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8424B1 - 표시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58424B1
KR102658424B1 KR1020190053927A KR20190053927A KR102658424B1 KR 102658424 B1 KR102658424 B1 KR 102658424B1 KR 1020190053927 A KR1020190053927 A KR 1020190053927A KR 20190053927 A KR20190053927 A KR 20190053927A KR 102658424 B1 KR102658424 B1 KR 1026584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switch
data
power
sou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39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30548A (ko
Inventor
박재천
이승규
이윤규
현채한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539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8424B1/ko
Priority to US16/868,837 priority patent/US11282426B2/en
Priority to CN202010376967.5A priority patent/CN111916013A/zh
Publication of KR202001305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05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84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84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09G3/320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 G09G3/3266Details of drivers for scan electrod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09G3/320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 G09G3/3275Details of drivers for data electrod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09G3/3611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 G09G3/3674Details of drivers for scan electrod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09G3/3611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 G09G3/3685Details of drivers for data electrod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2Addressing, scanning or driving the display screen or processing steps related thereto
    • G09G2310/0264Details of driving circuits
    • G09G2310/0267Details of drivers for scan electrodes, other than drivers for liquid crystal, plasma or OLED display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2Addressing, scanning or driving the display screen or processing steps related thereto
    • G09G2310/0264Details of driving circuits
    • G09G2310/0272Details of drivers for data electrodes, the drivers communicating data to the pixels by means of a curren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2Addressing, scanning or driving the display screen or processing steps related thereto
    • G09G2310/0264Details of driving circuits
    • G09G2310/0291Details of output amplifiers or buffers arranged for use in a driving circui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8Details of timing specific for flat panels, other than clock recovery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30/00Aspects of power supply; Aspects of display protection and defect management
    • G09G2330/02Details of power systems and of start or stop of display operation
    • G09G2330/021Power management, e.g. power sav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30/00Aspects of power supply; Aspects of display protection and defect management
    • G09G2330/02Details of power systems and of start or stop of display operation
    • G09G2330/028Generation of voltages supplied to electrode drivers in a matrix display other than LC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는, 주사선들 및 데이터선들에 연결된 화소들을 포함하는 표시부; 상기 주사선들로 각각의 주사 신호를 공급하는 주사 구동부; 상기 데이터선들로 각각의 데이터 신호를 공급하며, 출력단에 배치된 증폭기를 포함하는 데이터 구동부; 상기 증폭기의 제1 전원 단자 및 제2 전원 단자를 제1 구동 전원 및 제2 구동 전원에 교번적으로 연결하는 스위치부; 및 입력 영상 데이터 및 타이밍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주사 구동부, 상기 데이터 구동부 및 상기 스위치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구동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구동 제어부는, 상기 데이터 구동부로부터 각 프레임의 데이터 신호들이 출력되는 소스 출력 기간들의 사이에 배치된 블랭크 기간 동안 상기 스위치부에 의한 전원 스위칭 동작을 중단시키는 스위치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Description

표시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DISPLAY DEVICE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본 발명의 실시예는 표시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에 관한 것이다.
표시 장치는, 표시 영역에 배치된 화소들과, 상기 화소들을 구동하기 위한 주사 구동부 및 데이터 구동부를 포함한다. 주사 구동부는 각각의 프레임 기간 동안 각 수평 라인의 화소들을 순차적으로 선택하기 위한 주사 신호를 출력하고, 데이터 구동부는 상기 주사 신호에 의해 선택된 화소들에 대응하는 데이터 신호를 출력한다.
데이터 구동부는, 영상 데이터 및 데이터 제어신호에 대응하여 데이터 신호를 생성하고, 각 채널의 출력단에 구비된 증폭기를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 신호를 증폭하여 출력한다. 증폭기는 자체적으로 오프셋을 가지며, 이에 따라 데이터 구동부에서 출력되는 데이터 신호는 증폭기의 오프셋에 따른 전압 편차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증폭기의 오프셋을 상쇄시켜 데이터 신호의 전압 편차를 저감하며, 이를 위한 전원 스위칭 기간을 효율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한 표시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는, 주사선들 및 데이터선들에 연결된 화소들을 포함하는 표시부; 상기 주사선들로 각각의 주사 신호를 공급하는 주사 구동부; 상기 데이터선들로 각각의 데이터 신호를 공급하며, 출력단에 배치된 증폭기를 포함하는 데이터 구동부; 상기 증폭기의 제1 전원 단자 및 제2 전원 단자를 제1 구동 전원 및 제2 구동 전원에 교번적으로 연결하는 스위치부; 및 입력 영상 데이터 및 타이밍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주사 구동부, 상기 데이터 구동부 및 상기 스위치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구동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구동 제어부는, 상기 데이터 구동부로부터 각 프레임의 데이터 신호들이 출력되는 소스 출력 기간들의 사이에 배치된 블랭크 기간 동안 상기 스위치부에 의한 전원 스위칭 동작을 중단시키는 스위치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구동 제어부는, 상기 소스 출력 기간들에서 상기 스위치부에 의한 전원 스위칭 동작을 활성화시키는 스위치 제어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스위치부는, 상기 소스 출력 기간들에서, 상기 스위치 제어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증폭기의 제1 전원 단자를, 상기 제1 구동 전원 및 상기 제2 구동 전원에 교번적으로 연결하는 제1 스위치; 및 상기 소스 출력 기간들에서, 상기 스위치 제어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증폭기의 제2 전원 단자를, 상기 제1 스위치와 반대의 순서로 상기 제1 구동 전원 및 상기 제2 구동 전원에 교번적으로 연결하는 제2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스위치 및 상기 제2 스위치는, 상기 스위치 제어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소스 출력 기간들에서 소정의 주기마다 상기 전원 스위칭 동작을 반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스위치 및 상기 제2 스위치는, 상기 스위치 제어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블랭크 기간 동안 상기 전원 스위칭 동작을 정지하거나 오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구동 제어부는, 상기 타이밍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스위치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스위치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스위치 제어부는, 상기 타이밍 신호를 카운팅하여 상기 블랭크 기간을 검출하는 카운터; 상기 스위치부에 의한 전원 스위칭 동작 옵션을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카운터에 의해 검출된 블랭크 기간 및 상기 저장부로부터 추출된 상기 전원 스위칭 동작 옵션에 기초하여 상기 스위치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제어신호 생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전원 스위칭 동작 옵션은, 상기 표시 장치의 구동 모드, 상기 전원 스위칭 동작의 활성화 여부, 및 상기 전원 스위칭 동작의 주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전원 스위칭 동작 옵션은, 상기 블랭크 기간에서의 상기 전원 스위칭 동작의 활성화 여부, 및 상기 블랭크 기간에 대응하는 상기 전원 스위칭 동작의 중단 구간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블랭크 기간은, 상기 소스 출력 기간들의 사이에 연속적으로 배치되는 프론트 포치 기간 및 백 포치 기간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데이터 구동부는, 각각의 데이터선과 연결되도록 각각의 출력 채널에 배치된 복수의 증폭기들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스위치부는, 소정의 주기마다, 상기 증폭기들 중 적어도 일부의 증폭기들에 구비된 제1 전원 단자들을 상기 제1 및 제2 구동 전원들 중 어느 하나에 공통으로 연결하고, 상기 적어도 일부의 증폭기들에 구비된 제2 전원 단자들을 상기 제1 및 제2 구동 전원들 중 다른 하나에 공통으로 연결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표시 장치는, 상기 표시부와 중첩되는 센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서부는, 상기 블랭크 기간 동안 구동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은, 타이밍 신호에 대응하여 스위치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스위치 제어신호에 대응하여, 데이터 구동부의 출력단에 배치된 증폭기의 제1 전원 단자 및 제2 전원 단자를 제1 구동 전원 및 제2 구동 전원에 교번적으로 연결하면서 각 프레임의 데이터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각 프레임의 데이터 신호가 출력되는 소스 출력 기간들에서, 상기 제1 및 제2 전원 단자들을 상기 제1 및 제2 구동 전원들에 교번적으로 연결하는 전원 스위칭 동작을 반복적으로 수행하고, 상기 소스 출력 기간들의 사이에 배치된 블랭크 기간 동안에는, 상기 전원 스위칭 동작을 중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스위치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타이밍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블랭크 기간을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블랭크 기간 및 미리 저장된 전원 스위칭 동작 옵션에 기초하여, 상기 스위치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전원 스위칭 동작 옵션은, 상기 표시 장치의 구동 모드, 상기 전원 스위칭 동작의 활성화 여부 및 상기 전원 스위칭 동작의 주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전원 스위칭 동작 옵션은, 상기 블랭크 기간에서의 상기 전원 스위칭 동작의 활성화 여부, 및 상기 블랭크 기간에 대응하는 상기 전원 스위칭 동작의 중단 구간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에 따르면, 전원 스위칭을 통해 증폭기의 오프셋을 상쇄시킴으로써, 데이터 신호의 전압 편차를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스위치 제어신호를 이용하여 각각의 블랭크 기간 동안 전원 스위칭 동작이 중단되도록 전원 스위칭 기간을 제어함으로써, 센서부의 노이즈를 저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부 및 표시 구동부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데이터 구동부를 나타낸다.
