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62306B1 - 이중 레일을 활용한 조리 방법 - Google Patents

이중 레일을 활용한 조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62306B1
KR102662306B1 KR1020230157107A KR20230157107A KR102662306B1 KR 102662306 B1 KR102662306 B1 KR 102662306B1 KR 1020230157107 A KR1020230157107 A KR 1020230157107A KR 20230157107 A KR20230157107 A KR 20230157107A KR 102662306 B1 KR102662306 B1 KR 1026623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
housing
cooking
food
spe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571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인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인터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인터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인터텍
Priority to KR10202301571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6230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23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2306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4Roasting apparatus with movably-mounted food supports or with movable heating implements; Spits
    • A47J37/044Roasting apparatus with movably-mounted food supports or with movable heating implements; Spits with conveyors moving in a horizontal or an inclined plan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32Time-controlled igniting mechanisms or alarm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45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with motor-driven food suppo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3/00Control devices, e.g. for safety, warning or fault-correcting
    • B65G43/10Sequence control of conveyors operating in combin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35Contai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음식물이 레일의 움직임을 따라 이동하며 조리되는 조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 하우징의 내부에 식품을 투입하는 투입단계, 상기 하우징의 외측에 돌출 형성된 회전축은 제1레일이 접하고, 회전축에 형성된 톱니는 제2레일과 접하는 배치단계, 및 제어부가 상기 제1레일의 이동속도를 제어하는 조리시간 제어단계 및 상기 제2레일의 이동속도 및 이동방향을 제어하는 회전속도 제어단계를 포함하는 조리단계를 포함한다. 하우징을 이동시키는 제1레일과 하우징을 회전시키는 제2레일은 각각 독립적으로 이동속도를 제어함으로써 식품이 최적의 조건으로 조리 가능한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이중 레일을 활용한 조리 방법 {Cooking method using double rails}
본 발명은 조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 자세하게는 음식물이 레일의 움직임을 따라 이동하며 조리되는 조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음식물을 조리하는 방식은 불에 직접 노출시켜 조리하는 방식과 가열판을 통해 조리하는 방식, 및 열풍을 이용하여 조리하는 방식 등이 있다. 위와 같은 여러 조리 방식 중 불에 직접 노출시켜 조리하는 방식이 숯불 또는 장작불의 향이 음식물에 베어 많은 사람이 선호한다.
일반적으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095872호와 같이 식품공장에서는 대량의 음식제품을 생산하기 위해 터널 형태의 구이장치를 이용한다. 조리장치의 내부에 배치되고, 식품을 상측에 배치되어 이동시키는 레일, 레일의 상측 또는 하측에 배치된 가열부를 포함한다. 식품은 레일을 통해 이동하며 가열되고, 출구 측에는 조리가 완료된 완성품이 배출된다.
식품의 조리는 가열부의 온도와 레일의 이동속도에 의한 체류시간에 의해 결정된다. 이때, 가열부는 상측, 하측, 또는 상하측에 배치됨으로 얇은 형태의 식품 이외 덩어리 형태의 식품이 골고루 조리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095872호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식품이 레일을 따라 이동하며 자동으로 조리되되, 식품이 골고루 가열되는 이중 레일을 활용한 조리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가열부의 온도와 조리시간 뿐만 아니라 바스켓의 회전속도를 독립적으로 제어 가능한 이중 레일을 활용한 조리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하우징의 내부에 식품을 투입하는 투입단계, 상기 하우징의 외측에 돌출 형성된 회전축은 제1레일이 접하고, 회전축에 형성된 톱니는 제2레일과 접하는 배치단계, 및 제어부가 상기 제1레일의 이동속도를 제어하는 조리시간 제어단계 및 상기 제2레일의 이동속도 및 이동방향을 제어하는 회전속도 제어단계를 포함하는 조리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회전속도 제어단계는 상기 제1레일과 상기 제2레일의 상대속도에 따라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회전속도 제어단계는 상기 제2레일이 정지하고, 상기 제1레일이 출구를 향하여 이동되는 제1모드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회전속도 제어단계는 상기 제1레일과 상기 제2레일이 출구를 향하여 이동되되, 상기 제2레일의 이동속도가 상기 제1레일의 이동속도보다 느리게 설정된 제2모드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회전속도 제어단계는 상기 제1레일이 출구를 향하여 이동하고, 상기 제2레일이 입구를 향하여 이동되는 제3모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식품을 하우징에 투입하고, 하우징을 회전시켜 식품이 골고루 가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하우징을 이동시키는 제1레일과 하우징을 회전시키는 제2레일은 각각 독립적으로 이동속도를 제어함으로써 식품이 최적의 조건으로 조리 가능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의 측면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의 정면도이다.
