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20016U - 냉장고의 반개폐식 병꽂이 포켓 - Google Patents

냉장고의 반개폐식 병꽂이 포켓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20016U
KR19980020016U KR2019960033220U KR19960033220U KR19980020016U KR 19980020016 U KR19980020016 U KR 19980020016U KR 2019960033220 U KR2019960033220 U KR 2019960033220U KR 19960033220 U KR19960033220 U KR 19960033220U KR 19980020016 U KR19980020016 U KR 1998002001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ttle
front support
pocket
cans
refrige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3322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정호
Original Assignee
박정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정호 filed Critical 박정호
Priority to KR2019960033220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20016U/ko
Publication of KR1998002001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0016U/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F25D25/02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by shelves
    • F25D25/027Rotatable she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4Doors; Covers with special compartments, e.g. butter condition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31/00Details or arrangements of othe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31/80Type of cooled receptacles
    • F25D2331/803Bott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31/00Details or arrangements of othe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31/80Type of cooled receptacles
    • F25D2331/805C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냉장고 도어의 내측에 구비되는 선반 중에서 병류 및 캔류를 수납할 수 있는 반개폐식 병꽂이 포켓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냉장고의 반개폐식 병꽂이 포켓은, 냉장고 도어 내측의 도어판넬에 돌설된 선반 지지턱 상에 재치되어, 그 위에 수납된 병류 및 캔류를 지지하기 위한 하부 지지판(10)과, 병류 및 캔류의 수납 및 인출시 개폐구로서의 기능을 수행하는 전면 지지대(20)와, 상기한 전면 지지대(20)의 회동에 대한 회전축을 제공하기 위한 힌지축(30)과 상기한 전면 지지대(20)의 전개시 상기한 전면지지대(20)가 원 위치로 복귀될 수 있도록 복원력을 제공하기 위한 비틀림 스프링(40)으로 구성된 힌지이음부와, 상기한 하부 지지판(10)으로부터 상기한 전면 지지대(2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방지부재(50)를 포함한다.
본 고안에 따른 냉장고의 반개폐식 병꽂이 포켓에 의하면, 냉장고 도어 내측면의 유효내용적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병류 및 캔류의 수납 및 인출을 용이하게 이룰 수 있어 사용자에게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냉장고의 반개폐식 병꽂이 포켓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병꽂이 포켓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본 고안의 병꽂이 포켓을 냉장고에 장착한 상태를 나타낸 장착 상태도.
도 3은 본 고안의 병꽂이 포켓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일부 절개 측 단면도로서,
도 3a는 본 고안의 병꽂이 포켓 내부에 페트병과 같은 병류가 수납된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이고,
도 3b는 본 고안이 병꽂이 포켓으로 부터 병류를 인출하거나 병류를 병꽂이 포켓에 수납하는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4a는 도 3a의 A 부분에 대한 확대 단면도이고,
도 4b는 도 3a의 B 부분에 대한 일부절개 확대도.
도 5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냉장고 병꽂이 포켓이 장착되는 부분의 도어판넬 구조를 변형한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6은 종래기술에 따른 병꽂이 포켓이 냉장고 내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일부 측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하부 지지판11 : 절곡부
12 : 돌기20 : 전면 지지대
21 : 절결부30 : 힌지축
40 : 비틀림 스프링50 : 이탈방지부재
51 : 가이드 슬릿52 : 고정돌기 삽입공
60 : 볼키90 : 병꽂이 포켓
본 고안은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 특히, 냉장고 도어의 내측에 구비되는 선반 중에서 병류 및 캔류를 수납할 수 있는 반개폐식 병꽂이 포켓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냉장고에는 냉장고 내의 유효내용적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하여, 냉장고의 도어판넬 내측면에 각종 냉장식품을 저장 내지 보관할 수 있는 다양한 용도의 선반들, 즉, 계란꽂이 선반, 다용도 선반과, 각종 병류 및 캔류 등을 수납 및 보관할 수 있도록 구성된 병꽂이 포켓이 구비되어 있다.