도 4는 도 3의 출력 버퍼부에 구비된 출력 버퍼 및 이에 연결된 스위치부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원 스위칭 방식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스위치 제어부를 나타낸다.
도 7 및 도 8은 도 6의 저장부에 저장되는 소스 초핑 옵션에 대한 실시예들을 나타낸다.
도 9는 본 발명의 서로 다른 실시예들에 의한 제1 스위치 제어신호 및 제2 스위치 제어신호를 나타낸다.
도 10은 소스 초핑에 따른 데이터 구동부의 출력 전압을 나타낸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를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다만,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다양한 형태로 변경되어 실시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아래의 설명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단수만을 포함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10)를 나타낸다. 실시예에 따라, 도 1에서는 터치 센서를 포함한 표시 장치(10)를 개시하기로 하나, 본 발명에 의한 표시 장치(10)가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10)는,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100), 상기 표시부(100)를 구동하기 위한 표시 구동부(200), 터치 입력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부(300), 및 상기 센서부(300)를 구동하기 위한 센서 구동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부(100)와 센서부(300)는 표시 장치(10)의 패널부를 구성하고, 표시 구동부(200)와 센서 구동부(400)는 표시 장치(10)의 구동부를 구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센서부(300) 및 센서 구동부(400)는, 표시 장치(10)의 패널부로 입력되는 터치 입력을 검출하기 위한 터치 센서를 구성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표시부(100)와 센서부(300)는 서로 일체로 제작되거나, 서로 별개로 제작된 이후 점착층 등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또한, 표시 구동부(200) 및 센서 구동부(400)는 서로 분리되어 구성되거나, 또는 이들의 적어도 일부분이 하나의 구동 IC(driver IC) 내에 함께 집적될 수 있다.
표시부(100)는, 표시 영역(DA)과, 상기 표시 영역(DA)을 둘러싸는 비표시 영역(NDA)을 포함한다. 표시 영역(DA)은 표시 장치(10)의 화면을 구성하는 영역으로서, 이러한 표시 영역(DA)에는 화소들(PX)이 배치된다. 비표시 영역(NDA)은 표시 영역(DA)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으로서, 일 예로 화면을 둘러싸는 가장자리 영역일 수 있다. 이러한 비표시 영역(NDA)에는, 화소들(PX)에 연결되는 배선들 및/또는 상기 화소들(PX)을 구동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구동 회로가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표시부(100)는, 자발광 또는 비발광 표시 패널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부(100)는, 각각의 화소(PX) 내부에 하나 이상의 유/무기 발광 소자가 구비된 자발광 표시 패널로 구성되거나, 액정 표시 패널과 같은 비발광 표시 패널로 구성될 수 있다. 표시부(100)가 비발광 표시 패널일 경우, 표시 장치(10)는 상기 표시부(100)로 광을 공급하기 위한 광원부(일 예로, 백라이트 유닛)를 더 구비할 수 있다.
표시 구동부(200)는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데이터 및 타이밍 신호들에 대응하여 화소들(PX)을 구동한다. 이를 위해, 표시 구동부(200)는 표시부(1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화소들(PX)의 구동에 필요한 신호들을 표시부(100)로 공급한다. 이러한 표시 구동부(200)는, 화소들(PX)로 각각의 주사 신호 및 데이터 신호를 공급하기 위한 주사 구동부 및 데이터 구동부와, 상기 주사 구동부 및 데이터 구동부를 제어하기 위한 구동 제어부(일 예로, 타이밍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주사 구동부, 데이터 구동부 및/또는 구동 제어부는 하나의 표시 구동 IC의 내부에 집적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다른 실시예에서, 주사 구동부, 데이터 구동부 및 구동 제어부 중 적어도 하나(또는, 그 일부)는 표시부(100)의 비표시 영역(NDA)에 배치될 수도 있다.
센서부(300)(또는, "감지부"라고도 함)는, 감지 영역(SA)과, 상기 감지 영역(SA)을 둘러싸는 비감지 영역(NSA)을 포함한다. 감지 영역(SA)은 사용자에 의한 터치 입력을 감지할 수 있는 영역으로서, 이러한 감지 영역(SA)에는 센서 전극들(SE)이 배치될 수 있다. 비감지 영역(NSA)은 감지 영역(SA)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으로서, 일 예로 감지 영역(SA)의 주변에 위치한 주변 영역 또는 가장자리 영역일 수 있다. 이러한 비감지 영역(NSA)에는 센서 전극들(SE)에 연결되는 배선들이 배치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센서부(300)는 표시부(100)와 중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감지 영역(SA)은 표시 영역(DA)과 중첩되도록 배치되고, 센서 전극들(SE)은 화소들(PX)과 중첩되도록 상기 화소들(PX)의 상부 및/또는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센서부(300)는, 정전용량 방식의 센서부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부(300)는, 감지 영역(SA)에서 서로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제1 센서 전극들(SE1) 및 제2 센서 전극들(SE2)을 포함한 상호 정전용량 방식의 센서부일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1 센서 전극들(SE1)과 제2 센서 전극들(SE2) 중 하나는 소정의 터치 감지 기간 동안 구동 신호를 공급받는 구동 전극들("Tx 전극들"이라고도 함)일 수 있고, 다른 하나는 상기 구동 신호에 대응하는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감지 전극들("Rx 전극들"이라고도 함)일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에서 센서부(300)의 구조, 종류 및/또는 구동 방식이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센서부(300)는 감지 영역(SA)에 개별적으로 분산된 도트형 센서 전극들을 포함하는 자가 정전용량 방식의 센서부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외에도, 센서부(300)는 현재 공지된 다양한 구조, 종류 및/또는 구동 방식의 센서 전극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1에서는 표시 장치(10)가 터치 센서를 포함하는 실시예를 개시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표시 장치(10)는 현재 공지된 다양한 종류의 센서를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센서 구동부(400)는 센서부(3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센서부(300)의 구동에 필요한 신호를 송/수신한다. 일 예로, 센서 구동부(400)는 소정의 터치 감지 기간 동안 센서부(300)로 구동 신호를 공급하고, 상기 구동 신호에 대응하는 감지 신호를 센서부(300)로부터 수신하여 터치 입력을 검출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센서 구동부(400)는, 센서 구동 회로와 감지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센서 구동 회로와 감지 회로는 하나의 센서 IC(일 예로, 터치 IC)의 내부에 집적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센서 구동부(400)는 표시 구동부(200)와 함께 하나의 구동 IC의 내부에 집적될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실시예에 따라, 센서 구동 회로는 센서부(300)의 구동 전극들(일 예로, 제1 센서 전극들(SE1))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소정의 터치 감지 기간 동안 상기 구동 전극들로 순차적으로 구동 신호를 공급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감지 회로는 센서부(300)의 감지 전극들(일 예로, 제2 센서 전극들(SE2))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감지 전극들 각각으로부터 출력되는 감지 신호를 이용하여 터치 입력을 검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센서부(300)는, 소스 출력 기간들의 사이에 배치되는 블랭크 기간에 구동될 수 있다. 상기 소스 출력 기간들은, 표시 구동부(200)가 표시부(100)로 각 프레임의 데이터 신호들을 출력하는 각각의 활성 기간들을 의미할 수 있다. 그리고, 블랭크 기간은, 상기 활성 기간들의 사이에 배치되는 기간, 일 예로 수직 블랭크(vertical blank) 기간일 수 있다.
상술한 표시 장치(10)는 터치 센서를 구비함으로써, 사용의 편의성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표시 영역(DA)에서 표시되는 영상을 보면서 화면을 터치하여 손쉽게 표시 장치(1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부(100) 및 표시 구동부(200)를 나타낸다.
도 2를 참조하면, 표시부(100)는, 주사선들(S1~Sn) 및 데이터선들(D1~Dm)과, 상기 주사선들(S1~Sn) 및 데이터선들(D1~Dm)에 연결된 화소들(PX)을 포함한다. 또한, 화소들(PX)의 구조 및 구동 방식에 따라서는, 표시부(100)에 적어도 한 종류의 제어선들이 더 배치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표시부(100)는, 주사선들(S1~Sn)과 나란히 배치되어 수평 라인 단위로 화소들(PX)과 연결되는 발광 제어선들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연결"이라 함은, 물리적 및/또는 전기적인 연결을 포괄적으로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소들(PX)은, 주사선들(S1~Sn) 및 데이터선들(D1~Dm)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주사선들(S1~Sn)은 주사 구동부(210)와 화소들(PX)의 사이에 연결된다. 상기 주사선들(S1~Sn)은 주사 구동부(210)로부터 출력되는 주사 신호들을 화소들(PX)로 전달한다. 상기 주사 신호들은, 각각의 화소(PX)로 데이터 신호가 입력되는 타이밍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각각의 주사 신호에 대응하여 어느 한 수평 라인의 화소들(PX)이 선택되고, 선택된 화소들(PX)은 데이터선들(D1~Dm)로부터 각각의 데이터 신호를 공급받을 수 있다.
