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1032B1 - 삼백초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바이러스용 약학적 조성물 - Google Patents

삼백초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바이러스용 약학적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1032B1
KR101691032B1 KR1020130099223A KR20130099223A KR101691032B1 KR 101691032 B1 KR101691032 B1 KR 101691032B1 KR 1020130099223 A KR1020130099223 A KR 1020130099223A KR 20130099223 A KR20130099223 A KR 20130099223A KR 101691032 B1 KR101691032 B1 KR 1016910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ururus chinensis
fraction
extract
antiviral
vir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992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21805A (ko
Inventor
조성찬
송재형
최화정
권두한
최광만
Original Assignee
한국생명공학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생명공학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생명공학연구원
Priority to KR10201300992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1032B1/ko
Publication of KR201500218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18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10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10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8Saururaceae (Lizard's-tail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4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the immune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9Complex extraction schemes, e.g. fractionation or repeated extraction step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Botan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otechn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삼백초(Saururus chinensis)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바이러스용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삼백초 추출물, 이의 분획물로부터 항바이러스 활성 물질로서 사우세르네올(saucerneol), 사우세르네틴-8(saucernetin-8) 및 마나산틴 B(manassantin B)의 화합물을 분리하였으며, 상기 삼백초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은 세포에 대하여는 독성을 나타내지 않으면서, 바이러스에 대하여는 효과적인 항바이러스 효과를 나타내므로, 항바이러스용 약학적 조성물의 유효성분으로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삼백초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바이러스용 약학적 조성물{Pharmaceutical composition containing Saururus chinensis extract or fractions thereof for anti-virus}
본 발명은 삼백초(Saururus chinensis)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바이러스용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엔테로바이러스(Enterovirus)는 분류학적으로 피코르나바이러스과(Picornaviridae)에 속하며, 현재까지 약 68종의 혈청형이 알려져 있다. 혈청형에 따라 크게 3가지 혈청형으로 이루어지는 폴리오바이러스(Poliovirus; PV: 1~3), 23가지 혈청형으로 이루어지는 콕사키바이러스 A(Coxsackievirus A; CVA: 1~22, 24), 6가지 혈청형으로 이루어지는 콕사키바이러스 B(Coxsackievirus B; CVB: 1~6), 28가지 혈청형으로 이루어지는 에코바이러스(Echovirus; ECV: 1~7, 9, 11~21, 24~27, 29~33) 및 기타 인간 엔테로바이러스 (EV: 68~116) 등으로 구성된다(Mayo, M. and Pringle, C. R. J Gen Virol . 79:649~657, 1998; Pringle, C. R. Arch Virol . 144:2065~2070, 1999).
엔테로바이러스는 주로 하절기에 유ㆍ소아 층에 침범하며, 감염자의 면역학적 특성에 따라 중증감염을 초래하기도 한다. 특히, 위생이 나쁜 환경에서 흔하게 전파되는 전염성 병원체로써 감염경로는 분변-구강이며, 오염된 물과 토양을 통한 경구적인 전파로 이어진다. 감염자에서 배출된 분변 속의 바이러스가 오수나 폐수를 통해 지하수, 하천, 해수로 흘러들어가 다시 사람에게로 전염되는데, 드물게는 호흡기 분비물을 통해서도 감염된다(Choutet, P. and Besnier, J. M. Rev Prat . 44:2172~2176, 1994; Kocwa-Haluch, R. Polish J Environ Studies . 10:485~487, 2001).
엔테로바이러스는 소화기를 통해 감염된 후 인후두(laryngopharynx) 부위 또는 소장의 림프절에서 일차적으로 증식한 후, 신체의 각 장기로 이동한다(Melnick, J. L, In Fields virology, 3rd. 655~712, 1996). 임상증상은 감기 등의 가벼운 증상부터 심각한 마비까지 매우 다양하다. 소아인 경우, 비폴리오성 엔테로바이러스(non-polio enterovirus)의 감염은 50%의 불현성 감염(inapparent infection)으로 나타나며, 상기도감염(upper respiratory infections), 소화기증상, 결막염, 중이염, 피부발진, 무균성수막염, 포진성구협염, 수족구병 또는 고환염 등의 증상을 나타낸다. 드물게 심근염, 뇌염, 길랑바레 증후군(Guillian-Barre syndrome), 실조증, 말단신경염, 횡단성척수염, 사지마비, 당뇨병 또는 유행성출혈성 각결막염 등 치명적이거나 합병증을 남기는 경우도 보고되어 있다(Kocwa-Haluch, R., Polish J Environ Studies . 10:485~487, 2001; Roivainen, M, Int J Biochem Cell Biol . 38:721~725, 2006; Park, K. S. et. al, J Med Virol . 78(1):91~97, 2006). 엔테로바이러스에 의한 대표적인 증상은 무균성수막염이며, 주로 하절기에 발생하지만 봄 또는 늦가을, 또는 겨울에도 산발적으로 발생하는 경우가 있어 일 년 내내 감염될 위험이 존재한다. 또한 주된 발생 연령층은 영ㆍ유아이나, 경우에 따라 소아 및 노령층에서도 발생할 수 있다(Kok, P. W. et. al, Bull World Health Organ. 70:93~103, 1992; Yerly, S. et. al, J Clin Microbiol . 34. 199~201, 1996).
항바이러스제 개발은 내성 바이러스의 출현, 약제 부작용, 높은 생산비용 등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요구되고 있다(Jassim, S. A. and Naji, M. A., J Appl Microbiol . 95(3):412~427, 2003).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하나의 시도로서 이미 아시아 및 유럽을 중심으로 하여 약용식물을 기반으로 하는 항바이러스 물질의 발굴 및 개발에 관한 연구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Briskin, D. P. Plant Physiol . 124(2):507~514, 2000; Williams, J. E. Altern Med Rev . 6(6):567~579, 2001). 이미 보고된 바 있는 약용 식물들은 여러 가지 항바이러스 효과를 나타낼 뿐만 아니라, 부작용 또는 내성의 잠재성이 적고 생산 비용이 저렴하다는 장점을 가진다.
따라서, 이미 많은 약용 식물들이 바이러스에 감염된 사람 또는 동물에 적용되어 항바이러스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Venkateswaran, P. S. 등은 찬까삐에드라(Phyllanthus niruri) 추출물의 B형 간염(hepatitis B) 및 우드처크 간염(woodchuck hepatitis) 바이러스에 대한 항바이러스 효과를 확인하였으며(Venkateswaran, P. S. et. al, Proc Natl Acad Sci USA . 84(1):274~278; 1987), Thyagarajan, S. P.등은 여우구슬(Phyllanthus amarus) 추출물의 B형 간염 바이러스의 만성 감염자에 대한 효과에 관하여 보고한바 있다(Thyagarajan, S. P. et. al, Lancet . 2(8614):764~766, 1988). 아울러, 대한민국 공개특허 2011-0049721호에는 백서향(Daphne kiusiana)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바이러스용 조성물이 기재되어 있으며,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0901761호에는 헛개나무속(Genus Hovenia) 식물의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함유하는B형 간염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에 대하여 기재하고 있다.
삼백초(Saururus chinensis)는 삼백초과(Saururaceae) 삼백초속(Saururus)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으로서, 한국 및 중국에서 전통적으로 약용식물로 사용되어온 약초이다. 중약대사전에는 삼백초가 청리습열, 소종해독 작용이 있어, 수종, 각기, 황달, 임탁, 대하, 옹종, 정독에 효과가 있음이 기재되어 있으며, 염증, 각기병, 고혈압, 폐렴, 부종, 황달, 임균감염증 등에 대한 효과에 관한 연구가 보고되어 있다(Oh, K.S. et al, Planta Med. 74:233-238, 2008;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0739398호; 국제특허 WO 2008/082268 A1; 대한민국 공개특허 2006-0018290호).
