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5611B1 - Rfid 리더기 제어 장치를 이용한 열차 검지 방법 - Google Patents

Rfid 리더기 제어 장치를 이용한 열차 검지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55611B1
KR102655611B1 KR1020220126133A KR20220126133A KR102655611B1 KR 102655611 B1 KR102655611 B1 KR 102655611B1 KR 1020220126133 A KR1020220126133 A KR 1020220126133A KR 20220126133 A KR20220126133 A KR 20220126133A KR 102655611 B1 KR102655611 B1 KR 1026556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in
rfid reader
train detection
detection sensor
rf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261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현철
김은영
Original Assignee
김은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은영 filed Critical 김은영
Priority to KR10202201261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561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56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5611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LGUIDING RAILWAY TRAFFIC; ENSURING THE SAFETY OF RAILWAY TRAFFIC
    • B61L25/00Recording or indicating positions or identities of vehicles or trains or setting of track apparatus
    • B61L25/02Indicating or recording positions or identities of vehicles or trains
    • B61L25/04Indicating or recording train identities
    • B61L25/048Indicating or recording train identities using programmable ta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1/00General arrangement of stations, platforms, or sidings; Railway networks; Rail vehicle marshalling systems
    • B61B1/02General arrangement of stations and platforms including protection devices for the passeng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LGUIDING RAILWAY TRAFFIC; ENSURING THE SAFETY OF RAILWAY TRAFFIC
    • B61L25/00Recording or indicating positions or identities of vehicles or trains or setting of track apparatus
    • B61L25/02Indicating or recording positions or identities of vehicles or trains
    • B61L25/025Absolute localisation, e.g. providing geodetic coordinat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01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at least one of the integrated circuit chips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power management
    • G06K19/0712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at least one of the integrated circuit chips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power management the arrangement being capable of triggering distinct operating modes or functions dependent on the strength of an energy or interrogation field in the proximity of the record carri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23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the record carrier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non-contact communication, e.g. wireless communication circuits on transponder cards, non-contact smart cards or RFI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0009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 G06K7/10297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arrangements for handling protocols designed for non-contact record carriers such as RFIDs NFCs, e.g. ISO/IEC 14443 and 18092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Transporta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Train Traffic Observation, Control, And Securit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종의 RFID 리더기와 호환 연결이 가능하며, 열차 검지 센서를 통해 열차가 검지되는 시점 동안의 태그 정보만을 유효 정보로 선별하여 이를 지상 RF 장치로 전송함으로써, 동 시간대 진입하는 열차를 정확히 식별하여 RFID 리더기의 태그 정보 오검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RFID 리더기 제어 장치를 이용한 열차 검지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RFID 리더기 제어 장치를 이용한 열차 검지 방법{A METHOD FOR DETECTING A TRAIN USING AN APPARATUS FOR CONTROLLING RFID READERS}
본 발명은 RFID 리더기 제어 장치를 이용한 열차 검지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다종의 RFID 리더기와 호환 연결이 가능하며, 열차 검지 센서를 통해 열차가 검지되는 시점 동안의 태그 정보만을 유효 정보로 선별하여 이를 지상 RF 장치로 전송함으로써, 동 시간대 진입하는 열차를 정확히 식별하여 RFID 리더기의 태그 정보 오검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RFID 리더기 제어 장치를 이용한 열차 검지 방법에 관한 것이다.
승강장 안전문은 승강장과 열차가 통행하는 선로측 사이를 물리적으로 분리함으로 승강장 추락 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설비이다. 이러한 설비는 최근 확대 설치되고 있지만, 기존 열차의 운영 시스템과 연동되지 않는 문제가 있다.
최근에 신설되는 노선은 열차 운영 시스템에 의해서 승강장 안전문도 열차 운영 설비의 일환으로 인지되어 열차 신호시스템과 연동되어 작동한다. 하지만 노선에 설치된 오래된 열차 운영 시스템은 승강장 안전문을 인식할 수 있는 방법이 없기 때문에, 최근에는 이를 해결하고자 RFID 태그를 활용한 통신 방식을 도입하였다.
