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69265B1 - 소변비산방지장치 - Google Patents

소변비산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69265B1
KR102669265B1 KR1020220180500A KR20220180500A KR102669265B1 KR 102669265 B1 KR102669265 B1 KR 102669265B1 KR 1020220180500 A KR1020220180500 A KR 1020220180500A KR 20220180500 A KR20220180500 A KR 20220180500A KR 102669265 B1 KR102669265 B1 KR 1026692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ilet
housing
mounting portion
prevention device
scattering preven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805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40067762A (ko
Inventor
윤남호
Original Assignee
윤남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남호 filed Critical 윤남호
Priority to US18/146,724 priority Critical patent/US20240209612A1/en
Publication of KR202400677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677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92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9265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1/00Other component parts of water-closets, e.g. noise-reducing means in the flushing system, flushing pipes mounted in the bowl, seals for the bowl outlet, devices preventing overflow of the bowl contents; devices forming a water seal in the bowl after flushing, devices eliminating obstructions in the bowl outlet or preventing backflow of water and excrements from the waterpipe
    • E03D11/13Parts or details of bowls; Special adaptations of pipe joints or couplings for use with bowls, e.g. provisions in bowl construction preventing backflow of waste-water from the bowl in the flushing pipe or cistern, provisions for a secondary flushing, for noise-reducing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05Devices adding disinfecting or deodorising agents to the bowl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2Devices adding a disinfecting, deodorising, or cleaning agent to the water while flushing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2Devices adding a disinfecting, deodorising, or cleaning agent to the water while flushing
    • E03D9/022Devices adding a disinfecting, deodorising, or cleaning agent to the water while flushing consisting of solid substances introduced in the bowl or the supply lin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1/00Other component parts of water-closets, e.g. noise-reducing means in the flushing system, flushing pipes mounted in the bowl, seals for the bowl outlet, devices preventing overflow of the bowl contents; devices forming a water seal in the bowl after flushing, devices eliminating obstructions in the bowl outlet or preventing backflow of water and excrements from the waterpip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3/00Urinals ; Means for connecting the urinal to the flushing pipe and the wastepipe; Splashing shields for urinals
    • E03D13/005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urinal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2Devices adding a disinfecting, deodorising, or cleaning agent to the water while flushing
    • E03D2009/024Devices adding a disinfecting, deodorising, or cleaning agent to the water while flushing using a solid substanc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2Devices adding a disinfecting, deodorising, or cleaning agent to the water while flushing
    • E03D2009/028Devices adding a disinfecting, deodorising, or cleaning agent to the water while flushing using a liquid substanc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2201/00Details and methods of use for water closets and urin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pidemiology (AREA)
  • Bidet-Like Cleaning Device And Other Flush Toilet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물이 유입되는 급수부, 상기 급수부와 연결되며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과 연결되어 상기 하우징에서 배출되는 물을 안내하는 가이드부, 상기 가이드부에 구비되어 상기 가이드부에서 안내되는 물을 변기 내측으로 분사하여 수막을 형성하는 분사부 및 상기 하우징을 변기에 장착시키는 장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장착부는, 상기 하우징에 연결되어 변기에 거치된 상기 하우징의 무게를 지지하는 거치부 및 상기 거치부에 연결되어 상기 하우징을 변기에 고정시키는 조임부를 포함하는 소변비산 방지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소변비산방지장치{Urine Scattering Prevention device}
본 개시의 일 실시예는 소변비산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하루 중 사람의 정상 소변 횟수는 4~7회이다. 일반적인 가정에서는 변기를 사용하여 소변 또는 대변을 해결한다. 변기에는 물이 채워져 있어서 사용자가 소변이나 대변을 볼 때 변기에 소변이나 대변이 남아 얼룩지거나 더러워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만, 소변의 경우 떨어지는 속도나 방향에 따라 변기에 채워진 물이나 변기 내벽에 튀어서 변기 밖으로 비산될 수 있다. 또한, 변기 내 채워진 물도 소변과 함께 바깥으로 비산될 수 있다.
