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6908B1 - 노다케닌 또는 노다케네틴을 포함한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억제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노다케닌 또는 노다케네틴을 포함한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억제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56908B1
KR102656908B1 KR1020220177211A KR20220177211A KR102656908B1 KR 102656908 B1 KR102656908 B1 KR 102656908B1 KR 1020220177211 A KR1020220177211 A KR 1020220177211A KR 20220177211 A KR20220177211 A KR 20220177211A KR 102656908 B1 KR102656908 B1 KR 1026569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luenza virus
fraction
extract
nodakenetin
preven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772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06422A (ko
Inventor
박동준
서지현
이소영
진무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ublication of KR202300064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64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69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6908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9/0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 A61K31/365Lactones
    • A61K31/366Lactones having six-membered rings, e.g. delta-lactones
    • A61K31/37Coumarins, e.g. psorale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3Apiaceae or Umbelliferae (Carrot family), e.g. dill, chervil, coriander or cumin
    • A61K36/232Angelic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12Antivirals
    • A61P31/14Antivirals for RNA viruses
    • A61P31/16Antivirals for RNA viruses for influenza or rhinovirus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4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the immune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4Extrac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400/00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 A23V2400/11Lactobacillus
    • A23V2400/169Plantaru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10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starting material
    • A61K2236/19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starting material involving fermentation using yeast, bacteria or both; enzymatic treatm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Vir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lmon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ommunicable Diseases (AREA)
  • Onc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Heterocyclic Carbon Compounds Containing A Hetero Ring Having Oxygen Or Sulfur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Saccharide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당귀(Angelica gigas) 추출물의 발효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노다케네틴을 포함하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당귀 추출물의 발효물 또는 이의 불획물은 뉴라미니데이즈 활성을 억제하여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감염을 증식을 억제하므로,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등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노다케닌 또는 노다케네틴을 포함한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억제용 조성물{Composition comprising nodakenin and nodakenetin for suppressing influenza virus}
본 발명은 노다케닌(nodakenin) 또는 노다케네틴(nodakenetin) 및 이를 포함하는 식물 추출물, 발효물 또는 이의 분획물이 뉴라미니데이즈(NA) 활성을 억제하여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을 예방, 개선 또는 치료할 수 있고,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를 억제 할 수 있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인플루엔자는 오르쏘믹바이러스에 속하며 계절마다 수 천에서 수 만 명의 생명을 앗아가는 대표적인 병원성 바이러스이다. 20세기 이후 인플루엔자는 종을 넘나들면서 변종을 일으키며 유행성 감기를 주도하고 이미 밝혀진 약제를 무의미하게 만들 정도로 돌연변이율이 높은 바이러스이다. 유행성 독감이라고 흔히 일컬어지는 이 질병은 일반적으로 오한, 발열, 인후염, 근육통, 기침, 무력감과 불쾌감을 유발하는데 이런 비특이적인 증상은 일반적인 감기에 비해 그 정도가 심할 뿐 생명에 위협을 줄 정도로 치명적이지 않으나 폐렴이나 라이증후군을 동반할 시 치명적인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다. 보통 감염자의 기침이나 가래, 재채기를 매개로 호흡기 감염이 주로 일어나는데 다른 동물(특히 조류)로부터 인간에게 감염이 될 때 변종이 많이 발생한다.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A,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B,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C의 세가지 형이 있다. 이 중 동물 종 간 전염을 통해 대유행을 야기시켰던, 2009년에 유행했던 인플루엔자 독감, 일명 신종플루는 인플루엔자 A H1N1 타입으로 멕시코에서 처음 발병해 여러 변종이 생겨남으로써 여러 국가로 번져 나갔고 국제보건기구(WHO)는 이를 ‘세계적 유행'으로 규정한 바 있다. 보통 독감의 경우 정제된 불활성화 균주를 감기 유행 시기 이전에 주입해주는 방식으로 예방을 통한 방어적 치료가 일반적이나 독감 유행 시기에 이미 증상이 발생한 환자의 경우 예방이 불가하므로 치료의 방식으로 증상을 완화시켜야만 한다. 이렇게 속수무책으로 퍼져 나가던 신종플루의 확산을 멈추게 한 ‘타미플루’의 경우 효과적인 면에서는 탁월하지만, 심심치 않게 섭취 후 환각 증세 발생과 같은 부작용 사례가 언론을 통해 종종 보도되고 있다. 또한 치료용 약제가 아닌, 예방의 측면에서 장기적으로 섭취 가능한 성분은 존재하지 않는 실정이다.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는 표면에 당단백질인 적혈구 응집소 즉, 헤마글루티닌(hemaglutinine, HA)과 뉴라미니데이즈(neuraminidase, NA) 등 2개의 표면 항원을 지니고 있고 내부에는 분절된 8개의 RNA가 존재한다. HA는 숙주세포의 표면에 있는 시알산 잔기와 결합해 바이러스를 숙주세포에 부착시켜 침투할 수 있게 만들어준다. NA는 감염된 숙주 세포에서 증식을 마친 바이러스가 세포 표면의 이당류 부분과 뉴라민산(neuraminic acid) 잔기 사이의 알파-케토시딕 결합(α-ketosidic bond)을 끊어 바이러스가 또 다른 숙주세포로 증식하도록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 체내 바이러스 방어 기제는 HA를 인식해 숙주 세포 결합을 방해하거나 NA에 결합해 감염된 숙주 세포 속 바이러스가 근접 세포로의 증식을 억제하는 방식으로 작용한다. 그러나 HA 16종과 NA 9종의 다양한 조합을 통해 바이러스는 수많은 경우의 돌연변이를 발생시켜 방어 기제에 대한 내성을 지닌다. 인플루엔자바이러스 억제제는 여러 기전을 겨냥한 다양한 약들이 개발되어 있는데, 현재 사용되고 있는 약은 바이러스 유전자의 전사 및 복제의 억제제인 리바비린(ribavirin), M2 채널(M2 channel) 억제제인 아만타딘(amantadine)과 리만티딘(rimantidine), NA 활성 억제제인 자나미비어(Zanamivir)와 오셀타미비어(oseltamivir)가 있다. 이 중 리바비린은 독감뿐만 아니라 다양한 바이러스에 의한 감염증을 치료하는데 사용하나 독감유사증상, 우울증, 불면증 등 보고된 부작용이 많고 M2 채널 억제제인 아만타딘, 리만티딘은 인플루엔자바이러스A에만 효과가 있고, 이미 내성을 가진 바이러스가 다수 보고되고 있으며, 신경계 및 위장에 심각한 부작용을 발생시킨다는 사례가 있었다.
