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16604U - 자동차의 오일 주입용 건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오일 주입용 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16604U
KR19980016604U KR2019960029927U KR19960029927U KR19980016604U KR 19980016604 U KR19980016604 U KR 19980016604U KR 2019960029927 U KR2019960029927 U KR 2019960029927U KR 19960029927 U KR19960029927 U KR 19960029927U KR 19980016604 U KR19980016604 U KR 1998001660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piston
nozzle
vacuum
injection gu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2992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정서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2019960029927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16604U/ko
Publication of KR1998001660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16604U/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NLUBRICATING
    • F16N3/00Devices for supplying lubricant by manual action
    • F16N3/02Devices for supplying lubricant by manual action delivering oil
    • F16N3/04Oil cans; Oil syri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NLUBRICATING
    • F16N2210/00Applications
    • F16N2210/04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ading And Unloading Of Fuel Tanks Or Ship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파워 스티어링 오일이나 브레이크 액 등의 작동유를 차량에 주입하기 위한 오일 주입용 건에 볼을 설치하여, 오일 주입시에 오일 주입구에 강하게 밀착되도록 함으로써, 오일의 누유를 방지하고 클램핑 성능을 향상시킨 자동차의 오일 주입용 건에 관한 것으로, 이것은 오일 유입구(28a)와 배출구(28b)를 지닌 노즐(28)이 내장된 본체(10)와, 오일 호스가 결합되는 노브(14)와, 본체(10)와 노브(14)의 사이에 배치되는 매니홀드(12)와, 밸브 온라인(18')과 밸브 오프라인(18)을 통해 공급되는 압축공기에 의해 상하로 이동하면서 매니홀드(12)에 설치된 진공라인(20)을 통해 유입되는 부압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진공 피스톤(22)과, 진공 통로(30a)를 지니며 노즐(28)을 지지하는 노즐 가이드(30)(30)와, 노즐 가이드(30)(30)에 형성된 진공 통로(30a)를 통해 유입되는 부압에 의해 상방으로 흡인되는 제 1 피스톤(31)과, 제 1 피스톤(31)의 상승 작용에 따라 상승하는 것으로, 하부에는 차량측 오일 주입구(40)의 걸림턱(40a)에 걸리는 볼(34)이 끼워지는 걸림홈(32a)이 형성된 제 2 피스톤(32)으로 구성된다.

Description

자동차의 오일 주입용 건
본 고안은 자동차의 오일 주입용 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파워 스티어링 오일이나 브레이크 액 등의 작동유를 차량에 주입하기 위한 오일 주입용 건에 볼을 설치하여, 오일 주입시에 오일 주입구에 강하게 밀착되도록 함으로써, 오일의 누유를 방지하고 클램핑 성능을 향상시킨 자동차의 오일 주입용 건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에는 각종 유압장치 들을 조작하기 위한 동력원으로서 오일을 사용하고 있다. 가령, 자동차의 동력 조향장치(power steering system)는 기계식 조향장치에 비해 작은 조작력으로도 조향이 가능하며, 고속 주행시 주행 안정성이 높기 때문에 대부분의 차량에 장착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동력 조향장치에서는 벨트를 통해 엔진으로부터 전달되는 회전력에 의해 구동되는 유압펌프가 구동되고, 이때 발생되는 유압은 스티어링 휠의 회전에 따라 개폐되는 유량제어밸브를 통해 동력실린더로 공급됨으로써, 좌·우측 조향바퀴를 적은 힘으로도 회전시킬 수 있게 된다. 동력실린더에서 배출되는 오일은 다시 오일 저장탱크로 리턴된다.
이러한 동력 조향장치에서 작동유체로 사용되는 오일을 비롯하여 제동장치의 작동유체인 브레이크 오일 등을 밀봉 상태에서 차량에 주입하기 위해서는 다음의 도 1에 개략적으로 도시한 바와 같은 오일 주입용 건을 사용한다.
