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17575U - 동선 권선기의 송선장치 - Google Patents

동선 권선기의 송선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17575U
KR19980017575U KR2019960030962U KR19960030962U KR19980017575U KR 19980017575 U KR19980017575 U KR 19980017575U KR 2019960030962 U KR2019960030962 U KR 2019960030962U KR 19960030962 U KR19960030962 U KR 19960030962U KR 19980017575 U KR19980017575 U KR 1998001757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nsion
bobbin
transmission
winding machine
copper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3096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용환
Original Assignee
김민호
주식회사 나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민호, 주식회사 나래 filed Critical 김민호
Priority to KR2019960030962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17575U/ko
Publication of KR1998001757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17575U/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9/00Adjusting or controlling tension in filamentary material, e.g. for preventing snarling; Applications of tension indicators
    • B65H59/38Adjusting or controlling tension in filamentary material, e.g. for preventing snarling; Applications of tension indicators by regulating speed of driving mechanism of unwinding, paying-out, forwarding, winding, or depositing devices, e.g. automatically in response to variations in tension
    • B65H59/384Adjusting or controlling tension in filamentary material, e.g. for preventing snarling; Applications of tension indicators by regulating speed of driving mechanism of unwinding, paying-out, forwarding, winding, or depositing devices, e.g. automatically in response to variations in tension using electronic means
    • B65H59/387Regulating unwinding sp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49/00Unwinding or paying-out filamentary material; Supporting, storing or transporting packages from which filamentary material is to be withdrawn or paid-out
    • B65H49/18Methods or apparatus in which packages rotate
    • B65H49/20Package-supporting devices
    • B65H49/28Turntables, i.e. package resting on a 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9/00Adjusting or controlling tension in filamentary material, e.g. for preventing snarling; Applications of tension indicators
    • B65H59/40Applications of tension indicators

Landscapes

  • Tension Adjustment In Filamentary Material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목적은 전동기나 발전기 또는 영상표시기기에서 사용되는 자기장 발생뭉치나 전자유도발생뭉치 또는 편향요크코일등, 특히 여러가닥의 동선을 꼬은 합사로 이루어지는 모든 권선뭉치를 제조시키는 동선 권선기의 송선장치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되게 되는데, 이 송선장치는 송선모터에 의해 구동하는 회전반상에 보빈을 탑재하여 그 보빈의 회전으로 감겨진 합사가 자동적으로 풀려나오게 구성하고 있고, 이렇게 보빈으로 부터 풀려나온 합사는 일축을 중심으로 하여 좌우로 회전하며 공압식의 장력조절제어수단과 협동하는 장력감지바로 일정한 장력이 유지되어 균일한 긴장상태로 송선을 이루게 된다. 또한 장력감지바의 회전축에는 그 회전축에 일체로 설치되어 연동하면서 권선기의 흡인상태에 따라 송선모터의 회전속도를 제어하여 송선상태를 적절히 조절시키는 가변형 장력감지부를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여러가닥의 동선으로 꼬아 이루어진 합사의 풀림이나 꼬임현상을 완전히 예방시키고 일정한 장력을 유지하며 균일한 송선을 이루게 된다.

Description

동선 권선기의 송선장치
본 고안은 전동기나 발전기의 자기발생코일 또는 전자유도코일이나, 영상표시기 브라운관의 편향요크코일등 형틀을 이용하여 적당한 형체로 권선되는 모든 선제뭉치의 기계적이고 자동적인 권선공정에서 보빈에 감겨져 있는 동선을 권선기에 공급시키는 송선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적어도 하나이상 여러가닥의 동선으로 꼬아져 공급되는 합사의 풀림이나 꼬임없이 일정한 장력을 유지하면서 공급시킬 수 있도록한 동선 권선기의 송선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기발생코일 또는 전자유도코일이나, 편향요크코일등의 적당한 형채로 권선되는 모든 선제뭉치는 대략 적당한 형틀을 이용하여 설치목적에 따라 소정의 권선형체로 권선되고 있는데, 그러한 권선기의 권선공정중 특히 적어도 하나이상 여러가닥의 동선으로 꼬아져 이루어지는 합사를 사용하여 제조되는 선제뭉치의 권선과정에서 여러가닥으로 꼬아진 합사의 송선과정에서 그 합사의 꼬임상태에 풀림 또는 권선조건에 영향을 주는 불필요한 꼬아짐이 발생하고 있어 최초 설계에서 벗어난 불량 선제뭉치가 다발하고 있다.
