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14390U - 수경재배용 작물포트 받침대 - Google Patents

수경재배용 작물포트 받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14390U
KR19980014390U KR2019980003508U KR19980003508U KR19980014390U KR 19980014390 U KR19980014390 U KR 19980014390U KR 2019980003508 U KR2019980003508 U KR 2019980003508U KR 19980003508 U KR19980003508 U KR 19980003508U KR 19980014390 U KR19980014390 U KR 1998001439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ydroponic cultivation
plate
present
crop
reservo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0350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주화
Original Assignee
윤주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주화 filed Critical 윤주화
Priority to KR2019980003508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14390U/ko
Publication of KR1998001439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14390U/ko

Links

Landscapes

  • Hydroponic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수경재배용 작물포트 받침대에 관한 것이며, 특히 저수지나 호수에 띄워놓고 사용할 수 있도록 고안된 수경 재배용 작물포트 받침대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수경재배용 작물포트 받침대는 상하면을 관통하는 작물포트 안착구멍(4, 10)이 다수개 형성된, 소정 두께(D)의 다각형 스티로폼(Styrofoam) 판재(6)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극히 간단하고 저렴하며 호수나 저수지 물을 그대로 이용하는 것이므로 인위적으로 양액이나 물을 제공하기지 않아도 무방하며, 협소한 경작지 문제, 토양 연작으로 인한 토양산성화 문제, 가뭄문제 등을 해결할 수 있는 외에 특히 저수지나 호수의 부영양화 현상을 치유할 수 있는 수경재배법을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수경재배용 작물포트 받침대
본 고안은 수경재배용 작물포트(Pot) 받침대에 관한 것이며, 특히 저수지나 호수에 띄워놓고 사용할 수 있도록 고안된 수경 재배용 작물포트 받침대에 관한 것이다.
식물은 토양에 뿌리를 내리고 토양으로부터 필요한 물과 영양분을 섭취하면서 성장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수경재배는 식물에 필요한 영양분을 인위적으로 일정의 수조에 제공함으로써 토양에 뿌리를 내리지 않고도 양액에 의해 생장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경작지가 협소한 경우, 청정작물을 재배하고자 할 경우, 작물의 수확량을 늘리기 위한 경우, 실험실 내에서 인위적으로 생장환경을 조성하여 작물의 생장특성이나 생장조건을 관찰하고자 할 경우, 채소류와 같은 식용작물을 대량으로 공장생산하고자 할 경우 또는 염류집적에 따른 토양의 산성화, 병충해와 같은 토양 연작재배에 따른 폐단을 해소하기 위한 새로운 영농기법으로서 널리 활용되고 있다.
그런데, 일반적인 수경재배는 비닐하우스, 유리온실 및 양액(養液)을 제공하기 위한 시설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많은 설비비가 드는 문제점이 있다.
저수지나 호수는 주변 인가로부터 축사폐수 등이 유입되고, 낚시떡밥 등이 투입되기 때문에 질소, 인 등을 비롯한 무기물 또는 각종 유기화합물이 다량으로 함유되어 있어서 부영양화현상이 일어나고 있다. 이러한 부영양화 현상은 그 호수나 저수지 자체의 생태계에 바람직하지 않은 영향을 미침은 물론이고 주변의 하천이나 식수원으로 보호해야 할 청정수역마저 오염시키기 때문에 시급히 그 대책을 마련하지 않으면 안된다.
본 고안에 따른 수경재배용 작물포트 받침대는 일반적인 수경재배농법이 고가의 온실 및 인공적인 양액 설비를 필요로 하는 것과는 달리, 천연의 저수지나 호수에 함유된 수질오염의 주 요인인, 그러나 식물에는 유용한 질소나 인 또는 각종 유기물을 그대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종래와는 전혀 다른 수경재배농법을 제공함과 동시에 오염된 수질오염을 치유할 수 있는 부수적 효과를 제공한다.
본 고안은 극히 간단하고 저렴하게 수경재배할 수 있는 수경재배용 작물포트 받침대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의 또다른 목적은 대지 위에서의 수경재배가 아니라 종래 양어장이나 가두리 양식장, 농업관개용수 외에는 별다른 활용이 없었던 저수지나 호수에 대하여 그 호수면이나 저수지면 자체를 그대로 수경재배용 토대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협소한 경작지의 문제, 지속된 연작으로 인한 토양산성화 문제, 가뭄에 따른 물부족 문제 등을 해결할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수경재배법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의 또다른 목적은 저수지나 호수의 부영양화 현상을 치유할 수 있는 수경재배법을 제공함으로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수경재배용 작물포트 받침대의 제1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수경재배용 작물포트 받침대의 제1실시예의 종방향 단면도(도 1의 Ⅱ-Ⅱ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수경재배용 작물포트 받침대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수경재배용 작물포트 받침대를 여러개 연결하여 사용하는 것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또다른 실시예로서 장방형 작물포트 안착구멍이 형성된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판재의 가로방향으로 역학적 응력보강부재가 더 부가된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또다른 실시예로서 판재가 육각형인 예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주요부분에 대한 도면부호의 설명
2 : 수경재배용 작물포트 받침대 4, 10 : 작물포트 안착구멍
6 : 스티로폼 판재 8 : 작물포트
12 : 가두리 띠 14 : 종단(횡단)띠
16 : 삼각형 고깔 18 : 결속끈
20 : 판재상호간 연결수단
