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86455B1 - 자동차용 블럭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블럭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86455B1
KR102686455B1 KR1020190148115A KR20190148115A KR102686455B1 KR 102686455 B1 KR102686455 B1 KR 102686455B1 KR 1020190148115 A KR1020190148115 A KR 1020190148115A KR 20190148115 A KR20190148115 A KR 20190148115A KR 102686455 B1 KR102686455 B1 KR 1026864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on
printed circuit
circuit board
main body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81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60262A (ko
Inventor
김도윤
양재욱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481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86455B1/ko
Publication of KR202100602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02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864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864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60R16/0239Electronic box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26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provided with connectors and printed circuit boards [PCB], e.g. automotive electronic control units
    • H05K5/0047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provided with connectors and printed circuit boards [PCB], e.g. automotive electronic control units having a two-part housing enclosing a PCB
    • H05K5/006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provided with connectors and printed circuit boards [PCB], e.g. automotive electronic control units having a two-part housing enclosing a PCB characterized by features for holding the PCB within the housing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26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provided with connectors and printed circuit boards [PCB], e.g. automotive electronic control units
    • H05K5/0069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provided with connectors and printed circuit boards [PCB], e.g. automotive electronic control units having connector relating features for connecting the connector pins with the PCB or for mounting the connector body with the housing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블럭이다. 자동차용 블럭의 골격을 본체(10)가 형성한다. 상기 본체(10) 상에는 구획공간(19) 내에 인쇄회로기판(40)이 설치되는 기판공간(20)이 있다. 상기 인쇄회로기판(40)을 본체(10)에 체결하기 위해 본체(10)에 설치된 제1연결볼트(30)에 제1연결너트(50)가 체결되고, 상기 제2연결볼트(32)에 제2연결너트(52)가 체결되며 고정볼트(34)에 고정너트(54)가 체결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제1연결볼트(30)에 제1연결터미널(51)이 설치되어 상기 제1연결너트(52)에 의해 인쇄회로기판(40)의 랜드에 밀착되고, 상기 제2연결볼트(32)에 제2연결터미널(53)이 설치되어 상기 제2연결너트(54)에 의해 인쇄회로기판(40)의 랜드에 밀착되어 전기적 연결이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자동차용 블럭{Block for vehicle}
본 발명은 자동차용 블럭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인쇄회기판이 내부에 설치되는 자동차용 블럭에 대한 것이다.
자동차용 블럭 내에는 다양한 부품들이 설치된다. 예를 들면, 인쇄회로기판이 자동차용 블럭 내에 설치될 수 있는데,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블럭의 본체 일측에 고정된 상태로 인쇄회로기판 외부와의 전기적 연결도 수행하게 된다.
이와 같은 인쇄회로기판이 자동차용 블럭의 내부에 설치됨에 있어서, 되도록 공간을 적게 차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자동차의 연비 등을 고려해서 모든 부품들이 소형화되는 추세 때문이다. 따라서, 인쇄회로기판 자체도 크기가 최소화되도록 만드는 것이 필요하고, 인쇄회로기판이 설치되는 공간도 상대적으로 적게 하는 것이 필요하다.
일본 특허등록 제4487755호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필요성을 달성하기 위한 것으로, 인쇄회로기판의 크기를 최소화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인쇄회로기판이 설치되는데 필요한 공간을 최소화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인쇄회로기판과 연결되는 와이어가 주변의 부품과 간섭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면에 기판공간이 형성된 본체와, 상기 기판공간에 고정되고 외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기판공간의 일측 가장자리 쪽에 직립되는 제1연결볼트와 제2연결볼트, 상기 기판공간의 타측 가장자리 쪽에 직립되고 상기 제1연결볼트와 제2연결볼트와 함께 삼각형의 꼭지점을 이루도록 배치되는 고정볼트와, 상기 제1연결볼트와 제2연결볼트에 체결되어 인쇄회로기판과 외부 사이의 전기적 연결을 수행하는 제1연결터미널과 제2연결터미널과, 상기 제1연결볼트와 제2연결볼트에 체결되면서 상기 제1연결터미널과 제2연결터미널이 인쇄회로기판에 밀착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하는 동시에 인쇄회로기판을 본체에 체결하는 제1연결너트와 제2연결너트와, 상기 고정볼트에 체결되어 상기 인쇄회로기판을 본체에 체결하는 고정너트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기판공간이 형성되는 본체는 외측구획벽, 제1내측 구획벽, 제2내측 구획벽 그리고 제3내측 구획벽에 의해 구획되어 구획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구획공간에서 상기 기판공간을 구획하도록 기판공간의 가장자리를 둘러서 기판둘레벽이 형성되는데, 상기 기판둘레벽과 상기 제1내측 구획벽의 사이에는 소정의 간격이 형성되어 상기 제1연결터미널에 연결된 제1연결와이어와 제2연결터미널에 연결된 제2연결와이어가 강성 때문에 직선으로 연장되는 것을 보장한다.
