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19702A - 이중헤드 잉크 젯트 프린터의 프린트방법 - Google Patents

이중헤드 잉크 젯트 프린터의 프린트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19702A
KR19980019702A KR1019960037910A KR19960037910A KR19980019702A KR 19980019702 A KR19980019702 A KR 19980019702A KR 1019960037910 A KR1019960037910 A KR 1019960037910A KR 19960037910 A KR19960037910 A KR 19960037910A KR 19980019702 A KR19980019702 A KR 199800197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ording head
head
color
mono
recor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379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186623B1 (ko
Inventor
이성희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10199600379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186623B1/ko
Priority to EP97306748A priority patent/EP0829367A2/en
Publication of KR199800197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197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866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86623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21Ink jet for multi-colour printing
    • B41J2/2103Features not dealing with the colouring process per se, e.g. construction of printers or heads, driving circuit adapt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Landscapes

  • Ink Jet (AREA)
  • Accessory Devices And Overall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모노 기록헤드와 컬러 기록헤드를 동시에 장착하여 사용하는 이중헤드 잉크 젯트 프린터의 프린트방법에 관한 것이다.
나.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모노 기록헤드와 컬러 기록헤드의 위치가 바뀌어 장착되어도 정상적인 프린트를 할 수 있는 프린트방법을 제공한다.
다.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고유의 장착위치에 각각 장착되는 제1,제2기록헤드중 하나로 각각 장착되는 모노 기록헤드와 컬러 기록헤드의 장착위치를 미리 확인하고, 호스트 컴퓨터로부터 프린트데이터가 수신될 때 제1,제2기록헤드중에 프린트데이터의 종류에 대응하는 기록헤드를 사용하여 프린트데이터에 따른 화상을 프린트한다.
라. 발명의 중요한 용도
이중헤드 잉크 젯트 프린터에 이용한다.

Description

이중헤드 잉크 젯트 프린터의 프린트방법
본 발명은 잉크 젯트 프린터(ink jet printer)에 관한 것으로, 특히 모노(mono) 기록헤드와 컬러(color) 기록헤드를 동시에 장착하여 사용하는 이중(double) 헤드 잉크 젯트 프린터의 프린트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잉크 젯트 프린터는 흑백화상뿐만아니라 컬러화상도 프린트할 수 있으며, 흑백 프린트는 모노 기록헤드에 의해 이루어지고 컬러 프린터는 컬러 기록헤드에 의해 이루어진다. 모노 기록헤드 및 컬러 기록헤드는 잉크를 분사하기 위한 노즐(nozzle)들을 구비하는데, 노즐들 내의 잉크는 노즐마다 하나씩 설치된 가열소자(heating element)들에 의해 가열되어 팽창됨으로써 기록매체로 분사된다. 모노 기록헤드는 흑색 잉크가 충전된 모노 카트리지(cartridge)에 일체로 제공되고, 컬러 기록헤드는 컬러 잉크가 충전된 컬러 카트리지에 일체로 제공된다. 잉크 젯트 프린터는 이러한 모노 기록헤드 또는 컬러 기록헤드를 횡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가열소자들을 선택적으로 구동함으로써 원하는 화상을 기록매체에 기록한다.
이전의 잉크 젯트 프린터는 하나의 기록헤드만을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었다. 즉, 흑백 프린트를 할 때는 모노 기록헤드를 장착하고 컬러 프린트를 할 때는 컬러 기록헤드를 장착하여 사용하였었다. 이에따라 사용자가 모노 기록헤드를 장착하여 흑백 프린트를 하다가 컬러 프린트를 원할 경우에는 모노 기록헤드를 컬러 기록헤드로 교체하여야 하였었다. 그러므로 흑백 프린트와 컬러 프린트를 변경할 때마다 기록헤드도 그에 적합하게 교체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이러한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해 모노 기록헤드와 컬러 기록헤드를 동시에 장착할 수 있는 잉크 젯트 프린터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잉크 젯트 프린터를 이중헤드 잉크 젯트 프린터라 칭한다. 이중헤드 잉크 젯트 프린터에 있어서 모노 기록헤드와 컬러 기록헤드는 각각 고유의 장착위치에 장착하여 사용하도록 되어 있었다. 즉, 모노 기록헤드와 컬러 기록헤드는 각각의 전용 캐리어(carrier)에 장착하여야만 정상적인 흑백 또는 컬러 프린트가 가능하였었다.
