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6009B1 - 자동 반출입 시스템이 구비된 건설용 리프트 및 이를 이용한 자재 반출입 방법 - Google Patents
자동 반출입 시스템이 구비된 건설용 리프트 및 이를 이용한 자재 반출입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656009B1 KR102656009B1 KR1020210176061A KR20210176061A KR102656009B1 KR 102656009 B1 KR102656009 B1 KR 102656009B1 KR 1020210176061 A KR1020210176061 A KR 1020210176061A KR 20210176061 A KR20210176061 A KR 20210176061A KR 102656009 B1 KR102656009 B1 KR 10265600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pace
- loading
- gate
- moving
- materials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0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24
- 230000008676 impor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9/00—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9/16—Mobile or transportable lifts specially adapted to be shifted from one part of a building or other structure to another part or to another building or structure
- B66B9/187—Mobile or transportable lifts specially adapted to be shifted from one part of a building or other structure to another part or to another building or structure with a liftway specially adapted for temporary connection to a building or other structur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3/00—Roller-ways
- B65G13/11—Roller frames
- B65G13/12—Roller frames adjustabl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7/00—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 B65G17/12—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comprising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fixed, or normally fixed, relative to traction elemen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ypes And Forms Of Lifts (AREA)
- Loading Or Unloading Of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적재공간(110)이 구비됨과 아울러 상하 방향으로 형성된 이동공간(10) 상에서 이동하는 리프트 본체(100); 상기 적재공간(110)에 설치된 내측 컨베이어(200); 상기 적재공간(110)을 폐쇄하는 내측 게이트(120); 및 상기 이동공간(10)을 폐쇄하는 외측 게이트(3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용 리프트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자재를 리프트 본체 내부로 자동으로 반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자재를 리프트 본체 내부로 자동으로 반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건설 현장에서 사용되는 건설용 리프트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리프트의 적재공간 내부에서 자동적으로 자재를 이동시켜주는 컨베이어 시스템을 설치하여 다수개의 자재를 일괄하여 반입 또는 출입시킬 수 있도록 한 자동 반출입 시스템이 구비된 건설용 리프트 및 이를 이용한 자재 반출입 방법에 관한 것이다.
고층의 건축물을 시공하기 위한 건설현장에서는 자재 등을 고층의 현장으로 반입하기 위한 건설용 리프트를 설치한다.
종래의 건설용 리프트를 이용한 자재의 양중은 현장에 반입된 트럭에서 지게차를 활용하여 중량의 자재를 트럭에서 하역하고, 하역한 자재를 임시로 야적한 후 별도의 핸드팔레트 트럭이나 이동대차를 이용하여 리프트 내부로 반입하는 과정을 반복한다. 이러한 반입과정은 자재의 반출입 과정에 있어서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이러한 종래의 건설용 리프트 관련 기술에 따르면 리프트 내부에 자재를 반입시키는 과정이 복잡할 뿐만 아니라 리프트 내부에 적재하는 기술적 난이도가 높다. 이에 따라 건물 내부에 자재를 반입하기 위한 시간이 많이 소요되어 전제적인 공사기간이 늘어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건설용 리프트에 자재를 적재하고 이동시키는 과정에서 작업자가 동시에 탑승하기 곤란하며, 설령 탑승한 경우에도 안전사고 발생의 우려가 높다.
본 발명은 상술된 종래의 건설용 리프트 시스템 및 이의 이용방법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자재를 리프트 본체 내부로 자동으로 반입할 수 있도록 한 자동 반출입 시스템이 구비된 건설용 리프트 및 이를 이용한 자재 반출입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건설용 리프트를 이용한 자재 등의 반출입 시간을 단축하고 현장시공 난이도를 낮출 수 있도록 하며, 한정적인 리프트 자원을 최대로 활용하여 단위시간 당 더 많은 화물을 건물의 각 층에 반입할 수 있도록 한 자동 반출입 시스템이 구비된 건설용 리프트 및 이를 이용한 자재 반출입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적재공간(110)이 구비됨과 아울러 상하 방향으로 형성된 이동공간(10) 상에서 이동하는 리프트 본체(100); 상기 적재공간(110)에 설치된 내측 컨베이어(200); 상기 적재공간(110)을 폐쇄하는 내측 게이트(120); 및 상기 이동공간(10)을 폐쇄하는 외측 게이트(3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용 리프트가 제공된다.
