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63260B1 - 친환경 중온 재생첨가제 및 이를 이용한 중온 순환 아스팔트 혼합물 - Google Patents

친환경 중온 재생첨가제 및 이를 이용한 중온 순환 아스팔트 혼합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63260B1
KR102663260B1 KR1020210176444A KR20210176444A KR102663260B1 KR 102663260 B1 KR102663260 B1 KR 102663260B1 KR 1020210176444 A KR1020210176444 A KR 1020210176444A KR 20210176444 A KR20210176444 A KR 20210176444A KR 102663260 B1 KR102663260 B1 KR 1026632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temperature
medium
mixture
ec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764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87846A (ko
Inventor
이진호
박지용
동배선
이용석
Original Assignee
한국석유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석유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석유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764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63260B1/ko
Publication of KR202300878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878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32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3260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4/00Use of organic materials as active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g. plasticisers
    • C04B24/24Macromolecular compounds
    • C04B24/36Bituminous materials, e.g. tar, pitch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8/00Use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as filler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8/04Waste materials; Refuse
    • C04B18/16Waste materials; Refuse from building or ceramic industry
    • C04B18/167Recycled materials, i.e. waste materials reused in the production of the same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4/00Use of organic materials as active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g. plasticisers
    • C04B24/12Nitrogen containing compounds organic derivatives of hydrazi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16Nitro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17Amines; Quaternary ammonium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91/00Compositions of oils, fats or wax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95/00Compositions of bituminous materials, e.g. asphalt, tar, pitch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169/00Lubricat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containing as components a mixture of at least two types of ingredient selected from base-materials, thickeners or additives, covered by the preceding groups, each of these compounds being essential
    • C10M169/04Mixtures of base-materials and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03/00Function or property of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2103/0068Ingredients with a function or property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04B2103/00
    • C04B2103/0082Segregation-preventing agents; Sedimentation-preventing agen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Working-Up Tar And Pitc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윤활유 10 ~ 38 중량%; 파라핀 오일 30 ~ 50 중량%; 프로세스 오일 30 ~ 50 중량%; 박리방지제 1 ~ 30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중온 재생첨가제를 제시함으로써, 발암성 물질에 의한 환경유해성의 우려가 작고, 하나의 재료에 의해 폐아스팔트의 복원 및 중온 아스팔트 생산이 모두 가능하도록 한다.

Description

친환경 중온 재생첨가제 및 이를 이용한 중온 순환 아스팔트 혼합물{WARM-MIX RECYCLED ASPHALT ADDITIVES AND RECYCLED ASPHALT COMPOSITION USING THE SANE}
본 발명은 건설 기술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친환경 중온 재생첨가제 및 이를 이용한 중온 순환 아스팔트 혼합물에 관한 것이다.
재생첨가제는 노화된 아스팔트 도로포장에 사용되는 폐아스콘을 복원하여 재사용하기 위해 사용되는 첨가제로 방향족 유분을 다량 함유하여 폐아스콘의 방향족 유분 함량을 증가시키고 아스팔텐 함량을 감소시켜 물리적 특성을 복원한다.
폐아스팔트를 복원하여 순환아스콘 생산 시 노후 아스팔트 점도를 회복시켜주는 역할을 하는 재생첨가제에 발암성 물질이 포함되어 있어 순환아스콘 도로포장에 대한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현재 국내에서 제조 및 판매되는 재생첨가제는 아로마틱계 오일을 Base로 하는 첨가제가 80% 이상을 차지하며, 나머지는 식물성오일 및 석유수지, 프로세스오일, SBS계열을 Base로 한다.
이들은 MSDS의 90% 이상이 '암을 일으킬 수 있다'는 위험경고 표시가 되어있는데, 현재 국내에는 재생첨가제의 환경유해성 및 발암성능을 평가하는 품질기준이 없다는 문제가 있다.
