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31875A - 열차 위치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열차 위치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31875A
KR20100131875A KR1020090050696A KR20090050696A KR20100131875A KR 20100131875 A KR20100131875 A KR 20100131875A KR 1020090050696 A KR1020090050696 A KR 1020090050696A KR 20090050696 A KR20090050696 A KR 20090050696A KR 20100131875 A KR20100131875 A KR 201001318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management system
rfid reader
train
rfid ta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506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73869B1 (ko
Inventor
원종운
나희승
황영진
박정준
Original Assignee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철도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900506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73869B1/ko
Publication of KR201001318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318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38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38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LGUIDING RAILWAY TRAFFIC; ENSURING THE SAFETY OF RAILWAY TRAFFIC
    • B61L25/00Recording or indicating positions or identities of vehicles or trains or setting of track apparatus
    • B61L25/02Indicating or recording positions or identities of vehicles or tra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LGUIDING RAILWAY TRAFFIC; ENSURING THE SAFETY OF RAILWAY TRAFFIC
    • B61L1/00Devices along the route controlled by interaction with the vehicle or train
    • B61L1/02Electric devices associated with track, e.g. rail conta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LGUIDING RAILWAY TRAFFIC; ENSURING THE SAFETY OF RAILWAY TRAFFIC
    • B61L3/00Devices along the route for controlling devices on the vehicle or train, e.g. to release brake or to operate a warning signal
    • B61L3/02Devices along the route for controlling devices on the vehicle or train, e.g. to release brake or to operate a warning signal at selected places along the route, e.g. intermittent control simultaneous mechanical and electrical control
    • B61L3/08Devices along the route for controlling devices on the vehicle or train, e.g. to release brake or to operate a warning signal at selected places along the route, e.g. intermittent control simultaneous mechanical and electrical control controlling electricall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23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the record carrier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non-contact communication, e.g. wireless communication circuits on transponder cards, non-contact smart cards or RFI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rain Traffic Observation, Control, And Security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입환 선로의 출입구에 각각 RFID 리더를 설치하고 RFID 태그를 부착한 차량이 통과할 때 차량에 부착된 RFID 태그를 읽어 각 차량의 위치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열차 입환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한 열차 위치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차량에 부착되는 RFID 태그; 입환 선로의 출입구에 설치되고, 상기 RFID 태그를 판독하여 차량정보를 검출하는 RFID 리더기; 상기 RFID 리더기로부터 상기 차량정보를 입력받아 각각의 선로별 차량정보를 관리하는 차량 위치 관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열차, RFID, 위치, 입환

