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6516B1 - 수력 발전 장치 - Google Patents

수력 발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56516B1
KR102656516B1 KR1020217003001A KR20217003001A KR102656516B1 KR 102656516 B1 KR102656516 B1 KR 102656516B1 KR 1020217003001 A KR1020217003001 A KR 1020217003001A KR 20217003001 A KR20217003001 A KR 20217003001A KR 102656516 B1 KR102656516 B1 KR 1026565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hydroelectric power
grease
bearing
power gene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030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37664A (ko
Inventor
도모야 가와이
히로미쓰 곤도
Original Assignee
엔티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엔티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엔티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100376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76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65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6516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B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 F03B3/00Machines or engines of reaction type; Parts or details peculiar thereto
    • F03B3/12Blades; Blade-carrying rotors
    • F03B3/128Mounting, demoun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B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 F03B11/00Parts or detail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the preceding groups, e.g. wear-protection couplings, between turbine and generator
    • F03B11/06Bearing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B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 F03B3/00Machines or engines of reaction type; Parts or details peculiar thereto
    • F03B3/04Machines or engines of reaction type; Parts or details peculiar thereto with substantially axial flow throughout rotors, e.g. propeller turb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B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 F03B7/00Water whe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40/00Components
    • F05B2240/50Bea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60/00Function
    • F05B2260/40Transmission of pow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60/00Function
    • F05B2260/98Lubric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20Hydro energy

Abstract

본 발명의 수력 발전 장치는, 수차(2) 및 발전기(8)를 구비하는 수력 발전 모듈(3)과, 수로(1)의 양 사이드 측에 1개씩 설치되는 한 쌍의 수로 고정체(11,11)와, 이들 수로 고정체(11,11)에 설치된 조심성을 가지는 베어링 유닛(13, 13)에 양단에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회전빔(14)을 구비하고, 이 회전빔(14)에 접합되어 수력 발전 모듈(3)을 지지하고 수차(2)의 하단이 수로(1)의 수면보다 아래에 위치하는 수몰 자세와 수차(2)의 전체가 수면보다 위에 위치하는 대기 자세에 걸쳐 상하로 회전 가능한 회전 가대 (6)를 구비한다. 베어링 유닛(13)의 윤활제는, 열고화형의 식품 기계용 그리스이다.

Description

수력 발전 장치
본 출원은, 2018년 8월 2일자 일본 특허출원 2018-145904의 우선권을 주장하는 것이며, 이들 전체를 참조에 의해 본원의 일부를 이루는 것으로서 인용한다.
본 발명은, 농업용 수로, 상하수도, 공업용 수로, 소하천 등의 수로에 설치되는 수력 발전 장치에 관한 것이며, 특히 그 수로로부터의 인상(引上)을 위한 기구(機構)에서의 윤활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수력 발전 장치는, 유수(流水)가 가지는 운동 에너지를 발전에 사용하는 시스템이다. 이 수력 발전 장치 중에서 소형의 것은, 농업용수 등의 수로에 설치하여 사용되고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이와 같은 수로에 설치된 수력 발전 장치는, 유지보수를 위해서는, 회전 날개 또는 기어, 오일 시일 등의 교환 시, 수차(水車; water wheel)를 수로로부터 끌어올릴 필요가 있다. 또한, 증수(增水) 등의 긴급 시에도, 일수(溢水; overflow)나 수력 발전 장치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수로로부터 끌어올릴 필요가 있다.
종래에는, 수력 발전 장치를 수로로부터 끌어올릴 때, 크레인차 대신에, 수력 발전 장치에 장비된 리프팅 기구(lifting mechanism), 수동 레버, 미끄럼 나사 등을 사용하여, 수력 발전 모듈을 지지하는 가대(mount cradle)를 회전시켜 끌어올리고 있었다.
그리고, 열고화형(熱固化型)의 식품 기계용 그리스(grease)가, 특허문헌 2 등에 개시되어 있다.
