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13953U - 차양막을 구비한 차량용 선루프 - Google Patents

차양막을 구비한 차량용 선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13953U
KR19980013953U KR2019960027557U KR19960027557U KR19980013953U KR 19980013953 U KR19980013953 U KR 19980013953U KR 2019960027557 U KR2019960027557 U KR 2019960027557U KR 19960027557 U KR19960027557 U KR 19960027557U KR 19980013953 U KR19980013953 U KR 1998001395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nroof
sunshade
vehicle
rotatably mounted
sunscre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2755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성덕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2019960027557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13953U/ko
Publication of KR1998001395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13953U/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7/00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 B60J7/08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non-sliding type, i.e. movable or removable roofs or panels, e.g. let-down tops or roofs capable of being easily detached or of assuming a collapsed or inoperative position
    • B60J7/16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non-sliding type, i.e. movable or removable roofs or panels, e.g. let-down tops or roofs capable of being easily detached or of assuming a collapsed or inoperative position non-foldable and rigid, e.g. a one-piece hard-top or a single rigid roof panel
    • B60J7/1628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non-sliding type, i.e. movable or removable roofs or panels, e.g. let-down tops or roofs capable of being easily detached or of assuming a collapsed or inoperative position non-foldable and rigid, e.g. a one-piece hard-top or a single rigid roof panel for covering the passenger compartment
    • B60J7/1635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non-sliding type, i.e. movable or removable roofs or panels, e.g. let-down tops or roofs capable of being easily detached or of assuming a collapsed or inoperative position non-foldable and rigid, e.g. a one-piece hard-top or a single rigid roof panel for covering the passenger compartment of non-convertible vehicles
    • B60J7/1642Roof panels, e.g. sunroofs or hatches, movable relative to the main roof structure, e.g. by lifting or pivo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7/00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 B60J7/0007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moveable head-liners, screens, curtains or blinds for ceilings
    • B60J7/0015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moveable head-liners, screens, curtains or blinds for ceilings roller blind

Abstract

본 고안은 각기 다른 조밀도를 지닌 2개의 차양막을 선루프의 하부에 배치함으로써, 계절에 따라 외부에서 유입되는 햇빛의 양을 변화시켜 차 실내의 환경을 최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구조의 차양막을 구비한 차량용 선루프에 관한 것으로, 이것은 제 1 장착공(2a)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 1 회전축(10)상에서 제 1 스프링(14)에 의해 감겨져 있으며, 제 1 고정부(6a)를 통해 제 1 접착부(18)에 부착되는 제 1 차양막(6)과, 제 2 장착공(2a)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 2 회전축(12)상에서 제 2 스프링(16)에 의해 감겨져 있으며, 제 2 고정부(8a)를 통해 제 2 접착부(20)에 부착되는 것으로, 제 1 차양막(6)과는 대향으로 배치되며 서로 다른 조밀도를 지닌 제 2 차양막(8)으로 구성된다.

