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9009B1 - 테이프 커팅장치 - Google Patents

테이프 커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9009B1
KR102069009B1 KR1020190005507A KR20190005507A KR102069009B1 KR 102069009 B1 KR102069009 B1 KR 102069009B1 KR 1020190005507 A KR1020190005507 A KR 1020190005507A KR 20190005507 A KR20190005507 A KR 20190005507A KR 102069009 B1 KR102069009 B1 KR 1020690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pe
cutting
protrusion
cutting blade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55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상연
Original Assignee
오상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상연 filed Critical 오상연
Priority to KR10201900055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900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90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90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5/00Delivering articles from cutting or line-perforating machines; 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e.g. adhesive tape dispensers
    • B65H35/0006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 B65H35/0073Details
    • B65H35/008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cutting devices
    • B65H35/0086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cutting devices using movable cutting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5/00Delivering articles from cutting or line-perforating machines; 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e.g. adhesive tape dispensers
    • B65H35/0006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 B65H35/002Hand-held or table apparatus
    • B65H35/0026Hand-held or table apparatus for delivering pressure-sensitive adhesive ta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50Auxiliary process performed during handling process
    • B65H2301/51Modifying a characteristic of handled material
    • B65H2301/515Cutting handled material
    • B65H2301/5151Cutting handled material transversally to feeding direction
    • B65H2301/51512Cutting handled material transversally to feeding direction using a cutting member moving linearly in a plane parallel to the surface of the web and along a direction crossing the handled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50Auxiliary process performed during handling process
    • B65H2301/51Modifying a characteristic of handled material
    • B65H2301/515Cutting handled material
    • B65H2301/5153Details of cutting means
    • B65H2301/51532Blade cutter, e.g. single blade cut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50Auxiliary process performed during handling process
    • B65H2301/51Modifying a characteristic of handled material
    • B65H2301/515Cutting handled material
    • B65H2301/5154Cutting handled material from hand-held or table dispens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30Handled filamentary material
    • B65H2701/37Tapes
    • B65H2701/377Adhesive tape

Landscapes

  • Adhesive Tape Dispens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박스 포장시 사용하는 테이프를 당겨 누르면, 테이프가 자동으로 절단되는 테이프 커팅장치로서, 전면에 세로방향으로 가이드리브(110)가 돌출형성되는 고정판(100); 상반부에 커팅날(211)이 장착되고 하반부는 가이드리브(110)를 기준으로 고정판(100) 일측에 힌지결합되는 세로축(210)과, 세로축의 하단부에서 가이드리브(110)를 향해 연장되고 연장단부에 구속돌기(221)가 돌출형성되는 가로축(220)으로 구분되는 커팅부재(200); 커팅날(211)의 상단부가 노출되게 커팅날(211)을 감싸면서 커팅날(211)의 회동범위를 제한하는 가이드블록(310)과, 가이드블록(310)의 전면에서 하측으로 연장되는 연장판(320)과, 가이드리브(110)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도록 연장판(320)의 배면에 세로방향으로 함몰형성되는 가이드홈(330)과, 구속돌기(221)가 통과할 수 있도록 연장판(320)에 가로방향으로 형성되는 장홈(340)과, 연장판(320)의 하단부에서 하방으로 돌출 형성된 하방 힌지돌기(351)를 구비하는 승강부재(300); 및 승강부재(300)의 하방 힌지돌기(351)와 고정판(100)의 하단부에 형성된 받침부(107)에 상방으로 돌출된 힌지돌기(108) 사이에 직립 설치되어 승강부재(300)에 수직 상방의 탄성복원력을 제공하는 코일스프링(4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테이프 커팅장치{Tape cutting device}
본 발명은 테이프 커팅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박스 포장시 사용하는 테이프를 당겨 누르면, 테이프가 자동으로 절단되는 테이프 커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형 마트 및 우체국, 대형 슈퍼마켓에서는 이용자가 구입한 물품을 배달하기 위한 목적에서 포장대가 구비되어 있으며, 포장대를 통해 빈 박스를 상자형태로 조합하여 측면을 포함한 하부 및 상부에 테이프를 경유시켜 부착하여 물품을 포장한다.
