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70787B1 - 적층체, 접착층 구비 적층체, 기재층 구비 광학 적층체, 광학 적층체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적층체, 접착층 구비 적층체, 기재층 구비 광학 적층체, 광학 적층체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70787B1
KR102670787B1 KR1020200010316A KR20200010316A KR102670787B1 KR 102670787 B1 KR102670787 B1 KR 102670787B1 KR 1020200010316 A KR1020200010316 A KR 1020200010316A KR 20200010316 A KR20200010316 A KR 20200010316A KR 102670787 B1 KR102670787 B1 KR 1026707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liquid crystal
laminate
crystal layer
opt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03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96144A (ko
Inventor
유키 니시카미
쇼지 소부에
다카아키 다나카
Original Assignee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9234582A external-priority patent/JP6727390B1/ja
Application filed by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000961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61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707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70787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06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made of fluids in transparent ce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2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 B32B7/023Optic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6Interconnection of layers permitting easy separa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Abstract

[과제] 광학 기능층에 액정층을 전사할 때에, 주름이나 부정형 이물이 발생하는 것이 억제된 액정층을 갖는 광학 적층체를 제조하기 위해서 적합한 적층체, 접착층 구비 적층체, 기재층 구비 광학 적층체, 광학 적층체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해결수단] 적층체는, 기재층을 포함하는 기재층 함유층 상에 제1 액정층을 포함하는 제1 액정층 함유층이 마련되어 있다. 기재층 함유층은 제1 액정층 함유층에 대하여 박리 가능하다. 제1 액정층은 제1 액정층의 면에 대하여 수평 방향으로 배향하고 있는 액정 화합물을 포함한다. 제1 액정층 함유층의 돌자(突刺) 시험에 있어서의 변위량은 2.0 mm 이하이다.

Description

적층체, 접착층 구비 적층체, 기재층 구비 광학 적층체, 광학 적층체 및 그 제조 방법{LAMINATE, LAMINATE WITH ADHESIVE LAYER, OPTICAL LAMINATE WITH SUBSTRATE LAYER, OPTICAL LAMINAT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적층체, 접착층 구비 적층체, 기재층 구비 광학 적층체, 광학 적층체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유기 EL 표시 장치나 액정 표시 장치 등의 표시 장치에서는, 외광의 반사 방지를 위해서, 직선편광판과 위상차판이 적층된 타원편광판 등이 이용되는 경우가 있다. 이 타원편광판을 구성하는 위상차판으로서, 중합성 액정 화합물을 경화시킨 층(액정층)이나 그 적층체를 포함하는 위상차판이 알려져 있다. 특허문헌 1에는, 기재 상에, 그 기재의 면에 대하여 수평 배향시킨 액정층을 형성하고, 이것을 직선편광판에 전사하는 전사법에 의해, 이 액정층을 직선편광판에 적층하는 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공개 2015-21976호 공보
이러한 수평 배향시킨 액정층에는, 기재로부터 직선편광판에 전사할 때에, 단부로부터 주름이나 부정형의 이물이 생기기 쉽다고 하는 과제가 있었다. 특허문헌 1에는, 접착제층, 액정층과의 폭 관계의 조정에 의해 이물 발생을 억제하는 방법이 기재되어 있지만, 폭 관계의 조정이 어려운 경우에는 유효한 방법이 아니었다.
본 발명은, 광학 기능층에 액정층을 전사할 때에 주름이나 부정형 이물이 발생하는 것이 억제된 액정층을 갖는 광학 적층체를 제조하기 위해서 적합한 적층체, 접착층 구비 적층체, 기재층 구비 광학 적층체, 광학 적층체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이하에 나타내는 적층체, 접착층 구비 적층체, 기재층 구비 광학 적층체, 광학 적층체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1] 기재층을 포함하는 기재층 함유층 상에, 제1 액정층을 포함하는 제1 액정층 함유층이 마련된 적층체로서,
상기 기재층 함유층은 상기 제1 액정층 함유층에 대하여 박리 가능하고,
상기 제1 액정층은 상기 제1 액정층의 면에 대하여 수평 방향으로 배향되어 있는 액정 화합물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액정층 함유층의 돌자(突刺) 시험에 있어서의 변위량은 2.0 mm 이하인 적층체.
[2] 상기 기재층 함유층과 상기 제1 액정층 함유층 사이의 밀착력은 0.05 N/25 mm 이상인 [1]에 기재한 적층체.
[3] 상기 기재층 함유층은 추가로 배향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액정층 함유층은 상기 기재층 함유층의 상기 배향층 측에 마련되어 있는 [1] 또는 [2]에 기재한 적층체.
[4] 상기 제1 액정층 함유층은 추가로 배향층을 포함하고,
상기 기재층 함유층은 상기 제1 액정층 함유층의 상기 배향층 측에 마련되어 있는 [1] 또는 [2]에 기재한 적층체.
[5] [1]∼[4] 중 어느 하나에 기재한 적층체와 접착층을 포함하는 접착층 구비 적층체로서,
상기 접착층은 상기 적층체의 상기 제1 액정층 함유층 측에 적층되어 있고,
상기 제1 액정층 함유층은 상기 접착층이 적층되어 있지 않은 미적층 영역을 갖는 접착층 구비 적층체.
[6] 상기 미적층 영역은 상기 접착층 구비 적층체에 있어서의 폭 방향의 적어도 한쪽의 단부에 존재하는 청구항 [5]에 기재한 접착층 구비 적층체.
[7] [1]∼[4] 중 어느 하나에 기재한 적층체, 접착층 및 광학 기능층을 이 순서로 포함하는 기재층 구비 광학 적층체로서,
상기 접착층은 상기 적층체의 상기 제1 액정층 함유층 측에 마련되어 있는 기재층 구비 광학 적층체.
[8] [5] 또는 [6]에 기재한 접착층 구비 적층체의 상기 접착층 상에 광학 기능층이 마련되어 있는 기재층 구비 광학 적층체.
[9] 상기 광학 기능층은 편광층을 포함하는 [7] 또는 [8]에 기재한 기재층 구비 광학 적층체.
[10] 상기 광학 기능층은 제2 액정층을 포함하는 [7]∼[9] 중 어느 하나에 기재한 기재층 구비 광학 적층체.
[11] 제1' 액정층을 포함하는 제1' 액정층 함유층과 접착층과 광학 기능층을 이 순서로 포함하는 광학 적층체로서,
상기 제1' 액정층은 상기 제1' 액정층의 면에 대하여 수평 방향으로 배향하고 있는 액정 화합물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액정층 함유층의 돌자 시험에 있어서의 변위량은 2.0 mm 이하인 광학 적층체.
[12] 상기 제1' 액정층 함유층은 추가로 배향층을 포함하고,
상기 배향층은 제1' 액정층의 상기 접착층과는 반대 측에 마련되어 있는 [11]에 기재한 광학 적층체.
[13] 제1' 액정층을 포함하는 제1' 액정층 함유층과 접착층과 광학 기능층을 이 순서로 포함하는 광학 적층체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7]∼[10] 중 어느 하나에 기재한 기재층 구비 광학 적층체로부터 상기 기재층 함유층을 박리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광학 적층체의 제조 방법.
본 발명에 의하면, 광학 기능층에 액정층을 전사할 때에, 주름이나 부정형 이물이 발생하는 것이 억제된 액정층을 갖는 광학 적층체를 제조하기 위해서 적합한 적층체, 접착층 구비 적층체, 기재층 구비 광학 적층체, 광학 적층체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적층체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적층체의 다른 예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접착층 구비 적층체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기재층 구비 광학 적층체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기재층 구비 광학 적층체의 다른 예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광학 적층체의 제조 공정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광학 적층체의 제조 공정의 다른 예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개략 단면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적층체, 접착층 구비 적층체, 기재층 구비 광학 적층체, 광학 적층체 및 그 제조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관해서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 나타내는 각 실시형태 및 그 변형예는 임의로 조합하여도 좋다. 또한, 각 실시형태 및 그 변형예에 있어서, 이들보다도 앞의 실시형태 또는 그 변형예에서 설명한 부재와 동일한 부재에 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그 설명을 생략하는 경우가 있다.
[실시형태 1(적층체)]
도 1은 본 실시형태의 적층체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면에서 W는 폭 방향을 나타낸다. 본 실시형태의 적층체(1a)는, 도 1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기재층(11a)을 포함하는 기재층 함유층(10a) 상에 제1 액정층(13a)(제1 액정층 함유층)이 마련되어 있다. 기재층 함유층(10a)은, 도 1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기재층(11a)과 배향층(12a)을 포함할 수 있고, 기재층 함유층(10a)의 배향층(12a) 측에 제1 액정층(13a)이 마련되어 있으며, 제1 액정층(13a)은 배향층(12a)에 직접 접해 있다. 제1 액정층(31a)은 그 면에 대하여 수평 방향으로 배향되어 있는 액정 화합물을 포함한다. 또한, 기재층 함유층(10a)은 제1 액정층(13a)에 대하여 박리 가능하게 되어 있다. 적층체(1a)는 제1 액정층(13a) 상에 추가로 다른 층을 갖는 것이라도 좋다. 적층체(1a)는 매엽체의 필름이라도 좋고, 장척의 필름이라도 좋다.
적층체(1a)는 그 폭 방향 단면에 있어서, 도 1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기재층(11a), 배향층(12a), 제1 액정층(13a)의 순으로 폭 방향의 길이가 짧게 되어 있으며, 배향층(12a)의 폭 방향 양단의 위치는 기재층(11a)의 폭 방향 양단의 위치보다도 폭 방향 내측에 있고, 제1 액정층(13a)의 폭 방향 양단의 위치는 배향층(12a)의 폭 방향 양단의 위치보다도 폭 방향 내측에 있다. 또한 적층체(1a)는, 각 층의 폭 방향의 길이 및 각 층의 양단의 폭 방향의 위치가 상기한 관계에 있는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기재층(11a)과 배향층(12a)은 폭 방향의 길이가 동일하고, 적층체(1a)의 폭 방향 단면에 있어서 폭 방향 양단의 위치가 동일하여도 좋다. 또한, 배향층(12a)과 제1 액정층(13a)은 폭 방향의 길이가 동일하고, 적층체(1a)의 폭 방향 단면에 있어서 폭 방향 양단의 위치가 동일하여도 좋으며, 폭 방향의 길이가 제1 액정층(13a)보다도 배향층(12a) 쪽이 짧고, 배향층(12a)의 폭 방향 양단의 위치가 제1 액정층(13a)의 폭 방향 양단의 위치보다도 폭 방향 내측에 있어도 좋다. 또한, 도 1에 도시하는 적층체(1a)는 폭 방향으로 대칭인 구조를 갖고 있지만, 폭 방향으로 비대칭인 구조를 갖고 있어도 좋다.
기재층(11a)은 배향층(12a) 및 제1 액정층(13a)을 지지하는 지지층으로서의 기능을 가질 수 있다. 배향층(12a)은, 제1 액정층(13a)을 형성하기 위해서 이용되는 액정 화합물을 수평 방향으로 액정 배향시키는 배향 규제력을 가질 수 있다.
제1 액정층(13a)은 중합성 액정 화합물(액정 화합물)이 중합하여 형성된 것일 수 있으며, 예컨대 기재층 함유층(10a)의 배향층(12a) 상에 중합성 액정 화합물을 포함하는 액정층 형성용 조성물을 도포하여 건조하고, 제1 액정층(13a)의 면에 대하여 중합성 액정 화합물이 수평 방향으로 배향한 상태에서, 자외선 등의 활성 에너지선 조사에 의해 중합성 액정 화합물을 중합하여 경화시켜 형성할 수 있다. 제1 액정층(13a)은 단층 구조를 갖고 있어도 좋지만, 2층 이상의 다층 구조를 갖고 있어도 좋다.
제1 액정층(13a)은, 돌자 시험에 있어서의 변위량이 2.0 mm 이하이며, 1.5 m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2 mm 이하라도 좋고, 1.1 mm 이하라도 좋으며, 또한 0(제로) mm 이상이면 되지만, 통상은 0.1 mm 이상이고, 0.3 mm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0.5 mm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돌자 시험에 있어서의 변위량이 지나치게 작아지면, 연마 등의 가공 시에 크랙 등의 문제점이 생기기 쉽게 되는 경향이 있다. 또한, 돌자 시험에 있어서의 변위량을 0.5 mm 이상 2.0 mm 이하의 범위로 함으로써, 제1 액정층(13a)의 전사 시의 이물 발생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고, 연마 등의 가공에 있어서 가공 적성이 우수한 제1 액정층(13a)을 형성하기 쉽게 된다. 돌자 시험에 있어서의 변위량은, 후술하는 실시예에 기재한 것과 같이 돌자 시험기를 이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적층체(1a)는, 후술하는 것과 같이, 접착층(30a) 및 광학 기능층(60a)을 갖는 기재층 구비 광학 적층체(3a)(도 4)를 얻기 위해서 이용되는데, 이 기재층 구비 광학 적층체(3a)로부터 기재층 함유층(10a)을 박리함으로써, 광학 적층체(4a)(도 6)를 얻을 수 있다. 수평 배향한 액정 화합물을 포함하는 제1 액정층(13a)의 돌자 시험에 있어서의 변위량이 2.0 mm 이하이면, 상기한 것과 같이 기재층 구비 광학 적층체(3a)로부터 기재층 함유층(10a)을 박리할 때에, 제1 액정층(13a)의, 접착층(30a)이 적층된 영역인 적층 영역(13ay)과, 접착층(30a)이 적층되어 있지 않은 영역인 미적층 영역(13ax)(도 4에서, 우측으로 올라가는 사선으로 나타내는 부분)의 사이에서, 제1 액정층(13a)을 양호하게 분리시킬 수 있다.
