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13872U - 출선구 개공기 태핑바 행거 장치 - Google Patents

출선구 개공기 태핑바 행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13872U
KR19980013872U KR2019960027476U KR19960027476U KR19980013872U KR 19980013872 U KR19980013872 U KR 19980013872U KR 2019960027476 U KR2019960027476 U KR 2019960027476U KR 19960027476 U KR19960027476 U KR 19960027476U KR 19980013872 U KR19980013872 U KR 1998001387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ger
kicker
tapping bar
tapping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2747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16575Y1 (ko
Inventor
권용화
Original Assignee
김종진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진,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종진
Priority to KR201996002747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6575Y1/ko
Publication of KR1998001387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1387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657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6575Y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BMANUFACTURE OF IRON OR STEEL
    • C21B7/00Blast furnaces
    • C21B7/12Opening or sealing the tap ho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3/00Charging; Discharging; Manipulation of charge
    • F27D3/15Tapping equipment; Equipment for removing or retaining slag
    • F27D3/1509Tapping equipment
    • F27D3/1518Tapho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3/00Charging; Discharging; Manipulation of charge
    • F27D3/15Tapping equipment; Equipment for removing or retaining slag
    • F27D3/1509Tapping equipment
    • F27D3/1527Taphole forming equipment, e.g. boring machines, piercing too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B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GENERAL; OPEN SINTERING OR LIKE APPARATUS
    • F27B1/00Shaft or like vertical or substantially vertical furnaces
    • F27B1/10Details, accessories, or equipment peculiar to furnaces of these types
    • F27B1/21Arrangements of devices for discharg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last Furna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태핑바의 출선구에의 센터링이 신속하게 이루어지며, 태핑바의 휨을 방지할 수가 있고 인원 합리화에 의해 작업 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는 출선구 개공기 태핑바의 행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가이드 레일(11) 전방하면에 행거 베이스(22a)를 통해 장착되며 태핑바(12)를 센터링할 수 있도록 형성된 전방 행거(1a)와; 전방 행거(1a)가 태핑바(12)를 파지하는 위치에 유지시키도록 가이드 레일(11) 상단부에 장착된 전방 키커(2a)와; 가이드 레일(11)위에서 전동하는 휠(3)이 내측에 장착되고 외측에는 후방 키커(2b)가 장착된 키커 장착 브라켓트(25)와; 키커 장착 브라켓트와 일체로 이동하며 내측 하면 양측에 가이드 롤러(23)가 장착되며 하면에 태핑바 휨 방지부재(13) 및 후방 행거 베이스(22b)가 장착된 하부 브라켓트(26)와; 중앙 근처에 형성된 구멍을 관통하는 축에 의해 키커 장착 브라켓트(25)에 장착되며 후방 태핑 행거(1b)태핑바를 파지하여 유지하도록 작동하는 후방 키커(2b)와; 하부 브라켓트(26)에 장착된 행거 베이스(22b)에 장착되며 태핑바(12)를 센터링하도록 작동되는 후방 행거(1b)로 이루어지는 구성이다.

