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69634B1 - 인적자원 관리 자동화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인적자원 관리 자동화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669634B1 KR102669634B1 KR1020230003761A KR20230003761A KR102669634B1 KR 102669634 B1 KR102669634 B1 KR 102669634B1 KR 1020230003761 A KR1020230003761 A KR 1020230003761A KR 20230003761 A KR20230003761 A KR 20230003761A KR 102669634 B1 KR102669634 B1 KR 10266963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nformation
- management
- salary
- allowance
- displayed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0
- 230000003442 weekly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5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0
- 230000036541 health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8
- 230000002441 reversible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3
- 230000029305 taxis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7
- 230000000474 nurs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4590 computer program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8
- 238000007726 management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86
- 230000002354 dail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24
- 238000004364 calcul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8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8
- 230000001186 cumul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1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0000007774 longterm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30000001419 dependent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06010000372 Accident at work Disease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3203 everyda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725 suspens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790 confirm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549 trai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44000287680 Garcinia dulci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27418 Wounds and injury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378 dama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123 defen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08000014674 injury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797 qual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0 research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1888 snack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360 synchronis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795 ver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186 women's health Effect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12—Accounting
- G06Q40/125—Finance or payroll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5—Human resources
-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1/00—Registering, indicating or recording the time of events or elapsed time, e.g. time-recorders for work people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Technology Law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기술은 인적자원 관리 자동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기술의 인적자원 관리 자동화 방법은,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되는 인적자원 관리 자동화 방법으로서, 근로자가 소지하는 출퇴근 체크기를 통해 해당 근로자의 출퇴근 시간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 가능한 현행법령 서버를 통해 해당 근로자의 근로 형태에 따른 연차지급 기준, 수당지급 기준, 세금징수 기준 및 퇴직금지급 기준에 관한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수집된 정보들에 기초하여 해당 근로자에 대한 출근 관리 세부항목에 관한 제1 정보, 휴가 관리 세부항목에 관한 제2 정보, 일별 급여 관리 세부항목에 관한 제3 정보, 수당 관리 세부항목에 관한 제4 정보, 퇴직금 관리 세부항목에 관한 제5 정보, 및 연차 관리 세부항목에 관한 제6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제1 내지 제6 정보를 하나의 상위 메뉴를 공통으로 하는 서로 다른 별개의 관리 화면으로 구성하여 표시부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서로 다른 별개의 관리 화면은 상기 상위 메뉴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의해 서로 전환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본 기술은 사용자에게 보다 편리한 인적자원 관리를 가능하게 하는 인적자원 관리 자동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인적자원 관리 자동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급여 관리, 연차 관리 등을 포함하는 인적자원 관리 자동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인적자원 관리를 자동화하기 위한 기존에 선행특허문헌들이 존재한다.
그 일환으로서 급여 관리를 자동화하기 위한 구성을 개시하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20-0057175호(발명명칭: 급여 계산식 관리 시스템 및 방법)가 있다. 상기 선행문헌은 급여 계산식 관리 방법으로서, 복수의 급여 항목 각각에 대하여, 상기 급여 항목의 계산 기준을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급여 항목 각각에 대하여, 상기 급여 항목의 급여 계산식을 등록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급여 항목의 계산 기준을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급여 항목에 적용될 수 있는 복수의 계산 기준 옵션 각각의 적용여부를 지정하고, 지정된 계산 기준 옵션의 적용 값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급여 항목의 급여 계산식을 등록하는 단계는, 상기 급여 항목에 적용될 지급 대상 조건을 등록하고, 등록된 상기 지급 대상 조건에 상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조건 항목을 등록하는 단계; 및 등록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조건 항목 각각에 상응하는 계산식을 등록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보여준다.
그러나 상기 선행문헌을 포함한 기존의 기술들은 급여 산출 자체에 초점이 맞추어진 것으로서 연산의 정확도는 우수할 수 있으나, 관리의 관점에서 편리함을 제공하는 것과는 거리가 멀다.
또한 매년 변화되는 최저임금과, 근로자 보호에 대한 일반국민들의 인식 수준의 향상 및 매년 개정되는 근로관련 법령들을 모두 고려하여 사용자에게 보다 편리한 인적자원 관리를 위한 자동화 시스템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사용자에게 보다 편리한 인력자원 관리를 가능하게 하는 인적자원 관리 자동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되는 인적자원 관리 자동화 방법으로서, 근로자가 소지하는 출퇴근 체크기를 통해 해당 근로자의 출퇴근 시간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 가능한 현행법령 서버를 통해 해당 근로자의 근로 형태에 따른 연차지급 기준, 수당지급 기준, 세금징수 기준 및 퇴직금지급 기준에 관한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수집된 정보들에 기초하여 해당 근로자에 대한 출근 관리 세부항목에 관한 제1 정보, 휴가 관리 세부항목에 관한 제2 정보, 일별 급여 관리 세부항목에 관한 제3 정보, 수당 관리 세부항목에 관한 제4 정보, 퇴직금 관리 세부항목에 관한 제5 정보, 및 연차 관리 세부항목에 관한 제6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제1 내지 제6 정보를 하나의 상위 메뉴를 공통으로 하는 서로 다른 별개의 관리 화면으로 구성하여 표시부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서로 다른 별개의 관리 화면은 상기 상위 메뉴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의해 서로 전환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상위 메뉴는 표시부상 제1 주영역에 표시되고, 상기 서로 다른 별개의 관리 화면은 표시부상 상기 제1 주영역과 구별되는 제2 주영역에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제1 정보는 제1 관리 화면을 구성하는 다수의 제1 GUI들을 통해 로 구성표시되고, 상기 제2 정보는 제2 관리 화면을 구성하는 다수의 제2 GUI들을 통해 로 구성표시되며고, 상기 제3 정보는 제3 관리 화면을 구성하는 다수의 제3 GUI들을 통해 로 구성표시되고, 상기 제4 정보는 제4 관리 화면을 구성하는 다수의 제4 GUI들을 통해 표시되고, 상기 제5 정보는 제5 관리 화면을 구성하는 다수의 제5 GUI들을 통해 표시되며, 상기 제6 정보는 제6 관리 화면을 구성하는 다수의 제6 GUI들을 통해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제1 관리 화면 내지 제6 관리 화면은 상기 제2 주영역상에서 상기 상위 메뉴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의해 서로 전환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GUI들 내지 제63 GUI들은 근로자별로 정렬 및 날짜별로 분류되어 해당하는 관리 화면상에 리스트업되고, 상기 날짜별 리스트업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기간에 대해 역순으로 정렬될 수 있다.
상기 출근 관리 세부항목은 사원번호, 성명, 직위/직책, 출근현황, 약정시간, 출근체크시간, 퇴근체크시간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휴가 관리 세부항목은 성명, 지각, 조퇴, 외출, 주휴일출근, 유급출근, 무급출근, 재택근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일별 급여 관리 세부항목은 성명, 출근현황, 당월일급, 각종수당, 당일차감액, 당일급여, 세금, 4대보험료, 기타공제, 실지급액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수당 관리 세부항목은 시급, 주휴수당, 연장근로수당, 야간근로수당, 휴일근로수당, 기타수당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퇴직금 관리 세부항목은 입사일, 근속연수, 근속월수, 재직일수, 3개월총급여, 상여금3분지12, 잔여연차3분지12, 1일평균임금, 법정퇴직금액, 명예퇴직금액, 퇴직소득세, 지방소득세, 세금합계, 실지급액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며, 상기 연차 관리 세부항목은 전전년도미사용연차수당, 전년도잔여연차일수, 금년도발생연차, 퇴직시연차수당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수집된 정보들로부터 해당 근로자의 출근시간 및 퇴근시간을 정의하는 단계; 상기 정의된 출근시간 및 퇴근시간을 기초로, 약정된 근무시간보다 적게 근무한 시간에 대해 지각/조퇴/외출 차감처리를 수행하고, 약정된 근무시간보다 많게 근무한 시간에 대해 연장근로 증분처리를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차감처리 결과를 일단위로 환산한 뒤, 해당 근로자의 잔여 휴가 일수, 잔여연차3분지12 및 퇴직시연차수당 중 적어도 하나에 합산하고, 상기 증분처리 결과를 일단위로 환산한 뒤, 해당 근로자의 각종수당 및 연장근로수당 중 적어도 하나에 합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행하는 단계에서 상기 지각/조퇴/외출 차감처리는 10분 단위로 수행되고 상기 연장근로 증분처리는 만 10분 단위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는 상기 어느 하나의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인적자원 관리 자동화 장치는 근로자가 소지하는 출퇴근 체크기를 통해 해당 근로자의 출퇴근 시간 정보 및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 가능한 현행법령 서버를 통해 해당 근로자의 근로 형태에 따른 연차지급 기준, 수당지급 기준, 세금징수 기준 및 퇴직금지급 기준에 관한 정보를 수집하는 정보 수집부; 상기 수집된 정보들에 기초하여 해당 근로자에 대한 출근 관리 세부항목에 관한 제1 정보, 휴가 관리 세부항목에 관한 제2 정보, 일별 급여 관리 세부항목에 관한 제3 정보, 수당 관리 세부항목에 관한 제4 정보, 퇴직금 관리 세부항목에 관한 제5 정보, 및 연차 관리 세부항목에 관한 제6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제1 내지 제6 정보를 하나의 상위 메뉴를 공통으로 하는 서로 다른 별개의 관리 화면으로 구성하여 표시부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되도록 처리하는 프로세서; 및 상기 표시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기술은 사용자에게 보다 편리한 인적자원 관리를 가능하게 하는 인적자원 관리 자동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기술은 실시간으로 일일 급여 관리를 포함하여 사용자에게 보다 편리한 급여 관리 솔루션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기술은 회사의 지출을 일 단위로 집계할 수 있도록 하고 근로자의 연차, 수당 등을 일 단위로 집계할 수 있도록 하여 인적자원 관리의 직관성을 높일 수 있다.
도 1a는 일 실시예에 따른 인적자원 관리 자동화 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인적자원 관리 자동화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a는 일 실시예에 따른 인적자원 관리 자동화 장치의 표시부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인적자원 관리 화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주영역에 표시되는 상위 메뉴를 보다 상세하게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a 및 도 3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출근 관리 화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a 및 도 4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출근/휴가 관리 화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일별 급여 관리 화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a 및 도 6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수당 관리 관리 화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a 및 도 7b는 일 실시예에 따른 공제 관리 화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월간 누적급여 관리 화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월별 급여 관리 화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상여금 관리 화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른 급여 내역서 관리 화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2는 일 실시예에 따른 급여 명세서 관리 화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3은 일 실시예에 따른 퇴직금 관리 화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4는 일 실시예에 따른 퇴직자 관리 화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5는 일 실시예에 따른 퇴직금 명세서 관리 화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연간 급여소득 관리 화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연차 관리(입사일 기준) 화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연차 관리(회계연도 기준) 화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9는 일 실시예에 따른 4대 보험 관리 화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0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이체 관리 화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이메일 관리 화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2a 및 도 22b는 일 실시예에 따른 당번/당직 관리 화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3a 및 도 23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업체 정보 관리 화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4a 및 도 24b는 일 실시예에 따른 근로자 정보 관리 화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5a 및 도 25b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근로자 정보 관리 화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인적자원 관리 자동화 장치의 하드웨어 구현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인적자원 관리 자동화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a는 일 실시예에 따른 인적자원 관리 자동화 장치의 표시부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인적자원 관리 화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주영역에 표시되는 상위 메뉴를 보다 상세하게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a 및 도 3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출근 관리 화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a 및 도 4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출근/휴가 관리 화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일별 급여 관리 화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a 및 도 6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수당 관리 관리 화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a 및 도 7b는 일 실시예에 따른 공제 관리 화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월간 누적급여 관리 화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월별 급여 관리 화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상여금 관리 화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른 급여 내역서 관리 화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2는 일 실시예에 따른 급여 명세서 관리 화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3은 일 실시예에 따른 퇴직금 관리 화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4는 일 실시예에 따른 퇴직자 관리 화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5는 일 실시예에 따른 퇴직금 명세서 관리 화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연간 급여소득 관리 화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연차 관리(입사일 기준) 화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연차 관리(회계연도 기준) 화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9는 일 실시예에 따른 4대 보험 관리 화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0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이체 관리 화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이메일 관리 화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2a 및 도 22b는 일 실시예에 따른 당번/당직 관리 화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3a 및 도 23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업체 정보 관리 화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4a 및 도 24b는 일 실시예에 따른 근로자 정보 관리 화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5a 및 도 25b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근로자 정보 관리 화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인적자원 관리 자동화 장치의 하드웨어 구현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가 설명된다. 도면에 있어서, 두께와 간격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표현된 것이며, 실제 물리적 두께에 비해 과장되어 도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와 무관한 공지의 구성은 생략될 수 있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 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가 설명된다. 도면에 있어서, 두께와 간격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표현된 것이며, 실제 물리적 두께에 비해 과장되어 도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와 무관한 공지의 구성은 생략될 수 있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 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실시예들에 대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예시를 위한 목적으로 개시된 것으로서, 다양한 형태로 변경되어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실제 구현되는 형태는 개시된 특정 실시예로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명세서의 범위는 실시예들로 설명한 기술적 사상에 포함되는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를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해석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명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으로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a는 일 실시예에 따른 인적자원 관리 자동화 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적자원 관리 자동화 시스템은 인적자원 관리 자동화 장치(TE), 현행법령 서버(SV), 및 근로자들이 소지하는 출퇴근 체크기(TA)를 포함한다.
인적자원 관리 자동화 장치(TE), 현행법령 서버(SV), 및 근로자들이 소지하는 출퇴근 체크기(TA)는 각각 통신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서로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어 정보를 주고 받을 수 있다. 네트워크는 유무선 통신망일 수 있다. 한편, 인적자원 관리 자동화 장치(TE)와 출퇴근 체크기(TA)는 사내 통신망과 같은 근거리 통신망을 통해서도 연결될 수 있는 반면 인적자원 관리 자동화 장치(TE)와 현행법령 서버(SV)는 서로 멀리 떨어져 있어 이동통신망을 통해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에서는 출퇴근 체크기(TA)가 사원증과 같은 형태로 근로자에게 제공된 실시예가 도시되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근로자가 회사 출입시 출입 정보를 발생시켜서 인적자원 관리 자동화 장치(TE)로 전송할 수 있는 것이면 근로자가 소지하고 있는 자신의 스마트폰 등이어도 무방하다.
인적자원 관리 자동화 장치(TE)는 사내에 설치되어 관리자(고융주 등과 같이)에 의해 사용될 수 있다. 이에 이하에서는 관리자를 사용자로 참조할 수도 있다. 인적자원 관리 자동화 장치(TE)는 일 실시예에 따른 인적자원 관리 자동화 서비스를 제공받고자 하는 회사 내 설치된 컴퓨터 내지는 서버 장치일 수 있다. 도면에서는 일종의 노트북 컴퓨터가 도시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현행법령 서버(SV)는 정부나 공공기관에서 운영하는 서버일 수 있다. 현행법령 정보를 관리하고 외부로 제공하는 것이라면 사설기관에서 운영하는 것이어도 무방하다. 본 발명에서는 인적자원 관리를 위한 자동화 방법인 바, 현행법령 서버는 노무관련 법령을 위주로 관리 및 제공 가능한 서버일 수 있다. 노무관련 법령은 근로자의 고용형태별 내지는 근로형태별 연차지급 기준, 수당지급 기준, 세금징수 기준, 퇴직금지급 기준 등에 관한 법, 령, 규칙, 내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현행법령 서버(SV)는 인적자원 관리 자동화 장치(TE)의 요청에 따라 인적자원을 관리하는 데에 필요한 최신화된 법령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현행법령 서버(SV)와 인적자원 관리 자동화 장치(TE)는 자동으로 서로 동기화되어 최신 정보를 인적자원 관리 자동화 장치(TE)에 제공할 수도 있고, 관리자가 필요할 때 요청 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기반으로 요청 사항에 맞는 현행법령 정보를 인적자원 관리 자동화 장치가 읽을 수 있는 형태로 제공하는 것일 수도 있다.
