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10814U - 베란다용 배수관 - Google Patents

베란다용 배수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10814U
KR19980010814U KR2019960024273U KR19960024273U KR19980010814U KR 19980010814 U KR19980010814 U KR 19980010814U KR 2019960024273 U KR2019960024273 U KR 2019960024273U KR 19960024273 U KR19960024273 U KR 19960024273U KR 19980010814 U KR19980010814 U KR 1998001081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in
pipe
water
drainage
verand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2427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철문
Original Assignee
김철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철문 filed Critical 김철문
Priority to KR2019960024273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10814U/ko
Publication of KR1998001081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10814U/ko

Links

Landscapes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아파트의 베란다에 설치되어 물을 배수시키는 배수구를 개폐시키며 배수관을 이중으로 하는 베란다용 배수관에 관한 것으로 종래에는 배수관이 하나만 설치되어 있어서 물을 버리면 아래층에 물이 떨어지는 소리가 심하게 들리고, 배수구로 각종 해충류가 침입하여, 악취가 나는 결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베란다를 이루는 콘크리트(7)에 설치되는 고정구(10)상에 배수구(4)를 갖고 전방에 이동홀(9)를 갖는 배수 조절관(3)과, 상기 배수 조절관(3)의 내부에 설치되며 배수구(6)를 갖고 개폐 손잡이(8)에 연결되어 배수구(4)를 개폐시키는 폐수관(5)과 상기 배수 조절관(3)상에 설치되는 외관(2)내에 이중으로 배수관(1)을 구성시켜 물을 버리지 않을 때에는 배수구를 닫아서 해충류의 침투를 방지하고 냄새가 올라오는 것을 방지하며, 배수관을 이중구조로 하여 다른 곳에서 버리는 물소리가 들리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베란다용 배수관
제1도는 본 고안의 일부단면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설치상태 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배수상태 평단면도.
제4도는 본 고안의 폐수상태 평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배수관2 : 외관
3 : 배수 조절관4, 6 : 배수구
5 : 폐수관7 : 콘크리트
8 : 개폐 손잡이9 : 이동홀
본 고안은 주로 아파트와 같은 건축물에서 베란다와 같이 각층에서 발생되는 물이 배수관을 통하여 하측으로 내려보낼 때 물소리가 나지 않고 벌레나 해충의 침투를 방지하며 냄새가 나지 않도록 하는 베란다용 배수관에 관한 것이다.
아파트의 베란다나 각종 건축물에는 가장 놓은 곳에서부터 일층까지 배수관을 설치하여 물을 배수관을 통하여 버리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 배수관은 하나의 관을 사용함으로 물을 버리면 물이 내려가면서 물을 버리는 층의 아래층에 사는 곳에서는 물내려가는 소리가 배수구를 통하여 심하게 들리는 결점이 있었다.
또한 배수구가 항상 개방되어 있게 되므로 배수구를 통하여 벌레 지렁이 및 날파리와 같은 해충류가 침입하는 결점이 있다.
또한 배수구를 통하여 배출되는 오수에 의하여 심한 악취가 발생되어 내부로 침입하는 결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의 결점을 해소시키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배수관을 이중으로하여 물이 배수되어 내려갈 때에 소리가 전혀 들리지 않도록 하는 배수관을 제공한다.
본 고안의 또다른 목적은 배수구를 개폐시킬 수 있도록 하여 배수시에만 배수구를 열고 배수하지 않는 경우에는 배수구를 닫아 놓아서 해충의 침입을 방지하고 냄새가 올라오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시킨 도면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베란다를 이루는 콘크리트(7)를 관통하도록 고정구(10)를 설치한 후 고정구(10)상에 하측에 지그제그로 배수구(4)가 설치되고 이동홀(9)이 일부분에 설치된 배수 조절관(3)과, 상기 배수 조절관(3)의 내부에 설치되며 배수구(4)와 일치되는 배수구(6)를 갖고 이동홀(9)에서 개폐 손잡이(8)에 연결되어 회전되면서 배수구(4)를 개폐시키는 폐수관(5)과,
상기 배수 조절관(3)상에 조립되고 상측의 콘크리트(7)에 연결되는 외관(2)과 이중구조로 이루워지며 상단은 고정구(10)에 연결되고 하측은 배수 조절관(3)의 내부에 위차하는 곳에서 굵기가 가늘어져 고정구(10)의 내측에서 끈기는 배수관(1)을 설치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워진 본 고안은 베란다나 화장실에서 물을 버릴 때에는 제2도와 제3도에서와 같이 배수 조절판(3)과 폐수관(5)의 배수구(4)(6)가 개방되어 있으므로 물이 버려지면 배수구(4)(6)를 통하여 고정구(10)내로 유입되어진 후 배수관(1)에 의해 하측으로 이동되어지면서 배수되어 진다.
이때 배수관(1)으로 떨어지는 물은 저면에 이르게될 때 좁아지는 배수관(1)을 지나서 그 저층의 배수관에 떨어지게 된다.
물을 버리지 않는 경우에는 개폐 손잡이(8)를 회전시키면 이동홀(9)에 의하여 개폐 손잡이(8)가 이동되면서 제4도에서와 같이 폐수판(5)이 회전되어 배수구(4)를 막아주게 된다.
그러면 배수구(4)가 막혀있고 배수관(1)의 외측에 외관(2)이 설치되는 이중구조에 의하여 배수관(1)과 외관(2)이 공간이 생기게 되므로 물이 떨어지는 소리가 내부에서 상쇠되어 배수관(1)으로는 소리가 내부로 들리지 않게 된다.
또한 물을 버리지 않을 때에는 배수구(4)를 막고 있으므로 배수구(4)를 통하여 침입하던 지렁이나 벌레 및 해충류의 침입이 방지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밝힌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물이 버려지는 배수관을 이중구조로 하고 물을 버리지 않는 경우에는 배수구를 닫아놓는 상태이므로 물을 버린다해도 소리가 아래층의 배수구를 통하여 실내에 침압할 수 없어서 물을 버리는 소리가 들리지 않는 동시에 물을 마음대로 버릴 수 있는 효과가 제공된다.
또한 본 고안은 물을 버리지 않을 때에는 배수구를 막아놓아서 소리가 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냄새가 나지 않으면서 벌레와 같은 해충의 침입을 막는 효과가 제공된다.

