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42676A - 근태관리 어플리케이션 및 이의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근태관리 어플리케이션 및 이의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42676A
KR20200142676A KR1020190069737A KR20190069737A KR20200142676A KR 20200142676 A KR20200142676 A KR 20200142676A KR 1020190069737 A KR1020190069737 A KR 1020190069737A KR 20190069737 A KR20190069737 A KR 20190069737A KR 20200142676 A KR20200142676 A KR 202001426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me
user
working
information
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97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형근
이다정
이예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커먼스페이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커먼스페이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커먼스페이스
Priority to KR10201900697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42676A/ko
Publication of KR202001426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4267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9Time management, e.g. calendars, reminders, meetings or time accounting
    • G06Q10/1091Recording time for administrative or management purpos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1Scheduling, planning or task assignment for a person or group
    • G06Q10/063114Status monitoring or status determination for a person or grou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5Human resourc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1/00Registering, indicating or recording the time of events or elapsed time, e.g. time-recorders for work people
    • G07C1/10Registering, indicating or recording the time of events or elapsed time, e.g. time-recorders for work people together with the recording, indicating or registering of other data, e.g. of signs of identity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Market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Time Recorders, Dirve Recorders, Access Control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사용자 단말기 상에 설치되어 실행되는 근태관리 어플리케이션이 도시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하나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기 디스플레이부 상의 일정 영역에 근태관리 기능을 제공하는 화면과 연결되는 출퇴근 아이콘을 표시하는 단계; 사용자로의 출근 시각 및 퇴근 시각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특정 사용자에 대해 수집된 출근 시각 및 퇴근 시각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하여 해당 사용자의 특정 기간 내 근무 시간을 산출하는 단계; 근무 상태를 출근전, 업무중, 식사중, 휴식중, 퇴근후, 출장중, 교육중, 외근중 또는 재택근무중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분류 기준을 통해 분류하고, 사용자의 근무 상태를 상기 분류 기준에 포함되는 항목 중 하나로 설정하는 단계; 및 산출된 근무 시간 정보 또는 근무 상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기초로 하여 상기 출퇴근 아이콘의 색상, 형상 또는 크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변화시키는 단계를 수행하도록 하는,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된 근태관리 어플리케이션이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근태관리 어플리케이션 및 이의 동작 방법{ATTENDANCE MANAGEMENT APPLICATION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사용자들이 자신의 근태관리를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에 관한 것이다.
IT 기술의 발전에 따라 근태관리 방법 또한 계속해서 발전해오고 있다. 출퇴근 시간이 고정되어 있는 회사의 경우 이전에 근태관리 관련 IT 기술이 본격적으로 활용되기 전에는 회사의 인사 담당 인원이 지각 / 조퇴 등에 대한 체크를 아날로그적으로 수행하고 이를 컴퓨터 등에 입력하는 방식으로 근태관리가 이루어지기도 하였다. 최근에는, 회사에 배치된 기기를 통해 근로자들이 지문 또는 홍채 등의 생체 정보를 인증하도록 함으로써 출퇴근 관리를 수행하는 경우가 많다.
다만, 이와 같은 전통적인 근태관리 시스템 하에서는, 근로자들이 자신들의 근태 정보를 확인하기가 어려웠으며 그에 따라 자신의 근무 시간을 원활하게 조절하기 어려운 단점이 존재하였다. 근로자가 자신이 근무한 시간을 스마트폰 등의 단말기를 통해 확인할 수 있는 경우에도, 단순한 근무 시간 정보만을 확인할 수 있는 실정이었다.
근로와 관련된 법령, 제도는 끊임없이 변화하고 있다. 2019년 5월 현재 주당 법정 근로시간은 52시간(법정근로 40시간+연장근로 12시간)으로 설정되었으며, 이를 위반시에 사업주는 징역이나 벌금형에 처해질 수 있다. 다만 이와 같은 기준은 사업장의 규모마다 상이하게 적용될 수 있다. 또한, 특정일의 노동시간을 연장하는 대신 다른 날의 노동시간을 단축하여 평균 노동시간을 법정 노동시간에 맞추는 목적의 탄력근로제가 수행되고 있으며, 현재 탄력근로제의 단위 기간은 3개월이나 6개월로 확장될 예정이다.
이와 같이 근로시간과 관련되어 변경되는 법령, 제도와 각 회사 내부의 정책에 의해 근무 시간 관리는 상이해질 수 있다. 따라서, 근로자 입장에서는 이와 같은 정보와 자신의 실제 근무 시간과의 관계를 편리하게 파악할 수 있는 근태관리 시스템이 필요한 실정이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4-0034572호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사용자 또는 회사 양측에서 근태관리를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사용자가 출퇴근 아이콘을 통해 자신의 출퇴근 관련 상황을 요약하여 전달 받고, 다양한 형태의 그래프 등을 통해 자신의 근무 시간 관련 정보를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하나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기 상에 설치되어 실행되는 근태관리 어플리케이션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 디스플레이부 상의 일정 영역에 근태관리 기능을 제공하는 화면과 연결되는 출퇴근 아이콘을 표시하는 단계; 사용자로의 출근 시각 및 퇴근 시각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특정 사용자에 대해 수집된 출근 시각 및 퇴근 시각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하여 해당 사용자의 특정 기간 내 근무 시간을 산출하는 단계; 근무 상태를 출근전, 업무중, 식사중, 휴식중, 퇴근후, 출장중, 교육중, 외근중 또는 재택근무중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분류 기준을 통해 분류하고, 사용자의 근무 상태를 상기 분류 기준에 포함되는 항목 중 하나로 설정하는 단계; 및 산출된 근무 시간 정보 또는 근무 상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기초로 하여 상기 출퇴근 아이콘의 색상, 형상 또는 크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변화시키는 단계를 수행하도록 하는,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된 근태관리 어플리케이션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근태관리 어플리케이션은, 그래프, 차트, 도표 또는 다이어그램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로 근무 시간과 관련된 정보를 표시함에 있어, 특정 기간에 대해 설정된 최대 근무 시간 또는 기준 근무 시간과 함께 특정 기간 내의 근무 완료 시간 정보를 하나의 그래프, 차트, 도표 또는 다이어그램 내에서 표시하는 단계; 및 특정 기간 내에서 현재까지 근무 완료된 시간이 기 정해진 기준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그래프, 차트, 도표 또는 다이어그램 상에서 상기 기준을 시작점으로 설정하고 기준 근무 시간 또는 최대 근무 시간을 종료점으로 설정하는 방식으로 표시 형식을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산출된 근무 시간 정보 또는 근무 상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기초로 하여 상기 출퇴근 아이콘의 색상, 형상 또는 크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변화시키는 단계는, 사용자에 대해 설정된 출근 예정 시각이 일정 시간 이상 경과되었음에도 사용자의 근무 상태가 출근전으로 설정된 경우에 상기 출퇴근 아이콘이 임의의 시간 간격을 가지는 패턴을 통해 변화하도록 제어하는 것일 수 있다.
