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63170B1 - 시트 리클라이너 - Google Patents
시트 리클라이너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663170B1 KR102663170B1 KR1020190065805A KR20190065805A KR102663170B1 KR 102663170 B1 KR102663170 B1 KR 102663170B1 KR 1020190065805 A KR1020190065805 A KR 1020190065805A KR 20190065805 A KR20190065805 A KR 20190065805A KR 102663170 B1 KR102663170 B1 KR 10266317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ree angle
- rock
- cam
- flange
- fixed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11435 rock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4
- 230000000452 restrain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 B60N2/235—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by gear-pawl type mechanism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tiltable, e.g. to permit easy acces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 B60N2/225—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by cycloidal or planetary mechanis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airs For Special Purposes, Such As Reclining Chairs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트쿠션에 대해 고정되는 픽스드플랜지와; 상기 픽스드플랜지에 동심축을 이루어 회전 가능하게 조립되며 시트백에 고정되는 모바일플랜지와; 상기 픽스드플랜지의 반경방향을 따라 직선 슬라이딩하여, 상기 픽스드플랜지에 대한 상기 모바일플랜지의 상대회전을 구속하거나 해제할 수 있도록 형성된 복수의 록슬라이더와; 상기 복수의 록슬라이더 중앙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조작력에 의해 회전됨에 의해, 상기 복수의 록슬라이더를 반경방향을 따라 직선 슬라이딩시키도록 설치된 록캠과; 상기 모바일플랜지에 회전이 구속되도록 설치되며, 개구된 반경이 원주방향을 따라 단을 지어 변화하도록 형성된 프리각캠과; 상기 프리각캠의 개구부에 삽입되어 프리각 기능을 구현하도록 상기 록슬라이더에서 상기 프리각캠을 향해 돌출된 프리각돌기와; 상기 록캠이 상기 록슬라이더를 반경방향 외측으로 슬라이딩시키는 방향으로 회전되는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설치된 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시트 리클라이너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 등에 탑재되는 시트의 시트쿠션에 대한 시트백의 각도를 조절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리클라이너의 구성에 관한 기술이다.
차량 등에 탑재되는 시트는 시트쿠션과 시트백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시트쿠션에 대한 시트백의 각도를 리클라이너를 이용해 탑승자가 원하는 상태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함에 의해 사용 편의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리클라이너는 시트백의 각도가 고정되어 있는 록킹상태와, 상기 록킹상태를 해제하여 시트백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해제상태 사이를 용이하게 전환할 수 있어야 한다.
한편, 리클라이너는 '프리각 기능'이라는 것이 요구되는 경우가 있는데, 이 프리각 기능은 일정한 각도 범위 내에서는 리클라이너의 록킹상태가 형성되지 않고 자유롭게 시트백의 각도를 변경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으로서, 주로 시트의 차량 탑재성 등을 위해, 시트백이 시트쿠션 위에 포개지듯이 접혀진 상태로부터 탑승자의 착좌가 가능한 어느 정도까지는 리클라이너를 조작하지 않아도 시트백을 시트쿠션에 대하여 자유롭게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데에 사용된다.