Description

출선구 개공기 태핑바 행거 장치
본 고안은 고로 설비의 개공기에 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고로 설비의 개공기에 사용되는 태핑바(Tapping Bar)의 행거(Hanger) 장치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태핑가의 행거 장치에서는 도 1 및 도 3의 종래 기술을 도시한 도면에 도시된 바와같이, 태핑바(Tapping Bar)(12)는 시임리스 파이프(107)와 비트(116)로 이루어져서 출선시 피딩과 동시에 햄머링 및 드릴링을 동시에 수행하므로 태핑바의 중간이 휘어져서 출선하게 되므로 출선구(100) 연와의 침식이 발생되며 중간에 지렛대(101)를 받쳐 태핑바의 휨을 방지하면서 출선하며, 상용 중인 태핑바의 걸고기(110)는 태핑바를 걸어서 떨어지지 않게만 하지 출선구(100)에 태핑바를 신속하게 센터링하는 것을 불가능하여 인력을 지렛대(101)와 장삽(102)으로 작업하고 있는 실정이어서 고열 가스 지역에서 장시간 작업하여 항상 재해의 위험이 잔재하고 있으며 작업의 능률이 저하되었다.
또한, 동일 작업을 인원 합리화에 반해 수행해야 하므로 작업 부하가 높아져서 설비에 그리스를 급지하거나 점검을 충실하게 수행할 수 없는 실정이어서 대형 설비 사고가 우려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은 종래 기술의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태핑바의 출선구에의 센터링이 신속하게 이루어지며, 태핑바의 휨을 방지할 수가 있고 인원 합리화에 의해 작업 부하를 감속시킬 수 있는 개공기 태핑바의 행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태핑바의 행거 장치는, 가이드 레일 전방 하면에 행거 베이스를 통해 장착되며 태핑바를 센터링할 수 있도록 형성된 전방 행거와; 전방 행거가 태핑바를 파지하는 위치에 유지시키도록 가이드 레일 상단부에 장착된 전방 키커와; 가이드 레일위에서 전동하는 휠이 내측에 장착되고 외측에는 후방 키커가 장착된 키커 장착 브라켓트와; 키커 장착 브라켓트와 일체로 이동하며 내측 하면 양측에 가이드 롤러가 장착되며 하면에 태핑바 휨 방지부재 및 후방 행거 베이스가 장착된 하부 브라켓트와; 중앙 근처에 형성된 구멍을 관통하는 축에 의해 키커 장착 브라켓트에 장착되며 후방 태핑 행거가 태핑바를 파지하여 유지하도록 작동하는 후방 키커와; 하부 브라켓트에 장착된 행거 베이스에 장착되며 태핑바를 센터링하도록 작동되는 후방 행거로 이루어지는 구성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서의 태핑바를 출선구에 센터링하는 작업을 설명하는 도면이며,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작업시 태핑바가 휘어지는 과정을 설명한 도면이며,
도 3은 태핑바의 길이 방향 단면을 도시하는 도면이며,
도 4는 본 고안의 출선구 개공기 태핑바 행거 장치를 구성하는 후방 행거 및 후방 키커 부분을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5는 도 4 도시의 구성요소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6 (a) 내지 (c)는 본 고안의 출선구 개공기 태핑바 행거 장치의 작동을 설명하는 도면이며,
도 7은 본 고안의 출선구 개공기 태핑바 행거 장치를 구성하는 전방 행거 및 전방 키커 부분의 측면도이며,
도 8은 동 정면도이며,
도 9는 도 8 도시의 본 고안의 출선구 개공기 태핑바 행거 장치를 구성하는 전방 행거 및 전방 키커 부분의 분해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a, 1b : 행거2a, 2b : 키커3 : 휠
5 : 워셔 6 : 키커축11 : 가이드 레일
12 : 태핑바13 : 휨 방지부재15a, 15b : 행거축
16 : 가이드바17 : 키커 스토퍼22a, 22b : 행거 베이스
23 : 가이드 롤러24 : 소켓25 : 키커 장착 브라켓트
26 : 행거 장작 브라켓트100 : 출선구101 : 지렛대
102 : 장삽105 : 마운틴 베드108, 109 : 스토퍼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첨부 도면과 관련하여 본 고안의 태핑바 행거 장치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4는 본 고안의 출선구 개공기 태핑바 행거 장치를 구성하는 후방 행거 및 후방 키커 부분을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5는 도 4 도시의 구성요소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6 (a) 내지 (c)는 본 고안의 출선구 개공기 태핑바 행거 장치의 작동을 설명하는 도면이며, 도 7은 본 고안의 출선구 개공기 태핑바 행거 장치를 구성하는 전방 행거 및 전방 키커 부분의 측면도이며, 도 8은 동 정면도이며, 도 9는 도 8 도시의 본 고안의 출선구 개공기 태핑바 행거 장치를 구성하는 전방 행거 및 전방 키커 부분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에는 본 고안의 출선구 개공기 태핑바 행거 장치를 구성하는 후방 행거(1b)와 후방 키커(2b) 및 이들이 장착된 키커 장착 브라켓트(25)와 행거 장착 브라켓트(26)이 도시되고 있는데, 키커 장착 브라켓트(25) 내면에는 가이드 레일(11) 위를 전동하도록 구성된 휠(3)이 양측으로 다수개 설치되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4개이다. 이 키커 장착 브라켓트(25) 외측에는 축을 통하여 중간 근처에 축구멍이 형성된 후방 키커(2b)가 장착되며 그 양측에 키커 스토퍼가 설치되는 구성이다. 