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13604A - 주사선 보간 장치 및 수직 보강 신호 처리 장치, 및 디코더 및 텔레비젼 수상기 - Google Patents

주사선 보간 장치 및 수직 보강 신호 처리 장치, 및 디코더 및 텔레비젼 수상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13604A
KR19980013604A KR1019960032155A KR19960032155A KR19980013604A KR 19980013604 A KR19980013604 A KR 19980013604A KR 1019960032155 A KR1019960032155 A KR 1019960032155A KR 19960032155 A KR19960032155 A KR 19960032155A KR 19980013604 A KR19980013604 A KR 199800136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luminance
color
enhancing
sto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321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모루 가노우
야스시 다떼히라
히로유끼 기따
Original Assignee
이데이 노부유끼
소니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데이 노부유끼, 소니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이데이 노부유끼
Publication of KR199800136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13604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01Conversion of standards, e.g. involving analogue television standards or digital television standards processed at pixel level
    • H04N7/0117Conversion of standards, e.g. involving analogue television standards or digital television standards processed at pixel level involving conversion of the spatial resolution of the incoming video signal
    • H04N7/0122Conversion of standards, e.g. involving analogue television standards or digital television standards processed at pixel level involving conversion of the spatial resolution of the incoming video signal the input and the output signals having different aspect ratio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1/00Colour television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007Systems with supplementary picture signal insertion during a portion of the active part of a television signal, e.g. during top and bottom lines in a HDTV letter-box syste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64Circuits for processing colour signals
    • H04N9/646Circuits for processing colour signals for image enhancement, e.g. vertical detail restoration, cross-colour elimination, contour correction, chrominance trapping fil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Processing Of Color Television Signals (AREA)
  • Television Systems (AREA)
  • Color Television Systems (AREA)
  • Compression Or Coding Systems Of Tv Signals (AREA)

Abstract

수직 필터링 처리에서, 휘도 신호용 메모리와 색 신호용 메모리를 공유화할 수 있도록 한다.
입력부(21)로부터의 색 신호는 지연 회로(25)를 통해 필드 메모리(120)에 공급되고, 입력부(22)로부터의 헬퍼 신호 또는 입력부(23)으로부터의 휘도 신호 중 어느 한쪽이 셀렉터(24)에 의해 선택적으로 입력되고, 지연 회로(25)를 통해 필드 메모리(120, 26)에 공급된다. 필드 메모리(26)에 입력된 신호는 1 필드 지연 후, 필드 메모리(27)에 입력된다. 필드 메모리(120,27)에 대해 동일한 제어 신호가 공급되고, 순차색 신호는 색 신호 수직 필터링 처리부(30)에 공급되며, 휘도 신호는 휘도 신호 수직 필터링 처리부(31)에 공급되고, 수직 필터링 처리가 행해진다.

Description

[발명의 명칭]
주사선 보간 장치 및 수직 보강 신호 처리 장치, 및 디코더 및 텔레비젼 수상기
[발명의 상세한 설명]
가. 발명의 목적
(1)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 및 그 분야의 종래 기술 본 발명은 주사선 보간 장치 및 수직 보강 신호 처리 장치, 및 디코더 및 텔레비젼 수상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PALplus 방송 방식이나 EDTV 방송 방식 등에서 송신되어 온 방송 프로그램을 수신하는 경우에 이용하는데 적합한 주사선 보간 장치 및 수직 보강 신호 처리 장치, 및 디코더 및 텔레비젼 수상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전기 통신 기술의 괄목할 만한 발전에 의해, 무선계, 유선계의 뉴미디어가 속속 등장하고 있다. 유럽에서는 현행 방송 방식인 PAL(Phase Alternation by Line) 방식과 양립성을 유지하면서 화상의 와이드 애스펙트화와 고해상도화를 도모한 PAL 플러스(PALplus) 방송 방식이 실험 방송을 통해 실용 단계를 맞이하고 있다. 이 PALplus 방송 방식을 디코드하는 PALplus 방식 텔레비젼 수상기에서는 헬퍼 신호라 칭해지는 보강 신호를 사용하여 주사선 보간 처리를 실시함으로써, 종래에 비해 실효적인 주사선 수를 증가시키고, 또한 수직 방향의 해상도를 보충함으로써 양호한 화상을 얻을 수 있다.
또, PALplus 방송 방식에서는 종래의 PAL 방송과 비교하여 수평 해상도에 대해서는 특별한 개선 수단을 갖고 있지 않지만, 칼라 플러스(Color plus)라 칭해지는 3차원 Y/C 분리 기술을 이용하여 결과적으로 수평 해상도와, 색의 끊어짐을 개선하여, 총합적인 화질 향상을 도모하고 있다. 칼라 플러스는 화상의 필드간 상관을 이용한 3차원 Y/C 분리 기술이다. 칼라 플러스에서는 휘도 신호와 색 신호의 크로스토크를 제거하기 위해 방송국측에서 프리커밍이라 칭해지는 처리가 행해진다. 수신측에서는 프리커밍된 PALplus 복합 영상 신호를 필드 사이에 가산함으로써, 휘도신호와 색 신호를 크로스토크없이 분리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필드사이에 가산을 행하기 때문에, 움직임이 급격한 화상에 대하여 이것을 적응하게 되면 여러가지 화질 열화가 발생하게 된다.
또, PALplus 방송 방식에서는 헬퍼 신호라 칭해지는 수직 보강 신호를 사용하여 주사선 보간 처리를 행하고 있는 것은 상술한 바와 같지만, 이 보간 처리에서도 1개의 프레임내에서 제1 필드(이하, A 필드라 칭함)의 화상과 제2 필드(이하, B 필드라 칭함)의 화상이 크게 다른 경우, 프레임 단위로 보간 처리를 행하면 화질이 크게 열화해 버린다.
이상과 같이, PALplus 방송에서는 영상에 따라 칼라 플러스 처리, 주사선 보간 처리가 다르다. 그 때문에, PALplus 방송 방식에서는 송신측(방송국)은 미리 화상에의해 필드 단위로 처리를 행하는지, 프레임 단위로 처리를 행하는지를 도시하는 모드 판별 신호(1 비트)를 영상 신호의 제23 라인째에 다중 전송하여, 확실한 처리를가능하게 하고 있다. 또, 제23 라인째에는 그 이외에도 상술한 프리커밍 유무의판별 신호도 동시에 다중되어 있다.
상술한 모드 판별 신호로 표시되는 모드는, 필름 모드(Film Mode) 또는 카메라 모드(Camera Mode)라 칭해진다. 필름 모드인 경우에는 동일 프레임 내의 A 필드와 B 필드의 화상이 동일 화상으로부터 생성된다. 오리지날이 24 프레임/초의 텔레시네에 의한 화상 등이 이것에 해당한다. 이 경우에, Y/C 분리는 움직임 비적응으로 항상 칼라 플러스 처리가 행해지고, 주사선 보간은 프레임내 처리에 의해 행해진다. 또, 카메라 모드의 경우에는, 프레임내 2개의 필드의 화상은 별개의 타이밍이다. 이 경우에, Y/C 분리는 움직임 적응 처리가 행해진다. 동화상 영역에서는 라인 고무 필터에 의한 2차원 Y/C 분리가 행해지고, 정지 화상 영역에서는 칼라 플러스에 의한 3차원 Y/C 분리가 행해진다. 주사선 보간 처리는 항상 필드내 처리에 의해 행해진다.
도 11을 참조하여 잠정 방식안의 PALplus 방식 텔레비젼 수상기의 복조 회로(디코더)의 개략을 설명한다.
PALplus 방식 텔레비젼 수상기의 화상 신호 처리 장치의 주요부는 도 11과 같이 PALplus 복합 영상 신호가 입력되는 입력부(1), PALplus 복합 영상 신호로부터 헬퍼 신호를 디코드하여 추출하는 헬퍼 신호 추출 처리부(2),3차원 Y/C 분리 등을 이용한 칼라 플러스 처리를 행하는 칼라 플러스 처리부(3), 본 발명에 관련하여 주화부로서의 휘도 신호(Y_CP) 및 헬퍼 신호(Y-HELPER)로부터의 휘도 신호의 주사선보간 처리를 행하는 휘도 신호 주사선 보간 처리부(6), 색 신호의 주사선보간처리를 행하는 색 신호 주사선 보간 처리부(7), 각종 모드의 식별을 행하는 모드 디코드처리부(Mode Decoder:4), 필름 모드/카메라 모드에 따라 상기 각 처리부에 대해각종 타이밍 신호를 생성하고 공급하는 타이밍 생성부(5), 그리고 휘도 신호(Y-OUT) 및 색차 신호(UV-OUT)를 RGB 신호로 변환하는 매트릭스 처리부(MATRIX부:8) 등으로 구성된다.
도 11에서, 입력부(1)로부터 입력된 PALplus 복합 영상 신호는 칼라 플러스 처리부(3), 헬퍼 신호 처리부(2), 타이밍 생성부(5) 및 모드 디코드 처리부(4)에 평행하게입 력된다.
모드 디코드 처리부(4)에서는 수직 블랭킹 부분(제23 라인)에 다중되어 있는 식별제어 신호의 디코드 및 모드 판별이 행해진다. 이 모드 중에서 특히 중요한 것은 상술한 카메라 모드/필름 모드 판별과 3차원 프리커밍 유무의 판별이다. 모드디코드 처리부(4)는 이들 정보를 타이밍 생성부(5)에 전송하고, 타이밍 생성부(5)가각종 타이밍 신호를 전환하여 출력한다.
칼라 플러스 처리부(3)에서는 송신측에서 3차원 프리커밍하여 송신되어 온 복합 영상 신호에 대하여 그 특성에 대응하는 3차원 필터 등을 이용한 3차원 Y/C 분리가행해진다. 프리커밍은 휘도 신호와 색 신호를 필드 메모리를 이용하여 각각 필드사이에 가산하는 등의 소정의 연산을 함으로써 행한다. 단, 송신측에서,3차원 프리커밍이 행해지지 않는 경우에는 2차원 Y/C 분리가 행해진다. 또, 칼라 플러스처리부(3)에서는 각 모드에 대응하는 처리가 행해진다.필름 모드에서, 주사선 보간은 동일 프레임내와 A 필드와 B 필드의 화상으로부터프레임내 처리를 행하고, Y⒯ 분리도 움직임비적응으로 행해진다. 카메라 모드에서, 프레임내 2개의 필드는 별개의 타이밍의 화상이고, Y/C 분리는 움직임 적응 처리된다. 이들 카메라 모드와 필름 모드는 주사선 보간 처리에서도 이용된다.
헬퍼 신호 처리부(2)에서는 PALplus 복합 영상 신호의 상하 무화부에서 색 반송 신호에 의해 변조되어 전송되는 보강 신호의 복조 및 진폭 조정이 행해진다(이하, 이처리를 통한 보강 신호를 헬퍼 신호라 명칭한다). 상술한 칼라 플러스 처리부(3)로부터 출력된 휘도 신호(Y_CP) 및 헬퍼 신호 처리부(2)의 출력(Y_HELPER)은 휘도신호 주사선 보간 처리부(6)에 입력된다.
타이밍 생성부(5)에서는 상기 모드 디코드 처리부(4)의 디코드 결과에 기초하여PALplus 방식 텔레비젼 수상기에 필요한 각종 타이밍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한다. 이들 신호에는 휘도 신호 주사선 보간 처리부(6) 및 색 신호 주사선 보간 처리부(7)에서 사용되는 필드 메모리의 제어 신호 및 수직 필터링 전환 제어 신호도 포함되어 있다.
주사선 보간 처리부(10)을 구성하는 휘도 신호 주사선 보간 처리부(6)에서는 1 필드당 215개인 주화부의 영상 정보(주로, 휘도 신호)를, 무화부에 내삽되어 전송되는 72개의 헬퍼 신호를 갖는 휘도 신호와 함께 합계 287개의 휘도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또, 휘도 신호 주사선 보간 처리부(6)는 이를 위해서 3종류의 필드 메모리와 복수의 라인 지연 소자로 이루어지는 수직 필터를 구비하고 있으며, 후술하는 서플링(Shuffling) 처리로 손상된 화상의 연속성을 확보하는 동작을 행한다.
색 신호 주사선 보간 처리부(7)에서도 마찬가지로, 필드내주사선 보간 처리 등에 의해 1 필드당 215개인 주화부를 4/3배인 287개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단, 색 신호주사선 보간 처리부(7)에서는 보간 연산에 헬퍼 신호는 이용되지 않는다. 이 색신호 주사선 보간 처리부(7)는 휘도 신호 주사선 보간 처리부(6)와 마찬가지로,1종류의 필드 메모리와 복수의 라인 지연 소자로 이루어지는 수직 필터로 구성된다.
매트릭스 처리부(8)에서는 휘도 신호 주사선 보간 처리부(6)으로부터 출력된 휘도신호(Y-OUT), 및 색 신호 주사선 보간 처리부(7)로부터 출력된 색차 신호(UV-OUT)를 액정 표시 장치나 음극선관(CRT) 등의 표시 소자에 공급하기 위한RGB 신호로 변환되어 출력부(12)로부터 출력된다.
다음에, 도 12를 참조하여 잠정 방식안인 PALplus 방식 텔레비젼 수상기의 주사선보간 처리의 개요에 대해 설명한다. 도 12(a)는 PALplus 방송 신호의 프레임을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12(b)는 3:1의 서플링 처리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며, 도 12(c)는 애스펙트 비 16:9의 표시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PALplus 방송 신호의 제1 필드는 215 라인으로 이루어지는 주화부 M, 및 주화부 M의 상하에서 각각 36 라인으로 이루어지는 무화부(Hl, H2)에 의해 구성된다. PALplus 방송 신호의 주화부 M에서는 애스펙트 비 169의 (215 개/필드) 주사선으로 이루어지는 화상이 전송되고, 주화부 M의 상하 36개의 무화부(Hl, H2)에서는 주화부 M의 휘도 신호의 수직 해상도를 보강하는 보강신호로서의 헬퍼 신호가 송신된다. 제2필드도 마찬가지로 구성된다. PALplus방식 텔레비젼 수상기에서는 이와 같은 신호 구성의 PALplus 방송 신호를 복조하기위해 필드 메모리를 이용한 영상 휘도 신호의 서플링 처리가 행해진다.
다시 말하면, 도 12(b)에서, 4:3 화면 중에 주화부 M의 정보를 상부로부터 3라인연속하여 입력한 후, 헬퍼 신호(Hl) 내의 정보를 상부로부터 1 라인 삽입하고, 마찬가지로 해서 주화부 M의 정보를 3 라인, 헬퍼 신호(Hl) 내의 정보를 1 라인 삽입한다. 헬퍼 신호(Hl)가 36 라인째까지 삽입되면, 다음에 헬퍼 신호(H2)의 1 라인째가 삽입된다. 이와 같이 해서, 주화면 신호(M)와 헬퍼 신호(Hl, H2)의 3:1의 서플링 처리가 행해진다.
