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66156B1 - 리튬 이차 전지용 전해질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 Google Patents

리튬 이차 전지용 전해질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66156B1
KR102666156B1 KR1020190072177A KR20190072177A KR102666156B1 KR 102666156 B1 KR102666156 B1 KR 102666156B1 KR 1020190072177 A KR1020190072177 A KR 1020190072177A KR 20190072177 A KR20190072177 A KR 20190072177A KR 102666156 B1 KR102666156 B1 KR 1026661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condary battery
electrolyte
lithium secondary
lithium
formul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21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44310A (ko
Inventor
김현승
이철행
안유하
오정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Priority to KR10201900721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66156B1/ko
Priority to EP20826954.8A priority patent/EP3940852B1/en
Priority to US17/604,018 priority patent/US20220223910A1/en
Priority to PCT/KR2020/007763 priority patent/WO2020256373A1/ko
Priority to CN202080028573.9A priority patent/CN113748551A/zh
Priority to JP2021565103A priority patent/JP7301447B2/ja
Priority to PL20826954.8T priority patent/PL3940852T3/pl
Publication of KR202001443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443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61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6156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6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 H01M10/0564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the electrolyte being constituted of organic materials only
    • H01M10/0566Liquid materials
    • H01M10/0567Liquid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additiv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6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 H01M10/0564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the electrolyte being constituted of organic materials only
    • H01M10/0566Liquid materials
    • H01M10/0568Liquid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solutes

Abstract

본 발명은, 리튬염, 유기용매 및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용 전해질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리튬 이차 전지용 전해질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ELECTROLYTE FOR LITHIUM SECONDARY BATTERY AND LITHIUM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리튬 이차 전지용 전해질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양극 내 전이금속 용출을 억제하여 리튬 이차 전지의 자가 방전 현상을 억제할 수 있는 리튬 이차 전지용 전해질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에 관한 것이다.
정보사회의 발달로 인한 개인 IT 디바이스와 전산망이 발달되고 이에 수반하여 전반적인 사회의 전기에너지에 대한 의존도가 높아지면서, 전기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저장하고 활용하기 위한 기술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이차 전지 기반 기술은 여러 용도에 가장 적합한 기술로서, 소형화가 가능하여 개인 IT 디바이스 등에 적용될 수 있고, 전력 저장 장치 등과 같은 대형 디바이스에도 적용될 수도 있다.
이차 전지 기술 중에서도 이론적으로 에너지 밀도가 가장 높은 전지 시스템인 리튬 이온 전지가 각광을 받고 있다.
리튬 이온 전지는, 크게 리튬을 함유하고 있는 전이금속 산화물로 구성된 양극과, 리튬을 저장할 수 있는 음극, 리튬 이온을 전달하는 매개체가 되는 전해질, 분리막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중 전해질의 경우 전지의 안정성(stability, safety) 등에 큰 영향을 주는 구성 성분으로 알려지면서, 이에 대해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전지의 활성화 공정 동안 전해질은 음극 계면 상에서 환원 분해 반응을 일으키며, 환원 분해된 산물은 리튬 이온은 투과시키지만, 전해액의 추가적인 분해는 억제하는 Solid electrolyte interphase (SEI) 막을 전극 계면 상에 형성하게 된다.
한편, 고온 조건 하에서 양극 활물질은 전해질에 포함된 리튬염의 분해산물 등에 의하여 양극 활물질에서는 전이금속 이온이 용출될 수 있으며, 용출된 전이금속 이온은 양극에 재전착(re-deposition)되어, 양극 저항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전해질을 통하여 음극 계면 상에 전착되어 음극의 자가 방전 현상을 야기할 수 있고, 음극 표면에 형성된 SEI 막을 분해시켜, SEI 막의 부동태(passivation) 능력을 저하시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리튬염의 분해 부산물을 제거할 수 있는 성분을 포함하는 전해질에 대한 연구가 시급한 상황이다.
국제특허공보 제2009-157261호 (2009. 12. 30. 공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고온 조건 하에서, 리튬 이차 전지를 구동시키는 경우에도, 전해질 분해 반응을 억제하고, 리튬염 분해산물 발생 및 양극 내 전이 금속 이온 용출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리튬 이차 전지용 전해질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일 측면에서, 본 발명은 리튬염, 유기용매 및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용 전해질을 제공한다.
[화학식 1]
상기 화학식 1에서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1 내지 3인 알킬기이다.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양극, 음극 및 상기 리튬 이차 전지용 전해질을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리튬 이차 전지용 전해질은 리튬 이차 전지가 고온에서 저장되거나 반복적으로 충방전되는 경우에도, 추가적인 전해질 분해 반응이 억제되고, 리튬염의 분해산물의 발생을 최소화하여, 양극 내 전이 금속 이온이 용출되는 것을 최소화하여, 리튬 이차 전지의 고온 수명 특성 및 저항 특성을 개선시킬 수 있다.
도 1은 실험예 1에 따른 고온(60℃) 저장 후 저항 특성 평가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는 실험예 2에 따른 고온(45℃) 수명 특성 평가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 이다.
도 3은 실험예 3에 따른 고온(45℃) 수명 특성 평가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 이다.
도 4는 실험예 3에 따른 고온(45℃) 수명 특성 평가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 이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해 보다 자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예시적인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구비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구성 요소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구성 요소,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리튬 이차 전지용 전해질>
본 발명에 따른 리튬 이차 전지용 전해질은, 리튬염, 유기용매 및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첨가제를 포함한다.
먼저, 리튬염에 대하여 설명한다.