이러한 이중헤드 잉크 젯트 프린터에서 모노 기록헤드와 컬러 기록헤드의 장착예를 도 1로서 도시하였다. 도 1은 프린터(100)의 전면에서 볼 때 왼쪽에 있는 모노 캐리어(carrier)(106)에 모노 기록헤드(102)를 장착하고 오른쪽에 있는 컬러 캐리어(108)에 컬러 기록헤드(104)를 장착하도록 되어 있는 잉크 젯트 프린터의 예를 보인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모노 기록헤드(102)는 모노 카트리지에 일체로 제공되고 컬러 기록헤드(104)는 컬러 카트리지에 일체로 제공되나, 이하의 설명에서는 편의상 모노 카트리지와 컬러 카트리지는 언급하지 않는다.
그리고 도 1은 모노 캐리어(106) 및 컬러 캐리어(108)가 헤드 교체위치에 위치된 상태를 보이고 있으며, 모노 캐리어(106)와 컬러 캐리어(108)는 하나의 캐리지 메카니즘(carriage mechanism)에 일체로 설치되어 함께 횡방향, 즉 화살표 X와 X' 방향으로 이동된다. 헤드 교체위치에서는 사용자가 커버(110)를 열어 모노 기록헤드(102) 또는 컬러 기록헤드(104)를 점검하거나 교체할 수 있다. 프린터의 제어부는 사용자의 버튼 조작이 있거나 이상이 발생할 경우 자동으로 모노 캐리어(106) 및 컬러 캐리어(108)를 헤드 교체위치로 이동시킨다. 이러한 모노 캐리어(106)와 컬러 캐리어(108)에는 각각 모노 기록헤드(102)와 컬러 기록헤드(104)를 프린터(100)내에 있는 헤드구동부에 회로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헤드 연결장치를 구비한다. 그리고 참고적으로 도 1에서 용지는 용지공급장치(112)를 통해 급지되어 모노 기록헤드(102) 또는 컬러 기록헤드(104)에 의해 프린트된후 프린터(100)의 전면으로 배출된다.
상기한 이중헤드 잉크 젯트 프린터에 있어서 모노 기록헤드(102)와 컬러 기록헤드(104)는 각각 고유의 장착위치에 장착하여야 하므로, 만일 사용자가 기록헤드들(102,104)의 위치를 틀리게 장착하면 프린터가 동작하지 않게 된다. 이에따라 사용자는 항상 이러한 점을 주의하여야만 하였었다. 또한 만일 헤드 연결장치들중 하나라도 이상이 발생하거나 어느 하나의 기록헤드가 장착되지 않은 경우, 정상적으로 장착된 기록헤드가 있는 경우에도 더 이상 동작하지 않는다. 통상적으로 이와같이 기록헤드들(102,104)이 위치가 바뀌어 장착되거나 연결상태가 불량할 경우 프린트가 불가능하므로, 프린터는 에러 메시지(error message)를 발생하여 사용자에게 에러상태를 알려 왔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에는 모노 기록헤드와 컬러 기록헤드의 위치가 바뀌어 장착될 경우에는 프린트가 불가능하며 그에따라 사용자가 기록헤드들의 장착위치를 확인한후 다시 장착하여야만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모노 기록헤드와 컬러 기록헤드가 하나라도 장착되고 그의 연결상태가 양호할 경우에는 그 기록헤드를 사용하여 프린트가 가능함에도 불구하고 더 이상 동작하지 않게되므로 프린트를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모노 기록헤드와 컬러 기록헤드의 위치가 바뀌어 장착되어도 정상적인 프린트를 할 수 있는 프린트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모노 기록헤드와 컬러 기록헤드중에 하나라도 장착되고 그의 연결상태가 양호할 경우에는 정상적인 프린트를 할 수 있는 프린트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통상적인 이중헤드 잉크 젯트 프린터의 기록헤드 장착 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통상적인 이중헤드 잉크 젯트 프린터의 블럭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록헤드 장착 확인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모노 프린트데이터 처리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컬러 프린트데이터 처리 흐름도.