이러한 배경 하에서,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대한 억제활성을 나타내면서, 인체에 안전하고 예방차원에서 지속적으로 섭취가 가능한 성분 및 제제의 개발이 여전히 요구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예의 연구 노력한 결과, 약용식물로서 사용되어 온 식물의 추출물, 발효물 또는 이의 분획물이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증식에 대한 억제 효과가 우수함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증식 억제에 관한 효능 및 장기적으로 섭취해도 안전성에 큰 문제가 없는 유효성분이 포함된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억제, 감염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구체적으로, 노다케닌(nodakenin) 또는 노다케네틴(nodakenetin)을 포함하는 식물의 추출물, 이의 발효물 또는 이들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노다케닌(nodakenin) 또는 노다케네틴(nodakenetin)을 포함하는 식물의 추출물, 이의 발효물 또는 이들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노다케닌(nodakenin) 또는 노다케네틴(nodakenetin)을 포함하는 식물의 추출물, 이의 발효물 또는 이들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억제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노다케닌(nodakenin) 또는 노다케네틴(nodakenetin)을 포함하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노다케닌(nodakenin) 또는 노다케네틴(nodakenetin)을 포함하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노다케닌(nodakenin) 또는 노다케네틴(nodakenetin)을 포함하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억제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노다케닌(nodakenin) 또는 노다케네틴(nodakenetin)을 포함하는 식물의 추출물, 이의 발효물 또는 이들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억제 및 감염의 예방 또는 개선,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노다케닌 또는 노다케네틴을 포함하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억제 및 감염의 예방 또는 개선,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발효물 또는 이의 분획물; 또는 노다케네틴이 포함된 조성물을 섭취하는 경우,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의 조성물은 약학 조성물,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또는 의약외품 조성물 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하나의 양태로서, 노다케닌(nodakenin) 또는 노다케네틴(nodakenetin)을 포함하는 식물의 추출물, 이의 발효물 또는 이들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억제용 조성물, 감염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및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식물은 당귀속(Angelica sp.) 식물, 기름나물속(Peucedanum sp.) 식물 및 전호속(Anthriscus sp.) 식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식물일 수 있다.
상기 식물은 당귀(Angelica gigas), 갯기름나물(Peucedanum japonicum), 기름나물(Peucedanum terebinthaceum), 왜방풍(Aegopodium podagraria), 전호(Anthriscus sylvestris), 챠빌(Anthriscus cerefolium) 및 바디나물(Angelica decursiva)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노다케네틴 또는 노다케닌을 포함하는 것은 모두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당귀 추출물의 발효물을 분획하여 얻은 화합물이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증식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고, 이러한 화합물이 노다케네틴임을 실험적으로 확인 하였는바, 노다케네틴 또는 노다케닌이 포함된 식물의 추출물은 본 발명에서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다.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은 당귀 추출물의 발효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억제용 조성물, 감염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및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용어 "당귀(Angelica gigas)"는 미나리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로 동아시아 등지에 분포한다. 당귀는 참당귀, 조선당귀, Korea angelica, 중국당귀, Dang gui, Dan gui, Dang quai, 왜당귀, 개강활, 일본당귀, 일당귀, 서양당귀, angelica로 불리며 이에 제한하지 않는다. 다년초로 키 1-2m로 전체 털이 없고, 자줏빛이 돌며 뿌리는 크고 향이 강하며 줄기는 곧게 서 있다. 8∼9월에 꽃이 피고 9∼10월에 열매가 달리는데, 어린순은 나물로 먹기도 한다. 성질은 따뜻하고 독이 없으며 맛은 맵고 달면서 쓰다. 혈액 순환 불량, 신체 허약, 관절통, 두통, 복통, 어지러움, 변비, 소화 기능 쇠약으로 인해 수척할 때, 타박상, 관절염, 혈관 질환으로 인해 생긴 내출혈, 혈류 정체, 종창, 두통에 사용하며 부인병의 주된 약재로 월경 조절, 진정(鎭靜) 작용이 있다. 당귀를 사용할 때 부위를 구별하여 사용하는데 윗부분은 피를 보(補)하고 몸통 부분은 피를 조절하며 꼬리는 어혈을 제거하여 피를 풀어주는 작용을 전체는 혈액 순환을 활발히 하는 작용을 한다. 참당귀의 성분으로는 정유가 뿌리에 0.31%, 과실에는 0.69%를 함유하며, 쿠마린이 전초에 1.38%, 뿌리에 2~3% 들어 있다. 뿌리의 주성분은 피라노쿠마린(pyranocoumarin)계의 물질인 데커신(decursin)이라고 하며, 기타 데커시놀(decursinol), 엄벨리페론(umbelliferon), 베타-시토스테롤(β-sitosterol)이 있다고 보고되어 있다. 기타 노다케네틴, 노다케닌, 임파라토린 등이 분리 보고되어 있다. 참당귀의 뿌리나 잎은 식품으로 식용이 가능하고 생약 약재로 오랜 시간 섭취해왔으므로 독성 및 부작용에 관한 문제가 없다.