통상적으로 박스테이프는 50~60mm 폭으로 지관에 롤 형태로 감겨져 필요로 하는 만큼 테이프를 풀러 가위로 절단하여 사용하거나 혹은 테이프 전용홀더에 장착하여 사용한다.
상기와 같이 포장테이프를 사용함에 있어, 가위나, 테이프 홀더측의 커터날 부분은 외부로 노출되어 있다는 점에서 사용이 미숙한 이용자가 사용도중 날카로운 날에 지리거나 베이는 등의 상해를 입는 사례가 많았다.
상기와 같은 점을 고려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14244호("테이프 절단기")가 선행문헌으로 개시되어 있다.
종래의 "테이프 절단기"는 테이프를 끼워서 결합하기 위한 롤러를 구비하는 몸체와, 몸체의 일측에 칼날부를 구비하는 절단부로 이루어지는 테이프 절단기로서, 필요한 길이로 테이프를 걸쳐 놓고, 칼날부의 손잡이를 이동시켜 테이프를 절단하며, 손잡이를 놓게 되면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칼날부는 절단부의 레일홈을 따라 초기 상태로 복귀되는 타입의 절단기이다.
그러나, 종래의 "테이프 절단기"는 롤 형태로 감겨진 박스포장용 테이프를 인출시키고, 절단부에 인위적으로 가부착한 다음, 칼날부를 슬라이딩시켜 테이프를 절단하는, 2번의 구분 동작이 요구됨으로 인해, 번거롭고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814244호(공고일자 2008년03월17일, 발명의 명칭 : 테이프 절단기)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테이프를 원터치로 절단할 수 있고, 제작과 조립이 간단하며 견고한 테이프 커팅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테이프 커팅장치는, 전면에 세로방향으로 가이드리브(110)가 돌출형성되는 고정판(100); 상반부에 커팅날(211)이 장착되고 하반부는 상기 가이드리브(110)를 기준으로 상기 고정판(100) 일측에 힌지결합되는 세로축(210)과, 상기 세로축의 하단부에서 상기 가이드리브(110)를 향해 연장되고 연장단부에 구속돌기(221)가 돌출형성되는 가로축(220)으로 구분되는 커팅부재(200); 상기 커팅날(211)의 상단부가 노출되게 상기 커팅날(211)을 감싸면서 상기 커팅날(211)의 회동범위를 제한하는 가이드블록(310)과, 상기 가이드블록(310)의 전면에서 하측으로 연장되는 연장판(320)과, 상기 가이드리브(110)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도록 상기 연장판(320)의 배면에 세로방향으로 함몰형성되는 가이드홈(330)과, 상기 구속돌기(221)가 통과할 수 있도록 상기 연장판(320)에 가로방향으로 형성되는 장홈(340)과, 상기 연장판(320)의 하단부에서 하방으로 돌출 형성된 하방 힌지돌기(351)를 구비하는 승강부재(300); 및 상기 승강부재(300)의 하방 힌지돌기(351)와 상기 고정판(100)의 하단부에 형성된 받침부(107)에 상방으로 돌출된 힌지돌기(108) 사이에 직립 설치되어 상기 승강부재(300)에 수직 상방의 탄성복원력을 제공하는 코일스프링(4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테이프 커팅장치에 있어서, 상기 커팅부재(200)의 커팅날(211)이 상기 가이드블록(310)의 일측에 밀착된 원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블록(310) 상으로 테이프(T)를 당겨 아래로 누르면, 상기 승강부재(300)가 상기 탄성부재(400)를 압축하면서 상기 가이드리브(110)를 따라 하강되고, 이와 동시에, 상기 커팅부재(200)의 구속돌기(221)가 상기 승강부재(300)에 구속된 상태로 아래로 눌러짐에 따라, 상기 커팅날(211)이 상기 가이드블록(310)의 타측을 향해 스윙운동을 하면서 상기 테이프(T)를 자르는 커팅 동작을 하게 되고, 상기 테이프(T)가 절단되면, 상기 탄성부재(400)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상기 커팅부재(200)의 커팅날(211)이 원 상태가 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테이프 커팅장치에 있어서, 상기 커팅부재(200)는, 상기 커팅부재(200)의 힌지점에서 전방으로 원통형상으로 돌출형성된 원통돌기(230)를 구비하고, 상기 승강부재(300)의 연장판(320)은, 상기 가이드블록(310)의 전면에서 아래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게 연장되는 테이퍼부(321)와, 