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8320B1 - 자동차용 에어 벤트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에어 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58320B1
KR102658320B1 KR1020210189847A KR20210189847A KR102658320B1 KR 102658320 B1 KR102658320 B1 KR 102658320B1 KR 1020210189847 A KR1020210189847 A KR 1020210189847A KR 20210189847 A KR20210189847 A KR 20210189847A KR 102658320 B1 KR102658320 B1 KR 1026583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g
link
block
air vent
kno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898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100166A (ko
Inventor
박찬영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898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8320B1/ko
Priority to EP22162130.3A priority patent/EP4206009A1/en
Priority to US17/697,159 priority patent/US20230202264A1/en
Priority to CN202211046892.XA priority patent/CN116353300A/zh
Publication of KR202301001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001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83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83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4Nozzles; Air-diffusers
    • B60H1/3414Nozzles; Air-diffuser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air stream dir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4Nozzles; Air-diffusers
    • B60H1/3414Nozzles; Air-diffuser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air stream direction
    • B60H1/3421Nozzles; Air-diffuser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air stream direction using only pivoting shut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4Nozzles; Air-diffusers
    • B60H2001/3471Details of actu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5Reducing production costs, e.g. by redesig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28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ing the Coanda effect

Abstract

토출구를 슬림화시킬 수 있도록 구조적으로 개선된 자동차용 에어 벤트를 개시한다.
자동차용 에어 벤트는, 공기의 흐름을 안내하며, 토출구가 형성된 덕트 하우징, 덕트 하우징의 내부에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는 제1 윙과 제2 윙, 제1 윙 및 제2 윙의 회동을 조절하는 링크 및 링크에 결합되어 링크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핸들 유닛을 포함하고, 링크는 제1 윙의 내부에 이동 및 회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Description

자동차용 에어 벤트{Air vent for automobile}
본 발명은 자동차용 에어 벤트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는 실내의 공기 온도 및 환기를 조절하기 위한 공조장치를 갖추고 있다. 공조장치는 겨울철에는 온기를 발생시켜 자동차의 실내를 따뜻하게 유지시키고, 여름철에는 냉기를 발생시켜 자동차의 실내를 시원하게 유지시킨다.
상기 공조장치는 공기와 열교환매체의 열교환을 통해 공기의 온도를 조절하는 공조 유닛과 상기 공조 유닛에 공기를 공급하는 블로어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자동차는 공조 유닛에 연결되는 에어 벤트를 통해 차 실내로 공조된 공기를 제공할 수 있다.
종래의 에어 벤트는 좌우방향 풍향제어를 위한 프론트 윙과, 상하방향 풍향제어를 위한 리어 윙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에어 벤트는 공기가 배출되는 토출구에 근접한 위치에 상기배치되 리어 윙이 배치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리어 윙의 상하방향 회전에 따른 작동 반경 및 상기 리어 윙의 회전을 제어하는 구조물의 작동반경이 확보되어야 하기 때문에, 상기 토출구의 슬림화를 달성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구조물의 복잡한 작동 구조에 의해 노브 조작의 용이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실시예는 토출구를 슬림화시킬 수 있도록 구조적으로 개선된 자동차용 에어 벤트를 제공한다.
또한, 실시예는 노브 조작의 용이성이 향상되도록 구조적으로 개선된 자동차용 에어 벤트를 제공한다.
또한, 실시예는 작동 구조를 단순화하도록 구조적으로 개선된 자동차용 에어 벤트를 제공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에어 벤트는, 공기의 흐름을 안내하며, 토출구가 형성된 덕트 하우징; 상기 덕트 하우징의 내부에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는 제1 윙과 제2 윙; 상기 제1 윙 및 상기 제2 윙의 회동을 조절하는 링크; 및 상기 링크에 결합되어 상기 링크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핸들 유닛; 을 포함하고, 상기 링크는 상기 제1 윙의 내부에 이동 및 회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상기 토출구에서 바라볼 때, 상기 제1 윙과 상기 제2 윙은 서로 교차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링크는, 상기 제1 윙의 내부에 좌우 방향인 제1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제1 링크바디; 상기 제1 링크바디에서 상기 제2 윙을 향해 연장되는 제2 링크바디; 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링크는, 상기 제1 링크바디의 제1 방향측 단부에서 돌출되게 형성된 제1 회동축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회동축을 기준으로 상기 제1 링크바디는 상기 핸들 유닛의 제1 방향 회동에 연동되어 회동할 수 있다.
상기 제2 윙은 제2 윙 바디; 및 상기 제2 링크바디의 일측 단부가 결합하는 가이드 부재; 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링크바디의 일측 단부는 상기 가이드 부재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제2 윙은, 상기 제2 윙 바디에 형성된 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윙은 상기 제2 링크바디의 제1 방향 이동에 연동되어 회동할 수 있다.
상기 링크는, 상기 제1 링크바디에 일체로 형성되는 결합 블록을 더 포함하고, 상기 결합 블록에는 상기 핸들 유닛의 일측 단부가 회동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윙은 상기 제1 링크바디의 회동에 연동되어 상기 제1 회동축을 기준으로 회동할 수 있다.
