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92894B1 - 드라이슈트용 접착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드라이슈트용 접착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692894B1 KR102692894B1 KR1020220098633A KR20220098633A KR102692894B1 KR 102692894 B1 KR102692894 B1 KR 102692894B1 KR 1020220098633 A KR1020220098633 A KR 1020220098633A KR 20220098633 A KR20220098633 A KR 20220098633A KR 102692894 B1 KR102692894 B1 KR 10269289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eight
- parts
- carbonate
- solvent
- adhesive composition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3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3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8
- 238000002360 pr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title 1
- 239000002904 solvent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0
- 229920001084 poly(chloroprene) Polymer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2
- 239000003431 cross linking reagent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1
- 239000002318 adhesion promote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7
- 230000003712 anti-ag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
- 239000003795 chemical substances by application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
- 239000004034 viscosity adjusting agent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
- 239000012190 activato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
- 238000003756 stirr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6
- 241000258957 Asteroidea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YLQBMQCUIZJEEH-UHFFFAOYSA-N Furan Chemical compound C=1C=COC=1 YLQBMQCUIZJEEH-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9000000843 powd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9000010796 biological wast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IEJIGPNLZYLLBP-UHFFFAOYSA-N dimethyl carbonate Chemical compound COC(=O)OC IEJIGPNLZYLLBP-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OIFBSDVPJOWBCH-UHFFFAOYSA-N Diethyl carbonate Chemical compound CCOC(=O)OCC OIFBSDVPJOWBCH-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6
- UXXXZMDJQLPQPH-UHFFFAOYSA-N bis(2-methylpropyl) carbonate Chemical compound CC(C)COC(=O)OCC(C)C UXXXZMDJQLPQPH-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6
- QLVWOKQMDLQXNN-UHFFFAOYSA-N dibutyl carbonate Chemical compound CCCCOC(=O)OCCCC QLVWOKQMDLQXNN-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6
- JMPVESVJOFYWTB-UHFFFAOYSA-N dipropan-2-yl carbonate Chemical compound CC(C)OC(=O)OC(C)C JMPVESVJOFYWTB-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6
- VUPKGFBOKBGHFZ-UHFFFAOYSA-N dipropyl carbonate Chemical compound CCCOC(=O)OCCC VUPKGFBOKBGHFZ-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6
- 229920006122 polyamide resin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6
- 150000004649 carbonic acid derivatives Chemical clas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16
- WYURNTSHIVDZCO-UHFFFAOYSA-N Tetrahydrofuran Chemical compound C1CCOC1 WYURNTSHIVDZC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6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6
- 230000000052 compar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3
- VTYYLEPIZMXCLO-UHFFFAOYSA-L Calcium carbonate Chemical compound [Ca+2].[O-]C([O-])=O VTYYLEPIZMXCLO-UHFFFAOYSA-L 0.000 description 9
- 239000004744 fabr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9
- XLOMVQKBTHCTTD-UHFFFAOYSA-N Zinc monoxide Chemical compound [Zn]=O XLOMVQKBTHCTT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8
- 229920002635 polyurethane Polymers 0.000 description 8
- 239000004814 polyuretha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125000005442 diisocyanate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7
- 239000000047 produ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1 polyol compoun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0454 tal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29910052623 talc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6
- 241000237519 Bivalvia Species 0.000 description 5
- 230000036760 body temperature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5000020639 clam Nutrition 0.000 description 5
- 239000012046 mixed solv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0704 phys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2360 tes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5
- RTZKZFJDLAIYFH-UHFFFAOYSA-N Diethyl ether Chemical compound CCOCC RTZKZFJDLAIYFH-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29910000019 calcium carbona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4
- 229920001971 elasto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4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11787 zinc ox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BYLSIPUARIZAHZ-UHFFFAOYSA-N 2,4,6-tris(1-phenylethyl)phenol Chemical compound C=1C(C(C)C=2C=CC=CC=2)=C(O)C(C(C)C=2C=CC=CC=2)=CC=1C(C)C1=CC=CC=C1 BYLSIPUARIZAH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9000004952 Polyam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0425 asbesto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150000001875 compoun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3337 fertiliz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2647 polyam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298 pulveriz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2994 raw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10052895 riebecki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3535 sea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40000000254 Agrostemma githago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09899 Agrostemma githago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NOWKCMXCCJGMRR-UHFFFAOYSA-N Aziridine Chemical compound C1CN1 NOWKCMXCCJGMR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BVKZGUZCCUSVTD-UHFFFAOYSA-L Carbonate Chemical compound [O-]C([O-])=O BVKZGUZCCUSVTD-UHFFFAOYSA-L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593 Epox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XEEYBQQBJWHFJM-UHFFFAOYSA-N Iron Chemical compound [Fe] XEEYBQQBJWHFJ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FYYHWMGAXLPEAU-UHFFFAOYSA-N Magnesium Chemical compound [Mg] FYYHWMGAXLPEAU-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677 Nyl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41000237502 Ostreidae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202 Polyethylene glyco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YRKCREAYFQTBPV-UHFFFAOYSA-N acetylacetone Chemical compound CC(=O)CC(C)=O YRKCREAYFQTBP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FFBZKUHRIXKOSY-UHFFFAOYSA-N aziridine-1-carboxamide Chemical compound NC(=O)N1CC1 FFBZKUHRIXKOSY-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13522 chel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YACLQRRMGMJLJV-UHFFFAOYSA-N chloroprene Chemical compound ClC(=C)C=C YACLQRRMGMJLJ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150000002009 diol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2474 experiment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615 ingredi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2948 isocyan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150000002513 isocyanat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304 joi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49 magnes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777 magnes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075 main ingredi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1778 nylon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5000020636 oyster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0000035699 permeability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1223 polyethylene glycol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0642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5862 polyol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0379 polypropylene carbon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5170 shellfish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41000894007 species Species 0.000 description 2
- ZXHZWRZAWJVPIC-UHFFFAOYSA-N 1,2-diisocyanatonaphthalene Chemical compound C1=CC=CC2=C(N=C=O)C(N=C=O)=CC=C21 ZXHZWRZAWJVPIC-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UWFRVQVNYNPBEF-UHFFFAOYSA-N 1-(2,4-dimethylphenyl)propan-1-one Chemical compound CCC(=O)C1=CC=C(C)C=C1C UWFRVQVNYNPBEF-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IVIDDMGBRCPGLJ-UHFFFAOYSA-N 2,3-bis(oxiran-2-ylmethoxy)propan-1-ol Chemical compound C1OC1COC(CO)COCC1CO1 IVIDDMGBRCPGLJ-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UPMLOUAZCHDJJD-UHFFFAOYSA-N 4,4'-Diphenylmethane Diisocyanate Chemical compound C1=CC(N=C=O)=CC=C1CC1=CC=C(N=C=O)C=C1 UPMLOUAZCHDJJ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41000257468 Asterias amurensi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58746 Asterina <sea star>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866573 Astropecten polyacanth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OYPRJOBELJOOCE-UHFFFAOYSA-N Calcium Chemical compound [Ca] OYPRJOBELJOOCE-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41000258955 Echinodermat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057 Hexamethylene diisocyan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57473 Marthasterias glaciali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IIGAAOXXRKTFAM-UHFFFAOYSA-N N=C=O.N=C=O.CC1=C(C)C(C)=C(C)C(C)=C1C Chemical compound N=C=O.N=C=O.CC1=C(C)C(C)=C(C)C(C)=C1C IIGAAOXXRKTFA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188 Nylon 3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CBENFWSGALASAD-UHFFFAOYSA-N Ozone Chemical compound [O-][O+]=O CBENFWSGALASA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41000237503 Pectinida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ISWSIDIOOBJBQZ-UHFFFAOYSA-N Phenol Chemical compound OC1=CC=CC=C1 ISWSIDIOOBJBQ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41001339782 Scapharca broughtonii Species 0.000 description 1
- ATJFFYVFTNAWJD-UHFFFAOYSA-N Tin Chemical compound [Sn] ATJFFYVFTNAWJ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RTAQQCXQSZGOHL-UHFFFAOYSA-N Titanium Chemical compound [Ti] RTAQQCXQSZGOHL-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ZJCCRDAZUWHFQH-UHFFFAOYSA-N Trimethylolpropane Chemical compound CCC(CO)(CO)CO ZJCCRDAZUWHFQH-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FYAMXEPQQLNQDM-UHFFFAOYSA-N Tris(1-aziridinyl)phosphine oxide Chemical compound C1CN1P(N1CC1)(=O)N1CC1 FYAMXEPQQLNQD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HCHKCACWOHOZIP-UHFFFAOYSA-N Zinc Chemical compound [Zn] HCHKCACWOHOZI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654 addit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996 addi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2683 ag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108010050181 aleurone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82 alumi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XAGFODPZIPBFFR-UHFFFAOYSA-N aluminium Chemical compound [Al] XAGFODPZIPBFF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40069428 antacid Drug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159 antacid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458 anti-aci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87 antimony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WATWJIUSRGPENY-UHFFFAOYSA-N antimony atom Chemical compound [Sb] WATWJIUSRGPENY-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360 aquacultur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44000144974 aquacultur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QVGXLLKOCUKJST-UHFFFAOYSA-N atomic oxygen Chemical compound [O] QVGXLLKOCUKJS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91 calc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75 calc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711 cancerogen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357 carcinogen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183 carcinogenic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054 cataly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653 coastal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35 