Description

열차 위치 관리 시스템{TRAIN LOCATION MANAGEMENT SYSTEM}
본 발명은 열차 위치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선로 위의 차량정보를 제공하여 열차 입환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한 열차 위치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열차의 입환을 위해서는 열차운행 계획 및 차량 운용계획에 따라 차량(열차의 한칸)을 편성하여야 한다.
차량 운용계획 및 요구에 따라 열차를 입환할 경우 역내 각 선로에 위치한 차량 순서가 매우 중요하다. 이를 위해 작업자가 눈으로 차량번호와 위치를 확인하고 열차 입환 작업을 수행한다. 이로 인해 작업의 효율이 떨어질뿐만 아니라 안전사고의 위험이 있다.
전술한 기술은 본 발명의 배경기술의 이해를 위해서 기재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종래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입환 선로의 출입구에 각각 RFID 리더를 설치하고 RFID 태그를 부착한 차량이 통과할 때 차량에 부착된 RFID 태그를 읽어 각 차량의 위치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열차 입환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한 열차 위치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한 열차 위치 관리 시스템은 차량에 부착되는 RFID 태그; 입환 선로의 출입구에 설치되고, 상기 RFID 태그를 판독하여 차량정보를 검출하는 RFID 리더기; 상기 RFID 리더기로부터 상기 차량정보를 입력받아 각각의 선로별 차량정보를 관리하는 차량 위치 관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RFID 리더기는 다수의 안테나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RFID 리더기는 상기 RFID 태그를 인식하기 시작한 상기 안테나 감지 순서에 따라 차량의 진출입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RFID 리더기는 하나의 입환 선로의 출입구에 각각 복수개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RFID 리더기는 상기 RFID 태그를 인식하기 시작한 상기 RFID 리더기의 감지 순서에 따라 차량의 진출입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차량 위치 관리부는 입환 작업자 단말기로 선로별 차량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RFID 태그는 상기 차량의 하부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RFID 태그는 상기 차량의 측면에 추가적으로 더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차량정보는 차량고유번호, 선로진입시간, 차량위치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이 입환 선로의 출입구를 통과할 때 차량에 부착된 RFID 태그를 읽어 각 선로의 차량 위치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작업자가 열차 입환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들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권리 보호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 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의한 열차 위치 관리 시스템의 블럭도이고, 도 2와 도3은 본 실시예에 의한 RFID 리더기의 설치 구성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열차 위치 관리 시스템은 RFID 태그(1), RFID 리더기(2), 차량 위치 관리부(3)를 포함한다.
RFID 태그(1)는 열차를 구성하는 각각의 차량(5)에 부착되는데, 차량(5)의 하부에 부착되어 차량(5)이 입환선로의 출입구를 통과할 때 RFID 리더기(2)가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부가적으로 차량(5)의 측면에도 RFID 태그(1)를 부착하여 작업자가 휴대용 작업자 단말기(4)를 통해 해당 차량 여부를 확인 할 수 있도록 한다.
RFID 리더기(2)는 입환 선로의 출입구에 설치되어, RFID 태그(1)가 부착된 차량(5)이 선로를 통과할 때 RFID 태그(1)를 판독하여 차량정보를 검출한다. 여기서, 차량정보는 차량고유번호, 선로진입시간, 차량위치정보를 포함한다.
이러한 RFID 리더기(2)는 다수의 안테나(미도시)를 포함하여, RFID 태그를 인식하기 시작한 안테나의 감지 순서에 따라 차량의 진출입 여부를 판단하거나, 하나의 입환 선로의 출입구에 각각 RFID 리더기(2)를 복수개로 구성하여, RFID 태그(1)를 인식하기 시작한 RFID 리더기(2)의 감지 순서에 따라 차량의 진출입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
차량 위치 관리부(3)는 RFID 리더기(2)로부터 차량정보를 입력받아 각각의 선로별 차량정보를 관리하고, 입환 작업자 단말기(4)로 선로별 차량정보를 제공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의 열차 위치 관리 시스템은 선로의 차량 위치 인식을 위해 입환 선로의 출입구에 각각 RFID 리더기(2)를 설치하여 RFID 태그(1)가 부착된 차량(5)이 선로를 통과할 때 RFID 태그(1)를 판독하고 차량의 진행방향을 고려하여 해당 선로의 차량 위치 정보를 갱신한다.
예를들어, 도 3을 참고하면 차량1,2가 있는 상태에서 차량3이 같은 선로로 진입하면, RFID 리더기(2)는 차량3의 RFID 태그(1)를 판독하여 차량정보를 차량 위치 관리부(3)로 전송한다.
그러면, 차량 위치 관리부(3)는 해당 선로의 차량정보를 차량 1,2에서 차량1,2,3으로 변경한다.
이때 입환선로의 출입구에 설치된 각 RFID 리더기(2)는 각각 두 개 이상의 멀티안테나를 통해 차량의 진행방향으로 인식한다. 만약 차량1이 선로로 진입하는 경우 차량의 진입방향에 따라 안테나1,2의 인식순서가 서로 차이가 발생하므로 이를 이용하여 RFID 리더기(2)는 차량의 진행방향을 판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차량 위치 관리부(3)는 각 선로의 RFID 리더기(2)로부터 읽혀진 차량정보를 통합하여 역내 차량 위치 정보를 통합 관리하고, 입환작업자와 기관차에 무선을 통해 각 선로의 차량정보를 송수신하여 입환 작업을 수행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차량 운용계획에 따른 차량배치와 입환 최적화를 위한 차량 배치를 수행할 수 있도록 차량정보를 입환 작업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작업자가 효율적으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의한 열차 위치 관리 시스템의 블럭도이다.
도 2와 도3은 본 실시예에 의한 RFID 리더기의 설치 구성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RFID 태그 2 : RFID 리더기
3 : 차량위치 관리부 4 : 작업자 단말기

Claims (9)