그 일례를 들어 편향요크코일의 권선기를 보면 통상적으로 권선기의 흡인장치를 중앙에 두고 방사상으로 다수개의 보빈, 즉 적어도 하나이상 여러가닥의 동선으로 꼬아진 합사가 감겨 보관되는 보빈을 설치시키고 이의 보빈에 감겨있는 합사가 흡인장치의 흡인력에 의해 그 보빈으로 부터 풀리어 나아가며 권선기측으로 송선을 이루게 하고 있다. 이때 합사가 감겨 있는 보빈은 흡인장치 주위의 받침판상에 그 합사가 감겨진 방향과는 교차하는 수직으로 세워져 설치되고 있는데, 이렇게 받침 판상에 설치된 보빈은 그 받침판상에 고정된 상태로 설치되어 그 보빈에 감겨있는 합사는 보빈의 몸체를 돌아가면 풀리어 나아가 송선을 이루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합사의 송선에서 보빈으로 부터 풀려 나아가는 합사가 자유로이 풀리어 송선상태의 긴장을 유지하지 못하는, 즉 권선공정에서 권선형체가 원주상이 아닌 구형 예를 들어 장방형으로 권선형체를 이룰시 그 권선형체의 장측변과 단측변 길이에 소요되는 권선길이 변화에 송선을 충족히 대처하지 못해 합사에 큰 장력이 작용하여서 그 합사가 늘어나거나 또는 기계적인 무리가 발생하고 있었으며, 또 풀림을 적절히 유지 못해 송선상태가 느스근해지는 등의 송선에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송선상태가 느스근해질 경우 보빈에 감겨 보관되느 합사가 불필요하게 풀어져내리고 있다. 이때 합사의 불필요한 풀림을 방지시키기 위해 보빈 상측의 플랜지상에 유연한 합성수지제의 탄성사를 방사상으로 설치하여 그 합사의 풀림위치를 잡아주게 하고 있으나, 그 풀림제어가 안정되지 못하였다. 더욱이 송선시 합사가 보빈 한바퀴 돌아 풀어질때 그 풀림 방향에 따라서 합사의 꼬임 상태가 풀리어지거나 또는 꼬아지는 현상이 불규칙하게 발생하고 있다.
이렇게 불규칙한 풀림이나 꼬임현상이 일어난 합사로 권선시 품질 성능에 치명적인 문제점을 주게 되는 등 편향코일 개개의 권선조건이 변화되며 코일의 특성 산포가 커지게 된다.
이러한 코일의 권선 특성 산포증대는 편향코일의 조립과정에서 보정 조정량이 증가하게 되고 미세보정이 어려워 고품질 편향코일의 생산이 어렵고 제품성능을 저하시키는 주 요인이 되고 있는 것으로, 최근 대형화되는 화면과 고화질이 요구되고 있는 추세에 적극적으로 대처하는 고품질의 편향코일 생산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사정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보빈을 회전시키며 그 보빈에 감겨진 합사가 풀어져 나아가 송선을 이루게 하여 여러가닥의 동선을 꼬아 이루어진 합사의 풀림이나 꼬임을 예방할 수 있도록한 동선 권선기의 송선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다형체로 이루어지는 권선형체의 그 권선 길이변화에 맞추어 보빈의 해권 회전속도를 제어하여 일정한 장력을 유지하면서 균일한 송선을 이룰 수 있도록한 동선 권선기의 송선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코일의 특성산포를 최대로 감소하여 보정 조정량을 줄이고 미세보정으로 고화질화는 물론, 품질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한 동선 권선기의 송선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은 전동기나 발전기 또는 영상표시기기에서 사용되는 자기장 발생뭉치나 전자유도발생뭉치 또는 편향요크코일등, 특히 여러가닥의 동선을 꼬은 합사로 이루어지는 모든 권선뭉치를 제조시키는 동선 권선기의 송선장치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되게 되는데, 이 송선장치는 송선모터에 의해 구동하는 회전반상에 보빈을 탑재하여 그 보빈의 회전으로 감겨진 합사가 자동적으로 풀려나오게 구성하고 있고, 이렇게 보빈으로 부터 풀려나온 합사는 일축을 중심으로 하여 좌우로 회전하며 공압식의 장력조절제어수단과 협력하는 장력감지바로 일정한 장력이 유지되어 균일한 긴장상태로 송선을 이루게 된다. 또한 장력감지바의 회전축에는 그 회전축에 일체로 설치되어 연동하면서 권선기의 흡인상태에 따라 송선모터의 회전속도를 제어하여 송선상태를 적절히 조절시키는 가변형 장력감지부를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여러가닥의 동선으로 꼬아 이루어진 합사의 풀림이나 꼬임현상을 완전히 예방시키고 일정한 장력을 유지하며 합사의 흡인속도 변화에 근접하여 균일한 송선을 이루게 된다.