삼백초의 성분에 대한 연구는 그 동안 플라보노이드류(flavonoids), 알칼로이드류(alkaloids), 아미노산(aminoacids), 지방산류(fatty acids), 퀴논류(quinones) 및 정유 성분에 대해 주로 진행되어 왔고, 전초에는 메틸-노말-노닐-케톤(methyl-n-nonyl ketone), 줄기에는 가수분해형 탄닌이 다량 함유되어 있으며, 잎에는 퀘르세틴(quercetin), 이소퀘르시트린(isoquercercitrin), 아비큘라린(avicularin), 하이페린(hyperin), 루틴(rutin) 및 가수분해형 탄닌이 함유되어 있고, 뿌리에는 각종 아미노산, 유기산, 당류 등이 함유되어 있다고 보고되고 있다. 특히,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163286호에는 삼백초 뿌리의 추출물로부터 분리한 리그난(lignan) 계열의 물질은 인간 면역 결핍 바이러스 (human immunodeficiency virus; HIV)의 단백질 분해효소 억제 효과가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삼백초 추출물 및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의 엔테로바이러스에 대한 효과에 관하여는 아직까지 보고된 바가 없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약용 식물로부터 항바이러스 억제 물질을 개발하기 위해 노력한 결과, 삼백초 추출물 및 이의 분획물로부터 엔테로바이러스에 대한 항바이러스 효과를 나타내는 화합물인 사우세르네올(saucerneol), 사우세르네틴-8(saucernetin-8) 및 마나산틴 B(manassantin B)을 분리하였고, 상기 화합물이 효과적인 항바이러스 효과를 나타내므로, 상기 삼백초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은 항바이러스용 약학적 조성물의 유효성분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음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삼백초(Saururus chinensis)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바이러스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삼백초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바이러스용 건강식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삼백초(Saururus chinensis)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바이러스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삼백초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바이러스용 건강식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삼백초(Saururus chinensis)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은 세포에 대하여는 독성을 나타내지 않으면서, 바이러스에 대하여는 효과적인 항바이러스 효과를 나타내므로, 상기 삼백초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은 항바이러스용 조성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1는 베로 세포(vero cell)에서 콕사키바이러스 B3(Coxsackievirus B3; CVB3)에 대한 사우세르네올(saucerneol), 사우세르네틴-8(saucernetin-8) 및 마나산틴 B(manassantin B)의 세포 병변 억제 효과를 나타내는 도이다:
1은 본 발명의 화합물 및 CVB3를 처리하지 않은 비감염 대조군을 나타내며, 2는 본 발명의 화합물을 처리하지 않은 CVB3 감염 세포를 나타낸다;
3은 마나산틴 B를 처리한 CVB3 비감염 세포를 나타내며, 4는 사우세르네올을 처리한 CVB3 비감염 세포를 나타내고, 5는 사우세르네틴-8을 처리한 CVB3 비감염 세포를 나타내며, 6은 리바비린을 처리한 CVB3 비감염 세포를 나타낸다; 및
7은 마나산틴 B를 처리한 CVB3 감염 세포를 나타내며, 8는 사우세르네올을 처리한 CVB3 감염 세포를 나타내고, 9는 사우세르네틴-8을 처리한 CVB3 감염 세포를 나타내며, 10은 리바비린을 처리한 CVB3 감염 세포를 나타낸다.
도 2는 다양한 인간 엔테로바이러스(human enterovirus)에 대한 사우세르네올, 사우세르네틴-8 및 마나산틴 B의 세포 병변 억제 효과를 나타내는 도이다:
1은 본 발명의 화합물 및 바이러스를 처리하지 않은 비감염 대조군을 나타내며, 2는 마나산틴 B를 처리한 바이러스 비감염 세포를 나타내며, 3은 사우세르네올을 처리한 바이러스 비감염 세포를 나타내고, 4는 사우세르네틴-8을 처리한 바이러스 비감염 세포를 나타내며, 5은 리바비린을 처리한 바이러스 비감염 세포를 나타낸다;
6은 본 발명의 화합물을 처리하지 않은 콕사키바이러스 B1(CVB1) 감염 세포를 나타내고, 7은 마나산틴 B를 처리한 CVB1 감염 세포를 나타내며, 8는 사우세르네올을 처리한 CVB1 감염 세포를 나타내고, 9는 사우세르네틴-8을 처리한 CVB1 감염 세포를 나타내며, 10은 리바비린을 처리한 CVB1 감염 세포를 나타낸다;
11은 본 발명의 화합물을 처리하지 않은 콕사키바이러스 B2(CVB2) 감염 세포를 나타내고, 12은 마나산틴 B를 처리한 CVB2 감염 세포를 나타내며, 13는 사우세르네올을 처리한 CVB2 감염 세포를 나타내고, 14는 사우세르네틴-8을 처리한 CVB2 감염 세포를 나타내며, 15은 리바비린을 처리한 CVB2 감염 세포를 나타낸다;
16은 본 발명의 화합물을 처리하지 않은 콕사키바이러스 B4(CVB4) 감염 세포를 나타내고, 17은 마나산틴 B를 처리한 CVB4 감염 세포를 나타내며, 18는 사우세르네올을 처리한 CVB4 감염 세포를 나타내고, 19는 사우세르네틴-8을 처리한 CVB4 감염 세포를 나타내며, 20은 리바비린을 처리한 CVB4 감염 세포를 나타낸다;
21은 본 발명의 화합물을 처리하지 않은 콕사키바이러스 B5(CVB5) 감염 세포를 나타내고, 22은 마나산틴 B를 처리한 CVB5 감염 세포를 나타내며, 23는 사우세르네올을 처리한 CVB5 감염 세포를 나타내고, 24는 사우세르네틴-8을 처리한 CVB5 감염 세포를 나타내며, 26은 리바비린을 처리한 CVB5 감염 세포를 나타낸다.
26은 본 발명의 화합물을 처리하지 않은 콕사키바이러스 B6(CVB6) 감염 세포를 나타내고, 27은 마나산틴 B를 처리한 CVB6 감염 세포를 나타내며, 28는 사우세르네올을 처리한 CVB6 감염 세포를 나타내고, 29는 사우세르네틴-8을 처리한 CVB6 감염 세포를 나타내며, 30은 리바비린을 처리한 CVB6 감염 세포를 나타낸다;
31은 본 발명의 화합물을 처리하지 않은 엔테로바이러스 71(enterovirus 71; EV71) 감염 세포를 나타내고, 32은 마나산틴 B를 처리한 EV71 감염 세포를 나타내며, 33는 사우세르네올을 처리한 EV71 감염 세포를 나타내고, 34는 사우세르네틴-8을 처리한 EV71 감염 세포를 나타내며, 35은 리바비린을 처리한 EV71 감염 세포를 나타낸다; 및
36은 본 발명의 화합물을 처리하지 않은 콕사키바이러스 A16(CVA16) 감염 세포를 나타내고, 37은 마나산틴 B를 처리한 CVA16 감염 세포를 나타내며, 38는 사우세르네올을 처리한 CVA16 감염 세포를 나타내고, 39는 사우세르네틴-8을 처리한 CVA16 감염 세포를 나타내며, 40은 리바비린을 처리한 CVA16 감염 세포를 나타낸다.
