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13005U - 자동차의 사이드미러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사이드미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13005U
KR19980013005U KR2019960026594U KR19960026594U KR19980013005U KR 19980013005 U KR19980013005 U KR 19980013005U KR 2019960026594 U KR2019960026594 U KR 2019960026594U KR 19960026594 U KR19960026594 U KR 19960026594U KR 19980013005 U KR19980013005 U KR 1998001300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rror
vehicle
cover
side mirror
vie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2659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태청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2019960026594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13005U/ko
Publication of KR1998001300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13005U/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8Rear-view mirror arrangements involving special optical features, e.g. avoiding blind spots, e.g. convex mirrors; Side-by-side associations of rear-view and other mirrors
    • B60R1/081Rear-view mirror arrangements involving special optical features, e.g. avoiding blind spots, e.g. convex mirrors; Side-by-side associations of rear-view and other mirrors avoiding blind spots, e.g. by using a side-by-side association of mirrors
    • B60R1/08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involving special optical features, e.g. avoiding blind spots, e.g. convex mirrors; Side-by-side associations of rear-view and other mirrors avoiding blind spots, e.g. by using a side-by-side association of mirrors using a single wide field mirror or an association of rigidly connected mirr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6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 B60R1/06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with remote control for adjusting position
    • B60R1/07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with remote control for adjusting position by electrically powered actuators
    • B60R1/07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with remote control for adjusting position by electrically powered actuators for adjusting the mirror relative to its housing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8Mirrors
    • G02B5/10Mirrors with curved fa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Rear-View Mirror Devices That Are Mounted On The Exterior Of The Vehicl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의 사이드미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이드의 후방시야 확보 범위를 넓힐 수 있도록 자동차의 양쪽 앞도어상에 설치되고 소정크기의 미러와, 소정모양을 가지며 상기 미러가 결합 될 수 있도록 일면이 개방되며 상기 미러를 외부의 이물질이나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커버와, 상기 커버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미러를 운전자의 신체 조건에 맞게 상·하/좌·우로 구동시키는 구동수단으로 이루어진 자동차의 사이드미러에 있어서, 상기 미러의 외측단이 연장되고 만곡부를 갖는 보조미러가 구비되어 자동차의 후방 시야 범위를 넓 힐 수 있고, 이에 따라 확보되지 못한 물체와 추돌로 인한 차체의 훼손을 방지 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의 사이드미러
본 고안은 자동차의 사이드미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이드의 후방시야 확보 범위를 넓힐 수 있도록 된 자동차의 사이드미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첨부도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차의 양쪽 앞도어(10)상에는 사이드미러(20)가 설치되고, 상기 사이드미러(20)는 소정크기의 미러(22)와, 소정모양을 갖고 상기 미러(22)가 결합 될 수 있도록 일면이 개방되며 상기 미러(22)를 외부의 이물질이나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커버(24)와, 상기 커버(24)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미러(22)를 운전자의 신체 조건에 맞게 상·하/좌·우로 구동시키는 구동수단(도면에 도시되지 않음)으로 구성된 것을 나타내는 것이다.
이와 같이 주행중 운전자가 상기 사이드미러(20)를 주시하고, 상기 구동수단을 조작하여 원하는 후방 시야를 확보 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종래의 사이드미러는 미러의 크기가 제한되어 있기 때문에 후방시야 확보 범위에 제한을 받게 되며, 이에 따라 자동차의 후방이 확보되지 못하여 추돌하게 되는 안전사고가 발생하게 되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자동차의 사이드미러의 후방 시야범위를 넓힐 수 있도록 된 새로운 형태의 자동차용 사이드미러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자동차의 양쪽 앞도어상에 설치되고 소정크기의 미러와, 소정모양을 가지며 상기 미러가 결합 될 수 있도록 일면이 개방되며 상기 미러를 외부의 이물질이나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커버와, 상기 커버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미러를 운전자의 신체 조건에 맞게 상·하/좌·우로 구동시키는 구동수단으로 이루어진 자동차의 사이드미러에 있어서, 상기 미러의 외측단이 연장되고 만곡부를 갖는 보조미러가 구비된 특징을 갖는다.
도 1은 종래 자동차의 사이드미러로 확보할 수 있는 후방 시야범위를 나타내는 자동차의 평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의 사이드미러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의 사이드미러로 확보할 수 있는 후방 시야범위를나타내는 자동차의 평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앞도어, 20:사이드미러,
22:미러, 24:커버,
26:구동수단, 28:만곡부,
30:보조미러.