상술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고유의 장착위치에 각각 장착되는 제1,제2기록헤드중 하나로 각각 장착되는 모노 기록헤드와 컬러 기록헤드의 장착위치를 미리 확인하고, 호스트 컴퓨터로부터 프린트데이터가 수신될 때 제1,제2기록헤드중에 프린트데이터의 종류에 대응하는 기록헤드를 사용하여 프린트데이터에 따른 화상을 프린트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설명 및 첨부도면에서 구체적인 처리흐름과 같은 많은 특정 상세들이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나타나 있다. 이들 특정 상세들 없이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우선 본 발명이 적용되는 통상적인 이중헤드 잉크 젯트 프린터의 회로 블록구성도를 보인 도 2를 참조하면, 호스트 컴퓨터(host computer)인 PC(Personal Computer)(200)와 연결되는 프린터(202)는 PC 인터페이스(204)와 CPU(Central Processing Unit)(206)와 입출력 인터페이스(208)와 롬(ROM: Read Only Memory)(210)과 램(RAM: Random Access Memory)(212)과 조작판넬(214)과 모터구동부들(216,220)과 캐리지 이송모터(218)와 용지 이송모터(222)와 제1,제2헤드 구동부(224,228)와 제1,제2기록헤드(226,230)로 구성된다. PC 인터페이스(214)는 PC(200)로부터 각종 명령과 프린트데이터를 수신하여 CPU(206)에 제공한다. 이러한 PC 인터페이스(214)는 통상적으로 PC(200)와 양방향 통신이 가능한 병렬 인터페이스가 사용된다. CPU(206)는 롬(210)에 저장되어 있는 프로그램을 수행하여 입출력 인터페이스(208)를 통해 프린터의 각 부를 제어한다. 롬(210)은 CPU(206)의 수행 프로그램 및 각종 참조 데이터를 저장한다. 램(212)은 CPU(206)의 동작에 따른 데이터를 일시 저장한다. 입출력 인터페이스(208)는 CPU(206)와 입출력장치들, 즉 조작 판넬(214)과 모터구동부들(216,220)과 제1,제2헤드구동부(224,228)간에 입출력되는 신호를 인터페이스한다. 조작 판넬(214)은 CPU(206)에 각종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다수의 키들과, CPU(206)에 의해 각종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장치를 가진다. 모터구동부(216)는 CPU(206)의 제어에 의해 캐리지 이송모터(218)를 구동한다. 캐리지 이송모터(218)는 모터구동부(216)에 의해 구동되며 제1,제2기록헤드(226,228)가 설치되는 도 1의 캐리어들(106,108)을 이송시킨다. 상기 캐리지 이송모터(218)는 C/R모터라고도 한다. 모터구동부(220)는 CPU(206)의 제어에 의해 용지 이송모터(222)를 구동한다. 용지 이송모터(222)는 모터구동부(220)에 의해 구동되어 용지를 이송시킨다. 상기 용지 이송모터(222)는 L/F모터라고도 한다. 제1헤드구동부(224)는 CPU(206)의 제어에 의해 인에이블(enable)되어 제1기록헤드(226)를 구동시켜 기록매체에 화상을 기록한다. 제2헤드구동부(228)는 CPU(206)의 제어에 의해 인에이블되어 제2기록헤드(230)를 구동시켜 기록매체에 화상을 기록한다. 이때 제1,제2기록헤드(226,230)는 각각 도 1의 모노 기록헤드(102)와 컬러 기록헤드(104)에 대응한다. 즉, 전술한 도 1의 예와 같이 모노 기록헤드(102)와 컬러 기록헤드(104)가 고유의 장착위치에 정상적으로 장착될 경우 모노 기록헤드(102)는 제1기록헤드(226)가 되고 컬러 기록헤드(104)는 제2기록헤드(230)가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이중헤드 잉크 젯트 프린터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CPU(206)가 도 3 내지 도 5의 흐름도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도록 롬(210)에 프로그램한다.
