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17857A - 자동차용 전원에 대한 자동 경보 및 차단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전원에 대한 자동 경보 및 차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17857A
KR19980017857A KR1019960037678A KR19960037678A KR19980017857A KR 19980017857 A KR19980017857 A KR 19980017857A KR 1019960037678 A KR1019960037678 A KR 1019960037678A KR 19960037678 A KR19960037678 A KR 19960037678A KR 19980017857 A KR19980017857 A KR 199800178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larm
signal
generating
power
unnecessary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376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10032B1 (ko
Inventor
민병준
Original Assignee
김상겸
주식회사 디지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상겸, 주식회사 디지콤 filed Critical 김상겸
Priority to KR10199600376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10032B1/ko
Publication of KR199800178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178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100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10032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5/00Arrangement or adaptation of acoustic signal devices
    • B60Q5/005Arrangement or adaptation of acoustic signal devices automatically actuated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54Electrical circuits
    • E05B81/64Monitoring or sensing, e.g. by using switches or sensor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OR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3/00Speech synthesis; Text to speech systems
    • G10L13/02Methods for producing synthetic speech; Speech synthesis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0/00Purposes or special featur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 B60Y2300/30Purposes or special featur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related to stationary vehicle situations, e.g. parked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90Driver alarms

Abstract

자동차용 전원에 대한 자동 경보 및 차단장치를 공개한다. 그 장치는 자동차를 주차한 후에도 불필요한 전원의 소모가 있는지를 감지하는 감지수단과, 사용자에게 경보 혹은 음성 메시지를 발생하는 경보수단과, 상기 감지수단의 감지 여부에 따라 상기 경보수단을 제어하는 제어수단과, 제어수단의 제어에 따라 불필요한 전원을 자동으로 차단하는 스위칭 제어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주차 후에 불필요한 전원 소모가 있는 경우 이를 자동 경보 및/혹은 차단함으로써, 자동차 밧데리의 방전을 방지할 수 있다는 잇점이 있다.

Description

자동차용 전원에 대한 자동 경보 및 차단장치
본 발명은 자동차에 관한 것으로, 특히 주차시 운전자가 불필요한 전원을 차단하지 않을 경우, 이를 운전자에게 알리고 불필요한 전원을 자동으로 차단하는 자동차용 전원에 대한 자동 경보 및 차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자동차용 경보기는 주로 도난 방지에 촛점을 맞추어, 경보기가 동작하고 있는 상태에서 임의로 자동차 문을 열거나 시동을 걸면 경보가 울리는 것을 주 기능으로 한다. 또한, 자동차에 내장된 경보 기능은 안전 벨트를 작용하지 않으면 일정 시간 경보음을 울리는 정도의 단순한 것에 불과하였다.
그런데, 운전자가 자동차를 주차시키면서 부주의로 불필요한 각종 전원(전조등, 미등, 실내등, 각종 기기 등)을 차단하지 않은 채로 자동차를 떠나는 경우가 종종 있다. 이러한 경우에 시간이 경과하여 자동차 밧데리가 방전되어 버리면 시동이 걸리지 않을 뿐만 아니라 밧데리의 수명도 단축되어 운전자가 시간적, 경제적 손실을 입게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주차시 운전자가 불필요한 전원을 차단하지 않을 경우에 이를 운전자에게 알리고 불필요한 전원을 자동으로 차단하는 자동차용 전원에 대한 자동 경보 및 차단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전원에 대한 자동 경보 및 차단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 블록도.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자동차용 전원에 대한 자동 경보 및 차단장치는 차문 개폐신호, 시동신호 및 각종 전원신호를 입력받아 자동차 주차 후에 불필요한 전원의 소모가 있는지를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발생하는 감지수단, 제어신호에 따라 경보 상태를 운전자에게 알리기 위한 경보 수단, 스위칭 제어신호에 따라 각종 전원을 차단하기 위한 전원 차단신호를 발생하는 스위칭 제어수단, 및 상기 감지수단으로부터 입력되는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제어신호 및 스위칭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경보 수단이나 스위칭 제어수단중 어느 하나만이 이용될 수도 있으며, 상기 경보 수단은 경보음을 발생하는 경보기나 혹은 음성 메시지를 발생하는 음성 출력기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전원에 대한 자동 경보 및 차단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 블록도를 도시한 것으로, 도면 부호 10은 감지부를, 20은 제어부를, 30은 스위칭 제어부를, 40은 경보기를, 50은 음성 출력기를, 60은 스피커를 각각 나타낸다.
감지부(10)는 주차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차문 개폐신호와 시동신호, 각종 전원 차단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각종 전원신호에 따라 주차후 불필요한 전원이 소모되는지를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발생한다.
제어부(20)는 감지부(10)로부터 입력되는 감지신호에 따라 자동 경보 및 전원 차단 여부를 결정하며, 그 결정에 따라 제어신호들을 발생한다.
스위칭 제어부(30)는 제어부(20)로부터 입력되는 스위칭 제어신호에 따라 각종 전원 차단신호를 발생한다.
경보기(40)는 제어부(20)로부터 입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경보음을 발생한다.
음성 출력기(50)는 제어부(20)로부터 입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미리 저장된 음성 메시지를 스피커(60)를 통해 출력한다.
상기 구성에 따른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운전자가 부주의로 시동을 끄고 자동차의 각종 등이나 불필요한 전원을 끄지 않은 채로 자동차를 주차시키면 자동차 밧데리가 방전되어 시동이 걸리지 않게 되는 경우가 발생할 뿐만 아니라 밧데리의 수명도 단축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의해 운전자의 부주의를 경보하고 불필요한 전원을 자동 차단하게 된다. 먼저, 감지부(10)는 시동이 꺼지고 차문이 잠긴 상태에서 불필요한 전원 신호가 있는지를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발생한다. 주차 후에도 계속해서 불필요한 전원 신호가 감지되면 제어부(20)는 감지부(10)로부터 입력되는 감지신호에 따라 경보기(40)을 제어하여 경보음을 발생하거나, 혹은 음성 출력기(50)을 제어하여 음성 메시지를 발생한다. 경보음이나 음성 메시지를 듣고 운전자는 불필요한 전원을 끄게 된다. 그런데, 운전자가 미처 이를 인식하지 못하는 경우, 제어부(20)는 소정 시간이 경과후에 스위칭 제어부(30)로 스위칭 제어신호를 발생하여 각종 전원 차단신호를 발생하게 한다. 이러한 각종 전원 차단신호에 따라 불필요한 전원이 자동으로 차단되게 된다. 상술한 본 발명은 실시 형태에 따라 경보기, 음성 출력기 혹은 스위칭 제어부중 어느 하나 혹은 그 결합 형태로서 사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운전자의 부주의에 의해 주차 후에도 계속해서 불필요한 전원을 차단하지 않을 때, 이를 자동 감지하여 운전자에게 알리며, 운전자가 미처 이를 인식하지 못하는 경우 자동으로 불필요한 전원을 차단함으로써, 자동차 밧데리의 불필요한 방전을 방지할 수 있다는 잇점이 있다.