이러한 상황은 위생상 바람직하지 못하고 사용자에게 불쾌감을 줄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상황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자는 소변을 볼 때 주의를 기울여야 하는 불편감이 있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들은 소변을 볼 때 소변이 변기의 내벽 또는 물에 부딪혀 튀고 비산되어 변기가 설치된 공간이 더럽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소변비산 방지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들은 설치 및 제거가 간편한 소변비산 방지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들은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자동으로 작동하는 소변비산 방지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들은 소변의 비산을 방지하면서도 변기 내측을 세척할 수 있는 소변비산 방지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다만, 본 개시의 일 실시예들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술한 내용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변비산 방지장치는 물이 유입되는 급수부, 상기 급수부와 연결되며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과 연결되어 상기 하우징에서 배출되는 물을 안내하는 가이드부, 상기 가이드부에 구비되어 상기 가이드부에서 안내되는 물을 변기 내측으로 분사하여 수막을 형성하는 분사부 및 상기 하우징을 변기에 장착시키는 장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장착부는, 상기 하우징에 연결되어 변기에 거치된 상기 하우징의 무게를 지지하는 거치부 및 상기 거치부에 연결되어 상기 하우징을 변기에 고정시키는 조임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변비산 방지장치는 상기 거치부는 변기의 상면 및 내측면을 감싸도록 절곡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변비산 방지장치는 상기 거치부는 상기 하우징에 연결되어 변기의 상면에 거치되는 제1 거치부, 상기 제1 거치부에서 절곡되어 변기의 내측벽을 감싸도록 연장되는 제2 거치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변비산 방지장치는 상기 제1 거치부는 변기의 상면에서 변기의 내부 방향으로 더 연장되고 상기 제2 거치부는 상기 제1 거치부의 단부에서 변기의 내측벽을 향하여 경사지도록 연장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변비산 방지장치는 상기 거치부는 상기 제2 거치부에서 변기의 내측 방향으로 더 절곡되어 연장되는 제3 거치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거치부는 변기 내측 도기에 밀착되어 상기 하우징에 지지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변비산 방지장치는 상기 하우징에는 변기와 상기 하우징이 밀착되도록 구비되는 제1 밀착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3 거치부에는 변기 내측과 상기 제3 거치부가 밀착되도록 구비되는 제2 밀착부가 구비되고, 상기 조임부는 상기 제1 밀착부와 상기 제2 밀착부가 변기의 외측과 내측을 가압하도록 간격을 조정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변비산 방지장치는 상기 제2 거치부에는 상기 가이드부 또는 상기 분사부의 적어도 일부가 고정되어 상기 분사부의 위치를 변경시킬 수 있게 구비되는 분사각도 조절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변비산 방지장치는 상기 분사각도 조절부는 상기 제2 거치부와 연결되는 연장부 및 상기 연장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가이드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변비산 방지장치는 상기 하우징의 일 측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급수부에서 유입된 물을 상기 가이드부로 배출하거나 차단하도록 구비되는 작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변비산 방지장치는 상기 하우징 또는 상기 장착부에 구비되며 변기 커버의 개폐를 감지하는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작동부는 상기 센서에서 변기 커버가 열림을 감지하는 경우, 상기 급수부에서 유입된 물을 상기 가이드부로 배출하고 상기 센서에서 변기 커버가 닫힘을 감지하는 경우 상기 급수부에서 유입된 물을 상기 가이드부로 배출됨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변비산 방지장치는 상기 거치부는 상기 하우징은 하부에 상기 거치부가 수용될 수 있도록 함입되어 구비되는 함입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변비산 방지장치는 상기 함입부에는 상기 하우징이 상기 거치부에 지지되는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복수의 걸림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변비산 방지장치는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며, 액상 또는 고상의 세정제를 수용하는 세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변비산 방지장치는 상기 세정부는 상기 급수부로부터 유입된 물이 상기 가이드부로 유입됨에 따라 상기 세정제의 적어도 일부가 물과 함께 상기 분사부로 배출되도록 상기 하우징의 내부와 연통될 수 있다.
다만,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변비산방지장치의 과제 해결수단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들에 따르면, 소변을 볼 때 소변이 변기의 내벽 또는 물에 부딪혀 튀고 비산되어 변기가 설치된 공간이 더럽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들에 따르면, 설치 및 제거가 간편하다.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들에 따르면, 소변의 비산을 방지하면서도 변기 내측을 세척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들에 따르면,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또는 변기의 형태에 관계없이 범용성이 크다.
다만, 본 개시의 일 실시예들의 효과는 상술한 내용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소변비산 방지장치의 사시도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소변비산 방지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급수부와 하우징의 연결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소변비산 방지장치의 분사각도 조절부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소변비산 방지장치의 작동부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소변비산 방지장치의 설치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소변비산 방지장치의 설치방법을 나타낸 도면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세정부를 포함하는 소변비산 방지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소변비산 방지장치의 사시도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소변비산 방지장치의 하우징과 거치부의 결합을 나타낸 도면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방법, 장치 및/또는 시스템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된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상세한 설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기술하기 위한 것이며, 결코 제한적이어서는 안 된다. 명확하게 달리 사용되지 않는 한, 단수 형태의 표현은 복수 형태의 의미를 포함한다. 본 설명에서, "포함" 또는 "구비"와 같은 표현은 어떤 특성들, 숫자들, 단계들, 동작들, 요소들,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을 가리키기 위한 것이며, 기술된 것 이외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성, 숫자, 단계, 동작, 요소,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의 존재 또는 가능성을 배제하도록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들에 있어서, 하술하는 구성요소들의 도면부호는 단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의 숫자 또는 문자가 부여된 것이며, 해당 도면부호들은 구성간의 상위 또는 하위개념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소변비산 방지장치의 사시도 및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소변비산 방지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소변비산 방지장치(100)는 급수부(1), 하우징(2), 가이드부(3), 분사부(4) 및 장착부(5)를 포함한다.