상기 도 3의 흐름도는 도 2의 제1,제2기록헤드(226,230)중 하나로 각각 장착되는 모노 기록헤드와 컬러 기록헤드의 장착 여부와 장착위치를 미리 확인하는 과정을 보인 것으로, 초기에 프린터의 전원이 온됨에 따라 또는 기록헤드 교체 등으로 인해 리셋트됨에 따라 통상적인 초기화동작을 할 때 CPU(206)에 의해 수행된다. 먼저 CPU(206)는 (300)단계에서 제1헤드구동부(224)를 통해 제1기록헤드(226)의 장착 검사, 즉 모노 기록헤드 또는 컬러 기록헤드가 제1기록헤드(226)로서 장착되었는지 여부와 장착되었다면 둘중에 어떠한 기록헤드가 장착되었는지를 검사한다. 이때 제1헤드구동부(224)는 제1기록헤드(226)로서 모노 기록헤드 또는 컬러 기록헤드가 실제로 장착되지 않았을 때 뿐만아니라 제1헤드구동부(224)와 제1기록헤드(226)간을 연결하는 헤드 연결장치에 이상이 있는 경우에도 기록헤드가 장착되지 않은 상태로 검출한다. 이와같이 기록헤드의 장착 여부와 함께 장착된 기록헤드의 종류를 검사하는 기술의 예를 들면, 본원 출원인에 의해 1995년 10월 17일자로 특허출원된 특허출원번호 제95-35823호 잉크 젯트 기록장치의 잉크 카트리지 장착 검출회로 및 그 방법이 있다. 상기 특허출원번호 제95-35823호는 헤드구동부에서 가열소자들의 구동에 의해 강하되는 구동전원의 전압레벨을 검출하고, 검출되는 전압레벨을 미리 설정된 기준전압레벨들과 비교함으로써 잉크 카트리지, 즉 기록헤드의 장착 여부는 물론 그 종류도 검출하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상기한 장착 검사 결과에 의해 CPU(206)는 (302)단계에서 제1기록헤드(226)로서 모노 기록헤드가 장착되었는가를 확인한다. 만일 모노 기록헤드가 장착되었다면 CPU(206)는 (304)단계에서 제1헤드 플래그 HEAD1를 모노상태로 셋트한후 (312)단계를 수행한다. 이때 제1기록헤드(226)로서 모노 기록헤드가 장착된 것이 아니라면 CPU(206)는 (306)단계에서 제1기록헤드(226)로서 컬러 기록헤드가 장착되었는가를 확인한다. 만일 컬러 기록헤드가 장착되었다면 CPU(206)는 (308)단계에서 제1헤드 플래그 HEAD1를 컬러상태로 셋트한후 (312)단계를 수행한다. 이때 제1기록헤드(226)로서 컬러 기록헤드도 장착된 것이 아니라면 기록헤드가 하나도 장착되지 않은 상태, 즉 미장착상태이므로 CPU(206)는 (310)단계에서 제1헤드 플래그 HEAD1를 미장착상태로 셋트한후 (312)단계를 수행한다. 여기서 제1헤드 플래그 HEAD1는 제1기록헤드(226)의 장착 여부를 나타냄과 아울러 장착되었다면 모노 기록헤드와 컬러 기록헤드중에 어떠한 기록헤드가 장착되었는지를 나타내기 위해 사용한다.
상기 (312)단계에서 CPU(206)는 제2헤드구동부(228)를 통해 제2기록헤드(230)의 장착 검사, 즉 모노 기록헤드 또는 컬러 기록헤드가 제2기록헤드(230)로서 장착되었는지 여부와 장착되었다면 둘중에 어떠한 기록헤드가 장착되었는지를 검사한다. 이와같이 제2기록헤드(230)의 장착 여부와 함께 장착된 기록헤드의 종류를 검사하는 것은 상기한 제1기록헤드(226)에 대한 장착 검사와 동일한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장착 검사 결과에 의해 CPU(206)는 (314)단계에서 제2기록헤드(230)로서 모노 기록헤드가 장착되었는가를 확인한다. 만일 모노 기록헤드가 장착되었다면 CPU(206)는 (316)단계에서 제2헤드 플래그 HEAD1를 모노상태로 셋트한후 (324)단계를 수행한다. 이때 제2기록헤드(230)로서 모노 기록헤드가 장착되지 않았다면 CPU(206)는 (318)단계에서 제2기록헤드(230)로서 컬러 기록헤드가 장착되었는가를 확인한다. 만일 컬러 기록헤드가 장착되었다면 CPU(206)는 (320)단계에서 제2헤드 플래그 HEAD2를 컬러상태로 셋트한후 (324)단계를 수행한다. 이때 제2기록헤드(230)로서 컬러 기록헤드도 장착된 것이 아니라면 기록헤드가 하나도 장착되지 않은 상태, 즉 미장착상태이므로 CPU(206)는 (322)단계에서 제2헤드 플래그 HEAD2를 미장착상태로 셋트한후 (324)단계를 수행한다. 여기서 제2헤드 플래그 HEAD2는 제2기록헤드(230)의 장착 여부를 나타냄과 아울러 장착되었다면 모노 기록헤드와 컬러 기록헤드중에 어떠한 기록헤드가 장착되었는지를 나타내기 위해 사용한다.
상기 (324)단계에서 CPU(206)는 제1,제2헤드 플래그 HEAD1,HEAD2의 상태를 확인하여 둘다 미장착상태이면 통상적인 경우와 마찬가지로 에러 처리하고, 하나라도 장착상태이면 도 3에 따른 동작을 종료한다. 이후부터는 통상적인 대기모드(standby mode)를 수행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상태에서, PC(200)로부터 실제 프린트할 프린트데이터가 수신될 때 CPU(206)는 프린트데이터의 종류에 따라 도 4 또는 도 5의 흐름도에 따른 동작을 수행한다. 즉, CPU(206)는 제1,제2헤드구동부(224,228)중에 프린트데이터의 종류에 대응하는 기록헤드에 연결된 헤드구동부를 인에이블시켜 프린트데이터에 따른 화상을 프린트한후, 통상적인 대기모드를 수행한다.