도 3은 PCR 분석을 통해 인간 엔테로바이러스(HEV) 감염에 대한 사우세르네올, 사우세르네틴-8 및 마나산틴 B의 억제 효과를 확인한 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삼백초(Saururus chinensis)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바이러스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추출물은 물, C1 내지 C2의 저급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용매로 하여 추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저급 알코올은 에탄올 또는 메탄올인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삼백초 추출물은 하기의 단계들을 포함하는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1) 삼백초에 추출용매를 가하여 추출하는 단계;
2) 단계 1)의 추출물을 여과하는 단계; 및
3) 단계 2)의 여과한 추출물을 감압 농축한 후 건조하는 단계.
상기 방법에 있어서, 단계 1)의 삼백초은 재배한 것 또는 시판되는 것 등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삼백초은 삼백초의 꽃, 줄기, 잎 또는 열매가 모두 이용가능하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방법에 있어서, 삼백초 추출물의 추출 방법으로는 여과법, 열수 추출, 침지 추출, 환류냉각 추출 및 초음파추출 등 당업계의 통상적인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추출용매는 건조된 삼백초 분량의 2 내지 20 배 첨가하여 추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추출온도는 20 내지 50℃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추출시간은 10 내지 100 시간인 것이 바람직하며, 구체적으로 24 내지 96 시간이 더욱 바람직하고, 보다 구체적으로 72 시간이 가장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방법에 있어서, 단계 3)의 감압농축은 진공감압농축기 또는 진공회전증발기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건조는 감압건조, 진공건조, 비등건조, 분무건조 또는 동결건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방법에 있어서, 단계 3)의 감압농축은 진공감압농축기 또는 진공회전증발기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건조는 감압건조, 진공건조, 비등건조, 분무건조 또는 동결건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분획물은 삼백초 추출물에 추가적으로 유기용매를 가하여 제조한 분획물인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유기용매는 헥산, 에틸 아세테이트 및 부탄올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 되어진 하나 또는 그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구체적으로는 에틸 아세테이트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바이러스는 엔테로바이러스(enterovirus)인 것이 바람직하며, 구체적으로 콕사키바이러스 B1(Coxsackievirus B1; CVB1), 콕사키바이러스 B2(CVB2), 콕사키바이러스 B3(CVB3), 콕사키바이러스 B4(CVB4), 콕사키바이러스 B5(CVB5), 콕사키바이러스 B6(CVB6), 콕사키바이러스 A16(CVA16) 및 엔테로바이러스 제 71형(EV71) 중 어느 하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본 발명자들은 삼백초 추출물을 제조한 후, 상기 추출물로부터 헥산, 에틸 아세테이트 및 부탄올을 유기용매로 사용하여 분획물을 제조하였고, 삼백초 추출물 및 이의 분획물의 베로(Vero) 세포에서 CVB3에 대한 항바이러스 효과를 확인한 결과, 에틸 아세테이트 분획물에서 현저한 항바이러스 활성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표 1 참조).
또한, 본 발명자들은 상기 에틸 아세테이트 분획물로부터 화합물을 분리하기 위하여, C18 실리카 겔 컬럼 흡착 크로마토그래피(C-18 silica gel column adsortion chromatography)를 수행하여 항바이러스 활성을 나타내는 분획을 수득하였고(표 2 참조), 상기 분획으로부터 고성능액체크로마토그래피(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HPLC)를 통해 항바이러스 활성을 나타내는 화합물을 분리하여 구조를 분석한 결과, 상기 화합물은 사우세르네올(saucerneol), 사우세르네틴-8(saucernetin-8) 및 마나산틴 B(manassantin B)인 것을 확인하였다(표 3 내지 5 참조).
또한, 본 발명자들은 삼백초 추출물 및 이의 분획물로부터 분리한 항바이러스 활성 화합물인 사우세르네올, 사우세르네틴-8 및 마나산틴 B의 베로 세포에 대한 독성 및 콕사키바이러스 B3(CVB3)에 대한 항바이러스 효과를 확인한 결과, 양성 대조군인 리바비린(ribavirin)에 비해 상기 활성 물질은 낮은 세포 독성을 나타내며, 높은 항바이러스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고(표 6 및 도 1), 상기 활성 화합물의 다른 엔테로바이러스에 대한 항바이러스 효과를 확인한 결과, 사우세르네올, 사우세르네틴-8 및 마나산틴 B이 CVB1, CVB2, CVB4, CVB5, CVB6, CVA16 및 EV71에 대하여도 유의적인 항바이러스 활성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표 7 내지 9 및 도 2 참조).
또한, 본 발명자들은 사우세르네올, 사우세르네틴-8 및 마나산틴 B가 세포 내에서 바이러스 복제 및 증식을 억제하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바이러스의 게놈을 추출하여 RNA의 양을 분석한 결과, 양성 대조군인 리바비린을 첨가하였을 때는 바이러스의 증식을 억제하지 못하나, 사우세르네올, 사우세르네틴-8 및 마나산틴 B를 바이러스와 함께 세포에 첨가한 경우에서 바이러스의 감염 48 시간 이후 모든 바이러스의 RNA 발현이 효과적으로 억제되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3).
따라서, 본 발명의 삼백초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은 세포에 대하여는 독성을 나타내지 않으면서, 바이러스에 대하여는 효과적인 항바이러스 효과를 나타내므로, 항바이러스용 약학적 조성물의 유효성분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경구 또는 비경구의 여러 가지 제형일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을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하나 이상의 화합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탄산칼슘, 수크로오스(sucrose) 또는 락토오스(lactose),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탈크 등과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또는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 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또는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용제, 유제, 동결건조제제 또는 좌제 등이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및 현탁용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롤, 젤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경구 또는 비경구로 투여될 수 있으며, 비경구 투여시 피부외용 또는 복강내, 직장, 정맥, 근육, 피하, 자궁내 경막 또는 뇌혈관내 주사 방식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피부외용으로 사용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약제학적으로 유효한 양으로 투여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약제학적으로 유효한 양"은 의학적 치료에 적용 가능한 합리적인 수혜/위험 비율로 질환을 치료하기에 충분한 양을 의미하며, 유효용량 수준은 환자의 질환의 종류, 중증도, 약물의 활성, 약물에 대한 민감도,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및 배출 비율, 치료기간, 동시 사용되는 약물을 포함한 요소 및 기타 의학 분야에 잘 알려진 요소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개별 치료제로 투여하거나 다른 치료제와 병용하여 투여될 수 있고 종래의 치료제와는 순차적 또는 동시에 투여될 수 있으며, 단일 또는 다중 투여될 수 있다. 상기한 요소들을 모두 고려하여 부작용없이 최소한의 양으로 최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양을 투여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는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투여량은 환자의 체중, 연령, 성별, 건강상태, 식이, 투여시간, 투여방법, 배설율 및 질환의 중증도에 따라 그 범위가 다양하며, 일일 투여량은 삼백초 추출물의 양을 기준으로 0.01 내지 1000 ㎎/㎏이고,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500 ㎎/㎏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300 ㎎/㎏이며, 하루 1 ~ 6 회 투여될 수 있다. 그러나 투여 경로, 비만의 중증도, 성별, 체중, 연령 등에 따라서 증감될 수 있으므로 상기 투여량이 어떠한 방법으로도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단독으로, 또는 수술, 방사선 치료, 호르몬 치료, 화학 치료 및 생물학적 반응 조절제를 사용하는 방법들과 병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삼백초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바이러스용 건강식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삼백초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은 세포에 대하여는 독성을 나타내지 않으면서, 바이러스에 대하여는 효과적인 항바이러스 효과를 나타내므로, 항바이러스용 약학적 조성물의 유효성분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식품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다. 