도 1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인적자원 관리 자동화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일 실시예에 따라, 인적자원 관리 자동화 방법은 근로자의 출퇴근 시간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S10), 서버로부터 각종 기준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S20), 인적자원 관리를 위한 여러 정보들을 생성하는 단계(S30), 및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S40)를 포함한다.
단계(S10)에서 인적자원 관리 자동화 장치는 근로자가 소지하는 출퇴근 체크기를 통해 해당 근로자의 출퇴근 시간 정보를 수집한다. 출근시간대에 생성되는 출입 정보는 해당 근로자의 출근시간에 관한 것일 수 있고, 퇴근시간대에 생성되는 출입 정보는 해당 근로자의 퇴근시간에 관한 것일 수 있다. 검증을 위해 출근시간대에 생성되는 출입 정보와 퇴근시간대에 생성되는 출입 정도 사이의 시간 간격이 근로자의 약정 근로시간과 일치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또는 근로자의 동의가 있는 경우 근로자의 위치 정보를 수집하여 검증할 수도 있다.
단계(S20)에서 인적자원 관리 자동화 장치는 현행법령 서버를 통해 해당 근로자의 근로 형태에 따른 연차지급 기준, 수당지급 기준, 세금징수 기준 및 퇴직금지급 기준에 관한 정보를 수집한다. 연차지급 기준 정보는 연차일수 계산(재직자, 퇴직자, 근속연수에 따른 연차휴가일수 등)을 위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수당지급 기준 정보는 사업장규모별(5인이상사업장, 5인미만사업장 등), 근로유형별(통상근로자, 단시간근로자, 초단시간근로자 등) 연차수당 계산을 위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세금징수 기준 정보는 근로형태별(정규직, 계약직근로자, 일용직근로자, 프리랜서, 사업소득자 등) 급여 또는 수당에서 공제할 세금 계산을 위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퇴직금지급 기준 정보는 사업장규모별(5인이상사업장, 5인미만사업장 등), 근로유형별(통상근로자, 단시간근로자, 초단시간근로자 등) 퇴직소득세 계산을 위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수집 정보는 반드시 법령 자체여야 하는 것은 아니며, 인적자원 관리 자동화 장치에 의해 해석 및 적용될 수 있는 것이면 수집되는 형식에 제한되지 않으며, 인적자원 관리 자동화 장치와 현행법령 서버 사이에서 데이터를 가공하는 매개체(일례로, 국세청 퇴직소득 세액계산 프로그램 등)로부터 수집되는 것이어도 무방하다.
단계(S30)에서 인적자원 관리 자동화 장치는 수집된 정보들에 기초하여 해당 근로자에 대한 출근 관리 세부항목에 관한 제1 정보, 휴가 관리 세부항목에 관한 제2 정보, 일별 급여 관리 세부항목에 관한 제3 정보, 수당 관리 세부항목에 관한 제4 정보, 퇴직금 관리 세부항목에 관한 제5 정보, 및 연차 관리 세부항목에 관한 제6 정보를 생성한다.
출근 관리 세부항목은 근로자의 출퇴근 현황을 관리하기 위한 항목으로서, 사원번호, 성명, 직위/직책, 출근현황, 약정시간, 출근체크시간, 퇴근체크시간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휴가 관리 세부항목은 근로자의 휴가 현황을 관리하기 위한 항목으로서 성명, 지각, 조퇴, 외출, 주휴일출근, 유급출근, 무급출근, 재택근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일별 급여 관리 세부항목은 근로자에게 지급할 급여를 관리하기 위한 항목으로서 성명, 출근현황, 당월일급, 각종수당, 당일차감액, 당일급여, 세금, 4대보험료, 기타공제, 실지급액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수당 관리 세부항목은 근로자에게 지급할 수당을 관리하기 위한 항목으로서 시급, 주휴수당, 연장근로수당, 야간근로수당, 휴일근로수당, 기타수당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퇴직금 관리 세부항목은 근로자에게 지급할 퇴직금을 관리하기 위한 항목으로서 입사일, 근속연수, 근속월수, 재직일수, 3개월총급여, 상여금3분지12, 잔여연차3분지12, 1일평균임금, 법정퇴직금액, 명예퇴직금액, 퇴직소득세, 지방소득세, 세금합계, 실지급액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연차 관리 세부항목은 전전년도미사용연차수당, 전년도잔여연차일수, 금년도발생연차, 퇴직시연차수당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세부항목들은 크게 근로자에 대한 출근 관리, 휴가 관리, 급여 관리, 수당 관리, 퇴직금 관리, 연차 관리로 나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효율적인 인적자원 관리를 위해 근로자에 대한 공제 관리, 월간 누적급여 관리, 월별 급여 관리, 상여금 관리, 급여내역서 관리, 급여명세서 관리, 퇴직금 관리, 퇴직자 관리, 퇴직금 명세서 관리, 연간 급여소득 관리, 입사일 기준 연차 관리, 회계연도 기준 연차 관리, 4대 보험 관리, 이체 관리, 이메일 관리, 당번/당직 관리, 업체 정보 관리, 근로자 정보 관리를 위한 세부항목일 수도 있다.
단계(S40)에서 인적자원 관리 자동화 장치는 생성된 제1 내지 제6 정보를 하나의 상위 메뉴를 공통으로 하는 서로 다른 별개의 관리 화면으로 구성하여 표시부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표시부는 인적자원 관리 자동화 장치에 구비되는 LED, OLED 등의 디스플레이 장치일 수 있다.
이하 도 2a 내지 도 2b를 참조하여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화면을 보다 상세하게 살펴본다.
도 2a는 일 실시예에 따른 인적자원 관리 자동화 장치의 표시부(DP)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인적자원 관리 화면을 도시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부(DP)는 상술한 단계들(S10 내지 S40)을 통해 생성된 제1 내지 제6 정보를 하나의 상위 메뉴를 공통으로 하는 서로 다른 별개의 관리 화면으로 구성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표시부(DP)는 제1 주영역(RO1), 제2 주영역(RO2) 및 제3 주영역(RO3)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부(DP)는 제1 내지 제3 주영역들 외에 나머지 영역도 포함하지만, 이하에서는 제1 내지 제3 주영역들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시된 표시부(DP)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의해 표시되는 화면 전체를 가리키는 것인 바 표시부(DP)가 표시부에 의해 표시되는 화면 전체를 가리키는 것으로 보아도 무방하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위 메뉴는 표시부상 제1 주영역(RO1)에 표시된다. 서로 다른 별개의 관리 화면은 표시부상 제2 주영역(RO2)에 표시된다. 제1 주영역(RO1)과 제2 주영역(RO2)은 위치적으로도 서로 구별되고, 제1 주영역은 상위 메뉴를 제공하여 대체로 변화하지 않는 영역인 반면 제2 주영역은 상위 메뉴에 종속되는 콘텐츠를 제공하여 대체로 변화하는 영역이라는 점에서도 서로 구별된다.
도 2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주영역(RO1)에 표시되는 상위 메뉴를 보다 상세하게 도시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위 메뉴로서 출근(홈) 메뉴, 급여 메뉴, 퇴직금 메뉴, 추가 자료 메뉴, 정보 메뉴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근무지 검색, 부서/직종 검색, 고용형태 검색, 근로자유형 검색, 검색기간의 시기, 검색기간의 종기, 성명 검색을 위한 드롭다운 메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상위 메뉴들과 드롭다운 메뉴들은 후술하는 제2 주영역에 표시되는 콘텐츠에 공통적으로 적용되는 성질의 것이다.
도 2a 및 도 2b를 함께 참조하면, 출근(홈) 메뉴는 그 하위에 출근 관리 화면을 제2 주영역(RO2)에 표시하기 위한 하위 메뉴와 출근/휴가 관리 화면을 제2 주영역(RO2)에 표시하기 위한 하위 메뉴를 가질 수 있다. 비슷하게, 급여 메뉴는 그 하위에 일별 급여 화면, 수당 관리 화면, 공제 관리 화면, 월간 누적급여 관리 화면, 월별 급여 관리 화면, 상여금 관리 화면, 급여 내역서 관리 화면, 급여 명세서 관리 화면, 급여 지급 확인서 관리 화면을 각각 제2 주영역(RO2)에 표시하기 위한 하위 메뉴를 가질 수 있다. 마찬가지로, 퇴직금 메뉴는 그 하위에 퇴직금 관리 화면, 퇴직자 관리 화면, 퇴직금 명세서 관리 화면을 각각 제2 주영역(RO2)에 표시하기 위한 하위 메뉴를 가질 수 있다. 마찬가지로, 퇴직금 메뉴는 그 하위에 퇴직금 관리 화면, 퇴직자 관리 화면, 퇴직금 명세서 관리 화면을 각각 제2 주영역(RO2)에 표시하기 위한 하위 메뉴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추가 자료 메뉴는 그 하위에 연간 급여 소득 관리 화면, 연차 관리 화면, 4대보험 관리 화면, 이체 관리 화면, 이메일 관리 화면, 당번/당직 관리 화면을 각각 제2 주영역(RO2)에 표시하기 위한 하위 메뉴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정보 메뉴는 그 하위에 업체 정보 관리 화면, 근로자 정보 관리 화면을 각각 제2 주영역(RO2)에 표시하기 위한 하위 메뉴를 가질 수 있다. 각각의 화면에 대한 실시예는 후술한다.
한편, 상술한 하위 메뉴는 제3 주영역(RO3)에 리스트업되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제3 주영역(RO3)에는 사용자에 의한 기간 선택을 안내하기 위한 캘린더도 함께 표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술한 단계들(S10 내지 S40)에 의해 생성된 제1 내지 제6 정보는 제2 주영역(RO2)에서 서로 다른 별개의 관리 화면을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되며, 이러한 서로 다른 별개의 관리 화면은 상위 메뉴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의해 서로 전환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사용자가 상위 메뉴 내지는 하위 메뉴를 클릭함으로써 (즉, 마우스나 키보드 등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를 통해 사용자 입력을 가함으로써) 제1 내지 제6 정보가 서로 다른 별개의 관리 화면으로 표시됨을 생각하면 된다.
제1 내지 제6 정보를 표시하는 화면을 순서대로 제1 관리 화면 내지 제6 관리 화면이라 한다. 그러면, 제1 정보는 제1 관리 화면을 구성하는 다수의 제1 GUI들을 통해 표시되고, 상기 제2 정보는 제2 관리 화면을 구성하는 다수의 제2 GUI들을 통해 표시되고, 상기 제3 정보는 제3 관리 화면을 구성하는 다수의 제3 GUI들을 통해 표시되고, 상기 제4 정보는 제4 관리 화면을 구성하는 다수의 제4 GUI들을 통해 표시되고, 상기 제5 정보는 제5 관리 화면을 구성하는 다수의 제5 GUI들을 통해 표시되며, 상기 제6 정보는 제6 관리 화면을 구성하는 다수의 제6 GUI들을 통해 표시될 수 있다.
각각의 GUI(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Graphic User Interface)들은 제1 내지 제6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표시자, 아이콘 내지는 객체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GUI들 내지 제6 GUI들은 근로자별로 정렬 및 날짜별로 분류되어 해당하는 관리 화면상에 리스트업되고, 날짜별 리스트업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기간에 대해 역순으로 정렬된다. 이는 일일 급여 등 관리의 효율을 높이고 또한 근로자별로 일일 급여 등 관리 결과를 보여줌으로써 보다 직관적이고 효율적인 관리를 가능하게 한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수집된 정보를 토대로 근로자의 출근시간 및 퇴근시간을 정의하고, 정의된 출근시간 및 퇴근시간을 기초로, 약정된 근무시간보다 적게 근무한 시간에 대해 지각/조퇴/외출 차감처리를 수행하고, 약정된 근무시간보다 많게 근무한 시간에 대해 연장근로 증분처리를 수행한다. 그리고, 차감처리 결과를 일단위로 환산한 뒤, 해당 근로자의 잔여 휴가 일수, 잔여연차3분지12 및 퇴직시연차수당 중 적어도 하나에 합산하고, 증분처리 결과를 일단위로 환산한 뒤, 해당 근로자의 각종수당 및 연장근로수당 중 적어도 하나에 합산함으로써 일일 급여 등 인적자원 관리를 보다 유기적이고 체계적으로 손쉽게 관리할 수 있도록 한다.
<실시예>
도 3a 및 도 3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출근 관리 화면을 도시한다. 도 3a는 출결사항 등록 및 수정을 위한 화면 영역의 일 구현예를, 도 3b는 등록 및 수정된 출결사항에 대한 현황을 표출하기 위한 화면 영역의 일 구현예를 도시한다. 출근 관리 화면이 도면에서는 도 3a와 도 3b로 서로 떨어져 도시되나 도 3a에 도시된 화면 영역 및 도 3b에 도시된 화면 영역은 서로 세로 방향으로 나란히 배열되어 출근 관리를 위한 시인성을 높일 수 있다.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화면 영역은 상술한 제2 주영역에 배치되는 것일 수 있다.
먼저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결사항은 시스템에 사용자별로 등록된 촐퇴근 체크기로부터 수집된 정보에 기초하여 매일 자동으로 등록될 수 있고, 또한 사용자에 의해 직접 수정될 수 있다.
그러면,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근 관리 화면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기간"에 대해서 시간에 대한 역순으로 일자별 출근 관리 관련 정보가 표시된다.
가장 최근 일자인 2018년 4월 7일 기준, 맨 아래에서부터 보면, 홍길동과 정도전은 각각 휴일에 해당하여 출근 기록이 없고, 이순신, 김유신 및 강감찬은 각각 촐근 기록은 있으나 외출 기록, 지각 기록 및 조퇴 기록이 있다. 이러한 기록은 시스템에 사용자별로 등록된 촐퇴근 체크기로부터 수집된 정보에 기초할 수 있고, 관리자에 의해 수정될 수도 있다.
한편,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기간"이 없는 경우 (즉, 평상시) 현재 날짜를 기준으로 하여 당월 1일에서 현재 날짜까지를 표출되도록 할 수 있다.
동일한 방식으로, 그 다음 일자인 2018년 4월 1일와 2018년 3월 31일자 기준으로도 출근 관리 관련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근로자가 5명인 실시예가 도시되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보다 많은 수의 근로자가 등록되어 관리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제한된 화면 내에 모두 표출하기 위한 스크롤바가 일자별 및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기간별에 각각 적용될 수 있다.
"출근 관리" 화면에서는 이와 같이 출결사항 등록 수정을 위한 GUI와, 근로자별 출근현황(항목, 상세내용), 약정시간(출근시간, 퇴근시간), 출근 체크시간(출근시간, 수정/연장), 퇴근 체크시간(퇴근시간, 수정/연장) 및 연락처를 보여주기 위한 GUI가 표시된다.
위 항목들 중 약정시간은 고용주와 피고용주간에 체결된 근로계약서에 기초하여 관리자에 의해 내지는 시스템에 업로드되는 근로계약서로부터 자동으로 입력된 것일 수 있다.
도 4a 및 도 4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출근/휴가 관리 화면을 도시한다. 도 4a는 휴가/휴직 등록을 위한 화면 영역의 일 구현예를, 도 4b는 등록된 휴가/휴직과 앞서 등록된 출근에 대한 현황을 표출하기 위한 화면 영역의 일 구현예를 도시한다. 도 4a 및 도 4b는 서로 세로 방향으로 나란히 배열되어 출근/휴가 관리를 위한 시인성을 높일 수 있다.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화면 영역은 상술한 제2 주영역에 배치되는 것일 수 있다.
