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61349B1 - 각도조절가능한 침대 헤드 - Google Patents

각도조절가능한 침대 헤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61349B1
KR102661349B1 KR1020220017300A KR20220017300A KR102661349B1 KR 102661349 B1 KR102661349 B1 KR 102661349B1 KR 1020220017300 A KR1020220017300 A KR 1020220017300A KR 20220017300 A KR20220017300 A KR 20220017300A KR 102661349 B1 KR102661349 B1 KR 1026613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
main body
link
opening
link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173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120727A (ko
Inventor
김기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레티티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레티티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레티티아
Priority to KR10202200173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61349B1/ko
Publication of KR202301207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207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13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1349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0/00Head -, foot -, or like rests for beds, sofas or the like
    • A47C20/04Head -, foot -, or like rests for beds, sofas or the like with adjustable inclina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9/00Bedsteads
    • A47C19/02Parts or details of bedsteads not fully covered in a single one of the following subgroups, e.g. bed rails, post rails
    • A47C19/021Bedstead frames
    • A47C19/022Head or foot boar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침대 프레임의 전측 단부에 직립되게 결합될 수 있도록 되고 개구부(11)가 형성된 본체(1)의 일부분을 등받이로서 이용할 수 있도록 기울기를 조정할 수 있도록 소정의 각도 범위에서 회동가능하게 장착된 헤드부분(2) 및 상기 헤드부분(2)을 본체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 범위로 변위가능하도록 헤드부분과 본체를 연결하는 링크를 구비하는 각도조절가능한 침대 헤드에 관한 것으로, 상기 헤드부분(2)은 침대의 헤드에서 본체(1)에 형성된 개구부(11)에서 하부가 전방으로 돌출되게 인출가능하도록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링크(3)는 4절 링크로서 개구부(11)의 측벽에 고정되는 하부 링크부재(31)와, 헤드부분(2) 배면측의 돌출부(21)에 고정되는 상부 링크부재(32), 상기 상부와 하부 링크부재(31,32)들 각각의 양측 단부들에 회동핀(35)으로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는 두개의 전후측 링크부재(33,34)들 및 상기 전후측 링크부재(33,34)의 회동시 접촉되어 회동 범위를 제한하도록 하부 링크부재(31)에 고정되고 상방으로 돌출된 스토퍼(3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구성됨으로써, 사용자는 헤드부분을 개별적으로 인출하여 등받이로서 간편하게 이용할 수 있어 사용편의성이 향상되고, 단순화된 구조로 헤드부분(2)을 본체 개구부에서 인출가능하게 지지하도록 되어 제조비용의 저감, 및 소비자의 불만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각도조절가능한 침대 헤드{Adjustable Angle Control Bed Head}
본 발명은 각도조절가능한 침대 헤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단순화된 구조로 2인 침대의 헤드 각도를 필요에 따라 개별적으로 조절하여 사용편의성을 향상시킨 각도조절가능한 침대 헤드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생활 환경의 변화로 침대 생활을 많이 하고 있으며, 일반적으로 침대 헤드는 침대 프레임에 대하여 수직 또는 경사진 상태로 유지되어 있어서, 침대에 않은 상태로 TV를 시청하거나 책을 읽는 경우에는 등을 기댈 수 있도록 별도의 등받이를 헤드 앞에 배치하여야 하는 불편이 있었다.