본 고안에 따른 수경재배용 작물포트 받침대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에 도시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이하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수경재배용 작물포트 받침대의 제1실시예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수경재배용 작물포트 받침대의 제1실시예의 종방향 단면도(도 1의 Ⅱ-Ⅱ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의해 알 수 있듯이, 본 고안에 따른 수경재배용 작물포트 받침대(2)는 상하면을 관통하는 작물포트 안착구멍(4)이 다수개 형성된, 소정 두께(D)의 장방형 내수성(耐水性) 부력체, 예컨대 스티로폼(Styrofoam) 판재(6)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두께(D)는 작물포트 안착구멍(4)에 배양토 및 작물이 식재된 작물포트(8)를 삽입하여 이를 물에 띄었을 때 충분히 부력을 받아 물에 뜰 수 있을 정도의 두께인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작물포트 안착구멍(4)은 작물포트의 형태에 따라 원형 뿐만 아니라 또다른 실시예들을 도시한 도 5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장방형 구멍(10)도 가능하며,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하나의 스티로폼 판재 위에 원형의 작물포트 안착구멍과 장방형 또는 정방형의 작물포트 안착구멍이 함께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또한 스티로폼 판재(6)의 형상 역시 장방형에 국한되지 않고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육각형 등의 다양한 형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1에 있어서, 스티로폼 판재의 가장자리를 두른 가두리 띠(12)는 물에 띄어놓은 판재들이 상호간에 부딪힌다든지 또는 그 판재가 외부로부터 외력을 받아 파손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내구성을 높이는 한편 판재의 부재 면에 대하여 직각으로 작용하는 외력에 저항하는 응력(주호 휨응력)을 증대시키기 위한 스티프너(Stiffener)의 역할을 하는 부가적 보호부재로서, 예컨대 소정 두께의 경성(硬性)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티로폼 판재의 역학적 응력을 보강하기 위한 또다른 부가수단으로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부재의 상면 및/또는 하면 위에 종방향 또는 횡방향으로 둘러진 소정 폭의 경성 플라스틱 횡단 또는 종단 띠부재(14)가 더 구비 될 수 있다. 상기 띠부재(12 또는 14)는 스티로폼 판재에 대하여 조립식으로 부착되거나 내수성 접착제에 의해 견고히 부착됨으로써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른 수경재배용 작물포트 받침대는 그 스티로폼 판재 하나 하나를 독립되게 물에 띄워 놓아도 무방하지만 판재 상호간을 결속하기 위한 아무런 수단이 없을 경우에는 각 개별 판재는 바람을 받아 넓은 호수면이나 저수지면 전체로 흩어지기 때문에 관리하기가 어렵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수경재배용 작물포트 받침대는, 도 1 및 도 4에 도시한 바로부터 잘 알 수 있듯이, 그 형태가 장방형인 경우 그 네 모서리에 대해 그 모서리에 꼭 들어맞도록 감착되는 삼각형 고깔(16)과, 이 고깔의 외주면에 부착된 결속끈(18)을 구비하여서 이루어지는 판재 상호간 연결수단(20)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호수면이나 저수지면에 띄워진 본 고안에 따른 수경재배용 작물포트 받침대들은 그 인접하는 판재들의 상기 결속끈(18)들을 상호 결속함으로써 전체적으로 일체로 거동하는 대규모 수경재배면적을 얻을 수 있으며, 이 경우 상호 연결된 판재 중의 어느 하나 또는 몇몇 판재의 결속끈(18)에 연결로프(미도시)를 묶어 이 연결로프를 지상의 고정 구조물(미도시)에 결속해 놓을 경우에는 바람이 불더라도 넓은 호수면이나 저수지면 중의 특정 위치에 본 고안에 따른 수경재배용 작물포트 받침대군(群)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또한 이들을 육지 또는 저수지나 호수 내에 사람이 걸어다니면서 작업할 수 있도록 만든 소정의 작업대 쪽으로 끌어내어 수경재배된 작물을 수확하거나 관리하고자 할 경우에도 상기 연결로프를 잡아다님으로써 연결된 판재 전체를 쉽게 인출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에 따른 수경재배용 작물포트 받침대(2)는 종래 지상 위에서 온실과 더불어 복잡하고 고가의 양액재배시설을 갖추어 행하는 일반적인 수경재배농법과는 그 발상을 전혀 달리하는 것으로서 천연의 호수나 저수지면 위에 띄어놓음으로써 호수면과 저수지면 전체를 농토화 할 수 있는 획기적인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점차 부영양화 되어가고 있는 호수나 저수지 내의 부영양화 요소, 특히 질소, 인 및 각종 유기화합물을 재배식물의 영양소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하여 극히 저렴하고 간단한 설비에 의해 수경재배할 수 있는 새로운 농법을 제공하는 것이며, 이는 또한 오늘날 전통 농촌의 공업화나 도시화로 인해 점차 그 절대농지가 감소되어가는 추세 및 이에 따른 수질 오염 등 환경오염이 날로 심각한 사회문제로 되고 있는 시점에서 농경지의 확보 및 저수지나 호수의 부영양화 문제를 동실에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모델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새로운 수경재배장치에 의해 상치나 미나리와 같은 각종 채소, 또는 딸기 등과 같은 과일 또는 백합, 연꽃과 같은 화초 등의 수경작물이 재배될 수 있을 것이며, 특히 각 단위 작물포트의 크기와 구조, 각 포트간의 간격 및 그 포트내에 담겨지는 배양토의 조성과 그 배양토의 유실을 방지하기 위한 구조 등을 적절히 고안하면서 스치로폼의 두께, 형상을 적절히 구성할 경우에는 종래 토양재배로서 대표적인 수경작물인 벼를 호수나 저수지 위에서 경작할 수 있는 획기적인 영농법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위에서 예시한 작물 외에도 작물포트의 형상 및 그 안착구멍의 형상을 다양하게 변경함으로써 예시하지 않은 다양한 종류의 작물도 그 재배가 가능할 것이다.
본 고안의 기술사상의 본질은 소정의 작물포트 안착구멍이 형성된 부력체를 호수나 저수지 등의 천연 수면 위에 띄워놓음으로써 그 호수나 저수지의 물을 그대로 이용하여 수경재배할 있도록 한다는 것인 바, 이러한 기술사상을 공유하는 한 스티로폼 판재의 형상이 정방형이든지 장방형이든지 또는 육각형 등의 다각형이든지 그 어느 것인가에 관계없이 본 고안에 따른 수경재배용 작물포트 받침대의 기술범위 내인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또한 스티로폼 판재에 형성된 작물포트 안착구멍의 형상, 또는 상기 가두리 띠(12)나 횡단 또는 종단 띠(14)의 재질, 또는 본체(부력체)의 재질 등도 마찬가지로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영양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수경재배용 작물포트 받침대는 극히 간단하고 저렴하게 제작할 수 있고 인위적으로 물이나 양액을 제공하기지 않아도 무방하므로 종래의 일반적인 수경재배에 비해 그 실시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대지 위에서의 수경재배가 아니라 종래 양어장이나 가두리 양식장, 농업관개용수 외에는 별다른 활용이 없었던 저수지나 호수 위에서 그 호수면이나 저수지면 자체를 그대로 수경재배용 토대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기 때문에 협소한 경작지의 문제를 해소할 수 있는 외에 지속된 토양 연작으로 인한 토양산성화 문제, 가뭄문제 등을 해결할 수 있으며, 특히 저수지나 호수의 부영양화 현상을 치유할 수 있는 수경재배법을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는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5)