이 경우 상기 내측 게이트(120) 및 상기 외측 게이트(300) 사이에 형성된 안전공간(142);을 더 포함하되, 상기 내측 게이트(120) 및 상기 외측 게이트(300)이 열린 상태에서 상기 내측 컨베이어(200)의 일단이 상기 안전공간(142)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용 리프트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내측 컨베이어(200)는, 상기 적재공간(110)을 따라 길이방향(a)을 갖으며 상기 길이방향(a)을 따라 상면에 복수의 롤러(211)가 장착된 상부 플레이트(210); 및 상기 상부 플레이트(210)가 거치되는 장착 프레임(220);을 포함하되, 상기 상부 플레이트(210)는 상기 장착 프레임(220)에 의해 가이드되어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용 리프트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내측 컨베이어(200)는, 상기 상부 플레이트(210)를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시키는 구동부(23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용 리프트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안전공간(142)로 돌출된 상기 내측 컨베이어(200)의 일단과 연결됨과 아울러, 상기 외측 게이트(300) 외부에 설치되는 무빙데크(4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용 리프트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외측 게이트(300) 외부에 설치되는 무빙데크(400);를 더 포함하고, 상기 무빙데크(400)는 상기 내측 게이트(120) 및 상기 외측 게이트(300) 사이에 형성된 안전공간(142)로 돌출 형성된 돌출부(41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용 리프트가 제공된다.
이 경우 상기 내측 컨베이어(200)는, 상기 적재공간(110)을 따라 길이방향(a)을 갖으며 상기 길이방향(a)을 따라 이동되는 이동식 체인(212)이 장착된 상부 프레임(24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용 리프트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돌출부(410)는 상기 내측 게이트(120) 및 상기 외측 게이트(300)이 열린 상태에서 상기 상부 프레임(240)의 일단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용 리프트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건설용 리프트를 이용하여 자재를 반출입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내측 게이트(120) 및 상기 외측 게이트(300)을 개방하는 제1 단계(S100); 상기 안전공간(142)를 향하여 상기 상부 플레이트(210)를 이동시켜, 상기 상부 플레이트(210)의 일단과 상기 무빙데크(400)를 연결시키는 제2 단계(S200); 및 상기 무빙데크(400)에 자재(1)를 적재하여 상기 적재공간(110)으로 이동시키는 제3 단계(S3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재를 반출입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건설용 리프트를 이용하여 자재를 반출입하는방법에 있어서, 상기 내측 게이트(120) 및 상기 외측 게이트(300)을 개방하는 제1 단계(A100); 상기 안전공간(142)로 상기 돌출부(410)을 인입시켜 상기 상부 플레이트(210)의 일단과 상기 무빙데크(400)를 연결시키는 제2 단계(A200); 및 상기 무빙데크(400)에 자재(1)를 적재하여 상기 적재공간(110)으로 이동시키는 제3 단계(A3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재를 반출입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자재를 리프트 본체 내부로 자동으로 반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건설용 리프트를 이용한 자재 등의 반출입 시간을 단축하고 현장시공 난이도를 낮출 수 있도록 하며, 한정적인 리프트 자원을 최대로 활용하여 단위시간 당 더 많은 화물을 건물의 각 층에 반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설용 리프트의 측면 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설용 리프트의 평면 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측 컨베이어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측 컨베이어의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측 컨베이어의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설용 리프트의 내측 게이트 및 외측 게이트가 닫쳐진 상태에서의 측면 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설용 리프트의 내측 게이트 및 외측 게이트가 열려진 상태에서의 측면 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설용 리프트의 상부층에서의 측면 투시도.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내측 컨베이어의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리프트의 측면 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설용 리프트의 평면 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측 컨베이어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측 컨베이어의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측 컨베이어의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설용 리프트의 내측 게이트 및 외측 게이트가 닫쳐진 상태에서의 측면 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설용 리프트의 내측 게이트 및 외측 게이트가 열려진 상태에서의 측면 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설용 리프트의 상부층에서의 측면 투시도.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내측 컨베이어의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리프트의 측면 투시도.
