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4849A -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라틴계 문자 및 비라틴계 문자 입력방법 - Google Patents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라틴계 문자 및 비라틴계 문자 입력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4849A
KR20140004849A KR1020120072026A KR20120072026A KR20140004849A KR 20140004849 A KR20140004849 A KR 20140004849A KR 1020120072026 A KR1020120072026 A KR 1020120072026A KR 20120072026 A KR20120072026 A KR 20120072026A KR 20140004849 A KR20140004849 A KR 201400048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board
key
language
character
touch scre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720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국
Original Assignee
(주)듀얼로그
서경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듀얼로그, 서경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주)듀얼로그
Priority to KR10201200720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04849A/ko
Publication of KR201400048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484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폰 등의 휴대용기기의 좁은 공간의 터치스크린을 통한 문자입력에서 그 입력 편의성을 증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문자영역과 기능영역의 형태와 기능을 모든 언어에 있어서 일관성있는 규칙으로 구성하여, 기능영역의 첨자키, 구두점키, 스페이스키의 길게누르기와 제자리치기를 규칙적이고 효과적방법으로 정의하고, 문자영역의 셀 구성에 있어서 정형화된 틀을 원칙있게 구성하여, 기본자모를 중심으로 열의 증가를 억제하면서 선정된 바탕자모를 문자영역에 순차적으로 배열하고, 복수할당된 자모나 발음구별문자들은 길게누르기 및 제자리치기를 병용하여 문자입력을 실시함으로서, 터치스크린을 통한 문자입력 편의성이 증대되도록 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문자영역의 셀 구성은 쿼티형보다 열의 수를 적게하고, 자모순으로 배열하는 방법을 쓰고 있어, 쿼티형보다 문자 위치의 숙지성이 뛰어나고, 손동작의 공간제약이 상대적으로 적어 오류를 유발할 수 있는 원인을 감소시킨다. 또 시프트자판의 다층화로 별도의 자판모드 전환없이, 다른 폰트, 타언어, 기호 입력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고, 숫자입력을 모든 언어에서 일관성있는 방법으로 입력하여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Description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라틴계 문자 및 비라틴계 문자 입력방법{Method of character input for Latin characters and non-Latin characters in touch screen device}
본 발명은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라틴계 문자 및 비라틴계 문자 언어의 입력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스마트폰 등의 터치스크린의 상대적으로 좁은 입력 공간에서, 키보드 타입으로 문자를 입력하고자 할 때 효과적으로 인지력을 높이고 손가락 동작성을 높이는 문자정보 입력의 인간-기계 인터페이스 시스템 기술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에서 디지털 기기의 문자입력방식은 컴퓨터 키보드로 유래된 쿼티형 자판과 전화기 번호자판에서 유래된 12키 번호자판이 사용되고 있다. 종래의 입력 수단은 버튼식이었으나, 지금은 터치스크린으로 전환되어 가고 있다. 버튼식 자판은 촉각 식별의 명료성이 장점인 반면, 공간을 별도로 점유하는 점과 입력방식이 제한적인 단점이 있으며, 터치스크린식 자판은 촉각 식별성이 부족하고 시각 의존성이 높은 단점 대신, 평소에는 스크린을 디스플레이로 사용하다가 입력이 필요할 때만 자판을 띄우고, 여러 가지 기능성 입력 방법의 장점으로 인하여, 점차 터치스크린식이 많이 사용되게 되었다.
그런데 쿼티형이란 원래 컴퓨터 키보드에 적합한 형태로서, 분리형 대형 비휴대형으로서 입력의 손동작에 있어서 열 손가락을 모두 사용하여 1키 1자 원칙으로 입력함에 비해, 스마트폰은 소형 휴대용이므로 한손 또는 양손의 엄지를 뻗쳐서 태그와 드래그를 구사하여 입력하고 있다. 따라서 컴퓨터 키보드의 자판 형태를 스마트폰에 그대로 적용하는 것은 크기와 글자 위치가 부적절하다. 한편 12키 번호자판의 방식을 원용하는 것은 1키 다문자 할당으로 인해 커서이동이나, 획추가와 같은 군더더기 동작의 불편함이 있게 된다. 휴대용 태블릿피시가 등장하면서 한 손으로 독수리 타법처럼 입력하는 동작도 등장하게 되었다.
이러한 휴대용 기기에서 쿼티형은 키폭이 좁아서 이웃 키들과 간섭에 의해 오류가 많고, 문자 외의 숫자나 기호의 입력이 불편하다. 이런 물리적인 불편함외에도 여러 언어별로 입력방법의 불규칙성, 기능 식별의 불규칙성 등의 심리적, 인간공학적 불편함이 존재한다.
근본적으로 휴대용 터치스크린의 입력방식에서는 열 손가락이 자유로운 컴퓨터 키보드의 입력방식과 차이가 있어야 한다. 식별이 용이하며 군더더기 동작이 없고 공통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일관성이 있어야 한다.
종래의 컴퓨터 키보드는 국가별 언어별 표준 자판을 사용하고 있으며, 대개 바탕자판은 소문자, 시프트자판은 대문자 중심이며, 어떤 것은 AltGr키를 사용하여 부족한 글자를 만들기도 한다.
한편 언어의 문자는 여러 체계가 있는데, '표음문자'는 표 1과 같이 분류된다.
구분 요점
음소문자
(광의의 자모문자)
협의의 자모(字母)문자
(알파벳)
자음(子音)자, 모음(母音)자 사용 영어 등의 라틴문자
러시아어 등의 키릴문자
한글
자음문자(아브자드) 자음자 중심. 대개 우에서 좌로 씀 아랍어, 히브리어, 시리아어
음절자모문자(아부기다) 음절자와 모음자로 자모가 매우 많다. 인도 데바나가리어, 태국어, 크메르어
음절문자 각각 음절이 매우 많다 일본어 가나
라틴문자의 예를 보면 유럽어족이 아니어도 이를 차용해서 쓰는 언어가 많다. 터키어, 베트남어 등이 그러한 예이고 중국어 한어병음, 일본어 로마자법도 그러한 범주이다. 키릴문자와 아랍문자도 많은 언어에서 문자로 쓰인다. 자모문자는 대개 대소문자의 이중 체계이지만, 한글, 그루지아어 등은 대소문자를 사용하지 않는다. 자음문자(아브자드)와 음절자모문자(아부기다)는 대소문자가 없다. 음절자모문자는 매 음절자를 사용하므로 기본 글자 수가 많다. 음절문자인 일본어 가나는 음절도 많고, 또 히라가나, 가타카나처럼 대소문자나 다름없는 이중 체계이다.
그런데 종래 수많은 언어의 입력을 위한 스마트폰 적용은 기종별 언어별로 자판 모양과 입력방법이 다르면서 물리적, 심리적 원인의 입력오류가 많고 불편하였다. 그러면서 언어별 고유의 특성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였다. 예를 들어 숫자를 입력하기 위한 배열 위치와 방법이 다 다르고, 아큐트 악센트 (´) 등이 붙은
