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67405B1 - 차량용 페달모듈 - Google Patents

차량용 페달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67405B1
KR102667405B1 KR1020210119168A KR20210119168A KR102667405B1 KR 102667405 B1 KR102667405 B1 KR 102667405B1 KR 1020210119168 A KR1020210119168 A KR 1020210119168A KR 20210119168 A KR20210119168 A KR 20210119168A KR 102667405 B1 KR102667405 B1 KR 1026674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dal
vehicle
unit
support member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91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36390A (ko
Inventor
김태환
심명섭
조남상
김재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현대포리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현대포리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현대포리텍
Priority to KR10202101191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67405B1/ko
Publication of KR202300363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363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74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74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1/00Controlling members, e.g. knobs or handles; Assemblies or arrangements thereof; Indicating position of controlling members
    • G05G1/30Controlling members actuated by foot
    • G05G1/34Double foot controls, e.g. for instructi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6/00Arrangements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 control devices in vehicles
    • B60K26/02Arrangements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 control devices in vehicles of initiating means or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7/00Brake-action initiating means
    • B60T7/02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 B60T7/04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foot actuated
    • B60T7/06Disposition of ped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echanical Control Devices (AREA)
  • Braking Elements And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차량용 페달모듈을 개시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페달모듈은 제1페달을 구비하여 차량을 제동시키는 제1페달유닛; 제2페달을 구비하여 차량을 가속시키는 제2페달유닛; 상기 제1페달유닛과 제2페달유닛이 일체로 수납되고, 상기 제1페달과 제2페달의 출입을 위한 출입구를 구비하는 하우징; 상기 제1페달과 제2페달이 상기 출입구 외부 또는 내측으로 위치하도록 상기 제1페달유닛과 제2페달유닛을 일체로 구동하는 액츄에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페달모듈{pedal module for vehicle}
자율 주행 모드와 운전자 주행 모드로 주행 모드의 전환이 가능한 자율주행 차량의 사용 편리성을 개선할 수 있는 차량용 페달모듈에 관한 것이다.
자율주행 차량은 운전자가 핸들과, 가속 페달 및 브레이크 페달 등을 조작하지 않아도 스스로 목적지까지 찾아가는 자율 주행 모드로 주행이 가능한 차량을 가리킨다.
이러한 자율주행 차량의 경우, 운전에 대한 운전자의 부담이 줄어들도록 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자율주행 차량의 상용화에 대비하여 차량 내부 공간을 하나의 생활공간으로 활용하고자 하는 움직임이 점차 일고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차량 내부공간의 공간활용도를 향상시키고자 하는 관심이 어느 때보다 커지고 있는 실정이며, 이러한 관심은 브레이크 페달이나 액셀 페달이 위치하는 운전석 하부 공간에 대해서도 예외가 아니다.
한편, 자율주행 차량의 경우에도 아직까지는 돌발 상황에 대비하여 운전자 주행 모드로도 주행이 가능할 것이 요구되고 있다.