삭제
삭제
상기 제2연결터미널이 위치되는 부분에서 상기 기판둘레벽에는 요입부가 형성되고 상기 기판둘레벽의 요입부와 대응되는 상기 제1내측 구획벽에는 오프셋부가 형성되어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모서리의 일부가 절제되어 형성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면에 기판공간이 형성된 본체와, 상기 기판공간에 고정되고 외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설치된 기판커넥터와 결합되는 외부커넥터에서 연장되는 커넥터와이어가 상기 본체와 인쇄회로기판 사이의 공간을 통과해 본체의 내측으로 연장되게 상기 본체의 기판공간 내에 형성되는 와이어 채널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인쇄회로기판을 상기 본체에 체결하기 위한 제1연결볼트, 제2연결볼트와 고정볼트가 상기 본체의 기판공간에 구비되고, 상기 제1연결볼트에 제1연결터미널이 설치된 상태에서 제1연결너트가 체결되고, 상기 제2연결볼트에 제2연결터미널이 설치된 상태에서 제2연결너트가 체결되며, 상기 고정볼트에 고정너트가 체결되며, 상기 기판공간이 형성되는 본체는 외측구획벽, 제1내측 구획벽, 제2내측 구획벽 그리고 제3내측 구획벽에 의해 구획되어 구획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구획공간에서 상기 기판공간을 구획하도록 기판공간의 가장자리를 둘러서 기판둘레벽이 형성되는데, 상기 기판둘레벽과 상기 제1내측 구획벽의 사이에는 소정의 간격이 형성되어 상기 제1연결터미널에 연결된 제1연결와이어와 제2연결터미널에 연결된 제2연결와이어가 강성 때문에 직선으로 연장되는 것을 보장할 수 있다.
상기 커넥터와이어는 상기 외부커넥터에서 연장되어 상기 본체와 인쇄회로기판 사이의 공간으로 들어가고, 상기 본체와 인쇄회로기판 사이의 공간에서 상기 와이어채널을 따라 연장되어 본체 내측으로 연장된다.
상기 커넥터와이어가 상기 본체와 인쇄회로기판 사이로 들어가는 연장방향이 상기 본체와 인쇄회로기판 사이에서 빠져나가는 연장방향과 직교하도록 상기 와이어채널이 소정의 곡률반경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삭제
삭제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용 블럭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에서는 인쇄회로기판을 본체에 고정하는 것과 인쇄회로기판의 외부와의 전기적 연결이 기판상의 동일한 위치에서 이루어진다. 즉, 인쇄회로기판의 제1관통공을 관통하는 제1연결볼트에 제1연결터미널이 설치된 상태에서 제1연결볼트에 제1연결너트가 체결되고, 제2관통공을 관통하는 제2연결볼트에 제2연결터미널이 설치된 상태에서 제2연결볼트에 제2연결너트가 체결됨에 의해 체결과 전기적 연결이 동시에 수행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인쇄회로기판의 크기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제2연결터미널이 설치되는 인쇄회로기판 부분에 요입부가 형성되어 있는데, 이는 제2연결터미널에 연결되는 제2연결와이어의 강성에 따른 직선 연장구간을 본체 내에서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만들어진다. 이와 같은 인쇄회로기판의 요입부는 전체 인쇄회로기판의 크기를 줄이는 역할을 하게 되어 인쇄회로기판의 소형화를 이루게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인쇄회로기판에 설치된 기판커넥터에서 연장되는 커넥터와이어는 인쇄회로기판의 하면과 본체 사이를 통과하여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커넥터와이어는 외부커넥터에서 연장되는 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인쇄회로기판의 하면과 본체 사이를 빠져나간다. 따라서, 연결와이어가 인쇄회로기판의 표면보다 낮은 위치에서 와이어채널을 빠져나가 연장되므로, 주변에 있는 버스바와의 간섭이 없어지게 된다. 따라서, 인쇄회로기판 주위의 설계자유도를 상대적으로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용 블럭의 바람직한 실시례의 중요부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실시례의 요부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례를 구성하는 자동차용 블럭의 본체 내부를 보인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례에서 기판공간에 기판이 설치되기 전의 상태를 보인 작업상태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례에서 기판공간의 와이어채널에 커넥터와이어가 설치된 상태를 보인 작업상태도.
