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6056B1 - 공기가 토출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수전 - Google Patents

공기가 토출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수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56056B1
KR102656056B1 KR1020230048863A KR20230048863A KR102656056B1 KR 102656056 B1 KR102656056 B1 KR 102656056B1 KR 1020230048863 A KR1020230048863 A KR 1020230048863A KR 20230048863 A KR20230048863 A KR 20230048863A KR 102656056 B1 KR102656056 B1 KR 1026560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air
faucet
discharged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488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성주
김창휘
정이빈
이현태
Original Assignee
국립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국립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국립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300488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605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60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6056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4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 E03C1/0404Constructional or functional features of the spout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4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 E03C1/0412Constructional or functional features of the faucet handl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2201/00Details, devices or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전부에서 물 또는 공기를 선택적으로 토출할 수 있는 공기가 토출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수전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물이 공급되는 형태를 변경할 수 있어 목적에 따라 수전부에서 물이 서로 다른 형태로 출수될 수 있도록 하고, 공기가 토출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싱크대의 구석이나 틈에 물이 고여 물때가 생기거나 물에 의한 얼룩이 발생하지 않도록 물기를 제거하기 위해 소정 압력을 갖는 압축 공기가 외부로 토출되도록 하는 공기가 토출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수전을 제공함에 있다.

Description

공기가 토출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수전 {Faucet capable of discharging air}
본 발명은 공기가 토출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수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전부에서 물 또는 공기를 선택적으로 토출할 수 있는 공기가 토출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수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방의 싱크대는 조리 및 식기류의 세척 작업이 이루어지는 곳이다. 특히, 식기류를 세척하기 위하여 세척부가 형성되어 있다. 세척부로 물을 공급하는 수전 장치가 세척부에 설치되며, 수전 장치는 급수관과 연결된다.
종래의 수전 장치는 싱크대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상부가 절곡되어 세척부로 물을 배출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이때, 수전 장치는 싱크대 상부로 돌출된 기둥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 하도록 형성되어 세척부로 배출되는 물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었다.
종래의 수전 장치는 성인의 손바닥 면적의 약 1/3 정도의 기설정된 면적에만 물을 배출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넓은 면적을 갖는 식기류 등을 세척할 때 손을 움직이면서 식기류를 세척해야 해서 설거지에 시간이 많이 소요되기도 한다.
설거지를 할 때 불편한 사항을 꼽자면 크게 두 가지로, 설거지를 할 때 물이 튀어 옷이 젖는다는 점과 싱크대에 물에 의한 얼룩과 물때가 남는 것을 들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앞치마를 하고 설거지를 하거나 싱크대에 물막이를 설치하여 물이 튀는 것을 방지하기도 한다.
또한, 설거지가 끝나고 나면 행주, 타올, 수세미 등으로 세척부 전체를 닦아 물기를 제거하고 있으나, 수전 장치나 싱크대에 발생된 물에 의한 얼룩이 쉽게 지워지지 않는다.
따라서, 본 출원인은 수도꼭지와 싱크대의 물기를 제거하여 물때나 얼룩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며, 물이 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물이 공급되는 면적과 각도를 조절하여 설거지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수전을 제안하고자 한다.