construction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577 co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274 desicc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814 drug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623 enhanc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613 environment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912 environmental poll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XYIBRDXRRQCHLP-UHFFFAOYSA-N ethyl acetoacetate Chemical compound CCOC(=O)CC(C)=O XYIBRDXRRQCHL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35 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05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931 harmfu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RRAMGCGOFNQTLD-UHFFFAOYSA-N hexamethylene diisocyanate Chemical compound O=C=NCCCCCCN=C=O RRAMGCGOFNQTL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42 ir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0464 lead 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844 mel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018 melt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44991 metal 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4706 metal oxides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739 metal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WYOXPIKARMAQFM-UHFFFAOYSA-N n,n,n',n'-tetrakis(oxiran-2-ylmethyl)ethane-1,2-diamine Chemical compound C1OC1CN(CC1OC1)CCN(CC1OC1)CC1CO1 WYOXPIKARMAQF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960 organic solv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YEXPOXQUZXUXJW-UHFFFAOYSA-N oxolead Chemical compound [Pb]=O YEXPOXQUZXUXJW-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60 oxy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301 oxyge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973 pai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515 polycarbon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417 polycarbon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5906 polyester polyol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3077 polyol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855 radi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435 rock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3839 salt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0637 scallop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940 solvent-free polyurethane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258 stirred mix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589 supplem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18 ti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135 t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36 titan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19 tita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IUCJMVBFZDHPDX-UHFFFAOYSA-N tretamine Chemical compound C1CN1C1=NC(N2CC2)=NC(N2CC2)=N1 IUCJMVBFZDHPDX-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50001353 tretamine Drug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20 vanad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GPPXJZIENCGNKB-UHFFFAOYSA-N vanadium Chemical compound [V]#[V] GPPXJZIENCGNKB-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699 was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096 x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25 zinc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01 zin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1/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hloroprene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7/00—Compositions of polyamide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amide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00—Features of adhes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J9/00, e.g. additives
- C09J11/02—Non-macromolecular additives
- C09J11/04—Non-macromolecular additives inorganic
-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00—Features of adhes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J9/00, e.g. additives
- C09J11/02—Non-macromolecular additives
- C09J11/06—Non-macromolecular additives organic
-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00—Features of adhes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J9/00, e.g. additives
- C09J11/08—Macromolecular additive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4—Acids; Salts thereof
- C08K3/26—Carbonates; Bicarbonates
- C08K2003/265—Calcium, strontium or barium carbonat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드라이슈트용 접착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접착력이 향상된 드라이슈트용 접착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드라이슈트용 접착제 조성물은 클로로프렌 고무 100 중량부에 대하여, 접착력증진제 1 내지 5 중량부; 가교제 2 내지 10 중량부; 노화방지제 1 내지 5 중량부; 활성제 3 내지 7 중량부; 점도조절제 0.1 내지 3 중량부; 및 용매 200 내지 500 중량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드라이슈트용 접착제 조성물은 클로로프렌 고무 100 중량부에 대하여, 접착력증진제 1 내지 5 중량부; 가교제 2 내지 10 중량부; 노화방지제 1 내지 5 중량부; 활성제 3 내지 7 중량부; 점도조절제 0.1 내지 3 중량부; 및 용매 200 내지 500 중량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드라이슈트용 접착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접착력이 향상된 드라이슈트용 접착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잠수복은 잠수부가 물에서 작업을 할 때 입는 특수복의 하나로, 잠수복은 크게 발포 네오프렌으로 몸에 꼭 맞게 제조되어 내부에 공기가 없게 하고 옷의 내부로 스며드는 물이 잠수부의 체온으로 데워져 체온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습식 잠수복(wet suit)과, 방수 실과 지퍼 등을 이용하여 잠수복 내부로 물이 스며들지 않도록 구성되어, 잠수복 내부가 물에 젖지 않으며 공기층을 형성하여 효과적으로 체온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하는 건식 잠수복(dry suit)으로 분류될 수 있다.
이때, 건식 잠수복(dry suit)은 내부로 물이 스며들지 않아 주로 내의 등을 착용한 상태로 사용하게 되며, 공기층에 의한 체온 유지가 습식 잠수복(wet suit)에 비해 오랜 시간 유지될 수 있다.
이러한 건식 잠수복(dry suit)의 제조 시 통상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접착제는 폴리우레탄계 접착제로, 폴리우레탄은 분자 중에 우레탄 결합을 가지는 것으로써, 주로 디이소시아네이트(diisocyanate)류와 폴리올(polyol) 화합물과의 반응에 의해 합성된 고분자 화합물로, 내마모성, 내유성 및 내용제성에 뛰어나고, 탄성이 우수하여 접착제의 제조에 널리 적용되고 있다.
일례로, 한국공개특허 제10-2011-0053652호는 투습성이 우수한 폴리에틸렌글리콜과 폴리에틸렌글리콜의 단점인 낮은 융점, 내수성, 접착력 등의 물성을 보강하기 위하여 물리적 특성이 우수한 폴리카보네이트디올 등을 공중합체 폴리올로 사용하여 합성시켜 투습방수용 원단의 섬유용 접착제의 용도에 적합하도록 한 것이 장점인 투습성이 우수한 무용제형 폴리우레탄 접착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폴리우레탄 접착제의 제조방법에 관한 기술을 공지한 바 있다.