Figure pat00001
와 같은 발음구별문자(diacritic)나 구두점의 방법에 규칙성이 부족하였다. 종래의 기술은 문자영역의 셀 구성이 일정치 않고, 기능키의 역할도 일정치 않았다. 구식의 시프트방식이나 구식의 기능키 방식의 개선 여지가 많다. 종래 기술은 부분적인 방법이고, 체계적인 종합 해결이 부족하였다. 따라서 문자입력에 인지의 불편함과 손동작의 군더더기를 줄이는 본원 발명과 같은 개선의 여지가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출된 본 발명은 과거 터치스크린 입력자판에 비해, 입력방법의 요소들을 시스템적으로 접근하여, 사용성을 높이는 식별성과 동작성의 인터페이스 설계 및 입력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과거 쿼티형보다 키폭을 넓게 하고 간섭을 적게 하고자 하며, 해당 언어의 문자를 용이하게 인지하고 오류를 적게 입력하고자 하며, 숫자, 구두점, 발음구별기호와 같은 기타 요소를 용이하게 인지하고 동작할 수 있도록 한다. 또 기능키에 있어서 일관성을 제고토록 한다. 전체적인 일관성은 유지하며 각 언어별 고유성은 용이하게 입력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터치스크린을 이용하여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자판은 일반으로 문자영역과 기능영역으로 구분되는데, 문자영역은 언어에 따른 문자를 배열하는 공간으로서, 정형화된 셀 구성을 하도록 하고, 기능영역은 일반적으로 시프트키, 백스페이스키, 스페이스키, 엔터키, 언어전환키, 설정키, 숫자기호전환키 등의 구성에 덧붙여 '구두점키'와 '첨자키'를 일관성있게 사용토록 한다.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쓰는 아랍어 등은 대칭으로 배치할 수 있다.
구두점키는 필요한 구두점들을 길게누르기 메뉴로 제공되는데, 중요한 수 개는 키에 표시하고 제자리치기로 구현한다. 첨자키도 마찬가지로 길게누르기 메뉴로 제공되는데, 중요한 수 개는 키에 표시하고 제자리치기로 구현한다. 구두점과 첨자의 차이는 전자는 글자와 구두점이 독립적으로 찍히지만, 후자는 글자의 위 아래에 찍혀서 통합된 한 글자로 만드는 것이다.
문자영역은 쿼티형의 경우보다 키폭이 커지도록 균형있게 키자리(셀)을 구성하는 것이 핵심이다. 문자영역의 셀은 바둑판같은 격자형(lattice)의 경우, n행 m열이라고 하면, 시프트키와 백스페이스키의 자리를 빼고, 기준이 되는 형은 n×m - 2 개의 셀이 나온다. 한편 언어의 자모수는 꼭 n×m - 2 개가 아니므로 고유성에 맞추어 균형있게 셀을 하나씩 줄이거나 늘려서 정형화된 틀을 만든다. 기존의 쿼티형은 열의 수가 영어의 경우 10, 기타 언어는 11 이상도 많은데, 휴대용기기를 세로로 잡을 때 키폭이 매우 좁기 때문에, 10열 이하로 7~9열이 바람직하다.
격자형에 비해 이웃 키와의 간섭을 줄이는 모양은 행들을 어긋나게 경사형(tilt)으로 하는 것이다. 셀을 어긋나게 한 경사형은 4행의 경우 셀을 {m, m-1, m, m-3}으로 구성된 4m - 4 개의 기준형으로부터 균형있게 셀을 늘리거나 줄인 정형화된 틀을 만든다. 정형화된 틀로 문자체계를 입력하게 하면 일정 위치에서 키를 인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돌기붙은 필름'같은 보조수단을 용이하게 쓸 수 있다.
시프트자판은 과거 하나만 있는데, 이를 다층으로 확대한다. 본원 발명은, 시프트자판을 다층으로 하여 시프트1 자판, 시프트2 자판처럼 시프트n 자판을 정의한다. 다층 시프트자판을 돋움체와 같은 폰트용으로 쓰거나, 다른 언어용, 숫자·기호용 등으로 사용한다. 그러면 기능키중 '한/영'과 같은 언어전환키나 '숫자·기호' 전환키가 없어도 되므로 공간 확보에 유리하다.
숫자는 과거 일관성이 없는 방법으로 입력하였다. 본 발명에서는 숫자를 일정한 위치, 좌상단 2×5 행렬에 길게누르기 메뉴로 할당한다. 일반 숫자와 언어의 고유숫자 예컨대 'Ⅰ, Ⅱ, Ⅲ, ...Ⅹ', 아랍숫자 등을 이중으로 포함할 수 있으며, 더 많이 쓰이는 것을 우선 순위로 한다.
셀에 사용하려는 언어의 자모를 할당하는데 있어서, 바탕자판에 일차로 할당되는 '바탕자모'를 최적으로 선정하여, 키의 크기가 작아지지 않도록 한다. 특히 열의 수를 줄이는 것이 관건인데, 언어별 종속적인 특성을 고려하여, 법적 또는 표준적 자모로서 알파벳정렬에서 독립항을 이루는 것을 우선으로 바탕자모를 선정한다. 키 자리에 바탕자모의 할당은 원칙적으로 자모순으로 하여 손가락 사용이 제한적인 휴대용기기에서 인지성을 높게 한다. 라틴문자의 경우, ABC 26자의 범용성이 고려될 수 있는데, ABC 우선이냐 고유자모 우선이냐의 접근법이 있다. 기본자모, 공인된 사용자모, 차용어나 고유명사에서만 볼 수 있는 비공인자모 등 구현해야 할 자모가 많고, 키의 자리는 제한되므로, 복수할당이 있게 되는데, 발음구별문자처럼 바탕자모와 연관되는 것은 그 자모의 길게누르기 메뉴를 기본으로 한다.
자모 수와 셀 구성은 상호 연동적인데, 셀의 수를 제약 때문에 자모의 복수할당이 발생하는 것은 기본적으로 길게누르기로 입력하고, 예를 들어 라틴문자의 'C,
Figure pat00002
'나 러시아어의 'Е,Ё'라든지 아랍어의 '람(
Figure pat00003
), 람알리프(
Figure pat00004
)'처럼 연쇄가 없을 때 제자리치기로도 구현되게 한다.
본 발명의 터치스크린 입력수단을 통한 문자입력 편의성이 증대된 방법에 따르면, 문자입력에 있어서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스마트폰과 같은 작은 기기들은 입력자판의 공간이 매우 적은데, 특히 가로형(landscape)보다 세로형(portrait)으로 사용할 때 유용하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터치스크린용 자판은 라틴계 및 비라틴계의 모든 언어를 쿼티형보다 적은 10 이하, 바람직하게는 7~9열로 셀을 구성시킨 상태에서, 자모 순서를 고려한 배열 방법을 쓰고 있어, 종래의 키보드 배열보다 자모 위치의 식별과 숙지성이 뛰어나고, 키의 공간적 제약이 상대적으로 적어, 인지 오류의 유발을 원천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기본자모를 1자1타 원칙으로 입력하며, 발음구별문자나 성조표시는 길게누르기 또는 첨자키로 구현한다. 기본자모와 공인자모 등으로 자모의 갯수가 많은 언어에서 자모가 복수할당될 경우, 복수할당되는 자모는 기본적으로 길게누르기로 구현되며 연쇄 출현이 없는 것은 '제자리치기'로 종래의 군더더기 타법을 배제할 수 있다. 따라서 터치스크린 입력수단에서 문자입력 규칙을 일관화시킬 수 있고, 이는 버튼식에도 적용될 수 있다. 터치스크린에서 길게누르기는 버튼식에서 길게누르고 메뉴번호 고르기식이 된다.
다층 시프트자판 기능성을 높여, 다른 폰트체, 다른 언어 등, 시프트자판의 유연한 운용을 할 수 있어서 문자 입력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다른 글자체(폰트)판, 다른 언어 자판, 여러 가지 기호자판 등으로 활용하여, 기존의 기능키로 행하는 모드 전환방법을 대신할 수 있다.
도 1은 기존 쿼티형 컴퓨터자판 및 기존 스마트폰 입력자판의 예
도 2는 일반적인 스마트폰 입력자판의 문자영역과 기능영역을 보인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르는 문자영역 구성도 예
도 4는 본 발명에 따르는 대문자 표시의 예
도 5는 본 발명에 따르는 라틴 기본자모의 실시 예
도 6은 본 발명에 따르는 덧붙임영역 실시 개념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르는 라틴문자 언어 덧붙임영역 실시 예
도 8은 본 발명에 따르는 라틴문자 언어 고유형 실시 예