1.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9-0044737호 ("싱크대 수전장치", 2019.05.02.)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물이 공급되는 형태를 변경할 수 있어 목적에 따라 수전부에서 물을 서로 다른 형태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공기가 토출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수전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공기가 토출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싱크대의 구석이나 틈에 물이 고여 물때가 생기거나 물에 의한 얼룩이 발생하지 않도록 물기를 제거하기 위해 소정 압력을 갖는 압축 공기가 외부로 토출되도록 하는 공기가 토출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수전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공기가 토출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수전은, 소정 두께의 판 형태로 형성되며, 싱크대의 상면에 설치되는 카트리지; 상기 카트리지의 상면에 형성되며, 싱크볼에 물 또는 공기를 토출하는 수전부; 상기 카트리지의 상면에 형성되며, 상기 수전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조작부; 상기 조작부의 조작에 의해 동작하며, 상기 수전부에 물 또는 공기가 선택적으로 토출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전부는 상기 카트리지에 형성되는 홀에 끼움 결합하는 하우징의 일단에 탈착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수전부의 둘레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며, 상기 싱크볼의 바닥면과 마주보도록 형성되어 공기 또는 물을 외부로 토출하는 토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전부는 중공의 원통 형태이며, 상기 수전부 내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끼움 결합되며, 복수의 노즐이 형성되는 급수 조절 레버 및 상기 급수 조절 레버의 일단에 결합되어 물 또는 공기를 공급하는 메인 관을 포함하고, 상기 급수 조절 레버가 회전되어 복수의 노즐 중 선택되는 하나의 노즐이 상기 토출부가 형성된 위치에 위치하도록 해 물 또는 공기가 토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전은, 상기 메인 관과 연통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메인 관에 물을 공급하는 물 이동 관; 상기 메인 관과 연통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메인 관에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 이동 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트리지의 하부에 형성되며, 내부 공간이 형성되고, 표면에 상기 물 이동 관 및 상기 공기 이동 관과 결합되어 연통되는 홀이 형성되는 함체, 상기 함체 내부에 형성되며, 소정 깊이의 홈이 형성된 회전체 결합부, 상기 회전체 결합부에 형성된 홈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회전체의 표면을 관통하는 연통홀이 형성되는 회전체 및 상기 함체의 상면을 관통하여 일부 삽입되며, 상승 또는 하강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회전체를 가압하는 가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조작부는, 상기 카트리지에 형성되며, 상기 카트리지의 두께 방향으로 소정 길이 하강하는 조작부 설치부에 설치되며, 상기 조작부 설치부의 하면을 따라 소정 길이 하향 연장되어 형성되는 원통형 하우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통홀은 상기 물 이동 관이 상기 함체에 결합된 위치와 동일한 축에 위치하여, 물이 상기 연통홀을 통과하여 상기 물 이동 관을 따라 이동하고, 상기 메인 관에 공급된 물은 상기 노즐 및 상기 토출부를 통해 외부로 출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압부는 상기 원통형 하우징과 브라켓에 의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조작부를 위에서 아래로 가압했을 경우, 상기 조작부 설치부가 아래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원통형 하우징이 아래로 이동하며, 상기 원통형 하우징이 아래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가압부가 아래로 이동하며 상기 회전체를 가압하여 상기 회전체를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회전체의 회전에 의해 상기 연통홀은 상기 공기 이동 관이 상기 함체에 결합된 위치와 동일한 축에 위치하여, 공기가 상기 연통홀을 통과하여 상기 공기 이동 관을 따라 이동하고, 상기 메인 관에 공급된 공기는 상기 노즐 및 상기 토출부를 통해 외부로 토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전은, 상기 원통형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며, 외부로부터 상기 공기 이동 관에 유입되는 공기를 일정 압력으로 압축하는 컴프레셔;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컴프레셔는, 상기 컴프레셔를 동작시키는 스위치가 외부에 설치되며, 상기 스위치는 상기 조작부가 위에서 아래로 가압되어 상기 조작부 설치부가 하강함에 따라 on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공기가 토출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수전은 조작부의 각도를 조절하여 물이 공급되는 형태를 변경할 수 있어 목적에 따라 수전부에서 물을 서로 다른 형태로 공급할 수 있다.
또한, 공기가 토출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싱크대의 구석이나 틈에 물이 고여 물때가 생기거나 물에 의한 얼룩이 발생하지 않도록 물기를 제거하기 위해 소정 압력을 갖는 압축 공기가 외부로 토출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가 토출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수전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가 토출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수전의 수전부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가 토출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수전의 급수 형태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가 토출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수전의 하부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가 토출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수전의 하부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가 토출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수전의 하부 측면도
이하,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가 토출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수전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수전은 소정 두께의 판 형태의 카트리지(100)가 형성되며, 카트리지(100)는 싱크대의 상면에 설치된다.
