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4502B1 - Rfid 리더기 제어 장치 - Google Patents

Rfid 리더기 제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54502B1
KR102654502B1 KR1020220126131A KR20220126131A KR102654502B1 KR 102654502 B1 KR102654502 B1 KR 102654502B1 KR 1020220126131 A KR1020220126131 A KR 1020220126131A KR 20220126131 A KR20220126131 A KR 20220126131A KR 102654502 B1 KR102654502 B1 KR 1026545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fid reader
communication unit
train
train detection
valid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261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현철
김은영
Original Assignee
김은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은영 filed Critical 김은영
Priority to KR10202201261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450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45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4502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0009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 G06K7/10366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the interrogation device being adapted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1/00General arrangement of stations, platforms, or sidings; Railway networks; Rail vehicle marshalling systems
    • B61B1/02General arrangement of stations and platforms including protection devices for the passeng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LGUIDING RAILWAY TRAFFIC; ENSURING THE SAFETY OF RAILWAY TRAFFIC
    • B61L25/00Recording or indicating positions or identities of vehicles or trains or setting of track apparatus
    • B61L25/02Indicating or recording positions or identities of vehicles or trai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1/00Means for allowing passage through fences, barriers or the like, e.g. stiles
    • E06B11/02Gates; Doo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23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the record carrier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non-contact communication, e.g. wireless communication circuits on transponder cards, non-contact smart cards or RFI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0009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 G06K7/10297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arrangements for handling protocols designed for non-contact record carriers such as RFIDs NFCs, e.g. ISO/IEC 14443 and 18092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xic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Train Traffic Observation, Control, And Securit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종의 RFID 리더기와 호환 연결이 가능하며, 열차 검지 센서를 통해 열차가 검지되는 시점 동안의 태그 정보만을 유효 정보로 선별하여 이를 지상 RF 장치로 전송함으로써, 동 시간대 진입하는 열차를 정확히 식별하여 RFID 리더기의 태그 정보 오검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RFID 리더기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RFID 리더기 제어 장치{AN APPARATUS FOR CONTROLLING RFID READERS}
본 발명은 RFID 리더기 제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다종의 RFID 리더기와 호환 연결이 가능하며, 열차 검지 센서를 통해 열차가 검지되는 시점 동안의 태그 정보만을 유효 정보로 선별하여 이를 지상 RF 장치로 전송함으로써, 동 시간대 진입하는 열차를 정확히 식별하여 RFID 리더기의 태그 정보 오검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RFID 리더기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승강장 안전문은 승강장과 열차가 통행하는 선로측 사이를 물리적으로 분리함으로 승강장 추락 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설비이다. 이러한 설비는 최근 확대 설치되고 있지만, 기존 열차의 운영 시스템과 연동되지 않는 문제가 있다.
최근에 신설되는 노선은 열차 운영 시스템에 의해서 승강장 안전문도 열차 운영 설비의 일환으로 인지되어 열차 신호시스템과 연동되어 작동한다. 하지만 노선에 설치된 오래된 열차 운영 시스템은 승강장 안전문을 인식할 수 있는 방법이 없기 때문에, 최근에는 이를 해결하고자 RFID 태그를 활용한 통신 방식을 도입하였다.