유럽은 REACH(Registration, Evaluation, Authorisation & Restriction of Chemicals)의 화학물질관리제도에 의해, 화학물질의 위해성에 따라 등록, 평가, 허가 등으로 구분하여 제한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다.
REACH에 따르면 2010년 1월 이후 방향족 환이 많은 분자구조가 발암, 돌연변이 유발 및 생식독성 물질로 분류되어, 신전유(Extender oil) 및 이를 포함하는 타이어 또는 타이어 부품내 특정 PAHs(Polyaromatic Hydrocarbons) 또는 PCA(Poly Cyclic Aromatic) 함량을 제한하고 있으며, 다음은 구체적인 제한 기준이다.
(1) Benzo(a)pyrene(BaP) ≤ 1 mg/kg(ppm)
(2) PAHs 8종의 총 함량 ≤ 10 mg/kg(ppm)
ㆍ PAHs(8종) 목록( PAHs 시험항목은 2021년 18종까지 증가)
Benzo(a)pyrene(BaP),
Benzo(e)pyren(BeP),
Benzo(a)anthracene(BaA),
Chrysen(CHR),
Benzo(b)fluoranthene(BbFA),
Benzo(j)fluoranthene(BjFA),
Benzo(k)fluoranthene(BkFA),
Dibenzo(a.h)anthracene(DBAhA)
(3) Total PCA 함량 ≤ 3 wt%
ㆍ (1) 또는 (2)를 만족하면 됨
ㆍ (1) 또는 (2)를 만족하지 못하더라도 (3)을 만족하면 규제에 적용받지 않음
한편, 중온 아스팔트 포장은 첨가제의 역할로 인하여, 가열 아스팔트 포장에 비해 약 20~55℃ 정도 낮은 온도에서 생산 및 시공이 이루어지며, 낮은 온도조건에서 우수한 작업성으로 인한 다짐도의 향상 효과로 인하여, 포장체 내로의 투수성을 줄이고 노화현상을 저감시켜 아스팔트 피막의 경화를 억제하는 효과가 있다.
그런데, 종래기술에 의한 재생첨가제는 가열 아스팔트 혼합물의 다짐온도보다 30℃ 낮은 온도에서 다짐성능을 발휘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중온에서 순환아스콘을 생산하기 위해서는, 폐아스팔트를 복원하기 위한 재생첨가제와, 중온 아스팔트 포장을 위한 중온첨가제를 별도로 투입해서 사용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출된 것으로서, 발암성 물질에 의한 환경유해성의 우려가 작고, 하나의 재료에 의해 폐아스팔트의 복원 및 중온 아스팔트 생산이 모두 가능하도록 하는 친환경 중온 재생첨가제 및 이를 이용한 중온 순환 아스팔트 혼합물을 제시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의 해결을 위하여, 본 발명은 윤활유 10 ~ 38 중량%; 파라핀 오일 30 ~ 50 중량%; 프로세스 오일 30 ~ 50 중량%; 박리방지제 1 ~ 30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중온 재생첨가제를 제시한다.
상기 윤활유는, 점도지수향상제, 내마모제, 산화안정제, 청정제, 분산제, 방청제, 소포제 및 파라핀계, 나프텐계, 아로마틱계의 기유 중 하나 또는 2 이상의 혼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파라핀 오일은 비중이 0.85~0.95이고, 수소화 처리된 중파라핀 증류액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프로세스 오일은, DAE(Distillate Aromatic Extract)를 수소화정제한 Treat-DAE, RAE(Residue Aromatic Extract)를 수소화정제한 T-RAE 중 하나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박리방지제는, 메틸 펜타메틸렌 디아민(Methyl pentamethylene diamine), 지방산 폴리 아민(Fatty acids polyamine), 메틸 파스포릭 산(methylene phosphonic acid), 알킬 아미도 폴리아민(Alkyl amido polyamine), 알킬 아미도 이미다졸 폴리아민(Alkyl amido imidazole polyamine) 중 하나 또는 2 이상의 혼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상기 재생첨가제를 이용한 중온 순환 아스팔트 혼합물로서, 전체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순환골재 25~35 중량부; 상기 재생첨가제 6~1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온 순환 아스팔트 혼합물을 제시한다.