카트리지(100)의 표면에는 관통 홀이 형성되어 물을 싱크대에 공급하기 위한 수도꼭지 기능을 하는 하우징(200)과 하우징(200)에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끝단에 형성된 메인 관(310)으로부터 물 또는 공기를 공급받는 수전부(300)를 포함하며, 수전부(300)의 둘레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물 또는 공기가 외부로 토출되는 토출부(320)가 형성된다.
이때, 하우징(200)은 'ㄱ'자로 형성되며, 토출부(320)가 싱크대의 표면과 마주보는 위치에 형성되어 물이 싱크대의 표면에 대해 수직으로 공급되도록 해 물이 튀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즉, 카트리지(100)에 형성된 홀에 하우징(200)이 싱크대의 상측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며, 싱크대의 하부에 물 또는 공기를 공급하는 관이 형성되어 메인 관(310)과 연통된다.
하우징(200)과 소정 간격을 두고 카트리지(100)의 조작부 설치부(110)에 조작부(400)가 설치되며, 사용자가 조작부(400)를 조작하여 물의 공급 여부와 공급되는 물의 양, 물의 온도 등을 제어할 수 있고, 공기의 공급 여부 또한 제어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카트리지(100)의 하부에는 컴프레셔(810)가 설치되며, 공기가 이동하는 공기 이동 관(600)과 물이 이동하는 물 이동 관(500)이 형성된다. 공기 이동 관(600)과 물 이동 관(500)의 중단에는 물 이동관(500)과 공기 이동 관(600)의 개폐를 제어하는 회전체(740)가 설치되며, 회전체(740)를 위에서 아래로 가압하는 가압부(710)가 형성된다.
회전체(740)에는 연통홀(741)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어 물 이동 관(500) 또는 공기 이동 관(600)과 선택적으로 연통될 수 있다. 카트리지(100)의 하부 구성은 후술하도록 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원 발명의 수전부(300)는 하우징(200)으로부터 분리 가능하도록 형성되며, 물 이동 관(500) 또는 공기 이동 관(600)으로부터 물과 공기를 공급받는 메인 관(310)이 소정 길이 연장되어 형성됨에 따라 싱크대의 구석 부분 등 물 또는 공기가 안 닿는 구역에 물 또는 공기를 공급할 수 있다.
수전부(300)에는 토출부(320)가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토출부(320)는 원형 형태의 제1토출부(321)와 수전부(3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 제2토출부(322)를 포함하며, 물이 분사되는 노즐이 변경됨에 따라 제1토출부(321)에서 물이 공급될 수도 있고, 제2토출부(322)에서 물이 공급될 수도 있다. 이는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가 토출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수전의 수전부 분해 사시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전부(300)는 내부가 빈 중공의 원통 형태이며, 수전부(300) 내부에는 급수 조절 레버(330)가 끼움 결합되어 설치되되, 일부는 외부로 노출된다. 급수 조절 레버(330)의 외부로 노출되는 부분은 단턱이 형성되어 수전부(300) 내부에 삽입되지 않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급수 조절 레버(330)에는 둘레면에 노즐이 형성되며, 급수 조절 레버(330)의 둘레면에 동 간격으로 형성된다. 사용자는 급수 조절 레버(330)의 외부로 돌출된 부분을 잡고 회전시켜 노즐과 토출부(320)의 위치를 맞춰 원하는 형태로 물이 출수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외부로 노출되는 급수 조절 레버(330)에는 그림이 프린팅되거나 돌기가 형성되어 사용자가 급수 조절 레버(330)를 회전시키면서 어떤 노즐을 선택할지 직관적으로 알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급수 조절 레버(330)는 총 세 개의 노즐이 형성된다. 이는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가 토출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수전의 급수 형태 예시도를 도시하고 있다. 먼저,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급수 조절 레버(330)에 형성되는 제1노즐(331)은 복수의 홀이 중심을 기준으로 방사형으로 형성된 형태이다.
