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17569U - 엘리베이터 도어의 안전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도어의 안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17569U
KR19980017569U KR2019960030956U KR19960030956U KR19980017569U KR 19980017569 U KR19980017569 U KR 19980017569U KR 2019960030956 U KR2019960030956 U KR 2019960030956U KR 19960030956 U KR19960030956 U KR 19960030956U KR 19980017569 U KR19980017569 U KR 1998001756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overload
chain pulley
safety
drive li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3095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승철
Original Assignee
이종수
엘지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수, 엘지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종수
Priority to KR2019960030956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17569U/ko
Publication of KR1998001756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17569U/ko

Links

Landscapes

  • Elevator Doo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엘리베이터 도어의 안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종래는 도어열림시 카벽과 도어 사이의 틈새에 사용자의 부주의로 손이나 옷자락 등이 끼일 경우, 이를 감지하여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시키는 장치가 없고, 또한, 도어 주행시 도어슈와 안내부 사이와 도어레일등에 이물질이 있는 경우 도어구동부에 큰 부하가 걸리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고안에서는 체인풀리의 회전각도와 구동링크의 회전각도가 편차지게 구성되어 고정수단에 의해서 고정되면서 하나의 일체형 구동링크를 이루는 것과 상기 구동링크 및 체인풀리 위에 상하로 대칭되게 조정수단인 제 1,2 고정판과 과부하 설정용 스프링과 과부하 조정용볼트를 설치하며 상기 체인풀리의 적정위치에 안전감지수단인 과부하 검출용스위치와 한계지지수단인 스토퍼를 설치함으로써, 도어 주행시 도어 사이의 틈새에 사용자의 손이나 옷자락 등이 끼일 경우, 이를 감지하여 도어를 닫힘 방향이나 또는, 열림방향으로 주행시켜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지닌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 도어의 안전장치
본 고안은 엘리베이터 도어의 안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도어 열림이나 닫힘동작시 규정치 이상의 부하가 구동전동기에 걸리면 이를 자동적으로 감지하여 도어를 반대방향으로 구동시키거나 운행을 중지하여 안전사고나 고장을 미연에 방지하는 엘리베이터 도어의 안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자동문이나 엘리베이터용 도어에 사용자의 부주의로 손이나 옷자락이 끼이거나 또는 주행 안내부에 이물질 등이 끼어 정상적인 구동력으로 도어를 구동하지 못할 경우 이를 검출하여 도어를 반대방향으로 구동시키거나, 또는, 도어 고장 신호를 발생시켜 도어 구동장치에 과도한 부하가 걸리지 않도록 하여 도어 구동장치를 보호하고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엘리베이터 도어의 안전장치에 관한 고안이다.
도 1은 종래의 엘리베이터를 작동시키는 구동장치의 내부와 카 도어를 도시한 정면도, 도 2는 종래의 엘리베이터 카도어를 작동시키는 구동장치의 내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정면도, 도 3a는 종래의 엘리베이터 카도어가 닫힌 상태에서의 구동장치를 도시한 정면도, 도 3b는 종래의 엘리베이터 카도어가 열려지는 과정에서의 구동장치 작동을 도시한 정면도, 도 3c는 종래의 엘리베이터 카도어가 완전히 열린 상태에서의 구동장치 작동을 도시한 정면도, 도 3d는 종래의 엘리베이터 카도어가 닫혀지는 과정에서의 구동장치 작동을 도시한 정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엘리베이터용 도어의 구동은, 도 1 내지 도 3d에서 도어 구동용 전동기(1)와 전동기(1)의 축에 설치된 풀리(2)와 감속용벨트풀리(3)는 벨트(4)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벨트풀리(3)에 설치된 스프로키트(Sprocket)(5)는 감속풀리(6)와 연결시키는 감속체인(7)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상기 감속풀리(6)에 설치된 구동용링크(8)와 그 구동용링크(8) 한쪽끝에 연결된 링크(9)와 그 링크(9)에 연결된 암(10)과 행어플레이트(Hanger Plate)(11)는 도어레일(12) 위에서 직선운동을 하고 암(10)은 볼트로 체결된다.