상기 제1 윙은, 제1 윙 바디; 상기 제1 윙 바디의 일측에 형성된 홈; 및 상기 제1 윙 바디를 상기 공기의 흐름 방향인 제2 방향으로 관통하게 형성된 홀을 포함하고, 상기 홈에는 상기 제1 링크바디가 배치되고, 상기 홀에는 상기 제2 링크바디가 배치되며, 상기 홀은 제1 방향으로 소정의 폭(W)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링크바디는 상기 폭(W) 범위 내에서 상기 제1 링크바디의 제1 방향 이동에 연동되어 이동할 수 있다.
상기 핸들 유닛은, 상기 덕트 하우징의 토출구에 결합하는 고정 블록; 상기 고정 블록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하는 회전 블록; 및 상기 회전 블록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하는 노브; 를 포함하고, 상기 노브의 단부는 상기 결합 블록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노브는, 상기 회전 블록을 내부에 수용하도록 형성된 블록수용홈; 을 포함하고, 상기 블록수용홈의 제1 방향 폭은 상기 회전 블록의 제1 방향 폭보다 클 수 있다.
상기 덕트 하우징은, 내면에 배치되며 상기 토출구 측에 형성되는 고정홈; 을 더 포함하며, 상기 고정홈은 상기 고정 블록과 결합하여 상기 고정 블록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링크는, 상기 제1 링크바디에서 돌출되게 형성된 걸림턱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윙은 상기 걸림턱에 대응되게 형성된 걸림홈을 더 포함하며, 상기 걸림턱은 상기 걸림홈에 결합할 수 있다.
상기 노브의 슬라이딩 이동시, 상기 노브는 상기 회전 블록에 접촉되거나 접촉 해제될 수 있다.
상기 제1 링크바디는 상기 노브가 상기 회전 블록에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제1 방향으로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이동될 수 있다.
상기 덕트 하우징은 상기 제1 윙의 상측 및 하측에 배치되는 코안다면; 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윙의 회동 방향과 상기 핸들 유닛의 회동 방향은 서로 반대일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에어 벤트는, 공기의 흐름을 안내하며, 토출구가 형성된 덕트 하우징; 상기 덕트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는 제1 윙; 상기 덕트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1 윙과 이격되게 배치되는 제2 윙; 상기 제1 윙의 내부에 배치되는 제1 링크바디와, 상기 제2 윙에 결합하도록 상기 제1 윙을 관통하는 제2 링크바디를 포함하는 링크; 및 상기 링크에 결합되어 상기 링크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핸들 유닛; 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윙은 상기 제2 링크바디가 배치되는 홀을 포함하고, 상기 홀은 소정의 폭을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2 링크바디의 좌우 이동을 가능하게 한다.
실시예는, 제1 윙의 내부에 배치되는 링크를 통해 토출구의 슬림화를 달성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실시예는 차 실내에 배치되는 자동차 대시보드의 디자인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실시예는 노브 조작을 단순화하는 링크 및 노브의 커플링 구조를 구현함으로써, 사용자가 풍향 조절을 용이하게 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실시예는 상기 커플링 구조를 통해 작동 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기 때문에, 제품의 제작 비용 또는 제품의 조립 비용 등을 절감시킬 수 있다.
실시예의 다양하면서도 유익한 장점과 효과는 상술한 내용에 한정되지 않으며, 실시예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보다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에어 벤트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자동차용 에어 벤트에서 덕트 하우징을 제외한 나머지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에어 벤트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에어 벤트의 배면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의 A-A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6은 제1 윙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제1 윙을 배면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6의 C-C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9는 링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링크가 제1 윙 및 제2 윙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1은 링크가 제1 윙 및 제2 윙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2는 핸들 유닛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3은 노브가 회전 블록과 결합한 상태를 평면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도 2의 B 부분을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15a는 자동차용 에어 벤트의 기본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5b는 제1 윙, 링크 및 핸들 유닛이 회동한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6a는 자동차용 에어 벤트의 기본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6b는 제1 노브바디가 회전 바디에 접촉한 모습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6c는 제2 윙이 회동한 모습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7a는 걸림홈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b는 걸림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8은 걸림턱이 걸림홈에 결합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1 구성요소도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실시 예의 설명에 있어서, 어느 한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의 " 상(위) 또는 하(아래)(on or under)"에 형성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에 있어, 상(위) 또는 하(아래)(on or under)는 두 개의 구성요소가 서로 직접(directly)접촉되거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가 상기 두 구성요소 사이에 배치되어(indirectly) 형성되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또한 '상(위) 또는 하(아래)(on or under)'로 표현되는 경우 하나의 구성요소를 기준으로 위쪽 방향뿐만 아니라 아래쪽 방향의 의미도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게 된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에어 벤트는 자동차의 공조장치(미도시)에 연결되어 차 실내에 공조된 공기의 풍향을 조절하여 공급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에어 벤트의 사시도이고, 도 2는 자동차용 에어 벤트에서 덕트 하우징을 제외한 나머지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서 X 방향은 제1 방향, 차폭 방향 또는 좌우 방향을 의미할 수 있고, Y 방향은 제2 방향, 전후 방향 또는 공기의 흐름 방향을 의미할 수 있으며, Z 방향은 제3 방향 및 상하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하 방향은 차량의 천장을 향하는 상방과, 상기 상방에 반대되는 하방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자동차용 에어 벤트(1)는 덕트 하우징(100), 제1 윙(200), 제2 윙(300), 링크(400) 및 핸들 유닛(50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에어 벤트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4는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에어 벤트의 배면 분해사시도이고, 도 5는 도 1의 A-A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덕트 하우징(100)은 공조장치(미도시)에 연결되어 공조장치(미도시)를 통해 공조된 공기를 차 실내로 안내할 수 있다.