일본 공개특허 제2015-14219호 공보 일본 공개특허 제2016-180476공보
가대를 회전시키는 회전빔(rotating beam)(축)에 사용되는 베어링은, 회전빔에 탑재되는 수력 발전 모듈의 중량 및 유속(流速; flow rate) 변동에 의해 수차 날개가 받는 하중(荷重; load) 변동으로부터 회전빔이 휘기 때문에, 조심성(調心性)을 가지는 베어링 유닛의 적용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밤낮의 온도차 등에 의해 차폐판을 접착해도, 베어링 내부로부터의 그리스의 누출(漏洩)을 방지하는 것은 곤란하다. 한편, 상기 회전빔을 지지하는 베어링은, 수로의 바로 위쪽 또는 수로벽의 가장 가까이에 배치되므로, 만일, 그리스가 누출되면, 용수가 오염된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이며, 그 목적은, 수력 발전 모듈의 수몰(水沒) 자세와 대기 자세와의 사이의 원활한 회전을 확보하면서, 윤활제의 누출에 의한 용수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수력 발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수력 발전 장치는, 수차, 및 이 수차의 회전에 의해 발전하는 발전기를 구비하는 수력 발전 모듈과, 수로의 양 사이드 측에 1개씩 설치되는 한 쌍의 수로 고정체와, 이들 수로 고정체에 설치된 조심성을 가지는 베어링 유닛에 양단에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회전빔과, 이 회전빔에 접합되어 상기 수력 발전 모듈을 지지하고 상기 수차의 하단(下端)이 상기 수로의 수면보다 아래에 위치하는 수몰 자세와 상기 수차의 전체가 상기 수로의 수면보다 위에 위치하는 대기 자세에 걸쳐 상하로 회전 가능한 회전 가대(rotating mount)를 구비하고,
상기 베어링 유닛의 윤활을 행하는 윤활제가, 열고화형의 식품 기계용 그리스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회전빔의 양단이 조심성을 가지는 베어링 유닛으로 지지되어 있으므로, 회전빔에 탑재되는 수력 발전 모듈의 중량이나 유속 변동 등으로 수차 날개가 받는 하중 변동에 의해 회전빔에 휨이 생겨도, 베어링 유닛의 조심성에 의해, 원활한 회전을 얻을 수 있다.
상기 윤활제는, 열고화형의 식품 기계용 그리스가 사용되고 있어, 베어링 유닛으로의 충전 후에는 고형(固形) 상태로 되므로, 밤낮의 온도차 등이 있어도 누출이 쉽게 생기지 않고, 또한 만일 누출이 생겨도, 식품 기계용이므로, 용수의 오염 또는 손상에 의한 인체나 생물에 대한 피해가 생기지 않는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회전빔의 편단(片端)이, 커플링을 통하여 회전 구동 장치와 접속되고, 상기 회전 구동 장치의 윤활제가, 열고화형의 식품 기계용 그리스라도 된다.
회전빔을 회전 구동 장치로 회전시키도록 하면, 수몰 자세와 대기 자세 사이의 자세 변경이 용이하지만, 회전 구동 장치에 있어서의 윤활제의 누출에 의한 문제가, 베어링 유닛과 마찬가지로 생긴다. 그러나, 회전 구동 장치의 윤활제에도 열고화형의 식품 기계용 그리스를 사용하고 있으면 그리스의 누출이 쉽게 생기지 않고, 또한 만일, 누출이 생겨도, 용수의 오염 또는 손상에 의한 인체나 생물에 대한 해가 생기지 않는다.
회전 구동 장치를 접속하는 경우에, 그 접속용의 상기 커플링이 체인 커플링으로서, 상기 커플링의 윤활제가, 열고화형의 식품 기계용 그리스라도 된다.
회전 구동 장치의 접속에 체인 커플링을 사용하면, 회전빔이 휨, 베어링 유닛의 베어링이 조심(調心)하여 기울어도, 체인 커플링이 경사를 흡수하고, 인접하는 회전 구동 장치에 편하중(偏荷重)을 부여하지 않는다. 즉, 이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회전 구동 장치(예를 들면, 그 감속기)가 원활하게 가동(稼動)한다. 체인 커플링은 윤활이 필요하지만, 그 윤활제에도 열고화형의 식품 기계용 그리스를 사용하므로, 체인 커플링의 윤활제에 대해서도, 누출이 쉽게 생기지 않고, 또한 만일, 누출이 생겨도, 용수의 오염 또는 손상에 의한 인체나 생물에 대한 해가 생기지 않는다.
