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61889B1 - 속기 한글 자판 - Google Patents

속기 한글 자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61889B1
KR102661889B1 KR1020220000537A KR20220000537A KR102661889B1 KR 102661889 B1 KR102661889 B1 KR 102661889B1 KR 1020220000537 A KR1020220000537 A KR 1020220000537A KR 20220000537 A KR20220000537 A KR 20220000537A KR 102661889 B1 KR102661889 B1 KR 1026618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
keys
pressing
entered
same ti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005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105241A (ko
Inventor
류승화
Original Assignee
류승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류승화 filed Critical 류승화
Priority to KR10202200005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61889B1/ko
Publication of KR202301052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052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18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1889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02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input device
    • G06F3/0219Special purpose keyboar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8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riental charac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개시된 본 발명에 따른 속기 한글 자판은, 지천천인 동시 방식으로 초성, 중성 및 종성을 조합하여 문자를 입력하는 속기 한글 자판으로, 하1단에 중성인 지(ㅡ)키, 천(ㅓ)키, 천(ㅏ)키 및 인(ㅣ)키와, 스페이스바가 배열되고, 상기 하1단의 상측에 초성, 종성, 숫자 및 기호에 해당하는 키가 각각 배열되며, 상기 스페이스바의 단독 입력 시 글자 띄어쓰기가 실행되고, 상기 스페이스바와 중성키의 동시 입력 시 문자가 완성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지천천인 스페이스바 초중 종성 한글컴퓨터 속기 동시 방식은 일반 키보드에서도 초성, 중성, 종성, 숫자, 기호를 모두 분리 배열시킬 수 있어서 동시치기 한글입력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일반 컴퓨터키보드와 겸용하기 때문에 가격이 저렴하고 일반인 누구나 쉽게 접할 수 있다. 그리고 모음자판이 매우 간단하여 오타율이 감소하고, 숫자와 기호를 분리시켜 시프트키가 필요 없이 그대로 누르면 빠르게 입력하도록 하였고, 기호와 스페이스바를 초성, 종성과 편리하게 하단과 모음의 중간에 있어서 수많은 속기 약어, 약타를 생성할 수 있어 손을 빠르게 누르고 입력하는 기존 속기방식에서 탈피해 보통의 입력속도에서도 신속히 한글입력이 가능하다. 또한, 손가락 타수가 적어 장시간 타이핑시 손관절 직업병이 유발될 수 있는 속기사의 질병 예방에도 도움이 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속기 한글 자판 {STENOGRAPHY HANGUL BOARD}
본 발명은 속기 한글 자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일반적인 컴퓨터 키보드에서 초성, 중성 및 종성을 동시에 누르는 방식으로 문자를 입력하여 한글 컴퓨터에 적용 가능한 속기 한글 자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속기의 사전적 의미는 무형의 음성적 언어나 영상이나 음성을 빠르고 정확하게 기록하여 이를 문자화하는 모든 활동을 의미하는 것이다.
속기는 말로 나타내는 언어를 문자화하는 특징에서 볼 때 필기의 일종이므로, 말의 언어를 기록 보존하기 위한 녹음과는 본질적으로 다르다.
이러한, 속기는 손으로 쓰는 수필 속기부터 타자기 속기, 컴퓨터 자판으로 내용을 입력하는 컴퓨터를 이용한 속기까지 발전하여 오다가 사람이 기록하기 어려웠던 부분까지도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가 개발됨에 따라 가능하게 되었다.
더욱이, 컴퓨터를 이용한 속기가 보편화되면서 다양한 속기 키보드가 개발되고 있다. 속기 키보드는 일반적인 컴퓨터용 키보드와 달리, 특수하게 자판 배열이 되어 있고, 키스위치의 숫자가 적다.
