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68500B1 - 스마트 연기 감지기 - Google Patents

스마트 연기 감지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68500B1
KR102668500B1 KR1020220023987A KR20220023987A KR102668500B1 KR 102668500 B1 KR102668500 B1 KR 102668500B1 KR 1020220023987 A KR1020220023987 A KR 1020220023987A KR 20220023987 A KR20220023987 A KR 20220023987A KR 102668500 B1 KR102668500 B1 KR 1026685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tector
unit
wire
coupling rod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239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126608A (ko
Inventor
오재준
이다빈
김가람
우동한
Original Assignee
국립목포해양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국립목포해양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국립목포해양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200239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68500B1/ko
Publication of KR202301266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266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85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8500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10Actuation by presence of smoke or gases, e.g. automatic alarm devices for analysing flowing fluid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 G08B17/11Actuation by presence of smoke or gases, e.g. automatic alarm devices for analysing flowing fluid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using an ionisation chamber for detecting smoke or gas
    • G08B17/113Constructional 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28Other constructional details
    • B66D1/40Control devices
    • B66D1/42Control devices non-automatic
    • B66D1/46Control devices non-automatic electric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Fire-Detection Mechanisms (AREA)
  • Fire Alar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기 감지 센서(120)를 원격 조작으로 승강시킬 수 있고 설치된 위치를 쉽게 탐지할 수 있어 선박에서와 같이 설치된 위치를 파악하기 용이하지 않고 높은 위치에 설치되어 있어도 쉽게 점검할 수 있는 스마트 연기 감지기에 관한 것으로, 연기 감지 센서(120)가 구비되어 있고, 와이어(w) 및 전선(c)이 연결된 감지기 유닛(100); 상기 감지기 유닛(100)이 결합되는 감지기 소켓 유닛(200): 및 무선 통신 송수신부(360)와 위치 감지 센서(370)와 상기 감지기 유닛(100)의 승강을 제어하는 와이어용 윈치(321)와 전선용 윈치(322)가 구비된 구동 유닛(300);을 포함하고 있다.

Description

스마트 연기 감지기{Smart Smoke Detector}
본 발명은 스마트 연기 감지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연기 감지 센서가 구비된 감지기 유닛을 원격 조작을 통하여 승강시킬 수 있고 위치 감지 센서가 구비되어 있어 설치된 위치를 쉽게 탐지할 수 있어 선박에서와 같이 설치된 위치를 파악하기 용이하지 않고 높은 위치에 설치되어 있어도 신속하게 위치를 파악하고 쉽게 여니 감지 센서의 정상 작동 여부를 점검할 수 있는 스마트 연기 감지기에 관한 것이다.
대부분의 건물이나 선박에는 화재가 발생할 경우 이를 신속하게 감지하기 위한 연기 감지기가 설치되어 있고, 소방법규에 의하여 주기적으로 정상적인 작동을 하는지 여부를 점검하여야 한다.
이러한 화재 또는 연기 감지기는 천장에 설치되어 있는데, 대형 구조물은 천장의 높이가 높으며, 특히 선박의 경우 천장의 높이가 상대적으로 더 높을 수가 있다.
연기 감지기 점검은 주로 점검자가 직접 사다리 또는 사다리 차량 등을 이용하여 높은 천장까지 올라가서 시험용 연기 발생기 등을 이용하여 연기 감지기이 정상 작동 여부를 점검하고 있다.
하지만, 점검자가 직접 천장까지 사다리 등으로 오르내리며 작업을 하는 것은 안전사고의 위험이 높은 문제점이 있다.
대형 구조물에서의 연기 감지 작업도 위험하지만, 선박과 같은 경우에는 천장은 더 높고, 공간은 협소하여 사다리 등을 설치하기도 어려우며, 선박이 운항 중일 때에는 선박의 흔들림이 발생하므로, 선박 안에서 고소에 위치한 연기 감지기를 점검 및 교체할 때 점검자는 더 위험한 상황에 노출되게 된다.
또한, 선박과 같은 복잡한 구조를 갖는 경우에는 점검을 위하여 연기 감지기가 설치된 정확한 위치를 찾는데도 많은 시간이 소요되어 점검자의 피로도가 더욱 누적되는 문제점도 있다.
이와 같은 고소에 설치된 연기 감지기를 보다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점검하기 위한 다양한 노력을 해 왔는데, 그 중의 하나로 등록특허 제10-1279263호에 화재경보장치(이하 ‘종래기술’이라 함)가 제시되어 있다.
