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6182B1 - 결속장치 - Google Patents

결속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56182B1
KR102656182B1 KR1020207024286A KR20207024286A KR102656182B1 KR 102656182 B1 KR102656182 B1 KR 102656182B1 KR 1020207024286 A KR1020207024286 A KR 1020207024286A KR 20207024286 A KR20207024286 A KR 20207024286A KR 102656182 B1 KR102656182 B1 KR 1026561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pe
binding
plate
pair
pres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242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23789A (ko
Inventor
마사노리 사토
토루 카타다
마사히코 노다
Original Assignee
니찌방 가부시기가이샤
마이크로제닉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찌방 가부시기가이샤, 마이크로제닉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찌방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001237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37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61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6182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1/00Devices for, or methods of, sealing or securing package folds or closures; Devices for gathering or twisting wrappers, or necks of bags
    • B65B51/04Applying separate sealing or securing members, e.g. clips
    • B65B51/06Applying adhesive ta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3/00Bundling articles
    • B65B13/18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used in, bundling machines or bundl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7/00Cultivation of hops, vines, fruit trees, or like trees
    • A01G17/04Supports for hops, vines, or trees
    • A01G17/06Trellis-work
    • A01G17/08Tools e.g. clips for attaching hops, vines, or boughs to trellis-work; Ty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7/00Cultivation of hops, vines, fruit trees, or like trees
    • A01G17/04Supports for hops, vines, or trees
    • A01G17/06Trellis-work
    • A01G17/08Tools e.g. clips for attaching hops, vines, or boughs to trellis-work; Tying devices
    • A01G17/085Espalier machines; Tying mach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3/00Bundling articles
    • B65B13/02Applying and securing binding material around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e.g. using strings, wires, strips, bands or tapes
    • B65B13/025Hand-held to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3/00Bundling articles
    • B65B13/02Applying and securing binding material around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e.g. using strings, wires, strips, bands or tapes
    • B65B13/04Applying and securing binding material around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e.g. using strings, wires, strips, bands or tapes with means for guiding the binding material around the articles prior to severing from supp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3/00Bundling articles
    • B65B13/18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used in, bundling machines or bundling tools
    • B65B13/185Details of to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27/00Bundling particular articles presenting special problems using string, wire, or narrow tape or band; Baling fibrous material, e.g. pea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B27/10Bundling rods, sticks, or like elongated objects
    • B65B27/105Bundling rods, sticks, or like elongated objects by means of adhesive tap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W90/10Bio-packaging, e.g. packing containers made from renewable resources or bio-plasti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otan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asic Packing Technique (AREA)

Abstract

생분해성 재료를 기재로 하는 결속테이프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한 결속장치를 제공한다. 가압면(106)은 테이프 누름판(83)의 헤드(84)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된 수지 재질의 부속장치(105)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사용하는 결속테이프(7)에 맞는 형상 및 소재로 된 부속장치(105)를 장착할 수 있다. 또한 테이프 받음판(87)을 고무 재질의 판에 의해 구성하였기 때문에, 테이프 누름판(83)의 첨단(85)를 테이프 받음판(87)로 돌입시켰을 때의 충격을 상기 테이프 받음판(87)에 의해 흡수할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취약한 생분해성 재료를 기재로 하는 결속테이프(7)의 파손을 막을 수 있다.

Description

결속장치
본 발명은 결속장치에 관한 것으로, 한 쌍의 암 사이에 마련된 결속테이프에 의해 피결속물을 결속시키는 플라이어형 결속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른바 플라이어형 결속장치란, 한 쌍의 암 사이에 결속테이프를 마련하는 단계에서 쥐어진 한 쌍의 암을 조금 느슨하게 풀면 이에 연동하여 테이프 유지기구의 테이프 누름판이 전진하여, 테이프 릴에서 인출된 결속테이프의 끝 부분이 테이프 받음판과 테이프 누름판에 의해 유지된다(예를 들어, 특허문헌1 참조). 이와 같은 결속장치에서는 생분해성 재료를 기재로 하는 결속테이프(이하 ‘생분해 테이프’라 함)를 사용한 경우, 생분해 테이프는 비생분해성 재료를 기재로 하는 통상의 결속테이프(이하 ‘비생분해 테이프’라 함)와 비교하여 취약하기 때문에, 테이프 누름판의 뾰족한 형상을 이루는 헤드 선단부를 돌입시키면 생분해 테이프가 파손될(찢어질) 우려가 있다.