이러한, 속기 키보드와 관련된 기술이 한국등록특허 제1552478호에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은 상부 자판과 하부 자판 사이에 검지, 중지, 약지 및 소지와 엄지의 거리를 뒤기 위해 빈공간이 형성되므로 일반 키보드에 적용하기 난해한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등록특허 제1552478호(2015.09.07)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일반 컴퓨터 키보드의 2, 3, 4단 1~5열 좌상단 초성, 6~10열 우상단 종성 배열과 하1단 지천천인(ㅡ··ㅣ)키 및 스페이스바 중성의 한글 컴퓨터 속기 동시 방식을 적용한 속기 한글 자판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속기 한글 자판은, 지천천인 동시방식으로 초성, 중성 및 종성을 조합하여 문자를 입력하는 속기 한글 자판으로, 하1단에 중성인 지(ㅡ)키, 천(ㅓ)키, 천(ㅏ)키 및 인(ㅣ)키와, 스페이스바가 배열되고, 상기 하1단의 상측에 초성, 종성, 숫자 및 기호에 해당하는 키가 각각 배열되며, 상기 스페이스바의 단독 입력 시 글자 띄어쓰기가 실행되고, 상기 스페이스바와 중성키의 동시 입력 시 문자가 완성될 수 있다.
상기 하1단은 지(ㅡ)키, 천(ㅓ)키, 스페이스바, 천(ㅏ)키 및 인(ㅣ)키 순으로 배열되고, 상기 하1단의 상측 1단 자리에 기호 ^, @, *, <, >, (, ), /, #, & 키 순으로 배열되고, 상기 1단의 상측 2단 자리에 초성 ㅁ, ㅇ, ㄹ, ㄴ, ㅎ 키와, 종성 ㅎ, ㅇ, ㅅ, ㅁ, ㅈ 키 순으로 배열되고, 상기 2단의 상측 3단 자리에 초성 ㅂ, ㄷ, ㅅ, ㄱ, ㅈ 키와 종성 ㅂ, ㄱ, ㄴ, ㄹ, ㄷ 키 순으로 배열되며, 상기 3단의 상측 4단 자리에 숫자 키와 초성 ㅍ, ㄸ, ㅌ, ㅊ, ㅋ 키 및 종성 ㅊ, ㄲ, ㅆ, ㅌ, ㅍ 키가 배열될 수 있다.
상기 초성 및 종성은 검지, 중지, 약지 및 소지로 해당 키를 눌려 입력하고, 중성은 엄지로 해당 키를 눌려 입력할 수 있다.
상기 ㅍ 키는 숫자 1, ㄸ 키는 숫자 2, ㅌ 키는 숫자 3, ㅊ 키는 숫자 4, ㅋ 키는 숫자 5, ㅊ 키는 숫자 6, ㄲ 키는 숫자 7, ㅆ 키는 숫자 8, ㅌ 키는 숫자 9, 및 ㅍ 키는 숫자 0이 입력될 수 있다.
상기 초성에서 ㄲ은 ㄱ 키와 ㅊ 키를 동시에 눌려 입력하고, ㅃ은 ㅂ 키와 ㅍ 키를 동시에 눌러 입력하고, ㅆ은 ㅅ 키와 ㅌ 키를 동시에 눌러 입력하며, ㅉ은 ㅈ 키와 ㅋ 키를 동시에 눌러 입력할 수 있다.
상기 종성에서 ㅋ은 ㄱ 키와 ㅊ 키를 동시에 눌려 입력하고, ㄳ은 ㄱ 키와 ㅅ 키를 동시에 눌려 입력하고, ㄵ은 ㄴ 키와 ㅈ 키를 동시에 눌려 입력하고, ㄶ은 ㄴ 키와 ㅎ 키를 동시에 눌려 입력하고, ㅄ은 ㅂ 키와 ㅅ 키를 동시에 눌려 입력하고, ㄺ은 ㄹ 키와 ㄱ 키를 동시에 눌려 입력하고, ㄻ은 ㄹ 키와 ㅁ 키를 동시에 눌려 입력하고, ㄼ은 ㄹ 키와 ㅂ 키를 동시에 눌려 입력하고, ㄾ은 ㄹ 키와 ㅌ 키를 동시에 눌려 입력하고, ㄿ은 ㄹ 키와 ㅍ 키를 동시에 눌려 입력하며, ㅀ은 ㄹ 키와 ㅎ 키를 동시에 동시에 눌려 입력할 수 있다.