도 6은 도 5의 상태에서 기판공간에 인쇄회로기판이 설치된 상태를 보인 작업상태도.
도 7은 도 6의 상태에서 제1 및 제2 연결터미널이 설치된 상태를 보인 작업상태도.
도 8은 도 7의 상태에서 연결너트와 고정너트가 체결된 상태를 보인 작업상태도.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례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례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면들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본 발명 실시례의 자동차용 블럭의 골격을 본체(10)가 형성한다. 상기 본체(10)는 절연성 합성수지 재질로 만들어진다. 상기 본체(10)에는 도시되지 않은 커버가 장착되어 내부에 공간을 형성한다. 도면을 기준으로, 상기 본체(10)의 상면에는 여러가지 부품들이 위치되는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공간을 커버가 외부와 차폐하게 된다.
상기 본체(10)의 외측면을 외측 구획벽(12)이 형성한다. 상기 외측 구획벽(12)은 상기 본체(10)의 가장자리를 둘러 형성된다. 상기 구획벽(12)은 상기 본체(10)의 위치에 따라 그 높이가 달리 될 수 있다. 상기 구획벽(12)의 외면에는 걸림턱(12')이 돌출되어 있다. 상기 걸림턱(12')은 커버와의 결합을 위한 것이다.
상기 외측 구획벽(12)에 직교하게 제1내측 구획벽(14)이 형성된다. 상기 제1내측 구획벽(14)은 상기 본체(10)의 중간부를 향해 연장되어 있다. 상기 제1내측 구획벽(14)은 반드시 일직선으로 연장되는 것은 아니며, 주변 부분의 설치를 위해 일직선이 아닌 형태로 연장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는 상기 제1내측 구획벽(14)은 버스바(60)의 설치를 위해 본체(10)의 내측에서 일측으로 오프셋된다. 이와 같이 오프셋된 부분을 제1내측 구획벽(14)의 오프셋부(15)라 칭한다.
상기 제1내측 구획벽(14)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 대략 나란히 연장되게 제2내측 구획벽(16)이 있다. 상기 제2내측 구획벽(16)도 상기 외측 구획벽(12)과 직교한다. 상기 제1내측 구획벽(14)과 제2내측 구획벽(16) 사이에 해당되는 본체(10)의 내측에는 제3내측 구획벽(18)이 있다. 상기 제3내측 구획벽(18)은 대략 상기 외측 구획벽(12)과 나란히 연장된다.
상기 외측 구획벽(12), 제1내측 구획벽(14), 제2내측 구획벽(16) 그리고 제3내측 구획벽(18)이 협력하여 소정의 구획공간(19)을 만들게 된다. 상기 구획공간(19)의 내부 바닥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인쇄회로기판(40)이 위치되는 기판공간(20)이 형성된다. 상기 기판공간(20)은 기판둘레벽(22)에 의해 주변과 구획된다. 상기 기판둘레벽(22)의 높이는 상기 외측 구획벽(12), 제1내측 구획벽(14), 제2내측 구획벽(16) 그리고 제3내측 구획벽(18)들 보다는 낮다. 상기 기판둘레벽(22)은 인쇄회로기판(40)의 표면보다 약간 높은 정도의 높이이다.