특히,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냉장고 병꽂이 포켓(200)은, 통상적으로, 냉장고 도어(100)의 도어판넬(110) 내측 하부에 장착되며, 상부가 개구되고 합성수지재의 전면 및 하부 지지판이 일체로 형성됨으로써 그 내부에 일정한 수납공간을 지니도록 구성되고, 도어판넬(110)의 내측으로 돌출 형성된 선반 지지턱(130) 상에 재치되어, 상기한 수납공간부 내에 각종 병류 및 캔류 등을 세워서 수납 및 보관할 수 있도록 구성되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기술에 따른 냉장고 병꽂이 포켓(200)에 있어서는, 냉장고 도어(100)의 개폐시 병꽂이 포켓(200)에 수납된 병류나 캔류가 전방으로 쏟아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병류나 캔류의 지지대 역할을 수행하는 포켓(200)의 전면이 선반 지지턱(130) 상에 고정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병꽂이 포켓(200)의 내부에 병류나 캔류 등을 수납하거나 병꽂이 포켓(200)으로부터 병류나 캔류를 인출하기 위해서는, 상기한 전면 지지판의 높이만큼 병류나 캔류의 저면을 들어올려 수납 또는 인출하여야 하기 때문에, 상기한 종래기술에 있어서는, 병류 및 캔류에 대한 실제적인 유효 저장높이보다 포켓(200)의 전면 지지판의 높이만큼 불필요한 수납공간이 추가로 요구되므로, 냉장고 내의 유효내용적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없다는 결정적인 문제점을 지니고 있었다.
또한, 상기한 종래기술에 있어서는, 포켓(200)의 전면이 선반 지지턱(130) 상에 고정설치되어, 부피가 큰 페트(PET)병과 같은 병류를 병꽂이 포켓(200)으로부터 인출 및 수납하고자 할 때에는, 포켓(200)의 전면 지지판 상단부를 긁으면서 억지로 병류를 인출 또는 수납하거나, 옆의 빈 공간을 이용하여 병류를 기울여 꺼내야 하였기 때문에, 병류의 수납 및 인출에 있어서 사용자에게 큰 불편을 초래하였다.
결국,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기술이 지닌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본 고안의 주된 목적은 냉장고 도어 내측면의 유효내용적을 보다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냉장고 반개폐식 병꽂이 포켓을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냉장고의 병꽂이 포켓으로부터 병류 및 캔류의 수납 및 인출을 용이하게 이룰 수 있어 사용자에게 편의를 줄 수 있는 냉장고 반개폐식 병꽂이 포켓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냉장고의 반개폐식 병꽂이 포켓은, 그 위에 수납된 병류 및 캔류를 지지하기 위한 하부 지지판과, 병류 및 캔류의 수납 및 인출시 개폐구로서의 기능을 수행하는 전면 지지대와, 상기한 전면 지지대의 회동에 대한 회전축을 제공하기 위한 힌지축과, 상기한 전면 지지대의 전개시 상시한 전면 지지대가 원 위치로 복귀될 수 있도록 복원력을 제공하기 위한 비틀림 스프링으로 구성된 힌지이음부와, 상기한 하부 지지판으로부터 상기한 전면 지지대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방지부재를 포함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냉장고의 반개폐식 병꽂이 포켓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병꽂이 포켓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2 는 도 1 에 도시된 본 고안의 병꽂이 포켓을 냉장고에 장착한 상태를 나타낸 장착 상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냉장고의 반개폐식 병꽂이 포켓(90)은, 그 위에 수납된 병류 및 캔류를 지지하기 위한 하부 지지판(10)과, 병류 및 캔류의 수납 및 인출시 개폐구로서의 기능을 수행하는 전면 지지대(20)와, 상기한 전면 지지대(20)의 회동에 대한 회전축을 제공하기 위한 힌지축(30)과 상기한 전면 지지대(20)의 전개시 상기한 전면 지지대(20)가 원 위치로 복귀될 수 있도록 복원력을 제공하기 위한 비틀림 스프링(40)으로 구성된 힌지이음부와, 상기한 하부 지지판(10)으로부터 상기한 전면 지지대(2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방지부재(50)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한 하부 지지판(10)의 양단에는, 그 일면에 지지돌기(11a)가 돌설된 절곡부(11)가 절곡 형성되고, 그 일측 모서리에는 중앙에 힌지축 삽입공( 12a)이 천설된 돌기(12)가 돌설되며, 상기한 하부 지지판(10)은 냉장고 도어(100) 내측의 도어판넬(110)에 돌설된 선반 지지턱(130) 상에 재치된다.