자율 주행 모드와 운전자 주행 모드로 주행 모드의 전환이 가능한 차량의 사용 편리성을 개선할 수 있는 차량용 페달모듈을 제공하고자 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에 의하면, 제1페달을 구비하여 차량을 제동시키는 제1페달유닛; 제2페달을 구비하여 차량을 가속시키는 제2페달유닛; 상기 제1페달유닛과 제2페달유닛이 일체로 수납되고, 상기 제1페달과 제2페달의 출입을 위한 출입구를 구비하는 하우징; 상기 제1페달과 제2페달이 상기 출입구 외부 또는 내측으로 위치하도록 상기 제1페달유닛과 제2페달유닛을 일체로 구동하는 액츄에이터;를 포함하는 차량용 페달모듈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1페달유닛과 제2페달유닛은 상기 출입구를 출입하는 상기 페달들의 출입방향을 따라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는 회전축에 결합하고, 상기 액츄에이터는 상기 회전축을 양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제1페달유닛은 상기 제1페달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제1지지부재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2페달유닛은 상기 제2페달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제2지지부재를 더 구비하며, 상기 제1페달유닛과 제2페달유닛은 상기 제1지지부재와 제2지지부재를 통해 상기 회전축에 일체로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제1페달과 제2페달은 각각 상기 제1지지부재와 제2지지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고, 상기 회전축은 상기 제1페달과 제2페달의 결합위치를 회피하여 상기 제1지지부재와 제2지지부재에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출입구 내측으로 위치된 상태의 상기 제1페달과 제2페달의 외면은 상기 출입구 주변의 상기 하우징의 표면과 동일 평면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차량은 자율 주행 모드와 운전자 주행 모드로 주행 모드 전환이 가능하고, 상기 액츄에이터는 상기 운전자 주행 모드에서 상기 제1페달과 제2페달이 상기 출입구 외부로 위치하고, 상기 자율 주행 모드에서 상기 제1페달과 제2페달이 상기 출입구 내측으로 위치하도록 상기 제1페달유닛과 제2페달유닛을 구동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한 차량용 페달모듈에 따르면, 가속을 위한 페달과 제동을 위한 페달은 운전자 주행 모드에서는 운전자에 의해 조작될 수 있도록 차량 내부공간으로 돌출하고, 자율 주행 모드에서는 차량 내부공간으로 돌출이 제한되어 주변공간의 공간활용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일 실시 예에 의한 차량용 페달모듈에 의하면, 자율 주행 모드와 운전자 주행 모드로 주행 모드의 전환이 가능한 차량의 사용 편리성을 개선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페달모듈이 채용되는 차량의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페달모듈의 사시도로, 페달들이 하우징 상부로 위치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페달모듈의 사시도로, 페달들이 하우징 내부로 위치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페달모듈의 측면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페달모듈이 차량에 설치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차량에 설치된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페달모듈의 동작을 나타낸 것으로, 페달들이 차체 내부공간으로 위치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차량에 설치된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페달모듈의 동작을 나타낸 것으로, 페달들이 설치홈 안쪽으로 위치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 소개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도면에서 생략하였으며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의 폭, 길이,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1에는 일 실시예에 다른 차량용 페달모듈(10)이 장착되는 차량의 구조가 도시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은 자율주행 차량으로서, 구동 플랫폼(A)과, 구동 플랫폼(A)에 탈부착 가능하게 탑재식으로 장착되는 차체(B)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자율주행 차량은 구동 플랫폼(A)을 공유한 상태에서 그 위에 탑재되는 차체(B)의 종류를 달리함에 따라 다양한 스타일과 용도의 차량으로 활용이 가능할 수 있다.
구동 플랫폼(A)은 프레임(1)과, 프레임(1)의 전방과 후방으로 설치되는 전륜(2a) 및 후륜(2b)과, 전륜(2a) 및 후륜(2b)의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3)와, 전륜(2a) 및 후륜(2b)의 제동을 위한 제동장치(4)를 구비할 수 있다.
전륜(2a)과 후륜(2b)은 각각 한 쌍으로 구성되고, 제동장치(4)는 각각의 전륜(2a)과 후륜(2b)에 개별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구동부(3)는 배터리(3b)와, 배터리(3b)의 전원에 의해 구동하는 모터(3a)와, 배터리(3b)의 충전을 위한 발전기(미도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3b)는 프레임(1)에 장착될 수 있고, 모터(3a)는 전륜(2a) 사이나 후륜(2b) 사이를 연결하는 축을 회전시키도록 설치될 수 있다.
차체(B)는 차실을 형성하는 내부공간(6)에 좌석(7) 및 핸들(8)과, 차량용 페달유닛(10)이 설치될 수 있다.
도면을 통해 도시하지 않았으나, 구동 플랫폼(A)에는 핸들(8)의 조작에 의해 전륜(2a)이나 후룬(2b)의 진행방향을 조정하기 위한 조향기구(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용 페달유닛(10)은 차량의 제동을 위한 제1페달(21)과, 차량의 가속을 위한 제2페달(31)을 구비할 수 있다.
제1페달(21)은 제동장치(4)의 동작 여부나 제동력 크기를 조작하여 차량을 제동시키고, 제2페달(31)은 모터(3a)의 속도를 조작함으로써 차량을 가속시킬 수 있다.
차량용 페달모듈(10)은 케이블이나, 로드, 유압 등을 사용하는 대신 전선을 이용한 전기적인 신호전달 방식에 의해 구동부(3)와 제동장치(4)를 조정할 수 있다.
차량은 제어부(5)를 구비하고, 차량용 페달모듈(10)의 페달 조작신호는 제어부(5)로 전송되며, 제어부(5)는 페달(21,31)의 조작신호를 근거로 제동장치(4)와 구동기(3)를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차량용 페달모듈(10)과 제어부(5) 사이에는 전기적인 신호 전달을 위한 와이어(5a)가 연결될 수 있다.