  1. 상하면을 관통하는 작물포트 안착구멍(4, 10)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된, 소정 두께(D)의 다각형 부력체 판재(6)로 이루어져 저수지면이나 호수면 위에 띄워져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경재배용 작물포트 받침대.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부력체 판재의 가장자리를 따라 그 판재의 파손방지 및 휨응력 보강을 위한 가두리띠(12)가 부가적으로 더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경재배용 작물포트 받침대.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부력체 판재의 상면 및/또는 하면 위에 종방향 및/또는 횡방향으로 둘러진 소정 폭의 횡단 및/또는 횡단 띠부재(14)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경재배용 작물포트 받침대.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부력체 판재의 모서리에 대하여 그 모서리에 꼭 들어맞도록 감착되는 대략 삼각형 형태의 고깔(16)과, 이 고깔의 외주면에 부착된 결속끈(18)을 구비하여서 이루어진 판재 상호간 연결수단(20)이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경재배용 작물포트 받침대.
  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부력체는 스티로폼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경재배용 작물포트 받침대.
KR2019980003508U 1998-03-11 1998-03-11 수경재배용 작물포트 받침대 KR19980014390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3508U KR19980014390U (ko) 1998-03-11 1998-03-11 수경재배용 작물포트 받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3508U KR19980014390U (ko) 1998-03-11 1998-03-11 수경재배용 작물포트 받침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4390U true KR19980014390U (ko) 1998-06-05