이에 대하여, 제1 액정층(13a)의 돌자 시험에 있어서의 변위량이 2.0 mm를 넘으면, 제1 액정층(13a)이 신장하기 쉽게 되기 때문에, 기재층 구비 광학 적층체(3a)로부터 기재층 함유층(10a)을 박리할 때에, 적층 영역(13ay)과 미적층 영역(13ax)의 사이라고 하는 의도한 위치에서 제1 액정층(13a)이 분리되지 않고, 분리 부분이 부정형의 이물로 되고, 분리 부분에 주름이 발생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기 쉽게 된다.
제1 액정층(13a)의 돌자 시험에 있어서의 변위량은, 예컨대 수평 배향한 액정 화합물을 포함하는 제1 액정층(13a)을 얻기 위해서 이용하는 중합성 액정 화합물의 종류, 제1 액정층(13a)에 있어서의 중합성 액정 화합물의 중합도(경화도),제1 액정층(13a)에 포함되는 중합개시제, 반응성 첨가제, 레벨링제, 중합금지제, 가교제 등의 첨가제의 종류나 양, 제1 액정층(13a)의 두께 등에 의해서 조정할 수 있다. 제1 액정층(13a)은, 두께 이외의 조건이 동일한 경우, 두께가 클수록 신장하기 어렵게 되어, 제1 액정층(13a)의 돌자 시험에 있어서의 변위량이 작아지는 경향이 있다. 제1 액정층(13a)의 두께는, 적용되는 표시 장치의 종류에 따라서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지만, 0.3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0.5 ㎛ 이상이라도 좋고, 1 ㎛ 이상이라도 좋으며, 또한 통상 10 ㎛ 이하이고, 5 ㎛ 이하라도 좋고, 3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기재층 함유층(10a)과 제1 액정층(13a) 사이의 밀착력은, 0.05 N/25 mm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0.06 N/25 mm 이상이라도 좋으며, 0.07 N/25 mm 이상이라도 좋고, 0.08 N/25 mm 이상이라도 좋고, 0.10 N/25 mm 이상이라도 좋다. 기재층 함유층(10a)과 제1 액정층(13a) 사이의 밀착력의 상한치는, 기재층 함유층(10a)이 제1 액정층(13a)에 대하여 박리 가능하다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컨대 0.5 N/25 mm 이하로 할 수 있다. 밀착력은 후술하는 실시예에 기재한 방법에 의해서 측정할 수 있다.
기재층 함유층(10a)과 제1 액정층(13a) 사이의 밀착력이 0.05 N/25 mm 미만이면, 후술하는 기재층 구비 광학 적층체(3a)로부터 기재층 함유층(10a)을 박리할 때에, 적층 영역(13ay)과 미적층 영역(13ax)의 사이에서 제1 액정층(13a)이 양호하게 분리되기 어렵게 되어, 상기한 문제점이 발생하기 쉽게 된다.
기재층 함유층(10a)과 제1 액정층(13a) 사이의 밀착력은, 배향층(12a)이나 제1 액정층(13a)에 포함되는 중합개시제, 반응성 첨가제, 레벨링제, 중합금지제, 가교제 등의 첨가제의 종류나 양으로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밀착력은, 기재층(11a)의 배향층(12a) 측의 표면, 배향층(12a)의 표면 및 제1 액정층(13a)의 배향층(12a) 측의 표면에 대하여 행하는, 코로나 처리, 플라즈마 처리, 화염 처리 등의 표면 처리에 의해서 조정할 수도 있다.
본 실시형태의 적층체는 이하에 나타내는 변형예와 같이 변경되어도 좋다.
(실시형태 1의 변형예 1)
위에서는, 도 1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기재층 함유층(10a)이 기재층(11a) 및 배향층(12a)을 포함하는 적층체(1a)를 예로 들어 설명했지만, 기재층 함유층이 배향층(12a)을 포함하고 있지 않아도 좋으며, 예컨대 도 2에 도시하는 적층체라도 좋다. 도 2는 본 실시형태의 적층체의 다른 예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개략 단면도이다. 적층체(1b)는, 도 2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기재층(11b)(기재층 함유층) 상에, 배향층(12b)과, 수평 배향한 액정 화합물을 포함하는 제1 액정층(13b)을 갖는 제1 액정층 함유층(20b)이 마련된 것이며, 기재층(11b)은 제1 액정층 함유층(20b)의 배향층(12b) 측에 마련되어 있다. 제1 액정층(13b)은 배향층(12b)에 직접 접해 있다. 또한, 적층체(1b)를 이루는 기재층(11b)은 제1 액정층 함유층(20b)에 대하여 박리 가능하게 되어 있다.
적층체(1b)에서는, 수평 배향한 액정 화합물을 포함하는 제1 액정층(13b)을 갖는 제1 액정층 함유층(20b)의 돌자 시험에 있어서의 변위량을 2.0 mm 이하로 할 수 있다. 제1 액정층 함유층(20b)의 돌자 시험에 있어서의 변위량으로서 채용할 수 있는 범위는, 상기한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범위와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그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액정층 함유층(20b)의 돌자 시험에 있어서의 변위량을 조정하는 방법으로서는, 상기한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제1 액정층의 돌자 시험에 있어서의 변위량을 조정하는 방법에 더하여, 배향층(12b)에 포함되는 성분의 종류나 양, 배향층(12b)의 두께 등에 의해서도 조정할 수 있다. 제1 액정층 함유층(20b)은, 두께 이외의 조건이 동일한 경우, 두께가 클수록 신장하기 어렵게 되고, 제1 액정층 함유층(20b)의 돌자 시험에 있어서의 변위량이 작아지는 경향이 있다. 제1 액정층 함유층(20b)의 두께는, 적용되는 표시 장치의 종류에 따라서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지만, 0.4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1 ㎛ 이상이라도 좋고, 통상 12 ㎛ 이하이며, 8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5 ㎛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제1 액정층(13b)의 두께는 0.3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0.5 ㎛ 이상이라도 좋고, 1 ㎛ 이상이라도 좋고, 또한 통상 10 ㎛ 이하이며, 5 ㎛ 이하라도 좋고, 3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배향층(12b)의 두께는 0.01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0.05 ㎛ 이상이라도 좋고, 또한 통상 10 ㎛ 이하이며, 3 ㎛ 이하라도 좋고, 0.5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적층체(1b)도, 접착층 및 광학 적층체를 갖는 기재층 구비 광학 적층체를 얻기 위해서 이용되며, 이 기재층 구비 광학 적층체로부터 기재층(11b)을 박리함으로써 후술하는 광학 적층체(4b)(도 7)를 얻을 수 있다. 수평 배향한 액정 화합물을 포함하는 제1 액정층 함유층(20b)의 돌자 시험에 있어서의 변위량이 2.0 mm 이하이면, 상기한 것과 같이, 기재층 구비 광학 적층체로부터 기재층을 박리할 때에, 제1 액정층 함유층(20b)의, 접착층이 적층된 영역인 적층 영역과, 접착층이 적층되어 있지 않은 영역인 미적층 영역의 사이에서, 제1 액정층 함유층(20b)을 양호하게 분리시킬 수 있다. 이에 대하여, 제1 액정층 함유층(20b)의 돌자 시험에 있어서의 변위량이 2.0 mm를 넘으면, 제1 액정층 함유층(20b)이 신장하기 쉽게 되기 때문에, 기재층 구비 광학 적층체로부터 기재층(11b)을 박리할 때에, 적층 영역(13ay)과 미적층 영역(13ax)의 사이라고 하는 의도한 위치에서 제1 액정층 함유층(20b)이 분리되지 않고, 분리 부분이 부정형의 이물로 되고, 분리 부분에 주름이 발생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기 쉽게 된다. 제1 액정층 함유층(20b)의 돌자 시험에 있어서의 변위량의 바람직한 범위는, 상기한 제1 액정층(13a)의 돌자 시험에 있어서의 변위량의 바람직한 범위와 같게 할 수 있다.
또한, 기재층(11b)과 제1 액정층 함유층(20b) 사이의 밀착력은 0.05 N/25 mm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밀착력으로서 더 채용할 수 있는 범위는, 상기한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범위와 마찬가지이며, 그 조정 방법에 관해서도 상기한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범위와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그 설명을 생략한다. 기재층(11b)과 제1 액정층 함유층(20b) 사이의 밀착력이 0.05 N/25 mm 미만이면, 기재층 구비 광학 적층체로부터 기재층(11b)을 박리할 때에, 적층 영역과 미적층 영역의 사이에서 제1 액정층 함유층(20b)이 양호하게 분리되기 어렵게 되어, 상기한 문제점이 발생하기 쉽게 된다. 기재층(11b)과 제1 액정층 함유층(20b) 사이의 밀착력의 바람직한 범위는, 상기한 기재층 함유층(10a)과 제1 액정층(13a) 사이의 밀착력의 바람직한 범위와 같게 할 수 있다.
(실시형태 1의 변형예 2)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적층체(1a) 및 적층체(1b)에서는 배향층을 포함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했지만, 적층체는 배향층을 포함하지 않는 것이라도 좋다.
[실시형태 2(접착층 구비 적층체)]
도 3은 본 실시형태의 접착층 구비 적층체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면에서 W는 폭 방향을 나타낸다. 본 실시형태의 접착층 구비 적층체(2a)는, 도 3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도 1에 도시하는 적층체(1a)와 접착층(30a)을 가지고, 접착층(30a)은 적층체(1a)의 제1 액정층(13a) 측에 마련된다. 접착층(30a)은 접착제나 점착제로 형성된 층이다. 적층체(1a)는 앞의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것이며, 접착층 구비 적층체(2a)는, 예컨대 적층체(1a) 상에 접착제나 점착제를 도포하거나 또는 점착제층을 전사하거나 함으로써 접착층(30a)을 형성하여 얻을 수 있다. 접착층 구비 적층체(2a)는, 접착층(30a)의 제1 액정층(13a)과는 반대 측의 표면을 피복하는 박리층을 갖고 있어도 좋다. 접착층 구비 적층체(2a)는 매엽체의 필름이라도 좋고, 장척의 필름이라도 좋다.
접착층(30a)은, 도 3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접착층 구비 적층체(2a)의 폭 방향 단면에 있어서, 제1 액정층(13a)보다도 폭 방향의 길이가 짧게 되어 있고, 접착층(30a)의 폭 방향 양단의 위치는, 제1 액정층(13a)의 폭 방향 양단의 위치보다도 폭 방향 내측에 있다. 또한 제1 액정층(13a)은, 접착층(30a)이 적층된 영역인 적층 영역(13ay)과, 접착층(30a)이 적층되어 있지 않은 영역인 미적층 영역(13ax)(도 4에서, 우측으로 올라가는 사선으로 나타내는 부분)을 갖는다. 도 3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접착층 구비 적층체(2a)의 폭 방향 단면에 있어서, 제1 액정층(13a)의 양단에 미적층 영역(13ax)을 마련함으로써, 접착층 구비 적층체(2a)나 적층체(1a) 또는 접착층 구비 적층체(2a)를 이용하여 얻어지는 후술하는 기재층 구비 광학 적층체(3a)(도 4)에 있어서 접착층을 비어져 나오기 어렵게 하여, 이것을 반송할 때에, 접착층에 의해 반송로가 오염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접착층 구비 적층체(2a)에 있어서의 접착층(30a)은, 제1 액정층(13a) 상에 마련되며, 제1 액정층(13a)에 적층 영역(13ay) 및 미적층 영역(13ax)을 형성할 수 있으면, 도 3에 도시하는 접착층 구비 적층체(2a)의 구조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예컨대 접착층(30a)의 폭 방향 한쪽의 단부가 제1 액정층(13a)의 폭 방향 한쪽의 단부와 동일한 위치에 있어도 좋다. 또한, 제1 액정층(13a)의 평면에서 봤을 때, 중앙부에 미적층 영역이 형성되고, 이 미적층 영역을 둘러싸는 적층 영역이 형성되도록 제1 액정층(13a) 상에 접착층(30a)을 마련하여도 좋다. 또한, 제1 액정층(13a)은 적층 영역(13ay) 및 미적층 영역(13ax)을 각각 하나 이상 갖고 있으면 되며, 각각 2 이상 갖고 있어도 좋고, 적층 영역(13ay)과 미적층 영역(13ax)의 수는 상호 동일하더라도 좋고 다르더라도 좋다.