본 발명의 용어 "인플루엔자(influenza)"는 흔히 ‘독감’이라 알려져 있고, 인플루엔자 바이러스(influenza virus)에 의해서 발병되는 급성 호흡기 질환이다. 인플루엔자는 매년 전 세계적으로 크고 작은 유행을 일으키며, 유행이 시작되면 2~3주 내에 통상 인구의 10~20%가 감염될 정도로 전염성이 대단히 큰 질병이다.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는 1931년 Shope에 의해 돼지에서 처음 분리되었고, 사람에서는 1933년 Smith, Andrews 그리고 Laidlow에 의해 처음 분리되었다. 이후 수 차례의 변이를 통해 전 세계적으로 인류의 유병율 및 사망률을 높이는 원인이 되고 있다.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는 오르쏘믹소바이러스과(Orthomyxoviridae) 및 인플루엔자바이러스속(Influenzavirus)에 속하며, 뉴클레오캡시드(nucleocapsid, NP)와 매트릭스(matrix, M) 단백질의 항원성 차이에 의해 크게 A, B 및 C형으로 구분된다. 이중 A형은 HA 단백질의 항원 특성에 따라 H1형에서 H15형까지, NA단백질 항원 특성에 따라 N1형에서 N9형의 아형으로 분류 된다.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입자는 직경이 평균 80~120 ㎚ 정도이며 외부에 돌기가 있는 구형이나, 유정란 및 감수성 세포 등에서 분리된 직후의 바이러스는 길이가 400㎚인 필라멘트 형태로 되어 있는 경우도 있다. 비리온은 피막 (envelope)을 갖고 있으며 에테르, 열 및 pH 등에 민감하다.
가장 뚜렷한 증상은 감염 24시간 내에 38~40℃의 갑작스런 고열이며, 두통, 근육통 및 피로감 등의 전신 증상과 인후통, 기침, 객담 및 비염 등의 호흡기 증상이 나타난다. 또한 복통, 구토 및 경련 등이 드물게 발생할 수 있다. 건강한 사람은 수 일간 증상을 보인 후 회복되지만 만성폐질환자, 심장 질환자 및 면역저하자 등은 폐렴과 같은 합병증이 발생하여 사망할 수 있으며 이외에 뇌증, 척수염(transverse myelitis), Reye 증후군, 근염, 심근염 및 심낭염 등의 합병증이 동반될 수 있다. 소아의 경우 성인에서와 비슷한 증상을 보이지만, 열이 더 높게 나고, 열성 경련이 일어날 수 있으며 중이염, 위 막성후두염(croup) 및 근육통도 더 흔하게 발생한다.
본 발명의 용어 "감염"은 기생종에 의한 숙주 생물의 증식을 가리킨다. 간단히 병원체가 몸 안에 들어가 증식하는 일을 말한다.
본 발명의 용어 "예방"은 본 발명에 따른 노다케네틴 또는 노다케닌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섭취 또는 투여로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감염 또는 증식을 억제 또는 지연시키는 모든 행위를 말한다.
본 발명에서는 노다케네틴과 노다케닌의 뉴라미니데이즈 활성 억제를 통한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증식을 억제하여, 항바이러스제로 활용 할 수 있음을 실험적으로 확인하였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과 같은 뉴라미니데이즈 억제제(타미플루, 리렌자)는 인플루엔자 예방효과가 70% 내지 90%이며, 예방목적으로의 뉴라미니데이즈 억제제 사용은 가족 내에 인플루엔자 발생시, 지역사회에 인플루엔자 유행시, 양로원에서 인플루엔자 유행 발생시에 효과가 입증된 바 있다. 뉴라미니데이즈 억제제는 백신접종을 받지 않은 사람, 백신주가 현재 유행하고 있는 바이러스주와 일치하지 않는 경우, 추가적인 예방조치가 필요한 고위험군에서 인플루엔자의 발생을 예방하는 효과적인 수단이다. 뉴라미니데이즈 억제제는 인플루엔자 백신 접종 후 항체 생성 반응에 별다른 영향을 끼치지는 않으므로 인플루엔자 유행 절기 중에 뒤늦게 백신접종을 한 경우에 항체가 생기기 전까지 예방을 위하여 사용할 수 있다(질병관리본부 국가건강정보포털 KCDC, http://health.cdc.go.kr/health/HealthInfoArea/HealthInfo/View.do?idx=3980).
따라서, 본 발명의 노다케네틴 또는 노다케닌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의 개선 또는 치료 효과와 더불어 예방 효과도 갖는다.
본 발명의 용어 "치료"는 본 발명에 따른 노다케네틴 또는 노다케닌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섭취 또는 투여로 인플루엔자의 증세가 호전되거나 이롭게 되는 모든 행위를 말한다.
본 발명의 용어 "개선"은 본 발명에 따른 노다케네틴 또는 노다케닌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섭취 또는 투여로 인플루엔자의 증상을 완화시키거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생존을 저해하고 성장 및 분열증식을 억제 또는 감소시킴으로써 인플루엔자의 증상을 완화시키는 효과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용어 "추출물"은 상기 식물 소재의 추출처리에 의하여 얻어지는 추출액, 상기 추출액의 희석액이나 농축액, 상기 추출액을 건조하여 얻어지는 건조물, 상기 추출액의 조정제물이나 정제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 등, 추출액 자체 및 추출액을 이용하여 형성 가능한 모든 제형의 추출물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상기 추출물은 추출 후 건조 분말 형태로 제조되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물 추출물은 하기의 단계들을 포함하는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1) 식물을 세척 및 건조한 후 분쇄하여 분말화하는 단계;
2) 단계 1)에서 수득한 식물 분말에 용매를 가하여 추출하는 단계;
3) 단계 2)의 추출물을 여과하는 단계
4) 단계 3)의 여과된 추출물을 농축하는 단계;
5) 단계 4)의 농축된 추출물을 건조하여 식물 추출물의 건조 분말을 얻는 단계.