일본 특개 2015-157634호 공보
본 발명은 생분해성 재료를 기재로 하는 결속테이프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한 결속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한 쌍의 그립을 꼭 쥠으로써 지점을 중심으로 회동하는 한 쌍의 암, 결속테이프를 인출 가능하게 지지하는 테이프 지지기구, 상기 테이프 지지기구로부터 인출된 결속테이프를 내보내는 테이프 조출기구, 상기 테이프 조출기구로부터 내보내진 결속테이프의 단부를 유지하는 테이프 유지기구, 상기 테이프 조출기구로부터 내보내진 결속테이프의 맞춤부를 압착하는 테이프 압착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한 쌍의 암 사이로 유인된 피결속물을 상기 한 쌍의 암 사이에 마련된 결속테이프에 의해 결속시키는 결속장치로서, 상기 테이프 유지기구는 한쪽 암에 설치된 조작판과 다른쪽 암에 설치되고 상기 조작판에 의해 조작되는 가동판, 상기 다른쪽 암에 설치되고 상기 가동판에 연동하는 테이프 누름판, 상기 다른쪽 암에 설치된 테이프 받음판을 구비하고, 상기 테이프 받음판에 의해 상기 테이프 누름판의 선단부를 받음으로써 상기 테이프 받음판과 상기 테이프 누름판 사이에서 상기 테이프 조출기구로부터 내보내진 상기 결속테이프의 단부를 유지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테이프 받음판은 탄성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생분해성 재료를 기재로 하는 결속테이프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한 결속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 본 실시형태에 따른 결속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2: 본 실시형태에 따른 결속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 본 실시형태에 따른 결속장치의 사시도로서, 특히 커버를 연 상태를 나타낸다.
도 4: 본 실시형태에 따른 결속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5: 본 실시형태에 따른 결속장치의 설명도로서, 상부 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6: 본 실시형태에 따른 결속장치의 설명도로서, 상부 유닛의 분해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편의상, 도면 중의 좌표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하 방향', '좌우 방향' 및 '전후 방향'을 표시하였으나, 당해 결속장치(1)의 사용상의 방향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결속장치(1)은 이른바 플라이어형 결속장치로서, 한 쌍의 암(4), (5) 사이로 피결속물(도시 생략)을 유인시키고, 이 상태로 한 쌍의 그립(2), (3)을 꼭 쥐어 한 쌍의 암(4), (5)를 지점을 중심으로 회동하게 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한 쌍의 암(4), (5) 사이에 마련된 결속테이프(7)(도 1 참조)에 의해 피결속물이 결속된다.
도 3,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결속장치(1)은 상부 유닛(21)을 지지하는 상부 베이스(11)과 하부 유닛(81)을 지지하는 하부 베이스(71)을 가진다. 상부 베이스(11)은 수지성형 부품으로서, 그립(2) 및 암(4)(한쪽 암)가 일체로 형성된다. 상부 베이스(11)의 그립(2)와 암(4)의 사이에는 테이프 릴(도시 생략)에 장착된 결속테이프(7)을 수용하는 테이프 수용부(12)가 설치된다. 또한 결속장치(1)은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측판(31), (32)를 가진다. 측판(31), (32)는 상부 베이스(11)을 사이에 두고 상부 베이스(11)의 좌우에 배치된다. 또한 측판(31)과 측판(32)는 대략 좌우 대칭으로 형성된 금속 부품이다.
측판(31), (32)는 내측면(대향면)의 전후 방향 중간부에 돌출 설치된 축부(33), (34)(지점)를 가진다. 축부(33), (34)는 상부 베이스(11)에 형성된 축구멍(13), (13)(도 4에 좌측의 축구멍(13)만을 표시)에 접동 가능하도록 감합된다. 측판(31), (32)의 후단(35), (36)은 나사(39)에 의해 결합된다. 측판(31), (32)의 후부(37), (38)에는 수지성형 부품인 그립(3)이 장착된다. 측판(31), (32)의 후부(37), (38) 사이에는 플랜지(41)가 형성된 축(40)을 개재시킨다. 축(40)은 암나사가 형성된 축구멍을 가지고, 그립(3)의 좌우 양측으로부터 삽입된 나사(42), (42)에 의해 그립(3)과 함께 측판(31), (32)의 후부(37), (38) 사이에 고정된다.
측판(31), (32)의 후부(37), (38) 사이에 개재시킨 축(40)에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43)의 일단부가 계합된다. 비틀림 코일 스프링(43)의 타단은 상부 베이스(11)의 그립(2)의 내측에 고정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그립(2), (3)은 비틀림 코일 스프링(43)의 용수철력에 의해 개방 방향으로 힘이 가해진다. 또한 암(4), (5)는 측판(31), (32)의 단부(45), (46)이 상부 베이스(11)의 조부(爪部)(44), (44)에 맞닿음으로써 개방 위치(도 1 참조)에서 유지된다. 또한 암(5)는 대향하는 측판(31), (32)의 앞쪽 부분, 다시 말해 축부(33), (34)(지점)보다 앞쪽에 있는 부분에 의해 구성된다.