도 9는 본 발명에 따르는 러시아어의 실시 예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르는 키릴문자 언어의 실시 예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르는 아르메니아어 및 그리스어의 실시 예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르는 아랍어의 실시 예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르는 이란어의 실시 예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르는 히브리어의 실시 예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르는 숫자 입력 실시 예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르는 기능영역 실시 예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르는 기능키 적용 실시 예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르는 다층 시프트자판 실시 예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설명하기 이전에 용어에 대해 간단히 언급하면, 보통 물리적 자판에 구비되는 키를 버튼, 스크린 자판에 구성되는 키를 셀 또는 칸이라고 부르는데 본 발명에서 '키, 버튼, 셀, 칸'은 동일한 것으로 간주한다. 또 한 키에 중복의 문자를 할당할 경우, 이를 제자리에서 거듭 치면서 바꾸는 것을 '멀티탭(multi-tap), 제자리치기, 다중타, 연속타' 등으로 부르는데, 이들 용어는 같은 것으로 간주하고, 키를 길게 눌러 메뉴를 띄워 선택하는 방법을 '롱프레스(long press), 길게누르기, 장타' 등으로 부르는데 이들 용어는 같은 것으로 간주한다.
도 1은 기존 쿼티형 자판들의 예이다. 도 1(a)는 영문 컴퓨터자판으로서, 라틴 자모 26자보다 자모 수가 많은 다른 언어들, 또 Å와 같은 발음구별문자 (diacritic)를 입력하기 위해 컴퓨터자판은 국가별로 여러 가지 변형된 배열과 입력방법이 사용된다. 도 1(b), (c), (d), (e)는 스마트폰 터치스크린에 사용되는 자판의 예로 각각 영어, 한글, 러시아어, 아랍어 자판의 그림이다. 컴퓨터자판과 비교하면 숫자줄이 없고, 열의 수가 10~12열이다. 이들은 문자체계의 기본에 해당되는데도 10열 이상이며, 라틴문자, 키릴문자, 아랍문자를 차용하는 다른 언어들은 자모 수가 늘어나서 통상 10열을 초과하여 키폭이 좁아져 손가락 운지가 어렵다.
도 2는 일반적인 터치스크린 자판의 기본으로, 문자영역(1)과 기능영역(2)으로 구분되어, 문자영역은 셀로 나누어 자모를 할당하고, 기능영역은 통상적으로 시프트키, 숫자기호모드키, 설정키, 공백키, 백스페이스, 엔터키와 같은 것들이 구성된다. 키들의 배열은 아랍어와 같이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쓰는 글자의 경우, 편의성을 위하여 반대로 자리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3는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문자영역의 정형화된 틀 구성도 예시이다. 도 3(a), (b), (c), (d)는 격자형의 4행의 25, 26, 27, 28셀의 예시이다. 도 3(e), (f), (g), (h)는 경사형 4행의 28, 29, 30, 31 셀의 예시이다. 본 발명에서, 터치스크린 자판의 문자영역(1)에 문자키를 배열함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창의 공간을 확보하기 위하여 행의 수를 '3' 내지 '4'로 한정하고, 키의 폭이 좁아지지 않도록, 제1행의 열의 수를 '5' 이상 '10' 이하로 한정하여, 표 2와 같은 격자형(lattice)의 정형화된 틀, 혹은 셀을 어긋나게 한 표 3과 같은 경사형(tilt)의 정형화된 틀을 사용함을 특징으로 하고, 사용하고자 하는 언어에서 선정된 자모를 바탕자판에 순차배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바탕자판에 배열된 자모 외의 것들은 복수할당하여, 바탕자모는 1타로, 복수할당한 것들은 길게누르기로 구현하되, 러시아어의 'Е,Ё'와 같이 연쇄가 없이 병렬로 할당된 것은 제자리치기로도 구현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문자 배열 및 입력을 행하도록 한다.
4행형 총 셀의 수
(m은 10이하)
4m-3 4m-2 4m-1 4m
행별 셀의 수 m, m, m, m-3 m, m, m, m-2 m, m, m, m-1 m, m, m+1, m-1
3행형 총 셀의 수
(m은 10이하)
3m-3 3m-2 3m-1
행별 셀의 수 m, m, m-3 m, m, m-2 m, m, m-1
4행형 총 셀의 수
(m은 10이하)
4m-4 4m-3 4m-2 4m-1
행별 셀의 수 m, m-1, m, m-3 m, m-1, m, m-2 m, m-1, m, m-1 m, m, m+1, m-2
3행형 총 셀의 수
(m은 10이하)
3m-4 3m-3 3m-2
행별 셀의 수 m, m-1, m-3 m, m-1, m-2 m, m+1, m-2
좀더 구체적으로, 표 2는 격자형 셀 구성의 경우로, m은 제 1행의 셀의 수이라고 할 때, 4m-2(4행일 때), 3m-2(3행일 때)의 셀을 가진 형이 동일한 셀 크기를 가진 기준형이고, 그 사이의 셀의 수를 가지는 것은 균형있게 셀 하나씩 늘리거나 줄여서 제1행과 제2행의 모양은 동일하게 유지하면서 상기 표 2와 같은 정형화된 틀을 만든다.
셀의 구성을 격자형보다 서로 어긋나게한 경사형으로 구성하면, 키 중심점의 상하 거리가 피타고라스 원리에 의해 √{(1+0.5x0.5)} = 1.12로서, 약 12%의 길이가 늘어난 거리로 되어서, 공간의 증가없이 셀 간 격리성을 높이므로 오류를 감소하는 효과가 있다. 경사형은, 4m-4(4행일 때), 3m-3(3행일 때)의 셀을 가지는 형이 셀의 크기가 동일하며 어긋남이 가장 규칙적이다. 그 중간의 셀의 수를 가지는 것은 좌우단의 여분이 있는 것부터 균형있게 셀을 추가하여 상기 표 3과 같은 정형화된 틀을 만든다. 시프트키와 백스페이스키 공간은 1~1.5단위 크기가 된다. 어긋나기는 반 칸 이동이 아닌, 1/3칸 이동할 수도 있다.
스마트폰의 작은 자판 공간에서 기존의 쿼티형은 키폭이 좁아서 이웃 키와 간섭이 크고, 자모의 위치를 인지하는데 불편하다. 인간공학적 추천인 1cm는 불가능하고 최대한 키폭의 확보가 관건이다. 컴퓨터키보드에서는 열손가락 분담으로 치지만, 스마트폰에서는 한손가락이나 양손 엄지로 칠 때가 많으므로 쿼티형처럼 자모를 배열하면 빠른 인지가 어렵다. 따라서 한 열에 들어가는 키의 수를 10 이하로 하고, 종래 기술보다 키폭의 확대를 보장한다. 바람직하기로는 7~9열이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문자영역의 틀에 사용하고자 하는 언어의 자모를 배열할 때, 사용하는 자모의 수가 셀의 수로 충분히 수용하면 문제가 없으나 그렇지 못할 경우 1타로 입력하는 바탕자모에는 자모가 선정되어야 한다. 이들은 하기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상술하거니와, 본 발명에서는 선정된 자모를 바탕자판에 사용자의 인지 식별성을 제고하기 위해 가장 기본적인 '자모순차 배열'을 한다. 모든 문자는 자모의 순서가 있고, 사전의 알파벳정렬항 개념이 있으므로 이에 따르는 것이 쿼티형과 같은 비순서적 배열보다 인지식별성이 높다.