도 1은 종래의 오일 주입용 건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로, 여기에서는 오일 주입구에 건이 결합된 상태만을 도시하였다. 이것은 내부 클램핑(clamping)방식의 오일 주입용 건(1)을 도시한 것으로, 노즐(2)의 선단에는 스토퍼(3)가 부착되어 있어, 오일을 주입하는 경우에는 오일 주입구(4)에 형성된 걸림턱(4a)에 스토퍼(3)가 걸림으로써, 오일 주입용 건(1)의 이탈을 방지하게 된다.
이러한 구성을 지닌 종래의 자동차의 오일 주입용 건에서는 스토퍼(3)의 변형에 따른 클램핑 성능의 저하와 함께, 건에 묻어있는 오일이 바닥에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고안은 오일 주입용 건의 선단에 볼이 끼워진 피스톤을 장착함으로써, 볼에 의해 걸어 맞춤하여 클램핑력을 향상시키고 오일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자동차의 오일 주입용 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본 고안의 목적은 오일 유입구와 배출구를 지닌 노즐이 내장된 본체와, 오일 호스가 결합되는 노브와, 본체와 노브의 사이에 배치되는 매니홀드와, 밸브 온라인과 밸브 오프라인을 통해 공급되는 압축공기에 의해 상하로 이동하면서 매니홀드에 설치된 진공라인을 통해 유입되는 부압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진공 피스톤과, 진공 통로를 지니며 노즐을 지지하는 노즐 가이드(30)와, 노즐 가이드(30)에 형성된 진공 통로를 통해 유입되는 부압에 의해 상방으로 흡인되는 제 1 피스톤과, 제 1 피스톤의 상승 작용에 따라 상승하는 것으로, 하부에는 차량측 오일 주입구의 걸림턱에 걸리는 볼이 끼워지는 걸림홈이 형성된 제 2 피스톤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오일 주입용 건에 의해서 달성된다.
도 1은 종래의 오일 주입용 건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오일 주입용 건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본체12:매니홀드
14:노브16:스위치
18, 18':밸브 온, 오프라인20:진공라인
22:진공 피스톤24:가압 스프링
26:피스톤 시트28:노즐
28a, 28b:오일 유입, 배출구30:노즐 가이드
31, 32:제 1, 2 피스톤34:볼
36:스토퍼38:리턴 스프링
40:오일 주입구40a:걸림단
이하, 첨부한 도 2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오일 주입용 건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오일 주입용 건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로, 노즐(28)을 기준으로 볼 때, 좌측에는 볼(34)이 오일 주입구(40)의 걸림턱(40a)에 걸리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며, 우측에는 볼이 걸림턱(40a)에 걸려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오일 주입용 건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면, 오일을 공급하는 노즐(28)을 지닌 본체(10)와, 오일 호스가 결합되는 노브(14)와, 본체(10)와 노브(14)사이에 배치되어 진공을 공급하는 매니홀드(12)와, 노즐(28)의 주위에 배치된 제 1 피스톤(31) 및 제 2 피스톤(32)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제 2 피스톤(32)의 하부에 형성된 걸림홈(32a)에는 볼(34)이 끼워져 있다.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오일 유입구(28a)와 배출구(28b)를 지닌 노즐(28)이 내장된 본체(10)와, 오일 호스가 결합되는 노브(14)와, 본체(10)와 노브(14)의 사이에 배치되는 매니홀드(12)와, 밸브 온라인(18')과 밸브 오프라인(18)을 통해 공급되는 압축공기에 의해 상하로 이동하면서 매니홀드(12)에 설치된 진공라인(20)을 통해 유입되는 부압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진공 피스톤(22)과, 진공 통로(30a)를 지니며 노즐(28)을 지지하는 노즐 가이드(30)(30)와, 노즐 가이드(30)에 형성된 진공 통로(30a)를 통해 유입되는 부압에 의해 상방으로 흡인되는 제 1 피스톤(31)과, 제 1 피스톤(31)의 상승 작용에 따라 상승하는 것으로, 하부에는 차량측 오일 주입구(40)의 걸림턱(40a)에 걸리는 볼(34)이 끼워지는 걸림홈(32a)이 형성된 제 2 피스톤(32)으로 구성된다.