리튬염은 리튬 이차 전지 내에서 이온을 전달하기 위한 매개체로서 사용되는 것으로, 리튬 이차 전지용 전해질 내에 0.1M 내지 3M 농도, 바람직하게는 0.8M 내지 2.5M, 보다 바람직하게는, 1M 내지 1.5M 농도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리튬염이 상기 범위로 포함되어 있는 경우, 전해질 내에 용해되어 발생되는 부산물을 최소화하면서도, 고전압 하에서 전지를 구동하는 경우 전극 계면 상에 형성된 SEI(Solid Electrolyte Interphase, SEI) 막이 분해되는 것을 방지하여 전지 내 저항이 상승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리튬염은 LiPF6, LiBF4, LiSbF6, LiAsF6, LiClO4, LiN(C2F5SO2)2, LiN(CF3SO2)2, CF3SO3Li, LiC(CF3SO2)3, LiC4BO8, LiTFSI, LiFSI 및 LiClO4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리튬염 중에서도, LiPF6는 다른 리튬염들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이온전도도가 높기 때문에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고온에서 전해질에 포함된 유기 용매가 분해되는 경우, 음이온인 PF6-가 고온에서 분해되거나 전해질에 함유된 수분에 의하여 HF 및 PF5와 같은 부산물이 생성될 수 있다. HF 및 PF5와 같은 부산물은,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전자가 풍부한 음극 표면의 SEI를 붕괴시키거나 양극에서 전이금속을 용출시키는 요인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부산물에 의한 부반응을 억제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루이스산 부산물들을 제거하면서도, 음극 표면에서 환원되어 고온에서 상기 루이스산의 부산물의 부반응을 억제시킬 수 있는 SEI 막을 형성할 수 있도록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다음으로, 상기 유기용매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유기용매는 리튬 이차 전지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용매로서, 예를 들면 에테르 화합물, 에스테르(Acetate류, Propionate류) 화합물, 아미드 화합물, 카보네이트 화합물, 니트릴 화합물 등을 각각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먼저, 카보네이트는 크게 환형 카보네이트 및 선형 카보네이트로 분류되며, 상기 환형 카보네이트 화합물의 구체적인 예로는 에틸렌 카보네이트(EC), 프로필렌 카보네이트(PC), 1,2-부틸렌 카보네이트, 2,3-부틸렌 카보네이트, 1,2-펜틸렌 카보네이트, 2,3-펜틸렌 카보네이트, 비닐렌 카보네이트, 및 이들의 할로겐화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단일 화합물 또는 적어도 2종 이상의 혼합물이 있다.
또한, 상기 선형 카보네이트 화합물의 구체적인 예로는 디메틸 카보네이트(DMC), 디에틸 카보네이트(DEC), 디프로필 카보네이트(DPC), 에틸메틸 카보네이트(EMC), 메틸프로필 카보네이트(MPC) 및 에틸프로필 카보네이트(EPC)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화합물 또는 적어도 2종 이상의 혼합물 등이 대표적으로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특히, 상기 카보네이트계 전해액 용매 중 환형 카보네이트인 프로필렌 카보네이트 및 에틸렌 카보네이트는 고점도의 유기 용매로서 유전율이 높아 전해질 내의 리튬염을 잘 해리시키므로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환형 카보네이트에 에틸메틸 카보네이트, 디에틸 카보네이트 또는 디메틸 카보네이트와 같은 저점도, 저유전율 선형 카보네이트를 적당한 비율로 혼합하여 사용하면 높은 전기 전도율을 가지는 전해질을 만들 수 있어서 더욱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기 용매 중 에스테르로는 메틸 아세테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프로필 아세테이트, 메틸 프로피오네이트, 에틸 프로피오네이트, γ-부티로락톤, γ-발레로락톤, γ-카프로락톤, α-발레로락톤 및 ε-카프로락톤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단일 화합물 또는 적어도 2종 이상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음으로,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에 대하여 설명한다.
[화학식 1]
상기 화학식 1에서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1 내지 3인 알킬기이다.
리튬 이차 전지용 전해질은 일반적으로, LiPF6 등과 같은 리튬염을 포함하며, 상기 리튬염은 전해질 내에서 고온 조건 하에서 분해될 때 PF-5 또는 HF등과 같은 루이스 산(Lewis acid) 부산물을 발생시킨다. 상기 루이스 산 부산물은 양극 활물질 내 전이금속 이온을 용출시킬 수 있으며, 용출된 전이금속 이온은 양극 표면 상에 재전착(re-deposition) 시켜, 양극 저항을 증가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전이금속 이온은 전해질을 통하여 음극 계면 상에 전착되어, 유기용매 또는 전극 계면 상의 SEI(Solid electrolyte interphase) 막을 구성하는 성분들과 반응하여 분해반응을 일으켜, SEI 막의 부동태(passivation) 능력을 저하시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고온 조건 하에서 SEI 막의 분해 반응을 억제시켜, 분해반응 산물이 발생됨에 따른 전지 내 저항 상승 및 전지 수명 특성 저하 등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리튬염의 고온 분해 산물인 루이스 산 화합물을 제거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경우, 루이스 산과 반응할 수 있는 루이스 염기(Lewis base)에 해당되는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전해질에 포함되는 첨가제로 사용하였다.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고리 내에 전자가 풍부한 황 원소(S)를 포함하고 있기에 루이스 염기(Lewis base)로 작용한다. 즉, HF 또는 PF5 등과 같은 루이스 산 분해산물에 전자를 공급하여, 음극 표면에 형성된 SEI 막을 구성하는 성분들 또는 양극 내 전이금속 산화물 대신 루이스 산 분해산물과 루이스 산-염기 반응을 수행한다.