이에 대하여,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00878호(공고일자 2009년06월04일)에는 헤드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종래 기술로서, 침대프레임의 상부에 구비된 매트리스프레임의 일측 작동프레임이 힌지부에 의하여 비스듬히 기울일 수 있도록 구성된 것으로, 상기 매트리스프레임의 하부에 설치하여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구동축과, 상기 구동축에 슬라이딩축이 끼워져 축방향으로 작동되는 유니버셜조인트와, 나사축에 결합된 슬라이더에 4절의 링크부재가 결합되는 승강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링크부재들과 작동프레임은 상부링크부에 의해 절첩되고, 슬라이딩축과 나사축은 연결구에 의하여 연결되어 슬라이딩축이 이동되면, 나사축이 이동되면서 링크부재의 높이가 변화되어, 작동프레임의 각도가 조절되는 각도 조절가능한 침대 헤드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 기술에서는 헤드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해 복잡한 구조의 승강수단을 구비하여 제조비용의 상승을 초래하고, 이용자가 핸들로 구동축을 회전시켜야 하는 불편한 문제가 있었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00878호(공고일자 2009년06월04일)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헤드의 경사를 조절하기 위한 구조를 단순화하여 잦은 고장 발생을 방지함과 함께 제조비용을 낮추어 이용자의 구매 부담을 경감시키고, 2인 침대의 양측 헤드들을 개별적으로 이용자가 간편하게 조작하도록 개선된 구조의 각도조절가능한 침대 헤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각도조절가능한 침대 헤드는, 침대 프레임의 전측 단부에 직립되게 결합될 수 있도록 되고 개구부가 형성된 본체의 일부분을 등받이로서 이용할 수 있도록 기울기를 조정할 수 있도록 소정의 각도 범위에서 회동가능하게 장착된 헤드부분 및 상기 헤드부분을 본체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 범위로 변위가능하도록 헤드부분과 본체를 연결하는 링크를 구비하는 각도조절가능한 침대 헤드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분은 침대의 헤드에서 본체에 형성된 개구부에서 하부가 전방으로 돌출되게 인출가능하도록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링크는 4절 링크로서 개구부의 측벽에 고정되는 하부 링크부재와, 헤드부분 배면측의 돌출부에 고정되는 상부 링크부재, 상기 상부와 하부 링크부재들 각각의 양측 단부들에 회동핀으로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는 두개의 전후측 링크부재들 및 상기 전후측 링크부재의 회동시 접촉되어 회동 범위를 제한하도록 하부 링크부재에 고정되고 상방으로 돌출된 스토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구성된다.
상기 하부 링크부재는 본체의 개구부의 측벽에 고정되고, 상부 링크부재는 헤드부분 배면측의 돌출부에 고정된다.
상기 스토퍼의 상단에는 지지부재가 측방으로 돌출되게 제공되어 전후측 링크부재의 회동시 접촉되어 회동 범위를 제한하도록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침대가 2인용일 때, 상기 헤드부분은 본체에 형성된 두개의 개구부들 각각에서 양측에 제공된 링크들에 의해 독립되게 경사질 수 있도록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각도조절가능한 침대 헤드는 사용자가 본체에 형성된 개구부에서 헤드부분을 독립적으로 인출하여 등받이로서 간편하게 이용할 수 있어 사용편의성이 향상되는 효과와, 헤드부분(2)의 양측에 각각 4절 링크(3)를 장착함으로써, 헤드부분의 회동 제한 및 지지 기능을 단순화된 구조로 달성할 수 있게 되므로, 제조비용을 저감시킬 수 있고, 단순화된 구조로 잔고장이 없고, 침대의 이동 및 설치에 특별한 문제 발생이 없는 점에서 소비자의 불만 요인이 전혀 발생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각도조절가능한 침대 헤드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2는 도 1에서 헤드부분의 양측부에 장착된 링크장치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측면도.
도 3은 도 2에서의 링크장치의 확대사시도.
도 4는 도 1에서 침대 헤드의 헤드부분을 등받이로 이용할 수 있도록 경사지게 조절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5는 도 4에서 헤드부분의 양측부에 장착되어 헤드부분이 경사지게 배치된 상태에서의 링크장치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측면도.
도 6은 도 5 상태에서의 링크장치의 확대사시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한 첨부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내지 3에 있어서, 본 발명에 의한 각도조절가능한 침대 헤드는 침대 프레임의 전측 단부에 직립되게 결합될 수 있도록 되고 개구부(11)가 형성된 본체(1)와, 상기 본체(1)의 개구부(11)에 배치되어 등받이로서 이용할 수 있도록 기울기를 조정할 수 있도록 일정한 각도 범위내에서 변위가능하게 장착된 헤드부분(2) 및 상기 헤드부분(2)을 본체의 개구부(11)의 양 측벽에 연결하고 일정한 각도 범위에서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는 링크(3)를 포함한다.