결속장치(1)은 암(4), (5)의 개방 동작을 규제하여 운반 시에 편리한 반 개방 위치에서 유지되는 규제기구를 구비한다. 규제기구는 상부 베이스(11)의 좌측 벽에 설치된 단면이 대략 정사각형인 보스부(47), 보스부(47)의 중심에 세움 설치된 상부 베이스(11)의 좌측 벽에서 측방(왼쪽 방향)으로 연장된 축부(48), 축부(48)에 감합되는 축구멍(도시 생략)이 형성된 규제부재(49)를 가진다. 규제부재(49)는 보스부(47)의 내측에 꼽거나 뺄 수 있도록 감합되고 단면이 대략 정사각형인 감합부(50) 및 감합부(50)의 좌단에 설치되고 단면이 대략 마름모형인 규제부(51)을 가진다. 규제부(51)의 단면에는 축구멍과 동심의 카운터 보어 구멍(52)이 형성된다. 카운터 보어 구멍(52)에는 압축 코일 용수철(53)이 삽입된다. 압축 코일 용수철(53)은 와셔(54)(용수철 누름판), 압축 코일 용수철(53), 및 축구멍에 삽입 관통된 나사(55)를 축부(48)의 축구멍(56)(나사 구멍)에 끼움으로써 일정량 압축되며, 이 때 발생하는 압축 코일 용수철(53)의 용수철력에 의해 규제부재(49)가 상부 베이스(11)에 밀어넣어진다.
그리고 결속 작업을 할 때에는, 규제부(51)의 긴 쪽 대각선이 암(5)에 대해 대략 평행하도록 규제부재(49)의 감합부(50)을 보스부(47)의 내측에 감합시킨다. 이렇게 함으로써 암(4), (5)는 그립(2), (3)을 꼭 쥐지 않은 상태에서 개방 위치(도 1 참조)에서 유지된다. 한편 결속장치(1)을 운반할 때에는 규제부(51)의 짧은 쪽 대각선이 암(5)에 대해 대략 평행하도록 규제부재(49)의 감합부(50)을 보스부(47)의 내측에 감합시킨다. 다시 말해 압축 코일 용수철(53)을 압축시키면서 규제부재(49)를 끌어올린 후, 규제부재(49)를 결속 작업 시에 대해 축부(48) 방향으로 90° 회전시켜 규제부재(49)의 감합부(50)을 보스부(47)의 내측에 감합시킨다. 이렇게 함으로써 암(4), (5)는 운반 시에 편리한 반 개방 위치에서 유지된다.
결속장치(1)은 결속테이프(7)을 인출 가능하게 지지하는 테이프 지지기구를 구비한다. 테이프 지지기구는 앞서 말한 테이프 릴 및 테이프 수용부(12)를 포함한다. 또한 테이프 지지기구는 테이프 수용부(12) 및 암(4)의 상부 개구를 덮는 커버(14)를 가진다. 커버(14)의 후단부의 좌우 양측에는 측방(외측)으로 돌출시킨 한 쌍의 볼록부(15), (15)(도 4에 좌측 볼록부(15)만을 표시)가 설치된다. 한편, 상부 베이스(11)의 상단부의 좌우 양측에는 커버(14)의 볼록부(15), (15)가 접동 가능하도록 감합되고 동심의 구멍(16), (16)이 설치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커버(14)는 상부 베이스(11)에 대해 구멍(16), (16)의 축 중심 방향으로 회동할 수 있다.
도 3, 도 5, 도 6을 참조하면, 상부 유닛(21)은 암(4)의 내측에 설치된 금속제의 베이스판(22)를 가진다. 베이스판(22)는 3개의 나사(19)에 의해 암(4)에 고정된다. 베이스판(22)의 후단부에는 테이프 수용부(12)로부터 인출된 결속테이프(7)의 비점착면을 지지하는 수지 롤러(23)이 설치된다. 수지 롤러(23)은 양단이 베이스판(22)의 측판에 지지된 축부재(24)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또한 베이스판(22)의 전단부에는 테이프 수용부(12)로부터 인출된 결속테이프(7)의 좌우 양측을 안내하는 수지제의 가이드판(25)가 설치된다. 또한 암(4)의 전단부 우측 벽에는 상부 유닛(21)의 전단부를 덮는 커버(29)가 나사(30), (30)에 의해 고정된다.
가이드판(25)의 전단부에는 테이프 수용부(12)로부터 수지 롤러(23)을 경유하여 연장되는 결속테이프(7)의 비점착면을 지지하는 수지 롤러(26)이 설치된다. 수지 롤러(26)은 양단이 가이드판(25)의 측판에 지지된 축부재(27)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또한 가이드판(25)는 나사(28), (28)에 의해 베이스판(22)에 고정된다. 또한 테이프 지지기구는 수지 롤러(23), (66) 및 가이드판(25)를 포함한다.
