공급이 중단된 시점)으로부터 주 접점 충돌 시간보다 짧은 시간이 지난 시점이다. 예컨대, 주 접점 충돌 시간이 20ms라면, 처리부(126)는 주 접점용 모니터링 접점(112a)의 개방 시점부터 10ms가 지난 시점에 주 접점 릴레이 코일(114)을 여자시킨다.
이러한 단계(S140-2)가 이루어는 동안, 주 접점(110)은 열렸다가 반대측 부재에 부딪히기 전에 닫히게 된다. 따라서 엘리베이터가 정상적으로 가동되고 있는 상태라도 카가 정지할 때마다 주 접점(110)에 대한 테스트가 이루어질 수 있고, 그러면서도 주 접점(110)이 반대측 부재에 부딪힐 때 나는 소음이 전혀 발생하지 않게 된다.
주 접점 릴레이 코일(114)을 여자시키고 나면, 처리부(126)는 카의 속도를 감지하는 센서(106)의 출력을 감시하다가 카가 움직이기 시작하면 제2단계(S120)를 다시 수행한다(S150).
<제2실시예>
본 발명의 제2실시예는 주 접점 충돌 시간의 측정 및 저장을 필요로 하지 않는 것으로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단계(S210) 내지 제4단계(S240)를 포함한다. 상기 제1단계(S210), 제2단계(S220) 및 제4단계(S240)는 제1실시예의 제2단계(S120), 제3단계(S130) 및 제5단계(S150)와 각각 동일하므로, 제3단계(S230)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제3단계(S230)는 제2단계(S220)의 두 번째 과정(S220-2)에서의 확인 결과에 따라 두 과정으로 나뉘어 수행된다. 만일, 제2단계(S220)의 두 번째 과정(S220-2)에서 주 접점용 모니터링 접점(112a)이 기준 시간 내에 열리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었다면, 이는 융착과 같은 이상이 주 접점(110)에 발생하였음을 의미하므로, 처리부(126)는 이상 신호를 엘리베이터 제어장치(108)로 출력한다(S230-2).
반면, 제2단계(S220)의 두 번째 과정(S220-2)에서 주 접점용 모니터링 접점(112a)이 기준 시간 내에 열린 것으로 확인되었다면, 이는 주 접점(110)에 이상이 없음을 의미하므로, 처리부(126)는 주 접점 릴레이 코일(114)을 여자시킨다(S230-1).
이때, 처리부(126)가 주 접점 릴레이 코일(114)을 여자시키는 시점은 보조 모니터링 접점(112b)이 닫히기 이전(리시버 회로(122b)로의 전류 공급이 시작되기 이전)이다. 즉, 처리부(126)는 두 리시버 회로(112a, 122b)로의 전류 공급이 모두 중단되었음을 감지하면 곧바로 주 접점 릴레이 코일(114)을 여자시킨다.
이러한 단계(S230-2)가 이루어는 동안, 주 접점(110)은 열렸다가 반대측 부재에 부딪히기 전에 닫히게 된다. 따라서 엘리베이터가 정상적으로 가동되고 있는 상태라도 카가 정지할 때마다 주 접점(110)에 대한 테스트가 이루어질 수 있고, 그러면서도 주 접점(110)이 반대측 부재에 부딪힐 때 나는 소음이 전혀 발생하지 않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100 : 엘리베이터 안전 장치 102a, 102b : 전원
104 : 권상기 106 : 각종 센서
108 : 엘리베이터 제어장치 110 : 주 접점
112a : 주 접점용 모니터링 접점 112b : 보조 모니터링 접점
114 : 주 접점 릴레이 코일 120 : 제어부
122a, 122b : 리시버 회로 124 : 릴레이 구동 회로
126 : 처리부 127 : 저장부
128 : 입출력부

Claims (3)