상기 물질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의 예로는 드링크제, 육류, 소시지, 빵, 비스킷, 떡, 초콜릿, 캔디류, 스낵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스프, 음료수, 알코올 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 유제품 및 유가공 제품 등이 있으며,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건강기능식품을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의 삼백초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은 식품에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식품 또는 식품 성분과 함께 사용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유효 성분의 혼합량은 그의 사용 목적(예방 또는 개선용)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건강식품 중의 상기 화합물의 양은 전체 식품 중량의 0.1 내지 90 중량부로 가할 수 있다. 그러나 건강 및 위생을 목적으로 하거나 또는 건강 조절을 목적으로 하는 장기간의 섭취의 경우에는 상기 양은 상기 범위 이하일 수 있으며, 안전성 면에서 아무런 문제가 없기 때문에 유효성분은 상기 범위 이상의 양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건강 기능성 음료 조성물은 지시된 비율로 필수 성분으로서 상기 화합물을 함유하는 외에는 다른 성분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스, 슈크로스 등;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상술한 것 이외의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등) 및 합성 향미제(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의 조성물 100 당 일반적으로 약 1 내지 20 g, 바람직하게는 약 5 내지 12 g이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삼백초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중진제(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 밖에 본 발명의 삼백초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은 천연 과일 쥬스 및 과일 쥬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그렇게 중요하진 않지만 본 발명의 삼백초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 100 중량부 당 0.1 내지 약 20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및 제조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 및 제조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 및 제조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1> 삼백초( Saururus chinensis ) 추출물의 제조 및 항바이러스 효과 확인
<1-1> 삼백초 추출물 및 이의 분획물 제조
본 발명의 삼백초 추출물을 제조하기 위해, 다양한 추출 용매를 사용한 삼백초 추출물 및 이의 분획물을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건조된 삼백초 1.2 ㎏(원광대학교 한의학전문대학원)을 100% 메탄올 3 ℓ에 침지하여 72 시간 동안 상온에 방치한 후, 추출액을 여과하고 감압 농축하여 삼백초의 메탄올 추출물 84.2 g을 수득하였다. 그런 다음, 수득한 메탄올 추출물 84.2 g을 물 1 ℓ에 현탁하였고, 헥산(hexane), 에틸 아세테이트(ethyl acetate) 및 부탄올(butanol) 각각 1 ℓ를 용매로 사용하여 연속적으로 추출하여 삼백초의 헥산 분획물 1.09 g, 에틸 아세테이트 분획물 30.07 g 및 부탄올 분획물 4.87 g을 수득하였다
<1-2> 삼백초 추출물의 항바이러스 및 세포 독성 효과 확인
상기 실시예 <1-1>의 삼백초 추출물 및 이의 분획물이 가지는 항바이러스 활성을 확인하기 위해, 바이러스에 의해 일어나는 세포 병변을 억제시키는 능력에 대하여 Sulforhodamine B(SRB)법을 수행하여 확인하였다(Choi, H. J. et. al, Phytomedicine. 16(1):35~39, 2009; Choi, H. J. et. al, Eur J Pharm Sci . 37:329~333, 2009).
구체적으로, 96 웰 배양 플레이트(Nunc, Denmark)에 웰 당 2×104의 베로 세포(vero cell; 미국 세포주 은행(American Type Culture Collection; ATCC) 구입)를 우태아혈청(fetal bovine serum; FBS) 및 0.01%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penicillin-streptomycin)을 포함하는 최소필수배지(minimum essential medium; MEM)(Gibco 사에서 구입)에 접종하여 24 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세포가 90% 자랐을 때, 각 웰의 배지를 제거하고 인산완충식염수(phosphate buffered saline; PBS) 용액으로 1 회 세척한 후, 1% FBS 및 콕사키바이러스 B3(Coxsackievirus B3; CVB3)(충청남도 보건환경연구원에서 제공)을 포함하는 MEM 배지 90 ㎕ 및, 상기 실시예 <1-1>에서 제조한 삼백초 메탄올 추출물, 헥산 분획물, 에틸 아세테이트 분획물 또는 부탄올 분획물 10 ㎕을 각각 첨가하여, 37℃ 및 5% 이산화탄소의 조건으로 CO2 배양기(VS-9108MS, Vision, Korea)에서 2 일 동안 배양한 후, SRB법을 수행하여 항바이러스 효과를 확인하였다. 아울러, 세포 독성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CVB3를 첨가하지 않고 상기 항바이러스 효과 확인 방법과 동일한 방법을 수행하였다. 모든 실험은 동일한 과정을 3 회 반복 수행하였으며, 평균값을 결과에 나타내었다.
그 결과, 하기 [표 1]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삼백초 추출물 및 이의 분획물은 유의적인 항바이러스 활성을 나타내나 세포에 대한 독성을 가지지 않으며, 특히 에틸 아세테이트 분획층에서 현저한 항바이러스 활성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표 1).
베로 세포에서 CVB3에 대한 삼백초 분획물의 항바이러스 효과 확인
대상 물질 CC50 a IC50 b TIc
메탄올 추출물 122.34 66.5±9.6 1.83
헥산 분획물 66.03 7.88±1.2 8.38
에틸 아세테이트 분획물 462.38 4.59±1.7 21.79
부탄올 분획물 241.08 43.8±8.5 2.28
a 50% 세포 독성 농도(50% cytotoxicity concentration; CC50)는 세포 독성 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세포의 성장을 50% 저해하는 추출물 또는 분획물의 농도를 나타낸다(㎍/㎖).
b 50% 저해 농도(50% inhibitory concentration; IC50)는 항바이러스 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바이러스-유도의 세포병변효과(cytopathic effects; CPE)를 50% 저해하는 추출물 또는 분획물의 농도를 나타낸다(㎍/㎖).
c 치료지수(Therapeutic index; TI)는 CC50/IC50 으로 계산하였다.
< 실시예 2> 항바이러스 활성 물질의 분리
<2-1> 삼백초 분획물로부터 분리한 분획의 항바이러스 활성 및 세포 독성 효과 확인
삼백초 추출물로부터 항바이러스 활성을 가지는 화합물을 분리하기 위해서, 추출 용매 혼합 비율에 따른 분획을 제조하여 선별하였다.
구체적으로, 메탄올 및 물의 혼합 비율을 2:8, 4:6, 6:4, 8:2 또는 10:0로 혼합하여 500 ㎖의 용출 용매를 제조하였고, C18 실리카 겔 컬럼 흡착 크로마토그래피(C-18 silica gel column adsorption chromatography)에서 상기 용출 용매를 각각 두 번씩 이용하여 상기 <실시예 1>에서 삼백초 추출물로부터 제조한 에틸 아세테이트 분획물로부터 분리한 10 개의 분획을 수득하였다. 그런 다음, 상기 실시예 <1-2>와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상기 분획의 항바이러스 및 세포 독성 효과를 확인하였다. 아울러, 양성 대조군으로는 상기 활성 물질 대신 리바비린(ribavirin; DUCHEFA 사에서 구입)을 첨가하여 상기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세포를 배양하였다. 모든 실험은 동일한 과정을 3 회 반복 수행하였으며, 평균값을 결과에 나타내었다.
그 결과, 하기 [표 2]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총 10 개의 분획을 수득하였으며, 이 중 7 번 및 10 번 분획에서 높은 항바이러스 활성을 가지는 것을 확인하였다(표 2).
베로 세포에서 CVB3에 대한 삼백초 분획의 항바이러스 효과 확인
시료 물질 CC50 a IC50 b TIc
1 번 분획 >100 NDd -
2 번 분획 >100 NDd -
3 번 분획 >100 NDd -
4 번 분획 >100 10.84±5.87 9.23
5 번 분획 >100 47.42±16.20 2.11
6 번 분획 >100 28.48±14.66 3.51
7 번 분획 >100 5.68±0.67 17.61
8 번 분획 62 6.78±1.55 9.14
9 번 분획 >100 22.88±23.62 4.37
10 번 분획 >100 4.79±0.24 20.88
리바비린 >100 NDd -
a CC50는 세포 독성 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세포의 성장을 50% 저해하는 분획 또는 리바비린의 농도를 나타낸다(㎍/㎖).
b IC50는 항바이러스 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바이러스-유도의 세포병변효과를 50% 저해하는 분획 또는 리바비린의 농도를 나타낸다(㎍/㎖).
c TI는 CC50/IC50 으로 계산하였다.
d 검출되지 않음을 나타낸다(Not detected).