상기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본 발명은 적은 수의 부품과 간단하고 컴팩트한 구성으로 시트 리클라이너의 록킹상태와 해제상태를 용이하게 전환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리클라이너의 프리각 기능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프리각 기능이 구현되는 각도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리클라이너의 제작에 소요되는 비용을 현저하게 저감시킬 수 있도록 한 시트 리클라이너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시트 리클라이너는,
시트쿠션에 대해 고정되는 픽스드플랜지와;
상기 픽스드플랜지에 동심축을 이루어 회전 가능하게 조립되며 시트백에 고정되는 모바일플랜지와;
상기 픽스드플랜지의 반경방향을 따라 직선 슬라이딩하여, 상기 픽스드플랜지에 대한 상기 모바일플랜지의 상대회전을 구속하거나 해제할 수 있도록 형성된 복수의 록슬라이더와;
상기 복수의 록슬라이더 중앙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조작력에 의해 회전됨에 의해, 상기 복수의 록슬라이더를 반경방향을 따라 직선 슬라이딩시키도록 설치된 록캠과;
상기 모바일플랜지에 회전이 구속되도록 설치되며, 개구된 반경이 원주방향을 따라 단을 지어 변화하도록 형성된 프리각캠과;
상기 프리각캠의 개구부에 삽입되어 프리각 기능을 구현하도록 상기 록슬라이더에서 상기 프리각캠을 향해 돌출된 프리각돌기와;
상기 록캠이 상기 록슬라이더를 반경방향 외측으로 슬라이딩시키는 방향으로 회전되는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설치된 스프링;
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픽스드플랜지와의 사이에 장착공간을 형성하면서, 상기 픽스드플랜지에 결합되어, 상기 모바일플랜지, 프리각캠, 록슬라이더, 록캠 및 스프링을 상기 장착공간 내에 수용하도록 하는 커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스프링은 일단이 상기 커버에 고정되고, 타단부가 상기 록캠에 감겨서 고정되는 스파이럴 스프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프리각캠에는 개구된 반경이 상대적으로 작은 프리각섹터와, 개구된 반경이 상대적으로 큰 록킹섹터가 단을 이루며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프리각캠의 프리각섹터와 록킹섹터는 프리각캠의 중심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게 2개씩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록슬라이더들 중 상기 록캠의 중심을 기준으로 서로 마주하는 2개에만 상기 프리각돌기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프리각캠과 상기 모바일플랜지에는, 상기 프리각캠이 상기 모바일플랜지에 대해 축방향 상대운동은 허용되고 상대회전은 구속되도록 하는 구속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구속수단은
상기 프리각캠의 상기 개구된 부분 외측의 원주부에서 상기 모바일플랜지를 향해 돌출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위치핀과;
상기 위치핀이 삽입되도록 상기 모바일플랜지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위치홈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픽스드플랜지의 일측면에는 상기 록슬라이더의 반경방향 직선 슬라이딩을 가이드하도록 다수의 가이드블록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버에는 상기 프리각캠의 프리각섹터를 형성하는 반경 내측에서 상기 픽스드플랜지를 향하여 돌출되어, 상기 픽스드플랜지의 가이드블록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장착공간을 형성하도록 하는 지지돌기가 다수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적은 수의 부품과 간단하고 컴팩트한 구성으로 시트 리클라이너의 록킹상태와 해제상태를 용이하게 전환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리클라이너의 프리각 기능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프리각 기능이 구현되는 각도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리클라이너의 제작에 소요되는 비용을 현저하게 저감시킬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시트 리클라이너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2는 도 1의 시트 리클라이너 구성을 다른 각도에서 관측한 도면,
도 3은 도 1의 시트 리클라이너가 조립된 상태에서 커버를 제거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3에서 스프링을 추가로 제거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5와 도 6은 도 1의 시트 리클라이너가 조립된 상태에서 픽스드플랜지를 제거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시트 리클라이너 구성을 다른 각도에서 관측한 도면,