한편, 국내 승강장 안전문은 표준화된 규격없이 설치되어 운영 및 유지보수 되고 있다. 하지만, 안전문 제작사의 폐업으로 유지보수를 위한 부품을 조달하기 어려운 실정이며 RFID 리더기 역시 같은 상황이다. 따라서 현재 기 설치된 RFID 리더기 교체가 필요한 경우, 열차 운영 시스템 전체를 교체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196803호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함으로써, 다종의 RFID 리더기와 호환 연결이 가능하며, 열차 검지 센서를 통해 열차가 검지되는 시점 동안의 태그 정보만을 유효 정보로 선별하여 이를 지상 RF 장치로 전송함으로써, 동 시간대 진입하는 열차를 정확히 식별하여 RFID 리더기의 태그 정보 오검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RFID 리더기 제어 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RFID 리더기 제어 장치는 열차 검지 센서와 연결되며, 상기 열차 검지 센서로부터 열차 검지 신호를 수신하는 센서 통신부(110), RFID 리더기와 연결되며, 상기 RFID 리더기로부터 태그 정보를 수신하는 RFID 리더기 통신부(120), 상기 RFID 리더기로부터 수신되는 전체 태그 정보 중에서, 상기 열차 검지 신호가 수신되는 시점에 해당하는 태그 정보만을 유효 정보로 선별하는 유효 정보 선별부(130) 및 선별된 유효 정보를 지상 RF 장치로 전송하는 유효 정보 전송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센서 통신부(110)는 주 열차 검지 센서와 연결되는 주 열차 검지 센서 통신부(111) 및 보조 열차 검지 센서와 연결되는 보조 열차 검지 센서 통신부(112)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센서 통신부(110)는 승강장의 특정 위치에서 다수 개가 일정 간격을 두고 일렬로 설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유효 정보 선별부(130)는 다수 개의 센서 통신부(110) 중에서 열차 진입을 우선으로 검지하는 센서 통신부(110)로부터 열차 검지 신호가 전송되는 경우, 상기 RFID 리더기에 전원을 인가함과 동시에 열차 진입을 차선으로 검지하는 센서 통신부(110)로부터 상기 열차 검지 신호가 수신되는 시점에 해당하는 태그 정보만을 유효 정보로 선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상기 센서 통신부(110), RFID 리더기 통신부(120), 유효 정보 선별부(130) 및 유효 정보 전송부(140) 각각의 작동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는 모니터링부(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상기 모니터링부(150)의 모니터링 결과 비정상 작동 신호가 감지되는 경우, 상기 비정상 작동 신호가 외부로 시인 가능하도록 하는 출력 장치(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모니터링부(150)의 모니터링 결과 비정상 작동 신호가 감지되는 경우, 원격지의 관리 단말로 상기 비정상 작동 신호를 전송하는 모니터링 결과 전송부(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열차 검지 센서를 통해 열차가 검지되는 시점 동안의 태그 정보만을 유효 정보로 선별하여 이를 지상 RF 장치로 전송함으로써, 동 시간대 진입하는 열차를 정확히 식별하여 RFID 리더기의 태그 정보 오검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특히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타 선로 측 태그 정보가 동 시간대 수신되더라도 태그 정보의 연속성을 비교하여 구분하고 유효 처리된 태그 정보만을 지상 RF 장치로 송출함으로 오검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실시간 동작 상태를 별도 세그먼트를 통해서 표출함으로 현장에서 리더기의 정상 작동 여부를 확인할 수 있어 실제 리더기의 동작에 문제가 있는 경우에만 교체를 진행하도록 판단할 수 있어 실제 리더기 교체가 필요한 경우에만 선로측 작업이 가능한 이점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기존 설치 및 납품된 RFID 리더기의 통신방식과 각 승강장 안전문 제조사들의 종합제어기 통신 규격을 분석하여 기존 시스템 구성이 아닌 다른 리더기와 종합제어기로 구성되더라도 RFID 리더기와 종합제어기 사이에서 데이터 변환을 통해 유연하게 운용이 가능한 이점을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RFID 리더기 제어 장치(100)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RFID 리더기 제어 장치(100)를 통해 열차 운영 시스템을 운영하는 운영 방식의 개념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일 뿐,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의 내용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RFID 리더기 제어 장치(100)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RFID 리더기 제어 장치(100)를 통해 열차 운영 시스템을 운영하는 운영 방식의 개념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살펴보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RFID 리더기 제어 장치(100)는 크게 센서 통신부(110), RFID 리더기 통신부(120), 유효 정보 선별부(130) 및 유효 정보 전송부(1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는 추가적으로 모니터링부(150), 출력 장치(160) 및 전송부(17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센서 통신부(110)는 승강장 내로 진입하는 열차 첫칸의 진입 여부를 검지하는 열차 검지 센서와 연결되며, 해당 열차 검지 센서로부터 열차 검지 신호를 수신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열차 검지 센서는 주 열차 검지 센서와 이를 보조하는 보조 열차 검지 센서로 구성된다. 이러한 주 열차 검지 센서 및 보조 열차 검지 센서와 연결을 위하여 센서 통신부(110)는 주 열차 검지 센서 통신부(111) 및 보조 열차 검지 센서 통신부(11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주 열차 검지 센서 통신부(111) 및 보조 열차 검지 센서 통신부(112)는 PCB 형태의 RFID 리더기 제어 장치(100)에 실장되어 물리적 연결을 지원하는 포트 형태의 인터페이스를 의미할 수 있다.
