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4060Y1 - 벨트장력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벨트장력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4060Y1
KR200214060Y1 KR2019980028660U KR19980028660U KR200214060Y1 KR 200214060 Y1 KR200214060 Y1 KR 200214060Y1 KR 2019980028660 U KR2019980028660 U KR 2019980028660U KR 19980028660 U KR19980028660 U KR 19980028660U KR 200214060 Y1 KR200214060 Y1 KR 20021406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rotating shaft
driven pulley
fixed
timing be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2866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15263U (ko
Inventor
강태원
Original Assignee
배진원
주식회사 두성하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진원, 주식회사 두성하이텍 filed Critical 배진원
Priority to KR201998002866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4060Y1/ko
Publication of KR2000001526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526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406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4060Y1/ko

Links

Landscapes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 Devices For Conveying Motion By Means Of Endless Flexible Members (AREA)

Abstract

구동모터의 구동시 소정구간을 왕복운동하여 자동문을 개폐시키는 타이밍벨트(timing velt)를 지지하는 종동풀리(driven pulley)를 고정시킨 상태에서 반복적인 구동으로 이완(弛緩)되는 타이밍벨트의 장력(張力)을 조절시 종동풀리의 위치이동을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설치면에 장착된 케이싱 소정위치에 고정되는 제 1 브라킷; 상기 제 1 브라킷에 대해 소정구간내에서 좌우측으로 위치이동가능하게 고정지지되며, 타이밍벨트를 지지하는 종동풀리가 회전자재토록 고정되는 제 2 브라킷; 상기 제 1 브라킷에 대해 상기 제 2 브라킷을 위치이동시켜 상기 타이밍벨트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제 1 및 제 2 브라킷을 각각 관통하여 회전가능하게 고정지지되는 회전축; 일측이 상기 회전축에 나사결합되며 타측이 상기 회전축 회전시 상기 회전축을 따라 소정스트로크범위내에서 위치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이동편; 및 상기 이동편과 상기 제 2 브라킷사이에 장착되며, 상기 제 2 브라킷이 일측단으로 이동된 상태에서 상기 회전축을 조작하는 경우 상기 제 2 브라킷에 무리하게 가해지는 외력을 흡수하여 제거시키는 탄성부재를 구비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장력 조절장치를 제공한다.
이로 인해, 구동모터 구동으로 자동문을 개폐시키는 타이밍벨트를 지지하는 종동풀리를 고정시킨 상태에서 반복적인 구동으로 이완되는 타이밍벨트의 장력을 조절시 종동풀리의 위치이동을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어 사용자에게 편리성을 제공한다. 종동풀리의 위치이동이 더 이상 진행되지 않는 상태에서 회전축을 계속적으로 조작하는 경우 벨트장력 조절장치에 무리하게 가해지는 외력을 흡수하게 되므로 부품의 파손 및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여 이의 사용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자동문 개폐장치의 고장발생율이 낮아짐에 따라 제품의 신뢰도를 크게 향상시키며, 개폐장치를 수리 및 점검하는 유지비용(A/S)을 대폭적으로 줄일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Description