또, 이와 같이 4:3으로 수신한 화상에 대하여, 수직 필터링에 의한 필터링 처리 및화상의 수평 방향으로의 연장을 행함으로써, 도 12(c)에 도시한 바와 같은 애스펙트비 16:9의 와이드 화상을 재현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16:9의 와이드 화면을소유하는 시청자(유저)는 상술한 바와 같은 디코드 처리를 행함으로써 16:9의 와이드 화상을 재생하고,4:3의 종래 화면을 소유하는 유저는 그대로 도 12(a)와 같은 4:3의 종래 화상을 재생한다.
다음에, 이상과 같은 주화면 신호와 헬퍼 신호의 서플링 처리를 행하는 주사선 보간처리부의 구성을 도 13에 도시한다.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사선 보간 처리부(10)은 색 신호 입력부(21), 헬퍼 신호 입력부(22), 휘도 신호 입력부(23), 입력 라인 번호에 의해 헬퍼 신호와 휘도 신호를 전환하기 위한 셀렉터(24), 색 신호 수직 필터링 처리부(30), 휘도 신호 수직필터링 처리부(31), 색 신호 출력부(32), 휘도 신호 출력부(33) 및 필드 메모리(FM:26), 필드 메모리(FM_A:27), 필드 메모리(FM_B:28) 및 필드 메모리(FM_C:29)의 통상 4 필드분의 필드 메모리와, 전체 신호의 지연량을 조정하는 지연 회로(25)로 구성된다.
FM(26)은 휘도 입력 신호를 1 필드 지연시키기 위한 필드 메모리이고, FM_A(27),FM_B(28)은 각각 헬퍼 신호와 서플링된 A 필드 휘도 신호 및 B 필드 휘도 신호를 얻기 위한 라인 랜덤 억세스 필드 메모리이다. FM_C(29)는 색 신호의 수직 필터링을 행하기 위한 필드 메모리이지만, 색 신호 수직 필터링 처리부(30)에서는 헬퍼신호는 사용되지 않기 때문에, 서플링할 필요는 없다.
또, FM_A(27), FM_B(28) 및 FM_C(29)에서는 필요로 하는 신호의 제어가 각각 다르기 때문에, 휘도 신호는 각각 별개로 필요하게 된다.
헬퍼 신호는 휘도 신호에 대한 수직 보강 신호로서, 레터박스 화면의 상하 무화 부분에 중첩되어 있다. 따라서, 헬퍼 신호 입력부(22)에 입력되는 헬퍼 신호는 상하무화 부분만 유효한 것이기 때문에, 셀렉터(24)의 전환은 입력 휘도 신호인지 헬퍼신호인지 주화면 신호인지에 따라, 헬퍼 전환 제어 신호(SEL_HLP 신호)에 의해 적당한 전환이 행해진다. 이 형태를 도 14에 도시한다. 예를 들면, SEL_HLP 신호가 레벨 1일 때, 셀렉터(24)는 헬퍼 신호 입력부(22)로부터의 신호가 지연 회로(25)에 공급되도록 내부의 접속을 전환한다. 한편, SEL_HLP 신호가 레벨 0일 때, 셀렉터(24)는 휘도 신호 입력부(23)으로부터의 신호가 지연 회로(25)에 공급되도록 내부의 접속을 전환한다.
다음에, PALplus 방송에서의 각 모드의 구체적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필름 모드시에서 필드 메모리 제어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FM(26)은 A 필드 영상 휘도 신호를 1 필드분 지연함으로써,1필드 어긋난 휘도 신호를 발생하여다음단의 라인 사이에서 랜덤 억세스 가능한 필드 메모리 FM_A(27)로 출력한다. FM_A(27)에서는 라인 단위로 어드레스 점프함으로써, 전술한 헬퍼 신호를 서플링 처리에 의해 주화부 내에 취입하면서 메모리로부터의 판독을 행한다. 데이타의 판독은 2 필드에 따라 동일 데이타가 판독되도록 행해지기 때문에,1 프레임 중 각필드의 데이타는 동일한 것이 되도록 하는 제어 신호(FM_A 제어 신호)가 공급된다. B 프레임 영상 휘도 신호는 그대로 랜덤 억세스가능한 필드 메모리 FM_B(28)에 입력된다. 이 필드 메모리 FM_B(28)에서는 라인 단위로 어드레스 점프함으로써, 전술한 헬퍼 신호를 서플링 처리로 주화부 내에 취입하면서 메모리로부터의 판독을 행한다. 데이타의 판독은 2 필드에 따라 동일 데이타가 판독되도록 행해지기 때문에,1 프레임 중 각 필드의 데이타는 동일한 것이 되도록 하는 제어 신호(FM_B 신호)가 공급된다.
도 15는 필름 모드시의 라인 랜덤 억세스 필드 메모리 FM_A(27) 및 FM_B(28) 각각의 입출력시의 휘도 신호의 힝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15(a)는 FM_B(28)에 입력되는 영상 휘도 신호를 도시하고, 도 15(b)는 FM_A(27)에 입력되는 영상 휘도 신호를 도시하고 있다. FM_A(27)에 공급되는 신호는 FM_B(28)에 입력되는 신호에 대해 FM(26)에 의해 1 필드만큼 지연되게 된다.
이들 입력 신호가 FM_A(27) 및 FM_B(28)에서 서플링 처리된 상태를 도 16에 도시한다. 파선은 서플링 처리된 헬퍼 신호를 모식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주화부의 영상 신호는 각 필드 메모리(27,28)에 의해 각 라인마다 도 16(a), 도 16(b)에 실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출력된다. 즉, 2회 연속하여 동일한 데이타가 판독된다.
따라서, 예를 들면 FM_B(28)에서는 도 15(a)에 도시한 제1 프레임의 B 필드(lB)의다음에 입력되는 제2 프레임의 A 필드는 기억되지 않고 버려져,1B가 보유된다.
한편, FM_B(27)에서는 도 15(b)에 도시한 제1 프레임의 A 필드(1A)의 다음에 입력되는 제1 프레임의 B 필드는 기억되지 않고 버려져,1A가 보유된다. 이것에 의해, FM_A(27) 및 FM_B(28)에 의해, 항상 소정 프레임의 A 필드 및 B필드의 데이타를 판독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헬퍼 신호는 서플링 처리를 위해 도 16(a), 도 16(b)에 파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내삽되어 출력된다. 도 16(c)에 도 16(b)의 상승부의 확대도를 도시한다.
도 16(c)에서, 종축은 메모리 입력시의 라인 번호(주화부 M은 라인(1 내지 215), 상하의 무화부(Hl, H2)는 각각 라인(1 내지 36))을 도시하고, 횡축은 시간 t를 도시하고 있다. 또, 상술한 바와 같이, FM_A(27), FM_B(28)의 각 필드 메모리의 출력부에서, FM_A(27)에서는 A 필드를, FM」3(28)에서는 B 필드를 2회 연속하여 판독함으로써, A, B 양 필드의 신호를 사용하는 필름 모드의 주사선 보간 처리를 가능하게하고 있다.
도 16(c)은 구체적인 서플링 처리 예를 나타낸다. 서플링 처리에서, FM_A(27)에서는 라인(61,62 및 63)의 주화부 M의 정보를 출력한 후, 파선의 헬퍼 신호(Hl)로 복귀하여, 헬퍼 신호의 25 라인째를 출력한다. 이후, 마찬가지로 출력하고 있다.
FM_B(28)의 동작도 마찬가지이다. 이들 2회 연속하여 출력된 A 필드 휘도 신호와, 2회 연속하여 출력된 B 필드 휘도 신호는 동시에 휘도 신호용 수직 필터링 처리부(31)에 입력된다. 상술한 휘도 신호용 수직 필터링 처리부(31)에서는 서플링 처 리에서 손상된 화상의 연속성을 확보하는 처리(화상을 평활하게 함)와 동시에, 영상신호의 수직 해상도를 보강하는 처리가 실시되어 통상의 인터레이스 영상 신호로서 휘도 신호 출력부(33)에 출력된다.
색 신호 입력부(21)로부터 입력된 영상 색 신호는 전체의 지연량을 조정하는 지연회로(25)를 통한 후, FM_C(2()에 입력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색 신호에는 헬퍼신호는 필요없기 때문에, 원리적으로는 휘도 신호와 같은 서플링 처리는 불필요하고, FM_A(27), FM_B(28)의 제어 신호와는 다른 제어 신호(FM_C 제어 신호)가 공급되게 된다.
도 17(a)는 FM_C(29)에 입력되는 영상 색 신호를 도시하고 있다. 색 신호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헬퍼 신호는 없기 때문에, 휘도 신호와 같이 주화부와의 서플링조작은 필요없지만,1 필드당 215개인 주화부를 4/3배인 287개로 변환하기 때문에, 메모리로부터의 판독은 주화부 신호 3 라인에 대해 1 라인의 비율로 더미 신호를입력할 필요가 있다. 이 더미 신호는 실제의 수직 필터링에 대해서는 제로 레벨로간주되기 때문에, 어떠한 신호라도 상관 없다.
도 17(b)는 이와 같이 해서 더미 신호가 삽입되고, FM_C(29)로부터 출력된 영상 색신호를 도시하고 있다. 도 17(c)는 도 17(b)의 출력 신호의 상승부의 확대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17(c) 중에서는 「x」 로서 이 더미 신호를 표기하고 있다.
필름 모드에서의 A 필드, B 필드의 영상 신호는 동일 타이밍의 화상으로부터 생성되어 있고, A 필드의 영상 색 신호는 B 필드의 그것과 동일하게 된다. 따라서, 도시는 하지 않지만, FM_C(29)에서는 B 필드의 색 신호를 2회 연속하여 출력하고, A필드의 주사선 보간 처리에서도 B 필드의 데이타를 이용한 주사선 보간 처리를 행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필름 모드의 휘도 신호 주사선 보간 처리에서는, A 필드 및 B 필드의 영상 신호가 2 프레임 연속하여 수직 필터 처리부(26)에 입력되기 때문에, A 필드와 B 필드의 영상 휘도 신호를 동시에 사용하는 수직 필터링 처리를 행할 수 있다.
다음에, 카메라 모드시에서의 필드 메모리 제어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카메라 모드에서는 A, B 각 필드의 화상 신호는 다른 타이밍의 화상으로 구성되기 때문에, 상술한 필름 모드의 경우와는 다르고, 휘도 신호용 수직 필터링 처리 및 색 신호용 수직 필터링 처리는 A 필드 또는 B 필드의 각각의 필드 내의 신호만을 이용하여 행해진다. 즉, 휘도 신호, 색 신호와 함께 A 필드의 수직 필터링 처리를 행하는 경우, A 필드 데이타만을 이용하고, 마찬가지로 B 필드의 수직 필터링 처리에서는 B필드 데이타만을 이용한다. 이것을 실현하기 위해, 카메라 모드에서는 휘도 신호의 수직 필터링 처리에는 FM_B(28)과 FM_C(29)만이 이용되고, 필름 모드와 같이 각 필드 메모리 출력을 2회 연속하여 판독하는 것은 행해지지 않는다.도 18(a)는 FM_B(28)에 입력되는 영상 휘도 신호를 표시하고, 도 18(b)는 FM_C(29)에 입력되는 영상 색 신호를 도시하고 있다. FM_B(28)에 입력된 영상휘도 신호가 FM_B(28)에서 서플링 처리된 상태를 도 19(a)에 도시한다. 파선은 서플링 처리된 헬퍼 신호를 모식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FM_C(29)에. 입력된 영상색 신호는 필름 모드시와 마찬가지로 서플링 처리는 행해지지 않는다. 도 19(a)에도시한 바와 같이, 주화부의 영상 휘도 신호는 필드 메모리에 대채 각 라인마다 도시한 바와 같이 기록된다. 동일하게, 헬퍼 신호는 서플링 처리를 위해 도면의 파선과 같이 내삽되어 출력된다.
도 19(c)에 도 19(a)에 도시한 입력 신호의 상승부의 확대도를 도시한다. 여기에서, 도면 중 종축은 메모리 입력시의 라인 번호(주화부 M의 라인(1 내지 215), 상하의 무화부(Hl, H2)의 각각의 라인(1 내지 36))을 도시하고, 횡축은 시간 t를 도시하고 있다. 또, FM_B(28) 및 FM_C(29)의 각 필드 메모리 출력부에서는 각 필드 내의 데이타만으로 주사선 보간 처리가 행해지기 때문에,2회 연속하여 판독하는 것은행해지지 않고, 각 필드마다 데이타의 판독이 행해진다.
도 19(c)에 도시한 바와 같이, FM_B(28)의 서플링 처리는 A 필드에서는 라인(61,62,63)의 주화부 M의 정보를 출력한 후, 파선의 헬퍼 신호(Hl)로 복귀하여, 그 헬퍼 신호의 25 라인째를 출력한다. 이후, 동일하게 하여 출력하고, 휘도 신호 수직필터링 처리부(31)에 입력된다. 휘도 신호 수직 필터링 처리부(31)에서는 서플링처리로 손상된 화상의 연속성을 확보하는 처리(화상을 평활하게 함)가 행해짐과 동시에, 영상 신호의 수직 해상도를 보충하는 처리가 실시되어, 통상의 인터레이스 영상 신호로서 휘도 신호 출력부(33)에 출력된다.
색 신호에서는 필름 모드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헬퍼 신호는 없기 때문에, 휘도 신호와 같이 주화부와의 서플링 조작은 필요없지만,1 필드당 215개인 주화부를 4/3배인287개로 변환하기 때문에, 메모리로부터의 판독에서 주화부 신호 3 라인에 대해 1라인의 비율로 더미 신호를 입력할 필요가 있다. 이 더미 신호는 실제의 수직 필터링에서는 제로 레벨로 간주되기 때문에, 어떠한 신호라도 상관 없다. 도 19(c) 중에서는 rx」 로서 이 더미데이타 신호를 표기하고 있다.
다음에, 수직 필터링 처리에 대해 설명한다. 상술한 필름 모드와 카메라 모드에서는 그 구성 자체가 다르지만, 기본적인 구성 요소는 동일하다. 구체적으로는 신호를 1 라인 지연시키기 위한 라인 지연 소자(LM) 군, 각각의 라인 지연 소자로부터의 신호를 정수배하기 위한 승산기군, 승산된 결과의 신호를 가감산하기 위한 가감산기로 구성되고, 좌로부터 입력된 데이타는 1 주사선 시간에서 1 라인씩 우 방향으로 시프트하고 있는 동시에, 이와 같이 해서 얻어진 수 라인에 걸친 다른 주사선에서의 동일 수평 위치의 신호에 대해 연산기에서 소정의 설계를 행함으로써, 주사선보간된 화상 신호를 얻을 수 있다. 또, 미리 도시한 데로, 이 수직 필터링 처리는휘도 신호 Y와 색 신호 C 각각에 대해 행해진다.
먼저, 필름 모드에서의 수직 필터링 처리에 대해 설명한다. 도 20은 필름 모드에서의 휘도 신호 수직 필터링 처리부(31)의 한 예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럭도이다.
입력부(41)은 A 필드의 주화면 신호 3 라인에 1개의 비율로 헬퍼 신호가 서플링된 A 필드의 휘도 신호(Y_IN_A)의 입력부이고, 입력부(43)은 동일하게 B 필드의 주화면 신호 3 라인에 1개의 비율로 헬퍼 신호가 서플링된 B 필드 휘도 신호(Y-IN-B)의 입력부이다.