도 3은 하우징의 전면도이다.
도 4는 하우징의 측면도이다.
도 5는 하우징의 다른 실시예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의 정면 확대도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의 측면 확대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적용 가능한 석쇠의 실시예이다.
도 8 내지 도 10은 실시예의 동작 예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을 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중 레일을 활용한 조리 방법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의 측면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길이방향으로 프레임(100)이 형성되며, 일측에 하우징이 투입되는 입구와 프레임(100) 내부에는 환기부(200), 이송부(300) 및 가열부(400)가 배치된다. 환기부(200)는 프레임(100)의 상단에 배치되며, 조리 시 발생되는 연기를 흡입한다.
프레임(100)의 외형은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며, 내부에는 조리에 필요한 구성이 배치된다. 일 측에는 조리가 필요한 식품 또는 식품이 담긴 하우징이 투입되는 입구가 형성되고, 타 측에는 조리가 완료된 식품 또는 식품이 담긴 하우징이 토출되는 출구가 형성된다.
하우징은 열에 의해 변형이 적고, 열에 의해 유해물질이 발생하지 않는 재질로 형성된다. 하우징은 형태에 따라 식품을 보관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다. 하우징의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이하 기재된 하우징은 식품이 담긴 하우징을 포함하여 해석할 수 있다.
환기부(200)는 프레임(100)의 상단에 배치된다. 조리 시 프레임(100) 내부에서 발생되는 연기를 흡입하고, 외부로 배출한다. 환기부(200)는 건물의 환기시설과 연결될 수 있으며, 건물 외부와 연결될 수 있다. 환기부(200)를 통해 실내의 공기질을 유지할 수 있으며, 작업자가 안전하게 작업하는 장점이 있다.
이송부(300)는 프레임(100)의 내부에 형성되며, 프레임(100)의 입구부터 출구까지 길이방향으로 형성된다. 프레임(100)으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하우징이 원활하게 투입되고, 토출되는 하우징을 원활하게 운반할 수 있다. 이송부(300)는 복수개의 레일과 레일을 구동하는 기어 및 모터로 구성된다. 레일에 의해 하우징이 일정 속도로 이동된다. 레일의 속도는 하우징이 프레임(100) 내부에 체류하는 시간과 연관성을 갖는다. 레일의 속도가 증가할수록 체류시간이 감소하여 조리시간이 줄어든다. 레일의 속도가 감소할수록 체류시간이 증가하여 조리시간이 증가한다.
가열부(400)는 이송부(300)의 하단에 형성된다. 가열부(400)는 전기를 에너지원으로 하는 열선, 가스를 에너지원으로 하는 버너, 및 숯을 에너지원으로 하는 화로를 포함한다. 조리방식에 따라 가열부(400)의 에너지원이 선택된다. 본 실시예는 직화가 가능하며, 안전하게 제어 가능한 버너를 일예로 설명하도록 한다. 가열부(400)의 일예로는 너비방향으로 형성된 버너가 길이방향으로 복수개 형성된다. 가열부(400)의 다른 예로는 이송부(300)를 따라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되, 조리되는 식품의 기름이 떨어지도록 버너가 가장자리에만 형성될 수 있다. 조리방식에 따라 각 버너는 점화여부 및 화력이 제어된다. 이때, 가열부(400)는 이송부(300)의 상측, 하측 및 양측 중 어느 하나에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입구 측의 외부 장치가 하우징(600)을 자동을 투입하고, 출구 측의 외부장치가 토출된 하우징을 운반할 수 있다.