도 3은 도 1의 시트 리클라이너가 조립된 상태에서 커버를 제거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3에서 스프링을 추가로 제거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5와 도 6은 도 1의 시트 리클라이너가 조립된 상태에서 픽스드플랜지를 제거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 시트 리클라이너의 실시예는, 시트쿠션에 대해 고정되는 픽스드플랜지(1)와; 상기 픽스드플랜지(1)에 동심축을 이루어 회전 가능하게 조립되며 시트백에 고정되는 모바일플랜지(3)와; 상기 픽스드플랜지(1)의 반경방향을 따라 직선 슬라이딩하여, 상기 픽스드플랜지(1)에 대한 상기 모바일플랜지(3)의 상대회전을 구속하거나 해제할 수 있도록 형성된 복수의 록슬라이더(5)와; 상기 복수의 록슬라이더(5) 중앙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조작력에 의해 회전됨에 의해, 상기 복수의 록슬라이더(5)를 반경방향을 따라 직선 슬라이딩시키도록 설치된 록캠(7)과; 상기 모바일플랜지(3)에 회전이 구속되도록 설치되며, 개구된 반경이 원주방향을 따라 단을 지어 변화하도록 형성된 프리각캠(9)과; 상기 프리각캠(9)의 개구부에 삽입되어 프리각 기능을 구현하도록 상기 록슬라이더(5)에서 상기 프리각캠(9)을 향해 돌출된 프리각돌기(11)와; 상기 록캠(7)이 상기 록슬라이더(5)를 반경방향 외측으로 슬라이딩시키는 방향으로 회전되는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설치된 스프링(1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본 발명 실시예의 시트 리클라이너는 상기와 같은 매우 적은 수량의 부품이 컴팩트하게 조립되고, 시트프레임 등을 통해 시트쿠션에 대해 고정되는 픽스드플랜지(1)에 대하여, 시트백에 고정되는 모바일플랜지(3)가 회동됨에 의해 시트백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고, 이렇게 조절된 각도는 상기 록슬라이더(5)와 록캠(7)의 작용에 의해 록킹상태를 형성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프리각캠(9)과 상기 프리각돌기(11)는 리클라이너의 프리각 기능을 구현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픽스드플랜지(1)와의 사이에 장착공간을 형성하면서, 상기 픽스드플랜지(1)에 결합되어, 상기 모바일플랜지(3), 프리각캠(9), 록슬라이더(5), 록캠(7) 및 스프링(13)을 상기 장착공간 내에 수용하도록 하는 커버(15)를 더 포함하고 있다.
참고로, 여기서 '축방향'이란 상기 픽스드플랜지(1)에 대한 상기 모바일플랜지(3)의 회전축 방향을 의미하며, '반경방향'은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는 반경방향을 의미하고, '원주방향'은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는 원의 둘레를 따르는 방향을 의미한다.
상기 스프링(13)은 일단이 상기 커버(15)에 고정되고, 타단부가 상기 록캠(7)에 감겨서 고정되는 스파이럴 스프링으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상기 록캠(7)은 상기 스프링(13)과 상기 커버(15)를 통해 상기 픽스드플랜지(1)에 대해 탄성적으로 지지되고 있는 것이며, 그 지지 방향은 상기 록슬라이더(5)들을 반경방향 외측으로 미는 방향이다.
상기 프리각캠(9)에는 개구된 반경이 상대적으로 작은 프리각섹터(17)와, 개구된 반경이 상대적으로 큰 록킹섹터(19)가 단을 이루며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프리각캠(9)의 프리각섹터(17)와 록킹섹터(19)는 프리각캠(9)의 중심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게 2개씩 배치된 구성이다.
따라서, 상기 복수의 록슬라이더(5)들 중 상기 록캠(7)의 중심을 기준으로 서로 마주하는 2개에만 상기 프리각돌기(11)가 각각 형성되도록 하여, 프리각 기능 수행 중에는 상기 프리각돌기(11)가 상기 프리각섹터(17)에 위치하고, 상기 프리각돌기(11)가 상기 록킹섹터(19)에 위치하는 동안에는 록킹상태와 해제상태를 전환할 수 있어서, 리클라이너 본연의 시트백 각도 조절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프리각캠(9)과 상기 모바일플랜지(3)에는, 상기 프리각캠(9)이 상기 모바일플랜지(3)에 대해 축방향 상대운동은 허용되고 상대회전은 구속되도록 하는 구속수단이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구속수단은 상기 프리각캠(9)의 상기 개구된 부분 외측의 원주부에서 상기 모바일플랜지(3)를 향해 돌출된 3개의 위치핀(21)과, 상기 위치핀(21)이 삽입되도록 상기 모바일플랜지(3)에 구비된 3개의 위치홈(23)으로 구성된다.
즉, 상기 프리각캠(9)을 상기 모바일플랜지(3)에 대하여 축방향으로 이동시켜서 결합하면, 상기 위치핀(21)들이 상기 위치홈(23)에 삽입되어, 상기 모바일플랜지(3)에 대한 프리각캠(9)의 회전이 구속되는 것이다.