상기 행어플레이트(11) 하단에 고정된 도어판넬(13)과 그 하단부에 설치되어 있는 슈(14)(Shoe)과 슈(14)을 안내하는 안내부(15)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엘리베이터용 도어의 구동은 도 3a 내지 도 3d에서 도어의 운행 상태를 나타낸 그림으로, 도 3a와 같이 도어 닫힘 상태에서 도어열림 구동 지령이 발생하면 도어 구동용 전동기(1)의 회전을 하게 되고 전동기(1)의 회전속도를 풀리(2)(3)으로 1차 감속을 시키고, 스프로키트(5)와 체인풀리(6)에 의해 2차 감속된다.
이때, 체인풀리(6)에 설치된 구동용링크(8)은 체인풀리(6)과 같이 회전을 하게 되고 구동용링크(8)의 회전은 링크(9) 및 암(10)에 의해 직선운동으로 변화되어 암(10)에 부착된 행어플레이트(11)도 도어레일(12)상에서 직선운동을 하게 된다. 행어플레이트(11)의 운동에 의해 행어플레이트(11)에 부착된 도어판넬(13)도 같이 움직여 도 3b와 같이 운동을 하여 도 3c와 같이 완전 열림 상태를 유지한다.
또한, 도어닫힘 지령이 발생하면 도 3c의 열림 상태에서 도어열림 동작과 반대방향으로 회전을 하여 도 3d와 같이 움직여 도 3a와 같이 완전 열림 상태를 유지한다.
그리고, 도면에는 표시되어 있지 않지만 도어 닫힘시 사용자가 탑승하려고 하면 이를 감지하여 자동으로 도어를 다시 여는 장치가 있다.
그러나, 종래기술에서는 도어 닫힘시 사용자가 탑승할 경우 이를 감지하여 자동으로 도어를 다시 열어 사용자를 보호하는 장치가 있으나, 도어 열리시 카벽과 도어 사이의 틈새에 사용자의 부주의로 손이나 옷자락 등이 끼일 경우 자동으로 이를 감지하여 도어를 닫힘 방향으로 주행시켜 더 이상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시키는 장치가 없었고, 또는, 도어 닫힘이나 열림시 도어 슈와 안내부 사이와 도어레일 등에 이물질이 끼어 있는 경우 도어구동부에 큰 부하가 걸려 전동기의 발열, 구동장치의 고장, 도어의 이탈 등이 발생될 우려가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도어 열림이나 닫힘동작시 규정치 이상의 부하가 구동전동기에 걸리면 이를 자동적으로 감지하여 도어를 반대방향으로 구동시키거나 운행을 중지하여 안전사고나 고장을 미연에 방지하는 엘리베이터 도어의 안전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종래의 엘리베이터를 작동시키는 구동장치의 내부와 카 도어를 도시한 정면도.
도 2는 종래의 엘리베이터 카도어를 작동시키는 구동장치의 내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정면도.
도 3a는 종래의 엘리베이터 카도어가 닫힌 상태에서의 구동장치를 도시한 정면도.
도 3b는 종래의 엘리베이터 카도어가 열려지는 과정에서의 구동장치 작동을 도시한 정면도.
도 3c는 종래의 엘리베이터 카도어가 완전히 열린 상태에서의 구동장치 작동을 도시한 정면도.
도 3d는 종래의 엘리베이터 카도어가 닫혀지는 과정에서의 구동장치 작동을 도시한 정면도.
도 4a는 본 고안의 엘리베이터 카도어의 체인풀리에 설치되어 있는 안전장치를 보인 우측면도.
도 4b는 본 고안의 엘리베이터 카도어의 체인풀리에 설치되어 있는 안전장치를 보인 정면도.
도 5a는 본 고안의 체인풀리에 설치되어 있는 구동링크의 정지시의 정면도.
도 5b는 본 고안의 체인풀리에 설치되어 있는 구동링크의 정상 구동시의 정면도.