셀의 수 때문에 바탕자판에 배열된 자모 외의 것들은 복수할당되어, 통상의 길게누르기로 구현하되, 러시아어의 'Е, Ё'처럼 자모의 연쇄가 없는 경우, 일반으로 길게누르기나 글자 변환 방법보다 사용자편의성이 높다고 인식되는 '제자리치기'로도 구현되도록 함으로서,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문자 배열 및 입력방법에 있어서, 언어의 고유성은 살리면서 일관성있는 규칙으로 문자를 입력하게 되는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대문자 표시의 예이다. 상기 문자영역 구성과 배열, 입력방법에 부가하여, 영어 대소문자나 일본어 가나처럼 글자체계가 이중적일 때, 종래에는 시프트를 눌러서 이를 행하였는데, 현재 상태가 소문자(3)일 때 길게누르기에 대문자(4)나, 현재 상태가 히라가나일 때 길게누르기에 가타카나처럼 이중적 체계의 대응 문자가 배정되어(현재 상태가 그 반대일 때도 마찬가지), 따로 시프트키를 사용하지 않고, 길게누르기로 구현되도록 하는 문자 배열 및 입력방법을 제공함으로서, 시프트를 사용하여 대문자를 입력하는 군더더기 동작이 없이 문자입력을 간편하게 하게 되는 것이다.
이하, 각 문자체계별 본 발명의 구체적 설명이다. 본 발명의 문자 배열은 경사형이 더 바람직한 예시이지만, 편의상 격자형과 경사형 유형을 다 예시하거나, 혼용되어 설명한다. 또한, 바탕자판에는 소문자가, 시프트자판에는 대문자가 각각 배정되는데, 이하 특별히 언급하지 않아도 대소문자 체계의 문자는 바탕자판에 소문자, 시프트자판에 대문자를 배열하며, 실제 사용 시 소문자, 대문자에 맞추어 표시된다.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할 때, 표기의 편의상 주로 대문자를 사용하였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라틴문자 언어의 입력을 위하여, 라틴자모 ABC 26자를 도 5(a)와 같은 격자형 4행의 정형화된 틀, 도 5(b)와 같은 경사형 4행의 정형화된 틀, 및 도 5(c)와 같은 경사형 3행의 틀에 배열한 도면이다. 라틴문자를 쓰는 언어의 입력을 위하여, 26셀의 정형화된 틀에, 터키어의 'Q, W, X'처럼 사용하지 않는 자모를 포함한 ABC 26자를 자모 순으로 순차배열함을 특징으로 한다. 순차배열은 터치스크린에서 종래 컴퓨터키보드처럼 열손가락 분담이 아니기 때문에 순차배열을 하는 것이 사용자 인지식별성을 높이기 때문이다. 라틴문자는 비유럽어까지 포함하여 가장 범용적으로 쓰이는데, 독일어, 불어처럼 26자만 기본자모이고, 발음구별문자(글자에 아큐트, 그라브, 서컴플렉스, 움라웃, 세디유 등을 붙인 글자)는 알파벳정렬항이 아닌 공인자모로 쓰기도 하고, 스웨덴어의 '
Figure pat00005
', 스페인어의 '틸드N'처럼 기본자모로서 26자에 부가되기도 한다. 터키어 '
Figure pat00006
' 또는 베트남어처럼 ABC 26자 중에서 빠지는 자모도 있고 고유자모가 부가되기도 한다. 라틴 26자모 중 자국어에 안쓰더라도 컴퓨터외 인터넷 시대에 26자의 범용성을 위해 26자 중심으로 배열하고, 발음구별문자에 대해 기본자모 여부, 공인자모 여부, 기타 차용어용에만 쓰인다든지와 같은 정서법 상의 지위와 빈도에 따라, 순위를 반영하여 길게누르기에 배정하고; 이들을 길게누르기로 구현하며; 연쇄가 없는 기본자모는 제자리치기로도 구현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문자 배열 및 입력방법으로 문자입력의 편의성을 높이게 된다. 통상 발음구별문자를 사용하여, 사용자모가 많은 언어일수록 1자 1음주의로 연쇄가 없다.
도 6은 본 발명에서 기본영역(11)에 덧붙임영역(12)를 사용한 예시이다. 덧붙임영역은 가변적이다. 편의상 격자형처럼 표시되었으나, 경사형에도 덧붙임영역이 있을 수 있고, 아랍어처럼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쓰는 문자는 왼쪽에 덧붙임영역이 붙는다.
도 7은 본 발명을 라틴문자 언어 입력에 구현하기 위해서 상기 ABC 26자의 영역에 덧붙임영역을 붙인 예시이다. 라틴문자의 언어들은 라틴 26자에서 탈락된 자모도 있고 변형된 꼴의 글자가 추가되는 등 가감이 된다. 고유의 기본자모이거나, 자주 쓰이는 발음구별문자로서 컴퓨터키보드 상에 배열되는 문자는 상기 26자만의 배열과 입력으로 자국어 입력이 편리하지 않으므로, 언어의 정서법에 따른 발음구별문자의 지위, 빈도 및 컴퓨터키보드 배열 여부에 따라 선정된 발음구별문자들을, 문자영역의 기본영역(11) 바깥의 덧붙임영역(12)에 배열하고, 길게누르기로 구현하고, 또는 일반으로 연쇄가 없으므로 제자리치기로 구현하는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문자 배열 및 입력방법으로 라틴문자 언어를 편리하게 입력할 수 있다. 구체적 예로 독일어(도 7(a)), 불어(도 7(b))와 같이 움라웃 글자나 세디유 글자, 아큐트 글자 등을 우측 덧붙임영역에 배열하였다. 스웨덴어(도 7(c)), 스페인어(도 7(d))처럼 26자도 기본자모이고, 추가하여 고유자모가 기본자모에 들어가는 경우도 도면처럼 덧붙임영역에 배열하였다. 터키어(도 7(e)), 베트남어(도 7(f))는 26자 중 일부 안쓰고 부가로 고유자모를 기본자모로 사용하는데 기본자모로 들어간 고유자모들을 덧붙임영역에 배열하였다. 라트비아어(도 7(g)), 헝가리어(도 7(h))는 고유자모로서 발음구별문자를 매우 많이 추가하였는데 라트비아어는 1키 복수할당한 예를 보였다. 헝가리어와 같이 발음구별문자가 동일 음의 장단 구분과 같이 하고 알파벳정렬항이 아닌 것은 기본자모의 복수할당으로 하고, 알파벳정렬항인 것은 덧붙임영역에 배열한다. 다른 발음구별문자는 26자 영역에서 길게누르기로 구현하고, 덧붙임영역은 1자 1타, 도는 복수할당시 제자리치기로 구현됨으로서, 라틴문자 언어의 입력 편의성을 제고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라 해당 언어의 '고유형' 자판을 구성한 예시이다. 라틴자모 26자 중심이 아니라, 고유형 자판을 위한 배열이다. 자국어의 기본자모를 순차배열한다. 또는 기본자모일지라도 셀 구성의 틀에 넣기에 너무 많은 자모일 경우, 실질적으로 차용어에만 쓰이거나 알파벳정렬항을 이루지 못하는 것들을 뺀 기본자모를 자모순서대로 배열하여 1타로 구현하고, 터키어의 'Q, W, X'와 같이 ABC 26자 중 빠진 라틴자모는 범용성을 위하여, 덧붙임영역에 복수할당하여, 복수할당된 것은 길게누르기 또는 제자리치리로 구현하도록 한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문자 배열 및 입력방법으로서 라틴문자를 쓰는 언어의 고유성은 살리고 라틴문자의 범용성을 사용할 수 있게하는 문자 배열 및 입력방법이다. 덧붙임영역 외의 바탕자모는 자모순차 배열로 한다. 예를 들어, 스웨덴어는 독일어와 달리 '
Figure pat00007
'이 기본자모이며 순서는 Z 다음에 자리므로, 도 8(a)처럼 기본자모 29자를 전부 순차로 배열한다. 다른 예로 스페인어는
Figure pat00008
이 기본자모이며 순서는 N 다음에 자리하므로, 도 8(b)처럼
Figure pat00009
을 포함한 27자를 순차로 전부 배열한 예시이다. 터키어(도 8(c)), 베트남어(도 8(d)) 등, 이들은 26자에서 빠진 ABC 자모가 있고, 고유자모가 추가되는 예이다. 고유자모를 포함한 기본자모를 순차배열하고, 빠진 ABC 자모는 덧붙임영역에 배열한다. 라트비아어, 헝가리어, 체코어, 슬로바키아어, 폴란드어, 에스토니아어, 리투아니아어 등, 공인된 자모가 많은 것들 중에는 기본자모인 것도 있고 아닌 것도 있다. 예컨대 헝가리어의 '움라웃O(
Figure pat00010
)'는 기본 알파벳정렬항이지만, 장모음을 표시하기 위한 '아큐트 O(
Figure pat00011