종래기술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기(1)에 의해 제어되는 모터(2)가 모터조작부(3)에 의해 구동되어 드럼(4)으로 전선(5)을 권취하여 화재감지센서(6)를 승하강시키는 구조를 갖고 있다.
상기 종래기술의 화재경보장치는 화재감지센서(6)를 자동으로 승강시킬 수 있어 점검자가 위험하게 높은 곳에 올라가지 않고 낮은 곳에서 화재감지센서(6)의 정상 작동 여부를 점검할 수 있다.
하지만, 종래기술은 드럼(4)에 전선(5)이 감길 때 전선(5)에 과도한 힘이 가해질 수도 있고, 점검 후 화재감지센서(6)를 천장에 다시 설치할 때 안정적으로 장착되도록 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선박과 같이 구조가 복잡하고 많은 수의 화재감지센서(6)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 화재감지센서(6)가 설치된 위치를 찾기 어려운 문제점은 여전히 남아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279263호(2013. 06. 26 공고)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 원격으로 감지기 유닛의 승강이 가능하고 설치된 위치를 쉽게 탐지할 수 있어, 특히 선박에서와 같이 설치된 위치를 파악하기 어렵고 고소에 설치되어 있더라도 쉽게 점검할 수 있는 스마트 연기 감지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감지기 유닛이 결합봉을 이용하여 감지기 유닛 소켓과 결합되도록 구성하여 보다 안정적으로 결합할 수 있고 내구성이 현저히 향상된 스마트 연기 감지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연기 감지기는, 연기 감지 센서(120)가 구비된 감지기 유닛(100); 상기 감지기 유닛(100)이 결합되는 감지기 소켓 유닛(200): 및 상기 감지기 유닛(100)의 승강을 무선으로 제어하는 구동 유닛(300)을 포함하고 있다.
다음으로, 상기 감지기 유닛(100)은, 상기 연기 감지 센서(120)가 설치되는 감지기 본체(110); 및 상기 감지기 소켓 유닛(200)과 결합하기 위한 다수의 결합봉(130);을 포함하고 상기 감지기 소켓 유닛(200)은, 천장(1)에 고정되는 소켓 본체(210); 및 상기 각 결합봉(130)과 결합되는 다수의 결합봉 고정 유닛(230);을 포함하고 있을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감지기 소켓 유닛(200)은, 상기 감지기 유닛(100)에 연결된 와이어(w)와 전선(c)을 각각 안내하는 와이어용 롤러(221)와 전선용 롤러(222);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구동 유닛(300)은, 무선 통신 송수신기(360); 상기 와이어(w)를 감기 위한 와이어용 윈치(321); 상기 전선(c)을 감기 위한 전선용 윈치(322); 및 상기 와이어용 윈치(321)와 전선용 윈치(322)와 각각 연결된 제1, 2 모터(330, 340)를 포함하고 있을 수 있다.
상기 구동 유닛(300)은, 위치 감지 센서(370)를 추가로 포함하고 있을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결합봉(130)은, 상기 감지기 본체(110)에 고정된 결합봉 몸체(131); 상기 결합봉 몸체(131)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외주면에 등간격으로 다수의 결합돌기(133a)가 형성되어 있는 회전체(133);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봉 고정 유닛(230)은, 상기 결합봉(130)이 이동할 수 있는 중공부가 형성된 결합봉 고정 유닛 몸체(231); 상기 결합봉 고정 유닛 몸체(231)의 내주면에 형성된 걸림부(233); 및 상기 결합봉 고정 유닛 몸체(231)의 내주면에 형성되며 상기 걸림부(233)의 상부에 구비된 회전 유도부(234);를 포함하고 있을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걸림부(233);는 상기 회전체(133)의 결합돌기(133a)가 통과할 수 있도록 형성된 이동 슬릿(233a); 및 상기 회전체(133)의 결합돌기(133a)가 걸리도록 형성된 걸림턱(233c)이 교대로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이동 슬릿(233a)의 하부에는 상기 회전체(133)의 결합돌기(133a)의 진입이 용이하도록 확장 경사부(233d)가 추가로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결합봉 고정 유닛 몸체(231)의 상부에는 탄성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 가압판(235)이 추가로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연기 감지기는 원격으로 감지기 유닛의 승강이 가능하고 설치된 위치를 쉽게 탐지할 수 있도록 위치 감지 센서(370)가 함께 구비되어 있어, 설치된 위치를 파악하기 어렵고 고소에 설치되어 있더라도 쉽게 점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연기 감지기는 와이어(w)를 이용하여 감지기 유닛(100)을 승강하도록 구성되어 있어, 연기 감지 센서(120)와 연결된 전선(c)에 과도한 장력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여 전선(c)의 손상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연기 감지기는 감지기 유닛(100)이 착탈이 용이한 원터치 형식으로 결합봉(130)으로 감지기 유닛 소켓(200)과 결합되도록 구성되어 있어 보다 안정적으로 결합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감지기의 내구성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나타난 화재경보장치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연기 감지기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연기 감지기의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연기 감지기의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결합봉 및 결합봉 고정 유닛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체, 걸림부 및 회전 유도부의 전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누름판 및 탄성체의 단면도.