<2-2> 항바이러스 활성 물질의 분리
삼백초 추출물로부터 항바이러스 활성을 가지는 화합물을 분리하기 위해서, 상기 실시예 <2-1>에서 수득한 분획으로부터 화합물을 분리 정제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2-1>에서 선별한 7 번 및 10 번 분획을 농축한 다음, 다시 메탄올에 용해한 후, 물-아세토니트릴(acetonitrile) 혼합 용매를 30 내지 100%의 아세토니트릴 농도구배의 조건으로 고성능액체크로마토그래피(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HPLC)를 수행하여 활성 물질을 분리하였다. 그런 다음, 상기 활성 물질의 구조를 전기분무이온화 질량분석기(Electrospray ionization-mass spectrometry; ESI-MS), 수소-핵자기공명 분광법(1H-nuclear magnetic resonance; 1H-NMR) 및 탄소-핵자기공명 분광법(13C-NMR)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하기 [표 3] 내지 [표 5]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7 번 분획에서 분리한 활성 물질은 식물에서 대표적인 약용 물질 중 하나로 이미 잘 알려진 리그난(lignan) 계열의 물질인 사우세르네올(saucerneol) 및 사우세르네틴-8(saucernetin-8)인 것을 확인하였으며, 10 번 분획에서 분리한 활성 물질은 마나산틴 B(manassantin B)인 것을 확인하였다.
아울러, 상기 사우세르네올, 사우세르네틴-8 및 마나산틴 B의 1H-NMR (400 MHz, CDCl3) 및 13C-NMR (100 MHz, CDCl3) 데이터를 하기 [표 3] 내지 [표 5]에 각각 나타내었다.
삼백초 추출물로부터 분리한 사우세르네올의 1H-NMR 및 13C-NMR 분석 결과
위치 1H-NMRa 13C-NMR
1 135.2
2 6.81(1H, m) 111.3
3 148.7
4 147.8
5 6.78(1H, d, J = 8.2 Hz) 112.1
6 6.76(1H, dd, J = 1.1, 8.2 Hz) 120.2
7 5.46(1H, d, J = 7.0 Hz) 85.4
8 2.30(1H, m) 44.6
9 0.69(3H, d, J = 6.3 Hz) 14.7
O-CH3-3 3.89(3H, s) 56.4
1' 136.8
2' 7.07(1H, d, J = 1.8 Hz) 112.5
3' 151.5
4' 146.7
5' 6.98(1H, d, J = 8.2 Hz) 126.1
6' 6.83(1H, dd, J = 1.1, 8.2 Hz) 120.1
7' 5.46(1H, d, J = 7.0 Hz) 81.6
8' 2.30(1H, m) 44.6
9' 0.69(3H, d, J = 6.3 Hz) 14.8
O-CH3-3 3.86(3H, s) 56.5
1" 134.1
2" 6.92(1H, d, J = 1.9 Hz) 112.1
3" 150.3
4" 150.1
5" 6.91(1H, d, J = 8.2 Hz) 115.8
6" 6.97(1H, dd, J = 1.9, 8.2 Hz) 120.9
7" 4.72(1H, d, J = 6.3 Hz) 77.9
8" 4.42(1H, d, J = 6.6 Hz) 85.7
9" 1.10(3H, d, J = 6.2 Hz) 16.5
O-CH3-3" 3.82(3H, s) 56.6
O-CH3-4" 3.81(3H, s) 56.6
삼백초 추출물로부터 분리한 사우세르네틴-8의 1H-NMR 및 13C-NMR 분석 결과
위치 1H-NMRa 13C-NMR
1 136.51
2 6.92(2H, d, 1.8 Hz) 110.91
3 146.49
4 148.88
5 6.84(2H, d, 8.2 Hz) 118.75
6 6.83(2H, dd, 1.8, 8.3 Hz) 110.12
7 5.47(2H, d, 6.0 Hz) 83.36
8 2.30 (2H, m ) 44.24
9 0.73(2ⅹ3H, d, 6.6 Hz) 14.89
1' 136.51
2' 6.92(2H, d, 1.8 Hz) 110.91
3' 146.49
4' 148.88
5' 6.84(2H, d, 8.2 Hz) 118.75
6' 6.83(2H, dd, 1.8, 8.3 Hz) 110.12
7' 5.47(2H, d, 6.0 Hz) 83.36
8' 2.30 (2H, m) 44.24
9' 0.73(2ⅹ3H, d, 6.6 Hz) 14.89
1" 132.63
2" 6.94(2H, d, 1.8 Hz) 120
3" 149.04
4" 150.6
5" 6.99(2H, d, 8.2 Hz) 118.73
6" 6.94(2H, dd, 1.8, 8.2 Hz) 110.15
7" 4.66 (2H, d, 8.3 Hz) 78.41
8" 4.13(2H, dd, 6.3, 8.3 Hz) 84.08
9" 1.17(2ⅹ3H, d, 6.3 Hz) 17.04
1"' 132.63
2"' 6.94(2H, d, 1.8 Hz) 120
3"' 149.04
4"' 150.6
5"' 6.99(2H, d, 8.2 Hz) 118.73
6"' 6.94(2H, dd, 1.8, 8.2 Hz) 110.15
7"' 4.66(2H, d, 8.3 Hz) 78.41
8"' 4.13(2H, dd, 6.3, 8.3 Hz) 84.08
9"' 1.17(2ⅹ3H, d, 6.3 Hz) 17.04
OCH3 3.88(3H, s), 3.89(2ⅹ3H, s) 55.91, 55.88
삼백초 추출물로부터 분리한 마나산틴 B의 1H-NMR 및 13C-NMR 분석 결과
위치 1H-NMRa 13C-NMR
1 136.5
2 a 110.6
3 146.3
4 150.5
5 a 108.5
6 a 118.6
7 5.46(1H, d, J = 6 Hz) 83.3
8 2.28 (1H, m) 44.2
9 0.71(3H, d, J = 6.0 Hz) 14.8
O-CH3-3 3.93(3H, s) 55.8
1' 136.5
2' a 110.9
3' 146.4
4' 150.5
5' a 107.5
6' a 118.6
7' 5.46(1H, d, J = 6 Hz) 83.3
8' 2.28 (1H, m) 44.2
9' 0.71(3H, d, J = 6.0 Hz) 14.8
O-CH3-3' 55.8
1" 110.9
2" a 132.5
3" 147.3
4" 148.8
5" a 118.6
6" a 119.9
7" 4.65(1H, d, J = 8.4 Hz) 78.4
8" 4.10(1H, m) 84
9" 1.17(3H, d, J = 6.2 Hz) 16.9
O-CH3-3" 3.89(3H, s) 55.8
O-CH3-4" 3.88(3H, s) 55.8
1"' 110.8
2"' a 133.9
3"' 149
4"' 147.7
5"' a 118.7
6"' a 121
7"' 4.61(1H, d, J = 8.8 Hz) 78.4
8"' 4.10(1H, m) 84
9"' 1.14(3H, d, J = 6.2 Hz) 16.9
O-CH2-O 5.94(2H, s) 101
< 실시예 3> 사우세르네올 ( saucerneol ), 사우세르네틴 -8( saucernetin -8) 및 마나산틴 B( manassantin B)의 세포 독성 및 항바이러스 효과 확인
<3-1> 사우세르네올 , 사우세르네틴 -8 및 마나산틴 B의 세포 독성 및 콕사키바이러스 B3에 대한 항바이러스 효과 확인