상기 도 4의 흐름도는 PC(200)로부터 모노 프린트데이터가 수신될 때 모노 기록헤드 또는 컬러 기록헤드가 장착된 기록헤드에 연결된 헤드구동부를 상기 제1,제2헤드 플래그 HEAD1,HEAD2에 따른 장착 여부와 장착위치에 따라 인에이블시키고 해당 기록헤드의 프린트 시작위치를 장착위치에 대응되게 셋트한후, 모노 프린트데이터에 따른 화상을 프린트하는 과정을 보인 것이다. 먼저 CPU(206)는 (400)∼(410)단계에서 제1,제2헤드 플래그 HEAD1,HEAD2의 상태를 검사한다. 이때 만일 제1헤드 플래그 HEAD1가 모노상태이고 제2헤드 플래그 HEAD2가 컬러상태이거나 이와달리 제1헤드 플래그 HEAD1가 모노상태이고 제2헤드 플래그 HEAD2가 미장착상태라면 CPU(206)는 (412)단계를 수행한다. 상기 (412)단계에서 CPU(206)는 제1헤드구동부(224)를 인에이블시키고 제1기록헤드(226)의 프린트 시작위치를 장착위치에 대응되게 셋트한후, (414)단계에서 모노 프린트데이터에 따른 흑백 화상을 프린트한다. 즉, 모노 기록헤드가 고유의 장착위치인 제1기록헤드(226)로 장착되어 있으면 제2기록헤드(230)의 장착 여부나 종류에 관계없이 흑백 프린트가 가능하므로 정상적인 프린트를 수행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400)∼(410)단계에서 검사 결과, 제1헤드 플래그 HEAD1가 컬러상태이고 제2헤드 플래그 HEAD2가 모노상태이거나 이와달리 제1헤드 플래그 HEAD1가 미장착상태이고 제2헤드 플래그 HEAD2가 모노상태라면 CPU(206)는 (416)단계를 수행한다. 상기 (416)단계에서 CPU(206)는 제2헤드구동부(224)를 인에이블시키고 제2기록헤드(230)의 프린트 시작위치를 장착위치에 대응되게 셋트한후, 상기 (414)단계를 수행하여 모노 프린트데이터에 따른 흑백 화상을 프린트한다. 즉, 비록 모노 기록헤드가 고유의 장착위치인 제1기록헤드(226)로 장착되어 있지 않고 제2기록헤드(230)로 위치가 바뀌어 장착되어 있다해도 흑백 프린트가 가능하므로 정상적인 프린트를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400)∼(410)단계에서 검사 결과, 제1헤드 플래그 HEAD1가 컬러상태이고 제2헤드 플래그 HEAD2가 미장착상태라면 CPU(206)는 (418)단계를 수행한다. 상기 (418)단계에서 CPU(206)는 제1헤드구동부(224)를 인에이블시킴과 아울러 통상적인 혼합 블랙모드(composite black mode)로 셋트하고 제1기록헤드(226)의 프린트 시작위치를 장착위치에 대응되게 셋트한후, 상기 (414)단계를 수행하여 모노 프린트데이터에 따른 흑백 화상을 프린트한다. 이와달리 상기 (400)∼(410)단계에서 검사 결과, 제1헤드 플래그 HEAD1가 미장착상태이고 제2헤드 플래그 HEAD2가 컬러상태라면 CPU(206)는 (420)단계를 수행한다. 상기 (420)단계에서 CPU(206)는 제2헤드구동부(228)를 인에이블시킴과 아울러 혼합 블랙모드로 셋트하고 제2기록헤드(230)의 프린트 시작위치를 장착위치에 대응되게 셋트한후, 상기 (414)단계를 수행하여 모노 프린트데이터에 따른 흑백 화상을 프린트한다. 즉, 비록 모노 기록헤드가 제1,제2기록헤드(226,230)중 어느 기록헤드로도 장착되지 않았다해도 컬러 기록헤드가 제1,제2기록헤드(226,230)중 하나로서 장착되었다면 혼합 블랙모드에 의해 흑백 프린트가 가능하므로 정상적인 프린트를 하는 것이다. 상기 혼합 블랙모드는 통상적으로 컬러 기록헤드를 사용하여 흑백 프린트를 하는 모드를 말한다.
만일 상기 (400)∼(410)단계에서 검사 결과, 제1,제2헤드 플래그 HEAD1,HEAD2가 상기한 바와 같은 경우들 이외의 상태, 즉 모두 미장착이면 프린트를 할 수 없는 상태이므로 에러 처리한다.