또한, 상기한 전면 지지대(20)는, 그 일측 모서리에 힌지축 장착공(21a)이 양측에 구비된 절결부(21)가 형성되고, 양측단에는 고정돌기(20a)가 돌설됨으로써, 상기한 하부 지지판(10)과 수직이 되도록 힌지이음에 의해 상기한 하부 지지판(10)의 일측 모서리와 결합되는 동시에, 힌지이음부를 중심측으로 하여 상기한 하부 지지판(10)에 대해 외향으로 일정 각도로 회동가능하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한 힌지이음부의 힌지축(30)은, 상기한 전면 지지대(20)의 힌지축 장착공( 21a)과 상기한 하부 지지판(10)의 힌지축 삽입공(12a)을 통해 삽설되는 한편, 상기한 힌지이음부의 비틀림 스프링(40)은 상기한 힌지축(30)의 외부에 감삽된다.
아울러, 상기한 이탈방지부재(50)의 중앙 일측에는 상기한 하부 지지판(10)의 지지돌기(11a)가 삽설되어 상기한 전면 지지대(20)의 개방 및 복귀시 일정거리 내에서 활주되는 가이드 슬릿(guide slit)(51)이 천설되고, 그 일측에는 상기한 가이드 슬릿(51)과 일정간격 이격되어 천설되며 상기한 전면 지지대(20)의 고정돌기(20a)가 삽설되는 고정돌기 삽입공(52)이 형성됨으로써 상기한 하부 지지판(10)과 상기한 전면 지지대(20)의 양측에 부설된다.
이때, 본 고안의 반개폐식 병꽂이 포켓에 있어서, 상기한 하부 지지판(10)과 전면 지지대(20)는 합성수지재로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상기한 하부 지지판(10)은 탄성을 지닌 재질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한 힌지이음부에 사용된 힌지축(30) 대신에, 하부 지지판(10)에 대한 전면 지지대(20)의 회동을 제공할 수 있는 여타의 회동 제공수단이 채용될 수 있으며, 상기한 비틀림 스프링(40) 대신에, 상기한 전면 지지대(20)의 전개시 상기한 전면 지지대(20)가 원 위치로 복귀될 수 있도록 복원력을 제공하기 위한 여타의 복원력 부여수단이 채용될 수도 있다.
도 3은 본 고안의 병꽂이 포켓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일부 절개 측단면도로서, 도 3a는 본 고안의 병꽂이 포켓 내부에 페트병과 같은 병류가 수납된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이고, 도 3b는 본 고안의 병꽂이 포켓으로부터 병류를 인출하거나 병류를 병꽂이 포켓에 수납하는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상기한 구성을 지닌 본 고안에 따른 냉장고의 반개폐식 병꽂이 포켓에 대한 작용효과를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고안의 병꽂이 포켓(90)에 병류를 수납하기 위해서는, 전면 지지대(20)의 상단부를 전방으로 잡아당기거나, 병(300)의 일측 하단부를 이용하여 전면 지지대(20)의 상단부를 전방으로 누르면서 병꽂이 포켓(90)의 상부 개구부에 병을 밀어넣으면, 포켓(90)의 전면 지지대(20)가 힌지 이음부의 힌지축(30)을 중심으로 전방으로 회동하여 전면으로 약 45°의 각도까지 전개됨으로써, 병꽂이 포켓(90)의 내부 공간에 병류를 용이하게 수납할 수 있다.
도 4a는 도 3a의 A부분에 대한 확대 단면도로서, 상기한 과정에 따라, 본 고안의 병꽂이 포켓(90)의 하부 지지판(10)에 병류(300)가 재치된 이후에는, 힌지축(30)의 외부에 감삽된 비틀림 스프링(40)의 복원력에 의하여, 전개된 전면 지지대(20)가 원 위치로 복귀됨으로써,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병꽂이 포켓(90)의 내부에 병류를 안전하게 수납하게 된다.