또한, 이중 결합도 포함하고 있어 리튬 이차 전지를 초기 충전하는 과정에서, 음극 표면에서의 환원성이 우수하므로,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이 우선적으로 환원 분해되어, 음극 표면에 형성되는 SEI 막이 리튬염으로부터 유래되는 루이스 산 부산물의 부반응을 억제시킬 수 있도록, SEI 막의 성분을 개선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를 들어,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상기 화학식 1A로 표시되는 화합물 내지 화학식 1C로 표시되는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될 수 있다.
[화학식 1A]
[화학식 1B]
[화학식 1C]
한편,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리튬 이차 전지용 전해질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중량부 내지 1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1 중량부 내지 5 중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0.1 중량부 내지 3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이 상기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경우 음극 표면에 효과적인 SEI 막을 형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HF 및 PF5와 같은 리튬염으로부터 유래된 루이스 산 부산물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다만,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이 상기 범위를 초과하여 포함될 경우, 과도하게 분해반응을 일으켜, 리튬 이차 전지의 초기 저항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상기 범위 미만으로 포함될 경우 첨가제로서의 효과가 미미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튬 이차 전지용 전해질은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들이 발현하는 효과와 더불어 초기저항을 크게 증가시키지 않으면서, 음극 및 양극 표면에 안정한 피막을 형성하거나, 리튬 이차 전지용 전해질 내 용매의 분해를 억제하고, 리튬 이온의 이동성을 향상시키는 보완제 역할을 할 수 있는 기타 첨가제를 추가로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기타 첨가제는 양극 및 음극 표면에 안정한 피막을 형성할 수 있는 첨가제라면 특별히 제한하지 않는다. 그 대표적인 예로 할로겐이 치환 또는 비치환된 카보네이트계 화합물, 바이닐 실란계 화합물, 포스페이트계 화합물, 설파이트계 화합물, 설폰계 화합물, 설페이트계 화합물, 설톤계 화합물, 할로겐 치환된 카보네이트계 화합물, 할로겐 치환된 벤젠계 화합물, 니트릴계 화합물, 보레이트계 화합물, 및 리튬염계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기타 첨가제는 바이닐 실란계 화합물, 포스페이트계 화합물, 설페이트계 화합물, 설톤계 화합물, 할로겐 치환된 벤젠계 화합물 및 보레이트계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화합물일 수 있다.
상기 할로겐이 치환 또는 비치환된 카보네이트계 화합물은 비닐렌 카보네이트(VC), 플루오로에틸렌 카보네이트(FEC))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이닐 실란계 화합물은 음극 표면에서 전기화학적으로 환원되어 안정한 피막을 형성하여 전지의 내구성을 개선시킬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바이닐 실란계 화합물로서 테트라 바이닐 실란(TVS)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포스페이트계 화합물은 양극과 음극 표면에서 전기 화학적으로 분해되어 SEI 막 형성에 도움을 주는 성분으로, 이를 통하여 이차전지의 장기적인 사이클 수명 특성 향상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포스페이트계 화합물로는 그 대표적인 예로 리튬 디플루오로(비스옥살라토)포스페이트, 리튬 디플루오로포스페이트(LiDFP), 테트라메틸 트리메틸 실릴 포스페이트(TMSPa), 트리메틸 실릴 포스파이트 (TMSPi), 트리스(2,2,2-트리플루오로에틸)포스페이트 (TFEPa) 및 트리스(트리플루오로에틸) 포스파이트(TFEPi)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화합물을 들 수 있다.
상기 설파이트계 화합물은 에틸렌 설파이트, 메틸 에틸렌 설파이트, 에틸 에틸렌 설파이트, 4,5-디메틸 에틸렌 설파이트, 4,5-디에틸 에틸렌 설파이트, 프로필렌 설파이트, 4,5-디메틸 프로필렌 설파이트, 4,5-디에틸 프로필렌설파이트, 4,6-디메틸 프로필렌 설파이트, 4,6-디에틸 프로필렌 설파이트, 및 1,3-부틸렌 글리콜 설파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화합물일 수 있다.
상기 설폰계 화합물로는 디비닐설폰, 디메틸 설폰, 디에틸 설폰, 메틸에틸 설폰, 및 메틸비닐 설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화합물일 수 있다.
상기 설페이트계 화합물은 에틸렌 설페이트(Ethylene Sulfate; Esa), 트리메틸렌설페이트 (Trimethylene sulfate; TMS), 또는 메틸트리메틸렌설페이트 (Methyl trimethylene sulfate; MTMS)일 수 있다.
상기 설톤계 화합물은 1,3-프로판 설톤(PS), 1,4-부탄 설톤, 에텐설톤, 1,3-프로펜 설톤(PRS), 1,4-부텐 설톤, 및 1-메틸-1,3-프로펜 설톤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화합물일 수 있다.
상기 할로겐 치환된 벤젠계 화합물은 플루오로 벤젠(FB)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니트릴계 화합물은 숙시노니트릴(SN), 아디포니트릴(Adn), 아세토니트릴, 프로피오니트릴, 부티로니트릴, 발레로니트릴, 카프릴로니트릴, 헵탄니트릴, 사이클로펜탄 카보니트릴, 사이클로헥산 카보니트릴, 2-플루오로벤조니트릴, 4-플루오로벤조니트릴, 다이플루오로벤조니트릴, 트리플루오로벤조니트릴, 페닐아세토니트릴, 2-플루오로페닐아세토니트릴, 및 4-플루오로페닐아세토니트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화합물일 수 있다.