접착층 구비 적층체(2a)는, 후술하는 것과 같이, 광학 기능층(60a)을 갖는 기재층 구비 광학 적층체(3a)(도 4)를 얻기 위해서 이용되지만, 이 기재층 구비 광학 적층체(3a)로부터 기재층 함유층(10a)을 박리함으로써, 광학 적층체(4a)(도 6)를 얻을 수 있다. 접착층 구비 적층체(2a)는, 수평 배향한 액정 화합물을 포함하며, 또한 돌자 시험에 있어서의 변위량이 2.0 mm 이하인 제1 액정층(13a)을 갖고 있기 때문에, 상기한 것과 같이, 기재층 구비 광학 적층체(3a)로부터 기재층 함유층(10a)을 박리할 때에, 제1 액정층(13a)의 적층 영역(13ay)과 미적층 영역(13ax)의 사이에서 제1 액정층(13a)을 양호하게 분리시킬 수 있다.
또한, 접착층 구비 적층체(2a)에 있어서, 기재층 함유층(10a)과 제1 액정층(13a) 사이의 밀착력이 0.05 N/25 mm 이상임으로써, 제1 액정층(13a)의 적층 영역(13ay)과 미적층 영역(13ax)의 사이에서, 제1 액정층(13a)을 양호하게 분리시킬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접착층 구비 적층체는 이하에 나타내는 변형예와 같이 변경되어도 좋다.
(실시형태 2의 변형예 1)
위에서, 도 1에 도시하는 적층체(1a)와 접착층(30a)을 갖는 접착층 구비 적층체(2a)를 예로 들어 설명했지만, 적층체는 도 2에 도시하는 적층체(1b)라도 좋다. 적층체(1b)를 이용한 접착층 구비 적층체는, 후술하는 광학 기능층을 갖는 기재층 구비 광학 적층체를 얻기 위해서 이용되며, 이 기재층 구비 광학 적층체로부터 기재층(11b)(기재층 함유층)이 박리됨으로써, 후술하는 광학 적층체(4b)(도 7)를 얻을 수 있다. 적층체(1b)를 이용한 접착층 구비 적층체에서는, 수평 배향한 액정 화합물을 포함하는 제1 액정층(13b)을 갖는 제1 액정층 함유층(20b)의 돌자 시험에 있어서의 변위량이 2.0 mm 이하임으로써, 기재층 구비 광학 적층체로부터 기재층(11b)을 박리할 때에, 제1 액정층 함유층(20b)의, 접착층이 마련된 영역인 적층 영역과, 접착층이 마련되어 있지 않은 영역인 미적층 영역의 사이에서, 제1 액정층 함유층(20b)을 양호하게 분리시킬 수 있다. 또한, 기재층(11b)과 제1 액정층 함유층(20b) 사이의 밀착력이 0.05 N/25 mm 이상임으로써, 기재층 구비 광학 적층체로부터 기재층(11b)을 박리할 때에, 적층 영역과 미적층 영역의 사이에서 제1 액정층 함유층(20b)을 양호하게 분리시키기 쉽게 된다.
(실시형태 2의 변형예 2)
위에서는 배향층을 포함하는 접착층 구비 적층체를 예로 들어 설명했지만, 접착층 구비 적층체는 배향층을 포함하지 않는 것이라도 좋다.
[실시형태 3(기재층 구비 광학 적층체)]
도 4는 본 실시형태의 기재층 구비 광학 적층체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면에서 W는 폭 방향을 나타낸다. 본 실시형태의 기재층 구비 광학 적층체(3a)는, 도 4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도 1에 도시하는 적층체(1a)와 접착층(30a)과 광학 기능층(60a)을 이 순서로 가지고, 접착층(30a)은 적층체(1a)의 제1 액정층(13a) 측에 마련된다. 기재층 구비 광학 적층체(3a)는, 접착층(30a)을 통해 적층체(1a)의 제1 액정층(13a)과 광학 기능층(60a)이 대향하는 구조를 갖고 있으면 되며, 적층체(1a)와 광학 기능층(60a)을 접착층(30a)를 통해 접합하여도 좋고, 도 3에 도시하는 접착층 구비 적층체(2a)의 접착층(30a) 상에 광학 기능층(60a)을 마련하여도 좋다. 기재층 구비 광학 적층체(3a)에 포함되는 기재층(11a), 배향층(12a), 제1 액정층(13a) 및 접착층(30a)의 설명에 관해서는 앞의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것과 같다. 광학 기능층(60a)은, 예컨대 편광층을 포함하고 있어도 좋으며, 중합성 액정 화합물을 중합시켜 형성된 액정층인 제2 액정층을 포함하고 있어도 좋고, 편광층 및 제2 액정층을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기재층 구비 광학 적층체(3a)는 매엽체의 필름이라도 좋고, 장척의 필름이라도 좋다.
광학 기능층(60a)은, 도 4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기재층 구비 광학 적층체(3a)의 폭 방향 단면에 있어서, 접착층(30a)보다도 폭 방향의 길이가 길게 되어 있고, 광학 기능층(60a)의 폭 방향 양단의 위치는, 접착층(30a)의 폭 방향 양단의 위치보다도 폭 방향 외측에 있다. 광학 기능층(60a)의 폭 방향의 길이 및 폭 방향 양단의 위치는 도 4에 도시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지만, 상기한 관계에 있음으로써, 기재층 구비 광학 적층체(3a)를 반송할 때에, 접착층이 비어져 나와 반송로가 오염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광학 기능층(60a)과 적층체(1a)의 각 층과의 폭 방향의 길이 및 폭 방향 양단의 위치의 관계에는 특별히 제한은 없고, 광학 기능층(60a)의 폭 방향의 길이는, 적층체(1a)를 이루는 모든 층보다도 길더라도 짧더라도 좋으며, 적층체(1a)를 이루는 어느 층과도 다르더라도 좋고, 어느 한 층과 동일하여도 좋다.
또한, 광학 기능층(60a)의 폭 방향 양단의 위치는, 적층체(1a)를 이루는 모든 층보다도 폭 방향 외측이라도 내측이라도 좋으며, 적층체(1a)를 이루는 어느 한 층과 동일하여도 좋다.
후술하는 것과 같이, 기재층 구비 광학 적층체(3a)로부터 기재층 함유층(10a)을 박리함으로써 광학 적층체(4a)(도 6)를 얻을 수 있다. 기재층 구비 광학 적층체(3a)는, 수평 배향한 액정 화합물을 포함하며, 또한 돌자 시험에 있어서의 변위량이 2.0 mm 이하인 제1 액정층(13a)을 갖고 있기 때문에, 상기한 것과 같이, 기재층 구비 광학 적층체(3a)로부터 기재층 함유층(10a)을 박리할 때에, 제1 액정층(13a)의 적층 영역(13ay)과 미적층 영역(13ax)의 사이에서, 제1 액정층(13a)을 양호하게 분리시킬 수 있다.
또한, 기재층 구비 광학 적층체(3a)에 있어서, 기재층 함유층(10a)과 제1 액정층(13a) 사이의 밀착력이 0.05 N/25 mm 이상임으로써, 제1 액정층(13a)의 적층 영역(13ay)과 미적층 영역(13ax)의 사이에서, 제1 액정층(13a)을 양호하게 분리시킬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기재층 구비 광학 적층체는 이하에 나타내는 변형예와 같이 변경되어도 좋다.
(실시형태 3의 변형예 1)
위에서는, 도 1에 도시하는 적층체(1a)와 접착층(30a)과 광학 기능층(60a)을 갖는 기재층 구비 광학 적층체(3a)를 예로 들어 설명했지만, 적층체는 도 2에 도시하는 적층체(1b)라도 좋다. 적층체(1b)를 이용한 기재층 구비 광학 적층체로부터 기재층(11b)(기재층 함유층)을 박리함으로써, 후술하는 광학 적층체(4b)(도 7)를 얻을 수 있다. 적층체(1b)를 이용한 기재층 구비 광학 적층체에서는, 수평 배향한 액정 화합물을 포함하는 제1 액정층(13b)을 갖는 제1 액정층 함유층(20b)의 돌자 시험에 있어서의 변위량이 2.0 mm 이하임으로써, 기재층 구비 광학 적층체로부터 기재층(11b)을 박리할 때에, 제1 액정층 함유층(20b)의, 접착층이 적층된 영역인 적층 영역과, 접착층이 적층되어 있지 않은 영역인 미적층 영역의 사이에서, 제1 액정층 함유층(20b)을 양호하게 분리시킬 수 있다.
또한, 기재층(11b)과 제1 액정층 함유층(20b) 사이의 밀착력이 0.05 N/25 mm 이상임으로써, 기재층 구비 광학 적층체로부터 기재층(11b)을 박리할 때에, 적층 영역과 미적층 영역의 사이에서 제1 액정층 함유층(20b)을 양호하게 분리시키기 쉽게 된다.
(실시형태 3의 변형예 2)
위에서는 배향층을 포함하는 접착층 구비 적층체를 예로 들어 설명했지만, 기재층 구비 광학 적층체는 배향층을 포함하지 않는 것이라도 좋다.
(실시형태 3의 변형예 3)
위에서는, 광학 기능층(60a)을 이용한 기재층 구비 광학 적층체(3a)(도 4)를 예로 들어 설명했지만, 광학 기능층(60a)은 예컨대 도 1에 도시하는 적층체(1a)라도 좋다. 도 5는 본 실시형태의 기재층 구비 광학 적층체의 다른 예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5에 도시하는 기재층 구비 광학 적층체(3c)는, 적층체(1a), 접착층(30c) 및 광학 기능층(60c)을 이 순서로 포함한다. 적층체(1a)의 설명에 관해서는 앞의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것과 같다.
또한, 접착층 (30d)는 접착층 (30a)와 마찬가지이며, 광학 기능층(60c)은 도 1에 도시하는 적층체(1a)와 동일한 층 구조를 갖는 것이기 때문에, 그 설명을 생략한다.
기재층 구비 광학 적층체(3c)에서는, 광학 기능층(60c)의 제1 액정층(13a)(제2 액정층) 측에 접착층(30c)이 마련되어 있다. 또한, 기재층 구비 광학 적층체(3c)로부터 적층체(1a)를 이루는 기재층 함유층(10a)을 박리함으로써 광학 적층체를 얻을 수 있다.
기재층 구비 광학 적층체(3c)에서는, 광학 기능층(60c)으로서 도 1에 도시하는 적층체(1a)를 이용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했지만, 광학 기능층으로서 도 2에 도시하는 적층체(1b)를 이용하여도 좋다. 또한, 광학 기능층을 이루는 적층체의 제1 액정층이나 액정층 함유층은, 돌자 시험에 있어서의 변위량이 2.0 mm 이하라도 좋고, 2.0 mm를 넘어도 좋다.
[실시형태 4(광학 적층체 및 그 제조 방법)]
도 6은 본 실시형태의 광학 적층체의 제조 공정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면에서 W는 폭 방향을 나타낸다. 본 실시형태의 광학 적층체(4a)는, 도 6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제1' 액정층(13'a)(제1' 액정층 함유층)과 접착층(30a)과 광학 기능층(60a)을 이 순서로 포함한다. 제1' 액정층(13'a)은 그 면에 대하여 수평 방향으로 배향하고 있는 액정 화합물을 포함한다. 광학 적층체(4a)에 포함되는 접착층(30a) 및 광학 기능층(60a)의 설명에 관해서는 앞의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것과 같다. 광학 적층체(4a)는 매엽체의 필름이라도 좋고, 장척의 필름이라도 좋다.
광학 적층체(4a)의 폭 방향 단면에 있어서, 제1' 액정층(13'a)과 접착층(30)은, 도 6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폭 방향의 길이가 동일하고, 폭 방향 양단의 위치도 동일하게 할 수 있다.
