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8250B1 - 올레산-방출 콘택트 렌즈 - Google Patents

올레산-방출 콘택트 렌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58250B1
KR102658250B1 KR1020227039893A KR20227039893A KR102658250B1 KR 102658250 B1 KR102658250 B1 KR 102658250B1 KR 1020227039893 A KR1020227039893 A KR 1020227039893A KR 20227039893 A KR20227039893 A KR 20227039893A KR 102658250 B1 KR102658250 B1 KR 1026582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lens
oleic acid
lens
release
symptoma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398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07385A (ko
Inventor
어윈 씨 사이
낸시 제이 키어
순다르 라오 수밤 바수트카르
빅토리아 로저스
위안 지
유웬 리우
효 정 이
Original Assignee
쿠퍼비젼 인터내셔널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쿠퍼비젼 인터내셔널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쿠퍼비젼 인터내셔널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300073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73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82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8250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02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 G02C7/04Contact lenses for the eye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02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 G02C7/04Contact lenses for the eyes
    • G02C7/049Contact lenses having special fitting or structural features achieved by special materials or material structur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04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made of organic materials, e.g. plastics
    • G02B1/041Lenses
    • G02B1/043Contact lens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11/005Contact lens ca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48Eye, e.g. artificial te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1/00Producing optical elements, e.g. lenses or prisms
    • B29D11/00009Production of simple or compound lenses
    • B29D11/00038Production of contact lenses
    • B29D11/00067Hydrating contact len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1/00Producing optical elements, e.g. lenses or prisms
    • B29D11/00009Production of simple or compound lenses
    • B29D11/00038Production of contact lenses
    • B29D11/00076Production of contact lenses enabling passage of fluids, e.g. oxygen, tears, between the area under the lens and the lens exteri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1/00Producing optical elements, e.g. lenses or prisms
    • B29D11/00009Production of simple or compound lenses
    • B29D11/00038Production of contact lenses
    • B29D11/00096Production of contact lenses for delivering compositions, e.g. drugs to the ey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1/00Producing optical elements, e.g. lenses or prisms
    • B29D11/00009Production of simple or compound lenses
    • B29D11/00038Production of contact lenses
    • B29D11/00125Auxiliary operations, e.g. removing oxygen from the mould, conveying moulds from a storage to the production line in an inert atmospher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10Esters
    • C08F220/34Esters containing nitrogen, e.g. N,N-dimethylaminoethyl (meth)acryl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3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containing phosphorus, selenium, tellurium or a metal
    • C08F230/04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containing phosphorus, selenium, tellurium or a metal containing a metal
    • C08F230/08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containing phosphorus, selenium, tellurium or a metal containing a metal containing silic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12Chemical modific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01/00Compositions of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01/02Compositions of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specified groups, e.g. terminal or pendant functional grou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105/00Condition, form or state of moulded material or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 B29K2105/0002Condition, form or state of moulded material or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onomers or prepolym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yeglasses (AREA)
  • Treatments Of Macromolecular Shaped Articles (AREA)

Abstract

올레산-방출 콘택트 렌즈뿐만 아니라 이를 제조하는 방법도 기재되어 있다. 올레산-방출 콘택트 렌즈는 중합체성 렌즈 본체에 방출가능하게 부착된 올레산을 함유하고, 방출 매질에서 1시간 후 올레산 2 μg 내지 25 μg을 방출한다. 올레산-방출 콘택트 렌즈는 유증상 콘택트 렌즈 착용자에 의해 편안하게 착용될 수 있고, 편안한 렌즈 착용 시간의 지속기간을 증가시킬 수 있고/거나 유증상 콘택트 렌즈 착용자에게서 렌즈 인식 이벤트를 감소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올레산-방출 콘택트 렌즈
본 출원은 2020년 12월 15일에 출원된 미국 가 특허 출원 번호 63/125,419의 35 U.S.C. §119(e) 하에 이익을 청구하고/거나 그 밖의 방법으로 우선권을 주장하며, 이는 그 전문이 본원에 참조로 포함된다.
본 발명의 분야는 콘택트 렌즈, 특히 유증상(symptomatic) 콘택트 렌즈 착용자에게 보다 편안한 콘택트 렌즈에 관한 것이다.
전체 콘택트 렌즈 착용자의 추정 50%가 렌즈를 착용하는 동안 불편함을 경험하며, 이러한 유증상 콘택트 렌즈 착용자의 대략 25%가 렌즈 착용을 영구적으로 중단한다. 렌즈 인식(awareness)의 느낌은 유증상 콘택트 렌즈 착용자의 콘택트 렌즈 불만족에 대한 주요 원인이다. 콘택트 렌즈 재료의 발전에도 불구하고, 현재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한 콘택트 렌즈를 착용하는 동안 렌즈 인식의 느낌을 경험하는 콘택트 렌즈 착용자가 편안하게 착용할 수 있는 개선된 콘택트 렌즈에 대한 필요성이 남아 있다.
각막은 몸에서 가장 조밀한 신경절 조직이며, A-델타 및 C 일차 구심성 신경 섬유에 의해 배타적으로 신경절된다. C 신경 섬유는 비-미엘린화되고; 반면 A-델타 섬유는 약간 미엘린화되어 있지만, 이들은 각막을 투명하게 유지하기 위해 각막에 들어간 후 미엘린초를 잃는다. 따라서, 신경 섬유의 두 유형 모두는 각막의 편평층에 도달할 때 노출된 이들의 신경 말단을 갖는다. 이러한 신경 말단에는 온도, 화학 물질, 통증 및 촉각을 감지하는 수용체가 위치하고 있다. 이러한 신경 말단에 존재하는 것으로 보이는 통증 수용체(통증수용기(nociceptor))는 TRPV1이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의 특징은 렌즈 착용 동안 올레산을 방출할 수 있는 히드로겔 콘택트 렌즈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특징은 유증상 콘택트 렌즈 착용자가 편안하게 착용할 수 있는 콘택트 렌즈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특징은 유증상 콘택트 렌즈 착용자에게서 편안한 렌즈 착용 시간의 지속기간을 증가시키고/거나 렌즈 인식 이벤트(event)를 감소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특징 및 이점은 하기 설명에서 부분적으로 설명될 것이고, 부분적으로는 설명으로부터 명백하거나, 또는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해 학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 및 다른 이점은 설명 및 첨부된 청구범위에서 특히 지적된 요소 및 조합에 의해 실현되고 달성될 것이다.
이러한 이점 및 다른 이점을 달성하기 위해, 그리고 본 발명의 목적에 따라, 본원에서 구체화되고 광범위하게 기재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부분적으로 유증상 렌즈 착용자에게서 콘택트 렌즈의 편안함을 증진시키고/거나 유증상 콘택트 렌즈 착용자에게서 편안한 콘택트 렌즈 착용 시간의 지속기간을 증가시키는, 렌즈에 방출가능하게 부착된 올레산의 양을 함유하는 히드로겔 콘택트 렌즈에 관한 것이다. 하나의 예에서, 히드로겔 콘택트 렌즈는 적어도 1종의 비-시클릭(acyclic) 3급 아민 단량체를 포함하는 비-실리콘 히드로겔을 위한 중합가능한 조성물의 반응 생성물인 중합체성 렌즈 본체(body)를 포함하는 실리콘 히드로겔 콘택트 렌즈이다.
하나의 예에서, 실리콘 히드로겔 콘택트 렌즈는 포스페이트 완충 식염수 중 30 vol% 에탄올을 포함하는 시험관내 방출 매질에서 1시간 후 2 μg 내지 25 μg의 올레산을 방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실리콘 히드로겔 콘택트 렌즈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방법은 a) 콘택트 렌즈 몰드에서 중합가능한 조성물 (본원에 기재된 바와 같음)을 중합하여 중합체성 렌즈 본체를 얻는 단계, b) 중합체성 렌즈 본체를 콘택트 렌즈 몰드로부터 제거하는 단계, c) 약 500 ppm 내지 약 2000 ppm의 올레산을 포함하는 유기 용매에서 중합체성 렌즈 본체를 추출하는 단계, d) 수화 액체에서 중합체성 렌즈 본체를 수화하여 실리콘 히드로겔 콘택트 렌즈를 얻는 단계, e) 상기 실리콘 히드로겔 콘택트 렌즈를 포장 용액과 함께 패키지에 밀봉하는 단계 및 e) 상기 패키지를 오토클레이빙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유증상 콘택트 렌즈 착용자에게 올레산-방출 실리콘 히드로겔 콘택트 렌즈를 제공함으로써 유증상 콘택트 렌즈 착용자의 시력을 교정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올레산-방출 히드로겔 콘택트 렌즈는, 올레산을 함유하지 않는 대조군 렌즈와 비교하여 유증상 콘택트 렌즈 착용자에게 편안한 콘택트 렌즈 착용 시간의 지속기간을 증가시키고/거나 렌즈 인식 이벤트를 감소시킨다.
또한, 본 발명은 올레산을 함유하지 않는 초기 콘택트 렌즈를 4시간 이상 동안 착용하고, 초기 콘택트 렌즈를 올레산-방출 히드로겔 콘택트 렌즈로 교체하여, 유증상 콘택트 렌즈 착용자의 하루의 끝(end-of-day) 편안함을 증가시키는 유증상 콘택트 렌즈 착용자에 의한 올레산-방출 히드로겔 콘택트 렌즈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착용 동안 올레산을 방출하는 히드로겔 콘택트 렌즈 및 이의 제조 방법이 본원에 기재되어 있다. 본원에서, 콘택트 렌즈는 올레산-방출 콘택트 렌즈로 지칭될 수 있다. TRPV1 길항제인 올레산은 착용 동안 유증상 콘택트 렌즈 착용자에게서 콘택트 렌즈 착용의 편안함을 증진시키고, 유증상 콘택트 렌즈 착용자가 콘택트 렌즈를 편안하게 착용할 수 있는 시간의 지속기간을 증가시킬 수 있는 양으로 렌즈로부터 방출된다. 특히, 본 발명의 올레산-방출 렌즈는 유증상 환자에게서 렌즈 착용의 하루의 끝 편안함을 증가시킬 수 있다.