급수부(1)는 소변비산 방지장치(100) 내로 물이 유입될 수 있도록 구비된다. 급수부(1)에 물이 유입되어 하우징(2)측으로 물을 안내할 수 있다. 이때 급수부(1)는 변기가 설치된 공간의 물 공급원(미도시)로부터 소변비산 방지장치(100) 내로 물이 안내될 수 있도록 튜브 또는 관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하우징(2)은 급수부(1)와 연결되며 소변비산 방지장치(100)의 외관을 형성하는 부분이다. 하우징(2)과 급수부(1)의 연결방식에는 제한을 두지 않는다. 하우징(2)과 급수부(1) 사이에 부가적인 구성이 연결될 수도 있고, 하우징(2)과 급수부(1)가 바로 연결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목적에 따라 Y자형 관이 급수부(1)와 하우징(2) 사이에 연결되어 물이 분수(分水)될 수도 있고, 물 공급원의 수압이 너무 강할 경우 감압기와 같은 부분이 설치될 수도 있다.
하우징(2)에는 함입부(22)가 형성될 수 있다. 함입부(22)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하우징(2)은 내부 공간을 소변비산 방지장치(100)의 외부와 차단하거나 소변비산 방지장치(100)의 외부에 대해 개방될 수 있도록 개폐부(23)를 포함할 수 있다. 이로써, 소변비산 방지장치(100)가 오작동할 때 내부의 수리를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다.
가이드부(3)는 하우징과 연결되어 하우징(2)에서 배출되는 물을 안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가이드부(3)는 하우징(2)에서 배출되는 물을 후술하는 분사부(4)로 안내할 수 있다.
하우징(2)은 가압부(24)를 포함할 수 있다. 가압부(24)는 후술하는 조임부(52)가 접촉하는 부분이다. 하우징(2)은 플라스틱으로 제조되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하우징(2)이 지나치게 가압되면 하우징이 깨지거나 부서질 수 있다. 하우징(2)은 조임부(52)에 의해 가압되므로 가압부(24)에 의해 보호될 수 있다.
하우징(2)은 제1 밀착부(25)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밀착부(2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소변비산 방지장치(100)가 변기에 결합될 때 하우징(2)에 가해지는 압력을 완충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하우징(2)은 플라스틱으로 제조되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하우징(2)이 지나치게 가압되면 하우징이 깨지거나 부서질 수 있다.
제1 밀착부(25)는 하우징(2)을 보호하며 하우징(2)이 변기에 결합될 때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다. 제1 밀착부(25)는 변기 외측면에 밀착되도록 변기 외측면을 따라 기울어진 접촉면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밀착부(35)는 상부 보다 하부가 더 길게 형상이 되어 접촉면이 정 측면 보다 상측을 향하도록 기울어질 수 있다.
가이드부(3)는 튜브 또는 관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가이드부(3)는 변기 내측을 향해 연장될 수 있다. 가이드부(3)는 하우징(2) 내로 유입된 물을 분사부(4)로 안내하기 위한 통로 역할을 할 수 있다. 따라서, 가이드부(3)는 휘어지거나 절곡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이드부(3)가 튜브 형태로 구비되는 경우 사용자의 힘으로 쉽게 구부릴 수 있고, 가이드부(3)가 관의 형태로 구비되는 경우 절곡된 형태로 구비되거나 절곡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이드부(3)가 관의 형태로 구비되는 경우, 절곡되는 지점은 변기의 내측과 같거나 변기의 내측 경계보다 조금 더 내측일 수 있다.
분사부(4)는 가이드부(3)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분사부(4)는 가이드부(3)와 연통될 수 있다. 가이드부(3)로부터 안내된 물이 분사부(4)를 통해 변기의 내측으로 분사될 수 있다.
분사부(4)는 노즐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분사부(4)는 유입된 물을 변기 내측으로 분사할 수 있다. 이때 물은 변기의 내측으로 분사될 수 있다. 이때 물은 미스트의 형태로 분사될 수 있다.
미스트는 분사부(4)로부터 분사될 때 변기의 내측 횡단면을 가리도록 분사될 수 있다. 이때 미스트가 변기의 내측 횡단면을 모두 가리지 않아도 무방하다.