결속장치(1)은 테이프 수용부(12)로부터 인출된 결속테이프(7)을 내보내는 테이프 조출기구를 구비한다. 테이프 조출기구는 베이스판(22)에 고정된 프레임판(60) 상에 구성된다. 테이프 조출기구는 가이드판(25)에 의해 안내된 결속테이프(7)의 비점착면을 안내하는 제1안내판(61)과, 제1안내판(61)에 대향시켜 설치되고 가이드판(25)에 의해 안내된 결속테이프(7)의 점착면을 안내하는 제2안내판(62)를 가진다. 또한 제1안내판(61)은 금속 부품이며, 제2안내판(62)는 수지성형 부품이다. 또한 결속테이프(7)은 결속장치(1)의 좌측으로부터 제1안내판(61)과 제2안내판(62)의 틈(67)(도 5 참조)에 삽입시킬 수 있다.
프레임판(60)은 나사(28), (28)에 의해 베이스판(22)에 고정된다. 즉, 나사(28), (28)은 가이드판(25)와 프레임판(60)을 베이스판(22)에 함께 조임으로써 고정시킨다. 제1안내판(61)은 앞측에 안내면이 형성된 앞측 벽(63)과 앞측 벽(63)에 대향하는 뒤측 벽(64)를 가진다. 또한 제1안내판(61)은 나사(65)에 의해 후술하는 압축부재(91)에 고정된다. 제2안내판(62)는 나사(66)에 의해 제1안내판(61)의 앞측 벽(63)에 고정된다.
결속장치(1)은 테이프 수용부(12)로부터 인출된 결속테이프(7)의 단부(8)(도 2 참조)을 유지하는 테이프 유지기구를 구비한다. 테이프 유지기구는 나사(69), (69)에 의해 프레임판(60)의 전단부에 고정된 조작판(72)와, 하부 베이스(71)에 설치된 하부 유닛(81)을 가진다. 또한 하부 베이스(71)은 수지성형 부품으로서 4개의 나사(70)(도 4 참조)에 의해 측판(31), (32)의 전단부에 고정된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하부 유닛(81)은 조작판(72)에 의해 레버(82)(가동판)가 밀려들어가면, 이를 계기로 레버(82)와 연동하여 테이프 누름판(83)이 작동하고, 테이프 누름판(83)의 헤드(84)(선단부)의 첨단(85)(도 2 참조)가 테이프 받음판(87)로 돌입한다(도 1 참조). 이렇게 함으로써 테이프 누름판(83)과 테이프 받음판(87)에 의해 결속테이프(7)의 단부(8)이 유지된다. 한편 결속테이프(7)을 절단할 때에는 조작판(72)에 의해 레버(82)가 밀려들어가면 이를 계기로 테이프 누름판(83)이 원래 위치로 되돌아온다.
결속장치(1)은 결속테이프(7)의 맞춤부를 가압하여 압착시키는 테이프 압착기구를 구비한다. 테이프 압착기구는 상부 유닛(21)의 베이스판(22)에 설치되는 가동부와 하부 베이스(71)에 설치되는 고정부를 가진다. 도 6을 참조하면, 가동부는 수지성형 부품인 압착부재(91)과 압착부재(91)을 상하 방향으로 안내하는 가이드부재(93)을 가진다. 가이드부재(93)은 수지성형 부품으로서 나사(92), (92)에 의해 프레임판(60)의 후단부에 고정된다. 한편 고정부는 합성 고무로 이루어진 테이프 압착판(94)를 가진다. 테이프 압착판(94)는 대좌(95)에 고정된다. 대좌(95)에는 테이프 압착판(94)를 하부 베이스(71)에 고정하기 위한 나사(89), (89)를 끼우는 나사 구멍(96), (96)이 형성된다. 또한 나사(89), (89)는 테이프 받음판(87)의 대좌(88)을 하부 베이스(71)에 고정한다.
테이프 압착기구는 압착부재(91)과 베이스판(22) 사이에 개재 장착된 압축 코일 스프링(97)을 가진다. 압축 코일 스프링(97)은 압착부재(91), 나아가서는 해당 압착부재(91)과 일체로 이동하는 제1안내판(61) 및 제2안내판(62)를 베이스판(22)에 대해 아래 방향으로 힘을 가한다. 그리고 결속테이프(7)의 맞춤부를 향해 압착부재(91)을 하강시켜, 압착부재(91)의 하단의 볼록부를 결속테이프(7)의 맞춤부의 위로부터 테이프 압착판(94)의 테이프 받음면에 형성된 오목부(98)로 돌입시킴으로써, 결속테이프(7)의 맞춤부가 압착된다. 또한 압착부재(91)에 의한 결속테이프(7)의 맞춤부의 유지력은 압축 코일 스프링(97)의 용수철력에 의해 조절할 수 있다.
결속장치(1)은 피결속물에 감긴 결속테이프(7)의 맞춤부(압착부) 근방을 절단하는 테이프 절단기구를 구비한다. 테이프 절단기구는 선단에 지그재그 칼날이 형성된 절단 칼날(101)을 가진다. 절단 칼날(101)은 나사(102), (102)에 의해 베이스판(22)의 전단의 절단 칼날 부착부(103)에 고정된다. 그리고 절단 칼날(101)을 하강시키면, 절단 칼날(101)과 테이프 받음판(87)이 스쳐지나가는 과정에서 압착부재(91)에 의해 유지된 결속테이프(7)의 맞춤부 근방이 절단 칼날(101)에 의해 절단된다.