2인용 침대의 헤드에서 상기 본체(1)에는 2개소에 개구부(11)가 형성되어 있으며, 각각의 개구부(11)에는 헤드부분(2)이 제공되고, 헤드부분의 배면측에는 돌출부(2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링크(3)는 4절 링크로서, 본체의 개구부(11)의 측벽에 고정되는 하부 링크부재(31)와, 헤드부분(2) 배면측의 돌출부(21)에 고정되는 상부 링크부재(32), 상기 상부와 하부 링크부재(31,32)들 각각의 양측 단부들에 회동핀(37)으로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는 두개의 전후측 링크부재(33,34)들을 포함하여, 상기 상부 링크부재(31)가 고정된 헤드부분(2)은 하부 링크부재(31)에 대하여 도면에서 좌우로 회동가능하게 장착된 전후측 링크부재(33,34)들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지지된다.
또한, 상기 하부 링크부재(31)에는 스토퍼(35)가 상방으로 돌출된 상태로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스토퍼(35)의 상단에는 롤러 형태의 지지부재(36)가 측방으로 돌출되게 제공되어서 전후측 링크부재(33,34)의 회동시 접촉되어 회동 범위를 제한하게 된다. 즉, 도 4의 확대도는, 헤드부분(2)이 헤드 본체의 개구부에 위치한 상태에서 더 이상 후방으로 젖혀지지 않게 전측 링크부재(33)가 스토퍼(35)의 지지부재(36)에 접촉되어 지지되는 것을 보여준다. 상기 전측 링크부재(33)에는 헤드부분이 본체의 개구부(11)에 배치된 위치에서 안정되게 유지될 수 있도록 스토퍼(35)의 지지부재(36)와 접촉되는 위치에 요홈(38)이 형성될 수 있다.
도 6은 헤드부분(2)이 본체의 개구부에서 하단부가 전측으로 돌출된 사용상태에서 더 이상 헤드부분이 돌출되지 않고 안정되게 유지되도록 후측 링크부재(34)가 스토퍼(35)의 지지부재(36)에 접촉되어 지지되는 것을 보여준다.
도 4와 도 5를 참고하여 본 발명에 의한 각도조절가능한 침대 헤드의 사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기존의 침대 헤드로서 사용할 때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의 본체(1)에 형성된 개구부(11)에 헤드부분(2)이 배치되며, 이때, 하부 링크부재(31)에 제공된 스토퍼(35)의 지지부재(36)에 전측 링크부재(33)가 지지됨으로써 헤드부분(2)이 개구부(11)에서 후방으로 더 이상 변위되지 않고 안정되게 유지된다.
사용자가 등받이로서 사용하기 위하여, 헤드부분(2)의 하단부에 제공된 당김고리(25)를 잡아 당기면, 개구부(11)에 위치한 헤드부분(2)의 하부가 전측으로 돌출되며, 이때 하부 링크부재(31)에 제공된 스토퍼(35)의 지지부재(36)에 후측 링크부재(34)가 지지됨으로써 헤드부분(2)이 경사진 상태로 유지되므로 사용자는 헤드부분을 등받이로서 간편하게 이용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헤드부분(2)의 양측에 각각 4절 링크(3)를 장착함으로써, 헤드부분의 회동 제한 및 지지 기능을 단순화된 구조로 달성할 수 있게 되므로, 제조비용을 저감시킬 수 있고, 단순화된 구조로 잔고장이 없고, 침대의 이동 및 설치에 특별한 문제 발생이 없는 점에서 소비자의 불만 요인이 전혀 발생하지 않는 잇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헤드부분(2)은 2인 침대의 경우에 본체의 양측에 각각 형성된 개구부(11)에 제공됨으로써, 2인의 사용자가 개별적으로 필요에 따라 헤드부분을 개구부에서 인출하여 이용할 수 있으므로 사용편의성이 향상된다.
본 발명은 헤드의 일부분인 헤드부분을 등받이로서 이용가능하도록 경사지게 변위시킬 수 있도록 침대 헤드에 이용될 수 있다.