벨트장력 조절장치
본 고안은 벨트장력 조절장치(control device of velt tension)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구동모터의 구동시 소정구간을 왕복운동하여 자동문을 개폐시키는 타이밍벨트(timing velt)를 지지하는 종동풀리(driven pulley)를 고정시킨 상태에서 반복적인 구동으로 이완(弛緩)되는 타이밍벨트의 장력(張力)을 조절시 종동풀리의 위치이동을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도록 한 벨트장력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문은 많은 사람들이 출입하는 공공건물 또는 은행 등의 금융기관의 출입구에 설치되며, 이러한 자동문은 출입자의 검출신호가 구동부에 입력됨에 따라 구동부의 구동시 소정구간을 왕봉운동하는 타이밍벨트의 구동으로 인해 자동문상측에 설치되는 가이드레일을 따라 슬라이딩이동 하면서 개폐구동되는 것이다.
도 5는 종래 기술의 벨트장력 조절장치의 사용상태도 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설치면(일반적으로, "벽면"을 말함)에 고정되는 케이싱(1)의 소정위치에 체결부재(2)로서 착탈가능하게 고정되는 소정형상의 몸체(3)와, 몸체(3)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회전축(4)과, 회전축(4)에 좌우이동가능하게 결합되어 회전축(4)의 회전에 따라 몸체(3)에 형성된 장공(5)내에서 좌우측으로 이동하는 이동축(6)을 구비하여 구성된다.
미설명부호 7은 이동축(6)에 회전자재토록 고정되며, 미도시된 구동모터 구동으로 소정구간을 왕복운동하여 자동문을 개폐시키는 미도시된 타이밍벨트를 지지하는 종동풀리 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벨트장력 조절장치는, 몸체(3)를 케이싱(1)소정위치에 체결부재(2)로서 고정시킨후, 사용자에 의한 회전축(4)의 회전에 따라 전술한 이동축(6)이 장공(5)내에서 좌측 또는 우측방향으로 위치이동됨에 따라, 이동축(6)단부에 회전자재토록 고정된 종동풀리(7)의 위치이동에 의해 자동문의 반복적인 개폐구동에 따라 이완되는 타이밍벨트의 장력을 적정상태로 조절할 수 있게된다.
그러나, 전술한 타이밍벨트의 장력을 조절하기 위하여, 사용자에 의해 이동축(6)이 회전축(4)의 회전에 따라 장공(5)의 좌측단 또는 우측단에 이동된 상태에서(도면에 가상선으로 도시됨) 회전축(4)을 계속적으로 조작하는 경우, 전술한 이동축(6)은 장공(5)내에서 더 이상의 위치이동을 할수 없게된다.
이로 인해, 벨트장력 조절장치에 외력이 무리하게 가해져 이의 사용수명을 단축시킴에 따라 전술한 몸체(3)를 케이싱(1)으로 부터 분리하여 장착위치를 변경한 후 재고정하게 되므로 작업공수가 증가되고, 불편함을 감수하게되며, 벨트의 장력을 더 이상 조절할 수 없게되어 자동문의 개폐구동이 원활하지 못하여 자동문 개폐장치에 고장발생율이 증가된다.
따라서, 사용자로 부터 신뢰도가 떨어짐은 물론, 자동문 개폐장치를 수리 및 점검하는 유지비용(A/S)이 대폭적으로 증가되는 문제점을 갖게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구동모터 구동으로 자동문을 개폐시키는 타이밍벨트를 지지하는 종동풀리를 고정시킨 상태에서 반복적인 구동으로 이완되는 타이밍벨트의 장력을 조절시 종동풀리의 위치이동을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게 되므로, 사용자에게 편리성을 제공하도록 된 벨트장력 조절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종동풀리의 위치이동이 더 이상 진행되지 않는 상태에서 회전축을 계속적으로 조작하는 경우 벨트장력 조절장치에 무리하게 가해지는 외력을 흡수하여 제거하게 되므로, 부품의 파손 및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여 이의 사용수명을 크게 연장시킬 수 있도록 한 벨트장력 조절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다른 목적은, 자동문 개폐장치의 고장발생율이 낮아짐에 따라 제품의 신뢰도를 크게 향상시키며, 개폐장치를 수리 및 점검하는 유지비용(A/S)을 대폭적으로 줄일 수 있도록 한 벨트장력 조절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벨트장력 조절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벨트장력 조절장치의 평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벨트장력 조절장치의 종동풀리를 좌우측으로 자유롭게 위치이동시킬 수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벨트장력 조절장치의 종동풀리를 일방향으로 더 이상 위치이동시킬 수 없는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5는 종래 기술의 벨트장력 조절장치의 사용상태도 이다.
*도면중 주요 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10; 케이싱 11; 제 1 브라킷
12; 체결부재 13; 타이밍벨트(timing velt)
14; 종동풀리(driven pulley) 15; 제 2 브라킷
16; 장공(長空) 17; 회전축
18; 이동편 19; 나사부
20; 탄성부재 21; 고정부재
전술한 본 고안의 목적은, 설치면에 장착된 케이싱 소정위치에 고정되는 제 1 브라킷; 상기 제 1 브라킷에 대해 소정구간내에서 좌우측으로 위치이동가능하게 고정지지되며, 타이밍벨트를 지지하는 종동풀리가 회전자재토록 고정되는 제 2 브라킷; 상기 제 1 브라킷에 대해 상기 제 2 브라킷을 위치이동시켜 상기 타이밍벨트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제 1 및 제 2 브라킷을 각각 관통하여 회전가능하게 고정지지되는 회전축; 일측이 상기 회전축에 나사결합되며 타측이 상기 회전축 회전시 상기 회전축을 따라 소정스트로크범위내에서 위치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이동편; 및 상기 이동편과 상기 제 2 브라킷사이에 장착되며, 상기 제 2 브라킷이 일측단으로 이동된 상태에서 상기 회전축을 조작하는 경우 상기 제 2 브라킷에 무리하게 가해지는 외력을 흡수하여 제거시키는 탄성부재를 구비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장력 조절장치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탄성부재로서 압축스프링이 사용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따라 상세하게 설명하며, 이는 본 고안 기술내용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본 고안의 기술적인 범주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치면에 장착된 케이싱(10) 소정위치에 제 1 브라킷(11)이 체결부재(12)로서 고정되며, 타이밍벨트(13)를 지지하는 종동풀리(14)가 회전자재토록 고정되는 제 2 브라킷(15)이 제 1 브라킷(11)에 대해 제 2 브라킷(15)에 형성된 장공(16)의 범위내에서 좌우측으로 위치이동가능하게 고정지지되며, 제 1 브라킷(11)에 대해 제 2 브라킷(15)을 위치이동시켜 타이밍벨트(13)의 장력을 조절하는 회전축(17)이 제 1 브라킷(11) 및 제 2 브라킷(15)을 각각 관통하여 회전가능하게 고정지지되며, 일측이 회전축(17)회전시 회전축(17)을 따라 소정스트로크범위내에서 위치이동되도록 결합되는 이동편(18)의 타측이 회전축(17)의 나사부(19)와 나사결합되며, 제 2 브라킷(15)이 일측단으로 이동된 상태에서 회전축(17)을 동일방향으로 조작하는 경우 제 2 브라킷(15)에 무리하게 가해지는 외력을 흡수하여 제거시키는 탄성부재(20)가 이동편(18)과 제 2 브라킷(15)사이에 장착된다.
이때, 전술한 탄성부재(20)로서 압축스프링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미설명부호 21은 제 2 브라킷(15)을 제 1 브라킷(11)에 대해 고정지지하는 고정부재 이다.
위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벨트장력 조절장치의 사용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벨트장력 조절장치의 종동풀리를 좌우측으로 자유롭게 위치이동시킬 수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제 1 브라킷(11)이 체결부재(12)에 의해 케이싱(10)에 고정되며, 제 2 브라킷(15)이 제 1 브라킷(11)의 나사공(11a)에 체결되는 고정부재(21)에 의해 제 2 브라킷(15)에 형성된 장공(16)의 사이즈내에서 제 1 브라킷(11)에 대해 좌우측방향으로 위치이동할 수 있도록 고정지지 된다.
이때, 사용자에 의해 전술한 회전축(17)을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경우, 일측이 전술한 회전축(17)의 나사부(19)와 결합된 이동편(18)이 회전축(17)을 따라 도면상, 우측방향으로 이동하게됨에 따라, 이동편(18)의 이동으로 인해 제 2 브라킷(15)을 제 1 브라킷(11)에 대해 회전축(17)의 회전량에 비례하여 우측방향으로 이동시킨다.
따라서, 자동문의 반복적인 개폐구동으로 인해 이완되는 타이밍벨트(13)의 장력을 적정상태로 조절할 수 있게된다.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벨트장력 조절장치의 종동풀리를 일방향으로 더 이상 위치이동시킬 수 없는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회전축(17)을 시계방향으로 계속 회전시킴에 따라 제 2 브라킷(15)의 이동으로 인해 전술한 고정부재(21)가 제 2 브라킷(15)에 형성된 장공(16)의 좌측단에 위치하게되는 경우, 사용자에 의해 회전축(17)을 시계방향으로 계속적으로 회전시키는 경우에도 제 2 브라킷(15)은 고정부재(21)의 간섭을 받게되어 제 1 브라킷(11)에 대해 우측방향으로의 위치이동이 더 이상 진행되지 않게된다.
이때, 사용자에 의해 전술한 회전축(17)을 시계방향으로 계속적으로 회전시키는 경우, 회전축(17)의 회전으로 인해 이동편(18)이 회전축(17)을 따라 도면상, 우측방향으로 이동되어 전술한 탄성부재(20)를 압축시킨다. 이로 인해, 회전축(17)의 회전으로 인해 제 2 브라킷(15)에 무리하게 가해지는 외력은 전술한 이동편(18)과 제 2 브라킷(15)사이에 장착된 탄성부재(20)의 탄성력에 의해 흡수되어 제거되어진다.
따라서, 타이밍벨트(13)를 지지하는 종동풀리(14)의 위치이동이 않되는 상태에서 회전축(17)을 계속적으로 회전시키는 경우, 제 2 브라킷(15)이 무리하게 가해지는 외력으로 인해 파손 및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구동모터 구동으로 자동문을 개폐시키는 타이밍벨트를 지지하는 종동풀리를 고정시킨 상태에서 반복적인 구동으로 이완되는 타이밍벨트의 장력을 조절시 종동풀리의 위치이동을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어 사용자에게 편리성을 제공한다.
종동풀리의 위치이동이 더 이상 진행되지 않는 상태에서 회전축을 계속적으로 조작하는 경우 벨트장력 조절장치에 무리하게 가해지는 외력을 흡수하여 제거하게 되므로, 부품의 파손 및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여 이의 사용수명을 크게 연장시킬 수 있다.
한편, 자동문 개폐장치의 고장발생율이 낮아짐에 따라 제품의 신뢰도를 크게 향상시키며, 개폐장치를 수리 및 점검하는 유지비용을 대폭적으로 줄일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Claims (2)

