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18545A - 컨버터블용 방풍 스크린 - Google Patents

컨버터블용 방풍 스크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18545A
KR19980018545A KR1019970038042A KR19970038042A KR19980018545A KR 19980018545 A KR19980018545 A KR 19980018545A KR 1019970038042 A KR1019970038042 A KR 1019970038042A KR 19970038042 A KR19970038042 A KR 19970038042A KR 19980018545 A KR19980018545 A KR 199800185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 bar
screen
latch
central portion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380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78431B1 (ko
Inventor
쿠르트 페르트너
베른트 쉬타들러
Original Assignee
주르겐 헤르만
독토르 잉그.에이치.씨.에프. 포르세 악티엔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DE1996132352 external-priority patent/DE19632352B4/de
Application filed by 주르겐 헤르만, 독토르 잉그.에이치.씨.에프. 포르세 악티엔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주르겐 헤르만
Publication of KR199800185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185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84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8431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7/00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 B60J7/22Wind deflectors for open roofs
    • B60J7/223Wind deflectors for open roofs specially adapted for convertible c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3Roll-over prot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3Roll-over protection
    • B60R2021/132Roll bars for convertible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 Operating, Guiding And Securing Of Roll- Type Closing Members (AREA)

Abstract

수직한 창유리에 의해 형성된 방풍 스크린의 중앙부는 적어도 하나의 하부 플러그 접속부에 의해 그리고 서로 격리된 상부 래치 접속부에 의해 롤 바아 상에 작동 위치로 유지된다. 중앙부는 래치 접속부의 스프링 부하 래치 레버가 자유로이 피봇될 때 까지 롤 바아로부터 해제될 수 없다.

Description

컨버터블용 방풍 스크린
본 발명은 청구항 1의 전제부에 따른 컨버터블용 방풍 스크린에 관한 것이다.
독일 특허 출원 제195 34 584.3호는 고정식 롤 바아에 체결 가능한 컨버터블용 다부품 방풍 스크린에 대해 기재되어 있다.
직립 창유리로 된 방풍 스크린의 중앙부는 적어도 하나의 플러그 접속부 및/또는 래치 접속부에 의해 롤 바아 상에 위치 고정 유지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특히 운전 중에 롤 바아로부터 중앙부가 부주의하게 해제되지 않게 하면서 중앙부가 간단한 방식으로 안착 위치로부터 삽입될 수 있도록 방풍 스크린의 중앙부의 마운팅을 개량하는 것이다.
도1은 롤 바아에 부착된 다부품 방풍 스크린을 가진 무개 차량(컨버터블)의 고정식 롤 바아의 후방 사시도.
도2는 방풍 스크린의 중앙부와 롤 바아 사이의 하부 플러그 접속부의 도1의 Ⅱ-Ⅱ선에 따른 단면도.
도3은 도1의 X 부분의 확대 상세도로서, 방풍 스크린의 중앙부와 롤 바아 사이의 상부 래치 접속부와 래치 접속부의 래치 레버가 로킹 위치에 있는 것을 도시한 도면.
도4는 도3에 대응하지만 래치 접속부가 해제되는 해제 위치로 래치 레버를 피봇시킨 경우를 도시한 도면.
도5는 도3의 Ⅴ-Ⅴ선에 따른 단면 확대도.
도6은 롤 바아 상에 장착된 해제 가능한 래치 접속부의 클립 브래킷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전방 시트
2 : 롤 바아
3 : 방풍 스크린
5 : 관형부
8, 9 : 바아부
13 : 중앙부
21 : 하부 플러그 접속부
22 : 상부 래치 접속부
26 : 프레임
27 : 스프링 부하 래치 레버
28 : 베어링 요소
29 : 수납부
30 : 베어링부
본 발명에 따르면, 이 목적은 청구항 1의 특징부에 의해 성취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또다른 특징 구성은 종속항에 기술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주된 장점은 방풍 스크린 중앙부의 간단한 삽입과 로킹이 하나의 하부 플러그 접속부와 2개의 상부 래치 접속부에 의해 제공된다는 사실이다. 해제 가능한 래치 접속부의 스프링 부하 래치 레버에 의해서 중앙부는 래치 레버가 수동식으로 자유 선회된 후에만 해제될 수 있도록 보장된다. 하부 플러그 접속부는 중앙부를 롤 바아 상에 미리 고정시킨다. 그 다음의 전방 피봇 운동에 의해 중앙부는 클립 브래킷에 자동적으로 걸리게 된다. 이것은 부적합한 이용을 방지하는 고도의 안전을 제공한다. 핀을 위한 수납부 내에 제공된 스프링 요소는 마운트가 덜거덕 거리지 않게 한다. 클립 브래킷과 프레임 상에 제공된 래치 접속부의 구성 부분은 스타일링 면에서 하나의 완전한 유니트를 형성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으며, 이하에 상술하기로 한다.