또한, 한국등록특허 제10-1998781호는 내수성이 우수한 PPC(Poly(propylene carbonate) diol)를 폴리에스테르 폴리올(Polyester polyol)과 병용하여 수성 폴리우레탄 접착제에 적용한 것으로, 유기 용제를 사용하지 않아 친환경적일 뿐만 아니라 특히 내수성을 매우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수분산 폴리우레탄 접착제의 제조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제조된 수분산 폴리우레탄 접착제에 관한 기술을 공지한 바 있다.
그러나, 종래의 폴리우리탄계 접착제는 발림성이 떨어짐에 따라, 사용 시 접착 부위에 여러번 도포 해줘야 하며, 내수 접착력이 떨어짐에 따라 드라이슈트 제품이 수년간 해수에 노출될 시 접착 부위가 박리되거나 이탈되는 등의 단점이 있다.
따라서, 드라이슈트 제품의 내수압성 및 내염수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접착력이 향상된 드라이슈트용 접착제의 기술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드라이슈트 제품이 수년간 해수에 노출되어도 접착 부위가 박리되거나 이탈되지 않도록 접착력이 향상된 드라이슈트용 접착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드라이슈트용 접착제 조성물에 있어서, 클로로프렌 고무 100 중량부에 대하여, 접착력증진제 1 내지 5 중량부; 가교제 2 내지 10 중량부; 노화방지제 1 내지 5 중량부; 활성제 3 내지 7 중량부; 점도조절제 0.1 내지 3 중량부; 및 용매 200 내지 500 중량부;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접착력증진제는, 폴리아마이드 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점도조절제는, 탄산칼슘을 포함하는 해양생물폐기물을 분쇄하여 제조된 해양생물폐기물 분말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용매는, 디메틸 카아보네이트, 디에틸 카아보네이트, 디프로필 카아보네이트, 디이소프로필 카아보네이트, 디부틸 카아보네이트 및 디이소부틸 카아보네이트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카아보네이트 및 테트라하이드로퓨란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드라이슈트용 접착제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교반 용기에 용매를 투입하여 40 내지 60℃의 온도에서 교반하는 용매 교반단계(S10); 상기 용매 교반단계(S10)에서 교반된 상기 용매에 클로로프렌 고무, 가교제, 노화방지제 및 활성제를 투입하여 4 내지 5시간 동안 교반하여 혼합물을 제조하는 제1 교반단계(S20); 및 상기 제1 교반단계(S20)에서 제조된 상기 혼합물에 접착력증진제 및 점도조절제를 첨가하여 1 내지 2시간 동안 교반하는 제2 교반단계(S3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접착력증진제는, 폴리아마이드 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점도조절제는, 탄산칼슘을 포함하는 해양생물폐기물을 분쇄하여 제조된 해양생물폐기물 분말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용매는, 디메틸 카아보네이트, 디에틸 카아보네이트, 디프로필 카아보네이트, 디이소프로필 카아보네이트, 디부틸 카아보네이트 및 디이소부틸 카아보네이트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카아보네이트 및 테트라하이드로퓨란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드라이슈트용 접착제 조성물은 접착제의 접착이 향상되어 드라이슈트 제품이 수년간 해수에 노출되어도 접착 부위가 박리되거나 이탈되지 않는다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드라이슈트용 접착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아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 관계없이 동일한 부재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있음은 물론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드라이슈트용 접착제 조성물은 클로로프렌 고무, 접착력증진제, 가교제, 노화방지제, 활성제, 점도조절제 및 용매를 포함한다.
먼저, 상기 클로로프렌 고무는 2-클로로-1,3-부타디엔이라고도 불리는 것으로, 접착제의 원료고무로서 특별한 제한은 없으나 접착제용으로 제조된 결정성이 높은 것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클로로프렌 고무의 고형분 함량(수분을 제외한 고형분 함량)은 상기 클로로프렌 고무 전체 중량의 40 내지 90%로 포함되며, 상기 고형분의 함량이 40% 미만일 경우, 상기 클로로프렌 고무 첨가에 따른 본 발명이 의도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없으며, 상기 고형분 함량이 90%를 초과할 경우에는 상기 접착력증진제, 상기 가교제, 상기 노화방지제 등과의 반응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접착력증진제는 상기 드라이슈트용 접착제 조성물의 접착력 향상을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상기 클로로프렌 고무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내지 5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3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상기 접착력증진제가 1 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될 경우, 접착력 향상 효율이 미비하게 될 우려가 있으며, 상기 접착력증진제가 5 중량부를 초과하여 포함될 경우에는 상기 드라이슈트용 접착제 조성물의 용해도가 저하되고 고형분 조절이 용이하지 않게 될 우려가 있다.