  1. 설치면에 장착된 케이싱 소정위치에 고정되는 제 1 브라킷;
    상기 제 1 브라킷에 대해 소정구간내에서 좌우측으로 위치이동가능하게 고정지지되며, 타이밍벨트를 지지하는 종동풀리가 회전자재토록 고정되는 제 2 브라킷;
    상기 제 1 브라킷에 대해 상기 제 2 브라킷을 위치이동시켜 상기 타이밍벨트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제 1 및 제 2 브라킷을 각각 관통하여 회전가능하게 고정지지되는 회전축;
    일측이 상기 회전축에 나사결합되며 타측이 상기 회전축 회전시 상기 회전축을 따라 소정스트로크범위내에서 위치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이동편; 및
    상기 이동편과 상기 제 2 브라킷사이에 장착되며, 상기 제 2 브라킷이 일측단으로 이동된 상태에서 상기 회전축을 조작하는 경우 상기 제 2 브라킷에 무리하게 가해지는 외력을 흡수하여 제거시키는 탄성부재를 구비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장력 조절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로서 압축스프링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장력 조절장치.
KR2019980028660U 1998-12-31 1998-12-31 벨트장력 조절장치 KR20021406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8660U KR200214060Y1 (ko) 1998-12-31 1998-12-31 벨트장력 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8660U KR200214060Y1 (ko) 1998-12-31 1998-12-31 벨트장력 조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5263U KR20000015263U (ko) 2000-07-25
KR200214060Y1 true KR200214060Y1 (ko) 2001-09-25