상기 방법에 있어서, 단계 1)의 식물은 재배한 것 또는 시판되는 것 등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단계 1)에서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나, 당귀는 줄기, 가지, 잎 또는 뿌리를 모두 포함하여 추출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계 2)의 추출용매는 물, C1 내지 C4 저급 알코올, 1,3-부틸렌글리콜, 및 에틸아세테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용매 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물 또는 발효 주정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추출방법으로는 열수 추출, 침지 추출, 환류 냉각 추출 또는 초음파 추출 등의 추출 방법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열수 추출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추출 용매를 건조된 식물 분량에 1배 내지 10배 첨가하여 추출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2배 내지 3배 첨가하여 추출할 수 있다. 추출 온도는 20℃ 내지 100℃ 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60℃ 내지 80℃일 수 있으며, 더 구체적으로 70℃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추출시간은 2시간 내지 48시간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15시간 내지 30시간일 수 있으며, 더 구체적으로 24시간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아울러, 추출 횟수는 1회 내지 5회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3회 내지 4회일 수 있으며, 더 구체적으로 3회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방법에 있어서, 단계 4)에서는 추출물을 감압 농축하는 과정이 추가로 포함될 수 있으며, 상기 감압 농축은 진공감압농축기 또는 진공회전증발기를 이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방법에 있어서, 단계 5)에서는 상기 감압 농축 과정을 거친 추출물을 건조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건조는 감압건조, 진공건조, 비등건조, 분무건조 또는 동결건조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식물 추출물은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증식억제 활성을 향상 시키기 위해, 가수분해, 발효, 가열, 가압 등 다양한 방법으로 처리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발효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용어 "발효" 또는 "발효물"은 미생물(예, 유산균)이 가지고 있는 효능을 이용하여 유기물을 분해시키는 과정 또는 이에 따른 생성물을 의미한다. 발효와 부패는 비슷한 과정에 의해 진행되지만 분해 결과 우리의 생활에 유용하게 사용되는 물질이 만들어지면 발효라고 하고, 악취가 나거나 유해한 물질이 만들어지면 부패라고 한다. 따라서, 생약재를 미생물을 이용하여 발효시키면 추출물의 독성이 감소되거나, 저분자화되어 소화가 용이하거나, 피부에 도포시 경피 흡수 등이 용이하게 되어 생체 이용률이 향상된다. 또한, 천연성분들은 그 자체로도 약리 작용을 나타낼 수 있지만, 발효를 통해 약리효과가 더욱 강화되거나 미생물의 대사에 의해 기존 발효 전의 추출물에 없던 약리 작용을 발휘할 수 있다. 상기 발효물은 노다케네틴(nodakenetin)/노다케닌(nodakenin)을 0.5 내지 20 중량비로 포함하는 것 일 수 있다.
발효에는 유산균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락토바실러스속 유산균일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으로 발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으로 발효한 추출물이 발효하지 않은 추출물보다 노다케네틴(nodakenetin)/노다케닌(nodakenin)의 중량비가 40배 이상, 발효 후 노다케네틴의 함량은 최대 18배 상승하는 것을 확인하였고, 발효한 추출물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억제 활성이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의 용어 "분획물"이란, 여러 다양한 구성 성분들을 포함하는 혼합물로부터 특정 성분 또는 특정 성분 그룹을 분리하기 위하여 분획을 수행하여 얻어진 결과물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분획물은 용매분획물, 다당류분획물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분획물을 얻는 분획 방법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방법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분획방법의 예로는, 본 발명의 추출물 또는 발효물에 소정의 용매를 처리하여 상기 추출물로부터 분획물을 얻는 방법, 상기 추출물 또는 발효물을 냉침법과 원심분리법을 사용하여 다당류를 침지하고 회수하는 방법 등이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분획물을 얻는 데에 사용되는 분획 용매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공지된 임의의 용매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분획 용매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물, 알코올 등의 극성 용매; 헥산, 에틸 아세테이트, 클로로포름, 디클로로메탄 등의 비극성 용매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2 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식물에서 추출한 물질을 이용하여 분획하는 이상, 그 추출 또는 분획 방법에 제한 없이, 본 발명의 범주에 포함된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제조예 3에서는 각각의 추출물의 용매분획물을 다음과 같은 과정을 거쳐 수득하였다. 각각의 추출물을 제조한 후, 바람직하게는 현탁액을 여과한 후, 약 1 내지 5배 부피의 헥산, 에틸아세테이트, 클로로포름, C1 내지 C4의 저급 알코올 및 물을 이용하여 극성에 따른 분획화 과정을 거치면 헥산 분획물,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클로로포름 분획물, C1 내지 C4의 저급 알코올 분획물 및 물 분획물을 수득할 수 있다. 상기 과정으로 분획한 1차 분획물을 다시 약 1 내지 5배 부피의 헥산, 에틸아세테이트, 클로로포름, C1 내지 C4의 저급 알코올 및 물을 이용하여 분획하여 2차 분획물을 수득 할 수 있으며, 또 한번 더 상기의 과정을 거쳐 3차 분획물을 수득할 수 있다. 제조예 3에서 실시한 일례의 경우, 헥산, 에틸아세테이트, 부탄올 순으로 분획하여 노다케네틴 및 노다케닌의 함량이 높은 분획물을 얻을 수 있었다.
하나의 양태로서, 노다케닌(nodakenin) 또는 노다케네틴(nodakenetin)을 포함하는 식물의 추출물, 이의 발효물 또는 이들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용어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은 식물 추출물의 발효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음료, 차류, 향신료, 껌, 과자류 등의 식품소재에 첨가하거나, 캡슐화, 분말화, 현탁액 등으로 제조한 식품으로, 이를 섭취할 경우 건강상 특정한 효과를 가져오는 것을 의미하나, 일반 약품과는 달리 식품을 원료로 하여 약품의 장기 복용 시 발생할 수 있는 부작용 등이 없는 장점이 있다.
식물 추출물의 발효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식품첨가물로 사용하는 경우, 당귀 추출물의 발효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식품 또는 식품 성분과 함께 사용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유효성분의 혼합양은 그의 사용 목적(예방, 건강 또는 치료적 처치)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식품 또는 음료의 제조시에 본 발명의 조성물은 원료에 대하여 15 중량부 이하, 바람직하게는 10 중량부 이하의 양으로 첨가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러나, 건강 및 위생을 목적으로 하거나 또는 건강 조절을 목적으로 하는 장기간의 섭취의 경우에는 상기 양은 상기 범위 이하일 수 있으며, 안전성 면에서 아무런 문제가 없기 때문에 유효성분은 상기 범위 이상의 양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식품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다. 상기 물질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의 예로는 육류, 소세지, 빵, 초콜릿, 캔디류, 스넥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스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콜 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 등이 있으며,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건강식품을 모두 포함한다.