본 발명은 발암성 물질에 의한 환경유해성의 우려가 작고, 하나의 재료에 의해 폐아스팔트의 복원 및 중온 아스팔트 생산이 모두 가능하도록 하는 친환경 중온 재생첨가제 및 이를 이용한 중온 순환 아스팔트 혼합물을 제시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친환경 중온 재생첨가제는 기본적으로, 윤활유 10 ~ 38 중량%; 파라핀 오일 30 ~ 50 중량%; 프로세스 오일 30 ~ 50 중량%; 박리방지제 1 ~ 30 중량%;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윤활유는, 점도지수향상제, 내마모제, 산화안정제, 청정제, 분산제, 방청제, 소포제 및 파라핀계, 나프텐계, 아로마틱계의 기유 중 하나 또는 2 이상의 혼합물을 사용한다.
파라핀 오일은 석유제품 중 순도와 안정성이 가장 우수하고, 인체에 무해하여 식품 첨가물 및 화장품 원료로 쓰이는 무색, 무취, 무미의 재질로서, 비중이 0.85~0.95이고, 수소화 처리된 중파라핀 증류액을 사용한다.
프로세스 오일은, DAE(Distillate Aromatic Extract)를 수소화정제한 Treat-DAE, RAE(Residue Aromatic Extract)를 수소화정제한 T-RAE 중 하나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한다.
Treat-DAE 프로세스 오일은 감압증류 방향족 추출물을 용제정제 시 부산물로 생성된 DAE(Distillate Aromatic Extract)를 수소화정제한 것이다.
T-RAE는 감압증류공정 및 탈역청 공정을 거친 방향족 추출물의 용제정제 시 부산물로 생성되는 RAE(Residue Aromatic Extract)를 수소화정제한 것이다.
박리방지제는, 메틸 펜타메틸렌 디아민(Methyl pentamethylene diamine), 지방산 폴리 아민(Fatty acids polyamine), 메틸 파스포릭 산(methylene phosphonic acid), 알킬 아미도 폴리아민(Alkyl amido polyamine), 알킬 아미도 이미다졸 폴리아민(Alkyl amido imidazole polyamine) 중 하나 또는 2 이상의 혼합물을 사용한다.
이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발암성 물질에 의한 환경유해성의 우려가 작다.
종래의 재생첨가제는 방향족 환이 많은 분자구조를 가지고 있는 아로마틱계열의 오일을 주로 사용하므로, 발암, 돌연변이 유발 및 생식독성 등의 문제가 제기되었다.
이에 비해, 본 발명에 의한 재생첨가제는 인체에 무해한 파라핀 오일을 사용하므로, 위와 같은 문제가 없고, 상술한 유럽의 REACH 기준을 만족한다.
둘째, 하나의 재료에 의해 폐아스팔트의 복원 및 중온 아스팔트 생산이 모두 가능하다.
가열 아스팔트 혼합물의 다짐온도보다 30℃ 낮은 온도에서 다짐성능을 발휘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재생첨가제의 물성을 입증하기 위한 시험결과에 관하여 설명한다.
Figure 112021143350711-pat00001
표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예의 구체적 배합비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상술한 파라핀 오일과 프로세스 오일을 적용한 것이고, 비교예들은 아로마틱계 오일을 적용한 것이다.
Figure 112021143350711-pat00002
표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예의 기초 물성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가 비교예에 비해 동등 이상의 물성을 가짐을 확인할 수 있다.
Figure 112021143350711-pat00003
표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 관하여, 유럽의 REACH에서 제한하는 PAHs(Polyaromatic Hydrocarbons)의 함량을 분석한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REACH는 Benzo(a)pyrene(BaP)가 1 mg/kg(ppm) 이하일 것, PAHs 8종의 총 함량이 10 mg/kg(ppm) 이하일 것으로 제한하고 있다.