한편, 국내 승강장 안전문은 표준화된 규격없이 설치되어 운영 및 유지보수 되고 있다. 하지만, 안전문 제작사의 폐업으로 유지보수를 위한 부품을 조달하기 어려운 실정이며 RFID 리더기 역시 같은 상황이다. 따라서 현재 기 설치된 RFID 리더기 교체가 필요한 경우, 열차 운영 시스템 전체를 교체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196803호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함으로써, 다종의 RFID 리더기와 호환 연결이 가능하며, 열차 검지 센서를 통해 열차가 검지되는 시점 동안의 태그 정보만을 유효 정보로 선별하여 이를 지상 RF 장치로 전송함으로써, 동 시간대 진입하는 열차를 정확히 식별하여 RFID 리더기의 태그 정보 오검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RFID 리더기 제어 장치를 이용한 열차 검지 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RFID 리더기 제어 장치를 이용한 열차 검지 방법은 열차 검지 센서를 통해 승강장에 진입하는 열차를 검지하는 단계, 열차 진입이 확인되는 경우, RFID 리 더기를 통해 해당 열차에 마련된 RFID 태그를 읽어 태그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RFID 리더기로부터 수신되는 전체 태그 정보 중에서, 열차 진입이 확인되는 시점에 해당하는 태그 정보만을 유효 정보로 선별하는 단계 및 선별된 유효 정보를 지상 RF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열차 검지 센서를 통해 승강장에 진입하는 열차를 검지하는 단계는 특정 위치에 설치된 열차 감지 센서를 통해 열차 진입이 확인되는 경우, 열차 검지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유효 정보 선별부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열차 검지 센서를 통해 승강장에 진입하는 열차를 검지하는 단계는 다수 개가 일정 간격을 두고 일렬로 설치된 열차 검지 센서들 중에서, 제1 열차 검지 센서에서 열차 진입을 우선으로 검지함과 동시에 RFID 리더기에 전원이 인가되는 단계 및 상기 제1 열차 검지 센서 다음으로 제2 열차 검지 센서에서 열차 진입을 차선으로 검지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열차 검지 센서를 통해 승강장에 진입하는 열차를 검지하는 단계는 기 설정된 시간 경과 후 상기 제1 열차 검지 센서의 전원이 오프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열차 검지 센서를 통해 승강장에 진입하는 열차를 검지하는 단계는 열차가 상기 제2 열차 검지 센서를 지나 제3 열차 검지 센서의 위치로 진입하는 경우, 제3 열차 검지 센서는 열차가 정위치에 정차한 것으로 판단하여 정위치 검지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유효 정보 선별부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열차 진입이 확인되는 시점에 해당하는 태그 정보만을 유효 정보로 선별하는 단계는 상기 제3 열차 검지 센서로부터 상기 정위치 검지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유효 정보 전송부를 통해 승강장 안전문 종합 제어반으로 CAN 통신 방식을 통해 승강장 안전문 제어 신호를 전송하여 상기 승강장 안전문이 제어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모니터링부에서 상기 열차 검지 센서, RFID 리더기, 유효 정보 선별부 및 유효 정보 전송부 각각의 작동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모니터링 결과 비정상 작동 신호가 감지되는 경우 출력 장치를 통해 상기 비정상 작동 신호를 외부로 시인 가능하도록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모니터링 결과 전송부에서 상기 모니터링부의 모니터링 결과 비정상 작동 신호가 감지되는 경우, 원격지의 관리 단말로 상기 비정상 작동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열차 진입이 확인되는 시점에 해당하는 태그 정보만을 유효 정보로 선별하는 단계는 다수 개가 일정 간격을 두고 일렬로 설치된 RFID 리더기들 중에서, 선미 칸에 설치된 RFID 태그를 인식하는 제1 RFID 리더기와, 후미 칸에 설치된 RFID 태그를 인식하는 제2 RFID 리더기 각각의 인식 위치를 토대로 현재 선로에 진입한 열차를 파악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열차 진입이 확인되는 시점에 해당하는 태그 정보만을 유효 정보로 선별하는 단계는 특정 선로에 진입하는 열차에 설치된 RFID 태그의 RSSI값을 수집한 후, 타 선로에 진입하는 열차에 설치된 RFID 태그의 RSSI값을 서로 비교하여 기 설정된 범위를 벗어나는 RSSI값을 포함하는 RFID 태그에 대한 태그 정보는 무효 정보로 선별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열차 검지 센서를 통해 열차가 검지되는 시점 동안의 태그 