  1. (A) 엘리베이터 안전 장치의 주 접점이 열리기 시작한 때부터 반대측 부재에 충돌할 때까지 걸릴 것으로 시험을 통해 미리 확인된 주 접점 충돌 시간이 상기 엘리베이터 안전 장치의 제어부에 저장되는 단계;
    (B) 엘리베이터의 카가 정지하였는지를 상기 제어부가 확인하는 단계;
    (C) 상기 카가 정지하였음을 확인한 경우, 상기 제어부가 주 접점 릴레이 코일에 대한 여자를 해제한 후, 상기 주 접점과 동시에 열리고 닫히도록 마련된 주 접점용 모니터링 접점이 미리 설정된 기준 시간 내에 열렸는지를 확인하는 단계;
    (D) 상기 제어부가 상기 주 접점용 모니터링 접점의 개방을 확인한 경우에는 이 개방이 이루어진 시점으로부터 상기 주 접점 충돌 시간보다 짧은 시간이 지난 시점에 상기 주 접점 릴레이 코일을 여자시키고, 상기 주 접점용 모니터링 접점의 개방을 확인하지 못한 경우에는 이상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및
    (E) 상기 주 접점 릴레이 코일을 여자시킨 경우, 상기 제어부가 상기 카의 이동을 감지한 후 상기 (B) 단계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안전 장치의 주 접점 테스트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 접점 충돌 시간의 확인은,
    상기 주 접점용 모니터링 접점이 열리기 시작한 열림 시점을 상기 제어부가 측정하는 단계;
    상기 주 접점용 모니터링 접점과 반대로 개폐되도록 상기 주 접점용 모니터링 접점과 연동하는 보조 모니터링 접점이 닫히는 닫힘 시점을 상기 제어부가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상기 닫힘 시점과 열림 시점 간 시간차를 계산하는 단계;를 통해 이루어지는 엘리베이터 안전 장치의 주 접점 테스트 방법.
  3. (A) 엘리베이터의 카가 정지하였는지를 엘리베이터 안전 장치의 제어부가 확인하는 단계;
    (B) 상기 카가 정지하였음을 확인한 경우, 상기 제어부가 주 접점 릴레이 코일에 대한 여자를 해제한 후, 주 접점과 동시에 열리고 닫히도록 마련된 주 접점용 모니터링 접점이 미리 설정된 기준 시간 내에 열렸는지를 확인하는 단계;
    (C) 상기 주 접점용 모니터링 접점의 개방을 확인한 경우에는 상기 주 접점용 모니터링 접점과 반대로 개폐되도록 상기 주 접점용 모니터링 접점과 연동하는 보조 모니터링 접점이 닫히기 전에 상기 제어부가 상기 주 접점 릴레이 코일을 여자시키고, 상기 주 접점용 모니터링 접점의 개방을 확인하지 못한 경우에는 상기 제어부가 이상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및
    (D) 상기 주 접점 릴레이 코일을 여자시킨 경우, 상기 제어부가 상기 카의 이동을 감지한 후 상기 (A) 단계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안전 장치의 주 접점 테스트 방법.
KR1020150100253A 2015-07-15 2015-07-15 엘리베이터 안전 장치의 주 접점 테스트 방법 KR1016935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0253A KR101693508B1 (ko) 2015-07-15 2015-07-15 엘리베이터 안전 장치의 주 접점 테스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0253A KR101693508B1 (ko) 2015-07-15 2015-07-15 엘리베이터 안전 장치의 주 접점 테스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93508B1 true KR101693508B1 (ko) 2017-01-06

Family

ID=578323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0253A KR101693508B1 (ko) 2015-07-15 2015-07-15 엘리베이터 안전 장치의 주 접점 테스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350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489961A (zh) * 2018-12-24 2019-03-19 甘肃建投装备制造有限公司 一种施工升降机电气控制轿厢门连锁装置耐久试验平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59871A (ko) 2005-10-24 2006-06-02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엘리베이터 안전 장치 및 그 동작 시험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59871A (ko) 2005-10-24 2006-06-02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엘리베이터 안전 장치 및 그 동작 시험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489961A (zh) * 2018-12-24 2019-03-19 甘肃建投装备制造有限公司 一种施工升降机电气控制轿厢门连锁装置耐久试验平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72225B1 (ko) 엘리베이터 안전 브레이크 시스템에 대한 자동 검사 방법 및 엘리베이터 브레이크 검사 시스템
EP3357851B1 (en) Mechanism for improving safety for an elevator system
US7575102B2 (en) Safety device of elevator and its operation testing method
CN108861918B (zh) 电梯检查装置
EP3192760A1 (en) Method for testing operation of an elevator and elevator
JP5264986B2 (ja) エレベータ装置
WO2005102898A1 (ja) エレベータ制御装置
US9580273B2 (en) Testing apparatus and safety arrangement
JP6997680B2 (ja) エレベーター異常監視システム及びエレベーター異常監視方法
JP5090650B2 (ja) エレベータの戸開閉異常監視装置
KR100913454B1 (ko) 엘리베이터의 운전 장치
JP6625497B2 (ja) 昇降機用ブレーキの異常診断装置および異常診断方法
KR101693508B1 (ko) 엘리베이터 안전 장치의 주 접점 테스트 방법
JP6555434B2 (ja) エレベーターの制御装置
JP6585151B2 (ja) エレベータ装置及び診断方法
JP2008114930A (ja)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KR101495830B1 (ko) 승강식 피난기용 성능 평가 장치 및 그 방법
KR101856866B1 (ko) 엘리베이터 도어의 광학 안전 센서 진단 시스템
JP5785761B2 (ja) ドアタイム短縮エレベータ
CN108689273B (zh) 电梯超行程测试系统和方法
JP2008007228A (ja)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及び制御方法
US20210339980A1 (en) Method and monitoring device for inferring a health status of call devices in an elevator arrangement
JP2007254036A (ja) エレベータの運転制御装置
CN110678410B (zh) 电梯装置
JP6456267B2 (ja) エレベータドア装置およびエレベータ閉込救出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