데이터선들(D1~Dm)은 데이터 구동부(220)와 화소들(PX)의 사이에 연결된다. 상기 데이터선들(D1~Dm)은 데이터 구동부(220)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 신호들을 화소들(PX)로 전달한다. 상기 데이터 신호들에 따라, 각 화소(PX)의 발광 여부 및 그 휘도가 제어될 수 있다.
화소들(PX)은, 주사선들(S1~Sn) 및 데이터선들(D1~Dm)로부터 각각의 주사 신호 및 데이터 신호를 공급받는다. 또한, 화소들(PX)은 전원 공급부(미도시)로부터 화소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부(100)가 발광 표시 패널인 경우, 화소들(PX)은 서로 다른 전위를 가진 제1 화소 전원(ELVDD) 및 제2 화소 전원(ELVSS)을 공급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화소 전원(ELVDD) 및 제2 화소 전원(ELVSS)은 각 화소(PX)의 발광 기간 동안 해당 화소(PX)의 발광 소자가 발광할 수 있도록 하는 전위 차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화소들(PX)은 각각의 발광 기간마다 데이터 신호에 대응하는 휘도의 빛을 방출한다. 한편, 각각의 화소(PX)로 블랙 계조에 대응하는 데이터 신호가 공급되면, 해당 화소(PX)는 해당 프레임의 발광 기간 동안 비발광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화소들(PX)은 각각의 발광 소자를 포함한 자발광형 화소들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즉, 화소들(PX)의 종류, 구조 및/또는 구동 방식 등은 실시예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표시 구동부(200)는, 입력 영상 데이터(RGB) 및 타이밍 신호들에 대응하여 화소들(PX)을 구동한다. 상기 표시 구동부(200)는, 주사 구동부(210), 데이터 구동부(220), 감마전압 생성부(230) 및 스위치부(240)와, 상기 주사 구동부(210), 데이터 구동부(220), 감마전압 생성부(230) 및 스위치부(240)를 제어하기 위한 구동 제어부(25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주사 구동부(210), 데이터 구동부(220), 감마전압 생성부(230), 스위치부(240) 및/또는 구동 제어부(250)는 하나의 구동 IC에 집적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주사 구동부(210)는 구동 제어부(250)로부터 주사 제어신호(SCS)를 공급받고, 상기 주사 제어신호(SCS)에 대응하여 주사선들(S1~Sn)로 각각의 주사 신호를 공급한다. 예를 들어, 주사 구동부(210)는, 게이트 스타트 펄스(일 예로, 첫 번째 주사 스테이지로 입력되는 샘플링 펄스) 및 게이트 클럭 신호를 포함한 주사 제어신호(SCS)를 공급받고, 이에 대응하여 주사선들(S1~Sn)로 게이트-온 전압의 주사 신호를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 각각의 주사 신호에 의해 화소들(PX)이 수평 라인 단위로 선택되면, 선택된 화소들(PX)은 데이터선들(D1~Dm)로부터 해당 프레임의 데이터 신호를 공급받는다. 실시예에 따라, 주사 구동부(210)는, 구동 IC 등의 내부에 형성되거나, 화소들(PX)과 함께 표시 패널 상에 형성 또는 실장될 수 있다.
데이터 구동부(220)는 구동 제어부(250)로부터 영상 데이터(DATA) 및 데이터 제어신호(DCS)를 공급받고, 감마전압 생성부(230)로부터 각각의 계조에 대한 감마전압들(VGMA)을 공급받을 수 있다. 이러한 데이터 구동부(220)는 영상 데이터(DATA), 데이터 제어신호(DCS) 및 감마전압들(VGMA)을 이용하여 각각의 데이터 신호를 생성하고, 이를 데이터선들(D1~Dm)로 공급한다. 일 예로, 데이터 구동부(220)는, 영상 데이터(DATA) 및 감마전압들(VGMA)과, 소스 스타트 펄스, 소스 샘플링 클럭 및 소스 출력 인에이블 신호 등을 포함한 데이터 제어신호(DCS)를 공급받고, 각각의 수평 기간마다 해당 수평 기간에 선택된 화소들(PX)에 대응하는 각각의 데이터 신호를 데이터선들(D1~Dm)로 출력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데이터 구동부(220)는, 구동 IC 등의 내부에 형성되거나, 화소들(PX)과 함께 표시 패널 상에 형성 또는 실장될 수 있다.
감마전압 생성부(230)는, 구동 제어부(250)로부터 소정의 기준 계조들에 대한 기준 감마전압들(VGMA_REF)을 공급받고, 상기 기준 감마전압들(VGMA_REF)을 이용하여, 디지털 형태의 영상 데이터(DATA)를 아날로그 형태의 데이터 신호(일 예로, 데이터 전압)로 변환하기 위한 계조별 감마전압들(VGMA)을 생성한다. 예를 들어, 표시 장치가 0 내지 255 계조를 표현한다고 할 때, 감마전압 생성부(230)는, 기준 감마전압들(VGMA_REF)에 기초하여, 소정의 감마 값, 일 예로, 2.2 감마에 부합되는 계조 전압들을 생성하고, 이를 데이터 구동부(220)로 공급할 수 있다.
스위치부(240)는 구동 제어부(250)로부터 스위치 제어신호(CONT)("초핑 제어신호"라고도 함)를 공급받고, 상기 스위치 제어신호(CONT)에 대응하여 데이터 구동부(220)로 제1 구동 전원(VCC) 및 제2 구동 전원(VEE)을 공급한다. 상기 제1 구동 전원(VCC) 및 제2 구동 전원(VEE)은, 데이터 구동부(220)의 각 출력 버퍼를 구성하는 증폭기의 동작 전원들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스위치부(240)는, 전원 스위칭("전원 초핑", "소스 초핑" 또는 "소스 앰프 초핑"이라고도 함) 방식으로, 데이터 구동부(220)의 각 출력단에 배치된 증폭기의 제1 및 제2 전원 단자들 각각으로 제1 및 제2 구동 전원들을 교번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구동 제어부(250)는 외부(일 예로, 호스트 프로세서)로부터 입력 영상 데이터(RGB) 및 타이밍 신호들을 공급받고,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RGB) 및 타이밍 신호들에 대응하여 주사 구동부(210), 데이터 구동부(220) 및 스위치부(240)의 동작을 제어한다. 일 예로, 구동 제어부(250)는 수직 동기신호(VSYNC), 수평 동기신호(HSYNC) 및 메인 클럭신호(MCLK) 등을 포함한 타이밍 신호들을 공급받고, 이에 대응하여 주사 제어신호(SCS), 데이터 제어신호(DCS) 및 스위치 제어신호(CONT)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주사 제어신호(SCS), 데이터 제어신호(DCS) 및 스위치 제어신호(CONT)는 각각 주사 구동부(210), 데이터 구동부(220) 및 스위치부(240)로 공급된다.
또한, 구동 제어부(250)는 표시부(100)의 사양 및/또는 구동 모드 등에 따라 입력 영상 데이터(RGB)를 재정렬하고, 재정렬된 영상 데이터(DATA)를 데이터 구동부(220)로 출력할 수 있다. 데이터 구동부(220)로 공급된 영상 데이터(DATA)는 데이터 신호의 생성에 이용된다.
추가적으로, 구동 제어부(250)는 감마 설정에 따라 저장된 기준 감마전압들(VGMA_REF)을 감마전압 생성부(230)로 공급할 수 있다. 일 예로, 구동 제어부(250)는, 다시점 프로그래밍(multi time programming, MTP) 프로세스 등을 통해 내부 메모리에 저장된 기준 감마전압들(VGMA_REF)을 감마전압 생성부(230)로 공급할 수 있다. 상기 기준 감마전압들(VGMA_REF)은 각각의 계조에 대한 감마전압들(VGMA)을 생성하는 데에 이용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구동 제어부(250)는, 타이밍 제어부로 구성되거나, 또는 타이밍 제어부를 포괄한 통합 제어부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구동 제어부(250)는 스위치부(240)에 의한 전원 스위칭을 제어한다. 이를 위해, 구동 제어부(250)는 스위치 제어부(26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동 제어부(250)(일 예로, 구동 제어부(250)에 구비된 스위치 제어부(260))는, 타이밍 신호를 이용하여 각각의 블랭크 기간을 검출하고, 상기 블랭크 기간 동안 스위치부(240)에 의한 전원 스위칭 동작을 중단(일 예로, 오프)시키기 위한 스위치 제어신호(CONT)를 출력할 수 있다. 일 예로, 구동 제어부(250)는, 각각의 블랭크 기간에 대응하여 스위치부(240)에 의한 전원 스위칭 동작이 오프되도록 하는 스위치 제어신호(CONT)(일 예로, 오프-레벨의 스위치 제어신호(CONT))를 출력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블랭크 기간은, 각 프레임의 데이터 신호들이 출력되는 소스 출력 기간들의 사이에 배치되는 수직 블랭크 기간일 수 있다.