상기 픽스드플랜지(1)의 일측면에는 상기 록슬라이더(5)의 반경방향 직선 슬라이딩을 가이드하도록 다수의 가이드블록(25)이 형성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레버 등으로 회전 조작력을 형성하면, 상기 조작력을 상기 록캠(7)에 삽입되는 샤프트 등으로 전달하여, 상기 스프링(13)의 탄성력이 지지하는 반대방향으로 상기 록캠(7)을 회전시키면, 상기 록슬라이더(5)들이 상기 가이드블록(25)들에 의해 가이드되면서 반경방향 내측으로 슬라이딩하여, 록킹상태가 해제됨으로써, 시트쿠션에 대한 시트백의 각도 조절이 가능한 해제상태가 되고, 사용자가 조작력을 해제하면, 상기 스프링(13)의 탄성력으로 상기 록캠(7)이 복귀하면서 상기 록슬라이더(5)들이 반경방향 외측으로 슬라이딩하여 록킹상태가 형성됨으로써, 조절된 시트백의 각도가 일정하게 유지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록킹상태는 상기 모바일플랜지(3)에 내접기어 형식으로 형성된 록킹기어(27)에 상기 록슬라이더(5) 외측의 기어치(29)가 결합되어 구현된다.
상기 커버(15)에는 상기 프리각캠(9)의 프리각섹터(17)를 형성하는 반경 내측에서 상기 픽스드플랜지(1)를 향하여 돌출되어, 상기 픽스드플랜지(1)의 가이드블록(25)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장착공간을 형성하도록 하는 지지돌기(31)가 다수 구비된다.
상기 커버(15)와 픽스드플랜지(1)는 상기 지지돌기(31)를 상기 가이드블록(25)에 맞대어 접촉한 상태로 용접 등의 방법으로 결합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시트 리클라이너의 프리각 기능은 상기 록슬라이더(5)의 프리각돌기(11)가 상기 프리각캠(9)의 프리각섹터(17) 내측에 접촉한 상태에서 구현된다.
즉, 이 상태는 상기 프리각돌기(11)에 의해 상기 록슬라이더(5)의 반경방향 외측 이동이 제한됨으로써, 상기 록슬라이더(5) 외측에 형성된 기어치(29)가 상기 모바일플랜지(3)의 록킹기어(27)에 치합되지 못하는 상태여서, 상기 픽스드플랜지(1)에 대한 모바일플랜지(3)의 회전이 자유로운 상태가 확보되는 것이다.
시트백이 시트쿠션 상측에 중첩되듯이 접힌 상태로부터 프리각 기능에 의해 시트백이 어느정도 펼쳐지는 동안에는, 상기 프리각돌기(11)가 상기 프리각섹터(17)에 의해 상기 록슬라이더(5)를 상기 록킹기어(27)로부터 이격시켜 시트백의 자유로운 각도 변화가 가능한 상태가 유지되고, 이어서 시트백을 더 펼치는 경우에는 상기 프리각돌기(11)는 상기 록킹섹터(19)로 이동하고, 상기 프리각돌기(11)가 상기 록킹섹터(19) 내에 위치한 동안에는 상기 스프링(13)의 탄성력으로 상기 록슬라이더(5)가 반경방향 외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록킹기어(27)에 치합됨으로써, 상기 픽스드플랜지(1)에 대한 모바일플랜지(3)의 회전이 구속되게 된다.
즉, 상기 프리각돌기(11)가 상기 록킹섹터(19)에 위치한 상태에서는 종래의 리클라이너 본연의 기능인 시트백의 각도 조절 및 고정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프리각 기능이 적용되는 각도의 조절은 상기 프리각캠(9)의 프리각섹터(17)와 록킹섹터(19)의 크기에 따라 결정되므로, 차종이나 시트의 종류 등에 따라 다른 프리각 기능이 필요한 경우에는, 상기 프리각섹터(17)와 록킹섹터(19)의 사양이 다른 프리각캠(9)을 교환하여 조립하면, 원하는 사양의 프리각 기능을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프리각 기능을 가진 리클라이너의 제조 비용을 현저히 저감시킬 수 있도록 한다.