상기 기판둘레벽(22)의 일측에는 요입부(22')가 형성된다. 상기 요입부(22')는 상기 제1내측 구획벽(14)의 오프셋부(15)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 요입부(22')는 제1내측 구획벽(14)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 요입부(22')를 형성함에 의해 상기 요입부(22')와 오프셋부(15) 사이의 소정의 간격이 만들어지고, 이 간격에 아래에서 설명될 제2연결와이어(53')와 제2연결터미널(53)의 바렐부가 위치된다. 즉, 상기 요입부(22')와 오프셋부(15) 사이의 간격은 제2연결터미널(53)의 바렐부에 압착된 제2연결와이어(53')가 소정 길이 연장되어야 하는 것을 고려한 것이다. 다시 말해 제2연결와이어(53')가 바렐부에 압착되면서 그 강성에 의해 소정 길이만큼 직선으로 연장되어야 하는데, 이를 고려한 간격이다.
상기 기판둘레벽(22)과 상기 제1내측 구획벽(14)의 사이에 해당되는 본체(10)의 상면에는 와이어안내채널(23)이 형성된다. 상기 와이어안내채널(23)은 도 3에 잘 도시되어 있다.
상기 기판공간(20)의 가장자리를 따라서, 즉 상기 기판둘레벽(22)을 따라서는 도 3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제1안착단(24), 제2안착단(26), 제3안착단(28)이 형성된다. 이들 안착단(24,26,28)은 인쇄회로기판(40)의 하면 가장자리가 안착되는 부분이다. 상기 제1안착단(24)은 상기 기판둘레벽(22)의 일측 모서리, 즉 외측구획벽(12)과 제1내측 구획벽(14)에 인접한 모서리에 있다. 상기 제2안착단(26)은 상기 오프셋부(15)에 인접한 모서리에 있다. 상기 제3안착단(28)은 상기 외측구획벽(12)과 제2내측 구획벽(16)에 인접한 위치에 상기 기판둘레벽(22)에 연결되어 기판공간(20) 내에 있다.
상기 제1안착단(24)에는 제1연결볼트(3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제1연결볼트(30)는 인쇄회로기판(40)을 본체(10)에 고정하는 역할과 외부와 인쇄회로기판(40)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역할을 한다. 상기 제1연결볼트(30)는 상기 제1안착단(24)의 표면과 직교하게 돌출되어 있다.
상기 제2안착단(26)에는 제2연결볼트(32)가 돌출되어 있다. 상기 제2연결볼트(32)도 인쇄회로기판(40)을 본체(10)에 고정하는 역할과 외부와 인쇄회로기판(40)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역할을 한다. 상기 제1연결볼트(30)와 제2연결볼트(32)는 상기 기판공간(20)의 일측 가장자리에 인접한 위치에 있다.
상기 제3안착단(28)에는 고정돌트(34)가 돌출되어 있다. 상기 고정볼트(34)는 인쇄회로기판(40)을 본체(10)에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고정볼트(34)는 상기 인쇄회로기판(40)과 외부의 전기적 연결 역할을 하지 않는다. 하지만 설계조건에 따라서는 상기 제1연결볼트(30)나 제2연결볼트(32)와 역할을 교체할 수 있다. 상기 고정볼트(34)는 상기 제1연결볼트(30) 및 제2연결볼트(32)와 삼각형의 꼭지점을 형성하는 위치, 즉 상기 기판공간(20)의 타측 가장자리 근처에 있다.
상기 기판공간(20)의 바닥을 관통하여서는 와이어채널(36)이 형성된다. 상기 와이어채널(36)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커넥터와이어(58)가 통과한다. 상기 와이어채널(36)의 일측은 상기 제3내측 구획벽(18)을 지나서 본체(10)의 내측으로 연장된다. 그리고, 상기 와이어채널(36)의 타측은 상기 제2내측 구획벽(16)의 위치까지 연장된다. 상기 와이어채널(36)은 아래에서 설명될 인쇄회로기판(40)의 하면 하부로 커넥터와이어(58)가 통과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와이어채널(36)을 두어 커넥터와이어(58)가 통과하도록 하는 것은 아래에서 설명될 버스바(60)와 본체(10) 상면 사이로 커넥터와이어(58)가 지나게 하여 버스바(60)와 커넥터와이어(58) 사이의 간섭을 피하도록 하는 것이다.