센서 통신부(110)를 통해 열차의 진입이 검지되는 경우, 센서 통신부(110)는 이에 따른 열차 검지 신호를 생성하여 후술되는 유효 정보 선별부(130)로 전송하게 되고, 유효 정보 선별부(130)에서는 이를 후술되는 RFID 리더기의 태그 정보 중 유효 정보를 선별하는 과정에 활용하게 된다.
RFID 리더기 통신부(120)는 열차 첫 칸 또는 마지막 칸에 설치되는 RFID 태그를 인식하고, 이로부터 태그 정보를 수신하는 RFID 리더기와 연결되며, RFID 리더기로부터 태그 정보를 수신하여 이를 유효 정보 선별부(130)로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RFID 리더기 통신부(120)는 열차 첫칸 또는 마지막 칸에 설치되는 RFID 태그를 자동 인식하여 태그 정보를 유효 정보 선별부(130)로 전송하게 되는데, 오검지를 방지하기 위하여 유효 정보 선별부(130)에서는 앞서 센서 통신부(110)로부터 전송되는 열차 검지 신호와의 매칭을 반영하여 유효 정보를 선별하게 된다.
유효 정보 선별부(130)는 RFID 리더기로부터 수신되는 전체 태그 정보 중에서, 앞서 열차 검지 신호가 수신되는 시점에 해당하는 태그 정보만을 유효 정보로 선별하고, 그 시점 이외의 태그 정보를 모두 무시하여 해당 승강장에 진입하는 열차를 정확히 식별할 수 있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RFID 리더기 자체는 열차 앞 칸 혹은 마지막 칸에 마련된 RFID 태그의 태그가 진행되는 경우 즉시 태그 정보를 수신하게 되는데, 승강장에 진입하는 열차를 정확히 식별하기 위하여, 유효 정보 선별부(130)는 센서 통신부(110)로부터 열차 검지 신호가 수신되는 시점에 대한 태그 정보만을 유효 정보로 선별하게 된다.
일 실시예에서, 타 선로에서 타 열차가 진입할 경우 동 시간대에 해당 타 열차에 마련된 RFID 태그의 태그 정보가 동시 수신될 수도 있지만, 이 경우 유효 정보 선별부(130)는 수신된 태그 정보의 연속성을 비교하여 타 열차에 마련된 RFID 태그의 태그 정보를 구별하게 된다.
유효 정보 전송부(140)는 유효 정보 선별부(130)를 통해 선별된 유효 정보를 지상 RF 장치로 전송하게 되고, 지상 RF 장치는 이를 통해 해당 승강장의 안전문이 열차 도어와 함께 동기화되어 열리거나 닫히도록 제어하도록 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게 된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모니터링부(150)는 앞서 셀펴본 센서 통신부(110), RFID 리더기 통신부(120), 유효 정보 선별부(130) 및 유효 정보 전송부(140) 각각의 작동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게 되며, 모니터링부(150)의 모니터링 결과 비정상 작동 신호가 감지되는 경우, 출력 장치(160)를 통해 비정상 작동 신호가 외부로 시인되도록 출력하게 된다. 여기에서, 출력 장치(160)라 함은 세븐 세그먼트 혹은 LCD 디스플레이가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모니터링부(150)의 모니터링 결과 감지되는 비정상 작동 신호는 원격지의 관리 단말로 유선 혹은 무선 통신을 통해 전송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관리자는 RFID 리더기의 작동 상태 및 제어 상태, 열차 검지 센서의 작동 상태 및 제어 상태, 지상 RF 장치의 작동 상태 및 제어 상태를 모두 모니터링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RFID 리더기 제어 장치(100)의 구성을 통해, 선고의 특정 승강장에 진입하는 열차를 정확히 선별할 수 있게 되고, 열차 검지 신호의 수신 시점을 토대로 태그 정보를 분석 및 구분이 가능하게 되며, RFID 리더기 자체의 역사별 출력 조절도 가능하게 된다.