비교예 1에 의한 재생첨가제의 경우, Benzo(a)pyrene(BaP) 함량이 10.8 mg/kg으로 제한기준(1 mg/kg)을 초과하였고, PAHs 18종의 총 함량이 142.54 mg/kg으로서 제한기준(10 mg/kg)을 훨씬 초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한 재생첨가제의 경우, Benzo(a)pyrene(BaP) 함량이 N.D.로 제한기준(1 mg/kg) 이하일 것을 만족하였고, PAHs 18종의 총 함량이 4.07mg/kg으로서 제한기준(10 mg/kg) 이하일 것을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발명의 실시예 2,3의 경우에도, 위 조건을 모두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Figure 112021143350711-pat00004
표 4는 본 발명에 의한 재생첨가제를 혼입한 중온 순환 아스팔트 혼합물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한 시험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비교예는 종래의 재생첨가제를 혼입한 순환 아스팔트 혼합물에 관한 것이다.
중온 및 재생 성능을 확인하기 위하여, 혼합물 전체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순환골재를 30 중량부 첨가하여, 가열 및 중온 순환 아스팔트 혼합물의 다짐온도에 따른 다짐도, 안정도, 흐름값, 동적안정도를 평가하였다.
중온 순환 아스팔트 혼합물은 13mm 이하로 파쇄된 순환골재를 30 중량부 사용하였고, 표층용 골재입도 WC-1를 대입하였으며, 여기에 사용된 순환골재에서 추출된 아스팔트 함량은 4~5 중량부로 추정된다.
순환골재에서 추출된 아스팔트 바인더의 절대점도는 약 40,000poise이므로, 재생첨가제의 적정성 평가를 통해 추가로 첨가할 친환경 중온 재생첨가제의 함량은 6~10 중량부가 적절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은 본 발명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일부에 관하여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주지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는 위의 실시예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근본을 함께 하는 기술적 사상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6)

  1. 윤활유 10 ~ 38 중량%;
    파라핀 오일 30 ~ 50 중량%;
    프로세스 오일 30 ~ 50 중량%;
    박리방지제 1 ~ 30 중량%;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스 오일은,
    DAE(Distillate Aromatic Extract)를 수소화정제한 Treat-DAE, RAE(Residue Aromatic Extract)를 수소화정제한 T-RAE 중 하나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중온 재생첨가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윤활유는,
    점도지수향상제, 내마모제, 산화안정제, 청정제, 분산제, 방청제, 소포제 및 파라핀계, 나프텐계, 아로마틱계의 기유 중 하나 또는 2 이상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중온 재생첨가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라핀 오일은 비중이 0.85~0.95이고, 수소화 처리된 중파라핀 증류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중온 재생첨가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박리방지제는,
    메틸 펜타메틸렌 디아민(Methyl pentamethylene diamine), 지방산 폴리 아민(Fatty acids polyamine), 메틸 파스포릭 산(methylene phosphonic acid), 알킬 아미도 폴리아민(Alkyl amido polyamine), 알킬 아미도 이미다졸 폴리아민(Alkyl amido imidazole polyamine) 중 하나 또는 2 이상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중온 재생첨가제.
  6. 제1항 내지 제3항, 제5항 중 어느 한 항의 재생첨가제를 이용한 중온 순환 아스팔트 혼합물로서,
    전체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순환골재 25~35 중량부;
    상기 재생첨가제 6~1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온 순환 아스팔트 혼합물.