이때, 상기 접착력증진제로는 폴리아마이드 수지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착용자가 드라이슈트를 착용했을 시 착용자의 피부에 닿이는 부분에는 일반적으로 나일론 직물이 사용되는데, 본 발명은 상기 접착력증진제로써 상기 폴리아마이드 수지를 포함함에 따라 드라이슈트의 내부 원단인 상기 나일론 직물을 드라이슈트 외부 원단에 접착 시 접착력이 증대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가교제는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 에폭시 가교제, 아지리딘 가교제 또는 금속 킬레이트 가교제 중 선택하여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는 톨리덴 디이소시아네이트, 크실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디페닐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이소보론 디이소시아네이트, 테트라메틸크실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및 나프탈렌 디이소시아네이트 중 선택된 1종 이상이며, 상기 에폭시 가교제는 에틸렌글리콜 디글리시딜에테르, 트리글리시딜에테르,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글리시딘에테르, N,N,N’,N’-테트라글리시딜 에틸렌디아민 및 글리세린 디글리시딜에테르 중 선택된 1종 이상이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아지리딘 가교제는 N,N’-톨루엔-2,4-비스(1-아지리딘카르복사미드), N,N’-디페닐메탄-4,4’-비스(1-아지리딘카르복사미드), 트리에틸렌 멜라민, 비스이소프로탈로일-1-(2-메틸아지리딘) 및 트리-1-아지리디닐포스핀옥시드 중 선택된 1종 이상이며, 상기 금속 킬레이트 가교제의 구체적인 예로는 알루미늄, 철, 아연, 주석, 티탄, 안티몬, 마그네슘 및/또는 바나듐과 같은 다가 금속이 아세틸 아세톤 또는 아세토초산 에틸 등에 배위하고 있는 화합물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때, 상기 가교제는 상기 클로로프렌 고무 100 중량부에 대하여 2 내지 10 중량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6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상기 가교제가 2 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될 경우, 상기 드라이슈트용 접착제 조성물의 응집력이 떨어질 우려가 있으며, 상기 가교제가 10 중량부를 초과하여 포함될 경우에는 상기 드라이슈트용 접착제 조성물이 적용된 드라이슈트 제품의 접착 원단의 박리, 들뜸 등의 현상이 발생하여 내구신뢰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다음으로, 상기 노화방지제는 고무 제품이 산소, 오존, 열, 햇빛, 금속촉매, 방사선 등의 환경 및 기계적인 피로 등의 외부요인과 조성물에 포함되는 성분, 제조방법 등의 내부요인에 의해 물성이 점차 노화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첨가제로, 상기 클로로프렌 고무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내지 5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3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노화방지제는 스티렌화된 페놀계 노화방지제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접착제 제조 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을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활성제는 상기 드라이슈트용 접착제 조성물의 물성 및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첨가되는 것으로, 상기 클로로프렌 고무 100 중량부에 대하여 3 내지 7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5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상기 활성제는 산화아연, 산화납 등의 금속산화물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접착제 제조 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을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점도조절제는 상기 드라이슈트용 접착제 조성물의 점도를 제어함으로써, 드라이슈트 원단에 접착제가 도포될 시 상기 접착제의 두께가 제어되어 균일하게 도포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점도조절제는 상기 클로로프렌 고무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3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1.5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드라이슈트 제조 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폴리우레탄계 접착제의 조성물은 점도 조절을 위해 주로 탈크가 사용되나, 탈크는 마그네슘을 주성분으로 하는 무른 성질의 암석으로 자연상태에서는 석면을 함유한 사문암과 섞여 있는 경우가 많아 채굴한 탈크에 발암물질인 석면이 붙어있는 경우가 있는데, 가공 시 석면이 제대로 제거되지 않은 탈크는 인체에 해로운 영향을 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점도조절제로 탄산칼슘을 포함하는 해양생물폐기물을 분쇄하여 제조된 해양생물폐기물 분말을 사용하며,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해양생물폐기물은 굴, 조개, 전복, 바지락, 꼬막 등의 패각과 불가사리 중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굴, 조개, 전복, 바지락, 꼬막 등의 패각의 연간 30만 톤 이상이 폐기물로 처리되어 있어 매립이나 야적을 위해 많은 유지 관리비를 발생시킨다.
또한, 패각의 처리방식이 다양하게 보급되어 있지 않음에 따라 대부분의 패각들은 해당 해역에 그대로 방치되어 부패와 악취를 발생시킨다.
이러한 패각의 주성분은 탄산칼슘으로, 분말 형태로서 호분이나 제산제, 태운 조개재로서 도료, 매염제, 비료 등으로 이용되고 있으며, 이에 더하여 단추의 제작, 비료 및 건자재 등과 같은 일차적 가공물로서의 활용, 칼슘성분을 추출하여 식품 또는 의약품으로서의 활용 등으로 실생활에서 널리 활용되고 있다.