도 5c는 본 고안의 체인풀리에 설치되어 있는 구동링크의 과부하시의 정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구동링크22 : 체인풀리
28,29 : 제 1,2 고정판30 : 과부하 설정용 스프링
31 : 조정용볼트33 : 과부하 검출용 스위치
34 : 스토퍼
이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체인풀리의 회전각도와 구동링크의 회전각도가 편차지게 구성되어 고정수단에 의해서 고정되면서 하나의 일체형 구동링크를 이루는 것과 상기 구동링크 및 체인풀리 위에 상하로 대칭되게 조정수단인 제 1,2 고정판과 과부하 설정용 스프링과 과부하 조정용 볼트를 설치하며 상기 체인풀리의 적정위치에 안전감지수단인 과부하 검출용 스위치와 한계지지수단인 스토퍼를 설치하여 엘리베이터 도어의 안전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조정수단인 제 1,2 고정판과 과부하 설정용 스프링과 과부하 조정용 볼트는 구동링크 위에 고정된 제 1 고정판과 상기 제 1 고정판과 일직선상에 체인풀리에 고정된 제 2 고정판을 고정시키고, 과부하 설정용 스프링의 한단은 상기 제 1 고정판에 접촉되고 다른 한단은 과부하 조정용 볼트에 접촉되며 상기 다른쪽 과부하 조정용 볼트의 한단은 상기 제 1 고정판에 관통하여 과부하 설정용 스프링에 접촉하고 다른 한단은 제 2 고정판에 조정용 볼트로 고정되게 구성한다.
상기 안전감지수단인 과부하 검출용 스위치는 구동링크를 경계로 좌측의 적정위치에 상하 대칭으로 각각 설치한다.
상기 한계지지수단인 스토퍼는 체인풀리 외주연 가장자리의 적정위치에 상하로 대칭되게 설치한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엘리베이터 도어의 안전장치를 첨부도면에 의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a는 본 고안의 엘리베이터 카도어의 체인풀리에 설치되어 있는 안전장치를 보인 우측면도, 도 4b는 본 고안의 엘리베이터 카도어의 체인풀리에 설치되어 있는 안전장치를 보인 정면도, 도 5a는 본 고안의 체인풀리에 설치되어 있는 구동링크의 정지시의 정면도, 도 5b는 본 고안의 체인풀리에 설치되어 있는 구동링크의 정상 구동시의 정면도, 도 5c는 본 고안의 체인풀리에 설치되어 있는 구동링크의 과부하시의 정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엘리베이터 도어의 안전장치는, 도 4a에서 구동링크(20)은 종래의 2개의 링크를 하나의 일체로 구성된 구동용링크(20)와, 제1축(21)은 중공축으로 되어 있으면서 구동용링크(20)를 고정하는 축이고, 베어링(23)와, (24)는 체인풀리(22) 및 제1축(21)을 지지하는 제2축, (25)는 베어링, (26)은 제2축(24)을 지지하는 지지대, (27)은 지지대(26)를 지지하는 도어장치 프레임이다.
도 4a, 도 4b에서 체인풀리(22)의 회전각도와 구동링크(20)의 회전각도가 편차지게 구성되어 고정수단인 고정볼트(20-1)에 의해서 고정되면서 하나의 일체형 구동링크(20)로 구성된다.
상기 구동링크(20) 및 체인풀리(22) 위에 상하로 대칭되게 조정수단인 제 1,2 고정판(29)(28)과 과부하 설정용 스프링(30)과 과부하 조정용 볼트(31)를 설치한다.
상기 체인풀리(22)의 적정위치에 안전감지수단인 과부하 검출용 스위치(33)와 한계지지수단인 스토퍼(34)를 설치한다.
상기 조정수단인 제 1,2 고정판(29)(28)과 과부하 설정용 스프링(30)과 과부하 조정용 볼트(31)은 구동링크(20)위에 고정된 제 1 고정판(29)과 상기 제 1 고정판(29)과 일직선상에 체인풀리(22)에 고정된 제 2 고정판(28)을 고정시킨다.