인쇄회로기판(40)은 대략 사각형의 판형상으로 된다. 상기 인쇄회로기판(40)에는 내부에 회로패턴(도시되지 않음)이 있고, 표면에 소자(도시되지 않음)들이 실장된다. 상기 인쇄회로기판(40)의 일측 모서리에는 요입부(42)가 형성된다. 상기 요입부(42)는 상기 기판둘레벽(22)의 요입부(22')와 대응되는 위치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만들어진다. 이와 같이 인쇄회로기판(40)에 요입부(42)가 형성됨에 의해 인쇄회로기판(40)의 크기를 줄일 수 있다.
상기 인쇄회로기판(40)에는 상기 제1연결볼트(30)가 관통하도록 제1관통공(44)이 형성된다. 상기 제1관통공(44)의 가장자리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제1연결터미널(51)과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랜드(도시되지 않음)가 형성된다. 상기 인쇄회로기판(40)의 요입부(42)에 인접하여 제2관통공(46)이 형성되어 제2연결볼트(32)가 관통한다. 상기 제2관통공(46)의 가장자리에도 제2연결터미널(53)과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랜드(도시되지 않음)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인쇄회로기판(40)에는 상기 고정볼트(34)가 관통하도록 제3관통공(48)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3관통공(48)은 상기 제1관통공(44) 및 제2관통공(46)이 형성된 가장자리와 반대쪽 가장자리 일측에 형성된다.
상기 인쇄회로기판(40)에는 기판커넥터(49)가 있다. 상기 기판커넥터(49)는 인쇄회로기판(40)의 회로와 외부를 연결시키는 것이다. 상기 기판커넥터(49)에는 외부커넥터(56)가 결합된다.
상기 인쇄회로기판(40)을 상기 기판공간(20)의 안착단(24,26,28)에 안착시켜 본체(10)에 고정함과 동시에 외부와의 전기적 연결을 위해 제1연결너트(50)와 제2연결너트(52)를 사용하고 본체(10)와의 고정을 위해 고정너트(54)를 사용한다.
상기 제1연결너트(50)는 상기 제1연결볼트(30)에 체결되면서 제1연결터미널(51)을 상기 제1연결볼트(30)와 결합되게 함과 동시에 인쇄회로기판(40)에 밀착되게 한다. 따라서 상기 제1연결터미널(51)의 제1연결와이어(51')를 통해 인쇄회로기판(40)과 외부가 연결된다. 상기 제1연결와이어(51')의 강성 때문에 연장되어야 하는 길이를 고려해서 상기 기판둘레벽(22)과 제1내측 구획벽(14)과의 사이에는 소정의 간격이 있다.
상기 제2연결너트(52)는 상기 제2연결볼트(32)에 체결되면서 제2연결터미널(53)을 상기 제2연결볼트(32)와 결합되게 함과 동시에 인쇄회로기판(40)에 밀착되게 한다. 따라서 상기 제2연결터미널(53)의 제2연결와이어(53')를 통해 인쇄회로기판(40)과 외부가 연결된다. 상기 제2연결와이어(53')의 강성 때문에 연장되어야 하는 길이를 고려해서 상기 요입부(22')와 오프렛부(15) 사이에는 소정의 간격이 있다.
상기 고정너트(54)는 상기 고정볼트(34)에 체결되어 상기 인쇄회로기판(40)이 본체(10)에 체결되도록 한다. 상기 고정너트(54)는 상기 인쇄회로기판(40)을 고정하는 역할만을 한다.