한편, 구동 제어부(250)는, 데이터 구동부(220)로부터 유효 데이터 신호들이 출력되는 소스 출력 기간들에서는, 스위치부(240)에 의한 전원 스위칭 동작을 활성화시키는 스위치 제어신호(CONT)(일 예로, 온-레벨의 스위치 제어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스위치부(240)에 의한 전원 스위칭 동작은, 유효 데이터 신호들이 출력되는 소스 출력 기간들에 진행되되, 상기 소스 출력 기간들의 사이에 삽입되는 각각의 블랭크 기간 동안에는 일시적으로 중단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 따른 표시 구동부(200)를 구비한 표시 장치(일 예로, 도 1의 표시 장치(10))는, 반복적인 전원 스위칭을 통해, 데이터 구동부(220)의 각 출력단에 구비된 증폭기의 제1 및 제2 전원 단자들 각각으로, 제1 및 제2 구동 전원들(VCC, VEE)을 교번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위치 제어신호(CONT)에 의해 전원 스위칭 동작이 활성화되는 기간(일 예로, 각 프레임의 소스 출력 기간) 중, 제1 기간 동안에는 증폭기의 제1 전원 단자 및 제2 전원 단자로 각각 제1 구동 전원(VCC) 및 제2 구동 전원(VEE)이 공급되고, 상기 제1 기간에 후속되는 제2 기간 동안에는 증폭기의 제1 전원 단자 및 제2 전원 단자로 각각 제2 구동 전원(VEE) 및 제1 구동 전원(VCC)이 공급될 수 있다. 상술한 과정은, 전원 스위칭 동작이 활성화되는 기간 동안 소정의 주기로 반복될 수 있다. 이러한 전원 스위칭 방식을 적용하게 되면, 증폭기의 오프셋을 상쇄시켜 데이터 구동부(220)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 신호의 전압 편차를 방지 또는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전원 스위칭 방식을 적용함에 따라, 증폭기의 열화를 방지 또는 저감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데이터 구동부(220)가 유효 데이터 신호를 출력하는 기간, 즉 소스 출력 기간들에는 스위치부(240)를 구동하여 전원 스위칭 동작을 활성화시키고, 그 외의 기간, 일 예로 소스 출력 기간들의 사이에 삽입되는 각각의 블랭크 기간에는 스위치부(240)의 동작을 일시적으로 정지시키는 스위치 제어신호(CONT)를 생성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스위치 제어신호(CONT)를 이용하여 데이터 구동부(220)의 출력 버퍼부로 공급되는 동작 전원들의 스위칭 기간을 효율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블랭크 기간 동안 스위치 제어신호(CONT)를 이용하여 전원 스위칭 동작을 일시적으로 정지시킨 상태에서, 센서부(일 예로, 도 1의 센서부(300))를 구동할 수 있다. 이 경우, 전원 스위칭에 따른 센서 전극들(SE)의 전압 변동을 방지함으로써, 센서부(300)의 노이즈를 효과적으로 저감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데이터 구동부(220)를 나타낸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데이터 구동부(220)는 쉬프트 레지스터부(221), 샘플링 래치부(222), 홀딩 래치부(223), 데이터 신호 생성부(224) 및 출력 버퍼부(225)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쉬프트 레지스터부(221), 샘플링 래치부(222) 및 홀딩 래치부(223)는 데이터 구동부(220)의 입력부를 구성하고, 출력 버퍼부(225)는 상기 데이터 구동부(220)의 출력부를 구성할 수 있다.
쉬프트 레지스터부(221)는, 구동 제어부(250)로부터 소스 스타트 펄스(SSP) 및 소스 샘플링 클럭(SSC)을 공급받을 수 있다. 이러한 쉬프트 레지스터부(221)는, 소스 샘플링 클럭(SSC)의 1주기마다 소스 스타트 펄스(SSP)를 쉬프트시키면서 순차적으로 샘플링 펄스를 생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쉬프트 레지스터부(221)는 각각의 채널에 배치된 복수의 쉬프트 레지스터들을 구비할 수 있다. 일 예로, 쉬프트 레지스터부(221)는 데이터선들(D1~Dm) 각각에 대응하는 m개의 쉬프트 레지스터들을 구비할 수 있다.
샘플링 래치부(222)는, 쉬프트 레지스터부(221)로부터 순차적으로 공급되는 샘플링 펄스에 대응하여, 구동 제어부(250)로부터 공급되는 영상 데이터(DATA)를 순차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샘플링 래치부(222)는, 각각의 채널에 배치된 복수의 샘플링 래치들을 구비할 수 있다. 일 예로, 샘플링 래치부(222)는, 데이터선들(D1~Dm) 각각에 대응하는 m개의 샘플링 래치들을 구비할 수 있다.
홀딩 래치부(223)는, 구동 제어부(250)로부터 소스 출력 인에이블 신호(SOE)를 공급받을 수 있다. 이러한 홀딩 래치부(223)는, 소스 출력 인에이블 신호(SOE)가 입력될 때, 샘플링 래치부(222)로부터 영상 데이터(DATA)를 공급받아 저장할 수 있다. 일 예로, 홀딩 래치부(223)는 소스 출력 인에이블 신호(SOE)에 대응하여, 샘플링 래치부(222)로부터 한 수평라인 분의 영상 데이터(DATA)(일 예로, 라인 데이터)를 동시에 공급받을 수 있다. 또한, 홀딩 래치부(223)는, 소스 출력 인에이블 신호(SOE)가 입력될 때, 내부에 저장된 영상 데이터(DATA)를 데이터 신호 생성부(224)로 공급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홀딩 래치부(223)는, 각각의 채널에 배치된 복수의 홀딩 래치들을 구비할 수 있다. 일 예로, 홀딩 래치부(223)는, 데이터선들(D1~Dm) 각각에 대응하는 m개의 홀딩 래치들을 구비할 수 있다.
한편, 도 3에서는 쉬프트 레지스터부(221), 샘플링 래치부(222) 및 홀딩 래치부(223)로 데이터 구동부(220)의 입력부를 구성하였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일 예로, 입력부에는 현재 공지된 다양한 구성이 추가적으로 포함될 수 있다.
데이터 신호 생성부(224)는, 입력부로부터 공급된 디지털 형태의 영상 데이터(DATA)를 이용하여 아날로그 형태의 데이터 신호(또는, "데이터 전압"이라고도 함)을 생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데이터 신호 생성부(224)는 각각의 채널에 배치된 복수의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들을 포함할 수 있다.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들은, 입력부로부터 공급된 영상 데이터(DATA)에 대응하여 감마전압들(VGMA)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고, 선택된 감마전압(VGMA)을 데이터 신호로서 출력 버퍼부(225)의 각 채널로 공급할 수 있다. 일 예로, 데이터 신호 생성부(224)의 첫 번째 채널에 위치된 첫 번째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는 각각의 수평 기간마다 해당 수평 라인의 첫 번째 화소(PX)의 데이터(DATA)에 대응하는 데이터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데이터 신호를 출력 버퍼부(225)의 첫 번째 채널에 배치된 첫 번째 출력 버퍼로 공급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데이터 신호 생성부(224)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 신호를, 출력 버퍼부(225)를 경유하여 최종적으로 데이터선들(D1~Dm)로 출력되는 데이터 신호(DS1~DSm)와 구분하기 위하여, "데이터 전압"이라 하기로 한다.
출력 버퍼부(225)는, 데이터 신호 생성부(224)로부터 공급되는 데이터 전압을 증폭하여 각각의 데이터선들(D1~Dm)로 공급한다. 이를 위하여, 출력 버퍼부(225)는 데이터 구동부(220)의 각 채널마다 배치되는 복수의 출력 버퍼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출력 버퍼부(225)는, 각각의 데이터선들(D1~Dm)과 연결되도록 각각의 출력 채널에 배치된 복수의 출력 버퍼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출력 버퍼들 각각은 증폭기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데이터 구동부(220)는 각각의 데이터선들(D1~Dm)에 연결되도록 상기 데이터 구동부(220)의 출력단에 배치된 복수의 증폭기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증폭기들은, 각각의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들로부터 공급되는 데이터 전압을 증폭하고, 증폭된 데이터 전압을 데이터 신호(DS1~DSm)로서 데이터선들(D1~Dm)로 출력할 수 있다. 즉, 각각의 증폭기는, 각각의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로부터 공급되는 데이터 전압을 입력 신호로 하여 구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증폭기들은, 스위치부(240)로부터 전달되는 제1 구동 전원(VCC) 및 제2 구동 전원(VEE)을 동작 전원으로 이용하여 구동될 수 있다.