)'는 정렬항이 아니다. 또 기본자모이지만 'Q, W, X, Y'는 실제로 차용어나 고유명사용에만 쓰이고 사실상 안 쓰이는 것들로서, 셀 수의 제약 상, 이들을 덧붙임식으로 배열하고, 기본자모의 알파벳정렬항 중심으로 순차 배열한다. 이태리어(도 8(g)), 아일랜드어처럼 자모가 라틴 26자의 미만일 경우, 고유형은 셀 구성이 간결해진다. 사실상 도 5와 같은 ABC 26자 배열로 충분하다. 발음구별문자를 많이 사용하는 언어는 1자 1음 주의로서 원칙적으로 동일자모의 연쇄가 없으므로 길게누르기 메뉴 외에, 제자리치기를 입력방법으로 사용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을 러시아어 키릴문자에 구현하기 위한 예이다. 러시아어 등의 키릴문자 언어와, 아르메니아어 등의 비라틴계 알파벳문자 언어는 자모들이 자음자, 모음자가 모두 독립적으로 문장 중에 사용되는 문자들이다. 해당언어의 기본자모를 중심으로 정형화된 틀에 배열하는데, 셀의 수의 제약 때문에, 기본자모일지라도 실질적으로 차용어용에만 쓰이거나 사전의 알파벳정렬항을 이루지 못한 것들을 뺀 기본자모를 문자영역의 정형화된 틀에 자모순서로 배열하여 1타로 구현하고; 배열된 자모 이외의 발음구별문자는 복수할당하여, 길게누르기로 구현하고; 연쇄가 없는 자모는 제자리치기도 구현되도록 하는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문자 배열 및 입력방법으로서 키릴문자나 기타 비라틴 알파벳문자의 문자입력에 편의성을 제고할 수 있다. 러시아어, 불가리아어, 루마니아어, 몽골어, 벨라루스어, 카자흐어 등의 키릴문자 언어와, 아르메니아어, 그리스어 등의 비라틴 알파벳문자 언어의 문자 입력에 해당된다. 도 9(a)는 러시아 자모 33개 모두를 경사형 틀에 배열한 것, 도 9(b)는 통상 러시아어 자모 중 Ё를 바탕자모에서 빼기 때문에 이를 뺀 32 자모의 배열 형태이다. Ё는 E의 복수할당으로서 길게누르기 및 제자리치기가 성립된다. 도 9(c)는 더 줄여서 30셀 격자형의 배열 예시로 셀 구성이 규칙적이다. 'Ё, Ъ, Щ' 3 자를 뺀 30자로 구성한 예시로, 러시아 키릴문자 중 빈도가 낮은 것으로 간주한 것이다. 키릴문자는 라틴문자보다 자모가 많아서 열을 줄이는 배열이 어려운데, 원칙적으로 1자1음주의이므로, 빈도가 적고 연쇄가 없는 것을 복수할당하여 길게누르기 및 제자리치기 방법이 제공된다.
키릴자모는 러시아어, 벨라루스어, 우크라이나어 등의 슬라브언어와 중앙아시아의 비슬라브어에도 널리 사용된다. 키릴자모 30~31개는 보통 공통이며 언어에 따라 가감된다. 'Ё, Ъ'는 대개 소홀하게 취급되고, 키릴문자의 언어는 자모가 많고 1자 1음주의이기 때문에, 대개 연쇄가 없다. 그러나 몽골어 같은 경우 그렇지 않다. 모음의 장모음 표시가 따로 없고 'ЕЕ'와 같은 연쇄가 있어서 Е,Ё를 제자리타법으로 구현할 수 없고 자음 쪽에서 복수할당될 수 있다. 키릴문자체계에서 러시아자모 중심에 고유자모를 덧붙이는 것은 가능하지만, 라틴문자체계의 ABC 26자만큼의 컴퓨터 범용성은 떨어지므로 언어별 고유배열 중심이 바람직하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키릴문자언어의 입력을 위한 고유형 실시예로서 불가리아어(도 10(a)), 몽골어(도 10(b)), 벨라루스어(도 10(c)), 카자흐어(도 10(d))에 적용한 예이다. 불가리아어 자모는 러시아자모에서 'Ё, Э, Ы'가 빠진 30자로서, 30셀에 30개의 자모을 순차배열한다. 빠진 러시아자모를 덧붙임영역으로 할당하거나 30셀 내에 복수할당할 수 있다. 몽골어는 34개 기본자모를 정형화된 틀에 순차 배열한다. 몽골어는 러시아 자모에 모음 'θ, Y' 가 추가되어 35 자이지만, Щ는 러시아 외래어 외에는 쓰이지 않으므로, 실제 쓰이지 않는 Щ만 복수할당한 배열이 도 10(b)이며, 키폭을 늘리기 위해서 복수할당할 경우 {Ь,Ъ}, {П,Ф}와 같이 자음에 복수할당하여 길게누르기 및 제자리치기를 제공할 수 있다. 몽골어는 모음 2개를 연쇄하여 장음 표시하므로, 자음에만 복수할당 및 제자리치기로 할 수 있다. 투바어는 몽골어와 비슷하게 고유자가 추가되어 비슷한 개념이다.
벨라루스어는 러시아자모에서 3 자가 빠지고 2자가 추가된 32자이다. 도 10(c)는 본 발명의 예로 벨라루스어를 32셀의 정형화된 틀에 32자모를 순차로 배열한 것이다. 열을 축소하기 위해 잘 안 쓰이는 'Ё, Э, Ы'를 복수할당할 수 있다.
우크라이나어는 벨라루스어처럼 러시아자모에서 4 자가 탈락하고 4 자가 추가되었다. 벨라루스어나 우크라이나어는 러시아어의 경음부호Ъ 대신 아포스트로피가 쓰이는데, 이것은 구두점키로 유용하게 해결한다. 우크라이나어는 33셀의 정형화된 틀에 자모순서로 할당할 수 있으며, 열의 수를 줄여 32 셀의 틀로 맞추려면 1 개를 복수할당한다. 몰도바어, 세르비아어, 몬테네그로어, 마케도니아 등도 마찬가지 방법으로 접근한다. 세르비아어처럼 자국어 외에 이웃 언어를 사용하기 위해 추가되는 자모(예, 키릴 S)가 있을 수 있으며, 이것은 덧붙임영역으로 자리하게 된다.
타직어는 러시아자모에서 4 자 빠지고 6 자가 추가된 35자모인데, 이른 장래에 4 자의 폐기 계획도 있다. 이런 경우 이 4자를 뺀 31자를 중심으로, 31자 31키, 나머지는 1키에 복수할당으로 하여 32 셀의 정형화된 틀이 된다.
카자흐어는 러시아어자모에 9개가 추가된 본 발명의 정형화된 셀의 수에 수용하기에 42자로서 갯수가 많다. 하지만 실질적으로 차용어에만 쓰는 자모로 자국어에서는 안 쓰이는 자모 11자 등이 있다. 42자를 배열하는 것은 키가 작아져 실용성이 없고 본 발명의 정형화된 틀을 적용하기 위하여, 이들 11자는 예를 들어 도 10(d)와 같이 덧붙임영역에 복수할당하고, 중요한 31자를 중심으로 배열한다. 1키에 11자 복수할당보다 3키로 한 예시이다. 바시키르어나, 야쿠트어처럼 자모가 많은 것은 유사한 방법으로 배치한다.
도 11은 비라틴문자로서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예시로서, 아르메니아어(도 11(a)) 및 그리스어(도 11(b)) 자판 예시이다. 아르메니나어 자모는 38개로 독특한 모양이며 대소문자 체계이다. 정형화된 38셀의 틀로 자모 순차 배열한 예시이다. 열의 수를 줄이려면 빈도가 적은 자를 복수할당한다. 아르메니아어의 구두점은 독특한 기호를 사용하는데 구두점키 방식으로 사용한다. 그리스어 자모는 라틴자모보다 적은 24자로 대소문자 외에 시그마 소문자 σ는 단어 꼬리형 '
Figure pat00012
'이 별도로 있다. 꼬리형은 마치 아랍어 연접모양 또는 한글의 모아쓰기처럼 컴퓨터 오토마타로 해결되므로 별도의 키가 없어도 된다. 혹은 꼬리형 시그마를 도 11(c)처럼 덧붙임영역으로 한 예시도 가능하다.
그루지아어는 33자모로 한글처럼 대소문자가 없다. 마찬가지로 33셀의 정형화된 틀에 순차적으로 배열한다. 그루지아어는 과거 사용되었던 글자체가 있는데 시프트자판의 용도로 이러한 자판을 사용할 수 있다. 키를 크게하기 위해 빈도가 적은 자모를 복수할당할 수 있다.
도 12은 본 발명에 따라 아랍어를 구현한 예시이다. 아랍어, 이란어, 히브리어, 시리아어 등의 자음문자(아브자드 문자) 언어에 있어서, 아랍어 28자와, 혹은 실용적으로 필요한 '함자, 타마르부타'를 포함하면 30자와, 이란어 32자, 히브리어 32자 등 해당 언어의 기본자모를 문자영역의 정형화된 틀에 순차적으로 배열하고(아랍어는 라틴문자 등과 반대로,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쓰는 형태이므로 실시 예도 우에서 좌로 배열), '알리프 아래함자, 알리프 맛대' 등 의 여러 발음구별문자는 해당 바탕자모를 길게누르기 또는 제자리치기로 구현하고, 아랍어의 '팟다'와 같은 발음기호를 첨자키로 구현하는 터치스크린 자판을 이용한 자음문자 언어의 문자 배열 및 입력방법으로 편의성있게 입력할 수 있다. 아랍문자는 자음문자의 대표 사례이다. 자모는 원칙적으로 '자음'자이다. 이러한 문자체계를 알파벳 문자에 대비해서 아브자드 문자라고 한다. 모음은 특별하게 발음기호를 붙이거나 자모를 특별하게 조합하는 식이다. 발음기호는 통상 사용되지 않고 'ㅁㅎㅁㄷ'를 '무함마드'라고 읽는 식이다. 표 3은 아랍어의 자모 28자, 사용글자(발음구별문자나 합자), 발음기호 등이다. 대소문자가 없고, 기본자모 28자 뿐이지만 특수자모, 기호를 포함하면 40개가 넘는다. 고유숫자와 고유 구두점도 있다. 단어 중 글자가 연접 시 모양이 달라지는 연접꼴이 존재하는데, 따라서 단독형 모양 외에 단어의 머리꼴, 가운데꼴, 꼬리꼴의 3가지가 있다. 이것은 타자기의 경우와 달리 컴퓨터 오토마타로 자동처리된다.
아랍 자모 28자
Figure pat00013