산출된 근무 시간 정보 또는 근무 상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기초로 하여 상기 출퇴근 아이콘의 색상, 형상 또는 크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변화시키는 단계는, 사용자의 근무 시간이 일정 시간 이상 연속되는 경우 상기 출퇴근 아이콘이 임의의 시간 간격을 가지는 패턴을 통해 변화하도록 제어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근태관리 어플리케이션은, 특정 기간 내에서, 사용자의 기준 근무 시간에 대한 현재까지의 근무 완료 시간의 비율에 기초하여 상기 그래프, 차트, 도표 또는 다이어그램의 색상, 형상 또는 크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변화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출퇴근 아이콘의 색상, 형상 또는 크기의 변화는, 상기 그래프, 차트, 도표 또는 다이어그램의 색상, 형상 또는 크기의 변화와 연동되어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근태관리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가 속하는 회사의 탄력근로제 관련 정보, 사용자가 속하는 회사의 근로자수 또는 근로시간 관련 법령의 변화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기초로 하여 사용자의 기준 근무 시간 또는 최대 근무 시간을 계산하고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근태관리 어플리케이션이 표시하는 상기 그래프, 차트, 도표 또는 다이어그램 상에서 행해지는 사용자 단말기의 핀치투줌 기능의 동작에 의해, 그래프, 차트, 도표 또는 다이어그램이 나타내는 시간 범위가 변화할 수 있다.
상기 근태관리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 단말기의 위치 수집 기능을 통해 사용자 위치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사용자에 대해 설정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근무 상태 변경 가능 위치 정보와 사용자 위치 정보의 비교를 통해 사용자가 근무 상태 변경 가능 위치로부터 일정 반경 내에 위치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사용자가 근무 상태 변경 가능 위치로부터 일정 반경 내에 위치한다고 판단되는 경우, 해당 사용자의 근무 상태를 해당 근무 상태 변경 가능 위치의 종류에 기초하여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근태관리 어플리케이션은, 특정 기간 내에서, 사용자에 대한 기준 근무 시간 정보, 현재까지의 근무 완료 시간 정보 및 남은 근무 일수 정보를 기초로 하여 사용자가 최대 근무 시간을 초과할 가능성에 대한 예상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가능성이 일정 값 이상으로 계산되는 경우 상기 예상 정보를 관리자에게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근무한 시간, 현재 근무 상태, 사용자의 위치 등을 기초로 하여 근태관리 어플리케이션의 출퇴근 아이콘이 변화함에 따라, 출퇴근 아이콘이 효과적인 알림 수단 중 하나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회사 정책, 관련 법령 등을 통해 기준 근무 시간 또는 최대 근무 시간이 변화하면 사용자 및 회사는 이와 같은 정보가 반영된 근무 시간 정보를 그래프 등을 통해 바로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근태관리 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근태관리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화면에 표시되는 메뉴 영역과 출퇴근 아이콘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근태관리 어플리케이션에서 사용자가 출근 시각을 입력할 수 있는 화면에 대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근태관리 어플리케이션이 출퇴근 아이콘에 변화를 주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이 일 실시예에 따른 근태관리 어플리케이션이 근무 시간과 관련된 정보를 그래프의 형태로 나타내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근태관리 어플리케이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념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구성요소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본 명세서 상에서 '사용자'라 함은 자신의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근태관리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하는 근로자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속하는 회사는 이와 같은 근태관리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복수의 근로자에 대한 근태 정보를 관리하는 주체로 설명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근태관리 시스템(10)의 전체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근태관리 시스템(10)은 사용자 단말기(200), 근태관리 서버(300) 및 외부 서버(4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기(200) 내에는 근태관리 어플리케이션(100)이 설치될 수 있다.
도 1에서는 하나의 사용자 단말기(200) 만이 표시되었지만, 복수의 사용자 단말기(200) 상에 근태관리 어플리케이션(100)이 설치되어 동작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사용자 단말기(200)는 사용자에 의해 제어되며, 사용자 단말기(200) 상에 설치된 근태관리 어플리케이션(100)을 통하여 근태관리 서버(300)에 접속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200)는 근태관리 서버(300)로부터 각종 데이터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사용자에게 표시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200)의 입력부를 통하여 근태관리 어플리케이션(100)의 각종 기능을 활용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200)는 동작에 필요한 정보들을 저장하는 메모리, 동작에 필요한 각종 연산을 수행하는 CPU와 같은 중앙처리장치, 입출력 장치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단말기(200)는 휴대폰, 스마트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태블릿 PC, 등과 같이 네트워크를 통하여 웹 서버와 연결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으며, 개인용 컴퓨터(예를 들어, 데스크탑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 등), 워크스테이션, PDA, 웹 패드 등과 같이 메모리 수단을 구비하고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탑재하여 연산 능력을 갖춘 디지털 기기 중 하나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기(200)가 근태관리 서버(300)에 접속하는 과정에서 활용하는 근태관리 어플리케이션(100)이 사용자 단말기(200) 상에 설치되는 루트는 각종 어플리케이션 스토어를 통한 것일 수 있다. 근태관리 어플리케이션(100)의 다운로드는 무료로 이루어질 수도 있지만, 사용자는 어플리케이션 스토어 상에서 유료로 등록된 근태관리 어플리케이션(100)을 다운로드하여 사용자 단말기(200) 상에 설치하기 위하여 소정의 가격을 지불하여야 할 수 있으며,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제작사는 이를 통해 수익을 창출할 수도 있다. 또한,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수익 창출은 근태관리 어플리케이션(100)의 동작 화면 상에서 노출되는 광고를 통해 발생할 수도 있다. 어플리케이션의 제작자는 광고의 게재 기간에 따른 광고비를 광고주로부터 받을 수도 있지만, 광고가 노출되는 빈도수, 광고가 사용자로부터 선택되어 광고주의 상품 또는 서비스와 관련된 웹 페이지로 링크되는 횟수 등을 기반으로 하여 광고주로부터 광고비를 받을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위해 필요한 동작(예: 명령어, 루틴 또는 인스트럭션 등)들은 사용자 단말기(200)의 메모리에 프로그램의 형태로 저장될 수 있으며, 이러한 프로그램은 해당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경우 사용자 단말기(200)의 프로세서에 의해 호출되어 상기 프로그램에 저장된 동작들을 수행하도록 상기 사용자 단말기(200)를 제어할 수 있다.