먼저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가/휴직 관련 정보가 사용자에 의해 등록될 수 있다. 아래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특별휴가 목록에 있는 휴가는 사용자가 선택 등록할 수 있고, 특별휴가 목록에 없는 휴가는 사용자가 직접 입력하여 등록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러면,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가 관리 화면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기간"에 대해서 시간에 대한 역순으로 일자별 휴가 관리 관련 정보가 표시된다.
가장 최근 일자인 2018년 4월 7일 기준, 맨 아래에서부터 보면, 홍길동, 정도전 및 이순신은 각각 휴가 기록이 없고, 김유신 및 강감찬은 각각 휴가 1일의 기록이 있다.
한편, 출근/휴가 관리 화면에서는 앞서 등록된 출근 현황이 함께 표시된다. 도 3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근로자별 지각시간, 조퇴시간, 외출시간이 일자별로 합산되어 아래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관리될 수 있다.
이때, 지각/조퇴/외출은 10분 단위로 차감처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1분~10분까지(10분차감), 11분~20분까지(20분차감), 21분~30분까지(30분차감), 31분~40분미만(40분차감), 41분~50분미만(50분차감), 51분~60분미만(1시간차감), 61분~70분미만(1시간10분차감)의 방식으로서, 10분단위로 차감 적용되게 관리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근/휴가 관리 화면에서는 결근 항목도 함께 관리될 수 있으며, 결근시 급여차감액을 산출하고, 주휴수당의 유무를 결정하며, 또한 휴일근로수당의 유무를 결정하는 데에 활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결근시 급여차감액은 당월시급x8으로 산출하여 당일 차감되도록 하고, 결근주에 대해서는 주휴수당 없는 것으로 처리하며, 결근주 휴일근무시 휴일근로수당 없는 것으로 처리할 수 있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일별 급여 관리 화면을 도시한다. 도 5에 도시된 화면은 상술한 제2 주영역에 배치되는 것일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별 급여 관리 화면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기간"에 대해서 시간에 대한 역순으로 일자별 "일별 급여" 관리 관련 정보가 표시된다.
가장 최근 일자인 2018년 4월 7일 기준, 맨 아래에서부터 위로, 홍길동, 정도전, 이순신, 김유신 및 강감찬에 대한 일별 급여가 표시된다. 이를 위해, 당월일급, 각종수당 및 당일차감액에 기초한 당일급여가 산출되어 표시될 수 있고, 다시 여기에 세금, 4대보험료(국민연금, 건강/요양보험, 고용보험) 및 기타공제가 적용된 실지급액이 산출되어 표시될 수 있다. 각 근로자에 대해 표시되는 항목은 당월 당일(하루)급여로서, 누적급여가 아닌 당일급여이다. 한편, 당일 합계도 함께 표시되는데, 이는 근로자 전체에 대한 당일 합계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일별 급여 관리를 위한 상기 항목들은 매일 자정에 기등록된 업체정보, 근로자정보, 관련세법, 근로기준법 등 현행법에 근거하여 실시간으로 자동으로 계산되어 당일급여에 적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당월일급은 다음과 같이 산출될 수 있다.
기본급이 있는 근로자의 경우에는 다음의 수식에 따라 산출될 수 있다.
[수식 1]
당월일급 = 기본급 ÷ 당월달력일수
기본급 없는 근로자(시급제, 일급(일당)제, 기본급 없는 월급제 근로자 등)의 경우에는 당월일급을 다음의 수식에 따라 산출할 수 있다.
[수식 2]
당월일급 = {약정/통상월급 - 매월적용수당 - (정기적상여금/12)} / 당월달력일수
포괄임금제로 매월지급된 상여금은 각종수당에 포함하여 적용할 수 있다.
월급제 계약 근로자, 일당제 계약근로자, 시급제 계약근로자 각각에 대해 기본시급과 당월일급을 산출하는 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월급제 계약근로자의 경우에는 다음과 같다.
i) 기본시급 = 계약정보의 기본시급 (연동)
ii) 당월일급 = 기본시급 x 209 ÷ 당월달력일수(28일, 29일, 30일, 31일)
※ 유급휴일, 유급휴가, 주휴일(주휴수당이 월급에 포함되므로) = 기본일당 생성
※ 무급휴(무)일 = 0원
다음으로, 일당제 계약근로자의 경우에는 다음과 같다.
i) 기본시급 = 일당 ÷ 1일소정근로시간(휴게시간 자동 제외)
ii) 당월일급 = 일당(계약정보의 기본일당, 1일소정근로시간은 1~8시간까지만 적용, 초과시간은 수당으로 자동 적용)
그리고, 시급제 계약근로자의 경우에는 다음과 같다.
i) 기본시급 = 계약정보의 기본시급
ii) 당월일급 = 1주간소정근로시간(40시간까지만 적용, 초과시간은 수당으로 자동 적용) ÷ 근무일수] x 시급
그리고, 월급제의 경우 1일결근시 하루일당+1주주휴수당을 감액처리 적용하며, 이는 월급에 주휴수당 포함이기 때문이다. 시급제, 일급제의 경우 1일결근시 하루일당을 감액처리 적용한다.
한편, 상술한 산출 과정에는 만세력이 적용될 수 있다. 만세력은 4년마다 윤년 2월 29일, 평년 2월 28일을 고려하고, 1년 중 1월/3월/5월/7월/8월/10월/12월은 한달이 31일, 4월/6월/9월/11월은 한달이 30일, 2월은 한달이 28일 또는 29일을 고려한다. 이에 따르면, 매달 당월일급은 다르지만 시급, 월급은 같게 적용하도록 한다.
상술한 산출 과정에서 모든 시간단위는 분을 시간으로 환산하여, 10분(0.17), 20분(0.33), 30분(0.5), 40분(0.67), 50분(0.83), 60분/1시간(1.0)으로 해서 10분단위로 급여계산에 적용되게 한다. 그래서, 지각/조퇴/외출은 당일차감액에 등록하며, [1초~10분미만(0.17), 10분~20분미만(0.33), 20분~30분미만(0.5), 30분~40분미만(0.67), 40분~50분미만(0.83), 50분~60분(1시간)미만(1.0), ..... ]의 방식으로, 10분단위 차감 적용할 수 있다. 그리고, 연장근로시간은 [1초~10분미만(0.00), 10분~20분미만(0.17), 20분~30분미만(0.33), 30분~40분미만(0.5), 40분~50분미만(0.67), 50분~60분(1시간)미만(0.83), 60분~1시간10분미만(1.0) ..... ]의 방식으로 10분단위 버림 적용할 수 있다.
휴일근로는 휴일근로 가산수당 50%, 8시간초과시간은 연장근로 가산수당 50% 적용한다. 휴무일근로는 주 40시간 초과시간에 대해서 가산수당 50% 적용한다. 주휴일과 약정유급휴일 겹칠 경우 1일 휴일로 적용한다. 무급휴일/무급휴무일과 유급휴일이 겹칠 경우 유급휴일로 적용한다.
정규직은 쉬는날(휴일)은 모두 유급으로서 무급휴일이 없다. 비정규직(무기계약직, 계약직,일용직, 프리랜서)은 연차유급휴가 및 주휴수당 요건을 갖춘 주휴일은 유급이고 그외 쉬는날 모두 무급휴(무)일로 처리한다.
주휴일, 유급휴일 출근시 5인이상사업장은 당월일급 x 2.5로 계산할 수 있고, 5인미만사업장은 당월일급 x 2.0로 계산할 수 있다. 무급휴무일 출근시 5인이상사업장은 당월일급 x 1.5로 계산할 수 있고, 5인미만사업장은 당월일급 x 1.0로 계산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세금은 다음에 따라 산출될 수 있다.
먼저, 정규직, 계약직근로자의 경우에는 국세청 간이세액표 해당세액을 적용하여 다음과 같이 산출될 수 있다:
i) 소득세 = 국세청 간이세액표 공제대상가족(부양가족) 수 해당세액 자동적용
※간이세액표상 월급여액 = [기본급 + 각종수당 - 비과세수당금액 - 국세청학자금상환금액]
ii) 지방소득세 = 소득세 x 10%
iii) 세금 --- 매일 적용
다음으로, 일용직근로자의 경우에는 다음과 같이 산출될 수 있다:
i) 소득세 = {(일급여 - 10만원) × 6% × 45%} --- [1000원이하 0원처리]
ii) 지방소득세 = 소득세 × 10%
iii) 세금 --- 매일 적용
그리고, 프리랜서(사업소득자)의 경우에는 3.3%를 기준으로 다음과 같이 산출될 수 있다:
i) 소득세 = 일급여 x 3%
ii) 지방소득세 = 소득세 x 10%
iii) 세금 --- 매일 적용
상술한 일별 급여 관리 방식에 따르면, 말일퇴사가 아니고 월중 퇴사시 퇴직월급여에 대해 기본급과 모든 수당 일할계산하여 적용함으로써 [기본급/수당 ÷ 당월달력일수 x 퇴직일]의 수식으로 산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우측 중상단에 "◀ 2018-04 ▶" 버튼(BS)은 간편검색 기능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왼쪽 화살표 클릭시 직전월이 검색기간으로 자동으로 설정되어 검색 결과를 표출할 수 있도록 하고 오른쪽 화살표 클릭시 바로 다음 달이 검색기간으로 자동으로 설정되어 검색 결과를 표출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양쪽 화살표 사이에 날짜로 활성화되어 있어서 이를 클릭시 월력이 나타나도록 할 수 있다.
도 6a 및 도 6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수당 관리 관리 화면을 도시한다. 도 6a는 기타수당 등록을 위한 화면 영역의 일 구현예를, 도 4b는 등록된 기타수당과 시간외수당에 대한 현황을 표출하기 위한 화면 영역의 일 구현예를 도시한다. 도 6a 및 도 6b는 서로 세로 방향으로 나란히 배열되어 수당 관리를 위한 시인성을 높일 수 있다.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화면 영역은 상술한 제2 주영역에 배치되는 것일 수 있다.
먼저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타수당 관련 정보가 사용자에 의해 등록될 수 있다. 기타수당 등록창은 리스트 성명을 클릭해서 등록하고 저장하면 기타수당창에 바로 등록되어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수정시에는 기타수당창에서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그러면,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당 관리 화면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기간"에 대해서 시간에 대한 역순으로 일자별 휴가 관리 관련 정보가 표시된다.
가장 최근 일자인 2018년 4월 7일 기준, 맨 아래에서부터 위로, 홍길동, 정도전, 이순신, 김유신 및 강감찬에 대한 수당이 표시된다. 이를 위해, 시급, 주휴수당(시간수, 금액), 연장근로수당(시간수, 금액), 야간근로수당(시간수, 금액), 휴일근로수당(시간수, 금액), 기타수당(과세금액, 비과세금액, 합계) 및 합계가 산출되어 표시될 수 있다. 이때, 연장근로수당, 야간근로수당 및 휴일근로수당은 시간외수당으로 분류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주휴수당은 다음과 같이 산출될 수 있다.
주휴수당은 1인이상 모든 사업장, 모든근로자에 적용되는 것으로서, 단, 1주 15시간 미만 근무하는 초단시간 근로자에게는 주휴수당 지급의무가 없다. 주휴수당은 1주소정근무일 개근시 주휴일에 발생하고, 결근 있으면 발생하지 않으며, 지각/조퇴는 상관없이 주휴수당이 발생한다. 주휴일, 주휴수당은 상시근로자 또는 단기간 근로자에 관계 없이 결근없이 1주일에 15시간 이상 근무한 모든 근로자에 적용한다.
정규직, 계약직, 일용직근로자는 1주 소정근로시간이 40시간 이상인 통상의 근로자로서, 주휴수당 = [ 8시간 x 기본시급 ] 를 적용한다.
단시간근로자는 1주 소정근로시간이 15시간 이상 ~ 40시간 미만인 단시간 근로자로서, 주휴수당 = [(1주 소정근로시간/40시간) x 8 x 기본시급] 를 적용한다.
프리랜서, 초단시간 근로자는 주휴수당 없음으로 적용한다.
주휴수당 생성일은 주휴일에 생성되며, 주휴일은 해당 주의 마지막 근무일의 다음날이다.
퇴직이나 그만두는 마지막 주는 만근과 상관없이 주휴수당 인정되지 않는다.
1주 주휴수당 계산은 1주 소정근로시간에 따라 달라진다.
일 실시예에 따라, 연장근로수당은 다음과 같이 산출될 수 있다.
5인이상 사업장에서 주 6일 44시간 근무하는 근로자는 초과근무 4시간은 연장근로수당 지급한다. 즉, 1주간 40시간 넘으면 연장근로수당 지급한다. 휴일근로는 휴일근로 가산수당 50%, 8시간초과시간은 연장근로 가산수당 50% 적용한다. 휴무일근로는 주 40시간 초과시간에 대해서 가산수당 50% 적용한다. 주휴일과 약정유급휴일 겹칠 경우 1일 휴일로 적용한다. 무급휴일/무급휴무일과 유급휴일이 겹칠 경우 유급휴일로 적용한다.
한편, 단시간 근로자는 1주 소정근로시간이 40시간 이상인 통상의 근로자에 비해 짧은 1주 15시간 이상 40시간 미만 근로를 제공하는 자를 말한다. 초단시간 근로자는 1개월간 소정근로시간이 60시간 미만인 자(1주간의 소정근로시간이 15시간 미만인 자를 포함한다)는 근로기준법상 주휴일, 주휴수당, 연차유급휴가, 퇴직금이 발생하지 않는다.
5인미만 사업장은 연장근로, 야간근로, 휴일근로에 대한 수당 지급 의무가 없으며, 주휴일, 주휴수당만 있다. 만약 지급하게 되는 경우에는 연장근로수당 = 시급 x 연장근로시간 x 1(100%) 을 적용하고, 야간근로수당 = 시급 x 근로시간 x 1(100%) 을 적용하며, 휴일근로수당 = 시급 x 근로시간 x 1(100%) 을 적용한다. 그리고, 유급휴일, 주휴일 출근시 수당이 없으나, 휴일근로일당이 발생하여, 휴일일당 + 근로일당 200% 을 적용할 수 있고, 무급휴(무)일 출근시 수당이 없으나, 근로일당 100% 를 적용할 수 있다.
5인미만 사업장은 추가근로수당이 없으며, 시간x1.0으로 계산한다. 5인이상 사업장은 무조건 주40시간 이상은 추가근로수당 지급하며, 시간x1.5으로 계산한다.
무급휴일(무급휴무일)과 유급휴일이 겹쳤을 때 유급휴일로 처리하며, 주휴일과 유급휴일 중복시 --- 1일의 휴일로 처리하고, 조출수당은 연장근로수당에 포함하여 적용한다.
결근시 급여차감액 = 당월시급x8으로 계산하여 당일차감되게 한다. 결근주에는 주휴수당 없고, 결근주 주휴일 출근시 휴일근로수당이 없다.
한편, 아래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은 비과세수당표를 참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내용을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5인이상 사업장의 경우, 수당이 있다. 이는 단시간근로자에게도 적용된다. 1일 8시간 초과 근로에 대해서 또는 주40시간 초과하는 근로에 대해서는 가산수당을 지급한다.
i) 1일24시간에서 출근시간에서 8시간(휴게시간제외)은 기본근로시간이며 8시간 이후부터는 연장근로수당을 적용한다.
ii) 기본근로시간으로서 출근후 8시간까지이고, 이후시간은 연장근로시간이며, 밤10시(22시)이후 ~ 익일 06시까지는 야간근로시간이다.
iii) 소정근로시간이 하루 8시간미만 즉, 8시간까지는 가산수당이 없다.
iv) 근로가 역일을 달리하여 다음 날까지 계속되면 이는 전일의 근로로서 8시간초과분은 연장근로가 된다.
v) 연장근로는 1일 8시간 초과근로시간을 우선적용한다. 주당 40시간 초과근로시간도 연장근로로 처리하고 연장근로수당을 지급한다.