올레산 방출 콘택트 렌즈는 중합체성 렌즈 본체 및 중합체성 렌즈 본체에 방출가능하게 부착된 올레산의 양을 포함한다. 하나의 예로서, 콘택트 렌즈는 비-실리콘 히드로겔을 위한 중합가능한 조성물의 반응 생성물이다. 비-실리콘 히드로겔 콘택트 렌즈는 전형적으로 하나 이상의 친수성 단량체, 예컨대 2-히드록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 (HEMA) 또는 비닐 알콜, 임의로 다른 단량체와의 조합의 중합으로부터 형성되고, 실록산 분자를 함유하지 않는다.
예로서, 콘택트 렌즈는 적어도 1종의 실록산 단량체 및 적어도 1종의 친수성 단량체 및/또는 적어도 1종의 친수성 중합체를 포함하는 중합가능한 조성물의 반응 생성물인 중합체성 렌즈 본체를 포함한다. 편의상, 하기의 보다 상세한 설명에 기재한 바와 같이, 실리콘 히드로겔을 위한 경화된 중합체성 렌즈 본체는 중합체성 렌즈 본체에 부착한 올레산의 바람직한 양을 초래하는 올레산을 함유하는 추출 용매에서 추출될 수 있다. 올레산은 양이온성 및/또는 소수성 상호작용에 의해 중합체성 렌즈 본체에 부착될 수 있고/거나, 중합체성 렌즈 본체의 중합체 네트워크에 의해 물리적으로 포획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올레산은 중합가능한 조성물에 첨가될 수 있다.
중합체성 렌즈 본체에 "방출가능하게 부착된" 올레산의 양은 하기 실시예 1에 기재된 이소프로필 알콜 (IPA) 추출 방법에 의해 콘택트 렌즈로부터 추출될 수 있는 올레산의 총량을 지칭한다. 하나의 예에서, 중합체성 렌즈 본체에 방출가능하게 부착된 올레산의 양은 적어도 약 25 μg 또는 50 μg 내지 약 150 μg, 250 μg 또는 500 μg 이하, 예컨대 약 100 μg 내지 약 300 μg이다. 본원에서 사용된, 그리고 문맥이 달리 나타내지 않는 한, 명시된 시간의 지속기간에 걸쳐 올레산-방출 콘택트 렌즈로부터 방출된 올레산의 양 또는 올레산의 "방출 프로파일"이라는 언급은 시험관내 방출 매질 (PBS 중 30 vol% EtOH) 및 하기 실시예 3에 기재된 방법을 사용하여 측정된 렌즈로부터 방출된 올레산의 양을 지칭한다. 하나의 예에서, 방출 매질에서 1시간 후 콘택트 렌즈로부터 방출된 올레산의 누적량은 올레산 2 μg 내지 25 μg, 또는 올레산 7 μg 내지 20 μg 또는 올레산 2 μg 내지 18 μg 또는 올레산 2 μg 내지 15 μg, 또는 올레산 2 μg 내지 10 μg, 또는 올레산 5 μg 내지 12 μg이다. 또 다른 예에서, 콘택트 렌즈는 총 2 μg 내지 10 μg의 올레산이 30분에 방출되고 (누적), 총 7 μg 내지 20 μg의 올레산이 1시간에 방출되고 (누적), 총 15 μg 내지 45 μg의 올레산이 3시간에 방출되고 (누적), 총 25 μg 내지 65 μg의 올레산이 6시간에 방출되고 (누적), 그리고 총 35 μg 내지 75 μg의 올레산이 9시간에 방출되는 (누적) 올레산 방출 프로파일을 갖는다. 하나의 예에서, 콘택트 렌즈는 시간 당 약 3 μg 내지 약 20 μg 올레산이 적어도 8시간 또는 적어도 9시간 동안 방출되는 지속 방출 프로파일을 갖는다. 지속 방출 프로파일은 중합체성 렌즈 본체가 올레산의 흡수(uptake)를 촉진하고, 콘택트 렌즈로부터 올레산의 폭발적인 방출을 방지하고, 렌즈로부터의 올레산 방출의 지속기간을 연장하는 하전된 기를 가질 때 달성될 수 있다. 렌즈 삽입 후 30분 이내에 약 12 μg 초과의 올레산의 "폭발적인 방출"은 따끔거림(stinging) 또는 불편함을 유발할 수 있다. 따라서, 하나의 예에서, 올레산-방출 콘택트 렌즈는 30분에 10 μg 미만 또는 8 ug 미만의 올레산을 방출한다 (실시예 3의 시험관내 방출 방법을 사용하여 테스트할 때).
중합체성 렌즈 본체는 콘택트 렌즈 재료로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임의의 히드로겔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콘택트 렌즈를 위한 실리콘 히드로겔 재료는 전형적으로 적어도 1종의 실록산 단량체, 및 적어도 1종의 친수성 단량체 또는 적어도 1종의 친수성 중합체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중합가능한 조성물(즉, 단량체 혼합물)을 경화함으로써 형성된다. 본원에서 사용된, 용어 "실록산 단량체"는 적어도 하나의 Si-O 기 및 적어도 하나의 중합가능한 기를 함유하는 분자이다. 콘택트 렌즈 조성물에 사용된 실록산 단량체는 관련 기술 분야에 잘 알려져 있다(예를 들어, 미국 특허 제8,658,747호 및 미국 특허 제6,867,245호 참조). (여기 및 전체에 걸쳐 언급된 모든 특허 및 간행물은 그 전체가 참조로 포함된다.) 일부 예에서, 중합가능한 조성물은 적어도 10 중량%, 20 중량% 또는 30 중량% 내지 약 40 중량%, 50 중량%, 60 중량% 또는 70 중량% 이하의 실록산 단량체의 총량을 포함한다.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본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중합가능한 조성물의 성분의 주어진 중량 백분율(중량%)은 중합가능한 조성물 내의 모든 중합가능한 성분 및 IPN 중합체 (하기에 추가로 기재됨)의 총 중량에 대한 것이다. 최종 콘택트 렌즈 생성물에 혼입되지 않는 희석제와 같은 성분에 의해 기여되는 중합가능한 조성물의 중량은 중량% 계산에 포함되지 않는다.
구체적인 예에서, 중합가능한 조성물은 친수성 비닐 단량체를 포함한다. 본원에서 사용된, "친수성 비닐 단량체"는 아크릴 기의 일부가 아닌 그의 분자 구조에 존재하는 중합가능한 탄소-탄소 이중 결합 (즉, 비닐 기)를 갖는 임의의 실록산-무함유 (즉 Si-O 기를 함유하지 않는) 친수성 단량체이고, 여기서 비닐 기의 탄소-탄소 이중 결합은 자유 라디칼 중합 하에 중합가능한 메타크릴레이트 기에 존재하는 탄소-탄소 이중 결합보다 반응성이 낮다. 본원에서 사용된, 용어 "아크릴 기"는 아크릴레이트, 메타크릴레이트, 아크릴아미드 등에 존재하는 중합가능한 기를 지칭한다. 따라서, 탄소-탄소 이중 결합이 아크릴레이트 기 및 메타크릴레이트 기에 존재하지만, 본원에서 사용된, 이러한 중합가능한 기는 비닐 기인 것으로 간주되지 않는다. 또한, 본원에서 사용된, 표준 진탕 플라스크 방법을 사용하여 육안으로 측정하였을 때 적어도 50 g의 단량체가 20℃에서 물 1 리터에 완전히 가용성인 경우(즉, 물 중 ~5% 가용성), 단량체는 "친수성"이다. 다양한 예에서, 친수성 비닐 단량체는 N-비닐-N-메틸아세트아미드 (VMA), 또는 N-비닐 피롤리돈(NVP), 또는 1,4-부탄디올 비닐 에테르 (BVE), 또는 에틸렌 글리콜 비닐 에테르 (EGVE), 또는 디에틸렌 글리콜 비닐 에테르 (DEGVE),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이다. 하나의 예에서, 중합가능한 조성물은 적어도 10 중량%, 15 중량%, 20 중량% 또는 25 중량% 내지 약 45 중량%, 60 중량% 또는 75 중량% 이하의 친수성 비닐 단량체를 포함한다. 본원에서 사용된, 중합가능한 조성물 중 특정 부류의 성분 (예를 들어, 친수성 비닐 단량체, 실록산 단량체 등)의 주어진 중량 백분율은 해당 부류에 속하는 조성물 중 각 성분의 중량%의 합과 같다. 따라서, 예를 들어, 5 중량% BVE 및 25 중량% NVP를 포함하고 다른 친수성 비닐 단량체는 포함하지 않는 중합가능한 조성물은 30 중량% 친수성 비닐 단량체를 포함한다고 말한다. 하나의 예에서, 친수성 비닐 단량체는 비닐 아미드 단량체이다. 예시적인 친수성 비닐 아미드 단량체는 VMA 및 NVP이다. 구체적인 예에서, 중합가능한 조성물은 적어도 25 중량%의 비닐 아미드 단량체를 포함한다. 추가의 구체적인 예에서, 중합가능한 조성물은 약 25 중량% 내지 약 75 중량% 이하의 VMA 또는 NVP,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다. 중합가능한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추가적인 친수성 단량체는 N,N-디메틸아크릴아미드 (DMA), 2-히드록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 (HEMA), 에톡시에틸 메타크릴아미드 (EOEMA), 에틸렌 글리콜 메틸 에테르 메타크릴레이트 (EGMA) 및 이들의 조합이다.
친수성 단량체에 더하여 또는 이에 대한 대안으로서, 중합가능한 조성물은 비-중합가능한 친수성 중합체를 포함할 수 있고, 이는 실리콘 히드로겔 중합체 매트릭스를 상호침투하는 비-중합가능한 친수성 중합체와 함께 상호침투 중합체 네트워크(interpenetrating polymer network)(IPN)를 포함하는 중합체성 렌즈 본체를 생성한다. 이 예에서, 비-중합가능한 친수성 중합체를 IPN 중합체로 지칭하며, 이는 콘택트 렌즈에서 내부의 습윤제로서 작용한다. 대조적으로, 중합가능한 조성물에 존재하는 단량체의 중합에 의해 형성되는 실리콘 히드로겔 네트워크 내의 중합체 쇄는 IPN 중합체인 것으로 간주되지 않는다. IPN 중합체는 예를 들어 약 50,000 내지 약 500,000 달톤의 고분자량 친수성 중합체일 수 있다. 구체적인 예에서, IPN 중합체는 폴리비닐피롤리돈(PVP)이다. 다른 예에서, 중합가능한 조성물은 폴리비닐 피롤리돈 또는 다른 IPN 중합체가 실질적으로 없다. 예로서, IPN 중합체는 하나 이상의 양으로 하전된 부위, 예컨대 3급 아민 기 및/또는 4급 아민 기를 포함할 수 있고, 이는 올레산과 이온성 착물을 형성하여 중합체성 렌즈 본체에 의해 올레산의 흡수를 증가시키고/거나 이의 방출을 지속시킬 수 있다.