뿐만 아니라, RFID 리더기 제어 장치(100)에 연결된 RFID 리더기, 열차 감지 센서, 지상 RF 장치 각각의 작동 상태 및 제어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음은 물론 각 장치 별 제어도 가능하게 된다. 또한 RFID 리더기 장애가 확인되는 경우 데이터창 또는 통신 포트를 통해 태그 정보를 확인하여 어떠한 장치에 장애가 발생되었는지를 파악할 수 있게 된다.
뿐만 아니라, 특정 RFID 리더기의 교체가 필요한 경우에도, 해당 RFID 리더기 제작사로부터 데이터시트를 수신한 후 이를 가공하여 지상 RF 장치로 전송함으로써 다종의 RFID 리더기를 호환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지게 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RFID 리더기 제어 장치
110: 센서 통신부
111: 주 열차 검지 센서 통신부
112: 보조 열차 검지 센서 통신부
120: RFID 리더기 통신부
130: 유효 정보 선별부
140: 유효 정보 전송부
150: 모니터링부
160: 출력 장치
170: 모니터링 결과 전송부

Claims (7)

  1. 승강장의 특정 위치에서 다수 개가 일정 간격을 두고 일렬로 설치된 상태에서 각각 열차 검지 센서와 연결되며, 상기 열차 검지 센서로부터 열차 검지 신호를 수신하는 센서 통신부(110);
    열차의 첫 칸 또는 마지막 칸에 설치된 RFID 태그를 인식하는 RFID 리더기와 연결되며, 상기 RFID 리더기로부터 태그 정보를 수신하는 RFID 리더기 통신부(120);
    상기 RFID 리더기로부터 수신되는 전체 태그 정보 중에서, 상기 센서 통신부(110)를 통해 상기 열차 검지 신호가 수신되는 시점에 해당하는 태그 정보만을 유효 정보로 선별하는 유효 정보 선별부(130); 및
    선별된 유효 정보를 지상 RF 장치로 전송하는 유효 정보 전송부(140);를 포함하며,
    상기 유효 정보 선별부(130)는 다수 개의 센서 통신부(110) 중에서 가장자리에 설치되어 열차 진입을 우선으로 검지하는 센서 통신부(110)로부터 열차 검지 신호가 전송되는 경우, 상기 RFID 리더기에 전원을 인가함과 동시에, 가장자리에 설치된 센서 통신부(110) 보다 내측에 설치되어 열차 진입을 다음으로 검지하는 센서 통신부(110)로부터 상기 열차 검지 신호가 수신되는 시점에 해당하는 태그 정보만을 유효 정보로 선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ID 리더기 제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통신부(110)는,
    주 열차 검지 센서와 연결되는 주 열차 검지 센서 통신부(111); 및
    보조 열차 검지 센서와 연결되는 보조 열차 검지 센서 통신부(11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ID 리더기 제어 장치.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통신부(110), RFID 리더기 통신부(120), 유효 정보 선별부(130) 및 유효 정보 전송부(140) 각각의 작동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는 모니터링부(15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ID 리더기 제어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부(150)에서 상기 센서 통신부(110), RFID 리더기 통신부(120), 유효 정보 선별부(130) 및 유효 정보 전송부(140) 각각의 작동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한 결과를 출력하는 출력 장치(16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ID 리더기 제어 장치.