근태관리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기(200)를 통해 근태관리 어플리케이션(100)을 이용하는 사용자들에 대해 근태관리, 스케쥴 관리, 결재 관리, 복지 관리, 회사 근처 맛집 관리 등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근태관리 서버(30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가지는 제어부, 통신 모듈, 저장부(예: 메모리) 등과 같은 하드웨어 정보 또는 알고리즘 연산을 위한 소프트웨어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 서버(400)는 근태관리 서버(300)를 운영하는 주체와는 상이한 주체에 의해 운영되는 서버로, 예를 들어 포털 서비스 서버 또는 공공기관 서버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근태관리 서버(300)는 외부 서버(400)로부터 달력 정보, 법령 정보 등을 수집하여 이를 활용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근태관리 어플리케이션(100)이 실행되는 화면에 표시되는 메뉴 영역(20)과 출퇴근 아이콘(30)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근태관리 어플리케이션(100)은 사용자 단말기(200)의 디스플레이부 상의 일정 영역에 메뉴 영역(20)을 구비할 수 있다. 사용자는 메뉴 영역(20)에 구비된 다양한 종류의 아이콘을 선택하여 해당 아이콘과 관련된 기능을 제공받을 수 있다.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메뉴 영역(20)에 구비된 아이콘 중 하나를 선택하면, 근태관리 어플리케이션(100)은 해당 아이콘과 관련된 기능을 제공하는 화면 또는 페이지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메뉴 영역(20)을 통해 제공되는 아이콘 중에는, 근태관리 어플리케이션(100)의 중심 기능인 근태관리 기능과 연결된 아이콘이 존재할 수 있다. 이하, 본 명세서 상에서는 도 2에 표시되는 메뉴 영역(20)의 아이콘 중, 중앙에 위치한 아이콘을 '출퇴근 아이콘(30)'으로 지칭하기로 한다. 출퇴근 아이콘(30)은 사용자 단말기(200)의 디스플레이부 상의 일정 영역에 위치하며 근태관리 기능을 제공하는 화면 또는 페이지와 연결될 수 있다. 도 2에서와 달리, 출퇴근 아이콘(30)의 위치는 메뉴 영역(20)의 중심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사용자 단말기(200) 디스플레이부 중 임의의 영역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출퇴근 아이콘(30)은 근태관리 어플리케이션(100)의 동작 상황에 따라 화면 상에서 숨겨질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근태관리 어플리케이션(100)에서 사용자가 출근 시각을 입력할 수 있는 화면에 대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도 2에 표시된 출퇴근 아이콘(30)을 사용자 단말기(200) 상에서 선택하여 근태관리 기능을 제공하는 화면 또는 페이지로 이동할 수 있다.
도 3은 근태관리 어플리케이션(100)이 근태관리 기능을 제공하는 페이지 중 하나로, 사용자가 출근에 대한 처리를 수행할 수 있는 화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자신에 대해 설정된 출근 예정 시각을 확인할 수 있으며, 출근 완료 버튼(40)을 선택하여 출근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출근 시간 변경 버튼(50)을 선택함으로써 출근 예정 시각을 변경할 수도 있다. 출근 예정 시각은 사용자에 의해 설정되고 변경될 수도 있으나, 회사 정책상 회사의 관리자에 의해서만 설정되고 변경될 수도 있다.
도 3은 근태관리 어플리케이션(100) 상에서 출근 관련 기능이 제공되는 화면이며, 근태관리 어플리케이션(100)은 이와 유사하게 퇴근 관련 기능이 제공되는 화면을 추가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근태관리 어플리케이션(100)은 출근 및 퇴근 관련 기능이 제공되는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사용자가 자신의 근무 상태를 식사중, 휴식중, 출장중, 교육중, 외근중, 재택근무중으로 선택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근태관리 어플리케이션(100)은 이와 같은 기능들을 통해 사용자에 대한 근무 상태를 출근전, 업무중, 식사중, 휴식중, 퇴근후, 출장중, 교육중, 외근중 또는 재택근무중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분류 기준을 통해 분류할 수 있다. 또한, 근태관리 어플리케이션(100)은 특정 사용자의 근무 상태를 이와 같은 분류 기준에 포함되는 항목 중 하나로 설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근태관리 어플리케이션(100)은 사용자로부터 출근 시각 및 퇴근 시각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으며,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은 출근 시각 및 퇴근 시각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하여 해당 사용자의 특정 기간 내 근무 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
근태관리 어플리케이션(100)은 사용자에 대한 근태정보 관리를 수행함에 있어, 특정 기간을 설정하고 해당 기간을 기준으로 하여 근태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근태관리는 매주, 매달 또는 매년 별로 수행될 수 있으며, 이와 달리 회사측이 설정한 특정 기간을 기준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근태관리 어플리케이션(100)이 제공하는 각 기능 별로 기준이 되는 특정 기간이 상이하게 설정될 수도 있다. 이하, 본 명세서 상에서는 근태관리 어플리케이션(100)이 한 주 단위로 근태관리를 수행하는 것을 가정하고 설명하기로 한다.
근태관리 어플리케이션(100)은 특정 기간에 대해 사용자에 대한 기준 근무 시간 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근무 시간 정보는 사용자 별로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지만, 노동관련 법령에 위반되지 않도록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사용자에 대해서 기준 근무 시간은 주 40시간으로 설정될 수 있다. 근태관리 어플리케이션(100)은 기준 근무 시간 정보와 함께 최대 근무 시간 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사용자에 대해서 최대 근무 시간은 주 52시간으로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근태관리 어플리케이션(100)은 사용자 단말기(200)의 위치 수집 기능을 통해 사용자 위치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200)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비콘(beacon), WIFI(Wireless Fidelity), 블루투스(Bluetooth) 등의 기술을 활용하여 사용자 단말기(200)의 위치 정보를 생성할 수 있으며, 근태관리 어플리케이션(100)은 이와 같은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근태관리 어플리케이션(100)은 특정 사용자에 대한 근무 상태 변경 가능 위치 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근무 상태 변경 가능 위치 정보는 사용자가 근무하는 회사의 정책에 따라 설정될 수 있으며, 사용자 별로 상이하게 설정될 수도 있다. 근무 상태 변경 가능 위치 정보는 특정 위치에 대한 정보와 함께 해당 위치에서 변경 가능한 근무 상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근태관리 어플리케이션(100)은 특정 사용자에 대해, 해당 사용자의 위치 정보와 해당 사용자에 대해 설정된 근무 상태 변경 가능 위치 정보를 비교하여, 해당 사용자가 근무 상태 변경 가능 위치로부터 일정 반경 내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근태관리 어플리케이션(100)은 이후, 사용자가 근무 상태 변경 가능 위치로부터 일정 반경 내에 위치한다고 판단되면, 해당 사용자의 근무 상태를 해당 근무 상태 변경 가능 위치의 종류에 따라 설정할 수 있다. 즉, 근태관리 어플리케이션(100)은 해당 근무 상태 변경 가능 위치에서 설정될 수 있는 근무 상태 항목 중 사용자가 선택한 항목으로 해당 사용자의 근무 상태를 변경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A라는 사용자는 B라는 위치에서 출근 완료 처리, 퇴근 완료 처리가 가능하도록 설정되어 있을 수 있고, 이 경우 근태관리 어플리케이션(100)은 A라는 사용자가 B라는 위치에서 출근 완료 처리를 수행하는 경우 해당 사용자의 근무 상태를 '업무중'으로 설정할 수 있으며, 같은 사용자가 같은 위치에서 퇴근 완료 처리를 수행하는 경우 해당 사용자의 근무 상태를 '퇴근후'로 설정할 수 있다.