이러한 광학 적층체(4a)는, 예컨대 도 4에 도시하는 기재층 구비 광학 적층체(3a)로부터 기재층 함유층(10a)을 박리하는 공정을 거쳐 얻을 수 있다. 기재층 구비 광학 적층체(3a)로부터 기재층 함유층(10a)을 박리하면, 도 6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미적층 영역(13ax)이 기재층 함유층(10a) 상에 존재하고, 적층 영역(13ay)이 접착층(30a) 상에 존재하도록 제1 액정층(13a)을 분리할 수 있어, 접착층(30a) 상에 존재하는 적층 영역(13ay)이 제1' 액정층(13'a)으로 된다. 이러한 제1 액정층(13a)의 분리는, 기재층 구비 광학 적층체(3a)에 있어서의 제1 액정층(13a)이, 접착층(30a)이 마련되어 있지 않은 미적층 영역(13ax)(도 4에서 우측으로 올라가는 사선으로 나타내는 부분)과, 접착층(30a)이 마련되어 있는 적층 영역(13ay)을 갖기 때문에 생긴다. 구체적으로는, 적층 영역(13ay)은 접착층(30)이 마련된 영역이기 때문에, 기재층 함유층(10a)을 박리하더라도, 접착층(30a)에 고정되어 기재층 함유층(10a)과 함께 박리되기 어렵게 되었다. 이에 대하여, 미적층 영역(13ax)은 접착층(30a)이 마련되어 있지 않은 영역이기 때문에, 기재층 함유층(10a)을 박리하면, 기재층 함유층(10a)과 함께 박리되기 쉽게 되었다. 그 결과, 기재층 구비 광학 적층체(3a)로부터 기재층 함유층(10a)을 박리하면, 제1 액정층(13a)은 미적층 영역(13ax)과 적층 영역(13ay)으로 분리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한 것과 같이, 기재층 구비 광학 적층체(3a)에 있어서의 제1 액정층(13a)은, 수평 배향한 액정 화합물을 포함하며, 또한 돌자 시험에 있어서의 변위량이 2.0 mm 이하이다. 그 때문에, 기재층 구비 광학 적층체(3a)로부터 기재층 함유층(10a)을 박리함으로써, 미적층 영역(13ax)과 적층 영역(13ay)을 양호하게 분리할 수 있어, 적층 영역(13ay)과 미적층 영역(13ax)의 사이라고 하는 의도한 위치에서 제1 액정층(13a)이 분리되지 않으며, 분리되지 않고 분리 부분이 부정형으로 되고, 분리 부분에 주름이 발생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돌자 시험에 있어서의 변위량이 상기한 범위에 있음으로써, 도 6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제1' 액정층(13'a)의 폭 방향 양단의 위치와 접착층(30)의 폭 방향 양단의 위치가 동일한 광학 적층체(4a)를 얻기 쉽게 된다.
광학 적층체(4a)의 제1' 액정층(13'a)은, 돌자 시험에 있어서의 변위량이, 앞의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제1 액정층(13a)과 마찬가지로 2.0 mm 이하이며, 1.5 m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2 mm 이하라도 좋고, 1.1 mm 이하라도 좋고, 또한 0(제로) mm 이상이면 되지만, 통상은 0.1 mm 이상이며, 0.3 mm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0.5 mm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한 것과 같이, 기재층 구비 광학 적층체(3a)로부터 광학 적층체(4a)를 얻는 경우, 제1' 액정층(13'a)은, 앞의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제1 액정층(13a)에 유래하는 층으로 되기 때문에, 제1 액정층(13a)과 동일한 특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광학 적층체(4a)는 앞의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광학 기능층으로서 이용할 수도 있다. 광학 적층체(4a)를 광학 기능층으로서 이용한 기재층 구비 광학 적층체는, 접착층을 통해, 적층체의 액정층 함유층과 광학 적층체(4a)의 제1' 액정층(13'a)(제2 액정층)이 대향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이 기재층 구비 광학 적층체로부터 기재층 함유층을 박리함으로써 광학 적층체를 얻을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광학 적층체 및 그 제조 방법은 이하에 나타내는 변형예와 같이 변경되어도 좋다.
(실시형태 4의 변형예 1)
위에서는, 제1' 액정층(13'a), 접착층(30a) 및 광학 기능층(60a)을 이 순서로 포함하는 광학 적층체(4a)를 예로 들어 설명했지만, 광학 적층체는 추가로 배향층을 갖고 있어도 좋으며, 예컨대 도 7에 도시하는 광학 적층체라도 좋다. 도 7은 본 실시형태의 광학 적층체의 다른 예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개략 단면도이다. 광학 적층체(4b)는, 도 7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배향층(12'b) 및 제1' 액정층(13'b)을 포함하는 제1' 액정층 함유층(20'b)과 접착층(30a)과 광학 기능층(60a)을 이 순서로 포함한다. 접착층(30a)은 제1' 액정층 함유층(20'b)의 제1' 액정층(13'b) 측에 마련된다.
광학 적층체(4b)의 폭 방향 단면에 있어서, 제1' 액정층 함유층(20'b)(배향층(12'b) 및 제1' 액정층(13'b))과 접착층(30a)은, 도 7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폭 방향의 길이가 동일하고, 폭 방향 양단의 위치도 동일하게 할 수 있다. 이러한 광학 적층체(4b)는, 예컨대 적층체(1b)(도 2)를 포함하는 기재층 구비 광학 적층체로부터 기재층(11b)(기재층 함유층)을 박리하여 얻을 수 있다. 적층체(1b)를 포함하는 기재층 구비 광학 적층체로부터 기재층(11b)을 박리하면, 도 6에 도시하는 기재층 구비 광학 적층체(3a)로부터 광학 적층체(4a)를 얻는 경우와 같은 원리에 의해, 도 7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제1 액정층 함유층(20b)(도 2)이, 접착층(30a)이 적층되어 있지 않은 영역인 미적층 영역(도 7에서 우측으로 올라가는 사선으로 나타내는 부분)과, 접착층(30a)이 적층되어 있는 영역인 적층 영역으로 분리한다. 도 2에 도시하는 적층체(1b)에서는, 수평 배향한 액정 화합물을 포함하는 제1 액정층(13b)을 갖는 제1 액정층 함유층(20b)의 돌자 시험에 있어서의 변위량이 2.0 mm 이하이다. 그 때문에, 적층체(1b)를 포함하는 기재층 구비 광학 적층체로부터 기재층(11b)을 박리하면, 제1 액정층 함유층(20b)을 미적층 영역과 적층 영역을 양호하게 분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한 적층 영역이, 도 7에 도시하는 제1' 액정층 함유층(20'b)으로 되고, 제1' 액정층 함유층(20'b)의 폭 방향 양단의 위치가 접착층(30a)의 폭 방향 양단의 위치와 동일한 광학 적층체(4b)를 얻을 수 있다.
광학 적층체(4b)의 제1' 액정층 함유층(20'b)은, 돌자 시험에 있어서의 변위량이, 앞의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제1 액정층 함유층(20b)과 마찬가지로 2.0 mm 이하이며, 1.5 m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2 mm 이하라도 좋고, 1.1 mm 이하이라도 좋으며, 또한 0(제로) mm 이상이면 되지만, 통상은 0.1 mm 이상이고, 0.3 mm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0.5 mm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한 것과 같이, 적층체(1b)를 포함하는 기재층 구비 광학 적층체로부터 광학 적층체(4b)를 얻는 경우, 제1' 액정층 함유층(20'b), 제1' 액정층 함유층(20'b)에 포함되는 배향층(12'b) 및 제1' 액정층(13'b)은, 앞의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제1 액정층 함유층(20b)에 유래하는 층으로 되기 때문에, 제1 액정층 함유층(20b), 배향층(12b) 및 제1 액정층(13b)과 각각 동일한 특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광학 적층체(4b)는 앞의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광학 기능층으로서 이용할 수도 있다. 광학 적층체(4b)를 광학 기능층으로서 이용한 기재층 구비 광학 적층체는, 접착층을 통해 적층체의 액정층 함유층과 광학 적층체(4b)의 배향층(12'b)이 대향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이 기재층 구비 광학 적층체로부터 기재층 함유층을 박리함으로써 광학 적층체를 얻을 수 있다.
(실시형태 4의 변형예 2)
위에서는, 도 4에 도시하는 기재층 구비 광학 적층체(3a)로부터 기재층 함유층(10a)을 박리하여 광학 적층체(4a)(도 6)를 얻는 경우에 관해서 설명했지만, 도 5에 도시하는 기재층 구비 광학 적층체(3c)로부터 기재층 함유층(10a)을 박리하여 광학 적층체를 얻더라도 좋다.
또한, 도 5에 도시하는 기재층 구비 광학 적층체(3c)로부터 기재층 함유층(10a)을 박리하여 얻어지는 광학 적층체는, 앞의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적층체로서 이용할 수도 있다. 이 경우, 기재층 함유층(10a)을 박리한 측에 접착층을 마련하고, 이 접착층 상에 광학 기능층을 적층함으로써 기재층 구비 광학 적층체를 얻을 수 있다. 이 기재층 구비 광학 적층체로부터 기재층 함유층(10a)을 박리함으로써 광학 적층체를 얻을 수도 있다. 또한, 이 경우, 앞의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광학 기능층(60c)에 포함되는 제1 액정층(13a)의 돌자 시험에 있어서의 변위량은 2.0 mm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광학 기능층(60c)에 포함되는 기재층 함유층(10a)과 제1 액정층(13a) 사이의 밀착력도 0.05 N/25 mm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광학 기능층(60c)에 포함되는 기재층(11a)을 박리함으로써, 광학 기능층(60c)에 포함되는 제1 액정층(13a)을 적층 영역과 미적층 영역으로 양호하게 분리할 수 있다.
또한, 도 5에 도시하는 기재층 구비 광학 적층체(3c)로부터 기재층 함유층(10a)을 박리하여 얻어지는 광학 적층체는, 앞의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광학 기능층으로서 이용할 수도 있다.
(실시형태 4의 변형예 3)
위에서는, 미적층 영역(13ax)이 폭 방향 양단에 있는 기재층 구비 광학 적층체(3a)로부터 기재층 함유층(10a)을 박리하여 광학 적층체(4a)를 제조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기재층 구비 광학 적층체의 평면에서 봤을 때, 제1 액정층의 중앙부에 미적층 영역을 가지고, 미적층 영역을 둘러싸도록 적층 영역을 갖는 경우에도, 기재층 구비 광학 적층체로부터 제1 박리층을 박리함으로써, 미적층 영역과 적층 영역의 사이에서 제1 액정층을 양호하게 분리시킬 수 있다. 이 경우, 광학 적층체에서는, 그 평면에서 봤을 때의 제1' 액정층의 윤곽의 위치와 접착층의 윤곽의 위치를 일치시킨 것으로 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형태 및 그 변형예에 관해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형태 및 그 변형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컨대 상기한 각 실시형태 및 그 변형예의 각 구조 및 각 공정을 조합하여 실시할 수도 있다. 이하, 모든 실시형태 및 그 변형예에 있어서 공통되는 각 사항에 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광학 기능층)
광학 기능층은, 특별히 그 구성에 제약은 없지만, 편광층, 편광층의 적어도 한 면에 보호층이 형성된 편광판, 편광판의 적어도 한 면에 프로텍트 필름이 적층된 프로텍트 필름 구비 편광판, 반사 필름, 반투과형 반사 필름, 휘도 향상 필름, 광학 보상 필름, 방현 기능 구비 필름, 위상차 필름 등일 수 있고, 이들 중의 하나를 갖는 것이라도 좋으며, 2개 이상을 갖는 다층 구조를 갖고 있어도 좋다. 또한, 광학 기능층은 제2 액정층을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본 명세서에서 「편광층」이란, 무편광의 광을 입사시켰을 때, 흡수축에 직교하는 진동면을 갖는 직선편광을 투과시키는 성질을 갖는 층을 말한다.
광학 기능층에 포함되어 있어도 좋은 편광층으로서는, 단층의 폴리비닐알코올 수지 필름에 2색성 색소가 흡착 배향한 것이라도 좋고, 기재 필름 상에 2색성 색소가 흡착 배향한 폴리비닐알코올 수지층을 마련한 2층 이상의 적층 필름이라도 좋다. 또한 편광층은, 중합성 액정 화합물에 2색성 색소를 배향시켜, 중합성 액정 화합물을 중합시킨 경화막이라도 좋다. 이 경우, 편광층은 제2 액정층일 수도 있다.
광학 기능층에 포함되어 있어도 좋은 제2 액정층은, 중합성 액정 화합물이 중합하여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제2 액정층은, 제2 액정층용 기재층, 또는 이 위에 마련된 제2 액정층용 배향층 상에, 중합성 액정 화합물을 포함하는 액정층 형성용 조성물을 도포하여 건조하고, 자외선 등의 활성 에너지선 조사에 의해 중합성 액정 화합물을 중합하여 경화시켜 형성할 수 있다.
(기재층)
기재층은 특별히 그 구성에 제약은 없지만, 수지 재료로 형성된 필름인 것이 바람직하다. 수지 재료로서는, 예컨대 투명성, 기계적 강도, 열안정성, 연신성 등이 우수한 수지 재료가 이용된다. 구체적으로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노르보르넨계 폴리머 등의 환상 폴리올레핀계 수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메트)아크릴산, 폴리(메트)아크릴산메틸 등의 (메트)아크릴산계 수지;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디아세틸셀룰로오스 및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프로피오네이트 등의 셀룰로오스에스테르계 수지; 폴리비닐알코올 및 폴리아세트산비닐 등의 비닐알코올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폴리스티렌계 수지; 폴리아릴레이트계 수지; 폴리술폰계 수지; 폴리에테르술폰계 수지; 폴리아미드계 수지; 폴리이미드계 수지; 폴리에테르케톤계 수지; 폴리페닐렌술피드계 수지; 폴리페닐렌옥시드계 수지 및 이들의 혼합물, 공중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수지 중, 환상 폴리올레핀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셀룰로오스에스테르계 수지 및 (메트)아크릴산계 수지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메트)아크릴산」이란 「아크릴산 및 메타크릴산의 적어도 1종」을 의미한다.