하나의 양태로서, 노다케닌(nodakenin) 또는 노다케네틴(nodakenetin)을 포함하는 식물의 추출물, 이의 발효물 또는 이들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용어 "약학적 조성물"은 경구 또는 비경구로 투여할 수 있으며, 일반 의약품 제제의 형태, 예를 들어, 임상 투여 시 경구 및 비경구의 여러 가지 제형으로 투여될 수 있는데,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카보네이트(Calcium carbonate), 수크로스(Sucrose) 또는 락토오스(Lactose),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티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용제로는 프로필렌 글리콜(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제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하나의 양태로서, 노다케닌(nodakenin) 또는 노다케네틴(nodakenetin)을 포함하는 식물의 추출물, 이의 발효물 또는 이들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억제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용어 "바이러스 억제용 조성물"은 바이러스의 복제를 방해하거나 바이러스성 감염에 대한 면역 체계를 강화시켜준다. 척추동물, 바람직하게는 인간을 포함하는 포유류에 투여되는 의약 조성물의 형태이거나 식품 조성물, 식기, 주방용품, 생활용품, 기타 각종 물건의 세척제, 소독제, 통상의 항바이러스제 등으로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의 방법으로 제조된 식물 추출물의 발효물 또는 이의 분획물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증식 억제능을 확인하기 위하여, 현재 가장 범용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인플루엔자바이러스 증식 억제 평가법인 뉴라미니데이즈 억제 시험(neuraminidase inhibition assay)을 사용했다.
뉴라미니데이즈(Neuraminidase, 이하 NA)는 감염된 숙주세포 내에서 증식한 바이러스가 숙주세포 표면의 이당체 부분과 뉴라민산(시알산) 잔기 사이의 알파-케토시딕 결합을 끊어줌으로써 바이러스가 숙주 세포로 감염해 개체 수를 증식할 수 있게 해주는 단백질로, 이의 저해제는 뉴라미니데이즈의 작용 부위에 결합해 기능을 억제함으로써 인플루엔자바이러스 증식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의 당귀 추출물의 발효물의 유효성분을 추적하기 위해 제조예 3의 실험을 하였다. 당귀 추출물의 발효물을 분획, 정제하여 compound A를 얻었으며, compound A의 NMR 스펙트럼을 기존에 알려진 문헌과 비교한 결과 노다케네틴으로 동정하였으며, 구매한 노다케네틴 표준품과 HPLC 분석을 통해 직접적으로 비교하여 확인하였다.
당귀 추출물의 발효물 및 그 분획물에서는 노다케네틴의 함량이 높았고 (실험예 2), 농도 의존적으로 유의미한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증식 억제효과를 보였으며, 특히 당귀 추출물의 발효물 또는 이의 분획물이 높은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증식 억제능을 보였다(실험예 1).
본 발명의 식물 추출물의 발효물 또는 이들의 분획물은 노다케네틴/노다케닌을 0.5 내지 20,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5, 2 내지 10, 또는 4 내지 9의 중량비로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는 발효 전 당귀 추출물이 노다케네틴/노다케닌을 0.1의 중량비로 포함하고, 당귀 추출물의 발효물 또는 이들의 분획물이 노다케네틴/노다케닌을 0.5 내지 20의 중량비로 포함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 범위를 만족하는 당귀 추출물의 발효물 또는 이들의 분획물은 발효하지 않은 당귀 추출물에 비해 노다케네틴/노다케닌의 중량비가 40배 이상 높아졌으며, 발효 후 노다케네틴의 양은 18배이상 증가하는 것으로 확인되어, 더 우수한 바이러스 감염 억제능을 가짐을 알 수 있다.
하나의 양태로서 노다케닌(nodakenin) 또는 노다케네틴(nodakenetin)을 포함하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억제용 조성물, 감염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감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바이러스 억제용 조성물,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약학적 조성물에 대한 기재는 중복을 피하기 위해 생략되며, 본 노다케닌 또는 노다케네틴을 포함하는 조성물에 그대로 준용될 수 있다.
상기 "노다케네틴"(Molecular formula: C14H14O4, Molecluar weight: 246.262)은 하기 [화학식 1]로 표현되는 쿠마린계 비배당체 성분으로 [화학식 2]로 표현되는 배당체인 노다케닌 (nodakenin, Molecular formula: C20H2409, Molecular weight: 408.403)의 발효 혹은 가수분해에 의해 전환된다.
[화학식 1]
[화학식 2]
노다케네틴은 반드시 발효 과정을 거쳐야 형성되는 것은 아니며 배당체인 노다케닌에 비해 소량이지만 자연적으로 식물체 여러 부위에 존재한다. 노다케네틴, 노다케닌은 주로 당귀속(Angelica sp.) 식물에 주로 함유되어 있는데 이 외에 기름나물속(Peucedanum sp.) 식물(갯기름나물, 기름나물, 왜방풍 등), 전호속(Anthriscus sp.) 식물(전호, 챠빌 등), 바디나물에도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노다케닌 또는 노다케네틴은 식물추출물의 발효물로부터 분리된 것이거나, 합성 또는 반합성을 통해 얻어진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식물"은 당귀속(Angelica sp.) 식물, 기름나물속(Peucedanum sp.) 식물 및 전호속(Anthriscus sp.) 식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당귀(Angelica gigas), 갯기름나물(Peucedanum japonicum), 기름나물(Peucedanum terebinthaceum), 왜방풍(Aegopodium podagraria), 전호(Anthriscus sylvestris), 챠빌(Anthriscus cerefolium) 및 바디나물(Angelica decursiva)일 수 있으며, 더 바람직하게는 당귀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노다케네틴/노다케닌은 0.5 내지 20,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5, 2 내지 10, 또는 4 내지 9의 중량비로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당귀 추출물의 발효물 또는 이의 분획물은 뉴라미니데이즈 활성을 억제하여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감염을 증식을 억제하므로,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등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당귀 추출물의 발효물을 분획하여 노다케네틴을 분리 정제하는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2는 노다케닌(Nodakenin), 노다케네틴(nodakenetin)의 인플루엔자바이러스 증식 억제능(%) 결과이다.
도 3은 당귀를 포함하는 식물추출물의 발효 전후 인플루엔자바이러스 증식 억제능(%) 결과이다.
도 4는 화합물 A(Compound A, 노다케네틴) 및 EA 분획물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증식 억제능(%) 결과이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 실험예 및 제조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험예 및 제조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험예 및 제조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들 실험예 및 제조예는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목적일 뿐이므로, 어떤 의미로든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1: 노다케닌 및 노다케네틴이 함유된 식물 추출물 제조
우선 당귀 원물을 세척 및 건조하였다.
