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4262B1 - 노무비 자동 산정 기능을 구비한 임금 명세서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노무비 자동 산정 기능을 구비한 임금 명세서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4262B1
KR102494262B1 KR1020220071237A KR20220071237A KR102494262B1 KR 102494262 B1 KR102494262 B1 KR 102494262B1 KR 1020220071237 A KR1020220071237 A KR 1020220071237A KR 20220071237 A KR20220071237 A KR 20220071237A KR 102494262 B1 KR102494262 B1 KR 1024942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wage
hours
statement
work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712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영
Original Assignee
김재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재영 filed Critical 김재영
Priority to KR10202200712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426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42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42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5Human resour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1/00Registering, indicating or recording the time of events or elapsed time, e.g. time-recorders for work people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관리자 컴퓨터에 설치 구현되는 전사적자원관리(ERP, Enterprise Resource Planning) 프로그램에 의해 제공되는 임금명세서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작업현장에 설치되어 출, 퇴근하는 근로자들의 날짜별 출근 및 퇴근 시간에 대한 출입정보를 생성 가능한 근로자 출입 관리장치에 연동되어 상기 근로자 출입 관리장치로부터 생성된 출입정보를 수신 제공받아 수집하며, 상기 관리자 컴퓨터에 구현되는 전사적자원관리 프로그램을 통해 관리자가 입력 생성하는 임금명세서 항목설정에 기준이 되는 각종 정보를 수집하는 정보 수집유닛; 임금명세서의 포맷을 구성하는 항목 및 항목별 산출방식을 설정하고, 상기 정보 수집유닛으로부터 수집된 정보를 기반으로 기 설정된 항목별 산출방식에 따라 정보값을 반영하여 근로자별 임금명세서를 생성하는 임금명세서 관리유닛; 및 상기 임금명세서 관리유닛을 통해 생성된 근로자별 임금명세서의 출력 확인이 가능한 링크 정보를 포함하는 임금명세서 안내정보를 기 등록된 근로자별 단말에 전송하는 임금명세서 안내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노무비 자동 산정 기능을 구비한 임금 명세서 관리 시스템 {WAGE STATEMENT MANAGEMENT SYSTEM HAVING AUTOMATIC LABOR COST CALCULATION FUNCTION}
본 발명은 노무비 자동 산정 기능을 구비한 임금 명세서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ERP(Enterprise Resource Planning)는 전사적 자원관리 라고 불리며 기업활동을 위해 쓰이고 있는 기업 내의 모 든 인적, 물적 자원을 효율적으로 관리하여 궁극적으로 기업의 경쟁력을 강화시켜 주는 역할을 하는 통합정보시 스템이라고 할 수 있다.
국내의 많은 대형 건설사들은 급변하는 국내외 건설시 장의 기업환경과 무한경쟁체계의 시장 환경에 다른 새로 운 개념의 글로벌 전략 자원관리 및 공급업체 구축의 필 요성과 기업 내부의 체계적인 관리를 통한 원가절감으로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 CALS/EC 체제를 바탕으로 한 정보를 종합한 ERP 시스템을 도입하였다.
이러한 건설 ERP 시스템 도입업체를 중심으로 실시한 ERP 시스템 도입효과에 대해 정량적 요인과 정성적 요인 으로 나누어 비교 분석한 연구에 따르면, ERP 시스템의 도입이 건설회사의 경영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 중에서도 건설 ERP 시스템은 현장에서 관리되고 있는 작업인력의 전반적인 관리를 하며 우수한 인력들의 자료를 방대하게 구축하기 위한 일반사항/급여/평가/세금/퇴직 등의 처리를 수행하며 다양한 노무관리 기능의 개발이 진행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임금명세서의 생성에서부터 근로자들로의 교부까지의 과정에 있어 자동화 및 전자화를 필요로 하는 다양한 요구들이 계속 증가가하고 있으며, 이와 관련하여 근로자는 자신의 급여명세서를 언제 어디서든 열람할 수 있도록 하며, 고용주는 보다 편리하게 급여명세서를 근로자에게 교부하여 궁극적으로 근로자 및 고용주 모두 급여명세서의 관리를 더욱 체계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마련된 종래기술에 대한 선행문헌에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70348호의 "급여명세서 교부 방법 및 장치, 및 급여명세서 관리 시스템"(이하, '종래기술'이라고 함)이 있다.
하지만, 종래기술을 비롯한 기존의 건설 ERP 시스템 내 임금명세서 관리와 관련 기술들의 경우, 단순히 일정 문서형태로 작성된 임금명세서를 전자문서화하여 해당 전자문서를 근로자에게 발송하는 1차원적인 형태에 그침에 따라 임금명세서의 관리 기능이 실질적으로 공사현장에서 일하는 근로자의 다양한 근로계약형태 및 임금명세서 교부요구 형태를 고려하여 기능적 효율성 및 범용성이 매우 낮은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임금명세서의 포맷을 구성하는 다양한 항목 및 해당 항목의 산출방식과 관련하여 근로자별로 관리자가 다양한 형태로 구현 가능하며, 근로자의 근로계약유형에 따른 노무비의 세부적인 자동 산출 기능이 모든 유형에 걸쳐 신뢰성있게 수행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임금명세서의 교부와 관련하여 근로자별로 각기 다양한 교부방법 중 선택적인 선택 및 관리가 가능하며, 임금명세서의 교부를 통한 열람에 있어 보안성을 충분히 갖출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노무비 자동 산정 기능을 구비한 임금 명세서 관리 시스템은, 관리자 컴퓨터에 설치 구현되는 전사적자원관리(ERP, Enterprise Resource Planning) 프로그램에 의해 제공되는 임금명세서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작업현장에 설치되어 출, 퇴근하는 근로자들의 날짜별 출근 및 퇴근 시간에 대한 출입정보를 생성 가능한 근로자 출입 관리장치에 연동되어 상기 근로자 출입 관리장치로부터 생성된 출입정보를 수신 제공받아 수집하며, 상기 관리자 컴퓨터에 구현되는 전사적자원관리 프로그램을 통해 관리자가 입력 생성하는 근로자의 근로계약 내용에 대한 계약정보를 수집하는 정보 수집유닛; 및 임금명세서의 포맷을 구성하는 항목 및 항목별 산출방식을 설정하고, 상기 정보 수집유닛으로부터 수집된 정보를 기반으로 기 설정된 항목별 산출방식에 따라 정보값을 반영하여 근로자별 임금명세서를 생성하는 임금명세서 관리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임금명세서 관리유닛은, 임금명세서의 포맷을 구성 가능한 임금항목들에 관한 항목정보와 상기 항목정보 각각에 대응되는 항목별 산출방식 설정에 이용 가능하며 특정 시간, 금액 또는 비율 중 하나로 정의되는 세부항목들에 관한 세부항목정보가 각각 데이터베이스화되어 기 설정 저장되는 항목정보 저장부; 및 상기 관리자 컴퓨터를 통해 노무비 산정비율 설정을 위해 입력 생성되는 노무비 산정비율 설정신호를 기반으로 근로자 중 일용직 근로자의 근로계약 유형별로 기본근로시간, 주휴시간, 연장근로시간, 휴일근로시간, 연차휴가시간 및 야간근로시간에 해당하는 노무비 관련 세부항목 각각의 월 기준 환산시간을 설정하고, 노무비 관련 세부항목 전체의 월 기준 환산시간의 합 대비 각각의 월 기준 환산시간의 비율에 해당하는 산정비율을 계산하여 근로계약 유형별 노무비 산정비율 정보로 생성하는 노무비 산정비율 설정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정보 수집유닛은, 상기 근로자 출입 관리장치로부터 생성된 출입정보를 수신하여 근로자별로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 관리하는 출입정보 관리부; 상기 출입정보 관리부에 저장 관리되는 근로자별 출입정보를 기반으로 근로자별 근로일수, 총 근로시간, 기본근로시간, 주휴시간, 연장근로시간, 휴일근로시간, 연차휴가시간 및 야간근로시간에 대한 근로시간 내역 정보를 생성하여 근로자별로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 관리하는 근로시간 내역 정보 관리부; 상기 관리자 컴퓨터를 통해 입력 생성되는 계약정보 생성신호를 기반으로 근로자의 근로계약 내용에 대한 계약정보를 생성하여 근로자별로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 관리하는 계약정보 관리부; 및 상기 관리자 컴퓨터를 통해 입력 생성되는 항목 기준정보 생성신호를 기반으로 임금명세서의 포맷을 구성하는 임금항목별 산출방식 설정에 이용 가능한 특정 세부항목의 기준금액에 관한 기준금액정보 및 특정 세부항목의 기준비율에 관한 기준비율정보를 생성하여 사업장별로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 관리하는 기준정보 관리부;를 포함한다.