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접속, 접촉,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연기 감지기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연기 감지기의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연기 감지기의 평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연기 감지기는 감지기 유닛(100); 감지기 소켓 유닛(200); 및 구동 유닛(300);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감지기 유닛(100)은 감지기 본체(110); 연기 감지 센서(120); 및 상기 감지기 소켓 유닛(200)과 결합하기 위한 다수의 결합봉(130);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감지기 본체(110)의 하부로 상기 연기 감지 센서(120)가 노출되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감지기 본체(110)의 상부에는 전선(c)과 승강을 위한 와이어(w)가 결합되어 있다.
상기 와이어(w)는 상기 감지기 유닛(100)을 송강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므로, 안정적으로 승강시키기 위하여 2개 이상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결합봉(13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감지기 본체(110)의 상부면에 다수 개 설치될 수 있고, 결합봉(130)의 구체적인 구성은 아래에서 설명할 결합봉 고정 유닛(230)과 함께 살펴본다.
상기 감지기 본체(110)의 상부면 주변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 스토퍼(140)가 추가로 구비되어 있을 수도 있다.
상기 탄성 스토퍼(140)는 후술하는 감지기 소켓 유닛(200)과 접촉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감지기 소켓 유닛(200)의 대응 위치에 상기 탄성 스토퍼(140)가 구비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상기 감지기 소켓 유닛(200)은 도 2 내지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천장(1)에 고정되는 소켓 본체(210); 와이어용 롤러(221); 전선용 롤러(222) 및 상기 각 결합봉(130)과 결합되는 다수의 결합봉 고정 유닛(230);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소켓 본체(2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는 상기 감지기 유닛(100)과 결합되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전선(c)과 와이어(w)가 통과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소켓 본체(210)의 중앙에는 상기 감지기 유닛(100)의 연기 감지 센서(120)가 위치하는 부분과 결합되는 센서 연결부(211)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감지기 유닛(100)이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센서 연결부(211)의 주변으로 제1 경사부(211a)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소켓 본체(210)의 가장자리측에는 상기 결합봉(130)이 통과하여 결합될 수 있도록 다수의 결합봉 연결부(212)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고, 상기 결합봉 연결부(212)에도 상기 결합봉(130)이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그 주변에 제2 경사부(212a)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결합봉 연결부(212)를 통하여 결합봉 연결공(213)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결합봉 연결공(213)은 상기 결합봉 고정 유닛(230)과 연통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소켓 본체(210)의 상부면에는 롤러 지지대(220)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고,
상기 롤러 지지대(220)에는 상기 와이어용 롤러(221)와 전선용 롤러(222)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전선용 롤러(222)는 중앙에 형성되어 있을 수 있고 상기 와이어용 롤러(221)는 와이어(w)의 수만큼 형성할 수 있고, 도 3,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 이상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와이어용 롤러(221)와 전선용 롤러(222)는 상기 감지기 유닛(100)에 연결된 와이어(w)와 전선(c)을 상기 구동 유닛(300) 방향으로 원활하게 이동시키는 기능을 한다.
상기 결합봉 고정 유닛(230)은 상기 결합봉(130)과 서로 결합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고, 원터치 형식으로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필요하다.
상기 결합봉(130)과 상기 결합봉 고정 유닛(230)의 구체적인 구성은 도 5 내지 7에 나타나 있다.