LM(42a,42b,42c 및 42d)는 1 라인 지연 소자이고, 신호(YA0, YAl, YA2, YA3 및 YA4)는 입력 신호에 대해 각각 지연없이,1 라인 지연,2 라인 지연,3 라인 지연,4라인 지연된 A필드 휘도 신호이다. 마찬가지로, LM(44a,44b, 44c 및 44d)는 1라인지연소자이고,신호(YB0,YB1,YB2,·YB3 및 YB4)도 입력신호에 대해 각각지연 없음,1 라인 지연,2 라인 지연,3라인 지연,4 라인 지연된 B 필드 휘도 신호이다.
이들 신호(YA0, YAl, YA2, YA3 및 YA4) 및 신호(YBl, YB2, YB3 및 YB4)는 곱합 회로(46)에 입력된다. 곱합 회로(46)에서는 구체적으로는 신호(YA0 내지 YA4) 및 신호(YB0 내지 YB4)의 각 신호에 대해 이하와 같은 연산이 행해진다.
Y_OUT_FILM =
(ka0×YA0 + ka1×YA1 + ka2×YA2 + ka3×YA3 + ka4×YA4 + Kb0×YB0 + Kb1×YB1 + Kb2×YB2 + Kb3×Yb3 + Kb4×YB4)/64 여기에서, ka0, kal, ka2, ka3, ka4, kb0, kbl, kb2, kb3, kb4는 정 또는 부인 정수로, 계수 발생기(44)로부터 공급된다. 또, 정수(64)는 계수를 정규화하기 위한 것이다.
입력 라인에 의한 이 계수의 조합은 전부 8 패턴이 있고, 입력 라인 번호에 의해 일의적으로 결정한다. 이 8 패턴을 Phase 1 내지 Phase 8로 표시하면, A 필드에서는 1 라인마다 Phase 1 → Phase 3 → Phase 5 → Phase 7로 반복하고, B 필드에서는 Phase 2 → Phase 4 → Phase 6 → Phase 8로 반복하게 된다. 이리하여, 주사선 보간 신호(Y-OUT_FILM)가 출력부(Y_OUT:47)에 출력된다.
이상이 필름 모드에서의 휘도 신호 수직 필터링 처리이다.
도 21은 필름 모드에서 색 신호 수직 필터링 처리부(30)의 한 예의 구성을 도시하는블럭도이다. 색 신호 수직 필터링 처리부(30)에서는 휘도 신호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서플링 처리된 색 신호가 입력부(51)에 입력된다. 단, 색 신호에서는 상하 무화면 부분의 헬퍼 신호는 수직 필터 계산에는 이용되지 않는다. LM(52a,52b,52c,52d,52e 및 52f)은 1 라인 지연 소자이고, 신호(C0, C1, C2, C3, C4, C5 및 C6)은 입력 신호(UV_IN)에 대하여 각각 지연 없음,1 라인 지연,2 라인 지연,3 라인지연,4 라인 지연,5 라인 지연,6 라인 지연된 색 입력 신호이다.
이와 같은 각각의 딜레이량에 따른 지연 신호(C0, C1, C2, C3, C4, C5 및 C6)가 곱합 회로(54)에 입력된다. 곱합 회로(54)는 구체적으로는 C0 내지 C6의 각 신호에대해 이하와 같은 연산을 행한다.
UV_OUT =-
(k0×C0 + k1×C1 + k2×C2 + k3×C3 + k4×C4 + k5×C5 + k6×C6)/128 여기에서, k0, kl, k2, k3, k4, k5 및 k6은 정 또는 부인 정수로서, 계수 발생기(53)으로부터 공급된다. 입력 라인에 의한 이 계수의 조합은 전부 8 패턴이 있고, 입력라인 번호에 의해 일의적으로 결정한다. 이 8 패턴을 Phase 1 내지 Phase 8로 표시하면, A 필드에서는 1 라인 마다 Phase 1 → Phase 2 → Phase 3 → Phase 4로 반복하고, B 필드에서는 Phase 5 → Phase 6 → Phase 7 → Phase 8로 반복하게된다. 이리하여, 주사선 보간 신호(UV_OUT)가 얻어진다.
한 예로서, 도 22에 필름 모드 주사선 보간 신호의 제27 라인째를 계산하는 경우를 도시한다. 도 22에서는 신호(YA0 내지 YA4, YB0 내지 YB4, C0 내지 C6)에 대응하는 서플링 출력된 영상 라인 번호가 도시되어 있다. 어기에서, 도 22 중에서 「@」 에서 개시하는 라인은 헬퍼 신호이고, rx」 로 표시된 부분은 필터 계산에는 이용되지 않기 때문에, 입력은 어디에 있어도 상관 없다.
도 22에 의하면, 주사선 보간 신호의 제27 라인째를 계산하기 위해, 도 20의 휘도 신호 입력부(41)에는 휘도 신호의 25 라인째(헬퍼 신호)가, 도 21의 색 신호 입력부(51)에는 색 신호의 64 라인째가 각각 입력될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이 필름 모드에서는 휘도 신호 입력부(41,43)와 색 신호 입력부(51)에 서플링 입력되는 라인 번호는 다를 필요가 있기 때문에, FM_A(27), FM_B(28)을 제어하는 제어 신호와 FM_C(29)를 제어하는 제어 신호는 별개로 제어할 필요가 있다.
다음에, 카메라 모드에서 수직 필터링 처리에 대해 설명한다. 도 23은 카메라 모드에서 휘도 신호 수직 필터링 처리부(31)의 한 예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럭도이다.
입력부(61)은 주 화면 신호 3 라인에 1개의 비율로 헬퍼 신호가 서플링된 휘도 신호 입력부이다. LM(62a,62b,62c,62d,62e 및 62f)는 1 라인 지연 소자이고, 신호(Y0, Yl, Y2, Y3, Y4, Y5 및 Y6)은 입력 신호(Y_IN_B)에 대해 각각 지연 없음,1라인 지연,2 라인 지연,3 라인 지연,4 라인 지연,5 라인 지연,6 라인 지연된 휘도 신호이다.
이들 신호(Y0, Yl, Y2, Y3, Y4, Y5 및 Y6)은 곱합 회로(64)에 입력된다. 곱합 회로(64)에서는 구체적으로는 신호(Y0 내지 Y6)의 각각에 대해 이하와 같은 연산이 행해 진다.
Y_OUT_CAMEARA
(k0×Y0 + k1×Y1 + k2×Y2 + k3×Y3 + k4×Y4 + k5×Y5 + k6×Y6)/64 여기에서, k0, kl, k2, k3, k4, k5 및 k6은 정 또는 부인、정수로서, 계수 발생기(53)로부터 공급된다. 또, 정수(64)는 계수를 정규화하기 위한 것이다. 입력 라인에 의해 이 계수의 조합은 전부 8 패턴이 있고, 입력 라인 번호에 의해 일의적으로 결정한다. 이 8 패턴을 Phase 1 내지 Phase 8로 표시하면, A 필드에서는 1 라인마다Phase 1 → Phase 2 → Phase 3 → Phase 4로 반복하고, B 필드에서는 Phase 5 → Phase 6 → Phase 7 → Phase 8로 반복하게 된다. 이와 같이 해서, 주사선 보간신호(Y_OUT_CAMERA)가 얻어진다.
이상이 카메라 모드에서의 휘도 신호의 수직 필터링 처리이다.
도 24는 카메라 모드에서 색 신호 수직 필터링 처리부(30)의 한 예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럭도이다. 이 색 신호 수직 필터링 처리부(30)에서는 휘도 신호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서플링 처리된 색 신호 입력부(71)에 입력된다. 단, 색 신호에서는 상하무화 부분의 헬퍼 신호는 수직 필터 계산에는 이용되지 않는다. LM(72a,72b,72c,72d,72e 및 72f)는 1 라인 지연 소자이고, 신호(C0, C1, C2, C3, C4, C5 및 C6)은 입력 신호(UV_IN)에 대해 각각 지연없고,1 라인 지연,2 라인 지연,3 라인 지연,4 라인 지연,5 라인 지연,6 라인 지연된 색 입력 신호이다.
이와 같은 각각의 딜레이량에 따른 지연 신호(C0, C1, C2, C3, C4, C5 및 C6)가 곱합 회로(74)에 입력된다. 곱합 회로(74)는 구체적으로는 신호(C0 내지 C6)의 각각에 대해 이하와 같은 연산이 행해진다.
UV_OUT =
(k0×C0 + k1×C1 + k2×C2 + k3×C3 + k4×C4 + k5×C5 + k6×C6)/128 여기에서, k0, kl, k2, k3, k4, k5 및 k6은 정 또는 부인 정수로서, 계수 발생기(50)으로부터 공급된다. 또, 정수(128)은 계수를 정규화하기 위한 것이다. 입력 라인에 의해 이 계수의 조합은 전부 8 패턴이 있고, 입력 라인 번호에 의해 일의적으로결정하고 있다. 이 8 패턴을 Phase 1 내지 Phase 8로 표시하면, A 필드에서는 1라인마다 Phase 1 → Phase 2 → Phase 3 → Phase 4로 반복하고, B 필드에서는Phase 5 → Phase 6 → Phase 7 → Phase 8로 반복하게 된다. 이와 같이 해서, 주사선 보간 신호(UV-OUT)가 얻어진다. 한 예로서, 도 25에 카메라 모드 주사선 보간 신호의 제27 라인째를 계산하는 경우를 도시한다. 도 25 중의 휘도 신호(Y0 내지 Y6), 색 신호(C0 내지 C6)에서의 서플링 출력된 영상 라인 번호가 도 25에 도시되어 있다. 여기에서, 도 25 중에서「@」 에서 시작하는 라인은 헬퍼 신호이고, 문자 rx」 로 표시된 부분은 필터 계산에는 이용되지 않기 때문에, 입력은 어디에 있어도 상관 없다.
도 25에 의하면, 주사선 보간 신호의 제27 라인째를 계산하기 위해서는 도 23의 휘도 신호 입력부(61)와 도 24의 색 신호 입력부(71)에는 각각 동일 라인 번호의 신호가 입력될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이 카메라 모드에서는 필름 모드의 경우와는 다르고, 휘도 신호 입력부(61)과 색 신호 입력부(71)에 서플링 입력되는 라인 번호는 동일하면 좋기 때문에, FM_A(27), FM_B(28)을 제어하는 제어 신호와 FM_C(29)를 제어하는 제어 신호는 공통화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종래 주사선 보간 처리에서는 필름 모드에서 색 신호 수직 필터링 처리부 및 휘도 신호 수직 필터링 처리부의 입력 신호의 라인 번호가 각각 다르기 때문에, 제어 신호 생성 회로도 색 신호용, 휘도 신호용 각각에 필요하고 필드 메모리의제어 시스템이 복잡하게 되는 과제가 있었다.
임시로 공통화한 경우를 고려하면, 도 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직 필터의 입력부에서 본래 휘도 신호의 입력 라인 번호와 색 신호의 입력 라인 번호가 1 라인 어긋나야만 하는 것이 동일 라인 번호가 되어, 주사선 보간된 휘도 신호와 색 신호는 결과적으로 1 라인 어긋난 것이 되어 버린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이것을 보정하기위한 1 라인 지연 소자가 휘도 신호의 수직 필터링 후에 필요하게 된다.
주사선 보간 처리부를 IC화하는 경우, 라인 지연 소자 부분의 회로 규모가 크기 때문에 IC 전체에 점유하는 라인 지연 소자의 면적이 거의 IC 전체의 비용이 된다.