상기 보레이트계 화합물은 리튬 옥살릴디플루오로보레이트일 수 있다.
상기 리튬염계 화합물은 상기 비수전해액에 포함되는 리튬염과 상이한 화합물로서, LiPO2F2, LiODFB, LiBOB(리튬 비스옥살레이토보레이트(LiB(C2O4)2) 및 리튬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LiBF4)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화합물일 수 있다.
한편, 기타 첨가제로서, 상기 나열된 화합물들은 단독으로 또는 2 종 이상이 혼합되어 포함될 수 있으며, 상기 기타 첨가제는 리튬 이차 전지용 전해질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중량부 내지 40 중량부, 구체적으로,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중량부 내지 30 중량부, 보다 구체적으로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중량부 내지 20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기타 첨가제들의 함량이 상기 범위를 초과하면, 전지의 충방전시 전해질 내의 부반응이 과도하게 발생할 수 있고, 고온에서 과다한 분해 반응이 발생되어 리튬 이차 전지의 초기 저항이 올라가거나, 리튬 이차 전지의 충방전 과정에서 저항이 지속적으로 상승되어, 전지의 방전용량 및 수명특성이 저하될 수 있다.
<리튬 이차 전지>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리튬 이차 전지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리튬 이차 전지는, 양극, 음극 및 상기 리튬 이차 전지용 전해질을 포함하며, 선택적으로 상기 양극과 음극 사이에 게재될 수 있는 분리막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리튬 이차 전지용 전해질에 대해서는 상술한 내용과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양극은 양극 집전체 상에 양극 활물질, 전극용 바인더, 전극용 도전재 및 용매 등을 포함하는 양극 활물질 슬러리를 코팅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양극 집전체는 당해 전지에 화학적 변화를 유발하지 않으면서 도전성을 가진 것이라면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스테인리스 스틸, 알루미늄, 니켈, 티탄, 소성 탄소, 또는 알루미늄이나 스테인리스 스틸의 표면에 카본, 니켈, 티탄, 은 등으로 표면 처리한 것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양극 집전체는, 표면에 미세한 요철을 형성하여 양극 활물질의 결합력을 강화시킬 수도 있으며, 필름, 시트, 호일, 네트, 다공질체, 발포체, 부직포체 등 다양한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양극 활물질은 리튬의 가역적인 인터칼레이션 및 디인터칼레이션이 가능한 화합물로서, 구체적으로는 코발트, 망간, 니켈 또는 알루미늄과 같은 1종 이상의 금속과 리튬을 포함하는 리튬 복합금속 산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리튬 복합금속 산화물은 리튬-망간계 산화물(예를 들면, LiMnO2, LiMn2O4 등), 리튬-코발트계 산화물(예를 들면, LiCoO2 등), 리튬-니켈계 산화물(예를 들면, LiNiO2 등), 리튬 철-포스페이트계 양극재 (예를 들면 LiFePO4), 리튬-니켈-망간계 산화물(예를 들면, LiNi1-Y1MnY1O2(여기에서, 0<Y1<1), LiMn2-z1Niz1O4(여기에서, 0<Z1<2) 등), 리튬-니켈-코발트계 산화물(예를 들면, LiNi1-Y2CoY2O2(여기에서, 0<Y2<1) 등), 리튬-망간-코발트계 산화물(예를 들면, LiCo1-Y3MnY3O2(여기에서, 0<Y3<1), LiMn2-z2Coz2O4(여기에서, 0<Z2<2) 등), 리튬-니켈-망간-코발트계 산화물(예를 들면, Li(Nip1Coq1Mnr1)O2(여기에서, 0<p1<1, 0<q1<1, 0<r1<1, p1+q1+r1=1) 또는 Li(Nip2Coq2Mnr2)O4(여기에서, 0<p2<2, 0<q2<2, 0<r2<2, p2+q2+r2=2) 등), 또는 리튬-니켈-코발트-전이금속(M) 산화물(예를 들면, Li(Nip3Coq3Mnr3MS1)O2(여기에서, M은 Al, Fe, V, Cr, Ti, Ta, Mg 및 Mo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고, p3, q3, r3 및 s1은 각각 독립적인 원소들의 원자 분율로서, 0<p3<1, 0<q3<1, 0<r3<1, 0<s1<1, p3+q3+r3+s1=1이다) 등)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화합물이 포함될 수 있다.