특히, 본 발명 실시예에 사용된 상기 프리각캠(9)은 비교적 얇은 평판을 단순 프레스 공정으로 가공하여 형성하기에 유리한 구조로서, 리클라이너 제조 비용을 더욱 저감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 픽스드플랜지
3; 모바일플랜지
5; 록슬라이더
7; 록캠
9; 프리각캠
11; 프리각돌기
13; 스프링
15; 커버
17; 프리각섹터
19; 록킹섹터
21; 위치핀
23; 위치홈
25; 가이드블록
27; 록킹기어
29; 기어치
31; 지지돌기
3; 모바일플랜지
5; 록슬라이더
7; 록캠
9; 프리각캠
11; 프리각돌기
13; 스프링
15; 커버
17; 프리각섹터
19; 록킹섹터
21; 위치핀
23; 위치홈
25; 가이드블록
27; 록킹기어
29; 기어치
31; 지지돌기
Claims (10)
- 시트쿠션에 대해 고정되는 픽스드플랜지와;
상기 픽스드플랜지에 동심축을 이루어 회전 가능하게 조립되며 시트백에 고정되는 모바일플랜지와;
상기 픽스드플랜지의 반경방향을 따라 직선 슬라이딩하여, 상기 픽스드플랜지에 대한 상기 모바일플랜지의 상대회전을 구속하거나 해제할 수 있도록 형성된 복수의 록슬라이더와;
상기 복수의 록슬라이더 중앙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조작력에 의해 회전됨에 의해, 상기 복수의 록슬라이더를 반경방향을 따라 직선 슬라이딩시키도록 설치된 록캠과;
상기 모바일플랜지에 회전이 구속되도록 설치되며, 개구된 반경이 원주방향을 따라 단을 지어 변화하도록 형성된 프리각캠과;
상기 프리각캠의 개구부에 삽입되어 프리각 기능을 구현하도록 상기 록슬라이더에서 상기 프리각캠을 향해 돌출된 프리각돌기와;
상기 록캠이 상기 록슬라이더를 반경방향 외측으로 슬라이딩시키는 방향으로 회전되는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설치된 스프링;
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프리각캠과 상기 모바일플랜지에는, 상기 프리각캠이 상기 모바일플랜지에 대해 축방향 상대운동은 허용되고 상대회전은 구속되도록 하는 구속수단이 구비되며,
상기 구속수단은
상기 프리각캠의 상기 개구된 부분 외측의 원주부에서 상기 모바일플랜지를 향해 돌출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위치핀과;
상기 위치핀이 삽입되도록 상기 모바일플랜지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위치홈으로 구성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리클라이너.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픽스드플랜지와의 사이에 장착공간을 형성하면서, 상기 픽스드플랜지에 결합되어, 상기 모바일플랜지, 프리각캠, 록슬라이더, 록캠 및 스프링을 상기 장착공간 내에 수용하도록 하는 커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리클라이너.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은 일단이 상기 커버에 고정되고, 타단부가 상기 록캠에 감겨서 고정되는 스파이럴 스프링으로 이루어진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리클라이너.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프리각캠에는 개구된 반경이 상대적으로 작은 프리각섹터와, 개구된 반경이 상대적으로 큰 록킹섹터가 단을 이루며 연결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리클라이너. -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프리각캠의 프리각섹터와 록킹섹터는 프리각캠의 중심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게 2개씩 배치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리클라이너. -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록슬라이더들 중 상기 록캠의 중심을 기준으로 서로 마주하는 2개에만 상기 프리각돌기가 각각 형성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리클라이너. - 삭제
- 삭제
-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픽스드플랜지의 일측면에는 상기 록슬라이더의 반경방향 직선 슬라이딩을 가이드하도록 다수의 가이드블록이 형성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리클라이너. -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커버에는 상기 프리각캠의 프리각섹터를 형성하는 반경 내측에서 상기 픽스드플랜지를 향하여 돌출되어, 상기 픽스드플랜지의 가이드블록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장착공간을 형성하도록 하는 지지돌기가 다수 구비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리클라이너.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65805A KR102663170B1 (ko) | 2019-06-04 | 2019-06-04 | 시트 리클라이너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65805A KR102663170B1 (ko) | 2019-06-04 | 2019-06-04 | 시트 리클라이너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139377A KR20200139377A (ko) | 2020-12-14 |