상기 스페이스바는 중성과 함께 누르면 ㅑ, ㅕ, ㅛ, ㅠ, ㅞ, ㅖ, ㅒ가 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지천천인 동시 방식으로 초성, 중성 및 종성을 조합하여 문자를 입력하는 속기 한글 자판으로, 하1단에 중성인 지(ㅡ)키, 천(ㅓ)키, 천(ㅏ)키 및 인(ㅣ)키와, 스페이스바가 배열되고, 상기 하1단의 상측에 초성, 종성, 숫자 및 기호에 해당하는 키가 각각 배열되며, 상기 스페이스바의 단독 입력 시 글자 띄어쓰기가 실행되고, 상기 스페이스바와 중성키의 동시 입력 시 문자가 완성되고, 상기 하1단은 지(ㅡ)키, 천(ㅓ)키, 스페이스바, 천(ㅏ)키 및 인(ㅣ)키 순으로 배열되고, 상기 하1단의 상측 1단 자리에 기호 ^, @, *, <, >, (, ), /, #, & 키 순으로 배열되고, 상기 1단의 상측 2단 자리에 초성 ㅁ, ㅇ, ㄹ, ㄴ, ㅎ 키와, 종성 ㅎ, ㅇ, ㅅ, ㅁ, ㅈ 키 순으로 배열되고, 상기 2단의 상측 3단 자리에 초성 ㅂ, ㄷ, ㅅ, ㄱ, ㅈ 키와 종성 ㅂ, ㄱ, ㄴ, ㄹ, ㄷ 키 순으로 배열되며, 상기 3단의 상측 4단 자리에 숫자 키와 초성 ㅍ, ㄸ, ㅌ, ㅊ, ㅋ 키 및 종성 ㅊ, ㄲ, ㅆ, ㅌ, ㅍ 키가 배열되고, 상기 초성에서 ㄲ은 ㄱ 키와 ㅊ 키를 동시에 눌러 입력하고, ㅃ은 ㅂ 키와 ㅍ 키를 동시에 눌러 입력하고, ㅆ은 ㅅ 키와 ㅌ 키를 동시에 눌러 입력하며, ㅉ은 ㅈ 키와 ㅋ 키를 동시에 눌러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지천천인 스페이스바 초중 종성 한글컴퓨터 속기 동시 방식은 일반 키보드에서도 초성, 중성, 종성, 숫자, 기호를 모두 분리 배열시킬 수 있어서 동시치기 한글입력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일반 컴퓨터키보드와 겸용하기 때문에 가격이 저렴하고 일반인 누구나 쉽게 접할 수 있다. 그리고 모음자판이 매우 간단하여 오타율이 감소하고, 숫자와 기호를 분리시켜 시프트키가 필요 없이 그대로 누르면 빠르게 입력하도록 하였고, 기호와 스페이스바를 초성, 종성과 편리하게 하단과 모음의 중간에 있어서 수많은 속기 약어, 약타를 생성할 수 있어 손을 빠르게 누르고 입력하는 기존 속기방식에서 탈피해 보통의 입력속도에서도 신속히 한글입력이 가능하다. 또한, 손가락 타수가 적어 장시간 타이핑시 손 관절 직업병이 유발될 수 있는 속기사의 질병 예방에도 도움이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속기 한글 자판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속기 한글 자판에서 중성키인 지천천인 및 스페이스바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속기 한글 자판과 기존 자판을 비교한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상기와 같은 목적, 특징 및 다른 장점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함으로써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속기 한글 자판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속기 한글 자판을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속기 한글 자판에서 중성키인 지천천인 및 스페이스바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속기 한글 자판과 기존 자판을 비교한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속기 한글 자판(100)은 일반 컴퓨터 키보드의 2, 3, 4단 1~5열 좌상단에 초성이 배열되고, 일반 컴퓨터 키보드의 2, 3, 4단 6~10열 우상단에 종성이 배열되며, 하1단 지천천인(ㅡ, ·, ·, ㅣ)키(110~140) 및 스페이스바(150)이 포함된 중성이 배열된다.