특허청구범위 및/또는 명세서 및/또는 도면에 개시된 2개 이상의 구성의 어떠한 조합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 특히, 청구의 범위의 각 청구항의 2개 이상의 어떠한 조합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
본 발명은,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의 설명으로부터 더욱 명료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실시형태 및 도면은 단순한 도시 및 설명을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정하기 위해 이용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한 청구의 범위에 의해 정해진다. 첨부 도면에 있어서, 복수의 도면에서의 동일한 도면 번호는, 동일 부분을 나타낸다.
도 1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수력 발전 장치의 수몰 자세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동 수력 발전 장치의 대기 자세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동 수력 발전 장치의 수로에 대한 설치 상태에서의 수몰 자세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동 수력 발전 장치의 수로에 대한 설치 상태에서의 인상 도중의 자세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동 수력 발전 장치에 있어서의 베어링 유닛의 일례의 파단(破斷) 사시도이다.
도 6은 동 수력 발전 장치에 있어서의 체인 커플링의 일례를 나타낸 단면도(斷面圖)이다.
도 7은 동 수력 발전 장치의 수력 발전 모듈의 장착 위치를 변경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동 수력 발전 장치에 카운터 웨이트를 장착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관한 수력 발전 장치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를 도 1 내지 도 7과 함께 설명한다.
<수력 발전 장치 전체의 개략적인 구성>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수력 발전 장치는, 수로(1)에 설치되고, 수류(水流)에 의한 수차(2)의 회전에 의해 발전을 행한다. 수로(1)는, 농업용 수로, 공업용 수로, 소하천 등이며, 동 도면의 예에서는 수로벽이 콘크리트 등으로 이루어지는 저벽부(底璧部)(1a) 및 양측의 측벽부(1b, 1b)로 구성되어 있다.
이 수력 발전 장치는, 수력 발전 모듈(3)과, 이 수력 발전 모듈(3)을 수로(1)에 지지하는 지지 장치(4)로 구성된다. 지지 장치(4)는, 수로(1)의 양 사이드 측에 1개씩 설치된 한 쌍의 수로 고정체(11,11)와, 이들 수로 고정체(11,11)에 설치된 조심성을 가지는 베어링 유닛(13, 13)에 양단에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회전빔(14)과, 이 회전빔(14)에 접합되어 상기 수력 발전 모듈(3)을 지지하고 수차(2)의 하단이 수로(1)의 수면 S보다 아래에 위치하는 수몰 자세와 수차(2)의 전체가 수로(1)의 수면 S보다 위에 위치하는 대기 자세에 걸쳐 상하로 회전 가능한 회전 가대(6)를 구비한다. 상기 한 쌍의 수로 고정체(11,11)는, 이음재(12)에 접속되고, 고정대(5)를 구성한다. 회전빔(14)의 일단(一端)은, 회전 구동 장치(15)에 커플링(16)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수력 발전 모듈(3)에 대하여>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력 발전 모듈(3)은, 수차(2) 및 이 수차(2)의 회전에 의해 발전하는 발전기(8)를 구비한다. 발전기(8)는, 예를 들면, 영구 자석 동기형(同期型)이다.
수차(2)는 통상은 수로(1)의 유수 중에 잠기는 상태로 설치되고, 수력을 회전력으로 변환한다. 수차(2)는, 회전 축심 O1이 수로(1)의 수류의 방향과 평행한 프로펠러형이며, 상기 회전 축심 O1의 주위에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복수 개(도시한 예에서는 5개)의 날개(2a)를 구비하고 있다. 수차(2)의 방향은, 정면이 수류의 위쪽을 향하고, 기어 박스(9)가 배면에 위치한다.