Claims (1)

  1. 베란다에서 각층 사이에 물을 버릴 수 있도록 설치되는 배수관에 있어서,
    베란다를 이루는 콘크리트(7)에 설치되는 고정구(10)상에 배수구(4)를 갖고 전방에 이동홀(9)를 갖는 배수 조절관(3)과,
    상기 배수 조절관(3)의 내부에 설치되며 배수구(6)를 갖고 개폐손잡이(8)에 연결되어 배수구(4)를 개폐시키는 폐수관(5)과,
    상기 배수 조절관(3)상에 설치되는 외관(2)내에 이중으로 배수관(1)을 구성시킨 베란다용 배수관.
KR2019960024273U 1996-08-13 1996-08-13 베란다용 배수관 KR19980010814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24273U KR19980010814U (ko) 1996-08-13 1996-08-13 베란다용 배수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24273U KR19980010814U (ko) 1996-08-13 1996-08-13 베란다용 배수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0814U true KR19980010814U (ko) 1998-05-15

Family

ID=539724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24273U KR19980010814U (ko) 1996-08-13 1996-08-13 베란다용 배수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10814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0353A (ko) * 2016-11-29 2018-06-07 주식회사 에프아이시스 가상 머신 QoS 보장형 무손실 부하 분산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0353A (ko) * 2016-11-29 2018-06-07 주식회사 에프아이시스 가상 머신 QoS 보장형 무손실 부하 분산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795116A1 (en) Floor drainage system for a building and assembly therefor
KR100361326B1 (ko) 가변 조절 기능을 갖는 배수트랩
KR19980010814U (ko) 베란다용 배수관
KR101135564B1 (ko) 조립식 욕실의 설치구조
KR200263706Y1 (ko) 높이 차이가 없는 창문틀의 배수구조
KR200417636Y1 (ko) 배수트랩의 악취유입 방지구조
JP3460056B2 (ja) 排水トラップ
KR100377636B1 (ko) 건축용 배수관 연결구의 이물질 제거장치
KR200286057Y1 (ko) 배수트랩에 있어서 악취차단구조
KR200305922Y1 (ko) 배수배관용 연결 플로어
KR100441255B1 (ko) 배수트랩
KR200189572Y1 (ko) 배수구
KR960005425Y1 (ko) 발코니용 배수트랩
KR970003932Y1 (ko) 개폐식 홈통 배수구
KR200174648Y1 (ko) 플로우 드레인 필터
JP3640062B2 (ja) サッシ下枠、側溝及び躯体の梁の配置構造
KR200305383Y1 (ko) 오수 및 우수 배관용 연결구조
JPH076225Y2 (ja) 排水用トラツプ
KR0125273Y1 (ko) 건축물 바닥용 드레인
JPH0525852A (ja) バルコニーの防水構造
JP2000220202A (ja) 吸排気装置付き水落ち蓋
KR20210001781U (ko) 아파트 우수관 망통장치
KR200221052Y1 (ko) 부력챔버를 가진 배수트랩
KR20020045593A (ko) 배수트랩에 있어서 악취차단구조
KR960015897B1 (ko) 아파트 베란다 생활하수 드레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