사용자가 급수 조절 레버(330)를 회전시켜 제1노즐(331)이 제1토출부(321)에 위치하도록 하고 조작부(400)를 조작하여 물이 공급되도록 하면 아래 도면과 같이 물줄기가 하향 이동하면서 소정 각도 퍼지는 형태로 물이 분사된다.
다음으로,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급수 조절 레버(330)에 형성된 제2노즐(332)은 소정 간격을 두고 복수의 홀이 형성된 복수의 라인이 가로 방향 또는 세로 방향으로 배열된다.
사용자가 급수 조절 레버(330)를 회전시켜 제2노즐(332)이 제1토출부(321)에 위치하도록 하고 조작부(400)를 조작하여 물이 공급되도록 하면 아래 도면과 같이 물줄기가 일자형으로 분사된다.
마지막으로,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급수 조절 레버(330)에 형성된 제3노즐(333)은 급수 조절 레버(330)의 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홀로 형성된다.
사용자가 급수 조절 레버(330)를 회전시켜 제3노즐(333)이 제2토출부(322)에 위치하도록 하고 조작부(400)를 조작하여 물이 공급되도록 하면 아래 도면과 같이 물줄기가 넓게 퍼지는 형태로 분사되어 넓은 면적의 접시나 쟁반을 설거지할 수 있다.
이때, 급수 조절 레버(330)에는 제1노즐(331) 내지 제3노즐(333) 외에도 공기가 토출되는 노즐이 더 형성될 수 있으며, 제1노즐(331) 내지 제3노즐(333)에서 공기가 토출되도록 해 제1토출부(321)와 제2토출부(322)를 통해 외부로 공기가 분사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공기와 물을 선택적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과 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가 토출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수전의 하부 사시도를 도시하고 있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가 토출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수전의 하부 정면도를 도시하고 있으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가 토출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수전의 하부 측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카트리지(100)는 싱크대의 상면에 설치되며, 하우징(200)은 카트리지(100)에 형성된 관통 홀에 끼움 결합되어 미리 정해진 위치와 높이로 고정 설치되고, 조작부(400)의 하단은 조작부 설치부(110)의 표면에 고정 결합되며, 조작부(400)가 설치되는 조작부 설치부(110)는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래로 소정 길이 하강할 수 있다.
보다 자세히 설명하자면, 평소에는 카트리지(100)의 다른 영역과 동일한 높이를 유지하며, 조작부(400)를 위에서 아래로 가압하면, 조작부(400)와 조작부 설치부(110)가 카트리지(100)의 표면에 대해 소정 길이 아래로 이동한다.
카트리지(100)의 하부에는 물 또는 공기의 공급을 선택하기 위한 제어부(700)가 형성되며, 제어부(700)는 가압부(710), 회전체 결합부(730), 회전체(740)를 포함한다.
카트리지(100)의 하부에는 소정 길이 연장되어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브라켓이 형성되며, 브라켓의 타단에는 내부 공간이 형성된 함체(720)가 결합된다.
함체(720)의 내부에는 측면에 소정 깊이의 원형 홈이 형성된 회전체 결합부(730)와 원형 홈에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회전체(740)를 포함하며, 회전체(740)의 표면에는 회전체(740)의 표면을 관통하는 연통홀(741)이 형성된다.
연통홀(741)은 물 이동 관(500) 또는 공기 이동 관(600)과 연통되기 위해 형성되는 홀로, 함체(720)의 표면에도 물 이동 관(500)과 공기 이동 관(600)의 위치에 대응되는 곳에 홀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함체(720)의 표면에 형성되는 홀에 물 이동 관(500)과 공기 이동 관(600)의 일단이 결합되며, 함체(720)에 형성된 홀의 지름으로부터 내측으로 연장되어 회전체(740)의 표면과 접촉하는 관이 형성되어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물과 공기가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함체(720) 및 회전체(740)의 연통홀(741)을 통과하여 메인 관(310)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관의 타단 즉, 회전체(740)의 표면과 접촉하는 면에는 밀봉(sealing) 수단, 예를 들어 O-ring이 형성될 수 있고, 타단 일부가 연통홀(741) 내부에 삽입되는 형성되어 물이나 공기가 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회전체(740)의 회전을 보다 매끄럽게 하기 위해 연통홀(741)의 모서리면은 경사가 형성될 수도 있다.