도 4는 도 3의 출력 버퍼부(225)에 구비된 출력 버퍼(225k) 및 이에 연결된 스위치부(240)를 나타낸다. 실시예에 따라, 도 4에서는 데이터 구동부(220)의 출력단에 배치되는 복수의 출력 버퍼들 중, 임의의 k(k는 자연수)번째 채널에 배치된 출력 버퍼(225k)를 도시하기로 하며, 상기 데이터 구동부(220)의 출력단에 배치된 복수의 출력 버퍼들은 실질적으로 서로 유사 또는 동일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각각의 출력 버퍼(225k)는, 이에 상응하는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로부터 데이터 전압(Vdata)을 공급받고, 상기 데이터 전압(Vdata)을 증폭하여 데이터 신호(DSk)로서 각각의 데이터선(DSk)으로 출력한다. 이를 위해, 상기 출력 버퍼(225k)는, 증폭기("소스 앰프"라고도 함)(AMP)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증폭기(AMP)는, 제1 입력 단자(IN1), 제2 입력 단자(IN2), 제1 전원 단자(P_IN1), 제2 전원 단자(P_IN2) 및 출력 단자(OUT)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증폭기(AMP)의 제1 입력 단자(IN1)는 해당 채널의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에 연결되어 상기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로부터 데이터 전압(Vdata)을 공급받고, 제2 입력 단자(IN2)는 출력 단자(OUT)에 연결되어 출력 전압, 즉 데이터 신호(DSk)를 피드백 받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입력 단자(IN1) 및 제2 입력 단자(IN2)는, 증폭기(AMP)의 반전 입력 단자 및 비반전 입력 단자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실시예에 따라, 증폭기(AMP)의 제1 전원 단자(P_IN1)는, 스위치부(240)에 구비된 제1 스위치(SW1)에 연결되어, 상기 제1 스위치(SW1)를 통해 제1 구동 전원(VCC) 및 제2 구동 전원(VEE)을 교번적으로 공급받을 수 있다. 유사하게, 증폭기(AMP)의 제2 전원 단자(P_IN2)는, 스위치부(240)에 구비된 제2 스위치(SW2)에 연결되어, 상기 제2 스위치(SW2)를 통해 제1 구동 전원(VCC) 및 제2 구동 전원(VEE)을 교번적으로 공급받을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전원 단자들(P_IN1, P_IN2)은, 서로 반대로 순서로, 제1 구동 전원(VCC) 및 제2 구동 전원(VEE)을 공급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전원 단자(P_IN1)로 제1 구동 전원(VCC)이 공급되는 기간 동안 제2 전원 단자(P_IN2)로는 제2 구동 전원(VEE)이 공급되고, 제1 전원 단자(P_IN1)로 제2 구동 전원(VEE)이 공급되는 기간 동안 제2 전원 단자(P_IN2)로는 제1 구동 전원(VCC)이 공급될 수 있다.
증폭기(AMP)의 출력 단자(OUT)는 데이터선(Dk)에 연결된다. 이에 따라, 상기 증폭기(AMP)에 의해 증폭된 데이터 전압(Vdata)이 데이터 신호(DSk)로서 각각의 데이터선(Dk)으로 출력될 수 있다.
스위치부(240)는 구동 제어부(250)로부터 공급되는 스위치 제어신호(CONT)에 대응하여, 증폭기(AMP)의 제1 전원 단자(P_IN1) 및 제2 전원 단자(P_IN2)를 제1 구동 전원(VCC) 및 제2 구동 전원(VEE)에 교번적으로 연결한다. 이를 위해, 스위치부(240)는, 제1 전원 단자(P_IN1)에 연결되는 제1 스위치(SW1)와, 제2 전원 단자(P_IN2)에 연결되는 제2 스위치(SW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스위치(SW1)는, 소스 출력 기간들에서, 스위치 제어신호(CONT)에 대응하여 증폭기(AMP)의 제1 전원 단자(P_IN1)를 제1 구동 전원(VCC) 및 제2 구동 전원(VEE)에 교번적으로 연결한다. 일 예로, 제1 스위치(SW1)는, 각각의 소스 출력 기간 동안, 스위치 제어신호(CONT)에 대응하여 소정의 주기마다 증폭기(AMP)의 제1 전원 단자(P_IN1)를 제1 구동 전원(VCC) 및 제2 구동 전원(VEE)에 교번적으로 연결하는 전원 스위칭 동작을 반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제2 스위치(SW2)는, 소스 출력 기간들에서, 스위치 제어신호(CONT)에 대응하여 증폭기(AMP)의 제2 전원 단자(P_IN2)를, 제1 스위치(SW1)와는 반대의 순서로, 제1 구동 전원(VCC) 및 제2 구동 전원(VEE)에 교번적으로 연결한다. 일 예로, 제2 스위치(SW2)는, 각각의 소스 출력 기간 동안, 스위치 제어신호(CONT)에 대응하여 소정의 주기마다 증폭기(AMP)의 제2 전원 단자(P_IN2)를 제1 구동 전원(VCC) 및 제2 구동 전원(VEE)에 교번적으로 연결하는 전원 스위칭 동작을 반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스위치부(240)는, 소정의 주기마다, 출력 버퍼부(225)의 각 채널에 구비된 증폭기들(AMP) 중 적어도 일부의 증폭기들(AMP)에 구비된 제1 전원 단자들(P_IN1)을 제1 및 제2 구동 전원들(VCC, VEE) 중 어느 하나에 공통으로 연결하고, 상기 적어도 일부의 증폭기들(AMP)에 구비된 제2 전원 단자들(P_IN2)을 상기 제1 및 제2 구동 전원들(VCC, VEE) 중 다른 하나에 공통으로 연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서, 스위치부(240)는, 소정의 주기마다, 출력 버퍼부(225)의 각 채널에 구비된 증폭기들(AMP)의 제1 전원 단자들(P_IN1)을 제1 및 제2 구동 전원들(VCC, VEE) 중 어느 하나에 공통으로 연결하고, 상기 증폭기들(AMP)의 제2 전원 단자들(P_IN2)을 상기 제1 및 제2 구동 전원들(VCC, VEE) 중 다른 하나에 공통으로 연결할 수 있다.
또는, 다른 실시예에서, 스위치부(240)는, 소정의 주기마다, 출력 버퍼부(225)의 각 채널에 구비된 증폭기들(AMP) 중 일부, 일 예로 홀수 번째 채널의 증폭기들(AMP)의 제1 전원 단자들(P_IN1)을 제1 및 제2 구동 전원들(VCC, VEE) 중 어느 하나에 공통으로 연결하고, 상기 홀수 번째 증폭기들(AMP)의 제2 전원 단자들(P_IN2)을 상기 제1 및 제2 구동 전원들(VCC, VEE) 중 다른 하나에 공통으로 연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위치부(240)는, 출력 버퍼부(225)의 각 채널에 구비된 증폭기들(AMP) 중 다른 일부, 일 예로 짝수 번째 채널의 증폭기들(AMP)의 제1 및 제2 전원 단자들(P_IN1, P_IN2) 각각을, 홀수 번째 채널의 증폭기들(AMP)과 반대의 순서로 제1 및 제2 구동 전원들(VCC, VEE)에 교번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한편, 각각의 블랭크 기간 동안에는, 제1 스위치(SW1) 및 제2 스위치(SW2)에 의한 전원 스위칭 동작이 중단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 스위치(SW1) 및 제2 스위치(SW2) 각각은, 스위치 제어신호(CONT)에 대응하여, 각각의 블랭크 기간 동안 전원 스위칭 동작을 정지하고, 제1 및 제2 구동 전원들(VCC, VEE) 중 서로 다른 구동 전원에 연결되어 있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는, 제1 스위치(SW1) 및 제2 스위치(SW2) 각각은, 스위치 제어신호(CONT)에 대응하여, 블랭크 기간 동안 오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스위치부(240)는, 스위치 제어신호(CONT)에 응답하여, 소스 출력 기간들에 대응하여 전원 스위칭 동작을 수행하고, 블랭크 기간들에 대응하여 전원 스위칭 동작을 일시적으로 중단할 수 있다. 상기 스위치 제어신호(CONT)는, 스위치부(240)에 의한 전원 스위칭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로서, 일 예로 소스 출력 기간들에 대응하여 제1 및 제2 스위치들(SW1, SW2)의 동작을 활성화시키고, 블랭크 기간들에 대응하여 제1 및 제2 스위치들(SW1, SW2)의 동작을 비활성화시키는, 스위칭 인에이블 신호("초핑 인에이블 신호"라고도 함)일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원 스위칭 방식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호스트 프로세서 등으로부터 구동 제어부(250)로 슬립-아웃(SLEEP OUT) 명령이 전달되면, 소정의 대기 시간이 경과한 이후, 상기 구동 제어부(250)로부터, 스위치부(240)에 의한 전원 스위칭 동작(이하, "소스 초핑"이라 함)을 활성화시키는 스위치 제어신호(CONT)가 출력된다. 상기 스위치 제어신호(CONT)는 스위치부(240)로 전달된다.