분사부(4)에서 분사되는 미스트는 사용자가 소변을 볼 때 소변이 사용자 또는 변기가 설치된 공간으로 튀는 것을 방지하는 수막을 형성할 수 있다. 물론, 분사부(4)에 의해 분사된 미스트는 중력에 의해 변기 내부로 유입이 되므로 변기가 설치된 공간을 미스트를 제거하기 위해 청소할 필요가 없다.
또한, 미스트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변기 내측으로 가라앉지만, 급수부(1)로부터 물이 계속 공급되는 동안 분사부(4)에서 지속적으로 미스트가 분사된다. 따라서, 미스트는 변기의 개구부 부분을 차폐하는 수막을 형성할 수 있다.
장착부(5)는 하우징(2)을 변기에 장착시키도록 구비된다. 장착부(5)는 거치부(51) 및 조임부(52)를 포함한다.
거치부(51)는 강성이 뛰어난 재질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거치부(51)는 조임부(52)에 의해 변기측으로 가압된다. 또한, 거치부(51)는 하우징(2)의 무게를 지지하게 되므로 작은 힘에도 쉽게 변형이 되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효과의 극대화를 예상하기 어려워진다.
거치부(51)는 제1 거치부(511), 제2 거치부(512) 및 제3 거치부(51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거치부(511), 제2 거치부(512) 및 제3 거치부(513)는 설명의 편의상 분리하여 설명하는 것에 불과하다. 즉, 후술하는 제1 거치부(511), 제2 거치부(512) 및 제3 거치부(513)는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조립형으로 일체로 결합될 수도 있다.
제1 거치부(511)는 하우징(2)과 연결되는 부분이다. 제1 거치부(511)는 하우징에 연결되어 하우징(2)에 지지력을 직접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상세히 설명하면 제1 거치부(511)에는 하우징(2)이 안착될 수 있다. 제1 거치부(511)는 변기 측으로 연장되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상세히 설명하면, 제1 거치부(511)는 변기의 횡방향측으로 연장되는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거치부(511)는 변기의 상면에 거치될 수 있다. 여기서, 변기의 상면은 변기 커버가 놓이는 면일 수 있다. 제1 거치부(511)는 하우징(2)의 너비방향으로 연장되는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거치부(511)는 조임 연결부(5111)를 포함할 수 있다. 조임 연결부(5111)는 후술하는 조임부(52)와 연결되는 부분이다. 조임 연결부(5111)는 제1 거치부(511)의 일측에서 구비될 수 있다.
상세히 설명하면, 거치부(51)는 하우징(2)의 너비 방향으로 연장되며 하우징(2)측과 변기측에서 절곡되어 폐(閉)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때 하우징(2) 측에서 절곡된 부분에 조임 연결부(5111)가 구비될 수 있다.
조임 연결부(5111)는 후술하는 볼트부(522)가 결합되는 너트부(5111a)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거치부(512)는 제1 거치부(511)의 타측에서 절곡되어 변기의 하측으로 연장되는 부분일 수 있다. 상세히 설명하면, 제2 거치부(512)는 변기 중 변좌와 닿는 부분 하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거치부(512)는 변기의 내측벽을 따라 구비되거나, 변기의 내측벽을 향해 기울어지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제3 거치부(513)는 제2 거치부(512)에서 절곡되어 변기의 내주면측으로 연장되는 부분이다. 제3 거치부(513)는 제1 거치부(511)와 함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변비산 방지장치(100)를 변기에 결합시킬 수 있다. 제3 거치부(513)는 제2 거치부(512) 보다 더 변기의 내측벽을 향해 기울어지도록 연장될 수 있다.
즉, 제3 거치부(513)는 변기 내측에 밀착되어 하우징(2)에 지지력을 제공할 수 있다.
제3 거치부(513)는 필요에 따라 제거될 수 있다. 제3 거치부(513)가 없는 경우 제1 거치부(511)에서 절곡되어 변기 내측으로 연장되는 제2 거치부(512)가 변기의 내주면에 연결되어 일 실시예에 따른 소변비산 방지장치(100)를 변기에 결합시킬 수 있다.
제3 거치부(513)는 제2 밀착부(513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3 거치부(513)는 필요에 따라 제2 밀착부(5131)를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하우징(2)에 비해 변기는 강성이 뛰어나기 때문이다. 따라서, 제2 밀착부(5131)는 탈착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즉, 하우징(2)에는 변기와 하우징(2)이 밀착되도록 구비되는 제1 밀착부(25)가 구비되고, 제2 거치부(512)에는 변기 내측과 제2 거치부(512)가 밀착되도록 구비되는 제2 밀착부(5131)가 구비되고, 제1 밀착부(25)와 제2 밀착부(5131)가 변기의 외측과 내측을 가압하며 하우징(2)의 움직임을 방지할 수 있다.