r
Figure pat00014


dh
Figure pat00015


d
Figure pat00016


kh
Figure pat00017


hh
Figure pat00018


j
Figure pat00019


th
Figure pat00020


t
Figure pat00021


b
Figure pat00022

알리프
(a)
Figure pat00023


f
Figure pat00024

가인
gh
Figure pat00025

아인
(성문음)
Figure pat00026


zh
Figure pat00027


tw
Figure pat00028

돠드
dw
Figure pat00029

솨 드
sw
Figure pat00030


sh
Figure pat00031


s
Figure pat00032

자인
z
Figure pat00033


y
Figure pat00034

와우
w
Figure pat00035


h
Figure pat00036


n
Figure pat00037


m
Figure pat00038


l
Figure pat00039

카프
k
Figure pat00040

까프
q
다른 사용 글자
Figure pat00041

함자
Figure pat00042

알리프막수라
Figure pat00043

타마르부타
Figure pat00044

람알리프
Figure pat00045

람알리프 아래함자
Figure pat00046

람알리프 위함자
Figure pat00047

람알리프 맛대
Figure pat00048

야 함자
Figure pat00049

와우 함자
Figure pat00050

알리프와쉴라
Figure pat00051

알리프 아래함자
Figure pat00052

알리프위함자
Figure pat00053

알리프맛대
발음기호, 기타
Figure pat00054

대거 알리프
_
타트윌
( 빈글자 )
Figure pat00055

샷다
(자음 중복)
Figure pat00056

탄윈
(운)
Figure pat00057

탄윈
(인)
Figure pat00058

탄윈
(안)
Figure pat00059

쑤쿤
(모음 무효/받침)
Figure pat00060

담마
(우)
Figure pat00061

카쓰라
(이)
Figure pat00062

팟다
(아)
도 12(a)는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아랍어 자판을 경사형 30셀에 구성한 것이다. 배열을 초과하는 여러 글자(발음구별문자처럼 간주)들은 복수할당으로 길게누르기 메뉴 또는 제자리치기 또는 드래그로 구현한다. 과거 타자기 때는 머리꼴, 가운데꼴, 꼬리꼴이 다른 것들은 각각 키들이 필요했지만, 지금은 컴퓨터에 의해 오토마타 처리가 된다. 아랍어는 통상 동일한 자모가 연쇄 출현하지 않으므로 군더더기가 없이 제자리치기를 할 수 있다. 글자에 변형이 있는, 예를 들어 이집트나 북아프리카 아랍어는 '야
Figure pat00063
' 아래에 점이 없는 것을 사용하는데, '점없는 것'이 바탕자모, 점이 있는 것을 복수할당으로 한다. 도 12(b)는 격자형 30셀에 배열한 자판이다. 도 12(c)는 격자형 30셀의 시프트자판의 예로, 추가문자/발음기호/아랍어 고유숫자를 배치한다. 아랍어는 대소문자가 없으므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인, 발음기호는 첨자키로서, 숫자는 별도의 숫자입력방식으로, 특수문자들은 복수할당을 하면, 시프트자판은 별도로 없어도 된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라 이란어(페르시아어, 파르시)를 경사형 32셀의 정형화된 틀에 자모순으로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배열한 자판이다. 이란어는 아랍어와 동일한 문자를 사용하지만 언어 계통은 다르다. 아랍문자에 4 개 '
Figure pat00064
(오른쪽부터 페, 체, 붸, 가프)'를 추가하여 기본자모가 32개이다. '카프'와 '야'는 아랍문자와 동일한 자모이지만 모양이 다른 것을 쓴다.
아랍어나 이란어 등의 입력방법을 다른 아랍문자 언어, 예를 들어 우르두어, 파슈토어, 발로치어, 신디어, 펀잡어 아랍문자, 위구르어 아랍문자, 쿠르드어 아랍문자(소라니), 말레이어 아랍문자(자위문자), 카슈미르어 아랍문자, 하우사어 아랍문자 등에 본 발명의 방법으로 적용될 수 있다. 언어별 기본자모 중심의 '고유형'을 적정한 셀의 문자영역에 배열하고 추가로 필요한 것은 덧붙임영역에 배열할 수 있다. 열의 수가 많아지면, 복수할당한 축소형으로 배열을 만들 수 있다.
도 14는 히브리어(이브리트)의 배열의 예시이다. 히브리어의 자모는 22개밖에 안된다. 5개는 단어 끝에서 아랍어처럼 꼬리형처럼 모양이 달라진다. 꼬리형은, 타자기에선 별도 키가 필요하지만, 컴퓨터로 자동 처리되므로 별도 키가 없어도 된다. 도 14(a)는 히브리 문자 22개를 정형화된 틀에 우측부터 자모순서로 배열한 것이다. 꼬리형 자모는 자동처리되지만, 길게누르기로 할 경우 이를 표시한 예시이다. 도 14(b)처럼 5개의 꼬리형 자모를 덧붙임영역으로 따로 배열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9(c)는 3행의 배열로서, 히브리어는 자모수가 적기 때문에 가능하다. 자모수가 적은 것 뿐 아니라, 대소문자가 없는 것도 한글과 비슷하므로, 바탕자판만으로도 문자입력을 할 수 있다.
시리아어는 아랍어나 히브리어처럼 자음문자 언어로서 같은 접근법으로 배열 및 입력할 수 있다.
도 20은 본 발명의 숫자 입력 방법을 보여주는 예시이다. 문자입력시 숫자는 자주 쓰이고, 또 로마숫자나 표 5와 같은 고유숫자를 사용한다.
0 1 2 3 4 5 6 7 8 9
아랍어 고유 숫자
Figure pat00065
이란어 숫자
Figure pat00066
인도 데바나가리 숫자
Figure pat00067
크메르 숫자
Figure pat00068
타이 숫자
Figure pat00069
터치스크린 자판에서 일반숫자 '1, 2, ..., 0' 및 로마숫자 'Ⅰ,Ⅱ, …, Ⅹ'와 같은 언어에 따른 고유숫자 체계 중 하나를, 예를 들어 1, 2, ..., 0이라면, 좌상단 2행 5열의 행렬에 '1, 2, 3, 4, 5' 및 '6, 7, 8, 9, 0'으로 길게누르기 기본값으로 표시되고; 이를 길게누르기로 구현하고; 나머지 다른 하나, 예를 들어 로마숫자는 후순위로 배정하여; 터치스크린을 이용하여 숫자를 입력하는 방법으로 숫자를 일관성있게, 어느 언어용 자판이든지 입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문자영역은 10열 이하, 통상 7~9열이 바람직한 예시이므로 숫자들을 1 행 10열로 하여 전부 배열하고자 하면 언어별 입력체계에서 일관성을 상실한다. 아랍어처럼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쓰는 문자체계도 숫자만큼은 다른 언어와 마찬가지로 왼쪽에서부터 쓰므로, 좌상단에 할당하는 것은 문제가 없다. 대문자의 시프트자판에도 마찬가지로 숫자 할당 및 입력하도록 한다. 숫자의 표시는 키의 상부에 바탕자모보다 크기와 색 차이를 두어 식별성을 높게 한다. 숫자와 더불어 자주 쓰이는 하이픈(-)은 1행 6번째에 부여하는 방법도 가능하다.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르는 기능영역의 편의성을 제고하는 방법 예시이다.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문자입력용 자판의 기능영역에 '첨자키(21)', '구두점키(22)', '공백키(23)'를 할당하고 입력 기능을 부가하여, 일관성있는 규칙으로서, 편의성을 제고한다.