기재층은, 수지를 1 종류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한 단층이라도 좋고, 2층 이상의 다층 구조를 갖고 있어도 좋다. 다층 구조를 갖는 경우, 각 층을 이루는 수지는 상호 동일하더라도 좋고 다르더라도 좋다. 기재층이 수지 재료로 형성된 필름인 경우, 기재층에는 임의의 첨가제가 첨가되어 있어도 좋다. 첨가제로서는, 예컨대 자외선흡수제, 산화방지제, 윤활제, 가소제, 이형제, 착색방지제, 난연제, 핵제, 대전방지제, 안료 및 착색제 등을 들 수 있다.
기재층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일반적으로는 강도나 취급성 등의 작업성의 점에서 1∼300 ㎛인 것이 바람직하고, 10∼200 ㎛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30∼120 ㎛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배향층)
적층체는 기재층과 제1 액정층의 사이에 배향층을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배향층은, 그 위에 형성되는 액정층에 포함되는 중합성 액정 화합물을 원하는 방향으로 배향시키는 배향 규제력을 갖는다. 배향층으로서는, 중합성 액정 조성물의 도포등에 의해 용해되지 않는 용매 내성을 가지고, 또한 용매의 제거나 후술하는 중합성 액정 화합물의 배향을 위한 가열 처리에 있어서의 내열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배향층으로서는, 배향성 폴리머로 형성된 배향성 폴리머층, 광배향 폴리머로 형성된 광배향성 폴리머층, 층 표면에 요철 패턴이나 복수의 그루브(홈)을 갖는 그루브 배향층을 들 수 있다. 배향 규제력 제어의 용이성이라는 관점에서, 배향층으로서는 광배향성 폴리머층이 바람직하다. 배향층의 두께는 0.01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0.05 ㎛ 이상이라도 좋고, 또한 통상 10 ㎛ 이하이며, 3 ㎛ 이하라도 좋고, 0.5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배향성 폴리머층은, 배향성 폴리머를 용제에 용해한 조성물을 기재층에 도포하여 용제를 제거하고, 필요에 따라서 러빙 처리를 하여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배향 규제력은, 배향성 폴리머로 형성된 배향성 폴리머층에서는, 배향성 폴리머의 표면 상태나 러빙 조건에 의해서 임의로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배향성 폴리머에 가교제 등을 첨가함으로써 막 강도를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광배향성 폴리머층은, 광반응성의 기를 갖는 폴리머 또는 모노머와 용제를 포함하는 광배향막 형성용 조성물을 기재층에 도포하고, 편광을 조사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배향 규제력은, 광배향성 폴리머층에서는, 광배향성 폴리머에 대한 편광 조사 조건 등에 의해서 임의로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배향성 폴리머에 가교제 등을 첨가함으로써 막 강도를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광반응성의 기란, 빛을 조사함으로써 액정 배향능을 생기게 하는 기를 말한다. 구체적으로는, 빛 조사에 의해 생기는 분자의 배향 유기 또는 이성화(異性化) 반응, 이량화 반응, 광가교 반응 혹은 광분해 반응 등의 액정 배향능의 기원이 되는 광반응에 관여하는 기를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이량화 반응 또는 광가교 반응에 관여하는 기가 배향성, 막 강도가 우수하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광반응성의 기로서, 불포화 결합, 특히 이중 결합을 갖는 기가 바람직하고, 탄소-탄소 이중 결합(C=C 결합), 탄소-질소 이중 결합(C=N 결합), 질소-질소 이중 결합(N=N 결합) 및 탄소-산소 이중 결합(C=O 결합)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갖는 기가 특히 바람직하다.
C=C 결합을 갖는 광반응성의 기로서는, 비닐기, 폴리엔기, 스틸벤기, 스틸바졸기, 스틸바졸륨기, 칼콘기 및 신나모일기 등을 들 수 있다.
C=N 결합을 갖는 광반응성의 기로서는, 방향족 시프 염기, 방향족 히드라존 등의 구조를 갖는 기를 들 수 있다. N=N 결합을 갖는 광반응성의 기로서는, 아조벤젠기, 아조나프탈렌기, 방향족 복소환 아조기, 비스아조기, 포르마잔기 및 아족시벤젠 구조를 갖는 기 등을 들 수 있다. C=O 결합을 갖는 광반응성의 기로서는, 벤조페논기, 쿠마린기, 안트라퀴논기 및 말레이미드기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기는, 알킬기, 알콕시기, 아릴기, 알릴옥시기, 시아노기, 알콕시카르보닐기, 히드록실기, 술폰산기, 할로겐화알킬기 등의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좋다.
그 중에서도, 광이량화 반응에 관여하는 광반응성의 기가 바람직하고, 광배향에 필요한 편광 조사량이 비교적 적으며 또한 열안정성이나 경시안정성이 우수한 광배향막을 얻기 쉽다고 하는 점에서, 신나모일기 및 칼콘기가 바람직하다. 광반응성의 기를 갖는 폴리머로서는, 상기 폴리머 측쇄의 말단부가 계피산 구조로 되는 신나모일기를 갖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광배향막 형성용 조성물을 기재층 상에 도포함으로써 기재층 상에 광배향 유기층을 형성할 수 있다. 이 조성물에 포함되는 용매로서는, 중합성 액정 조성물에 이용할 수 있는 용매로서 후술하는 용매와 같은 것을 들 수 있으며, 광반응성의 기를 갖는 폴리머 혹은 모노머의 용해성에 따라서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다.
광배향막 형성용 조성물 중의 광반응성의 기를 갖는 폴리머 또는 모노머의 함유량은, 폴리머 또는 모노머의 종류나 목적으로 하는 광배향성 폴리머층의 두께에 따라서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지만, 광배향막 형성용 조성물의 질량에 대하여, 적어도 0.2 질량%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0.3∼10 질량%의 범위가 보다 바람직하다. 광배향막의 특성을 현저히 해치지 않는 범위에서, 광배향막 형성용 조성물은, 폴리비닐알코올이나 폴리이미드 등의 고분자 재료나 광증감제를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광배향막 형성용 조성물을 기재층에 도포하는 방법으로서는, 스핀코팅법, 익스트루전법, 그라비아코팅법, 다이코팅법, 바코팅법, 애플리케이터법 등의 도포법, 플렉소법 등의 인쇄법 등의 공지된 방법을 들 수 있다. 도포된 광배향막 형성용 조성물로부터 용매를 제거하는 방법으로서는, 예컨대 자연 건조법, 통풍 건조법, 가열 건조 및 감압 건조법 등을 들 수 있다.
편광을 조사하기 위해서는, 기재층 상에 도포된 광배향막 형성용 조성물로부터 용매를 제거한 것에 직접 편광 UV를 조사하는 형식이라도, 기재층 측에서 편광을 조사하고, 편광을 투과시켜 조사하는 형식이라도 좋다. 또한, 이 편광은 실질적으로 평행광이면 특히 바람직하다.
조사하는 편광의 파장은, 광반응성의 기를 갖는 폴리머 또는 모노머의 광반응성의 기가 빛에너지를 흡수할 수 있는 파장 영역인 것이 좋다. 구체적으로는 파장 250∼400 nm 범위의 UV(자외선)가 특히 바람직하다. 이 편광 조사에 이용하는 광원으로서는, 크세논 램프, 고압수은 램프, 초고압수은 램프, 메탈할라이드 램프, KrF, ArF 등의 자외광 레이저 등을 들 수 있고, 고압수은 램프, 초고압수은 램프 및 메탈할라이드 램프가 보다 바람직하다. 이들 중에서도 고압수은 램프, 초고압수은 램프 및 메탈할라이드 램프가 파장 313 nm의 자외선의 발광 강도가 크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상기 광원으로부터의 빛을 적당한 편광자를 통과하여 조사함으로써 편광 UV를 조사할 수 있다. 이러한 편광자로서는, 편광 필터나 글랜 톰슨, 글랜 테일러 등의 편광 프리즘이나 와이어 그리드 타입의 편광자를 이용할 수 있다.
그루브 배향층은, 예컨대 감광성 폴리이미드막 표면에 패턴 형상의 슬릿을 갖는 노광용 마스크를 통해 노광, 현상 등을 행하여 요철 패턴을 형성하는 방법, 표면에 홈을 갖는 판형의 원반에,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의 미경화층을 형성하고, 이 층을 기재층에 전사하여 경화하는 방법, 기재층에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의 미경화층을 형성하고, 이 층에, 요철을 갖는 롤 형상의 원반을 꽉 누르거나 하여 요철을 형성하여 경화시키는 방법 등에 의해서 형성할 수 있다.
(제1 액정층 및 제2 액정층)
제1 액정층 및 제2 액정층(이하, 양자를 통합하여 「액정층」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은, 공지된 중합성 액정 화합물 등의 액정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중합성 액정 화합물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막대형 액정 화합물, 원반형 액정 화합물 및 이들의 혼합물을 이용할 수 있다. 중합성 액정 화합물은, 적어도 하나의 중합 반응에 관여할 수 있는 중합성 반응기, 특히 광중합성 반응기를 갖는다. 광중합성 반응기란, 광중합개시제로부터 발생한 반응 활성종, 예컨대 활성 라디칼이나 산 등에 의해서 중합 반응에 관여할 수 있는 기를 말한다. 광중합성 작용기로서는, 비닐기, 비닐옥시기, 1-클로로비닐기, 이소프로페닐기, 4-비닐페닐기, 아크릴로일옥시기, 메타크릴로일옥시기, 옥시라닐기, 옥세타닐기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아크릴로일옥시기, 메타크릴로일옥시기, 비닐옥시기, 옥시라닐기 및 옥세타닐기가 바람직하고, 아크릴로일옥시기가 보다 바람직하다. 중합성 액정 화합물의 액정성은, 액정성이 서모트로픽성 액정이라도 리오트로픽성 액정이라도 좋으며, 상 질서 구조로서는 네마틱 액정이라도 스멕틱 액정이라도 좋다. 중합성 액정 화합물은, 1종만을 이용하여도 좋고,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이용하여도 좋다.
중합성 액정 화합물로서는, 예컨대 일본 특허공표 평11-513019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2010-31223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2010-270108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2011-6360호 공보 및 일본 특허공개 2011-207765호 공보에 기재된 것과 같은 액정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중합성 액정 화합물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중합성 액정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중합성 액정 화합물에 더하여, 용매, 중합개시제, 가교제, 레벨링제, 산화방지제, 가소제, 증감제 등의 첨가제를 더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이들 성분은 각각 1종만을 이용하여도 좋고,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이용하여도 좋다.
중합성 액정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이 함유하고 있어도 좋은 용제로서는, 상기 중합성 액정 화합물을 용해할 수 있는 용제이며, 또한 상기 중합성 액정 화합물의 중합 반응에 불활성인 용제가 바람직하다.
용제로서는, 메탄올, 에탄올, 에틸렌글리콜, 이소프로필알코올, 프로필렌글리콜, 메틸셀로솔브, 부틸셀로솔브,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페놀 등의 알코올 용제; 아세트산에틸, 아세트산부틸 등의 에스테르 용제; 아세톤, 메틸에틸케톤, 시클로펜타논, 시클로헥사논, 시클로헵타논, 메틸아밀케톤, 메틸이소부틸케톤, N-메틸-2-피롤리디논 등의 케톤 용제; 펜탄, 헥산, 헵탄 등의 비염소화 지방족 탄화수소 용제; 톨루엔, 크실렌 등의 비염소화 방향족 탄화수소 용제; 아세토니트릴 등의 니트릴 용제;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테트라히드로푸란, 디메톡시에탄 등의 에테르 용제; 클로로포름, 클로로벤젠 등의 염소화탄화수소 용제 등을 들 수 있다. 용제는 단독으로 사용하여도 좋고, 조합하여 사용하여도 좋다.
중합성 액정 조성물에 있어서의 용제의 함유량은, 통상 고형분 100 질량부에 대하여 10 질량부∼10000 질량부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0 질량부∼5000 질량부이다. 여기서 고형분이란, 중합성 액정 조성물에 있어서의 용제 이외의 성분의 합계를 의미한다.