선택사항으로서, 하나 이상의 비-규소 함유 소수성 단량체는 중합가능한 조성물의 일부로서 존재할 수 있다. 소수성 단량체는 표준 진탕 플라스크 방법을 사용하여 20℃에서 50 g의 단량체가 1 L의 물에 가시적으로 완전히 용해되지 않는 임의의 단량체로 이해될 수 있다. 적합한 소수성 단량체의 예는 메틸 아크릴레이트, 또는 에틸 아크릴레이트, 또는 프로필 아크릴레이트, 또는 이소프로필 아크릴레이트, 또는 시클로헥실 아크릴레이트, 또는 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 또는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MMA), 또는 에틸 메타크릴레이트, 또는 프로필메타크릴레이트, 또는 부틸 아크릴레이트, 또는 2-히드록시부틸 메타크릴레이트, 또는 비닐 아세테이트, 또는 비닐 프로피오네이트, 또는 비닐 부티레이트, 또는 비닐 발레레이트, 스티렌, 또는 클로로프렌, 또는 비닐 클로라이드, 또는 비닐리덴 클로라이드, 또는 아크릴로니트릴, 또는 1-부텐, 또는 부타디엔, 또는 메타크릴로니트릴, 또는 비닐톨루엔, 또는 비닐 에틸 에테르, 또는 퍼플루오로헥실에틸티오카르보닐아미노에틸 메타크릴레이트, 또는 이소보르닐 메타크릴레이트 (IBM), 또는 트리플루오로에틸 메타크릴레이트, 또는 헥사플루오로이소프로필 메타크릴레이트, 또는 테트라플루오로프로필 메타크릴레이트, 또는 헥사플루오로부틸 메타크릴레이트,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한다.
소수성 단량체는, 사용되는 경우, 중합가능한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1 중량% 내지 약 30 중량%, 예컨대 1 중량% 내지 25 중량%, 1 중량% 내지 20 중량%, 1 중량% 내지 15 중량%, 2 중량% 내지 20 중량%, 3 중량% 내지 20 중량%, 5 중량% 내지 20 중량%, 5 중량% 내지 15 중량%, 1 중량% 내지 10 중량%의 양으로 중합가능한 조성물의 반응 생성물에 존재할 수 있다.
중합체성 렌즈 본체에 의해 취해질 수 있는 올레산의 양은 중합가능한 조성물에 양이온성 단량체를 포함시킴으로써 증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1종 이상의 3급 아민 기 및/또는 4급 아민 기를 함유하는 단량체는 중합가능한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다. 생성되는 중합체성 렌즈 본체는 중합체성 렌즈 본체에 의해 올레산의 흡수 및/또는 지속 방출을 촉진시키는 양으로 하전된 기를 함유한다.
하나의 예에서, 중합가능한 조성물은 적어도 1종의 비-시클릭 3급 아민 단량체를, 중합가능한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2 중량% 내지 약 15 중량%, 예컨대 2 중량% 내지 14 중량%, 2 중량% 내지 12 중량%, 2 중량% 내지 10 중량%, 2 중량% 내지 7 중량%, 2 중량% 내지 5 중량%, 5 중량% 내지 15 중량%, 6 중량% 내지 15 중량%, 8 중량% 내지 15 중량%의 양으로 포함한다. 본원에서 사용된, 비-시클릭 3급 아민 단량체에 관하여, 적어도 1종의 비-시클릭 3급 아민 단량체는 단일 비-시클릭 3급 아민 단량체를 포함하는 것, 또는 2개 이상, 예컨대 2개, 3개 또는 4개 이상의 비-시클릭 3급 아민 단량체로 구성된 비-시클릭 3급 아민 단량체 성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비-시클릭 3급 아민 단량체는 3급 아민 기의 질소가 고리 구조의 일부가 아닌 단량체이지만, 단량체는 고리 구조 (예를 들어 N-(2-아미노에틸) 아미노메틸 스티렌)를 함유할 수 있다. 용어 "3급 아민 기"는 탄소 원자 중 어느 것도 카르보닐기의 일부가 아닌 경우 3개의 탄소 원자에 직접적으로 결합된 질소 원자를 지칭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예시적인 비-시클릭 3급 아민 단량체는 2-(디메틸아미노)에틸 아크릴레이트, 또는 2-(디에틸아미노)에틸 아크릴레이트, 또는 3-(디메틸아미노)프로필 아크릴레이트, 또는 3-(디에틸아미노)프로필 아크릴레이트, 또는 2-(디메틸아미노)에틸 메타크릴레이트, 또는 2-(디에틸아미노)에틸 메타크릴레이트, 또는 3-(디메틸아미노)프로필 메타크릴레이트, 또는 3-(디에틸아미노)프로필 메타크릴레이트, 또는 N-(2-(디메틸아미노)에틸) 아크릴아미드, 또는 N-(2-(디에틸아미노)에틸) 아크릴아미드, 또는 N-(3-(디메틸아미노)프로필) 아크릴아미드, 또는 N-(3-(디에틸아미노)프로필) 아크릴아미드, 또는 N-(2-(디메틸아미노)에틸) 메타크릴아미드, 또는 N-(2-(디에틸아미노)에틸) 메타크릴아미드, 또는 N-(3-(디메틸아미노)프로필) 메타크릴아미드, 또는 N-(3-(디에틸아미노)프로필) 메타크릴아미드, 또는 3-(디에틸아미노)프로필 비닐 에테르, 또는 3-(디메틸아미노)프로필 비닐 에테르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비-시클릭 3급 아민 단량체의 보다 구체적인 예는 2-(디에틸아미노)에틸 메타크릴레이트이고, 이는 중합가능한 조성물에 0.1 중량% 내지 15 중량% 또는 1 중량% 내지 10 중량%의 양으로 존재할 수 있다 (중합가능한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함).
일반적으로, 비-시클릭 3급 아민 단량체 (및 일단 중합체성 렌즈 본체의 일부)는 더 낮은 pH 및/또는 더 낮은 이온 강도 용액, 예를 들어 8.0 미만 또는 7 미만의 pH에서, 또는 산성 조건, 예컨대 6 이하의 pH (예를 들어 4 내지 6의 pH)에서 하전된 부위를 형성할 것이다. 이러한 조건에서, 비-시클릭 3급 아민 기는 양성자화되어 렌즈 재료에서 양으로 하전된 부위를 형성한다. 이러한 양으로 하전된 부위는 올레산과 이온성 착물을 형성할 수 있다.
유리하게는, 하나 이상의 3급 아민 단량체는 중합가능한 조성물에 포함되어 약 1.0% 또는 2.0% 또는 3.0% 내지 약 5.0%, 7.0% 또는 10.0% 이하의 양이온 함량을 갖는 중합체성 렌즈 본체를 제공한다. 사용된 "양이온 함량"은 하기 수학식 I에 의해 결정되는 값이다:
∑(a n1 x b n1 / c n1 ) x 157 = % 양이온 함량 (I)
상기 식 중, a n1 은 단량체 혼합물에 사용되는 양이온성 단량체 n1의 하기에서 정의되는 바와 같은 중량 백분율이고, b n1 은 단량체 n1 상의 3급 아민 기의 수이며, c n1 은 3급 아민-함유 단량체 n1의 분자량이다. 하나 초과의 3급 아민-함유 단량체가 중합가능한 조성물에 사용되는 경우, 생성되는 중합체성 렌즈 본체의 % 3급 아민 함량은 각각의 3급 아민-함유 단량체 (즉 n1, n2 등)에 의해 제공되는 % 이온 함량의 합이다. 중합가능한 조성물 중 3급 아민 함유 단량체 n1의 중량 백분율은 히드로겔에 혼입되는 단량체 혼합물의 모든 성분의 중량에 대한 것이다. 다시 말해서, 최종 히드로겔 생성물에 혼입되지 않는 단량체 혼합물의 성분, 예컨대 제조 공정 동안 히드로겔로부터 제거되는 희석제는 중량% 결정에 포함되지 않는다. 수학식 I은 157의 분자량 및 하나의 3급 아민 기를 갖는, 예시적인 3급 아민-함유 단량체인 2-(디메틸아미노)에틸 메타크릴레이트에 대한 분자량 및 전하의 차이에 대하여 조정한다.
중합가능한 조성물은 적어도 1종의 가교-결합제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된, "가교-결합제"는 적어도 2개의 중합가능한 기를 갖는 분자이다. 따라서, 가교-결합제는 2개 이상의 중합체 상의 관능기와 반응하여 하나의 중합체를 다른 중합체와 가교시킬 수 있다. 가교-결합제는 아크릴 기 또는 비닐 기, 또는 아크릴 기 및 비닐 기 둘 다를 포함할 수 있다. 특정 예에서, 가교-결합제는 실록산 모이어티가 없고, 즉 비-실록산 가교-결합제이다. 실리콘 히드로겔 중합가능한 조성물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다양한 가교-결합제는 관련 기술 분야에 공지되어 있다 (예를 들어, 본원에 참조로 포함된 미국 특허 제8,231,218호 참조). 적합한 가교-결합제의 예는 저급 알킬렌 글리콜 디(메트)아크릴레이트, 예컨대 트리에틸렌 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및 디에틸렌 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폴리(저급 알킬렌) 글리콜 디(메트)아크릴레이트; 저급 알킬렌 디(메트)아크릴레이트; 디비닐 에테르, 예컨대 트리에틸렌글리콜 디비닐 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 디비닐 에테르, 1,4-부탄디올 디비닐 에테르 및 1,4-시클로헥산디메탄올 디비닐 에테르; 디비닐 술폰; 디- 및 트리비닐벤젠; 트리틸올프로판 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 테트라(메트)아크릴레이트; 비스페놀 A 디(메트)아크릴레이트; 메틸렌비스(메트)아크릴아미드; 트리알릴 프탈레이트; 1,3-비스(3-메타크릴옥시프로필)테트라메틸디실록산; 디알릴 프탈레이트 및 이들의 조합을 제한 없이 포함한다.