1 : 본체 2 : 헤드부분
3 : 링크 11 : 개구부
21 : 돌출부 31,32,33,34 : 링크부재
35 : 스토퍼 36 : 지지부재

Claims (4)

  1. 침대 프레임의 전측 단부에 직립되게 결합될 수 있도록 되고 개구부(11)가 형성된 본체(1)의 일부분을 등받이로서 이용할 수 있도록 기울기를 조정할 수 있도록 소정의 각도 범위에서 회동가능하게 장착된 헤드부분(2) 및 상기 헤드부분(2)을 본체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 범위로 변위가능하도록 헤드부분과 본체를 연결하는 링크(3)를 구비하고, 상기 헤드부분(2)은 침대의 헤드에서 본체(1)에 형성된 개구부(11)에서 하부가 전방으로 돌출되게 인출가능하도록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링크(3)는 4절 링크로서 개구부(11)의 측벽에 고정되는 하부 링크부재(31)와, 헤드부분(2) 배면측의 돌출부(21)에 고정되는 상부 링크부재(32), 상기 상부와 하부 링크부재(31,32)들 각각의 양측 단부들에 회동핀(37)으로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는 두개의 전후측 링크부재(33,34)들을 포함하는 각도조절가능한 침대 헤드에 있어서,
    상기 전후측 링크부재(33,34)의 회동시 접촉되어 회동 범위를 제한하도록 하부 링크부재(31)에 고정되고 상방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상단에는 지지부재(36)가 측방으로 돌출되게 제공된 스토퍼(35)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하부 링크부재(31)는 본체의 개구부(11)의 측벽에 고정되고, 상부 링크부재(32)는 헤드부분(2) 배면측의 돌출부(21)에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조절가능한 침대 헤드.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220017300A 2022-02-10 2022-02-10 각도조절가능한 침대 헤드 KR1026613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7300A KR102661349B1 (ko) 2022-02-10 2022-02-10 각도조절가능한 침대 헤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7300A KR102661349B1 (ko) 2022-02-10 2022-02-10 각도조절가능한 침대 헤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20727A KR20230120727A (ko) 2023-08-17
KR102661349B1 true KR102661349B1 (ko) 2024-04-30

Family

ID=878004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17300A KR102661349B1 (ko) 2022-02-10 2022-02-10 각도조절가능한 침대 헤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6134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2431Y1 (ko) * 2000-08-11 2001-02-15 김광운 침대 헤드부 구조
JP2014023797A (ja) * 2012-07-27 2014-02-06 Paramount Bed Co Ltd 起立補助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0878B1 (ko) 2007-06-22 2009-06-04 한상욱 환자용 침대의 등판각도 조절장치
IT201700045536A1 (it) * 2017-04-27 2018-10-27 Nicola Golfari Struttura articolata pieghevole, particolarmente per il supporto di una seduta o di un piano di appoggio.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2431Y1 (ko) * 2000-08-11 2001-02-15 김광운 침대 헤드부 구조
JP2014023797A (ja) * 2012-07-27 2014-02-06 Paramount Bed Co Ltd 起立補助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20727A (ko) 2023-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156974B2 (ja) 変形可能なアームレストを有する簡易寝台に変形可能な座席
US5380063A (en) Chair with seat depth adjustment
JP2791708B2 (ja) 椅子、特に作業用または事務用の椅子
JPH066758Y2 (ja) ヘッドレスト装置
CA2680686C (en) Adjustment device for a reclining chair
KR20040013886A (ko) Lcd 모니터의 받침대 구조
US20080001453A1 (en) Tension adjustment mechanism for a chair
KR102661349B1 (ko) 각도조절가능한 침대 헤드
WO2022151814A1 (zh) 一种多功能座椅
CN209932053U (zh) 一种线控式座椅底盘
KR20090008040A (ko) 책상
CN114451715B (zh) 一种多功能座椅
KR200310878Y1 (ko) 액정 표시 모니터용 자동 조절 지지대
JP3132961B2 (ja) 椅子の背凭れの上下調整装置
JP3157939U (ja) 電動ベッド構造
JP4506283B2 (ja) マッサージ椅子
JP6625017B2 (ja) 肘掛け、及び、椅子
CN113180400A (zh) 座椅底座及其座椅
CN209750504U (zh) 头枕驱动装置及其沙发
JP3155553U (ja) 電動ベッドの床傾斜調節機構
CN214803618U (zh) 座椅底座及其座椅
CN110693227A (zh) 一种电动机械伸展装置
CN214341303U (zh) 一种靠背可倾斜的床
KR19990075223A (ko) 화면각도 및 높이가 연동으로 조절되는 모니터
CN114451714B (zh) 一种椅座可调节坐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