이와 달리, A라는 사용자는 C라는 위치에서는 교육 이수 처리만이 가능하도록 설정된 경우, 해당 사용자는 C 위치에서 자신의 근무 상태를 '교육중'으로만 변경할 수 있고, 자신의 근무 상태를 '업무중', '퇴근후' 등으로 변경할 수 없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근무 상태 변경은 사용자의 선택을 통해 이루어질 수도 있지만, 이와 달리 근태관리 어플리케이션(100)이 사용자 단말기(200)를 통해 사용자 위치 정보를 수집하고 이를 근무 상태 변경 가능 위치 정보와 비교함으로써 자동으로 수행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근태관리 어플리케이션(100)은 사용자가 근무 상태 변경 가능 위치로부터 일정 반경 내에 위치한다고 판단하는 경우, 어플리케이션 상에서 출근 버튼 등과 같은 근무 상태 변경 버튼을 활성화할 수 있으며, 근무 상태 변경이 가능한 상황에서는 출퇴근 아이콘(30)의 색상, 형상 또는 크기 등을 변화시킬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근태관리 어플리케이션(100)이 출퇴근 아이콘에 변화를 주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있어, 도 4에서 표시되는 각 단계의 순서는 그와 같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S403 및 405 단계는 순서가 변경되거나 동시에 수행될 수 있으며, S407 단계와 S409 단계도 마찬가지로 순서가 변경되거나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다른 단계들의 순서 또한 변경되거나 복수의 단계가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근태관리 어플리케이션(100)은 사용자로부터 출근 시각 및 퇴근 시각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S401). 이와 같은 출근 시각 및 퇴근 시각에 대한 사용자의 정보 입력은, 사용자가 근태관리 어플리케이션(100) 상에서 출근 완료 또는 최근 완료 처리를 수행함으로써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이와 달리 근태관리 어플리케이션(100)이 사용자 위치 정보를 통해 자동으로 사용자에 대한 출근/퇴근 처리를 수행함으로써 이루어지는 것일 수도 있다.
이후, 근태관리 어플리케이션(100)은 사용자의 출근 시각 및 퇴근 시각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해당 사용자의 근무 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S403). 근태관리 어플리케이션(100)은 사용자의 근무 시간을 산출하여 관리함에 있어, 1주일과 같은 특정 기간을 기준으로 하여 해당 기간 내의 근무 시간을 관리할 수 있다.
근태관리 어플리케이션(100)은 사용자의 근무 상태를 출근전, 업무중, 식사중, 휴식중, 퇴근후, 출장중, 교육중, 외근중 또는 재택근무중 등 다양한 항목을 포함하는 분류 기준을 통해 분류할 수 있으며, 특정 사용자의 근무 상태를 이와 같은 분류 기준에 포함되는 항목 중 하나로 설정할 수 있다(S405).
근태관리 어플리케이션(100)은 사용자에 대해 설정된 출근 예정 시각, 퇴근 예정 시각 등의 정보와 사용자의 근무 상태를 분석할 수 있다(S407). 예를 들어, 근태관리 어플리케이션(100)의 분석에 의하여 특정 사용자가 출근 예정 시각으로부터 일정 시간이 경과하였는데도 근무 상태가 '출근전'으로 설정되어 있는지, 퇴근 예정 시각으로부터 일정 시간이 경과하였는데도 근무 상태가 '업무중'으로 설정되어 있는지에 대한 판단이 가능해질 수 있다.
근태관리 어플리케이션(100)은 사용자의 연속 근무 시간을 측정할 수 있다(S409). 이와 같은 근태관리 어플리케이션(100)의 사용자 연속 근무 시간 측정은, 사용자에 대해 설정된 근무 상태를 기반으로 수행될 수 있다. 즉, 근태관리 어플리케이션(100)은 사용자의 근무 상태가 '업무중'으로 연속하여 설정된 시간을 사용자의 연속 근무 시간으로 판단할 수 있다.
근태관리 어플리케이션(100)은 S407 및 S409 단계를 통해 도출된 분석 및 측정값을 토대로 미리 정해진 특정 조건이 만족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그에 따라 출퇴근 아이콘(30)에 변화를 가할 수 있다(S411). 즉, 근태관리 어플리케이션(100)은 산출한 근무 시간 정보 또는 근무 상태 정보를 기초로 하여 출퇴근 아이콘(30)의 색상, 형상 또는 크기 등을 변화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근태관리 어플리케이션(100)은 특정 사용자에 대해 설정된 출근 예정 시각이 일정 시간 이상 경과되었음에도 해당 사용자의 근무 상태가 '출근전'으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 출퇴근 아이콘(30)이 깜박거리거나 색상이 변화하도록 하여 사용자에게 알림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달리, 근태관리 어플리케이션(100)은 특정 사용자에 대해 설정된 퇴근 예정 시각이 일정 시간 이상 경과되었음에도 해당 사용자의 근무 상태가 '근무중'으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 출퇴근 아이콘이(111)이 깜박거리거나 색상이 변화하도록 하여 사용자에게 알림을 수행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근태관리 어플리케이션(100)은 특정 사용자의 근무 시간이 일정 시간 이상 연속되는 경우 출퇴근 아이콘(30)이 깜박거리거나 색상이 변화하도록 하여 사용자에게 알림을 수행할 수 있다. 근태관리 어플리케이션(100)은 이와 같이, 출퇴근 아이콘(30)이 임의의 시간 간격을 가지는 패턴을 통해 변화하도록 할 수 있다.
근태관리 어플리케이션(100)은 출퇴근 아이콘(30)의 변화를 통해 사용자에게 특정 상황을 알림과 동시에, 해당 상황을 사용자 단말기(200)의 푸시 알림 등을 통해 함께 알릴 수 있다.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이 일 실시예에 따른 근태관리 어플리케이션(100)이 근무 시간과 관련된 정보를 그래프의 형태로 나타내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근태관리 어플리케이션(100)은 특정 기간에 대한 근무 시간 정보를 그래프 형식으로 표시할 수 있다. 근태관리 어플리케이션(100)은 근무 시간과 관련된 정보를 그래프 형식뿐 아니라, 차트, 도표 또는 다이어그램과 같은 형식을 통해 표시할 수 있다. 근태관리 어플리케이션(100)은 특정 기간에 대해 설정된 최대 근무 시간 및 특정 기간 내에서 현재까지의 근무 완료 시간 정보를 하나의 그래프, 차트, 도표 또는 다이어그램 내에서 표시할 수 있다.
도 5에서는 특정 기간이 1주일로 설정되어 있고, 특정 사용자에 대한 법정 근로 시간이 40시간으로, 최대 근무 시간이 52시간으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 대한 예시가 나타나 있다.
도 5의 (a)는 한 주에 대해 사용자의 현재까지의 근무 완료 시간이 법정 근로 시간에 도달하지 못한 모습이며, 도 5의 (b)는 현재까지의 근무 완료 시간이 법정 근로 시간을 초과한 모습, 도 5의 (c)는 현재까지의 근무 완료 시간이 최대 근무 시간을 초과한 모습이다.