정보만을 유효 정보로 선별하여 이를 지상 RF 장치로 전송함으로써, 동 시간대 진입하는 열차를 정확히 식별하여 RFID 리더기의 태그 정보 오검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특히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타 선로 측 태그 정보가 동 시간대 수신되더라도 태그 정보의 연속성을 비교하여 구분하고 유효 처리된 태그 정보만을 지상 RF 장치로 송출함으로 오검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실시간 동작 상태를 별도 세그먼트를 통해서 표출함으로 현장에서 리더기의 정상 작동 여부를 확인할 수 있어 실제 리더기의 동작에 문제가 있는 경우에만 교체를 진행하도록 판단할 수 있어 실제 리더기 교체가 필요한 경우에만 선로측 작업이 가능한 이점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기존 설치 및 납품된 RFID 리더기의 통신방식과 각 승강장 안전문 제조사들의 종합제어기 통신 규격을 분석하여 기존 시스템 구성이 아닌 다른 리더기와 종합제어기로 구성되더라도 RFID 리더기와 종합제어기 사이에서 데이터 변환을 통해 유연하게 운용이 가능한 이점을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RFID 리더기 제어 장치를 이용한 열차 검지 방법을 일련의 순서대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차 검지 센서의 설치 위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RFID 리더기 제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일 뿐,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의 내용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RFID 리더기 제어 장치를 이용한 열차 검지 방법을 일련의 순서대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을 살펴보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RFID 리더기 제어 장치를 이용한 열차 검지 방법은 크게 열차 검지, 태그 정보 수집, 유효 정보 선별 및 지상 RF 장치로 전송과 같은 단계로 진행될 수 있다.
먼저, 열차 검지 센서를 통해 승강장에 진입하는 열차를 검지하는 단계(S101)는 다수의 열차 검지 센서를 이용하여 선로를 따라 승강장에 진입하는 열차의 진입 여부를 감지하는 것이다. 이에 대해서는 도 2를 통해 살펴보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차 검지 센서의 설치 위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살펴보면, 승강장에는 다수 개의 열차 검지 센서가 설치될 수 있다. 여기에서, 열차 검지 센서는 선로를 따라 열차 진입 시 이를 검지하여 열차 검지 신호를 출력하게 되며, 이 신호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RFID 리더기 제어 장치로 전송된다. RFID 리더기 제어 장치에서는 이를 후술되는 RFID 리더기의 태그 정보 중 유효 정보를 선별하는 과정에 활용하게 된다.
먼저 선로를 따라 승강장으로 열차가 진입하게 되면, 제1 열차 검지 센서에서 이를 검지하게 된다. 이때, 열차 진입 속도와 RFID 리더기의 전원 인가 후 정상 작동까지의 시간을 고려하여 제1 열차 검지 센서와 제2 열차 검지 센서의 설치 거리가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RFID 리더기의 부팅시간이 최대 2초이고, 열차 진입 속도가 70km/h일 경우 해당 열차는 초당 약 20m를 이동하기 때문에 제1 열차 검지 센서와 제2 열차 검지 센서는 40m 간격을 두고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먼저 제1 열차 검지 센서에서 열차를 우선으로 검지하여 열차 검지 신호를 생성하게 되면, 이는 RFID 리더기 제어 장치로 전송된다. RFID 리더기 제어 장치에서는 이 신호를 기반으로 RFID 리더기에 전원을 인가하여 태그 정보 수신을 준비하도록 한다. 이와 동시에, RFID 리더기 제어 장치는 제2 열차 검지 센서에서 열차를 차선으로 검지하여 열차 검지 신호를 생성하게 되면, 이때부터 RFID 리더기를 통해 수집되는 태그 정보는 모두 유효 정보로써 수집될 수 있다.
만약, 열차가 제1 열차 검지 센서를 통과하는 경우 RFID 리더기 제어 장치는 제1 열차 검지 센서의 전원을 오프시키고, 이 후 기 설정된 시간(예를 들어, 열차의 정차시간을 고려한 5초 후)이 경과한 경우 RFID 리더기 제어 장치는 RFID 리더기의 전원을 오프시키게 된다.
이렇게 RFID 리더기 제어 장치에서 RFID 리더기의 전원을 제어함으로, RFID 리더기의 가용수명을 종래보다 최대 2배 이상 개선하는 효과가 있다. 현재는 열차가 운행하지 않는 야간에만 RFID 리더기 전원을 차단하여 사용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RFID 리더기 제조사가 보증하는 가용수명 보다 훨씬 더 짧은 MTBF(Mean Time Between Failure)를 보이고 있다.