즉, 본 발명의 속기 한글 자판(100)은 하1단에 지(-)키(110), 천(ㅓ)키(120), 스페이스바(150), 천(ㅏ)키(130) 및 인(ㅣ)키(140) 순으로 배열된다.
그리고 하1단의 상측 1단 자리에 기호인 ^, @, *, <, >, (, ), /, #, & 키 순으로 배열된다.
그리고 1단의 상측 2단 자리에 초성인 ㅁ, ㅇ, ㄹ, ㄴ, ㅎ 키와, 종성인 ㅎ, ㅇ, ㅅ, ㅁ, ㅈ 키 순으로 배열된다.
또한, 2단의 상측 3단 자리에 초성인 ㅂ, ㄷ, ㅅ, ㄱ, ㅈ 키와 종성인 ㅂ, ㄱ, ㄴ, ㄹ, ㄷ 키 순으로 배열된다.
마지막으로, 3단의 상측 4단 자리에 숫자 키와 초성인 ㅍ, ㄸ, ㅌ, ㅊ, ㅋ 키 및 종성인 ㅊ, ㄲ, ㅆ, ㅌ, ㅍ 키가 배열된다.
이때, 초성 및 종성은 검지, 중지, 약지 및 소지로 해당 키를 눌려 입력하고, 중성은 엄지로 해당 키를 눌려 입력하게 된다.
한편, 하1단 중 스페이스바(150)의 양측에 지천천인(ㅡ, ·, ·, ㅣ)인 지(ㅡ)키(110), 천(ㅓ)키(120), 천(ㅏ)키(130)와, 인(ㅣ)키(140)가 배치되어 모든 모음자의 입력이 가능하므로 일반 컴퓨터 키보드에서도 일음일타, 단어, 한 문장을 동시치기가 가능하도록 하였다.
그리고 스페이스바(150)는 양측에 지(ㅡ)키(110), 천(ㅓ)키(120), 천(ㅏ)키(130)와, 인(ㅣ)키(140)와 같은 모음자가 배치되므로 일반 키보드에 적용하는 경우 길이가 짧아진다. 하지만, 인체공학 키보드에 적용하는 경우 5열과 6열의 거리가 길어서 스페이스바의 길이가 줄이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스페이스바(150)는 단독 입력 시 글자 띄어쓰기가 실행되고, 중성키의 동시 입력 시 문자가 완성된다.
모음자(중성)의 지천천인(ㅡ, ·, ·, ㅣ) 및 스페이스바 동시 입력방법은 다음과 같다.
이때, 하기 표 1과 같이 이응이 초성에서의 음가가 실제하지만 속기 키보드에서는 이응을 누르지 않고 입력하여도 아, 어, 오, 우 등의 글자가 입력된다. 그리고 실제 초성 이응과 모음을 동시에 누르면 어간의 활용이나 약어, 약타로 만들어 신속하게 기록을 할 수 있다.
이렇게, 지천천인(ㅡ, ·, ·, ㅣ)키(110~140) 자체나, 지천천인(ㅡ, ·, ·, ㅣ)키(110~140)와 스페이스바(150)를 함께 이용하여 "ㅏ, ㅑ, ㅓ, ㅕ, ㅗ, ㅛ, ㅜ, ㅠ, ㅡ, l, ㅢ, ㅟ, ㅝ, ㅞ, ㅔ, ㅖ, ㅐ, ㅒ, ㅘ, ㅙ 및 ㅚ"가 생성되며, 하기에서는 입력 방법을 설명하였다.