이중에서도 전지의 용량 특성 및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는 점에서 상기 리튬 복합금속 화합물은 LiCoO2, LiMnO2, LiNiO2, LiFePO4, LiMn2O4, 리튬 니켈망간코발트 산화물(예를 들면, Li(Ni0.6Mn0.2Co0.2)O2, Li(Ni0.5Mn0.3Co0.2)O2, 또는 Li(Ni0.8Mn0.1Co0.1)O2 등), 또는 리튬 니켈코발트알루미늄 산화물(예를 들면, LiNi0.8Co0.15Al0.05O2 등) 등일 수 있으며, 리튬 복합금속 산화물을 형성하는 구성원소의 종류 및 함량비 제어에 따른 개선 효과의 현저함을 고려할 때 상기 리튬 복합금속 산화물은 Li(Ni0.6Mn0.2Co0.2)O2, Li(Ni0.5Mn0.3Co0.2)O2, Li(Ni0.7Mn0.15Co0.15)O2 또는 Li(Ni0.8Mn0.1Co0.1)O2 등일 수 있으며, 이들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전극용 바인더는 양극 활물질과 전극 도전재 등의 결합과 집전체에 대한 결합에 조력하는 성분이다. 구체적으로, 폴리불화비닐리덴, 폴리비닐알코올, 카르복시메틸셀룰로우즈(CMC), 전분,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우즈, 재생 셀룰로우즈, 폴리비닐피롤리돈,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 에틸렌-프로필렌-디엔테르 폴리머(EPDM), 술폰화 EPDM, 스티렌-부타디엔 고무, 스티렌-부타디엔 고무-카르복시메틸셀룰로우즈(SBR-CMC), 불소 고무, 다양한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전극용 도전재는 양극 활물질의 도전성을 더욱 향상시키기 위한 성분이다. 상기 전극 도전재는 당해 전지에 화학적 변화를 유발하지 않으면서 도전성을 가진 것이라면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그라파이트; 카본블랙, 아세틸렌 블랙, 케첸 블랙, 채널 블랙, 퍼니스 블랙, 램프 블랙, 서멀 블랙 등의 탄소계 물질; 탄소 섬유나 금속 섬유 등의 도전성 섬유; 불화 카본, 알루미늄, 니켈 분말 등의 금속 분말; 산화아연, 티탄산 칼륨 등의 도전성 위스키; 산화 티탄 등의 도전성 금속 산화물; 폴리페닐렌 유도체 등의 도전성 소재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시판되고 있는 도전재의 구체적인 예로는 아세틸렌 블랙 계열인 쉐브론 케미칼 컴퍼니(Chevron Chemical Company)나 덴카 블랙(Denka Singapore Private Limited), 걸프 오일 컴퍼니(Gulf Oil Company) 제품 등), 케트젠블랙(Ketjenblack), EC 계열(아르막 컴퍼니(Armak Company) 제품), 불칸(Vulcan) XC-72(캐보트 컴퍼니(Cabot Company) 제품) 및 수퍼(Super) P(Timcal 사 제품) 등이 있다.
상기 용매는 NMP(N-methyl-2-pyrrolidone) 등의 유기용매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양극 활물질, 및 선택적으로 양극용 바인더 및 양극 도전재 등을 포함할 때 바람직한 점도가 되는 양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음극은, 예를 들어, 음극 집전체 상에 음극 활물질, 전극용 바인더, 전극용 도전재 및 용매 등을 포함하는 음극 활물질 슬러리를 코팅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음극 집전체는, 당해 전지에 화학적 변화를 유발하지 않으면서 높은 도전성을 가지는 것이라면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구리, 스테인리스 스틸, 알루미늄, 니켈, 티탄, 소성 탄소, 구리나 스테인리스 스틸의 표면에 카본, 니켈, 티탄, 은 등으로 표면 처리한 것, 알루미늄-카드뮴 합금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는, 양극 집전체와 같이 표면에 미세한 요철을 형성하여 음극 활물질의 결합력을 강화시킬 수도 있으며, 필름, 시트, 호일, 네트, 다공질체, 발포체, 부직포체 등 다양한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음극 활물질로는 SiOx (0< x ≤2)로 표시되는 실리콘계 화합물, 천연흑연, 인조흑연, 그라파이트, 탄소질재료; 리튬 함유 티타늄 복합 산화물(LTO), Sn, Li, Zn, Mg, Cd, Ce, Ni 또는 Fe인 금속류(Me); 상기 금속류(Me)로 구성된 합금류; 상기 금속류(Me)의 산화물(MeOx); 및 상기 금속류(Me)와 탄소와의 복합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화합물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극용 바인더, 전극 도전재 및 용매에 대한 내용은 상술한 내용과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분리막으로는 종래에 분리막으로 사용된 통상적인 다공성 고분자 필름, 예를 들어 에틸렌 단독중합체, 프로필렌 단독중합체, 에틸렌/부텐 공중합체, 에틸렌/헥센 공중합체 및 에틸렌/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등과 같은 폴리올레핀계 고분자로 제조한 다공성 고분자 필름을 단독으로 또는 이들을 적층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무기물 입자(예: Al2O3)가 도포된 폴리올레핀계 다공성 고분자 필름 또는 통상적인 다공성 부직포, 예를 들어 고융점의 유리 섬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섬유 등으로 된 부직포를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다만,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예시일 뿐,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기재의 범주 및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한 것이다.
[실시예]
1. 실시예 1
(1) 리튬 이차 전지용 전해질 제조
1.0M LiPF6가 용해된 유기용매 (에틸렌카보네이트:에틸메틸 카보네이트 = 3:7 부피비)에 화학식 1A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0.5 중량%, 기타 첨가제로서 테트라 바이닐 실란(이하, TVS) 0.1 중량%, 디플루오로포스페이트(이하, DFP) 1 중량%, 에틸렌 설페이트(이하, ESa) 1 중량%, 리튬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이하, LiBF4) 0.2 중량%, 플루오로 벤젠(이하, FB) 6 중량%, 1,3-프로판 설톤(이하, PS) 0.5 중량%로 첨가하여 리튬 이차 전지용 전해질을 제조하였다.
(2) 리튬 이차 전지 제조
양극 활물질(Li(Ni0.8Mn0.1Co0.1)O2), 도전재로 카본 블랙(carbon black), 바인더로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PVDF)를 97.5:1:1.5 중량비로 혼합한 후 용매인 N-메틸-2-피롤리돈(NMP)에 첨가하여 양극 활물질 슬러리(고형분 함량: 50 중량%)를 제조하였다. 상기 양극 활물질 슬러리를 두께가 12㎛ 정도의 양극 집전체인 알루미늄(Al) 박막에 도포하고, 건조하여 양극을 제조한 후, 롤 프레스(roll press)를 실시하여 양극을 제조하였다.