제어부(5)는 프로세서와 메모리를 포함하고, 프로세서는 구동부(3)와 제동장치(4)의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적어도 하나의 집적화된 회로로 집적화되거나 별개의 구성 요소로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는 S램(S-RAM), D램(D-RAM) 등의 휘발성 메모리뿐만 아니라 플래시 메모리, 롬(Read Only Memory, ROM), 이피롬(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EPROM) 등의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에는 구동부(3)와 제동장치(4)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과, 프로그램 수행 중에 발생되는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용 페달모듈(10)은 차량의 제동을 위한 제1페달유닛(20)과, 차량의 가속을 위한 제2페달유닛(30)과, 제1페달유닛(20)과 제2페달유닛(30)이 일체로 수납되는 하우징(40)을 구비하여 차체(B)에 설치되는 페달과 관련된 구성품들을 단일화 시킬 수 있다.
제1페달유닛(20)은 제1페달(21) 및 제1페달(21)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제1지지부재(22)를 구비하고, 제2페달유닛(30)은 제2페달(31) 및 제2페달(31)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제2지지부재(32)를 구비할 수 있다.
각 페달(21,31)은 해당 지지부재(22,32)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페달(21,31)은 일단부가 대응하는 지지부재(22,32)의 일단부 쪽에 힌지축(23,33)을 통해 힌지 결합될 수 있다.
각 페달(21,31)은 운전자에 의해 해당 지지부재(22,32) 쪽으로 눌려짐에 따라 힌지축(23,33)을 중심으로 지지부재(22,32) 쪽으로 회전하면서 차량을 제동하거나 가속시킬 수 있다. 차량의 제동 정도와 가속 정도는 운전자에 의해 지지부재(22,32) 쪽으로 눌려지는 페달(21,31)의 눌림 정도에 따라 증가할 수 있다. 즉 차량의 제동력과 가속 정도는 각 페달(21,31)과 해당 지지부재(22,32) 사이의 각도가 작아질수록 증가할 수 있다. 페달(21,31)에 외력이 제거된 상태에서 형성되는 각 페달(21,31)과 해당 지지부재(22,32) 사이의 최대 각도는 예각 범위 내로 셋팅 될 수 잇다.
각 페달(21,31)과 해당 지지부재(22,32) 사이에는 지지부재(22,32)에 대한 페달(21,31)의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위치감지수단(60)이 마련되고, 위치감지수단(60)은 지지부재(22,32)에 대한 페달(21,31)의 회전각을 검출하는 센서(61)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61)는 지지부재(22,32)에 대한 페달(21,31)의 각도 변화를 감지하여 그 신호를 제어부(5)로 출력하고, 제어부(5)는 이러한 신호를 기반으로 구동부(3)와 제동장치(4)를 제어하여 차량의 제동 이나 가속이 페달(21,31)의 조작 정도에 상응하여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 각 페달(21,31)과 해당 지지부재(22,32) 사이에는 페달(21,31)을 조작하는 운전자에게 조작감을 제공하기 위한 탄성수단(70)이 개재될 수 있다. 탄성수단(70)은 페달(21,31)과 지지부재(22,32) 사이를 탄성지지 하는 스프링(71)이나 탄성패드 등을 통해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탄성수단(70)은 운전자에 의해 페달(21,31)이 눌려지는 과정에서 압축되면서 운전자에게 페달(21,31) 조작에 따른 조작감을 제공하고, 운전자에 의해 페달(21,31)에 가해졌던 외력이 제거될 경우 복원력에 의해 본래의 상태로 복원되면서 페달(21,31)을 본래의 위치로 복귀시킬 수 있다.
하우징(40)은 하부가 개방된 사각의 함체 형태를 취하도록 마련되고, 제1페달유닛(20)과 제2페달유닛(30)은 하우징(40)의 내부공간을 통해 하우징(40)의 길이방향을 따라 나란히 배치될 수 있다.
하우징(40)는 제1페달(21)과 제2페달(31)의 출입을 위한 출입구(41,42)를 상부에 구비하고, 차량용 페달모듈(10)은 제1페달(21)과 제2페달(31)이 출입구(41,42) 외부 또는 내측으로 위치하도록 제1페달유닛(20)과 제2페달유닛(30)을 일체로 구동하는 액츄에이터(50)를 구비할 수 있다.