상기 인쇄회로기판(40)에 설치된 기판커넥터(49)와 결합되게 외부커넥터(56)가 있다. 상기 외부커넥터(56)에서 연장되는 커넥터와이어(58)는 상기 인쇄회로기판(40)의 하면과 본체(10) 사이를 통과한다. 특히 상기 본체(10)에 형성된 와이어채널(36)을 따라 본체(10)의 내측으로 커넥터와이어(58)가 연장된다. 따라서, 상기 커넥터와이어(58)는 상기 외부커넥터(56)에서 상방으로 돌출되어 굴곡되어 상기 와이어채널(36)로 들어간다. 상기 와이어채널(36)은 도 3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대략 'L'자 형태로 굴곡되어 있어 와이어채널(36)로 커넥터와이어(58)가 들어가는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상기 와이어채널(36)을 빠져나가도록 된다. 이와 같이 와이어채널(36)을 커넥터와이어(58)가 빠져나감으로 인해 버스바(60)와 간섭되지 않고 커넥터와이어(58)가 설치될 수 있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용 블럭이 사용되는 것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인쇄회로기판(40)을 상기 본체(10)에 고정시키고 외부와 전기적 연결을 하는 것을 설명한다. 먼저, 도 4의 상태는 본체(10)의 안착단(24,26,28)에 연결볼트(30,32)와 고정볼트(34)가 설치된 상태이다. 이 상태에서 상기 와이어채널(36)에 상기 커넥터와이어(58)가 위치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상태가 도 5에 도시되어 있다.
다음으로, 상기 인쇄회로기판(40)을 상기 기판공간(20)에 위치시킨다. 이때 상기 제1연결볼트(30)와 인쇄회로기판(40)의 제1관통공(44)이 대응되게 하고, 상기 제2연결볼트(32)와 인쇄회로기판(40)의 제2관통공(40)이 대응되도록 하며, 상기 고정볼트(34)에 인쇄회로기판(40)의 제3관통공(48)이 대응되도록 한다. 상기 인쇄회로기판(40)이 상기 기판공간(20)의 제1안착단(24), 제2안착단(26), 제3안착단(28)에 안착되도록 하면, 상기 제1관통공(44)을 상기 제1연결볼트(30)가 관통하고, 상기 제2관통공(40)을 제2연결볼트(32)가 관통하며, 상기 제3관통공(48)을 고정볼트(34)가 관통한다. 이와 같은 상태가 도 6에 도시되어 있다.
다음으로, 상기 인쇄회로기판(40)과 외부와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터미널(51,53)을 상기 제1연결볼트(30)와 제2연결볼트(32)가 관통하도록 상기 인쇄회로기판(40)상에 위치시킨다. 상기 제1연결터미널(51)과 제2연결터미널(53)은 일종의 링터미널로서 링형상부를 상기 제1연결볼트(30)와 제2연결볼트(32)가 관통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가 도 7에 도시되어 있다.
상기 제1연결터미널(51)을 상기 제1연결볼트(30)에 상기 제2연결터미널(53)을 제2연결볼트(32)에 설치한 상태에서 상기 제1연결너트(50)와 제2연결너트(52)를 설치한다. 즉 상기 제1연결볼트(30)에 상기 제1연결너트(50)를 체결하여 상기 제1연결터미널(51)이 인쇄회로기판(40)의 제1관통공(44) 가장자리 상면에 밀착되게 하고, 상기 제2연결볼트(32)에 상기 제2연결너트(52)를 체결하여 상기 제2연결터미널(53)이 상기 인쇄회로기판(40)의 제2관통공(46) 가장자리 상면에 밀착되게 한다. 이와 같이 함에 의해 제1연결터미널(51)과 제2연결터미널(53)과 인쇄회로기판(40)의 전기적 연결이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제1연결터미널(51)의 바렐부에 단부가 안착된 제1연결와이어(51')는 그 강성 때문에 소정 길이 직선으로 연장되는데, 이를 위해 상기 기판둘레벽(22)과 제1내측 구획벽(14) 사이에는 소정의 간격이 있다. 상기 제1연결와이어(51')는 상기 기판둘레벽(22)과 제1내측 구획벽(14) 사이에서 소정 길이 연장된 후에 굴곡되어서 상기 와이어안내채널(23) 내에 위치되어 연장된다.