조임부(52)는 조임 연결부(5111)에 연결되어 하우징(2)을 가압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조임부(52)는 캡부(521)와 볼트부(522)를 포함할 수 있다. 볼트부(522)는 상술한 너트부(5111a)에 결합되어 회전됨에 따라 하우징(2)을 밀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편리하게 볼트부(522)를 회전시키기 위해 캡부(521)가 구비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10에서는 조임부(52)를 회전시키면서 하우징(2)을 가압하여 하우징(2)을 변기측으로 움직여 결합시키는 방식을 도시하고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조임부(52)를 눌러서 하우징(2)을 변기에 고정시킬 수도 있다. 하우징(2)을 가압하는 방식에는 제한을 두지 않는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급수부와 하우징의 연결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급수부(1)는 하우징(2)과 이중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로써, 물 공급원으로부터 공급된 물이 변기가 설치된 공간을 더럽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급수부(1)가 하우징(2)의 내측으로 삽입되고, 급수 연결부(21)를 일측으로 회전하여 하우징(2)에 연결시킬 수 있다.
사용자는 급수 연결부(21)를 타측으로 회전하여 쉽게 급수부(1)를 소변비산 방지장치(100)에서 제거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쉽게 제품을 설치, 교환 및 제거가 가능하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소변비산 방지장치의 분사각도 조절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제2 거치부(512)에는 분사각도 조절부(514)가 구비될 수 있다.
분사각도 조절부(514)는 연장부(5141)와 가이드 연결부(5142)를 포함한다.
연장부(5141)는 제 2거치부(51)와 연결되는 부분이다. 연장부(5141)는 제2 거치부(512)의 양측에 구비될 수 있다. 연장부(5141)는 후술하는 가이드 연결부(5142)가 자유롭게 회전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연장부(5141)는 제2 거치부(512)의 일부를 감싸도록 구비될 수 있다. 연장부(5141) 중 제2 거치부(512)를 감싸는 부분의 일측과 타측의 길이는 서로 다를 수 있다. 이로써, 연장부(5141)의 탈착이 용이해질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연장부(5141)의 재질이나 결합형태에 따라 일측과 타측의 길이는 서로 같을 수도 있다.
연장부(5141)는 제2 거치부(512)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연장부(5141)가 제2 거치부(512)를 감싸도록 구비되면 제2 거치부(512)와 결합된 상태에서 제2 거치부(512)를 따라 쉽게 이동할 수 있다. 이로써, 변기의 종류 및 크기에 관계없이 소변비산방지수막을 효과적으로 생성할 수 있다.
가이드 연결부(5142)는 가이드부(3)가 연결되는 부분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가이드부(3)는 변기의 종류 또는 크기에 따라 적절하게 휘어질 수 있다. 이로써, 소변비산방지수막의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가이드 연결부(5142)는 연장부(514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로써 가이드부(3)의 방향을 전환시켜줌으로써, 소변비산방지수막을 효과적으로 생성할 수 있다. 가이드 연결부(5142)가 회전됨에 따라 분사부(4)가 향하는 방향이 달라질 수 있다.
즉, 일 실시예에 따른 소변비산 방지장치(100)는 제2 거치부(512)에는 가이드부(3)의 적어도 일부가 연결되어 분사부(4)의 위치를 변경시킬 수 있게 구비되는 분사각도 조절부(514)를 포함한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소변비산 방지장치의 작동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a)는 작동부가 회전하지 않아 가이드부로 물이 배출되지 않도록 차단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b)는 작동부가 회전하여 가이드부로 물이 배출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소변비산 방지장치(100)는 작동부(6)를 포함한다. 작동부(6)는 하우징(2)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움직임에 따라 급수부(1)에서 유입된 물을 가이드부(3)로 배출하거나 차단하도록 구비된다.
도 5는 작동부(6)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될 때 가이드부(3)로 물을 배출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작동부(6)의 움직임의 형태는 제한되지 않는다.