무개 2석 차량(컨버터블)은 상세히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전방 시트(1) 후방에 배치된 고정식 롤 바아(2)를 구비하고 있으며, 이 롤 바아(2) 상에는 전방 시트(1)에 착석한 승객을 후방으로부터 개입되고 머리와 목에 불쾌감을 주는 난기류로부터 보호하는 방풍 스크린(3)이 장착되어 있다.
직립 지지부에 의해 차량 플로어에 고정된 롤 바아(2)는 대략 차량 벨트 라인(4)의 높이에서 차량의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관형부(5)를 갖고 있고, 상기 관형부는 도시한 실시예에서 약간 만곡되어 있다. 외부 측방 영역(6, 7)에서, 상방 돌출하는 두 개의 바아부(8, 9)는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관형부(5)로부터 멀리 연장된다. 각 바아부(8, 9)는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관형부(5)의 일부 영역과 함께 개구(10, 11)의 경계를 이룬다. 차량의 중앙 종방향 평면(A-A)에 마주보는 바아부(8, 9)의 영역과 관형부(5)의 중앙 영역은 상부가 개방된 롤 바아(2)의 부분(12)을 형성한다.
방풍 스크린(3)은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며 중앙부(13)와 두 개의 측부(14, 15)로 구성되고, 상기 측부(14, 15)는 바아부(8, 9)의 개구(10, 11)에 삽입되고 중앙부(13)는 롤 바아(2)의 부분(12)에 삽입된다.
중앙부(13)는 롤 바아(2)와 해제 가능하게 접속된 투명 수직 창유리(19)에 의해 형성된다. 중량 문제를 감안해서, 창유리(19)는 적당한 플라스틱(플렉시 글라스(상표명))로 제작하는 것이 적합하며, 창유리(19)는 스크래치 방지 코팅 및/또는 틴팅을 실시할 수 있다. 그러나, 창유리(19)는 유리로 제작할 수도 있다.
홈이 형성된 프레임(26)은 창유리(19)의 하단부 및/또는 외부 측방에 제공된 창유리(19)의 두 상단부 상에 제공되며, 상기 프레임은 접착, 클리핑 등에 의해 삽입된 창유리(19)에 견고하게 연결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프레임(26)은 단일 플라스틱 부품으로 형성된다. 그러나, 알루미늄, 고무 등으로 제작할 수도 있다.
방풍 스크린(3)의 중앙부(13)는 적어도 하나의 하부 플러그 접속부(21)와 서로 격리된 두 개의 상부 래치 접속부(22)에 의해 롤 바아(2) 상의 작동 위치(B)에 유지되며, 상기 중앙부(13)는 래치 접속부(22)의 스프링 부하 래치 레버(27)를 수동으로 자유로이 피봇시킨 후에만 롤 바아(2)로부터 다시 해제 가능해진다.
상기 실시예에서 차량의 대략 종방향 중앙 평면(A-A) 부근에 제공된 하부 플러그 접속부(21)는 베어링 요소(28)와 그에 상호 작용하는 수납부(29)를 포함하고 있다. 베어링 요소(28)는 롤 바아(2)의 횡단 관형부(5) 상에, 특히 그 상측에 배치되어 있다. 도2에 따르면, 베어링 요소(28)는 대략 반원형이고 상향 돌출하는 베어링부(30)를 갖고 있으며, 상기 부분은 방풍 스크린 중앙부(13) 장착시에 차량의 횡방향으로 연장되고 홈 형태로서 대응 설계된 프레임(26)의 수납부(29)와의 실제적인 접속을 형성한다. 베어링부(30)와 수납부(29)는 중앙부(13)의 조립 중에 약간(약 15°±5°)의 피봇 이동이 가능하도록 설계된다.