구분 입력 방법
천(ㅏ)키
천(ㅏ)키 + 스페이스바
천(ㅓ)키
천(ㅓ)키 + 스페이스바
천(ㅓ)키 + 지(ㅡ)키
천(ㅓ)키 + 지(ㅡ)키 + 스페이스바
지(ㅡ)키 + 천(ㅏ)키
지(ㅡ)키 + 천(ㅏ)키 + 스페이스바
지(ㅡ)키
인(ㅣ)키
지(ㅡ)키 + 인(ㅣ)키
지(ㅡ) + 천(ㅏ)키 + 인(ㅣ)키
천(ㅓ)키 + 천(ㅏ)키
지(ㅡ)키 + 스페이스바
천(ㅓ)키 + 인(ㅣ)키
천(ㅓ)키 + 스페이스바 + 인(ㅣ)키
천(ㅏ)키 + 인(ㅣ)키
천(ㅏ)키 + 인(ㅣ)키 + 스페이스바
천(ㅓ)키 + 지(ㅡ)키 + 천(ㅏ)키
천(ㅓ)키 + 지(ㅡ)키 + 천(ㅏ)키 + 인(ㅣ)키
천(ㅓ)키 + 지(ㅡ)키 + 인(ㅣ)키
더욱이, 스페이스바(150)는 중성과 함께 누르면 ㅑ, ㅕ, ㅛ, ㅠ, ㅞ, ㅖ, ㅒ가 입력된다.
초성자리에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초성은 2, 3, 4단 1, 2, 3, 4, 5열에 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ㅇ, ㅈ, ㅊ, ㅋ, ㅌ, ㅍ, ㅎ의 14개와 경음 중 빈도수가 많은 ㄸ 을 별도로 1개 배열하여 합계 15개이다.
4단 1~5열은 일반 키보드 숫자 자리에 격음 ㅋ ㅊ ㅌ ㅍ 과 ㄸ을 배열한다.
3단 1~5열은 평음 ㄱ ㄷ ㅂ ㅅ ㅈ 을 배열한다.
그리고 2단 1~5열은 울림소리 ㄴ ㄹ ㅁ ㅇ 과 ㅎ을 배열한다.
더욱이, 3단과 4단 중에 경음 배열에서 ㄱ+ㅊ은 ㄲ으로 동시에 누르면 경음이 되고, ㅂ+ㅍ은 ㅃ으로 동시에 누르면 경음이 되고, ㅅ+ㅌ은 ㅆ으로 동시에 누르면 경음이 되고, ㅈ+ㅋ은 ㅉ으로 동시에 누르면 경음이 된다.
평음의 윗자음을 닿으면 경음이 입력된다.
종성자리에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종성은 2, 3, 4단 6, 7, 8, 9, 10열에 배열한다.
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ㅇ, ㅈ, ㅊ, ㅌ, ㅍ, ㅎ의 13개와 겹받침 중 빈도수가 많은 ㄲ, ㅆ을 2개로 합계 15개이다. 이때, ㄱ+ㅊ은 ㅋ이 된다.
중성자리에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1단에서 스페이스바(150)의 좌측 지천(ㅡ·) 2개와 우측 천인(·ㅣ) 2개로 합계 4개이다.