그 다음 당귀 원물 1kg에 10kg의 1차 증류수를 가하여 80℃에서 3시간 동안 열수 추출하였다.
상기 열수 추출물을 필터페이퍼를 이용하여 감압 여과하고, 여과된 추출물을 회전증발농축기를 이용하여 완전히 농축하여 실험예 2의 시료로 사용하였다. 위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된 열수 추출물의 수율은 약 36%이다.
50wt% 에탄올 추출물 제조방법은, 원물 1kg에 10kg의 50wt% 에탄올 수용액을 가하여 65℃에서 3시간 동안 열수 추출하였다. 상기 50wt% 에탄올 추출물을 필터페이퍼를 이용하여 감압 여과하고, 회전증발농축기를 이용하여 완전히 농축하여 시료로 사용하였다(실험예 3). 위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된 50wt% 에탄올 추출물의 수율은 약 40%이다.
제조예 2: 식물 추출물의 발효물의 제조
MRS 배지 파우더(펩톤 10wt%, 쇠고기추출물 10wt%, 효모추출물 5wt%, 덱스트로스 20wt%, 폴리소르베이트80 1wt%, 구연산암모늄 2wt%, 아세트산나트륨 5wt%, 황산마그네슘 0.1wt%, 황산망간 0.05wt%, 제이인산칼륨 2wt%) 55g을 1L의 물에 넣어서 MRS 액체 배지를 제조한 다음,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의 고체콜로니를 MRS 액체배지 100ml에 접종한 후, 시간 별로 OD600을 측정해 값이 1.5가 될 때까지 배양시켜 스타터 배양액을 제조하였다. 이후 본 배양액인 당귀추출물(에탄올추출물)을 각각 1g, 2g, 5g, 10g씩 포함하는 MRS 액체배지 100ml에 상기 스타터 배양액 1ml을 접종하고, 30℃ shaking incubator에서 150rpm으로 4일 간 발효해 식물 발효물을 완성하였다(실험예 3).
당귀추출물(열수추출물) 5g을 포함하는 MRS 액체배지 100ml에 상기 스타터 배양액 1ml을 접종하고, 30℃ shaking incubator에서 150rpm으로 4일 간 발효해 식물 발효물을 완성하였다(실험예 2).
제조예 3: 발효물의 분획물 및 활성 화합물의 분리 정제
당귀추출물을 포함하는 유산균 배양물의 유효성분을 추적하기 위해 80g의 당귀추출물을 포함하는 MRS 배지 8L를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으로 발효하여 얻은 용액을 멸균여과(0.22um)하였다. 이를 동량의 n-헥산(n-Hexane)을 가하여 진탕 방치하여 분획하고, 순차적으로 에틸아세테이트(ethyl acetate, 이하 EA), n-부틸(n-Butanol, 이하 BuOH)을 가하여 진탕 방치하여 각각의 분획물을 얻었다. EA 분획(15g)을 n-헥산/EA (gradient)의 용출용매로 실리카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를 실시하여 11개의 소분획으로 나누었다. 소분획 Fr. 9를 아세토니트릴/물 (Acetonitrile(ACN)/H2O) (3:7) 용출용매로 Prep-LC를 실시하여 화합물 A(compound A) 30 mg을 얻었다(도 1). Compound A의 화학구조는 NMR 스펙트럼(NMR spectrum)을 통해 확인하였다. 전형적인 푸로쿠마린(Furocoumarines) 구조의 특징적인 피크들로부터 화합물 A(compound A)가 노다케네틴임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은 스펙트럼 데이터(spectral data)를 종합하여 기존에 알려진 문헌과 비교해 화합물 A(compound A)를 노다케네틴으로 동정하였으며, Biopurify사에서 구입한 노다케네틴, TLC 및 HPLC를 통해 직접적으로 비교하여 확인하였다.
NMR data
Compound A (Nodakenetin) - White amorphous powder, ESI-MS m/z : 247 [M + H]+ ; 1H-NMR (600 MHz, CD3OD) δ_H: 7.83 (1H, d, J = 9.6 Hz, H-4), 7.38 (1H, S, H-5), 6.70 (1H, S, H-8), 6.18 (1H, d, J = 9.6 Hz, H-3), 4.75 (1H, t, J = 9.0 Hz, H-2'), 3.24 (2H, m, H-3'), 1.29 (3H, s, CH3), 1.23 (3H, s, CH3); 13C-NMR (150 MHz, CD3OD) δ_C: 165.4 (C-2), 163.9 (C-7), 157.1 (C-10), 146.4 (C-4), 127.4 (C-6), 125.1 (C-5), 114.2 (C-9), 112.3 (C-3), 98.3 (C-8), 92.7 (C-2'), 72.4 (C-4'), 30.4 (C-3'), 25.5 (CH3), 25.5 (CH3).
실험예 1: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억제능 확인
하기 실시예는 다음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억제능 평가방법을 이용하였다.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억제능 평가는 뉴라미니데이즈(NA)에 후보물질을 처리한 후 NA활성 분석 키트 (NA activity assay kit, Sigma, #cat: MAK121-1KT)를 이용해 실험을 수행했다. 양성대조군은 신종플루 약제의 성분인 자나미비어(zanamivir) 10nM으로 설정하였고, 실험군 별로 농도에 맞도록 시료 5μl를 취한 후 야생형 NA(R&D systems)와 혼합했다. 그 후 NA활성 분석 키트 (NA activity assay kit)에서 제공하는 시약을 설명서에 맞게 혼합한 후 40μl를 첨가, 30℃ 인큐베이터에서 20분간 반응시킨 후 570nm에서 흡광도를 측정(A20)하고, 다시 호일로 싸서 37℃ 인큐베이터에서 30분간 반응시킨 후 570nm에서 흡광도를 측정(A50)했다. 각 처리군의 야생형 NA 활성은 A50 에서 A20을 뺀 값으로 계산하였고, 상기 실험은 3회 반복하였다.