아울러, 상기 임금명세서 관리유닛은, 상기 근로시간 내역 정보 관리부에 저장 관리된 근로시간 내역 정보 중 일용직 근로자의 근로시간 내역 정보 및 상기 계약정보 관리부에 저장 관리된 계약정보 중 일용직 근로자의 계약정보를 기반으로 월 기준 총 근로시간을 산출하고, 산출된 월 기준 총 근로시간을 상기 노무비 산정비율 설정부를 통해 생성된 노무비 산정비율 정보 중 일용직 근로자 각각의 계약정보에 대응되는 근로계약 유형별 노무비 산정비율 정보를 이용해 기본근로시간, 주휴시간, 연장근로시간, 휴일근로시간, 연차휴가시간 및 야간근로시간 각각으로 역산한 근로시간 역산내역 정보를 생성하여 근로자별로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 관리하는 근로시간 역산내역 정보 관리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임금명세서 관리유닛은, 상기 관리자 컴퓨터를 통해 임금항목의 선택을 위해 입력 생성되는 제1포맷 설정신호를 기반으로 임금명세서의 포맷을 구성하는 임금항목이 상기 항목정보 저장부에 저장된 항목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 선택 반영되도록 하는 임금항목 설정부; 및 상기 관리자 컴퓨터를 통해 임금항목의 산출방식 설정을 위해 입력 생성되는 제2포맷 설정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임금항목 설정부를 통해 임금명세서의 포맷 상에 선택 반영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임금항목 각각에 대한 산출방식이 상기 항목정보 저장부에 저장된 세부항목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변수로 포함하는 특정 수식으로 설정 반영되도록 하는 산출방식 설정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임금명세서 관리유닛은, 상기 관리자 컴퓨터를 통해 특정 기능을 수행하고자 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근로자 대상을 선택하기 위해 입력 생성되는 대상선택신호 및 대상선택신호에 따른 적어도 하나 이상의 근로자 대상의 임금명세서 생성을 위해 입력 생성되는 임금명세서 생성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임금항목 설정부를 통해 선택된 임금항목이 구성으로 포함되며 상기 산출방식 설정부를 통해 임금항목별로 설정된 산출방식에 따라 임금항목별 금액을 산출한 결과가 반영된 포맷의 임금명세서가 대상선택신호에 따른 적어도 하나 이상의 근로자 대상 각각에 대응되는 임금명세서로 일괄 생성되도록 하는 임금명세서 생성부;를 포함한다.
아울러, 상기 임금명세서 생성부는 상기 근로시간 내역 정보 관리부에 저장된 근로시간 내역 정보 중 기본근로시간, 주휴시간, 연장근로시간, 휴일근로시간, 연차휴가시간 및 야간근로시간에 대한 정보 및 상기 기준정보 관리부에 저장된 기준금액정보 중 통상시급에 대한 정보를 이용해 노무비 관련 임금항목의 금액을 산출하는 제1노무비 산출방식 또는 상기 근로시간 역산내역 정보 관리부에 저장된 근로시간 역산내역 정보에 따라 계약유형별로 역산된 기본근로시간, 주휴시간, 연장근로시간, 휴일근로시간, 연차휴가시간 및 야간근로시간에 대한 정보 및 상기 계약정보 관리부에 저장된 계약정보에 따른 통상시급에 대한 정보를 이용해 노무비 관련 임금항목의 금액을 산출하는 제2노무비 산출방식 중 하나로 노무비 관련 임금항목의 금액을 산출하며, 상기 임금명세서 생성부는 일용직 근로자의 경우 계약유형에 따라 임금명세서 내 노무비 관련 임금항목의 금액 산출이 상기 제2노무비 산출방식을 기반으로 산출되도록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임금명세서의 포맷을 구성하는 다양한 항목 및 해당 항목의 산출방식과 관련하여 근로자별로 관리자가 다양한 형태로 구현할 수 있다.
둘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된 임금명세서의 포맷 설정을 저장하고, 저장된 포맷 설정을 다시 불러와 간단히 다른 근로자의 임금명세서 포맷에 동일하게 적용가능하며, 이러한 기능의 수행에 있어 복수의 대상에 일괄 적용 또한 가능하다.
셋째, 임금명세서의 교부를 통한 안내에 있어 다양한 방법 중 하나를 관리자가 선택적으로 근로자별로 달리 설정 가능하며, 각각의 임금명에서 안내 내용 역시 관리자가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다.
넷째, 임금명세서의 교부를 통한 안내가 이루어지는 내용에 포함되는 접속링크 정보를 근로자가 클릭하여 자신의 임금명세서를 확인함에 있어 별도의 인증절차를 거치도록 함으로서 보안성의 수준을 높게 갖추고 있다.
다섯째, 공사 현장에서 근무하는 일용직 근로자를 비롯한 다양한 근로자들 각각의 근로계약 유형에 대응되어 전체 월 근무시간을 기준으로 노무비 산정에 기초가 되는 세부항목별 월환산비율에 대한 설정이 가능하고, 이를 기반으로 노무비의 자동 산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여섯째, 임금명세서의 생성에서부터 교부, 그리고 근로자의 임금명세서의 확인에 이르는 일련의 모든 과정에서의 현황을 정보화하여 저장 관리하고, 이를 관리자가 언제든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출력 제공 가능하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임금명세서 관리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임금명세서 관리 시스템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3 및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임금명세서 관리 시스템 내 임금명세서 관리유닛에 의해 수행되는 임금항목 및 산출방식 설정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임금명세서 관리 시스템 내 임금명세서 관리유닛에 의해 수행되는 설정내역 일괄변경 및 임금명세서 생성내역 관리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임금 명세서 관리 시스템 내 임금명세서 안내유닛에 의해 수행되는 임금명세서 안내내역 관리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임금 명세서 관리 시스템 내 임금명세서 안내유닛에 의해 수행되는 임금명세서 안내정보 확인내역 관리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8 및 도9는 본 발명에 따른 임금명세서 관리 시스템 내 임금명세서 관리유닛에 의해 수행되는 노무비 산정비율 설정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10은 본 발명에 따른 임금명세서 관리 시스템 내 임금명세서 관리유닛에 의해 수행되는 근로시간 역산을 통한 노무비 관련 임금항목의 금액 산출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11 및 도12는 본 발명에 따른 임금 명세서 관리 시스템 내 임금명세서 안내유닛에 의해 수행되는 임금명세서 안내정보 생성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13은 본 발명에 따른 임금 명세서 관리 시스템 내 임금명세서 안내유닛에 의해 수행되는 임금명세서 안내정보 내 링크정보로의 접속 후 인증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14는 본 발명에 따른 임금명세서 관리 시스템 내 임금명세서 관리유닛에 의해 수행되는 임금명세서 생성기능의 결과물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되, 이미 주지된 기술적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의 간결함을 위해 생략하거나 압축하기로 한다.