따라서, 라인 지연 소자가 증가하는 것이 IC 그것의 비용 상승의 원인이 되어 왔다. 그래서, 통상은 라인 지연 소자를 증가하기보다는, 제어 회로가 복잡하게 되지만 색신호용과 휘도 신호용으로 수직 필터링 처리 전단의 필드 메모리의 제어를 분할하는 것이 행해지고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상황에 고려된 것으로, 메모리 제어 신호를 휘도 신호와 색 신호로 공통화할 수 있고, 그 경우에서도 장치의 비용 상승이 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2)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청구항 1에 기재한 주사선 보간 장치는 휘도 신호와 휘도 보강 신호를 기억하며 휘도 신호와 휘도 보강 신호가 랜덤하게 판독되는 제1 기억 수단과, 색 신호를 기억하며 색 신호가 랜덤하게 판독되는 제2 기억 수단과, 제1 기억 수단 및 제2 기억 수단에 동일한 제어 신호를 공급하는 제어 수단과, 제어 수단으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따라 판독된, 제1 기억 수단에 기억된 휘도 신호 및 휘도 보강 신호에 기초하여 휘도신호의 주사선 보간을 행하는 제1 보간 수단과, 제어 수단으로부터의 제어 신호에따라 판독된, 제2 기억 수단에 기억된 색 신호에 기초하여 색 신호의 주사선 보간을행하는 제2 보간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 기억 수단과 제2 기억 수단은 동일 메모리 소자로 구성되도록 할 수 있다. 제1 보간 수단은 입력된 휘도 신호 및 휘도 보강 신호를 지연시키는 복수의 제1 지연 소자로 이루어지고, 제2 보간 수단은 입력된 색 신호를 지연시키는 복수의 제2지연 소자로 이루어지며, 제2 지연 소자의 소정의 것은 소정의 타이밍으로 휘도 신호 및 휘도 보강 신호를 지연시키기 위해 이용되도록 할 수 있다. 청구항 4에 기재한 수직 보강 신호 처리 장치는 입력된 휘도 신호 또는 휘도 보강신호를 소정 타이밍으로 전환하여 입력하는 전환 수단과, 전환 수단으로부터의 휘도신호 및 휘도 보강 신호를 기억하며 휘도 신호 및 휘도 보강 신호가 랜덤하게 판독되는 제1 기억 수단과, 전환 수단에 의해 입력된 휘도 신호 및 휘도 보강 신호를 소정의 시간만큼 지연시키는 지연 수단과, 지연 수단으로부터의 휘도 신호와 휘도 보강 신호를 기억하며 휘도 신호와 휘도 보강 신호가 랜덤하게 판독되는 제2 기억 수단과, 색 신호를 기억하며 색 신호가 랜덤하게 판독되는 제3 기억 수단과, 제1 기억수단, 제2 기억 수단 및 제3 기억 수단에 동일한 제어 신호를 공급하는 제어 수단과, 제어 수단으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따라 판독된, 제1 기억 수단에 기억된 휘도 신호 및 휘도 보강 신호, 및 제2 기억 수단에 기억된 휘도 신호 및 휘도 보강 신호에 기초하여 휘도 신호의 주사선 보간을 행하는 제1 보간 수단과, 제어 수단으로부터의 제어신호에 따라 판독된, 제3 기억 수단에 기억된 색 신호에 기초하여 색 신호의 주사선 보간을 행하는 제2 보간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5에 기재한 디코더는 입력된 복합 영상 신호로부터 휘도 보강 신호를 추출하는 휘도 보강 신호 추출 수단과, 복합 영상 신호로부터 휘도 신호와 색 신호를 분리하는 분리 수단과, 분리 수단에 의해 분리된 휘도 신호, 또는 휘도 보강 신호 추출수단에 의해 추출된 휘도 보강 신호를 소정의 타이밍으로 전환하여 입력하는 전환수단과, 전환 수단으로부터의 휘도 신호 및 휘도 보강 신호를 기억하며 휘도 신호 및 휘도 보강 신호가 랜덤하게 판독되는 제1 기억 수단과, 전환 수단에 의해 입력되는 휘도 신호 및 휘도 보강 신호를 소정의 시간만큼 지연시키는 지연 수단과, 지연수단으로부터의 휘도 신호 및 휘도 보강 신호를 기억하며 휘도 신호와 휘도 보강신호가 랜덤하게 판독되는 제2 기억 수단과, 분리 수단에 의해 분리된 색 신호를 기역하며 색 신호가 랜덤하게 판독되는 제3 기억 수단과, 제1 기억 수단, 제2 기억 수단 및 제3 기억 수단에 동일한 제어 신호를 공급하는 제어 수단과, 제어 수단으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따라 판독된, 제1 기억 수단에 기억된 휘도 신호 및 휘도 보강 신호, 및 제2 기억 수단에 기억된 휘도 신호 및 휘도 보강 신호에 기초하여 휘도 신호의 주사선 보간을 행하는 제1 보간 수단과, 제어 수단으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따라 판독된, 제3 기억 수단에 기억된 색 신호에 기초하여 색 신호의 주사선 보간을 행하는 제2 보간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6에 기재한 디코더는 입력된 복합 영상 신호로부터 휘도 보강 신호를 추출하는 휘도 보강 신호 추출 수단과, 복합 영상 신호로부터 휘도 신호와 색 신호를 분리하는 분리 수단과, 분리 수단에 의해 분리된 색 신호로부터 수평 보강 신호를 추출하는 수평 보강 신호 추출 수단과, 분리 수단에 의해 분리된 휘도 신호 또는 휘도보강 신호 추출 수단에 의해 추출된 휘도 보강 신호를 소정의 타이밍으로 전환하여입력하는 전환 수단과, 전환 수단으로부터의 휘도 신호 및 휘도 보강 신호를 기억하며 휘도 신호 및 휘도 보강 신호가 랜덤하게 판독되는 제1 기억 수단과, 전환 수단에 의해 입력된 휘도 신호 및 휘도 보강 신호를 소정의 시간만큼 지연시키는 지연수단과, 지연 수단으로부터의 휘도 신호 및 휘도 보강 신호를 기억하며 휘도 신호와 휘도 보강 신호가 랜덤하게 판독되는 제2 기억 수단과, 색 신호를 기억하며 색 신호가 랜덤하게 판독되는 제3 기억 수단과, 제1 기억 수단, 제2 기억 수단 및 제3 기억수단에 동일한 제어 신호를 공급하는 제어 수단과, 제어 수단으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따라 판독된, 제1 기억 수단에 기억된 휘도 신호 및 휘도 보강 신호, 및 제2 기억수단에 기억된 휘도 신호 및 휘도 보강 신호에 기초하여 휘도 신호의 주사선 보간을 행하는 제1 보간 수단과, 제어 수단으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따라 판독된, 제3 기억 수단에 기억된 색 신호에 기초하여 색 신호의 주사선 보간을 행하는 제2 보간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7에 기재한 텔레비젼 수상기는 입력된 복합 영상 신호로부터 휘도 보강 신호를 추출하는 휘도 보강 신호 추출 수단과, 복합 영상 신호로부터 휘도 신호와 색신호를 분리하는 분리 수단과, 분리 수단에 의해 분리된 휘도 신호 또는 휘도 보강신호 추출 수단에 의해 추출된 휘도 보강 신호를 소정의 타이밍으로 전환하여 입력하는 전환 수단과, 전환 수단으로부터의 휘도 신호 및 휘도 보강 신호를 기억하며 휘도 신호 및 휘도 보강 신호가 랜덤하게 판독되는 제1 기억 수단과, 전환 수단에 의해 입력된 휘도 신호 및 휘도 보강 신호를 소정의 시간만큼 지연시키는 지연 수단과, 지연 수단으로부터의 휘도 신호와 휘도 보강 신호를 기억하며 휘도 신호와 휘도 보강 신호가 랜덤하게 판독되는 제2 기억 수단과, 분리 수단에 의해 분리된 색신호를 기억하며 색 신호가 랜덤하게 판독되는 제3 기억 수단과, 제1 기억 수단, 제2기억 수단 및 제3 기억 수단에 동일한 제어 신호를 공급하는 제어 수단과, 제어 수단으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따라 판독된, 제1 기억 수단에 기억된 휘도 신호 및 휘도보강 신호, 및 제2 기억 수단에 기억된 휘도 신호 및 휘도 보강 신호에 기초하여 휘도 신호의 주사선 보간을 행하는 제1 보간 수단과, 제어 수단으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따라 판독된, 제3 기억 수단에 기억된 색 신호에 기초하여 색 신호의 주사선 보간을 행하는 제2 보간 수단과, 제1 보간 수단에 의해 보간된 휘도 신호, 제2 보간 수단에 의해 보간된 색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8에 기재한 텔레비젼 수상기는 입력된 복합 영상 신호로부터 휘도 보강 신호를 추출하는 휘도 보강 신호 추출 수단과, 복합 영상 신호로부터 휘도 신호와 색신호를 분리하는 분리 수단과, 분리 수단에 의해 분리된 색 신호로부터 수평 보강신호를 추출하는 수평 보강 신호 추출 수단과, 분리 수단에 의해 분리된 휘도 신호, 또는 휘도 보강 신호 추출 수단에 의해 추출된 휘도 보강신호를 소정의 타이밍으로 전환하여 입력하는 전환 수단과, 전환 수단으로부터의 휘도 신호 및 휘도 보강신호를 기억하며 휘도 신호 및 휘도 보강 신호가 랜덤하게 판독되는 제1 기억 수단과, 전환 수단에 의해 입력된 휘도 신호 및 휘도 보강 신호를 소정의 시간만큼 지연시키는 지연 수단과, 지연 수단으로부터의 휘도 신호 및 휘도 보강 신호를 기억하며 휘도 신호와 휘도 보강 신호가 랜덤하게 판독되는 제2 기억 수단과, 색 신호를 기억하며 색 신호가 랜덤하게 판독되는 제3 기억 수단과, 제1 기억 수단, 제2 기억 수단 및 제3 기억 수단에 동일한 제어 신호를 공급하는 제어 수단과, 제어 수단으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따라 판독된, 제1 기억 수단에 기억된 휘도 신호 및 휘도 보강 신호,및 제2 기억 수단에 기억된 휘도 신호 및 휘도 보강 신호에 기초하여 휘도 신호의 주사선 보간을 행하는 제1 보간 수단과, 제어 수단으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따라 판독된, 제3 기억 수단에 기억된 색 신호에 기초하여 색 신호의 주사선 보간을 행하는 제2 보간 수단과, 제1 보간 수단에 의해 보간된 휘도 신호와, 제2 보간 수단에 의해보간된 색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1에 기재한 주사선 보간 장치에서는 제어 수단에 의해 휘도 신호와 휘도 보강 신호를 기억하는 제1 기억 수단과, 색 신호를 기억하는 제2 기억 수단에 동일한 제어 신호가 공급되어, 이 제어 신호에 따라 판독된, 제1 기억 수단에 기억된 휘도신호 및 휘도 보강 신호에 기초하여, 제1 보간 수단에 의해 휘도 신호의 주사선 보간이 행해져, 이 제어 신호에 따라 판독된, 제2 기억 수단에 기억된 색 신호에 기초하여 제2 보간 수단에 의해 색 신호의 주사선 보간이 행해진다. 따라서, 휘도 신호 및 색 신호를 판독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공통화할 수 있다.
청구항 4에 기재한 수직 보강 신호 처리 장치에서는 전환 수단에 의해 입력된 휘도신호 또는 휘도 보강 신호가 소정의 타이밍으로 전환하여 입력되고, 제1 기억 수단에 의해 전환 수단에 의해 입력된 휘도 신호 및 휘도 보강 신호가 기억되며, 지연수단에 의해 이 휘도 신호 및 휘도 보강 신호가 소정의 시간만큼 지연된다. 제2기억 수단에 의해, 지연 수단으로부터의 휘도 신호와 휘도 보강 신호가 기억되고, 제3 기억 수단에 의해 색 신호가 기억되며, 제어 수단에 의해 제1 기억 수단, 제2 기억수단 및 제3 기억 수단에 동일한 제어 신호가 공급되고, 이 제어 신호에 따라 판독된, 제1 기억 수단에 기억된 휘도 신호 및 휘도 보강 신호와 제2 기억 수단에 기억된 휘도 신호 및 휘도 보강 신호에 기초하여 제1 보간 수단에 의해 휘도 신호의 주사선 보간이 행해지며, 제어 수단으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따라 판독된, 제3 기억 수단에 기억된 색 신호에 기초하여 제2 보간 수단에 의해 색 신호의 주사선 보간이행해진다. 따라서, 휘도 신호 및 색 신호를 판독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공통화할수 있다.
청구항 5에 기재한 디코더에서는 휘도 보강 신호 추출 수단에 의해 입력된 복합 영상 신호로부터 휘도 보강 신호가 추출되고, 분리 수단에 의해 복합 영상 신호로부터 휘도 신호와 색 신호가 분리되며, 전환 수단에 의해 휘도 신호 또는 휘도 보강 신호가 소정의 타이밍으로 전환하여 입력되고, 제1 기억 수단에 의해 전환 수단에 의해 입력된 휘도 신호 및 휘도 보강 신호가 기억되고, 지연 수단에 의해 입력된 휘도신호 및 휘도 보강 신호가 소정의 시간만큼 지연되며, 제2 기억 수단에 의해 지연된 휘도 신호와 휘도 보강 신호가 기억되고, 제3 기억 수단에 의해 색 신호가 기억되며,제어 수단에 의해 제1기억수단, 제2 기억 수단 및 제3 기억 수단에 동일한 제어신호가 공급되고, 제어 수단으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따라 판독된,제1 기억 수단에 기억된 휘도 신호 및 휘도 보강 신호와 제2 기억 수단에 기억된 휘도 신호 및 휘도 보강 신호에 기초하여 제1 보간 수단에 의해 휘도 신호의 주사선 보간이 행해지며, 제어 수단으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따라 판독된, 제3 기억 수단에 기억된 색 신호에 기초하여 제2 보간 수단에 의해 색 신호의 주사선 보간이 행해진다. 따라서, 휘도신호 및 색 신호를 판독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공통화할 수 있다.
청구항 6에 기재한 디코더에서는 휘도 보강 신호 추출 수단에 의해 입력된 복합 영상 신호로부터 휘도 보강 신호가 추출되고, 분리 수단에 의해 복합 영상 신호로부터 휘도 신호와 색 신호가 분리되며, 수평 보강 신호 추출 수단에 의해 색 신호로부터 수평 보강 신호가 추출되고, 전환 수단에 의해 휘도 신호 또는 휘도 보강 신호가 소정의 타이밍으로 전환되어 입력되며, 제1 기억 수단에 의해 전환 수단에 의해 입력된 휘도 신호 및 휘도 보강 신호가 기억되고, 지연 수단에 의해 입력된 휘도 신호 및 휘도 보강 신호가 소정의 시간만큼 지연되며, 제2 기억 수단에 의해 지연된 휘도 신호 및 휘도 보강 신호가 기억되고, 제3 기억 수단에 의해 색 신호가 기억되며, 제어 수단에 의해 제1 기억 수단, 제2 기억 수단 및 제3 기억 수단에 동일한 제어 신호가 공급되고, 제어 수단으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따라 판독된, 제1 기억 수단에 기억된 휘도 신호 및 휘도 보강 신호와 제1 기억 수단에 기억된 휘도 신호 및 휘도보강 신호에 기초하여 제1 보간 수단에 의해 휘도 신호의 주사선 보간이 행해지고, 제어 수단으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따라 판독된, 제3 기억 수단에 기억된 색 신호에 기초하여 제2 보간 수단에 의해 색 신호의 주사선 보간이 행해진다. 따라서, 휘도신호 및 색 신호를 판독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공통화할 수 있다.청구항 7에 기재한 텔레비젼 수상기에서는 휘도 보강 신호 추출 수단에 의해 입력된 복합 영상 신호로부터 휘도 보강 신호가 추출되고, 분리 수단에 의해 복합 영상신호로부터 휘도 신호와 색 신호가 분리되고, 전환 수단에 의해 휘도 신호 또는 휘도 보강 신호가 소정 타이밍으로 전환하여 입력되고, 제1 기억 수단에 의해 전환 수단에 의해 입력된 휘도 신호 및 휘도 보강 신호가 기억되며, 지연 수단에 의해 입력된 휘도 신호 및 휘도 보강 신호가 소정의 시간만큼 지연되고, 제2 기억 수단에 의해 지연된 휘도 신호와 휘도 보강 신호가 기억되며, 제3 기억 수단에 의해 색 신호가 기억되고, 제어 수단에 의해 제1 기억 수단, 제2 기억 수단 및 제3 기억 수단에동일한 제어 신호가 공급되며, 제어 수단으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따라 판독된, 제1기억 수단에 기억된 휘도 신호 및 휘도 보강 신호와 제2 기억 수단에 기억된 휘도신호 및 휘도 보강 신호에 기초하여 제1 보간 수단에 의해 휘도 신호의 주사선 보간이 행해지고, 제어 수단으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따라 판독된, 제3 기억 수단에 기억된 색 신호에 기초하여 제2 보간 수단에 의해 색 신호의 주사선 보간이 행해지며,표시 수단에 의해 제1 보간 수단에 의해 보간된 휘도 신호와, 제2 보간 수단에 의해 보간된 색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이 표시된다. 따라서, 휘도 신호 및 색 신호를 판독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공통화할 수 있다.
청구항 8에 기재한 텔레비젼 수상기에서는 휘도 보강 신호 추출 수단에 의해 입력된 복합 영상 신호로부터 휘도 보강 신호가 추출되고, 분리 수단에 의해 복합 영상신호로부터 휘도 신호와 색 신호가 분리되며, 수평 보강 신호 추출 수단에 의해 색신호로부터 수평 보강 신호가 추출되고, 전환 수단에 의해 휘도 신호 또는 휘도 보강 신호가 소정의 타이밍으로 전환하여 입력되며, 제1 기억 수단에 의해 전환 수단에 의해 입력된 휘도 신호 및 휘도 보강 신호가 기억되고, 지연 수단에 의해 입력된휘도 신호 및 휘도 보강 신호가 소정의 시간만큼 지연되며, 제2 기억 수단에 의해지연된 휘도 신호 및 휘도 보강 신호가 기억되고, 제3 기억 수단에 의해 색 신호가기억되며, 제어 수단에 의해 제1 기억 수단, 제2 기억 수단 및 제3 기억 수단에 동일한 제어 신호가 공급되고, 제어 수단으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따라 판독된, 제1 기억수단에 기억된 휘도 신호 및 휘도 보강 신호와 제2 기억 수단에 기억된 휘도 신호및 휘도 보강 신호에 기초하여 제1 보간 수단에 의해 휘도 신호의 주사선 보간이 행해지고, 제어 수단으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따라 판독된, 제3 기억 수단에 기억된색 신호에 기초하여 제2 보간 신호에 의해 색 신호의 주사선 보간이 행해지며, 표시수단에 의해 제1 보간 수단에 의해 보간된 휘도 신호와 제2 보간 수단에 의해 보간된 색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이 표시된다. 따라서, 휘도 신호 및 색 신호를 판독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공통화할 수 있다.