KR1020210176444A 2021-12-10 2021-12-10 친환경 중온 재생첨가제 및 이를 이용한 중온 순환 아스팔트 혼합물 KR1026632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6444A KR102663260B1 (ko) 2021-12-10 2021-12-10 친환경 중온 재생첨가제 및 이를 이용한 중온 순환 아스팔트 혼합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6444A KR102663260B1 (ko) 2021-12-10 2021-12-10 친환경 중온 재생첨가제 및 이를 이용한 중온 순환 아스팔트 혼합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7846A KR20230087846A (ko) 2023-06-19
KR102663260B1 true KR102663260B1 (ko) 2024-05-03

Family

ID=869884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6444A KR102663260B1 (ko) 2021-12-10 2021-12-10 친환경 중온 재생첨가제 및 이를 이용한 중온 순환 아스팔트 혼합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63260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0996B1 (ko) * 2010-12-15 2011-09-01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액상형 중온화 첨가제를 사용한 저탄소 중온 아스팔트 혼합물 및 그 제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A035569B1 (ru) * 2015-07-16 2020-07-08 Асахи Касеи Кабусики Кайся Частично гидрированный блок-сополимер, клейкая адгезивная композиция, клейкая адгезивная лента, этикетка, модифицированная асфальтовая композиция, модифицированная асфальтовая смесь и композиция связующего для дорожного покрытия
KR101871603B1 (ko) * 2016-12-12 2018-06-27 (재)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 규소체를 함유한 결합제 활용 고내구성 재생아스팔트 콘크리트 및 그 제조방법
KR20210093694A (ko) * 2020-01-20 2021-07-28 주식회사 오일스톤 다환방향족탄화수소 및 이산화탄소 배출저감용 중온 순환아스콘 첨가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0996B1 (ko) * 2010-12-15 2011-09-01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액상형 중온화 첨가제를 사용한 저탄소 중온 아스팔트 혼합물 및 그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7846A (ko) 2023-06-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356145B (zh) 用于生产工业、农业或家用流体的氢化脱蜡的烃流体
JP4037515B2 (ja) プロセスオイル及びその製造方法
EP1235768B1 (en) Hydrocarbonaceous composition containing odor suppressant
JP7041149B2 (ja) 再生アスファルト評価用サンプルの評価方法、及び再生アスファルト合材の製造方法
JP6200247B2 (ja) 再生アスファルト添加剤組成物
KR102663260B1 (ko) 친환경 중온 재생첨가제 및 이를 이용한 중온 순환 아스팔트 혼합물
JP4739944B2 (ja) 舗装用アスファルトの製造方法およびそれにより得られる舗装用アスファルト
JP6871589B2 (ja) アスファルト再生添加剤及びこれを含有するアスファルト組成物
KR101995899B1 (ko) 박리 방지제 및 이를 이용한 재생 아스콘
JP2011148928A (ja) アスファルト混合物
US20120016062A1 (en) Binder composition comprising a low viscosity naphthenic oil for coloured hot-mix asphalt applications
JP4531907B2 (ja) プロセスオイ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028949B2 (ja) 再生アスファルト用添加剤及び再生アスファルト舗装材
KR101888972B1 (ko) 아스팔트 바인더 및 이를 이용한 재생 아스콘
RU2620120C1 (ru) Вяжущее для цветного асфальтобетона
US11512437B2 (en)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reducing the amount of asphalt emulsion needed for recycling and stabilizing roadway materials
KR19980072997A (ko) 폐아스콘 재생용 첨가제 및 폐아스콘의 재포장방법
CN109575614B (zh) 沥青、其制备方法及包含其的阻尼装置
KR100416301B1 (ko) 폐아스팔트콘크리트의 재활용을 위한 재생 첨가제를 함유하는 재생아스팔트콘크리트
WO2000055257A1 (en) Asphalt modifier and method of manufacture
US1727109A (en) Lubricating composition
JP6325435B2 (ja) アスファルト組成物
GB1559083A (en) Petroleum bitumens
JP2754462B2 (ja) 低硫黄分軽油組成物
KR100622976B1 (ko) 폴리사이클릭 아로마틱스 함량이 적은 포장도로용 트럭 및버스 래디알 타이어의 트레드 고무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