또한, 불가사리는 극피동물문에 속하는 해양저서생물로서 별불가사리(Asterina pectinfera), 아무르불가사리(Asterias amurensis), 가시불가사리(Astropecten polyacanthus) 등 전세계에 1,700 여종이 있는 것으로 학계에 보고되었으며, 우리나라 근해에도 200 여종이 서식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아무르불가사리와 별불가사리는 육식성으로 피조개, 전복, 바지락, 가리비 등 유용패류를 먹이로 하고 있기에 수산양식 산업에서는 불가사리가 해적생물로 분류되어 있다.
따라서, 주기적으로 불가사리를 포획하고 있으며, 과거에는 포획된 불가사리를 소각하거나 매립하여 왔으나, 최근에는 포획된 불가사리를 분쇄 및 건조시켜 비료, 사료, 보조식품, 의약품 원료 등으로 활용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 해양생물폐기물 분말을 상기 점도조절제로 활용함으로써 인체에 대한 안정성 및 경제성을 확보하는 동시에 추가적인 환경 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용매는 디메틸 카아보네이트, 디에틸 카아보네이트, 디프로필 카아보네이트, 디이소프로필 카아보네이트, 디부틸 카아보네이트 및 디이소부틸 카아보네이트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카아보네이트 및 테트라하이드로퓨란의 혼합물로, 상기 클로로프렌 고무 100 중량부에 대하여 200 내지 50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40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디메틸 카아보네이트, 상기 디에틸 카아보네이트, 상기 디프로필 카아보네이트, 상기 디이소프로필 카아보네이트, 상기 디부틸 카아보네이트 및 상기 디이소부틸 카아보네이트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상기 카아보네이트와 상기 테트라하이드로퓨란은 중량비 3 : 7의 비율로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드라이슈트용 접착제 조성물은 상기 용매로 상기 카아보네이트와 상기 테트라하이드로퓨란이 3 : 7의 비율로 혼합된 혼합용매를 사용함으로써, 상기 드라이슈트용 접착제 조성물의 용해성이 향상되어 점도, 도포성 등이 최적화될 수 있으며, 친환경적인 용매로써 친환경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드라이슈트용 접착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드라이슈트용 접착제 조성물은 용매 교반단계(S10), 제1 교반단계(S20) 및 제2 교반단계(S30)를 거쳐 제조된다.
먼저, 상기 용매 교반단계(S10)에서는 교반 용기에 용매를 투입하여 40 내지 60℃의 온도에서 교반한다.
이후, 상기 제1 교반단계(S20)에서는 상기 용매 교반단계(S10)에서 교반된 상기 용매에 상기 클로로프렌 고무, 상기 가교제, 상기 노화방지제 및 상기 활성제를 투입하여 4 내지 5시간 동안 교반하여 혼합물을 제조한다.
또한, 상기 제2 교반단계(S30)에서는 상기 제1 교반단계(S20)에서 제조된 상기 혼합물에 상기 접착력증진제 및 상기 점도조절제를 첨가하여 1 내지 2시간 동안 교반하여 상기 드라이슈트용 접착제 조성물을 제조한다.
즉, 상기와 같이 상기 용매 교반단계(S10)에서 상기 교반 용기에 상기 용매를 미리 투입하여 40 내지 60℃의 온도에서 교반시킨 후, 상기 제1 교반단계(S20)에서 상기 교반된 용매에 상기 클로로프렌 고무, 상기 가교제, 상기 노화방지제 및 상기 활성제를 투입하여 교반함으로써 각 성분들을 상기 용매에 충분히 용해시키며, 이후 상기 제2 교반단게(S30)에서 상기 접착력증진제 및 상기 점도조절제를 추가로 첨가하여 상기 드라이슈트용 접착제 조성물을 제조함에 따라, 상기 드라이슈트용 접착제 조성물의 용해성 및 접착력 등의 물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 비교예 및 실험예를 통해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여기에 기재되지 않은 내용은 이 기술 분야에서 숙련된 자이면 충분히 기술적으로 유추할 수 있는 것이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
교반 용기에 디메틸 카아보네이트와 테트라하이드로퓨란이 3 : 7의 비율로 혼합된 혼합용매 400kg을 투입하여 50℃의 온도에서 교반시킨 뒤, 교반된 혼합용매에 클로로프렌 고무 100kg, 톨리덴 디이소시아네이트 6kg, 스티렌네이티드 페놀 3kg 및 산화아연 6kg을 투입하여 4시간 동안 교반하여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이후, 교반된 혼합물에 폴리아마이드 3kg 및 불가사리 분말 1.5kg를 첨가하여 1시간 동안 교반한 드라이슈트용 접착제 조성물로 제조된 접착제로 접착한 드라이슈트 시험편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상기 실시예와 동일하게 진행하되, 폴리아마이드를 제외하여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상기 실시예와 동일하게 진행하되, 톨리덴 디이소시아네이트를 제외하여 제조하였다.