상기 결합봉(13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감지기 본체(110)에 고정된 결합봉 몸체(131); 상기 결합봉 몸체(131)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외주면에 등간격으로 다수의 결합돌기(133a)가 형성되어 있는 회전체(133);를 포함하고 있다.
이 때 상기 결합봉 몸체(131)와 상기 회전체(133) 사이에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어링(132)이 추가로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결합봉 고정 유닛(23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켓 본체(210)에 고정 결합된 결합봉 고정 유닛 몸체(231); 걸림부(233); 회전 유도부(234); 및 가압판(235)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결합봉 고정 유닛 몸체(231);는 상기 결합봉(130)이 이동할 수 있도록 중공부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걸림부(233)는 상기 결합봉 고정 유닛(231)의 내주면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걸림부(233);는 상기 회전체(133)의 결합돌기(133a)가 통과할 수 있도록 형성된 다수의 이동 슬릿(233a); 및 상기 회전체(133)의 결합돌기(133a)가 걸리도록 형성된 다수의 걸림턱(233c)이 교대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걸림턱(233c)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부(233)의 상부에 형성되어 있고 톱니형 경사부(233b)에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걸림부(233)는 하부에 확장 경사부(233d)가 추가로 형성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확장 경사부(233d)는 상기 이동 슬릿(233a)의 하부에 형성되어 있어, 상기 회전체(133)의 결합돌기(133a)가 상기 이동 슬릿(233a)으로 진입이 용이하게 하는 기능을 한다. 즉, 상기 회전체(133)의 각 결합돌기(133a)가 상기 각 이동 슬릿(233a)과 일직선 상에 위치하지 않더라도, 상기 결합돌기(133a)는 상기 확장 경사부(233d)에 접촉하게 되고, 계속 상승시키면, 상기 회전체(133)가 회전하면서 상기 회전체(133)의 결합돌기(133a)가 이동 슬릿(233a)과 일직선을 이루면서 상기 이동 슬릿(233a)을 통과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회전 유도부(234)도 상기 결합봉 고정 유닛(231)의 내주면에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걸림부(233)의 상부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회전 유도부(234)에는 도 5,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에 다수의 삼각홈(234a)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삼각홈(234a)의 꼭지점 부분은 상기 걸림부(233)에 형성된 이동 슬릿(233a) 및 걸림턱(233c)와 편차(offset)이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하여 상기 이등 슬릿(233a)을 통과하여 회전 유도부(234)와 접촉한 회전체(133)의 걸림돌기(133a)는 미세한 회전이 발생하게 된다. 이로 인하여 상기 회전체(133)의 걸림돌기(133a)는 이동 슬릿(233a)과 일직선 상에 있지 않고 톱니형 경사부(233b) 상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회전체(133)를 하강시키면 상기 걸림돌기(133a)는 상기 톱니형 경사부(233b) 상에 위치하게 되고 상기 톱니형 경사부(233b)를 따라 이동하여 걸림턱(233c)에 걸리게 된다.
한편, 상기 걸림턱(233c)에 걸려 있던 걸림돌기(133a)를 상승시켜 상기 회전 유도부(234)에 접촉시키면 상기 회전체(133)의 걸림돌기(133a)는 회전하여 이동 슬릿(233a)과 연결되는 톱니형 경사부(233b) 상에 위치하게 되고, 상기 걸림돌기(133a)는 상기 톱니형 경사부(233b)를 거쳐 이등 슬릿(233a)을 통하여 빠져 나가게 된다.
상기 회전 유도부(234)와 상기 걸림부(233) 사이의 간격은 상기 회전체(133)에 구비된 걸림돌기(133a)의 길이 이상이 되도록 구성하면, 회전 유도부(234)에 접촉하여 회전하는 회전체(133)가 상기 걸림부(233)의 방해를 받지 않고 회전할 수 있다.