여기에서, 노브(14)의 상부에는 밸브 온라인(18')과 오프라인(18)에 압축공기를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스위치(16)가 부착되어 있다. 또한, 매니홀드(12)에는 밸브 온라인(18') 및 오프라인(18)이외에도 부압을 공급하는 진공라인(20)을 비롯하여, 오일 유입구(28a)에 오일을 공급하는 오일 충전구(도시생략)등이 설치되어 있다.
스위치(16)의 작동에 따라 밸브 온라인(18')을 통해 공압이 유입되면, 진공 피스톤(22)은 가압 스프링(24)의 힘을 이기고 상승하기 시작한다. 그에 따라 피스톤(22)의 하단이 피스톤 시트(26)로부터 이격되면서 진공라인(20)에 대기하고 있던 부압이 노즐 가이드(30)의 진공 통로(30a)로 공급되어, 제 1 피스톤(31)을 상승시킴과 동시에, 오일 주입구(40)내부를 진공상태로 만든다.
이때, 제 1 피스톤(31)이 상승하게 되면, 하부에 있던 제 2 피스톤(32)은 우측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리턴 스프링(38)을 가압하면서 위로 상승한다. 제 2 피스톤(32)의 상승으로 걸림홈(32a)에 삽이되어 있던 볼(34)은 우측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심으로부터 외측으로 이탈되면서 오일 주입구(40)의 걸림턱(40a)에 걸어 맞춤됨으로써, 오일 주입용 건을 오일 주입구(40)에 강하게 클램핑한다. 이때, 노즐(28)하부에 설치된 스토퍼(36)는 종래의 구조와 마찬가지로 걸림턱(40a)에 걸리게 된다.
다음에, 작업자는 스위치를 방아쇠를 당겨 노즐(28)을 통해 오일을 주입한다. 오일의 주입이 완료된 후에, 스위치(16)를 작동하여 밸브 온라인(18')을 통해 공급되던 공압을 차단하게 되면, 진공 피스톤(22)은 가압 스프링(24)에 의해 하방으로 가압되면서 밸브 시트(26)와 밀착되며, 그에 따라 진공라인(20)을 통해 공급되던 부압은 더 이상 진공 통로(30a)로 공급되지 않게 된다.
그러므로, 제 2 피스톤(32)은 리턴 스프링(38)에 의해 원래의 위치로 복귀되면서, 좌측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볼(34)은 다시 외측으로부터 중심으로 이동하여 하부의 걸림홈(32a)내로 삽입되어 건을 주입구(40)로부터 분리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제 1 피스톤(31)은 자중에 의해 하강하여 제 2 피스톤(32)의 상부에 배치된다.
이상으로 설명한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의 오일 주입용 건은 볼을 이용하여 오일 주입구에 클램핑하기 때문에, 클램핑력이 우수하고 오일이 바닥에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장의 환경을 깨끗이 유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4)

  1. 오일 유입구(28a)와 배출구(28b)를 지닌 노즐(28)이 내장된 본체(10)와, 오일 호스가 결합되는 노브(14)와, 상기 본체(10)와 노브(14)의 사이에 배치되는 매니홀드(12)와, 밸브 온라인(18')과 밸브 오프라인(18)을 통해 공급되는 압축공기에 의해 상하로 이동하면서 상기 매니홀드(12)에 설치된 진공라인(20)을 통해 유입되는 부압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진공 피스톤(22)과, 진공 통로(30a)를 지니며 상기 노즐(28)을 지지하는 노즐 가이드(30)와, 상기 노즐 가이드(30)에 형성된 진공 통로(30a)를 통해 유입되는 부압에 의해 상방으로 흡인되는 제 1 피스톤(31)과, 상기 제 1 피스톤(31)의 상승 작용에 따라 상승하는 것으로, 하부에는 차량측 오일 주입구(40)의 걸림턱(40a)에 걸리는 볼(34)이 끼워지는 걸림홈(32a)이 형성된 제 2 피스톤(32)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오일 주입용 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의 선단에는 상기 오일 주입구(40)의 걸림턱(40a)에 걸리는 스토퍼(36)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오일 주입용 건.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 피스톤(22)과 상기 노즐 가이드(30) 사이에는 상기 진공 통로(30a)와 연통된 통로(26a)를 구비한 피스톤 시트(26)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오일 주입용 건.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피스톤(32)은 리턴 스프링(38)에 의해 하방으로 가압됨으로써, 상기 볼(34)이 중심으로 이동하면서 걸림홈(32a)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오일 주입용 건.