첨자키(21)는 발음구별문자나, 성조기호처럼 글자의 위, 아래에 삽입되는 기호를 입력하기 위한 것이다. 구두점과 첨자의 차이는, 구두점은 '아포스트로피'처럼 글자와 분리되어 있는 것이고, 첨자키는 '아큐트 악센트'처럼 글자에 합쳐 있는 것이다. 라틴문자의 '아큐트, 그라브, 서컴플렉스 , 마크론, 세디유, 분절기호(트레마)' 등의 발음구별기호, 아랍어의 '팟다, 카쓰라' 등의 발음기호, 태국어의 모음기호, 일본어 가나의 '탁음기호, 반탁음기호' 등 언어 고유로 필요한 기호를 길게누르기(221)로 구현하며, 중요한 수 개는 첨자키 상에 표시되어 제자리치기로도 구현되도록 한다. 글자와 첨자키의 순서는 유럽어들의 멈춤키(dead key)처럼 '첨자'를 먼저 치거나, 동양의 성조표시처럼 그 반대로 규정한다. 첨자 기호만 구현하려면 '빈칸'에 첨자를 사용하면 된다.아랍어는 모음표시기호를 첨자키로 구현하면 시프트자판을 사용하지 않을 수 있으며, 태국어나 크메르어와 같은 음절자모문자(아부기다문자)는 자음자가 40~50 개, 모음자도 십수개가 되며 모음은 좌, 우, 상, 하에 붙는 등 상당히 복잡한데, 상하에 붙는 모음을 첨자키로 구현할 수 있다. 첨자키는 일반 어문생활 뿐 아니라 전문적 학술문장을 쓰기에도 유용하다.
구두점키(22)는 그 종류나 빈도가 언어별로 고유적이다. 예를 들어 스페인어의 역물음표(¿), 아랍어의 왼쪽물음표, 일본어의 고리점(。)이 있고, 아르메니아어, 히브리어, 태국어 등 구두점이 매우 독특한 것들이 많다. 벨라루스어나 우크라이나어의 아포스트로피는 경음부호의 의미이고, 일본어의 장음부호(―) 등도 마찬가지 고유성이 있다. 한국어도 '가운뎃점'을 많이 쓰는데 기존의 기술에는 구현이 불편하다. 러시아어는 쉼표와 대시가 자주 쓰이고, 인용부호도 프랑스어처럼 꺾인따옴표(≪≫)를 쓴다. 언어 고유로 필요한 구두점들을 길게누르기(211)로 구현하며, '마침표, 쉼표, 물음표' 등 언어에 따라 중요한 수 개는 구두점키 상에 표시되어 제자리치기로 하나 칠 때마다 바뀌며 마지막은 순환되도록 구현하는 입력방법을 제공하여 사용자 편의성을 제고한다.
공백키(23)는 공백관련 문자와 커서이동에 사용한다. 비분리공백 (non-breaking space), 제로폭분리(zero with non-joiner), 하이픈 등의 공백 관련 부호를 길게누르기로 구현하는데, 제로폭분리는 연접되면 글자 모양이 달라지는 한글이나 아랍어에 꼭 필요한 부호이다. 예를 들어 'ㅗ'와 'ㅏ'가 연접되면 오토마타에 의해 'ㅘ'로 합자꼴이 되는데 'ㅗㅏ'처럼 만들고 싶을 때 현재의 기술은 빈칸이나 커서로 이동 후 다시 빈칸을 지워야 되고, 문장 끝에서는 더 불편하다. 제로폭분리를 사용하면 'ㅗ + 제로폭분리 + ㅏ'로 'ㅗㅏ'가 구현된다. 비분리공백은 고정빈칸이라고도 하며, 문장 끝에서 예를 들어 '100 km'가 문장 끝에서 '100'과 'km'로 자동분리되는 것을 막고 싶을 때 사용하는 공백이다. 하이픈은 엄격한 용례에선 대쉬나 마이너스와 다른 구두점으로서, 엄격한 하이픈을 사용하기 위해 공백키의 길게누르기 메뉴로 배정할 수 있다. 터치스크린에서 커서이동은 필요하지만, 현재 기술로 불편하다. 스크린에서 직접 드래그하거나 기능영역에 키를 할당한 것도 있는데 전자는 미세 이동의 어려움, 후자는 좁은 공간의 자리 차지의 불편함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공백키를 이용하여 상, 하, 좌, 우의 일방향 드래그하여 각각 상, 하, 좌, 우로 커서 이동하도록 하여 문자입력 시 편의성을 제고한다.
도 17(a)는 본 발명에 따라 상기 구두점키와 첨자키에 있어서, 둘을 합하여 한 키로 하고, 길게누르기 메뉴에 두 가지 기호를 넣되, 구두점 영역과 첨자영역을 구분하고 영역의 색깔을 달리 하여 식별성을 제공한다. 그렇지 않으면 똑같은 모양에 대해 혼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캐럿(^)과 서컴플렉스는 흡사한 모양이지만 전자는 구두점, 후자는 첨자이다. 기능키 두 개를 한 키로 합하면, 기능영역의 공간이 여유있게 된다. 본 발명의 구두점키와 첨자키 사용과,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다층 시프트자판에 의해 기능영역의 숫자기호모드키를 없앨 수 있어서, 기능영역의 공간 구성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17(b)는 사용하고자 하는 언어가 한국어일 경우 첨자키를 한자변환 기능이 되도록 하는 예시이다. 한국어의 문자생활에 한자가 사용되는데, 한글은 첨자 방식을 쓰지 않으므로 첨자키를 '한자'라고 표시하여 한자변환키 기능이 되도록 하여 사용자 편의성을 제고한다.
도 18은 본 발명의 다층 시프트자판의 실시 예이다. 터치스크린 자판에서 시프트자판을 다층으로 하여, 제2언어, 바탕자판과 다른 폰트체, 숫자·기호 등을 배열하고, 시프트키를 n 회 누르면, 시프트n 자판으로 변환된 후 문자키 1개 눌러 문자를 입력하고, 바탕자판으로 자동 환원되는 단계로 이루어져 1회적으로 문자를 입력하며; 시프트n 자판 잠금은 시프트키 누름의 마지막 n회차를 길게 눌러서 잠금상태로 만들고, 잠금 상태에서 문자를 계속해서 다수 입력한 뒤, 시프트키를 1회 눌러 바탕자판으로 환원되는 단계로 이루어진 다층시프트 자판으로 구성한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문자입력용 자판으로 편의성을 증대한다.
본 발명의 다층 시프트자판의 실시로 숫자·기호용 자판, 다른 언어용 자판 등에 다층 시프트자판을 사용함으로서, 기능영역에 통상 자리하는 '숫자·기호'키, '한·영'과 같은 언어전환키를 없애므로서, 기능영역의 공간이 여유있게 된다. 여유있는 기능영역의 스페이스바 좌우에 첨자키, 구두점키만으로 간결하게 구성이 가능하다.
상기의 다층 시프트자판에 있어서, 시프트자판의 고정시 자판 전체에 색깔을 입혀 식별성을 높인 터치스크린 자판의 다층 시프트자판으로 편의성을 제고한다. 시프트자판이 고정된 것을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방법은 기존 기술에서 시프트키만 칼라 또는 형광색을 표시하거나, 색깔점으로 표시하였는데, 이것은 손가락으로 가려지기 때문에 잘 알 수 없다. 본 발명에서는 시프트자판이 고정되었을 때(시프트락) 시프트자판 전체에 대해 색깔을 달리 칼라코딩을 하여 사용자 편의성을 높인다. 다층 시프트 여럿을 전부 다른 색깔로도 할 수 있으나, 그렇게 하지 않아도 '고정상태' 란 것을 식별하면 충분하므로 그렇지 않아도 충분하다.
상기 여러 실시 예에서 다룬 라틴문자, 키릴문자, 다른 알파벳문자, 아랍문자 등에 사용된, 본 발명에 따른 문자입력 방법은 라틴문자의 언어, 키릴문자의 언어, 비라틴 알파벳문자의 언어, 아랍문자의 언어에 일반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해당 언어의 알파벳정렬항을 가지는 기본자모를 중심으로, 컴퓨터키보드의 배열 글자를 고려하여 바탕자모를 선정하여 정형화된 틀에, 자모순서대로 배열하는 것이다. 상기 상세한 설명은 터치스크린을 입력수단으로 구비한 경우를 상정하고 문자입력 편의성을 증대시키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에 따른 입력방법 가운데 버튼식 입력수단에서도 가능한 것은 터치스크린식이나 버튼식에서 공통적으로 실시할 수 있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문자영역 2: 기능영역
3: 소문자의 바탕자모 4: 길게누르기에 배정된 대문자
11: 기본영역 12: 덧붙임영역
21: 첨자키 22: 구두점키
23: 공백키