또한, 병꽂이 포켓으로부터 병류를 인출할 때에도, 병(300)의 상단부를 파지하고 전방으로 잡아당기면, 병(300)의 하단부가 전면 지지대(20)의 상단부를 밀면서 전방으로 전개되어, 병꽂이 포켓(90)으로부터 병류를 용이하게 인출할 수 있다.
상기한 본 고안의 병꽂이 포켓(90)에 있어서는, 전면 지지대(20)가 전방으로 약 45°의 각도까지 개폐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병꽂이 포켓(90)의 내부에 병류나 캔류 등을 수납하거나 병꽂이 포켓(90)으로부터 병류나 캔류를 인출시에는, 종래기술에서와 같이 전면 지지판의 높이만큼 병류의 저면을 들어올려 수납 또는 인출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병꽂이 포켓(90)에 병류 및 캔류를 수납하거나 인출하기 위해 필요로 하는 부수적인 공간이 필요치 않아, 예를 들어,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은 다용도 선반 지지턱(140)을 보다 하향의 위치에 설치할 수 있으므로, 냉장고 도어(100) 내측면의 유효내용적을 보다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도 3a에 있어서, 미설명 부호 150은 냉장고 도어(100) 몸체의 내부에 입설된 단열재를 나타낸다.
한편,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반개폐식 병꽂이 포켓에 있어서는, 병꽂이 포켓 내에 병류나 캔류를 수납시, 병꽂이 포켓의 내부에 수납된 병류가 전방으로 기울어지거나 추락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보다 안전하게 병류 및 캔류를 수납하기 위하여, 상기한 전면 지지대(20)가 복귀상태에 있을 때, 상기한 이탈방지부재(50)의 가이드 슬릿(51) 내면에 상기한 하부 지지판(10)의 지지돌기(11a)가 가이드 슬릿(51) 내부에서 좌우로 활주하지 못하도록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수단이 추가로 형성될 수 있다.
도 4b는 도 3a의 B 부분에 대한 일부절개 확대도로서,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한 이탈방지부재(50)의 가이드 슬릿(51) 내면 일측에는 볼 수납공(61) 내에 스프링(63)과 볼(62)이 수납되어 구성된 볼키(ball key)(60)가 내설됨으로써, 병꽂이 포켓(90) 내에 병류나 캔류를 수납시, 상기한 볼키(60)의 구성요소인 볼(62)의 상승에 의해 하부 지지판(10)의 지지돌기(11a)가 가이드 슬릿(51)의 일단에 고정됨으로써, 보다 안전하게 병류 및 캔류를 수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한 본 고안의 반개폐식 병꽂이 포켓에 있어서는, 종래의 냉장고 병꽂이 포켓에서 지지대 역할을 하던 전면 지지대가 전방으로 45°각 도까지 전개될 수 있는 구성을 지니고 있어, 냉장고 도어의 개폐시, 상기한 병꽂이 포켓 내에 수납된 병류 및 캔류가 전방으로 쏟아질 우려가 있을 수도 있는데, 이러한 문제점을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해 해결될 수 있다.
도 5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냉장고 병꽂이 포켓이 장착되는 부분의 도어판넬 구조를 변형한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로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서는, 반개폐식 병꽂이 포켓 내에 수납된 병류(300)의 무게중심이 냉장고 도어(100)의 내측면을 향하도록, 병꽂이 포켓이 장착되는 냉장고 도어(100) 내측의 도어판넬(110) 부위가 전방으로 일정 각도로 돌출 형성된다.
즉, 종래기술에 따른 냉장고 도어의 도어판넬은 냉장고의 저면에 대하여 수직으로 사출성형되어, 병꽂이 포켓에 수납된 병류의 무게중심이 수직방향을 향하며 전면 지지대에 의해서 고정되지만, 본 고안에서는, 병꽂이 포켓이 장착되는 냉장고 도어(100)의 도어판넬(110)이 병꽂이 포켓에 수납되는 최대 병높이의 중앙부를 기준으로, 상단부가 내측으로 약 5°정도 경사지는 한편, 하단부도 약 5°정도 내측으로 경사져, 중앙부가 돌출된 융기부(115)가 도어판넬(110)의 내측에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한 본 고안의 반개폐식 병꽂이 포켓에 수납된 병(300)은 융기부(115)에 의해 도어판넬(110)의 내측면으로 약 5°정도 기울어지기 때문에, 병(300)의 무게중심이 도어판넬(110)의 내측면으로 향하므로, 냉장고 도어(100)의 개폐시 병꽂이 포켓 내에 수납된 병류(300)가 전방으로 쏟아질 염려가 없다.