중합성 액정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이 함유하고 있어도 좋은 중합개시제는, 중합성 액정 화합물의 중합 반응을 시작할 수 있는 화합물이며, 보다 저온 조건 하에서 중합 반응을 시작할 수 있다는 점에서, 광중합성 개시제가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빛의 작용에 의해 활성 라디칼 또는 산을 발생할 수 있는 광중합개시제를 들 수 있고, 그 중에서도 빛의 작용에 의해 라디칼을 발생하는 광중합개시제가 바람직하다. 광라디칼 중합개시제로서는, 예컨대 벤조인 화합물, 벤조페논 화합물, 벤질케탈 화합물, α-히드록시케톤 화합물, α-아미노케톤 화합물, 옥심 화합물, 트리아진 화합물, 요오드늄염 및 술포늄염을 들 수 있다. 광라디칼 중합개시제로서, 1종만을 이용하여도 좋고,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이용하여도 좋다.
광라디칼 중합개시제로서 시판 제품을 이용하여도 좋다. 그와 같은 시판 제품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이르가큐어(Irgacure, 등록상표) 907, 이르가큐어 184, 이르가큐어 651, 이르가큐어 819, 이르가큐어 250, 이르가큐어 369, 이르가큐어 379, 이르가큐어 127, 이르가큐어 2959, 이르가큐어 754, 이르가큐어 379EG(이상, BASF재팬가부시키가이샤 제조), 세이크올 BZ, 세이크올 Z, 세이크올 BEE(이상, 세이코카가쿠가부시키가이샤 제조), 카야큐어(kayacure) BP100(닛폰가야쿠가부시키가이샤 제조), 카야큐어 UVI-6992(다우사 제조), 아데카옵토마 SP-152, 아데카옵토마 SP-170, 아데카옵토마 N-1717, 아데카옵토마 N-1919, 아데카아클즈 NCI-831, 아데카아클즈 NCI-930(이상, 가부시키가이샤 ADEKA 제조), TAZ-A, TAZ-PP(이상, 닛폰시이베르헤그나사 제조) 및 TAZ-104(산와케미컬사 제조)를 들 수 있다.
중합개시제의 함유량은, 중합성 액정 화합물의 총량 100 중량부에 대하여 통상 0.1∼30 질량부이며, 바람직하게는 1∼20 질량부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15질량부이다. 이 범위 내이면, 중합성 기의 반응이 충분히 진행되고, 또한 액정 화합물의 배향 상태를 안정화시키기 쉽다.
중합성 액정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이 함유하고 있어도 좋은 가교제는, 분자 내에 1개 이상의 광, 열반응성의 기를 갖는 화합물이다. 가교제를 이용함으로써, 액정층의 가교 밀도가 변화되어, 막 강도를 조정하기 쉽게 된다. 가교제로서는 다관능 아크릴레이트 화합물, 에폭시 화합물, 옥세탄 화합물, 메틸올 화합물,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도공막의 균일성 및 막 강도 조정의 관점에서, 다관능 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가교제는, 분자 내에 2개 이상 8개 이하의 반응성의 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개 이상 6개 이하의 중합성의 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관능 아크릴레이트로서는 시판 제품을 이용하여도 좋다. 그와 같은 시판 제품으로서, 구체적으로는 A-DOD-N, A-HD-N, A-NOD-N, APG-100, APG-200, APG-400, A-GLY-9E, A-GLY-20E, A-TMM-3, A-TMPT, AD-TMP, ATM-35E, A-TMMT, A-9550, A-DPH, HD-N, NOD-N, NPG, TMPT(신나카무라카가쿠가부시키가이샤 제조), "ARONIX M-220", 동 "M-325", 동 "M-240", 동 "M-270" 동 "M-309" 동 "M-310", 동 "M-321", 동 "M-350", 동 "M-360", 동 "M-305", 동 "M-306", 동 "M-450", 동 "M-451", 동 "M-408", 동 "M-400", 동 "M-402", 동 "M-403", 동 "M-404", 동 "M-405", 동 "M-406"(도아고세이가부시키가이샤 제조)," EBECRYL11", 동 "145", 동 "150", 동 "40", 동 "140", 동 "180", DPGDA, HDDA, TPGDA, HPNDA, PETIA, PETRA, TMPTA, TMPEOTA, DPHA, EBECRYL 시리즈(다이셀사이테크가부시키가이샤 제조) 등을 들 수 있다.
가교제의 함유량은, 중합성 액정 화합물의 총량 100 질량부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1 질량부∼30 질량부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3 질량부∼20 질량부이다. 가교제의 함유량이 하한치 이하이면, 연마 등의 가공 시에 문제점을 일으키기 쉽게 되고, 상한치 이상이면, 액정 화합물의 배향 상태가 불안정하게 되어, 배향 결함이 발생하기 쉽게 된다.
중합성 액정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이 함유하고 있어도 좋은 반응성 첨가제로서는, 그 분자 내에 탄소-탄소 불포화 결합과 활성 수소 반응성의 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여기서 말하는 「활성 수소 반응성의 기」란, 카르복실기(-COOH), 수산기(-OH), 아미노기(-NH2) 등의 활성 수소를 갖는 기에 대하여 반응성을 갖는 기를 의미하고, 글리시딜기, 옥사졸린기, 카르보디이미드기, 아지리딘기, 이미드기, 이소시아네이트기, 티오이소시아네이트기, 무수말레산기 등이 그 대표예이다. 반응성 첨가제가 분자 내에 갖는, 탄소-탄소 불포화 결합 및 활성 수소 반응성의 기의 개수는, 통상 각각 1∼20개이며, 바람직하게는 각각 1∼10개이다.
반응성 첨가제에 있어서, 활성 수소 반응성의 기는 분자 내에 적어도 2개 존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복수 존재하는 활성 수소 반응성의 기는 동일하더라도 좋고, 다른 것이라도 좋다.
반응성 첨가제가 분자 내에 갖는 탄소-탄소 불포화 결합이란, 탄소-탄소 이중 결합 또는 탄소-탄소 삼중 결합을 말하며, 탄소-탄소 이중 결합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 중에서도 반응성 첨가제로서는, 비닐기 및/또는 (메트)아크릴기로서 탄소-탄소 불포화 결합을 분자 내에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활성 수소 반응성의 기가 에폭시기, 글리시딜기 및 이소시아네이트기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인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탄소-탄소 이중 결합으로서 아크릴기와, 활성 수소 반응성의 기로서 이소시아네이트기를 갖는 반응성 첨가제가 특히 바람직하다.
반응성 첨가제로서는, 메타크릴옥시글리시딜에테르나 아크릴옥시글리디리에테르 등의, (메트)아크릴기와 에폭시기를 갖는 화합물; 옥세탄아크릴레이트나 옥세탄메타크릴레이트 등의, (메트)아크릴기와 옥세탄기를 갖는 화합물; 락톤아크릴레이트나 락톤메타크릴레이트 등의, (메트)아크릴기와 락톤기를 갖는 화합물; 비닐옥사졸린이나 이소프로페닐옥사졸린 등의, 비닐기와 옥사졸린기를 갖는 화합물; 이소시아나토메틸아크릴레이트, 이소시아나토메틸메타크릴레이트, 2-이소시아나토에틸아크릴레이트 및 20이소시아나토에틸메타크릴레이트 등의, (메트)아크릴기와 이소시아네이트기를 갖는 화합물 및 이들 모노머의 올리고머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메타크릴산무수물, 아크릴산무수물, 무수말레산, 비닐무수말레산 등의, 비닐기나 비닐렌기와 산무수물을 갖는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메타크릴옥시글리시딜에테르, 아크릴옥시글리시딜에테르, 이소시아나토메틸아크릴레이트, 이소시아나토메틸메타크릴레이트, 비닐옥사졸린, 2-이소시아나토에틸아크릴레이트, 2-이소시아나토에틸메타크릴레이트 또는 이들 모노머의 올리고머가 바람직하고, 이소시아나토메틸아크릴레이트, 2-이소시아나토에틸아크릴레이트 또는 이들 모노머의 올리고머가 특히 바람직하다.
중합성 액정 조성물이 반응성 첨가제를 함유하는 경우, 그 함유량은, 중합성 액정 화합물 100 질량부에 대하여 통상 0.1 질량부 이상 30 질량부 이하이며, 바람직하게는 0.1 질량부 이상 5 질량부 이하이다.
중합성 액정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조성물을 도포하여 얻어지는 도막을 보다 평탄하게 하기 위해서 레벨링제를 함유하고 있어도 좋다. 레벨링제로서는, 예컨대 실리콘계, 폴리아크릴레이트계 및 퍼플루오로알킬계의 레벨링제를 들 수 있다.
레벨링제로서 시판 제품을 이용하여도 좋으며, 구체적으로는 DC3PA, SH7PA, DC11PA, SH28PA, SH29PA, SH30PA, ST80PA, ST86PA, SH8400, SH8700, FZ2123(이상, 전부 도레이다우코닝(주) 제조), KP321, KP323, KP324, KP326, KP340, KP341, X22-161A, KF6001(이상, 전부 신에츠카가쿠고교(주) 제조), TSF400, TSF401, TSF410, TSF4300, TSF4440, TSF4445, TSF-4446, TSF4452, TSF4460(이상, 전부 모멘티브퍼포먼스마테리알즈재팬고도가이샤 제조), 플로리나트(fluorinert)(등록상표) FC-72, 동 FC-40, 동 FC-43, 동 FC-3283(이상, 전부 스미토모쓰리엠(주) 제조), 메가팍(등록상표) R-08, 동 R-30, 동 R-90, 동 F-410, 동 F-411, 동 F-443, 동 F-445, 동 F-470, 동 F-477, 동 F-479, 동 F-482, 동 F-483, 동 F-556(이상, 모두 DIC(주) 제조), 에프톱(상품명) EF301, 동 EF303, 동 EF351, 동 EF352(이상, 전부 미스비시마테리알덴시가세이(주) 제조), 사프론(등록상표) S-381, 동 S-382, 동 S-383, 동 S-393, 동 SC-101, 동 SC-105, KH-40, SA-100(이상, 전부 AGC세이미케미칼(주) 제조), 상품명 E1830, 동 E5844((주)다이킨파인케미칼겐큐쇼 제조), BM-1000, BM-1100, BYK-352, BYK-353 및 BYK-361N(모두 상품명: BM Chemie사 제조) 등을 들 수 있다. 레벨링제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레벨링제의 함유량은, 중합성 액정 화합물 100 질량부에 대하여 0.01∼5 질량부가 바람직하고, 0.05∼3 질량부가 더욱 바람직하다. 레벨링제의 함유량이 상기 범위 내이면, 중합성 액정 화합물을 배향시키기가 용이하고, 또한 얻어지는 액정 경화막이 보다 평활하게 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중합성 액정 화합물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중합성 액정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배향층 상에 도포하여, 상전이 온도로 가열함으로써 액정 화합물을 수평 배향시킨 도막을 형성하고, 이 도막을 경화시킴으로써, 액정 경화층인 액정층을 형성할 수 있다. 혹은, 기재층 상에 중합성 액정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도포하여 도막을 형성하고, 이 도막을 기재층과 함께 연신함으로써 액정층을 형성하여도 좋다.
중합성 액정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기재층 또는 배향층 상에 도포하는 방법으로서는, 스핀코팅법, 익스트루전법, 그라비아코팅법, 다이코팅법, 바코팅법, 애플리케이터법 등의 도포법, 플렉소법 등의 인쇄법 등의 공지된 방법을 들 수 있다.
중합성 액정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건조 방법으로서는, 자연 건조법, 통풍 건조법, 가열 건조 및 감압 건조법 등을 들 수 있다. 이때, 중합성 액정 조성물로부터 얻어진 도막을 가열함으로써, 도막으로부터 용매를 건조 제거하며, 또한 중합성 액정 화합물을 배향시킬 수 있다. 도막의 가열 온도는, 이용하는 중합성 액정 화합물 및 도막을 형성하는 기재층, 배향층 등의 재질 등을 고려하여 적절하게결정할 수 있지만, 중합성 액정 화합물을 액정상 상태로 상전이시키기 위해서, 통상 액정 상전이 온도 이상의 온도일 필요가 있다.
가열 시간은, 가열 온도, 이용하는 중합성 액정 화합물의 종류, 용매의 종류나 그 비점 및 그 양 등에 따라서 적절하게 결정할 수 있는데, 통상 15초∼10분이며, 바람직하게는 0.5∼5분이다.