Description

차양막을 구비한 차량용 선루프
본 고안은 차양막을 구비한 차량용 선루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각기 다른 조밀도를 지닌 2개의 차양막을 선루프의 하부에 배치함으로써, 계절에 따라 외부에서 유입되는 햇빛의 양을 변화시켜 차 실내의 환경을 최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구조의 차양막을 구비한 차량용 선루프에 관한 것이다.
현대 생활에 있어서, 자동차의 사용은 날로 증대되고 있으며, 그에 따라서 자동차는 단순한 운송 수단의 개념으로부터 벗어나, 하나의 독립된 생활 공간으로 자리잡아 가고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볼 때, 차량의 주행 안전성이나 승차감과 같은 차량의 운행에 필요한 기술적인 사항 못지않게 중요시되고 있는 점이 바로, 실생활과 밀접한 관계를 갖고 있는 각종 편의장치의 제공에 있다고 하겠다.
차량에 제공되고 있는 각종 편의장치로는 댐배불을 붙일 때 사용하는 통상의 시가 라이터 및 음료수나 컵 등을 올려놓을 수 있는 컵 홀더를 비롯하여, 차량의 실내에서 면도를 할 수 있도록 한 전기 면도기 등이 있으며, 그 밖에도 운전자의 취미나 관심에 따라 여러 가지 편의장치를 설치하여 이용하고 있다
또한, 차량의 상부를 구성하는 루프에는 선루프(sunroof)가 개폐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어, 환기가 필요한 경우에는 선루프를 개방하여 외기를 도입함으로써, 차량의 실내를 항상 쾌적하게 유지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 선루프는 루프에 설치된 가이드 레일을 따라 차량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되는 슬라이드 방식과, 힌지점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개방되는 회전 방식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을 지닌 종래의 차양막을 구비한 차량용 선루프에서는 더운 여름철에 선루프를 통해 차 실내로 많은 양의 햇빛이 유입됨으로써, 실내의 온도가 상승하게 되며, 그에 따라, 냉방기를 장시간 가동하여 연료의 소모량이 증가되는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고안은 외부에서 유입되는 햇빛의 양을 조절함으로써, 더운 여름철에는 차 실내의 온도상승을 방지함과 동시에, 추운 겨울철에는 다량의 햇빛을 유입하여 차 실내를 따뜻하게 함으로써, 쾌적한 실내환경을 유지할 수 있는 차양막을 구비한 차량용 선루프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본 고안의 목적은 차량의 루프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외부의 공기를 유입하는 차량용 선루프에 있어서, 제 1 장착공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 1 회전축 상에서 제 1 스프링에 의해 감겨져 있으며, 제 1 고정부를 통해 제 1 접착부에 부착되는 제 1 차양막과, 제 2 장착공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 2 회전축 상에서 제 2 스프링에 의해 감겨져 있으며, 제 2 고정부를 통해 제 2 접착부에 부착되는 것으로, 제 1 차양막과는 대향으로 배치되며 서로 다른 조밀도를 지닌 제 2 차양막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차양막을 구비한 차량용 선루프에 의해서 달성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차양막을 구비한 선루프의 구성을 보인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차양막을 구비한 차량용 선루프의 사용 상태를 보인 도면으로, (a)는 선루프가 개방된 상태, (b)는 제 1 차양막을 전개한 상태, (c)는 제 2 차양막을 전개한 상태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루프3a, 3b:제 1, 2 축 지지공
4:선루프6, 8:제 1, 2 차양막
6a, 8a:제 1, 2 고정부10, 12:제 1, 2 회전축
14, 16:제 1, 2 코일 스프링18, 20:제 1, 2 접착부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양막을 구비한 차량용 선루프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차양막을 구비한 선루프의 구성을 보인 분해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고안의 차양막을 구비한 차량용 선루프의 사용 상태를 보인 도면으로, (a)는 선루프가 개방된 상태, (b)는 제 1 차양막을 전개한 상태, (c)는 제 2 차양막을 전개한 상태의 단면도이다.
먼저, 도 1 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차양막을 구비한 선루프의 전체적인 구성을 보면, 힌지(4a)에 의해 차량의 루프(2)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선루프(4)와, 선루프(4)의 하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눈금이 조밀하게 형성된 제 1 차양막(6)과, 마찬가지로, 선루프(4)의 하부에 배치되는 것으로, 제 1 차양막(6)보다는 조밀도가 낮게 형성된 제 2 차양막(8)으로 이루어져 있다.
선루프(4)의 양 측면에 설치된 힌지(4a)는 통상, 루프(2)에 부착된 지지패널(2')에 형성되어 있는 장착공(2a)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손잡이(4b)가 부착되어 있어, 차 실내에서 탑승자가 손으로 개방할 수 있도록 하였다.
제 1 회전축(10)은 루프(2)의 지지패널(2')에 형성된 제 1 축 지지공(3a)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으며, 이 제 1 회전축(10)상에는 제 1 차양막(6)이 여러 겹으로 감겨져 있다. 또한, 제 1 회전축(10)의 일단에는 제 1 회전축(10)에 복원력을 제공하여 제 1 차양막(6)을 감을 수 있도록 하는 제 1 코일 스프링(14)이 장치되어 있다. 제 1 차양막(6)의 앞부분에는 제 1 접착부(18)와 결합되어 차양막의 펼쳐진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제 1 고정부(6a)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유사하게, 제 2 회전축(12)은 루프(2)의 지지패널(2')에 형성된 제 2 축 지지공(3b)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으며, 이 제 2 회전축(12)상에는 제 2 차양막(8)이 여러 겹으로 감겨져 있다. 또한, 제 2 회전축(12)의 일단에는 제 1 회전축(10)과 마찬가지로, 복원력을 제공하여 제 2 차양막(8) 감을 수 있도록 하는 제 2 코일 스프링(16)이 장치되어 있다. 또, 제 2 차양막(8)의 앞부분에는 제 2 접착부(20)와 결합되어 차양막의 펼쳐진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제 2 고정부(8a)가 형성되어 있다.
다음에는 도 2를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선루프를 이용하여 햇빛을 차단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도 2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햇빛의 차단이 필요하지 않은 경우에, 제 1 차양막(6)과 제 2 차양막(8)은 각각, 제 1 회전축(10)과 제 2 회전축(12)에 감져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때, 차 실내에 외기를 도입하려면, 탑승자는 선루프(4)를 가상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상방으로 회동시키면 된다. 따라서, 개방된 공간을 통해 외기가 도입되며, 차 실내의 환경을 쾌적하게 유지할 수 있다.
다음에, 도 2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햇빛이 강한 여름철에는 햇빛의 유입을 가급적 줄이는 것이 좋으며, 이를 위해 탑승자는 제 1 차양막(6)을 펼쳐서 햇빛의 유입을 차단하면 된다. 즉, 제 1 차양막(6)을 제 2 회전축(12)쪽으로 펼친 다음, 제 1 고정부(6a)를 제 1 접착부(18)와 접촉하여 고정한다. 그러므로, 눈금이 조밀한 제 1 차양막(6)에 의해 외부에서 유입되는 대부분이 햇빛이 차단되어 차 실내의 온도가 상승하는 것을 방지한다. 여기에서, 제 1 고정부(6a)와 제 2 접착부(20)는 통상의 매직 테이프 등으로 구성하는 것도 좋다. 이때, 제 2 차양막(8)은 제 2 회전축(12)에 감겨져 있다.
또한, 가을철과 같이, 햇빛을 약간만 도입하는 경우에는 도 2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눈금이 약간 성긴 제 2 차양막(8)을 펼쳐서, 제 2 고정부(8a)를 제 2 접착부(20)에 접착시킨다. 따라서, 제 1 차양막(6)보다는 더욱 많은 햇빛이 유입되어 차 실내의 환경을 쾌적하게 유지할 수 있다.
이상으로 설명한 본 고안에 따른 차양막을 구비한 차량용 선루프는 외부의 온도에 따라 햇빛의 유입량을 적절히 조절하여 실내의 환경을 쾌적하게 유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1)