특정 사용자에 대한 현재까지의 근무 완료 시간이 법정 근로 시간을 초과한 경우, 근태관리 어플리케이션(100)은 이를 도 5의 (b) 형태로 나타낼 수도 있지만, 이와 다른 형식의 그래프, 차트, 도표 또는 다이어그램으로 이를 나타낼 수 있다.
상세하게는, 근태관리 어플리케이션(100)은 특정 기간 내에서 현재까지 근무 완료된 시간이 기 정해진 기준을 초과하는 경우, 근무 시간이 표시된 그래프, 차트, 도표 또는 다이어그램 상에서 상기 기준을 시작점으로 설정하고 최대 근무 시간을 종료점으로 설정하는 방식으로 표시 형식을 변경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근태관리 어플리케이션(100)은 근무 시간이 표시되는 그래프, 차트, 도표 또는 다이어그램 상에서 현재까지 근무 완료된 시간을 시작점으로 설정하고, 기준 근무 시간 또는 최대 근무 시간을 종료점으로 설정하는 방식으로 표시 형식을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1주일 기준으로 기준 근무 시간이 40시간으로 설정되었고 사용자가 현재 35시간을 근무하여 5시간이 남은 경우, 5시간을 기준으로 하는 그래프가 표시될 수 있다. 즉, 이와 같은 경우에는 35시간이 시작점이고 40시간이 종료점으로 설정된 그래프가 표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근태관리 어플리케이션(100)은 탄력근로제 정보를 사용자들의 근태관리 관련 정보에 반영할 수 있다. 탄력근로제란, 일정 기간 내에 근로시간을 늘이고 줄리면서 조절하는 제도이다. 예를 들어, 3달 단위로 탄력근로제를 적용하면 업무가 많은 첫 달은 한 주에 60시간씩 일하고 상대적으로 업무가 적은 나머지 두 달은 한 주에 30시간씩 일하여 평균 근로시간을 주당 40시간으로 유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탄력근로제 정보는 회사에 따라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으며, 근태관리 어플리케이션(100)의 사용자가 어떠한 회사에 속해있는지에 따라 근무 시간 정보가 상이하게 나타날 수 있다. 예를 들면, 근태관리 어플리케이션(100)은 탄력근로제 기간 중 특정 사용자에 대한 근무 완료 시간과 남은 근무 일수를 통해 일 평균 남은 근로시간 기준을 변화시킬 수 있다.
도 6의 (a)를 참조하면, 특정 사용자가 특정 기간으로 설정된 1주일 내에서 법정 근로 시간인 40시간을 초과한 44시간을 근무한 상태가 표시되어 있다. 근태관리 어플리케이션(100)은 이와 같이 현재까지 근무 완료된 시간이 기 정해진 기준인 40시간을 초과하는 경우, 40시간의 기준을 시작점으로 설정하고 최대 근무 시간인 52시간을 종료점으로 설정하여 도 6의 (b)와 같은 그래프를 생성할 수 있다.
도 6의 (b)를 참조하면, 법정 근로 시간인 40시간이 시작점으로 표시되어 있으며, 최대 근무 시간인 52시간이 종료점으로 설정된 그래프가 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근태관리 어플리케이션(100)은 특정 기간에 대해 근무 시간에 대한 특정한 기준점을 설정하고 사용자의 근무 시간이 이를 초과하면 이를 표시하는 그래프의 형식을 도 6의 (b)와 같이 변경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근태관리 어플리케이션(100)은 사용자가 최대 근무 시간인 52시간을 초과하여 근무한 경우, 52시간이 시작점으로 설정된 그래프 형식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그래프의 변화 기준점은 사내근로자수와 근로 관련 법령의 변화에 따라 자동으로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근태관리 어플리케이션(100)은 특정 회사의 탄력근로제 관련 정보, 회사의 근로자수, 근로시간 관련 법령의 변화 등에 대한 정보를 근태관리 서버(300)로부터 전달 받고, 이를 통해 특정 사용자에 대한 법정 근로 시간 또는 최대 근무 시간을 계산하고 이에 대한 업데이트를 수행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근태관리 어플리케이션(100)이 그래프, 차트, 도표 또는 다이어그램의 형태로 근무 시간과 관련된 정보를 표시함에 있어, 그래프 차트, 도표 또는 다이어그램이 나타내는 시간 범위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200)의 디스플레이부 상에서 핀치투줌 기능을 이용하여 그래프, 차트, 도표 또는 다이어그램을 확대하거나 축소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고, 그에 따라 그래프, 차트, 도표 또는 다이어그램이 표시하는 근무 시간 관련 정보의 시간 범위가 변경될 수 있다.
핀치투줌(Pinch to Zoom) 기술이란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기(200)의 디스플레이 상에서 손가락을 통해 터치스크린의 화면을 확대, 축소할 수 있는 기술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자신의 두 손가락을 터치스크린에 접촉하고, 두 손가락을 터치스크린에 접촉한 상태에서 두 손가락 간의 거리를 증가시키는 방향으로 이동시켜 화면을 확대할 수 있으며, 이와 달리 두 손가락을 터치스크린에 접촉한 상태에서 두 손가락 간의 거리를 감소시키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화면을 축소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근태관리 어플리케이션(100)이 사용자 단말기(200)를 통해 표시하는, 근무 시간에 시간과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그래프, 차트, 도표 또는 다이어그램 상에서 핀치투줌 기술을 활용하여 그래프, 차트, 도표 또는 다이어그램이 나타내는 시간 범위를 변화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도 7의 (a)에서 나타난 것과 같이 1주일 단위로 나타난 그래프를 핀치투줌 기술을 활용하여 확대함으로써 도 7의 (b)에서 나타난 것과 같은 1달 단위의 그래프로 변화시킬 수 있으며, 이를 추가적으로 확대하여 도 7의 (c)에서 나타난 것과 같은 3달 단위의 그래프로 변화시킬 수도 있다. 이와 반대로, 사용자는 도 7의 (c)에서 나타난 것과 같이 3달 단위로 나타난 그래프를 핀치투줌 기술을 활용하여 축소시킴으로써 도 7의 (b)에서 나타난 것과 같은 1달 단위의 그래프로 변화시킬 수 있으며, 이를 추가적으로 축소하여 도 7의 (a)에서 나타난 것과 같은 1주 단위의 그래프로 변화시킬 수도 있다.
근태관리 어플리케이션(100)은 그래프, 차트, 도표 또는 다이어그램의 형태로 사용자의 근무 시간과 관련된 정보를 표시하여 제공함에 있어 사용자의 기준 근무 시간에 대한 현재까지의 근무 완료 시간의 비율에 기초하여 그래프, 차트, 도표 또는 다이어그램의 색상, 형상 또는 크기를 변화시킬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특정 사용자에 대해 1주일에 대한 근무 시간 정보가 표시되어 있다. 도 8의 실시예들에서는 기준 근무 시간이 법정 근로 시간인 40시간으로 설정되어 있고, 최대 근무 시간은 초과 근로 12시간이 더해진 52시간으로 설정될 수 있다.