Family

ID=697109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03508U KR19980014390U (ko) 1998-03-11 1998-03-11 수경재배용 작물포트 받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14390U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61840A (ko) * 1999-12-29 2001-07-07 최규일 양어장을 겸한 수경재배방법 및 그 장치
KR20030075471A (ko) * 2002-03-19 2003-09-26 김종욱 수질정화용 수생식물 재배장치
KR101240666B1 (ko) * 2012-10-10 2013-03-11 (주)미라이코리아 수경재배용 베드
KR102243588B1 (ko) * 2020-08-18 2021-04-22 주식회사 네이처농업회사법인 튤립수중식재방법 및 그 시스템
KR102347297B1 (ko) * 2021-10-05 2022-01-05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세움 아쿠아포닉스 시스템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61840A (ko) * 1999-12-29 2001-07-07 최규일 양어장을 겸한 수경재배방법 및 그 장치
KR20030075471A (ko) * 2002-03-19 2003-09-26 김종욱 수질정화용 수생식물 재배장치
KR101240666B1 (ko) * 2012-10-10 2013-03-11 (주)미라이코리아 수경재배용 베드
KR102243588B1 (ko) * 2020-08-18 2021-04-22 주식회사 네이처농업회사법인 튤립수중식재방법 및 그 시스템
KR102347297B1 (ko) * 2021-10-05 2022-01-05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세움 아쿠아포닉스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855725A (en) Method and means for automatically growing improved quality plants
JP5083507B2 (ja) 浅床栽培槽による蓮根の栽培方法および栽培装置
US8973301B2 (en) Environment-friendly planting device with automatic percolation and irrigation of hermetic liquid
KR101459622B1 (ko) 식생용 포트와 이 포트를 이용한 수생식물 재배방법
KR101652102B1 (ko) 담수어족자원의 자연증가 및 보호용 부류식 뗏목형 인공산란장
CN107960299A (zh) 半干旱区杨树抗旱造林方法
KR100686693B1 (ko) 천마재배를 위한 재배용기
KR19980014390U (ko) 수경재배용 작물포트 받침대
JPH1146588A (ja) 植栽用防護柵
JP2001275502A (ja) 水面浮き床式農法
KR20150127326A (ko) 어류의 배설물을 비료로 이용하는 수평 구조의 양어 및 수경재배 수조
JP2003116381A (ja) 浮沈調整機能付き水面栽培浮床及び作物栽培システム
KR101321359B1 (ko) 조름나물의 생육방법
JP3986540B2 (ja) 栽培床の殺菌殺線虫及び成育妨害成分排除方法
JP2012223195A (ja) 栽培方法及び栽培床
CN2432777Y (zh) 多层式水耕栽培盆
JP2007202572A (ja) 栽培床の殺菌殺線虫及び成育妨害成分排除方法並びに栽培床
CN2515939Y (zh) 悬附式绿化栽培装置
Das et al. Soil-Less Farming-An Innovative Way Towards Sustainability.
JP2004173603A (ja) 植物水上栽培用筏
CN1281116C (zh) 悬附式绿化栽培育苗方法及装置
KR200365118Y1 (ko) 연꽃화분
FI12090U1 (fi) Kasvatuslaatta
JPH06276870A (ja) 水表面を利用した作物栽培装置及び栽培方法
JPS6218209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