이 후방 키커(2b)는 후방 행거(1b)를 태핑바(12)의 센터링 위치에 유지시키는 작용을 수행한다. 태핑바(12)와 가이드 레일(11) 하부와의 거리는 대략 200 ㎜이다. 이 키커 장착 브라켓트(25)와 일체로 이동하도록 행거 장착 브라켓트(26)이 설치되는데, 이 행거 장착 브라켓트(26) 내측 하면에는 양측으로 가이드 롤러(26)가 설치되고 그 중간에 피드 체인 가이드(27)가 설치된다. 이 행거 장착 브라켓트(26)의 하부에는 태핑바 휨 방지부재(13)가 장착되며, 그 대향측에는 행거 베이스(22b)가 장착되고 이 행거 베이스(22b)에 행거축(15b)을 통해 후방 행거(1b)가 설치된다. 행거(1b)가 장착될 시 행거축의 양측에 분할핀(14)이 끼워져 행거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이 행거(1b)와 태핑바 휨 방지 부재(13)에 의해 출선구 개공 작업시 태핑바(12)의 센터링 작용이 이루어진다.
도 6 (a)에는 본 고안에 따른 태핑바 행거 장치의 개공 대기 위치에서의 전체 구성이 도시되고 있는데, 태핑바(12)는 소켓(24)에 장착되어 개공 대기 위치에 있게 되며, 가이드 레일(11) 측면에 취부된 마운팅 베드(105)에 장착된 해머드릴(103, 104)에 의해 회전하며 전진하도록 작동된다. 가이드 레일 측면에 배치되어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는 가이드바(16)와 이동가능하게 결합된 슬리브(106)를 통해 마운팅 베드(105)는 길이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며, 가이드바(16)의 소정 위치에는 스토퍼(108)가 설치되며, 가이드 레일(11) 상측의 소정 부위에는 스토퍼(109)가 설치되는 구성이다.
도 7 내지 도 9에는 본 고안의 출선구 개공기 태핑바 행거 장치를 구성하는 전방 행거(1a)와 전방 키커(2a) 부분이 도시되고 있는데, 도 7 및 도 8 도시와 같이, 가이드 레일(11)의 전방 상단부 소정 위치에 장착된 키커축(6)을 통해 상단부에 축구멍이 형성되고 하방으로 연장하는 전방 키커(2a)가 결합 설치되며 축의 일단부에 형성된 볼트부 너트(7)가 결합되어 키커를 고정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가이드 레일(11)의 하부에는 행거 베이스(22a)가 장착되고 이에 형성된 관통 구멍을 통하여 볼트부가 형성된 행거축(15a)에 의해 태핑바 유지부를 구비하는 전방 행거(1a)가 장착된다. 행거축의 볼트부는 워셔(5)를 개재하여 너트(4)에 의해 고정된다.
본 고안에서는 또한, 태핑바(12)의 내구성을 향상하기 위하여 행거(1a, 1b)의 태핑바 유지부와 접촉하는 부분을 내마모성 재질로 형성한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태핑바 행거 장치의 작용을 도 6 (a) 내지 (c)와 관련하여 설명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 행거(1b)를 해제 위치(점선으로 표시)에서 세팅 위치(실선으로 표시)로 이동시킨 다음에 후방 키커(2b)로 고정한다. 또한,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방 행거(1a)는 해제위치에서 세팅 위치로 이동시킨 후에 전방 키커(2a)로 고정한다. 이로써 태핑바(12)의 출선구(100)와의 센터링 작용이 이루어지며, 이후에 출선구의 개공 작업을 수행한다.
개공 작업 완료시, 이 행거(1b)는 도 6 (c)에 도시된 바와 같은 완전 전진 상태에서 후퇴시 스토퍼(108)가 슬리브(106)에 걸려서 원 위치에 자동으로 복귀한다.
연속 동작으로 설명하며, 도 6 (a) 내지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공기의 대기 위치에서 전방 행거(1a)를 세팅한 상태에서 도 6 (a)의 태핑바(12)를 태핑 소켓(24) 위체 배치하고, 태핑바 행거(1a, 1b)를 세팅한 후 선회 전진시켜서 출선구 키커(2a, 2b)에 안착시켜서 피딩시켜 단번에 출선구에 센터링하여 출선한다.
출선시에 태핑바(12)는 도 4에 도시된 휨 방지부재(13)에 의해 휨 없이 부드럽게 작업을 진행하며, 이때 태핑바 행거(1a, 1b)는 자중에 의해 자동으로 전진하여 도 6 (b)에 도시된 스토퍼(108) 위치까지 전진하여 대기하면 마운팅 베드(105)가 전진 상태에 있기 때문에 스토퍼(108)를 슬리브(106)로 밀어서 후방 키커(2b)는 스토퍼(109)에 의해 후방 행거(1b)에서 이탈하므로 도 6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방 행거(1b)는 자동으로 분리되고 계속 전진하여 도 6 (c)에 도시된 스트라이커(14)가 전방 키커(2a)를 밀어서 전방 행거(1b)를 해제하고 출선 완료 후, 피드백시 도 6 (c)에 도시된 스토퍼(11)가 슬리브(106)에 걸려서 태핑바 행거(1a, 1b)는 도 6 (a)에 도시된 행거 위치까지 자동으로 복귀하여 개공기가 선회하여 복귀하고 출선을 완료한다.
상기 설명한 본 고안의 출선구 개공기 태핑바 행거 장치에 의하면, 종래 기술의 경우에 출선구에 태핑바를 센터링할 때 지렛대와 장삽으로 인력으로 작업을 실시하며 고열 가스 지역에서 장시간 작업하므로 항상 재해 위험이 상존하고 작업 능률이 저하되었고, 출선시 태핑바가 휘어져서 회전하면서 출선하게 되어 출선구 연와의 침식이 발생할 수 있어서 중간에서 지렛대로 받쳐서 출선하는 등의 출선 작업의 문제가 존재하였던 것에 대해, 태핑바의 센터링이 간단하게 이루어지며 휘어지는 것 없이 부드럽게 출선구를 개공할 수 있으며, 기계화에 의한 인원 합리화를 통해 노전 작업의 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출선 작업 지연 억제로 출선량이 증가하고, 출선구의 확대를 방지할 수 있어서 조업이 안정되며 이로써 노황 관리가 효과적으로 되며, 안전 재해 위험 요소가 제거되며 생산 비용이 절감되는 등의 효과가 얻어진다.