플라스틱으로 제작된 베어링 요소(28)는 부분 코팅되고 리벳팅된 탭(31)을 갖고 있으며, 리벳팅된 탭(31)의 하향 돌출하는 미코팅 부분은 (예를 들어 리벳에 의해) 관형부(5)의 직립벽(32)에 체결된다. 그러나, (동력학적으로 역으로) 베어링 요소(28)는 프레임(26)에, 그리고 수납부(29)는 롤 바아(2)에 부속될 수도 있다.
도면에 도시한 중앙부(13)는 상부로부터 또는 후방으로부터 비스듬히 조립 중에 장착되며 상기 수납부(29)는 돌출하는 베어링부(30) 상(제거 또는 장착 위치(C))에 놓인다. 하부 플러그 접속부(21)가 제작된(예비 마운팅된) 후에, 중앙부(13)는 중앙부(13)가 상부 래치 접속부(22)를 결합하도록 자동 래치될(작동 위치(B)) 때 까지 하부 베어링 요소(28) 주위에서 전방으로 피봇된다. 도2에서, 작동 위치(B)는 실선으로 도시하였고 제거 또는 장착 위치(C)는 일점 쇄선으로 도시하였다.
각 래치 접속부(22)는 롤 바아(2)의 결합 바아부(8, 9)에 체결된 클립 브래킷(33)을 포함하며, 상기 클립 브래킷은 중앙부(13)가 장착되었을 때 프레임(26)의 주조된 핀(34) 및 피봇 가능한 스프링 부하 래치 레버(27)와 상호 작용하도록 장착된다.
대략 수평으로 배향되고 차량의 횡단 방향으로 연장되며 중앙부(13) 장착시에 프레임(26)과 일체로 된 각각의 핀(34)은 클립 브래킷(33)의 상부 수납부(35)로 돌출하며 상기 수납부는 한 쪽이 개방되어 있고 스프링 요소(36)와 실제적인 접속을 형성한다(도5). 결국, 중앙부(13)가 삽입된 후의 덜걱거림이 방지된다. 수납부(35)의 개방측은 차량의 주행 방향과는 대향하여 연장된다. 도5에 도시한 스프링 요소(36)는 플라스틱으로 된 클립 브래킷(33)의 상부 수납부(35)와 일체로 되어 있고 리브(37)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리브는 내향 돌출하여 스프링 장력을 제공하고, 상기 리브는 또 예비 인장을 가지고 핀(34)의 일부와 맞닿는다. 그러나, 스프링 요소(36)는 스프링 강으로 제작된 별도의 부품에 의해 형성되고 수납부(35)에 클립될 수도 있다(상세히 도시하지는 않음).
상부 수납부(35) 하방에서, 수직 연장되고 그 전방에 삽입 베벨부(39)를 갖는 언더컷 수납 홈(38)은 클립 브래킷(33) 상에 제공되어 있고, 스프링 장력 래치 레버(27)는 후방 아래로 개방된 언더컷 수납 홈(38)에 결합할 때 까지 중앙부가 전방으로 피봇됨에 따라 삽입 베벨부(39)를 따라 하향 슬라이딩한다.
이 공정 중에, 래치 레버(27)의 강제 측부 편향이 발생한다.
스프링 부하 래치 레버(27)는 프레임(26) 상에 장착되고 회전축(40) 주위로 자유로이 피봇할 수 있고, 로킹 위치(D)로부터 해제 위치(E)로 그리고 그 반대로 이동될 수 있다. 이 스프링은 상세히 도시하지 않았지만, 로킹 위치(D)의 방향으로 래치 레버(27)를 압박한다.
래치 레버(27)는 전방 시트(1)로부터 격리 대향된 방풍 스크린(3)의 측부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래치 접속부(22)는 안착 위치로부터 해제될 수 없다. 래치 연결부(22)를 해제하기 위해서는 양 래치 레버(27)는 스프링의 작용에 반하여 로킹 위치(D)로부터 수납 홈(38)으로부터 분리되는 해제 위치(E)로 피봇시켜야 한다. 이렇게 해야 중앙부(13)는 동작 위치(B)로부터 도2에 도시한 위치(C)로 후방으로 피봇될 수 있다. 클립 브래킷(33)과 래치 접속부(22)의 구성 부분은 스타일링 면에서 완전한 유니트를 형성한다. 도5에 따르면, 클립 브래킷(33)은 리벳 탭(41)에 의해(예를 들어 리벳팅에 의해)롤 바아(2)에 체결된다.