  1. 차량의 루프(2)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외부의 공기를 유입하는 차량용 선루프에 있어서, 제 1 장착공(2a)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 1 회전축(10)상에서 제 1 스프링(14)에 의해 감겨져 있으며, 제 1 고정부(6a)를 통해 제 1 접착부(18)에 부착되는 제 1 차양막(6)과, 제 2 장착공(2a)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 2 회전축(12)상에서 제 2 스프링(16)에 의해 감겨져 있으며, 제 2 고정부(8a)를 통해 제 2 접착부(20)에 부착되는 것으로, 상기 제 1 차양막(6)과는 대향으로 배치되며 서로 다른 조밀도를 지닌 제 2 차양막(8)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차양막을 구비한 차량용 선루프.
KR2019960027557U 1996-08-31 1996-08-31 차양막을 구비한 차량용 선루프 KR19980013953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27557U KR19980013953U (ko) 1996-08-31 1996-08-31 차양막을 구비한 차량용 선루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27557U KR19980013953U (ko) 1996-08-31 1996-08-31 차양막을 구비한 차량용 선루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3953U true KR19980013953U (ko) 1998-06-05

Family

ID=539747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27557U KR19980013953U (ko) 1996-08-31 1996-08-31 차양막을 구비한 차량용 선루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13953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7030B1 (ko) * 2005-12-06 2007-08-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선루프 개폐장치
CN112549921A (zh) * 2020-12-09 2021-03-26 智马达汽车有限公司 一种车用隐藏式遮阳帘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7030B1 (ko) * 2005-12-06 2007-08-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선루프 개폐장치
CN112549921A (zh) * 2020-12-09 2021-03-26 智马达汽车有限公司 一种车用隐藏式遮阳帘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90181796A1 (en) Roof rack assembly and hood light-blocking fabric assembly that are capable of photovoltaic generation
KR101217873B1 (ko) 자동차용 롤러 블라인드
CN109159653B (zh) 全遮盖式汽车遮阳装置
KR19980013953U (ko) 차양막을 구비한 차량용 선루프
WO2001074614A1 (fr) Ventilation d'une cabine d'automobile
US6286887B1 (en) Visor with longitudinal movement system
KR20140012907A (ko) 자동차유리 차광용 롤블라인드 및 이를 이용한 자동차 실내 환기장치
US5058942A (en) Permanent sunshields fully cover automobile windows
KR100471486B1 (ko) 자동차용 선루프의 선쉐이드 자동닫힘 장치
KR0140700Y1 (ko) 윈드실드로의 햇빛 차단장치
JP2574823Y2 (ja) 後席用サンバイザ
CN2251504Y (zh) 车用遮阳通风窗帘
JP7403926B2 (ja) 日除け簡易パネルの取付け構造
KR20020095590A (ko) 자동차용 전면 윈도우의 햇빛 차단 장치
JPH05408Y2 (ko)
KR100402853B1 (ko) 자동차의 선 바이저
KR100997248B1 (ko) 자동차용 롤러 블라인드
KR19980031321U (ko) 자동차의 선루프용 햇빛 가리개
JP2526641Y2 (ja) オープンカーの乗員保護装置
KR910007143Y1 (ko) 차량용 차광판
KR200182078Y1 (ko) 자동차용 햇빛가리개
KR200146800Y1 (ko) 자동차 윈도우의 차양장치
JPH061455Y2 (ja) バスのルーフ構造
KR100494730B1 (ko) 각도 조절이 가능한 선루프의 디플렉터
JP2024020096A (ja) 天窓に太陽電池を搭載した車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