관련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이해되는 바와 같이, 중합가능한 조성물은 콘택트 렌즈 제형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추가적인 중합가능한 또는 비-중합가능한 성분, 예컨대 1종 이상의 중합 개시제, UV 흡수제, 착색제, 산소 제거제, 쇄 이동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중합가능한 조성물은 광학적으로 투명한 렌즈가 얻어지도록 중합가능한 조성물의 친수성 성분과 소수성 성분 사이의 상 분리를 방지하거나 최소화하는 양의 유기 희석제를 포함할 수 있다. 콘택트 렌즈 제형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희석제는 헥산올, 에탄올 및/또는 기타 알콜을 포함한다. 다른 예에서, 중합가능한 조성물은 유기 희석제가 없거나 실질적으로 없다 (예를 들어, 500 ppm 미만). 이러한 예에서, 폴리에틸렌 옥시드 기, 펜던트 히드록실 기 또는 기타 친수성 기와 같은 친수성 모이어티를 함유하는 실록산 단량체의 사용은 중합가능한 조성물에 희석제를 포함하는 것을 불필요하게 만들 수 있다. 중합가능한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이들 및 추가적인 성분의 비-제한적인 예는 미국 특허 제8,231,218호에서 제공된다.
사용될 수 있는 실리콘 히드로겔의 비-제한적인 예는 콤필콘 A, 판필콜 A, 스텐필콘 A, 세노필콘 A, 세노필콘 C, 소모필콘 A, 나라필콘 A, 델레필콘 A, 나라필콘 A, 로트라필콘 A, 로트라필콘 B, 발라필콘 A, 샘필콘 A, 갈리필콘 A 및 아스모필콘 A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리콘 히드로겔 콘택트 렌즈의 구체적인 예는 25 중량% 내지 55 중량%의 실록산 단량체(들), 30 중량% 내지 55 중량%의 NVP, VMA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부터 선택된 비닐 단량체, 및 임의로 약 1 중량% 내지 약 20 중량%의 N,N-디메틸아크릴아미드 (DMA), 2-히드록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 (HEMA), 에톡시에틸 메타크릴아미드 (EOEMA), 또는 에틸렌 글리콜 메틸 에테르 메타크릴레이트 (EGMA),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으로부터 선택된 친수성 단량체, 및 임의로 약 1 중량% 내지 약 20 중량%의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MMA), 이소보르닐 메타크릴레이트 (IBM), 또는 2-히드록시부틸 메타크릴레이트 (HOB)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으로부터 선택된 소수성 단량체를 포함하는 중합가능한 조성물을 기재로 하는 것이다. 이러한 중합가능한 조성물의 구체적인 실시양태로부터 제조된 실리콘 히드로겔 재료는 스텐필콘 A, 콤필콘 A, 소모필콘 A, 판필콘 A 및 엔필콘 A를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 중합가능한 조성물은 0.1 중량% 내지 15 중량%의 적어도 1종의 비-시클릭 3급 아민, 예컨대, 예를 들어 2 중량% 내지 10 중량%의 2-(디메틸아미노)에틸 메타크릴레이트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도록 추가로 변형되고 경화되어 양이온성 중합체성 렌즈 본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콘택트 렌즈를 제조하기 위해 통상의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예로서, 실리콘 히드로겔 조성물을 위한 중합가능한 조성물은 콘택트 렌즈의 앞 표면을 규정하는 오목한 표면을 갖는 암(female) 몰드 부재에 분배된다. 콘택트 렌즈의 뒷 표면, 즉 각막-접촉 표면을 규정하는 볼록한 표면을 갖는 수(male) 몰드 부재가 암 몰드 부재와 결합되어, 경화성 조성물이 중합체성 렌즈 본체로 형성되는 경화 조건, 예컨대 UV 또는 열 경화 조건이 적용되는 콘택트 렌즈 몰드 조립체를 형성한다. 암 및 수 몰드 부재는 비-극성 몰드 또는 극성 몰드일 수 있다. 몰드 조립체를 분해하고 (즉 탈형하고), 중합체성 렌즈 본체를 몰드에서 제거하고, 용매, 예를 들어 에탄올과 같은 유기 용매와 접촉시켜 렌즈 본체로부터 미반응 성분을 추출한다. 추출 후, 렌즈 본체는 물 또는 수용액과 같은 1종 이상의 수화 액체에서 수화되고 포장된다. 실리콘 히드로겔 콘택트 렌즈를 제조하는 예시적인 방법은 미국 특허 제8,865,789호에 기재되어 있다.
올레산은 전형적으로 추출 단계 동안 중합체성 렌즈에 로딩된다. 일반적으로, 경화 후, 중합체성 렌즈 본체는 올레산을 함유하는 에탄올과 같은 추출 용매에서 팽윤된다. 추출된 중합체성 렌즈 본체를 후속적으로 탈이온수와 같은 수화 용액에 넣었을 때, 추출 용매가 제거되고, 올레산은 중합체성 렌즈 본체에 부착된 상태로 남게 된다.
추출 및 수화 공정에 사용되는 추출 용매 및 수화 액체의 예는 변성 에탄올, 변성 에탄올과 탈이온수의 50/50 (부피 기준) 혼합물 및 탈이온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로서, 추출 및 수화 공정은 변성 에탄올, 이이어 에탄올과 물의 50:50 혼합물에서의 적어도 하나의 추출 단계, 이어서 탈이온수에서의 적어도 하나의 수화 단계를 포함할 수 있고, 여기서 각각의 추출 및 수화 단계는 약 20℃ 내지 약 30℃의 온도에서 약 15분 내지 약 3시간 지속될 수 있다. 추출 용매는 중합체성 렌즈 본체에 올레산의 업로딩을 달성하기 위해 올레산을 함유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예컨대 중합체성 렌즈 본체가 양이온성 기를 함유할 때, 중합체성 렌즈 본체에 의해 취해지는 올레산의 양은 추출 용매의 pH를 7 이하, 예컨대 약 4 내지 약 6.5의 pH로 조절함으로써 증가될 수 있다.
올레산을 위한 업로딩 용액으로서 사용된 임의의 추출 용매는 적어도 50 ppm의 올레산의 농도를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농도는 적어도 100 ppm, 적어도 250 ppm, 적어도 500 ppm, 적어도 750 ppm, 적어도 1000 ppm, 적어도 1250 ppm, 적어도 1500 ppm, 적어도 1750 ppm 또는 적어도 2000 ppm의 올레산일 수 있다. 하나의 예에서, 추출 용매 중 올레산의 농도는 약 500 내지 약 2000 ppm이다.
일부 예에서, 일단 중합체성 렌즈 본체에 부착된 올레산은 안정하고, 포장 용액에 미착용 실리콘 히드로겔 콘택트 렌즈를 함유하는 밀봉된 콘택트 렌즈 패키지의 오토클레이빙 동안 또는 이의 포장 용액에서의 보관 동안 중합체성 렌즈 본체로부터 실질적으로 방출되지 않거나 분해되지 않지만, 렌즈 착용 동안 방출된다. 따라서, 콘택트 렌즈가 침지되는 포장 용액은, 오토클레이빙 전 또는 오토클레이빙 직후 또는 그 후 1일 후, 또는 그 후 30일 후, 또는 그 후 60일 후, 또는 그 후 120일 후 콘택트 렌즈로부터 포장 용액에 방출된 올레산 10 ppm 미만 또는 콘택트 렌즈로부터 포장 용액에 방출된 올레산 5 ppm 미만 또는 1 ppm 미만 또는 0 ppm을 갖는다. 오토클레이브 또는 보관 동안 콘택트 렌즈로부터 올레산이 방출되는지 여부는 액체 크로마토그래피-질량 분석법 (LCMS) 또는 다른 적합한 분석 방법을 사용하여 포장 용액 중 올레산의 존재에 대해 테스트함으로써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부로서, 콘택트 렌즈는 콘택트 렌즈 패키지에 밀봉될 수 있다. 콘택트 렌즈 패키지 내에 밀봉된 포장 용액은 임의의 통상적인 콘택트-렌즈 상용성 용액일 수 있다. 하나의 예에서, 포장 용액은 완충제, 및/또는 장성 작용제의 수용액을 포함하거나, 이로 이루어지거나, 본질적으로 이루어진다. 또 다른 예에서, 포장 용액은 추가적인 작용제, 예컨대 1종 이상의 추가적인 항미생물제 및/또는 편안함 부여제 및/또는 친수성 중합체 및/또는 계면활성제 및/또는 기타 유익한 작용제를 함유한다. 일부 예에서, 포장 용액은 다당류 (예를 들어 히알루론산, 히드록시프로필 메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 셀룰로오스, 히드록시에틸 셀룰로오스 등) 또는 안과 용액 및 콘택트 렌즈 포장 용액에서 편안함 중합체 또는 증점제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폴리비닐 피롤리돈과 같은 기타 고분자량 중합체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포장 용액은 안과용 약물을 포함할 수 있다. 포장 용액은 약 6.8 또는 7.0 내지 약 7.8 또는 8.0 이하의 범위의 pH를 가질 수 있다. 하나의 예에서, 포장 용액은 포스페이트 완충제 또는 보레이트 완충제를 포함한다. 또 다른 예에서, 포장 용액은 염화나트륨 또는 소르비톨로부터 선택된 장성 작용제를 약 200 내지 400 mOsm/kg, 전형적으로 약 270 mOsm/kg 내지 약 310 mOsm/kg 이하의 범위의 삼투몰농도를 유지하는 양으로 포함한다.
콘택트 렌즈 패키지에 관하여, 이 패키지는 콘택트 렌즈 및 포장 용액을 보유하도록 구성된 공동 및 공동 주위로 외향 연장된 플랜지 영역을 포함하는 플라스틱 베이스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제거가능한 호일을 플랜지 영역에 부착하여 밀봉된 콘택트 렌즈 패키지를 제공한다. 일반적으로 "블리스터 팩"이라 지칭되는 이러한 콘택트 렌즈 패키지는 관련 기술 분야에 널리-공지되어 있다 (예를 들어, 미국 특허 제7,426,993호 참조).