<임금 명세서 관리 시스템의 구성요소 및 기능형태에 관한 설명>
먼저, 관리자 컴퓨터(1)에 설치 구현되는 전사적자원관리(ERP, Enterprise Resource Planning) 프로그램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임금 명세서 관리 시스템(100)에 대해 이하에서 도1 내지 도2의 구성도 및 블록도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임금 명세서 관리 시스템(100)은 도1 및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보수집유닛(110); 임금명세서 관리유닛(120); 및 임금명세서 안내유닛(130);을 포함한다.
우선적으로, 임금 명세서 관리 시스템(100)은 관리자 컴퓨터(1)로 내부에 구현되는 전사적자원관리(ERP, Enterprise Resource Planning) 프로그램에 의해 제공되며, 각 구성부가 모듈로서 기능하는 시스템의 형태를 갖출 수도 있고, 프로그램의 형태를 갖추어 각 구성부가 프로그램 세부 기능을 수행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임금 명세서 관리 시스템(100)은 관리자 컴퓨터(1) 내부의 기억장치(10)에 프로그램 형태로 설치되어 시스템을 구축하고, 성적서 작성자 컴퓨터(1)의 입력장치(20), 출력장치(30), 연산장치(40) 및 제어장치(50)와 상호 연동되도록 인터페이스를 구축함에 따라 상호 신호 및 데이터의 송수신을 수행가능하다.
예를 들어, 키보드 및 마우스와 같은 입력장치(20)를 통해 관리자가 특정 신호를 입력하면, 이는 임금 명세서 관리 시스템(100)에 전달되어 특정 단계의 진행 혹은 특정 기능의 수행에 연동되게 된다.
아울러, 임금 명세서 관리 시스템(100)으로부터 특정 단계의 진행 혹은 특정 기능의 수행이 이루어지면, 디스플레이와 같은 출력장치(30)에 전달되어 정보의 시각적 출력 수행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
그리고 실시에 따라 임금 명세서 관리 시스템(100)은 관리자 컴퓨터(1) 내부의 기억장치(10)에 설치되는 프로그램 자체로서 해석될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아니한다.
정보수집유닛(110)은 작업현장에 설치되어 출, 퇴근하는 근로자들의 날짜별 출근 및 퇴근 시간에 대한 출입정보를 생성 가능한 근로자 출입 관리장치(200) 및 임금 명세서 관리 시스템(100) 자체에 해당하는 관리자 컴퓨터(1)에 설치 구현되는 전사적자원관리(ERP, Enterprise Resource Planning) 프로그램과 상호 연동되어 임금명세서의 생성 및 제공과 관련한 각종 기능 수행에 요구되는 기초정보들을 수집한다.
우선, 정보수집유닛(110)은 근로자 출입 관리장치(200)로부터 생성되는 출입정보를 관리서버(S)를 중계하거나, 사전에 근로자 출입 관리장치(200)로부터 관리서버(S)에 전송되어 관리되고 있던 출입정보를 제공받아 수집하게 된다.
또한, 정보수집유닛(110)은 관리자 컴퓨터(1)에 구현되는 전사적자원관리 프로그램을 통해 관리자가 입력 생성하는 임금명세서 항목설정에 기준이 되는 각종 정보를 수집하게 된다.
더 나아가, 정보수집유닛(110)은 관리자 컴퓨터(1)에 구현되는 전사적자원관리 프로그램을 통해 관리자가 입력 생성하는 근로자의 근로계약 내용에 대한 계약정보를 수집하게 된다.
여기서, 관리자가 입력장치(20)를 이용해 신호를 입력함에 따라 생성되는 임금명세서 항목설정에 기준이 되는 각종 정보 및 계약정보는 관리자에 의해 수정, 삭제, 갱신등이 이루어질 수 있다.
결국 이를 위해, 정보수집유닛(110)은 출입정보 관리부(111), 근로시간 내역정보 관리부(112), 계약정보 관리부(113) 및 기준정보 관리부(114)를 포함한다.
여기서, 출입정보 관리부(111)는 근로자 출입 관리장치(200)로부터 생성된 출입정보를 수신하여 근로자별로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 관리하며, 이러한 출입정보는 근로자가 근로자 출입 관리장치(200)를 거쳐 작업현장에 출근, 퇴근, 외근, 외출 등을 수행하는 과정에서의 작업현황을 반영하고 있어 구체적인 근무내역을 확인할 수 있다.
다음으로, 근로시간 내역정보 관리부(112)는 출입정보 관리부(110)에 저장 관리되는 근로자별 출입정보를 기반으로 근로자별 근로일수, 총 근로시간, 기본근로시간, 주휴시간, 연장근로시간, 휴일근로시간, 연차휴가시간 및 야간근로시간에 대한 근로시간 내역 정보를 생성하여 근로자별로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 관리한다.
이를 통해, 관리자는 근로시간 내역 정보를 확인할 경우 해당 근로자의 근로일수, 총 근로시간, 기본근로시간, 주휴시간, 연장근로시간, 휴일근로시간, 연차휴가시간 및 야간근로시간에 대한 시간정보를 확인할 수 있으며 이를 기반으로 임금의 산출에 이용할 수 있다.
또한, 계약정보 관리부(113)는 관리자 컴퓨터(1)를 통해 입력 생성되는 계약정보 생성신호를 기반으로 근로자의 근로계약 내용에 대한 계약정보를 생성하여 근로자별로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 관리한다.
이를 통해, 관리자는 계약정보를 확인할 경우 해당 근로자의 계약유형이 어떤 형태이고, 급여와 관련한 시간, 금액, 세부 조건들이 있는지 등에 관한 구체적 정보를 확인할 수 있으며 이를 기반으로 임금의 산출에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용직 근무자의 계약정보 내 계약유형은 포괄임금형 근로계약인지, 시급제형 근로계약인지 등을 정의하고 있으며, 각각의 유형에 대응되어 포괄임금에 따른 일일 기준근무시간, 총 지급급여액, 통상시급, 계약기간 등의 정보 혹은 시급제에 따른 통상시급, 계약기간 등의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마지막으로, 기준정보 관리부(114)는 관리자 컴퓨터(1)를 통해 입력 생성되는 항목 기준정보 생성신호를 기반으로 임금명세서의 포맷을 구성하는 임금항목별 산출방식 설정에 이용 가능한 특정 세부항목의 기준금액에 관한 기준금액정보 및 특정 세부항목의 기준비율에 관한 기준비율정보를 생성하여 사업장별로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 관리한다.
여기서, 기준비율정보 내 세부항목의 기준금액이라 함은 예를 들어 일반 근무자(일용직 근무자를 제외한 유형)별 특정기준에 따른 통상시급액, 간이세액, 고용보수월액, 연금소득월액, 건강보수월액, 근로소득금액, 건강과세금액, 연금과세금액, 고용과세금액, 국민연금하한금액, 국민연금상한금액, 건강보험하한금액, 건강보험상한금액 등에 대한 정보들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기준비율정보 내 특정 세부항목의 기준비율이라 함은 예를 들어 건강보험요율, 요양보험요율, 국민연금요율, 고용보험요율, 근로시간별 기본근로시간 대시 연장근로, 야간근로, 휴일근로, 주휴시간 각각의 환산계수 및 할증률 등에 대한 정보들이 포함될 수 있다.
임금명세서 관리유닛(120)은 임금명세서의 포맷을 구성하는 항목 및 항목별 산출방식을 설정하고, 정보 수집유닛(110)으로부터 수집된 정보를 기반으로 기 설정된 항목별 산출방식에 따라 정보값을 반영하여 근로자별 임금명세서를 생성한다.
이를 위해, 임금명세서 관리유닛(120)은 항목정보 저장부(121), 노무비 산정비율 설정부(122), 근로시간 역산내역 정보 관리부(123), 임금항목 설정부(124), 산출방식 설정부(125), 설정내역 정보 저장부(126), 제1설정내역 변경부(127a), 제2설정내역 변경부(127b), 임금명세서 생성부(128) 및 임금명세서 생성내역 정보 관리부(129)를 포함한다.