비교예 3
상기 실시예와 동일하게 진행하되, 불가사리 분말을 탈크로 대체하여 제조하였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드라이슈트용 접착제 조성물을 하기 표 1에 나타난 성분으로 배합하였으며, 실시예 및 비교예 1 내지 3의 드라이슈트용 접착제 조성물로 제조된 접착제로 접착한 드라이슈트 시험편을 제조하였다.
구분 | 실시예 | 비교예 1 | 비교예 2 | 비교예 3 |
클로로프렌 고무 | 100 | 100 | 100 | 100 |
폴리아마이드 | 3 | - | 3 | 3 |
톨리덴 디이소시아네이트 | 6 | 6 | - | 6 |
스티렌네이티드 페놀 | 3 | 3 | 3 | 3 |
산화아연 | 6 | 6 | 6 | 6 |
불가사리 분말 | 1.5 | 1.5 | 1.5 | - |
탈크 | - | - | - | 1.5 |
디메틸 카아보네이트 및 테트라하이드로퓨란 혼합용매 |
400 | 400 | 400 | 400 |
실험예
본 실험예는 실시예 및 비교예 1 내지 3의 드라이슈트용 접착제 조성물로 제조된 접착제로 접착한 드라이슈트 시험편의 접착강도 및 내수강도를 확인하기 위한 실험으로, 표 2에 그 결과를 나타내었다.
이때, 접착강도는 드라이슈트용 원단 2장 각각에 200g 의 드라이슈트용 접착제 조성물을 브러시로 도포하고 10분간 건조시킨 후 도포면을 접합하여 핸드롤러로 조인 다음, 5일 후 인장시험기로 인장 속도 50 ㎜/min 으로 180°박리 강도를 측정하였다.
또한, 내수강도는 드라이슈트용 원단 2장 각각에 200g 의 드라이슈트용 접착제 조성물을 브러시로 도포하고 10분간 건조시킨 후 도포면을 접합하여 핸드롤러로 조인 다음, 24시간 뒤 수중에 2일 동안 침지시킨 후 인장시험기로 인장 속도 50 ㎜/min 으로 180°박리 강도를 측정하였다.
구분 | 실시예 | 비교예 1 | 비교예 2 | 비교예 3 |
접착강도(N/mm) | 6 | 5.1 | 5.3 | 5.6 |
내수강도(N/mm) | 5.6 | 4.8 | 4.9 | 5 |
표 2에서 볼 수 있듯이, 클로로프렌 고무, 폴리아마이드, 톨리덴 디이소시아네이트, 스티렌네이티드 페놀, 산화아연, 불가사리 분말, 디메틸 카아보네이트 및 테트라하이드로퓨란 혼합용매를 포함하는 드라이슈트용 접착제 조성물로 제조된 접착제로 접착한 드라이슈트 시험편(실시예)이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3의 드라이슈트 시험편에 비해 접착강도 및 내수강도가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S10 : 용매 교반단계
S20 : 제1 교반단계
S30 : 제2 교반단계
S20 : 제1 교반단계
S30 : 제2 교반단계
Claims (8)
- 클로로프렌 고무 100 중량부에 대하여,
접착력증진제 1 내지 5 중량부;
가교제 2 내지 10 중량부;
노화방지제 1 내지 5 중량부;
활성제 3 내지 7 중량부;
점도조절제 0.1 내지 3 중량부; 및
용매 200 내지 500 중량부;를
상기 접착력증진제는 폴리아마이드 수지이며,
상기 점도조절제는 해양생물폐기물인 불가사리 분말이며,
상기 용매는 디메틸 카아보네이트, 디에틸 카아보네이트, 디프로필 카아보네이트, 디이소프로필 카아보네이트, 디부틸 카아보네이트 및 디이소부틸 카아보네이트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카아보네이트 및 테트라하이드로퓨란이 중량비 3:7의 비율로 혼합된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라이슈트용 접착제 조성물. - 삭제
- 삭제
- 삭제
- 교반 용기에 용매를 투입하여 40 내지 60℃의 온도에서 교반하는 용매 교반단계(S10);
상기 용매 교반단계(S10)에서 교반된 상기 용매에 클로로프렌 고무, 가교제, 노화방지제 및 활성제를 투입하여 4 내지 5시간 동안 교반하여 혼합물을 제조하는 제1 교반단계(S20); 및
상기 제1 교반단계(S20)에서 제조된 상기 혼합물에 접착력증진제 및 점도조절제를 첨가하여 1 내지 2시간 동안 교반하는 제2 교반단계(S30);를 포함하되,
상기 접착력증진제는 폴리아마이드 수지이며,
상기 점도조절제는 해양생물폐기물인 불가사리 분말이며,
상기 용매는 디메틸 카아보네이트, 디에틸 카아보네이트, 디프로필 카아보네이트, 디이소프로필 카아보네이트, 디부틸 카아보네이트 및 디이소부틸 카아보네이트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카아보네이트 및 테트라하이드로퓨란이 중량비 3:7의 비율로 혼합된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라이슈트용 접착제 조성물의 제조방법.