Family

ID=695071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28660U KR200214060Y1 (ko) 1998-12-31 1998-12-31 벨트장력 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406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3066A (ko) * 2002-11-15 2004-05-22 우창기계공업(주) 터널형 지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933066B (zh) * 2013-04-18 2018-10-23 株式会社尼康 曝光装置、利用该曝光装置的器件制造系统和器件制造方法以及图案曝光方法
CN113187864B (zh) * 2021-04-22 2024-05-07 深圳市泰道精密机电有限公司 一种高精密直线模组用的定位精度校准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3066A (ko) * 2002-11-15 2004-05-22 우창기계공업(주) 터널형 지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5263U (ko) 2000-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381746A1 (en) Universal cable window regulator assembly for vehicles
KR200214060Y1 (ko) 벨트장력 조절장치
US6694674B2 (en) Door opening/closing device
KR20210069216A (ko) 와이어 텐션이 유지되는 자동 슬라이딩 도어시스템
US5537263A (en) Under view mirror apparatus for a vehicle
KR200298885Y1 (ko) 자동문용 벨트 장력조절장치
KR20080114010A (ko) 차량용 접이식 모니터
KR20070051992A (ko) 주차장용 차단장치
KR100981522B1 (ko) 도어클로저
KR20020078880A (ko) 여닫이 기능을 갖는 미닫이 방식 자동도어장치
KR100527142B1 (ko) 자동차용 도어체커장치
JP4782534B2 (ja) 自動扉開閉装置
JPH07217346A (ja) 門扉の開閉駆動機構
KR100529730B1 (ko) 편직기용 안전도어
CN107829641B (zh) 一种带惰轮的传动防潮密闭门自动启闭装置
JPH112064A (ja) 引き戸の自閉装置
KR101728297B1 (ko) 자동 도어 개폐장치
JPH07203651A (ja) 電動機取付機構
KR200246101Y1 (ko) 여닫이 기능을 갖는 미닫이 방식 자동도어장치
KR200300553Y1 (ko) 도어용 레일의 스토퍼 구조
KR200368525Y1 (ko) 자동문의 도어 행거
KR200283427Y1 (ko) 출입용 게이트개폐기
US11578525B2 (en) Door operator with isolated components
ES2115580T1 (es) Dispositivo de accionamiento de un batiente movil y portal equipado con dicho batiente.
KR200159778Y1 (ko) 도어글라스 개폐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202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