Claims (14)

  1. 터치스크린 자판의 문자영역(1)에 문자키를 배열함에 있어서, 행의 수를 3 내지 4로 한정하고, 제1행의 열의 수를 5 이상 10 이하로 한정하여, [표 2]와 같은 격자형의 정형화된 틀, 혹은 셀을 어긋나게 한 [표 3]과 같은 경사형의 정형화된 틀을 사용함을 특징으로 하고, 사용하고자 하는 언어에서 선정된 자모를 바탕자판에 순차배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바탕자판에 배열된 자모 외의 것들은 복수할당하여, 바탕자모는 1타로, 복수할당한 것들은 길게누르기로 구현하되, 러시아어의 'Е,Ё'와 같이 연쇄가 없이 병렬로 할당된 것은 제자리치기로도 구현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문자 배열 및 입력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영어 대소문자나 일본어 가나처럼 글자체계가 이중적일 때, 길게누르기에 대문자나 히라가나처럼 이중적 체계의 대응 문자가 배정되어, 따로 시프트키를 사용하지 않고, 길게누르기로 구현되도록 하는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문자 배열 및 입력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라틴문자 언어의 입력을 위하여, 26셀의 정형화된 틀에, 터키어의 'Q, W, X'처럼 사용하지 않는 자모를 포함한 ABC 26자를 자모 순으로 순차배열함을 특징으로 하고; 발음구별문자에 대해 스웨덴어의 Å와 같은 기본자모 여부, 독일어의 움라웃 글자와 같은 공인자모 여부, 기타 차용어용 자모 등과 같은 정서법 상의 지위에 따라, 순위를 반영하여 길게누르기에 배정하고; 이들을 길게누르기로 구현하며; 연쇄가 없는 기본자모는 제자리치기로도 구현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문자 배열 및 입력방법.
  4. 청구항 3에 있어서, 사용하고자 하는 라틴문자 언어의 정서법에 따른 발음구별문자의 지위, 빈도 및 컴퓨터키보드 배열 여부에 따라 선정된 발음구별문자들을; 문자영역의 기본영역(11) 바깥의 덧붙임영역(12)에 배열하고; 길게누르기 또는 제자리치기로 구현하는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문자 배열 및 입력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사용하고자 하는 라틴문자 언어의 고유형 자판을 위하여, 기본자모, 또는 기본자모일지라도 실질적으로 차용어에만 쓰이거나 알파벳정렬항을 이루지 못하는 것들을 뺀 기본자모를 자모순서대로 배열하여 1타로 구현하고; 터키어의 'Q, W, X'와 같이 ABC 26자 중 빠진 라틴자모는 덧붙임영역에 복수할당하여; 복수할당된 것은 길게누르기 또는 제자리치리로 구현하도록 한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문자 배열 및 입력방법.
  6. 청구항 1에서, 러시아어 등의 키릴문자 언어와, 아르메니아어 등의 비라틴계 알파벳문자 언어의 문자 입력에 있어서, 해당언어의 기본자모, 또는 기본자모일지라도 실질적으로 차용어용에만 쓰이거나 사전의 알파벳정렬항을 이루지 못한 것들을 뺀 기본자모를 문자영역의 정형화된 틀에 자모순서로 배열하여 1타로 구현하고; 배열된 자모 이외의 발음구별문자는 복수할당하여, 길게누르기로 구현하고; 연쇄가 없는 자모는 제자리치기도 구현되도록 하는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문자 배열 및 입력방법.
  7. 청구항 1에 있어서, 아랍어 등의 자음문자(아브자드) 언어를 입력하기 위하여 해당 언어의 기본자모 및 아랍어의 경우 '함자, 타마르부타'를 포함한 자모를 문자영역의 정형화된 틀에 순차적으로 배열하고, '알리프 함자, 알리프 맛대' 등의 발음구별문자는 해당 바탕자모를 길게누르기 또는 제자리치기로 구현하고, '팟다'와 같은 발음기호를 첨자키로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문자 배열 및 입력방법.
  8. 터치스크린 자판에서 숫자 '1, 2, ..., 0' 및 로마숫자 'Ⅰ,Ⅱ, …, Ⅹ'와 같은 언어 고유숫자 체계 중 한 체계를; 여하한 언어용 자판에서든지 좌상단의 일관된 위치로서 2행 5열의 행렬에 길게누르기 기본값으로 표시되고; 이를 길게누르기로 구현하고; 나머지 다른 하나는 후순위로 배정하여; 터치스크린을 이용하여 숫자를 입력하는 방법.
  9. 터치스크린 자판의 기능영역에 할당된 '첨자키(21)', '구두점키(22)', '공백키(23)'의 입력 기능을 부가하여; 일관성있는 규칙으로서, 첨자키는 '아큐트, 그라브' 등의 발음구별기호, 아랍어의 '팟다, 카쓰라' 등의 발음기호, 태국어의 모음기호, 일본어 가나의 '탁음기호, 반탁음기호' 등 글자에 합쳐지는 기호를 길게누르기로 구현하며, 고빈도의 수 개는 첨자키 상에 표시되어 제자리치기로도 구현되도록 하고; 구두점키는 스페인어의 역물음표(¿) 등 언어 고유로 필요한 구두점들을 길게누르기로 구현하며, '마침표, 쉼표, 물음표' 등 언어에 따라 고빈도의 수 개는 구두점키 상에 표시되어 제자리치기로도 구현하게 하고; 공백키는 '비분리공백, 제로폭분리, 하이픈' 등의 공백 관련 부호를 길게누르기로 구현하고; 공백키를 상, 하, 좌, 우의 일방향 드래그하여 각각 상, 하, 좌, 우로 커서 이동하도록 하는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
  10. 청구항 9에 있어서, 구두점키와 첨자키를 하나의 통합키(24)로 합하고; 길게누르기 메뉴 상에 구두점영역과 첨자영역을 나누고; 이 두 영역을 색깔로 구분하여 입력토록하는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
  11. 청구항 9에 있어서, 입력 언어가 한글일 경우 첨자키를 '한자'라고 표시되어; 한글 문자를 입력한 후; 이 키를 눌러; 입력한 문자가 한자변환이 되도록 하는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
  12. 터치스크린 자판에서 시프트자판을 다층으로 하여, 제2언어, 바탕자판과 다른 폰트체, 숫자·기호 등을 배열하고, 시프트키를 n 회 누르면, 시프트n 자판으로 변환된 후 문자키 1개 눌러 문자를 입력하고, 바탕자판으로 자동 환원되는 단계로 이루어져 1회적으로 문자를 입력하며; 시프트n 자판 잠금은 시프트키 누름의 마지막 n회차를 길게 눌러서 잠금상태로 만들고, 잠금 상태에서 문자를 계속해서 다수 입력한 뒤, 시프트키를 1회 눌러 바탕자판으로 환원되는 단계로 이루어진 다층시프트 자판으로 구성한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문자입력용 자판.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다층 시프트자판에 제2언어의 수용, 숫자·기호의 수용으로; 기능영역에 구성되는 통상의 '숫자·기호키', '한/영'과 같은 '언어전환키'를 제거하여 기능영역의 공간을 확보하게 한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문자입력용 자판.
  14. 청구항 12에 있어서, 시프트자판의 고정시 자판 전체에 색깔을 입혀 식별성을 높인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문자입력용 자판.
KR1020120072026A 2012-07-03 2012-07-03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라틴계 문자 및 비라틴계 문자 입력방법 KR2014000484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2026A KR20140004849A (ko) 2012-07-03 2012-07-03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라틴계 문자 및 비라틴계 문자 입력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2026A KR20140004849A (ko) 2012-07-03 2012-07-03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라틴계 문자 및 비라틴계 문자 입력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4849A true KR20140004849A (ko) 2014-01-14

Family

ID=501405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2026A KR20140004849A (ko) 2012-07-03 2012-07-03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라틴계 문자 및 비라틴계 문자 입력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04849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03029A1 (ko) * 2015-07-01 2017-01-05 조돈우 아랍문자 입력장치
KR102253125B1 (ko) * 2020-09-29 2021-05-14 주식회사 데이사이드 입력 언어의 일시적 변환 장치 및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03029A1 (ko) * 2015-07-01 2017-01-05 조돈우 아랍문자 입력장치
US9870067B2 (en) 2015-07-01 2018-01-16 Don Woo CHO Input device for arabic letters
KR102253125B1 (ko) * 2020-09-29 2021-05-14 주식회사 데이사이드 입력 언어의 일시적 변환 장치 및 방법
WO2022071657A1 (ko) * 2020-09-29 2022-04-07 주식회사 데이사이드 입력 언어의 일시적 변환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00865B2 (en) Efficient method and apparatus for text entry based on trigger sequences
US4737040A (en) Keyboard device and method for entering Japanese language text utilizing Romaji character notation
US20170206004A1 (en) Input of characters of a symbol-based written language
JP2005529394A (ja) 各国語文字情報の最適化デジタル操作的コード化及び入力の方法、そして、その情報処理システム
JP6681518B2 (ja) 文字入力装置
KR20140004849A (ko)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라틴계 문자 및 비라틴계 문자 입력방법
CN101788879A (zh) 软键盘布局及扫描输入方法
US20170060261A1 (en) Character typing method
CN104503599B (zh) 一种基于36键位的藏文输入系统
KR20120068513A (ko) 터치 앤드 드래그 방식을 이용한 문자입력방법
JP2010033254A (ja) アジア言語の高速入力システム
JP3099210B2 (ja) 拗音を伴う50音入力装置用キーボード
KR20130004648A (ko) 터치스크린패널기기에서의 문서편집기능이 있는 다국어 문자입력장치
KR20120021996A (ko) 터치스크린패널을 이용한 세계 문자 입력장치
KR20120080474A (ko) 선긋기방식으로 문자를 입력하는 방법
KR101445061B1 (ko) 스마트폰의 한글입력버튼 배치구조
CN201698340U (zh) 一种中文拼音键盘
JP6482622B2 (ja) アジア言語の高速入力システム
JP2022124432A (ja) 九列五段キーボード
Rolfe What is an IME (Input Method Editor) and how do I use it
AU665293B2 (en) Apparatus for encoding and defining symbols and assembling text in ideographic languages
KR20120056581A (ko) 터치스크린패널을 이용한 베트남어입력장치
Kim Optimized Layout of a Medium-Type Model for Korean Soft Keyboards in Smart Phones
KR20230121558A (ko) 일본어 pc용 키보드 및 게임용 키보드
KR20130081518A (ko) 터치스크린패널기기에서의 문서편집기능이 있는 다국어 문자입력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