수차(2)의 회전축(도시하지 않음)은, 기어 박스(9)에 설치된 베어링(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수차(2)의 회전은, 기어 박스(9) 내에서 맞물리는 베벨기어 등의 기어열(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증속된다. 기어 박스(9) 내에는 그리스가 봉입(封入)되어 있다. 기어 박스(9)의 출력축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지지통(10) 내의 전달축(도시하지 않음)을 통하여 발전기(8)의 축(도시하지 않음)에 접속되어 있다.
<회전빔(14), 회전 가대(6)에 대하여>
회전빔(14)은, 각(角) 파이프로 구성되며, 양단에 장착된 피(被)지지 부품에서의 단면(斷面) 형상 원형의 부분이 상기 베어링 유닛(13)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회전 가대(6)는, 회전빔(14)의 측면에 캔틸레버형(cantilever manner)으로 연장되어 장착된 프레임워크 바디(framework body) 타입의 가대이다. 회전 가대(6)는, 회전빔(14)의 측면에 각각 기단(基端; base end)이 용접 등으로 접합된 2개의 평행한 캔틸레버 프레임재(18, 18)와, 이들 캔틸레버 프레임재(18, 18) 사이에 걸쳐친 설치판(19)을 구비한다. 2개의 캔틸레버 프레임재(18, 18)는 앵글재 등으로 이루어지고, 내측을 대향시켜고 또한 상방향으로 설치되어 있다.
발전기(8)는, 설치판(19) 상에 장착된 발전기 테이블(20)에 의해, 그 축이 설치판(19)에 수직인 방향으로 설치되어 있다. 상기 지지통(10)은, 상기 설치판(19)의 하면에 장착되어 있다.
<모듈 위치 변경 수단(31), 모멘트 증대 수단에 대하여>
회전 가대(6)에는, 수력 발전 모듈(3)을 상하 회동(回動)시켜 수차(2)를 상기 대기 자세로 끌어올리거나, 대기 위치로부터 수몰 자세로 가라앉히거나 할 때, 수로(1)의 수류에 의한 영향을 완화시키기 위한 수단으로서, 회전 가대(6)의 수류에 대향하는 모멘트를 증대시키는 수단이 설치되어 있다. 이 모멘트 증대 수단으로서, 회전 가대(6)의 회전 축심 O에 대하여 원근 방향으로, 수력 발전 모듈(3)의 장착 위치를 변경 가능하게 한 모듈 위치 변경 수단(31)이 설치되어 있다. 모듈 위치 변경 수단(31)은, 구체적으로는, 회전 가대(6)의 캔틸레버 프레임재(18, 18)에 프레임 길이 방향으로 나란히 설치되고, 선택적으로 수력 발전 모듈(3)의 장착에 사용되는 복수의 장착공(33)으로 이루어진다. 도 1은 변경 수력 발전 모듈(3)을 회전 축심 O에 가장 근접하여 설치한 상태를 나타내고, 도 7은 변경 수력 발전 모듈(3)을 회전 축심 O에 대하여 가장 멀리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다
<회전 구동 장치(15)에 대하여>
회전 구동 장치(15)는, 수력 발전 모듈(3)을 상기 수몰 자세와 대기 자세와의 사이에서 회동시키는 장치이며, 회전빔(14)을, 예를 들면, 90°의 범위에서 정역(正逆)으로 회전시킨다. 회전 구동 장치(15)는, 전동의 모터와, 이 모터의 회전을 감속하는 감속기(모두 도시하지 않음)로 구성되며, 상기 수로 고정 프레임(11) 상에 설치된 회전 장치 받침대(17) 상에 설치되어 있다. 회전 구동 장치(15) 측의 상기 베어링 유닛(13)은, 상기 회전 장치 받침대(17) 상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모터 및 상기 감속기의 출력축은, 상기 회전빔(14)의 회전 축심 O과 동심(同心)으로 되어 있다. 회전 구동 장치(15)의 상기 감속기 내에는, 윤활제로서, 열고화형의 식품 기계용 그리스가 봉입되어 있다.