도 2는 일 실시예의 정면도이다. 도 2를 참고하면, 프레임(100)의 내부 하단에는 연료를 공급받아 열이 발생하는 가열부(400)가 배치되고, 가열부(400)와 높이방향으로 이격되어 이송부(300)가 배치된다. 이송부(300)는 레일이 쌍을 이루며, 너비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레일 사이에 하우징(600)이 배치된다. 이송부(300)의 상측에는 가열에 의한 연기를 포집하는 포집부(210)를 포함하는 환기부(200)가 배치된다.
프레임(100)은 지면과 접하여 배치되며, 내부 및 외부에 조리에 필요한 구성이 연결된다. 프레임(100)의 중앙에는 하우징(600)이 이동하며 조리되는 통로가 형성된다. 통로의 좌우측에는 이송부(300)가 배치되고, 통로의 하단에는 가열부(400)가 배치되며, 통로의 상단에는 환기부(200)가 배치된다.
가열부(400)는 하단에 형성된 가스공급라인(410)으로부터 가스를 공급받고, 하단 가장자리에 형성된 급기라인(420)으로부터 공기를 공급받아 작동한다. 가스공급라인(410)은 프레임(100)의 외측에 배치된 가스탱크(미도시) 또는 도시가스라인(미도시)과 연결된다. 급기라인(420)은 공기를 공급하는 모터(미도시)와 연결된다.
이송부(300)는 하우징(600)의 중앙에 배치되며, 레일이 쌍을 이루어 형성된다. 레일은 너비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본 발명은 이중 레일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자세한 이중 레일 구조의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프레임(100) 내부에는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계가 배치된다. 제어부는 온도센서로부터 온도정보를 입력받으며, 기 설정된 온도를 만족한 경우 이송부(300)가 운전된다. 이는 일정한 품질을 유지하기 위한 것으로 작업 전 프레임(100) 내부의 설정온도를 만족한 후 조리가 실시된다.
일 실시예의 하우징(600)은 내부에 식품이 배치되는 공간이 형성된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하우징(600)은 이송부(300)와 접하도록 좌우측에 돌출 형성된 회전축을 포함하고 있어, 이송부(300)의 작동에 따라 이동된다.
환기부(200)는 프레임(100)의 상단에는 식품 조리 시 발생되는 연기를 포집하는 포집부(210)가 형성되고, 외부와 연통되어 배출한다. 환기부(200)는 건물의 환기시설 또는 외부와 연결되며, 연기를 흡입하여 배출하는 모터가 더 포함된다.
프레임(100)의 외측에는 프레임(100)의 외측에 배치된 물탱크(510), 외부의 급수 장치 및 상기 물탱크(510)와 연결되고, 상기 프레임(100)의 내부에 상기 레일부와 상측으로 이격 배치된 분사부(540)를 포함하는 습도조절부(500)가 배치된다.
프레임(100) 내부에는 습도를 측정하는 습도계가 배치된다. 제어부는 습도센서로부터 습도정보를 입력받으며, 기 설정된 습도보다 낮은 경우, 분사부(540)에서 물을 분사하도록 제어한다. 물탱크(510)는 프레임의 외측에 배치되고, 펌프(520)와 유로(530)에 의해 프레임 내부로 물을 공급한다. 유로의 단부에는 분사부가 배치되며, 분사부(540)를 통해 물을 분사한다. 이때, 분사부(540)는 하우징(600)에 직접 분사되지 않도록 상방향으로 분사한다. 또한, 분사부(540)는 확산이 용이한 작은 물 입자를 분사하여 내부 습도를 조절한다.