삼백초 추출물 및 이의 분획물로부터 분리한 사우세르네올, 사우세르네틴-8 및 마나산틴 B의 항바이러스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서, 사우세르네올, 사우세르네틴-8 및 마나산틴 B의 콕사키바이러스 B3에 대한 항바이러스 효과 및 세포 독성 효과를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실시예 <2-2>에서 수득한 사우세르네올, 사우세르네틴-8 또는 마나산틴 B을 각각 0.1, 1, 10 또는 100 ㎍/㎖의 농도로 희석하여 활성 물질을 준비하였다. 그런 다음, 96 웰 배양 플레이트(Nunc, Denmark)에 웰 당 2×104 개의 세포농도로 베로 세포를 접종하고 24 시간 동안 배양하여 세포가 90% 자랐을 때, 각 웰의 배지를 제거하고 인산완충식염수 용액으로 1 회 세척한 후, 1% FBS 및 CVB3을 포함하는 MEM 배지 90 ㎕ 및, 상기 준비한 활성 물질 10 ㎕을 첨가하여, 37℃ 및 5% 이산화탄소의 조건으로 CO2 배양기 (VS-9108MS, Vision, Korea)에서 2 일 동안 배양한 후, SRB법을 수행하고 세포의 형태를 위상차현미경(Axiovert 10; Zeiss, Wetzlar, Germany)에서 32×10 배율로 관찰하여 항바이러스 효과를 확인하였다. 아울러, 세포 독성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CVB3를 첨가하지 않고 상기 항바이러스 효과 확인 방법과 동일한 방법을 수행하였다. 아울러, 양성 대조군으로는 상기 활성 물질 대신 리바비린(ribavirin; DUCHEFA 사에서 구입)을 첨가하였으며, 음성 대조군으로는 상기 활성 물질을 첨가하지 않고 CVB3을 첨가하였고, 무처리 대조군으로는 상기 활성 물질 및 CVB3를 첨가하지 않고 상기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세포를 배양하였다. 모든 실험은 동일한 과정을 3 회 반복 수행하였으며, 평균값을 결과에 나타내었다.
그 결과, 하기 [표 6] 및 도 1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사우세르네올, 사우세르네틴-8 및 마나산틴 B의 최대 농도인 100 ㎍/㎖에서 세포 독성 효과이 50% 미만인 반면, 바이러스 활성을 50% 억제하는 농도인 IC50는 사우세르네올에서 2.19 ㎍/㎖, 사우세르네틴-8에서 6.45 ㎍/㎖, 및 마나산틴 B에서 0.88 ㎍/㎖인 것을 확인하였다(표 6 및 도 1). 양성 대조군으로 사용한 리바비린은 CVB3에 대한 항바이러스 활성을 거의 나타내지 않는 것을 확인하였다(표 6).
베로 세포에서 CVB3에 대한 사우세르네올, 사우세르네틴-8 및 마나산틴 B의 항바이러스 효과 확인
바이러스 콕사키바이러스 B3
CC50 a IC50 b TIc
사우세르네올 >100 2.19 1.25 45.66
사우세르네틴-8 >100 6.45 1.46 15.50
마나산틴 B >100 0.88 0.05 113.6
리바비린 >100 NDd -
a CC50는 세포 독성 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세포의 성장을 50% 저해하는 화합물의 농도를 나타낸다(㎍/㎖).
b IC50는 항바이러스 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바이러스-유도의 세포병변효과를 50% 저해하는 분획 또는 리바비린의 농도를 나타낸다(㎍/㎖).
c TI는 CC50/IC50 으로 계산하였다.
d 검출되지 않음을 나타낸다.
<3-2> 사우세르네올 , 사우세르네틴 -8 및 마나산틴 B의 세포 독성 및 유사 엔테로바이러스 대한 항바이러스 효과 확인
상기 실시예 <3-1>에서 확인한 사우세르네올, 사우세르네틴-8 및 마나산틴 B의 항바이러스 효과 및 세포 독성 효과가 CVB3 이외의 다른 엔테로바이러스에도 적용되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사우세르네올, 사우세르네틴-8 및 마나산틴 B의 세포 독성 및 유사 엔테로바이러스에 대한 항바이러스 효과를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콕사키바이러스 B형(CVB)인 CVB1, CVB2, CVB4, CVB5 및 CVB6, 콕사키바이러스 A형(CVA)인 CVA16 및 인간 엔테로바이러스 제 71형(enterovirus 71; EV71)을 상기 실시예 <3-1>과 동일한 방법으로 사우세르네올, 사우세르네틴-8 및 마나산틴 B의 세포 독성 및 항바이러스 효과를 확인하였다. 아울러, 양성 대조군으로는 상기 활성 물질 대신 리바비린을 첨가하였으며, 음성 대조군으로는 상기 활성 물질을 첨가하지 않고 CVB3을 첨가하였고, 무처리 대조군으로는 상기 활성 물질 및 CVB3를 첨가하지 않고 상기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세포를 배양하였다. 모든 실험은 동일한 과정을 3 회 반복 수행하였으며, 평균값을 결과에 나타내었다.
그 결과, 하기 [표 7] 내지 [표 9] 및 도 2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사우세르네올, 사우세르네틴-8 및 마나산틴 B이 모든 바이러스에 대해 2 내지 40 ㎍/㎖의 IC50을 보여 항바이러스 활성을 가지며, 사우세르네틴-8에 비해 사우세르네올 및 마나산틴 B이 상대적으로 높은 항바이러스 활성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표 7 내지 9 및 도 2).
다양한 인간 엔테로바이러스(Human enterovirus; HEV)에 대한 마나산틴 B의 항바이러스 효과 확인
바이러스 마나산틴 B
CC50 a IC50 b TIc
콕사키바이러스 B1 >100 6.17±0.91 16.20
콕사키바이러스 B2 >100 4.81±1.34 20.79
콕사키바이러스 B4 >100 6.51±0.48 15.36
콕사키바이러스 B5 >100 8.20±0.98 12.19
콕사키바이러스 B6 >100 7.72±0.47 12.95
콕사키바이러스 A16 >100 4.67±0.65 21.41
엔테로바이러스 71 >100 5.87±1.32 17.03
a CC50는 세포 독성 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세포의 성장을 50% 저해하는 마나산틴 B의 농도를 나타낸다(㎍/㎖).
b IC50는 항바이러스 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바이러스-유도의 세포병변효과를 50% 저해하는 마나산틴 B의 농도를 나타낸다(㎍/㎖).
c TI는 CC50/IC50 으로 계산하였다.
d 검출되지 않음을 나타낸다.
다양한 HEV에 대한 사우세르네올의 항바이러스 효과 확인
바이러스 사우세르네올
CC50 a IC50 b TIc
콕사키바이러스 B1 >100 6.44±0.63 15.53
콕사키바이러스 B2 >100 5.07±1.02 19.72
콕사키바이러스 B4 >100 1.93±0.98 51.81
콕사키바이러스 B5 >100 6.46±0.10 15.48
콕사키바이러스 B6 >100 5.07±0.90 19.72
콕사키바이러스 A16 >100 4.75±1.11 21.05
엔테로바이러스 71 >100 6.60±0.14 15.15
a CC50는 세포 독성 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세포의 성장을 50% 저해하는 사우세르네올의 농도를 나타낸다(㎍/㎖).
b IC50는 항바이러스 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바이러스-유도의 세포병변효과를 50% 저해하는 사우세르네올의 농도를 나타낸다(㎍/㎖).
c TI는 CC50/IC50 으로 계산하였다.
d 검출되지 않음을 나타낸다.