도 8의 (a) 내지 (c)를 살펴보면, 1주일이라는 특정 기간 내에서 사용자의 기준 근무 시간에 대한 현재까지의 근무 완료 시간의 비율에 기초하여 그래프의 색상이 변화할 수 있다. 일 예로 도 8의 (a)에서는 근무 완료 시간이 19시간으로, 기준 근무 시간의 절반에 못미치며, 도 8의 (b)에서는 근무 완료 시간이 28시간으로 기준 근무 시간의 절반을 초과하였으며, 도 8의 (c)에서는 근무 완료 시간이 50시간으로 기준 근무 시간의 100%를 초과하여 초과 근로에 돌입한 상태가 표시되고 있다. 도 8의 (a) 내지 (c)에서는 근태관리 어플리케이션(100)이 기준 근무 시간에 대한 현재까지의 근무 완료 시간의 비율에 따라 그래프 색상을 변화하는 예시가 표시되어 있다. 도 8에서는 근태관리 어플리케이션(100)이 그래프 색상을 변화시키는 예시만이 표시되어 있지만, 이와 달리 근태관리 어플리케이션(100)은 그래프, 차트, 도표 또는 다이어그램 등의 색상뿐 아니라, 크기, 형상 등을 변형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근태관리 어플리케이션(100)은 사용자의 기준 근무 시간에 대한 현재까지의 근무 완료 시간 비율의 변화에 따라 그에 따른 푸시 알림을 사용자 단말기(200)를 통해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근태관리 어플리케이션은 1주일 내에서 특정 사용자의 근무 완료 시간이 기준 근무 시간의 50% 및 100%를 각각 초과한 경우 이에 대한 푸시 알림을 사용자 단말기(200)를 통해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근태관리 어플리케이션(100)은 도 2에 도시된 출퇴근 아이콘(30)의 색상, 형상 또는 크기를 변화시킬 수 있다. 근태관리 어플리케이션(100)은 그래프, 차트, 도표 또는 다이어그램의 색상, 형상 또는 크기의 변화를 수행함에 있어, 이와 같은 변화를 출퇴근 아이콘(30)의 색상, 형상 또는 크기 변화와 연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근태관리 어플리케이션(100)은 사용자의 근무 완료 시간이 일정 기준을 초과한 경우 그에 따라 그래프의 색상을 붉은색으로 변화시키고 그래프의 크기를 확대시킬 수 있으며, 그래프와 출퇴근 아이콘(30)의 변화를 연동시켜 출퇴근 아이콘(30)의 색상을 붉은색으로 변화시키고 아이콘의 크기를 확대시킬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근태관리 어플리케이션(10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근태관리 어플리케이션(100)은 인터페이스 제공 모듈(110), 출퇴근 관리 모듈(120), 근무 시간 관리 모듈(130), 근무 상태 관리 모듈(140), 그래프 생성 모듈(150), 아이콘 관리 모듈(160), 위치 정보 관리 모듈(170), 관리자 알림 생성 모듈(180) 및 제어 모듈(19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 제공 모듈(110)은 근태관리 어플리케이션(100)의 동작에 있어 제공되는 다양한 페이지에 대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근태관리 어플리케이션(100)은 근태관리 기능, 결재 관리 기능, 비용 청구 기능, 회사 주변 맛집 탐색 기능, 사원 복지 관련 기능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근태관리 기능에는 출퇴근 시간 관리 기능, 휴가 신청 기능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근태관리 어플리케이션(100)이 제공하는 각 기능은 해당 기능과 연관된 화면 또는 페이지를 통해 제공될 수 있으며, 인터페이스 제공 모듈(110)은 이와 같은 화면 또는 페이지를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 제공 모듈(110)은 도 2에서 도시된 것과 같이 근태관리 어플리케이션(100)을 통해 제공되는 화면의 일정 영역에 메뉴 영역(20) 및 출퇴근 아이콘(30)을 표시할 수 있다.
출퇴근 관리 모듈(120)은 사용자의 출근 처리 및 퇴근 처리와 관련된 정보를 처리할 수 있다. 출퇴근 관리 모듈(120)은 사용자가 근태관리 어플리케이션(100)을 통해 수행하는 출근 완료 버튼 선택, 퇴근 완료 버튼 선택을 통해 사용자의 출퇴근 처리를 수행할 수도 있지만, 후술할 위치 정보 관리 모듈(170)을 통해 획득되는 사용자의 위치 정보와 근무 상태 변경 가능 위치 정보를 통해 사용자의 개입 없이 자동으로 출퇴근 처리를 수행할 수도 있다.
근무 시간 관리 모듈(130)은 사용자의 근무 시간 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 근무 시간 관리 모듈(130)은 특정 기간 내에 사용자가 수행 완료한 근무 완료 시간 정보를 관리할 수 있으며, 근무 완료 시간이 기준 근무 시간 또는 최대 근무 시간의 일정 비율을 초과하게 되면 푸시 알림, 출퇴근 아이콘(30)의 변화 등을 통해 사용자에게 알림을 수행할 수 있다.
근무 시간 관리 모듈(130)은 사용자의 연속 근무 시간을 관리하여 연속된 근무 시간이 일정 시간을 초과하는 경우 휴식 시간 알림 또는 퇴근 권장 알림을 푸시 알림, 출퇴근 아이콘(30)의 변화 등을 통해 수행할 수 있다.
근무 상태 관리 모듈(140)은 근무 상태의 분류 기준을 설정함에 있어, 근무 상태를 출근전, 업무중, 식사중, 휴식중, 퇴근후, 출장중, 교육중, 외근중 또는 재택근무중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분류 기준을 통해 분류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근무 상태를 이와 같은 분류 기준에 포함되는 항목 중 하나로 설정할 수 있다.
근무 상태 관리 모듈(140)의 근무 상태 변경은 출퇴근 관리 모듈(120)과 연동되어 수행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근무 상태는 사용자가 근태관리 어플리케이션(100) 상에서 수행하는 선택에 따라 변경될 수 있으며, 이와 달리 사용자의 위치, 사용자가 속한 회사 자체 내의 스케쥴 등에 따라 변경될 수도 있다.
그래프 생성 모듈(150)은 사용자의 근무 시간과 관련된 정보를 표시하는 그래프를 생성할 수 있다. 그래프 생성 모듈(150)은 그래프가 아닌 차트, 도표 또는 다이어그램의 형태로 근무 시간 관련 정보를 표시할 수도 있다.
그래프 생성 모듈(150)은 그래프 형태로 근무 시간과 관련된 정보를 표시함에 있어, 특정 기간에 대해 설정된 최대 근무 시간, 기준 근무 시간, 현재까지의 근무 완료 시간을 하나의 그래프 내에서 함께 표시할 수 있다.
그래프 생성 모듈(150)은 근무 시간 관리 모듈(130)에서 관리하는 근무 시간 관련 정보를 참조하여 그래프를 생성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특정 기간 내에서 현재까지 근무 완료된 시간이 기 정해진 기준을 초과하는 경우 그래프의 시작점과 종료점을 상이하게 설정하여 그래프를 갱신할 수 있다.