한편, 제3 열차 검지 센서가 추가 설치될 경우 앞서 살펴본 열차 검지를 보다 세밀하게 진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열차 검지 센서의 위치는 열차가 승강장의 정위치에 정차한 경우를 검지할 수 있는 위치에 해당한다. 따라서, 이 경우 열차가 RFID 리더기를 통과하여 승강장의 정위치에 완전 정차한 경우 제3 열차 검지 센서가 이를 검지하여 RFID 리더기 제어 장치로 정위치 검지 신호를 생성 및 전송하게 되고, RFID 리더기 제어 장치에서는 이를 토대로 제1 및 제2 열차 검지 센서의 전원을 오프시키게 된다.
또한, 이 경우 RFID 리더기 제어 장치는 승강장 안전문 종합 제어반으로 CAN 통신 방식을 통해 승강장 안전문 제어 신호를 전송함으로써 해당 승강장 안전문이 제어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이와 함께 RFID 리더기 제어 장치는 RFID 리더기 자체 전원을 오프시켜 추가적인 태그 정보 오수신을 예방할 수도 있다.
한편, RFID 태그는 열차의 선미 칸의 미닫이 유리창과 후미 칸의 차체에 설치되며, 진입하는 승강장의 방향을 고려하여 양 측면(전동차의 좌측 및 우측) 모두 설치되어 있다. 이 두 곳의 설치 위치 중 열차 차체에 설치한 RFID 태그 는 문제 없으나 유리창은 RFID 리더기의 신호가 투과하여 다른 선로의 태그 정보로 수신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열차의 진입 속도를 계산하여 수집된 태그 정보를 분류함으로써 해당 선로에 진입하는 열차를 정확히 파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열차가 승강장 시점을 통과하여 완전하게 정차하기 까지 통상 30초 ±5초의 시간이 소요된다. 이때 열차 진입 시점의 속도를 70km/h로 가정하면 열차의 선미에 설치된 태그의 간격이 약 20m이므로 약 1초간의 간격으로 수집되게 된다.
이는 열차가 승강장에 진입하는 시점은 RFID 리더기 앞을 RFID 태그가 통과하는 속도가 초속 약 20m에 이를 정도로 매우 빠르기 때문에, RFID 리더기가 태그 정보를 수집하는 횟수가 매우 적어지게 된다. 이후 감속하는 동안에 후미의 차체에 설치된 RFID 태그가 RFID 리더기에 의해 수신되고 완전히 정차되기 약 2~4초간 대량의 유리창측 태그 정보가 수집된다. 이때 다른 선로에 정차한 열차의 태그 정보가 오신되는 경우가 높아지게 되는데, 본 발명에서는 다수 개가 일정 간격을 두고 일렬로 설치된 RFID 리더기들 중에서, 선미 칸에 설치된 RFID 태그를 인식하는 제1 RFID 리더기와, 후미 칸에 설치된 RFID 태그를 인식하는 제2 RFID 리더기 각각의 인식 위치를 토대로 현재 선로에 진입한 열차를 파악함으로써 태그 정보의 오수신 발생률을 낮출 수 있다.
<승강장 진입 시 RFID 태그 수신 패턴>
한편, 본 발명에서는 태그 정보의 오수신 발생률을 낮추기 위하여 RSSI(Received Signal Strenth Indication)을 활용할 수도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RFID 리더기 제어 장치에서는 특정 선로에 진입하는 열차에 설치된 RFID 태그의 RSSI값을 수집한 후, 타 선로에 진입하는 열차에 설치된 RFID 태그의 RSSI값을 서로 비교하여 기 설정된 범위를 벗어나는 RSSI값을 포함하는 RFID 태그에 대한 태그 정보는 무효 정보로 선별할 수도 있다.
RFID 리더기와 RFID 태그를 활용한 정보 수집은 크게 능동형과 수동형으로 구분될 수 있다.
RFID 리더기와 RFID 태그의 종류에 따라, 능동형은 RFID 태그에 자체 전원을 활용하여 RFID 태그가 지속적으로 정보를 송출하고 RFID 리더기를 이를 원거리(수백m)에서 수집하는 형태이고, 수동형은 RFID 리더기의 전파를 수신한 RFID 태그가 반응하여 수진된 전파에너지를 활용하여 회신 전파를 발산하는 것으로 근거리(수십m)에서 통신이 가능하다.