이와 같은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차의 양쪽 앞도어(10)상에 설치되고 소정크기의 미러(22)와, 소정모양을 가지며 상기 미러(22)결합 될 수 있도록 일면이 개방되며 상기 미러를 외부의 이물질이나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커버(24)와, 상기 커버(24)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미러(22)를 운전자의 신체 조건에 맞게 상·하/좌·우로 구동시키는 구동수단(26)으로 이루어진 자동차의 사이드미러에 있어서, 상기 미러(22)의 외측단이 연장되고 만곡부(28)를 갖는 보조미러(30)가 구비된 것을 나타내는 것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의 사이드미러로 확보할 수 있는 후방 시야범위를 나타내는 자동차의 평면도로서, A 와 A'는 미러(22)로 확보할 수 있는 후방 시야범위이며, B 와 B'는 보조미러(30)로 확보할 수 있는 후방 시야범위를 나타내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미러(22)의 외측단을 일정길이 만큼 연장하고 만곡부(28)가 형성된 상기 보조미러(30)를 커버(24)에 설치된 구동수단(26)과 연동되도록 결합한 상태에서, 주행중 운전자가 후방을 주시하고자 할 때에는 이를 이용하게 된다.
이때, 상기 미러(22)로 확보할 수 없는 후방은 상기 보조미러(30)를 통하여 확보 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체가 자동차 후방의 A 와 A'에 위치한 것은 상기 미러(22)로 확보할 수 있고, 물체가 자동차 후방의 B 와 B'에 위치한 것은 상기 보조미러(30)로 확보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하여, 자동차의 후방 시야범위를 넓게 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을 적용하면, 만곡부가 형성된 보조미러를 통하여 자동차의 후방 시야 범위를 넓 힐 수 있고, 이에 따라 확보되지 못한 물체와 추돌로 인한 차체의 훼손을 방지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자동차의 양쪽 앞도어(10)상에 설치되고 소정크기의 미러(22)와, 소정모양을 가지며 상기 미러(22)결합 될 수 있도록 일면이 개방되며 상기 미러를 외부의 이물질이나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커버(24)와, 상기 커버(24)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미러(22)를 운전자의 신체 조건에 맞게 상·하/좌·우로 구동시키는 구동수단(26)으로 이루어진 자동차의 사이드미러에 있어서,
    상기 미러(22)의 외측단이 연장되고 만곡부(28)를 갖는 보조미러(30)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사이드미러.
KR2019960026594U 1996-08-29 1996-08-29 자동차의 사이드미러 KR19980013005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26594U KR19980013005U (ko) 1996-08-29 1996-08-29 자동차의 사이드미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26594U KR19980013005U (ko) 1996-08-29 1996-08-29 자동차의 사이드미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3005U true KR19980013005U (ko) 1998-06-05

Family

ID=539740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26594U KR19980013005U (ko) 1996-08-29 1996-08-29 자동차의 사이드미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13005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80013005U (ko) 자동차의 사이드미러
US6007087A (en) Vehicle steering wheel with airbag module
KR970005162Y1 (ko) 자동차
KR100369030B1 (ko) 자동차의 도어
KR200161907Y1 (ko) 엔진후드의 후퇴방지 구조
KR0117541Y1 (ko) 자동차용 절첩식 아웃사이드 미러
KR0139446B1 (ko) 차량용 도어 패널의 구조
KR200142019Y1 (ko) 자동차의 리어도어 멤버구조
KR0137868Y1 (ko) 안면보호용 홀이 형성되는 에어백
KR100380172B1 (ko) 자동차의 본네트 훅 보강부재 충돌대응구조
KR950001829Y1 (ko) 경운기용 후방표시등 절첩장치
KR0138820Y1 (ko) 승객보호용 에어백
KR950008101Y1 (ko) 자동차의 사이드미러 보호장치
KR0129317Y1 (ko) 키셋 고정장치
KR100353064B1 (ko) 자동차의 승객용 에어 백 도어 구조
KR100187842B1 (ko) 차량용 임팩트바의 취부구조
KR19990019996A (ko) 범퍼 패치를 가진 차량용 범퍼
KR980007553U (ko) 자동차의 사이드미러
KR19980055080A (ko) 차량용 대시보드 결합구조
KR19980012178U (ko) 프로텍터가 부착된 차량의 도어
KR960033912A (ko) 승용차 백밀러 개선의 2가지 방법
KR19980055074A (ko) 차량의 카울부 보강구조
KR980008831A (ko) 자동차의 사이드미러
KR20000017305U (ko) 자동차 사이드밀러
KR19990024703U (ko) 자동차의 사이드 미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