결속장치(1)은 테이프 압착기구로 결속테이프(7)의 맞춤부를 압착할 때, 테이프 수용부(12)로부터 인출된 결속테이프(7)의 단부(8)을 테이프 누름판(83)에 의한 가압 마진(押え代)을 남긴 상태(도 2 참조)에서 테이프 조출기구로부터 돌출시키기 위한 테이프 되감기 방지기구를 구비한다. 테이프 되감기 방지 기구는 앞서 말한 조작판(72)에 형성된 리브(74)를 가진다. 또한 조작판(72)는 L자 형태로 굽은 금속판으로 이루어지고, 하단에서 하부 유닛(81)의 레버(82)를 조작하는 조작부(73)과 조작부(73)의 좌측단에서 뒤 방향으로 연장되는 리브(74)를 가진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리브(74)의 후단에는 조작부(73)으로부터의 돌출 높이가 아래 방향으로 점차 낮아지는 경사부(75)가 형성된다.
그리고 테이프 되감기 방지기구는 테이프 압착기구로 결속테이프(7)의 맞춤부를 압착할 때, 압착부재(91)이 테이프 압착판(94)에 의해 밀려들어감으로써, 조작판(72) 리브(74)의 경사부(75)와 제2안내판(62)의 앞측 면(77)이 접동하면서 상대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제2안내판(62)의 앞측 면(77)은 앞서 말한 조작판(72)의 리브(74)와 제2안내판(62)가 상대 이동하는 과정에서 리브(74)의 경사부(75)에 의해 제2안내판(62)의 앞측 면(77)이 제1안내판(61)의 앞측 벽(63)에 가압됨으로써 제1안내판(61)과 제2안내판(62)의 틈(67)이 좁아지도록 경사가 부여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제1안내판(61)과 제2안내판(62)의 틈(67)이 좁아짐으로써, 제1안내판(61)과 제2안내판(62) 사이의 결속테이프(7)의 점착면이 제2안내판(62)의 안내면(78)에 점착된다.
여기서 본 실시형태에 따른 결속장치(1)은 생분해성 재료를 기재로 하는 결속테이프(7)에 대응시켰다. 이하, 생분해성 재료를 기재로 하는 결속테이프(7)에 대응시킨 구성을 설명한다.
앞서 말한 특허문헌1에 기재된 결속장치에서는, 테이프 유지기구의 레버가 밀려들어감으로써, 테이프 누름판의 첨단을 금속판으로 이루어진 테이프 받음판의 슬릿에 돌입시켰다. 이 경우, 테이프 누름판의 첨단을 테이프 받음판의 슬릿에 돌입시켰을 때의 충격으로 인해 생분해성 재료를 기재로 하는 결속테이프가 찢어지는 불량 상황이 발생한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고무 재질의 판으로 이루어진 테이프 받음판(87)에 의해 테이프 누름판(83)의 헤드(84)(선단부)의 첨단(85)를 테이프 받음판(87)로 돌입시켰을 때의 충격을 흡수하도록 구성하였다. 또한 도 1,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테이프 누름판(83)의 헤드(84)에 부속장치(105)를 장착하여, 결속테이프(7)에 부속장치(105)의 가압면(106)(평면)을 밀어넣도록 구성하였다. 부속장치(105)는 나사(107)에 의해 테이프 누름판(83)의 헤드(84)의 좌측 면(레버(82)와의 대향면에 대해 반대측인 면)에 고정된다. 또한 테이프 누름판(83)의 첨단(85)는 부속장치(105)의 상단에 위치하고, 부속장치(105)의 가압면(106)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또한 테이프 받음판(87)의 소재는 요구되는 충격흡수 성능을 만족하는 탄성체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실리콘 고무 등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테이프 받음판(87)은 금속 재질의 대좌(88)에 접합(접착)되어 있다. 또한 부속장치(105)는 수지성형 부품이다. 또한 제2안내판(62)에는 하부 유닛(81)의 테이프 누름판(83)을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킬 때 부속장치(105)와의 충돌을 피하기 위한 폭을 가진 홈(108)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생분해성 재료를 기재로 하는 취약한 결속테이프(7)을 사용한 경우, 그립(2), (3)을 꼭 쥐어서 테이프 수용부(12)로부터 인출된 결속테이프(7)의 단부(8)을 테이프 유지기구에 의해 유지한 후, 결속테이프(7)의 점착면이 제2안내판(62)의 안내면(78)에 단단히 붙어 있으면, 그립(2), (3)을 벌렸을 때 결속테이프(7)이 잡아당겨져 찢어질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는 제2안내판(62)의 안내면(78)에 단차(79)(도 5, 도 6 참조)를 두어, 제2안내판(62)의 하부, 다시 말해 하부 유닛(81)의 테이프 누름판(83)이 테이프 받음판(87)로 돌입했을 때의 충격이 더욱 전해지기 쉬운 위치에 결속테이프(7)의 점착면이 접착되도록 구성하였다. 이렇게 함으로써 테이프 누름판(83)이 테이프 받음판(87)로 돌입했을 때의 충격에 의해 결속테이프(7)을 제2안내판(62)의 안내면(78)로부터 더 확실하게 박리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는 결속테이프(7)의 점착면이 커버(14)의 내측에 달라붙는 것을 방지하는 비점착성 시트(17)(도 3 참조)을 구비한다. 시트(17)은 테이프 수용부(12)에 수용된 결속테이프(7)의 점착면에 대향하도록 하여 커버(14)의 내측면에 접합(접착)되어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결속테이프(7)이 커버(14)에 붙음으로 인해 결속테이프(7)이 파손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또한 시트(17)로는 스폰지나 표면이 불소 수지로 가공된 띠 형상의 판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실시형태의 작용을 설명한다.