  1. 차량에 부착되는 RFID 태그;
    입환 선로의 출입구에 설치되고, 상기 RFID 태그를 판독하여 차량정보를 검출하는 RFID 리더기;
    상기 RFID 리더기로부터 상기 차량정보를 입력받아 각각의 선로별 차량정보를 관리하는 차량 위치 관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차 위치 관리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RFID 리더기는
    다수의 안테나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차 위치 관리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RFID 리더기는
    상기 RFID 태그를 인식하기 시작한 상기 안테나 감지 순서에 따라 차량의 진출입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차 위치 관리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RFID 리더기는
    하나의 입환 선로의 출입구에 각각 복수개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차 위치 관리 시스템.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RFID 리더기는
    상기 RFID 태그를 인식하기 시작한 상기 RFID 리더기의 감지 순서에 따라 차량의 진출입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차 위치 관리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위치 관리부는
    입환 작업자 단말기로 선로별 차량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차 위치 관리 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RFID 태그는
    상기 차량의 하부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차 위치 관리 시스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RFID 태그는
    상기 차량의 측면에 추가적으로 더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차 위치 관리 시스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정보는
    차량고유번호, 선로진입시간, 차량위치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차 위치 관리 시스템.
KR1020090050696A 2009-06-08 2009-06-08 열차 위치 관리 시스템 KR1010738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0696A KR101073869B1 (ko) 2009-06-08 2009-06-08 열차 위치 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0696A KR101073869B1 (ko) 2009-06-08 2009-06-08 열차 위치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1875A true KR20100131875A (ko) 2010-12-16
KR101073869B1 KR101073869B1 (ko) 2011-10-14

Family

ID=435077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50696A KR101073869B1 (ko) 2009-06-08 2009-06-08 열차 위치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7386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63404A (ko) * 2012-11-16 2014-05-2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센서 태그 및 그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
US9731736B2 (en) 2012-12-04 2017-08-15 Korea Railroad Research Institute Apparatus for detecting train position
KR102654502B1 (ko) * 2022-10-04 2024-04-04 김은영 Rfid 리더기 제어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916130B2 (ja) * 2005-05-23 2012-04-11 三菱電機株式会社 鉄道車両基地内における編成位置把握装置
JP2008056179A (ja) 2006-09-01 2008-03-13 Toshiba Corp 列車位置検出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63404A (ko) * 2012-11-16 2014-05-2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센서 태그 및 그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
US9731736B2 (en) 2012-12-04 2017-08-15 Korea Railroad Research Institute Apparatus for detecting train position
KR102654502B1 (ko) * 2022-10-04 2024-04-04 김은영 Rfid 리더기 제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73869B1 (ko) 2011-10-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561944B (zh) 一种基于射频识别的港口闸口通关系统
CN101056787A (zh) 协调运行轨道车辆或有轨车辆车门的方法和装置及对应的站台导引系统,尤其是站台门
CN102099237A (zh) 确定引导车辆的运动特性的系统
CN101020465A (zh) 机车库内整备作业方法及安全系统
CN101804823A (zh) 一种铁路进路自动控制的方法及装置
KR101606646B1 (ko) 도로교통시스템과 연계하여 동작하는 트램우선신호제어시스템
JP4775841B2 (ja) 車上/地上間情報伝送装置
KR101073869B1 (ko) 열차 위치 관리 시스템
CN105280008A (zh) 公交电子站牌系统
CN110322204A (zh) 汽车站智能管理系统
JP2007161253A (ja) 列車運行管理方法および列車運行管理システム
KR101221843B1 (ko) 무선통신기반 열차제어시스템의 열차 무결성 확보 시스템 및 그 방법
CN101549702A (zh) 无线列车控制系统
CN105389956A (zh) 基于etc的设备检测装置
CN110288280A (zh) 一种供应链系统
KR20100083043A (ko) 알에프아이디를 이용한 열차 정보 전송 시스템 및 방법
CN104590322A (zh) 一种利用tdcs产生铁路施工防护报警的方法
CN202495070U (zh) 营运车辆远程识别认证与动态监管装置
CN204809054U (zh) 一种基于射频识别技术的行程开关
JP5019412B2 (ja) 乗車管理システム、車載用管理装置、乗車管理方法、その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CN201955902U (zh) 出租车智能监管器
CN104751546A (zh) 公交场站智能门禁安全管理系统与方法
CN103366597A (zh) 采用zigbee进行公交车与电子站牌信息交换的方法
KR20110021005A (ko) 하차지점 알림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서버, 단말기 및 시스템
KR100709273B1 (ko) 스마트 카드 인터페이스와 rfid 태그 기능을 겸한 차량단말기 및 이와 통신 가능한 노상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