우선, 노다케네틴(Chengdu biopurify phytochemical Ltd. Cat No. BP3273)과 노다케닌(Chengdu biopurify phytochemical Ltd. Cat No. BP1002)의 인플루엔자 증식 억제능을 평가하였다. 노다케닌의 당분리를 통해 형성된 노다케네틴은 농도의존적(10, 50, 250ppm)으로 효능이 증가했으나 노다케닌의 경우 농도의존적인 효과가 미비했다(도 2).
식물 추출물 발효 전후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증식 억제능을 평가하였다. 발효 추출물은 농도의존적으로 미발효 추출물 대비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억제능이 증가하는 걸 확인할 수 있었다(도 3).
노다케네틴을 포함하는 EA 분획물(250, 500, 1000ppm)과 분획 후 얻어낸 노다케네틴 (Compound A, 25, 50, 100ppm)의 NA 활성 억제능이 농도의존적으로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도 4).
실험예 2: 식물 추출물의 발효에 따른 노다케닌, 노다케네틴의 변화 추이
당귀 추출물(열수추출물)의 발효에 따른 노다케닌, 노다케네틴의 함량 변화를 확인하기 위해, 상기 제조예 2의 방법으로 발효한 당귀 추출물(열수추출물)과 발효하지 않은 당귀 추출물(열수추출물)을 이용하여 함량을 측정한 결과, 하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당귀를 포함한 식물추출물의 노다케네틴 함량이 유산균 발효에 의해 약 43ppm 증가했고, 노다케닌 함량이 노다케네틴 전환에 의해 43ppm 감소했다.
발효물이 더 우수한 바이러스 감염 억제능을 가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당귀 추출물의 발효 전후 노다케네틴, 노다케닌 함량 변화
함량 분석 노다케네틴(ppm) 노다케닌(ppm)
당귀추출물 발효 전 8.3 117.0
당귀추출물 발효 후 51.1 74.2
실험예 3: 발효 전 후의 노다케닌 및 노다케네틴 함량 비교
당귀추출물(에탄올추출물)을 각각 1g, 2g, 5g, 10g씩 포함하는 MRS 액체배지 100ml에서 Lactobacillus plantarum KCTC 3104 균주로 발효한 후, 발효 전 후의 노다케닌 및 노다케네틴의 함량을 분석하였다(표 2).
발효 전 후의 노다케닌 및 노다케네틴 함량 분석
발효 전 발효 후
당귀추출물 함량 (%) 노다케닌
(A, ppm)
노다케네틴
(A', ppm)
A'/A 노다케닌
(A, ppm)
노다케네틴
(A', ppm)
A'/A
1 340 32 0.09 72 597 8.34
2 610 57 0.09 127 865 6.80
5 1053 108 0.10 224 1343 6.00
10 1420 146 0.10 346 1420 4.10
당귀 추출물은 완전 농축, 건조한 파우더 형태이며, 분석시료는 모두 완전 건조한 상태에서 분석을 진행하였다.상기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발효하지 않은 당귀 추출물의 노다케네틴(A')/노다케닌(A) 비율은 0.1 내외이나, 발효 당귀 추출물은 A'/A 가 4.1 내지 8.34로 41배이상 증가하였으며, 따라서 노다케네틴의 함량이 높은 당귀 추출물의 발효물이 더 우수한 바이러스 감염 억제능을 가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추가로, 추출 용매에 따른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당귀 열수 추출물과 당귀 에탄올 추출물의 노다케닌 및 노다케네틴의 함량을 분석, 비교하였다.
하기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A'/A의 비율에는 큰 차이가 없었다.
추출 용매에 따른 노다케닌 및 노다케네틴의 함량비 비교
노다케닌(A, ppm) 노다케네틴(A', ppm) A'/A
당귀 50wt% 에탄올 추출물 2228 227 0.10
당귀 열수 추출물 1920 216 0.11

Claims (24)

  1. 노다케닌(nodakenin) 또는 노다케네틴(nodakenetin)을 포함하는 당귀(Angelica gigas)의 추출물, 이의 발효물 또는 이들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물, C1-C4 알코올, 1,3-부틸렌글리콜 및 에틸 아세테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용매의 추출물인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획물은 발효물에 대한 물, 알코올, 헥산, 에틸 아세테이트, 클로로포름 및 디클로로메탄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용매의 분획물인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분획물은 발효물에 대한 n헥산 및 에틸 아세테이트 용매의 분획물인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효물은 유산균에 의한 발효물인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유산균은 락토바실러스속(lactobacillus sp.) 유산균인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당귀 추출물의 발효물 또는 이들의 분획물은 노다케닌(nodakenin) 대비 노다케네틴(nodakenetin)의 중량 비율이 0.5 내지 20인 것인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9. 노다케닌(nodakenin) 또는 노다케네틴(nodakenetin)을 포함하는 당귀(Angelica gigas)의 추출물, 이의 발효물 또는 이들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10. 삭제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물, C1-C4 알코올, 1,3-부틸렌글리콜 및 에틸 아세테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용매의 추출물인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분획물은 발효물에 대한 물, 알코올, 헥산, 에틸 아세테이트, 클로로포름 및 디클로로메탄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용매의 분획물인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분획물은 발효물에 대한 n헥산 및 에틸 아세테이트용매의 분획물인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발효물은 유산균에 의한 발효물인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유산균은 락토바실러스속(lactobacillus sp.) 유산균인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16.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당귀 추출물의 발효물 또는 이들의 분획물은 노다케닌(nodakenin) 대비 노다케네틴(nodakenetin)의 중량 비율이 0.5 내지 20인 것인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17. 노다케닌(nodakenin) 또는 노다케네틴(nodakenetin)을 포함하는 당귀(Angelica gigas)의 추출물, 이의 발효물 또는 이들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억제용 조성물.
  18. 삭제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물, C1-C4 알코올, 1,3-부틸렌글리콜 및 에틸 아세테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용매의 추출물인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억제용 조성물.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분획물은 발효물에 대한 물, 알코올, 헥산, 에틸 아세테이트, 클로로포름 및 디클로로메탄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용매의 분획물인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억제용 조성물.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분획물은 발효물에 대한 n헥산 및 에틸 아세테이트용매의 분획물인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억제용 조성물.