다양한 HEV에 대한 마나산틴 B의 항바이러스 효과 확인
바이러스 사우세르네틴-8
CC50 a IC50 b TIc
콕사키바이러스 B1 >100 33.1±1.40 6.44
콕사키바이러스 B2 >100 11.1±2.68 9.00
콕사키바이러스 B4 >100 37.5±2.91 2.66
콕사키바이러스 B5 >100 6.46±1.18 15.48
콕사키바이러스 B6 >100 37.4±1.16 12.95
콕사키바이러스 A16 >100 8.63±0.59 21.41
엔테로바이러스 71 >100 25.6±3.86 17.03
a CC50는 세포 독성 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세포의 성장을 50% 저해하는 마나산틴 B의 농도를 나타낸다(㎍/㎖).
b IC50는 항바이러스 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바이러스-유도의 세포병변효과를 50% 저해하는 마나산틴 B를 나타낸다(㎍/㎖).
c TI는 CC50/IC50 으로 계산하였다.
d 검출되지 않음을 나타낸다.
< 실시예 4> 사우세르네올 , 사우세르네틴 -8 및 마나산틴 B의 엔테로바이러스 대한 증식 억제 효과 확인
사우세르네올, 사우세르네틴-8 및 마나산틴 B의 바이러스의 복제 및 증식 억제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바이러스의 게놈을 추출하여 유전적으로 잘 보존되어 있는 5`NCR 부위의 RT-PCR을 수행하여 RNA 양을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96 웰 배양 플레이트(Nunc, Denmark)에 웰 당 2×104 개의 세포농도로 베로 세포를 접종하고 24 시간 동안 배양한 후, 각 웰의 배지를 제거하고 인산완충식염수 용액으로 1 회 세척하고, 1% FBS 및 CVB3을 포함하는 MEM 배지 90 ㎕ 및, 10 ㎍/㎖ 농도의 사우세르네올, 사우세르네틴-8 및 마나산틴 B 10 ㎕을 첨가하여, 37℃ 및 5% 이산화탄소의 조건으로 CO2 배양기 (VS-9108MS, Vision, Korea)에서 2 일 동안 배양하였다. 그런 다음, QIAamp 바이랄 RNA 미니 키트(viral RNA Mini kit; QIAGEN 사 구입)을 사용하여 제조사의 프로토콜에 따라 바이러스의 RNA를 추출하였다. 추출한 RNA는 정량 후, 10mM dNTP(Bioneer사에서 구입) 4 ㎕, 5×RTase 완충용액(Invitrogen사에서 구입) 4 ㎕, 몰로니 뮤린 백혈병 바이러스(Moloney Murine Leukemia Virus; MMLV) 유래 RNA 역전사효소(Reverse Transcriptase)(Invitrogen사에서 구입) 2.5 U, 올리고-dT(Invitrogen사에서 구입) 1 ㎕ 및 RNA 추출액 2 ㎕을 혼합하여 증류수로 최종 부피가 20 ㎕이 되도록 적정한 후, 37℃에서 90 분, 95℃에서 5 분간 반응하여 cDNA를 합성하였다. 합성한 cDNA를 시료로 사용하여 10 mM의 dNTP 4 ㎕, 10×Taq DNA 중합효소 완충용액(polymerase buffer)(Bioneer사에서 구입) 5 ㎕, 10 pM의 Ent-F 정방향 프라이머(서열 번호: 1) 1 ㎕, Ent-R 역방향 프라이머(서열 번호: 2) 1 ㎕, Taq DNA 중합효소(Bioneer사에서 구입) 2 U, cDNA 2 ㎕을 혼합하여 증류수로 최종 부피가 50 ㎕이 되도록 적정한 후, 94℃에서 3 분 동안 전-변성하고, 94℃ 30 초, 52℃ 30초 및 72℃ 45초를 35 회 반복한 다음, 72℃에서 7 분 동안 반응하여 cDNA를 증폭한 후, 전기영동을 수행하여 RNA의 발현 여부를 확인하였다. 상기 프라이머의 서열은 하기 [표 10]에 나타내었으며, 대조군으로는 β-액틴(β-actin) mRNA를 증폭하여 상기와 동일한 방법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도 3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리바비린을 첨가한 경우에 RNA의 발현을 억제하지 못하였으나, 사우세르네올, 사우세르네틴-8 및 마나산틴 B의 모든 경우에서 감염 48 시간 후 모든 바이러스의 RNA 발현을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3).
CVB3 및 β-actin의 cDNA 증폭을 위한 프라이머 서열
프라이머 서열 증폭 지역 예상 증폭 길이
(bp)
ENT-F
(서열 번호: 1)
5'-AAGCACTTCTGTTTCCCCGG-3' 5'-NCR
341
ENT-R
(서열 번호: 2)
5'-ATTGTCACCATAAGCAGCCA-3' 5'-NCR
β-액틴-F
(서열 번호: 3)
5’-TTGAGACCTTCAACACCC-3’ β-액틴
1300
β-액틴-R
(서열 번호: 4)
5'-TCAGCTTTTCGAAGTCATCTC-3' β-액틴
< 제조예 1> 약학적 제제의 제조
<1-1> 산제의 제조
본 발명의 삼백초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 0.1 g
유당 1.5 g
탈크 0.5 g
상기의 성분들을 혼합하고 기밀포에 충진하여 산제를 제조하였다.
<1-2> 정제의 제조
본 발명의 삼백초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 0.1 g
락토오스 7.9 g
결정성 셀룰로오스 1.5 g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0.5 g
상기의 성분들을 혼합한 후 직타법(direct tableting method)으로 정제를 제조하였다.
<1-3> 캡슐제의 제조
본 발명의 삼백초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 0.1 g
옥수수전분 5 g
카르복시 셀룰로오스 4.9 g
상기의 성분들을 혼합하여 분말을 제조한 후, 상기 분말을 통상의 캡슐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경질 캡슐에 충전하여 캡슐제를 제조하였다.
<1-4> 주사제의 제조
본 발명의 삼백초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 0.1 g
주사용 멸균 증류수 적량
pH 조절제 적량
통상의 주사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1 앰플 당(2 ㎖) 상기의 성분 함량으로 제조하였다.
<1-5> 액제의 제조
본 발명의 삼백초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 0.1 g
이성화당 10 g
만니톨 5 g
정제수 적량
통상의 액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정제수에 각각의 성분을 가하여 용해시키고, 레몬향을 적량 가한 다음 상기의 성분을 혼합하였다. 그 다음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 100 로 조절한 후 갈색병에 충진하여 멸균시켜 액제를 제조하였다.
< 제조예 2> 건강식품의 제조
<2-1> 밀가루 식품의 제조
본 발명의 삼백초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 0.5 ~ 5.0 중량부를 밀가루에 첨가하고, 이를 혼합한 혼합물을 이용하여 빵, 케이크, 쿠키, 크래커 및 면류를 제조하였다.
<2-2> 스프 및 육즙( gravies )의 제조
본 발명의 삼백초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 0.1 ~ 5.0 중량부를 스프 및 육즙에 첨가하여 건강 증진용 육가공 제품, 면류의 수프 및 육즙을 제조하였다.
<2-3> 그라운드 비프(ground beef)의 제조
본 발명의 삼백초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 10 중량부를 그라운드 비프에 첨가하여 건강 증진용 그라운드 비프를 제조하였다.
<2-4> 유제품( dairy products )의 제조
본 발명의 삼백초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 5 ~ 10 중량부를 우유에 첨가하고, 상기 우유를 이용하여 버터 및 아이스크림과 같은 다양한 유제품을 제조하였다.