상기 테이퍼부(321)의 단부에서 일정폭으로 연장되고 측면이 상기 원통돌기(230)와 면접촉되는 가압부(322)로 구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테이프 커팅장치에 있어서, 상기 원통돌기(230)의 외주면에는, 피니언기어(230a)가 형성되고, 상기 가압부(322)에는, 상기 피니언기어(230a)와 기어물림되도록 랙기어(322a)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테이프 커팅장치에 따르면, 본 발명은 테이프를 당겨 내리는 연속 동작에 의해 테이프가 절단됨으로써, 테이프를 원터치 방식으로 쉽고 간단하게 절단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승강부재가 하강되는 과정에서, 연장판의 가압부가 커팅부재의 원통돌기에 면접촉됨으로써, 승강부재의 승강 동작이 좌우 유격없이 안정적으로 실시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기구적 동작의 선후 관계에 있어서, 승강부재가 탄성부재의 탄성복원력을 받으면서 직접적으로 승하강되고, 커팅부재는 승강부재와 연동하여 간접적으로 회전되는 구조이므로, 구성을 단순하게 하면서 커팅부재와 탄성부재 간의 간섭없이 테이프의 절단 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이프 커팅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테이프 커팅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2를 반대편에서 바라본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1의 테이프 커팅장치의 동작 과정을 나타낸 과정도.
도 5는 도 4의 테이프 커팅장치의 동작 과정 중, (a)와 (b)를 정면에서 대비하여 나타낸 렌더링 도면.
도 6은 도 1의 테이프 커팅장치에 포함된 커팅부재와 승강부재의 변형례를 나타낸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실시예로서, 승강부재의 외면에 부착방지돌기가 형성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테이프 커팅장치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과 관련하여 공지된 기술에 대한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공지된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이프 커팅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테이프 커팅장치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를 반대편에서 바라본 분해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이프 커팅장치는 박스 포장시 사용하는 테이프를 당겨 누르면, 테이프가 자동으로 절단되는 테이프 커팅장치로서, 고정판(100), 커팅부재(200), 승강부재(300)와 탄성부재(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고정판(1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에 세로방향으로 가이드리브(110)가 돌출형성되는 판상의 구성이다.
고정판(100)의 우측 상단에는 아래변이 긴 사다리꼴 형상으로 스토퍼블록(105)이 돌출형성된다. 가이드리브(110)는 스토퍼블록(105)의 전면에 구비된다. 스토퍼블록(105)의 좌측 경사면은 후술되는 커팅부재(200)의 타측 회동범위를 제한하는 스토퍼 기능을 하게 된다.
고정판(100)의 좌측에는 원통 형상으로 힌지축공(106)이 돌출되게 형성된다. 고정판(100)의 하단에는 '┗┛' 형상의 받침돌기(107)가 힌지축공(106)과 가이드리브(110) 사이에 오도록 형성된다. 받침돌기(107)의 바닥면에는 상방 힌지돌기(108)가 형성된다.
고정판(100)의 양측 상단부에는 전방으로 돌출되다 서로 연결되어 ㄷ자 형상을 이루는 클랩바(120)가 더 구비된다.
클랩바(120) 중, 전방의 크로스바는 고정판(100)의 전면에 조립되는 커팅부재(200) 및 승강부재(300)가 전방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잡아주는 기능을 하며, 양측의 포스트바 중 힌지축공(106)과 인접한 포스트바는 커팅부재(200)의 일측 회동범위를 보조적으로 제한하는 스토퍼 기능을 하게 된다.