이때, RFID 리더기의 전파 송출 출력에 비례하여 근거리에 위치한 RFID 태그는 강한 회신 전파를 발산하고 원거리(수~수십m)에 위치한 RFID 태그는 수배~수십배 감쇄한 회신 전파를 발산하게 된다. RFID 리더기가 수집한 태그 정보에는 수TLS된 전파의 감쇄폭이 함께 기록되어 유선 통신 단자를 통해 RFID 리더기 제어 장치 측으로 출력된다. 이때, 송출되는 전파는 거리가 2배 될 때 마다 6dB씩 감쇄하게 되나, RFID 태그가 부착된 열차가 이동으로 발생하는 도플러 효과 등을 고려할 때, RFID 리더기에서 측정되는 RSSI를 통한 정밀한 측정은 기대하기 어렵다.
그러나, 수집하고자 하는 선로를 통행하는 열차에 부착된 RFID 태그들의 RSSI값과 그 외 선로를 통행하는 열차의 RFID 태그로부터 수집된 RSSI값의 범위에 명확한 편차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RFID 리더기 제어 장치에서는 이를 기반으로 특정 역사에서 수집한 RFID 태그 정보를 기반으로 RSSI값을 분류하여 일정 범위를 설정하고, 해당 범위를 벗어난 RSSI값을 포함한 태그 정보는 무시함으로 오수신 발생율을 낮출 수 있다.
<RFID 리더기의 방사 패턴 및 열차에 설치된 RFID 태그의 위치>
다음으로, 열차 진입이 확인되는 경우, RFID 리더기를 통해 해당 열차에 마련된 RFID 태그를 읽어 태그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S102)이다.
단계 S102에서는 열차의 선미 칸 및 후미 칸에 설치되는 RFID 태그를 인식하여 그에 따른 태그 정보를 수집한 후 이를 RFID 리더기로 전송하게 된다. 이때, RFID 리더기에서는 RFID 리더기로부터 수신되는 전체 태그 정보 중에서, 특히 열차 검지 센서로부터 열차 검지 신호가 수신된 시점에 해당하는 태그 정보만을 유효 정보로 선별하게 된다(S103). 이에 관해서는 앞서 제1 내지 제3 열차 검지 센서를 통해 설명하였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렇게 선별된 유효 정보는 RFID 리더기 제어 장치를 통해 지상 RF 장치로 전송되는 것이다(S104).
다음으로는, 앞서 살펴본 RFID 리더기 제어 장치를 이용한 열차 검지 방법을 수행하는 물리적 구성인 RFID 리더기 제어 장치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RFID 리더기 제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살펴보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RFID 리더기 제어 장치(100)은 크게 센서 통신부(110), RFID 리더기 통신부(120), 유효 정보 선별부(130) 및 유효 정보 전송부(1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는 추가적으로 모니터링부(150), 출력 장치(160) 및 전송부(17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센서 통신부(110)는 승강장 내로 진입하는 열차 첫칸의 진입 여부를 검지하는 열차 검지 센서와 연결되며, 해당 열차 검지 센서로부터 열차 검지 신호를 수신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열차 검지 센서는 주 열차 검지 센서와 이를 보조하는 보조 열차 검지 센서로 구성된다. 이러한 주 열차 검지 센서 및 보조 열차 검지 센서와 연결을 위하여 센서 통신부(110)는 주 열차 검지 센서 통신부(111) 및 보조 열차 검지 센서 통신부(11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주 열차 검지 센서 통신부(111) 및 보조 열차 검지 센서 통신부(112)는 PCB 형태의 RFID 리더기 제어 장치(100)에 실장되어 물리적 연결을 지원하는 포트 형태의 인터페이스를 의미할 수 있다.
센서 통신부(110)를 통해 열차의 진입이 검지되는 경우, 센서 통신부(110)는 이에 따른 열차 검지 신호를 생성하여 후술되는 유효 정보 선별부(130)로 전송하게 되고, 유효 정보 선별부(130)에서는 이를 후술되는 RFID 리더기의 태그 정보 중 유효 정보를 선별하는 과정에 활용하게 된다.