우선 테이프 수용부(12)로부터 인출된 결속테이프(7)을 가이드판(25)를 경유하게 하여 테이프 조출기구의 제1안내판(61)과 제2안내판(62) 사이로 통과시킨다. 다음으로 한 쌍의 그립(2), (3)을 꼭 쥠으로써 한 쌍의 암(4), (5)가 지점을 중심으로 회동(닫기 동작)하게 한다. 한 쌍의 암(4), (5)를 닫고 나서 꼭 쥔 그립(2), (3)을 조금 느슨하게 풀면, 하부 유닛(81)의 테이프 누름판(83)이 작동하여 테이프 누름판(83) 헤드(84)(선단부)의 첨단(85)가 결속테이프(7)의 위에서부터 테이프 받음판(87)로 돌입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결속테이프(7)의 단부(8)(도 2 참조)은 테이프 누름판(83)과 테이프 받음판(87) 사이에서 유지된다.
여기에서 테이프 누름판(83)의 첨단(85)가 테이프 받음판(87)로 돌입할 때, 결속테이프(7) 단부(8)의 테이프 누름판(83) 첨단(85)의 근방 부분은 테이프 누름판(83)의 헤드(84)에 장착된 부속장치(105)에 의해 테이프 받음판(87)로 밀려들어간다. 그리고 한 쌍의 그립(2), (3)이 완전히 벌어지면,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테이프 수용부(12)로부터 인출된 결속테이프(7)이 한 쌍의 암(4), (5) 사이에 마련된다. 이 상태에서 한 쌍의 암(4), (5) 사이에 마련된 결속테이프(7)을 피결속물에 눌러 갖다대도록 결속장치(1)을 조작하면, 결속테이프(7)이 테이프 수용부(12)로부터 인출됨과 동시에 피결속물이 한 쌍의 암(4), (5) 사이로 유인된다.
다시 한 번 한 쌍의 그립(2), (3)을 꼭 쥐면, 테이프 압착기구의 압착부재(91) 하단의 볼록부가 결속테이프(7)의 맞춤부의 위에서부터 테이프 압착판(94)의 오목부(98)로 돌입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피결속물에 감긴 결속테이프(7)의 맞춤부가 유지되고, 이와 병행하여 하부 유닛(81)의 테이프 누름판(83)이 되돌아온다. 그리고 한 쌍의 암(4), (5)가 완전히 닫히는 시점에서 결속테이프(7)의 맞춤부가 테이프 압착기구에 의해 압착되고, 이와 병행하여 결속테이프(7)의 맞춤부 근방이 테이프 절단기구의 절단 칼날(101)에 의해 절단된다.
또한 결속테이프(7)의 맞춤부가 테이프 압착기구에 의해 압착되는 과정에서 리브(74)의 경사부(75)에 의해 제2안내판(62)의 경사지게 한 앞측 면(77)이 가압됨으로써, 제1안내판(61)과 제2안내판(62)의 틈(67)이 좁아진다. 이렇게 함으로써 제1안내판(61)과 제2안내판(62) 사이에 있는 결속테이프(7)의 점착면이 제2안내판(62) 하부의 안내면(78)에 점착되고, 결속테이프(7)은 단부(8)(테이프 가압 마진)이 테이프 조출기구로부터 돌출된 상태에서(도 2 참조) 테이프 조출기구 안에서 유지된다.