KR102663170B1 true KR102663170B1 (ko) | 2024-05-02 |
Family
ID=737797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65805A KR102663170B1 (ko) | 2019-06-04 | 2019-06-04 | 시트 리클라이너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663170B1 (ko)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04369B1 (ko) | 2009-01-14 | 2009-06-23 | 대원정밀공업(주) | 자동차 시트용 리클라이너 |
KR101693177B1 (ko) * | 2015-12-03 | 2017-01-17 | 주식회사 서연씨엔에프투자 | 록 플레이트를 갖는 차량시트용 리클라이너 |
KR101746455B1 (ko) | 2015-12-15 | 2017-06-14 | 현대다이모스(주) | 차량 시트의 리클라이너 |
KR101888827B1 (ko) * | 2017-06-13 | 2018-08-16 | 대원정밀공업(주) | 차량 시트용 리클라이너 |
KR101893977B1 (ko) | 2017-07-10 | 2018-08-31 | 대원정밀공업(주) | 표준위치 복귀기능을 구비한 메모리 리클라이너 장치 |
-
2019
- 2019-06-04 KR KR1020190065805A patent/KR102663170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04369B1 (ko) | 2009-01-14 | 2009-06-23 | 대원정밀공업(주) | 자동차 시트용 리클라이너 |
KR101693177B1 (ko) * | 2015-12-03 | 2017-01-17 | 주식회사 서연씨엔에프투자 | 록 플레이트를 갖는 차량시트용 리클라이너 |
KR101746455B1 (ko) | 2015-12-15 | 2017-06-14 | 현대다이모스(주) | 차량 시트의 리클라이너 |
KR101888827B1 (ko) * | 2017-06-13 | 2018-08-16 | 대원정밀공업(주) | 차량 시트용 리클라이너 |
KR101893977B1 (ko) | 2017-07-10 | 2018-08-31 | 대원정밀공업(주) | 표준위치 복귀기능을 구비한 메모리 리클라이너 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139377A (ko) | 2020-12-1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2326531B1 (en) | Disc recliner with reduced backlash | |
US7810886B2 (en) | Lock device and seat reclining apparatus | |
US9376036B2 (en) | Disc recliner with internal leaf springs | |
KR101568891B1 (ko) | 풀 메모리 아이 디스크 | |
US6520583B1 (en) | Compact disc recliner | |
JP5290789B2 (ja) | 車両用シートリクライニング装置 | |
US7100987B2 (en) | Reclining vehicle seat hinge assembly | |
EP2301387B1 (en) | Vehicle seat reclining apparatus | |
JP4567003B2 (ja) | 車両シート用戻り止め取り付け部材 | |
US7222919B2 (en) | Reclining device and method of locking the device | |
JP5592204B2 (ja) | リクライニング装置 | |
KR20060048975A (ko) | 차량 좌석용 힌지 기구 및 그 힌지 기구를 구비한 좌석 | |
US9079517B2 (en) | Dual cam recliner | |
JPH09183327A (ja) | 車両シート用関節装置 | |
EP1764258A2 (en) | Seat reclining apparatus | |
US20080203799A1 (en) | Seat Reclining apparatus for vehicle | |
JP3284081B2 (ja) | 車両座席用ヒンジ | |
US8328288B2 (en) | Detent fitting for locking two vehicle parts | |
KR102663170B1 (ko) | 시트 리클라이너 | |
EP1193110A1 (en) | Seat reclining device | |
JP3755858B2 (ja) | リクライニング装置 | |
US6634714B1 (en) | Sliding pin seat hinge assembly | |
JP4596694B2 (ja) | リクライニング装置 | |
KR102166950B1 (ko) | 차량용 시트의 리클라이너 | |
KR20200139375A (ko) | 시트 리클라이너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