우선, 항목정보 저장부(121)는 임금명세서의 포맷을 구성 가능한 임금항목들에 관한 항목정보와 항목정보 각각에 대응되는 항목별 산출방식 설정에 이용 가능하며 특정 시간, 금액 또는 비율 중 하나로 정의되는 세부항목들에 관한 세부항목정보가 각각 데이터베이스화되어 기 설정 저장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항목정보 저장부(121) 내 항목정보가 설정 저장된 데이테베이스 내에는 예를 들어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장근로수당, 야간근로수당, 휴일근로수당, 근로소득세, 지방소득세, 고용보험, 국민연금, 건강보험, 장기요양보험과 같은 선택적으로 임금명세서 내 설정여부가 결정되거나 산출방식의 수정이 가능한 항목들에서부터 실시에 따라 항목설정 여부와 상관없이 기본적으로 포함되거나 산출방식의 수정이 요구되지 않고 일정 금액으로 고정되는 기본급, 직무수당, 차량보조금, 성과급, 직책수당, 식대 등의 항목들이 포함될 수도 있다.
또한, 항목정보 저장부(121) 내 세부항목정보가 설정 저장된 데이테베이스 내에는 예를 들어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근로자 및 날짜와 관련한 년, 월, 성명, 부서, 직급, 회사명, 지급입, 시번, 생년월일 등의 세부항목, 근로시간 내역과 관련한 근로일수, 총근로시간, 기본근로시간, 연장근로시간, 야간근로시간, 휴일근로시간 등의 세부항목, 소득금액과 관련한 통상시급, 고용보수월액, 연금소득월액, 건강보수월액, 근로소득월액, 건강과세금액, 연금과세금액, 고용과세금액 등의 세부항목, 공제금액과 관련한 근로소득세, 지방소득세, 건강보험료, 요양보험료, 국민연금, 고용보험료, 건강보험요율, 요양보험요율, 국민연금요율, 고용보험요율, 국민연금하한금액, 국민연금상한금액, 건강보험하한금액, 건강보험상한금액 등의 세부항목 및 종합금액과 관련한 지금액계, 공제액계, 차인지급액, 기지급액, 실수령액 등의 세부항목이 포함될 수도 있다.
이와 관련하여, 임금항목 설정부(124)는 관리자 컴퓨터(1)를 통해 임금항목의 선택을 위해 입력 생성되는 제1포맷 설정신호를 기반으로 임금명세서의 포맷을 구성하는 임금항목이 항목정보 저장부(121)에 저장된 항목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 선택 반영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임금항목 설정부(124)를 통해 임금항목 설정기능의 수행이 이루어질 경우, 전사적자원관리(ERP) 프로그램을 통해 관리자 컴퓨터(1)의 출력장치(30)에 제공되는 임금항목 설정화면은 도3과 같으며, 임금항목 설정 리스트(IS)에서 제1포맷 설정신호를 통해 하나씩 임금항목이 선택 반영되며, 이와 같이 반영된 임금항목(IL)들은 최종적으로 진행되는 임금명세서의 포맷 내에 포함된다.
다음으로, 산출방식 설정부(125)는 관리자 컴퓨터(1)를 통해 임금항목의 산출방식 설정을 위해 입력 생성되는 제2포맷 설정신호를 기반으로 임금항목 설정부(123)를 통해 임금명세서의 포맷 상에 선택 반영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임금항목 각각에 대한 산출방식이 항목정보 저장부(121)에 저장된 세부항목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변수로 포함하는 특정 수식으로 설정 반영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산출방식 설정부(125)를 통해 임금항목별 산출방식의 설정기능의 수행이 이루어질 경우, 전사적자원관리(ERP) 프로그램을 통해 관리자 컴퓨터(1)의 출력장치(30)에 제공되는 산출방식 설정화면은 도4와 같으며, 세부항목정보 리스트(SL)에서 제2포맷 설정신호를 통해 특정 세부항목정보가 선택되고 특정 수식 혹은 숫자가 입력 반영된다.
이를 통한 산출방식의 설정내용은 우선적으로 도4와 같은 산출방식 설정화면 내 설정내용 출력영역(T1)에서 확인 가능하며, 산출방식을 기반으로 실질적인 수치가 대응 적용된 결과는 도4와 같은 산출방식 설정화면 내 미리보기 출력영역(T2)에서 확인 가능하다,
예를 들어, '국민연금'의 임금항목의 산출방식을 설정함에 있어 관리자는 도4와 같은 산출방식 설정화면 내 세부항목정보 리스트(SL)에서 '연금소득월액'의 금액 관련 세부항목을 선택한 뒤, '×'의 수식을 입력하고, 다시 '국민연금요율'의 비율 관련 세부항목을 선택한다.
그 결과, 도4와 같은 산출방식 설정화면 내 설정내용 출력영역(T1)에는 '<<연금소득월액>>×<<국민연금요율>>'의 산출방식이 적용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고, 도4와 같은 산출방식 설정화면 내 미리보기 출력영역(T2)에는 '3,000,000×4.5%'의 수치가 대응 적용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더 나아가, 노무비 산정비율 설정부(122)는 관리자 컴퓨터(1)를 통해 노무비 산정비율 설정을 위해 입력 생성되는 노무비 산정비율 설정신호를 기반으로 근로자 중 일용직 근로자의 근로계약 유형별로 기본근로시간, 주휴시간, 연장근로시간, 휴일근로시간, 연차휴가시간 및 야간근로시간에 해당하는 노무비 관련 세부항목 각각의 월 기준 환산시간을 설정하고, 노무비 관련 세부항목 전체의 월 기준 환산시간의 합 대비 각각의 월 기준 환산시간의 비율에 해당하는 산정비율을 계산하여 근로계약 유형별 노무비 산정비율 정보로 생성한다.
여기서, 일용직 근로자의 근로계약 유형은 예를 들어, 포괄임금형 근로계약 혹은 시급제형 근로계약 등이 있으며, 이러한 근로계약 유형의 경우 세부적으로 기본근로시간, 주휴시간, 연장근로시간, 휴일근로시간, 연차휴가시간 및 야간근로시간에 해당하는 노무비 관련 세부항목 각각의 정보가 수집되지 않고 전체적으로 합산된 정보가 수집되기 때문에 이를 다세 구분하여 산정할 필요가 요구된다.
이에 따라, 노무비 산정비율 설정부(122)는 일용직 근로자의 근로계약 유형에 따라 어떤 방식으로 노무비 관련 세부항목 각각의 월 기준 환산시간에 관해 설정할지를 구분하여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노무비 산정비율 설정부(122)를 통해 노무비 관련 세부항목 각각의 월 기준 환산시간 설정기능의 수행이 이루어질 경우, 전사적자원관리(ERP) 프로그램을 통해 관리자 컴퓨터(1)의 출력장치(30)에 제공되는 월 기준 환산시간 설정화면은 도8과 같으며, 노무비 관련 세부항목(EL) 별로 각각의 월 기준 환산시간(CT)이 특정시간 수치로 설정되면 자동으로 전체 합산시간 대비하여 비율(CR)이 결정된다.
예를 들어, 10시간 근무를 기준으로 한 포괄임금형 근로계약의 경우 노무비 관련 세부항목(EL) 각각의 월 기준 환산시간을 기본근로시간을 174시간, 주휴시간을 35시간, 연장근로시간을 65.1시간, 휴일근로시간을 69.44시간, 연차휴가시간을 8시간 및 야간근로시간을 0시간으로 설정하면, 이에 따라 노무비 관련 세부항목 전체의 월 기준 환산시간의 합 대비 기본근로시간의 비율이 49.49%, 주휴시간의 비율이 9.96%, 연장근로시간의 비율이 18.52%, 휴일근로시간의 비율이 19.75%, 연차휴가시간의 비율이 2.28% 및 야간근로시간의 비율이 0%로 자동 산출되어 근로계약 유형별 노무비 산정비율 정보로 생성된다.