음극 활물질(SiO:그라파이트 = 5:95 중량비), 도전재로 카본 블랙(carbon black), 바인더로 스티렌-부타디엔 고무-카르복시메틸셀룰로우즈(SBR-CMC)를 95:1.5:3.5 중량비로 혼합한 후, 용매인 물에 첨가하여 음극 활물질 슬러리 (고형분 함량: 60 중량%)를 제조하였다. 상기 음극 활물질 슬러리를 두께가 6㎛ 정도의 음극 집전체인 구리(Cu) 박막에 도포하고, 건조하여 음극을 제조한 후, 롤 프레스(roll press)를 실시하여 음극을 제조하였다.
상기 양극, 무기물 입자(Al2O3)가 도포된 폴리올레핀계 다공성 분리막 및 음극을 순차적으로 적층하여 전극조립체를 제조하였다. 이후, 파우치형 전지 케이스 내에 상기 전극조립체를 수납하고, 상기 리튬 이차 전지용 전해질을 주액하여 파우치형 리튬 이차 전지를 제조하였다.
2. 실시예 2
(1) 리튬 이차 전지용 전해질 제조
리튬 이차 전지용 전해질을 제조할 때, 1.2M LiPF6가 용해된 유기용매 (에틸렌카보네이트:에틸메틸 카보네이트:디메틸카보네이트 = 3:5:2 부피비)에 화학식 1A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0.5 중량%, 기타 첨가제로서 TVS 0.1 중량%, DFP 1 중량%, ESa 1 중량%, LiBF4 0.2 중량%, PS 0.5 중량%로 첨가하여 리튬 이차 전지용 전해질을 제조하였다.
(2) 리튬 이차 전지 제조
음극활물질로서, 그라파이트만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리튬 이차 전지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 비교예 1
리튬 이차 전지용 전해질을 제조할 때, 화학식 1A로 표시되는 화합물 0.5 중량%를 첨가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전해질 및 리튬 이차 전지를 제조하였다.
2. 비교예 2
리튬 이차 전지용 전해질을 제조할 때, 화학식 1A 로 표시되는 화합물 0.5 중량%를 첨가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전해질 및 리튬 이차 전지를 제조하였다.
[실험예]
1. 실험예 1: 고온(60℃) 저장 후 저항 특성 평가 - 저항 증가율(%) 측정
실시예 1 및 비교예 1에서 제조된 각각의 리튬 이차 전지를 0.1C CC로 활성화한 후, 디가스를 진행하였다.
이후, 25℃ 에서 정전류-정전압(CC-CV) 충전 조건으로 4.20 V까지 0.33 C CC으로 충전한 다음 0.05 C current cut을 진행하였고, CC 조건으로 2.5 V까지 0.33 C으로 방전하였다. 상기 충방전을 1 사이클로 하여, 3 사이클 진행한 다음, SOC(State Of Charge, SOC) 50%이 되도록 충전한 뒤 2.5 C로 10초간 방전 펄스(pulse)를 준 상태에서 나타나는 전압 강하를 통하여 직류 내부 저항(Direct Current Internal Resistance; 이하 "DC-iR"이라 칭함)을 계산하여 초기 저항으로 정의하였다. 상기 전압 강하는 PNE-0506 충방전기(제조사: (주)PNE 솔루션, 5 V, 6 A)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다음으로, SOC(State Of Charge, SOC) 100%까지 0.33 C CC 조건으로 재충전 한 뒤, 고온(60℃)에서 2주 동안 저장한 뒤, 정전류-정전압(CC-CV) 충전 조건으로 4.20 V까지 0.33 C CC으로 충전한 다음 0.05 C current cut을 진행하였고, CC 조건으로 2.5 V까지 0.33 C으로 방전하였다.
이후, SOC(State Of Charge, SOC) 50%이 되도록 충전한 뒤 2.5 C로 10초간 방전 펄스(pulse)를 준 상태에서 나타나는 전압 강하를 통하여 DC-iR을 계산하여 2주 저장 후의 저항으로 정의하였다. 상기 전압 강하는 PNE-0506 충방전기(제조사: (주)PNE 솔루션, 5 V, 6 A)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상기 각각 측정된 초기 저항 및 2주 저장 후의 저항을 하기 [식 1]에 대입하여 저항 증가율(%)을 계산한 다음, 도 1에 나타내었다.
[식 1]
저항 증가율 (%) = {(2 주 저장 후의 저항-초기 저항)/초기 저항} Х100
도 1을 참고하면, 비교예 1 보다 실시예 1에 따른 전지의 60℃에서 2주 동안 저장 후 저항 증가율이 낮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2. 실험예 2: 고온(45℃) 수명 특성 평가 - 용량 유지율 측정(%)
실시예 1 및 비교예 1에서 제조된 이차 전지를 각각 0.1C CC로 활성화한 후, 디가스를 진행하였다. 이후, 25℃에서 정전류-정전압(CC-CV) 충전 조건으로 4.20V까지 0.33C CC으로 충전한 다음 0.05C current cut을 진행하였고, CC 조건으로 2.5V까지 0.33C으로 방전을 하였다.