커팅부재(200)는 세로축(210)과 가로축(220)이 일체로 형성되어 'ㄴ'자 형상을 이루는 구성이다.
세로축(210)은 상반부에 커팅날(211)이 장착되고 하반부는 고정판(100)의 힌지축공(106)에 힌지결합된다. 세로축(210)의 하단 힌지점에는 상기 힌지축공(106)이 삽입될 수 있도록 원통형상으로 된 원통돌기(230)가 전방으로 돌출형성된다.
커팅날(211)의 상단부는 고무 또는 플라스틱 재질의 보호캡을 씌워 노출되지 않게 하는 것이 안전상 바람직하다.
가로축(220)은 세로축(210)의 하단부에서 가이드리브(110)를 향해 연장되고 연장단부에 구속돌기(221)가 전방으로 돌출형성된다.
승강부재(300)는 가이드블록(310), 연장판(320), 가이드홈(330), 장홈(340) 및 절곡리브(350)를 구비한다.
가이드블록(310)은 커팅날(211)의 상단부가 노출되게 커팅날(211)을 감싸면서 커팅날(211)의 회동범위를 제한하는 구성이다. 본 실시예에서 가이드블록(310)은 아래로 갈수록 넓어지게 구성되며, 상면의 네 변 중, 테이프가 당겨오는 방면에 있는 변에 있는 계단면(300a)이 다른 면보다 높게 형성된다. 계단면(300a)은 당겨진 테이프가 붙어 가고정되는 면이 된다.
연장판(320)은 가이드블록(310)의 전면에서 하측으로 연장되는 부분이다. 연장판(320)은 가이드블록(310)의 전면에서 아래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게 연장되는 테이퍼부(321)와, 테이퍼부(321)의 단부에서 일정폭으로 연장되고 측면이 원통돌기(230)와 면접촉되는 가압부(322)로 구분된다.
가이드홈(33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판(100)의 가이드리브(110)가 상하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도록 연장판(320)의 배면에 세로방향으로 함몰형성되는 홈이다.
승강부재(300)의 전면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홈(330)과 일치되도록 보강리브(331)가 돌출형성되되, 고정판(100)의 클랩바(120)에 밀착될 정도로 돌출형성되는 것이 부품의 이탈 및 유격 방지 차원에서 바람직하다.
장홈(340)은 커팅부재(200)의 구속돌기(221)가 통과할 수 있도록 연장판(320)에 가로방향으로 형성되는 홈이다. 본 실시예에서 장홈(340)은 우측이 개구된 개방홈 형태로 형성된다.
장홈(340) 내에서, 구속돌기(221)의 상하 방향 움직임은 제한되고, 좌우 방향 움직임은 제한되지 않게 된다.
절곡리브(350)는 연장판(320)의 하단부에서 전방으로 절곡연장되는 부분이다. 절곡리브(350)의 하면에는 상기 상방 힌지돌기(108)와 대응되도록 하방 힌지돌기(351)가 돌출형성된다.
이와 같이, 가이드블록(310), 연장판(320), 가이드홈(330), 장홈(340) 및 절곡리브(350)를 구비하는 승강부재(300)는 플라스틱 사출성형에 의해 일체로 제작되는 것이 제작 및 조립 측면에 유리하다.
탄성부재(400)는 직선 형태의 탄성복원력을 제공하는 코일스프링으로서, 상단부가 상기 하방 힌지돌기(351)에 결합되고, 하단부는 상기 상방 힌지돌기(108)에 결합된다.
탄성부재(400)는 승강부재(300)의 상하 움직임에 따라 신축되면서, 승강부재(300)에 탄성 복원력을 제공하는 구성이다.