제1도는 본 고안 동선 권선기의 송선장치 구성을 보인 측면도
제2도는 본 고안 동선 권선기의 송선장치에 적용되는 장력감지바의 가동로울러와 고정로울러를 보인 평면도
제3도는 본 고안 동선 권선기의 송선장치에 적용되는 장력조절제어수단의 개통도
제4도는 본 고안 동선 권선기의 송선장치 제어회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베이스110 : 회전반
120 : 장력감지바121 : 가동로울러
130 : 장력조절용제어수단140 ; 송선모터
170 : 고정로울러180 : 가변장력감지부
다음 본 고안의 실시예를 도면에 의거하여 구체적을 설명하겠다. 제1도에는 본 고안에 따른 송선장치가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본 고안 송선장치는 권선기(도시되지않음)의 흡인측 선단부, 즉 합사가 감겨 보관되는 보빈과 권선기의 흡인측 사이에 설치되어 보빈측으로 부터 풀려나와 공급되는 합사의 송선상태를 적당히 긴장시키게 될 것이다.
본 고안의 특징적인 기술은 보빈에 감겨있는 합사의 풀림을 종래와 같이 보빈이 정지된 상태에서 합사가 돌아가며 풀려나아가던 것과는 달리 보빈이 자전하며 감겨 있는 합사가 풀어져 나아가게 하여서 여러가닥의 동선을 꼬아 이루어진 합사의 꼬임이 풀리거나, 그 합사가 꼬임방향으로 다시 꼬여 들어가는 것을 방지시키게 한 것이다.
본 고안의 송선장치는 평판체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베이스(100)상 일측에 보빈(200)이 탑재되는 회전반(110)과, 타측에는 공압식의 장력조절용제어수단(130)과 연결되어 구동하는 장력감지바(120)로 구성된다.
회전반(110)은 베이스(100)상으로 부터 그 베이스(100) 하부측으로 설치되는 회전축(111)을 중심으로 하여 자유로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이의 회전축(111)에는 회전반(110)과 장력감지바(120)의 사이에 설치되는 송선모터(140)와 브이벨트(150)로 연결시킨 풀리(112)가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이렇게 설치되는 회전반(110)상에는 보빈(200)을 탑재 고정시키는 나선고정봉(113)이 회전축(111)상에 일체로 설치되어 있고, 그 나선고정봉(113) 상단에는 핸들(114)를, 그리고 나선고정봉(113)의 주벽 적당한 위치에 구비되는 나선부(115)에는 보빈(200)을 내려 눌러 고정시키는 고정너트(116)가 설치된다.
또 장력감지바(120)는 소폭의 막대형상으로 이루어져 그 하단을 회전중심으로 하여 좌,우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데, 이렇게 설치되는 장력감지바(120)의 상단부에는 보빈(200)으로 부터 풀려나오는 합사(10)가 감아지는 적어도 하나이상의 수조로 구성되는 가동로울러(121)가 설치되어 합사 송선경로를 안내함과 아울러, 보빈(200)과 가동로울러(121) 사이의 합사 풀림상태가 느스근해 지지 않도록 긴장상태를 이후에 설명할 장력감지바(120)에 의해 적절히 유지시키게 될 것이다.
이때 보빈(200)으로 부터 풀려나온 합사는 가동로울러(121)의 선단인 유입측으로 유인될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이 장력감지바(120)의 가동로울러(121)에 안내된 합사(10)는 베이스(100)상 적당한 위치에 입설된 프레임(160) 상단에 고정 설치시킨 적어도 하나 이상 수조로 이루어지는, 즉 상기 가동로울러(121)와 대응하는 고정로울러(170)에 유입측으로 유인되어 그 고정로울러(170)와 가동로울러(121)의 사이를 교대적으로 옴기어 가며 감은후 최종단의 고정로울러(170)측을 통해 권선기의 흡인측으로 유입될 것이다. 이렇게 설치되는 가동로울러(121)와 고정로울러(170) 각각에 합사를 반복하여 걸어서 합사의 흡인속도와 송출속도차를 흡수할 수 있는 능력을 극대화시킨다.