다음으로, 45℃에서 정전류-정전압(CC-CV) 충전 조건으로 4.20V까지 0.33 C CC으로 충전한 다음 0.05 C current cut을 진행하였고, CC 조건으로 2.5V까지 0.33 C으로 방전하였다. 상기 충방전을 1 사이클로 하여, 고온(45℃)에서 100사이클 충방전을 실시하면서, PNE-0506 충방전기(제조사: (주)PNE 솔루션, 5V, 6A)를 사용하여 방전 용량을 측정하였다. 측정된 방전 용량을 하기 [식 2]에 대입하여 용량 유지율(capacity retention)을 계산하여, 그 결과를 도 2에 나타내었다.
[식 2]
용량 유지율(%) = (해당 사이클에서의 방전 용량/1 사이클 후 방전 용량) Х 100
도 2를 참조하면, 비교예 1 보다 실시예 1에 따른 전지의 용량 유지율이 더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3. 실험예 3: 고온(45℃) 수명 특성 평가 - 저항 증가율(%) 측정
실시예 1 및 비교예 1에서 제조된 이차 전지를 각각 0.1C CC로 활성화한 후, 디가스를 진행하였다.
이후, 25℃ 에서 정전류-정전압(CC-CV) 충전 조건으로 4.20 V까지 0.33 C CC으로 충전한 다음 0.05 C current cut을 진행하였고, CC 조건으로 2.5 V까지 0.33 C으로 방전하였다. 상기 충방전을 1 사이클로 하여, 3 사이클 진행한 다음, SOC(State Of Charge, SOC) 50%이 되도록 충전한 뒤 2.5 C로 10초간 방전 펄스(pulse)를 준 상태에서 나타나는 전압 강하를 통하여 DC-iR을 계산하여, 측정된 저항을 초기 저항으로 정의하였다. 상기 전압 강하는 PNE-0506 충방전기(제조사: (주)PNE 솔루션, 5 V, 6 A)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그런 다음, 고온(45℃)에서 상기와 동일한 충방전 조건으로 50 사이클, 100사이클, 150 사이클 및 200사이클 충방전한 후에 25℃에서, SOC(State Of Charge, SOC) 50%이 되도록 충전한 뒤 2.5C로 10초간 방전 펄스(pulse)를 준 상태에서 나타나는 전압 강하를 통하여 DC-iR을 계산하였다. 이를 하기 [식 3]에 대입하여 계산된 저항 증가율(%)을 도 3에 나타내었다. 이때, 상기 전압 강하는 PNE-0506 충방전기(제조사: (주)PNE 솔루션, 5 V, 6 A)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식 3]
저항 증가율 (%) = {(n 사이클 충방전 후 저항-초기 저항)/초기 저항} Х100
(상기 식 3에서, n은 50, 100, 150 또는 200임.)
도 3을 참조하면, 실시예 1에 따른 전지는 양극 및 음극 표면에 안정한 피막이 형성되어 고온(45℃)에서 충방전을 오래 진행하는 경우에도, 추가적인 전해질 분해 반응이 억제되어 비교예 1에 따른 전지보다 저항 증가율이 낮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4. 실험예 4: 고온(45℃) 수명 특성 평가
(1) 저항 증가율(%) 측정
실시예 2 및 비교예 2에서 제조된 이차 전지를 각각 0.1C CC로 활성화한 후, 디가스를 진행하였다.
이후, 25℃ 에서 정전류-정전압(CC-CV) 충전 조건으로 4.20 V까지 0.33 C CC으로 충전한 다음 0.05 C current cut을 진행하였고, CC 조건으로 2.5 V까지 0.33 C으로 방전하였다. 상기 충방전을 1 사이클로 하여, 3 사이클 진행한 다음, SOC(State Of Charge, SOC) 50%이 되도록 충전한 뒤 2.5 C로 10초간 방전 펄스(pulse)를 준 상태에서 나타나는 전압 강하를 통하여 DC-iR를 계산하여, 측정된 저항을 초기 저항으로 정의하였다. 상기 전압 강하는 PNE-0506 충방전기(제조사: (주)PNE 솔루션, 5 V, 6 A)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그런 다음, 고온(45℃)에서 상기와 동일한 충방전 조건으로 50 사이클 충방전한 후에 25℃에서 SOC(State Of Charge, SOC) 50%이 되도록 충전한 뒤 2.5C로 10초간 방전 펄스(pulse)를 준 상태에서 나타나는 전압 강하를 통하여 DC-iR을 계산하였다. 이를 하기 [식 4]에 대입하여 계산된 50사이클 후의 저항 증가율(%)을 도 4(하단 그래프)에 나타내었다. 이때, 상기 전압 강하는 PNE-0506 충방전기(제조사: (주)PNE 솔루션, 5 V, 6 A)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식 4]
저항 증가율 (%) = {(50 사이클 후 저항-초기 저항)/초기 저항} Х100
도 4(하단 그래프)를 참조하면, 실시예 2에 따른 전지는 양극 및 음극 표면에 안정한 피막이 형성되어 고온(45℃)에서 충방전을 오래 진행하는 경우에도, 추가적인 전해질 분해 반응이 억제되어 비교예 2에 따른 전지보다 저항 증가율이 낮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2) 용량 유지율(%) 측정
실시예 2 및 비교예 2에서 제조된 이차 전지를 각각 0.1C CC로 활성화한 후, 디가스를 진행하였다. 이후, 25℃에서 정전류-정전압(CC-CV) 충전 조건으로 4.20V까지 0.33C CC으로 충전한 다음 0.05C current cut을 진행하였고, CC 조건으로 2.5V까지 0.33C으로 방전을 하였다.