그리고, 수력 발전 모듈(3)을 상기 수몰 자세와 대기 자세로 위치결정하거나, 또한 위치 결정 상태로 고정시키는 스토퍼나 록 기구 등의 위치 결정 수단(도시하지 않음)을, 고정 기대(基臺; base)(5)와 회전빔(14) 등의 사이에 설치해도 된다.
<베어링 유닛(13)에 대하여>
베어링 유닛(13)은, 베개형 등의 축 상자 내에 볼베어링 등의 롤링 베어링을 구비한 구성으로서, 조심 기능을 가지고 있다.
도 5는, 베어링 유닛(13)의 일례를 나타낸다. 이 베어링 유닛(13)은, 베개형 등의 축 상자(34)의 내주(內周)에 형성된 오목 구면(球面)의 베어링 끼워맞춤면(34a)에, 롤링 베어링(35)의 외륜(36)의 구면형(球面形)의 외주면(外周面)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맞추어짐으로써, 조심 기능을 가지고 있다. 롤링 베어링(35)에 있어서는, 내륜(37)과 상기 외륜(36)의 사이에 볼 등의 전동체(轉動體)(38)가 개재(介在)된다. 전동체(38)는 유지기(retainer)(39)의 포켓 내에 유지되고, 내륜(37)과 외륜(36)과의 사이의 베어링 공간의 양단은 시일(32)에 의해 실링되어 있다. 상기 베어링 공간에, 윤활제로서, 열고화형의 식품 기계용 그리스가 봉입되어 있다.
<커플링(16)에 대하여, 도 6>
커플링(16)에는 체인 커플링이 사용되고 있다. 체인 커플링은, 예를 들면,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2열의 롤러 체인(41, 41)을, 동심으로 회전 가능한 2개의 스프로켓(sprocket)(42, 42)에 권취한 구성이며, 스프로켓(42)과 롤러 체인(41)사이의 클리어런스에 의해 플렉시블한 회전 전동을 행한다. 이 예에서는, 상기 스프로켓(42, 42)의 한쪽에, 회전빔(14)(도 1 참조)의 단부(端部)의 피지지 부품(43)이 접속되고, 상기 스프로켓(42, 42)의 다른 쪽에, 회전 구동 장치(15)의 출력축으로 되는 감속기의 출력축(44)이 접속되고, 이 한 쌍의 축(43, 44)은 1개의 축으로서 접속되어 있다. 상기 스프로켓(42, 42)과 롤러 체인(41)은, 케이스(45) 내에 수용되고, 케이스(45) 내에 윤활제로서, 열고화형의 식품 기계용 그리스가 봉입되어 있다.
<열고화형의 식품 기계용 그리스에 대하여>
열고화형의 그리스는,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 등의 수지와 그리스 성분을 주성분으로 하는 그리스이며, 초기 상태에서 유동성(流動性)을 가지고 있어, 열을 부여함으로써 경화시키는 성질을 가진다. 열고화형의 식품 기계용 그리스는, 상기 열고화형의 그리스 중, 상기 그리스 성분으로서, 식품 기계용 그리스가 사용된 것이다.
열고화형의 그리스의 상품으로서는, 폴리 루프(등록상표)가 있고, 이 폴리 루프의 일종으로서, 식품 기계용의 것이 있다. 이 열고화형으로 식품 기계용의 폴리 루프는, 수지로서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이 사용되고 그리스 성분으로서 우레아 합성 유성계 그리스가 사용되고 있다.
<작용>
이 구성에 의하면, 상시는, 수력 발전 모듈(3)을 도 1,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차(2)가 수로(1)의 유수에 잠기는 수몰 자세로 되고, 수차(2)가 수류로 회전함으로써 발전기(8)가 발전을 행한다.