덕트 하우징(100)은 제1 하우징 플레이트(110) 및 제2 하우징 플레이트(1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하우징 플레이트(110)와 제2 하우징 플레이트(120)는 서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제1 하우징 플레이트(110)는 공조장치(미도시)로부터 공급되는 공기를 가이드할 수 있다.
제1 하우징 플레이트(110)는 제1 유로부(111) 및 제2 유로부(1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유로부(111)는 코안다 효과(Coanda effect)를 형성하는 코안다면을 포함하며, 상기 코안다면은 상기 공기를 차 실내로 안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유로부(111)에 형성된 코안다면은 상방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곡면일 수 있다.
제1 유로부(111)는 토출구(100a)측에 형성된 제1 고정홈(111a)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고정홈(111a)은 제1 유로부(111)의 내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고정홈(111a)은 상방을 향해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고정홈(111a)에는 핸들 유닛(500)의 일부 구성이 결합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제1 고정홈(111a)은 상기 핸들 유닛(500)을 지지할 수 있다.
제2 유로부(112)는 공조장치(미도시)에 연결될 수 있다. 제2 유로부(112)는 제1 유로부(111)의 단부로부터 Y방향으로 연장된다. 제2 유로부(112)는 제1 유로부(111)의 단부에서 공조장치(미도시)를 향해 직사각 형상으로 연장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2 하우징 플레이트(120)는 제1 하우징 플레이트(110)와 함께 상기 공기를 가이드할 수 있다.
제2 하우징 플레이트(120)는 제3 유로부(121) 및 제4 유로부(122)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유로부(121)는 제1 유로부(111)와 대칭되는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제3 유로부(121)는 코안다 효과(Coanda effect)를 형성하는 코안다면을 포함하며, 상기 코안다면은 상기 공기를 차 실내로 안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3 유로부(121)에 형성된 코안다면은 하방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곡면일 수 있다.
제3 유로부(121)는 제1 유로부(111)와 Z방향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제3 유로부(121)의 단부와 제1 유로부(111)의 단부 사이에는 토출구(100a)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공기는 토출구(100a)를 통해 차 실내로 배출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토출구(100a)의 Z방향 폭은 20mm 이하일 수 있다.
또한, 토출구(100a)에는 핸들 유닛(500)이 배치될 수 있다.
제3 유로부(121)는 토출구(100a)측에 형성된 제2 고정홈(121a)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고정홈(121a)은 제3 유로부(121)의 내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고정홈(121a)은 하방을 향해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고정홈(121a)에는 핸들 유닛(500)의 일부 구성이 결합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제1 고정홈(111a)과 상기 제2 고정홈(121a)은 상기 핸들 유닛(500)을 지지할 수 있다.
제4 유로부(122)는 공조장치(미도시)에 연결될 수 있다. 제4 유로부(122)는 제3 유로부(121)의 단부로부터 Y방향으로 연장된다. 제4 유로부(122)는 제3 유로부(121)의 단부에서 공조장치(미도시)를 향해 직사각 형상으로 연장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4 유로부(122)는 제2 유로부(112)와 Z방향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덕트 하우징(100)의 일측에는 상기 공조장치(미도시)로부터 공급된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100b)가 형성될 수 있다.
덕트 하우징(100)은 제3 하우징 플레이트(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3 하우징 플레이트(미도시)는 제1 하우징 플레이트(110)의 X방향측 단부와 제2 하우징 플레이트(120)의 X방향측 단부 사이의 틈을 커버할 수 있다.
도 6은 제1 윙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7은 제1 윙을 배면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도 6의 C-C 선에 따른 단면도이며, 도 9는 링크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0은 링크가 제1 윙 및 제2 윙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11은 링크가 제1 윙 및 제2 윙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제1 윙(200)은 덕트 하우징(10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윙(200)은 링크(400) 및 핸들 유닛(500)의 움직임에 연동되어 회동할 수 있다. 그에 따라, 덕트 하우징(100)에 의해 안내된 공기는 상기 제1 윙(200)에 의해 방향이 조절되어 상기 토출구(100a)를 통해 토출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1 윙(200)에 의해 상방 또는 하방으로 공기의 흐름이 조절될 수 있다.
제1 윙(200)은 제1 윙 바디(210), 링크홈(220) 및 링크홀(23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윙 바디(210)는 제1 유로부(111)와 제3 유로부(121) 사이에 배치된다. 제1 윙 바디(210)에는 링크(400)가 결합될 수 있다. 제1 윙 바디(210)는 링크(400)의 움직임에 연동되어 회전되면서 덕트 하우징(100)의 내부를 따라 이동하는 공기의 흐름 방향을 조절 할 수 있다.
링크홈(220)은 제1 윙 바디(210)의 일측에 형성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링크홈(220)은 상기 제1 윙 바디(210)의 하류측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링크홈(220)은 X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링크홈(220)은 링크(400)의 좌우 이동을 안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하류는 공기의 흐름을 기준으로 상류와 구분될 수 있으며, 토출구(100a)측을 의미할 수 있다. 링크홈(220)에는 링크(400)의 일부 구성이 결합될 수 있다.