밀봉된 콘택트 렌즈 패키지를 제조하기 위하여 통상적인 제조 방법을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콘택트 렌즈 패키지를 제조하는 방법에서, 상기 방법은 미착용 콘택트 렌즈 및 콘택트 렌즈 포장 용액을 리셉터클에 놓고, 리셉터클 상에 커버를 놓고, 리셉터클 상에 커버를 밀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리셉터클은 하나의 콘택트 렌즈 및 콘택트 렌즈를 완전히 덮기에 충분한 양, 전형적으로 약 0.5 내지 1.5 ml의 포장 용액을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리셉터클은 임의의 적절한 재료, 예컨대 유리 또는 플라스틱으로부터 제조할 수 있다. 하나의 예에서, 리셉터클은 콘택트 렌즈 및 포장 용액을 보유하도록 구성된 공동 및 공동 주위로 외향 연장된 플랜지 영역을 포함하는 플라스틱 베이스 부재를 포함하고, 커버는 플랜지 영역에 부착된 제거가능한 호일을 포함하여 밀봉된 콘택트 렌즈 패키지를 제공한다. 제거가능한 호일은 가열 밀봉 또는 접착(gluing)과 같은 임의의 통상적인 수단에 의해 밀봉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리셉터클은 복수의 나사를 포함하는 플라스틱 베이스 부재의 형태이고, 커버는 베이스 부재의 나사와 맞물림되는 상용성 나사 세트를 포함하고 이에 의해 재밀봉가능한 커버를 제공하는 플라스틱 캡 부재를 포함한다. 재밀봉가능한 패키지를 제공하기 위하여 다른 유형의 포장이 또한 사용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예를 들어, 콘택트 렌즈 패키지는 억지 끼워맞춤을 형성하기 위해 리셉터클의 상용성 특징부와 맞물림되는 특징부를 포함하는 플라스틱 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밀봉된 콘택트 렌즈 패키지의 제조 방법은 밀봉된 콘택트 렌즈 패키지를 오토클레이빙함으로써 미착용 콘택트 렌즈를 살균하는 것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오토클레이빙은 일반적으로 밀봉된 콘택트 렌즈 패키지를 적어도 20분 동안 적어도 121℃의 온도로 하는 것을 포함한다.
콘택트 렌즈는 미착용으로 (즉, 환자가 이전에 사용하지 않은 새로운 콘택트 렌즈임), 포장 용액에 침지되고 패키지에 밀봉되어 제공될 수 있다. 패키지는 블리스터 패키지, 유리 바이알 또는 기타 적절한 용기일 수 있다. 패키지는 포장 용액 및 미착용 콘택트 렌즈를 수용하기 위한 공동을 갖는 베이스 부재를 포함한다. 밀봉된 패키지는 열 또는 증기를 포함하여 방사선의 양을 멸균함으로써, 예컨대 오토클레이빙함으로써 또는 감마 방사선, e-빔 방사선, 자외 방사선 등에 의해 멸균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에서, 포장된 콘택트 렌즈는 오토클레이빙에 의해 멸균된다.
최종 생성물은 안과적으로-허용가능한 표면 습윤성을 갖는 멸균, 포장된 콘택트 렌즈 (예를 들어 실리콘 히드로겔 콘택트 렌즈)일 수 있다.
본원에 기재된 올레산-방출 히드로겔 콘택트 렌즈는 유증상 콘택트 렌즈 착용자의 시력을 교정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올레산-방출 히드로겔 콘택트 렌즈는 유증상 콘택트 렌즈 착용자에게서 편안한 콘택트 렌즈 착용 시간의 지속기간을 증가시킬 수 있다. 본원에서 "유증상 콘택트 렌즈 착용자" 또는 "유증상 대상체"라는 언급은 찰머스 등(Chalmers et al)에 의해 기재된 CLDEQ-8을 사용하여 유증상으로 분류된 렌즈 착용자를 지칭한다 (문헌 [Chalmers et al., Contact Lens Dry Eye Questionnaire-8 (CLDEQ-8) and opinion of contact lens performance. Optom Vis Sci 2012; 89(10):1435-1442] 참조.).
본원에 기재된 올레산-방출 히드로겔 콘택트 렌즈는 대조군 렌즈 또는 유증상 콘택트 렌즈 착용자의 평소의 렌즈와 비교하여 낮 동안 렌즈 인식을 감소시키고/거나 보다 적은 "렌즈 인식 이벤트"를 초래하기 위해 유증상 콘택트 렌즈 착용자에 의해 착용될 수 있다. 본원에서 "대조군 렌즈"라는 언급은 올레산을 함유하지 않지만 그 외에는 비교되고 있는 올레산-방출 렌즈와 동일한 콘택트 렌즈를 지칭한다. 콘택트 렌즈 착용 동안 렌즈 인식 및/또는 렌즈 인식 이벤트의 감소는 리드 등(Read et al.)에 의해 기재된 "렌즈 인식 로거"를 사용하여 결정될 수 있다 (문헌 [Read et al., Monitoring ocular discomfort using a wrist-mounted electronic logger. Contact Lens and Anterior Eye Vol. 43 (2020) 476-483] 참조).
유증상 콘택트 렌즈 착용자는 전체 렌즈 착용 시간 동안 본 발명의 올레산-방출 렌즈를 착용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유증상 콘택트 렌즈 착용자는 올레산을 함유하지 않는 초기 콘택트 렌즈를 4시간 이상 동안 착용하고, 초기 콘택트 렌즈를 본 발명의 올레산-방출 히드로겔 콘택트 렌즈로 교체하여, 유증상 콘택트 렌즈 착용자의 하루의 끝 편안함을 증가시킨다.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특정 측면 및 이점을 예시하며, 이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예 1. 올레산-로딩된 스텐필콘 A 콘택트 렌즈
폴리프로필렌 콘택트 렌즈 몰드에서 스텐필콘 A용 제형을 경화시킴으로써 실리콘 히드로겔 콘택트 렌즈를 제조하였다. 경화된 스텐필콘 A를 몰드에서 제거하고, 이를 표 I에 나타낸 농도로 올레산 (88.5% 순도; 크로다 인터내셔널 피엘씨(Croda Internatinal Plc))을 함유하는 에탄올 (EtOH)에 215분 동안 침지시킴으로써 추출하였다. 렌즈를 EtOH에서 제거하고 50/50 (부피) EtOH/물의 혼합물에서 대략 30분 동안 세척한 후, 대략 6분, 30분 및 30분 동안 각각 3회의 탈이온수 교환을 실시하였다. 렌즈를 마이데이(MyDay)® 브랜드 콘택트 렌즈에 사용되는 플라스틱 블리스터에 포스페이트 완충 식염수 (PBS)를 포함하는 포장 용액 약 1.5 ml와 함께 포장하였다.
각 렌즈 (n=3)에서의 올레산 (OA)의 양은 렌즈를 이소프로판올 (IPA)로 추출하고 추출물 중 올레산을 액체 크로마토그래피-질량 분석법 (LCMS)에 의해 측정함으로써 결정하였다. 간략하게, 각 렌즈를 이의 블리스터 팩에서 제거하고, 가볍게 닦아서 과량의 포장 용액을 제거하고, 10 mL 100% 이소프로판올(IPA)을 함유하는 20 mL 유리 바이알에 넣었다. 바이알을 실온에서 밤새 (~16시간) 300rpm으로 벤치 탑 진탕기에 놓았다. 스텐필콘 A의 경우, 단일 밤새 추출 단계로 렌즈에서 모든 올레산을 실질적으로 추출하기에 충분하다. 더 소수성인 실리콘 히드로겔 렌즈 재료는 모든 올레산을 추출하기 위해 두 번째 밤새 추출이 필요할 수 있고, 이 경우 첫 번째 추출 단계로부터의 IPA를 제거하고 3 mL의 새로운 IPA로 교체하고 실온에서 300 rpm으로 밤새 진탕한다. 각 렌즈로부터의 IPA 추출물 중 올레산의 양은 액체 크로마토그래피-질량 분석법 (LCMS)에 의해 결정된다. 올레산 로딩 농도 및 렌즈당 평균 올레산 흡수량은 표 1에 나타낸다.
표 1.
Figure 112022121348872-pct00001
실시예 2. 임상 결과
실시예 1로부터의 콘택트 렌즈 B 및 C를 콘택트 렌즈 착용자가 착용하였다(각 렌즈에 대해 n=3). 올레산의 로딩 농도가 가장 높은 렌즈 C는 렌즈 삽입 시 초기에 가벼운 작열감/따끔거림 느낌을 일으켰으며 곧 가라앉았다. 실시예 3에 기재된 EtOH 방출 방법을 사용하여, 렌즈 C가 제1 시간에 대략 22 μg의 올레산을 방출하는 것으로 결정하였다. 제1 시간에 대략 12 μg의 올레산을 방출하는 것으로 결정한 (실시예 3에 기재된 방출 방법을 사용함) 실시예 1로부터의 콘택트 렌즈 B는 초기 삽입 시 작열감/따끔거림을 일으키지 않았으며, 추가 임상 평가를 위해 선택하였다. 렌즈 B는 실시예 3에 기재된 방출 방법을 사용하여 약 6시간 동안 올레산의 방출을 지속하는 것으로 결정하였다.
25명의 대상체를 2일 간, 쌍방의(bilateral), 10시간의 교차 연구에 등록하였다. 대상체 중 12명은 유증상 콘택트 렌즈 착용자로 분류하였으며, 연구일 2일 모두 평소의 렌즈 착용 7시간 후 건조함 (0=매우 건조함, 100=건조함이 전혀 없음) 및/또는 불편함 (0=매우 나쁜 편안함, 100=우수한 편안함)에 대해 시각적 아날로그 척도 상 100 만점에 ≤85의 등급을 보고하였다. 13명의 대상체는 무증상 콘택트 렌즈 착용자로 분류하였으며, 이들의 평소의 콘택트 렌즈를 사용한 어느 한 연구일에 건조함 (0=매우 건조함, 100=건조함이 전혀 없음) 및/또는 불편함 (0=매우 나쁜 편안함, 100=우수한 편안함)에 대해 시각적 아날로그 척도 상 100 만점에 >85의 등급을 보고하였다. 모든 대상체에게 이들의 평소의 렌즈를 7시간 동안 착용하도록 요구하였다. 그 다음 실시예 1로부터의 렌즈 B (테스트 렌즈) 또는 마이데이® 브랜드 (대조군) 렌즈로 교체하여, 대상체가 3시간 동안 착용하였다. 12명의 유증상 대상체 중 9명은 테스트 렌즈를 선호하였고, 나머지 3명의 유증상 대상체는 대조군을 선호하였다. 무증상 대상체 중 5명은 대조군 렌즈를 선호했고, 3명은 테스트 렌즈를 선호했으며 나머지 5명의 무증상 대상체는 렌즈 사이에 선호도가 없었다. 상기 데이터는, 유증상 대상체들 사이에서 올레산-함유 렌즈가 압도적으로 선호된다는 것을 시사한다. 테스트 렌즈에 대한 선호도를 보고한 유증상 대상체의 경우, 6명의 대상체가 보다 적은 렌즈 인식을 보고하였고, 3명의 대상체가 보다 적은 건조함을 보고하였다.