이때, 근로시간이 1주 40시간을 초과하지 않는다고 하여도 1일 근로시간이 8시간을 초과하는 근로시간이 있다면 사용자는 초과하는 시간에 대하여는 별도의 연장근로수당을 지급하여야 한다. ※연장근로시간 = [퇴근시간 - 출근시간 - 휴게(점심,저녁,야식)시간 - 8시간], ※야간근로시간 = 당일 22시 부터 익일 06시(오후 10시부터 오전6시) 까지
연장근로수당의 경우, 통상시급 x (연장퇴근시간-출근시간 - 휴게시간 - 법정근로시간) x 1.5(150%)로 산출한다. ※법정근로시간 : 만18세이상인 자의 근로시간은 1일에 8시간, 1주간에 40시간이고, 15세 이상 18세 미만인 자의 근로시간은 1일에 7시간, 1주에 35시간이다.
야간근로수당의 경우, 통상시급 x 야간근로시간 x 50% --- 야간(22시 ~ 06시 까지)로 산출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연장근로시간 산출시 10분단위 버림 적용할 수 있으며, 일례로, 19:10~19:19 까지는 19:10으로 계산할 수 있다.
휴일근로수당의 경우, 주휴일, 유급휴일, 무급휴일 출근시 발생하며, 주휴일과 유급휴일의 중복시 1일의 휴일로 적용한다.
주휴일, 유급휴일 출근시, 5인이상사업장 = 당월일급 + 휴일근로수당(통상시급 x 근로시간 x 1.5)로 산출하고, 5인미만사업장 = 당월일급 + 휴일근로수당(통상시급 x 근로시간 x 1.0)로 산출한다.
무급휴무일 출근시, 5인이상사업장 = 휴일근로수당(통상시급 x 근로시간 x 1.5)로 산출하고, 5인미만사업장 = 휴일근로수당(통상시급 x 근로시간 x 1.0)로 산출한다.
5인이상사업장 무급휴무일 출근시, 1주 근무가 40시간 초과시간이면 연장근무로 인정해서 50%(0.5)배 가산 적용한다. 1주 근무가 40시간 이하시간이면 기본근무로 인정해서 가산 적용하지 않는다.
도 7a 및 도 7b는 일 실시예에 따른 공제 관리 화면을 도시한다. 도 7a는 기타공제 등록을 위한 화면 영역의 일 구현예를, 도 7b는 등록된 기타공제와 세금 및 4대보험에 대한 현황을 표출하기 위한 화면 영역의 일 구현예를 도시한다. 도 7a 및 도 7b는 서로 세로 방향으로 나란히 배열되어 공제 관리를 위한 시인성을 높일 수 있다.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화면 영역은 상술한 제2 주영역에 배치되는 것일 수 있다.
먼저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타공제 관련 정보가 사용자에 의해 등록될 수 있다. 기타공제 등록창은 리스트 성명을 클릭해서 등록하고 저장하면 기타공제창에 바로 등록되어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수정시에는 기타공제창에서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세금은 다음에 따라 산출될 수 있다.
먼저, 정규직, 계약직근로자의 경우에는 국세청 간이세액표 해당세액을 적용하여 다음과 같이 산출될 수 있다:
i) 소득세 = 국세청 간이세액표 공제대상가족(부양가족) 수 해당세액 자동적용
※간이세액표상 월급여액 = [기본급 + 각종수당 - 비과세수당금액 - 국세청학자금상환금액]
ii) 지방소득세 = 소득세 x 10%
iii) 세금 --- 매일 적용
다음으로, 일용직근로자의 경우에는 다음과 같이 산출될 수 있다:
i) 소득세 = {(일급여 - 10만원) × 6% × 45%} --- [1000원이하 0원처리]
ii) 지방소득세 = 소득세 × 10%
iii) 세금 --- 매일 적용
그리고, 프리랜서(사업소득자)의 경우에는 3.3%를 기준으로 다음과 같이 산출될 수 있다:
i) 소득세 = 일급여 x 3%
ii) 지방소득세 = 소득세 x 10%
iii) 세금 --- 매일 적용
일 실시예에 따라, 4대보험은 다음에 따라 산출될 수 있다.
일용직근로자와 초단시간근로자는 4대보험을 적용하여 아래 표 4와 같이 적용할 수 있다. 이때, 초단시간근로자는 1개월간 소정근로시간이 60시간 미만인 자(1주간의 소정근로시간이 15시간 미만인 자를 포함한다)이다.
4대보험 중 산재보험은 회사부담이므로 근로자에겐 적용치 않는다. 즉, 정규직, 계약직근로자는 국민연금, 건강보험, 고용보험을 적용하고, 일용직근로자는 고용보험만 적용하고, 프리랜서는 해당사항이 없다. 이때, 일용직근로자란는 일반업종의 경우 3개월미만 근무한 근로자이고, 건설업의 경우 1년 미만인 근로자이다. 프리랜서(사업소득자)는 4대보험 해당사항 없다.
4대보험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국민연금(2019년 7월 1일~2020년 6월 30일 시행 기준)
국민연금은 입사한 날이 속하는 달의 다음 달부터 즉, 입사한 다음달부터 적용한다. 국민연금은 6월까지 전년도 보험료가 계속 부과되고 7월부터 새로운 보험료가 부과된다. 매월 지급받는 급여가 다르더라도 동일한 보험료를 부과한다.
기준소득월액은 전년도 중 해당 사업장에서 종사한 기간에 받은 소득액을 그 기간의 총일수로 나눈 금액의 30배에 해당하는 금액을 소득월액으로 하여 매년 공단이 결정한다. (가입한 첫해는 회사에서 국민연금공단에 신고한 소득으로 징수한다.) 즉, 입사 첫해 = 당월급여 x 4.5% 로 적용하고, 입사 다음해 부터 = 기준소득월액 x 4.5% 로 적용하며, 매월 1일에 자동 등록되게 한다.
기준소득월액 상하한액으로서, 월급 32만원 이하는 32만원을 적용하고, 월급여 503만원 이상 근로자는 503만원만 적용한다.
건강보험, 장기요양보험(2020년 1월 1일 시행 기준)
매일 계산 자동으로 적용되게 한다.
한편, 건강보험, 고용/산재보험의 경우 매년 3월에 보험료를 정산하므로 신고금액이 상이하다 하더라도 이후 정산 가능하기에 아래와 같이 당월급여 기준으로 일 단위로 매일 계산 적용되게 한다.
8일이상 1개월미만 근로자의 경우, 건강보험총액 = 건강보험료 + 장기요양보험료이다. 이때, 건강보험료 = (당일급여 - 당일 비과세금액) x 근로일수 x 3.43%이고, 장기요양보험료 = 건강보험료 x 11.52%이다.
1개월이상 근로자의 경우, 건강보험총액 = 건강보험료 + 장기요양보험료이다. 이때, 건강보험료 = (당월급여 - 당월 비과세금액) x 3.43%이고, 장기요양보험료 = 건강보험료 x 11.52%이다.
고용보험(실업급여)( 2020년 1월 1일 시행 기준)
매일 적용되게 한다.
한편, 건강보험, 고용/산재보험의 경우 매년 3월에 보험료를 정산하므로 신고금액이 상이하다 하더라도 이후 정산 가능하기에 --- 아래와 같이 당월급여 기준으로 일 단위로 매일 계산 적용되게 한다.
하루(1일)를 근무해도 공제하며, 만 65세이상은 해당없다. 근로자 = (당일급여 - 당일 비과세금액) x 0.8% 로 적용한다.
한편, 4대보험요율은 매년 변동사항이 발생하므로 관리자가 관리자 페이지에서 수정 적용할 수 있게 GUI가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월간 누적급여 관리 화면을 도시한다. 도 8에 도시된 화면은 상술한 제2 주영역에 배치되는 것일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월간 누적급여 관리 화면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기간"에 대해서 시간에 대한 역순으로 일자별 일별 급여 관리 관련 정보가 표시된다.
가장 최근 일자인 2018년 4월 7일 기준, 맨 아래에서부터 위로, 홍길동, 정도전, 이순신, 김유신 및 강감찬에 대한 월간 누적급여가 표시된다. 이를 위해, 당월누적일급, 각종수당 및 당월누적차감액에 기초한 당월누적급여가 산출되어 표시될 수 있고, 다시 여기에 세금, 4대보험료(국민연금, 건강보험, 요양보험, 고용보험) 및 기타공제가 적용된 실지급액이 산출되어 표시될 수 있다.
각 근로자에 대해 당월 당일(오늘)까지 누적급여가 당월급여로서 표기된다.
도시된 누적 합계 항목은 근로자 전체에 대한 월간누적합계이다. 예를 들어, 4월 7일자 누적 합계 항목의 실지급액으로 표시되는 것은 4월 1일~7일까지 누계일 수 있다. 3월 31일자 누적 합계 항목의 실지급액으로 표시되는 것은 3월 1일~31일까지 누계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우측 중상단에 "◀ 2018-04 ▶" 버튼(BS)은 간편검색 기능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왼쪽 화살표 클릭시 직전월이 검색기간으로 자동으로 설정되어 검색 결과를 표출할 수 있도록 하고 오른쪽 화살표 클릭시 바로 다음 달이 검색기간으로 자동으로 설정되어 검색 결과를 표출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양쪽 화살표 사이에 날짜로 활성화되어 있어서 이를 클릭시 월력이 나타나도록 할 수 있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월별 급여 관리 화면을 도시한다. 도 9에 도시된 화면은 상술한 제2 주영역에 배치되는 것일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월별 급여 관리 화면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기간"에 대해서 시간에 대한 역순으로 "월별 급여" 관리 관련 정보가 표시된다.
가장 최근 일자인 2018년 5월 기준, 맨 아래에서부터 위로, 홍길동, 정도전, 이순신, 김유신 및 강감찬에 대한 월별 급여가 표시된다. 이를 위해, 당월일급, 각종수당 및 당월차감액에 기초한 당월급여가 산출되어 표시될 수 있고, 다시 여기에 세금, 4대보험료(국민연금, 건강보험, 요양보험, 고용보험) 및 기타공제가 적용된 실지급액이 산출되어 표시될 수 있다. 각 근로자에 대해 4월 1일부터 오늘까지 당월 누적급여가 다음 달(5월)급여로서 나타난다.
일 실시예에 따라, 기본급이 있는 근로자는 당월일급 = 기본급 ÷ 당월달력일수 로 산출식을 적용한다. 기본급 없는 근로자(시급제, 일급(일당)제, 기본급 없는 월급제 근로자 등)는 당월일급 = {약정/통상월급 - 매월적용수당 - (정기적상여금/12)} / 당월달력일수 로 산출식을 적용한다. 포괄임금제로 매월지급된 상여금은 각종수당에 포함하여 적용할 수 있다.
한편, 도면의 우측에 도시된 급여지급일 항목은 당월 급여지급이 확인되면 실지급일을 표시하기 위해 검정색으로 나타나게 할 수 있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상여금 관리 화면을 도시한다. 도 10에 도시된 화면은 상술한 제2 주영역에 배치되는 것일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여금 관리 화면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기간"에 대해서 시간에 대한 역순으로 "상여금" 관리 관련 정보가 표시된다.
가장 최근 일자인 2018년 추석상여금 기준, 맨 아래에서부터 위로, 홍길동, 정도전, 이순신, 김유신 및 강감찬에 대한 상여금이 표시된다. 이를 위해, 입사일, 기본급 및 지급규정(기본금의%, 금액)에 기초한 공제전상여금이 산출되어 표시될 수 있고, 다시 여기에 세금 및 4대보험(건강보험, 요양보험, 고용보험)이 적용된 실지급액이 산출되어 표시될 수 있다. 각 근로자에 대한 정기적상여는 당월 1일에 자동 등록되어 나타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출근율은 출근율 = 출근일수/ 소정근로일수 * 100 로 산출될 수 있고, 직전 상여지급일 다음날 부터 금번 상여금 지급일까지 적용할 수 있다.
한편, 상여금 수작업 등록시 상여명, 지급월, 지급일은 후술하는 <업체 정보> 상여금 등록창에 자동 등록되게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여금에 대한 소득세는 다음에 따라 산출될 수 있다.
i) 소득세는 1개월간 수령한 총 금액으로 과세한다.
ii) 상여금소득세 계산 = [간이세액표 상의 월 총소득액 (당월지급급여 + 당월상여금)에 대한 공제대상가족 수 해당세액] - [간이세액표 상의 (당월지급급여)에 대한 공제대상가족 수 해당세액]
※즉, 상여금소득세 = 간이세액표(당월지급급여 + 당월급여지급일 이전 지급상여금) 해당세액 ㅡ 당월지급급여 해당세액
iii) 세금 공제없이 당월 급여지급일 이전에 지급한 명절상여금, 특별상여금은 당월 지급급여에서 세금공제되게 적용한다.
iv) 세금 공제없이 당월 급여지급일 이후에 지급한 명절상여금, 특별상여금은 익월(다음달) 지급급여에서 세금공제되게 적용한다.
※즉, 세금 공제없이 당월 급여지급일 이전에 지급한 상여금은 당월 지급급여에서 세금공제되며, 급여지급일 이후에 지급한 상여금은 익월(다음달) 지급급여에서 세금공제되게 한다.
v) 명절상여금, 특별상여금은 세금공제 없이 산정금액전액 지급되게 적용하고, 정기상여금은 당월급여에 포함한 간이세액표 상의 해당세액 공제되게 적용한다.
vi) 지방소득세 = 소득세 x 10%
vii) 건강/요양보험(2020년 1월 1일 시행 기준) 매일 계산되게 적용한다. * 건강보험료 = [당일지급 일급(일당) + 산정상여금] x 3.43%, * 장기요양보험료 = 건강보험료 x 11.52%
viii) 고용보험(2020년 1월 1일 시행 기준) 매일 계산되게 적용한다. * 고용보험료 = [당일지급 일급(일당) + 산정상여금] x 0.8%
한편, 도면의 우측에 도시된 상여지급일 항목은 당월 상여지급이 확인되면 실지급일을 표시하기 위해 검정색으로 나타나게 할 수 있다.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른 급여 내역서 관리 화면을 도시한다. 도 11에 도시된 화면은 상술한 제2 주영역에 배치되는 것일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급여 내역서 관리 화면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근로자" 및 "기간"에 대해서 시간에 대한 역순으로 "급여 내역서" 관리 관련 정보가 표시된다.
가장 최근 일자인 2018년 5월 기준, 선택된 근로자인 강감찬에 대한 급여 내역서가 표시된다. 이때, 선택된 기간은 2018년 4월 1일부터 7일까지이므로, 해당 근로기간에 대해서만 급여 내역이 표시됨을 주목한다.
한편, 포괄임금제 상여금 항목은 포괄임금제 근로자만 등록되어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퇴직시 잔여연차수당은 마지막달 급여에 포함되어 지급되게 할 수 있다.
도 12는 일 실시예에 따른 급여 명세서 관리 화면을 도시한다. 도 12에 도시된 화면은 상술한 제2 주영역에 배치되는 것일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급여 명세서 관리 화면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근로자" 및 "기간"에 대해서 시간에 대한 역순으로 "급여 명세서" 관리 관련 정보가 표시된다.
가장 최근 일자인 2018년 4월 기준, 선택된 근로자인 강감찬에 대한 급여 명세서가 표시된다. 이때, 선택된 기간에 따른 기준 일자는 2018년 4월 7일이므로, 직전 급여 지급월인 2018년 3월에 대한 급여가 표시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3월 급여와 정기1차 상여금이 표시될 수 있다.
급여 명세서에 포함된 이메일 항목은 근로자정보로부터 자동 등록되어 표시될 수 있다.