작동부(6)는 하우징(2) 내로 유입된 물을 가이드부(3)로 배출되도록 하거나 배출되지 못하도록 차단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으면 족하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작동부(6)는 급수부(1)와 연결될 수 있다. 작동부(6)는 작동부(6)가 일 방향으로 회전될 때 가이드부(3)와 급수부(1)가 연통되도록 구비되고, 타 방향으로 회전될 때 작동부(6)가 회전됨에 따라 급수부(1)로부터 안내된 물이 가이드부(3)로 연결될 수 있다. 즉, 작동부(6)의 회전방향에 따라 급수부(1)부터 공급된 물이 가이드부(3)로 안내되거나 가이드부(3)로의 안내를 제한할 수 있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소변비산 방지장치의 설치모습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소변비산 방지장치의 설치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7(a)는 소변비산 방지장치의 설치전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7(b)는 소변비산 방지장치의 설치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소변비산 방지장치(100)는 변기(T)의 상단에 안착되어 설치된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제3 거치부(513)가 변기에 밀착하지 않으면 제1 거치부(511)가 변기(T)의 상단부에서 자유롭게 이동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설치할 위치가 결정되면, 사용자는 조임부(52)를 통해 하우징(2)을 변기(T)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일례로, 상술한 바와 같이 조임부(52)가 캡부(521)와 볼트부(522)로 구비된 형태라면, 사용자는 캡부(521)를 회전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볼트부(522)가 너트부(5111a)를 통과하여 하우징(2)의 가압부(24)에 힘을 전달할 수 있다. 가압부(24)는 하우징과 일체로 결합되므로 볼트부(522)가 하우징(2) 방향으로 전진할수록 하우징(2)은 변기(T)에 밀착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하우징(2)과 제3 거치부(513)와의 거리가 짧아질 수 있다. 변기(T)의 외측면에 제1 밀착부(25)가 접촉하고, 변기(T)의 내측면에 제3 거치부(513)가 접촉할 수 있다.
제1 밀착부(25) 또는 하우징(2)이 변기(T)의 외측에 연결되고, 제3 거치부(513)가 변기(T)의 내측에 연결된 후에는 하우징(2)과 제3 거치부(513)의 길이는 달라지지 않거나 미세하게 짧아질 수 있다. 이후에는 볼트부(522)가 회전할수록 소변비산 방지장치(100)의 고정력이 상승할 수 있다. 사용자는 볼트부(522)가 더 이상 회전되지 않거나 소변비산 방지장치(100)가 탈거되지 않는 상태라고 판단하면, 조임부(52)의 작동을 멈추고 설치를 완료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적인 장비없이 간편하게 소변비산을 방지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전자적인 장비가 사용되지 않으므로, 생산단가를 낮출 수 있으며, 소비자에게 합리적인 가격으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변비산 방지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세정부를 포함하는 소변비산 방지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소변비산 방지장치(100)는 세정부(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세정부(7)는 액상 또는 고상의 세정제를 수용할 수 있다.
세정부(7)는 하우징(2)의 내부와 연통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세정부(7)는 급수부(1)로부터 유입된 물이 가이드부(3)로 유입됨에 따라 세정제의 적어도 일부가 물과 함께 분사부(4)로 배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세정제가 배출되는 구조에는 제한을 두지 않는다. 예를 들어 세정제가 고체인 경우 하우징(2)내로 유입될 물이 세정부(7)를 통과하여 가이드부(3)로 안내될 수도 있다. 마찬가지로 세정제가 액체인 경우 하우징(2)과 세정부(7)가 연통되어 있으면 물에 세정제가 녹아 가이드부(3)로 함께 안내될 수 있다.
세정부(7)는 탈착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세정부(7)는 교체가 용이할 수 있다.
이로써, 소변비산 방지장치(100)가 세정부(7) 더 포함하더라도 별도의 전장품이 없어도 변기(T) 내부를 세척하는 기능도 수행할 수있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소변비산 방지장치의 사시도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소변비산 방지장치(100)는 하우징(2) 내에 전장품 수용부(미도시)가 수용되고, 작동부(6’)가 전장품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작동부(6’)는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장품 수용부 또는 하우징(2)의 외측에 센서부(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센서부가 사용자의 변기(T) 사용을 감지하여 소변비산 방지장치(100)가 자동으로 작동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센서부는 변기(T)의 상면에 놓인 변기 커버의 개패를 감지할 수 있다. 변기 커버는 사용자가 자리에 않는 시트 부분과 시트 부분을 덮는 덮개 부분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센서부는 시트 부분과 덮개 부분이 모두 열리고 닫힌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센서부는 근접 센서 또는 압력 센서 중 적어도 하나가 사용될 수 있다. 센서부는 근처에 변기 커버가 감지되는 경우 변기 커버가 닫힌 상태로 감지하고, 근처에 변기 커버가 감지되지 않는 경우 변기 커버가 열린 상태로 감지할 수 있다. 또는, 센서부는 변기 커버에 의해 압력이 가해지는 경우 변기 커버가 닫힌 상태로 감지하고, 압력이 가해지지 않는 경우 변기 커버가 열린 상태로 감지할 수 있다.