<2-5> 선식의 제조
현미, 보리, 찹쌀, 율무를 공지의 방법으로 알파화시켜 건조시킨 것을 배전한 후 분쇄기로 입도 60 메쉬의 분말로 제조하였다.
검정콩, 검정깨, 들깨도 공지의 방법으로 쪄서 건조시킨 것을 배전한 후 분쇄기로 입도 60 메쉬의 분말로 제조하였다.
본 발명의 삼백초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진공 농축기에서 감압농축하고, 분무, 열풍건조기로 건조하여 얻은 건조물을 분쇄기로 입도 60 메쉬로 분쇄하여 건조분말을 얻었다.
상기에서 제조한 곡물류, 종실류 및, 본 발명의 삼백초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하기의 비율로 배합하여 제조하였다.
곡물류(현미 30 중량부, 율무 15 중량부, 보리 20 중량부),
종실류(들깨 7 중량부, 검정콩 8 중량부, 검정깨 7 중량부),
본 발명의 삼백초 추출물, 이의 분획물, 이로부터 분리된 [화학식 1]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3 중량부),
영지(0.5 중량부),
지황(0.5 중량부)
<2-6> 건강보조식품의 제조
본 발명의 삼백초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 100 ㎎
비타민 혼합물 적량
비타민 A 아세테이트 70 ㎍
비타민 E 1.0 ㎎
비타민 B1 0.13 ㎎
비타민 B2 0.15 ㎎
비타민 B6 0.5 ㎎
비타민 B12 0.2 ㎍
비타민 C 10 ㎎
비오틴 10 ㎍
니코틴산아미드 1.7 ㎎
엽산 50 ㎍
판토텐산 칼슘 0.5 ㎎
무기질 혼합물 적량
황산제1철 1.75 ㎎
산화아연 0.82 ㎎
탄산마그네슘 25.3 ㎎
제1인산칼륨 15 ㎎
제2인산칼슘 55 ㎎
구연산칼륨 90 ㎎
탄산칼슘 100 ㎎
염화마그네슘 24.8 ㎎
상기의 비타민 및 미네랄 혼합물의 조성비는 비교적 건강식품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으나,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며, 통상의 건강식품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과립을 제조하고, 통상의 방법에 따라 건강식품 조성물 제조에 사용할 수 있다.
< 제조예 3> 건강 음료의 제조
본 발명의 삼백초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 100 ㎎
구연산 100 ㎎
올리고당 100 ㎎
매실농축액 2 ㎎
타우린 100 ㎎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 500 ㎖
통상의 건강음료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약 1 시간 동안 85℃에서 교반 가열한 후, 만들어진 용액을 여과하여 멸균된 1 ℓ용기에 취득하여 밀봉 멸균한 뒤 냉장 보관하여 본 발명의 건강음료 조성물 제조에 사용한다.
상기 조성비는 비교적 기호 음료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으나, 수요계층, 수요국가, 사용 용도 등 지역적, 민족적 기호도에 따라서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다.
<110> Korea Research Institute of Bioscience and Biotechnology <120>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ntaining Saururus chinensis extract or fractions thereof for anti-virus <130> 13P-07-022 <160> 4 <170> KopatentIn 2.0 <210> 1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ENT-F <400> 1 aagcacttct gtttccccgg 20 <210> 2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ENT-R <400> 2 attgtcacca taagcagcca 20 <210> 3 <211> 18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b-actin-F <400> 3 ttgagacctt caacaccc 18 <210> 4 <211> 2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b-actin-R <400> 4 tcagcttttc gaagtcatct c 21

Claims (8)

  1. 삼백초(Saururus chinensis)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 콕사키바이러스용 약학적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물, C1 내지 C2의 저급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용매로 하여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 콕사키바이러스용 약학적 조성물.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저급 알코올은 에탄올 또는 메탄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 콕사키바이러스용 약학적 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획물은 삼백초 추출물에 추가적으로 유기용매를 가하여 제조한 분획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 콕사키바이러스용 약학적 조성물.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용매는 헥산, 에틸 아세테이트 및 부탄올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어진 하나 또는 그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 콕사키바이러스용 약학적 조성물.
  6. 삭제
  7. 삭제
  8. 삼백초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 콕사키바이러스용 건강기능식품.
KR1020130099223A 2013-08-21 2013-08-21 삼백초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바이러스용 약학적 조성물 KR1016910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9223A KR101691032B1 (ko) 2013-08-21 2013-08-21 삼백초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바이러스용 약학적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9223A KR101691032B1 (ko) 2013-08-21 2013-08-21 삼백초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바이러스용 약학적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1805A KR20150021805A (ko) 2015-03-03
KR101691032B1 true KR101691032B1 (ko) 2016-12-29

Family

ID=530200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99223A KR101691032B1 (ko) 2013-08-21 2013-08-21 삼백초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바이러스용 약학적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103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2567B1 (ko) * 2013-08-30 2017-04-05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삼백초 추출물 및 이의 분획물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바이러스용 약학적 조성물
CN110746384A (zh) * 2019-08-16 2020-02-04 中山大学 三白草中提取的化合物及其在防治鼻咽癌治疗中的应用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4106B1 (ko) * 2006-05-30 2008-04-21 주식회사 씨티씨바이오 흰반점바이러스를 치료 또는 예방하기 위한 조성물 및 방법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Zhongguo Zhong Yao Za Zhi. 2012. Vol. 37, No. 11, pp. 1642-1645*
한국가축위생학회지. 2013. 제36권 제2호. 87-93 페이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1805A (ko) 2015-03-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35576B1 (ko) 자생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1364234B1 (ko) 팥꽃나무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1705548B1 (ko) 아피오스 추출물 또는 아피오스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증강용 조성물
KR20230006422A (ko) 노다케닌 또는 노다케네틴을 포함한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억제용 조성물
KR20170121866A (ko) 밀리타리스 동충하초 추출물, 그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분리된 코디세핀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암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05072758A1 (en) Composition comprising hovenia dulcis thunb. extract, lindera obtusiloba blume extract, or herbal mixture extract thereof
KR101722567B1 (ko) 삼백초 추출물 및 이의 분획물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바이러스용 약학적 조성물
KR101236233B1 (ko) 이고들빼기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 기능 개선용 약학적 조성물 및 간 기능 개선용 건강기능 식품조성물
KR101673894B1 (ko) 황금 추출물 및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엔테로 바이러스에 기인한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691032B1 (ko) 삼백초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바이러스용 약학적 조성물
EP2535056A2 (en)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rotavirus infection containing licorice extract
KR101646009B1 (ko) 오록실린(oroxylin) A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엔테로 바이러스에 기인한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140129492A (ko) 꾸지뽕나무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관절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018403B1 (ko) 콩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통풍 예방,지연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935689B1 (ko) 대추, 감초 및 도라지 혼합 추출물의 발효물을 함유하는 면역 증강용 조성물
KR101692889B1 (ko) 두메닥나무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40088969A (ko) 갈근엑스 발효물을 함유한 간손상 보호용 조성물
KR101553109B1 (ko) 정제봉독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바이러스 또는 항종양 조성물
KR20190044171A (ko) 고미신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2361793B1 (ko) 블루베리 및 흑미 추출물의 발효물을 포함하는 염증성 장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40142516A (ko) 시호 및 꽈리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110118748A (ko) 한대리곰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1526876B1 (ko) 오가피 잎 추출물의 새로운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오가피 잎 추출물
KR20140088970A (ko) 황금엑스 발효물을 함유한 간손상 보호용 조성물
KR102416208B1 (ko) 발효된 선복화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인플루엔자 바이러스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0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