지금부터는 본 실시예에 따른 테이프 커팅장치의 동작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도 4는 도 1의 테이프 커팅장치의 동작 과정을 나타낸 과정도이고, 도 5는 도 4의 테이프 커팅장치의 동작 과정 중, (a)와 (b)를 정면에서 대비하여 나타낸 렌더링 도면이며, 도 6은 도 1의 테이프 커팅장치에 포함된 커팅부재와 승강부재의 변형례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먼저,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펜서(10)의 후방에 테이프(T)가 롤에 감긴 상태로 장착되고, 디스펜서(10)의 전방에는 당겨진 테이프(T)와 교차되는 방향으로 수납홈이 형성된다.
이 수납홈에 테이프 커팅장치가 상하방향으로 삽입되어 고정되며, 커팅부재(200)의 커팅날(211)은 가이드블록(310)의 일측에 밀착된 상태로 있게 된다.
이 상태에서 테이프(T)를 가이드블록(310) 상으로 원하는 만큼 당겨 아래로 누르면,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팅날(211)이 가이드블록(310)을 가로지르는 형태로 회전되면서 테이프(T)를 자르게 된다.
구체적으로, 도 5의 (a)와 같이 테이프(T)를 가이드블록(310) 상에 원하는 만큼 당긴 후, 테이프(T)를 아래로 누르기 전에는, 탄성부재(400)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승강부재(300)는 상승된 상태이고 커팅부재(200)는 미회전된 상태를 유지한다.
당겨진 테이프(T)를 아래로 누르면, 도 5의 (b)와 같이 승강부재(300)가 탄성부재(400)를 압축하면서 가이드리브(미도시)를 따라 하강되고, 이와 동시에 커팅부재(200)의 구속돌기(221)가 승강부재(300)에 구속된 상태로 아래로 눌러짐에 따라, 커팅부재(200)가 정회전(도면상 시계방향)되면서 커팅날(211)이 가이드블록(310)의 타측을 향해 스윙운동을 하게 된다. 테이프(T)를 자르는 커팅 동작을 수행하는 것이다.
커팅날(211)이 테이프(T)를 완전히 가로지르면, 도 4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이프(T)가 절단된다.
테이프(T)가 절단되는 순간, 도 4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부재(400)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승강부재(300)이 다시 상승되고, 커팅부재(200)가 역회전되면서 커팅부재(200)의 커팅날(211)이 가이드블록(310)의 일측에 밀착된 원래의 상태로 되돌아 온다.
종래에는 테이프를 인출시키고, 절단부에 가부착한 다음, 칼날부를 슬라이딩시켜 테이프를 절단하는, 2번의 구분 동작이 요구됨으로 인해, 번거롭고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반해, 본 발명은 테이프(T)를 당겨 내리는 연속 동작에 의해 테이프(T)가 절단됨으로써, 테이프(T)를 원터치 방식으로 쉽고 간단하게 절단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 5의 (b)와 같이 승강부재(300)가 하강되는 과정에서, 연장판(320)의 가압부(322)가 커팅부재(200)의 원통돌기(230)에 면접촉됨으로써, 승강부재(300)의 승강 동작이 좌우 유격없이 안정적으로 실시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가압부(322)의 승강 동작과 원통돌기(230)의 회전 동작이 같은 방향으로 서로 일치된다. 즉, 가압부(322)의 하강 시에는 원통돌기(230)가 시계방향으로 정회전되면서 가압부(322)의 동작에 순응하게 되고, 가압부(322)의 상승 시에는 원통돌기(230)가 반시계방향으로 역회전되면서 가압부(322)의 동작에 순응하게 되는 것이다.