  22.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발효물은 유산균에 의한 발효물인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억제용 조성물.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유산균은 락토바실러스속(lactobacillus sp.) 유산균인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억제용 조성물.
  24.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당귀 추출물의 발효물 또는 이들의 분획물은 노다케닌(nodakenin) 대비 노다케네틴(nodakenetin)의 중량 비율이 0.5 내지 20인 것인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억제용 조성물.
KR1020220177211A 2019-06-28 2022-12-16 노다케닌 또는 노다케네틴을 포함한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억제용 조성물 KR10265690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7936 2019-06-28
KR20190077936 2019-06-28
KR1020190172655A KR102485608B1 (ko) 2019-06-28 2019-12-23 노다케닌 또는 노다케네틴을 포함한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억제용 조성물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2655A Division KR102485608B1 (ko) 2019-06-28 2019-12-23 노다케닌 또는 노다케네틴을 포함한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억제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6422A KR20230006422A (ko) 2023-01-10
KR102656908B1 true KR102656908B1 (ko) 2024-04-16

Family

ID=7406095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2655A KR102485608B1 (ko) 2019-06-28 2019-12-23 노다케닌 또는 노다케네틴을 포함한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억제용 조성물
KR1020220177211A KR102656908B1 (ko) 2019-06-28 2022-12-16 노다케닌 또는 노다케네틴을 포함한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억제용 조성물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2655A KR102485608B1 (ko) 2019-06-28 2019-12-23 노다케닌 또는 노다케네틴을 포함한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억제용 조성물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22538328A (ko)
KR (2) KR102485608B1 (ko)
WO (1) WO202026279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9975B1 (ko) * 2021-12-08 2024-01-29 전남대학교 산학협력단 목화씨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바이러스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WO2023239175A1 (ko) * 2022-06-08 2023-12-14 엠테라파마 주식회사 솔송나무, 솜양지꽃, 은양지꽃, 제주피막이, 또는 전호 추출물을 포함하는 알파허피스바이러스, 감마허피스바이러스 또는 노로바이러스 감염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33133A (ko) * 2011-05-30 2012-12-10 한국 한의학 연구원 생약 추출물 또는 이의 유산균 발효물을 포함하는 호흡기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60036863A (ko) * 2014-09-26 2016-04-05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자화전호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위장관 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KR101782532B1 (ko) * 2015-06-19 2017-10-11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백지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퓨라노쿠마린을 함유하는 조류 인플루엔자, 돼지 인플루엔자 또는 코로나 바이러스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871070B1 (ko) * 2016-12-08 2018-06-28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전호 잎 추출물(we-las)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퇴행성 관절염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2119178B1 (ko) * 2017-10-12 2020-06-04 주식회사 이앤사이언스 참당귀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증진용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Kang et al., The effect of extract from leaves and stalks of Angelica gigas on the innate immunity. 한국가축위생학회지. 2013년, 제36권, 제4호, pp. 227-232
Zhang et al., Determination and pharmacokinetic study of nodakenin in rat plasma by RP-HPLC method. Biomedical Chromatography. Vol. 22, pp. 758-762(2008) 1부.*
김동선 외 3인. 유산균 발효에 의한 사물탕들부터 노다케네틴의 분리 및 함량분석. Kor. J. Herbology. Vol. 27, No. 1, pp. 35-39(2012) 1부.*
김선애 외 4인. 참당귀, 중국당귀, 일당귀 및 그 구성 생화합물의 약리작용에 대한 고찰. 대한한의학회지. 2011년, 제32권, 제4호, pp. 1-24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262799A1 (ko) 2020-12-30
KR20230006422A (ko) 2023-01-10
JP2022538328A (ja) 2022-09-01
KR102485608B1 (ko) 2023-01-09
KR20210001862A (ko) 2021-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56908B1 (ko) 노다케닌 또는 노다케네틴을 포함한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억제용 조성물
JP7427032B2 (ja) 黒参抽出物を含む抗インフルエンザウイルス組成物、呼吸器疾患治療用組成物及び抗老化組成物
KR101705548B1 (ko) 아피오스 추출물 또는 아피오스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증강용 조성물
KR20120134166A (ko) 미량 진세노사이드를 고농도로 함유하는 인삼 추출물의 제조방법
KR20150055876A (ko) 체지방 감소 또는 체중 감소를 위한 조성물
JP2007161632A (ja) ヒアルロニダーゼ阻害剤
JP2003342185A (ja) リパーゼ活性阻害剤
KR101709281B1 (ko) 생약 추출물 또는 이의 유산균 발효물을 포함하는 골다공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770766B1 (ko) 익모초 특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호흡기염증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236233B1 (ko) 이고들빼기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 기능 개선용 약학적 조성물 및 간 기능 개선용 건강기능 식품조성물
KR101336094B1 (ko) 피부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00114674A (ko) 꾸지뽕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뉴라미니데이즈 활성의 억제용 조성물 및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KR101935689B1 (ko) 대추, 감초 및 도라지 혼합 추출물의 발효물을 함유하는 면역 증강용 조성물
KR20150072660A (ko) 잔대 추출물을 포함하는 간 보호용 조성물
KR101691032B1 (ko) 삼백초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바이러스용 약학적 조성물
KR20220088580A (ko) 노다케닌 또는 노다케네틴을 포함하는 식물의 추출물의 발효물, 또는 이들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억제용 조성물
KR102542119B1 (ko) 애기우산나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미세먼지 유발 염증성 기도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50072659A (ko) 청미래 추출물을 포함하는 간 보호용 조성물
KR20150086928A (ko) 커큐미노이드계 화합물, 및 감초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EP4151226A1 (en) Coronavirus therapeutic agent comprising zanthoxylum piperitum leaf extract as active ingredient
KR101728593B1 (ko) 간 숙취해소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KR20190084653A (ko) 풍미가 증진된 발효 천마 및 그 제조방법
KR20130112980A (ko) 크레이스토카릭스 오페르쿠라투스 추출물 및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동맥경화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416208B1 (ko) 발효된 선복화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인플루엔자 바이러스용 조성물
KR102496751B1 (ko) 비만 예방 기능성 성분을 포함하는 오가피 추출물 및 그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