또한, 도어판넬(110)의 하단부가 약 5°정도 경사진 상태이므로, 병꽂이 포켓에 수납된 병(300)을 인출할 때에도, 융기부(115) 하부의 경사진 하단부로 병(300)의 하단부가 이동하므로, 약 45°의 각도까지 병(300)을 기울인 상태에서 용이하게 병(300)을 인출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냉장고의 반개폐식 병꽂이 포켓에 의하면, 냉장고 도어 내측면의 유효내용적을 보다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병류 및 캔류의 수납 및 인출을 용이하게 이룰 수 있어 사용자에게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Claims (2)

  1. 그 위에 수납된 병류 및 캔류를 지지하기 위한 하부 지지판과,
    병류 및 캔류의 수납 및 인출시 개폐구로서의 기능을 수행하는 전면 지지대와,
    상기한 전면 지지대의 회동에 대한 회전축을 제공하기 위한 힌지축과, 상기한 전면 지지대의 전개시 상기한 전면 지지대가 원 위치로 복귀될 수 있도록 복원력을 제공하기 위한 비틀림 스프링으로 구성된 힌지이음부와,
    상기한 하부 지지판으로부터 상기한 전면 지지대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방지부재를 포함하는, 냉장고의 반개폐식 병꽂이 포켓.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한 이탈방지부재의 가이드 슬릿 내면 일측에는 볼키(ball key)가 추가로 내설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반개폐식 병꽂이 포켓.
KR2019960033220U 1996-10-09 1996-10-09 냉장고의 반개폐식 병꽂이 포켓 KR19980020016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33220U KR19980020016U (ko) 1996-10-09 1996-10-09 냉장고의 반개폐식 병꽂이 포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33220U KR19980020016U (ko) 1996-10-09 1996-10-09 냉장고의 반개폐식 병꽂이 포켓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0016U true KR19980020016U (ko) 1998-07-15

Family

ID=539786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33220U KR19980020016U (ko) 1996-10-09 1996-10-09 냉장고의 반개폐식 병꽂이 포켓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20016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9922B1 (ko) * 2007-02-14 2013-12-10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9922B1 (ko) * 2007-02-14 2013-12-10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K16795A3 (en) Device for holding of drinking containers, vessels for drinking
US3348668A (en) Reel container
EP0157787A1 (en) Diskette storage container for storing a large quantity of diskettes
CN111114442A (zh) 用于车辆的储存装置
US5160191A (en) Adjustable refrigerator door shelf retainer
US5407094A (en) Transparent display package dispenser with see-through replaceable cartridge
KR19980020016U (ko) 냉장고의 반개폐식 병꽂이 포켓
US20180008073A1 (en) Beverage Holder
KR100233445B1 (ko) 냉장고의 병꽂이 선반
KR101212099B1 (ko) 냉장고
KR200171453Y1 (ko) 냉장고의 병 가드
JP3561614B2 (ja) 冷蔵庫の扉装置
KR100237696B1 (ko) 냉장고의 계란꽂이 선반
KR950003049Y1 (ko) 냉장고 포켙용 칸막이겸용병걸이구
KR200165904Y1 (ko) 냉장고의 도어바스켓 커버 구조
KR200429404Y1 (ko) 서랍식 콘택트렌즈 보관용 케이스
KR100535830B1 (ko) 투명창이 마련된 도어가드를 구비하는 냉장고
KR19990026868U (ko) 자동차의 콘솔박스 덮개 개폐장치
KR200367256Y1 (ko) 경구섭취용 내용물의 포장용기
KR101053310B1 (ko) 냉장고용 수납장치
KR0126040Y1 (ko) 냉장고의 소품보관 포켓장치를 갖는 선반
JPH03110375A (ja) 冷蔵庫
KR0118671Y1 (ko) 냉장고 도어 바스켓의 저장식품 지지장치
JPH09191994A (ja) 収納ケース
KR0133294Y1 (ko) 측방분리 개방 가능한 수용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