RFID 리더기 통신부(120)는 열차 첫 칸 또는 마지막 칸에 설치되는 RFID 태그를 인식하고, 이로부터 태그 정보를 수신하는 RFID 리더기와 연결되며, RFID 리더기로부터 태그 정보를 수신하여 이를 유효 정보 선별부(130)로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RFID 리더기 통신부(120)는 열차 첫칸 또는 마지막 칸에 설치되는 RFID 태그를 자동 인식하여 태그 정보를 유효 정보 선별부(130)로 전송하게 되는데, 오검지를 방지하기 위하여 유효 정보 선별부(130)에서는 앞서 센서 통신부(110)로부터 전송되는 열차 검지 신호와의 매칭을 반영하여 유효 정보를 선별하게 된다.
유효 정보 선별부(130)는 RFID 리더기로부터 수신되는 전체 태그 정보 중에서, 앞서 열차 검지 신호가 수신되는 시점에 해당하는 태그 정보만을 유효 정보로 선별하고, 그 시점 이외의 태그 정보를 모두 무시하여 해당 승강장에 진입하는 열차를 정확히 식별할 수 있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RFID 리더기 자체는 열차 앞 칸 혹은 마지막 칸에 마련된 RFID 태그의 태그가 진행되는 경우 즉시 태그 정보를 수신하게 되는데, 승강장에 진입하는 열차를 정확히 식별하기 위하여, 유효 정보 선별부(130)는 센서 통신부(110)로부터 열차 검지 신호가 수신되는 시점에 대한 태그 정보만을 유효 정보로 선별하게 된다.
일 실시예에서, 타 선로에서 타 열차가 진입할 경우 동 시간대에 해당 타 열차에 마련된 RFID 태그의 태그 정보가 동시 수신될 수도 있지만, 이 경우 유효 정보 선별부(130)는 수신된 태그 정보의 연속성을 비교하여 타 열차에 마련된 RFID 태그의 태그 정보를 구별하게 된다.
유효 정보 전송부(140)는 유효 정보 선별부(130)를 통해 선별된 유효 정보를 지상 RF 장치로 전송하게 되고, 지상 RF 장치는 이를 통해 해당 승강장의 안전문이 열차 도어와 함께 동기화되어 열리거나 닫히도록 제어하도록 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게 된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모니터링부(150)는 앞서 셀펴본 센서 통신부(110), RFID 리더기 통신부(120), 유효 정보 선별부(130) 및 유효 정보 전송부(140) 각각의 작동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게 되며, 모니터링부(150)의 모니터링 결과 비정상 작동 신호가 감지되는 경우, 출력 장치(160)를 통해 비정상 작동 신호가 외부로 시인되도록 출력하게 된다. 여기에서, 출력 장치(160)라 함은 세븐 세그먼트 혹은 LCD 디스플레이가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모니터링부(150)의 모니터링 결과 감지되는 비정상 작동 신호는 원격지의 관리 단말로 유선 혹은 무선 통신을 통해 전송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관리자는 RFID 리더기의 작동 상태 및 제어 상태, 열차 검지 센서의 작동 상태 및 제어 상태, 지상 RF 장치의 작동 상태 및 제어 상태를 모두 모니터링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RFID 리더기 제어 장치(100)의 구성을 통해, 선고의 특정 승강장에 진입하는 열차를 정확히 선별할 수 있게 되고, 열차 검지 신호의 수신 시점을 토대로 태그 정보를 분석 및 구분이 가능하게 되며, RFID 리더기 자체의 역사별 출력 조절도 가능하게 된다.
뿐만 아니라, RFID 리더기 제어 장치(100)에 연결된 RFID 리더기, 열차 감지 센서, 지상 RF 장치 각각의 작동 상태 및 제어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음은 물론 각 장치 별 제어도 가능하게 된다. 또한 RFID 리더기 장애가 확인되는 경우 데이터창 또는 통신 포트를 통해 태그 정보를 확인하여 어떠한 장치에 장애가 발생되었는지를 파악할 수 있게 된다.