한편, 퇴직시 급여를 정할 때에는 당월급여지급전이라면, 전월근로급여 + 당월 퇴직일까지 급여를 지급하고, 당월급여지급후라면, 당월1일부터 퇴직일까지 급여를 지급한다.
도 13은 일 실시예에 따른 퇴직금 관리 화면을 도시한다. 도 13에 도시된 화면은 상술한 제2 주영역에 배치되는 것일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퇴직금 관리 화면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기간"에 대해서 시간에 대한 역순으로 일자별 퇴직금 관리 관련 정보가 표시된다.
가장 최근 일자인 2018년 4월 7일 기준, 맨 아래에서부터 위로, 홍길동, 정도전, 이순신, 김유신 및 강감찬에 대한 퇴직금이 표시된다. 이를 위해, 입사일, 중간정산일, 근속연수, 근속월수, 재직일수, 재직일수, 3개월 총급여, 상여금3/12, 잔여연차3/12, 1일 평균임금, 법정퇴직금액, 명예퇴직금액, 퇴직소득세, 지방소득세, 세금합계를 기초로 실지급액이 산출되어 표시될 수 있다.
각 근로자에 대해 당월 당일(오늘)까지 누적급여가 당월급여로서 표기된다.
도시된 누적 합계 항목은 근로자 전체에 대한 월간누적합계이다. 예를 들어, 4월 7일자 누적 합계 항목의 실지급액으로 표시되는 것은 4월 1일~7일까지 누계일 수 있다. 3월 31일자 누적 합계 항목의 실지급액으로 표시되는 것은 3월 1일~31일까지 누계일 수 있다.
근속연수, 근속월수, 재직일수 산출시 다음에 따라 산출될 수 있다.
(그림 1)
상여금3/12는 퇴직일 이전 1년간 지급받은 상여금 전액을 12개월로 나눈 후 3개월분 금액에 해당하는 것으로서, 12개월동안 받은 총상여금/12x3에 해당한다.
잔여연차3/12는 평균연차금액으로서, [잔여연차x시급x8/12x3]로 산출될 수 있다.
잔여연차수당은 퇴직월 급여에 포함되어 지급될 수 있고, 잔여연차수당에서 3/12 금액은 퇴직금 계산에 포함되게 하고, 퇴직월에 발생하는 연차는 포함되지 않게 할 수 있다.
1일 평균임금은 1일 평균임금 = {퇴직전3개월 총급여/퇴직전3개월 총재직일수) + 상여금 3/12개월분 + 잔여연차 3/12개월분} / 최종3개월 재직일수 로 산출될 수 있다.
법정퇴직금액은 법정퇴직금액 = [1일 평균임금 x 30일 x 재직일수/365] 로 산출될 수 있다.
퇴직소득세는 다음과 같이 산출될 수 있다: 2019년 퇴직소득세 = [(종전규정산출세액x20%) + (개정규정산출세액x80% )], 2020년 이후 퇴직소득세 = (종전규정산출세액x20%) + (개정규정산출세액x100%), 퇴직금 지방소득세 = 퇴직소득세의 10%
일 실시예에 다르면, 퇴직소득세는 국세청 퇴직 소득세액 프로그램(국세청 프로그램, 2020년 귀속 퇴직소득 세액계산 프로그램(2020.03.13)) 연동하여 자동계산되게 할 수 있다.
퇴직금은 5인이상 사업장에서는 산정 퇴직금의 100% 지급해야 하고, 5인미만 사업장에서는 2010년 12월1일 이전 근로에 대해서는 지급의무가 없으나 2010년 12월 1일부터 2012년 12월 31일까지는 산정 퇴직금의 50% 지급하며, 2013년 1월 1일부터는 산정 퇴직금의 100% 지급해야 하므로, 이를 적용하여 산출할 수 있다. 또한, 1주 15시간 미만 근무하는 초단시간근로자에 대해서는 퇴직금 지급의무가 없고, 1년미만 근무한 근로자는 퇴직금이 없으므로 이를 적용하여 산출할 수 있다.
실지급액 항목은 매일 계산되어 표시될 수 있다.
도 14는 일 실시예에 따른 퇴직자 관리 화면을 도시한다. 도 14에 도시된 화면은 상술한 제2 주영역에 배치되는 것일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퇴직자 관리 화면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기간"에 대해서 시간에 대한 역순으로 퇴직자 관리 관련 정보가 표시된다.
가장 최근 일자인 2018년 4월 7일 기준, 맨 아래에서부터 위로 근로자들이 표시되며, 각 근로자에 대해 관리되는 입사일, 중가정산일, 근무지/부서, 직위/직책, 재직일수, 근속년수, 세전 퇴직금, 세금(소득세, 지방소득세, 세금합계), 실지급액, 퇴사일, 퇴직금지급일, 지급확인 항목이 표시될 수 있다. 도면에서 홍길동, 정도전, 이순신, 김유신, 강감찬은 퇴직자가 아니므로 0원으로 표시되고 있으나, 실제 퇴직자가 발생하였을 때에는 해당 항목이 산출되어 채워질 수 있으며, 합계도 산출되어 함께 표시될 수 있다.
관련 규정에 따르면 퇴직금을 받을 권리는 3년이므로 퇴직한 날로부터 3년이 지나면 자동 삭제되도록 관리될 수 있으며, 따라서, 퇴사일 기준 3년 지난 퇴직자는 자동삭제될 수 있다.
도 15는 일 실시예에 따른 퇴직금 명세서 관리 화면을 도시한다. 도 15에 도시된 화면은 상술한 제2 주영역에 배치되는 것일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퇴직금 명세서 관리 화면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근로자" 및 "기간"에 대해서 시간에 대한 역순으로 "퇴직금 명세서" 관련 정보가 표시된다.
가장 최근 일자인 2018년 4월 7일 기준, 선택된 근로자인 강감찬에 대한 퇴직금 명세서가 표시된다. 이때, 선택된 기간에 따른 기준 일자는 2018년 4월 7일이므로, 이 시점을 기준으로 퇴직금 및 공제내역에 대한 퇴직금 명세가 표시된다. 한편, 도면에서는 강감찬이라는 근로자가 아직 퇴직 전이어서 세부 항목들은 모두 빈칸 내지는 0으로 기입되어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실제 퇴직자인 경우에는 앞서 살펴본 퇴직금 관리 관련 정보를 기반으로 해당 항목들에 대한 값이 채워져 있을 수 있다.
급여 명세서에 포함된 이메일 항목은 근로자정보로부터 자동 등록되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관련 규정에 따르면 퇴직금을 받을 권리는 3년이므로 퇴직한 날로부터 3년이 지나면 자동 삭제되도록 관리될 수 있다.
도 1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연간 급여소득 관리 화면을 도시한다. 도 16에 도시된 화면은 상술한 제2 주영역에 배치되는 것일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간 급여소득 관리 화면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기간"에 대해서 시간에 대한 역순으로 "연간 급여소득" 관련 정보가 표시된다.
가장 최근 일자인 2018년 4월 기준, 맨 아래에서부터 위로, 홍길동, 정도전, 이순신, 김유신 및 강감찬에 대한 연간 급여소득 내역이 표시된다. 이를 위해, 과세소득, 비과세소득, 공제전소득액(급여+상여급), 세금(소득세, 지방소득세), 4대보험(국민연금, 건강보험, 장기요양보험, 고용보험)을 기초로 실지급액이 산출되어 표시될 수 있다.
한편, 도면의 우측에 도시된 급여지급일 항목은 당월 급여지급이 확인되면 실지급일을 표시하기 위해 검정색으로 나타나게 할 수 있다.
도 1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연차 관리(입사일 기준) 화면을 도시한다. 도 17에 도시된 화면은 상술한 제2 주영역에 배치되는 것일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차 관리(입사일 기준) 화면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기간"에 대해서 시간에 대한 역순으로 "연차 관리(입사일 기준)" 관련 정보가 표시된다.
가장 최근 일자인 2018년 4월 7일 기준, 맨 아래에서부터 위로, 홍길동, 정도전, 이순신, 김유신 및 강감찬에 대한 연차 내역이 표시된다. 이를 위해, 1일통상임금, 입사일(근속년수, 근속년차), 전전년도미사용연차수당으로서 잔여연차일수, 잔.시간수, 연차수당(미사용연차수당, 수당지급일)이 산출되어 표시될 수 있고, 전년도잔여연차일수로서 잔여연차일수, 잔.시간수, 사용내역검색, 금년도발생연차로서 소정일수, 출근일수, 출근율%, 발생연차, 연차발생일, 1년미만연차가 산출되어 표시될 수 있으며, 퇴직시연차수당으로서 잔여연차일수, 잔.시간수, 연차수당이 산출되어 표시될 수 있다.
통상일급 항목은 근로계약정보를 기초로 산출될 수 있다.
출근율은 다음과 같이 산출될 수 있다: 출근율 = 출근일수/ 소정근로일수 x 100 (입사일기준으로 적용)
지각, 조퇴, 외출은 연차 전환사용이 가능하도록 10분단위로 차감 적용될 수 있으며, 1시간은 60분, 1일은 8시간으로 적용될 수 있다.
잔여연차일수 항목은 다음과 같이 산출될 수 있다: 연차시간수 = 연차일수 x 8 + 잔여시간수 + (잔여10분단위수 /60) 이때, 잔여연차일수가 6일4시간20분으로서 6x8+4+(20/60) = 52.03333.../8 = 6.54166...와 같이 산출되는 경우 이는 6.5일로 표시될 수 있다.
연차수는 소수점 1자리까지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잔여연차일수나 시간수도 소수점 1자리까지만 나타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내역검색 항목은 사용자가 눌렀을 때, 화면전환 내지는 팝업창을 통해 표시될 수 있으며, 다음과 같은 항목을 앞서 살펴본 휴가 관리 정보를 기반으로 표시할 수 있다.
근속연수, 잔여일수 산출시 자동계산될 수 있도록 앞서 살펴본 그림 1에 따라 산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연차유급휴가는 1년 단위기간 중 일하기로 정한날을 기준인 소정근로일을 기준으로 판단한다. 따라서 유급주휴일이나 근로자의 날, 취업규칙 등에서 정한 약정휴일과 휴가, 특별한 사유로 근로제공의무가 정지되는 날은 소정근로일이 아니므로 출근율 계산에서 제외된다.
소정근로일수에 포함하며 출근한 것으로 적용되는 것은 다음과 같다.
- 연차유급휴가 및 여성보건휴가
- 예비군훈련기간 및 민방위훈련기간, 공민권 행사 휴무일(선거, 투표 등)
- 출산전후휴가기간, 유사산휴가기간
- 기타 근로자에게 책임없는 사유로 인해 근로하지 못한 기간 (회사의 휴업/휴가 등)
- 업무상 재해로 인해 휴업/휴가 한 기간
ii) 소정근로일수 에 포함되지 않는 것으로 적용되는 것은 다음과 같다.
- 법령 또는 약정에 의한 휴일(주휴일, 무급휴(무)일, 근로자의 날, 약정휴일, 약정휴가, 육아휴직기간)
iii) 소정근로일수에 포함하되 결근으로 적용되는 것은 다음과 같다.
- 불법파업으로 인한 쟁의 기간
- 개인사정으로 휴업한 기간(부상 또는 질병으로 휴업한 기간, 휴직기간)
- 정직 등 근로자 귀책사유로 징계처분 받아 출근이 정지된 기간(출근정지 기간이 2년에 걸치는 경우는 각 년도별로 소정근로일수에서 결근으로 처리)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재직자 연차휴가발생기준은 근속년수기준으로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회사에 입사한 시점부터 1년을 근무한 경우, 해당 1년 근무기간 동안 80% 이상 출근했을 때 15일의 연차가 발생하고 유급휴가를 받을 수 있는 것으로 적용할 수 있다. 1년 미만 혹은 1년간 80% 미만 출근한 경우 한 달 동안 개근했을 때 1일의 유급휴가를 받는 것으로 적용할 수 있다(즉 총 11개).
일례로, 연차휴가 계산 결과(입사일 기준)는 다음과 같이 표로 나타낼 수 있다.
근속년수 1년미만근로자의 경우, 입사월 0개, 1달 개근시마다 다음달에 1개 생성되며, 최대 연차유급휴가 11개 발생하는 것으로 적용할 수 있다.
근속년수 2년미만근로자의 경우, 근무 개월수에 상관없이 해당 1년 근무기간 동안 80% 이상 출근했을 때 15일의 연차가 발생하는 것으로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2019년 6월 20일 입사했을 때 2020년 6월 19일까지를 1년으로 계산하여 [11개+15개 = 26개] 연차유급휴가를 적용할 수 있다.
근속년수 2년이상 근로자의 경우, 근무개월수에 상관없이 해당 1년 근무기간 동안 80% 이상 출근했을 때 근속연수에 따른 연차가 발생하는 것으로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2019년 6월 20일 입사했을 때 2020년 6월 19일까지를 1년으로 계산하여, 연차유급휴가 [15개 + 근속년수/2] 발생하고, 3년차 16개, 4년차 17개, 5년차 17개, 6년차 18개, 이후, 최대 25개가 발생하는 것으로 적용할 수 있으며, 25개 초과시 25개만(근속연수 21년 이후부터) 인정하는 것으로 적용할 수 있다. 이때, 발생연차 = [ 근속년수/2 + 15 ] 로 산출할 수 있고, 나머지는 반올림이 아닌 버림을 적용하며, 최대 25개로서 22년 이상 근속시 25개만 인정하는 것으로 적용할 수 있다. 금년도발생연차는 입사일기준이므로 입사일전날까지는 0개, 입사일이후부터는 근속년수에 따른 연차휴가일수(최대25개까지임)를 적용할 수 있따. 연차발생일은 매년 입사일에 발생하는 것으로 적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연차일수 계산시, 재직자는 전전년도 미사용연차일수가 입사일날 연차수당으로 등록되게 된다. 입사월 다음달 월급여에 포함하여 지급할 수 있다. 퇴직자 연차수당은 입사일기준으로 계산하며, 회계연도기준 업체도 입사일기준으로 계산한다. 마지막급여에 포함하여 지급되도록 할 수 있다.
퇴직시 미사용연차일수는 근속년수기준으로 매년 입사일에 발생하고 매년 입사일전날자까지를 근속년수 1년으로 적용할 수 있다.
i) 근속년수 1년미만 퇴직시 연차수당일수 = [근무개월수 - 사용한연차휴가일수]
ii) 근속년수 2년미만 퇴직시 연차수당일수 = [11+15 -사용한연차휴가일수]
iii) 근속년수 3년미만 퇴직시 연차수당일수 = [11+15+15 -사용한연차휴가일수]
iv) 근속년수 3년이상 퇴직시 [전년도 잔여연차일수+금년도 발생연차일수 - 금년도사용한연차휴가일수]
상술한 연차일수 계산은 5인이상사업장 적용될 수 있으며, 5인미만사업장은 연차휴가 없음으로 처리할 수 있다. 입사일 기준으로 연차가 발생하며, 소정근로시간이 주 15시간 이상이고, 1년간 80퍼센트 이상 출근한 경우 발생하는 것으로 적용할 수 있다.
통상근로자 연차수당 계산은 다음의 연차휴가시간수, 연차일수, 연차수당을 고려하여 적용할 수 있다.
연차휴가시간수 = 통상근로자의연차수(근속연수에 따라 다름. 최대 25개) x 8시간(통상근로자의 1일소정근로시간)
연차일수 --- 근속년수에 따라 다름. 최대 25개 한정.
전전년도 및 퇴직시연차수당 = [1일 통상임금 × 미사용연차일수]
이때, 1일통상임금 = {기본월급+정기적ㆍ일률적ㆍ고정적 수당+(1년간정기적ㆍ일률적ㆍ고정적 상여금/12)}/209x8 이다.