여기서 상기한 바와 같이 제1기록헤드(226) 또는 제2기록헤드(230)의 프린트 시작위치를 셋트하는 것에 대하여 보다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만일 도 1과 같이 왼쪽에 있는 모노 캐리어(106)에 장착되는 제1기록헤드(226)로서 프린트를 한다면 매 라인마다 프린터(100)의 오른쪽부터 시작하여 왼쪽으로 이동하면서 프린트를 해야 한다. 이와달리 컬러 캐리어(108)에 장착되는 제2기록헤드(230)로서 프린트를 한다면 매 라인마다 프린터(100)의 왼쪽부터 시작하여 오른쪽으로 이동하면서 프린트를 해야 한다. 이는 모노 캐리어(106)는 왼쪽에 있고 컬러 캐리어(108)가 오른쪽에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프린트 시작위치를 셋트하는 것이다. 이때 모노 캐리어(106)에 장착되는 제1기록헤드(226)로서 프린트를 할 경우의 프린트 시작위치는 통상적인 흑백 프린트할때의 프린트 시작위치와 동일하게 셋트하면 되고, 컬러 캐리어(108)에 장착되는 제2기록헤드(230)로서 프린트를 할 경우의 프린트 시작위치는 통상적인 컬러 프린트할때의 프린트 시작위치와 동일하게 셋트하면 된다.
따라서 모노 기록헤드의 장착위치가 바뀐 경우에도 정상적인 흑백 프린트를 할 수 있으며, 컬러 기록헤드만 장착된 경우에도 컬러 기록헤드를 혼합 블랙모드로 동작시킴으로써 정상적인 흑백 프린트를 할 수 있다.
한편 상기한 바와 달리 PC(200)로부터 컬러 프린트데이터가 수신될 때 CPU(206)는 도 5의 흐름도에 따른 동작을 수행한다. 상기 도 5는 컬러 기록헤드가 장착된 기록헤드에 연결된 헤드구동부를 상기 제1,제2헤드 플래그 HEAD1,HEAD2에 따른 장착 여부와 장착위치에 따라 인에이블시키고 해당 기록헤드의 프린트 시작위치를 장착위치에 대응되게 셋트한후, 컬러 프린트데이터에 따른 화상을 프린트하는 과정을 보인 것이다. 먼저 CPU(206)는 (500)∼(506)단계에서 제1,제2헤드 플래그 HEAD1,HEAD2의 상태를 검사한다. 이때 만일 제1헤드 플래그 HEAD1가 모노상태이고 제2헤드 플래그 HEAD2가 컬러상태이거나 이와달리 제1헤드 플래그 HEAD1가 미장착상태이고 제2헤드 플래그 HEAD2가 컬러상태라면 CPU(206)는 (506)단계를 수행한다. 상기 (506)단계에서 CPU(206)는 제2헤드구동부(228)를 인에이블시키고 제2기록헤드(230)의 프린트 시작위치를 장착위치에 대응되게 셋트한후, (512)단계에서 컬러 프린트데이터에 따른 컬러 화상을 프린트한다. 즉, 컬러 기록헤드가 고유의 장착위치인 제2기록헤드(230)로 장착되어 있으면 제1기록헤드(226)의 장착 여부나 종류에 관계없이 컬러 프린트가 가능하므로 정상적인 프린트를 수행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500)∼(506)단계에서 검사 결과, 제1헤드 플래그 HEAD1가 컬러상태이고 제2헤드 플래그 HEAD2가 모노상태이거나 이와달리 제1헤드 플래그 HEAD1가 컬러상태이고 제2헤드 플래그 HEAD2가 미장착상태라면 CPU(206)는 (510)단계를 수행한다. 상기 (510)단계에서 CPU(206)는 제1헤드구동부(224)를 인에이블시키고 제1기록헤드(226)의 프린트 시작위치를 장착위치에 대응되게 셋트한후, 상기 (512)단계를 수행하여 컬러 프린트데이터에 따른 컬러 화상을 프린트한다. 즉, 비록 컬러 기록헤드가 고유의 장착위치인 제2기록헤드(230)로 장착되어 있지 않고 제1기록헤드(226)로 위치가 바뀌어 장착되어 있다해도 컬러 프린트가 가능하므로 정상적인 프린트를 하는 것이다.
만일 상기 (500)∼(506)단계에서 검사 결과, 제1,제2헤드 플래그 HEAD1,HEAD2가 상기한 바와 같은 경우들 이외의 상태, 즉 모두 미장착상태이거나 모노 기록헤드만 장착되어 있으면 컬러 프린트가 불가능하므로 에러 처리한다.
