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18599U - 회전방향 조명식 전조등 - Google Patents

회전방향 조명식 전조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18599U
KR19980018599U KR2019960032011U KR19960032011U KR19980018599U KR 19980018599 U KR19980018599 U KR 19980018599U KR 2019960032011 U KR2019960032011 U KR 2019960032011U KR 19960032011 U KR19960032011 U KR 19960032011U KR 19980018599 U KR19980018599 U KR 1998001859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ttached
headlight
reflector
pin
vertical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3201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성연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2019960032011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18599U/ko
Publication of KR1998001859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18599U/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60Q1/0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 B60Q1/0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adjustable, e.g. remotely-controlled from inside vehicle
    • B60Q1/08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adjustable, e.g. remotely-controlled from inside vehicle automatically
    • B60Q1/1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adjustable, e.g. remotely-controlled from inside vehicle automatically due to steering position
    • B60Q1/12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adjustable, e.g. remotely-controlled from inside vehicle automatically due to steering position by mechanical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017Devices integrating an element dedicated to another function
    • B60Q1/0023Devices integrating an element dedicated to another function the element being a sensor, e.g. distance sensor, camera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6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a variable light distribution
    • F21S41/67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a variable light distribution by acting on reflectors
    • F21S41/675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a variable light distribution by acting on reflectors by moving refle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2200/00Special features or arrangements of vehicle headlamps
    • B60Q2200/30Special arrangements for adjusting headlamps, e.g. means for transmitting the movements for adjusting the lamps
    • B60Q2200/36Conjoint adjustments, i.e. a mechanical link allows conjoint adjustment of several un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2300/00Indexing codes for automatically adjustable headlamps or automatically dimmable headlamps
    • B60Q2300/10Indexing codes relating to particular vehicle conditions
    • B60Q2300/12Steering parameters
    • B60Q2300/122Steering ang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02/00Exterior vehicle lighting devices for illuminating purpo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07/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n or in particular types of vehicles
    • F21W2107/1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n or in particular types of vehicles for land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회전방향 조명식 전조등에 관한 것으로, 반사경(12)에 세로방향으로 부착된 회전축(13)과, 상기 회전축(13)에 핀(19)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는 수평로드(15)와, 상기 수평로드(15)에 핀(16)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는 수직로드(17)와, 작동아암(14')이 상기 수직로드(17)에 연결되어 있고, 몸체(14)는 케이스(9)에 고정되어 있으며, 자동차의 핸들에 부착된 센서(30)의 감지신호에 따라 작동되는 액츄에이터(14)로 구성되어 자동차의 회전시 회전하려는 방향을 비추어줄 수 있어 운전자의 시야를 넓게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회전방향 조명식 전조등
본 고안은 회전방향 조명식 전조등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의 좌 우 회전시 회전하는 방향으로 전조등 빛을 비추어 운전자의 시야확보를 도울수 있는 회전방향 조명식 전조등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전방에는 야간시 전방을 조명하기 위한 전조등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전조등은 전조등케이스 내부에 반사경이 설치되어 있고 아울러 전구 및 랜즈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기존의 전조등은 빛의 진행방향을 좌우로 조절 할 수 없어 가로등이 없는 매우 어두운 곳에서는 자동차의 좌 우 회전시 회전하는 방향의 전방이 어두워 운전자의 시야확보가 곤란한 문제점이 있었다. 즉, 전조등의 조명방향은 자동차의 직전방만을 향하게 되므로 굽은길에서 자동차의 회전하려는 방향은 조명이 비추어지지 않아 마주오는 차량과의 전방 추돌사고의 위험성이 있었다.
따라서,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들은 자동차의 회전시 전조등이 회전하려는 방향을 비추어주도록하여 운전자가 안전운행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의 개발에 대하여 고심하여 왔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반사경의 세로방향으로 부착된 축에 액츄에이터를 연결하여 상기 액츄에이터는 자동차 핸들에 부착된 센서가 회전방향을 감지하여 그 신호가 인가됨에 따라 작동되도록 함으로써, 자동차의 회전시 전조등이 회전하려는 방향을 비추어줄 수 있도록 하는 장치를 개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회전방향 조명식 전조등의 평면 구성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회전방향 조명식 전조 등의 반사경에 연결되는 부품들의 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굽은길에서의 전조등의 조명방향을 보여주는 평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빛의 진행방향 12: 반사경
13: 회전축 14:액츄에이터 본체
15: 수직로드 16, 19: 핀
17: 수평로드 20: 액츄에이터
이같은 목적은 본 고안에 의해 해결되는 바, 본 고안에 따르면, 케이스 내부에 반사경이 장착되어 있고, 상기 반사경의 중앙부분에 전구가 부착되어 있는 자동차의 전조등에 있어서, 상기 반사경에 세로방향으로 부착된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핀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는 수평로드와, 상기 수평로드에 핀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는 수직로드와, 작동아암이 상기 수직로드에 연결되어 있고, 몸체는 상기 케이스에 고정되어 있으며, 자동차의 핸들에 부착된 센서의 감지신호에 따라 작동되는 액츄에이터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방향 조명식 전조등이 제공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로 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회전방향 조명식 전조등의 평면 구성도이다. 전조등의 케이스(9) 내부에는 반사경(12)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반사경(12) 내부의 중앙부분에는 전구(미도시)가 부착되어 있음은 자명하다. 상기 반사경(12)은 자동차의 전방 양측에 각각 형성되어 있되 상기 반사경(12)의 세로변을 따라 회전축(13)이 부착되며,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회전축(13)의 상 하단부는 각각 케이스(9)의 상 하부의 소정부위에 형성되어 있는 구멍(미도시)에 삽입되어 회전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회전축(13)에는 수직로드(15)가 핀(19)에 의하여 회동가능하게 부착되어 있고, 상기 수직로드(15)에는 수평로드(17)가 또한 핀(16)에 의하여 연결되어있다. 상기 수평로드(17)는 액츄에이터(20)의 작동아암(14')에 연결부재(18)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다.
상기 액츄에이터(20)의 몸체(14)는 상기 전조등 케이스(9)의 소정위치에 고정되어 있으며, 자동차의 핸들에 부착된 센서(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어 상기 센서(30)의 감지신호에 따라 작동된다.
따라서, 상기 액츄에이터(14)의 작동으로 상기 반사경(12)은 상기 회전축(13)을 중심으로 움직이게 되어 평상시에는 반사경(12)이 실선부분에 위치하고 전조등을 켠 상태에서 운전자가 핸들을 조향 함에 따라 상기 반사경(12)은 좌(우)의 점선부분으로 회전된다. 따라서, 좌(우)회전시 전구의 빛은 좌(우)측을 향하여 각각 나아가게 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회전방향 조명식 전조 등의 반사경에 연결되는 부품들의 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다. 반사경(12)에 세로방향으로 축(13)이 연결된다. 이때 접착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축(13)과 수직로드(15)의 일단은 상호 핀(19)에 의하여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수직로드(15)의 타단은 수평로드(17)와 핀(16)에 의하여 연결된다.
또한, 상기 수직로드(17) 역시 작동아암(14')과 연결부재(18)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는바, 상기 연결부재(18)에는 두 개의 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그 구멍에 핀이 삽입됨으로써 상기 수직로드(17)와 작동아암(14')이 견고히 연결되었다.
도 3은 본고안에 따른 회전방향 조명식 전조등이 장착된 차량의 좌회전시의 빛방향을 도시한 도면이다. 즉, 좌회전시 운전자가 핸들을 시계반대방향으로 돌리게되면 상기 핸들에 부착된 센서가 그 회전의 정도를 인지하여 반사경이 회전되도록 함으로써, 전방추돌 사고의 위험성을 감소시켰다. 이는 좌측으로 진행되는 방향의 시야가 전조등에 반사된 빛에 의하여 밝게 확보 되기 때문이다.
결국, 본 고안에 따른 회전방향 조명식 전조등이 차량에 설치되는 경우에 자동차의 회전시 회전하려는 방향을 비추어줄 수 있어 운전자의 시야를 넓게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예 및 수정예를 실시할 수 있을 것으로 이해된다.