뿐만 아니라, 특정 RFID 리더기의 교체가 필요한 경우에도, 해당 RFID 리더기 제작사로부터 데이터시트를 수신한 후 이를 가공하여 지상 RF 장치로 전송함으로써 다종의 RFID 리더기를 호환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지게 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RFID 리더기 제어 장치
110: 센서 통신부
111: 주 열차 검지 센서 통신부
112: 보조 열차 검지 센서 통신부
120: RFID 리더기 통신부
130: 유효 정보 선별부
140: 유효 정보 전송부
150: 모니터링부
160: 출력 장치
170: 모니터링 결과 전송부

Claims (10)

  1. 열차 검지 센서를 통해 승강장에 진입하는 열차를 검지하는 단계;
    열차 진입이 확인되는 경우, RFID 리더기를 통해 해당 열차에 마련된 RFID 태그를 읽어 태그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유효 정보 선별부에서, 상기 RFID 리더기로부터 수신되는 전체 태그 정보 중에서, 열차 진입이 확인되는 시점에 해당하는 태그 정보만을 유효 정보로 선별하는 단계; 및
    유효 정보 전송부에서, 선별된 유효 정보를 지상 RF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열차 검지 센서를 통해 승강장에 진입하는 열차를 검지하는 단계는,
    다수 개가 일정 간격을 두고 일렬로 설치된 열차 검지 센서들 중에서, 제1 열차 검지 센서에서 열차 진입을 우선으로 검지함과 동시에 RFID 리더기에 전원이 인가되는 단계; 및
    상기 제1 열차 검지 센서 다음으로 제2 열차 검지 센서에서 열차 진입을 차선으로 검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ID 리더기 제어 장치를 이용한 열차 검지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차 검지 센서를 통해 승강장에 진입하는 열차를 검지하는 단계는,
    특정 위치에 설치된 열차 감지 센서를 통해 열차 진입이 확인되는 경우, 열차 검지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유효 정보 선별부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ID 리더기 제어 장치를 이용한 열차 검지 방법.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차 검지 센서를 통해 승강장에 진입하는 열차를 검지하는 단계는,
    기 설정된 시간 경과 후 상기 제1 열차 검지 센서의 전원이 오프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ID 리더기 제어 장치를 이용한 열차 검지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차 검지 센서를 통해 승강장에 진입하는 열차를 검지하는 단계는,
    열차가 상기 제2 열차 검지 센서를 지나 제3 열차 검지 센서의 위치로 진입하는 경우, 제3 열차 검지 센서는 열차가 정위치에 정차한 것으로 판단하여 정위치 검지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유효 정보 선별부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ID 리더기 제어 장치를 이용한 열차 검지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열차 진입이 확인되는 시점에 해당하는 태그 정보만을 유효 정보로 선별하는 단계는,
    상기 제3 열차 검지 센서로부터 상기 정위치 검지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유효 정보 전송부를 통해 승강장 안전문 종합 제어반으로 CAN 통신 방식을 통해 승강장 안전문 제어 신호를 전송하여 상기 승강장 안전문이 제어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ID 리더기 제어 장치를 이용한 열차 검지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모니터링부에서 상기 열차 검지 센서, RFID 리더기, 유효 정보 선별부 및 유효 정보 전송부 각각의 작동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모니터링 결과 비정상 작동 신호가 감지되는 경우 출력 장치를 통해 상기 비정상 작동 신호를 외부로 시인 가능하도록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ID 리더기 제어 장치를 이용한 열차 검지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모니터링 결과 전송부에서 상기 모니터링부의 모니터링 결과 비정상 작동 신호가 감지되는 경우, 원격지의 관리 단말로 상기 비정상 작동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ID 리더기 제어 장치를 이용한 열차 검지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차 진입이 확인되는 시점에 해당하는 태그 정보만을 유효 정보로 선별하는 단계는,
    다수 개가 일정 간격을 두고 일렬로 설치된 RFID 리더기들 중에서, 선미 칸에 설치된 RFID 태그를 인식하는 제1 RFID 리더기와, 후미 칸에 설치된 RFID 태그를 인식하는 제2 RFID 리더기 각각의 인식 위치를 토대로 현재 선로에 진입한 열차를 파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ID 리더기 제어 장치를 이용한 열차 검지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차 진입이 확인되는 시점에 해당하는 태그 정보만을 유효 정보로 선별하는 단계는,
    특정 선로에 진입하는 열차에 설치된 RFID 태그의 RSSI값을 수집한 후, 타 선로에 진입하는 열차에 설치된 RFID 태그의 RSSI값을 서로 비교하여 기 설정된 범위를 벗어나는 RSSI값을 포함하는 RFID 태그에 대한 태그 정보는 무효 정보로 선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ID 리더기 제어 장치를 이용한 열차 검지 방법.