분사부(540)가 상방향으로 분사되더라도 분사부(540) 아래를 지나는 하우징(600)에 물방울이 떨어질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분사부와 가열부를 분리하여 식품에 물이 직접 분사되지 않도록 분사부(540)와 레일부의 사이에 배치되고, 중앙보다 가장자리 높이가 낮게 형성된 커버(550)가 배치된다. 커버(550)를 통해 하우징(600)에 물이 직접적으로 닿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가열부(400)에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커버의 하측 단부에 물이 수집되고 물배출부(560)를 통해 물을 외부로 배출된다.
도 3과 도 4는 하우징의 실시예이다. 도 3은 하우징의 전면도이다. 도 3을 참고하면, 하우징(600)은 원통형 바스켓 형태로 형성된다. 식품이 배치되는 공간이 형성되며, 중앙에 회전축(610)이 배치된다. 회전축(610)은 하우징(600)을 관통하거나, 하우징(600)의 외부 좌우측에 배치된다. 회전축(610)의 원주에는 톱니(620)가 배치된다.
도 4는 하우징(600)의 측면도이다. 도 4를 참고하면, 원통형 바스켓 형태의 하우징(600)은 반원형 구조물의 결합체로 형성된다. 하우징(600)의 일 측에는 힌지(630)가 배치되고 타 측에는 결합장치(640)가 배치되어 개폐가 가능하다. 하우징(600)의 중앙에는 회전축(610)이 배치되고, 회전축(610)의 외주면에는 톱니(620)가 배치된다.
하우징(600)은 내부에 배치된 식품에 간접 및 직접적으로 열을 공급하기 위해 격자형태로 형성된다. 또한, 식품을 원활하게 회전 및 혼합시키기 위해 하우징(600)의 내측에 돌출구조물(미도시)이 더 배치될 수 있다.
도 5는 하우징의 다른 실시예이다. 도 5를 참고하면, 하우징(600)은 두 개의 판이 겹쳐진 석쇠 형태를 갖는다. 좌우측에는 회전축(610)이 배치되고, 회전축(610)의 외주면에는 톱니(620)가 배치된다. 식품은 두 개의 판 사이에 배치되어 고정된다. 이를 통해 식품의 형상을 유지한 상태에서 조리되는 장점을 가진다.
하우징은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은 복수개의 구조물이 결합되어 형성되고 단면이 원통형, 다각형 및 타원형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된 결합체로 형성되며, 개폐 가능하도록 일 측에 배치된 힌지, 및 타 측에 배치된 결합장치를 포함한다.
도 6은 일 실시예의 정면 확대도이다. 도 6을 참고하면, 프레임의 내부에 배치되며, 쌍을 이루고 진행방향에 수직으로 이격 배치된 제1레일(310) 및 쌍을 이루고 상기 제1레일(310)의 내측에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2레일(320)을 포함하는 이송부, 상기 이송부(300)의 하측에 이격되어 배치되는 가열부, 식품이 배치되는 하우징(600), 상기 하우징(600)의 외측에 돌출 형성되며, 상기 제1레일(310)과 접하도록 배치된 회전축(610), 및 상기 회전축(610)에 형성되며, 상기 제2레일(320)과 접하는 톱니(620)를 포함하는 하우징(600); 및 상기 제1레일(310)과 상기 제2레일(320)의 이동속도를 각각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송부(300)는 한 쌍의 제1레일(310)과 한 쌍의 제2레일(320)로 형성된다. 제1레일(310)과 제2레일(320)은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며, 길이방향으로 작동된다. 한 쌍의 제1레일(310)은 하우징(600)의 회전축(610)과 접하도록 너비 이격되어 배치된다. 제1레일(310)은 하우징(600)의 회전축(610)과 접하도록 배치되며, 제1레일(310) 상에 일정 간격으로 가이드(311)가 형성된다. 가이드(311)는 상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며, 회전축(610)과 접하여 출구를 향하여 함께 이동한다. 가이드(311)는 한 쌍의 제1레일(310) 중 양 측 또는 일 측에 형성된다.