이를 통해, 가압부(322)와 원통돌기(230)는 상호 마찰없이 면접촉됨으로써, 커팅부재(200) 및 승강부재(300)의 동작이 보다 원활하게 수행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변형례로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돌기(230)의 외주면에 피니언기어(230a)를 형성하고, 가압부(322)에는 랙기어(322a)를 형성하여 상호 기어물림 형태로 접촉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가압부(322)의 승강 동작과 연동하여 랙기어(322a)가 승강되면, 원통돌기(230)의 피니언기어(230a)가 정·역회전되면서 커팅부재(200) 및 승강부재(300)의 기구적 동작이 보다 확실하게 일어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기구적 동작의 선후 관계에 있어서, 본 발명은 승강부재(300)가 탄성부재(400)의 탄성복원력을 받으면서 직접적으로 승하강되고, 커팅부재(200)는 승강부재(300)와 연동하여 간접적으로 회전되는 구조이므로, 구성을 단순하게 하면서 커팅부재(200)와 탄성부재(400) 간의 간섭없이 테이프의 절단 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만약, 본 발명과 반대로, 커팅부재(200)가 탄성부재(400)의 탄성복원력을 받으면서 직접적으로 승하강되고, 승강부재(300)가 커팅부재(200)와 연동하여 간접적으로 회전되게 구성하면, 회전에 대한 탄성복원력 제공이 가능하도록 탄성부재(400)를 변형 적용해야 하고, 승강부재(300)와 탄성부재(400) 간의 간섭 가능성이 커지게 된다. 구성이 복잡해지고 간섭 등의 문제로 동작 안정성이 저하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승강부재(300)의 외면에 부착방지용 돌기(308)가 더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테이프(T)를 하방으로 누르는 동작에 의하여 절단이 이루어지는데, 이때에 눌림에 의하여 절단된 테이프가 승강부재의 외면에 부착함으로써 사용자는 다시 이를 떼어 내어야 하는 추가적 동작을 필요로 하게 된다. 이러한 추가적 동작을 수행하는 불편함을 제거하기 위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승강부재(300)의 외면에 부착방지용 돌기(208)를 더 형성하였다. 따라서 사용자가 테이프의 절단을 위하여 테이프를 누르더라도 테이프가 승강부재 의 외면에 부착되는 부착력이 약화됨으로써 절개 후에 테이프를 떼어내는 불편함이 최소화된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 및 변형례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변형 가능한 다양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본다.
100 : 고정판
200 : 커팅부재
300 : 승강부재
400 : 탄성부재

Claims (4)

  1. 전면에 세로방향으로 가이드리브(110)가 돌출형성되는 고정판(100);
    상반부에 커팅날(211)이 장착되고 하반부는 상기 가이드리브(110)를 기준으로 상기 고정판(100) 일측에 힌지결합되는 세로축(210)과, 상기 세로축의 하단부에서 상기 가이드리브(110)를 향해 연장되고 연장단부에 구속돌기(221)가 돌출형성되는 가로축(220)으로 구분되는 커팅부재(200);
    상기 커팅날(211)의 상단부가 노출되게 상기 커팅날(211)을 감싸면서 상기 커팅날(211)의 회동범위를 제한하는 가이드블록(310)과, 상기 가이드블록(310)의 전면에서 하측으로 연장되는 연장판(320)과, 상기 가이드리브(110)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도록 상기 연장판(320)의 배면에 세로방향으로 함몰형성되는 가이드홈(330)과, 상기 구속돌기(221)가 통과할 수 있도록 상기 연장판(320)에 가로방향으로 형성되는 장홈(340)과, 상기 연장판(320)의 하단부에서 하방으로 돌출 형성된 하방 힌지돌기(351)를 구비하는 승강부재(300); 및
    상기 승강부재(300)의 하방 힌지돌기(351)와 상기 고정판(100)의 하단부에 형성된 받침부(107)에 상방으로 돌출된 힌지돌기(108) 사이에 직립 설치되어 상기 승강부재(300)에 수직 상방의 탄성복원력을 제공하는 코일스프링(400);을 포함하고,
    상기 커팅부재(200)의 커팅날(211)이 상기 가이드블록(310)의 일측에 밀착된 원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블록(310) 상으로 테이프(T)를 당겨 아래로 누르면, 상기 승강부재(300)가 상기 코일스프링(400)을 압축하면서 상기 가이드리브(110)를 따라 하강되고,
    이와 동시에, 상기 커팅부재(200)의 구속돌기(221)가 상기 승강부재(300)에 구속된 상태로 아래로 눌러짐에 따라, 상기 커팅날(211)이 상기 가이드블록(310)의 타측을 향해 스윙운동을 하면서 상기 테이프(T)를 자르는 커팅 동작을 하게 되고,
    상기 테이프(T)가 절단되면, 상기 코일스프링(400)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상기 커팅부재(200)의 커팅날(211)이 원 상태가 되고,
    상기 커팅부재(200)는, 상기 커팅부재(200)의 힌지점에서 전방으로 원통형상으로 돌출형성된 원통돌기(230)를 구비하고,
    상기 승강부재(300)의 연장판(320)은, 상기 가이드블록(310)의 전면에서 아래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게 연장되는 테이퍼부(321)와, 상기 테이퍼부(321)의 단부에서 일정폭으로 연장되고 측면이 상기 원통돌기(230)와 면접촉되는 가압부(322)로 구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커팅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돌기(230)의 외주면에는, 피니언기어(230a)가 형성되고,
    상기 가압부(322)에는, 상기 피니언기어(230a)와 기어물림되도록 랙기어(322a)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커팅장치.