본 발명에 따른 자동 반출입 시스템이 구비된 건설용 리프트 및 이를 이용한 자재 반출입 방법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이하 사용되는 제1, 제2 등과 같은 용어는 동일 또는 상응하는 구성 요소들을 구별하기 위한 식별 기호에 불과하며, 동일 또는 상응하는 구성 요소들이 제1, 제2 등의 용어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결합이라 함은, 각 구성 요소 간의 접촉 관계에 있어, 각 구성 요소 간에 물리적으로 직접 접촉되는 경우만을 뜻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이 각 구성 요소 사이에 개재되어, 그 다른 구성에 구성 요소가 각각 접촉되어 있는 경우까지 포괄하는 개념으로 사용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건설현장에서 건축물을 시공하는 동안 건물 내부로 자재 등을 반출입 시키기 위해 임시적으로 설치되는 건설용 리프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건설용 리프트를 이용하여 자재 등을 반입하기 위해서는 트럭에 실려 있는 자재를 별도의 공간에 야적한 뒤 팔레트 트럭, 대차 등을 이용하여 리프트의 적재공간으로 이동시키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다만, 이러한 자재 반출입 방법은 단계가 복잡하고 적재 효율이 낮아 건설용 리프트의 가동률이 낮아져 공사기간을 늘리는 한 요인이 되어왔다.
본 발명에서는 트럭에 적재된 자재를 바로 무빙데크(400)에 하역하고 자동적으로 적재공간(110)으로 자재가 이동될 수 있도록 한 건설용 리프트 시스템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설용 리프트는 적재공간(110)이 구비됨과 아울러 상하 방향으로 형성된 이동공간(10) 상에서 이동하는 리프트 본체(100), 적재공간(110)에 설치된 내측 컨베이어(200), 적재공간(110)을 폐쇄하는 내측 게이트(120) 및 이동공간(10)을 폐쇄하는 외측 게이트(300)을 포함한다(도 1, 도 2).
이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설용 리프트는 외측 게이트(300) 외부에 설치되는 무빙데크(400)를 더 포함하고, 무빙데크(400)는 내측 게이트(120) 및 외측 게이트(300) 사이의 안전공간(142)로 돌출 형성된 돌출부(410)가 형성된 특징이 있다(도 1).
일반적으로 리프트는 리프트 본체(100)와 함께 유동하는 내측 게이트(120)와 각 층별로 형성된 외측 게이트(300)의 이중 게이트 구조를 형성한다.
이에 따라 내측 게이트(120)와 외측 게이트(300) 사이에 안전공간(142)가 형성되게 되는데 내측 컨베이어(200)가 적재공간(110) 상에 고정되어 있는 경우 외측 게이트(300) 외부에 있는 무빙데크(400)와 내측 컨베이어(200) 사이에 유격이 발생될 수 있다. 이러한 유격을 제거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무빙데크(400)에 돌출부(410)를 형성하여 무빙데크(400)와 내측 컨베이어(200)를 서로 연결한 특징이 있다. 이에 따라 돌출부(410)는 내측 게이트(120) 및 외측 게이트(300)이 열린 상태에서 상부 프레임(240)의 일단과 연결될 수 있다(도 7)
무빙데크(400)의 상면에는 자재의 이동을 위한 체인 또는 롤러가 형성되어 있고, 후술되는 바와 같이 내측 컨베이어(200)에도 체인 또는 롤러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작업자는 차량에 적재된 자재를 무빙데크(400)에 안착시킨 후 체인 또는 롤러를 이용하여 간편하여 자재를 적재공간(110)으로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무빙데크(400)와 내측 컨베이어(200)를 연결한다는 의미는 양 구성의 직접 접촉된 경우뿐만 아니라 자재나 자재가 적재된 팔레트(5)가 무빙데크(400)에서 내측 컨베이어(200)로 이동될 수 있는 간격까지 충분히 가까워진 경우를 포함한다.