본 실시형태는 아래의 작용 효과를 가진다.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한 쌍의 그립(2), (3)을 꼭 쥠으로써 지점을 중심으로 회동하는 한 쌍의 암(4), (5), 결속테이프(7)을 인출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테이프 지지기구, 테이프 지지기구로부터 인출된 결속테이프(7)을 내보내는 테이프 조출기구, 테이프 조출기구로부터 내보내진 결속테이프(7)의 단부(8)을 유지하는 테이프 유지기구, 테이프 조출기구로부터 내보내진 결속테이프(7)의 맞춤부를 압착하는 테이프 압착기구를 구비하고, 한 쌍의 암(4), (5) 사이로 유인시킨 피결속물을 한 쌍의 암(4), (5) 사이에 마련된 결속테이프(7)에 의해 결속시키는 결속장치(1)로서, 테이프 유지기구는 한쪽 암(4)에 설치된 조작판(72), 다른쪽 암(5)에 설치되고 조작판(72)에 의해 조작되는 레버(82)(가동판), 다른쪽 암(5)에 설치되고 레버(82)에 연동하는 테이프 누름판(83), 다른쪽 암(5)에 설치된 테이프 받음판(87)을 구비하고, 테이프 받음판(87)에 의해 테이프 누름판(83)의 헤드(84)(선단부)를 받음으로써, 테이프 받음판(87)과 테이프 누름판(83) 사이에서 테이프 조출기구로부터 내보내진 결속테이프(7)의 단부(8)을 유지하도록 구성되며, 테이프 받음판(87)을 고무 재질의 판(탄성체)에 의해 구성하였기 때문에, 테이프 누름판(83)의 첨단(85)를 테이프 받음판(87)로 돌입시켰을 때의 충격을 상기 테이프 받음판(87)에 의해 흡수할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테이프 누름판(83)의 첨단(85)를 테이프 받음판(87)로 돌입시켰을 때의 충격에 의해 생분해성 재료를 기재로 하는 결속테이프(7)이 찢어지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테이프 누름판(83)의 헤드(84)(선단부)에 결속테이프(7)의 단부(8)로 밀려들어가는 가압면(106)(평면)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테이프 누름판(83)의 첨단(85)를 테이프 받음판(87)로 돌입시켰을 때 상기 가압면(106)(평면)을 테이프 누름판(83)의 첨단(85) 근방에 있는 결속테이프(7)에 밀어넣음으로써, 첨단(85)가 들어간 위치를 기점으로 하고, 생분해성 재료를 기재로 하는 결속테이프(7)이 파손(찢어짐)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가압면(106)(평면)이 테이프 누름판(83)의 헤드(84)(선단부)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된 수지 재질의 부속장치(105)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용도(사용하는 결속테이프(7))에 맞는 형상 및 소재로 된 부속장치(105)를 장착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결속테이프(7)의 점착면이 커버(14)의 내측에 달라붙는 것을 방지하는 비점착성 시트(17)을 구비하므로, 결속테이프(7)이 커버(14)에 달라붙음으로 인해 상기 결속테이프(7)이 파손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취약한 생분해성 재료를 기재로 하는 결속테이프(7)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2안내판(62)의 안내면(78)에 단차(79)를 두어 제2안내판(62)의 하부(다른쪽 암(5)에 근접한 위치)에 결속테이프(7)의 점착면이 점착하도록 구성하였기 때문에, 테이프 누름판(83)이 테이프 받음판(87)로 돌입했을 때의 충격에 의해 결속테이프(7)을 제2안내판(62)의 안내면(78)로부터 더욱 확실하게 박리시킬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테이프 수용부(12)로부터 결속테이프(7)을 인출할 때 결속테이프(7)에 부하가 걸림으로 인해 상기 결속테이프(7)이 파손되는 것을 막을 수 있으며, 취약한 생분해성 재료를 기재로 하는 결속테이프(7)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1) 결속장치
(2), (3) 그립
(4), (5) 암
(7) 결속테이프
(8) 단부
(72) 조작판
(82) 레버(가동판)
(83) 테이프 누름판
(84) 헤드(선단부)
(87) 테이프 받음판

Claims (4)

  1. 한 쌍의 그립을 꼭 쥠으로써 지점을 중심으로 회동하는 한 쌍의 암, 결속테이프를 인출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테이프 지지기구, 상기 테이프 지지기구로부터 인출된 결속테이프를 내보내는 테이프 조출기구, 상기 테이프 조출기구로부터 내보내진 결속테이프의 단부를 유지하는 테이프 유지기구, 상기 테이프 조출기구로부터 내보내진 결속테이프의 맞춤부를 압착하는 테이프 압착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한 쌍의 암 사이로 유인시킨 피결속물을 상기 한 쌍의 암 사이에 마련된 결속테이프에 의해 결속시키는 결속장치로서,
    상기 테이프 유지기구는,
    한쪽 암에 설치된 조작판, 다른쪽 암에 설치되고 상기 조작판에 의해 조작되는 가동판, 상기 다른쪽 암에 설치되고 상기 가동판에 연동하는 테이프 누름판, 상기 다른쪽 암에 설치되는 테이프 받음판을 구비하고, 상기 테이프 받음판에 의해 상기 테이프 누름판의 선단부를 받음으로써, 상기 테이프 받음판과 상기 테이프 누름판 사이에서 상기 테이프 조출기구로부터 내보내진 상기 결속테이프의 단부를 유지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테이프 받음판은 탄성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테이프 누름판의 선단부에는 상기 결속테이프의 단부로 밀려들어가는 평면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평면은 테이프 누름판의 선단부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된 수지 재질의 부속장치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속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테이프는 생분해성 재료로 이루어진 기재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속장치.