이와 같이 설정 생성된 근로계약 유형별 노무비 산정비율 정보는 일용직 근로자의 근로계약 유형별로 각기 달리 설정됨은 물론이고 구분되어 관리됨으로서, 도8과 같은 월 기준 환산시간 설정화면에서 근로계약유형의 선택버튼을 관리자가 클릭하면 도9와 같이 근로계약유형 선택창(TS)이 활성화되고, 이 중에서 관리자가 근로계약 유형별 노무비 산정비율 정보의 설정을 통한 생성 혹은 재설정(수정)을 통한 재성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이어, 근로시간 역산내역 정보 관리부(123)는 근로시간 내역 정보 관리부(112)에 저장 관리된 근로시간 내역 정보 중 일용직 근로자의 근로시간 내역 정보 및 계약정보 관리부(113)에 저장 관리된 계약정보 중 일용직 근로자의 계약정보를 기반으로 월 기준 총 근로시간을 산출한다.
또한, 근로시간 역산내역 정보 관리부(123)는 산출된 월 기준 총 근로시간을 노무비 산정비율 설정부(122)를 통해 생성된 노무비 산정비율 정보 중 일용직 근로자 각각의 계약정보에 대응되는 근로계약 유형별 노무비 산정비율 정보를 이용해 기본근로시간, 주휴시간, 연장근로시간, 휴일근로시간, 연차휴가시간 및 야간근로시간 각각으로 역산한 근로시간 역산내역 정보를 생성하여 근로자별로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 관리한다.
예를 들어, 전사적자원관리(ERP) 프로그램을 통해 관리자 컴퓨터(1)의 출력장치(30)에 제공되는 도10과 같은 근로자별 노무내역 출력화면에서 근로시간 역산내역 출력영역(T9)를 참고하면, 10시간 근무를 기준으로 한 포괄임금형 근로계약이 이루어진 첫째줄의 근로자의 경우 월 총 근로일수가 13일로 월 총 근로시간은 13일에 8시간의 기본근로시간을 곱한 104시간이 기준이 되며, 계약정보에 따라 총 지급급여는 2,080,000원이며, 통산시급은 월 총 근로시간을 통해 20,000원이 기준이 된다.
이 경우, 10시간 근무를 기준으로 한 포괄임금형 근로계약의 노무비 산정비율 정보를 기준으로 기본근로시간은 104시간의 49.49% 인 51.47시간으로, 주휴시간은 104시간의 9.96% 인 10.36시간으로, 연장근로시간은 104시간의 18.52% 인 19.26시간으로, 휴일근로시간은 104시간의 18.52% 인 19.26시간으로, 연차휴가시간은 104시간의 2.28% 인 2.37시간으로 역산하여 자동 산출된다,
또한, 자동 산출된 10시간 근무를 기준으로 한 포괄임금형 근로계약의 경우 노무비 관련 세부항목별 시간 각각에 20,000원의 통산시급을 곱하여 기본급은 1,029,400원, 주휴수당은 207,200원, 연장근로수당은 385,200원, 휴일근로수당은 410,800원, 연차휴가수당은 47,400원으로 자동 산출되며, 그 결과는 전사적자원관리(ERP) 프로그램을 통해 관리자 컴퓨터(1)의 출력장치(30)에 제공되는 도10과 같은 근로자별 노무내역 출력화면 내 노무비 세부항목별 금액 출력영역(T10)에 출력 표시된다.
더 나아가, 전사적자원관리(ERP) 프로그램을 통해 관리자 컴퓨터(1)의 출력장치(30)에 제공되는 도10과 같은 근로자별 노무내역 출력화면 내에는 총지급액, 공제액계, 차인지급액을 비롯해, 근로자별 월 총 근로일수 및 월 총 근로시간에 대한 정보가 출력 표시되는 노무 종합영역(T8) 또한 포함된다.
다음으로, 설정내역 정보 저장부(126)는 관리자 컴퓨터(1)를 통해 임금명세서의 포맷 설정내역을 데이터베이스화 하기 위해 입력 생성되는 설정내역 저장신호를 기반으로 임금항목 설정부(124)를 통해 일 임금명세서의 포맷을 구성하도록 선택된 임금항목 및 산출방식 설정부(124)를 통해 임금항목별로 설정된 산출방식에 대한 내역을 설정내역 정보를 생성한 후 사업장별로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 관리한다.
예를 들어, 전사적자원관리(ERP) 프로그램을 통해 관리자 컴퓨터(1)의 출력장치(30)에 제공되는 도3과 같은 임금항목 설정화면에서 임금항목 및 산출방식의 설정이 완료된 특정 임금명세서 포맷은 복사 버튼(B1)을 클릭하거나 별도의 저장기능을 활성화하여 포맷형태별로 정보화가 가능하다.
이와 관련하여, 제1설정내역 변경부(127a)는 관리자 컴퓨터(1)를 통해 기 저장된 포맷 설정내역을 타 임금명세서 포맷 설정에 붙여 동일하게 반영시키기 위해 입력 생성되는 제1설정내역 변경신호를 기반으로 설정내역 정보 저장부(126)에 저장된 설정내역 정보 중 대응되는 설정정보 내역 정보가 타 임금명세서 포맷 설정에 붙여져 일 임금명세서의 포맷과 동일하게 반영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전사적자원관리(ERP) 프로그램을 통해 관리자 컴퓨터(1)의 출력장치(30)에 제공되는 도3과 같은 임금항목 설정화면에서 붙이기 버튼(B2)을 클릭하거나 포맷형태의 순번 변환버튼(B3)을 클릭하여 특정 설정정보 내역 정보가 별도의 반복전인 설정과정 없이 그대로 동일하게 임금명세서 포맷으로 반영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제2설정내역 변경부(127b)는 관리자 컴퓨터를 통해 특정 기능을 수행하고자 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근로자 대상을 선택하기 위해 입력 생성되는 대상선택신호 및 기 저장된 포맷 설정내역을 대상선택신호에 따른 적어도 하나 이상의 근로자 대상의 임금명세서 포맷 설정에 붙여 동일하게 반영시키기 위해 입력 생성되는 제2설정내역 변경신호를 기반으로 설정내역 정보 저장부(126)에 저장된 설정내역 정보 중 대응되는 설정정보 내역 정보가 대상선택신호에 따른 적어도 하나 이상의 근로자 대상의 임금명세서 포맷 설정에 붙여져 일 임금명세서의 포맷과 동일하게 일괄 반영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전사적자원관리(ERP) 프로그램을 통해 관리자 컴퓨터(1)의 출력장치(30)에 제공되는 도5와 같은 근로자별 임금명세서 내역 출력화면에서 제2설정내역 변경부(127b)의 기능을 적용받고자 하는 대상이 되는 근로자를 클릭을 통해 선택한 뒤, 일괄변경 창(CT)에서 임금명세서 설정 탭에서 특정 임금명세서 포맷 설정을 선택하고 나서 일괄변경 버튼을 클릭하면 선택된 모든 근로자의 임금명세서 포맷 설정이 일괄적으로 변경된다.
다음으로, 임금명세서 생성부(128)는 관리자 컴퓨터(1)를 통해 특정 기능을 수행하고자 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근로자 대상을 선택하기 위해 입력 생성되는 대상선택신호 및 대상선택신호에 따른 적어도 하나 이상의 근로자 대상의 임금명세서 생성을 위해 입력 생성되는 임금명세서 생성신호를 기반으로 임금항목 설정부(124)를 통해 선택된 임금항목이 구성으로 포함되며, 산출방식 설정부(125)를 통해 임금항목별로 설정된 산출방식에 따라 근로시간 내역 정보 관리부(112)에 저장된 근로시간 내역 정보, 기준정보 관리부(113)에 저장된 기준금액정보와 기준비율정보 및 근로시간 역산내역 정보 관리부(123)에 저장된 근로시간 역산내역 정보를 이용해 임금항목별 금액을 산출한 결과가 반영된 도14와 같은 포맷의 임금명세서가 대상선택신호에 따른 적어도 하나 이상의 근로자 대상들의 경우 일괄적으로 대응되어 생성되도록 한다.