예를 들어, 슬립-아웃(SLEEP OUT) 명령이 입력되면, 구동 제어부(250)는, 데이터 구동부(220)의 본격적인 구동에 필요한 준비 시간(일 예로, 대략 두 프레임에 해당하는 기간)이 경과한 이후 소스 초핑을 활성화시키는 온-레벨의 스위치 제어신호(CONT)를 스위치부(240)로 공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스위치부(240)에 의한 소스 초핑이 시작되게 된다.
실시예에 따라, 소스 초핑은 소정의 주기에 따라 이루어질 수 있으며, 그 주기는 지속적으로 변경될 수 있다. 일 예로, 프레임 주기, 라인 주기 또는 컬럼 주기로 제1 및 제2 스위치들(SW1, SW2) 각각이 제1 및 제2 구동 전원들(VCC, VSS)에 교번적으로 연결되어 소스 초핑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소정의 기간마다 소스 초핑 주기가 변경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프레임 주기, 라인 주기 및/또는 컬럼 주기 등을 복합적으로 적용하여 소스 초핑을 수행하게 되면, 표시 영역(DA)에서 특정 패턴이 시인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호스트 프로세서 등으로부터 구동 제어부(250)로 슬립-인(SLEEP IN) 명령이 전달되면, 소정의 대기 시간(일 예로, 대략 두 프레임에 해당하는 기간)이 경과한 이후, 상기 구동 제어부(250)로부터, 소스 초핑을 비활성화시키는 스위치 제어신호(CONT)(일 예로, 오프-레벨의 스위치 제어신호)가 출력된다. 상기 스위치 제어신호(CONT)는 스위치부(240)로 전달된다. 이에 따라, 스위치부(240)에 의한 소스 초핑이 중단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스위치 제어부(260)를 나타낸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스위치 제어부(260)는 구동 제어부(250)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구동 제어부(250)로 입력되는 타이밍 신호를 이용하여 스위치 제어신호(CONT)를 생성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스위치 제어부(260)는, 카운터(261), 저장부(262) 및 제어신호 생성부(263)를 포함할 수 있다.
카운터(261)는 구동 제어부(250)로 입력되는 타이밍 신호를 카운팅하여 각각의 블랭크 기간을 검출할 수 있다. 일 예로, 카운터(261)는, 수직 동기신호(VSYNC), 수평 동기신호(HSYNC) 및/또는 메인 클럭신호(MCLK)를 카운팅하고, 그 결과에 따라 각각의 블랭크 기간을 산출할 수 있다.
저장부(262)는 스위치부(240)에 의한 전원 스위칭 동작 옵션(이하, "소스 초핑 옵션"이라 함)을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소스 초핑 옵션은, 표시 장치(일 예로, 도 1의 표시 장치(10))의 구동 모드(일 예로, 일반 구동 모드, 저주파 구동 모드, 또는 고주파 구동 모드), 소스 초핑 동작의 활성화 여부, 및 소스 초핑 동작의 주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장부(262)는, 표시 장치(10)의 구동 모드, 소스 초핑 동작의 활성화 여부, 및 소스 초핑 동작의 주기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각각의 설정 값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소스 초핑 옵션은, 블랭크 기간에서의 전원 스위칭 동작의 활성화 여부, 및 상기 블랭크 기간에 대응하는 소스 초핑 동작의 중단 구간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장부(262)는, 블랭크 기간에서의 전원 스위칭 동작의 활성화 여부, 및 각각의 블랭크 기간에 대응하여 실제로 소스 초핑 동작이 중단되어야 할 구간의 시점 및 종점에 대한 각각의 설정 값을 저장할 수 있다. 즉, 실시예에 따라서는, 각각의 블랭크 기간에 대응하는 소스 초핑 중단 구간의 시점과 종점을 추가적으로 지정함으로써, 상기 블랭크 기간에 대응하여 실제로 소스 초핑이 중단되는 구간을 보다 자유롭게 제어할 수 있다.
제어신호 생성부(263)는, 카운터(261)에 의해 검출된 블랭크 기간 및 저장부(262)로부터 추출된 소스 초핑 옵션에 기초하여 스위치 제어신호(CONT)를 생성한다. 일 예로, 제어신호 생성부(263)는, 호스트 프로세서 등으로부터 소스 초핑을 활성화시키는 명령이 입력될 경우, 각각의 소스 출력 기간들에 소스 초핑을 활성화시키고 상기 소스 출력 기간들의 사이에 배치된 각각의 블랭크 기간에는 일시적으로 소스 초핑이 중단되도록 하는, 스위치 제어신호(CONT)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제어신호 생성부(263)는, 호스트 프로세서 등으로부터 입력되는 정보에 따라, 표시 장치(10)의 구동 모드 및/또는 소스 초핑 주기 등을 파악하고, 이에 부합되는 스위치 제어신호(CONT)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신호 생성부(263)는, 호스트 프로세서로부터 입력되는 명령에 부합되는 소스 초핑 옵션을 저장부(262)로부터 추출하고, 추출된 소스 초핑 옵션에 따라 스위치 제어신호(CONT)를 생성할 수 있다.
도 7 및 도 8은 도 6의 저장부(262)에 저장되는 소스 초핑 옵션에 대한 실시예들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도 7 및 도 8은 스위치부(240)에 의한 소스 초핑에 적용될 수 있는 각종 옵션에 대한 실시예들을 나타낸다.
먼저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저장부(262)는, 표시 장치(10)의 구동 모드, 소스 초핑 동작의 활성화 여부, 및 소스 초핑 동작의 주기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장부(262)는, 각각 일반 모드, 저주파 모드 및 고주파 모드에서의 소스 앰프 초핑 타이밍 제어 레지스터에 대한 설정 값(CHOP_CON_NOM, CHOP_CON_LFM, CHOP_CON_HFM), 소스 앰프 초핑 온/오프 신호에 대한 설정 값(CHOP_EN), 소스 앰프 컬럼 초핑 제어신호(COLUM_CHOP)에 대한 설정 값, 소스 앰프 프레임 초핑 제어신호(FRAME_CHOP)에 대한 설정 값, 및 소스 앰프 라인 초핑 제어신호(LINE_CHOP)에 대한 설정 값을 저장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저장부(262)는, 블랭크 기간(또는, 이에 대응하는 블랭크 구간)에서의 전원 스위칭 동작의 활성화 여부에 대한 정보를 더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장부(262)는, 블랭크 구간에서의 소스 앰프 초핑 온/오프 신호(CHOP_BLK_EN)에 대한 설정 값을 더 저장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블랭크 기간에 대응하는 소스 초핑의 중단 시기를 보다 자유롭게 제어하고자 할 경우, 저장부(262)는, 상기 블랭크 기간에 대응하는 소스 초핑 동작의 중단 구간에 대한 정보를 더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장부(262)는, 각각의 블랭크 구간(또는, 상기 블랭크 구간의 전후 구간)에서의 소스 초핑 오프 시작 시점 및 종료 시점의 설정을 지시하기 위한 설정 값(CHOP_BLK_OFF_ST, CHOP_BLK_OFF_END)을 더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각각의 블랭크 구간으로 진입하기 직전의 시점을 소스 초핑 오프 시작 시점으로 설정하고, 각각의 블랭크 구간이 종료되기 직전의 시점을 소스 초핑 오프 종료 시점으로 설정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즉, 소스 초핑 오프 시작 시점 및 종료 시점은 실시예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도 8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블랭크 구간에서의 소스 초핑 중단과 관련한 옵션을 추가적으로 저장할 경우, 각각의 블랭크 기간 동안 소스 초핑을 일시적으로 중단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소스 초핑이 실질적으로 활성화되어 있는 기간 중에도, 각각의 블랭크 기간 동안에는 소스 초핑을 일시적으로 중단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실시예에 의하면, 데이터 구동부(220)로부터 각각의 데이터 신호들(DS1~DSm)이 출력되는 기간에는 소스 초핑을 통해 데이터 신호들(DS1~DSm)의 전압 편차를 저감하되, 소스 초핑이 불필요한 각각의 블랭크 기간에는 소스 초핑을 선택적으로 중단할 수 있다. 이러한 블랭크 기간에 센서부(300)를 구동하게 되면, 소스 초핑에 의한 센서부(300)의 노이즈(일 예로, 터치 노이즈) 발생을 방지 또는 저감할 수 있게 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서로 다른 실시예들에 의한 제1 스위치 제어신호(CONT1) 및 제2 스위치 제어신호(CONT2)를 나타낸다. 일 예로, 제1 스위치 제어신호(CONT1)는, 소스 초핑 방식을 적용하여 표시 구동부(200)를 구동하는 기간 동안 소스 초핑을 지속적으로 유지하는 실시예에서 생성되는 스위치 제어신호일 수 있다. 그리고, 제2 스위치 제어신호(CONT2)는 소스 초핑 방식을 적용하여 표시 구동부(200)를 구동하되, 각각의 블랭크 기간에는 소스 초핑이 중단되는 실시예에서 생성되는 스위치 제어신호일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각각의 블랭크 기간(VBLANK)은, 각각의 수직 동기신호(VSYNC)가 공급되는 기간을 포함하며, 상기 수직 동기신호(VSYNC)의 공급 전후에 배치되는 소정의 기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각의 블랭크 기간(VBLANK)은, 데이터 구동부(220)로부터 각 프레임의 데이터 신호들(DS)이 출력되는 소스 출력 기간들의 사이에 연속적으로 배치된 프론트 포치 기간(PFP) 및 백 포치 기간(PBP)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프론트 포치 기간(PFP)은 각 프레임의 소스 출력 기간의 직후에 배치되며, 백 포치 기간(PBP)은 후속 프레임의 소스 출력 기간의 직전에 배치될 수 있다. 