얻어진 건조 도막에 있어서, 중합성 액정 화합물의 배향 상태를 유지한 채로 중합성 액정 화합물을 경화시킴으로써, 원하는 배향 상태로 존재하는 중합성 액정 화합물의 중합체인 액정층이 형성된다. 경화 방법으로서는, 열중합 및 광중합을 들 수 있고, 중합의 용이성의 관점에서, 광중합이 바람직하다. 광중합에 있어서, 건조 도막에 조사하는 빛으로서는, 상기 건조 도막에 포함되는 광라디칼 중합개시제의 종류, 중합성 액정 화합물의 종류(특히 상기 중합성 액정 화합물이 갖는 중합성 기의 종류) 및 그 양에 따라서 적절하게 선택된다. 그 구체예로서는 가시광, 자외광, 적외광, X선, α선, β선 및 γ선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빛이나 활성 전자선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중합 반응의 진행을 제어하여 막 강도를 조정하기 쉽다는 점이나, 광중합 장치로서 해당 분야에서 광범위하게 이용되고 있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고 하는 점에서, 자외광이 바람직하고, 자외광에 의해서 광중합 가능하도록, 중합성 액정 조성물에 함유되는 중합성 액정 화합물이나 광라디칼 중합개시제의 종류를 선택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중합 시에, 적절한 냉각 수단에 의해 건조 도막을 냉각하면서 빛을 조사함으로써 중합 온도를 제어할 수도 있다. 이러한 냉각 수단의 채용에 의해, 보다 저온에서 중합성 액정 화합물의 중합을 실시하면, 기재가 비교적 내열성이 낮은 것을 이용했다고 해도, 적절하게 액정층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빛 조사 시의 열에 의한 문제점(기재의 열에 의한 변형 등)이 발생하지 않는 범위에서 중합 온도를 높임으로써 중합 반응을 촉진하는 것도 가능하다.
건조 도막에 조사하는 빛의 광원으로서는, 예컨대 저압수은 램프, 중압수은 램프, 고압수은 램프, 초고압수은 램프, 크세논 램프, 할로겐 램프, 카본아크등, 텅스텐 램프, 갈륨 램프, 엑시머 레이저, 파장 범위 380∼440 nm를 발광하는 LED 광원, 케미컬 램프, 블랙라이트 램프, 마이크로웨이브 여기 수은등, 메탈할라이드 램프 등을 들 수 있다.
자외광의 조사 강도는 통상 10∼3,000 mW/㎠이다. 자외광의 조사 강도는, 바람직하게는 광중합개시제의 활성화에 유효한 파장 영역에서의 강도이다. 자외광을 조사하는 시간은 통상 0.1초∼10분이며, 바람직하게는 0.1초∼5분, 보다 바람직하게는 0.1초∼3분, 더욱 바람직하게는 0.1초∼1분이다. 이러한 자외광의 조사 강도로 한 번 또는 여러 번 조사하면, 그 적산 광량은 10∼3,000 mJ/㎠, 바람직하게는 50∼2,000 mJ/㎠,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1,000 mJ/㎠이다.
액정층의 두께는, 적용되는 표시 장치에 따라서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으며, 0.3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0.5 ㎛ 이상이라도 좋고, 1 ㎛ 이상이라도 좋고, 또한 통상 10 ㎛ 이하이며, 5 ㎛ 이하라도 좋고, 3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액정층 및 제2 액정층은 각각 위상차층이라도 좋고, 편광층이라도 좋다. 위상차층으로서는, 빛에 소정의 위상차를 부여하는 것이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컨대 1/2 파장판, 1/4 파장판, 역파장 분산성의 1/4 파장판 등으로서 기능하는 것을 들 수 있다.
(접착층)
접착층은 접착제, 점착제 및 이들의 조합에 의해서 형성할 수 있으며, 통상 1층이지만, 2층 이상이라도 좋다. 접착층이 2층 이상의 층을 포함하는 경우, 각 층은 서로 동일한 재료로 형성되어 있어도 좋고, 다른 재료로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접착제로서는, 예컨대 수계 접착제,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접착제 등 중 하나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형성할 수 있다. 수계 접착제로서는, 예컨대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수용액, 수계 2액형 우레탄계 에멀젼 접착제 등을 들 수 있다.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접착제로서는, 자외선 등의 활성 에너지선을 조사함으로써 경화하는 접착제이며, 예컨대 중합성 화합물 및 광중합성 개시제를 포함하는 것, 광반응성 수지를 포함하는 것, 바인더 수지 및 광반응성 가교제를 포함하는 것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중합성 화합물로서는, 광경화성 에폭시계 모노머, 광경화성 아크릴계 모노머, 광경화성 우레탄계 모노머 등의 광중합성 모노머나, 이들 모노머에 유래하는 올리고머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광중합개시제로서는, 자외선 등의 활성 에너지선을 조사하여 중성 라디칼, 음이온 라디칼, 양이온 라디칼이나 산과 같은 활성종을 발생하는 물질을 포함하는 것을 들 수 있다. 접착제를 이용하여 형성한 접착층(접착제층)의 두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통상 0.001 ㎛∼10 ㎛이며, 외관 불량의 관점에서 0.01∼5 ㎛가 바람직하다.
점착제로서는, 예컨대 (메트)아크릴계 수지, 스티렌계 수지, 실리콘계 수지, 폴리에스테르, 폴리우레탄, 고무계 수지 또는 폴리에테르 등을 베이스 폴리머로 하여,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에폭시 화합물, 아지리딘 화합물 등의 가교제를 가한 조성물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메트)아크릴계 수지를 포함하는 점착제는, 광학적인 투명성, 접착성, 내구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점착제를 이용하여 형성한 접착층(점착제층)의 두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통상 1 ㎛∼40 ㎛이며, 가공성, 내구성의 관점에서 3 ㎛∼25 ㎛가 바람직하다.
접착층은, 박막화 등의 관점에서,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접착제를 이용하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자외선 경화성의 에폭시계 모노머 및 광양이온 중합개시제를 포함하는 접착제를 이용하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광학 적층체)
광학 적층체는, 예컨대 광학 기능층으로서 편광층을 포함하는 것을 이용하고, 제1 액정층 또는 제2 액정층으로서 1/4 파장판을 포함하는 것을 이용하거나, 또는 광학 기능층으로서 1/4 파장판을 포함하는 것을 이용하고, 제1 액정층으로서 액정 화합물을 포함하는 편광층을 이용함으로써, 원편광판으로 할 수 있다. 이러한 원편광판은, 예컨대 유기 일릭트로루미네센스(EL) 표시 장치의 반사 방지 필름으로서 이용할 수 있다. 광학 적층체를 원편광판으로 하는 경우는, 광학 적층체는 편광층과 1/4 파장판을 포함하고 있으면 되지만, 예컨대 [i] 편광층, 1/2 파장판, 1/4파장판의 순서, 또는 [ii] 편광층, 역파장 분산성의 1/4 파장판의 순서로 각 층이 적층된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를 나타내어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예에 의해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실시예, 비교예 중의 「%」 및 「부」는, 특별히 기재하지 않는 한, 질량% 및 질량부이다.
[면내 위상차치의 측정]
적층체의 제1 액정층 함유층을, 점착제(린테크사 제조 감압식 점착제 25 ㎛)를 통해 유리와 접합하여, 기재층 함유층을 박리함으로써 위상차치 측정용의 시험편을 얻었다. 제1 액정층 함유층의 파장 550 nm의 빛에 대한 면내 위상차치를, 오지게이소쿠기키가부시키가이샤 제조의 KOBRA-WR를 이용하여 측정했다.
[돌자 시험에 있어서의 변위량의 측정]
적층체로부터 기재층 함유층을 박리하여 얻어진 제1 액정층 함유층으로부터 길이 30 mm×폭 30 mm의 단편을 잘라내어 돌자 시험용의 시험편으로 했다. 돌자 시험은, 직경 1 mm, 선단의 곡률 반경 0.5 R의 돌자 지그를 장착한 소형 탁상시험기〔(주)시마즈세이사쿠쇼 제조의 상품명 "EZTest"〕를 이용하여, 돌자 지그가 통과할 수 있는 직경 10 mm의 원형의 구멍이 뚫린 2장의 샘플대 사이에 끼운 돌자 시험용의 시험편에, 상기 돌자 지그를 0.33 cm/초로 찔러, 돌자 시험용의 시험편이 파단될 때까지의 변위량을 측정했다.
[밀착력의 측정]
실시예에서 얻은 적층체의 제1 액정층 함유층 측에, 점착제(린테크사 제조 감압식 점착제, 25 ㎛)를 접합했다. 이 점착제층을 형성한 적층체로부터 폭 25 mm×길이 약 150 mm의 시험편을 재단하여, 그 점착제층의 면을 유리판에 접합한 후, 시험편의 기재층 함유층(폭 25 mm의 한 변)에 박리용 테이프(폭 25 mm×길이 약 180 mm)를 접착했다. 인장시험기를 이용하여 박리용 테이프의 일단을 잡고, 온도 23℃, 상대습도 60%의 분위기 하에, 크로스헤드 스피드(잡기 이동 속도) 300 mm/분으로 180° 박리 시험을 행하여, 밀착력을 측정했다.
[광학 적층체의 평가]
실시예에서 얻은 적층체(폭 200 mm×길이 약 250 mm, 제1 액정층의 배향 방향은 폭 방향에 대하여 임의의 방향을 취할 수 있다.)의 제1 액정층 측에, 점착제층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미적층 영역이, 폭 방향 양단에 각각 폭 방향의 길이가 50 mm로 형성되도록 점착제(린테크사 제조 감압식 점착제, 25 ㎛)를 접합했다. 이 점착제층 상에, 광학 기능층으로서의 편광판(폭 100 mm×길이 약 250 mm)을 적층하여, 기재층 구비 광학 적층체를 얻었다. 얻어진 기재층 구비 광학 적층체로부터 기재층 함유층을 장변 방향을 따라 박리하여 얻은 광학 적층체에 관해서, 제1 액정층의 단부의 형상을 눈으로 보아 관찰하여, 접착층의 형상을 따르고 있는 것을 A로 하고, 부분적으로 접착층의 형상을 따르고 있지 않은 부정형이거나, 주름이 발생한 것을 B로 하고, 단부 전체 길이에 걸쳐 접착층의 형상을 따르고 있지 않은 부정형이거나 주름이 발생한 것을 C로 했다.
[가공성의 평가]
실시예에서 얻은 적층체(폭 200 mm×길이 약 250 mm, 제1 액정층의 배향 방향은 폭 방향에 대하여 임의의 방향을 취할 수 있다.)를, 기재층 함유층을 위로 하고, 수퍼커터(오기노세이키세이사쿠쇼 제조)를 이용하여 장변 방향을 재단하여, 시험편의 제1 액정층 측의 재단부 부근을 배율 100배의 현미경으로 관찰했다. 제1 액정층에 경미한 크랙, 상처(길이가 0.5 mm 이하)만이 부분적으로 들어가 있는 것을 A로 하고, 길이가 0.5 ㎛를 넘고 1.0 mm 이하인 크랙, 상처가 부분적으로 들어가 있는 것을 B, 크랙, 상처가 제1 액정층의 전체 길이에 걸쳐 들어가 있는 것을 C로 했다.
〔실시예 1〕
(광배향층 형성용 조성물(1)의 조제)
하기의 성분을 혼합하여 얻어진 혼합물을 온도 80℃에서 1시간 교반함으로써 광배향층 형성용 조성물(1)을 얻었다.
·광배향성 재료(5 부):
Figure 112020009371376-pat00001
·용제(95 부): 시클로펜타논
(액정층 형성용 조성물(A)의 조제)
하기에 나타내는 중합성 액정 화합물 LC242(BASF사 제조) 100 질량부에 대하여, 레벨링제 「BYK-361N」(BMChemie사 제조) 0.1 질량부, 광중합개시제로서 2-메틸-1-(4-메틸티오페닐)-2-모르폴리노프로판-1-온「이르가큐어(등록상표) 907(Irg907)」(BASF재팬가부시키가이샤 제조) 3.0 질량부, 반응성 첨가제로서 Laromer(등록상표) LR-9000(BASF재팬사 제조)를 2.0 질량부, 가교제로서 디펜타에리스리톨헥사아크릴레이트 「NK 에스테르 A-DPH」(신나카무라카가쿠고교사 제조) 5.0 질량부를 첨가했다. 또한, 고형분 농도가 13%가 되도록 시클로펜나논을 첨가했다. 얻어진 혼합물을 80℃에서 1시간 교반한 후, 실온까지 냉각하여 액정층 형성용 조성물(A)을 얻었다.
Figure 112020009371376-pat00002
(적층체의 제조)
기재층으로서의 두께 100 ㎛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을, 코로나 처리 장치(AGF-B10, 가스가덴키가부시키가이샤 제조)를 이용하여 2.6 mJ/㎠의 코로나 처리 에너지로 처리했다. 코로나 처리를 실시한 표면에, 상기한 광배향층 형성용 조성물(1)을 바코터 도포하고, 80℃에서 1분간 건조하고, 편광 UV 조사 장치(SPOT CURE SP-7; 우시오덴키가부시키가이샤 제조)를 이용하여, 100 mJ/㎠의 적산 광량으로 편광 UV 노광을 실시하여, 광배향층을 얻었다. 또한, 노광 후의 광배향층의 배향 방향이 45°가 되도록 편광 UV를 조사했다.