함체(720)의 상면은 일부 개방되어 조작부(400)의 이동에 따라 상승 또는 하강하는 가압부(710)의 하단 일부가 삽입되며, 가압부(710)의 하단은 회전체(740)의 모서리와 접촉하도록 형성된다.
가압부(710)는 조작부(400)가 설치되는 조작부 설치부(110)의 하면으로부터 소정 길이 하향 연장되어 형성되는 원통형 하우징(800)과 브라켓에 의해 연결되어 일체로 형성되며, 원통형 하우징(800)의 내부에는 컴프레셔(810)가 설치된다.
조작부(400)가 가압되어 조작부 설치부(110)가 아래로 이동함에 따라 원통형 하우징(800)도 아래로 이동하게 되고, 원통형 하우징(800)과 브라켓에 의해 결합되는 가압부(710)도 아래로 이동하여 회전체(740)를 가압해 소정 각도 회전시킨다.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소에는 연통홀(741)이 물 이동 관(500)이 설치되는 위치에 대응되는 곳에 형성되어 물 이동 관(500)으로 물이 이동하여 메인 관(310)으로 물이 공급되고, 수전부(300)의 토출부(320)를 통해 물이 외부로 토출되도록 한다.
반면,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작부(400)가 가압됨에 따라 조작부 설치부(110)가 아래로 이동하고, 가압부(710)가 하강하여 회전체(740)를 가압해 소정 각도 회전시키면 연통홀(741)도 함께 회전하여 물 이동 관(500)은 막히게 된다.
연통홀(741)은 회전체(740)의 회전에 의해 공기 이동 관(600)이 설치되는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로 이동함에 따라 공기 이동 관(600)으로 공기가 이동하여 메인 관(310)으로 공기가 공급되어 수전부(300)의 토출부(320)를 통해 물이 외부로 토출되도록 한다.
이때, 조작부(400)가 하강하면서 컴프레셔(810)를 동작시키는 스위치를 누르게 되고, 컴프레셔(810)의 동작에 의해 압축 공기가 토출부(320)를 통해 외부로 토출되어 싱크대의 구석과 틈에 잔존하는 물기를 제거할 수 있다.
위에서 아래로 가압된 조작부(400)를 다시 상승시키면 가압부(710)가 상승하며, 회전체(740)가 다시 원래 위치로 복귀하게 되고, 연통홀(741)이 물 이동 관(500)이 형성된 위치로 다시 복귀한다. 또한, 컴프레셔(810)를 동작시키는 스위치를 누르는 압력이 제거되기 때문에 컴프레셔(810)의 동작도 멈추게 된다.
조작부(400)를 사용자가 다시 상승시킴에 따라 토출부(320)를 통해 공기가 토출되는 것을 멈출 수도 있고, 일정 시간 이후에 조작부(400)가 다시 상승하도록 설정될 수도 있으며, 조작부(400)의 레버가 물이 출수되도록 조작된 상태에서는 아래로 이동할 수 없도록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별도의 스위칭 장치를 전기적으로 이용하지 않아도 토출부(320)에서 토출되는 유체를 공기 또는 물로 용이하게 선택할 수 있다.
이때, 또 다른 실시예로는 회전체(740)에 물 이동 관(500)의 위치와 공기 이동 관(600)의 위치에 대응되는 연통홀이 두 개 형성될 수 있다. 자세히 설명하자면, 연통홀 내부에는 개폐부가 형성되어 조작부(400)가 아래로 내려오면 공기 이동 관(600)의 위치에 대응되는 곳에 형성된 연통홀의 개폐부가 개방되고, 물 이동 관(500)과 연통되는 연통홀은 폐쇄될 수 있다.