  3. 삭제
  4. 삭제
KR1020190005507A 2019-01-16 2019-01-16 테이프 커팅장치 KR1020690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5507A KR102069009B1 (ko) 2019-01-16 2019-01-16 테이프 커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5507A KR102069009B1 (ko) 2019-01-16 2019-01-16 테이프 커팅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69009B1 true KR102069009B1 (ko) 2020-01-22

Family

ID=693685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5507A KR102069009B1 (ko) 2019-01-16 2019-01-16 테이프 커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900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69701A (ko) 2021-06-21 2022-12-28 선지호 박스 포장 테이프 절단용 칼날유닛과 이를 이용한 박스 포장 테이프 절단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4244B1 (ko) 2007-02-28 2008-03-17 선세근 테이프 절단기
JP3189212U (ja) * 2013-12-18 2014-02-27 エスコ株式会社 テープカッターおよび切断カートリッジ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4244B1 (ko) 2007-02-28 2008-03-17 선세근 테이프 절단기
JP3189212U (ja) * 2013-12-18 2014-02-27 エスコ株式会社 テープカッターおよび切断カートリッ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69701A (ko) 2021-06-21 2022-12-28 선지호 박스 포장 테이프 절단용 칼날유닛과 이를 이용한 박스 포장 테이프 절단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560907B1 (en) Adhesive tape dispenser for single hand operation
JP2006326836A (ja) フィルムカッター装置
US20030140760A1 (en) Film cutter
US8656976B2 (en) Switching dual cam adhesive tape dispenser
IE50739B1 (en) Dispenser for sheet products
KR102069009B1 (ko) 테이프 커팅장치
KR101649461B1 (ko) 테이프 디스펜서
JPS62500819A (ja) シ−トの束の収容器
JP2007151646A (ja) 薬液容器の噴射アダプタ
KR102656182B1 (ko) 결속장치
JP2008113859A (ja) ロールペーパーホルダー
KR101472834B1 (ko) 접착테이프용 디스펜서
KR101609098B1 (ko) 박스포장용 테이프 절단기
JP2022177448A (ja) ロールペーパーホルダ
JPS6231660A (ja) 可変長テ−プ・タブ形成デバイス
US3031117A (en) Dispensers for adhesive tape
JP7471949B2 (ja) 切断刃付きテープディスペンサー
JP5571136B2 (ja) カッターガード板付き粘着テープホルダー
US20190112144A1 (en) Device for Applying Adhesive Tape to a Surfa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uch a Device
JP2001204535A (ja) まつ毛カ−ル器
GB2255925A (en) Foil or film dispenser
JP2012139455A (ja) ロールペーパーホルダ
KR101945208B1 (ko) 박스 해체용 커터장치
JP2010047284A (ja) ラップ詰め替えボックス
KR20220050833A (ko) 롤 접착 테이프 절단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