한편 공압식의 장력조절용제어수단(130)은 그 선단, 즉 작동로드(131)의 선단부측이 장력감지바(120)와 일체로 연결되어 있고, 그 후단측은 베이스(100)상에 일축을 중심으로 하여 자유로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러한 공압식의 장력조절용제어수단(130)은 상기 장력감지바(120)의 각운동에 의해 그 작동로드(131)가 행정운동을 하게 되어 그 장력조절용제어수단(130) 내부의 공기가 압축, 팽창됨에 따라 아래와 같은 압력변동이 발생하게 된다
P : 장력조절감압변
ΔP : 압력변동치
V : 감압변과실린더간배관내체적+실린더로드측최대행정체적
ΔV : 실린더행정체적변화
이러한 압력의 변동은 결국 합사(10)의 장력변화를 초래하므로 이를 감소시키기 위해서 제3도에서와 같이 장력조절용감압변(131)과 장력조절용제어수단(130)의 사이에 충분한 체적의 보조에어탱크(132)를 연결하여그 압력을 극소화시키고 소정의 필요한 장력을 장력조절용감압변의 조정으로 간단히 이루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장력감지바(120)의 회전축(122)에는 그 회전축(122)에 일체로 구성되어 장력감지바(120)와 연동하는 가변장력감지부(180)가 구비된다.
제4도에는본 고안 송선장치에 적용되는 제어회로도가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장력감지바(120)의 회전축(122)과 연동되게 설치되는 가변장력감지부(180)의 볼륨(181) 각도운동에 의한 저항변화는 전압값의 변화로 환산되어 A/D컨버터(182)를 통해서 디지탈화되어 중앙처리부(183)에 입력되고, 중앙처리부(183)에서 입력된 저압값의 변화를 소정의 배율로 증촉시키게 된다. 이는 다시 D/A컨버터(184)를 통하여 아날로그 값으로 변화시켜 인버터(185)의 속도제어부로 입력되게 된다. 송선모터(140)의 회전속도는 인버터(185)의 출력에 따라 변화하게 될 것이다. 즉 볼륨(181)의 미소한 변화가 송선모터의 회전속도를 변화시키며 송선기의 흡인속도에 맞추워 합사의 송출속도를 조절하게 된다.
그러면 제1도를 참조하여 본 고안 송선장치의 작동에 관해 설명하겠다. 제1도에서 2점쇄선으로 표시된 장력감지바(120)의 위치는 송선장치가 가동되기전의 모습이다. 이와같이 장력감지바(120)가 좌향으로 기울여져 있는 상태에서 권선기가 가동되어 흡인력이 발생하면 장력감지바(120)는 그 흡인력에 의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는데, 이때 장력감지바(120)가 2점쇄선의 위치에서 우향으로 소정각도 이동하면 그 장력감지바(120)의 회전축(122)에 일체로 구비되는 가변장력감지부(180)의 볼륨(181)이 오프상태에서 온되어 송선모터(140)를 구동시키게 된다.
이렇게 송선모터(140)가 구동하면 그 구동력이 브이벨트(150)를 통하여 회전반(112)에 전달되어 그 회전반(112)상에 탑재된 보빈(200)이 회전하며 그의 보빈에 감겨 보관된 합사(10)가 풀려나아간다.
이렇게 보빈(200)으로 부터 풀려나온 합사(10)는 장력감지바(120)의 가동로울러(121)와 고정로울러(170)를 거쳐 권선기로 흡인된다. 이때 합사(10)에 가해지는 흡인력에 의해 가동로울러(121)는 우향으로 당기게 되어 이 가동로울러(121)와 고정로울러(170)사이에 걸어진 합사(10)에 소정의 장력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장력의 조절은 가동로울러(121)가 설치되어 있는 장력감지바(120)와 연결되어 연동하는 공압식의 장력조절용제어수단(130)에 공급되는 공기압의 조절로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같이 송선되는 합사(10)의 장력은 장력조절용제어수단(130)에 적당히 조절되어 송선을 이루게 되는데, 이렇게 장력이 적절히 조절되어 공급되는 합사(10)가 권선기로 흡인되면 그 흡인력에 의해서 가동로울러(121)가 흡인방향으로 끌어당겨 지며 고정로울러(170)측으로 이동하여 장력감지바(120)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어서 가동로울러(121)와 고정로울러(170)간의 간격이 좁아지게 된다. 이러한 장력감지바(120)의 각도운동은 그 회전축(122)에 연결된 가변장력감지부(180)의 볼륨(181)을조절시키며 권선기의 흡인속도가 보빈의 회전에 의한 송출속도 보다 빠르면 장력감지바는 반시계방향, 느리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며 송선모터(140)의 회전속도를 적절히 제어하게 하면서 합사의 속도가 변화함에 따라 보빈의 회전속도가 추종변화하면서 송선 속도를 변호시켜 흡인속도 변화에 근접하게 제어 된다.