통상임금에 포함되기 위해서는 노사계약에 명시된 근로에 대한 대가로 받는 돈이고, 정기적 지급(정기적), 모든 근로자에게 일률 지급(일률성), 사전에 확정한 금액(고정성)이라는 요건을 갖춰야 한다. 따라서 기본급뿐만 아니라 직책수당ㆍ기술수당ㆍ위험수당ㆍ근속수당ㆍ물가수당 등 정기적ㆍ일률적ㆍ고정적으로 지급되는 것은 통상임금에 산입된다. 그러나 연장ㆍ야간ㆍ휴일근로에 대한 임금, 출근자 또는 일정한 근무성적을 올린 자에게만 지급되는 성과급 등 실제 근로에 따라 변동되는 임금은 소정근로시간에 대한 임금이 아니므로 제외된다.
단시간근로자 연차수당 계산은 다음의 연차휴가시간수, 연차일수, 연차수당을 고려하여 적용할 수 있다.
연차휴가시간수 = [통상근로자의연차수(근속연수에 따라 다르며, 최대 25개임) x (단시간근로자의 소정근로시간/통상근로자의 소정근로시간) x 8시간(통상근로자의 1일소정근로시간)]
연차일수 = 연차휴가시간수/(1주소정근로시간/근로일수)
연차수당 = [시간당 통상임금(시급) x 연차잔여시간수]
단시간 근로자는 1주 소정근로시간이 40시간 이상인 통상의 근로자에 비해 짧은 1주 15시간 이상 40시간 미만 근로를 제공하는 자를 말한다.
초단시간 근로자는 1개월간 소정근로시간이 60시간 미만인 자(1주간의 소정근로시간이 15시간 미만인 자를 포함함)로서, 초단시간 근로자는 근로기준법상 주휴일, 주휴수당, 연차유급휴가, 퇴직금이 발생하지 않는 것으로 적용한다.
도 1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연차 관리(회계연도 기준) 화면을 도시한다. 도 18에 도시된 화면은 상술한 제2 주영역에 배치되는 것일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차 관리(회계연도 기준) 화면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기간"에 대해서 시간에 대한 역순으로 "연차 관리(회계연도 기준)" 관련 정보가 표시된다. 회계연도기준은 매년 12월 31일자로 미지급연차를 보상하고, 1월 1일에 새로운 연차를 생성하는 방식이다.
가장 최근 일자인 2018년 4월 7일 기준, 맨 아래에서부터 위로, 홍길동, 정도전, 이순신, 김유신 및 강감찬에 대한 연차 내역이 표시된다. 이를 위해, 1일통상임금, 입사일(근속년수, 근속년차), 전전년도미사용연차수당으로서 잔여연차일수, 잔.시간수, 연차수당(미사용연차수당, 수당지급일)이 산출되어 표시될 수 있고, 전년도잔여연차일수로서 잔여연차일수, 잔.시간수, 사용내역검색, 금년도발생연차로서 소정일수, 출근일수, 출근율%, 발생연차, 연차발생일, 1년미만연차가 산출되어 표시될 수 있으며, 퇴직시연차수당으로서 잔여연차일수, 잔.시간수, 연차수당이 산출되어 표시될 수 있다. 대체로 앞서 살펴본 연차 관리(입사일 기준) 화면과 동일하다. 이하 차이점을 중심으로 살펴본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재직자 연차수당 발생기준은 근속년차기준으로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회사에 입사한 시점부터 1년을 근무한 경우, 해당 1년 근무기간 동안 80% 이상 출근했을 때 15일의 연차가 발생하고 유급휴가를 받을 수 있는 것으로 적용할 수 있다. 1년 미만 혹은 1년간 80% 미만 출근한 경우 한 달 동안 개근했을 때 1일의 유급휴가를 받는 것으로 적용할 수 있다(즉 총 11개).
일례로, 연차휴가 계산 결과(회계연도 기준)는 다음과 같이 표로 나타낼 수 있다.
입사1년차 근로자(회계년도기준), 입사2년차 근로자(회계년도기준, 입사3년차 이상 근로자(회계년도기준) 각각에 대해 위 표 7에 나타낸 바와 같은 연차휴가를 적용할 수 있다. 연차유급휴가는 24년차 이상은 25일로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으며, 최대 25개로서 초과시 25개만 인정할 수 있다. 금년도발생연차는 입사일기준이므로 입사일전날까지는 0개, 입사일이후부터는 근속년수에 따른 연차휴가일수(최대25개까지임)를 적용할 수 있다. 연차발생일은 매년 1월1일에 발생하는 것으로 적용할 수 있으며, 매년 12월31일자로 보상하는 것으로 적용할 수 있다. 즉, 매년 12월 31일자로 미지급연차를 보상하고, 1월 1일에 새로운 연차를 생성하는 것으로 적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회계년도기준 퇴직자 연차수당 계산은 입사일기준과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 퇴직자 연차수당은 입사일기준으로 계산한다. 회계연도기준 업체도 입사일기준으로 계산한다. 마지막급여에 포함하여 지급될 수 있다.
퇴직시 미사용연차일수는 근속년수기준으로 매년 입사일에 발생하고 매년 입사일전날짜까지를 근속년수 1년으로 적용할 수 있다.
i) 근속년수 1년미만 퇴직시 연차수당일수 = [근무개월수 - 사용한연차휴가일수]
ii) 근속년수 2년미만 퇴직시 연차수당일수 = [11+15 -사용한연차휴가일수]
iii) 근속년수 3년미만 퇴직시 연차수당일수 = [11+15+15 -사용한연차휴가일수]
iv) 근속년수 3년이상 퇴직시 [전년도 잔여연차일수+금년도 발생연차일수 - 금년도사용한연차휴가일수]
도 19는 일 실시예에 따른 4대 보험 관리 화면을 도시한다. 도 19에 도시된 화면은 상술한 제2 주영역에 배치되는 것일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4대 보험 관리 화면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기간"에 대해서 시간에 대한 역순으로 "4대 보험" 관리 관련 정보가 표시된다.
가장 최근 일자인 2018년 4월 7일 기준, 맨 아래에서부터 위로, 홍길동, 정도전, 이순신, 김유신 및 강감찬에 대한 4대 보험 내역이 표시된다. 이를 위해, 국민연금으로서 기준소득월액, 근로자, 사업주가 산출되어 표시될 수 있고, 건강/장기요양보험으로서 보수월액, (건강)근로자, (건강)사업주, 합계, (요양)근로자, (요양)사업주, 합계가 산출되어 표시될 수 있으며, 고용보험으로서 근로자, 사업주가 산출되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4대보험 합계로서 근로자, 사업주가 산출되어 표시될 수 있다.
4대보험은 다음의 기준에 따라 정규직, 계약직, 일용직 근로자에 적용되며, 프리랜서는 해당사항이 없다.
i) 고용보험, 산재보험 : 근로일수 및 근로기간에 상관없이 반드시 고용보험과 산재보험은 가입하며, 산재보험은 회사부담이므로 화면 구성에서 고용보험은 제외될 수 있다.
ii) 국민연금, 건강보험 : 고용계약이 1개월 이상인 경우 적용된다. 일반일용직근로자는 1개월간 근무일수가 8일 이상이고 근로시간이 60시간 이상인 자에게 적용되고, 건설일용직근로자는 1개월간 근무일수가 8일 이상인 자에게 적용된다.
국민연금, 건강/요양보험은 고용 기간이 1개월 미만인 일용근로자는 적용대상이 아닌 것으로 한다. 일용직근로자는 3개월이하 근무(기간제, 단시간, 일용직) 근로자이고, 건설업은 1년 미만인 근로자이다. 프리랜서(사업소득자)는 4대보험 해당사항이 없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고용보험에서 사업주부담금은 업체정보에 등록된 [실업급여 요율 + 근로자수에 따른 요율]에 기초하여 자동으로 적용될 수 있다.
고용보험 요율은 다음과 같이 근로자수에 따라 산출될 수 있다.
도 20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이체 관리 화면을 도시한다. 도 20에 도시된 화면은 상술한 제2 주영역에 배치되는 것일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체 관리 화면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기간"에 대해서 시간에 대한 역순으로 "이체" 관리 관련 정보가 표시된다.
가장 최근 일자인 2018년 4월 7일 기준, 맨 아래에서부터 위로, 홍길동, 정도전, 이순신, 김유신 및 강감찬에 대한 4대 보험 내역이 표시된다. 이를 위해, 은행명, 예금주, 계좌번호, 이체금액 및 이체명(일급/주급/월급/상여)가 표시될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은행명 항목을 클릭하면 리스트된 정보가 은행별로 정렬되게 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도 있다.
도 2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이메일 관리 화면을 도시한다. 도 21에 도시된 화면은 상술한 제2 주영역에 배치되는 것일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메일 관리 화면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기간"에 대해서 시간에 대한 역순으로 "이메일" 관리 관련 정보가 표시된다.
가장 최근 일자인 2018년 4월 7일 기준, 맨 아래에서부터 위로, 홍길동, 정도전, 이순신, 김유신 및 강감찬에 대한 이메일 전송 내역이 표시된다. 이를 위해, 이메일, 첨부파일(첨부파일명, 검색) 항목이 표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평상시에는 마지막 전송내역만 나타나게 할 수 있고, 검색시 검색 내용만 나타나게 할 수 있다.
도 22a 및 도 22b는 일 실시예에 따른 당번/당직 관리 화면을 도시한다. 도 22a는 당번/당직자 등록을 위한 화면 영역의 일 구현예를, 도 22b는 등록된 당번/당직자에 대한 현황을 표출하기 위한 화면 영역의 일 구현예를 도시한다. 당번/당직 관리 화면이 도면에서는 도 22a와 도 22b로 서로 떨어져 도시되나 도 22a에 도시된 화면 영역 및 도 22b에 도시된 화면 영역은 서로 세로 방향으로 나란히 배열되어 당번/당직 관리를 위한 시인성을 높일 수 있다. 도 22a 및 도 22b에 도시된 화면 영역은 상술한 제2 주영역에 배치되는 것일 수 있다.
먼저 도 2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당번/당직자 정보는 사용자에 의해 직접 등록 및 수정될 수 있다. 성명(이름) 아이콘을 클릭하여 근로자를 선택할 수 있고, 부서/직종 아이콘을 클릭하여 부서/직종을 선택할 수 있도록 관련 팝업창이 제공될 수 있다.
그러면, 도 2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당번/당직 관리 화면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기간" 내지는 "날짜"에 대해서 캘린더 형식으로 일자별 당번/당직자 리스트 정보가 표시된다.
도 23a 및 도 23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업체 정보 관리 화면을 도시한다. 도 23a는 업체 정보 등록 현황을 보여주는 화면 영역의 일 구현예를, 도 23b는 등록된 업체 정보 현황을 표출하기 위한 화면 영역의 일 구현예를 도시한다. 도 23a 및 도 23b는 서로 세로 방향으로 나란히 배열되어 업체 정보 관리를 위한 시인성을 높일 수 있다. 도 23a 및 도 23b에 도시된 화면 영역은 상술한 제2 주영역에 배치되는 것일 수 있다.
먼저 도 2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업체 정보 등록 현황 정보가 회원가입시 정보에 기초하여 자동으로 등록되어 표출된다. 도면에서는 빈칸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 2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업체 정보 관리 화면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기간"에 대해서 "업체 정보" 관리 관련 정보가 표시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사와 본점이 있는 업체에 대해서는 다음과 같은 절차에 따라 관리 화면을 구성한다. 본사/본점에서도 지사/지점자료 등록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고, 본사/본점에서는 근무지 검색하면 지점자료 열람 가능하게 할 수 있다. 평상시 본점은 본점자료만 나타나게 되고, 지점은 지점자료만 나타나게 되며, 지점에서는 당 지점 외 본점 및 타지점 볼 수 없게 구성될 수 있다. 본점에서 지점 첫 정보 등록시 지점별로 해당 요금결제 후 등록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본사/본점에서는 모든 지점 근로자 등록, 검색 가능하며 각 지점에서는 해당 지점 등록 및 검색만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도 23b에 도시된 항목 중 근무지/부서/근로자의 검색 버튼을 클릭하면, 다음과 같은 팝업을 확인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도 23b에 도시된 업체 정보 관리 화면은 일 실시예에 따라 제공되는 메뉴(기본 정보, 근무 정보, 임금 정보, 상여금 정보, 휴일/휴가 정보, 기타 정보) 중 기본 정보 메뉴에 관한 것으로서, 다른 메뉴를 클릭하면 해당 정보를 나타내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아래 표 10은 도 23b의 메뉴 중 근무 정보를 클릭하였을 때에 표출되는 정보를 나타낸다. 도 23b에 도시되는 기본 정보를 대신하여 아래 표에 나타낸 근무 정보가 나타날 수 있다.
위 표에 나타낸 항목 중 주간 근무 정보로서, 1주간 근무 내용 등록이나 2주간 근무 내용 등록 화면은 다음과 같이 구성될 수 있다.
위 표 11 내지 표 12에서 근로시간을 입력할 때에는 다음을 고려할 수 있다.
주 5일(40시간) 사업장 월 근로시간수는 다음과 같이 산출할 수 있다: 365일 ÷ 7일 x (주당 소정근로시간 40시간 + 유급주휴 8시간) ÷ 12개월 = 208.57시간 = 209시간
주 6일(44시간) 사업장 월 근로시간수는 다음과 같이 산출할 수 있다: 365일 ÷ 7일 x (주당 소정근로시간 44시간 + 유급주휴 8시간) ÷ 12개월 = 225.95시간 = 226시간
주44시간사업장에서 주40시간이상 부분에 대해서는 연장근로수당 4시간 지급으로 처리하고, 이때, [4시간x시급x1.5]은 5인이상사업장에 적용하고, 5인미만사업장은 수당없이 [4시간x시급x1.0]을 적용할 수 있다.
5인이상사업장에서 무급휴무일은 일근로시간 8시간이상인 근로시간에 대해 주40시간미만이면 연장근로수당 없음으로 [1.0]로 처리하고, 5인이상사업장에서 무급휴일은 주40시간 관계없이 1일근로시간 8시간이상부분은 연장근로수당지급으로 [1.5]로 처리할 수 있다.
※시간단위는 1시간=60분=1.0으로 해서, 30분=0.5, 10분= 0.1666666...7로 함.
또한 위 표 11 내지 표 12에서 근무 내용을 입력할 때에는 다음을 고려할 수 있다.
전체/부서/직종별로 근무내용이 같을 경우 업채정보에서 등록하고, 근무내용이 다를 경우는 근로계약정보에서 등록하게 할 수 있다.
녹색칸만 등록하면 나머진 자동등록되게 할 수 있다. 출근은 검정색으로, 주휴일은 빨강색으로, 무급휴(무)일은 파란색으로 보여지게 해서 시인성을 높일 수 있다.
무급휴일/무급휴무일은 업체정보에서 등록된 항목으로서, 근무형태선택에 나타나게 할 수 있다.
나머지주는 반복 적용되게 할 수 있다.
시간단위는 10분단위로 10분(0.17), 20분(0.33), 30분(0.5), 40분(0.67), 50분(0.83), 60분/1시간(1.0)을 적용할 수 있다.
※소정근로시간 = 하루근무시간 - 휴게시간
※약정연장근로시간 = 소정근로시간 - 법정근로시간, 이때, 18세이상/8시간, 15세이상~ 18세미만/ 7시간을 적용함
아래 표 13은 도 23b의 메뉴 중 임금 정보를 클릭하였을 때에 표출되는 정보를 나타낸다. 도 23b에 도시되는 기본 정보를 대신하여 아래 표에 나타낸 임금 정보가 나타날 수 있다.