숫자자리에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4단 1~10열에 위치한 일반 키보드에서 본 발명의 속기 한글 자판에서는 기존 숫자 자리는 그대로 두면서 초성 ㅍ, ㄸ, ㅌ, ㅊ, ㅋ과 종성 ㅊ, ㄲ, ㅆ, ㅌ, ㅍ을 배열한다. 이때. 초성과 종성은 그 자체만으로는 기본 한글이 입력되지 않고 중성을 닿아야 입력되기에 그 상태로 누르면, ㅍ 키는 숫자 1이 입력되고, ㄸ 키는 숫자 2가 입력되고, ㅌ 키는 숫자 3이 입력되고, ㅊ 키는 숫자 4가 입력되고, ㅋ 키는 숫자 5가 입력되고, ㅊ 키는 숫자 6이 입력되고, ㄲ 키는 숫자 7이 입력되고, ㅆ 키는 숫자 8이 입력되고, ㅌ 키는 숫자 9가 입력되며, ㅍ 키는 숫자 0이 입력된다.
더욱이, 숫자는 초성, 종성의 한글 원리에 의하여 중성(모음자)을 닿아야 글자가 완성되는 닿소리이므로 그대로 누르면 숫자만 입력된다.
기호자리에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단 1~10열에 배열한다.
그리고 기호는 초성과 종성의 하단에 위치하여 초, 종성을 닿으면 속기 약어, 약타를 많이 생성한다.
자음자(초성)에서 배열되지 않은 초성의 입력방법은 다음과 같다.
ㄲ은 ㄱ과 ㅊ을 동시에 눌려 입력하고, ㅃ은 ㅂ과 ㅍ을 동시에 눌려 입력하고, ㅆ은 ㅅ과 ㅌ을 동시에 눌려 입력하며, ㅉ은 ㅈ과 ㅋ을 동시에 눌려 입력한다.
즉, ㄱ ㅂ ㅅ ㅈ 평음에서 윗자음을 닿아 동시에 누르면 경음이 된다.
그리고 받침(종성)에서 배열되지 않은 종성의 입력방법은 다음과 같다.
ㅋ은 ㄱ과 ㅊ을 동시에 눌려 입력하고, ㄳ은 ㄱ과 ㅅ을 동시에 눌려 입력하고, ㄵ은 ㄴ과 ㅈ을 동시에 눌려 입력하고, ㄶ은 ㄴ과 ㅎ을 동시에 눌려 입력하고, ㅄ은 ㅂ과 ㅅ을 동시에 눌려 입력하고, ㄺ은 ㄹ과 ㄱ을 동시에 눌려 입력하고, ㄻ은 ㄹ과 ㅁ을 동시에 눌려 입력하고, ㄼ은 ㄹ과 ㅂ을 동시에 눌려 입력하고, ㄾ은 ㄹ과 ㅌ을 동시에 눌려 입력하고, ㄿ은 ㄹ과 ㅍ을 동시에 눌려 입력하며, ㅀ은 ㄹ과 ㅎ을 동시에 눌려 입력한다.
하기 표 2와 같이 본 발명의 속기 한글 자판과 기존 자판을 비교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 속기 한글 자판 기존 자판(도 3(b) 참조)
모음자(중성) ·하1단 지천천인(ㅡ, ·, ·, ㅣ) 4개 ·하2단 ㅗ, ㅏ, ㅜ, ㅡ, ㅓ, l 6개
자음자(초성) ·좌상단 2, 3, 4단 1~5열
·ㄲ, ㅃ, ㅆ, ㅉ 은 평음에서 윗자음과 닿아 경음이 되고, ㄸ이 별도로 배열
·100% 초성
·좌상단 1, 2, 3단 1~5열
·ㄲ, ㄸ, ㅃ, ㅆ, ㅉ은 평음에서 아랫자음과 닿아 경음이 되고, 받침 ㅋ과 모음 ㅢ가 별도로 배열
·초성, 중성, 종성이 배열
받침
(종성)
·우상단 2, 3, 4단 6~10열
·단과 배열이 다름
·ㅋ은 ㄱ+ㅊ을 동시에 누름
·우상단 1, 2, 3단 6~10열
스페이스바 ·하1단 위치
·띄어쓰기
·모음과 닿으면 ㅑ, ㅕ, ㅛ, ㅠ, ㅞ, ㅖ, ㅒ가 됨
·하3단 위치
·띄여쓰기
숫자 ·4단 1~10열 숫자만 그대로 두면서 초성, 중성 배열 ·4단 1~10열에 숫자와 기호를 그대로 두면서, 이중으로 3단 자리에 숫자를 옮겨와 초성, 종성 배열
기호 ·1단 1~10열 배열
·숫자와 기호를 분리
·시프트키 누를 필요없이 입력
·4단 1~10열
한편, 기존 자판에서 하1단은 빈자리로, 검지, 중지, 약지 및 소지와 엄지의 거리를 두기 위해 형성된다. 반면, 본 발명의 속기 한글 자판(100)은 기존 자판에서의 빈자리로 남겨진 하1단을 기호로 대체하였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속기 한글 자판 110: 지(ㅡ)키