따라서 컬러 기록헤드의 장착위치가 바뀐 경우에도 정상적인 컬러 프린트를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모노 기록헤드와 컬러 기록헤드의 위치가 바뀌어 장착되어도 항상 정상적인 프린트를 할 수 있고 그에따라 사용자가 기록헤드를 항상 고정된 위치에 장착해야하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또한 모노 기록헤드와 컬러 기록헤드중에 하나라도 장착되고 그의 연결상태가 양호할 경우에도 정상적인 흑백 프린트를 할 수 있다.

Claims (11)

  1. 고유의 장착위치에 각각 장착되는 제1,제2기록헤드를 사용하여 프린트를 하는 이중헤드 잉크 젯트 프린터의 프린트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제2기록헤드중 하나로 각각 장착되는 모노 기록헤드와 컬러 기록헤드의 장착위치를 미리 확인하고, 호스트 컴퓨터로부터 프린트데이터가 수신될 때 상기 제1,제2기록헤드중에 상기 프린트데이터의 종류에 대응하는 기록헤드를 사용하여 상기 프린트데이터에 따른 화상을 프린트함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트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린트데이터의 종류에 대응하는 기록헤드에 연결된 헤드구동부를 인에이블시키고 해당 기록헤드의 프린트 시작위치를 장착위치에 대응되게 셋트하여 상기 프린트데이터에 따른 화상을 프린트함을 특징으로 프린트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린트데이터가 모노 프린트데이터일 경우 상기 모노 기록헤드가 장착된 기록헤드에 연결된 헤드구동부를 인에이블시키고, 상기 프린트데이터가 컬러 프린트데이터일 경우 상기 컬러 기록헤드가 장착된 기록헤드에 연결된 헤드구동부를 인에이블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트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모노 기록헤드와 컬러 기록헤드의 장착위치를 상기 프린터의 초기화동작시 검사하여 확인함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트방법.
  5. 고유의 장착위치에 각각 장착되는 제1,제2기록헤드를 하나씩 대응되게 연결되는 제1,제2헤드구동부를 구비한 이중헤드 잉크 젯트 프린터의 프린트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제2기록헤드중 하나로 각각 장착되는 모노 기록헤드와 컬러 기록헤드의 장착 여부와 장착위치를 미리 확인하는 장착 확인과정과,
    상기 호스트 컴퓨터로부터 모노 프린트데이터가 수신될 때, 상기 모노 기록헤드가 장착된 기록헤드에 연결된 헤드구동부를 상기 장착 여부와 장착위치에 따라 인에이블시키고 해당 기록헤드의 프린트 시작위치를 장착위치에 대응되게 셋트한후, 상기 모노 프린트데이터에 따른 화상을 프린트하는 흑백 프린트과정과,
    상기 호스트 컴퓨터로부터 컬러 프린트데이터가 수신될 때, 상기 컬러 기록헤드가 장착된 기록헤드에 연결된 헤드구동부를 상기 장착 여부와 장착위치에 따라 인에이블시키고 해당 기록헤드의 프린트 시작위치를 장착위치에 대응되게 셋트한후, 상기 컬러 프린트데이터에 따른 화상을 프린트하는 컬러 프린트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프린트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흑백 프린트과정이, 상기 모노 기록헤드가 미장착된 경우에는 상기 컬러 기록헤드가 장착된 기록헤드에 연결된 헤드구동부를 상기 장착 여부와 장착위치에 따라 인에이블시키며 혼합 블랙모드로 셋트하고 해당 기록헤드의 프린트 시작위치를 장착위치에 대응되게 셋트한후, 상기 모노 프린트데이터에 따른 화상을 프린트함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트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흑백 프린트과정이,
    상기 제1기록헤드가 상기 모노 기록헤드로 장착되어 있으면 상기 제2기록헤드와 관계없이 상기 제1헤드구동부를 인에이블시키는 과정과,
    상기 제2기록헤드가 상기 모노 기록헤드로 장착되어 있으면 상기 제1기록헤드와 관계없이 상기 제2헤드구동부를 인에이블시키는 과정과,
    상기 제1기록헤드가 상기 컬러 기록헤드로 장착되어 있고 상기 제2기록헤드가 미장착상태이면 상기 제1헤드구동부를 인에이블시키는 과정과,
    상기 제2기록헤드가 상기 컬러 기록헤드로 장착되어 있고 상기 제1기록헤드가 미장착상태이면 상기 제2헤드구동부를 인에이블시키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트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컬러 프린트과정이,
    상기 제1기록헤드가 상기 컬러 기록헤드로 장착되어 있으면 상기 제2기록헤드와 관계없이 상기 제2헤드구동부를 인에이블시키는 과정과,
    상기 제2기록헤드가 상기 컬러 기록헤드로 장착되어 있으면 상기 제1기록헤드와 관계없이 상기 제1헤드구동부를 인에이블시키는 과정과,
    상기 제1,제2기록헤드가 모두 상기 컬러 기록헤드 미장착상태이면 에러처리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트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 확인과정이, 상기 프린터의 초기화동작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트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 확인과정에서 상기 제1,제2기록헤드가 모두 장착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될 경우 에러 처리하는 과정을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트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미장착상태가, 해당 기록헤드가 실제로 장착되지 않았거나 해당 기록헤드와 헤드구동부간을 연결하는 헤드 연결장치에 이상이 있는 상태임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트방법.