실시예 3. 실리콘 히드로겔 콘택트 렌즈로부터 올레산 방출 프로파일의 결정.
인공 눈물 막 (ATF)을 시험관내 방출 매질로 사용했을 때, 1시간 방출 후 실시예 1의 렌즈 B 및 렌즈 C에 의해 방출되는 올레산의 양은 통계적으로 차이가 없었고, 렌즈 C는 1시간 후 평균 24.6 μg의 올레산 방출을 가졌고, 렌즈 B는 1시간 후 평균 24.1 μg의 올레산 방출을 가졌다. 그러나, 2시간 및 6시간 시점에서 렌즈 B와 렌즈 C의 방출 프로파일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렌즈 C는 실시예 2에 기재된 임상 연구에서 초기 삽입 시 따끔거림이 발생했기 때문에, 방출 매질로서 포스페이트 완충 식염수 (PBS) 중 30 vol% EtOH를 사용하는, 하기에 기재된 시험관내 방출 방법은 ATF가 방출 매질일 때보다 초기 시점에 더 느리고 덜 가변적인 방출 프로파일을 제공하도록 개발되었다. 이러한 방법은 1-시간 시점에서 실시예 1의 렌즈 B와 렌즈 C의 방출 프로파일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제공하였으며, 렌즈 B는 평균 11.9 μg의 올레산을 방출하고, 렌즈 C는 평균 22.5 μg의 올레산을 방출하였다.
올레산-함유 실리콘 히드로겔 콘택트 렌즈의 방출 프로파일을 결정하기 위해, 렌즈를 이의 패키지에서 제거하고, 과량의 포장 용액을 렌즈에서 털어낸다. 각 렌즈를 35℃에서 PBS 중 30 vol% 에탄올 3 mL (본원에서 "EtOH 방출 매질"이라 칭함)를 함유하는 6 mL 유리 바이알로 이동시킨다. 바이알을 35℃ 인큐베이터에서 125 rpm으로 진탕기에 놓고, 각 시점 (예를 들어 30분, 1시간, 2시간, 3시간, 4시간, 6시간 및 9시간)에 EtOH 방출 매질 2.5 ml를 각 바이알에서 제거하여 분석을 위해 제출하고, 다시 2.5 ml의 새로운 EtOH 방출 매질을 각 바이알에 추가한다. 방출 실험의 종료시, 렌즈를 바이알에서 제거하고, 탈이온수 (4 x 3 초/헹굼)에서 헹군 후, 실시예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IPA 추출을 실시하여 렌즈에 남아있는 올레산의 양을 결정할 수 있다.
실시예 4. 3급 아민 기를 함유하는 실리콘 히드로겔 콘택트 렌즈로부터의 올레산 방출.
스텐필콘 A를 위한 중합가능한 제형을 변형하여 약 4.5 중량%의 메타크릴산을 약 4.5 중량%의 2-(디메틸아미노)에틸 메타크릴레이트로 교체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에서와 같이 실리콘 히드로겔 콘택트 렌즈를 제조하였다. 또한, 이 실시예에서 사용한 올레산은 시그마(Sigma) (99.4% 순도)로부터 수득하였고, 표 2에 나타낸 농도로 사용하였다.
표 2.
Figure 112022121348872-pct00002
방출 매질로서 포스페이트 완충 식염수 (PBS) 중 30 vol% EtOH를 사용한 시험관내 방출 프로파일은 실시예 3에 기재된 방법을 사용하여 렌즈 D, E 및 F에 대해 얻었다. 그 결과를 표 3에 나타내며, 여기서 각 시점에서의 누적 올레산 방출 (T=0)이 주어진다.
표 3.
Figure 112022121348872-pct00003
본 발명은 하기 측면/실시양태/특징을 임의의 순서로 및/또는 임의의 조합으로 포함한다:
1. 임의로 포장 용액에 침지되고 패키지에 밀봉된 미착용 멸균 실리콘 히드로겔 콘택트 렌즈로서, 상기 콘택트 렌즈는:
(a) 적어도 1종의 실록산 단량체, 및 적어도 1종의 친수성 단량체 또는 적어도 1종의 친수성 중합체 또는 적어도 1종의 친수성 단량체 및 적어도 1종의 친수성 중합체 둘 다를 포함하는 중합가능한 조성물의 반응 생성물인 중합체성 렌즈 본체; 및
(b) 중합체성 렌즈 본체에 방출가능하게 부착된 올레산의 양
을 포함하고,
여기서 콘택트 렌즈는 1시간에 2 μg 내지 25 μg 올레산의 방출을 포함하는 PBS 중 30 vol% EtOH로 이루어진 방출 매질에서 방출 프로파일을 갖는 것인
미착용 멸균 실리콘 히드로겔 콘택트 렌즈.
2. 중합체성 렌즈 본체에 방출가능하게 부착된 올레산의 양이 약 25 μg 내지 약 500 μg인, 임의의 상기 또는 하기 실시양태/특징/측면의 콘택트 렌즈.
3. 중합체성 렌즈 본체에 방출가능하게 부착된 올레산의 양이 약 100 μg 내지 약 300 μg인, 임의의 상기 또는 하기 실시양태/특징/측면의 콘택트 렌즈.
4. 방출 매질에서 적어도 8시간 동안 올레산의 방출을 지속하는, 임의의 상기 또는 하기 실시양태/특징/측면의 콘택트 렌즈.
5. 방출 프로파일이 30분에 올레산 2 μg 내지 10 μg의 누적 방출, 1시간에 올레산 7 내지 20 μg의 누적 방출, 3시간에 올레산 15 μg 내지 45 μg의 누적 방출, 6시간에 올레산 25 μg 내지 65 μg의 누적 방출 및 9시간에 올레산 35 μg 내지 75 μg의 누적 방출을 포함하는 것인, 임의의 상기 또는 하기 실시양태/특징/측면의 콘택트 렌즈.
6. 방출 프로파일이 방출 매질에서 적어도 9시간 동안 시간 당 올레산 3 내지 20 μg의 방출을 포함하는 것인, 임의의 상기 또는 하기 실시양태/특징/측면의 콘택트 렌즈.
7. 중합체성 렌즈 본체가 올레산의 지속 방출을 촉진하는 3급 아민 기를 포함하는 것인, 임의의 상기 또는 하기 실시양태/특징/측면의 콘택트 렌즈.
8. 중합체성 렌즈 본체가 약 1.0% 내지 약 10.0%의 양이온 함량을 갖는 것인, 임의의 상기 또는 하기 실시양태/특징/측면의 콘택트 렌즈.
9. 중합가능한 조성물이 비-시클릭 3급 아민 단량체를 포함하는 것인, 임의의 상기 또는 하기 실시양태/특징/측면의 콘택트 렌즈.
10. 중합가능한 조성물이 2-(디메틸아미노)에틸 메타크릴레이트 (DMAEMA)를 포함하는 것인, 임의의 상기 또는 하기 실시양태/특징/측면의 콘택트 렌즈.
11. 콘택트 렌즈가 포장 용액에 침지되고 패키지에 밀봉되며, 패키지는:
(a) 포장 용액을 보유하는 공동을 갖는 베이스 부재; 및
(b) 베이스 부재와 액밀 밀봉을 형성하는 커버
를 포함하는 것인, 임의의 상기 또는 하기 실시양태/특징/측면의 콘택트 렌즈.
12. a) 콘택트 렌즈 몰드에서 상기 중합가능한 조성물을 중합하여 중합체성 렌즈 본체를 얻는 단계, b) 중합체성 렌즈 본체를 상기 콘택트 렌즈 몰드로부터 제거하는 단계, c) 약 500 ppm 내지 약 2000 ppm의 올레산을 포함하는 유기 용매에서 중합체성 렌즈 본체를 추출하는 단계, d) 수화 액체에서 중합체성 렌즈 본체를 수화하여 실리콘 히드로겔 콘택트 렌즈를 얻는 단계, e) 상기 실리콘 히드로겔 콘택트 렌즈를 포장 용액과 함께 패키지에 밀봉하는 단계 및 e) 상기 패키지를 오토클레이빙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임의의 상기 또는 하기 실시양태/특징/측면의 실리콘 히드로겔 콘택트 렌즈를 제조하는 방법.
13. 유증상 콘택트 렌즈 착용자의 시력을 교정하기 위한, 임의의 상기 또는 하기 실시양태/특징/측면의 실리콘 히드로겔 콘택트 렌즈의 용도.
14. 유증상 콘택트 렌즈 착용자가 임의의 상기 또는 하기 실시양태/특징/측면의 실리콘 히드로겔 콘택트 렌즈를 착용하는 것을 포함하는, 유증상 콘택트 렌즈 착용자의 시력을 교정하기 위한 방법.
15. 콘택트 렌즈의 중합체성 렌즈 본체에 올레산의 양이 방출가능하게 부착하는 것을 포함하는 콘택트 렌즈의 편안함을 증진시키는 방법.
16. 올레산이 콘택트 렌즈의 중합체성 렌즈 본체에 방출가능하게 부착된 것인, 콘택트 렌즈의 편안함을 증진시키기 위한 소정량의 올레산의 용도.
17. 콘택트 렌즈가 임의의 상기 또는 하기 실시양태/특징/측면의 실리콘 히드로겔 콘택트 렌즈인 실시양태/특징/측면 15 또는 16의 방법 또는 용도.
18. 유증상 콘택트 렌즈 착용자에게서 렌즈 인식의 느낌을 감소시켜, 유증상 렌즈 착용자에게서 콘택트 렌즈의 편안함을 증진시키고/거나 유증상 콘택트 렌즈 착용자에게서 편안한 콘택트 렌즈 착용 시간의 지속기간을 증가시키는 것인, 임의의 상기 또는 하기 실시양태/특징/측면의 방법 또는 용도.