출입구(41,42)는 제1페달(21)과 제2페달(31)의 위치와 형태에 대응하도록 마련된 한 쌍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1페달(21)과 제2페달(31)은 출입구(41,42) 상부의 하우징(40) 외부로 위치된 상태에서 운전자에 의해 조작되도록 눌려질 수 있게 되고, 출입구(41,42) 내측으로 위치된 상태에서는 눌려짐이 차단될 수 있다.
따라서 페달(21,31)들은 액츄에이터(50)에 의한 페달유닛(20,30)의 구동에 의해 출입구(41,42) 상부로 돌출된 상태에서 제동 및 가속 조작이 가능하고, 출입구(41,42) 내측으로 위치된 상태에서 제동 및 가속 조작이 제한될 수 있다.
액츄에이터(50)는 차량의 운전자 주행 모드에서 페달(21,31)들이 출입구(41,42) 상부로 위치하도록 페달유닛(20,30)들을 구동할 수 있다. 출입구(41,42) 상부로 위치하도록 차체(B) 내부공간(6)으로 돌출된 페달(21,31)들은 운전자에 의해 조작이 가능하게 되어 운전자 주행 모드가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또 액츄에이터(50)는 차량의 자율주행 모드에서 페달(21,31)들이 출입구(41,42) 내측으로 위치하도록 페달유닛(20,30)들을 구동할 수 있다. 출입구(41,42) 내측으로 위치된 페달(21,31)은 차체 내부공간(6)으로 노출이 차단됨에 따라 자율주행 모드에서 차량용 페달모듈(10) 주변의 공간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제1페달(21)과 제2페달(31)은 출입구(41,42) 내측으로 위치된 상태에서 그 외면이 출입구(41,42) 주변의 하우징(40)의 표면과 동일 평면 상에 위치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운전자 주행 모드와 자율주행 모드는 운전자가 도시되지 않은 차체(B) 내부의 조작부를 조작함에 따라 선택될 수 있고, 제어부(5)는 이러한 조작신호를 근거로 페달(21,31)들이 운전자에 의해 선택된 차량의 주행 모드에 대응하여 위치하도록 액츄에이터(5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페달(21,31)의 위치 가변 동작을 구현함에 있어서, 차량용 페달모듈(10)의 구성을 간소화키면서 그 제품신뢰성을 높일 수 있도록 액츄에이터(50)는 제1페달유닛(20)과 제2페달유닛(30)을 동시에 일체로 구동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페달유닛(20)과 제2페달유닛(30)은 출입구(41,42)를 출입하는 페달(21,31)들의 출입방향을 따라 회전 가능하도록 하우징(40) 내부에 설치되는 회전축(43)에 결합하고, 액츄에이터(50)는 회전축(43)을 양 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1페달유닛(20)과 제2페달유닛(30)은 제1지지부재(22)와 제2지지부재(32)를 통해 하우징(40) 내부에 설치되는 회전축(43)에 일체로 결합될 수 있다.
회전축(43)은 출입구(41,42)를 출입하는 페달(21,31)의 출입방향과 직교하도록 하우징(40)의 양 측벽에 양 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도록 설치되고, 액츄에이터(50)는 양 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한 모터(미도시)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회전축(43)은 일단을 통해 모터(미도시)와 결합되어 모터(미도시)의 구동방향이 전환됨에 따라 양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게 된다.
액츄에이터(50)는 모터(미도시)의 장착을 위해 하우징(40)의 일 측벽 외면에 결합하는 케이싱(51)과, 모터(미도시)의 회전 출력을 높이기 위해 모터(미도시)와 함께 케이싱(51)에 장착되는 감속기(미도시)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제1페달유닛(20)과 제2페달유닛(30)이 액츄에이터(50)에 의해 구동되는 과정에서 각 페달(21,31)과 해당 지지부재(22,32) 사이의 간격이 변동될 경우, 운전자 주행 모드에서 페달(21,31)의 조작 안전성이 저하될 우려가 생길 수 있다.