아래 표 14는 도 23b의 메뉴 중 상여금 정보를 클릭하였을 때에 표출되는 정보를 나타낸다. 도 23b에 도시되는 기본 정보를 대신하여 아래 표에 나타낸 상여금 정보가 나타날 수 있다.
위 표에 나타낸 항목 중 입사일규정 등록 설정 버튼을 클릭하면 다음 팝업이 표출될 수 있다.
그리고 위 표에 나타낸 항목 중 출근율규정 등록 설정 버튼을 클릭하면 다음 팝업이 표출될 수 있다.
아래 표 17는 도 23b의 메뉴 중 휴일/휴가 정보를 클릭하였을 때에 표출되는 정보를 나타낸다. 도 23b에 도시되는 기본 정보를 대신하여 아래 표에 나타낸 휴일/휴가 정보가 나타날 수 있다.
아래 표 18은 도 23b의 메뉴 중 기타 정보를 클릭하였을 때에 표출되는 정보를 나타낸다. 도 23b에 도시되는 기본 정보를 대신하여 아래 표에 나타낸 기타 정보가 나타날 수 있다.
위 표에 나타낸 항목 중 기본급 표나 직위/직책수당표는 다음과 같이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위 표 18에 나타낸 항목 중 고용보험 사업주부담 요율 설정 버튼을 버튼을 클릭하면 다음 팝업이 표출될 수 있다.
위 표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용자가 근로자수를 체크하면 요율합계는 자동등록되게 할 수 있다.
도 24a 및 도 24b는 일 실시예에 따른 근로자 정보 관리 화면을 도시한다. 도 24a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근로자"에 대한 정보로서, 선택된 근로자 정보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화면 영역과 선택된 근로자 정보를 세부적으로 보여주는 화면 영역의 일 구현예가 도시된다. 도 24b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기간"에 대해서 근로자 리스트를 보여주는 화면 영역의 일 구현예가 도시된다. 도 24a 및 도 24b는 서로 세로 방향으로 나란히 배열되어 근로자 정보 관리를 위한 시인성을 높일 수 있다. 도 24a 및 도 24b에 도시된 화면 영역은 상술한 제2 주영역에 배치되는 것일 수 있다.
먼저 도 2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근로자 정보가 성명, 사원번호, 핸드폰, 국적, 주민등록번호, 이메일, 주소 정보를 포함하여 개략적으로 표시된다. 도면에서는 빈칸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해당 근로자에 대한 세부 정보를 나타내기 위한 메뉴(기본 정보, 근로계약 정보) 중 기본 정보 메뉴에 관한 것으로서, 입사일, 직위/직책, 국민연금 기준소득월액, 만 18세미만 국민연금, 계좌이체 통장번호 정보를 포함하여 세부적으로 표시된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해당 근로자에 대한 세부 정보로서 공제대상가족(부양가족) 수를 나타내는 정보가 다음과 같이 더욱 표시될 수 있다.
아래 표 23은 도 24a에서 해당 근로자에 대한 세부 정보를 나타내기 위한 메뉴 중 근로계약 정보를 클릭하였을 때에 표출되는 정보를 나타낸다. 도 24b에 도시되는 기본 정보를 대신하여 아래 표에 나타낸 근로계약 정보가 나타날 수 있다.
위 표에 나타낸 항목 중 고용형태 선택을 클릭하면 정규직, 무기계약직, 계약직, 일용직 중 하나를 선택하는 팝업이 제공될 수 있고, 근로자유형 선택을 클릭하면 일반근로자, 단시간근로자, 초단시간근로자, 일반일용직, 건설일용직, 파견근로자, 프리랜서 중 하나를 선택하는 팝업이 제공될 수 있고, 월급여/주급여/일급여를 클릭하면 월급여, 주급여, 일급여 중 하나를 선택하는 팝업이 제공될 수 있으며, 입금제 선택을 클릭하면 호봉제, 일반연봉제, 포괄연봉제, 월급제, 일급(일당)제, 시급제 중 하나를 선택하는 팝업이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위 표에 나타낸 항목 중 개인별 주간근무 내용으로서 1주간 근무 내용 등록이나 2주간 근무 내용 등록 화면은 다음과 같이 구성될 수 있다.
포괄임금제는 [시간외수당+기타수당+상여금]을 포함하며, 연차수당은 포함 안되는 것으로 적용할 수 있다. 포괄연봉제 근로자는 월급여 계산시 시간외수당과 상여금은 12개월로 나누어 지급하고, 기본급과 수당은 등록된 금액 매달지급으로 적용할 수 있다. 시간외수당은 [연장근로수당+야간근로수당+휴일근로수당]으로 적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2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기간에 대해서 근로자 리스트가 각 근로자에 대한 사원번호, 성명, 직위/직책, 국적, 생년월일, 성별, 입사일, 근속년수, 근속년차, 재직일수, 부양가족수, 기준소득월액(국민연금), 핸드폰, 이메일, 주소 정보를 포함하여 표출된다.
성별은 남, 여 자동등록되게 주민번호 뒤 첫 자리를 이용한다. 내국인은 남자가 1과 3이고 여자가 2와 4이며, 외국인은 남자가 5와 7이고 여자가 6과 8임을 반영한다.
부양가족 등록하면 20세이하 자녀 수와 공제대상 가족 수는 자동등록되도록 한다. 공제대상가족(부양가족) 검색 및 공제대상가족(부양가족) 등록은 다음과 같이 제공될 수 있다.
위 표 27에서 관계, 성명, 생년월일 등록하면 7세이상 20세이하자녀 수, 공제대상가족 수는 자동 등록되게 할 수 있으며, 자격변동은 매년 자동 수정하여 등록되게 할 수 있다.
계속하여 도 24b를 참조하면, 직위/직책수당은 기타수당에 자동 등록되게 한다.
직위/직책 년차는 변동사항 없을시 매년 1월 1일에 자동 갱신되게 한다.
휴직자는 복직하면 휴직자리스트에서는 보이지 않게 처리한다. 휴직자리스트는 다음과 같이 표출될 수 있으며 도 24b에 도시된 휴직자 검색과 같은 버튼을 클릭함으로써 팝업으로 제공될 수 있다.
한편,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24b에 도시된 근로자 리스트에서 성명을 사용자가 클릭하면(즉, 선택하면), 선택된 근로자에 관한 정보가 도 24a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표출될 수 있다. 도 24에서는 근로자 리스트 중 강감찬이 선택되었고 따라서 강감찬에 대한 근로자 정보로서 기본 정보가 도시되는 상황임을 알 수 있다.
도 25a 및 도 25b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근로자 정보 관리 화면을 도시한다. 도 24에서 상술한 것과 대체로 유사하나, 근로계약 정보를 표시하는 화면 영역의 다른 구현예를 보여준다. 도 25a 및 도 25b는 서로 세로 방향으로 나란히 배열되어 근로자 정보 관리를 위한 시인성을 높일 수 있다. 도 25a 및 도 25b에 도시된 화면 영역은 상술한 제2 주영역에 배치되는 것일 수 있다. 상술한 도 24와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살펴본다.
먼저, 도 2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근로계약 정보로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근로자에 대해서 선택된 기간에 대한 당월급여, 실지급액, 소득세, 지방소득세, 국민연금, 건강보험, 요양보험, 고용보험 정보를 포함하여 표출된다. 이는 상술한 도 24a(근로계약 정보에 관한 표 23 함께 참조) 대비 근로계약 정보를 매우 직관적으로 보여준다. 이는 화면상에 제공되는 특정 버튼(도면상 YJ 버튼과 같이)을 사용자가 눌렀을 때에만 구현될 수 있으며, 도 24a에 도시된 근로자 정보로서 기본 정보나 표 23에 나타낸 근로자 정보로서 근로계약 정보를 고용주와 근로자간 계약의 관점에서 사용자인 고용주에게 매월 지출되는 비용의 관점에서 보다 직관적으로 전달할 수 있도록 한다.
다음으로, 도 2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기간에 대해서 근로자 리스트가 각 근로자에 대한 성명, 근무지, 부서/직종, 고용형태, 근로자유형, 급여형태, 잔여연차수, 기본급, 약정임금/통상임금(시급, 일급, 월급, 연봉), 기타수당, 기타공제, 1주/2주 근무내용 정보를 포함하여 표출된다.
시급은 1시간을 적용하고, 일급은 8시간을 적용한다.
1주 소정근로시간이 15시간 이상 ~ 40시간 미만인 근로자는 단시간근로자로 적용한다. 1개월간 소정근로시간이 60시간 미만인 자(1주간의 소정근로시간이 15시간 미만인 자를 포함한다)는 초단시간근로자로 적용한다. 일용직근로자는 계약만료시 변경등록 하지 않으면, 계약직근로자로 자동 등록되며, 국세청 간이세액표 소득세 적용한다.
통상입금(월급)은 다음과 같이 산출될 수 있다: 통상임금(월급) = 기본급 + 매월적용수당 + (정기상여금/12), 이때, 매월적용수당에서 가족수당, 시간외수당 (연장/야간/ 휴일근로수당, 당번/당직비) 은 제외하며, 정기적이지 않거나 근로의 대가가 아닌 경우에는 통상임금에 포함되지 않는다.
약정/통상임금은 계약단가 등록하면 다음의 수식에 따라 자동으로 계산되어 등록되게 할 수 있다.
[수식 3]
연봉 --- 시급 = 월급/209(226), 일급 = 시급x8, 월급 = 연봉/12
월급 --- 시급 = 월급/209(226), 일급 = 시급x8, 연봉 = 월급x12
일급 --- 시급 = 일급/8, 월급 = 시급x209(226), 연봉 = 월급x12
시급 --- 일급 = 시급x8, 월급 = 시급x209(226), 연봉 = 월급x12
※주40시간업체 = 209, 주44시간업체 = 226
이때, 약정임금은 빨강색으로 표시하여 시인성을 높일 수 있다.
한편,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25와 같은 화면을 구성함에 있어서, 일반일용직근로자는 3개월, 건설일용직근로자는 1년이 지나면 자동으로 계약직근로자로 전환되므로, 종료 10일전부터 근로자 리스트에서 성명 항목이 반짝거리게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입사한지 2년 이상된 계약직근로자(일용직 기간 포함)는 자동으로 무기계약직으로 전환되므로, 종료 10일전부터 근로자 리스트에서 성명 항목이 반짝거리게 제어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관리 화면 내지 제6 관리 화면은 제2 주영역상에서 상위 메뉴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의해 서로 전환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에게 보다 편리한 인적자원 관리를 가능하게 하는 인적자원 관리 자동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실시간으로 일일 급여 관리를 포함하여 사용자에게 보다 편리한 급여 관리 솔루션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회사의 지출을 일 단위로 집계할 수 있도록 하고 근로자의 연차, 수당 등을 일 단위로 집계할 수 있도록 하여 인적자원 관리의 직관성을 높일 수 있다.
도 2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인적자원 관리 자동화 장치의 하드웨어 구현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인적자원 관리 자동화 장치(1000)는 정보 수집부(1010), 프로세서(1020), 메모리(1030), 및 디스플레이(1040)를 포함할 수 있다.
정보 수집부(1010)는 근로자가 소지하는 출퇴근 체크기를 통해 해당 근로자의 출퇴근 시간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정보 수집부(1010)는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 가능한 현행법령 서버를 통해 해당 근로자의 근로 형태에 따른 연차지급 기준, 수당지급 기준, 세금징수 기준 및 퇴직금지급 기준에 관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정보 수집부(1010)는 출퇴근 체크기와 직접 전기적으로 연결되거나 이를 위한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정보 수집부(1010)는 현행법령 서버와 직접 전기적으로 연결되거나 이를 위한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020)는 메모리(1030)에 저장된 출퇴근 시간 정보 및 근로 계약 관계가 있는 근로자의 근로 형태에 따른 연차지급 기준, 수당지급 기준, 세금징수 기준 및 퇴직금지급 기준에 관한 정보를 이용하여 각각의 근로자에 대한 출근 관리 세부항목에 관한 제1 정보, 휴가 관리 세부항목에 관한 제2 정보, 일별 급여 관리 세부항목에 관한 제3 정보, 수당 관리 세부항목에 관한 제4 정보, 퇴직금 관리 세부항목에 관한 제5 정보, 및 연차 관리 세부항목에 관한 제6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제1 내지 제6 정보를 하나의 상위 메뉴를 공통으로 하는 서로 다른 별개의 관리 화면으로 구성하여 표시부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되도록 처리한다. 다만, 프로세서(1020)의 동작을 이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도 1 내지 도 25에서 설명된 동작들을 수행할 수도 있다.