19. 유증상 콘택트 렌즈 착용자에게서 렌즈 인식의 느낌을 감소시켜, 임의로 유증상 렌즈 착용자에게서 콘택트 렌즈의 편안함을 증진시키고/거나 유증상 콘택트 렌즈 착용자에게서 편안한 콘택트 렌즈 착용 시간의 지속기간을 증가시키는 데에 사용하기 위한 조성물로서, (a) 적어도 1종의 실록산 단량체, 및 적어도 1종의 친수성 단량체 또는 적어도 1종의 친수성 중합체 또는 이들 둘 다를 포함하는 중합가능한 조성물의 반응 생성물인 중합체성 렌즈 본체 및 (b) 중합체성 렌즈 본체에 방출가능하게 부착된 올레산의 양을 포함하는 조성물.
20. 유증상 콘택트 렌즈 착용자에게서 렌즈 인식의 느낌을 감소시켜, 임의로 유증상 렌즈 착용자에게서 콘택트 렌즈의 편안함을 증진시키고/거나 유증상 콘택트 렌즈 착용자에게서 편안한 콘택트 렌즈 착용 시간의 지속기간을 증가시키는 데에 사용하기 위한 올레산을 포함하는 조성물이며, 여기서 올레산이 적어도 1종의 실록산 단량체, 및 적어도 1종의 친수성 단량체 또는 적어도 1종의 친수성 중합체 또는 이들 둘 다를 포함하는 중합가능한 조성물의 반응 생성물인 중합체성 렌즈 본체에 방출가능하게 부착된 것인 조성물.
21. 미착용 멸균 실리콘 히드로겔 콘택트 렌즈의 형태인 임의의 상기 또는 하기 실시양태/특징/측면의 사용을 위한 조성물.
22. PBS 중 30 vol% EtOH로 이루어진 방출 매질에서 1시간에 올레산 2 μg 내지 25 μg의 방출을 포함하는 방출 프로파일을 갖는 것인, 임의의 상기 또는 하기 실시양태/특징/측면의 사용을 위한 조성물.
23. 중합체성 렌즈 본체에 방출가능하게 부착된 올레산의 양이 약 25 μg 내지 약 500 μg인, 임의의 상기 또는 하기 실시양태/특징/측면의 사용을 위한 조성물.
24. 중합체성 렌즈 본체에 방출가능하게 부착된 올레산의 양이 약 100 μg 내지 약 300 μg인, 임의의 상기 또는 하기 실시양태/특징/측면의 사용을 위한 조성물.
25. 방출 매질에서 적어도 8시간 동안 올레산의 방출을 지속하는, 임의의 상기 또는 하기 실시양태/특징/측면의 사용을 위한 조성물.
26. 방출 프로파일이 30분에 올레산 2 μg 내지 10 μg의 누적 방출, 1시간에 올레산 7 내지 20 μg의 누적 방출, 3시간에 올레산 15 μg 내지 45 μg의 누적 방출, 6시간에 올레산 25 μg 내지 65 μg의 누적 방출 및 9시간에 올레산 35 μg 내지 75 μg의 누적 방출을 포함하는 것인, 임의의 상기 또는 하기 실시양태/특징/측면의 사용을 위한 조성물.
27. 방출 프로파일이 방출 매질에서 적어도 9시간 동안 시간 당 올레산 3 내지 20 μg의 방출을 포함하는 것인, 임의의 상기 또는 하기 실시양태/특징/측면의 사용을 위한 조성물.
28. 중합체성 렌즈 본체가 올레산의 지속 방출을 촉진하는 3급 아민 기를 포함하는 것인, 임의의 상기 또는 하기 실시양태/특징/측면의 사용을 위한 조성물.
29. 중합체성 렌즈 본체가 약 1.0% 내지 약 10.0%의 양이온 함량을 갖는 것인, 임의의 상기 또는 하기 실시양태/특징/측면의 사용을 위한 조성물.
30. 중합가능한 조성물이 비-시클릭 3급 아민 단량체를 포함하는 것인, 임의의 상기 또는 하기 실시양태/특징/측면의 사용을 위한 조성물.
31. 중합가능한 조성물이 2-(디메틸아미노)에틸 메타크릴레이트 (DMAEMA)를 포함하는 것인, 임의의 상기 또는 하기 실시양태/특징/측면의 사용을 위한 조성물.
32. 포장 용액에 침지되고 패키지에 밀봉된, 임의의 상기 또는 하기 실시양태/특징/측면의 사용을 위한 조성물.
33. 유증상 콘택트 렌즈 착용자의 편안한 콘택트 렌즈 착용 시간의 지속기간이 대조군 렌즈와 비교하여 증가된 것인, 임의의 상기 또는 하기 실시양태/특징/측면의 용도, 방법 또는 사용을 위한 조성물.
34. 유증상 콘택트 렌즈 착용자가 대조군 렌즈와 비교하여 낮 동안 감소된 렌즈 인식 및/또는 보다 적은 "렌즈 인식 이벤트"를 갖는 것인, 임의의 상기 또는 하기 실시양태/특징/측면의 용도, 방법 또는 사용을 위한 조성물.
35. 유증상 콘택트 렌즈 착용자가 올레산을 함유하지 않는 초기 콘택트 렌즈를 4시간 이상 동안 착용하고, 초기 콘택트 렌즈를 실리콘 히드로겔 콘택트 렌즈로 교체하여, 유증상 콘택트 렌즈 착용자의 하루의 끝 편안함을 증가시키는 것인, 임의의 상기 또는 하기 실시양태/특징/측면의 용도, 방법 또는 사용을 위한 조성물.
본 발명은 상기 및/또는 하기의 문장 및/또는 단락에 기재된 다양한 특징 또는 실시양태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본원에 개시된 특징들의 임의의 조합은 본 발명의 일부로 간주되고 조합 가능한 특징과 관련하여 어떠한 제한도 의도되지 않는다.
본원의 개시내용은 특정 예시된 실시예를 지칭하나, 이들 실시예는 일례로서 제시된 것이고 한정하는 것은 아님이 이해되어야 한다. 상기 상세한 설명의 의도는, 예시적인 실시예를 논의하더라도, 추가적인 개시내용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 속할 수도 있는 실시예의 모든 변형, 대안 및 균등물을 커버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원에서 언급된 "예" 또는 "구체적인 예" 또는 "측면" 또는 "실시양태" 또는 유사한 구절은 (문맥에 의존하여) 특징들의 특별한 조합이 상호 배타적이 아닌 한, 또는 문맥이 달리 나타낸다면, 이전에-기재되거나 이후에-기재된 예, 측면, 실시양태 (즉 특징)의 임의의 조합과 조합될 수 있는 올레산-방출 실리콘 히드로겔 콘택트 렌즈 또는 이들의 성분, 밀봉된 콘택트 렌즈 패키지 또는 이들의 성분, 또는 올레산-방출 실리콘 히드로겔 콘택트 렌즈를 제조 하는 방법의 특징 또는 특징들을 도입하도록 의도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단수 형태 용어는 문맥이 달리 명확히 지시하지 않는 한 복수의 지시대상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따라서, 예를 들어 "콘택트 렌즈"라는 언급은 단일 렌즈뿐만 아니라 2개 이상의 동일하거나 상이한 렌즈를 포함한다.
본 개시내용에서 인용된 모든 참고문헌의 전체 내용은, 본 개시내용과 모순되지 않는 범위에서, 본원에 참조로 포함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양태는 본 명세서 및 본원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를 고려하여 관련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본 명세서 및 실시예는 하기 청구범위 및 그의 균등물에 의해 명시되는 본 발명의 진정한 범위 및 사상을 갖는 예시로서만 간주되도록 의도된다.

Claims (21)

  1. 포장 용액에 침지되고 패키지에 밀봉된 미착용 멸균 실리콘 히드로겔 콘택트 렌즈로서, 상기 콘택트 렌즈는:
    (a) 적어도 1종의 실록산 단량체, 및
    적어도 1종의 친수성 단량체, 적어도 1종의 친수성 중합체, 또는 적어도 1종의 친수성 단량체와 적어도 1종의 친수성 중합체 둘 다,
    를 포함하는 중합가능한 조성물의 반응 생성물인 중합체성 렌즈 본체;및
    (b) 중합체성 렌즈 본체에 방출가능하게 부착된 올레산의 양
    을 포함하고,
    여기서 콘택트 렌즈는 PBS (포스페이트 완충 식염수) 중 30 vol% EtOH (에탄올)로 이루어진 방출 매질에서 1시간에 올레산 2 μg 내지 25 μg의 방출을 포함하는 방출 프로파일을 갖는 것인
    미착용 멸균 실리콘 히드로겔 콘택트 렌즈.
  2. 제1항에 있어서, 중합체성 렌즈 본체에 방출가능하게 부착된 올레산의 양이 25 μg 내지 500 μg인 콘택트 렌즈.
  3. 제1항에 있어서, 중합체성 렌즈 본체에 방출가능하게 부착된 올레산의 양이 100 μg 내지 300 μg인 콘택트 렌즈.
  4. 제1항에 있어서, 방출 매질에서 적어도 8시간 동안 올레산의 방출을 지속하는 콘택트 렌즈.
  5. 제1항에 있어서, 방출 프로파일이 30분에 올레산 2 μg 내지 10 μg의 누적 방출, 1시간에 올레산 7 내지 20 μg의 누적 방출, 3시간에 올레산 15 μg 내지 45 μg의 누적 방출, 6시간에 올레산 25 μg 내지 65 μg의 누적 방출 및 9시간에 올레산 35 μg 내지 75 μg의 누적 방출을 포함하는 것인 콘택트 렌즈.
  6. 제1항에 있어서, 방출 프로파일이 방출 매질에서 적어도 9시간 동안 시간 당 올레산 3 내지 20 μg의 방출을 포함하는 것인 콘택트 렌즈.
  7. 제1항에 있어서, 중합체성 렌즈 본체가 올레산의 지속 방출을 촉진하는 3급 아민 기를 포함하는 것인 콘택트 렌즈.
  8. 제7항에 있어서, 중합체성 렌즈 본체가 1.0% 내지 10.0%의 양이온 함량을 갖는 것인 콘택트 렌즈.