도3 내지 도5에 따르면 래치 레버(27)는 후방 핸들부(42)와 수납 홈(38)에 작동 접속된 래치 설부(43)로 구성된다. 래치 설부(43)는 핸들부(42)와 일체로 제작되며 그에 대략 평행으로 배열된다.
중앙부(13)가 삽입될 때 삽입 베벨부(39)와 상호 작용하는 래치 설부 부분은 만곡형상을 이룬다.
본 발명에 의해 성취되는 주된 이점은 방풍 스크린의 중앙부의 간단한 삽입 및 로킹이 하나의 하부 플러그 접속부와 두 개의 상부 래치 접속부에 의해 제공된다는 점이다. 해제 가능한 래치 접속부의 스프링 부하를 받는 래치 레버로 인해 중앙부는 래치 레버가 수동으로 자유 선회된 후에만 제거될 수 있게 보장해준다. 하부 플러그 접속부는 중앙부를 종래의 방식으로 롤 바아에 고정한다. 피봇 운동방향을 향해 더욱 이동하게 되면 중앙부는 자동으로 클립 브래킷에 래치된다. 이렇게 되면 부정 사용을 방지하는 극도의 신뢰도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핀을 위한 수납부에 제공된 스프링 요소들은 마운트가 흔들리지 않게 해 준다. 프레임에 제공된 클립 브래킷과 래치 접속부의 부품들은 스타일링 면에서 완성된 유니트를 형성한다.

Claims (10)

  1. 고정 롤 바아(2)를 구비하고, 롤 바아(2) 상의 직립 작동 위치(B)에서 로크 가능하며, 상기 롤 바아(2)는 차량의 횡방향으로 연장되고 대략 차량 벨트 라인(4) 높이에서 연장되며 관형부(5)를 구비하고, 상기 관형부(5)로부터 상향 돌출하는 바아부(8, 9)가 외부 측부 영역(6, 7)에서 수렴되도록 구성되고, 중앙부(13)와 두 개의 측부(14, 15)로 구성되고 측부(14, 15)는 바아부(8, 9)의 개구(10, 11)로 삽입되고 중앙부(13)는 바아부(8, 9)와 횡단 연장하는 관형부(5)에 의해 한정된 롤 바아(2)의 부분(12)으로 삽입되는 독일 특허 출원 제195 34 584.3호에 따른 컨버터블용 방풍 스크린(3)에 있어서,
    투명 수직 창유리(19)로 형성된 방풍 스크린(3)의 중앙부(13)는 적어도 하나의 하부 플러그 접속부(21)와 롤 바아(2) 상의 상기 스크린의 작동 위치(B)에서 서로 격리된 상부 래치 접속부(22)들에 의해 제 위치에 유지되고, 중앙부(13)는 래치 접속부(22)의 스프링 부하 래치 레버(27)를 피봇시킨 후에만 롤 바아(2)로부터 해제 위치로 해제될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풍 스크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플러그 접속부(21)는 베어링 요소(28)와 그에 상호 작용하는 수납부(29)에 의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풍 스크린.
  3. 제2항에 있어서, 베어링 요소(28)는 횡단 연장하는 롤 바아(2)의 관형부(5) 상에 배치되고 수납부(29)는 창유리(19)의 프레임 상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풍 스크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베어링 요소(28)는 수직 상향 돌출되며 대략 반원형인 베어링부(30)를 가지며, 상기 베어링부(30)는 방풍 스크린 중앙부(13) 장착시에 대응하는 홈형 수납부(29)와 작동 연결되고, 베어링부(30)와 수납부(29)는 장착 중에 중앙부(13)의 제한된 피봇 운동이 가능하도록 설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풍 스크린.
  5. 제1항에 있어서, 각 상부 래치 접속부(22)는 롤 바아(2)의 결합하는 바아부(8, 9) 상에 클립 브래킷을 포함하고, 상기 클립 브래킷은 중앙부(13) 장착시에 주조된 핀(34) 및 프레임(26)의 스프링 부하 래치 레버(27)가 상호 작용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풍 스크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핀(34)은 클립 브래킷(33)의 한 쪽이 개방된 수납부(35)로 돌출되고 스프링 요소(36)와 작동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풍 스크린.
  7. 제6항에 있어서, 스프링 요소(36)는 플라스틱으로 제작된 클립 브래킷(33)의 수납부(35)와 일체로 제작되며, 굽힘 인장 리브(37)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풍 스크린.