가압판(235)은 상기 결합봉 고정 유닛 몸체(231)의 상부에 탄성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가압판(235)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걸림부(233)와 상기 회전 유도부(234) 사이에서 탄성적으로 상하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회전 유도부(234)와 접촉하기 위하여 상승하는 회전체(133)와 접촉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가압판(235)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안내봉(235a)이 결합되어 있을 수 있고, 상기 이동 안내봉(235a)에는 탄성체(236)가 구비되어 있어, 상기 가압판(235)이 탄성적으로 상하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에는 상기 가압판(235)의 이동 안내봉(235a)이 상기 결합봉 고정 유닛 몸체(231)의 상부에 형성된 관통공(231a)를 따라 이동하고, 상기 이동 안내봉(235a)의 단부에 형성된 지지 단부(235b)는 상기 결합봉 고정 유닛 몸체(231)의 상부 밖으로 노출되어 있는 구성이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고 상기 가압판(235)이 탄성 이동 가능한 구성으로 형성되어 있으면 충분하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하여 상기 감지기 유닛(100)을 상기 감지기 소켓 유닛(200)과 분리시키고자 할 때, 상기 가압판(235)에 작용하는 탄성력이 상기 회전체(133)에 전달되어 보다 쉽게 감지기 유닛(100)이 상기 감지기 소켓 유닛(200)과 분리될 수 있다.
다음으로 구동 유닛(300)은 도 2,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와이어(w)를 감기 위한 와이어용 윈치(321); 상기 전선(c)을 감기 위한 전선용 윈치(322); 상기 와이어용 윈치(321)와 전선용 윈치(322)와 각각 연결된 제1, 2 모터(330, 340); 무선 통신 송수신기(360); 위치 감지 센서(370); 및 제어부(350)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전선용 윈치(322)는 상기 전선용 롤러(222)와 접촉하는 상기 전선(c)을 감거나 풀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와이어용 윈치(321)는 상기 와이어용 롤러(222)와 접촉하는 상기 와이어(w)를 감거나 풀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전선용 윈치(322)와 와이어용 윈치(321)는 상기 무선 통신 송수신기(360)를 통하여 점검자가 모터(330, 340)를 원격 제어하여 구동시킬 수 있다.
또한 위치 감지 센서(370)의 신호를 상기 무선 통신 송수신기(360)를 통하여 원격으로 점검자가 확인하여 연기 감지기가 설치된 위치를 쉽게 파악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스마트 연기 감지기의 작동 방법을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먼저, 점검자가 위치 감지 센서(370)의 신호를 통하여 스마트 연기 감지기가 설치된 위치를 확인한다.
이 때, 상기 감지기 유닛(100)의 결합봉(130)은 상기 감지기 유닛 소켓(200)의 결합봉 고정 유닛(230)에 결합되어 있다. 즉, 결합봉(130)의 회전체(133)가 결합봉 고정 유닛(230) 걸림부(233)의 걸림턱(233c)에 걸려 있다.
점검자는 스마트폰 또는 원격제어기 등을 이용하여 상기 와이어용 윈치(321)가 상기 와이어(w)를 감는 방향으로 잠시 제1 모터(330)를 구동시킨 후, 상기 와이어용 윈치(321)가 와이어(w)를 푸는 방향으로 다시 잠시 제1 모터(330)를 구동시킨 다음, 제1 모터(330)를 정지시킨다.
이 때, 상기 제1 모터(330)의 각 방향 구동 시간 또는 와이어(w)를 감았다 푸는 양을 보다 정확하게 제어하기 위하여 별도의 리미트 센서(미도시)를 추가로 설치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이러한 동작을 통하여 상기 걸림부(233)의 걸림턱(233c)에 걸려 있던 회전체(133)는 회전하여 걸림부(233)의 톱니형 경사부(233b) 상으로 이동한 후 이동 슬릿(233a)을 통과할 수 있다. 즉, 감지기 유닛(100)이 감지기 소켓 유닛(200)과 분리될 수 있는 상태가 준비된 것이다.
다음으로 와이어용 윈치(321)가 와이어(w)를 푸는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제1 모터(330)를 구동하고, 전선용 윈치(322)가 전선(c)을 푸는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제2 모터(340)를 구동한다.
이와 같은 작동을 통하여 상기 감지기 유닛(100)은 상기 감지기 소켓 유닛(200)와 분리되어 점차 하강한다.
상기 감지기 유닛(100)이 점검자가 점검할 수 있는 위치까지 하강했을 때, 제1, 2 모터(330, 340)를 정지시킨다.
다음으로, 점검자가 감지기 유닛(100)에 구비된 연기 감지 센서(120)의 정상적인 작동 여부를 점검하고, 교체가 필요하면 교체 작업을 수행한다.
다음으로, 상기 제1, 2 모터(330, 340)를 상기 감지기 유닛(100)을 상승시키는 방향으로 구동시켜 상기 감지기 유닛(100)을 상기 감지기 소켓 유닛(200)에 결합시킨다.