링크홀(230)은 제1 윙 바디(210)에 관통되게 형성될 수 있다.
링크홀(230)은 링크홈(220)의 일부분으로부터 제1 유로부(111)에서 제2 유로부(112)를 향하는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크홀(230)은 소정의 폭을 갖도록 형성되어 제2 링크바디(420)의 좌우 이동을 가능하게 한다. 도 6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크홀(230)은 링크홈(220)의 일측에 연통되게 형성될 수 있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윙(200)은 돌출 리브(2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돌출 리브(240)는 제1 윙(200)의 X방향측 단부에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돌출 리브(240)는 덕트 하우징(100)의 제3 하우징 플레이트(미도시)에 접촉될 수 있다. 상기 돌출 리브(240)가 제3 하우징 플레이트(미도시)에 접촉되게 배치되기 때문에, 상기 링크(400)가 좌우로 이동하더라도 제1 윙(200)의 좌측방향 이동 또는 우측 방향 이동이 미연에 차단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제1 윙 바디(210)가 제3 하우징 플레이트(미도시)에 직접적으로 접촉되어 발생하는 파손이 방지될 수 있다.
도 2, 도 3 및 도 5를 참조하면, 제2 윙(300)은 덕트 하우징(10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윙(300)은 제1 윙(200)과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세하게, 제2 윙(300)은 공기의 흐름 방향을 기준으로 제1 윙(200) 보다 상류(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윙(300)은 토출구(100a)에서 바라볼 때, 제1 윙(200)과 교차되게 배치될 수 있다.
제2 윙(300)은 제2 윙 바디(310) 및 가이드 부재(3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윙 바디(310)는 제2 유로부(112)와 제4 유로부(12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윙 바디(310)는 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부재(320)는 제2 윙 바디(310)의 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가이드 부재(320)는 Z방향으로 배치되며,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부재(320)에는 제2 링크바디(420)의 단부가 결합될 수 있다. 그에 따라, 가이드 부재(320)는 제2 링크바디(420)의 상하 이동을 안내할 수 있다.
제2 윙(300)은 링크(400)의 X방향, 즉 좌우방향 이동에 연동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윙(300)의 회동 중심(C)은 가이드 부재(320)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제2 윙(300)은 가이드 부재(320)가 움직이는 방향을 따라 회동 중심(C)을 기준으로 회동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 윙(300)은 제2 윙 바디(310)에 형성된 홀(3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링크바디(420)의 좌우 이동에 따른 상기 제2 윙(300)의 회동시, 상기 홀(330)은 상기 제2 윙 바디(310)에 의한 상기 제2 링크바디(420)의 회동 간섭을 방지할 수 있다.
도 2 및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링크(400)는 핸들 유닛(500)의 움직임을 상기 제1 윙(200) 및 제2 윙(300) 중 적어도 하나로 전달할 수 있다. 링크(400)는 제1 윙(200)과 제2 윙(300)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링크(400)의 일측에는 핸들 유닛(500)에 결합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링크(400)는 핸들 유닛(500)에 의해 움직임이 제어될 수 있다.
링크(400)는 제1 링크바디(410), 제2 링크바디(420) 및 제1 회동축(43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링크(400)는 핸들 유닛(500)과의 결합을 위해 형성된 결합 블록(4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링크바디(41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크홈(220)에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링크바디(410)는 좌우 방향인 X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링크홈(220)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링크바디(420)는 제1 링크바디(410)의 일측에서 제2 윙(300)을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제2 링크바디(42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크홀(23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링크바디(420)는 X방향으로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는 두개의 제2 링크바디 부재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링크바디 부재는 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링크바디(420)의 단부는 가이드 부재(320)에 Z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예컨데, 상기 제2 링크바디 부재 사이에 상기 가이드 부재(320)가 배치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링크바디(420)는 Z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제1 회동축(430)은 제1 링크바디(410)의 X방향측 단부에서 돌출될 수 있다. 제1 회동축(430)은 제3 하우징 플레이트(미도시)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제1 회동축(430)의 회동 중심과 제1 윙 바디(210)의 회동 중심은 서로 동일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윙(200)은 핸들 유닛(500)의 상하방향 이동에 연동되어 제1 링크바디(410)와 함께 제1 회동축(430)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결합 블록(440)은 제1 링크바디(410)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결합 블록(440)은 제1 링크바디(410)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결합 블록(440)은 제1 윙(200)의 외측에 노출되게 배치될 수 있다. 결합 블록(440)은 핸들 유닛(500)과 결합할 수 있다.
결합 블록(440)은 X방향으로 배치되는 결합 부재(441)를 포함할 수 있다. 결합 부재(441)는 핸들 유닛(500)의 일부 구성에 결합될 수 있다. 결합 부재(441)는 핸들 유닛(500)의 일부구성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도 12는 핸들 유닛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13은 노브가 회전 블록과 결합한 상태를 평면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4는 도 2의 B 부분을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1, 도 2 및 도 12 내지 도 14를 참조하면, 핸들 유닛(500)은 링크(400)에 결합되어 링크(400)의 움직임을 제어할 수 있다.