센서부가 변기(T)의 덮개 또는 변좌가 열리는 것을 감지하면, 작동부(6’)는 소변비산 방지장치(100)가 작동시킬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는 소변을 볼 때 별도의 행동이 없어도 소변비산 방지장치로 인해 청결하게 변기를 사용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센서부가 변기(T)의 덮개 또는 변좌가 닫히는 것을 감지하면, 작동부(6’)는 소변비산 방지장치(100)의 작동을 멈출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의 사용시간동안만 소변비산 방지장치(100)를 사용하여 소요되는 전력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소변비산 방지장치(100)는 간단한 전장품을 사용하여 생산단가를 크게 높이지 않고도 외관을 단순하고 심미감있게 제작할 수 있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소변비산 방지장치의 하우징과 거치부의 결합을 나타낸 도면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소변비산 방지장치(100)의 하우징(2)의 함입부(22)는 걸림부(221) 및 버튼부(222)가 구비될 수 있다.
걸림부(221)는 제1 거치부(511)를 특정 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사용자는 일 실시예에 따른 소변비산 방지장치(100)를 설치하는 변기의 구조나 형태에 따라 높이 조절이 필요하다고 느낄 수 있다. 이때 제1 거치부(511)를 항상 함입부(22)의 최상측에만 위치할 수 있으면 사용자가 소변비산 방지장치(100)를 사용할 때 얻는 만족감은 크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소변비산 방지장치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걸림부(221)가 구비될 수 있다.
걸림부(221)는 제1 거치부(511)가 하우징(2)에 결합되면 제1 거치부(511)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소변비산 방지장치(100)를 변기에서 제거할 필요성이 있는 경우 소변비산 방지장치(100)를 쉽게 제거할 수 있도록 버튼부(222)가 구비될 수 있다.
버튼부(222)는 하우징(2)의 외측에 구비되어 사용자가 버튼부(222)를 누르면 걸림부(221)가 하우징(2)에 내입되어 거치부(51)의 제거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걸림부(221)의 형태에는 제한을 두지 않는다. 걸림부(221)는 제1 거치부(511)의 이동을 제한하면 족하다.
예를 들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요철형태로 구비되는 경우 제1 거치부(511)를 하우징(2)에 결합할 때 버튼부(222)를 눌러 걸림부(221)가 하우징(2)의 내측에 내입된 상태에서 제1 거치부(511)의 위치를 조정하고, 버튼부(222)에서 손을 떼서 제1 거치부(511)가 특정위치에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걸림부(221)가 함입부(22)의 양측에서 함입부(22)의 내측으로 상향하는 형태로 구비되는 경우, 사용자는 제1 거치부(511)를 단순히 함입부(22)에 끼워넣음으로써, 제1 거치부(511)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이때에는 버튼부(222)를 누름으로써, 제1 거치부(511)의 제거가 가능하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소변비산 방지장치 1: 급수부 2: 하우징
21: 급수 연결부 22: 함입부 221: 걸림부
222: 버튼부 23: 개폐부 24: 가압부
25: 제1 밀착부 3: 가이드부 4: 분사부
5: 장착부 51: 거치부 511: 제1 거치부
5111: 조임 연결부 5111a: 너트부 512: 제2 거치부
513: 제3 거치부 5131: 제2 밀착부 514: 분사각도 조절부
5141: 연장부 5142: 가이드 연결부
52: 조임부 521: 캡부 522: 볼트부
6: 작동부 6’: 작동부 7: 세정부
T: 변기

Claims (15)

  1. 물이 유입되는 급수부;
    상기 급수부와 연결되며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과 연결되어 상기 하우징에서 배출되는 물을 안내하는 가이드부;
    상기 가이드부에 구비되어 상기 가이드부에서 안내되는 물을 변기 내측으로 분사하여 수막을 형성하는 분사부; 및
    상기 하우징을 변기에 장착시키는 장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장착부는,
    상기 하우징에 연결되어 변기에 거치된 상기 하우징의 무게를 지지하는 거치부; 및
    상기 거치부에 연결되어 상기 하우징을 변기에 고정시키는 조임부;를 포함하고,
    상기 거치부는 변기의 상면 및 내측벽을 감싸도록 절곡된 형태로 구비되고,
    상기 거치부는 상기 하우징에 연결되어 변기의 상면에 거치되는 제1 거치부, 상기 제1 거치부에서 절곡되어 변기의 내측벽을 감싸도록 연장되는 제2 거치부를 포함하고,
    상기 거치부는 상기 제2 거치부에서 변기의 내측면 방향으로 더 절곡되어 연장되는 제3 거치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거치부는 변기 내측 도기에 밀착되어 상기 하우징에 지지력을 제공하고,
    상기 하우징에는 변기 외측과 상기 하우징이 밀착되도록 구비되는 제1 밀착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3 거치부에는 변기 내측과 상기 제3 거치부가 밀착되도록 구비되는 제2 밀착부가 구비되고,
    상기 조임부는
    상기 제1 밀착부와 상기 제2 밀착부가 변기의 외측과 내측을 가압하도록 간격을 조정하는 소변비산 방지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거치부는 변기의 상면에서 변기의 내부 방향으로 더 연장되고,
    상기 제2 거치부는 상기 제1 거치부의 단부에서 변기의 내측벽을 향하여 경사지도록 연장된 소변비산 방지장치.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밀착부는 변기 외측면에 밀착하도록 변기 외측면을 따라 기울어진 접촉면을 포함하는 소변비산 방지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거치부에는 상기 가이드부 또는 상기 분사부의 적어도 일부가 고정되어 상기 분사부의 방향을 조정하는 분사각도 조절부를 포함하는 소변비산 방지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일 측에 구비되며, 상기 급수부에서 유입된 물을 상기 가이드부로 배출하거나 차단하도록 구비되는 작동부를 더 포함하는 소변비산 방지장치.