상기 제2연결와이어(53')도 그 강성 때문에 소정 길이까지는 직선으로 연장되는데, 이를 위해서 상기 기판둘레벽(22)의 요입부(22')와 제1내측 구획벽(14)의 오프셋부(15) 사이에 소정의 간격이 있다. 상기 제2연결와이어(53')도 직선으로 소정 길이 연장된 후에 굴곡되어서 상기 와이어안내채널(23) 내에 위치되어 연장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볼트(34)에 상기 고정너트(54)를 체결함에 의해 상기 본체(10)의 기판공간(20)에 인쇄회로기판(40)이 고정된다. 상기 인쇄회로기판(40)이 상기 기판공간(20)에 고정되는 것은, 상기 제1연결너트(50), 제2연결너트(52) 그리고 고정너트(54)의 체결이 완료됨에 의해 완성된다. 이와 같은 상태는 도 8에 도시되어 있다. 한편, 상기 외부커넥터(56)를 상기 기판커넥터(49)에 결합함에 의해 외부커넥터(56)를 통한 외부와의 연결이 완성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례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례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례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본체 12: 외측 구획벽
14: 제1내측 구획벽 15: 오프셋부
16: 제2내측 구획벽 18: 제3내측 구획벽
19: 구획공간 20: 기판공간
22: 기판둘레벽 23: 와이어안내채널
24: 제1안착단 26: 제2안착단
28: 제3안착단 30: 제1연결볼트
32: 제2연결볼트 34: 고정볼트
36: 와이어채널 40: 인쇄회로기판
42: 요입부 44: 제1관통공
46: 제2관통공 48: 제2관통공
50: 제1연결너트 51: 제1연결터미널
51': 제1연결와이어 52: 제2연결너트
53: 제2연결터미널 53': 제1연결와이어
54: 고정너트 56: 외부커넥터
58: 커넥터와이어 60: 버스바

Claims (10)

  1. 상면에 기판공간이 형성된 본체와,
    상기 기판공간에 고정되고 외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기판공간의 일측 가장자리 쪽에 직립되는 제1연결볼트와 제2연결볼트,
    상기 기판공간의 타측 가장자리 쪽에 직립되고 상기 제1연결볼트와 제2연결볼트와 함께 삼각형의 꼭지점을 이루도록 배치되는 고정볼트와,
    상기 제1연결볼트와 제2연결볼트에 체결되어 인쇄회로기판과 외부 사이의 전기적 연결을 수행하는 제1연결터미널과 제2연결터미널과,
    상기 제1연결볼트와 제2연결볼트에 체결되면서 상기 제1연결터미널과 제2연결터미널이 인쇄회로기판에 밀착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하는 동시에 인쇄회로기판을 본체에 체결하는 제1연결너트와 제2연결너트와,
    상기 고정볼트에 체결되어 상기 인쇄회로기판을 본체에 체결하는 고정너트를 포함하고, 상기 기판공간이 형성되는 본체는 외측구획벽, 제1내측 구획벽, 제2내측 구획벽 그리고 제3내측 구획벽에 의해 구획되어 구획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구획공간에서 상기 기판공간을 구획하도록 기판공간의 가장자리를 둘러서 기판둘레벽이 형성되는데, 상기 기판둘레벽과 상기 제1내측 구획벽의 사이에는 소정의 간격이 형성되어 상기 제1연결터미널에 연결된 제1연결와이어와 제2연결터미널에 연결된 제2연결와이어가 강성 때문에 직선으로 연장되는 것을 보장하는 자동차용 블럭.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연결터미널이 위치되는 부분에서 상기 기판둘레벽에는 요입부가 형성되고 상기 기판둘레벽의 요입부와 대응되는 상기 제1내측 구획벽에는 오프셋부가 형성되어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모서리의 일부가 절제되어 형성되도록 하는 자동차용 블럭.