그래프 생성 모듈(150)은 특정 기간 내에서 계산된, 사용자의 기준 근무 시간에 대한 현재까지의 근무 완료 시간의 비율에 기초하여 그래프의 색상, 형상 또는 크기를 변화시킬 수 있다.
아이콘 관리 모듈(160)은 도 2에 표시된 것과 같이 메뉴 영역(20) 내에 포함되어 있는 다양한 종류의 아이콘의 외형을 관리할 수 있다. 아이콘 관리 모듈(160)이 관리하는 아이콘들을 메뉴 영역(20) 외에서 표시될 수 있으며, 상황에 따라 화면에서 노출되거나 감춰질 수 있다.
아이콘 관리 모듈(160)은 출퇴근 아이콘(30)을 변화시킴에 있어, 근무 시간 관리 모듈(130)에 의해 관리되는 근무 시간 정보 또는 근무 상태 관리 모듈(140)에 의해 관리되는 근무 상태 정보를 기초로 할 수 있다. 아이콘 관리 모듈(160)은 사용자에 대해 설정되는 근무 상태에 따라 출퇴근 아이콘(30)의 외형을 상이하게 변화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근무 상태가 '식사중'인 경우에는 출퇴근 아이콘(30)을 수저 모양으로 변화시킬 수 있으며, 사용자의 근무 상태가 '교육중'인 경우에는 사람이 책을 읽는 형상으로 출퇴근 아이콘(30)을 변화시킬 수 있다.
또한, 아이콘 관리 모듈(160)은 사용자의 근무 시간이 일정 시간 이상 연속되는 경우에 출퇴근 아이콘(30)의 외형을 변화시킬 수 있으며, 사용자에 대해 설정된 출근 예정 시각이 일정 시간 이상 경과되었는데도 사용자의 근무 상태가 출근전으로 설정된 경우 등에도 출퇴근 아이콘(30)의 외형을 변화시킬 수 있다.
위치 정보 관리 모듈(170)은 사용자 단말기(200)의 위치 정보 수집 기능을 통해 사용자 위치 정보를 수집할 수 있으며, 사용자마다 별개로 설정된 근무 상태 변경 가능 위치에 대한 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관리자 알림 생성 모듈(180)은 특정 상황에 특정 사용자에 관련된 정보를 해당 사용자가 속한 회사의 관리자에게 전송하여 알림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관리자 알림 생성 모듈(180)은 특정 기간 내에서, 사용자에 대한 기준 근무 시간 정보, 현재까지의 근무 완료 시간 정보 및 남은 근무 일수 정보를 기초로 하여 사용자가 최대 근무 시간을 초과할 가능성에 대한 예상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예상 정보를 관리자에게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가 최대 근무 시간을 초과할 가능성에 대한 예상 정보는, 정해진 데이터인 기준 근무 시간 정보, 근무 완료 시간 정보, 남은 근무 일수 정보를 기초로 하여 미래에 발생할 수 있는 최대 근무 시간 초과에 대한 확률을 계산하는 것일 수 있으며, 이와 같이 계산된 확률이 일정한 값 이상인 경우에만 관리자에게 알림이 전송될 수 있다.
제어 모듈(190)은 인터페이스 제공 모듈(110), 출퇴근 관리 모듈(120), 근무 시간 관리 모듈(130), 근무 상태 관리 모듈(140), 그래프 생성 모듈(150), 아이콘 관리 모듈(160), 위치 정보 관리 모듈(170), 관리자 알림 생성 모듈(180) 간의 데이터 흐름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모듈(190)은 인터페이스 제공 모듈(110), 출퇴근 관리 모듈(120), 근무 시간 관리 모듈(130), 근무 상태 관리 모듈(140), 그래프 생성 모듈(150), 아이콘 관리 모듈(160), 위치 정보 관리 모듈(170), 관리자 알림 생성 모듈(180)에서 각각 고유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근태관리 어플리케이션(100)은 전술된 다양한 구성부 외에 통신 모듈(미도시됨), 디스플레이 모듈(미도시됨) 등을 추가적으로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사용자 또는 회사측은 근태관리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개인 또는 회사의 근태관리를 편리한 방식으로 수행할 수 있으며, 특히 사용자는 메인 버튼으로 사용되는 출퇴근 아이콘의 외형 변화를 통해 사용자가 다양한 정보를 획득할 있게 된다. 또한, 근무 시간과 관련된 그래프 등이 표시됨에 있어 다양한 인터페이스가 제공되며 사용자는 핀치투줌 등의 기술을 활용하여 직관적으로 그래프를 변화시킬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들은 하드웨어로 직접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로 구현되거나, 또는 이들의 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하드 디스크, 착탈형 디스크, CD-ROM,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잘 알려진 임의의 형태의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상주할 수도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제한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근태관리 시스템
100: 근태관리 어플리케이션
200: 근태관리 서버
300: 외부 서버

Claims (10)

  1. 사용자 단말기 상에 설치되어 실행되는 근태관리 어플리케이션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 디스플레이부 상의 일정 영역에 근태관리 기능을 제공하는 화면과 연결되는 출퇴근 아이콘을 표시하는 단계;
    사용자로의 출근 시각 및 퇴근 시각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특정 사용자에 대해 수집된 출근 시각 및 퇴근 시각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하여 해당 사용자의 특정 기간 내 근무 시간을 산출하는 단계;
    근무 상태를 출근전, 업무중, 식사중, 휴식중, 퇴근후, 출장중, 교육중, 외근중 또는 재택근무중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분류 기준을 통해 분류하고, 사용자의 근무 상태를 상기 분류 기준에 포함되는 항목 중 하나로 설정하는 단계; 및
    산출된 근무 시간 정보 또는 근무 상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기초로 하여 상기 출퇴근 아이콘의 색상, 형상 또는 크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변화시키는 단계를 수행하도록 하는,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된 근태관리 어플리케이션.
  2. 제1항에 있어서,
    그래프, 차트, 도표 또는 다이어그램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로 근무 시간과 관련된 정보를 표시함에 있어, 특정 기간에 대해 설정된 최대 근무 시간 또는 기준 근무 시간과 함께 특정 기간 내의 근무 완료 시간 정보를 하나의 그래프, 차트, 도표 또는 다이어그램 내에서 표시하는 단계; 및
    특정 기간 내에서 현재까지 근무 완료된 시간이 기 정해진 기준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그래프, 차트, 도표 또는 다이어그램 상에서 상기 기준을 시작점으로 설정하고 기준 근무 시간 또는 최대 근무 시간을 종료점으로 설정하는 방식으로 표시 형식을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된 근태관리 어플리케이션.
  3. 제1항에 있어서,
    산출된 근무 시간 정보 또는 근무 상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기초로 하여 상기 출퇴근 아이콘의 색상, 형상 또는 크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변화시키는 단계는,
    사용자에 대해 설정된 출근 예정 시각이 일정 시간 이상 경과되었음에도 사용자의 근무 상태가 출근전으로 설정된 경우에 상기 출퇴근 아이콘이 임의의 시간 간격을 가지는 패턴을 통해 변화하도록 제어하는 것인,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된 근태관리 어플리케이션.