여기서, 임금명세서 생성부(128)는 근로시간 내역 정보 관리부(112)에 저장된 근로시간 내역 정보 중 기본근로시간, 주휴시간, 연장근로시간, 휴일근로시간, 연차휴가시간 및 야간근로시간에 대한 정보 및 기준정보 관리부(113)에 저장된 기준금액정보 중 통상시급에 대한 정보를 이용해 노무비 관련 임금항목의 금액을 산출하는 제1노무비 산출방식에 따라 노무비 관련 임금항목의 금액을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임금명세서 생성부(128)는 앞 서 설명한 바와 같이 근로시간 역산내역 정보 관리부(123)에 저장된 근로시간 역산내역 정보에 따라 계약유형별로 역산된 기본근로시간, 주휴시간, 연장근로시간, 휴일근로시간, 연차휴가시간 및 야간근로시간에 대한 정보 및 상기 계약정보 관리부에 저장된 계약정보에 따른 통상시급에 대한 정보를 이용해 노무비 관련 임금항목의 금액을 산출하는 제2노무비 산출방식에 따라 노무비 관련 임금항목의 금액을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용직 근로자의 경우 임금명세서 생성부(128)는 계약유형에 따라 임금명세서 내 노무비 관련 임금항목의 금액 산출이 제2노무비 산출방식을 기반으로 산출되도록 한다.
마지막으로, 임금명세서 생성내역 정보 관리부(129)는 임금명세서 생성부(128)의 기능 수행과 연동되어, 임금명세서의 생성여부, 임금명세서의 생성횟수, 임금명세서 생성신호 입력을 수행한 관리자 이름, 임금명세서의 생성시간에 관한 임금명세서 생성내역 정보를 생성한 후 근로자별로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 관리한다.
구체적으로, 전사적자원관리(ERP) 프로그램을 통해 관리자 컴퓨터(1)의 출력장치(30)에 제공되는 도5와 같은 근로자별 임금명세서 내역 출력화면 내에는 근로자 별로 임금명세서의 포맷설정의 기준이 되는 설정정보 내역 정보가 어떤 것인지를 표시한 임금명세서 포맷 설정내역 출력영역(T3)을 비롯해 근로자 별로 임금명세서 생성내역 정보를 표시한 임금명세서 생성내역 출력영역(T5) 또한 포함된다.
임금명세서 안내유닛(130)은 임금명세서 관리유닛(120)을 통해 생성된 근로자별 임금명세서의 출력 확인이 가능한 링크 정보를 포함하는 임금명세서 안내정보를 기 등록된 근로자별 단말에 전송한다.
이를 위해, 임금명세서 안내유닛(130)은 안내주소 정보 저장부(131), 식별정보 저장부(132), 안내정보 생성부(133), 제1안내방법 설정부(134), 제2제1안내방법 설정부(135), 안내정보 전송부(136), 안내내역 정보 관리부(137) 및 안내정보 확인현황 관리부(138)를 포함한다.
우선, 안내주소 정보 저장부(131)는 근로자별 이메일 주소 및 휴대단말의 전화번호에 대한 안내주소 정보가 기 등록 저장된다.
또한, 식별정보 저장부(132)는 근로자별 고유식별번호에 대한 식별정보(주민등록번호 혹은 주민등록번호의 일부분)가 기 등록 저장
다음으로, 안내정보 생성부(133)는 관리자 컴퓨터(1)를 통해 임금명세서의 안내를 위한 메시지 형태의 임금명세서 안내정보의 내용을 설정하기 위해 입력 생성되는 안내정보 설정신호를 기반으로 임금명세서 안내 메시지 내용(TI) 및 임금명세서의 출력 확인이 가능한 링크 정보(RI)의 임금명세서 안내 메시지 내 배치위치에 관한 설정이 반영된 임금명세서 안내정보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전사적자원관리(ERP) 프로그램을 통해 관리자 컴퓨터(1)의 출력장치(30)에 제공되는 도11과 같은 임금명세서 안내정보 생성창 내에서는 관리자가 원하는 안내 메시지 내용(TI)을 입력하는 것은 물론이고, 임금명세서의 출력 확인이 가능한 링크 정보(RI)의 생성에서부터 배치형태까지도 선택적으로 설정 가능하다.
여기서, 안내정보 생성부(133)는 임금명세서의 출력 확인이 가능한 링크 정보(RI)를 근로자별로 생성함에 있어, 링크 정보로(RI)의 접속 후 임금명세서의 출력 확인을 위한 열람의 인증절차로서 임금명세서에 대응되는 근로자별 고유식별번호(주민등록번호 혹은 주민등록번호의 일부분)의 입력을 요구하는 정보 입력창이 도13에 도된 바와 같이 선 출력되도록 설정한다.
이를 통해, 실질적인 임금명세서의 대상이 되는 근로자 외에 타인이 쉽게 임금명세서의 열람 및 확인을 하지 못하도록 보안성을 갖추게 된다.
또한, 제1안내방법 설정부(134)는 관리자 컴퓨터(1)를 통해 임금명세서 안내방법을 설정하기 위해 입력 생성되는 제1안내방법 설정신호를 기반으로 근로자별 임금명세서 안내방법이 이메일, 휴대단말의 SMS(Short Message Service) 또는 휴대단말의 메신저 애플리케이션을 통한 알림톡 중 하나의 방법으로 설정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근로자별 임금명세서 안내방법이 설정된 내역은 전사적자원관리(ERP) 프로그램을 통해 관리자 컴퓨터(1)의 출력장치(30)에 제공되는 도5와 같은 근로자별 임금명세서 내역 출력화면 내 임금명세서 안내방법 설정내역 출력영역(T4)에 출력 표시된다.
아울러, 제2안내방법 설정부(135)는 관리자 컴퓨터(1)를 통해 특정 기능을 수행하고자 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근로자 대상을 선택하기 위해 입력 생성되는 대상선택신호 및 대상선택신호에 따른 적어도 하나 이상의 근로자 대상에 대한 임금면세서 안내방법을 설정하기 위해 입력 생성되는 제2안내방법 설정신호를 기반으로 대상선택신호에 따른 적어도 하나 이상의 근로자 대상의 임금명세서 안내방법이 이메일, 휴대단말의 SMS(Short Message Service) 또는 휴대단말의 메신저 애플리케이션을 통한 알림톡 중 하나의 방법으로 일괄 설정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전사적자원관리(ERP) 프로그램을 통해 관리자 컴퓨터(1)의 출력장치(30)에 제공되는 도5와 같은 근로자별 임금명세서 내역 출력화면에서 제2안내방법 설정부(135)의 기능을 적용받고자 하는 대상이 되는 근로자를 클릭을 통해 선택한 뒤, 일괄변경 창(CT)에서 임금명세서 설정 탭에서 특정 임금명세서 안내방법 설정을 선택하고 나서 일괄변경 버튼을 클릭하면 선택된 모든 근로자의 임금명세서 안내방법 설정이 일괄적으로 변경된다.
그리고 안내정보 전송부(136)는 제1안내방법 설정부(134) 또는 제2안내방법 설정부(135)를 통해 근로자별로 설정된 안내방법을 통해 안내주소 정보 저장부(131)에 기 저장된 근로자별 안내주소 정보를 이용하여 안내정보 생성부(132)가 생성한 임금명세서 안내정보를 개별 전송한다.