  10. 삭제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또는 상기 장착부에 구비되며, 변기 커버의 개폐를 감지하는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작동부는 상기 센서에서 변기 커버가 열림을 감지하는 경우, 상기 급수부에서 유입된 물을 상기 가이드부로 배출하고, 상기 센서에서 변기 커버가 닫힘을 감지하는 경우 상기 급수부에서 유입된 물을 상기 가이드부로 배출됨을 차단하는 소변비산 방지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하부에 상기 거치부가 수용될 수 있도록 함입된 함입부를 포함하는 소변비산 방지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함입부는 상기 하우징이 상기 거치부에 지지되는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복수의 걸림부를 포함하는 소변비산 방지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며, 액상 또는 고상의 세정제를 수용하는 세정부를 포함하는 소변비산 방지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부는 상기 급수부로부터 유입된 물이 상기 가이드부로 유입됨에 따라 상기 세정제의 적어도 일부가 물과 함께 상기 분사부로 배출되도록 상기 하우징의 내부와 연통되는 소변비산 방지장치.
KR1020220180500A 2022-11-09 2022-12-21 소변비산방지장치 KR1026692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8/146,724 US20240209612A1 (en) 2022-11-09 2022-12-27 Urine scattering prevention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8458 2022-11-09
KR20220148458 2022-11-0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67762A KR20240067762A (ko) 2024-05-17
KR102669265B1 true KR102669265B1 (ko) 2024-05-24

Family

ID=913207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80500A KR102669265B1 (ko) 2022-11-09 2022-12-21 소변비산방지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240209612A1 (ko)
KR (1) KR102669265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266920A1 (en) * 2007-09-14 2012-10-25 Reckitt Benckiser Inc. Automatic Toilet Bowl Treatment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096145C (en) * 1990-11-16 1996-01-30 Gerard Joseph Cecil Olivier Spray means for a toilet pedestal
JPH0539626A (ja) * 1991-08-06 1993-02-1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便器脱臭装置
KR102495720B1 (ko) * 2021-04-26 2023-02-06 김영록 비산방지 수막커튼 장치가 구비된 좌변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266920A1 (en) * 2007-09-14 2012-10-25 Reckitt Benckiser Inc. Automatic Toilet Bowl Treatment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40209612A1 (en) 2024-06-27
KR20240067762A (ko) 2024-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778302B1 (en) Wall-hung toilet
US5720055A (en) Cleaning and hygienic device
US5813047A (en) Toilet flushing system that allows use of gray water drained from a sink
CN112513386B (zh) 具有坐浴喷淋器的马桶
JP2007315110A (ja) 衛生洗浄装置及びトイレ装置
US6772451B2 (en) Automatic device for washing a toilet seat ring
CA3151864A1 (en) Add-on bidet module for a toilet
KR20100091039A (ko) 국부 세정 소변기 및 이를 포함하는 좌변기
KR102669265B1 (ko) 소변비산방지장치
JP4863458B2 (ja) 衛生洗浄装置及びトイレ装置
KR101606580B1 (ko) 회전식 양변기
JP4300235B2 (ja) 男子用便器
KR100697254B1 (ko) 좌변기 뚜껑에 장착된 세정장치
US20090044324A1 (en) Bidet toilet seat apparatus and system for its use
KR200384276Y1 (ko) 좌변기 뚜껑에 장착된 세정장치
US20090276948A1 (en) Bidet toilet seat apparatus and system for its use
JP4706946B2 (ja) 人体局部洗浄装置
JP2003313921A (ja) 局部洗浄装置
JP4889099B2 (ja) 衛生洗浄装置及びトイレ装置
KR100668579B1 (ko) 온수 세정 변기 시트 장치
CN113143085A (zh) 一种多功能马桶座圈、智能马桶盖组件及智能马桶
JPH09125504A (ja) 洋風便器
KR101998129B1 (ko) 비데 노즐 세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비데 장치
JP3801930B2 (ja) 水洗トイレ用薬液供給装置
JP7458866B2 (ja) 便器洗浄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