120: 천(ㅓ)키 130: 천(ㅏ)키
140: 인(ㅣ)키 150: 스페이스바

Claims (7)

  1. 지천천인 동시 방식으로 초성, 중성 및 종성을 조합하여 문자를 입력하는 속기 한글 자판으로,
    하1단에 중성인 지(ㅡ)키, 천(ㅓ)키, 천(ㅏ)키 및 인(ㅣ)키와, 스페이스바가 배열되고, 상기 하1단의 상측에 초성, 종성, 숫자 및 기호에 해당하는 키가 각각 배열되며,
    상기 스페이스바의 단독 입력 시 글자 띄어쓰기가 실행되고, 상기 스페이스바와 중성키의 동시 입력 시 문자가 완성되고,
    상기 하1단은 지(ㅡ)키, 천(ㅓ)키, 스페이스바, 천(ㅏ)키 및 인(ㅣ)키 순으로 배열되고, 상기 하1단의 상측 1단 자리에 기호 ^, @, *, <, >, (, ), /, #, & 키 순으로 배열되고, 상기 1단의 상측 2단 자리에 초성 ㅁ, ㅇ, ㄹ, ㄴ, ㅎ 키와, 종성 ㅎ, ㅇ, ㅅ, ㅁ, ㅈ 키 순으로 배열되고, 상기 2단의 상측 3단 자리에 초성 ㅂ, ㄷ, ㅅ, ㄱ, ㅈ 키와 종성 ㅂ, ㄱ, ㄴ, ㄹ, ㄷ 키 순으로 배열되며, 상기 3단의 상측 4단 자리에 숫자 키와 초성 ㅍ, ㄸ, ㅌ, ㅊ, ㅋ 키 및 종성 ㅊ, ㄲ, ㅆ, ㅌ, ㅍ 키가 배열되고,
    상기 초성에서 ㄲ은 ㄱ 키와 ㅊ 키를 동시에 눌러 입력하고, ㅃ은 ㅂ 키와 ㅍ 키를 동시에 눌러 입력하고, ㅆ은 ㅅ 키와 ㅌ 키를 동시에 눌러 입력하며, ㅉ은 ㅈ 키와 ㅋ 키를 동시에 눌러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속기 한글 자판.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초성 및 종성은 검지, 중지, 약지 및 소지로 해당 키를 눌려 입력하고, 중성은 엄지로 해당 키를 눌려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속기 한글 자판.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ㅍ 키는 숫자 1, ㄸ 키는 숫자 2, ㅌ 키는 숫자 3, ㅊ 키는 숫자 4, ㅋ 키는 숫자 5, ㅊ 키는 숫자 6, ㄲ 키는 숫자 7, ㅆ 키는 숫자 8, ㅌ 키는 숫자 9, 및 ㅍ 키는 숫자 0이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속기 한글 자판.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종성에서 ㅋ은 ㄱ 키와 ㅊ 키를 동시에 눌려 입력하고, ㄳ은 ㄱ 키와 ㅅ 키를 동시에 눌려 입력하고, ㄵ은 ㄴ 키와 ㅈ 키를 동시에 눌려 입력하고, ㄶ은 ㄴ 키와 ㅎ 키를 동시에 눌려 입력하고, ㅄ은 ㅂ 키와 ㅅ 키를 동시에 눌려 입력하고, ㄺ은 ㄹ 키와 ㄱ 키를 동시에 눌려 입력하고, ㄻ은 ㄹ 키와 ㅁ 키를 동시에 눌려 입력하고, ㄼ은 ㄹ 키와 ㅂ 키를 동시에 눌려 입력하고, ㄾ은 ㄹ 키와 ㅌ 키를 동시에 눌려 입력하고, ㄿ은 ㄹ 키와 ㅍ 키를 동시에 동시에 눌려 입력하며, ㅀ은 ㄹ 키와 ㅎ 키를 동시에 동시에 눌려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속기 한글 자판.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스바는 중성과 함게 누르면 ㅑ, ㅕ, ㅛ, ㅠ, ㅞ, ㅖ, ㅒ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속기 한글 자판.