  8. 제5항에 있어서, 스프링 부하 래치 레버(27)는 프레임(26) 상에 피봇 가능하게 장착되며 중앙부(13) 장착시에 클립 브래킷(33)의 언더컷 수납 홈(38)에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풍 스크린.
  9. 제8항에 있어서, 수직 수납 홈(38)은 그 전방에 삽입 베벨(39)이 배치되어 있고, 중앙부(13) 장착시 래치 레버(27)가 그 베벨을 따라 수납 홈(38)과 결합할 때 까지 슬라이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풍 스크린.
  10. 제1항에 있어서, 중앙부(13)는 하부 플러그 접속부(21) 형성 후에 롤 바아(2)에 미리 부착되며, 두 상부 래치 접속부(22) 내의 중앙부(13)의 강제 래치은 중앙부(13)를 전방으로 약간 피봇시킴으로써 성취되고, 이 때 스프링 부하 래치 레버(27)는 강제 래치 중 삽입 베벨(39)을 따라 미끄러지면서 해제 위치(E)로 피봇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풍 스크린.
KR1019970038042A 1996-08-10 1997-08-09 컨버터블용방풍스크린 KR10047843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632352.5 1996-08-10
DE1996132352 DE19632352B4 (de) 1995-09-09 1996-08-10 Windschott für ein Cabriole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8545A true KR19980018545A (ko) 1998-06-05
KR100478431B1 KR100478431B1 (ko) 2005-05-16

Family

ID=78023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38042A KR100478431B1 (ko) 1996-08-10 1997-08-09 컨버터블용방풍스크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899521A (ko)
EP (1) EP0825051B1 (ko)
JP (1) JP3977493B2 (ko)
KR (1) KR100478431B1 (ko)
DE (1) DE59702780D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825051B1 (de) * 1996-08-10 2000-12-20 Dr.Ing.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Windschott für ein Cabriolet
DE19826672A1 (de) * 1998-06-16 1999-12-23 Bayerische Motoren Werke Ag Überrollschutz-System für ein Kraftfahrzeug, insbesondere für ein Cabriolet
US6193298B1 (en) * 2000-01-25 2001-02-27 Robert Swersky Wind baffle attachable to seats using straps
DE10053701A1 (de) 2000-10-24 2002-05-08 Oris Fahrzeugteile Riehle H Windstopeinrichtung
US6926062B2 (en) 2000-03-13 2005-08-09 Oris Fahrzeugteile Hans Riehle Gmbh Screen element for motor vehicles; in particular, wind blocker
DE10039791B4 (de) * 2000-08-16 2007-05-10 Daimlerchrysler Ag Cabriolet
DE10061562A1 (de) 2000-12-04 2002-06-13 Oris Fahrzeugteile Riehle H Windschott
DE10100898A1 (de) * 2001-01-11 2002-07-18 Bayerische Motoren Werke Ag Verwindungssteifer Fahrgastkäfig, insbesondere für Motorräder
DE10311837B3 (de) * 2003-03-18 2004-07-01 Dr.Ing.H.C. F. Porsche Ag Windschott für ein Cabriolet
US20050140172A1 (en) * 2003-12-24 2005-06-30 Mazda Motor Corporation Wind deflector of open car
DE102004058505A1 (de) * 2004-12-04 2006-06-14 Daimlerchrysler Ag Windschottanordnung für ein Fahrzeug mit offenem Aufbau
US7857373B2 (en) * 2007-05-15 2010-12-28 Specialty Vehicle Acquisition Corp. Automotive vehicle convertible roof system
US8303337B2 (en) 2007-06-06 2012-11-06 Veedims, Llc Hybrid cable for conveying data and power
US7940673B2 (en) * 2007-06-06 2011-05-10 Veedims, Llc System for integrating a plurality of modules using a power/data backbone network
DE102007031818A1 (de) * 2007-07-07 2009-01-08 Daimler Ag Windschutzeinrichtung
US7963559B2 (en) * 2008-03-07 2011-06-21 Claudio R. Ballard Roll bar with integrated lighting
US7856158B2 (en) 2008-03-07 2010-12-21 Ballard Claudio R Virtual electronic switch system
US20090277707A1 (en) * 2008-05-12 2009-11-12 Ballard Claudio R Electrically propelled vehicle having electric sound-producing blower/cooler
CN102202933A (zh) * 2008-09-30 2011-09-28 维迪姆斯有限责任公司 分布式汽车充电管理系统和方法