  7. 삭제
KR1020220126131A 2022-10-04 2022-10-04 Rfid 리더기 제어 장치 KR1026545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6131A KR102654502B1 (ko) 2022-10-04 2022-10-04 Rfid 리더기 제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6131A KR102654502B1 (ko) 2022-10-04 2022-10-04 Rfid 리더기 제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54502B1 true KR102654502B1 (ko) 2024-04-04

Family

ID=906376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26131A KR102654502B1 (ko) 2022-10-04 2022-10-04 Rfid 리더기 제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54502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87769A (ko) * 2008-02-13 2009-08-18 서울메트로 열차 운행정보 안내 시스템 및 방법
KR20100131875A (ko) * 2009-06-08 2010-12-16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열차 위치 관리 시스템
KR20110045609A (ko) * 2009-10-27 2011-05-04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Rfid 기반의 리더기
KR101196803B1 (ko) 2010-06-01 2012-11-05 주식회사 에스티큐브 Rfid를 이용한 승강장 스크린도어 연동시스템의 제어방법
KR20160090117A (ko) * 2015-01-21 2016-07-29 (주)신원에이티에스 열차 관리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JP2020203652A (ja) * 2019-06-19 2020-12-24 三菱電機株式会社 車種判別装置、停車位置判定装置、ホームドア制御装置及びホームドア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87769A (ko) * 2008-02-13 2009-08-18 서울메트로 열차 운행정보 안내 시스템 및 방법
KR20100131875A (ko) * 2009-06-08 2010-12-16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열차 위치 관리 시스템
KR20110045609A (ko) * 2009-10-27 2011-05-04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Rfid 기반의 리더기
KR101196803B1 (ko) 2010-06-01 2012-11-05 주식회사 에스티큐브 Rfid를 이용한 승강장 스크린도어 연동시스템의 제어방법
KR20160090117A (ko) * 2015-01-21 2016-07-29 (주)신원에이티에스 열차 관리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JP2020203652A (ja) * 2019-06-19 2020-12-24 三菱電機株式会社 車種判別装置、停車位置判定装置、ホームドア制御装置及びホームドアシステ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787635B (zh) 电梯楼层数据采集装置和电梯楼层运行监控系统及方法
KR101951662B1 (ko) 승강장안전문 표준형 개별제어장치
JP5459657B2 (ja) プラントの監視制御システム及び水処理施設のトラブル認識用プログラム
CN104555639A (zh) 电梯维保监察装置及监察方法
CN115826563B (zh) 一种基于plc机柜的远程故障监测系统及方法
KR102654502B1 (ko) Rfid 리더기 제어 장치
US5982125A (en) Automatic door test apparatus
KR102400956B1 (ko) 전력 설비를 위한 양방향 제어시스템
US20210365021A1 (en) A method for commissioning and maintenance of alarm systems
CN106899084A (zh) 一种基于视频智能识别的配电环网站开关状态分析技术
CN208069651U (zh) 一种基于激光或红外探测扫描的异物检测装置
CN112738204B (zh) 一种变电站二次屏门安全措施自动布置系统与方法
KR102655611B1 (ko) Rfid 리더기 제어 장치를 이용한 열차 검지 방법
CN202815878U (zh) 用于矿山入井人员身份验证的装置
JP3071700B2 (ja) 監視システム
JP2572482B2 (ja) 乗客コンベアの遠隔監視装置
CN108372861B (zh) 一种基于激光或红外探测扫描的异物检测装置
CN105279537A (zh) 变电站挂接地线检测系统和方法
CN212782123U (zh) 门禁系统中韦根读卡器状态智能检测系统
KR102283874B1 (ko) 자동폐색제어장치 자동 시험기 및 그 시험 방법
KR102167543B1 (ko) 지하철 관제 시스템의 병행 운전 절체기
CN205405696U (zh) 一种用于自动贩售机的监控及后台报警系统
KR101035887B1 (ko) 전자연동 장치용 카드시험기 및 그 제어방법
CN205302333U (zh) 变电站挂接地线检测系统
CN100378708C (zh) 物料信息监控系统及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