이상에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지만,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한 발명의 각 종단과 이하의 실시예와의 대응 관계를 명확하게 하기 위해, 각 수단 후의 괄호 내에 대응하는 실시예(단, 한 예)를 부가하여 본 발명의 특징을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즉, 청구항 1에 기재한 주사선 보간 장치는 휘도 신호 및 휘도 보강 신호를 기억하며 휘도 신호와 휘도 보강 신호가 랜덤하게 판독되는 제1 기억 수단[예를 들면, 도1의 필드 메모리(27,28)]과 색 신호를 기억하며 색 신호가 랜덤하게 판독되는 제2기억 수단[예를 들면, 제1도의 필드 메모리(83)]과, 제1 기억 수단 및 제2 기억 수단에 동일한 제어 신호를 공급하는 제어 수단[예를 들면, 도 7의 타이밍 생성부(5)]와,제어 수단으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따라 판독된, 제1 기억 수단에 기억된 휘도 신호 및 휘도 보강 신호에 기초하여 휘도 신호의 주사선 보간을 행하는 제1 보간 수단[예를 들면, 도 1의 휘도 신호 수직 필터링 처리부(31)]과, 제어 수단으로부터의 제어신호에 따라 판독된, 제2 기억 수단에 기억된 색 신호에 기초하여 색 신호의 주사선 보간을 행하는 제2 보간 수단[예를 들면, 도 1의 색 신호 수직 필터링 처리부(30)]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4에 기재한 수직 보강 신호 처리 장치는 입력된 휘도 신호 또는 휘도 보강신호를 소정 타이밍으로 전환하여 입력하는 전환 수단[예를 들면, 도 1의 셀렉터(24)]과, 전환 수단으로부터의 휘도 신호 및 휘도 보강 신호를 기억하며 휘도 신호 및 휘도 보강 신호가 랜덤하게 판독되는 제1 기억 수단[예를 들면, 도 1의 필드 메모리(28)]과, 전환 수단에 의해 입력된 휘도 신호 및 휘도 보강 신호를 소정의 시간신호 지연시키는 지연 수단[예를 들면, 도 1의 필드 메모리(26)]과, 지연 수단으로부터의 휘도 신호와 휘도 보강 신호를 기억하며 휘도 신호와 휘도 보강 신호가 랜덤하게 판독되는 제2 기억 수단[예를 들면, 도 1의 필드 메모리(28)]과, 색 신호를 기억하며 색 신호가 랜덤하게 판독되는 제3 기억 수단[예를 들면, 도 1의 필드 메모리(83)]과, 제1 기억 수단, 제2 기억 수단 및 제3 기억 수단에 동일한 제어 신호를 공급하는 제어 수단[예를 들면, 도 7의 타이밍 생성기(5)]과, 제어 수단으로부터의 제어신호에 따라 판독된, 제1 기억 수단에 기억된 휘도 신호와 휘도 보강 신호, 및 제2기억 수단에 기억된 휘도 신호와 휘도 보강 신호에 기초하여 휘도 신호의 주사선 보간을 행하는 제1 보간 수단[예를 들면, 도 1의 휘도 신호 수직 필터링 처리부(31)]과, 제어 수단으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따라 판독된, 제2 기억 수단에 기억된 색 신호에 기초하여 색 신호의 주사선 보간을 행하는 제2 보간 수단[예를 들면, 도 1의 색신호 수직 필터링 처리부(30)]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5에 기재한 디코더는 입력된 복합 영상 신호로부터 휘도 보강 신호를 추출하는 휘도 보강 신호 추출 수단[예를 들면, 도 7의 헬퍼 신호 추출 처리부(2)], 복합영상 신호로부터 휘도 신호와 색 신호를 분리하는 분리 수단[예를 들면, 도 7의 칼라 플러스 처리부(3)], 분리 수단에 의해 분리된 휘도 신호 또는 휘도 보강 신호 추출 수단에 의해 추출된 휘도 보강 신호를 소정 타이밍으로 전환하여 입력하는 전환수단[예를 들면, 도 1의 셀렉터(24)], 전환 수단으로부터의 휘도 신호와 휘도 보강 신호를 기억하며 휘도 신호와 휘도 보강 신호가 랜덤하게 판독되는 제1 기억 수단[예를 들면, 도 1의 필드 메모리(28)], 전환 수단에 의해 입력된 휘도 신호와 휘도 보강신호를 소정의 시간만큼 지연시키는 지연 수단[예를 들면, 도 1의 필드 메모리(26)], 지연 수단으로부터의 휘도 신호와 휘도 보강 신호를 기억하며 휘도 신호와 휘도 보강 신호가 랜덤하게 판독되는 제2 기억 수단[예를 들면, 도 1의 필드 메모리(27)], 분리 수단에 의해 분리된 색 신호를 기억하며 색 신호가 랜덤하게 판독되는 제3 기억수단[예를 들면, 도 1의 필드 메모리(83)], 제1 기억 수단 및 제2 기억 수단에 동일한제어 신호를 공급하는 제어 수단[예를 들면, 도 7의 타이밍 생성부(5)], 제어 수단으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따라 판독된, 제1 기억수단에 기억된 휘도 신호와 휘도 보강, 신호, 및 제2 기억 수단에 기억된 휘도 신호와 휘도 보강 신호에 기초하여 휘도 신호의 주사선 보간을 행하는 제1 보간 수단[예를 들면, 도 1의 휘도 신호 수직 필터링 처리부(31)], 제어 수단으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따라 판독된, 제3 기억 수단에 기억된 색 신호에 기초하여 색 신호의 주사선 보간을 행하는 제2 보간 수단[예를 들면, 도 1의 색 신호 수직 필터링 처리부(30]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6에 기재한 디코더는 입력된 복합 영상 신호로부터 휘도 보강 신호를 추출하는 휘도 보강 신호 추출 수단[예를 들면, 도 8의 수직 보강 신호 추출 처리부(131)], 복합 영상 신호로부터 휘도 신호와 색 신호를 분리하는 분리 수단[예를 들면, 도 8의 3차원 Y/C 분리기(132)], 분리 수단에 의해 분리된 색 신호로부터 수평 보강신호를 추출하는 수평 보강 신호 추출 수단(예를 들면, 도 8의 C/HH 분리기(134)],분리 수단에 의해 분리된 휘도 신호 또는 휘도 보강 신호 추출 수단에 의해 추출된휘도 보강 신호를 소정 타이밍으로 전환하여 입력하는 전환 수단[예를 들면, 도 1의 셀렉터(24)], 전환 수단으로부터 휘도 신호 및 휘도 보강 신호를 기억하며 휘도 신호와 휘도 보강 신호가 랜덤하게 판독되는 제1 기억 수단[예를 들면, 도 1의 필드 메모리(28)], 전환 수단에 의해 입력된 휘도 신호 및 휘도 보강 신호를 소정 시간만큼지연시키는 지연 수단[예를 들면, 도 1의 필드 메모리(26)], 지연 수단으로부터의 휘도 신호와 휘도 보강 신호를 기억하며 휘도 신호와 휘도 보강 신호가 랜덤하게 판독되는 제2 기억 수단[예를 들면, 도 1의 필드 메모리(27)], 색 신호를 기억하며 색신호가 랜덤하게 판독되는 제3 기억 수단[예를 들면, 도 1의 필드 메모리(83)], 제1 기억 수단, 제2 기억 수단 및 제3 기억 수단에 동일한 제어 신호를 공급하는 제어신호[예를 들면, 도 8의 타이밍 생성기(5)], 제어 수단으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따라 판독된, 제1 기억 수단에 기억된 휘도 신호와 휘도 보강 신호, 및 제2 기억 수단에 기억된 휘도 신호 및 휘도 보강 신호에 기초하여 휘도 신호의 주사선 보간을 행하는 제1 보간 수단[예를 들면, 도 1의 휘도 신호 수직 필터링 처리부(31)], 제어 수단으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따라 판독된, 제3 기억 수단에 기억된 색 신호에 기초하여 색 신호의 주사선 보간을 행하는 제2 보간 수단[예를 들면, 도 1의 색 신호 수직 필 터링 처리부(30]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7에 기재한 텔레비젼 수상기는 입력된 복합 영상 신호로부터 휘도 보강 신호를 추출하는 휘도 보강 신호 추출 수단[예를 들면, 도 9의 헬퍼 신호 추출 처리부(2)], 복합 영상 신호로부터 휘도 신호와 색 신호를 분리하는 분리 수단[예를 들면, 칼라 플러스 처리부(3)], 분리 수단에 의해 분리된 휘도 신호 또는 휘도 보강 신호 추출 수단에 의해 추출된 휘도 보강 신호를 소정의 타이밍으로 전환하여 입력하는 전환 수단[예를 들면, 도 1의 셀렉터(24)], 전환 수단으로부터의 휘도 신호 및 휘도 보강 신호를 기억하며 휘도 신호 및 휘도 보강 신호가 랜덤하게 판독되는 제1 기억수단[예를 들면, 도 1의 필드 메모리(28)], 전환 수단에 의해 입력된 휘도 신호 및 휘도 보강 신호를 소정 시간만큼 지연시키는 지연 수단[예를 들면, 도 1의 필드 메모리(26)], 지연 수단으로부터의 휘도 신호와 휘도 보강 신호를 기억하며 휘도 신호와 휘도 보강 신호가 랜덤하게 판독되는 제2 기억 수단[예를 들면, 도 1의 필드 메모리(27)], 분리 수단에 의해 분리된 색 신호를 기억하며 색 신호가 랜덤하게 판독되는 제3 기억 수단[예를 들면, 도 1의 필드 메모리(83)], 제1 기억 수단, 제2 기억 수단 및 제3 기억 수단에 동일한 제어 신호를 공급하는 제어 수단[예를 들면, 도 9의 타이밍 생성부(5)], 제어 수단으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따라 판독된, 제1 기억 수단에 기억된 휘도 신호 및 휘도 보강 신호, 및 제2 기억 수단에 기억된 휘도 신호 및 휘도 보강 신호에 기초하여 휘도 신호의 주사선 보간을 행하는 제1 보간 수단[예를 들면, 도 1의 휘도 신호 수직 필터링 처리부(31)], 제어 수단으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따라 판독된, 제3 기억 수단에 기억된 색 신호에 기초하여 색 신호의 주사선 보간을 행하는 제2 보간 수단[예를 들면, 도 1의 색 신호 수직 필터링 처리부(30)], 제1 보간수단에 의해 보간된 휘도 신호와 제2 보간 수단에 의해 보간된 색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수단[예를 들면, 도 9의 CRT(125)]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8에 기재한 텔레비젼 수상기는 입력된 복합 영상 신호로부터 휘도 보강 신호를 추출하는 휘도 보강 신호 추출 수단[예를 들면, 도 10의 수직 보강 신호 추출처리부(131)], 복합 영상 신호로부터 휘도 신호와 색 신호를 분리하는 분리 수단[예를 들면, 도 10의 3차원 Y/C 분리기(132)], 분리 수단에 의해 분리된 색 신호로부터 수평 보강 신호를 추출하는 수평 보강 신호 추출 수단[예를 들면, 도 10의 C/HH 분리기(134)], 분리 수단에 의해 분리된 휘도 신호, 또는 휘도 보강 신호 추출 수단에 의해 추출된 휘도 보강 신호를 소정 타이밍으로 전환하여 입력하는 전환 수단[예를들면, 도 1의 셀렉터(24)], 전환 수단으로부터의 휘도 신호 및 휘도 보강 신호를 기억하며 휘도 신호 및 휘도 보강 신호가 랜덤하게 판독되는 제1 기억 수단[예를 들면, 도 1의 필드 메모리(28)], 전환 수단에 의해 입력된 휘도 신호 및 휘도 보강 신호를 소정의 시간만큼 지연시키는 지연 수단[예를 들면, 도 1의 필드 메모리(26)], 지연 수단으로부터의 휘도 신호와 휘도 보강 신호를 기억하며 휘도 신호와 휘도 보강신호가 랜덤하게 판독되는 제2 기억 수단[예를 들면, 도 1의 필드 메모리(27)], 색 신호를 기억하며 색 신호가 랜덤하게 판독되는 제3 기억 수단[예를 들면, 도 1의 필드 메모리(83)], 제1 기억 수단, 제2 기억 수단 및 제3 기억 수단에 동일한 제어 신호를 공급하는 제어 수단[예를 들면, 도 10의 타이밍 생성부(5)], 제어 수단으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따라 판독된, 제1 기억 수단에 기억된 휘도 신호 및 휘도 보강 신호, 및 제2 기억 수단에 기억된 휘도 신호 및 휘도 보강 신호에 기초하여 휘도 신호의 주사선 보간을 행하는 제1 보간 수단[예를 들면, 도 1의 휘도 신호 수직 필터링 처리부(31)], 제어 수단으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따라 판독된, 제3 기억 수단에 기억된 색신호에 기초하여 색 신호의 주사선 보간을 행하는 제2 보간 수단[예를 들면, 도 1의 색 신호 수직 필터링 처리부(30)], 제1 보간 수단에 의해 보간된 휘도 신호와 제2 보간 수단에 의해 보간된 색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수단[예를 들면, 도 10의 CRT(125)]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단, 물론 이 기재는 각 수단을 상기한 것에 한정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수직 보강 신호를 이용하여 주사선 보간을 행하는 화상 신호 처리 장치 전반에 관한 것이지만, 여기에서는 주로 화상 신호 처리 장치의 한 예로서 실용 단계를 맞이하고 있는 PALplus 방식 텔레비젼 수상기를 채용하여 예로 들어 설명을 행한다.
나. 발명의 구성 및 작용
도 1은, 본 발명의 주사선 보간 장치 및 수직 보강 신호 처리 장치를 응용한 PALplus 방송 방식의 텔레비젼 수상기에서 주사선 보간 처리부의 한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럭도이다. 이 실시예에서는 도 13에서 상술한 종래의 주사선 보간 처리부의 경우와는 다르고, 색 신호를 기억하는 메모리에 라인 랜덤 억세스 필드 메모리(83)을 이용하고 있다.
또, 이 실시예에서는 색 신호의 주사선 보간 처리에 사용되는 필드 메모리(FM_C:83)에 대한 제어 신호와, 휘도 신호의 주사선 보간 처리에 사용되는 필드 메모리(FM_A:27)와 필드 메모리(FM_B:28)에 대한 제어 신호가 공통화된다. 따라서, 색 신호의 경우에서도, 휘도 신호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서플링 처리가 실시된다. 그외의 구성 및 동작은 도 13에서 상술한 경우와 기본적으로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그 설명은 생략한다.