  4. 제1항에 있어서,
    산출된 근무 시간 정보 또는 근무 상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기초로 하여 상기 출퇴근 아이콘의 색상, 형상 또는 크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변화시키는 단계는,
    사용자의 근무 시간이 일정 시간 이상 연속되는 경우 상기 출퇴근 아이콘이 임의의 시간 간격을 가지는 패턴을 통해 변화하도록 제어하는 것인,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된 근태관리 어플리케이션.
  5. 제2항에 있어서,
    특정 기간 내에서, 사용자의 기준 근무 시간에 대한 현재까지의 근무 완료 시간의 비율에 기초하여 상기 그래프, 차트, 도표 또는 다이어그램의 색상, 형상 또는 크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변화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된 근태관리 어플리케이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출퇴근 아이콘의 색상, 형상 또는 크기의 변화는, 상기 그래프, 차트, 도표 또는 다이어그램의 색상, 형상 또는 크기의 변화와 연동되어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된 근태관리 어플리케이션.
  7. 제1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속하는 회사의 탄력근로제 관련 정보, 사용자가 속하는 회사의 근로자수 또는 근로시간 관련 법령의 변화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기초로 하여 사용자의 기준 근무 시간 또는 최대 근무 시간을 계산하고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된 근태관리 어플리케이션.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그래프, 차트, 도표 또는 다이어그램은 사용자 단말기의 핀치투줌 기능의 동작에 의해 그래프, 차트, 도표 또는 다이어그램이 나타내는 시간 범위가 변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된 근태관리 어플리케이션.
  9. 제1항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기의 위치 수집 기능을 통해 사용자 위치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사용자에 대해 설정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근무 상태 변경 가능 위치 정보와 사용자 위치 정보의 비교를 통해 사용자가 근무 상태 변경 가능 위치로부터 일정 반경 내에 위치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사용자가 근무 상태 변경 가능 위치로부터 일정 반경 내에 위치한다고 판단되는 경우, 해당 사용자의 근무 상태를 해당 근무 상태 변경 가능 위치의 종류에 기초하여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된 근태관리 어플리케이션.
  10. 제1항에 있어서,
    특정 기간 내에서, 사용자에 대한 기준 근무 시간 정보, 현재까지의 근무 완료 시간 정보 및 남은 근무 일수 정보를 기초로 하여 사용자가 최대 근무 시간을 초과할 가능성에 대한 예상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가능성이 일정 값 이상으로 계산되는 경우 상기 예상 정보를 관리자에게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된 근태관리 어플리케이션.
KR1020190069737A 2019-06-13 2019-06-13 근태관리 어플리케이션 및 이의 동작 방법 KR2020014267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9737A KR20200142676A (ko) 2019-06-13 2019-06-13 근태관리 어플리케이션 및 이의 동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9737A KR20200142676A (ko) 2019-06-13 2019-06-13 근태관리 어플리케이션 및 이의 동작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42676A true KR20200142676A (ko) 2020-12-23

Family

ID=740895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9737A KR20200142676A (ko) 2019-06-13 2019-06-13 근태관리 어플리케이션 및 이의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142676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6028B1 (ko) 2021-03-19 2021-08-04 주식회사 렛유인 인공지능 기반 인재 관리 솔루션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20220132180A (ko) 2021-03-23 2022-09-30 홍윤환 근무패턴 비교를 통한 업무 관리 방법 및 이를 운용하는 시스템
KR20220142146A (ko) 2021-04-14 2022-10-21 주식회사 이노와이어리스 재택근무 관리 시스템 및 이에 적용되는 재택근무 관리기 및 재택근무 관리 방법
KR102628123B1 (ko) * 2023-02-15 2024-01-25 주식회사 더블유이하다 장애인 운동선수 근로자의 근로 관리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102663190B1 (ko) * 2023-02-15 2024-05-03 주식회사 더블유이하다 장애인 문화예술인 근로자의 근로 관리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34572A (ko) 2012-09-12 2014-03-20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근태정보 관리 방법 및 이에 적용되는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34572A (ko) 2012-09-12 2014-03-20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근태정보 관리 방법 및 이에 적용되는 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6028B1 (ko) 2021-03-19 2021-08-04 주식회사 렛유인 인공지능 기반 인재 관리 솔루션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20220132180A (ko) 2021-03-23 2022-09-30 홍윤환 근무패턴 비교를 통한 업무 관리 방법 및 이를 운용하는 시스템
KR20220142146A (ko) 2021-04-14 2022-10-21 주식회사 이노와이어리스 재택근무 관리 시스템 및 이에 적용되는 재택근무 관리기 및 재택근무 관리 방법
KR102628123B1 (ko) * 2023-02-15 2024-01-25 주식회사 더블유이하다 장애인 운동선수 근로자의 근로 관리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102663190B1 (ko) * 2023-02-15 2024-05-03 주식회사 더블유이하다 장애인 문화예술인 근로자의 근로 관리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142676A (ko) 근태관리 어플리케이션 및 이의 동작 방법
US779718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ed forecasting using multiple sources
EP3828802A1 (en) System and method for allocating value to timekeeper work
US20170200220A1 (en) Performance of a remotely managed customer service system
US20200118085A1 (en) Specifically programmed computer-implemented engine systems for real-time on-demand discovery of available time slots across programmed schedule objects and methods of use thereof
CN110837917A (zh) 一种客户拜访管理系统、方法、终端设备及存储介质
JP6062086B1 (ja) 業務支援システム
JP6624708B1 (ja) 情報処理装置、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EP3907686A1 (en) Improved client entry and maintenance system for timekeeping and billing for professional services system and method
US20240046820A1 (en) System and method for the creation of fee agreements for timekeeping and billing for professionals and consultants
US20200097919A1 (en) Server supported mobile application for scheduling or conducting transactions
CN111492385A (zh) 停车管理系统
US20220083983A1 (en) Schedule management service system and method
KR101344498B1 (ko) 맞춤형 영업활동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영업활동 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
JP6337229B1 (ja) ユーザの業務状況を管理するための方法、プログラム及び情報処理装置
US20220058586A1 (en) In Advance Workforce Instant Wage Payment
JP6649235B2 (ja) 業務支援システム、業務支援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6633733B1 (ja) 外勤者業務管理システム
US20220327465A1 (en) System and method for shift scheduling
KR20160074084A (ko) 소규모 스타트업 및 pc 부재 환경에 적합한 스마트폰 기반 근태관리 서비스
Hertzog et al. Context-aware mobile assistants for optimal interaction: a prototype for supporting the business traveler
US11068542B2 (en) Serviceability tracking system
US20200333155A1 (en) Client and prospect app
KR102591038B1 (ko) 인공지능 캘린더를 활용한 일정 관리 시스템
JP2018147470A (ja) ユーザの業務状況を管理するための方法、プログラム及び情報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