상기 과부하 설정용 스프링(30)의 한단은 상기 제 1 고정판(29)에 접촉되고 다른 한단은 과부하 조정용 볼트(32)에 접촉되며 상기 다른쪽 과부하 조정용 볼트(31)의 한단은 상기 제 1 고정판(29)에 관통하여 과부하 설정용 스프링(30)에 접촉하고 다른 한단은 제 2 고정판(28)에 조정용 볼트(32)로 고정된다.
상기 안전감지수단인 과부하 검출용 스위치(33)는 구동링크(20)를 경계로 좌측의 적정위치에 상하 대칭으로 각각 설치한다.
상기 한계지지수단인 스토퍼(34)는 구동링크(20)가 과부하의 한계로 넘어가는 것을 막기 위해 체인풀리(22) 외주연 가장자리의 적정위치에 상하로 대칭되게 설치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에 의한 엘리베이터 도어의 안전장치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기본 동작은 종래장치와 동일하여, 생략하기로 하고 안전감지수단인 열림 과부하 검출 장치의 동작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도 4a, 도 4b에서 도어 구동 장치의 발생 구동력은 최종적으로 체인풀리(22)에 전달되고 체인풀리(22)에 전달된 구동력은 직접 구동링크(20)에 전달되지 않고, 과부하 설정용 스프링(30)을 중간 매체로 하여 구동링크(20)에 구동력이 전달된다. 따라서 전달되는 구동력에 따라 중간 매체인 스프링(30)의 변위량이 달라지게 된다.
도어 열림 동작시 필요한 최대 구동력을 기준으로 과부하 조정용 볼트(31)의 길이를 조정하여 과부하 설정용 스프링(30)의 압축길이를 설정한다. 필요 최대 구동력시 안전감지수단인 과부하 검출용 스위치(33)의 접점상태는 어프 상태가 되도록 한다.
열림 과부하(예를 들면 필요 최대 구동력의 120%)가 되면 안전감지수단인 과부하 검출용 스위치(33)의 접점상태는 온 상태가 되도록 안전감지수단인 과부하 검출용 스위치(33)의 위치를 조정하고 과도한 부하로 안전감지수단인 과부하 검출용 스위치(33) 등을 보호하기 위한 구동링크(20)의 스트로크(Stroke)를 제한하는 스토퍼(34)의 위치를 설정한다.
도 5a는 도어가 구동하지 않은 상태의 구동링크(20)의 동작상태이다. 도어가 구동하면 전동기의 출력토크가 체인풀리(22)에 전달되고, 체인풀리(22)에 전달된 구동력은 스프링(30)을 통해 구동링크(20)에 전달된다. 도 5b는 도어장치에 이상이 없는 경우, 도어 구동 중의 구동링크(20)의 동작상태이다.
만약, 도어장치에 이상이 생겨 도어판넬(13)이 잘 움직이지 않게 되면 도어 제어 장치에서는 전동기(1)에 더 큰 출력을 발생시키도록 지령을 주어 체인풀리(22)에는 더 큰 구동력을 발생시켜 도어판넬(13)이 규정 속도로 움직이도록 하려고 한다.
이때의 구동력이 기준치를 넘게 되면 도 5c와 같이 스프링(30)의 압축량이 더 커지게 되어 체인풀리(22)와 구동링크(20)의 상대 회전이 많아지게 되어 구동링크(20)의 한 면이 부하로 안전감지수단인 과부하 검출용 스위치(33)를 누르게 되어 도어 제어 장치에서는, 이 스위치 접점으로 과부하를 검출하게 된다.