무빙데크(400)는 하부가 고정부 또는 이동부로 각기 형성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최하층의 무빙데크(400)는 자재 등의 이동을 위해 이동부로 형성될 수 있다(도 8).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측 컨베이어(200)는 적재공간(110)을 따라 길이방향(a)을 갖으며 길이방향(a)을 따라 이동되는 이동식 체인(212)이 장착된 상부 프레임(24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내측 컨베이어(220)는 내측 게이트(120) 및 외측 게이트(300)이 열린 상태에서 내측 컨베이어(200)의 일단이 안전공간(142)로 이동될 수 있다(도 9, 도 10).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내측 컨베이어(200)는 적재공간(110)을 따라 길이방향(a)을 갖으며 길이방향(a)을 따라 상면에 복수의 롤러(211)가 장착된 상부 플레이트(210) 및 상부 플레이트(210)가 거치되는 장착 프레임(220)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부 플레이트(210)는 장착 프레임(220)에 의해 가이드 되어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즉 상부 플레이트(210)가 전방으로 이동되어 내측 컨베이어(200)의 일단이 안전공간(142)로 인입되고, 이에 따라 무빙데크(400)와 내측 컨베이어(200)가 자재 또는 팔레트가 이동될 수 있을 정도로 충분히 가까워질 수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이 무빙데크(400)의 상면에는 체인 또는 롤러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작업자는 무빙데크(400) 상의 자재를 손쉽게 내부공간(110)으로 인입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건설용 리프트는 상부 플레이트(210)를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시키는 구동부(2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건설용 리프트를 이용하여 자재를 반출입 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재를 반출입하는 방법은 내측 게이트(120) 및 외측 게이트(300)을 개방하는 제1 단계(A100), 안전공간(142)로 돌출부(410)을 인입시켜 상부 플레이트(210)의 일단과 무빙데크(400)를 연결시키는 제2 단계(A200) 및 무빙데크(400)에 자재(1)를 적재하여 적재공간(110)으로 이동시키는 제3 단계(A3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건설용 리프트를 이용하여 자재를 반출입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재를 반출입하는 방법은 내측 게이트(120) 및 외측 게이트(300)을 개방하는 제1 단계(S100), 안전공간(142)를 향하여 상부 플레이트(210)를 이동시켜, 상부 플레이트(210)의 일단과 무빙데크(400)를 연결시키는 제2 단계(S200) 및 무빙데크(400)에 자재(1)를 적재하여 적재공간(110)으로 이동시키는 제3 단계(S3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은 본 발명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일부에 관하여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주지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는 위의 실시예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근본을 함께 하는 기술적 사상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 : 자재
5 : 팔레트
100 : 리프트 본체
200 : 내측 컨베이어
300 : 외측 게이트
400 : 무빙데크
5 : 팔레트
100 : 리프트 본체
200 : 내측 컨베이어
300 : 외측 게이트
400 : 무빙데크
Claims (10)
- 적재공간(110)이 구비됨과 아울러 상하 방향으로 형성된 이동공간(10) 상에서 이동하는 리프트 본체(100);
상기 적재공간(110)에 설치된 내측 컨베이어(200);
상기 적재공간(110)을 폐쇄하는 내측 게이트(120); 및
상기 이동공간(10)을 폐쇄하는 외측 게이트(300);를 포함하고,
상기 내측 게이트(120) 및 상기 외측 게이트(300) 사이에 형성된 안전공간(142);을 더 포함하되,
상기 내측 게이트(120) 및 상기 외측 게이트(300)이 열린 상태에서 상기 내측 컨베이어(200)의 일단이 상기 안전공간(142)로 이동되며,
상기 내측 컨베이어(200)는,
상기 적재공간(110)을 따라 길이방향(a)을 갖으며 상기 길이방향(a)을 따라 상면에 복수의 롤러(211)가 장착된 상부 플레이트(210); 및
상기 상부 플레이트(210)가 거치되는 장착 프레임(220);을 포함하되,
상기 상부 플레이트(210)는 상기 장착 프레임(220)에 의해 가이드 되어 상기 길이방향(a)을 따라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하되,
상기 내측 컨베이어(200)는,
상기 상부 플레이트(210)를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시키는 구동부(23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용 리프트.
- 삭제
- 삭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공간(142)로 돌출된 상기 내측 컨베이어(200)의 일단과 연결됨과 아울러, 상기 외측 게이트(300) 외부에 설치되는 무빙데크(4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용 리프트.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게이트(300) 외부에 설치되는 무빙데크(400);를 더 포함하고,
상기 무빙데크(400)는 상기 내측 게이트(120) 및 상기 외측 게이트(300) 사이에 형성된 안전공간(142)로 돌출 형성된 돌출부(41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용 리프트.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컨베이어(200)는,
상기 적재공간(110)을 따라 길이방향(a)을 갖으며 상기 길이방향(a)을 따라 이동되는 이동식 체인(212)이 장착된 상부 프레임(24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용 리프트.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410)는 상기 내측 게이트(120) 및 상기 외측 게이트(300)이 열린 상태에서 상기 상부 프레임(240)의 일단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용 리프트.