휘도 신호용 필드 메모리(27,28)과 색 신호용 필드 메모리(83)에 대한 데이타 기록 제어 신호, 및 데이타 판독 제어 신호는 카메라 모드에서는 종래에 의해 공통이기 때문에 여기에서는 언급하지 않는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필름 모드시에만 착안하여 휘도 신호용 필드 메모리(27,28)과 색 신호용 필드 메모리(83)에 대한 제어 신호를 공통화한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필드 메모리(27,28) 및 필드 메모리(83)에 대한 각 제어 신호를 제어 신호(FM_ABC)로서 전부 공통화한다. 이 경우, 휘도 신호 수직 필터링 처리부(31)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은 구성이 된다. 또, 색 신호 수직 필터링 처리부(30)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구성이 된다. 도 2에서, 라인 지연 소자[LM(42a 내지 42d)]는 각각 입력부(41)로부터 입력된 신호(Y_IN_A)를 통해 1 라인 지연하여 출력하도록 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라인 지연 소자(44a 내지 44d)는 각각 입력부(43)으로부터 입력된 신호(Y_IN_B)를 1 라인 지연하여 출력하도록 되어 있다.
계수 발생기(45)는 계수(ka0 내지 ka4 및 kb0 내지 kb4)를 발생하고, 곱합 회로(46)를 구성하는 승산기(46a 내지 46j)에 공급한다. 승산기(46a 내지 46j)는 각각 거기에 입력된 신호와 계수 발생기(45)로부터 공급된 계수를 승산하여, 가산기(46k)에 공급하도록 되어 있다. 가산기(46k)는 승산기(46a 내지 46j)로부터 공급된 승산 결과를 가산하여, 라인 지연 소자(91)에 공급한다. 라인 지연 소자(91)은 가산기(46k)로 부터 공급된 신호를 1 라인 지연하여 출력부(47)로 출력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입력부(41)로부터 입력된 필드 메모리(27)로부터의 신호 및 필드 메모리(28)로부터 입력된 신호에 대해 소정의 연산이 실시되고, 주사선 보간된 휘도 신호(Y_OUT_FILM)은 라인 지연 소자(91)에서 1 라인만큼 지연시킨 후 출력되게 된다.
이와 같이 휘도 신호용 필드 메모리(27,28)과 색 신호용 필드 메모리(83)에 대한 제어 신호를 공통화한 경우, 휘도 신호 수직 필터링 처리부(31)에서는 색 신호와의 지연 단수를 합치기 위해서, 주사선 보간된 휘도 신호를 또 1 라인만큼 지연시켜야 한다. 즉, 필드 메모리의 제어를 간략화하기 위해, 필드 메모리의 제어를 공통화한 경우, 출력 신호(Y-OUT_FILM)를 1 라인 지연시킬 필요가 있다.
따라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 20에 도시한 종래의 것과 비교하여, 여분으로 1라인의 라인 지연 소자(91)을 설치할 필요가 있지만, 필드 메모리(27,28 및 83)의제어 회로는 도 20에 도시한 종래의 것에 비하여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한편, 도 3에 도시한 색 신호 수직 필터링 처리부(30)는 도 21에 도시한 종래의 것과 그 구성 및 동작은 마찬가지이다. 즉, 라인 지연 소자(LM:52a 내지 52f)는 입력된 신호를 1 라인 지연하여 출력시키도록 되어 있다. 계수 발생기(53)은 곱합회로(54)를 구성하는 승산기(54a 내지 54g)에 소정의 계수(k0 내지 k6)을 공급한다.
승산기(54a 내지 54g)는 입력부(51) 및 라인 지연 소자(52a 내지 52f)로부터 공급된 신호와 계수 발생기(53)으로부터 공급된 계수를 각각 승산하여, 가산기(54h)에 공급한다. 가산기(54h)는 승산기(54a 내지 54g)로부터 공급된 신호를 가산하고, 주사선보간된 색 신호를 출력부(55)로부터 출력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입력부(51)로부터 공급된 필드 메모리(83)으로부터의 색 신호는 곱합 회로(54)에서 소정의 연산이 실시됨으로써, 수직 필터링 처리가 실시된 후 출력된다.
여기에서, 색 신호 수직 필터링 처리부(30)의 색 신호의 라인 지연 소자 중에서, 색신호의 수직 필터링 처리에 실제로는 사용되지 않은 라인(더미의 신호가 입력된 라인)이 있는 것에 착안하면, 도 2에 도시한 휘도 신호 수직 필터링 처리부(31)에서 이 1 라인의 딜레이 라인(91)을 삭제할 수 있다. 이것에 대해 이하에 설명한다.
색 신호의 필드 메모리(83)에 대해서는 휘도 신호의 필드 메모리(27,28)에 대한 제어와 동일하기 때문에, 서플링 조작에 의해 주화면 3 라인에 대하여 1 라인 비율로수직 필터링 처리에서는 사용되지 않은 신호가 삽입되는 바와 같은 제어가 행해진다. 따라서, 색 신호 수직 필터링 처리부(30)에서 라인 지연 소자의 구성 상, 원리적으로는. 필요하지만 실제의 필터링 계산에서는·사용되지 않는 라인 지연 소자(공백라인 지연 소자)를 상대방의 휘도 신호의 지연 수단으로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공백 라인 지연 소자는 입력된 신호의 라인 번호에 의해 일의적으로 결정하기 때문에, 사용해도 좋은 라인 지연 소자를 적당히 선택할 필요가 있다. 이 경우의 색 신호 수직 필터링 처리부(30) 및 휘도 신호 수직 필터링 처리부(31)의 구성 예를 도 4에 도시한다. 도 4에서, 라인 지연 소자(LM:102a,l02b,102c 및 102d)는 입력부(101)로부터의 입력 신호를 순차 1라인씩 지연하여 출력하도록 되어있다. 마찬가지로, 라인 지연 소자(104a,104b,104c 및 104d)는 입력부(103)으로부터의 입력 신호를 순차 1라인씩 지연하여 출력하도록 되어 있다.
계수 발생기(105)는 계수(ka0 내지 ka4 및 kb0 내지 kb4)를 발생하고, 승산기(106a내지 1o6j)에 각각 공급하도록 되어 있다. 승산기(1o6a 내지 106j)는, 거기에 공급된입력부(101) 및 LM(102a 내지 102d), 입력부(103) 및 LM(104a 내지 104d)로부터 입력된 신호와, 계수 발생기(105)로부터 공급된 계수를 각각 승산하여, 가산기(107)에공급한다. 가산기(1o7)는 승산기(106a 내지 106j)로부터 공급된 승산 결과를 가산하여, 출력하도록 되어 있다.
셀렉터(108)은 가산기(107)로부터 공급된 신호를 단자(a0 내지 a3) 중 어느 것에 의해 출력하도록 되어 있다. 셀렉터(11la)는 단자(1)에 접속될 때, 셀렉터(108)로부터의 신호를 입력하고, 단자(0)에 접속될 때 입력부(110)으로부터의 신호를 입력하여,LM(109a) 및 승산기(115a)에 공급한다. LM(109a)는 셀렉터(111a)로부터의 신호를입력하고,1 라인 지연한 후 셀렉터(11lb) 및 셀렉터(112)에 출력한다. 셀렉터(l1lb)는 단자(1)에 접속될 때, 셀렉터(108)로부터의 신호를 입력하고, 단자(0)에 접속될 때 LM(109a)로부터의 신호를 입력하여, LM(109b) 및 승산기(115b)에 공급하도록 되어 있다.
LM(109b)는 셀렉터(11lb)로부터의 신호를 입력하고,1 라인 지연한 후 셀렉터(111c)및 셀럭터(112)에 출력한다. 셀렉터(111c)는 단자(1)에 접속될 때, 셀렉터(108)로부터의 신호를 입력하고, 단자(0)에 접속될 때, LM(109b)로부터의 신호를 입력하며,LM(109c) 및 승산기(115c)에 공급한다. LM(109c)는 셀렉터(111c)로부터의 신호를 입력하여,1 라인 지연시킨 후 셀렉터(11ld) 및 셀렉터(112)에 출력한다. 셀렉터(11ld)는 단자(1)에 접속될 때, 셀렉터(108)로부터의 신호를 입력하고, 단자(0)에 접속될 때, LM(109c)로부터의 신호를 입력하여, LM(109d) 및 승산기(115d)에 공급하도록 되어 있다.
LM(109d)는 셀렉터(11ld)로부터의 신호를 입력하고,1 라인 지연한 후, LM(109e), 셀렉터(112) 및 승산기(115e)에 공급한다. LM(109e)는 LM(109d)로부터의 신호를 입력하고,1라인 지연한 후, LM(109f) 및 승산기(115f)에 공급한다. 또, LM(109f)는 LM(109e)로부터의 신호를 입력하고,1 라인 지연한 후, 승산기(115g)에 공급하도록되어 있다.
승산기(115a 내지 115g)은 셀렉터(111a), LM(109a), 셀렉터(11lb,111c,11ld), LM(109d 및 109f)로부터 각각 입력된 신호와 계수 발생기(114)로부터 공급된 계수를 승산하여, 가산기(115h)에 공급한다. 가산기(115h)는 승산기(115a 내지 115g)로 부터 공급된 신호를 가산하고, 출력부(116)로 출력하도록 되어 있다.
다음에, 도 4 및 도 5를 겸용하여 그 원리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5는 도 4에 도시한 색 신호 수직 필터링 처리부(30)의 입력부(110)에 입력되는 색 신호의 라인번호와, 각 신호 전환기(셀렉터 :108), 셀렉터(112), 셀렉터(11la,11lb,111c 및 11ld)의 설정을 도시하고 있다. 도 5 중에서 문자 rx」 인 것은 색 신호의 수직필터링 처리에서는 사용되지 않는 라인이 되기 때문에, 이 라인에 대응하는 데이타가 격납될 예정인 라인 지연 소자를 휘도 신호의 지연에 이용하도록 한다.
예를 들면, 색 입력 신호(UV_IN)의 라인 번호가 61 라인째인 경우는 61 라인째 전의 신호는 더미 신호이기 때문에, 색 신호용 라인 지연 소자 중 공백 라인 지연 소자는 LM(109b)가 된다. 따라서, 이 때, 먼저 셀렉터(108)을 단자(al)에 접속한다.
다음에, 셀렉터(111b)를 단자 1측으로 하고, 셀렉터(111a), 셀렉터(111c) 및 셀렉터(11ld)를 각각 단자 0측으로 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수직 필터링 처리된 휘도신호(Y_OUT_FILM)은 LM(109b)에 순차 입력되게 된다.
다음에, 입력 라인 번호가 62 라인째가 되면, 공백 라인 지연 소자는 1 라인 오른쪽으로 어긋나 LM(109c)가 된다. 이 경우, 셀렉터(108)을 단자(a2)에 접속하고, 셀렉터(109c)를 1 측으로 하며, 그 외의 셀렉터(109a), 셀렉터(109b), 셀렉터(109d)를 0측으로 한다. 이 때 LM(109b)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는 먼저 색 신호의 61 라인째가 입력된 때에 입력된 휘도 신호를 수직 필터링 처리한 신호이고, 셀렉터(112)에서 단자(bl)을 선택함으로써, 출력부(113)에서 출력시킬 수 있다. 따라서, 필터링된 휘도신호는 1 라인 지연시킬 수 있다.
이상,1개의 패턴에 대해서만 설명했지만, 이 동작을 4 라인 주기로 반복함으로써, 휘도 신호의 수직 필터링의 결과를 색 신호의 수직 필터링의 결과에 대해 1 라인지연시키도록할수있다. 이와같이,색 신호의 필터링에서 사용되는 공백라인 지연 소자를 이용함으로써, 도 2에 도시한 휘도 신호의 라인 지연 소자(91)을 삭감할 수 있다.
이 때, 본래의 색 신호 수직 필터링 처리의 곱합 회로(115)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셀렉터를 라인마다 전환함으로써 종래와 같이 계산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주사선 보간 장치 및 수직 보강 신호 처리 장치를 응용한 PALplus 방송 방식의 텔레비젼 수상기에서 주사선 보간 처리부의 다른 실시에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럭도이다. 이 실시예는 도 1에 도시한 실시예에서, 필드 메모리(28 및 83)를 1개의 필드 메모리(120)로 구성하도록 하고 있다. 이것은 필드 메모리(28 및 83)에 공급되는 신호가 공통의 신호이기 때문에, 필드 메모리(28 및 83)을 12 비트 입출력이 가능한 표준적인 필드 메모리(120)에서 치환하도록 하고 있다.
그의의 구성 및 동작은 도 1에 도시한 실시예와 기본적으로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여기에서는 그 설명은 생략하지만, 이 형태로 필드 메모리(28 및 83)을 1개의 필드 메모리(120)에서 치환함으로써, 부품 수를 삭감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비용을 삭감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디코더를 응용한 PALplus용 디코더의 한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럭도이다이 실시예의 구성 및 동작은 도 11의 종래 예인 경우와는 다르고, 주사선 보간 처리부(10)의 내부 구성이 도 1 또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 필름 모드시의 수직 필터링 처리부의 구성도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 외의 구성 및 동작은 도 11을 참조하여 상술한 종래 예의 경우와 기본적으로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그 설명은 생략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디코더를 응용한 EDTV-2용 디코더의 한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럭도이다. 이 실시예에서, 수직 보강 신호 추출 처리부(131)은 입력된 복합영상 신호로부터 수직 보강 신호를 추출하여, 휘도 주사선 보간 처리부(6)에 공급한다. 3차원 Y/C 분리기(132)는 입력된 복합 영상 신호로부터 Y 신호와 C 신호를분리하여 출력한다. C 신호에는 수평 보강 신호(HH)가 포함되어 있다. C/HH 분리기(134)는 3차원 Y/C 분리기(132)로부터 공급된 신호로부터 C 신호와 수평 보강 신호(HH)를 분리하고, C 신호를 색 신호 주사선 보간 처리부(7)에 공급함과 동시에, 수평 보강 신호를 가산기(135)에 공급하도록 되어 있다.
가산기(135)에서는 3차원 Y/C 분리기(132)로부터의 Y 신호와, C/HH 분리기(135)로 부터의 수평 보강 신호를 가산한 후, 휘도 신호 주사선 보간 처리부(6)에 공급한다. 식별 제어 신호 처리기(133)은 복합 영상 신호의 수직 블랭킹 부분(제22 라인째와 285라인째)에 다중되어 있는 식별 제어 신호를 디코드한다· 이 식별 제어 신호에는 EDTV-2 방식인지 여부를 도시하는 데이타나 각종 보강 신호의 유무를 도시하는 데이타 등이 포함되어 있다. 식별 제어 신호 처리기(133)은 이들 정보를 타이밍 생성부(5)에 공급하고, 타이밍 처리부(5)는 각종 타이밍 신호를 전환하여 각부에 공급하도록 되어 있다.