반대로, 조작부(400)가 원래 위치로 복귀하면 공기 이동 관(600)과 연통되는 연통홀은 폐쇄되고, 물 이동 관(500)의 위치에 대응되는 곳에 형성된 개폐부가 개방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하여 기술적 사상을 해석해서는 안 된다.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업자의 수준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된다.
100 카트리지
110 조작부 설치부
200 하우징
300 수전부
310 메인 관
320 토출부
321 제1토출부
322 제2토출부
330 급수 조절 레버
331 제1노즐
332 제2노즐
333 제3노즐
400 조작부
500 물 이동 관
600 공기 이동 관
700 제어부
710 가압부
720 함체
730 회전체 결합부
740 회전체
741 연통홀
800 원통형 하우징
810 컴프레셔

Claims (11)

  1. 소정 두께의 판 형태로 형성되며, 싱크대의 상면에 설치되는 카트리지;
    상기 카트리지에 형성되는 홀에 끼움 결합하는 하우징의 일단에 탈착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싱크볼의 바닥면과 마주보도록 형성되어 공기 또는 물을 외부로 토출하는 토출부를 포함하는 수전부;
    상기 카트리지의 상면에 형성되며, 상기 수전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조작부;
    상기 조작부의 조작에 의해 동작하며, 상기 수전부에 물 또는 공기가 선택적으로 토출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수전부는 중공의 원통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수전부 내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끼움 결합되며, 복수의 노즐이 형성되는 급수 조절 레버 및 상기 급수 조절 레버의 일단에 결합되되, 물을 공급하는 물 이동관과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 이동관과 연통되도록 형성되는 메인 관을 포함하고, 상기 급수 조절 레버가 회전되어 복수의 노즐 중 선택되는 하나의 노즐이 상기 토출부가 형성된 위치에 위치하도록 해 물 또는 공기가 토출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트리지의 하부에 형성되며, 내부 공간이 형성되고, 표면에 상기 물 이동 관 및 상기 공기 이동 관과 결합되어 연통되는 홀이 형성되는 함체,
    상기 함체 내부에 형성되며, 소정 깊이의 홈이 형성된 회전체 결합부,
    상기 회전체 결합부에 형성된 홈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표면을 관통하는 연통홀이 형성되는 회전체 및
    상기 함체의 상면을 관통하여 일부 삽입되며, 상승 또는 하강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회전체를 가압하는 가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가 토출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수전.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는,
    상기 카트리지에 형성되며, 상기 카트리지의 두께 방향으로 소정 길이 하강하는 조작부 설치부에 설치되며,
    상기 조작부 설치부의 하면을 따라 소정 길이 하향 연장되어 형성되는 원통형 하우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가 토출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수전.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연통홀은 상기 물 이동 관이 상기 함체에 결합된 위치와 동일한 축에 위치하여,
    물이 상기 연통홀을 통과하여 상기 물 이동 관을 따라 이동하고, 상기 메인 관에 공급된 물은 상기 노즐 및 상기 토출부를 통해 외부로 출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가 토출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수전.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는 상기 원통형 하우징과 브라켓에 의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가 토출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수전.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를 위에서 아래로 가압했을 경우, 상기 조작부 설치부가 아래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원통형 하우징이 아래로 이동하며,
    상기 원통형 하우징이 아래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가압부가 아래로 이동하며 상기 회전체를 가압하여 상기 회전체를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회전체의 회전에 의해 상기 연통홀은 상기 공기 이동 관이 상기 함체에 결합된 위치와 동일한 축에 위치하여,
    공기가 상기 연통홀을 통과하여 상기 공기 이동 관을 따라 이동하고, 상기 메인 관에 공급된 공기는 상기 노즐 및 상기 토출부를 통해 외부로 토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가 토출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수전.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수전은,
    상기 원통형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며, 외부로부터 상기 공기 이동 관에 유입되는 공기를 일정 압력으로 압축하는 컴프레셔;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가 토출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수전.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컴프레셔는,
    상기 컴프레셔를 동작시키는 스위치가 외부에 설치되며, 상기 스위치는 상기조작부가 위에서 아래로 가압되어 상기 조작부 설치부가 하강함에 따라 on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가 토출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수전.