- 제5항의 건설용 리프트를 이용하여 자재를 반출입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내측 게이트(120) 및 상기 외측 게이트(300)을 개방하는 제1 단계(S100);
상기 안전공간(142)를 향하여 상기 상부 플레이트(210)를 이동시켜, 상기 상부 플레이트(210)의 일단과 상기 무빙데크(400)를 연결시키는 제2 단계(S200); 및
상기 무빙데크(400)에 자재(1)를 적재하여 상기 적재공간(110)으로 이동시키는 제3 단계(S3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재를 반출입하는 방법.
- 제8항의 건설용 리프트를 이용하여 자재를 반출입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내측 게이트(120) 및 상기 외측 게이트(300)을 개방하는 제1 단계(A100);
상기 안전공간(142)로 상기 돌출부(410)을 인입시켜 상기 상부 프레임(240)의 일단과 상기 무빙데크(400)를 연결시키는 제2 단계(A200); 및
상기 무빙데크(400)에 자재(1)를 적재하여 상기 적재공간(110)으로 이동시키는 제3 단계(A3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재를 반출입하는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76061A KR102656009B1 (ko) | 2021-12-09 | 2021-12-09 | 자동 반출입 시스템이 구비된 건설용 리프트 및 이를 이용한 자재 반출입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76061A KR102656009B1 (ko) | 2021-12-09 | 2021-12-09 | 자동 반출입 시스템이 구비된 건설용 리프트 및 이를 이용한 자재 반출입 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087267A KR20230087267A (ko) | 2023-06-16 |
KR102656009B1 true KR102656009B1 (ko) | 2024-04-17 |
Family
ID=869484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176061A KR102656009B1 (ko) | 2021-12-09 | 2021-12-09 | 자동 반출입 시스템이 구비된 건설용 리프트 및 이를 이용한 자재 반출입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656009B1 (ko)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127292B2 (ja) * | 1997-07-18 | 2001-01-22 | 勝 馬渕 | 棚入れ装置 |
KR20050029138A (ko) * | 2005-01-21 | 2005-03-24 | 이동헌 | 디스플레이 제품용 카세트 반송이재 장치 |
KR100711005B1 (ko) | 2006-03-06 | 2007-04-24 | (주)에스티아이 | 버퍼 컨베이어가 구비된 물류의 상하 운반 시스템 |
-
2021
- 2021-12-09 KR KR1020210176061A patent/KR102656009B1/ko active IP Right Gra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087267A (ko) | 2023-06-1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562449B1 (ko) | 차량 물품 브래킷 및 차량 물품 브래킷 세트 | |
KR101733544B1 (ko) | 화물 비상 반출이 가능한 물류 자동창고 시스템 | |
KR101754945B1 (ko) | 물품이 적재된 목재 팔레트의 자동 반송 시스템 | |
US3151754A (en) | Apparatus for transferring loads | |
US3581880A (en) | Conveyor | |
JP4664747B2 (ja) | 搬送物搬送方法 | |
US6554557B1 (en) | Inter-box connector (IBC) installation and removal system | |
KR102656009B1 (ko) | 자동 반출입 시스템이 구비된 건설용 리프트 및 이를 이용한 자재 반출입 방법 | |
KR101012071B1 (ko) | 완제품 타이어의 이동 적재장치 | |
KR102115230B1 (ko) | 차량용 화물 이송장치 | |
CN110127491B (zh) | 一种货物升降机 | |
JPH04213525A (ja) | 積層された物品の中間層の離昇装置 | |
KR20130032516A (ko) | 건축 자재파렛트 운반용 궤도리프트 | |
US20200223348A1 (en) | Chain Rail Conveyor with Lift Gate | |
KR20110000864A (ko) | 적재함용 화물 운반장치 | |
CN208531078U (zh) | 方便搬运的聚丙烯酸丁酯存储机构 | |
EP3000755A1 (en) | Method of double deck vehicle loading and unloading | |
CN111845962A (zh) | 装卸货车和装卸货车的货物装卸方法 | |
CN220485245U (zh) | 便携式堆高车 | |
CN221274309U (zh) | 一种辅助式20gp集装箱装车平台 | |
CN210366522U (zh) | 一种货物升降机 | |
JPH07101510A (ja) | 垂直搬送装置 | |
KR20120003631U (ko) | 컨베이어가 장착된 스태커 크레인 | |
JPH06211303A (ja) | ガス充填方法及び設備 | |
JPH0215842Y2 (ko)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