이 실시예의 주사선 보간 처리부(10)의 내부 구성은 도 7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도 1 또는 도 6에 도시한 것과 기본적으로는 마찬가지인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 수직 필터링 처리부의 구성도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것과 기본적으로는 마찬가지인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외의 구성 및 동작은 도 11을 참조하여 상술한 종래 예의 경우와 기본적으로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그 설명은 생략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텔레비젼 수상기를 응용한 PALplus용 수상기의 한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럭도이다. 안테나(121)에 의해 수신된 방송 전파에 대응하는 신호는 튜너(122)에 공급된다. 튜너(122)는 안테나(121)에 의해 공급된 신호로부터 소정의 채널에 대응하는 신호를 선국하여 VIF(123)에 공급한다. VIF(123)은 튜너(122)로부터 입력된 소정의 채널에 대응하는 신호를 중간 주파수의 신호로 변환하여,A/D 변환기(124)에 공급한다. A/D 변환기(124)는 VIF(123)로부터 공급된 신호를 디지탈 신호로 변환한 후, 헬퍼 신호 추출 처리부(2), 칼라 플러스 처리부(3차원 Y/C 분리기:3), PALplus 모드 디코드 처리부(4) 및 타이밍 생성부(5)에 공급한다. 헬퍼 신호 추출 처리부(2)는 입력된 PALplus 복합 영상 신호로부터 헬퍼 신호를 추출하고, 휘도 신호 주사선 보간 처리부(6)에 공급한다. 칼라 플러스 처리부(3)는 입력된 PALplus 복합 영상 신호를 Y 신호와 C 신호로 분리하고, Y 신호를 휘도 신호 주사선 보간 처리부(6)에 공급하고, C 신호를 색 신호 주사선 보간 처리부(7)에 공급한다. PALplus 모드 디코드 처리부(4)는 입력된 PALplus 복합 영상 신호로부터 식별 제어 신호를 디코드하여, 모드 판별을 행한다. 또, 이들 정보를 타이밍 생성부(5)에 공급한다· 타이밍 생성부(5)는 PALplus 모드 디코드 처리부(4)로부터 공급된 정보에 기초하여 각종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각부에 공급한다.
주사선 보간 처리부(10)은 도 1 또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되어 있고, 그 구성 및 동작은 도 1 및 도 6을 참조하여 상술한 경우와 기본적으로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지만, 거기에 입력된 휘도 신호 및 색 신호에 대해 수직 필터링 처리를 행하여, 매트릭스 처리부(8)에 공급한다. 매트릭스 처리부(8)은 입력된 휘도 신호 및 색 신호를 RGB 신호로 변환하여, CRT(125)에 공급한다.
그 결과, CRT(125)에는 매트릭스 처리부(8)로부터 공급된 RGB 신호에 대응하는화상이 표시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텔레비젼 수상기를 응용한 EDTV-2용 수상기의 한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럭도이다. 안테나(121)에 의해 수신된 방송 전파에 대응하는 신호는 튜너(122)에 공급된다. 튜너(122)는 안테나(121)로부터 공급된 신호로부터 소정의 채널에 대응하는 신호를 선국하여, VIF(123)에 공급한다. VIF(123)은 튜너(122)로부터 입력된 소정의 채널에 대응하는 신호를 중간 주파수의 신호로 변환하여, A/D 변환기(124)에 공급한다. A/D 변환기(124)는 VIF(123)으로부터 공급된 신호를 디지탈 신호로 변환한 후, 수직 보강 신호 추출 처리부(131),3차원 Y/C 분리기(132), 식별 제어 신호 처리부(133) 및 타이밍 생성부(5)에 공급한다.
수직 보강 신호 추출 처리부(131)은 입력된 복합 영상 신호로부터 수직 보강 신호를 추출하여, 휘도 신호 주사선 보간 처리부(6)에 공급한다. 3차원 Y/C 분리기(132)는 입력된 복합 영상 신호를 Y 신호와 C 신호로 분리하고, Y 신호를 휘도 신호 주사선 보간 처리부(6)에 공급하며, C 신호를 C/HH 분리기(134)에 공급한다. C/HH 분리기(134)에서는 C 신호에 포함되는 수평 보강 신호(HH)가 분리되고, 분리된 수평 보강 신호는 가산기(135)에 공급되며, C 신호는 색 신호 주사선 보간 처리부(7)에 공급된다. 가산기(135)에서,3차원 Y/C 분리기(132)로부터 공급된 Y 신호와 C/HH 분리기(134)로부터 공급된 수평 보강 신호가 가산된 후, 휘도 신호 주사선 보간 처리부(6)에 공급된다.
주사선 보간 처리부(10)은 도 1 또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되어 있고, 그 구성 및 동작은 도 1 및 도 6을 참조하여 상술한 경우와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지만, 거기에 입력된 휘도 신호 및 색 신호에 대하여 수직 필터링 처리를 행하여, 매트릭스 처리부(8)에 공급한다. 매트릭스 처리부(8)은 입력된 휘도 신호 및 색 신호를 RGB 신호로 변환하여, CRT(125)에 공급한다. 그 결과, CRT(125)에는 매트릭스 처리부(8)로부터 공급된 RGB 신호에 대응하는 화상이 표시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필름 모드시에 제어 신호 발생 회로의 구성이 복잡하게 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PALplus 방식 텔레비젼 수상기의 사용 필드 메모리의 제어를 공통화함으로써, 제어를 간편화하게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랜덤 억세스가 가능한 휘도 신호용 필드 메모리와 색 신호용 필름 메모리를 공유화할 수 있다. 따라서, 다 비트 입력의 필드 메모리를 사용함으로써, 사용 필드 메모리의 개수를 삭감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필드 메모리(28)가 8 비트 입출력인 것이고, 필드 메모리(83)가 4 비트 입출력인 것인 경우, 이 2개의 필드 메모리(28,83)를 12 비트 입출력의 필드 메모리로 치환함으로써 필드 메모리의 개수를 1개만 삭감할 수 있다.
또, 이와 같이 각 필드 메모리의 제어를 공통화한 경우, 필름 모드시에 주사선 보간된 휘도 신호를 수직 필터링 처리 후에 1 라인 지연시키기 위해 1 라인 지연 소자(LM)를 필요로 하게 되지만, 도 4를 참조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필요로 하게 되는색 신호용 라인 지연 소자 중에서 원리상 필요하지만 사용되지 않는 라인 지연 소자를 사용하여 휘도 신호를 지연시킴으로써, 회로 상에 새롭게 라인 지연 소자를 설치하지 않고,1 라인 지연 처리를 실현할 수 있다. 즉, 색 신호의 라인 지연 소자의 입출력부에 신호 셀렉터를 설치하여, 이것을 라인마다 적당히 전환함으로써 실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색 신호용 라인 지연 소자의 사용법을 연구함으로써, 라인 지연 소자를 1개 삭감할 수 있어, 장치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 상기 실시예는 수직 보강 신호를 제로로 함으로써, PALplus 뿐만 아니라 통상의 PAL 신호나 NTSC 신호 또는 EDTV 신호 처리의 주사선 보간 처리에도 적용가능하다.
또, 상기 실시예에서는 필드 메모리(28과 83)를 공통화했지만, 필드 메모리(27,28 및 83)를 공통화하여,1개의 필드 메모리로 치환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상기 실시예에서, EDTV-2용인 경우, 서플링 처리를 행하지 않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상기 실시예에서, EDTV-2용인 경우, 메모리 구성은 한 예로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른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본 발명은, 예를 들면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등, 이 예 이외의 전자 기기에 대해서도 적용가능하다.
또, 상기 각 실시예에서 이용한 구체적인 수치는 한 예로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 발명의 효과 청구항 1에 기재한 주사선 보간 장치에 의하면, 제어 수단에 의해 휘도 신호와 휘도 보강 신호를 기억하며 휘도 신호와 휘도 보강 신호가 랜덤하게 판독되는 제1 기억 수단과, 색 신호를 기억하며 색 신호가 랜덤하게 판독되는 제2 기억 수단에 동일한 제어 신호가 공급되도록 했기 때문에, 휘도 신호 및 색 신호를 판독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공통화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 수단의 구성을 간단하게 할 수 있다. 또, 제1 기억 수단과 제2 기억 수단을 공통화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로 의해, 장치의 비용을 삭감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청구항 2에 기재한 주사선 보간 장치에 의하면, 제1 기억 수단과 제2 기억 수단은 동일 메모리 소자로 구성된다. 따라서, 장치의 구성을 간단하게 할 수 있고, 비용을 삭감할 수 있다.
청구항 3에 기재한 주사선 보간 장치에 의하면, 제1 보간 수단은 입력된 휘도 신호 및 휘도 보강 신호를 지연시키는 복수의 제1 지연 소자로 이루어지고, 제2 보간 수단은 입력된 색 신호를 지연시키는 복수의 제2 지연 소자로 이루어지며, 제2 지연 소자의 소정의 것은 소정 타이밍으로 휘도 신호 및 휘도 보강 신호를 지연시키기 위해 이용된다. 따라서, 장치의 구성을 간단하게 할 수 있고, 비용을 삭감할 수 있다.
청구항 4에 기재한 수직 보강 신호 처리 장치에 의하면, 제어 수단에 의해 휘도 신호와 휘도 보강 신호를 기억하며 휘도 신호와 휘도 보강 신호가 랜덤하게 판독되는 제1 기억 수단 및 제2 기억 수단과, 색 신호를 기억하며 색 신호가 랜덤하게 판독되는 제3 기억 수단에 동일한 제어 신호가 공급되도록 했기 때문에, 휘도 신호 및 색신호를 판독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공통화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 수단의 구성을 간단하게 할 수 있고, 또 제1 기억 수단, 제2 기억 수단 및 제3 기억 수단을 공통화할 수 있으며, 장치의 비용을 삭감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청구항 5에 기재한 디코더에 의하면, 제어 수단에 의해 휘도 신호와 휘도 보강 신호를 기억하며 휘도 신호와 휘도 보강 신호가 랜덤하게 판독되는 제1 기억 수단과, 지연된 휘도 신호와 휘도 보강 신호를 기억하며 휘도 신호와 휘도 보강 신호가 랜덤하게 판독되는 제2 기억 수단과, 색 신호를 기억하며 색 신호가 랜덤하게 판독되는제3 기억 수단에 동일한 제어 신호가 공급되도록 했기 때문에, 회도 신호 및 색 신호를 판독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공통화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 수단의 구성을간단하게 할 수 있다. 또, 제1 기억 수단, 제2 기억 수단 및 제3 기억 수단을 공통화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것에 의해, 장치의 비용을 삭감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청구항 6에 기재한 디코더에 의하면, 제어 수단에 의해 휘도 신호와 휘도 보강 신호를 기억하며 휘도 신호와 휘도 보강 신호가 랜덤하게 판독되는 제1 기억 수단과, 지연된 휘도 신호와 휘도 보강 신호를 기억하며 휘도 신호와 휘도 보강 신호가 랜덤하게 판독되는 제2 기억 수단과, 색 신호를 기억하며 색 신호가 랜덤하게 판독되는 제3 기억 수단에 동일한 제어 신호가 공급되도록 했기 때문에, 휘도 신호 및 색 신호를 판독하기.위한 제어 신호를 공통화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 수단의 구성을 간단하게 할 수 있다. 또, 제1 기억 수단, 제2 기억 수단 및 제3 기억 수단을 공통화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것에 의해, 장치의 비용을 삭감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청구항 7에 기재한 텔레비젼 수상기에 의하면, 제어 수단에 의해 휘도 신호와 휘도보강 신호를 기억하며 휘도 신호와 휘도 보강 신호가 랜덤하게 판독되는 제1 기억수단과, 지연된 휘도 신호와 휘도 보강 신호를 기억하며 휘도 신호와 휘도 보강 신호가 랜덤하게 판독되는 제2 기억 수단과, 색 신호를 기억하며 색 신호가 랜덤하게판독되는 제3 기억 수단에 동일한 제어 신호가 공급되도록 했기 때문에, 휘도 신호및 색 신호를 판독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공통화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 수단의 구성을 간단하게 할 수 있다. 또, 제1 기억 수단, 제2 기억 수단 및 제3 기억 수단을 공통화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것에 의해, 장치의 비용을 삭감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청구항 8에 기재한 텔레비젼 수상기에 의하면, 제어 수단에 의해 휘도 신호와 휘도 보강 신호를 기억하며 휘도 신호와 휘도 보강 신호가 랜덤하게 판독되는 제1 기억 수단과, 지연된 휘도 신호와 휘도 보강 신호를 기억하며 휘도 신호와 휘도 보강 신호가 랜덤하게 판독되는 제2 기억 수단과, 색 신호를 기억하며 색 신호가 랜덤하게 판독되는 제3 기억 수단에 동일한 제어 신호가 공급되도록 했기 때문에, 휘도 신호 및 색 신호를 판독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공통화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 수단의 구성을 간단하게 할 수 있다. 또, 제1 기억 수단, 제2 기억 수단 및 제3 기억 수단을 공통화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것에 의해, 장치의 비용을 삭감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주사선 보간 장치 및 수직 보강 신호 처리 장치를 응용한 PALplus 방송 방식의 주사선 보간 처리 장치의 한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럭도.
도 2는 도 1에서, 필름 모드시의 휘도 신호 수직 필터링 처리부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럭도.
도 3은 도 1에서, 필름 모드시의 색 신호 수직 필터링 처리부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럭도.
도 4는 도 1에서, 필름 모드시의 휘도 신호 수직 필터링 처리부 및 색 신호 수직 필터링 처리부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럭도.
도 5는 도 4에서, 각 셀렉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주사선 보간 장치 및 수직 보강 신호 처리 장치를 응용한PALplus 방송 방식의 주사선 보간 처리 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럭도.
도 7은 본 발명의 디코더를 응용한 PALplus 방송 방식용 디코더의 한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럭도.
도 8은 본 발명의 디코더를 응용한 제2 세대 EDTV(EDTV-2) 방송 방식용 디코더 2의 한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럭도.
도 9는 본 발명의 텔레비젼 수상기를 응용한 PALplus 방송 방식용 텔레비젼 수상기의 한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럭도.
도 10은 본 발명의 텔레비젼 수상기를 응용한 EDTV-2 방송 방식용 텔레비젼 수상기의 한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럭도.
도 11은 종래의 PALplus 방송 방식 텔레비젼 수신기의 신호 복조 회로의 한 예의구성을 도시하는 블럭도.
도 12는 PALplus 방송 방식의 주사선 보간 처리의 개념도·
도 13은 종래의 PALplus 방송 방식의 주사선 보간 처리부의 한 예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럭도.
도 l4는 헬퍼 전환 제어 신호와, 헬퍼 신호 및 주 화면 신호와의 관계를 도시하는 도면.
도 15는 필름 모드에서 휘도 신호용 필드 메모리의 입력 신호의 개념도.
도 16은 필름 모드에서 휘도 신호용 필드 메모리의 출력 신호의 개념도.
도 17은 필름 모드에서 색 신호용 필름 메모리의 입출력 신호의 개념도.
도 18은 카메라 모드에서 필드 메모리의 입력 신호의 개념도.
도 19는 카메라 모드에서 필드 메모리의 출력 신호의 개념도.
도 20은 종래의 필름 모드의 휘도 신호의 수직 필터링 처리부의 한 예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럭도.
도 21은 종래의 필름 모드의 색 신호의 수직 필터링 처리부의 한 예의 구성을 도시 3하는 블럭도.
도 22는 제27 라인째를 계산하는 경우의 신호의 얼로케이션을 도시하는 도면.