KR1020220126133A 2022-10-04 2022-10-04 Rfid 리더기 제어 장치를 이용한 열차 검지 방법 KR1026556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6133A KR102655611B1 (ko) 2022-10-04 2022-10-04 Rfid 리더기 제어 장치를 이용한 열차 검지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6133A KR102655611B1 (ko) 2022-10-04 2022-10-04 Rfid 리더기 제어 장치를 이용한 열차 검지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55611B1 true KR102655611B1 (ko) 2024-04-08

Family

ID=907150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26133A KR102655611B1 (ko) 2022-10-04 2022-10-04 Rfid 리더기 제어 장치를 이용한 열차 검지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55611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32110A (ko) * 2010-06-01 2011-12-07 주식회사 에스티큐브 Rfid를 이용한 승강장 스크린도어 연동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JP2012066617A (ja) * 2010-09-21 2012-04-05 Kobe Steel Ltd 列車停止位置検出方法及び列車停止位置検出装置
JP2016060339A (ja) * 2014-09-17 2016-04-25 株式会社東芝 列車接近検出装置
KR20180127058A (ko) * 2017-05-19 2018-11-28 전자부품연구원 철도차량과 인프라 간 통신 방법
KR102280652B1 (ko) * 2020-11-04 2021-07-22 (주)동우자동도어 차량 정위치 정차감지 및 승강장 안전문 연동시스템
KR102291147B1 (ko) * 2020-02-18 2021-08-17 박수용 승강장 스크린 도어 무선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32110A (ko) * 2010-06-01 2011-12-07 주식회사 에스티큐브 Rfid를 이용한 승강장 스크린도어 연동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196803B1 (ko) 2010-06-01 2012-11-05 주식회사 에스티큐브 Rfid를 이용한 승강장 스크린도어 연동시스템의 제어방법
JP2012066617A (ja) * 2010-09-21 2012-04-05 Kobe Steel Ltd 列車停止位置検出方法及び列車停止位置検出装置
JP2016060339A (ja) * 2014-09-17 2016-04-25 株式会社東芝 列車接近検出装置
KR20180127058A (ko) * 2017-05-19 2018-11-28 전자부품연구원 철도차량과 인프라 간 통신 방법
KR102291147B1 (ko) * 2020-02-18 2021-08-17 박수용 승강장 스크린 도어 무선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KR102280652B1 (ko) * 2020-11-04 2021-07-22 (주)동우자동도어 차량 정위치 정차감지 및 승강장 안전문 연동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787635B (zh) 电梯楼层数据采集装置和电梯楼层运行监控系统及方法
CN100511321C (zh) 高速公路上车辆的车速和相对位置实时测量系统及方法
CN110562305B (zh) 一种动车组电务车载设备智能检测系统
CN109085177B (zh) 一种基于rfid定位的漏缆外观检测方法和装置
KR102655611B1 (ko) Rfid 리더기 제어 장치를 이용한 열차 검지 방법
CN110702268B (zh) 一种应用于轨道交通的电缆温度监测方法和系统
CN108510019B (zh) 一种基于rfid的智能站台系统及其控制方法
KR102654502B1 (ko) Rfid 리더기 제어 장치
CN112268515B (zh) 基于多传感融合技术的站台门间隙防夹检测方法及系统
CN216310969U (zh) 一种站台入侵检测报警系统
CN107748906B (zh) 机车车轮地面识别系统和方法
CN116112872A (zh) 一种矿用装备人员预警方法及装置
CN114435172B (zh) 一种自动管理的新能源汽车智能充电桩及智能充电方法
CN116320996A (zh) 一种云控无人驾驶系统的路侧推送异常判定方法及系统
CN215728815U (zh) 用于地铁的主动安防雷达系统
CN109572757A (zh) 一种铁路落石的检测与定位方法、装置
CN114814828A (zh) 一种周界安防雷达预警装置及监测方法
CN108372861A (zh) 一种基于激光或红外探测扫描的异物检测装置
CN109774752B (zh) 基于测速技术的btm库检系统
KR102077276B1 (ko) Rfid를 이용한 승강장 스크린도어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
CN205405696U (zh) 一种用于自动贩售机的监控及后台报警系统
CN101777237A (zh) 一种门帘式智能安全检测装置及检测方法
JP2000230209A (ja) レール締結装置の緩み検査システム
US20050225475A1 (en) Monitoring system for land-based navigational and landing systems
CN115826464B (zh) 一种远机位节点采集系统的采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