핸들 유닛(500)은 고정 블록(510), 회전 블록(520) 및 노브(530)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 블록(510)은 덕트 하우징(100)의 토출구(100a)에 배치될 수 있다. 상세하게, 상기 고정 블록(510)은 제1 하우징 플레이트(110)의 제1 고정홈(111a)과 제2 하우징 플레이트(120)의 제2 고정홈(121a)에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 고정 블록(510)은 그 내부에 회전 블록(520)을 배치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홀을 포함할 수 있다. 고정 블록(510)은 제1 하우징 플레이트(110)와 제2 하우징 플레이트(120)를 지지할 수 있기 때문에, 제1 하우징 플레이트(110)와 제2 하우징 플레이트(120)는 서로 이격되어 있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회전 블록(520)은 고정 블록(51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회전 블록(520)은 제2 회동축(521) 및 상기 제2 회동축(521)의 외주면에서 돌출되게 일체로 형성된 회전 바디(52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회동축(521)은 고정 블록(51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제2 회동축(521)은 노브(530)의 상하 방향 움직임에 연동되는 회전 바디(522)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다.
회전 바디(522)는 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회전 바디(522)는 노브(530)의 상하 방향 움직임에 연동되어 회동될 수 있다. 예컨대, 회전 바디(522)는 일부분이 노브(530)의 내부에 배치되기 때문에, 상기 노브(530)의 회동에 연동되어 회동할 수 있다.
또한, 회전 바디(522)는 노브(530)가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노브(530)는 회전 바디(522)에 결합될 수 있다. 노브(530)는 제1 노브바디(531) 및 제2 노브바디(53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노브바디(531)는 회전 바디(522)에 X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제1 노브바디(531)는 회전 블록(520)을 그 내부에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된 블록수용홈(531a)을 포함할 수 있다. 블록수용홈(531a)은 회전 바디(522)의 일부를 수용할 수 있다.
제2 노브바디(532)는 제1 노브바디(531)의 단부로부터 결합 부재(441)를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제2 노브바디(532)는 제1 노브바디(531)의 단부로부터 결합 부재(441)를 향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제2 노브바디(532)의 단부는 결합 부재(441)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록수용홈(531a)의 제1 폭(W1)(X방향)은 회전 바디(522)의 제2 폭(W2)(X방향)보다 크게 형성된다.
그리고, 블록수용홈(531a)의 내부에 수용되는 회전 바디(522)에 의해 노브(530)의 이동은 가이드될 수 있다. 즉, 노브(530)는 상기 회전 바디(522)에 의해 안내되어 좌우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노브바디(531)의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시, 상기 제1 노브바디(531)는 회전 바디(522)에 접촉되거나 접촉 해제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제1 노브바디(531)가 좌측방향 또는 우측방향 중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게 되면, 제1 노브바디(531)의 좌측내면 또는 우측내면은 회전 바디(522)의 좌측면 또는 우측면 중 어느 하나에 접촉된다. 이 상태에서 제1 노브바디(531)에 가압력이 더 전달되면, 제1 노브바디(531)는 슬라이딩된 방향으로 회전 바디(522)를 밀게 된다. 그에 따라, 회전 바디(522)는 상기 가압력을 제2 노브바디(532) 및 링크(400)에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제1 노브바디(531)가 회전 바디(522)에 접촉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슬라이딩 된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제1 노브바디(531)가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제1 노브바디(531)가 회전 바디(522)에 접촉된 상태가 해제될 수 있다.
핸들 유닛(500)의 회동 방향은 링크(400)의 회동 방향과 반대일 수 있다.
예컨대, 링크(400)는 제1 회동축(430)을 중심으로 회동하며, 노브(530)는 제2 회동축(522)을 중심으로 회동한다. 여기서, 결합 부재(441)는 제2 노브바디(532)에 지지되어 있는 상태이다. 그리고, 결합 부재(441)는 제2 노브바디(532)의 회동에 연동되어 제2 노브바디(532)의 회동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회동한다. 그리고, 상기 링크(400)는 결합 부재(441)의 회동에 연동되어 제2 노브바디(532)의 회동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회동한다. 따라서, 링크(400)와 노브(530)는 제1 회동축(430)과 제2 회동축(532)을 중심으로 각각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회동하게 된다.
이에 의해 제1 윙(200)이 핸들 유닛(500)의 조작에 의해 회동하면, 상기 공기는 차 실내의 상방 또는 하방으로 토출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에어 벤트(1)는, 제1 유로부(111)와 제3 유로부(121) 사이에 제1 윙(200)을 배치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제1 윙(200)의 회전반경의 제약이 해소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자동차용 에어 벤트(1)는 링크(400)를 이용하기 때문에, 제1 윙(200)을 토출구(100a)에 근접하여 배치시킬 필요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나아가, 상기 링크(400)를 통해 상기 코안다면의 형성 위치를 조절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자동차용 에어 벤트(1)는 토출구(100a)의 폭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자동차 대시보드의 디자인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에어 벤트(1)는 제1 윙(200)과 제2 윙(300)이 하나의 링크(400)에 움직임이 조절되는 구조로 구현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에어 벤트(1)는 제1 윙(200)의 내부에 배치되는 하나의 링크(400)를 통해 부품수를 줄일 수 있음과 동시에 상기 에어 벤트(1)의 내부 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구조를 통해 상기 에어 벤트(1)의 제작 비용 또는 조립 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자동차용 에어 벤트를 통해 공조장치(미도시)로부터 전달되는 공기를 차 실내의 하측으로 공급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 15a는 자동차용 에어 벤트의 기본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15b는 제1 윙, 링크 및 핸들 유닛이 회동한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5a 및 도 15b를 참조하면, 자동차용 에어 벤트(1)는 노브(530)의 움직임을 통해 공기를 차 실내의 하측으로 배출할 수 있다.