KR1019960037910A 1996-09-02 1996-09-02 이중헤드 잉크 젯트 프린터의 프린트방법 KR1001866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37910A KR100186623B1 (ko) 1996-09-02 1996-09-02 이중헤드 잉크 젯트 프린터의 프린트방법
EP97306748A EP0829367A2 (en) 1996-09-02 1997-09-02 Printing method of a dual head ink-jet print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37910A KR100186623B1 (ko) 1996-09-02 1996-09-02 이중헤드 잉크 젯트 프린터의 프린트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9702A true KR19980019702A (ko) 1998-06-25
KR100186623B1 KR100186623B1 (ko) 1999-05-15

Family

ID=194725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37910A KR100186623B1 (ko) 1996-09-02 1996-09-02 이중헤드 잉크 젯트 프린터의 프린트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EP (1) EP0829367A2 (ko)
KR (1) KR10018662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3086B1 (ko) * 1997-08-07 2005-08-31 삼성전자주식회사 모노기록헤드와컬러기록헤드를동시에장착하여사용하는잉크젯프린터에서프린트제어장치및방법
KR100916139B1 (ko) * 2009-04-28 2009-09-08 이상진 전자발광 인쇄부와 칼라 그래픽 인쇄부를 순차 프린팅하는 대형 잉크젯 프린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3086B1 (ko) * 1997-08-07 2005-08-31 삼성전자주식회사 모노기록헤드와컬러기록헤드를동시에장착하여사용하는잉크젯프린터에서프린트제어장치및방법
KR100916139B1 (ko) * 2009-04-28 2009-09-08 이상진 전자발광 인쇄부와 칼라 그래픽 인쇄부를 순차 프린팅하는 대형 잉크젯 프린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829367A2 (en) 1998-03-18
KR100186623B1 (ko) 1999-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78699B2 (en) Enhanced printer reliability using extra print module
US7699427B2 (en) Detection of a print recording material reservoir
EP1717041B1 (en) Access to printing material container
US7137684B2 (en) Inkjet printer having arbitrarily mounted cartridge and method of recognizing the cartridge
JP2914921B2 (ja) ホーム位置検出装置及びホーム位置検出方法
KR100212992B1 (ko) 잉크 젯트 프린터의 잉크 카트리지 상태 검출방법
US7036903B2 (en) Inkjet printer checking nozzle and providing abnormal nozzle information and method thereof
KR19980021887A (ko) 다중 프린트 헤드가 장착된 잉크 제트 프린터의 인자 방법
US20030142158A1 (en) Inkjet printer and printing system thereof and method of compensating for deteriorated nozzle
KR19980019702A (ko) 이중헤드 잉크 젯트 프린터의 프린트방법
KR100186624B1 (ko) 이중헤드 잉크 젯트 프린터의 프린트 제어방법
KR100493086B1 (ko) 모노기록헤드와컬러기록헤드를동시에장착하여사용하는잉크젯프린터에서프린트제어장치및방법
JPH11115223A (ja) 印刷装置
JP3434410B2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2003341183A (ja) プリンタシステム
KR100186591B1 (ko) 착탈식 스캐너 잉크제트 기록장치 및 그에 따른 스캐너장착운용방법
CN1180018A (zh) 双头喷墨打印机的打印方法
JP2002347225A (ja) 記録装置及び記録方法
JPH06336030A (ja) インクカートリッジ及びこれを用いた記録装置
JP3618990B2 (ja) 記録装置
JPH09234861A (ja) インクジェット方式画像形成装置
JP2003251824A (ja) プリンタおよびプリンタの制御方法
JPH07314784A (ja) プリンタ
KR19980040810A (ko) 컬러 잉크 젯트 프린터의 색 분해 인쇄방법
JPH05221051A (ja) 情報出力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129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