유지보수나 증수 시의 안전 등을 위해 수로(1)로부터 끌어올릴 때는, 회전 구동 장치(15)에 의해 회전 가대(6)를 90°회전시키고, 수력 발전 모듈(3)을,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평인 대기 자세로 한다. 도 4는, 회전 가대(6)의 회전 도중의 자세를 나타낸다
상기한 바와 같이 자세를 변경할 때, 수력 발전 모듈(3)을 탑재한 회전빔(14)의 양단이 베어링 유닛(13)으로 지지되어 있으므로, 회전빔(14)에 탑재되는 수력 발전 모듈(3)의 중량이나 유속 변동에 의해 수차(10)가 받는 하중 변동으로부터 회전빔(14)에 휨이 생겨도, 베어링 유닛(13)의 조심성에 의해, 원활한 회전을 얻을 수 있다.
베어링 유닛(13)의 윤활제에는 열고화형의 식품 기계용 그리스가 사용되고 있어, 베어링 유닛(13)으로의 충전 후에는 고형 상태로 되므로, 밤낮의 온도차 등이 있어도 누출이 쉽게 생기지 않고, 또한 만일 누출이 생겨도, 식품 기계용이므로, 용수의 오염 또는 손상에 의한 인체나 생물에 대한 해가 생기지 않는다.
상기 회전빔(14)의 편단은, 커플링(13)을 통하여 회전 구동 장치(15)와 접속되어 있으므로, 수몰 자세와 대기 자세 사이의 자세 변경이 용이하지만, 회전 구동 장치(15)에서의 윤활제의 누출이 염려된다. 그러나, 회전 구동 장치(15)의 윤활제에도 열고화형의 식품 기계용 그리스를 사용하고 있으므로, 그리스의 누출이 쉽게 생기지 않고, 또한 만일, 누출이 생겨도, 용수의 오염 또는 손상에 의한 인체나 생물에 대한 피해가 생기지 않는다.
상기 커플링(13)은, 체인 커플링이 사용되고 있으므로, 회전빔(14)이 전술한 이유로 휘고, 베어링 유닛(13)의 베어링이 조심하여 기울어도, 커플링(13)이 경사를 흡수하고, 인접하는 회전 구동 장치(15)에 편하중을 부여하지 않는다. 즉, 이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회전 구동 장치(15), 예를 들면, 그 감속기가 원활하게 가동한다. 체인 커플링(16)은 윤활이 필요하지만, 그 윤활제에도 열고화형의 식품 기계용 그리스를 사용하므로, 체인 커플링(13)의 윤활제에 대해서도, 누출이 쉽게 생기지 않고, 또한 만일, 누출이 생겨도, 용수의 오염 또는 손상에 의한 인체나 생물에 대한 해가 생기지 않는다.
상기 모멘트 증대 수단으로 되는 모듈 위치 변경 수단(31)(도 1)은, 다음의 작용 효과를 얻는다. 수력 발전 모듈(3)을 수몰 자세로부터 대기 자세로 들어올릴 때, 수몰 자세의 유지를 해제하면, 수로(1)의 수류에 의한 모멘트에 수력 발전 모듈(3)이 급격하게 들어올려지는 경우가 있고, 이 급격한 들어올림 동작에 견디기 위하여, 각 부의 강도를 높이는 것이 필요해진다. 유속이 빠른 경우에, 이 문제가 현저해진다. 또한, 유속이 빠르면 수력 발전 모듈(3)을 대기 자세로부터 수몰 자세까지 회전시키는 것이 어려운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은 수로(1)나 그 수류의 상황에서는, 모듈 위치 변경 수단(31)에 의해, 도 7과 같이 수력 발전 모듈(3)을 회전 가대(6)의 선단에 장착시켜 둔다. 이로써, 수력 발전 모듈(3)의 자중(自重)에 의해, 수류에 저항하는 회전 가대(6)의 모멘트가 증대하고, 전술한 대기 자세로의 끌어올림 시에서의 급격한 들어올림을 완화할 수 있고, 또한 대기 자세로부터 수몰 자세에 회전시키는 동작이 행하기 쉬워진다.
전술한 수로(1)의 수류에 저항하는 모멘트를 증대시키는 모멘트 증대 수단으로서로서는, 상기 모듈 위치 변경 수단(31) 대신에,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카운터 웨이트(7)를 설치해도 된다.