다음으로, 45℃에서 정전류-정전압(CC-CV) 충전 조건으로 4.20V까지 0.33 C CC으로 충전한 다음 0.05 C current cut을 진행하였고, CC 조건으로 2.5V까지 0.33 C으로 방전하였다. 상기 충방전을 1 사이클로 하여, 고온(45℃)에서 50사이클 충방전을 실시하면서, PNE-0506 충방전기(제조사: (주)PNE 솔루션, 5V, 6A)를 사용하여 방전 용량을 측정하였다. 측정된 방전 용량을 하기 [식 2]에 대입하여 용량 유지율(capacity retention)을 계산하여, 그 결과를 도 4(상단 그래프)에 나타내었다.
[식 2]
용량 유지율(%) = (해당 사이클에서의 방전용량/1 사이클 후 방전용량) Х 100
도 4(상단 그래프)를 참조하면, 비교예 2 보다 실시예 2에 따른 전지의 용량 유지율이 더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Claims (10)

  1. 리튬염; 유기용매; 및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용 전해질.
    [화학식 1]

    (상기 화학식 1에서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1 내지 3인 알킬기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1A로 표시되는 화합물 내지 화학식 1C로 표시되는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인 리튬 이차 전지용 전해질.
    [화학식 1A]

    [화학식 1B]

    [화학식 1C]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리튬 이차 전지용 전해질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중량부 내지 10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인 리튬 이차 전지용 전해질.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리튬 이차 전지용 전해질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중량부 내지 5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인 리튬 이차 전지용 전해질.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리튬 이차 전지용 전해질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중량부 내지 3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인 리튬 이차 전지용 전해질.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튬염은 LiPF6을 포함하는 것인 리튬 이차 전지용 전해질.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튬 이차 전지용 전해질은 기타 첨가제를 더 포함하고,
    상기 기타 첨가제는 할로겐이 치환 또는 비치환된 카보네이트계 화합물, 바이닐 실란계 화합물, 포스페이트계 화합물, 설파이트계 화합물, 설폰계 화합물, 설페이트계 화합물, 설톤계 화합물, 할로겐 치환된 벤젠계 화합물, 니트릴계 화합물, 보레이트계 화합물, 및 리튬염계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화합물인 리튬 이차 전지용 전해질.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기타 첨가제는 바이닐 실란계 화합물, 포스페이트계 화합물, 설페이트계 화합물, 설톤계 화합물, 할로겐 치환된 벤젠계 화합물 및 리튬염계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화합물인 리튬 이차 전지용 전해질.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기타 첨가제는 상기 리튬 이차 전지용 전해질 100 중량부에 1 중량부 내지 40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인 리튬 이차 전지용 전해질.
  10. 양극; 음극; 및 제1항에 따른 리튬 이차 전지용 전해질;을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KR1020190072177A 2019-06-18 2019-06-18 리튬 이차 전지용 전해질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KR1026661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2177A KR102666156B1 (ko) 2019-06-18 리튬 이차 전지용 전해질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EP20826954.8A EP3940852B1 (en) 2019-06-18 2020-06-16 Electrolyte for lithium secondary battery and lithium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the same
US17/604,018 US20220223910A1 (en) 2019-06-18 2020-06-16 Electrolyte For Lithium Secondary Battery And Lithium Secondary Battery Including The Same
PCT/KR2020/007763 WO2020256373A1 (ko) 2019-06-18 2020-06-16 리튬 이차전지용 전해질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CN202080028573.9A CN113748551A (zh) 2019-06-18 2020-06-16 锂二次电池用电解质以及包含其的锂二次电池
JP2021565103A JP7301447B2 (ja) 2019-06-18 2020-06-16 リチウム二次電池用電解質及びこれを含むリチウム二次電池
PL20826954.8T PL3940852T3 (pl) 2019-06-18 2020-06-16 Elektrolit dla litowej baterii akumulatorowej i zawierająca go litowa bateria akumulatorowa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2177A KR102666156B1 (ko) 2019-06-18 리튬 이차 전지용 전해질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44310A KR20200144310A (ko) 2020-12-29
KR102666156B1 true KR102666156B1 (ko) 2024-05-16

Family

I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47200B1 (ko) 리튬 이차 전지용 전해질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KR102474678B1 (ko) 리튬 이차전지용 전해액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KR102500815B1 (ko) 리튬 이차 전지용 전해질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KR102264733B1 (ko) 리튬 이차전지용 비수전해액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KR102452330B1 (ko) 비수전해액 첨가제,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용 비수전해액 및 리튬 이차전지
KR20200054097A (ko) 리튬 이차전지용 비수성 전해액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KR20200092897A (ko) 리튬 이차 전지
JP7134555B2 (ja) 非水電解液添加剤、これを含むリチウム二次電池用非水電解液及びリチウム二次電池
JP7154677B2 (ja) リチウム二次電池用電解質およびこれを含むリチウム二次電池
KR102495135B1 (ko) 리튬 이차 전지용 전해질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KR102666156B1 (ko) 리튬 이차 전지용 전해질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JP7301447B2 (ja) リチウム二次電池用電解質及びこれを含むリチウム二次電池
EP3940851B1 (en) Electrolyte for lithium secondary battery and lithium secondary battery including the same
KR102633568B1 (ko) 리튬 이차전지용 전해액 첨가제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용 비수 전해액 및 리튬 이차전지
KR102327531B1 (ko) 리튬 이차 전지용 전해질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EP4329037A1 (en) Non-aqueous electrolytic solution, and lithium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sa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