도 23은 종래의 카메라 모드의 휘도 신호의 수직 필터링 처리부의 한 예의 구성을도시하는 블럭도.
도 24는 종래의 카메라 모드의 색 신호의 수직 필터링 처리부의 한 예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럭도 .
도 25는 제27 라인째를 계산하는 경우의 신호의 얼로케이션을 도시하는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PALplus 복합 영상 신호 입력부
2:헬퍼 신호 추출 처리부
3:칼라 플러스 처리부
4:PALplus 모드 디코드 처리부 .
5:타이밍 생성부
6:휘도 신호 주사선 보간 처리부
7:색 신호 주사선 보간 처리부
8:매트릭스 처리부
10:주사선 보간 처리부

Claims (8)

  1. 휘도 신호와 휘도 보강 신호를 기억하며, 상기 휘도 신호와 상기 휘도 보강 신호가 랜덤하게 판독되는 제1 기억 수단;
    색 신호를 기억하며, 상기 색 신호가 랜덤하게 판독되는 제2 기억 수단;
    상기 제1 기억 수단 및 상기 제2 기억 수단에 동일한 제어 신호를 공급하는 제어 수단;
    상기 제어 수단으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따라 판독된, 상기 제1 기억 수단에 기억된 상기 휘도 신호 및 상기 휘도 보강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휘도 신호의 주사선 보간을 행하는 제1 보간 수단;및
    상기 제어 수단으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따라 판독된, 상기 제2 기억 수단에 기억된 상기 색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색 신호의 주사선 보간을 행하는 제2 보간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선 보간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억 수단과 상기 제2 기억 수단은 동일한 메모리 소자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선 보간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보간 수단은 입력된 상기 휘도 신호 및 상기 휘도 보강 신호를 지연시키는 복수의 제1 지연 소자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보간 수단은 입력된 상기 색 신호를 지연시키는 복수의 제2 지연 소자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 지연 소자중 소정의 것은 소정 타이밍으로 상기 휘도 신호 및 상기 휘도 보강 신호를 지연시키기 위해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선 보간 장치.
  4. 입력된 휘도 신호 또는 휘도 보강 신호를 소정의 타이밍으로 전환하여 입력하는 전환 수단;
    상기 전환 수단으로부터의 상기 휘도 신호 및 상기 휘도 보강 신호를 기억하며, 상기 휘도 신호 및 상기 휘도 보강 신호가 랜덤하게 판독되는 제1 기억 수단;
    상기 전환 수단에 의해 입력된 상기 휘도 신호 및 상기 휘도 보강 신호를 소정의 시간만큼 지연시키는 지연 수단;
    상기 지연 수단으로부터의 상기 휘도 신호와 상기 휘도 보강 신호를 기억하며, 상기 휘도 신호와 상기 휘도 보강 신호가 랜덤하게 판독되는 제2 기억 수단;
    색 신호를 기억하며, 상기 색 신호가 랜덤하게 판독되는 제3 기억 수단;
    상기 제1 기억 수단, 상기 제2 기억 수단 및 상기 제3 기억 수단에 동일한 제어 신호를 공급하는 제어 수단;
    상기 제어 수단으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따라 판독된, 상기 제1 기억 수단에 기억된 상기 휘도 신호와 상기 휘도 보강 신호, 및 상기 제2 기억 수단에 기억된 상기 휘도 신호와 상기 휘도 보강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휘도 신호의 주사선 보간을 행하는 제1 보간 수단;및
    상기 제어 수단으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따라 판독된, 상기 제2 기억 수단에 기억된 상기 색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색 신호의 주사선 보간을 행하는 제2 보간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보강 신호 처리 장치.
  5. 입력된 복합 영상 신호로부터 휘도 보강 신호를 추출하는 휘도 보강 신호 추출 수단;
    상기 복합 영상 신호로부터 휘도 신호와 색 신호를 분리하는 분리 수단;
    상기 분리 수단에 의해 분리된 상기 휘도 신호, 또는 상기 휘도 보강 신호 추출 수단에 의해 추출된 상기 휘도 보강 신호를 소정의 타이밍으로 전환하여 입력하는 전환 수단;
    상기 전환 수단으로부터의 상기 휘도 신호 및 상기 휘도 보강 신호를 기억하며, 상기 휘도 신호 및 상기 휘도 보강 신호가 랜덤하게 판독되는 제1 기억 수단;
    상기 전환 수단에 의해 입력된 상기 휘도 신호 및 상기 휘도 보강 신호를 소정의 시간만큼 지연시키는 지연 수단;
    상기 지연 수단으로부터의 상기 휘도 신호와 상기 휘도 보강 신호를 기억하며, 상기 휘도 신호와 상기 휘도 보강 신호가 랜덤하게 판독되는 제2 기억 수단;
    상기 분리 수단에 의해 분리된 상기 색 신호를 기억하며, 상기 색 신호가 랜덤하게 판독되는 제3 기억 수단;
    상기 제1 기억 수단, 상기 제2 기억 수단 및 상기 제3 기억 수단에 동일한 제어 신호를 공급하는 제어 수단;
    상기 제어 수단으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따라 판독된, 상기 제1 기억 수단에 기억된 상기 휘도 신호와 상기 휘도 보강 신호, 및 상기 제2 기억 수단에 기억된 상기 휘도 신호와 상기 휘도 보강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휘도 신호의 주사선 보간을 행하는 제1 보간 수단;및
    상기 제어 수단으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따라 판독된, 상기 제3 기억 수단에 기억된 상기 색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색 신호의 주사선 보간을 행하는 제2 보간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코더.
  6. 입력된 복합 영상 신호로부터 휘도 보강 신호를 추출하는 휘도 보강 신호 추출 수단;
    상기 복합 영상 신호로부터 휘도 신호와 색 신호를 분리하는 분리 수단;
    상기 분리 수단에 의해 분리된 상기 색 신호로부터 .수평 보강 신호를 추출하는 수평 보강 신호 추출 수단;
    상기 분리 수단에 의해 분리된 상기 휘도 신호, 또는 상기 휘도 보강 신호 추출 수단에 의해 추출된 상기 휘도 보강 신호를 소정의 타이밍으로 전환하여 입력하는 전환 수단;
    상기 전환 수단으로부터의 상기 휘도 신호 및 상기 휘도 보강 신호를 기억하며, 상기 휘도 신호 및 상기 휘도 보강 신호가 랜덤하게 판독되는 제1 기억 수단;
    상기 전환 수단에 의해 입력된 상기 휘도 신호 및 상기 휘도 보강 신호를 소정의 시간만큼 지연시키는 지연 수단;
    상기 지연 수단으로부터의 상기 휘도 신호와 상기 휘도 보강 신호를 기억하며, 상기휘도 신호와 상기 휘도 보강 신호가 랜덤하게 판독되는 제2 기억 수단;
    상기 색 신호를 기억하며, 상기 색 신호가 랜덤하게 판독되는 제3 기억 수단;
    상기 제1 기억 수단, 상기 제2 기억 수단 및 상기 제3 기억 수단에 동일한 제어 신호를 공급하는 제어 수단;
    상기 제어 수단으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따라 판독된, 상기 제1 기억 수단에 기억된 상기 휘도 신호와 상기 휘도 보강 신호, 및 상기 제2 기억 수단에 기억된 상기 휘도 신호와 상기 휘도 보강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휘도 신호의 주사선 보간을 행하는 제1 보간 수단;및
    상기 제어 수단으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따라 판독된, 상기 제3 기억 수단에 기억된 상기 색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색 신호의 주사선 보간을 행하는 제2 보간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코더.
  7. 입력된 복합 영상 신호로부터 휘도 보강 신호를 추출하는 휘도 보강 신호 추출 수단;
    상기 복합 영상 신호로부터 휘도 신호와 색 신호를 분리하는 분리 수단;
    상기 분리 수단에 의해 분리된 상기 휘도 신호, 또는 상기 휘도 보강 신호 추출 수단에 의해 추출된 상기 휘도 보강 신호를 소정의 타이밍으로 전환하여 입력하는 전환 수단;
    상기 전환 수단으로부터의 상기 휘도 신호 및 상기 휘도 보강 신호를 기억하며, 상기 휘도 신호 및 상기 휘도 보강 신호가 랜덤하게 판독되는 제1 기억 수단;
    상기 전환 수단에 의해 입력된 상기 휘도 신호 및 상기 휘도 보강 신호를 소정의 시간만큼 지연시키는 지연 수단;
    상기 지연 수단으로부터의 상기 휘도 신호와 상기 휘도 보강 신호를 기억하며, 상기 휘도 신호와 상기 휘도 보강 신호가 랜덤하게 판독되는 제2 기억 수단;
    상기 분리 수단에 의해 분리된 상기 색 신호를 기억하며, 상기 색 신호가 랜덤하게 판독되는 제3 기억 수단;
    상기 제1 기억 수단, 상기 제2 기억 수단 및 상기 제3 기억 수단에 동일한 제어 신호를 공급하는 제어 수단;
    상기 제어 수단으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따라 판독된, 상기 제1 기억 수단에 기억된 상기 휘도 신호와 상기 휘도 보강 신호, 및 상기 제2 기억 수단에 기억된 상기 휘도 신호와 상기 휘도 보강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휘도 신호의 주사선 보간을 행하는 제1 보간 수단;
    상기 제어 수단으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따라 판독된, 상기 제3 기억 수단에 기억된 상기 색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색 신호의 주사선 보간을 행하는 제2 보간 수단;
    상기 제1 보간 수단에 의해 보간된 상기 휘도 신호, 상기 제2 보간 수단에 의해 보간된 상기 색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젼 수상기.
  8. 입력된 복합 영상 신호로부터 휘도 보강 신호를 추출하는 휘도 보강 신호 추출 수단;
    상기 복합 영상 신호로부터 휘도 신호와 색 신호를 분리하는 분리 수단;
    상기 분리 수단에 의해 분리된 상기 색 신호로부터 수평 보강 신호를 추출하는 수평 보강 신호 추출 수단;
    상기 분리 수단에 의해 분리된 상기 휘도 신호, 또는 상기 휘도 보강 신호 추출 수단에 의해 추출된 상기 휘도 보강 신호를 소정의 타이밍으로 전환하여 입력하는 전환 수단;
    상기 전환 수단으로부터의 상기 휘도 신호 및 상기 휘도 보강 신호를 기억하며, 상기 휘도 신호 및 상기 휘도 보강 신호가 랜덤하게 판독되는 제1 기억 수단;
    상기 전환 수단에 의해 입력된 상기 휘도 신호 및 상기 휘도 보강 신호를 소정의 시간만큼 지연시키는 지연 수단;
    상기 지연 수단으로부터의 상기 휘도 신호와 상기 휘도 보강 신호를 기억하며, 상기 휘도 신호와 상기 휘도 보강 신호가 랜덤하게 판독되는 제2 기억 수단;
    상기 색 신호를 기억하며, 상기 색 신호·가 랜덤하게 판독되는 제3 기억 수단;
    상기 제1 기억 수단, 상기 제2 기역 수단 및 상기 제3 기역 수단에 동일한 제어 신호를 공급하는 제어 수단;
    상기 제어 수단으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따라 판독된, 상기 제1 기억 수단에 기억된 상기 휘도 신호와 상기 휘도 보강 신호, 및 상기 제2 기억 수단에 기억된 상기 휘도 신호와 상기 휘도 보강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휘도 신호의 주사선 보간을 행하는 제1 보간 수단;
    상기 제어 수단으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따라 판독된, 상기 제3 기억 수단에 기억된 상기 색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색 신호의 주사선 보간을 행하는 제2 보간 수단;및
    상기 제1 보간 수단에 의해 보간된 상기 휘도 신호와, 상기 제2 보간 수단에 의해 보간된 상기 색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젼 수상기
KR1019960032155A 1995-08-02 1996-08-01 주사선 보간 장치 및 수직 보강 신호 처리 장치, 및 디코더 및 텔레비젼 수상기 KR1998001360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7197240A JPH0946728A (ja) 1995-08-02 1995-08-02 走査線補間装置および垂直補強信号処理装置、並びにデコーダおよびテレビジョン受像機
JP95-197240 1995-08-0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3604A true KR19980013604A (ko) 1998-05-15

Family

ID=163711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32155A KR19980013604A (ko) 1995-08-02 1996-08-01 주사선 보간 장치 및 수직 보강 신호 처리 장치, 및 디코더 및 텔레비젼 수상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0757481B1 (ko)
JP (1) JPH0946728A (ko)
KR (1) KR19980013604A (ko)
DE (1) DE69615110T2 (ko)
ES (1) ES2160749T3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84078A (en) * 1988-09-02 1991-01-08 North American Philips Corporation Single channel NTSC compatible EDTV system
EP0581808B1 (de) * 1991-04-25 1997-12-10 Deutsche Thomson-Brandt Gmbh Verfahren zur kompatiblen übertragung, decodierung oder aufzeichnung von progressiv abgetasteten bildsignalen im zwischenzeilenformat
DE4243804C2 (de) * 1992-12-23 1995-08-17 Grundig Emv Empfänger zur Verarbeitung von nach dem Letterbox-Verfahren übertragenen Fernsehsignal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9615110D1 (de) 2001-10-18
DE69615110T2 (de) 2002-04-25
JPH0946728A (ja) 1997-02-14
EP0757481A2 (en) 1997-02-05
EP0757481B1 (en) 2001-09-12
ES2160749T3 (es) 2001-11-16
EP0757481A3 (en) 1999-09-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41045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ing vertical definition of a television signal by scan conversion
EP0018856B1 (en) Television display system
JPH0366270A (ja) 2画面テレビ
JP3271143B2 (ja) 映像信号処理回路
KR930006539B1 (ko) 제어 신호 확산기
US5001562A (en) Scanning line converting system for displaying a high definition television system video signal on a TV receiver
US4646133A (en) Adaptive comb filter and interpolator
EP0273967B1 (en) Improvements relating to television
KR940011598B1 (ko) 텔레비젼신호 송신처리장치 및 수신처리장치
EP0851677A1 (en) Video signal processing apparatus and processing method
EP0542259A1 (en) Video signal processing circuit and method thereof
JPH1051810A (ja) Cvbs信号のメモリ最適化処理方法及び回路装置
KR19980013604A (ko) 주사선 보간 장치 및 수직 보강 신호 처리 장치, 및 디코더 및 텔레비젼 수상기
KR100377815B1 (ko) 화상신호 처리장치
KR100518159B1 (ko) 순차 화상의 시퀀스를 발생시키기 위한 방법 및 회로 장치
JP2872269B2 (ja) 標準/高品位テレビジョン受信装置
JP2001292387A (ja) 画像処理装置および方法、ならびに記録媒体
JP2685542B2 (ja) クロマ信号処理回路
JP2947394B2 (ja) 高精細ワイドアスペクトテレビジョンデコーダ及びテレビジョン受像機
JP2619192B2 (ja) Muse/ntsc方式の信号変換装置
EP0804041A2 (en) Video signal processing apparatus for an improved definition television receiver
JPH0229077A (ja) 映像信号処理回路
JP2001275060A (ja) 標準/高品位テレビジヨン受信装置
EP0804029A2 (en) Video signal processing apparatus
JPH0258987A (ja) トランスコー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