Claims (1)

  1. 케이스 내부에 장착되어 있는 반사경의 중앙에 전구가 부착되어 있는 자동차의 전조등에 있어서, 상기 반사경(12)에 세로방향으로 부착된 회전축(13)과, 상기 회전축(13)에 핀(19)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는 수평로드(15)와, 상기 수평로드(15)에 핀(16)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는 수직로드(17)와, 작동아암(14')이 상기 수직로드(17)에 연결되어 있고, 몸체(14)는 상기 케이스(9)에 고정되어 있으며, 자동차의 핸들에 부착된 센서(30)의 감지신호에 따라 작동되는 액츄에이터(2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방향 조명식 전조등.
KR2019960032011U 1996-09-30 1996-09-30 회전방향 조명식 전조등 KR19980018599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32011U KR19980018599U (ko) 1996-09-30 1996-09-30 회전방향 조명식 전조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32011U KR19980018599U (ko) 1996-09-30 1996-09-30 회전방향 조명식 전조등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8599U true KR19980018599U (ko) 1998-07-06

Family

ID=539778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32011U KR19980018599U (ko) 1996-09-30 1996-09-30 회전방향 조명식 전조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18599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6745B1 (ko) * 2006-06-16 2007-11-19 에스엘 주식회사 주광 조사 방향 및 추가광 측면 조사 방향을 자동 조절하는램프 어셈블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6745B1 (ko) * 2006-06-16 2007-11-19 에스엘 주식회사 주광 조사 방향 및 추가광 측면 조사 방향을 자동 조절하는램프 어셈블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288069B1 (en) Vehicle headlight
US7520646B2 (en) Lighting direction control apparatus
US4943895A (en) Retractable headlamp assembly
KR19980018599U (ko) 회전방향 조명식 전조등
JPH01309838A (ja) 車輛用灯具
JPH01127466A (ja) 二輪車用ヘッドライト
KR100311953B1 (ko) 차량의주행방향보조조명등
KR100204701B1 (ko) 차량전조등의 조사각확대장치
KR0165794B1 (ko) 자동차용 보조 조명장치
KR19980039467U (ko) 헤드램프의 상,하 각도 조절장치
JPH0227445Y2 (ko)
KR0166300B1 (ko) 자동차의 전조등 빔 각도 조절장치
KR880003998Y1 (ko) 조사(照射)방향이 조절되는 자동차용 전조등
KR0132475Y1 (ko) 차량의 중앙구비식 회동형 헤드램프
KR100241933B1 (ko) 자동차용 헤드 램프의 각도 조절장치
KR19990002251U (ko) 자동차의 사이드미러
KR100231665B1 (ko) 수평조사각이 조정되는 자동차의 헤드 램프 조립체
KR19980045704A (ko) 자동차의 조향방향에 따른 헤드램프의 점등장치
KR950008720Y1 (ko) 자동차의 측방향용 보조라이트장치
KR200207686Y1 (ko) 자동차 전조등의 각도조절장치
KR100228110B1 (ko) 이중 광학 프리즘을 이용한 빔각도 조절장치
KR0113599Y1 (ko) 자동차의 스티러링휠의 작동시 안개등 연동장치
KR910006270Y1 (ko) 자동차의 중간전조등장치
KR19980022351U (ko) 회전방향 조명식 전조등
JP2002260415A (ja) 車両用前照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