KR1020220000537A 2022-01-03 2022-01-03 속기 한글 자판 KR1026618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0537A KR102661889B1 (ko) 2022-01-03 2022-01-03 속기 한글 자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0537A KR102661889B1 (ko) 2022-01-03 2022-01-03 속기 한글 자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5241A KR20230105241A (ko) 2023-07-11
KR102661889B1 true KR102661889B1 (ko) 2024-04-29

Family

ID=871597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00537A KR102661889B1 (ko) 2022-01-03 2022-01-03 속기 한글 자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61889B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57970A (ja) * 1984-12-29 1986-07-17 Kawaguchi Gakuen 文字の入力方法
KR20010010259A (ko) * 1999-07-16 2001-02-05 장봉선 속기용 컴퓨터 키보드와 한음절 동시 처리 방법
KR100796276B1 (ko) * 2005-12-15 2008-01-21 주식회사 한국스테노 백스페이스기능이 부가된 속기키보드
KR20120003327U (ko) * 2010-11-04 2012-05-14 조근우 한 손 자판
KR101552478B1 (ko) 2014-04-21 2015-09-11 주식회사 소리자바 속기 입력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문자 모드 전환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5241A (ko) 2023-07-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00865B2 (en) Efficient method and apparatus for text entry based on trigger sequences
CN103354919B (zh) 键盘
CN101021763A (zh) 一种触摸屏幕上软键盘布局快速输入方法
JPH1139078A (ja) コンピュータ入力システム
CN101501756A (zh) 用于遥控器、移动电话或pda的手持拇指盲打ascii/unicode键盘
CN101135936A (zh) 快速键入设备和方法
KR102661889B1 (ko) 속기 한글 자판
US7205982B1 (en) Character input keyboard
KR101559477B1 (ko) 한글을 이용한 다언어 입력시스템
JP2022094941A (ja) 文字入力方法、文字入力プログラム、及び文字入力装置
JP3099210B2 (ja) 拗音を伴う50音入力装置用キーボード
JP3899337B2 (ja) 文字入力システム、文字入力方法、文字入力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JP2013219638A (ja) 文字入力方法と装置
CN214670487U (zh) 计算机bpmf键盘
CN111240492B (zh) 一种中文双拼输入键盘
KR20140004849A (ko)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라틴계 문자 및 비라틴계 문자 입력방법
JP2006293794A (ja) 日本式キーボード
KR200289761Y1 (ko) 컴퓨터용 키보드의 자판배열 구조
JP2013219637A (ja) 文字入力方法と装置
KR200292595Y1 (ko) 한글용 키보드
CN118092677A (zh) 一种中式键盘及其使用方法
KR200274822Y1 (ko) 광역 쉬프트 키를 설치한 컴퓨터 키보드
JP2022124432A (ja) 九列五段キーボード
JP2001075707A (ja) 本キーボードの形に於ける、文字配列
KR200356386Y1 (ko) 복수의 자판을 가지는 키보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