- 삭제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98633A KR102692894B1 (ko) | 2022-08-08 | 2022-08-08 | 드라이슈트용 접착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98633A KR102692894B1 (ko) | 2022-08-08 | 2022-08-08 | 드라이슈트용 접착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40020506A KR20240020506A (ko) | 2024-02-15 |
KR102692894B1 true KR102692894B1 (ko) | 2024-08-06 |
Family
ID=898992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098633A KR102692894B1 (ko) | 2022-08-08 | 2022-08-08 | 드라이슈트용 접착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692894B1 (ko)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303002A (ja) | 2000-04-25 | 2001-10-31 | Denki Kagaku Kogyo Kk | スポンジ製生地の継ぎ目部の接着方法及び接着構造物 |
JP2002069406A (ja) * | 2000-08-25 | 2002-03-08 | Denki Kagaku Kogyo Kk | スポンジ製生地の継ぎ目部の接着方法及び接着構造物 |
JP2011195741A (ja) * | 2010-03-23 | 2011-10-06 | Konishi Co Ltd | 硬化性樹脂組成物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00138B1 (ko) * | 2004-06-01 | 2006-07-13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방진 고무용 클로로프렌 고무계 접착제 |
KR101116291B1 (ko) | 2009-11-16 | 2012-03-14 | 한국신발피혁연구소 | 투습성이 우수한 무용제형 폴리우레탄 접착제의 제조방법 |
KR101998781B1 (ko) | 2017-11-20 | 2019-10-01 | 한국신발피혁연구원 | 내수성이 우수한 수분산 폴리우레탄 접착제의 제조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제조된 수분산 폴리우레탄 접착제 |
-
2022
- 2022-08-08 KR KR1020220098633A patent/KR102692894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303002A (ja) | 2000-04-25 | 2001-10-31 | Denki Kagaku Kogyo Kk | スポンジ製生地の継ぎ目部の接着方法及び接着構造物 |
JP2002069406A (ja) * | 2000-08-25 | 2002-03-08 | Denki Kagaku Kogyo Kk | スポンジ製生地の継ぎ目部の接着方法及び接着構造物 |
JP2011195741A (ja) * | 2010-03-23 | 2011-10-06 | Konishi Co Ltd | 硬化性樹脂組成物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40020506A (ko) | 2024-02-1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692894B1 (ko) | 드라이슈트용 접착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 |
ES2189522T3 (es) | Un procedimiento para preparar una composicion de poliuretano termoplastico y la composicion asi preparada. | |
CN110499096A (zh) | 一种单组分耐根穿刺防水涂料及其制备方法 | |
DE102009008867A1 (de) | Klebstoff | |
CN110423408A (zh) | 快速硫化三元乙丙橡胶及其制备方法 | |
CN101475723B (zh) | 一种合金材料封边条 | |
KR102519125B1 (ko) | 재생 네오프렌 원단의 제조방법 | |
CN106436346A (zh) | 一种抗紫外线的人造革 | |
KR101248479B1 (ko) | 고투습성 우레탄 핫멜트 접착제 수지조성물 | |
CN105856767A (zh) | 一种耐磨台布 | |
CN1420296A (zh) | 具有优异的安全性且环保的盖用密封件和金属盖 | |
CN101544800A (zh) | 一种环保封边条的配方 | |
CN103352376A (zh) | 高档运动鞋的鞋面用pvc合成革及其制备方法 | |
CN106284919A (zh) | 塑胶地板 | |
WO2016060977A1 (en) | Low monomer laminating adhesive | |
CN107778832A (zh) | 一种具有荧光作用的生物基可降解tpu薄膜及其制备方法 | |
KR102078545B1 (ko) | 훈련용 기모 장갑 및 그 제조방법 | |
CN109321055A (zh) | 高附着力水性木器涂料及其制造方法 | |
KR102626834B1 (ko) | 불가사리를 이용한 식품용 포장재 및 그 제조방법 | |
KR101879948B1 (ko) | 폴리우레탄 반응성 핫멜트 수지가 코팅된 원사로 접착용 원단을 제조하는 방법 | |
TW201545941A (zh) | 防霉抗菌潛水衣及其製作方法 | |
CN109456669A (zh) | 高强度水性木器涂料及其制造方法 | |
JP2022518878A (ja) | 接着剤組成物、積層体、及び包装体 | |
CN111961293B (zh) | 一种耐拉伸pvc手套及其制备工艺 | |
CN103224672B (zh) | 一种无毒聚氯乙烯树脂材料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