구체적으로, 안내정보 전송부(136)를 통해 전송된 임금명세서 안내정보는 도12(a)와 같이 SMS(Short Message Service) 형태이거나 도12(b)와 같이 휴대단말의 메신저 애플리케이션(예를 들어 카카오톡)을 통한 알림톡 형태일 수 있으며, 해당 임금명세서 안내정보 내 링크정보가 표시된 링크영역(RA)를 근로자가 터치하여 임금명세서를 열람하고자 하면, 앞 서 설명한 바와 같이 열람의 인증절차로서 임금명세서에 대응되는 근로자별 고유식별번호(주민등록번호 혹은 주민등록번호의 일부분)의 입력을 요구하는 정보 입력창이 도13에 도된 바와 같이 선 출력되어 정보 입력창 내에 입력영역(T11)에 근로자가 자신의 고유식별번호(주민등록번호 혹은 주민등록번호의 일부분)의 입력 후 인증이 되어야 도14와 같은 임금명세서의 열람이 가능해진다.
또한, 안내내역 정보 관리부(137)는 안내정보 전송부(136)의 기능 수행과 연동되어, 임금명세서 안내정보의 전송횟수, 임금명세서 안내정보의 전송을 수행한 관리자 이름, 임금명세서 안내정보의 전송시간에 관한 안내내역 정보를 생성한 후 근로자별로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 관리한다.
이와 관련하여, 전사적자원관리(ERP) 프로그램을 통해 관리자 컴퓨터(1)의 출력장치(30)에 제공되는 도6과 같은 근로자별 임금명세서 내역 출력화면 내에는 근로자 별로 임금명세서 생성내역 정보를 표시한 임금명세서 안내내역 출력영역(T6) 또한 포함된다.
마지막으로, 안내정보 확인현황 관리부(138)는 안내정보 전송부(136)의 기능 수행과 연동되어, 안내정보 전송부(136)를 통해 임금명세서 안내정보의 전송이 이루어진 안내주소의 이메일 서비스 관리서버 또는 휴대단말로부터 피드백으로 전송 성공여부, 전송 후 이메일 또는 휴대단말을 통한 임금명세서 안내정보의 확인 시간 및 횟수에 관한 확인현황 정보를 제공받아 근로자별로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 관리한다.
이와 관련하여, 전사적자원관리(ERP) 프로그램을 통해 관리자 컴퓨터(1)의 출력장치(30)에 제공되는 도7과 같은 근로자별 임금명세서 내역 출력화면 내에는 근로자 별로 임금명세서 안내정보의 확인내역 정보를 표시한 임금명세서 안내내역 출력영역(T7) 또한 포함된다.
여기서, 안내정보 전송부(136)는 안내정보 확인현황 관리부(138)로 제공되는 확인현황 정보 중 휴대단말의 메신저 애플리케이션을 통한 알림톡으로 임금명세서 안내정보의 전송이 수행된 후 전송 실패가 이루어진 근로자의 휴대단말이 존재할 경우 해당 근로자의 임금명세서 안내정보를 휴대단말의 SMS(Short Message Service)를 통해 재전송하여 근로자가 임금명세서의 안내를 전송 오류로 인해 받지 못하는 상황을 방지한다.
앞 서 설명한, 임금 명세서 관리 시스템(100) 내 정보수집유닛(110); 임금명세서 관리유닛(120); 및 임금명세서 안내유닛(130);의 구성적 특징은 각 시스템이 수행하는 임금 명세서 관리 방법 혹은 임금 명세서 관리기능을 갖춘 전사적자원관리(ERP)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 실시 될 경우 방법적 특성 혹은 기능적 특성과 대응되어 마련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임금 명세서 관리 방법은 단계적으로 수행되는 세부적 방법상의 역할이 임금 명세서 관리 시스템(100)의 세부 구성 및 역할에 대응된다.
아울러, 본 발명의 임금 명세서 관리기능을 갖춘 전사적자원관리(ERP)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세부 기능적으로 수행되는 역할이 임금 명세서 관리 시스템(100)의 세부 구성 및 역할에 대응된다.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해서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호범위는 아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 관리자 컴퓨터
10 : 기억장치 20 : 입력장치 30 : 출력장치
40 : 연산장치 50 : 제어장치
100 : 임금 명세서 관리 시스템
110 : 정보수집유닛
111 : 출입정보 관리부 112 : 근로시간 내역정보 관리부
113 : 계약정보 관리부 114 : 기준정보 관리부
120 : 임금명세서 관리유닛
121 : 항목정보 저장부 122 : 노무비 산정비율 설정부
123 : 근로시간 역산내역 정보 관리부
124 : 임금항목 설정부 125 : 산출방식 설정부
126 : 설정내역 정보 저장부
127a : 제1설정내역 변경부 127b : 제2설정내역 변경부
128 : 임금명세서 생성부
129 : 임금명세서 생성내역 정보 관리부
130 : 임금명세서 안내유닛
131 : 안내주소 정보 저장부
132 : 식별정보 저장부 133 : 안내정보 생성부
134 : 제1안내방법 설정부 135 : 제2제1안내방법 설정부
136 : 안내정보 전송부 137 : 안내내역 정보 관리부
138 : 안내정보 확인현황 관리부
200 : 근로자 출입 관리장치

Claims (6)

  1. 관리자 컴퓨터에 설치 구현되는 전사적자원관리(ERP, Enterprise Resource Planning) 프로그램에 의해 제공되는 임금명세서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작업현장에 설치되어 출, 퇴근하는 근로자들의 날짜별 출근 및 퇴근 시간에 대한 출입정보를 생성 가능한 근로자 출입 관리장치에 연동되어 상기 근로자 출입 관리장치로부터 생성된 출입정보를 수신 제공받아 수집하며, 상기 관리자 컴퓨터에 구현되는 전사적자원관리 프로그램을 통해 관리자가 입력 생성하는 근로자의 근로계약 내용에 대한 계약정보를 수집하는 정보 수집유닛; 및
    임금명세서의 포맷을 구성하는 항목 및 항목별 산출방식을 설정하고, 상기 정보 수집유닛으로부터 수집된 정보를 기반으로 기 설정된 항목별 산출방식에 따라 정보값을 반영하여 근로자별 임금명세서를 생성하는 임금명세서 관리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임금명세서 관리유닛은,
    임금명세서의 포맷을 구성 가능한 임금항목들에 관한 항목정보와 상기 항목정보 각각에 대응되는 항목별 산출방식 설정에 이용 가능하며 특정 시간, 금액 또는 비율 중 하나로 정의되는 세부항목들에 관한 세부항목정보가 각각 데이터베이스화되어 기 설정 저장되는 항목정보 저장부; 및
    상기 관리자 컴퓨터를 통해 노무비 산정비율 설정을 위해 입력 생성되는 노무비 산정비율 설정신호를 기반으로 근로자 중 일용직 근로자의 근로계약 유형별로 기본근로시간, 주휴시간, 연장근로시간, 휴일근로시간, 연차휴가시간 및 야간근로시간에 해당하는 노무비 관련 세부항목 각각의 월 기준 환산시간을 설정하고, 노무비 관련 세부항목 전체의 월 기준 환산시간의 합 대비 각각의 월 기준 환산시간의 비율에 해당하는 산정비율을 계산하여 근로계약 유형별 노무비 산정비율 정보로 생성하는 노무비 산정비율 설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정보 수집유닛은,
    상기 근로자 출입 관리장치로부터 생성된 출입정보를 수신하여 근로자별로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 관리하는 출입정보 관리부;
    상기 출입정보 관리부에 저장 관리되는 근로자별 출입정보를 기반으로 근로자별 근로일수, 총 근로시간, 기본근로시간, 주휴시간, 연장근로시간, 휴일근로시간, 연차휴가시간 및 야간근로시간에 대한 근로시간 내역 정보를 생성하여 근로자별로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 관리하는 근로시간 내역 정보 관리부;
    상기 관리자 컴퓨터를 통해 입력 생성되는 계약정보 생성신호를 기반으로 근로자의 근로계약 내용에 대한 계약정보를 생성하여 근로자별로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 관리하는 계약정보 관리부; 및
    상기 관리자 컴퓨터를 통해 입력 생성되는 항목 기준정보 생성신호를 기반으로 임금명세서의 포맷을 구성하는 임금항목별 산출방식 설정에 이용 가능한 특정 세부항목의 기준금액에 관한 기준금액정보 및 특정 세부항목의 기준비율에 관한 기준비율정보를 생성하여 사업장별로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 관리하는 기준정보 관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임금명세서 관리유닛은,
    상기 근로시간 내역 정보 관리부에 저장 관리된 근로시간 내역 정보 중 일용직 근로자의 근로시간 내역 정보 및 상기 계약정보 관리부에 저장 관리된 계약정보 중 일용직 근로자의 계약정보를 기반으로 월 기준 총 근로시간을 산출하고, 산출된 월 기준 총 근로시간을 상기 노무비 산정비율 설정부를 통해 생성된 노무비 산정비율 정보 중 일용직 근로자 각각의 계약정보에 대응되는 근로계약 유형별 노무비 산정비율 정보를 이용해 기본근로시간, 주휴시간, 연장근로시간, 휴일근로시간, 연차휴가시간 및 야간근로시간 각각으로 역산한 근로시간 역산내역 정보를 생성하여 근로자별로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 관리하는 근로시간 역산내역 정보 관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무비 자동 산정 기능을 구비한 임금 명세서 관리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임금명세서 관리유닛은,