그리고, 상기 모듈 위치 변경 수단(31)이나 카운터 웨이트(7) 등의 모멘트 증대 수단을 설치하지 않고, 도 9에 나타낸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의 같게, 회전 가대(6)를, 수력 발전 모듈(3)이 도 1의 상태로 장착되는 최소의 길이로 해도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도면을 참조하면서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당업자이면, 본건 명세서를 볼 때, 자명한 범위 내에서 각종 변경 및 수정을 용이하게 상정(想定)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와 같은 변경 및 수정은, 첨부한 청구의 범위로부터 정해지는 본 발명의 범위 내의 것으로 해석된다.
1: 수로
2: 수차
2a: 날개
3: 수력 발전 모듈
4: 지지 장치
5: 고정 기대
6: 회전 가대
7: 카운터 웨이트
8: 발전기
9: 기어 박스
10: 지지통
11: 수로 고정체
12: 이음재
13: 베어링 유닛
14: 회전빔
15: 회전 구동 장치
16: 커플링
18: 캔틸레버 프레임재
19: 설치판
20: 발전기 테이블
31: 모듈 위치 변경 수단
O: 회전 축심

Claims (3)

  1. 수차(水車), 및 상기 수차의 회전에 의해 발전하는 발전기를 구비하는 수력 발전 모듈과, 수로(水路)의 양 사이드 측에 1개씩 설치되는 한 쌍의 수로 고정체;
    상기 수로 고정체에 설치된 조심성(調心性)을 가지는 베어링 유닛에 양단에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회전빔(rotating beam); 및
    상기 회전빔에 접합되어 상기 수력 발전 모듈을 지지하고 상기 수차의 하단(下端)이 상기 수로의 수면보다 아래에 위치하는 수몰(水沒) 자세와, 상기 수차의 전체가 상기 수로의 수면보다 위에 위치하는 대기 자세에 걸쳐 상하로 회전 가능한 회전 가대(rotating mount);
    를 포함하고,
    상기 베어링 유닛의 윤활을 행하는 윤활제가, 열고화형(熱固化型)의 식품 기계용 그리스(grease)이고, 상기 베어링 유닛은, 축 상자의 내주(內周)에 형성된 오목 구면(球面)의 베어링 끼워맞춤면에, 롤링 베어링의 외륜의 구면형(球面形)의 외주면(外周面)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맞추어짐으로써, 조심 기능을 가지고, 상기 롤링 베어링은, 내륜과 외륜과의 사이의 베어링 공간의 양단이 시일에 의해 실링되고, 상기 베어링 공간에, 상기 열고화형의 식품 기계용 그리스가 봉입되어 있는,
    수력 발전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빔의 편단(片端)이, 커플링을 통하여 회전 구동 장치와 접속되고, 상기 회전 구동 장치의 윤활제가, 열고화형의 식품 기계용 그리스인, 수력 발전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링이 체인 커플링으로서, 상기 커플링의 윤활제가, 열고화형의 식품 기계용 그리스인, 수력 발전 장치.