이어서, 광배향층 상에 액정층 형성용 조성물(A)을 바코터를 이용하여 도포하고, 120℃에서 1분간 건조한 후, 고압수은 램프(유니큐어 VB-15201BY-A, 우시오덴키가부시키가이샤 제조)를 이용하여, 자외선을 조사(질소 분위기 하, 파장: 365 nm, 파장 365 nm에서의 적산 광량: 1000 mJ/㎠)함으로써, 위상차층으로서의 제1 액정층을 형성하여, 적층체를 얻었다. 얻어진 광배향층의 두께를 레이저 현미경(LEXT, 올림푸스가부시키가이샤 제조)으로 측정한 바, 100 nm였다. 같은 측정 방법으로 측정한 제1 액정층의 두께는 2 ㎛였다. 얻어진 제1 액정층 함유층의 면내 위상차치를 상기한 방법으로 측정한 바, Re(550)=258 nm였다.
얻어진 적층체로부터 기재층을 박리한 바, 제1 액정층 함유층(광배향층을 구비한 제1 액정층)이 단리되었다. 여기서, 광배향층 구비 제1 액정층만 단리되고 있는 것은, 상기한 레이저 현미경에 의한 두께 측정에 의해 확인했다. 얻어진 제1 액정층 함유층의 돌자 변위량을 상기한 수순으로 측정한 바, 1.0 mm였다. 또한, 기재층과 제1 액정층 함유층(광배향층 구비 제1 액정층) 사이의 밀착력은 0.07 N/25 mm였다. 또한, 상기한 방법으로 광학 적층체의 평가를 실시한 바, 제1 액정층의 단부 형상에 있어서, 부정형이나 주름의 발생은 관찰되지 않고, 양호한 결과였다. 또한, 상기한 방법으로 가공성 평가를 실시한 바, 1.0 mm 이하의 크랙·상처가 부분적으로 들어가 있었다. 이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2〕
표 1에 기재한 것과 같이, 반응성 첨가제를 첨가하지 않은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조작을 행하여 중합성 액정 조성물을 조정하고, 이것을 이용하여 실시예 1과 같은 수순으로 적층체를 제작했다.
얻어진 적층체로부터 기재층을 박리한 바, 기재층 함유층(광배향층 구비 기재층)으로부터 제1 액정층만이 단리되었다. 여기서, 제1 액정층만 단리되고 있는 것은, 상기한 레이저 현미경에 의한 두께 측정에 의해 확인했다.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돌자 변위량을 측정하고, 기재층 함유층과 제1 액정층 사이의 밀착력 측정, 광학 적층체의 박리 평가 및 가공성의 평가를 실시했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3〕
표 1에 기재한 것과 같이, 가교제로서 A-DPH를 중합성 액정 화합물에 대하여 15 부 첨가하고, 반응성 첨가제를 첨가하지 않은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조작을 행하여, 중합성 액정 조성물을 조정하고, 이것을 이용하여 실시예 1과 같은 수순으로 적층체를 제작했다.
얻어진 적층체로부터 기재층을 박리한 바, 기재층 함유층(광배향층 구비 기재층)으로부터 제1 액정층만이 단리되었다. 여기서, 제1 액정층만 단리되고 있는 것은, 상기한 레이저 현미경에 의한 두께 측정에 의해 확인했다.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돌자 변위량을 측정하고, 기재층 함유층과 제1 액정층 사이의 밀착력 측정, 광학 적층체의 박리 평가 및 가공성의 평가를 실시했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4〕
표 1에 기재한 것과 같이, 가교제로서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아크릴레이트(NK 에스테르 A-TMPT(신나카무라카가쿠고교사 제조))를 중합성 액정 화합물에 대하여 15 부 첨가하고, 반응성 첨가제를 첨가하지 않은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조작을 행하여, 중합성 액정 조성물을 조정하고, 이것을 이용하여 실시예 1과 같은 수순으로 적층체를 제작했다.
얻어진 적층체로부터 기재층을 박리한 바, 기재층 함유층(광배향층 구비 기재층)으로부터 제1 액정층만이 단리되었다. 여기서, 제1 액정층만 단리되고 있는 것은, 상기한 레이저 현미경에 의한 두께 측정에 의해 확인했다.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돌자 변위량을 측정하고, 기재층 함유층과 제1 액정층 사이의 밀착력 측정, 광학 적층체의 박리 평가 및 가공성의 평가를 실시했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5〕
표 1에 기재한 것과 같이, 가교제로서 우레탄아크릴레이트(UA-122P(신나카무라카가쿠고교사 제조))를 중합성 액정 화합물에 대하여 15 부 첨가하고, 반응성 첨가제를 첨가하지 않은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조작을 행하여, 중합성 액정조성물을 조정하고, 이것을 이용하여 실시예 1과 같은 수순으로 적층체를 제작했다.
얻어진 적층체로부터 기재층을 박리한 바, 기재층 함유층(광배향층 구비 기재층)으로부터 제1 액정층만이 단리되었다. 여기서, 제1 액정층만 단리되고 있는 것은, 상기한 레이저 현미경에 의한 두께 측정에 의해 확인했다.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돌자 변위량을 측정하고, 기재층 함유층과 제1 액정층 사이의 밀착력 측정, 광학 적층체의 박리 평가 및 가공성의 평가를 실시했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6〕
표 1에 기재한 것과 같이, 가교제로서 1,6-헥산디올디아크릴레이트(NK 에스테르 A-HD-N(신나카무라카가쿠고교사 제조))를 중합성 액정 화합물에 대하여 15 부 첨가하고, 반응성 첨가제를 첨가하지 않은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조작을 행하여, 중합성 액정 조성물을 조정하고, 이것을 이용하여 실시예 1와 같은 수순으로 적층체를 제작했다.
얻어진 적층체로부터 기재층을 박리한 바, 기재층 함유층(광배향층 구비 기재층)으로부터 제1 액정층만이 단리되었다. 여기서, 제1 액정층만 단리되고 있는 것은, 상기한 레이저 현미경에 의한 두께 측정에 의해 확인했다.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돌자 변위량을 측정하고, 기재층 함유층과 제1 액정층 사이의 밀착력 측정, 광학 적층체의 박리 평가 및 가공성의 평가를 실시했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부호의 설명]
1a, 1b: 적층체, 2a: 접착층 구비 적층체, 3a, 3c: 기재층 구비 광학 적층체, 4a, 4b: 광학 적층체, 10a: 기재층 함유층, 11a: 기재층, 11b: 기재층(기재층 함유층), 12a, 12b: 배향층, 13a: 제1 액정층(제1 액정층 함유층), 13'a: 제1' 액정층(제1' 액정층 함유층), 13ax: 미적층 영역, 13ay: 적층 영역, 13b: 제1 액정층, 20b: 제1 액정층 함유층, 20'b: 제1' 액정층 함유층, 30a, 30c: 접착층, 60a, 60c: 광학 기능층, W: 폭 방향.

Claims (13)

  1. 기재층을 포함하는 기재층 함유층 상에, 제1 액정층을 포함하는 제1 액정층 함유층이 마련된 적층체로서,
    상기 기재층 함유층은 상기 제1 액정층 함유층에 대하여 박리 가능하고,
    상기 제1 액정층은, 상기 제1 액정층의 면에 대하여 수평 방향으로 배향하고 있는 액정 화합물 및 가교제(단, 상기 액정 화합물과는 상이한 화합물임)를 포함하는 조성물로부터 형성되고,
    상기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가교제의 함유량은 상기 액정 화합물의 총량 100 질량부에 대하여 3 질량부∼20 질량부이고,
    상기 제1 액정층 함유층의 돌자(突刺) 시험에 있어서의 변위량은 2.0 mm 이하인 적층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층 함유층과 상기 제1 액정층 함유층 사이의 밀착력은 0.05 N/25 mm 이상인 적층체.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층 함유층은 추가로 배향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액정층 함유층은 상기 기재층 함유층의 상기 배향층 측에 마련되어 있는 적층체.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액정층 함유층은 추가로 배향층을 포함하고,
    상기 기재층 함유층은 상기 제1 액정층 함유층의 상기 배향층 측에 마련되어 있는 적층체.
  5. 제1항 또는 제2항에 기재한 적층체와 접착층을 포함하는 접착층 구비 적층체로서,
    상기 접착층은 상기 적층체의 상기 제1 액정층 함유층 측에 적층되어 있고,
    상기 제1 액정층 함유층은 상기 접착층이 적층되어 있지 않은 미적층 영역을 갖는 접착층 구비 적층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미적층 영역은 상기 접착층 구비 적층체에 있어서의 폭 방향의 적어도 한쪽의 단부에 존재하는 접착층 구비 적층체.
  7. 제1항 또는 제2항에 기재한 적층체, 접착층 및 광학 기능층을 이 순서로 포함하는 기재층 구비 광학 적층체로서,
    상기 접착층은 상기 적층체의 상기 제1 액정층 함유층 측에 마련되어 있는 기재층 구비 광학 적층체.
  8. 제5항에 기재한 접착층 구비 적층체의 상기 접착층 상에 광학 기능층이 마련되어 있는 기재층 구비 광학 적층체.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기능층은 편광층을 포함하는 기재층 구비 광학 적층체.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기능층은 제2 액정층을 포함하는 기재층 구비 광학 적층체.
  11. 제1' 액정층을 포함하는 제1' 액정층 함유층과 접착층과 광학 기능층을 이 순서로 포함하는 광학 적층체로서,
    상기 제1' 액정층은 상기 제1' 액정층의 면에 대하여 수평 방향으로 배향하고 있는 액정 화합물 및 가교제(단, 상기 액정 화합물과는 상이한 화합물임)를 포함하는 조성물로부터 형성되고,
    상기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가교제의 함유량은 상기 중합성 액정 화합물의 총량 100 질량부에 대하여 3 질량부∼20 질량부이고,
    상기 제1' 액정층 함유층의 돌자 시험에 있어서의 변위량은 2.0 mm 이하인 광학 적층체.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액정층 함유층은 추가로 배향층을 포함하고,
    상기 배향층은 제1' 액정층의 상기 접착층과는 반대 측에 마련되어 있는 광학 적층체.
  13. 제1' 액정층을 포함하는 제1' 액정층 함유층과 접착층과 광학 기능층을 이 순서로 포함하는 광학 적층체의 제조 방법으로서,
    제7항에 기재한 기재층 구비 광학 적층체로부터 상기 기재층 함유층을 박리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광학 적층체의 제조 방법.
KR1020200010316A 2019-02-01 2020-01-29 적층체, 접착층 구비 적층체, 기재층 구비 광학 적층체, 광학 적층체 및 그 제조 방법 KR10267078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9017211 2019-02-01
JPJP-P-2019-017211 2019-02-01
JP2019234582A JP6727390B1 (ja) 2019-02-01 2019-12-25 積層体、接着層付き積層体、基材層付き光学積層体、光学積層体、及びその製造方法
JPJP-P-2019-234582 2019-12-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6144A KR20200096144A (ko) 2020-08-11
KR102670787B1 true KR102670787B1 (ko) 2024-05-29

Family

ID=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116306A (ja) * 2018-04-03 2018-07-26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光学フィルム用転写積層体
WO2019009255A1 (ja) * 2017-07-03 2019-01-10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液晶フィルム、光学積層体、円偏光板、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表示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09255A1 (ja) * 2017-07-03 2019-01-10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液晶フィルム、光学積層体、円偏光板、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表示装置
JP2018116306A (ja) * 2018-04-03 2018-07-26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光学フィルム用転写積層体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52966B1 (ko) 장척 편광 필름의 제조 방법
KR101808984B1 (ko) 타원 편광판
TWI730938B (zh) 液晶硬化膜
KR102659789B1 (ko) 광학 이방성 막의 제조 방법
TWI732772B (zh) 積層體、含有該積層體之圓偏光板,及具備該積層體之顯示裝置
US9372296B2 (en) Optically anisotropic film
JP2022008866A (ja) パターン偏光フィルム
KR20150120864A (ko) 패턴 편광 필름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2508041B1 (ko) 광학 필름의 제조 방법
US20150185385A1 (en) Optically anisotropic film
KR20210038423A (ko) 적층체
JP6447495B2 (ja) 光学異方層形成用組成物
JP6727390B1 (ja) 積層体、接着層付き積層体、基材層付き光学積層体、光学積層体、及びその製造方法
US9606279B2 (en) Process for producing optically anisotropic film
KR102670787B1 (ko) 적층체, 접착층 구비 적층체, 기재층 구비 광학 적층체, 광학 적층체 및 그 제조 방법
JP2015057645A (ja) 光学異方層形成用組成物
KR20230062548A (ko) 광학 적층체 및 이것을 포함하는 타원 편광판
WO2020121907A1 (ja) 偏光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WO2014168258A1 (ja) 光学異方性フィルムの製造方法
US9594274B2 (en) Process for producing optically anisotropic film component
JP2019028474A (ja) 光学異方性フィルム
JP6123658B2 (ja) 光学異方性膜の製造方法
US20160054495A1 (en) Orientation film forming composition
KR20220156654A (ko) 광학 적층체
JP2015057644A (ja) 光学異方性積層体の製造方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