이 때, 상기 감지기 유닛(100)의 회전체(133)가 상기 감지기 소켓 유닛(200)의 회전 유도부(234)와 접촉할 때까지 상승시킨다.
상기 회전체(133)에 구비된 걸림돌기(133a)가 상기 이동 슬릿(233a)과 일직선 상에 있지 않을 수도 있으나, 이동 슬릿(233a)의 하부에 확장 경사부(233d)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회전체(133)의 걸림돌기(133a)는 상기 이동 슬릿(233a)을 통과할 수 있다.
상기 이동 슬릿(233a)을 통과한 회전체의 걸림돌기(133a)는 상기 회전 유도부(234)와 접촉하면서 회전체의 걸림돌기(133a)가 회전하게 된다.
이와 같은 회전체(133)의 회전에 따라 상기 회전체(133)의 걸림돌기(133a)는 걸림부(233)에 형성된 톱니 경사부(233b)에 접촉할 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제1, 2 모터(330, 340)를 각각 와이어(w)와 전선(c)을 푸는 방향으로 작동시킨 후 정지한다.
이 때 상기 와이어(w)와 전선(c)이 풀리는 방향으로 상기 제1, 2 모터(330, 340)의 구동시키는 것은 와이어(w)와 전선(c)의 장력을 감소시킬 수 있는 정도의 아주 짧은 시간이면 충분하다.
예를 들면, 상기 회전 유도부(234)에 접촉한 회전체(130)의 걸림돌기(133a)가 걸림부(200)의 걸림턱(233c)에 걸릴 수 있는 길이만큼 작동시킨 후 정지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작동 방법을 통하여 상기 감지기 유닛(100)은 보다 안정적으로 감지기 소켓 유닛(200)과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하고, 연기 감지기의 위치까지 쉽게 파악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천장 100: 감지기 유닛 110: 감지기 본체
120: 연기 감지 센서 130: 결합봉 131: 결합봉 몸체
132: 베어링 133: 회전체 133a: 걸림 돌기
200: 감지기 소켓 유닛 210: 소켓 본체 211: 센서 연결부
211a: 제1 경사부 212: 결합봉 연결부 212a: 제2 경사부
213: 결합봉 연결공 220: 롤러 지지대
221: 와이어용 롤러 222: 전선용 롤러 230: 결합봉 고정 유닛
231: 결합봉 고정 유닛 몸체 231a: 상부 관통공
233: 걸림부 233a: 이동 슬릿
233b: 톱니형 경사부 233c: 걸림턱
233d: 확장형 경사부 234: 회전 유도부
234a: 회전 유도홈 235: 가압판
235a: 이동 안내봉 235b: 지지 단부
236: 탄성체 300: 구동 유닛
310: 설치판 321: 와이어용 윈치
322: 전선용 윈치 330: 제1 모터
340: 제2 모터 350: 제어부
360: 무선 통신 송수신기 370: 위치 감지 센서
c: 전선 w: 와이어

Claims (5)

  1. 연기 감지 센서(120)가 구비된 감지기 유닛(100);
    상기 감지기 유닛(100)이 결합되는 감지기 소켓 유닛(200): 및
    상기 감지기 유닛(100)의 승강을 무선으로 제어하는 구동 유닛(300);을 포함하는 스마트 연기 감지기에 있어서,
    상기 감지기 유닛(100)은,
    상기 연기 감지 센서(120)가 설치되는 감지기 본체(110); 및
    상기 감지기 소켓 유닛(200)과 결합하기 위한 다수의 결합봉(130);을 포함하고,
    상기 감지기 소켓 유닛(200)은,
    천장(1)에 고정되는 소켓 본체(210); 및
    상기 각 결합봉(130)과 결합되는 다수의 결합봉 고정 유닛(230);을 포함하되,
    상기 결합봉(130)은,
    상기 감지기 본체(110)에 고정된 결합봉 몸체(131);
    상기 결합봉 몸체(131)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외주면에 등간격으로 다수의 결합돌기(133a)가 형성되어 있는 회전체(133);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봉 고정 유닛(230)은,
    상기 결합봉(130)이 이동할 수 있는 중공부가 형성된 결합봉 고정 유닛 몸체(231);
    상기 결합봉 고정 유닛 몸체(231)의 내주면에 형성된 걸림부(233);
    상기 결합봉 고정 유닛 몸체(231)의 내주면에 형성되며 상기 걸림부(233)의 상부에 구비된 회전 유도부(234); 및
    상기 걸림부(233)와 상기 회전 유도부(234) 사이에서 탄성적으로 상하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회전 유도부(234)와 접촉하기 위해 상승하는 상기 회전체(133)와 접촉할 수 있도록 구성된 가압판(235);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연기 감지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기 소켓 유닛(200)은,
    상기 감지기 유닛(100)에 연결된 와이어(w)와 전선(c)을 각각 안내하는 와이어용 롤러(221)와 전선용 롤러(222);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구동 유닛(300)은,
    무선 통신 송수신기(360);
    상기 와이어(w)를 감기 위한 와이어용 윈치(321);
    상기 전선(c)을 감기 위한 전선용 윈치(322); 및
    상기 와이어용 윈치(321)와 전선용 윈치(322)와 각각 연결된 제1, 2 모터(330, 3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연기 감지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유닛(300)은,
    위치 감지 센서(370)를 추가로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연기 감지기.