제2레일(320)은 쌍을 이루며, 한 쌍의 제1레일(310)의 내측에 배치된다. 제2레일(320)은 길이방향으로 배치되고, 회전축(610)에 배치된 톱니(620)와 접한다. 제2레일(320)의 이동에 따라 톱니(620)가 회전하여 하우징(600)에 회전력을 전달한다. 제2레일(320)은 조리방법에 따라 작동여부가 결정되고, 입구 측 또는 출구 측으로 작동된다. 제2레일(320)의 자세한 움직임은 후술하도록 한다. 제어부는 제1레일(310)과 제2레일(320)의 동작 여부, 속도, 방향을 각각 제어할 수 있다.
이 때, 제1레일은 제2레일의 외측 또는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도 7은 일 실시예의 측면 확대도이다. 도 7을 참고하면, 이송부(300)의 상측에 복수개의 하우징(600)이 배치된다. 더 자세하게는 하우징(600)의 회전축(610)은 제1레일(310)과 접하도록 배치되고, 제1레일(310) 상에 일정간격으로 배치된 가이드(311)에 의해 출구방향으로 이송된다. 이를 통해 제1레일(310)의 이동속도에 따라 식품의 조리시간이 결정된다.
이때 가이드(311)는 상단에 회전축(610)이 삽입되는 배치홈(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배치홈에 회전축(610)이 삽입된 경우, 이동에 의한 흔들림 및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하우징(600)의 톱니(620)는 이송부(300)의 제2레일(320)과 접하도록 배치된다. 톱니(620)는 제2레일(320)과 교차되며 회전하며, 회전축(610) 및 하우징(600)에 회전력이 전달된다. 이때, 제2레일(320)의 속도에 따라 하우징(600)의 회전속도가 결정된다. 더 정확하게는 제1레일(310)과 제2레일(320)의 상대속도에 따라 하우징(600)의 회전속도가 결정된다. 예를 들어, 제1레일(310)과 제2레일(320)이 동일한 방향, 동일한 속도로 작동하는 경우, 하우징(600)은 회전하지 않고 출구 측으로 이송된다. 또한, 제2레일(320)이 움직이지 않은 경우, 제1레일(310)의 이동속도에 하우징(600)의 회전속도가 결정된다.
제1레일(310)과 제2레일(320)의 상대속도를 이용하여 하우징(600)의 회전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식품이 타지 않고 골고루 조리되는 장점이 있다.
도 8 내지 도 10은 실시예의 동작 예시도이다. 도 8을 참고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레일(320)이 정지하고, 상기 제1레일(310)이 출구를 향하여 이동되는 제1모드를 포함한다. 제1모드는 제1레일(310)의 이동속도에 따라 하우징(600)의 회전속도 및 조리시간이 결정된다. 이때, 하우징(600)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며 진행한다.
이때, 제1레일(310)의 작동에 의해 가이드(311)는 회전축(610)의 후측에 배치되어 하우징(600)이 출구를 향하여 이동된다.
제1모드는 바람직한 조리시간 및 방법을 탐색하기 위해 기준이 되는 모드이다. 조리시간이 짧아 식품이 덜 익은 경우, 제1레일(310)의 이동속도를 감소시켜 조리시간을 증가시키며, 식품이 과도하게 익거나 탄 경우, 제1레일(310)의 이동속도를 증가시켜 조리시간을 감소시킨다.
제1모드에서 조리시간을 설정한 후, 제2모드 및 제3모드를 통해 하우징(600)의 회전속도를 조절하여 식품이 골고루 조리되도록 한다.
도 9를 참고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레일(310)과 상기 제2레일(320)이 출구를 향하여 이동되되, 상기 제2레일(320)의 이동속도가 상기 제1레일(310)의 이동속도보다 느리게 설정된 제2모드를 포함한다.
제2모드는 하우징(600)의 회전속도를 감소하기 위한 모드이다. 제2모드는 제2레일(320)이 출구를 향하여 이동하되 제1레일(310)보다 이송속도가 늦게 작동된다. 이를 통해 제1레일(310)과 제2레일(320)의 상대속도가 감소하여 하우징(600)의 회전속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제2모드의 활용 예시로는 하우징(600)의 내부의 식품이 회전에 의해 형태가 변형된 경우 회전속도를 감소시켜 형태를 유지할 수 있다.