Claims (1)

  1. 가이드 레일(11) 전방 하면에 행거 베이스(22a)를 통해 장착되며 태핑바(12)를 센터링할 수 있도록 형성된 전방 행거(1a)와;
    전방 행거(1a)가 태핑바(12)를 파지하는 위치에 유지시키도록 가이드 레일(11) 상단부에 장착된 전방 키커(2a)와;
    가이드 레일(11)위에서 전동하는 휠(3)이 내측에 장착되고 외측에는 후방 키커(2b)가 장착된 키커 장착 브라켓트(25)와;
    키커 장착 브라켓트와 일체로 이동하며 내측 하면 양측에 가이드 롤러(23)가 장착되며 하면에 태핑바 휨 방지부재(13) 및 후방 행거 베이스(22b)가 장착된 하부 브라켓트(26)와;
    중앙 근처에 형성된 구멍을 관통하는 축에 의해 키커 장착 브라켓트(25)에 장착되며 후방 태핑 행거(1b)태핑바를 파지하여 유지하도록 작동하는 후방 키커(2b)와;
    하부 브라켓트(26)에 장착된 행거 베이스(22b)에 장착되며 태핑바(12)를 센터링하도록 작동되는 후방 행거(1b)로 이루어지며, 가이드 레일(11) 하부와 행거(1a, 1b) 사이의 소정 거리 만큼 이격되며, 태핑바(12)의 행거(1a, 1b)와의 접촉부위는 내마모성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선구 개공기 태핑바 행거 장치.
KR2019960027476U 1996-08-31 1996-08-31 출선구 개공기 태핑바 행거장치 KR20021657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27476U KR200216575Y1 (ko) 1996-08-31 1996-08-31 출선구 개공기 태핑바 행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27476U KR200216575Y1 (ko) 1996-08-31 1996-08-31 출선구 개공기 태핑바 행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3872U true KR19980013872U (ko) 1998-06-05
KR200216575Y1 KR200216575Y1 (ko) 2001-05-02

Family

ID=539747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27476U KR200216575Y1 (ko) 1996-08-31 1996-08-31 출선구 개공기 태핑바 행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6575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16575Y1 (ko) 2001-05-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832918A (en) Breakout wrench
JPH0133525B2 (ko)
US4378054A (en) Taphole opening apparatus for blast furnaces
KR200216575Y1 (ko) 출선구 개공기 태핑바 행거장치
KR100253683B1 (ko) 축로의 벽에 출탕구를 뚫는 기계
JP2973173B2 (ja) ボルト自動締付装置
GB2116898A (en) Device for coupling a shaft furnace tap hole drilling rod to the working tool of a drilling machine
KR101932425B1 (ko) 체결비트 퀵 체인지 장치를 구비한 다축형 자동나사 체결기
US20200385826A1 (en) Extraction device for a tuyere part
US3450399A (en) Apparatus for forming a tap hole including boring tool,blowpipe and blowpipe cutoff means
US4669707A (en) Apparatus and process for tapping molten metal furnaces using a rotary percussion mill
JP2709727B2 (ja) 高炉の湯出し口を孔抜きするロッドを孔抜き機械へ結合するためのグリッパを装着する装置
JP6861528B2 (ja) 蓋部材開閉装置
US4520880A (en) Automatic stone cutter
KR100637377B1 (ko) 클러치가 부착된 자동선반
KR100426860B1 (ko) 하역기용 와이어 유도장치
KR100472995B1 (ko) 자동 암나사성형 및 수나사체결장치
RU1793993C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односторонней клепки
KR200250003Y1 (ko) 스크랩걸림방지수단을갖춘절단강판스크랩처리장치
SU9879A1 (ru) Машина дл пробивани отверстий в металлургических печах при выпуске металла
KR200241714Y1 (ko) 롤러교체가 용이한 캐리어롤러 스탠드
US1967501A (en) Drill steel centralizer
US2874871A (en) Bar feed for machine tools
TWI628017B (zh) 用於軸向鎖緊原料棒材之進料裝置之鉗以及用於依次裝入原料棒材到切削單元之主軸之進料裝置
JP3410004B2 (ja) ドラム用ライン導管着脱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10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