도 1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차용 에어 벤트(1)의 각각의 구성들이 상방 또는 하방으로 이동하지 않은 기본 상태에서는 제1 윙(200)과 링크(400)가 제1 회동축(430)을 중심으로 회동되지 않는다. 또한, 기본 상태에서는 회전 블록(520)과 노브(530)가 제2 회동축(521)을 중심으로 회동되지 않은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도 1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제1 노브바디(531)가 하방을 향해 회동하면, 제2 노브바디(532)는 제2 회동축(521)을 중심으로 상방으로 회동한다. 이와 동시에, 제2 노브바디(532)에 결합된 결합 부재(441)는 제2 노브바디(532)의 움직임에 연동되어 제1 회동축(430)을 중심으로 상방으로 회동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제1 윙(200)과 제1 링크바디(410)는 제1 회동축(430)을 중심으로 회전되며, 제2 링크바디(420)의 단부는 슬라이딩 이동되어 가이드 부재(320)의 하측에 배치된다.
그에 따라, 제1 윙(200)은 토출구(100a)에서 유입구(100b)를 향하는 방향을 기준으로 하향 경사지게 배치된다.
유입구(100b)를 통과하는 공기는 코안다 효과(Coanda effect)에 의해 제1 윙(200)에 가이드 되어 제1 유로부(111)를 향해 상승한다. 상기 공기는 제1 유로부(111)에 접촉한 상태로 흐르게 된다.
제1 윙(200)과 제1 유로부(111)에 의해 안내된 상기 공기는 토출구(100a)를 통과하여 차 실내의 하측을 향해 배출될 수 있다.
실시예의 도 15b에서는 자동차용 에어 벤트(1)를 통해 공기가 차 실내의 하측으로 공급되는 것을 도시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노브(530)를 상방으로 회동시켜 공기를 차 실내에 상측을 향해 배출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공조장치(미도시)로부터 전달되는 공기를 차 실내의 우측으로 공급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 16a는 자동차용 에어 벤트의 기본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16b는 제1 노브바디가 회전 바디에 접촉한 모습을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16c는 제2 윙이 회동한 모습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6a 내지 도 16c를 참조하면, 자동차용 에어 벤트(1)는 노브(530)의 좌우방향 움직임을 통해 공조된 공기를 차 실내에 우측으로 공급할 수 있다.
도 1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차용 에어 벤트(1)는 사용자에 의한 조작이 없는 상태에서는 기본 상태로 유지된다. 상기 기본 상태에서는 제2 윙(300), 제2 링크바디(420) 및 노브(530)가 전부 직선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도 1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본 상태로부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제1 노브바디(531)가 우측으로 이동되면, 제1 노브바디(531)는 블록수용홈(531a) 내부에 수용된 회전 바디(522)에 접촉될 수 있다.
도 1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노브바디(531)가 회전 바디(522)에 접촉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제1 노브바디(531)에 더 압력을 가하면 제1 노브바디(531)는 회전 바디(522)를 우측으로 더 이동시키게 된다.
제2 노브바디(532)는 제1 노브바디(532)의 움직임에 연동되어 결합 블록(440)에 가압력을 전달한다.
결합 블록(440)에 가압력이 전달되면, 제1 링크바디(410)는 링크홈(220)의 내부에서 우측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제1 링크바디(410)로부터 돌출된 제2 링크바디(420)는 링크홀(230)의 내부에서 우측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제2 링크바디(420)의 단부는 가이드 부재(320)와 결합한 상태이므로, 제2 윙(300)은 제2 링크바디(420)의 움직임에 연동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제2 윙(300)은 회동 중심(C)을 중심축으로 하여 우측 방향(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하게 된다.
도 16c를 참조하면, 유입구(100b)로 유입되는 공기는 제2 윙(300)에 의해 우측방향으로 가이드 된다. 그에 따라, 상기 공기는 토출구(100a)를 통해 차 실내의 우측방향으로 공급될 수 있다.
실시예의 도 16c에서는 자동차용 에어 벤트(1)를 통해 공기가 차 실내의 우측으로 공급되는 것을 도시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노브(530)를 좌측방향으로 이동시켜 공기를 차 실내의 좌측을 향해 배출시킬 수 있다.
도 17a는 걸림홈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17b는 걸림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a, 도 17b 및 도 18을 참조하면 자동차용 에어 벤트(1)는 제1 링크바디(410)에 형성되는 걸림턱(410a)과 제1 윙(200)에 형성되는 걸림홈(2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7a 및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홈(250)은 제1 윙(200)의 일부분에 오목하게 형성된다.