각각의 수직 동기신호(VSYNC)는 각각의 백 포치 기간에 공급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데이터 구동부(220)는, 프론트 포치 기간(PFP) 동안 소정의 프론트 포치 전압(VFP)을 출력하고, 백 포치 기간(PBP) 동안 소정의 백 포치 전압(VBP)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 프론트 포치 전압(VFP) 및 백 포치 전압(VBP)은 블랙 계조 전압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일 실시예에서, 소스 초핑 방식을 적용하여 표시 구동부(200)를 구동하는 기간 동안 소스 초핑을 지속적으로 유지하는 제1 스위치 제어신호(CONT1)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스위치 제어신호(CONT1)를 이용해 표시 구동부(200)가 활성화되어 있는 기간 동안 스위치부(240)에 의한 소스 초핑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소스 초핑 방식을 적용하여 표시 구동부(200)를 구동하되, 각각의 블랭크 기간(VBLANK) 동안에는 소스 초핑을 중단하는(일 예로, 소스 초핑 동작을 일시적으로 정지시키는) 제2 스위치 제어신호(CONT2)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스위치 제어신호(CONT2)를 이용해 표시 구동부(200)가 활성화되어 있는 기간 중 소스 출력 기간들에만 스위치부(240)에 의한 소스 초핑이 이루어지고, 각각의 블랭크 기간(VBLANK)에는 스위치부(240)에 의한 소스 초핑이 중단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1 또는 제2 스위치 제어신호(CONT1, CONT2) 등과 같은 스위치 제어신호(CONT)를 이용해, 스위치부(240)에 의한 소스 초핑을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9에서 설명한 실시예들에 의한 표시 장치(10)의 구동 방법은, 타이밍 신호에 대응하여 스위치 제어신호(CONT)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스위치 제어신호(CONT)에 대응하여 데이터 구동부(220)의 출력단(일 예로, 출력 버퍼부(225))에 배치된 각각의 증폭기(AMP)의 제1 전원 단자(P_IN1) 및 제2 전원 단자(P_IN2)를 제1 구동 전원(VCC) 및 제2 구동 전원(VEE)에 교번적으로 연결하면서 각 프레임의 데이터 신호(DS)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각 프레임의 데이터 신호(DS)가 출력되는 소스 출력 기간들 동안, 상기 증폭기(AMP)의 제1 및 제2 전원 단자들(P_IN1, P_IN2)을 제1 및 제2 구동 전원들(VCC, VEE)에 교번적으로 연결하는 소스 초핑 동작을 반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서는, 소스 출력 기간들의 사이에 배치된 각각의 블랭크 기간 동안 소스 초핑 동작을 선택적으로 중단할 수 있다.
도 10은 소스 초핑에 따른 데이터 구동부(220)의 출력 전압(VOUT1, VOUT2, VOUT3)을 나타낸다. 일 예로, 도 10에서는 각각 1 수평 기간(1H) 및 2 수평 기간(2H) 주기로 소스 초핑을 실행함에 따른 데이터 구동부(200)의 출력 전압(이하, 각각 "제1 출력 전압(VOUT1)" 및 "제2 출력 전압(VOUT2)"이라 함)을 측정한 결과와 더불어, 소스 초핑을 오프시키고 이에 따른 데이터 구동부(200)의 출력 전압(이하, "제3 출력 전압(VOUT3)"이라 함)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 10을 참조하면, 소스 초핑 여부 및 그 주기에 따라 데이터 구동부(220)의 출력 전압(VOUT1, VOUT2, VOUT3)에 실리는 노이즈의 형태가 달라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1 수평 기간(1H) 주기로 소스 초핑을 실행할 경우 1 수평 기간(1H) 주기로 제1 출력 전압(VOUT1)에 발생하였던 노이즈가, 2 수평 기간(2H) 주기로 소스 초핑을 실행할 경우에는 2 수평 기간(2H) 주기로 제2 출력 전압(VOUT2)에 발생하고, 소스 초핑을 오프시킨 경우에는 제3 출력 전압(VOUT3)에 실질적으로 발생하지 않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즉, 소스 초핑은, 데이터 구동부(220)의 출력 전압(VOUT1, VOUT2, VOUT3)을 변동시킬 수 있다.
이 경우, 데이터선들(D1~Dm)의 전압이 변동되면서, 소스 초핑에 의한 노이즈가 발생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도 1에서와 같이 표시부(100)와 중첩되는 센서부(300)를 포함한 표시 장치(10)의 경우, 데이터 구동부(220)의 출력 전압(VOUT1, VOUT2, VOUT3)에 실린 노이즈가 센서부(300)로 유입될 수 있다.
단, 앞서 설명한 실시예에서와 같이, 각각의 블랭크 기간(VBLANK) 동안 소스 초핑을 일시적으로 중단하고, 상기 블랭크 기간(VBLANK) 동안 센서부(300)를 구동하게 되면, 소스 초핑에 따른 센서 전극들(SE)의 전압 변동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센서부(300)의 노이즈를 효과적으로 저감 또는 방지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소스 초핑을 통해 증폭기(AMP)의 오프셋을 상쇄시킴으로써 데이터 신호(DS)의 전압 편차를 저감함과 더불어, 스위치 제어신호(CONT)를 이용하여 소스 초핑 기간을 효율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각의 블랭크 기간 동안 소스 초핑을 중단하고, 상기 블랭크 기간 동안 센서부(300)를 구동함으로써, 센서부(300)의 노이즈를 효과적으로 저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전술한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만 할 것이다. 또한, 특허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표시 장치 100: 표시부
200: 표시 구동부 210: 주사 구동부
220: 데이터 구동부 221: 쉬프트 레지스터부
222: 샘플링 래치부 223: 홀딩 래치부
224: 데이터 신호 생성부 225: 출력 버퍼부
230: 감마전압 생성부 240: 스위치부
250: 구동 제어부 260: 스위치 제어부
261: 카운터 262: 저장부
263: 제어신호 생성부 300: 센서부
400: 센서 구동부

Claims (16)

  1. 주사선들 및 데이터선들에 연결된 화소들을 포함하는 표시부;
    상기 주사선들로 각각의 주사 신호를 공급하는 주사 구동부;
    상기 데이터선들로 각각의 데이터 신호를 공급하며, 출력단에 배치된 증폭기를 포함하는 데이터 구동부;
    상기 증폭기의 제1 전원 단자 및 제2 전원 단자를 제1 구동 전원 및 제2 구동 전원에 교번적으로 연결하는 스위치부; 및
    입력 영상 데이터 및 타이밍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주사 구동부, 상기 데이터 구동부 및 상기 스위치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구동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 제어부는, 상기 데이터 구동부로부터 각 프레임의 데이터 신호들이 출력되는 소스 출력 기간들의 사이에 배치된 블랭크 기간 동안 상기 스위치부에 의한 전원 스위칭 동작을 중단시키는 스위치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스위치부는,
    상기 소스 출력 기간들에서, 상기 스위치 제어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증폭기의 상기 제1 전원 단자를, 상기 제1 구동 전원 및 상기 제2 구동 전원에 교번적으로 연결하는 제1 스위치; 및
    상기 소스 출력 기간들에서, 상기 스위치 제어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증폭기의 상기 제2 전원 단자를, 상기 제1 스위치와 반대의 순서로 상기 제1 구동 전원 및 상기 제2 구동 전원에 교번적으로 연결하는 제2 스위치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제어부는, 상기 소스 출력 기간들에서 상기 스위치부에 의한 전원 스위칭 동작을 활성화시키는 스위치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표시 장치.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위치 및 상기 제2 스위치는, 상기 스위치 제어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소스 출력 기간들에서 소정의 주기마다 상기 전원 스위칭 동작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는, 표시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위치 및 상기 제2 스위치는, 상기 스위치 제어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블랭크 기간 동안 상기 전원 스위칭 동작을 정지하거나 오프 상태를 유지하는, 표시 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제어부는, 상기 타이밍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스위치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스위치 제어부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제어부는,
    상기 타이밍 신호를 카운팅하여 상기 블랭크 기간을 검출하는 카운터;
    상기 스위치부에 의한 전원 스위칭 동작 옵션을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카운터에 의해 검출된 블랭크 기간 및 상기 저장부로부터 추출된 상기 전원 스위칭 동작 옵션에 기초하여 상기 스위치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제어신호 생성부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스위칭 동작 옵션은, 상기 표시 장치의 구동 모드, 상기 전원 스위칭 동작의 활성화 여부, 및 상기 전원 스위칭 동작의 주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스위칭 동작 옵션은, 상기 블랭크 기간에서의 상기 전원 스위칭 동작의 활성화 여부, 및 상기 블랭크 기간에 대응하는 상기 전원 스위칭 동작의 중단 구간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랭크 기간은, 상기 소스 출력 기간들의 사이에 연속적으로 배치되는 프론트 포치 기간 및 백 포치 기간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구동부는, 각각의 데이터선과 연결되도록 각각의 출력 채널에 배치된 복수의 증폭기들을 포함하며,
    상기 스위치부는, 소정의 주기마다, 상기 증폭기들 중 적어도 일부의 증폭기들에 구비된 제1 전원 단자들을 상기 제1 및 제2 구동 전원들 중 어느 하나에 공통으로 연결하고, 상기 적어도 일부의 증폭기들에 구비된 제2 전원 단자들을 상기 제1 및 제2 구동 전원들 중 다른 하나에 공통으로 연결하는, 표시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와 중첩되는 센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센서부는, 상기 블랭크 기간 동안 구동되는, 표시 장치.