이때 과부하가 너무 커서 구동링크(20)이 스위치를 고장내는 일이 없도록 스토퍼(34)로 최대 변위를 제한한다. 닫힘시에도 열림시와 동일한 방법으로 과부하를 검출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아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엘리베이터 도어의 안전장치는, 체인풀리의 회전각도와 구동링크의 회전각도가 편차지게 구성되어 고정수단에 의해서 고정되면서 하나의 일체형 구동링크를 이루는 것과 상기 구동링크 및 체인풀리 위에 상하로 대칭되게 조정수단인 제 1,2 고정판과 과부하 설정용 스프링과 과부하 조정용 볼트를 설치하며 상기 체인풀리의 적정위치에 안전감지수단인 과부하 검출용 스위치와 한계지지수단인 스토퍼를 설치함으로써, 도어 주행시 도어 사이의 틈새에 사용자의 손이나 옷자락 등이 끼일 경우, 이를 감지하여 도어를 닫힘 방향이나 또는, 열림방향으로 주행시켜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지닌다.

Claims (4)

  1. 체인풀리의 회전각도와 구동링크의 회전각도가 편차지게 구성되어 고정수단에 의해서 고정되면서 하나의 일체형 구동링크를 이루는 것과 상기 구동링크 및 체인풀리 위에 상하로 대칭되게 조정수단을 설치하며 상기 체인풀리의 적정위치에 안전감지수단과 한계지지수단을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도어의 안전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수단은 구동링크 위에 고정된 제 1 고정판과 상기 제 1 고정판과 일직선상에 체인풀리에 고정된 제 2 고정판을 고정시키고, 과부하 설정용 스프링의 한단은 상기 제 1 고정판에 접촉되고 다른 한단은 과부하 조정용 볼트에 접촉되며 상기 다른쪽 과부하 조정용 볼트의 한단은 상기 제 1 고정판에 관통하여 과부하 설정용 스프링에 접촉하고 다른 한단은 제 2 고정판에 조정용 볼트로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도어의 안전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감지수단은 구동링크를 경계로 좌측의 적정위치에 상하대칭으로 각각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도어의 안전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한계지지수단은 체인풀리 외주연 가장자리의 적정위치에 상하로 대칭되게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도어의 안전장치.
KR2019960030956U 1996-09-24 1996-09-24 엘리베이터 도어의 안전장치 KR19980017569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30956U KR19980017569U (ko) 1996-09-24 1996-09-24 엘리베이터 도어의 안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30956U KR19980017569U (ko) 1996-09-24 1996-09-24 엘리베이터 도어의 안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7569U true KR19980017569U (ko) 1998-07-06

Family

ID=539771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30956U KR19980017569U (ko) 1996-09-24 1996-09-24 엘리베이터 도어의 안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17569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K3263820T3 (en) Motorically activatable and vertically movable lifting door
JPH10131612A (ja) 車両用自動開閉装置
JP3713792B2 (ja) パワーウインドレギュレータ装置
KR19980017569U (ko) 엘리베이터 도어의 안전장치
WO2001034931B1 (en) Door drive system
JP2504275B2 (ja) エレベ―タの扉装置
JP2005041620A (ja) エレベータ乗りかごの出入り口装置
KR100252595B1 (ko) 자동문개폐장치
KR100257682B1 (ko) 엘리베이터의도어
JPS5820624Y2 (ja) エレベ−タの自動ドア装置における安全装置
JPH07267543A (ja) エレベータの戸閉装置
KR200214060Y1 (ko) 벨트장력 조절장치
KR920001003Y1 (ko) 엘리베이터용 도어의 과부하 검출 장치
KR20100130701A (ko) 자동문 개폐장치
KR970001063Y1 (ko) 엘리베이터 도어의 닫힘속도 저감장치
JP3207382B2 (ja) 電動門扉
JP6338294B2 (ja) 自動ドア取付装置
JP3012501U (ja) 電動シャッターの安全装置
JPH076454Y2 (ja) 扉の開閉装置
JP2689122B2 (ja) カーテンモータ停止装置
JP3356607B2 (ja) エレベーターの出入口装置
JPH0528310Y2 (ko)
KR100338282B1 (ko) 세이프티 글래스 레귤레이터의 상한점 검출용 리미트스위치 작동장치
JPH06329374A (ja) かごドア駆動装置
KR20010054710A (ko) 자동문 개폐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C193 Request for withdrawal (abandon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