도 17b 및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턱(410a)은 제1 링크바디(410)의 외면에서 상기 걸림홈(250)에 대응되게 돌출될 수 있다. 걸림턱(410a)은 걸림홈(250)과 결합할 수 있다. 걸림턱(410a)과 걸림홈(250)의 결합은 제1 링크바디(410)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1 링크바디(410)는 걸림홈(250)과 걸림턱(410a)의 결합에 의해 제1 윙(200)의 내부에 배치된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수정과 변경에 관계된 차이점들을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자동차용 에어 벤트
100. 덕트 하우징
200. 제1 윙
300. 제2 윙
400. 링크
410. 제1 링크바디
420. 제2 링크바디
500. 핸들 유닛
510. 고정 블록
520. 회전 블록
530. 노브

Claims (20)

  1. 공기의 흐름을 안내하며, 토출구가 형성된 덕트 하우징;
    상기 덕트 하우징의 내부에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는 제1 윙과 제2 윙;
    상기 제1 윙 및 상기 제2 윙의 회동을 조절하는 링크; 및
    상기 링크에 결합되어 상기 링크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핸들 유닛; 을 포함하고,
    상기 링크는 상기 제1 윙의 내부에 이동 및 회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링크는 상기 핸들 유닛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결합 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링크는 상기 결합 부재를 중심으로 상기 제1 윙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동되며, 상기 핸들 유닛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회동하고,
    상기 핸들 유닛은,
    상기 덕트 하우징의 토출구에 결합하는 고정 블록;
    상기 고정 블록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하는 회전 블록; 및
    상기 회전 블록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하는 노브; 를 포함하고,
    상기 노브는,
    상기 회전 블록을 내부에 수용하도록 형성된 블록수용홈; 을 포함하고,
    상기 블록수용홈의 제1 방향 폭은 상기 회전 블록의 제2 방향 폭보다 크고,
    상기 노브의 슬라이딩 이동시, 상기 노브는 상기 회전 블록에 접촉되거나 접촉 해제되는, 자동차용 에어 벤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구에서 바라볼 때, 상기 제1 윙과 상기 제2 윙은 서로 교차되게 배치되는 자동차용 에어 벤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는,
    상기 제1 윙의 내부에 좌우 방향인 제1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제1 링크바디;
    상기 제1 링크바디에서 상기 제2 윙을 향해 연장되는 제2 링크바디; 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에어 벤트.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는,
    상기 제1 링크바디의 제1 방향측 단부에서 돌출되게 형성된 제1 회동축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회동축을 기준으로 상기 제1 링크바디는 상기 핸들 유닛의 제1 방향 회동에 연동되어 회동하는 자동차용 에어 벤트.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윙은 제2 윙 바디; 및 상기 제2 링크바디의 일측 단부가 결합하는 가이드 부재; 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링크바디의 일측 단부는 상기 가이드 부재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하는 자동차용 에어 벤트.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윙은,
    상기 제2 윙 바디에 형성된 홀을 포함하는 자동차용 에어 벤트.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윙은 상기 제2 링크바디의 제1 방향 이동에 연동되어 회동하는 자동차용 에어 벤트.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는,
    상기 제1 링크바디에 일체로 형성되는 결합 블록을 더 포함하고,
    상기 결합 블록에는 상기 핸들 유닛의 일측 단부가 회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자동차용 에어 벤트.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윙은 상기 제1 링크바디의 회동에 연동되어 상기 제1 회동축을 기준으로 회동하는 자동차용 에어 벤트.
  10.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윙은,
    제1 윙 바디;
    상기 제1 윙 바디의 일측에 형성된 홈; 및
    상기 제1 윙 바디를 상기 공기의 흐름 방향인 제2 방향으로 관통하게 형성된 홀을 포함하고,
    상기 홈에는 상기 제1 링크바디가 배치되고,
    상기 홀에는 상기 제2 링크바디가 배치되며,
    상기 홀은 제1 방향으로 소정의 폭(W)을 갖도록 형성되는 자동차용 에어 벤트.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링크바디는 상기 폭(W) 범위 내에서 상기 제1 링크바디의 제1 방향 이동에 연동되어 이동하는 자동차용 에어 벤트.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노브의 단부는 상기 결합 블록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자동차용 에어 벤트.
  13. 삭제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덕트 하우징은,
    내면에 배치되며 상기 토출구 측에 형성되는 고정홈; 을 더 포함하며,
    상기 고정홈은 상기 고정 블록과 결합하여 상기 고정 블록을 지지하는 자동차용 에어 벤트.
  1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는 상기 제1 링크바디에서 돌출되게 형성된 걸림턱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윙은 상기 걸림턱에 대응되게 형성된 걸림홈을 더 포함하며,
    상기 걸림턱은 상기 걸림홈에 결합하는 자동차용 에어 벤트.
  16. 삭제
  17.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링크바디는 상기 노브가 상기 회전 블록에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제1 방향으로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이동되는, 자동차용 에어 벤트.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덕트 하우징은 상기 제1 윙의 상측 및 하측에 배치되는 코안다면; 을 포함하는 자동차용 에어 벤트.