KR1020217003001A 2018-08-02 2019-08-01 수력 발전 장치 KR10265651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8145904A JP7011550B2 (ja) 2018-08-02 2018-08-02 水力発電装置
JPJP-P-2018-145904 2018-08-02
PCT/JP2019/030290 WO2020027280A1 (ja) 2018-08-02 2019-08-01 水力発電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7664A KR20210037664A (ko) 2021-04-06
KR102656516B1 true KR102656516B1 (ko) 2024-04-09

Family

ID=692318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03001A KR102656516B1 (ko) 2018-08-02 2019-08-01 수력 발전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7011550B2 (ko)
KR (1) KR102656516B1 (ko)
CN (1) CN112513452B (ko)
WO (1) WO202002728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202000009931A1 (it) * 2020-05-05 2021-11-05 He Powergreen S R L Sistema di recupero di energia idrocinetica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659428B2 (ja) * 2009-07-21 2015-01-28 株式会社エコ・テクノロジー 水力発電装置
JP2016180476A (ja) * 2015-03-24 2016-10-13 Ntn株式会社 円すいころ軸受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20596B2 (ja) * 1982-02-12 1985-05-22 日立建機株式会社 水中ポンプの軸封装置
JPH068788U (ja) * 1992-06-30 1994-02-04 株式会社島津製作所 油回転真空ポンプ
JP2002177995A (ja) 2000-12-13 2002-06-25 Nakagami Corporation:Kk 糞尿処理装置及び糞尿処理方法
JP2006283910A (ja) 2005-04-01 2006-10-19 Ntn Corp 食品加工機械用転がり軸受
JP5060838B2 (ja) 2007-06-08 2012-10-31 Ntn株式会社 水中用転がり軸受
JP2009222139A (ja) 2008-03-17 2009-10-01 Nsk Ltd 転がり軸受、調心輪付き転がり軸受
CN201731745U (zh) * 2010-06-18 2011-02-02 无锡华中科技有限公司 一种筒式烘干机传动装置
CN101957131A (zh) * 2010-06-18 2011-01-26 无锡华中科技有限公司 一种筒式烘干机传动装置
WO2013108638A1 (ja) 2012-01-19 2013-07-25 日本精工株式会社 自己潤滑性複合材料、並びにそれを用いた転がり軸受、直動装置、ボールねじ装置、直動案内装置、及び搬送装置
JP2014059025A (ja) * 2012-09-19 2014-04-03 Ntn Corp 風力・潮力発電用軸受
JP2015014219A (ja) 2013-07-03 2015-01-22 株式会社東芝 軸流水車発電設備
CN103708165B (zh) * 2013-12-24 2016-01-20 北京中冶设备研究设计总院有限公司 一种转向辊子输送机
JP6968517B2 (ja) 2016-02-26 2021-11-17 Ntn株式会社 水力発電装置
WO2017163919A1 (ja) 2016-03-22 2017-09-28 株式会社ベルシオン 水車装置および水力発電装置
JP2018135798A (ja) 2017-02-22 2018-08-30 Ntn株式会社 水力発電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659428B2 (ja) * 2009-07-21 2015-01-28 株式会社エコ・テクノロジー 水力発電装置
JP2016180476A (ja) * 2015-03-24 2016-10-13 Ntn株式会社 円すいころ軸受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7664A (ko) 2021-04-06
JP2020020315A (ja) 2020-02-06
JP7011550B2 (ja) 2022-01-26
CN112513452A (zh) 2021-03-16
CN112513452B (zh) 2022-11-01
WO2020027280A1 (ja) 2020-0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165845B2 (ja) 遊星軸受として平軸受を備える遊星歯車ステージ及びその使用
EP2947315B1 (en) Renewable energy power generating apparatus
CA2973250C (en) Tidal current energy electric generating device
ES2735075T3 (es) Tren de transmisión para una turbina eólica con acoplamiento elástico y método de mantenimiento para el mismo
JP5622423B2 (ja) 軸封装置
US9297364B2 (en) Bogie plate for wind turbine
JP6509206B2 (ja) 重負荷駆動装置および粉砕機
KR102656516B1 (ko) 수력 발전 장치
CN104204515A (zh) 传动装置
US3662623A (en) Turntable drive mechanism
FI90732B (fi) Sekoitin
US20180031046A1 (en) Underwater coupling joint, and water flow power generator
KR102433633B1 (ko) 수력 발전 장치
US10731623B2 (en) Water-flow power generating apparatus
CN214947339U (zh) 一种便捷组合式渗漏治理用堵漏装置
JP2020029781A (ja) 水力発電装置
CN211394231U (zh) 浓缩调质系统及其防振动自平衡装置
JP2011085211A (ja) 直線作動機
TWI637107B (zh) Wind power system
WO2015152807A1 (en) Submerged system for converting a tidal water flow to electrical energy
KR20230061299A (ko) 무게 차이를 이용한 회전력 발생 방법
CN114017440A (zh) 一种具有止动槽的风力发电增速箱行星架圆柱滚子轴承
JP2013148031A (ja) 水流発電設備
JP2020020317A (ja) 水力発電装置
SK500982015U1 (sk) Systém vyvažovania plávajúceho lopatkového kolesa a použitie tohto systému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