메모리(1030)는 상술한 정보 생성 및 표시부 표시를 위한 관련 알고리즘을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030)는 일 실시예에 따른 인적자원 관리 자동화 방법을 수행하기 위해 요구되는 데이터를 임시적으로 또는 영구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1030)는 근로 계약 정보, 출퇴근 시간 정보, 현행법령 정보, 생성된 제1 내지 제6 정보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040)는 상위 메뉴, 하위 메뉴, 하위 메뉴에 상응하는 세부 컨텐츠로서 제1 내지 제6 정보 각각에 해당하는 서로 다른 별개의 관리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인적자원 관리 자동화 장치(1000)는 제1 관리 화면 내지 제6 관리 화면을 제2 주영역상에서 상위 메뉴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의해 서로 전환이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GUI들 내지 제6 GUI들은 근로자별로 정렬 및 날짜별로 분류되어 해당하는 관리 화면상에 리스트업되고, 날짜별 리스트업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기간에 대해 역순으로 정렬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은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방법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저장할 수 있으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위에서 설명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또는 복수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를 기초로 다양한 기술적 수정 및 변형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상기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따라 구체적으로 기록되었으나, 상기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범위내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TE : 인적자원 관리 자동화 장치
SV : 현행법령 서버
TA : 근로자들이 소지하는 출퇴근 체크기
1000 : 인적자원 관리 자동화 장치
1010 : 정보 수집부
1020 : 프로세서
1030 : 메모리
1040 : 디스플레이
SV : 현행법령 서버
TA : 근로자들이 소지하는 출퇴근 체크기
1000 : 인적자원 관리 자동화 장치
1010 : 정보 수집부
1020 : 프로세서
1030 : 메모리
1040 : 디스플레이
Claims (10)
-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되는 인적자원 관리 자동화 방법으로서,
근로자가 소지하는 출퇴근 체크기를 통해 해당 근로자의 출퇴근 시간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 가능한 현행법령 서버를 통해 해당 근로자의 근로 형태에 따른 연차지급 기준, 수당지급 기준, 세금징수 기준 및 퇴직금지급 기준에 관한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수집된 정보들에 기초하여 해당 근로자에 대한 출근 관리 세부항목에 관한 제1 정보, 휴가 관리 세부항목에 관한 제2 정보, 일별 급여 관리 세부항목에 관한 제3 정보, 수당 관리 세부항목에 관한 제4 정보, 퇴직금 관리 세부항목에 관한 제5 정보, 및 연차 관리 세부항목에 관한 제6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제1 내지 제6 정보를 하나의 상위 메뉴를 공통으로 하는 서로 다른 별개의 관리 화면으로 구성하여 표시부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서로 다른 별개의 관리 화면은 상기 상위 메뉴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의해 서로 전환이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상위 메뉴는 표시부상 제1 주영역에 표시되고, 상기 서로 다른 별개의 관리 화면은 표시부상 상기 제1 주영역과 구별되는 제2 주영역에 표시되며,
상기 현행법령 서버를 통해 수집되는, 상기 연차지급 기준 정보는 연차일수 계산을 위한 정보를 포함하고-상기 연차일수는 재직자, 퇴직자 또는 근속연수에 따른 연차휴가일수에 관한 것임-, 상기 수당지급 기준 정보는 사업장규모별 및 근로유형별 연차수당 계산을 위한 정보를 포함하며-상기 사업장규모별은 5인이상사업장 또는 5인미만사업장에 관한 것이고, 상기 근로유형별은 통상근로자, 단시간근로자 또는 초단시간근로자에 관한 것임-, 상기 세금징수 기준 정보는 근로형태별 급여 또는 수당에서 공제할 세금 계산을 위한 정보를 포함하고-상기 근로형태별은 정규직, 계약직근로자, 일용직근로자, 프리랜서 또는 사업소득자에 관한 것임-, 상기 퇴직금지급 기준 정보는 사업장규모별 및 근로유형별 퇴직소득세 계산을 위한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주영역에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해당 근로자에 대한 근로계약 정보를 표시하는 화면 영역이 더 표시되고,
상기 근로계약 정보는 상기 근로형태를 선택할 수 있는 제1 선택 팝업, 상기 근로유형을 선택할 수 있는 제2 선택 팝업, 월급여/주급여/일급여를 선택할 수 있는 제3 선택 팝업, 및 호봉제/일반연봉제/포괄연봉제/월급제/일급제/시급제를 선택할 수 있는 제4 선택 팝업을 통해 표시되어, 상기 제1 내지 제4 팝업들을 통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해당 근로자에 대하여 선택된 기간에 대한 당월급여, 실지급액, 소득세, 지방소득세, 국민연금, 건강보험, 요양보험, 및 고용보험 정보를 포함하여 표출되며,
상기 제2 주영역에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기간에 대한 근로자 리스트를 표시하는 화면 영역이 더 표시되고-상기 근로자 리스트는 각 근로자에 대한 성명, 근무지, 부서/직종, 고용형태, 근로자유형, 급여형태, 잔여연차수, 기본급, 약정임금/통상임금(시급, 일급, 월급, 연봉), 기타수당, 기타공제 및 1주/2주 근무내용 정보를 포함함-,
상기 근로형태에 따라 설정되는 근로형태 전환 기간이 기설정된 기간 이내로 도래하는 근로자에 대해서 상기 근로자 리스트에서 상기 성명 항목이 반짝거리게 제어되고,
상기 제1 정보는 제1 관리 화면을 구성하는 다수의 제1 GUI들을 통해 표시되고, 상기 제2 정보는 제2 관리 화면을 구성하는 다수의 제2 GUI들을 통해 표시되고, 상기 제3 정보는 제3 관리 화면을 구성하는 다수의 제3 GUI들을 통해 표시되고, 상기 제4 정보는 제4 관리 화면을 구성하는 다수의 제4 GUI들을 통해 표시되고, 상기 제5 정보는 제5 관리 화면을 구성하는 다수의 제5 GUI들을 통해 표시되며, 상기 제6 정보는 제6 관리 화면을 구성하는 다수의 제6 GUI들을 통해 표시되고,
상기 제1 관리 화면 내지 제6 관리 화면은 상기 제2 주영역상에서 상기 상위 메뉴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의해 서로 전환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1 GUI들 내지 제6 GUI들은 근로자별로 정렬 및 날짜별로 분류되어 해당하는 관리 화면상에 리스트업되고, 상기 날짜별 리스트업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기간에 대해 역순으로 정렬되며,
상기 출근 관리 세부항목은 사원번호, 성명, 직위/직책, 출근현황, 약정시간, 출근체크시간, 퇴근체크시간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휴가 관리 세부항목은 성명, 지각, 조퇴, 외출, 주휴일출근, 유급출근, 무급출근, 재택근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일별 급여 관리 세부항목은 성명, 출근현황, 당월일급, 각종수당, 당일차감액, 당일급여, 세금, 4대보험료, 기타공제, 실지급액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수당 관리 세부항목은 시급, 주휴수당, 연장근로수당, 야간근로수당, 휴일근로수당, 기타수당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퇴직금 관리 세부항목은 입사일, 근속연수, 근속월수, 재직일수, 3개월총급여, 상여금3분지12, 잔여연차3분지12, 1일평균임금, 법정퇴직금액, 명예퇴직금액, 퇴직소득세, 지방소득세, 세금합계, 실지급액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며,
상기 연차 관리 세부항목은 전전년도미사용연차수당, 전년도잔여연차일수, 금년도발생연차, 퇴직시연차수당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며,
상기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수집된 정보들로부터 해당 근로자의 출근시간 및 퇴근시간을 정의하는 단계;
상기 정의된 출근시간 및 퇴근시간을 기초로, 약정된 근무시간보다 적게 근무한 시간에 대해 지각/조퇴/외출 차감처리를 수행하고, 약정된 근무시간보다 많게 근무한 시간에 대해 연장근로 증분처리를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차감처리 결과를 일단위로 환산한 뒤, 해당 근로자의 잔여 휴가 일수, 잔여연차3분지12 및 퇴직시연차수당 중 적어도 하나에 합산하고, 상기 증분처리 결과를 일단위로 환산한 뒤, 해당 근로자의 각종수당 및 연장근로수당 중 적어도 하나에 합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수행하는 단계에서 상기 지각/조퇴/외출 차감처리는 10분 단위로 수행되고 상기 연장근로 증분처리는 만 10분 단위로 수행되는, 인적자원 관리 자동화 방법.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제1항의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한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 인적자원 관리 자동화 장치에 있어서,
근로자가 소지하는 출퇴근 체크기를 통해 해당 근로자의 출퇴근 시간 정보 및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 가능한 현행법령 서버를 통해 해당 근로자의 근로 형태에 따른 연차지급 기준, 수당지급 기준, 세금징수 기준 및 퇴직금지급 기준에 관한 정보를 수집하는 정보 수집부;
상기 수집된 정보들에 기초하여 해당 근로자에 대한 출근 관리 세부항목에 관한 제1 정보, 휴가 관리 세부항목에 관한 제2 정보, 일별 급여 관리 세부항목에 관한 제3 정보, 수당 관리 세부항목에 관한 제4 정보, 퇴직금 관리 세부항목에 관한 제5 정보, 및 연차 관리 세부항목에 관한 제6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제1 내지 제6 정보를 하나의 상위 메뉴를 공통으로 하는 서로 다른 별개의 관리 화면으로 구성하여 표시부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되도록 처리하는 프로세서; 및
상기 표시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되,
상기 서로 다른 별개의 관리 화면은 상기 상위 메뉴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의해 서로 전환이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상위 메뉴는 표시부상 제1 주영역에 표시되고, 상기 서로 다른 별개의 관리 화면은 표시부상 상기 제1 주영역과 구별되는 제2 주영역에 표시되며,
상기 현행법령 서버를 통해 수집되는, 상기 연차지급 기준 정보는 연차일수 계산을 위한 정보를 포함하고-상기 연차일수는 재직자, 퇴직자 또는 근속연수에 따른 연차휴가일수에 관한 것임-, 상기 수당지급 기준 정보는 사업장규모별 및 근로유형별 연차수당 계산을 위한 정보를 포함하며-상기 사업장규모별은 5인이상사업장 또는 5인미만사업장에 관한 것이고, 상기 근로유형별은 통상근로자, 단시간근로자 또는 초단시간근로자에 관한 것임-, 상기 세금징수 기준 정보는 근로형태별 급여 또는 수당에서 공제할 세금 계산을 위한 정보를 포함하고-상기 근로형태별은 정규직, 계약직근로자, 일용직근로자, 프리랜서 또는 사업소득자에 관한 것임-, 상기 퇴직금지급 기준 정보는 사업장규모별 및 근로유형별 퇴직소득세 계산을 위한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주영역에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해당 근로자에 대한 근로계약 정보를 표시하는 화면 영역이 더 표시되고,
상기 근로계약 정보는 상기 근로형태를 선택할 수 있는 제1 선택 팝업, 상기 근로유형을 선택할 수 있는 제2 선택 팝업, 월급여/주급여/일급여를 선택할 수 있는 제3 선택 팝업, 및 호봉제/일반연봉제/포괄연봉제/월급제/일급제/시급제를 선택할 수 있는 제4 선택 팝업을 통해 표시되어, 상기 제1 내지 제4 팝업들을 통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해당 근로자에 대하여 선택된 기간에 대한 당월급여, 실지급액, 소득세, 지방소득세, 국민연금, 건강보험, 요양보험, 및 고용보험 정보를 포함하여 표출되며,
상기 제2 주영역에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기간에 대한 근로자 리스트를 표시하는 화면 영역이 더 표시되고-상기 근로자 리스트는 각 근로자에 대한 성명, 근무지, 부서/직종, 고용형태, 근로자유형, 급여형태, 잔여연차수, 기본급, 약정임금/통상임금(시급, 일급, 월급, 연봉), 기타수당, 기타공제 및 1주/2주 근무내용 정보를 포함함-,
상기 근로형태에 따라 설정되는 근로형태 전환 기간이 기설정된 기간 이내로 도래하는 근로자에 대해서 상기 근로자 리스트에서 상기 성명 항목이 반짝거리게 제어되고,
상기 제1 정보는 제1 관리 화면을 구성하는 다수의 제1 GUI들을 통해 표시되고, 상기 제2 정보는 제2 관리 화면을 구성하는 다수의 제2 GUI들을 통해 표시되고, 상기 제3 정보는 제3 관리 화면을 구성하는 다수의 제3 GUI들을 통해 표시되고, 상기 제4 정보는 제4 관리 화면을 구성하는 다수의 제4 GUI들을 통해 표시되고, 상기 제5 정보는 제5 관리 화면을 구성하는 다수의 제5 GUI들을 통해 표시되며, 상기 제6 정보는 제6 관리 화면을 구성하는 다수의 제6 GUI들을 통해 표시되고,
상기 제1 관리 화면 내지 제6 관리 화면은 상기 제2 주영역상에서 상기 상위 메뉴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의해 서로 전환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1 GUI들 내지 제6 GUI들은 근로자별로 정렬 및 날짜별로 분류되어 해당하는 관리 화면상에 리스트업되고, 상기 날짜별 리스트업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기간에 대해 역순으로 정렬되며,
상기 출근 관리 세부항목은 사원번호, 성명, 직위/직책, 출근현황, 약정시간, 출근체크시간, 퇴근체크시간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휴가 관리 세부항목은 성명, 지각, 조퇴, 외출, 주휴일출근, 유급출근, 무급출근, 재택근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일별 급여 관리 세부항목은 성명, 출근현황, 당월일급, 각종수당, 당일차감액, 당일급여, 세금, 4대보험료, 기타공제, 실지급액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수당 관리 세부항목은 시급, 주휴수당, 연장근로수당, 야간근로수당, 휴일근로수당, 기타수당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퇴직금 관리 세부항목은 입사일, 근속연수, 근속월수, 재직일수, 3개월총급여, 상여금3분지12, 잔여연차3분지12, 1일평균임금, 법정퇴직금액, 명예퇴직금액, 퇴직소득세, 지방소득세, 세금합계, 실지급액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며,
상기 연차 관리 세부항목은 전전년도미사용연차수당, 전년도잔여연차일수, 금년도발생연차, 퇴직시연차수당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내지 제6 정보를 생성함에 있어서,
상기 수집된 정보들로부터 해당 근로자의 출근시간 및 퇴근시간을 정의하고,
상기 정의된 출근시간 및 퇴근시간을 기초로, 약정된 근무시간보다 적게 근무한 시간에 대해 지각/조퇴/외출 차감처리를 수행하고, 약정된 근무시간보다 많게 근무한 시간에 대해 연장근로 증분처리를 수행하며,
상기 차감처리 결과를 일단위로 환산한 뒤, 해당 근로자의 잔여 휴가 일수, 잔여연차3분지12 및 퇴직시연차수당 중 적어도 하나에 합산하고, 상기 증분처리 결과를 일단위로 환산한 뒤, 해당 근로자의 각종수당 및 연장근로수당 중 적어도 하나에 합산하되,
상기 지각/조퇴/외출 차감처리는 10분 단위로 수행되고 상기 연장근로 증분처리는 만 10분 단위로 수행되는, 인적자원 관리 자동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20003189 | 2022-01-10 | ||
KR1020220003189 | 2022-01-10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108242A KR20230108242A (ko) | 2023-07-18 |
KR102669634B1 true KR102669634B1 (ko) | 2024-05-27 |
Family
ID=874239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30003761A KR102669634B1 (ko) | 2022-01-10 | 2023-01-10 | 인적자원 관리 자동화 장치 및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669634B1 (ko)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35573B1 (ko) | 2015-04-21 | 2016-07-01 | 용인시 | 인사 급여 통합 관리 시스템 |
KR102161844B1 (ko) | 2019-10-22 | 2020-10-06 | 심왕섭 | 내외국인 근태 관리장치 |
KR102211601B1 (ko) * | 2019-12-10 | 2021-02-02 | 주식회사 카카오뱅크 | 업무 시간 관리 방법 및 업무 시간 관리 프로그램, 그리고 이를 구현한 단말 및 업무 관리 서버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80059986A (ko) * | 2016-11-28 | 2018-06-07 | 주식회사 라인페이롤서비스 | It를 활용한 급여업무 사무자동화 |
KR20200142676A (ko) * | 2019-06-13 | 2020-12-23 | 주식회사 커먼스페이스 | 근태관리 어플리케이션 및 이의 동작 방법 |
-
2023
- 2023-01-10 KR KR1020230003761A patent/KR102669634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35573B1 (ko) | 2015-04-21 | 2016-07-01 | 용인시 | 인사 급여 통합 관리 시스템 |
KR102161844B1 (ko) | 2019-10-22 | 2020-10-06 | 심왕섭 | 내외국인 근태 관리장치 |
KR102211601B1 (ko) * | 2019-12-10 | 2021-02-02 | 주식회사 카카오뱅크 | 업무 시간 관리 방법 및 업무 시간 관리 프로그램, 그리고 이를 구현한 단말 및 업무 관리 서버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108242A (ko) | 2023-07-1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779386B2 (en) | Method and system for implementing workflows and managing staff and engagements | |
AU2023202185A1 (en) |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ed collections of debts for businesses | |
EP3828802A1 (en) | System and method for allocating value to timekeeper work | |
US20100293108A1 (en) | Automated Practice Management System | |
US10565660B2 (en) | Medical claim database relationship processing | |
CA2792721A1 (en) | Methods of employee scheduling and management | |
AU2021201324A1 (en) | Improved client entry and maintenance system for timekeeping and billing for professional services system and method | |
JP5032699B1 (ja) | 時間外労働賃金算出プログラム及び時間外労働賃金算出システム | |
US20130036073A1 (en) | System and Method for Management of Financial Advisor Records | |
US20110055099A1 (en) | Automated Systems and Methods for Matching Healthcare Professionals with Healthcare Organizations on a Temporary Basis | |
US20140281917A1 (en) | Review portal | |
US20090254393A1 (en) | Billing, docketing and document management | |
KR20060106242A (ko) | 인사 및 급여와 사회보험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 |
US20140149134A1 (en) | Pharmaceutical Representative Expense Report Management Software, Systems, And Methodologies | |
KR102669634B1 (ko) | 인적자원 관리 자동화 장치 및 방법 | |
JP6261134B2 (ja) | 給与計算方法及び給与計算プログラム | |
JP5150777B1 (ja) | 時間外労働賃金シミュレーションプログラム及び時間外労働賃金シミュレーションシステム | |
KR20240028221A (ko) | 근로자 퇴사 또는 이직 전후 노무정보의 연속적 관리 및 확인이 가능한 노무관리시스템 | |
US20180082232A1 (en) | Uniform workers compenstation cost containment system | |
Gubachev et al. | Remote occupation and freelance as modern trend of employment | |
KR102494262B1 (ko) | 노무비 자동 산정 기능을 구비한 임금 명세서 관리 시스템 | |
Board | Nunavut Water Board | |
JP2023047922A (ja) | 給与計算装置、給与計算方法及び給与計算プログラム | |
US20130198048A1 (en) | Professional employment organization data management system | |
AU2013100520A4 (en) | Case and practice management system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