도 10을 참고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레일(310)이 출구를 향하여 이동하고, 상기 제2레일(320)이 입구를 향하여 이동되는 제3모드를 포함한다.
제3모드는 하우징(600)의 회전속도를 증가시키기 위한 모드이다. 제3모드는 제2레일(320)이 입구를 향하여 이동함으로써, 제1레일(310)과 제2레일(320)의 상대속도를 증가시킨다. 이를 통해 하우징(600)의 회전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제3모드의 활용 예시로는 짧은 조리시간동안 강한 화력에 조리한 경우, 식품이 타지 않도록 하우징(600)의 회전속도를 빠르게 제어할 수 있다.
제4모드는 제1레일(310)과 제2레일(320)의 이동방향 및 이동속도가 동일하게 설정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제1레일(310)과 제2레일(320)의 상대속도가 0에 수렴하여 하우징(600)이 회전하지 않고 조리된다.
이때, 가이드(311)에 배치홈이 형성된 경우 회전축(610)은 배치홈에 배치되어 이동되며, 상기 제1모드, 제2모드, 제3모드 및 제4모드로 운전될 수 있다.
이외 본 발명은 기존의 활용과 같이 상기 제1레일(310)에 판형태의 불판이 배치되어 회전 없이 조리가 진행될 수 있다. 또한, 하우징(600)의 상측에 가열부(400)가 더 배치되어 조리 될 수 있다.
본 발명을 이용한 조리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하우징의 내부에 식품을 투입하는 투입단계, 상기 하우징의 외측에 돌출 형성된 회전축은 제1레일이 접하고, 회전축에 형성된 톱니는 제2레일과 접하는 배치단계, 및 제어부가 상기 제1레일의 이동속도를 제어하는 조리시간 제어단계 및 상기 제2레일의 이동속도 및 이동방향을 제어하는 회전속도 제어단계를 포함하는 조리단계를 포함한다.
투입단계는 하우징이 원통형으로 형성된 경우, 내부공간에 식품을 배치하며, 도 5와 같이 석쇠형태의 판형으로 형성된 경우, 판과 판 사이에 식품을 배치한다.
배치단계는 하우징의 회전축이 제1레일 상에 배치되고, 톱니는 제2레일 상에 배치된다.
조리단계는 기 설정된 제1레일의 이동속도, 제2레일의 작동여부, 이동속도, 및 이동방향에 따라 작동된다. 이때, 조리단계는 가열부의 화력조절과 습도조절부의 습도조절을 포함한다.
조리시간 제어단계는 제어부가 제1레일의 이동속도를 제어한다. 조리시간은 제1레일의 이동속도에 반비례한다.