  3. 삭제
  4. 삭제
KR1020207024286A 2018-02-23 2019-02-04 결속장치 KR10265618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8-030832 2018-02-23
JP2018030832A JP7020647B2 (ja) 2018-02-23 2018-02-23 結束装置
PCT/JP2019/003888 WO2019163504A1 (ja) 2018-02-23 2019-02-04 結束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3789A KR20200123789A (ko) 2020-10-30
KR102656182B1 true KR102656182B1 (ko) 2024-04-08

Family

ID=676880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24286A KR102656182B1 (ko) 2018-02-23 2019-02-04 결속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292626B2 (ko)
JP (1) JP7020647B2 (ko)
KR (1) KR102656182B1 (ko)
CN (1) CN111757834B (ko)
WO (1) WO201916350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3013733A (ja) * 2021-07-16 2023-01-26 ニチバン株式会社 結束装置
USD1002313S1 (en) * 2022-03-25 2023-10-24 Innovation Fabrication Commercialisation Infaco Machine for tying plant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157634A (ja) 2014-02-21 2015-09-03 ニチバン株式会社 結束装置におけるテープ巻戻り防止機構
JP2017222396A (ja) * 2016-06-15 2017-12-21 マックス株式会社 園芸用結束機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97387U (ko) * 1977-12-19 1979-07-10
JPS5623417A (en) * 1979-07-26 1981-03-05 Sekisui Chemical Co Ltd Bundling machine
JPS5969109U (ja) * 1982-10-30 1984-05-10 セイレイ工業株式会社 結束機におけるテ−プ保持構造
JP4298548B2 (ja) 2004-03-04 2009-07-22 大洋精機株式会社 テープによる結束機
JP2006050913A (ja) 2004-08-10 2006-02-23 Omura Kogyo Kk 結束装置
US20080104886A1 (en) * 2004-12-20 2008-05-08 Aglis Co., Ltd. Binding Device and Binding Method for Horticulture
CN201267132Y (zh) * 2008-09-02 2009-07-08 金翔发有限公司 捆束机结构
CN101779585A (zh) * 2009-01-21 2010-07-21 赵南善 农业用捆绑器
JP2010274937A (ja) 2009-05-26 2010-12-09 M & C:Kk 結束機
CN104853591B (zh) * 2012-11-29 2017-07-21 日绊株式会社 捆扎装置
US9736997B2 (en) * 2014-01-02 2017-08-22 Nam Sun CHO Binding machine for agriculture
JP6638568B2 (ja) * 2016-06-15 2020-01-29 マックス株式会社 園芸用結束機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157634A (ja) 2014-02-21 2015-09-03 ニチバン株式会社 結束装置におけるテープ巻戻り防止機構
JP2017222396A (ja) * 2016-06-15 2017-12-21 マックス株式会社 園芸用結束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9142576A (ja) 2019-08-29
KR20200123789A (ko) 2020-10-30
US20210086929A1 (en) 2021-03-25
WO2019163504A1 (ja) 2019-08-29
CN111757834B (zh) 2022-05-17
CN111757834A (zh) 2020-10-09
JP7020647B2 (ja) 2022-02-16
US11292626B2 (en) 2022-04-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56182B1 (ko) 결속장치
CA2746417C (en) Self-adjusting stripper pin for strapping machine strap chute
US7748415B2 (en) Plastic band tightening device with improved cutting mechanism
US4390047A (en) Tool for strap tensioning and cutting
EP1772504A1 (en) Adhesive tape joining apparatus
JPWO2014024296A1 (ja) 手動結束工具
JP5726556B2 (ja) 開閉体閉止装置
KR20170032156A (ko) 테이프 디스펜서 및 테이프 접이방법
JPH0769318A (ja) 張力制限機能を備えたストラップ引張工具
US10167164B2 (en) Handheld tape dispenser
KR101747513B1 (ko) 띠형상 부재 형성 고정 장치
US6491082B1 (en) Safety for blade of tape dispenser
KR101597504B1 (ko) 역류방지기능을 갖는 인장클램프
US6651718B2 (en) Hand-held tape dispenser with tape positioning structure
US6634402B2 (en) Adhesive-tape holder with an openable side cover
JP2002011517A (ja) 伸線装置の線材チャッキング装置
CN212556921U (zh) 捆束机把手改良结构及采用该结构的捆束机
JP2008013255A (ja) ホースノズルホルダ
GB2240601A (en) Band gun
JP6319884B2 (ja) 結束装置におけるテープ巻戻り防止機構
KR102069009B1 (ko) 테이프 커팅장치
KR101472834B1 (ko) 접착테이프용 디스펜서
JP7017844B2 (ja) テープフィーダ
KR101847434B1 (ko) 건축 시공용 테이핑 장치
TW201632369A (zh) 捆紮裝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