  9. 제1항에 있어서, 중합가능한 조성물이 비-시클릭 3급 아민 단량체를 포함하는 것인 콘택트 렌즈.
  10. 제1항에 있어서, 중합가능한 조성물이 2-(디메틸아미노)에틸 메타크릴레이트 (DMAEMA)를 포함하는 것인 콘택트 렌즈.
  11. 제1항에 있어서, 패키지가 하기를 포함하는 것인 콘택트 렌즈:
    (a) 포장 용액을 보유하는 공동을 갖는 베이스 부재; 및
    (b) 베이스 부재와 액밀 밀봉을 형성하는 커버.
  12. 제1항의 실리콘 히드로겔 콘택트 렌즈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a) 상기 중합가능한 조성물을 콘택트 렌즈 몰드에서 중합하여 중합체성 렌즈 본체를 얻는 단계, b) 중합체성 렌즈 본체를 상기 콘택트 렌즈 몰드로부터 제거하는 단계, c) 500 ppm 내지 2000 ppm의 올레산을 포함하는 유기 용매에서 중합체성 렌즈 본체를 추출하는 단계, d) 수화 액체에서 중합체성 렌즈 본체를 수화하여 실리콘 히드로겔 콘택트 렌즈를 얻는 단계, e) 상기 실리콘 히드로겔 콘택트 렌즈를 포장 용액과 함께 패키지에 밀봉하는 단계 및 e) 상기 패키지를 오토클레이빙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3. 유증상 콘택트 렌즈 착용자가 제1항의 실리콘 히드로겔 콘택트 렌즈를 착용하는 것을 포함하는, 유증상 콘택트 렌즈 착용자의 시력을 교정하기 위한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유증상 콘택트 렌즈 착용자의 편안한 콘택트 렌즈 착용 시간의 지속기간이 대조군 렌즈와 비교하여 증가된 것인 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유증상 콘택트 렌즈 착용자가 대조군 렌즈와 비교하여 낮 동안 감소된 렌즈 인식(awareness)을 갖는 것인 방법.
  16. 제13항에 있어서, 유증상 콘택트 렌즈 착용자가 올레산을 함유하지 않는 초기 콘택트 렌즈를 4시간 이상 동안 착용하고, 초기 콘택트 렌즈를 실리콘 히드로겔 콘택트 렌즈로 교체하여, 유증상 콘택트 렌즈 착용자의 하루의 끝(end-of-day) 편안함을 증가시키는 것인 방법.
  17. 제1항의 실리콘 히드로겔 콘택트 렌즈의 편안함을 증진시키기 위해 사용된 소정량의 올레산으로서, 여기서 올레산-방출 히드로겔 콘택트 렌즈가, 올레산을 함유하지 않지만 그 외에는 동일한 대조군 렌즈와 비교하여 유증상 콘택트 렌즈 착용자에게서 편안한 콘택트 렌즈 착용 시간의 지속기간을 증가시키는 것인 소정량의 올레산.
  18. 삭제
  19. 제17항에 있어서, 유증상 콘택트 렌즈 착용자에게서 렌즈 인식의 느낌을 감소시켜, 유증상 렌즈 착용자에게서 콘택트 렌즈의 편안함을 증진시키고/거나 유증상 콘택트 렌즈 착용자에게서 편안한 콘택트 렌즈 착용 시간의 지속기간을 증가시키는 것인 소정량의 올레산.
  20. 올레산을 함유하지 않지만 그 외에는 동일한 대조군 렌즈와 비교하여, 유증상 콘택트 렌즈 착용자에게서 렌즈 인식의 느낌을 감소시켜, 유증상 렌즈 착용자에게서 콘택트 렌즈의 편안함을 증진시키고/거나 유증상 콘택트 렌즈 착용자에게서 편안한 콘택트 렌즈 착용 시간의 지속기간을 증가시키는 데에 사용하기 위한 조성물로서,
    (a) 적어도 1종의 실록산 단량체, 및
    적어도 1종의 친수성 단량체, 적어도 1종의 친수성 중합체, 또는 적어도 1종의 친수성 단량체와 적어도 1종의 친수성 중합체 둘 다
    를 포함하는 중합가능한 조성물의 반응 생성물인 중합체성 렌즈 본체 및
    (b) 중합체성 렌즈 본체에 방출가능하게 부착된 올레산의 양
    을 포함하고,
    PBS (포스페이트 완충 식염수) 중 30 vol% EtOH (에탄올)로 이루어진 방출 매질에서 1시간에 올레산 2 μg 내지 25 μg의 방출을 포함하는 방출 프로파일을 갖는 조성물.
  21. 삭제
KR1020227039893A 2020-12-15 2021-12-09 올레산-방출 콘택트 렌즈 KR10265825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2063125419P 2020-12-15 2020-12-15
US63/125,419 2020-12-15
PCT/GB2021/053223 WO2022129870A1 (en) 2020-12-15 2021-12-09 Oleic acid-releasing contact len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7385A KR20230007385A (ko) 2023-01-12
KR102658250B1 true KR102658250B1 (ko) 2024-04-17

Family

ID=790249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39893A KR102658250B1 (ko) 2020-12-15 2021-12-09 올레산-방출 콘택트 렌즈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20220187620A1 (ko)
EP (1) EP4182738B1 (ko)
JP (1) JP7369878B2 (ko)
KR (1) KR102658250B1 (ko)
CN (1) CN115668002B (ko)
AU (1) AU2021404126B2 (ko)
CA (1) CA3176313C (ko)
GB (1) GB2603624B (ko)
HU (1) HUE064961T2 (ko)
MX (1) MX2022015980A (ko)
MY (1) MY196004A (ko)
WO (1) WO202212987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40126101A1 (en) 2022-09-27 2024-04-18 Coopervision International Limited Sustained fatty acid release from contact lens
US20240118559A1 (en) 2022-09-27 2024-04-11 Coopervision International Limited Sustained release of oleic acid from contact lenses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5938B2 (ja) * 1984-01-25 1996-01-24 靖彦 大西 デキストランマトリックス重合体の製法
ES2328009T5 (es) 1999-12-16 2013-12-12 Coopervision International Holding Company, Lp Lente de contacto blanda con capacidad de ser utilizada a largo plazo
DE60103597T2 (de) * 2000-03-22 2005-06-09 Menicon Co., Ltd., Nagoya Material für eine okularlinse
US20050074497A1 (en) 2003-04-09 2005-04-07 Schultz Clyde L. Hydrogels used to deliver medicaments to the eye for the treatment of posterior segment diseases
US8388995B1 (en) * 2006-02-03 2013-03-05 Auburn University Controlled and extended delivery of hyaluronic acid and comfort molecules via a contact lens platform
US7426993B2 (en) 2005-08-09 2008-09-23 Coopervision International Holding Company, Lp Contact lens package
BRPI0614244A2 (pt) * 2005-08-11 2011-03-15 Coopervision Int Holding Co Lp lentes de contato e métodos para reduzir pressão na conjuntiva em usuários de lente de contato
US8231218B2 (en) 2006-06-15 2012-07-31 Coopervision International Holding Company, Lp Wettable silicone hydrogel contact lenses and related compositions and methods
KR101454041B1 (ko) * 2006-11-06 2014-10-27 노파르티스 아게 안구 장치 및 그의 제조 및 사용 방법
JP2011521896A (ja) * 2008-04-15 2011-07-28 サーコード コーポレイション 免疫関連障害に対する局部治療に使用するための局所lfa−1アンタゴニスト
TWI506333B (zh) * 2008-12-05 2015-11-01 Novartis Ag 用以傳遞疏水性舒適劑之眼用裝置及其製造方法
GB2485015B (en) * 2009-09-22 2012-12-05 Coopervision Int Holding Co Lp Wettable hydrogel materials for use in ophthalmic applications and methods
SI2461767T1 (sl) * 2010-07-30 2013-08-30 Novartis Ag Silikonske hidrogelne leče s površinami, bogatimi z vodo
CN103827175B (zh) 2011-02-28 2016-08-10 库柏维景国际控股公司 硅酮水凝胶隐形眼镜
MY161370A (en) 2011-02-28 2017-04-14 Coopervision Int Holding Co Lp Wettable silicon hydrogel contact lenses
EP2745855B1 (en) 2011-08-17 2023-06-21 Toray Industries, Inc. Medical device,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US20130335697A1 (en) 2012-05-24 2013-12-19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Contact lens with liquid-impregnated surface
WO2014008542A1 (en) * 2012-07-09 2014-01-16 Brien Holden Vision Institute Compositions, methods and/or devices for prevention and/or treatment of dry eye disorders
US9498035B2 (en) * 2012-12-21 2016-11-22 Coopervision International Holding Company, Lp Silicone hydrogel contact lenses for sustained release of beneficial polymers
TWI665263B (zh) 2017-06-07 2019-07-11 瑞士商諾華公司 矽酮水凝膠接觸鏡片
CN115666598A (zh) * 2020-04-15 2023-01-31 领视药公司 多孔纳米复合材料医疗植入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3526139A (ja) 2023-06-20
MX2022015980A (es) 2023-01-24
WO2022129870A1 (en) 2022-06-23
GB2603624A (en) 2022-08-10
JP7369878B2 (ja) 2023-10-26
CA3176313A1 (en) 2022-06-23
EP4182738A1 (en) 2023-05-24
HUE064961T2 (hu) 2024-04-28
TW202231297A (zh) 2022-08-16
AU2021404126B2 (en) 2023-07-06
MY196004A (en) 2023-03-06
US20220187620A1 (en) 2022-06-16
GB202117784D0 (en) 2022-01-26
EP4182738B1 (en) 2023-10-25
CA3176313C (en) 2024-02-13
CN115668002B (zh) 2023-09-15
GB2603624B (en) 2024-05-15
CN115668002A (zh) 2023-01-31
KR20230007385A (ko) 2023-01-12
AU2021404126A1 (en) 2022-1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58250B1 (ko) 올레산-방출 콘택트 렌즈
US11934044B2 (en) WS12-releasing contact lens
JP7492084B2 (ja) カチオン性コンタクトレンズ
TWI837553B (zh) 釋放油酸之隱形眼鏡
CA3210440C (en) Ws12-releasing contact lens
WO2024094974A1 (en) Ws12-releasing contact lens
US20230408728A1 (en) Cationic contact lens
TW202411059A (zh) 陽離子隱形眼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