  5. 삭제
KR1020220023987A 2022-02-23 2022-02-23 스마트 연기 감지기 KR1026685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3987A KR102668500B1 (ko) 2022-02-23 2022-02-23 스마트 연기 감지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3987A KR102668500B1 (ko) 2022-02-23 2022-02-23 스마트 연기 감지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26608A KR20230126608A (ko) 2023-08-30
KR102668500B1 true KR102668500B1 (ko) 2024-05-22

Family

ID=878464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3987A KR102668500B1 (ko) 2022-02-23 2022-02-23 스마트 연기 감지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6850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8895B1 (ko) * 2015-07-07 2015-12-18 (주)도명디앤이 자립형 화재경보기
KR102330912B1 (ko) * 2020-12-18 2021-12-02 (주)성진하이텍 와이어 정렬장치가 설치된 등기구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4259B1 (ko) * 2003-07-19 2005-07-27 용성전기 주식회사 본체와 핸들부를 자동으로 결합할 수 있는 스위치
KR101214494B1 (ko) * 2011-04-12 2012-12-21 (주)마루지앤에스 열/연기 감지기를 이용한 다단 셀프랙의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KR101279263B1 (ko) 2011-11-23 2013-06-26 장미순 화재경보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8895B1 (ko) * 2015-07-07 2015-12-18 (주)도명디앤이 자립형 화재경보기
KR102330912B1 (ko) * 2020-12-18 2021-12-02 (주)성진하이텍 와이어 정렬장치가 설치된 등기구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26608A (ko) 2023-08-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115687B1 (en) Lifting apparatus for highly mounted equipment
EP2773584B1 (en) Brake torque monitoring and health assessment
CN109890736B (zh) 防坠落装置及相关方法
EP3636581B1 (en) Cable offset detection with contact
US11247881B2 (en) Lifting apparatus for highly-mounted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589715B1 (ko) 고소 설치 기기용 승강장치
KR102050020B1 (ko) 고소 설치 기기용 승강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4926613B2 (ja) 昇降装置およびワイヤーロープの損傷検知装置
CN112978602B (zh) 一种提升机构、升船机、船坞及提升机构的工作方法
KR101647766B1 (ko) 승강형 cctv 카메라 시스템
KR100938218B1 (ko) 무대에서의 바튼 승강 안전장치
KR102668500B1 (ko) 스마트 연기 감지기
JP2007176624A (ja) エレベータ
JP4844410B2 (ja) エレベータロープ類の引っ掛り検知装置
JPH08295487A (ja) 天井クレーンのワイヤロープガイド装置
KR102089008B1 (ko) 승강장치의 승강줄 점검방법 및 이를 이용한 승강장치
EP3693313B1 (en) Hoisting rope monitoring device
KR102063603B1 (ko) 추락 방지 기능을 가지는 호이스트 승강기
KR20170135756A (ko) 승강로 하부피트에 설치되어지는 안전장치
WO2020178354A1 (en) Determining a malfunction of a centrifugal brake of an elevator traction device
US11754132B2 (en) Safety brake for telescopic mast of several segments
JP7265398B2 (ja) 作業状態検知システム
KR102179010B1 (ko) 케이지의 추락방지 장치
KR20230164333A (ko) 무대 장치 충돌 방지용 이중안전장치
JPH07257882A (ja) ワインダのワイヤ抜け止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