따라서 회전축(43)은 제1페달(21)과 제2페달(22)의 결합위치를 회피하여 제1지지부재(22)와 제2지지부재(32)에 결합될 수 있다. 즉 힌지축(23,33)의 위치를 회피하여 제1지지부재(22)와 제2지지부재(32)에 결합되는 회전축(43)의 결합구조에 따르면, 회전축(43)의 회전 동작에 의해 페달(21,31)들이 간섭 받을 우려가 없게 됨은 물론, 각 페달(21,31)과 해당 지지부재(22,32) 사이의 간격이 회전축(43)의 회전 동작에 상관없이 일정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축(43)은 제1지지부재(22)와 제2지지부재(32)에 있어서 힌지축(23,33)의 저부 쪽으로 결합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와 같이 구성되는 차량용 페달모듈(10)은 운전석 하부의 차체(B)에 설치될 수 있다.
차량용 페달모듈(10)의 설치를 위해 운전석 하부의 자체(B) 바닥에는 차량용 페달모듈(10)의 형태에 대응하는 설치홈(6a)이 함몰되게 마련될 수 있다.
차량용 페달모듈(10)은 하우징(40)이 설치홈(6a)의 상부 내측 공간에 걸려 지지되도록 설치홈(6a)에 수용된 상태로 설치될 수 있다.
페달유닛(20,30)의 지지부재(22,32)는 페달유닛(20,30)이 저부로 회전된 상태에서 일부가 하우징(40) 저부 외측으로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설치홈(6a)은 하우징(40)과 페달유닛(20,30)들을 내부에 온전하게 수용할 수 있도록 지지부재(22,32)의 위치에 대응하는 부위의 깊이가 하우징(40)의 높이보다 더 깊게 마련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차량용 페달유닛(10)에는 제어부(5)와의 전기적인 접속을 위한 와이어(5a)가 연결되고, 설치홈(6a)의 개구는 차체(B)의 바닥에 깔리는 카펫(9)에 의해 덮일 수 있다. 페달(21,31)이 카펫(9)을 관통하여 차체 내부공간(6)으로 진입할 수 있도록 출입구(41,42)의 위치에 대응하는 카펫(9)에는 출입구(41,42)의 형태에 대응하는 출입공(9a,9b)이 형성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전자가 운전자 주행 모드가 실행되도록 조작부(미도시)를 조작할 경우, 액츄에이터(50)는 제어부(5)의 제어를 통해 페달(21,31)들이 출입구(41,42) 상부로 위치하도록 페달유닛(20,30)들을 구동할 수 있다. 따라서 출입구(41,42) 상부로 위치하도록 차체(B) 내부공간(6)으로 돌출된 페달(21,31)들은 운전자에 의해 조작이 가능하게 되어 운전자 주행 모드가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운전자가 자율 주행 모드가 실행되도록 조작부(미도시)를 다시 조작하면, 액츄에이터(50)는 제어부(5)의 제어에 의해 페달(21,31)들이 출입구(41,42) 내측으로 위치하도록 페달유닛(20,30)들을 구동할 수 있다. 따라서 출입구(41,42) 내측으로 위치된 페달(21,31)은 차체(B) 내부공간(6)으로 노출이 차단됨에 따라 자율주행 모드에서 차량용 페달모듈(10) 주변의 공간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이때 제1페달(21)과 제2페달(31)은 출입구(41,42) 내측으로 위치된 상태에서 그 외면이 출입구(41,42) 주변의 하우징(40)의 표면과 동일 평면 상에 위치하게 되고, 이에 따라 차량용 페달모듈(10) 주변의 차체(B) 내부공간(6)은 저부가 평탄한 공간으로 활용될 수 있게 된다.