  13. 타이밍 신호에 대응하여 스위치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스위치 제어신호에 대응하여, 데이터 구동부의 출력단에 배치된 증폭기의 제1 전원 단자 및 제2 전원 단자를 제1 구동 전원 및 제2 구동 전원에 교번적으로 연결하면서 각 프레임의 데이터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각 프레임의 데이터 신호가 출력되는 소스 출력 기간들에서, 상기 제1 및 제2 전원 단자들을 상기 제1 및 제2 구동 전원들에 교번적으로 연결하는 전원 스위칭 동작을 반복적으로 수행하고,
    상기 소스 출력 기간들의 사이에 배치된 블랭크 기간 동안에는, 상기 전원 스위칭 동작을 중단함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소스 출력 기간들에서, 상기 스위치 제어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증폭기의 상기 제1 전원 단자를, 상기 제1 구동 전원 및 상기 제2 구동 전원에 교번적으로 연결하고,
    상기 소스 출력 기간들에서, 상기 스위치 제어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증폭기의 상기 제2 전원 단자를, 상기 제1 전원 단자와 반대의 순서로 상기 제1 구동 전원 및 상기 제2 구동 전원에 교번적으로 연결하는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타이밍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블랭크 기간을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블랭크 기간 및 미리 저장된 전원 스위칭 동작 옵션에 기초하여, 상기 스위치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스위칭 동작 옵션은, 상기 표시 장치의 구동 모드, 상기 전원 스위칭 동작의 활성화 여부 및 상기 전원 스위칭 동작의 주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스위칭 동작 옵션은, 상기 블랭크 기간에서의 상기 전원 스위칭 동작의 활성화 여부, 및 상기 블랭크 기간에 대응하는 상기 전원 스위칭 동작의 중단 구간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KR1020190053927A 2019-05-08 2019-05-08 표시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KR1026584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3927A KR102658424B1 (ko) 2019-05-08 2019-05-08 표시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US16/868,837 US11282426B2 (en) 2019-05-08 2020-05-07 Display device having a switch unit for power switching operation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CN202010376967.5A CN111916013A (zh) 2019-05-08 2020-05-07 显示设备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3927A KR102658424B1 (ko) 2019-05-08 2019-05-08 표시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0548A KR20200130548A (ko) 2020-11-19
KR102658424B1 true KR102658424B1 (ko) 2024-04-19

Family

ID=730465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3927A KR102658424B1 (ko) 2019-05-08 2019-05-08 표시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282426B2 (ko)
KR (1) KR102658424B1 (ko)
CN (1) CN111916013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386864B2 (en) * 2020-04-13 2022-07-12 Hefei Boe Display Technology Co., Ltd.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CN112530351B (zh) * 2020-12-23 2024-04-09 厦门天马微电子有限公司 显示面板的驱动方法、显示面板和显示装置
KR20220094876A (ko) * 2020-12-29 2022-07-0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발광표시장치 및 이의 구동방법
CN113571001B (zh) * 2021-09-24 2022-01-14 惠科股份有限公司 显示装置及显示系统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001978A1 (en) * 2005-06-30 2007-01-04 Lg.Philips Lcd Co., Ltd. Mobile liquid crystal display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US20120032935A1 (en) * 2010-08-05 2012-02-09 Himax Technologies Limited Driving device of flat panel display and driving method thereof
US20140306872A1 (en) * 2013-04-12 2014-10-16 Lg Display Co., Ltd. Driving circuit for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887657B2 (ja) * 2005-04-27 2012-02-29 日本電気株式会社 アクティブマトリクス型表示装置及びその駆動方法
KR20070118340A (ko) 2006-06-12 2007-12-17 삼성전자주식회사 표시 장치의 데이터 구동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1162862B1 (ko) 2010-07-19 2012-07-04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평판표시장치의 데이터 구동회로 및 그 구동방법
JP5754782B2 (ja) * 2013-05-23 2015-07-29 シナプティクス・ディスプレイ・デバイス合同会社 半導体装置、及び表示装置
KR20150127500A (ko) 2014-05-07 2015-11-17 삼성전자주식회사 소스 드라이버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254762B1 (ko) * 2014-08-01 2021-05-2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JP6370647B2 (ja) 2014-09-08 2018-08-08 ラピスセミコンダクタ株式会社 差動増幅器及び差動増幅器を含む表示ドライバ
KR102262856B1 (ko) * 2015-01-20 2021-06-0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101903527B1 (ko) * 2018-01-23 2018-10-02 주식회사 에이코닉 데이터 구동부, 이의 구동 방법 및 데이터 구동부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001978A1 (en) * 2005-06-30 2007-01-04 Lg.Philips Lcd Co., Ltd. Mobile liquid crystal display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US20120032935A1 (en) * 2010-08-05 2012-02-09 Himax Technologies Limited Driving device of flat panel display and driving method thereof
US20140306872A1 (en) * 2013-04-12 2014-10-16 Lg Display Co., Ltd. Driving circuit for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282426B2 (en) 2022-03-22
KR20200130548A (ko) 2020-11-19
CN111916013A (zh) 2020-11-10
US20200357320A1 (en) 2020-1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58424B1 (ko) 표시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JP2019074764A (ja) 有機発光表示装置、有機発光表示パネル、有機発光表示装置の映像駆動方法、並びに有機発光表示装置の有機発光ダイオード劣化センシング駆動方法
US10001873B2 (en) Display apparatus and driving method thereof
US20150049075A1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KR101756665B1 (ko)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20140086467A (ko) Oled 표시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KR20160070642A (ko) Oled 표시 장치
KR101987078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KR20140129832A (ko) 터치스크린 일체형 표시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101980770B1 (ko) Oled 표시 장치
KR102034055B1 (ko) Oled 표시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KR101970545B1 (ko)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102660305B1 (ko) 표시 장치
KR102604472B1 (ko) 표시장치
KR101980777B1 (ko) Oled 표시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KR20120040858A (ko)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101768480B1 (ko)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
KR20170123400A (ko) 유기발광표시패널, 유기발광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US20110316825A1 (en) Organic electroluminescence display
KR102391616B1 (ko) 게이트 구동회로와 이를 포함하는 터치 스크린 일체형 표시장치
KR20150033903A (ko) Oled 표시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KR101920755B1 (ko)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101666589B1 (ko)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와 그의 구동방법
KR101941457B1 (ko) Oled 표시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KR20210085412A (ko) 발광 표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