  5. 상면에 기판공간이 형성된 본체와,
    상기 기판공간에 고정되고 외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설치된 기판커넥터와 결합되는 외부커넥터에서 연장되는 커넥터와이어가 상기 본체와 인쇄회로기판 사이의 공간을 통과해 본체의 내측으로 연장되게 상기 본체의 기판공간 내에 형성되는 와이어 채널을 포함하고,
    상기 인쇄회로기판을 상기 본체에 체결하기 위한 제1연결볼트, 제2연결볼트와 고정볼트가 상기 본체의 기판공간에 구비되고, 상기 제1연결볼트에 제1연결터미널이 설치된 상태에서 제1연결너트가 체결되고, 상기 제2연결볼트에 제2연결터미널이 설치된 상태에서 제2연결너트가 체결되며, 상기 고정볼트에 고정너트가 체결되며,
    상기 기판공간이 형성되는 본체는 외측구획벽, 제1내측 구획벽, 제2내측 구획벽 그리고 제3내측 구획벽에 의해 구획되어 구획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구획공간에서 상기 기판공간을 구획하도록 기판공간의 가장자리를 둘러서 기판둘레벽이 형성되는데, 상기 기판둘레벽과 상기 제1내측 구획벽의 사이에는 소정의 간격이 형성되어 상기 제1연결터미널에 연결된 제1연결와이어와 제2연결터미널에 연결된 제2연결와이어가 강성 때문에 직선으로 연장되는 것을 보장하는 자동차용 블럭.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와이어는 상기 외부커넥터에서 연장되어 상기 본체와 인쇄회로기판 사이의 공간으로 들어가고, 상기 본체와 인쇄회로기판 사이의 공간에서 상기 와이어채널을 따라 연장되어 본체 내측으로 연장되는 자동차용 블럭.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와이어가 상기 본체와 인쇄회로기판 사이로 들어가는 연장방향이 상기 본체와 인쇄회로기판 사이에서 빠져나가는 연장방향과 직교하도록 상기 와이어채널이 소정의 곡률반경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자동차용 블럭.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190148115A 2019-11-18 자동차용 블럭 KR1026864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8115A KR102686455B1 (ko) 2019-11-18 자동차용 블럭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8115A KR102686455B1 (ko) 2019-11-18 자동차용 블럭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0262A KR20210060262A (ko) 2021-05-26
KR102686455B1 true KR102686455B1 (ko) 2024-07-18

Family

ID=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90176A (ja) * 2013-11-13 2014-05-15 Sharp Corp 電気ケーブル接続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19143605A (ja) * 2018-02-23 2019-08-29 サンデン・オートモーティブコンポーネント株式会社 電動圧縮機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90176A (ja) * 2013-11-13 2014-05-15 Sharp Corp 電気ケーブル接続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19143605A (ja) * 2018-02-23 2019-08-29 サンデン・オートモーティブコンポーネント株式会社 電動圧縮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19386B2 (en) Electrical junction box
US8157116B2 (en) Electrical junction box
USRE45621E1 (en) Electrical junction box
CN102170074A (zh) 屏蔽连接器
JP2011147327A (ja) 電気接続箱
CN112512231B (zh) 电气连接箱以及线束
EP2903085B1 (en) Antenna device
JP4637730B2 (ja) ホルダ
CN107615607B (zh) 电连接箱及电连接箱的防水结构
US20160315421A1 (en) Wire harness protector having grounding function
US9118125B2 (en) Earth terminal mounted tool
KR102686455B1 (ko) 자동차용 블럭
JP5086112B2 (ja) 防水ケース
KR20210060262A (ko) 자동차용 블럭
CN105849978A (zh) 测试电缆和用于测试电缆的插座适配器
JP4316430B2 (ja) 積み重ね型アース端子
US20010039147A1 (en) Assembling structure of electronic unit to electrical connecting box
JP4600364B2 (ja) 電源分配構造
US10462914B2 (en) Cover structure and electric connection box
KR101001887B1 (ko) 차량용 박스
US11322921B2 (en) Electrical junction box
US11552576B2 (en) Power apparatus including interlock
KR200486964Y1 (ko) 자동차 블럭용 커버장치
KR20190108741A (ko) 온도데이터를 사용하는 자동차용 블럭
KR20220155082A (ko) 자동차용 전원블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