EP2246211B1 (en) * 2009-04-30 2011-06-08 Fiat Group Automobiles S.p.A. A wind deflector device for a two-seat convertible
US8976541B2 (en) 2011-08-31 2015-03-10 Potens Ip Holdings Llc Electrical power and data distribution apparatus
TWI545033B (zh) * 2012-02-22 2016-08-11 Tie-Han Wu 隔簾裝置
DE102015100368B4 (de) * 2015-01-13 2022-10-06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Fahrzeug mit einer klappbaren Dachrahmenauflage
JP6472734B2 (ja) * 2015-09-18 2019-02-20 ダイキョーニシカワ株式会社 ウインドデフレクタ及びその製造方法
JP6472736B2 (ja) * 2015-09-29 2019-02-20 ダイキョーニシカワ株式会社 ウインドデフレクタの取付構造
JP6358230B2 (ja) * 2015-10-29 2018-07-18 マツダ株式会社 車両の後部構造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8523831U1 (de) * 1985-08-20 1985-10-03 Kaiser, Richard Überroll-Sicherheitsvorrichtung
DE3537644C1 (de) * 1985-10-23 1987-04-16 Ford Werke Ag Abdeckung fuer den Fahrgastraum eines Kabrioletts
JPH0333584Y2 (ko) * 1986-02-18 1991-07-16
DE9004971U1 (ko) * 1990-05-02 1990-07-05 Wilhelm Karmann Gmbh, 4500 Osnabrueck, De
DE9111779U1 (ko) * 1991-09-20 1992-03-05 Thiel, Jens Bodo, 7032 Sindelfingen, De
DE9114983U1 (ko) * 1991-12-03 1992-02-20 Mehling, Reinhold, 6053 Obertshausen, De
DE9213699U1 (ko) * 1992-10-10 1992-12-03 Krimpenfort, Karl-Heinrich, 2841 Holdorf, De
DE4239428A1 (de) * 1992-11-24 1994-03-31 Daimler Benz Ag Windabweiser für ein Cabriolet
DE19534584C1 (de) * 1995-09-09 1996-09-12 Porsche Ag Windschott für ein Cabriolet
EP0825051B1 (de) * 1996-08-10 2000-12-20 Dr.Ing.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Windschott für ein Cabriole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5899521A (en) 1999-05-04
JPH1071859A (ja) 1998-03-17
DE59702780D1 (de) 2001-01-25
KR100478431B1 (ko) 2005-05-16
EP0825051B1 (de) 2000-12-20
EP0825051A1 (de) 1998-02-25
JP3977493B2 (ja) 2007-09-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80018545A (ko) 컨버터블용 방풍 스크린
KR100487829B1 (ko) 이중-충전트윈백과패키지및용액을투여하기위한패키지를형성하기위한방법
US5975619A (en) Folding top for vehicles
US4664436A (en) Locking device for an automobile top
GB2115752A (en) A motor vehicle having a folding roof
US4759583A (en) Device for releasably mounting pivotable arm rests of seats, in particular center arm rests of motor vehicle rear seats
US4648648A (en) Removably pivoted rear parcel shelf for hatchback type vehicle
EP0849133A1 (en) Windshield wiper for a car
US4844530A (en) Sun visor for mounting above a side window in a vehicle
US6902225B2 (en) Wind protector for a convertible
JPS61200025A (ja) 自動車のチルト・スライド式サンル−フ
US5957511A (en) Closure for a passenger car cover
US4845890A (en) Side window for motor vehicle
GB2345723A (en) Lock for automobile fittings
CN107620530B (zh) 用于车门组件的具有弹簧锁基准定位器的把手底架
KR100506922B1 (ko) 슬라이드 도어의 홀드 오픈 록장치
US4696511A (en) Opening roof arrangement for a motor vehicle roof
EP0173336A2 (en) Roof door structure for vehicles
JP2002512914A (ja) 乗物用オープンルーフ構造
GB2315517A (en) Removable Window for a Motor Vehicle
JPH044894Y2 (ko)
EP0532385B1 (fr) Déflecteur de flux d'air pour balai d'essuie-glace et essuie-glace équipé d'un tel déflecteur
JPH0427690Y2 (ko)
US7000974B2 (en) Hood connection for the hood stays on motor vehicle hoods
DE19712207A1 (de) Wischhebel mit Verkleidung für eine Wischvorrichtung zum Säubern von Scheiben an Fahrzeug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5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