KR1020230048863A 2023-04-13 2023-04-13 공기가 토출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수전 KR1026560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48863A KR102656056B1 (ko) 2023-04-13 2023-04-13 공기가 토출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수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48863A KR102656056B1 (ko) 2023-04-13 2023-04-13 공기가 토출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수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56056B1 true KR102656056B1 (ko) 2024-04-08

Family

ID=907150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48863A KR102656056B1 (ko) 2023-04-13 2023-04-13 공기가 토출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수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56056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63748A (ja) * 1991-12-16 1993-06-29 Inax Corp 温風吹出機能を有する水栓及び水栓装置
KR20120125146A (ko) * 2011-05-06 2012-11-14 강성모 지능형 포셋
JP2014177758A (ja) * 2013-03-13 2014-09-25 Panasonic Corp 吐水装置
KR20160003378U (ko) * 2015-03-23 2016-10-05 주식회사 콜러노비타 수전부의 손 건조장치
KR20190044737A (ko) 2017-10-23 2019-05-02 김성훈 싱크대 수전장치
JP2019173437A (ja) * 2018-03-29 2019-10-10 株式会社Lixil 操作装置及び水栓装置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63748A (ja) * 1991-12-16 1993-06-29 Inax Corp 温風吹出機能を有する水栓及び水栓装置
KR20120125146A (ko) * 2011-05-06 2012-11-14 강성모 지능형 포셋
JP2014177758A (ja) * 2013-03-13 2014-09-25 Panasonic Corp 吐水装置
KR20160003378U (ko) * 2015-03-23 2016-10-05 주식회사 콜러노비타 수전부의 손 건조장치
KR20190044737A (ko) 2017-10-23 2019-05-02 김성훈 싱크대 수전장치
JP2019173437A (ja) * 2018-03-29 2019-10-10 株式会社Lixil 操作装置及び水栓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38884B1 (ko) 식기세척기
JP4035661B1 (ja) 浴室洗浄装置及び浴室ユニット
KR0122507Y1 (ko) 식기세척기의 세척수분사장치
CA2243362C (en) Dispenser
EP3496587B1 (en) Sinks incorporating dishwasher functionalities
KR20040076876A (ko) 세척 리셉터클 내에 배열되어진 세척되어지는 물품을수용하기 위한 식기세척기
KR200448312Y1 (ko) 내벽 세척 기능을 갖는 배수통 및 이를 포함하는 싱크대
KR102656056B1 (ko) 공기가 토출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수전
WO2008108328A1 (ja) 洗浄装置および自動分析装置
KR100901186B1 (ko) 세척보울과 물탱크 사이에 역류방지 체크밸브를 갖는양변기
US9615700B2 (en) Urinal with hand washing functionality
CA3050986C (en) Air freshener and automated unblocking device for plumbing trap for sinks, wash basins or similar.
US20070074746A1 (en) Dishwasher with integrated spray channels
JP2000027247A (ja) キッチン用吐水ヘッド
KR101573046B1 (ko) 도기 일체형 비데의 수동 세척장치
JP4584013B2 (ja) 食器洗浄機のオーバーフローパイプ
US20170065145A1 (en) Automatic washer for receptacles
CN219680529U (zh) 一种水槽式清洗机
KR101468884B1 (ko) 넘침 방지 기능을 갖는 분사펌프 및 이를 구비하는 양변기
KR102676018B1 (ko) 비상 세안 장치
US20220287541A1 (en) Tableware hydro-cleaning apparatus
JPH0751185Y2 (ja) 灰皿洗浄装置
KR100779196B1 (ko) 좌변기 세척 기능을 갖는 비데
KR200357717Y1 (ko) 양변기
JP3183135B2 (ja) 流し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