10: 차량용 페달모듈 20: 제1페달유닛
21: 제1페달 22: 제1지지부재
30: 제2페달유닛 31: 제2페달
32: 제2지지부재 40: 하우징
41,42: 출입구 43: 회전축
50: 액츄에이터

Claims (6)

  1. 제1페달을 구비하여 차량을 제동시키는 제1페달유닛;
    제2페달을 구비하여 차량을 가속시키는 제2페달유닛;
    상기 제1페달유닛과 제2페달유닛이 일체로 수납되고, 상기 제1페달과 제2페달의 출입을 위한 출입구를 구비하는 하우징;
    상기 제1페달과 제2페달이 상기 출입구 외부 또는 내측으로 위치하도록 상기 제1페달유닛과 제2페달유닛을 일체로 구동하는 액츄에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1페달과 제2페달은 차체의 내부공간으로 노출이 차단되도록 상기 출입구 내측으로 위치된 상태의 상기 제1페달과 제2페달의 외면은 상기 출입구 주변의 상기 하우징의 표면과 동일 평면 상에 위치할 수 있고,
    상기 제1페달유닛과 제2페달유닛은 상기 출입구를 출입하는 상기 페달들의 출입방향을 따라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는 회전축에 결합하고,
    상기 액츄에이터는
    상기 회전축을 양 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상기 회전축의 일단에 결합되어 양 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한 모터를 포함하는 차량용 페달모듈.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페달유닛은 상기 제1페달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제1지지부재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2페달유닛은 상기 제2페달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제2지지부재를 더 구비하며,
    상기 제1페달유닛과 제2페달유닛은 상기 제1지지부재와 제2지지부재를 통해 상기 회전축에 일체로 결합하는 차량용 페달모듈.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1페달과 제2페달은 각각 상기 제1지지부재와 제2지지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고,
    상기 회전축은 상기 제1페달과 제2페달의 결합위치를 회피하여 상기 제1지지부재와 제2지지부재에 결합하는 차량용 페달모듈.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은 자율 주행 모드와 운전자 주행 모드로 주행 모드 전환이 가능하고,
    상기 액츄에이터는 상기 운전자 주행 모드에서 상기 제1페달과 제2페달이 상기 출입구 외부로 위치하고, 상기 자율 주행 모드에서 상기 제1페달과 제2페달이 상기 출입구 내측으로 위치하도록 상기 제1페달유닛과 제2페달유닛을 구동하는 차량용 페달모듈.
KR1020210119168A 2021-09-07 2021-09-07 차량용 페달모듈 KR1026674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9168A KR102667405B1 (ko) 2021-09-07 2021-09-07 차량용 페달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9168A KR102667405B1 (ko) 2021-09-07 2021-09-07 차량용 페달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6390A KR20230036390A (ko) 2023-03-14
KR102667405B1 true KR102667405B1 (ko) 2024-05-20

Family

ID=855029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9168A KR102667405B1 (ko) 2021-09-07 2021-09-07 차량용 페달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67405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18389A (ja) 2009-03-18 2010-09-30 Honda Motor Co Ltd ペダル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40929Y1 (ko) * 1996-10-31 1999-04-01 양재신 가변식 가속 페달을 구비한 차량
KR20210059857A (ko) * 2019-11-15 2021-05-2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율주행 차량용 폴더블 오르간타입 페달장치
KR20210059858A (ko) * 2019-11-15 2021-05-2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율주행 차량용 폴더블 펜던트타입 페달장치
KR20210059859A (ko) * 2019-11-15 2021-05-2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폴더블 가속페달장치 및 폴더블 브레이크페달장치를 구비한 자율주행 차량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18389A (ja) 2009-03-18 2010-09-30 Honda Motor Co Ltd ペダル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6390A (ko) 2023-03-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98528B1 (ko) 자동차용 전동식 에어벤트 장치
KR100857540B1 (ko) 이동 로봇
EP1272384B1 (en) Vehicle control with manual back up
KR101714252B1 (ko) 차량용 액티브 에어스커트 장치
JP6761324B2 (ja) 車輌用アクセルペダル装置
JP6761323B2 (ja) 車輌用アクセルペダル装置
CN102839886B (zh) 车辆中整体式动力尾板和擦拭器促动
KR102086450B1 (ko) 자율 주행 시스템 및 자율 조향 장치
US6948226B2 (en) Chassis frame packaging cavity loading method
KR102667405B1 (ko) 차량용 페달모듈
KR20200058626A (ko) 차량용 다기능 풋레스트 장치
KR20080066594A (ko) 자동차 피봇 도어의 전동 액츄에이터
CN104884293A (zh) 车辆用油门踏板装置
US7341124B2 (en) Driving operation device
JPWO2019003334A1 (ja) 連結システム及び建築物
JP4184688B2 (ja) 操作力支援装置と変速機用切り替え装置
ITRM970351A1 (it) Complesso di servizio per il comando del movimento longitudinale e/o trasversale di un autoveicolo
KR100218569B1 (ko) 차량 슬라이드 도어용 래치 장치
KR20200140851A (ko) 개방 패널의 개방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차량
EP4071580A1 (en) Remote driving device and operation mechanism for work machine
KR102393438B1 (ko) 글로브 박스 장치
JP2004521421A (ja) 乗物用のブレーキペダル及びこれを用いた自動車用のペダルボックスモジュール
CN114407596B (zh) 操纵系统及飞行汽车
US20230193678A1 (en) Vehicle door device
JPS6120448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