    상기 관리자 컴퓨터를 통해 임금항목의 선택을 위해 입력 생성되는 제1포맷 설정신호를 기반으로 임금명세서의 포맷을 구성하는 임금항목이 상기 항목정보 저장부에 저장된 항목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 선택 반영되도록 하는 임금항목 설정부; 및
    상기 관리자 컴퓨터를 통해 임금항목의 산출방식 설정을 위해 입력 생성되는 제2포맷 설정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임금항목 설정부를 통해 임금명세서의 포맷 상에 선택 반영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임금항목 각각에 대한 산출방식이 상기 항목정보 저장부에 저장된 세부항목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변수로 포함하는 특정 수식으로 설정 반영되도록 하는 산출방식 설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무비 자동 산정 기능을 구비한 임금 명세서 관리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임금명세서 관리유닛은,
    상기 관리자 컴퓨터를 통해 특정 기능을 수행하고자 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근로자 대상을 선택하기 위해 입력 생성되는 대상선택신호 및 대상선택신호에 따른 적어도 하나 이상의 근로자 대상의 임금명세서 생성을 위해 입력 생성되는 임금명세서 생성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임금항목 설정부를 통해 선택된 임금항목이 구성으로 포함되며 상기 산출방식 설정부를 통해 임금항목별로 설정된 산출방식에 따라 임금항목별 금액을 산출한 결과가 반영된 포맷의 임금명세서가 대상선택신호에 따른 적어도 하나 이상의 근로자 대상 각각에 대응되는 임금명세서로 일괄 생성되도록 하는 임금명세서 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무비 자동 산정 기능을 구비한 임금 명세서 관리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임금명세서 생성부는 상기 근로시간 내역 정보 관리부에 저장된 근로시간 내역 정보 중 기본근로시간, 주휴시간, 연장근로시간, 휴일근로시간, 연차휴가시간 및 야간근로시간에 대한 정보 및 상기 기준정보 관리부에 저장된 기준금액정보 중 통상시급에 대한 정보를 이용해 노무비 관련 임금항목의 금액을 산출하는 제1노무비 산출방식 또는 상기 근로시간 역산내역 정보 관리부에 저장된 근로시간 역산내역 정보에 따라 계약유형별로 역산된 기본근로시간, 주휴시간, 연장근로시간, 휴일근로시간, 연차휴가시간 및 야간근로시간에 대한 정보 및 상기 계약정보 관리부에 저장된 계약정보에 따른 통상시급에 대한 정보를 이용해 노무비 관련 임금항목의 금액을 산출하는 제2노무비 산출방식 중 하나로 노무비 관련 임금항목의 금액을 산출하며,
    상기 임금명세서 생성부는 일용직 근로자의 경우 계약유형에 따라 임금명세서 내 노무비 관련 임금항목의 금액 산출이 상기 제2노무비 산출방식을 기반으로 산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무비 자동 산정 기능을 구비한 임금 명세서 관리 시스템.
KR1020220071237A 2022-06-13 2022-06-13 노무비 자동 산정 기능을 구비한 임금 명세서 관리 시스템 KR1024942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1237A KR102494262B1 (ko) 2022-06-13 2022-06-13 노무비 자동 산정 기능을 구비한 임금 명세서 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1237A KR102494262B1 (ko) 2022-06-13 2022-06-13 노무비 자동 산정 기능을 구비한 임금 명세서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94262B1 true KR102494262B1 (ko) 2023-01-31

Family

ID=851089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71237A KR102494262B1 (ko) 2022-06-13 2022-06-13 노무비 자동 산정 기능을 구비한 임금 명세서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426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06242A (ko) * 2005-04-07 2006-10-12 박경서 인사 및 급여와 사회보험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161844B1 (ko) * 2019-10-22 2020-10-06 심왕섭 내외국인 근태 관리장치
KR20200115038A (ko) * 2019-03-26 2020-10-07 김재영 전사적 자원 관리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06242A (ko) * 2005-04-07 2006-10-12 박경서 인사 및 급여와 사회보험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00115038A (ko) * 2019-03-26 2020-10-07 김재영 전사적 자원 관리 시스템
KR102161844B1 (ko) * 2019-10-22 2020-10-06 심왕섭 내외국인 근태 관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018169A1 (en) Document management system with barcode mapping and storing
US7305392B1 (en) Multi-organizational project management system
US8869053B2 (en) Organizer for managing employee time and attendance
US9779386B2 (en) Method and system for implementing workflows and managing staff and engagements
US5855005A (en) System for electronically auditing exposures used for determining insurance premiums
AU2021201831A1 (en)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ed collections of debts for businesses
KR102105700B1 (ko) Erp 및 그룹웨어와 통합 연계 기반 연구과제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AU2023202144A1 (en) Improved client entry and maintenance system for timekeeping and billing for professional services system and method
AU2021201566A1 (en) Improved system and method for billing
JP2016512907A (ja) レビューポータル
JP2013524347A (ja) 請求・ドケット及び文書管理用リモートポータル
KR102494262B1 (ko) 노무비 자동 산정 기능을 구비한 임금 명세서 관리 시스템
KR102486787B1 (ko) 임금명세서 포맷 설정 기능 및 안내 기능을 구비한 임금명세서 관리 시스템
JP6836295B2 (ja) 会計処理システム、会計処理装置、会計処理プログラム及び会計処理方法
KR101895748B1 (ko) 자동 연동 기능을 구비하는 전사적 자원 관리 시스템
KR102061447B1 (ko) 컴퓨터로 구현되는 캘린더를 이용한 공사현장 관리기능을 구비한 전사적 자원 관리 시스템 및 방법, 이를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KR101895749B1 (ko) 통합 검색 기능을 구비하는 전사적 자원 관리 시스템
US20240127145A1 (en) System and Method for Labor Scheduling and Jobsite Management
KR102669634B1 (ko) 인적자원 관리 자동화 장치 및 방법
KR101892414B1 (ko) 갱신 정보 관리 기능을 구비하는 전사적 자원 관리 시스템
EP4328842A1 (en) Automated residential services and utilities management system
KR20230108242A (ko) 인적자원 관리 자동화 장치 및 방법
Veeriah Customizing Financial Accounting in SAP
Ringling et al. Mastering HR Management with SAP ERP HCM
Policy US Department of Transport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