Claims (5)

  1. 차문 개폐신호 및 시동신호에 따라 자동차의 주차 여부를 감지하고, 각종 전원신호를 입력받아 불필요한 전원의 소모가 있는지를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발생하는 감지수단;
    제어신호에 따라 경보 상태를 운전자에게 알리기 위한 경보 수단;
    상기 감지수단으로부터 입력되는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전원에 대한 자동 경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보수단은 경보음을 발생하는 경보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전원에 대한 자동 경보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보수단은 미리 저장된 음성메시지를 출력하는 음성 출력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전원에 대한 자동 경보장치.
  4. 차문 개폐신호 및 시동신호에 따라 자동차의 주차 여부를 감지하고, 각종 전원신호를 입력받아 불필요한 전원의 소모가 있는지를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발생하는 감지수단;
    스위칭 제어신호에 따라 각종 전원을 차단하기 위한 전원 차단신호를 발생하는 스위칭 제어수단; 및
    상기 감지수단으로부터 입력되는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전원에 대한 자동 차단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운전자에게 경보음을 발생하는 경보기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전원에 대한 자동 차단장치.
KR1019960037678A 1996-08-31 1996-08-31 자동차용 전원 자동경보 및 차단장치 KR1002100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37678A KR100210032B1 (ko) 1996-08-31 1996-08-31 자동차용 전원 자동경보 및 차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37678A KR100210032B1 (ko) 1996-08-31 1996-08-31 자동차용 전원 자동경보 및 차단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7857A true KR19980017857A (ko) 1998-06-05
KR100210032B1 KR100210032B1 (ko) 1999-07-15

Family

ID=194723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37678A KR100210032B1 (ko) 1996-08-31 1996-08-31 자동차용 전원 자동경보 및 차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1003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6484A (ko) 2018-09-03 2020-03-11 소치재 전기 자동차의 운행 종료시 전원차단 알림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6484A (ko) 2018-09-03 2020-03-11 소치재 전기 자동차의 운행 종료시 전원차단 알림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10032B1 (ko) 1999-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80017857A (ko) 자동차용 전원에 대한 자동 경보 및 차단장치
JP3423577B2 (ja) バッテリー上がり防止機能を備えた車両用電源制御装置
JP2013139172A (ja) 車載ランプ自動消灯装置
KR20020044510A (ko) 자동차의 배터리 방전 방지 장치
KR100192912B1 (ko) 자동차 밧데리의 방전방지장치
KR0149243B1 (ko) 차량 키의 오프시 전등의 온상태 경보 및 전원차단장치
KR101143932B1 (ko) 차량 전조등 자동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1912172B1 (ko) 전조등 경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000030096A (ko) 원격조정시 차량용 경고음성 자동출력장치
JPH10273016A (ja) 窓閉め忘れ防止装置
KR100186645B1 (ko) 카 오디오를 이용한 자동차 도난방지 장치
KR200144110Y1 (ko) 자동차 배터리 방전 방지용 램프 소등 장치
KR0144602B1 (ko) 자동차의 썬 루프 개방 경보장치
JP2005354827A (ja) バッテリ上がり防止装置
KR0177366B1 (ko) 자동차 미등 자동꺼짐 장치 및 그 방법
KR970018904A (ko) 차량용 배터리의 방전방지장치 및 그 방법
KR19990050660A (ko) 졸음운전 경보장치
KR20190015895A (ko) 대형 차량용 배터리 방전 경보장치
JP2002308011A (ja) 自動車用ホーンの作動制御装置
KR19980022470A (ko) 산소센서 및 진동센서의 원리를 응용한 도난 경보 시스템
JPS6328040Y2 (ko)
KR20000018365A (ko) 파워오프시 차량램프 자동오프 장치 및 그 방법
KR20000005259U (ko) 자동차용 조명 시스템
KR19980047758U (ko) 자동차 미등 자동 소등 장치
KR20000008795U (ko) 테일 램프의 자동 오프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614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