KR2019960029927U 1996-09-18 1996-09-18 자동차의 오일 주입용 건 KR19980016604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29927U KR19980016604U (ko) 1996-09-18 1996-09-18 자동차의 오일 주입용 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29927U KR19980016604U (ko) 1996-09-18 1996-09-18 자동차의 오일 주입용 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6604U true KR19980016604U (ko) 1998-06-25

Family

ID=539764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29927U KR19980016604U (ko) 1996-09-18 1996-09-18 자동차의 오일 주입용 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16604U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0112B1 (ko) * 2001-06-26 2004-07-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브레이크 오일 주입건
KR101382252B1 (ko) * 2012-11-02 2014-04-07 김윤관 자동차용 라디에이터 부동액 주입방법
CN110294451A (zh) * 2019-02-15 2019-10-01 济南瑞玛电气有限公司 一种制动液加注枪
KR20210004753A (ko) * 2019-07-05 2021-01-13 한문수 부동액 주입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주입 방법
CN116619421A (zh) * 2023-07-21 2023-08-22 国网安徽省电力有限公司巢湖市供电公司 一种变压器运维取油机器人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0112B1 (ko) * 2001-06-26 2004-07-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브레이크 오일 주입건
KR101382252B1 (ko) * 2012-11-02 2014-04-07 김윤관 자동차용 라디에이터 부동액 주입방법
CN110294451A (zh) * 2019-02-15 2019-10-01 济南瑞玛电气有限公司 一种制动液加注枪
CN110294451B (zh) * 2019-02-15 2024-05-07 济南瑞玛电气有限公司 一种制动液加注枪
KR20210004753A (ko) * 2019-07-05 2021-01-13 한문수 부동액 주입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주입 방법
CN116619421A (zh) * 2023-07-21 2023-08-22 国网安徽省电力有限公司巢湖市供电公司 一种变压器运维取油机器人
CN116619421B (zh) * 2023-07-21 2023-10-10 国网安徽省电力有限公司巢湖市供电公司 一种变压器运维取油机器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88529A (en) Vehicle brake vacuum evacuation and brake fluid fill machine
KR19980016604U (ko) 자동차의 오일 주입용 건
US6929036B2 (en) Automotive fluid exchange system and method of use
US20200070648A1 (en) Fuel ejector assembly for a vehicle
JP3087119B1 (ja) 工作機械の切削液供給装置
JPH08170555A (ja) 洗浄機のエンジン用自動増減速装置
JP3015756B2 (ja) 液体供給装置
JP3698332B2 (ja) 液体注入装置
KR0130635Y1 (ko) 자동차용 브레이크액 주입장치
KR0163342B1 (ko) 자동차용 연료 주입장치
JPH088802Y2 (ja) チェンソーの給油装置
KR101154313B1 (ko) 경계층 제어를 통한 써지탱크의 흡기효율 증대구조
KR910000190Y1 (ko) 에어쟉키
KR100428224B1 (ko) 주유건의 잔류연료 흡입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3463886B2 (ja) 簡易移動式流体定量圧送装置
SU1155482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сбора и раздачи рабочей жидкости
JPS635979Y2 (ko)
JP3255049B2 (ja) カートリッジタンクの給油装置
KR890006060Y1 (ko) 디젤엔진용 수동 연료 공급 펌프를 부착한 연료여과기
KR200193944Y1 (ko) 브레이크 오일 주입기
SU1588598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прокачки гидравлических тормозов автомобилей
JPS5942292Y2 (ja) 車両用ウインドウォッシャ装置
JPH07150979A (ja) ディーゼルエンジンのエンジン停止装置
JPS6335191Y2 (ko)
KR20020042063A (ko) 디젤차량용 연료주입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