회전속도 제어단계는 상기 제1레일과 상기 제2레일의 상대적 이동속도에 따라 제어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제1모드, 제2모드, 제3모드, 및 제4모드를 통해 하우징의 회전여부 및 회전속도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제1레일과 제2레일을 각각 제어가 가능하며, 제1레일의 이동속도와 제2레일의 동작여부, 이동속도, 및 이동방향을 제어함으로써 바람직한 조리방법으로 조리할 수 있다. 또한, 습도조절부를 통해 습도를 조절하고, 가열부를 통해 온도를 조절하여 요구되는 조건에서 조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00 : 프레임
110 : 포집부
200 : 환기부
300 : 이송부
310 : 제1레일 311 : 가이드
320 : 제2레일
400 : 가열부
410 : 가스공급라인 420 : 급기라인
500 : 습도조절부
510 : 물탱크 520 : 펌프
530 : 유로 540 : 분사부
550 : 커버 560 : 물배출부
600 : 하우징
610 : 회전축 620 : 톱니
630 : 힌지

Claims (5)

  1. 하우징의 내부에 식품을 투입하는 투입단계;
    상기 하우징의 외측에 돌출 형성된 회전축은 제1레일이 접하고, 회전축에 형성된 톱니는 제2레일과 접하는 배치단계; 및
    제어부가 상기 제1레일의 이동속도를 제어하는 조리시간 제어단계 및 상기 제2레일의 이동속도 및 이동방향을 제어하는 회전속도 제어단계를 포함하는 조리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속도 제어단계는 상기 제1레일이 출구를 향하여 이동하고, 상기 제2레일이 입구를 향하여 이동되는 제3모드를 포함하는 이중 레일을 활용한 조리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속도 제어단계는 상기 제1레일과 상기 제2레일의 상대속도에 따라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레일을 활용한 조리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속도 제어단계는 상기 제2레일이 정지하고, 상기 제1레일이 출구를 향하여 이동되는 제1모드를 포함하는 이중 레일을 활용한 조리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속도 제어단계는 상기 제1레일과 상기 제2레일이 출구를 향하여 이동되되, 상기 제2레일의 이동속도가 상기 제1레일의 이동속도보다 느리게 설정된 제2모드를 포함하는 이중 레일을 활용한 조리 방법.
  5. 삭제
KR1020230157107A 2023-11-14 2023-11-14 이중 레일을 활용한 조리 방법 KR1026623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57107A KR102662306B1 (ko) 2023-11-14 2023-11-14 이중 레일을 활용한 조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57107A KR102662306B1 (ko) 2023-11-14 2023-11-14 이중 레일을 활용한 조리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62306B1 true KR102662306B1 (ko) 2024-05-03

Family

ID=910769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57107A KR102662306B1 (ko) 2023-11-14 2023-11-14 이중 레일을 활용한 조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6230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9476B1 (ko) * 2005-11-02 2007-05-18 김주년 회전식 숯불 구이장치용 고기 거치대
KR102095872B1 (ko) 2019-04-22 2020-04-01 김경남 터널식 자동 구이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9476B1 (ko) * 2005-11-02 2007-05-18 김주년 회전식 숯불 구이장치용 고기 거치대
KR102095872B1 (ko) 2019-04-22 2020-04-01 김경남 터널식 자동 구이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95117B1 (en) High speed variable size toaster
US4389562A (en) Conveyor oven
EP1797758B1 (en) Continuous cooking oven system
US6817283B2 (en) High speed cooking device and method
ES2292254T3 (es) Horno de conveccion de alta velocidad de transferencia de calor con fuinciones de tratamiento de grasa y reduccion de humos.
US5329916A (en) Oven
US4418615A (en) Convection barbecue pit
DE2700332A1 (de) Auf strahlungs- oder konvektionsarbeitsweise schaltbarer backofen und herd mit derartigem backofen
JPH11264550A (ja) オ―ブン、ト―スタ―及びオ―ブント―スタ―
EP0043959A2 (de) Gas- oder elektrisch beheizter Umluftofen zum Garen von Lebensmitteln
CN100392326C (zh) 一种用于烘烤食物的烤箱
KR102662306B1 (ko) 이중 레일을 활용한 조리 방법
KR102662300B1 (ko) 이중 레일을 활용한 조리 시스템
JP2017217060A (ja) 連続焼成機及びカバー付ヒーター
KR101366121B1 (ko) 어묵 양면 구이기
CN117545958A (zh) 具有独立的烹饪模块的组合式烤箱
KR20220135268A (ko) 고기 구이장치
DE3345746C2 (ko)
CN207152486U (zh) 无烟无明火纳米保温食品烧烤烹饪炉具
DE3031041A1 (de) Gas- oder elektrisch beheizter umluftofen
KR100424283B1 (ko) 음식물의 조리방법 및 장치
JP6410471B2 (ja) 加熱調理器
TWM242007U (en) Baking oven
JPS5925310Y2 (ja) 熱風直接噴射接触加熱式オ−ブン
KR200371829Y1 (ko) 육류구이기의 가스식 화덕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