  19. 삭제
  20. 공기의 흐름을 안내하며, 토출구가 형성된 덕트 하우징;
    상기 덕트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는 제1 윙;
    상기 덕트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1 윙과 이격되게 배치되는 제2 윙;
    상기 제1 윙의 내부에 배치되는 제1 링크바디와, 상기 제2 윙에 결합하도록 상기 제1 윙을 관통하는 제2 링크바디를 포함하는 링크; 및
    상기 링크에 결합되어 상기 링크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핸들 유닛; 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윙은 상기 제2 링크바디가 배치되는 홀을 포함하고,
    상기 홀은 소정의 폭을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2 링크바디의 좌우 이동을 가능하게 하며,
    상기 링크는 상기 핸들 유닛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결합 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링크는 상기 결합 부재를 중심으로 상기 제1 윙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동되며, 상기 핸들 유닛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회동하고,
    상기 핸들 유닛은,
    상기 덕트 하우징의 토출구에 결합하는 고정 블록;
    상기 고정 블록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하는 회전 블록; 및
    상기 회전 블록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하는 노브; 를 포함하고,
    상기 노브는,
    상기 회전 블록을 내부에 수용하도록 형성된 블록수용홈; 을 포함하고,
    상기 블록수용홈의 제1 방향 폭은 상기 회전 블록의 제2 방향 폭보다 크고,
    상기 노브의 슬라이딩 이동시, 상기 노브는 상기 회전 블록에 접촉되거나 접촉 해제되는, 자동차용 에어 벤트.
KR1020210189847A 2021-12-28 2021-12-28 자동차용 에어 벤트 KR1026583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9847A KR102658320B1 (ko) 2021-12-28 2021-12-28 자동차용 에어 벤트
EP22162130.3A EP4206009A1 (en) 2021-12-28 2022-03-15 Air vent for an automobile
US17/697,159 US20230202264A1 (en) 2021-12-28 2022-03-17 Air vent for automobile
CN202211046892.XA CN116353300A (zh) 2021-12-28 2022-08-30 用于汽车的通风口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9847A KR102658320B1 (ko) 2021-12-28 2021-12-28 자동차용 에어 벤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0166A KR20230100166A (ko) 2023-07-05
KR102658320B1 true KR102658320B1 (ko) 2024-04-18

Family

ID=807808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89847A KR102658320B1 (ko) 2021-12-28 2021-12-28 자동차용 에어 벤트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30202264A1 (ko)
EP (1) EP4206009A1 (ko)
KR (1) KR102658320B1 (ko)
CN (1) CN116353300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210502A (ja) * 2013-04-18 2014-11-13 豊和化成株式会社 レジスタの操作ノブ
KR102110320B1 (ko) * 2019-03-29 2020-05-14 주식회사 니프코코리아 자동차용 에어벤트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057421B4 (de) * 2000-11-20 2006-01-12 Trw Automotive Electronics & Components Gmbh & Co. Kg Luftaustritt für Belüftungsanlagen
JP2009018634A (ja) * 2007-07-10 2009-01-29 Howa Kasei Kk 空気吹出調整用レジスタ
JP5577108B2 (ja) * 2010-01-22 2014-08-20 豊和化成株式会社 レジスタ
JP6100202B2 (ja) * 2014-05-14 2017-03-22 豊田合成株式会社 空調用レジスタ
SE538880C2 (en) * 2014-11-10 2017-01-24 China-Euro Vehicle Tech Ab Air nozzle device for a vehicle
JP6579002B2 (ja) * 2016-03-10 2019-09-25 豊田合成株式会社 空調用レジスタ
JP7013149B2 (ja) * 2017-06-30 2022-01-31 豊和化成株式会社 レジスタ
US10807443B2 (en) * 2017-10-31 2020-10-20 Honda Motor Co., Ltd. Air vent for a vehicle HVAC system
KR102162869B1 (ko) * 2019-05-08 2020-10-07 주식회사 니프코코리아 자동차용 에어벤트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210502A (ja) * 2013-04-18 2014-11-13 豊和化成株式会社 レジスタの操作ノブ
KR102110320B1 (ko) * 2019-03-29 2020-05-14 주식회사 니프코코리아 자동차용 에어벤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206009A1 (en) 2023-07-05
CN116353300A (zh) 2023-06-30
US20230202264A1 (en) 2023-06-29
KR20230100166A (ko) 2023-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97964B2 (en) Air vent providing diffusion
EP1219477B1 (en) Automotive air conditioner
EP2357101B1 (en) Sliding door device
US20060021424A1 (en) Automotive air-conditioner
KR102007458B1 (ko) 자율주행 차량을 위한 공기 처리 시스템
WO2008050856A1 (fr) Climatiseur pour véhicule
EP1835827A1 (en) Air control door with integrated stratification feature
WO2014058009A1 (ja) 車両用空調装置
KR102658320B1 (ko) 자동차용 에어 벤트
JP2000108639A (ja) 車両用空調装置のドア駆動機構
KR20180112680A (ko) 내접 기어 링키지를 포함하는 공기 처리 시스템
CN111023286B (zh) 空调室内机
US10807443B2 (en) Air vent for a vehicle HVAC system
KR20230101034A (ko) 차량용 에어벤트
JP3586510B2 (ja) 車両用空調装置
WO2017150606A1 (ja) 車両用空調装置
JP5243674B2 (ja) 車両用配気装置
WO2021079924A1 (ja) 車両用空調装置
KR20220001332A (ko) 차량용 공조장치
WO2015075950A1 (ja) 車両用空調装置
JP7014618B2 (ja) 車両用空調装置
JP2018144531A (ja) 車両用空調装置
JP2001105840A (ja) 空気調和ユニットのスライドドア装置
WO2016158572A1 (ja) 車両用空調装置
JPS6325484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