이때 합사(10)의 흡인속도와 송출속도와의 차이는 가동로울러(121)의 원운동으로 흡수하게 되고 이를 가변장력감지부에 전달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고안은 여러가닥의 동선을 꼬어져 이루어지는 합사가 감겨있는 보빈을 권선기의 흡인속도에 적절히 맞추어 회전시키며 그 감겨진 합사를 보빈의 회전에 의해 풀려나아가게 하므로서, 종래 보빈이 고정된 상태에서 보빈의 주위를 돌아가며 풀러나감에 따랐던 합사의 풀림현상 또는 재 꼬임현상을 완전히 방지하게 되는것이다.
또 합사를 일정한 장력을 유지하면서 송선시키므로서, 권선뭉치의 특성 산포를 최대로 감소시키고 후가공에서 보정조정량을 줄이며, 미세보정이 용이하여 고화질은 물론, 고품질화를 이루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고안은 이에 국한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위내에서 변경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4)

  1. 적어도 하나이상 여러가닥의 동선으로 이루어지는 합사를 보빈에 감아 공급시키며, 소정의 형틀을 이용하여 권선형체로 권선시키는 동선의 권선기 송선장치에 있어서,
    송선장치는 보빈이 탑재되고 송선모터와 일체로 연결되는 회전반과;
    일축을 중심으로 하여 자유로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보빈으로 부터 풀려나오는 합사의 송선에 장력을 적절히 조절유지시키는 장력감지바;
    상기 장력감지의 회전축에 일체로 연결되어 연동하며 송선모터의 회선속도를 합사의 송출속도에 따라 변화되며 조절시키게 하는 가변장력감지부를 갖추어 구성된 동선 권선기의 송선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력감지바에 가동로울러를 구비하고, 보빈과 장력감지바의 사이에는 고정로울러를 설치하여 권선기의 흡인속도와 보빈의 송출속도차를 흡수할 수 있도록한 것을 포함하는 동선 권선기의 송선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빈이 탑재되는 회전반을 구동시키는 송선모터는 장력감지바와 연동하는 가변감지부에 의해 회전전속도가 제어되도록 한 것을 포함하느 동선 권선기의 송선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력감지바는 공기압의 장력조절용제어수단에 의해 송선의 장력변화가 극소화되게한 것을 포함하는 동선 권선기의 송선장치
KR2019960030962U 1996-09-24 1996-09-24 동선 권선기의 송선장치 KR19980017575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30962U KR19980017575U (ko) 1996-09-24 1996-09-24 동선 권선기의 송선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30962U KR19980017575U (ko) 1996-09-24 1996-09-24 동선 권선기의 송선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7575U true KR19980017575U (ko) 1998-07-06

Family

ID=539771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30962U KR19980017575U (ko) 1996-09-24 1996-09-24 동선 권선기의 송선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17575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38409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gulating winding tension as function of bobbin diameter
JP2000034060A (ja) 糸を円錐体形状のスプ―ルに巻取る方法と装置
CN1102816A (zh) 纱线张力调整装置
CN101104487B (zh) 用于制造具有调整横动程的筒管的高频丝线导向装置
CN110723595B (zh) 一种伺服张力器的三段式张力控制方法
WO1993006283A1 (de) Fadenliefergerät für fadenverbrauchende textilmaschinen
CN205645532U (zh) 一种电磁线绕线装置
CN111511969B (zh) 用于生产轮胎增强帘线的捻合方法和张力控制设备
CN1637185A (zh) 控制至少一根纬纱的供给张力的方法,供给纬纱的装置以及装备有这种装置的织机
KR20170125274A (ko) 차폐케이블 제조장치
KR19980017575U (ko) 동선 권선기의 송선장치
JPH07106178A (ja) 巻線装置におけるワイヤテンションの制御方法、および同装置
US2990603A (en) Apparatus for draw-stretching and winding yarn
JPH01192835A (ja) 紡績装置
CN210504994U (zh) 一种基于纺织卷线用防止缠绕的卷线机
JP2006188345A (ja) 撚糸機等の巻取機
GB2086271A (en) Flyer mechanisms for winding coils
CN220055826U (zh) 一种丝材卸力收卷系统
JPH08337359A (ja) 電線製造設備における張力調整方法およびその装置
CN220384414U (zh) 一种制鞋用线定长装置
WO2020119906A1 (en) Warping and rope manufacturing machine for a rope and corresponding use
TWI752801B (zh) 用於捲繞連續到達之紗線或薄膜狹條帶之捲繞裝置及方法
JP3096552U (ja) 特にスパンデックス糸に適したボビン巻き取り機
CN219906499U (zh) 一种橡胶管加工用合股机
CN209923565U (zh) 一种芯线编织机放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